KR102551799B1 - 반도체 소자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1799B1
KR102551799B1 KR1020160165222A KR20160165222A KR102551799B1 KR 102551799 B1 KR102551799 B1 KR 102551799B1 KR 1020160165222 A KR1020160165222 A KR 1020160165222A KR 20160165222 A KR20160165222 A KR 20160165222A KR 102551799 B1 KR102551799 B1 KR 102551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variable resistance
film
electrode
prelimin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4842A (ko
Inventor
박종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5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799B1/ko
Priority to US15/630,087 priority patent/US10454028B2/en
Priority to CN201711276605.3A priority patent/CN108155203B/zh
Publication of KR20180064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842A/ko
Priority to US16/658,548 priority patent/US1082598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3/0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3/0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 H10B63/2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comprising selection components having two electrodes, e.g. diodes
    • H10B63/24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comprising selection components having two electrodes, e.g. diodes of the Ovonic threshold switching ty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21Device geometry
    • H10N70/826Device geometry adapted for essentially vertical current flow, e.g. sandwich or pillar typ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3/0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 H10B63/3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comprising selection components having three or more electrodes, e.g. transistors
    • H10B63/34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comprising selection components having three or more electrodes, e.g. transistors of the vertical channel field-effect transistor ty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3/0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 H10B63/80Arrangements comprising multiple bistable or multi-stable switching components of the same type on a plane parallel to the substrate, e.g. cross-point arrays
    • H10B63/84Arrangements comprising multiple bistable or multi-stable switching components of the same type on a plane parallel to the substrate, e.g. cross-point arrays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e.g. 3D cell arr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3/0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 H10B63/80Arrangements comprising multiple bistable or multi-stable switching components of the same type on a plane parallel to the substrate, e.g. cross-point arrays
    • H10B63/84Arrangements comprising multiple bistable or multi-stable switching components of the same type on a plane parallel to the substrate, e.g. cross-point arrays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e.g. 3D cell arrays
    • H10B63/845Arrangements comprising multiple bistable or multi-stable switching components of the same type on a plane parallel to the substrate, e.g. cross-point arrays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e.g. 3D cell arrays the switching components being connected to a common vertical conducto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50/00Galvanomagnetic devices
    • H10N50/10Magnetoresistiv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20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20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 H10N70/231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based on solid-state phase change, e.g. between amorphous and crystalline phases, Ovshinsky effec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21Device geometry
    • H10N70/823Device geometry adapted for essentially horizontal current flow, e.g. bridge typ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41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41Electrodes
    • H10N70/8413Electrodes adapted for resistive heat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61Therm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2Compounds of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e.g. chalcogeni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2Compounds of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e.g. chalcogenides
    • H10N70/8828Tellurides, e.g. GeSb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3Oxides or nitri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3Oxides or nitrides
    • H10N70/8833Binary metal oxides, e.g. TaOx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3Oxides or nitrides
    • H10N70/8836Complex metal oxides, e.g. perovskites, spin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50/00Galvanomagnetic devices
    • H10N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50/85Magnetic active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반도체 소자는, 기판 상에, 적층된 캡핑막, 선택막, 버퍼막, 가변 저항막 및 상부 전극막을 포함하는 셀 구조물들 구비된다. 상기 셀 구조물들이 반복 적층된 구조물이 구비된다. 상기 구조물을 관통하는 개구부 내부에는 상기 버퍼막, 가변 저항막 및 상부 전극막과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상기 선택막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구조물이 구비된다. 상기 가변 저항막 및 상부 전극막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가변 저항막으로 열을 가하기 위한 가열 전극이 구비된다. 상기 반도체 소자는 셀 들이 수직 적층됨으로써 고집적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SEMICONDUCTOR DEVICES}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각 셀들이 수직 방향으로 적층된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 셀들이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어 고집적화된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수직형 반도체 소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기판 상에, 적층된 캡핑막, 선택막, 버퍼막, 가변 저항막 및 상부 전극막을 포함하는 셀 구조물들 구비되고, 상기 셀 구조물들이 반복 적층된 구조물이 구비된다. 상기 구조물을 관통하는 개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버퍼막, 가변 저항막 및 상부 전극막과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상기 선택막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구조물이 구비된다. 상기 가변 저항막 및 선택막 사이에는 상기 가변 저항막으로 열을 가하기 위한 가열 전극이 구비된다.
상기 본 발명의 일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기판 상에, 적층된 절연막 및 하부 전극막을 포함하는 셀 구조물들 구비되고, 상기 셀 구조물들이 반복 적층된 구조물이 구비된다. 상기 구조물을 관통하는 개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의 측벽 상에는 선택 패턴이 구비된다. 상기 선택 패턴 상에, 상기 개구부 내부를 채우는 전극 구조물이 구비된다. 상기 선택 패턴과 직접 접촉하고, 상기 하부 전극막과 상기 선택 패턴 사이에는 가변 저항막이 구비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는 셀 구조물들이 수직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으며, 상기 전극 구조물과 인접하는 부위의 각 층 셀 구조물들은 각각 메모리 셀들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고집적화된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는 간단한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3은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2 및 도 13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14 내지 도 19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0 및 도 2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들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22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들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 및 도 2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6 및 도 27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8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9 및 도 30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3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2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3은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는 기판(100) 표면 상에, 캡핑막(102a), 제1 버퍼막(104a), 선택막(106a), 제2 버퍼막(108a), 가변 저항막(110a) 및 상부 전극막(112a)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셀 구조물(10a, 20a, 30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셀 구조물(10a, 20a, 30a)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기판 표면에 대해 수직한 제1 방향으로 반복하여 적층될 수 있으며, 적층되는 셀 구조물의 수는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적층된 셀 구조물의 최 상부에는 상부 캡핑막(20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캡핑막(102a)은 예를들어,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버퍼막(104a) 및 제2 버퍼막(108a)은 서로 높은 식각 선택성을 갖는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버퍼막들(104a, 108a)은 상기 캡핑막(102a)과 높은 식각 선택성을 갖는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 버퍼막(104a)은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버퍼막(108a)은 폴리실리콘, 실리콘 탄화물, 실리콘 탄산 질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막(106a)은 비정질 상태에서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 차이로 인해 스위칭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오티에스(Ovonic Threshold Switch: OTS)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티에스(OTS) 물질은 예를 들어, 게르마늄(Ge), 실리콘(Si), 비소(As) 및/또는 텔루륨(Te)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셀레늄(Se) 및/또는 황(S)을 더 함유할 수도 있다.
상기 오티에스(OTS) 물질은 예를 들어, AsTeGeSiIn, GeTe, SnTe, GeSe, SnSe, AsTeGeSiSbS, AsTeGeSiIP, AsTeGeSi, As2Te3Ge, As2Se3Ge, As25(Te90Ge10)75, Te40As35Si18Ge6.75In0.25, Te28As34.5Ge15.5S22, Te39As36Si17Ge7P, As10Te21S2Ge15Se50Sb2, Si5Te34As28Ge11S21Se1,AsTeGeSiSeNS, AsTeGeSiP, AsSe, AsGeSe, AsTeGeSe, ZnTe, GeTePb, GeSeTe, AlAsTe, SeAsGeC, SeTeGeSi, GeSbTeSe, GeBiTeSe, GeAsSbSe, GeAsBiTe, GeAsBiSe, GexSe1-x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 저항막(110a)은 주울 열에 의해 예를 들면, 비정질 상태 및 결정질 상태 사이에서 상전이가 발생할 수 있는 상변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 저항막(110a)은 상기 상전이에 의해 저항이 변화할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 셀은 상변화 메모리 (Phase Change RAM: PRAM) 소자의 메모리 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변화 물질의 예로서, 게르마늄(Ge), 안티몬(Sb) 및/또는 텔루륨(Te)이 소정의 비율로 조합된 GST 계열의 물질을 들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막(110a)은 GeTe-SbTe의 반복 적층 구조를 갖는 초격자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가변 저항막(110a)은 In-Sb-Te(IST) 계열 물질, 또는 비스무트(Bi)-Sb-Te(BST) 계열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막(110a)은 자기장 또는 스핀 전달 토크(Spin Transfer Torque: STT)에 의해 저항이 변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변 저항막(110a)은 철(Fe), 니켈(Ni), 코발트(Co), 디스프로슘(Dy), 가돌리늄(Gd) 등을 포함하는 강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는 자기 저항 메모리(Magnetic RAM: MRAM) 장치의 메모리 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막(110a)은 STO(SrTiO3), BTO(BaTiO3), PCMO(Pr1-XCaXMnO3) 등과 같은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계열의 물질, 또는 지르코늄 산화물, 하프늄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등과 같은 전이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는 저항 변화 메모리(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ReRAM) 소자의 메모리 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전극막(112a)은 금속 질화물 또는 금속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전극막(112a)은 티타늄 질화물(TiNx), 티타늄 실리콘 질화물(TiSiNx), 텅스텐 질화물(WNx), 텅스텐 실리콘 질화물(WSiNx), 탄탈륨 질화물(TaNx), 탄탈륨 실리콘 질화물(TaSiNx), 지르코늄 질화물(ZrNx), 지르코늄 실리콘 질화물(ZrSiNx), 티타늄 알루미늄 질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캡핑막(202) 및 셀 구조물(10a, 20a, 30a)을 관통하여 상기 기판(100)을 노출하는 개구부들(1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들(150)은 서로 이격되면서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50) 및 이와 인접하는 제1 버퍼막(104a) 측벽 사이에는 제2 리세스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버퍼막(104a) 측벽 상에는 상기 제2 리세스 내부를 채우는 제1 도전 패턴(158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 패턴(158a)의 상부면은 상기 선택막(106a)의 저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 패턴(158a)은 상기 개구부(150)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 패턴(158a)에 포함되는 물질은 산화물이 도전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 도전 패턴(158a)은 텅스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50) 및 이와 인접하는 제2 버퍼막(108a)의 측벽 사이에는 제1 리세스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버퍼막(108a) 측벽 상에는 상기 제1 리세스 내부를 채우는 가열 전극(154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열 전극(154a)은 상기 선택막(106a) 및 상기 가변 저항막(110a)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열 전극(154a)은 상기 개구부(150)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열 전극(154a)은 주울 열을 가변 저항막(110a)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가열 전극(154a)은 상기 제1 도전 패턴(158a)보다 높은 저항을 가질 수 있다. 도한, 상기 가열 전극(154a)의 산화물은 절연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가열 전극(154a)은 티타늄 질화물, 티타늄 실리콘 질화물, 텅스텐 질화물, 텅스텐 실리콘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탄탈륨 실리콘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지르코늄 실리콘 질화물 등과 같은 금속 질화물 또는 금속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가열 전극(154a)은 탄소가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들어,C, CN, TiCN, TaC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캡핑막(102a), 제1 버퍼막(104a), 선택막(106a), 제2 버퍼막(108a), 가변 저항막(110a) 및 상부 전극막(112a)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제1 도전 패턴(158a) 및 가열 전극(154a)을 포함하는 제1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50)에 의해 노출되는 상기 캡핑막(102a), 제1 도전 패턴(158a), 선택막(106a), 가변 저항막(110a), 가열 전극(154a) 및 상부 전극막(112a)의 측벽 상에는 산화막(160, 160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캡핑막(102a), 선택막(106a), 가변 저항막(110a), 상부 전극막(112a) 및 가열 전극(154a)의 측벽 상에 형성되는 제1 산화막(160)은 절연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도전 패턴(158a)의 측벽 상에 형성되는 제2 산화막(160a)은 도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산화막들(160, 160a) 및 기판(100) 상에는 상기 개구부(150) 내부를 완전하게 채우는 콘택 플러그(16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콘택 플러그(164)는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택 플러그(164)는 예를들어, 텅스텐, 알루미늄, 구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택 플러그(164)와 상기 제1 도전 패턴들(158a) 사이에는 도전성을 갖는 상기 제2 산화막(160a)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콘택 플러그(164), 제2 산화막(160a) 및 제1 도전 패턴들(158a)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전 패턴(158a)의 상부면은 상기 선택막(106a)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콘택 플러그(164)를 통해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2 산화막(160a) 및 제1 도전 패턴(158a)을 통해 상기 선택막(106a)으로 전기적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 패턴(158a)은 상기 콘택 플러그(164)를 둘러싸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콘택 플러그(164)와 상기 캡핑막(102a), 선택막(106a), 가변 저항막(110a), 상부 전극막(112a) 및 가열 전극(154a)의 측벽 사이에는 절연성을 갖는 제1 산화막(160)이 구비되므로, 상기 콘택 플러그(164)와 상기 캡핑막(102a), 선택막(106a), 가변 저항막(110a), 상부 전극막(112a) 및 가열 전극(154a)은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상기 가열 전극(154a)은 상기 콘택 플러그(164)와 절연되면서 상기 콘택 플러그(164)를 둘러싸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 전극(154a)을 통해 상기 콘택 플러그(164)와 인접하는 가변 저항막(110a)에 선택적으로 열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가변 저항막(110a)은 국부적으로 상전이되어 저항이 변화될 수 있다.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동작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먼저, 복층으로 적층된 셀 구조물들(10a, 20a, 30a) 중에서, 동작시키고자 하는 층의 셀 구조물(10a, 20a, 30a)에 포함되는 선택막(106a) 및 콘택 플러그(164)를 선택한다. 상기 선택된 콘택 플러그(164)를 통해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선택된 콘택 플러그(164)와 접하는 셀 구조물에 포함되는 제2 산화막(160a), 제1 도전 패턴(158a) 및 선택막(106a)을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선택막(106a) 상에 형성된 가열 패턴(154a)으로 전류가 흐르면서 상기 가열 패턴(154a)과 접촉되는 부위의 가변 저항막(110a)을 히팅한다. 예를들어, 상기 가변 저항막(110a)은 상기 콘택 플러그(164)의 주변의 링 형상의 부위(A)만 선택적으로 히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 패턴(154a)과 접촉하는 부위의 가변 저항막(110a)이 저항이 변화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가변 저항막(110a)의 일부분이 결정화되어 저저항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변 저항막(110a) 상에 형성되는 상부 전극막(112a)을 통해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와같이, 상기 콘택 플러그(164) 주변에 형성되는 각 층의 셀 구조물(10a, 20a, 30a)에는 각각 메모리 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층으로 메모리 셀들이 적층되는 고집적화된 메모리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예를 들면, 도 4 내지 도 11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예비 캡핑막(102), 예비 제1 버퍼막(104), 예비 선택막(106), 예비 제2 버퍼막(108), 예비 가변 저항막(110) 및 예비 상부 전극막(112)이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예비 구조물(10)을 형성한다. 계속하여, 상기 예비 상부 전극막(112) 상에, 계속하여 상기 예비 캡핑막(102), 예비 제1 버퍼막(104), 예비 선택막(106), 예비 제2 버퍼막(108), 예비 가변 저항막(110) 및 예비 상부 전극막(112)을 순차적으로 적층된 예비 구조물(20, 30)을 반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최상부의 예비 상부 전극막(112) 상에는 예비 상부캡핑막(202)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예비 구조물들(10, 20, 30)이 3개의 층으로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각 메모리 셀들은 3층으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Si 기판, Ge 기판, Si-Ge 기판, SOI 기판, GOI 기판 등과 같은 반도체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0)은 InP, GaP, GaAs, GaSb 등과 같은 III-V족 화합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예비 캡핑막(102)은 예를들어,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비 제1 버퍼막(104) 및 예비 제2 버퍼막(108)은 서로 높은 식각 선택성을 갖는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예비 제1 버퍼막(104)은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예비 제2 버퍼막(108)은 폴리실리콘, 실리콘 탄화물, 실리콘 탄산 질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비 선택막(106)은 예를들어, OTS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비 가변 저항막(110)은 예를들어, GST 계열, IST 계열, BST 계열 물질과 같은 상변화 물질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예비 가변 저항막(110)은 강자성체 물질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예비 가변 저항막(110)은 페로브스카이트 계열 물질 또는 전이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예비 상부 전극막(112)은 금속 질화물 또는 금속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예비 상부 캡핑막(202) 및 적층된 상기 예비 구조물들(10, 20, 30)을 이방성 식각하여, 상기 예비 상부 캡핑막(202) 및 적층된 상기 예비 구조물들(10, 20, 30)을 관통하고 상기 기판(100) 표면을 노출하는 개구부들(150)을 형성한다. 상기 식각 공정은 건식 식각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각 공정에 의해, 상기 예비 캡핑막(102), 예비 제1 버퍼막(104), 예비 선택막(106), 예비 제2 버퍼막(108), 예비 가변 저항막(110) 및 예비 상부 전극막(112)은 각각 개구부(150)를 포함하는 캡핑막(102a), 제1 버퍼막(104a), 선택막(106a), 제2 버퍼막(108a), 가변 저항막(110a) 및 상부 전극막(112a)이 적층된 셀 구조물들(10a, 20a, 30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최상부 셀 구조물(30a) 상에는 상부 캡핑막(20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50)의 측벽은 상기 캡핑막(102a), 제1 버퍼막(104a), 선택막(106a), 제2 버퍼막(108a), 가변 저항막(110a) 및 상부 전극막(112a)과 상기 상부 캡핑막(202a)이 노출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개구부(150) 측벽에 노출되는 상기 제2 버퍼막(108a)의 일부를 등방성 식각하여 제1 리세스(152)를 형성한다. 상기 식각 공정은 습식 식각 공정 또는 등방성 건식 식각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리세스(152) 내부를 채우면서 상기 개구부(150)의 측벽 및 저면 및 최상부 캡핑막 상에 가열 전극막을 형성한다. 상기 가열 전극막은 예를들어, 티타늄 질화물, 티타늄 실리콘 질화물, 텅스텐 질화물, 텅스텐 실리콘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탄탈륨 실리콘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지르코늄 실리콘 질화물 등과 같은 금속 질화물 또는 금속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가열 전극막은 탄소가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들어,C, CN, TiCN, TaC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세스(152) 내부에만 상기 가열 전극막이 남아있도록 상기 가열 전극막을 식각하여 가열 전극(154a)을 형성한다. 상기 식각 공정은 습식 식각 공정 또는 등방성 건식 식각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개구부(150) 측벽에 노출되는 상기 제1 버퍼막(104)의 일부를 등방성 식각하여 제2 리세스(156)를 형성한다. 상기 식각 공정은 습식 식각 공정 또는 등방성 건식 식각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리세스(156) 내부를 채우면서 상기 개구부(150)의 측벽 및 저면 및 최상부 캡핑막 상에 제1 도전막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도전막은 텅스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리세스(156) 내부에만 상기 제1 도전막이 남아있도록 상기 제1 도전막을 식각하여 제1 도전 패턴(158a)을 형성한다. 상기 식각 공정은 습식 식각 공정 또는 등방성 건식 식각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150)의 측벽에는 캡핑막(102a), 제1 도전 패턴(158a), 선택막(106a), 가열 전극(154a), 가변 저항막(110a) 및 상부 전극막(112a)과 상부 캡핑막(202a)이 노출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개구부(150)에 의해 노출되는 캡핑막(102a), 제1 도전 패턴(158a), 선택막(106a), 가열 전극(154a), 가변 저항막(110a) 및 상부 전극막(112a)과 상부 캡핑막(202a)의 표면을 산화시켜, 상기 개구부(150)의 측벽 상에 산화막(160, 160a)을 형성한다. 상기 산화 공정은 플라즈마 산화 공정 또는 열산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 공정에 의하면, 상기 캡핑막(102a), 선택막(106a), 가변 저항막(154a), 가열 전극(154a) 및 상부 전극막(112a)과 상부 캡핑막(202a)의 측벽 상에는 절연성을 갖는 제1 산화막(16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전 패턴(158a)의 측벽 상에는 도전성을 갖는 제2 산화막(160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산화 공정에서, 상기 기판(100) 표면상에도 산화막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산화 공정을 수행한 이 후에, 상기 기판(100) 표면 상에 형성된 산화막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산화막들(160, 160a), 기판(100) 및 상부 캡핑막(202a) 상에 상기 개구부(150) 내부를 완전하게 채우는 도전막을 형성한다. 이 후, 상기 상부 캡핑막(202a)의 상부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도전막을 평탄화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산화막들(160, 160a) 및 기판(100) 상에 상기 개구부(150) 내부를 완전하게 채우는 콘택 플러그(164)를 형성한다.
상기 도전막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막은 예를들어, 텅스텐, 알루미늄, 구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막을 평탄화하는 공정은 화학 기계적 연마 또는 에치백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는 기판(100) 표면 상에, 캡핑막(102a), 선택막(106a), 버퍼막(108a), 가변 저항막(110a) 및 상부 전극막(112a)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셀 구조물들(11a, 21a, 31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셀 구조물(11a, 21a, 31a)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기판(100) 표면에 대해 수직한 제1 방향으로 반복하여 적층될 수 있다. 최상부 셀 구조물(31a) 상에는 상부 캡핑막(202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캡핑막(102a)은 예를들어,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막(106a)은 OTS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퍼막(108a)은 상기 캡핑막(102a)과 높은 식각 선택성을 갖는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버퍼막(108a)은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버퍼막(108a)은 폴리실리콘, 실리콘 탄화물, 실리콘 탄산 질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 저항막(110a) 및 상부 전극막(112a)은 각각 도 1 내지 3을 참조로 설명한 가변 저항막(110a) 및 상부 전극막(112a)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캡핑막(202a)과 상기 셀 구조물들(11a, 21a, 31a)을 관통하여 상기 기판(100)을 노출하는 개구부들(1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들(150)은 서로 이격되면서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50) 및 이와 인접하는 버퍼막(108a) 측벽 사이에는 제1 리세스가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150) 및 이와 인접하는 가변 저항막(110a) 측벽 사이에는 제2 리세스가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150) 및 이와 인접하는 상기 상부 전극막(112a) 사이에는 제3 리세스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세스는 측방으로 제1 폭을 갖고, 상기 제2 리세스는 측방으로 상기 제1 폭보다 좁은 제2 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리세스 내에서 상기 가변 저항막(110a)의 저면, 버퍼막(108a)의 측벽 및 상기 선택막(106a)의 상부면이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리세스는 측방으로 상기 제2 폭과 동일하거나 더 좁은 제3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리세스 내에서, 적어도 상기 버퍼막(108a)의 측벽, 상기 가변 저항막(110a)의 저면 및 선택막(106a)의 상부면을 따라 컨포멀하게 가열 전극(180a)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 전극(180a)은 상기 선택막(106a) 및 가변 저항막(110a)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선택막(106a) 및 가변 저항막(110a)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가열 전극(180a)은 상기 상부 전극막(112a)과는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가열 전극(180a)은 도 1 내지 3을 참조로 설명한 가열 전극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전극(180a) 상에, 상기 제1, 제2 및 제3 리세스들 내부를 채우는 절연 패턴(18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연 패턴(184)은 예를들어,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개구부(150)의 측벽에는 상기 캡핑막(102a), 선택막(106a) 및 절연 패턴(184)이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캡핑막(102a), 선택막(106a), 버퍼막(108a), 가변 저항막(180a) 및 상부 전극막(112a)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가열 전극(180a)을 포함하는 제1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캡핑막(102a), 선택막(106a), 절연 패턴(184) 및 기판(100) 상에는 상기 개구부(150) 내부를 완전하게 채우는 콘택 플러그(18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콘택 플러그(186)는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택 플러그(186)는 예를들어, 텅스텐, 알루미늄, 구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택 플러그(186)는 상기 선택막(106a)의 측벽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가열 전극(180a), 가변 저항막(110a) 및 상부 전극막(112a)의 측벽과 상기 콘택 플러그(186) 사이에는 상기 절연 패턴(184)이 구비되므로, 상기 가열 전극(180a), 가변 저항막(110a) 및 상부 전극막(112a)과 상기 콘택 플러그(186)는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상기 가열 전극(180a)은 상기 콘택 플러그(186)와 절연되면서 상기 콘택 플러그(186)를 둘러싸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가열 전극(180a)을 통해 상기 콘택 플러그(186)와 인접하는 가변 저항막(110a)에 선택적으로 열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변 저항막(110a)은 국부적으로 상전이되어 저항이 변화될 수 있다.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동작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먼저, 동작시키고자 하는 층의 셀 구조물(11a, 21a, 31a)에 포함되는 선택막(106a) 및 콘택 플러그(186)를 선택한다. 상기 선택된 콘택 플러그(186)를 통해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선택된 콘택 플러그(186)와 접하는 셀 구조물에 포함되는 상기 선택막(106a)을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선택막(106a) 상에 형성된 가열 패턴(180a)으로 전류가 흐르면서 상기 가열 패턴(180a)과 접촉된 부위의 가변 저항막(110a)의 일부분이 히팅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변 저항막(110a) 상에 형성되는 상부 전극막(112a)을 통해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와같이, 상기 콘택 플러그(186) 주변에 형성되는 각 층의 셀 구조물에는 각각 메모리 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층으로 메모리 셀들이 적층되는 고집적화된 메모리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9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도 12 및 도 13을 참조로 설명한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예비 캡핑막(102), 예비 선택막(106), 예비 버퍼막(108), 예비 가변 저항막(110) 및 예비 상부 전극막(112)이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예비 구조물(11)을 형성한다. 계속하여, 상기 예비 상부 전극막(112) 상에, 계속하여 상기 예비 캡핑막(102), 예비 선택막(106), 예비 버퍼막(108), 예비 가변 저항막(110) 및 예비 상부 전극막(112)을 순차적으로 적층된 예비 구조물(21, 31)을 반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최상부의 예비 상부 전극막(112) 상에는 예비 상부 캡핑막(20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예비 캡핑막(102), 예비 선택막(106), 예비 버퍼막(108), 예비 가변 저항막(110), 예비 상부 전극막(112) 및 예비 상부캡핑막(202)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예비 캡핑막, 예비 선택막, 예비 버퍼막, 예비 가변 저항막, 예비 상부 전극막 및 예비 상부캡핑막과 각각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예비 상부캡핑막(202) 및 적층된 상기 예비 구조물들(11, 21, 31)을 이방성 식각하여, 상기 예비 상부캡핑막(202) 및 상기 적층된 상기 예비 구조물들(11, 21, 31)을 관통하여 상기 기판(100) 표면을 노출하는 개구부들(150)을 형성한다. 상기 식각 공정은 건식 식각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50)의 측벽에 노출되는 상기 예비 버퍼막(108) 및 예비 가변 저항막(110)을 선택적으로 등방성 식각하여, 상기 예비 버퍼막(108)이 식각된 부위에 제1 리세스(170)를 형성하고, 상기 예비 가변 저항막(110)이 식각된 부위에 제2 리세스(172)를 형성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등방성 식각 공정에서, 상기 예비 버퍼막(108)은 상기 예비 가변 저항막(110)보다 더 빠르게 식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리세스(170) 및 제2 리세스(172)는 서로 다른 등방성 식각 공정을 통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리세스(170)는 측방으로의 제1 폭을 갖고, 상기 제2 리세스(172)는 측방으로 상기 제1 폭보다 좁은 제2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예비 버퍼막(108) 및 예비 가변 저항막(110)을 선택적으로 식각하는 공정은 습식 식각 공정 또는 등방성 건식 식각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50), 제1 및 제2 리세스들(170, 172)이 포함됨으로서, 상기 예비 캡핑막(102), 예비 선택막(106), 예비 버퍼막(108), 예비 가변 저항막(110) 및 예비 상부 전극막(112)은 각각 캡핑막(102a), 선택막(106a), 버퍼막(108a), 가변 저항막(110a) 및 상부 전극막(112a)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세스(170) 내부에서 상기 선택막(106a)의 상부면, 버퍼막의 측벽 및 가변 저항막(110a)의 저면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리세스(172) 내부에서 상기 가변 저항막(110a)의 측벽 및 상부 전극막(112a)의 저면이 노출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개구부(150), 제1 및 제2 리세스들(170, 172)의 측벽, 기판(100) 및 상부 캡핑막(202a) 상에 가열 전극막(180)을 형성한다. 상기 가열 전극막(180)은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가열 전극막(180)은 상기 제1 및 제2 리세스들(170, 172) 표면을 따라 컨포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가열 전극막(180)은 상기 제1 리세스(170) 내부를 채울 수도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리세스들(170, 172) 내부를 채우면서, 상기 가열 전극막(180) 상에 절연막을 형성한다. 상기 절연막은 예를들어, 실리콘 산화물을 화학 기상 증착법 또는 원자층 적층법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리세스들(170, 172) 내부에만 상기 절연막이 남아있도록 상기 절연막을 식각하여 제1 절연 패턴(182)을 형성한다. 상기 식각 공정은 습식 식각 공정 또는 등방성 건식 식각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개구부(150) 측벽 및 기판 상에 노출되는 상기 가열 전극막(180)을 제거하여 가열 전극(180a)을 형성한다. 상기 가열 전극막(180)을 일부 제거하는 공정은 습식 식각 공정 또는 등방성 건식 식각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전극(180a)은 적어도 상기 제1 리세스(170) 내에 위치하는 상기 버퍼막(108a)의 측벽, 상기 가변 저항막(110a)의 저면 및 선택막(106a)의 상부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가변 저항막(110a)의 하부 측벽 상에도 상기 가열 전극(180a)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열 전극막(180)을 제거하는 공정에서, 상기 개구부(150)에 의해 노출되는 상부 전극막(112a)이 일부 식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전극막(112a)의 식각된 부위에 제3 리세스(174)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리세스(174)는 측방으로 상기 제2 폭과 동일하거나 더 좁은 제3 폭을 가질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제3 리세스(174) 내부를 채우면서, 상기 개구부(150)의 측벽, 기판(100) 및 상부 캡핑막(202a) 상에 절연막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리세스들(170, 172, 174) 내부에만 상기 절연막이 남도록 상기 절연막을 식각하여 제2 절연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제2 절연 패턴은 예를들어,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절연 패턴은 병합되어 하나의 절연 패턴(184)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절연막의 식각 공정은 습식 식각 공정 또는 등방성 건식 식각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150)의 측벽에는 상기 캡핑막(102a), 선택막(106a) 및 절연 패턴(184)이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 전극(180a), 가변 저항막(110a) 및 상부 전극막(112a)의 측벽은 상기 절연 패턴(184)에 의해 덮혀 있을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캡핑막(102a), 선택막(106a) 및 절연 패턴(184), 기판(100) 및 상부 캡핑막(202a) 상에 상기 개구부(150) 내부를 완전하게 채우는 도전막을 형성한다. 이 후, 상기 상부 캡핑막(202a)의 상부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도전막을 평탄화함으로써, 상기 개구부(150) 내부를 완전하게 채우는 콘택 플러그(186)를 형성한다.
상기 콘택 플러그(186)는 상기 선택막(106a)과 직접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택 플러그(186)는 상기 가열 전극(180a), 가변 저항막(110a) 및 상부 전극막(112a)과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22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는 기판(100) 표면 상에, 캡핑막(102a), 하부 전극막(130a), 채널막(132a), 버퍼막(134a), 가변 저항막(110a) 및 상부 전극막(112a)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셀 구조물(12a, 22a, 32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셀 구조물(12a, 22a, 32a)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기판 표면에 대해 수직한 제1 방향으로 반복하여 적층될 수 있으며, 적층되는 셀 구조물(12a, 22a, 32a)의 수는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캡핑막(102a)은 예를들어,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전극막(130a)은 금속 질화물 또는 금속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전극막(130a)은 티타늄 질화물(TiNx), 티타늄 실리콘 질화물(TiSiNx), 텅스텐 질화물(WNx), 텅스텐 실리콘 질화물(WSiNx), 탄탈륨 질화물(TaNx), 탄탈륨 실리콘 질화물(TaSiNx), 지르코늄 질화물(ZrNx), 지르코늄 실리콘 질화물(ZrSiNx), 티타늄 알루미늄 질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막(132a)은 예를들어, 폴리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퍼막(134a)은 상기 캡핑막(102a) 및 채널막(132a)과 높은 식각 선택성을 갖는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버퍼막(134a)은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버퍼막(134a)은 실리콘 탄화물, 실리콘 탄산 질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 저항막(110a) 및 상부 전극막(112a)은 각각 도 1 내지 3을 참조로 설명한 가변 저항막 및 상부 전극막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 구조물(12a, 22a, 32a)을 관통하여 상기 기판(100)을 노출하는 개구부들(1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50)는 서로 이격되면서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50) 및 이와 인접하는 버퍼막(134a) 측벽 사이에는 제1 리세스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세스를 채우면서 상기 버퍼막(134a) 측벽 상에 가열 전극(2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열 전극(250)은 상기 채널막(132a) 및 가변 저항막(110a)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채널막(132a) 및 가변 저항막(110a)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가열 전극(250)은 도 1 내지 3을 참조로 설명한 가열 전극(25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50)의 측벽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35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게이트 절연막(350)은 상기 개구부(150)에 의해 노출되는 캡핑막(102a), 하부 전극막(130a), 채널막(132a), 가열 전극(250), 가변 저항막(110a) 및 상부 전극막(112a)과 접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350)은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350)은 실리콘 산화물보다 높은 유전율을 갖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350) 상에는 상기 개구부(150)를 완전하게 채우는 게이트 전극(3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360)은 필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채널막(132a)을 관통하여 상기 게이트 전극(360)이 구비되므로, 상기 각 층에는 채널막(132a), 게이트 절연막(350) 및 게이트 전극(360)으로 구성되는 트랜지스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360)은 각 층에 형성되는 트랜지스터의 공통의 게이트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360)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360)은 예를들어, 텅스텐, 알루미늄, 구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층의 하부 전극막(130a) 및 상부 전극막(112a)에는 각각 배선들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층의 하부 전극막 및 상부 전극막에는 전기적 신호가 각각 독립적으로 인가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전극막(130a)의 일 단부는 계단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계단 형상을 갖는 일단부의 상부면에 콘택 플러그들(362) 및 도전 패턴들(도시안됨)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전극막(112a)의 일 단부는 계단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계단 형상을 갖는 일단부의 상부면에 콘택 플러그들(362) 및 도전 패턴들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동작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먼저, 동작시키고자 하는 셀 구조물들(12a, 22a, 32a)에 포함되는 게이트 전극(36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셀 구조물들(12a, 22a, 32a)에 포함되는 트랜지스터를 턴 온 시킨다. 상기 동작시키고자하는 셀 구조물에 포함되는 하부 전극막(130a)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면, 상기 턴 온된 트랜지스터를 통해 가열 전극(250)으로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상기 가열 패턴(250)은 상기 가변 저항막(110a)의 일부분을 히팅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변 저항막(110a) 상에 형성되는 상부 전극막(112a)을 통해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와같이, 상기 게이트 전극 주변에 형성되는 각 층의 셀 구조물에는 각각 메모리 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층으로 메모리 셀들이 적층되는 고집적화된 메모리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예를 들면, 도 23 내지 도 24는 도 20 내지 22를 참조로 설명한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예비 캡핑막(102), 예비 하부 전극막(130), 예비 채널막(132), 예비 버퍼막(134), 가변 저항막(110) 및 예비 상부 전극막(112)이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예비 구조물(12)을 형성한다. 계속하여, 상기 예비 상부 전극막(112) 상에, 상기 예비 캡핑막(102), 예비 하부 전극막(130), 예비 채널막(132), 예비 버퍼막(134) 및 예비 상부 전극막(112)을 순차적으로 적층된 예비 구조물(22, 32)을 반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최상부의 예비 상부 전극막(112) 상에는 예비 상부캡핑막(20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예비 캡핑막(102), 가변 저항막(110) 및 예비 상부 전극막(112)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예비 캡핑막, 가변 저항막, 예비 상부 전극막과 각각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비 하부 전극막(130), 예비 버퍼막(134) 및 예비 채널막(132)은 도 20 내지 22를 참조로 설명한 하부 전극막, 버퍼막 및 채널막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적층된 상기 예비 구조물들(12, 22, 32)을 이방성 식각하여 상기 적층된 상기 예비 구조물들(12, 22, 32)을 관통하여 상기 기판(100) 표면을 노출하는 개구부들(150)을 형성한다. 상기 식각 공정은 건식 식각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50)의 측벽에 노출되는 상기 예비 버퍼막(134)을 등방성을 식각하여, 상기 예비 버퍼막(134)이 식각된 부위에 제1 리세스를 형성한다. 상기 예비 버퍼막(134)을 등방성 식각하는 공정은 습식 식각 공정 또는 등방성 건식 식각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100) 표면 상에, 캡핑막(102a), 하부 전극막(130a), 채널막(132a), 버퍼막(134a), 가변 저항막(110a) 및 상부 전극막(112a)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셀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50) 및 제1 리세스의 측벽, 기판(100) 및 상부 캡핑막(202a) 상에 가열 전극막을 형성한다. 상기 가열 전극막은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세스 내부에만 상기 가열 전극막이 남아있도록 상기 가열 전극막을 식각하여 가열 전극(250)을 형성한다. 상기 식각 공정은 습식 식각 공정 또는 등방성 건식 식각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개구부(150) 측벽 및 상부 캡핑막(202a) 상에 게이트 절연막(350)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350) 상에 상기 개구부(150) 내부를 채우는 게이트 전극막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 캡핑막(202a)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게이트 전극막을 평탄화하여 게이트 전극(360)을 형성한다. 상기 평탄화 공정은 화학 기계적 연마 또는 에치백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는 기판(100) 표면 상에, 캡핑막(402a), 하부 전극막(404a), 제1 절연막(408a) 및 가변 저항막(410a)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셀 구조물(13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셀 구조물(13a)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기판(100) 표면에 대해 수직한 제1 방향으로 반복하여 적층될 수 있으며, 적층되는 셀 구조물(13a, 23a, 33a)의 수는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최상부 셀 구조물 상에는 상부 캡핑막(202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캡핑막(402a) 및 가변 저항막(410a)은 도 1 내지 3을 참조로 설명한 캡핑막 및 가변 저항막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전극막(404a)은 도 20 내지 22를 참조로 설명한 하부 전극막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캡핑막(202a) 및 셀 구조물들(13a, 23a, 33a)을 관통하여 상기 기판(100)을 노출하는 개구부들(1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50) 및 이와 인접하는 제1 절연막(408a) 측벽 사이에는 제1 리세스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리세스 내에는 가열 전극(406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열 전극(406a)은 상기 개구부(150)와 이격되면서 상기 개구부(150)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개구부(150)와 인접하는 상기 가열 전극(406a) 및 하부 전극막(404a) 측벽 사이에는 제2 리세스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리세스 내에는 절연 패턴(4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연 패턴(420)은 상기 가열 전극(406a) 및 하부 전극막(404a) 측벽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막(408a) 및 절연 패턴(420)은 예를들어,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50) 측벽 상에는 선택 패턴(4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택 패턴(450)은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선택 패턴(450)은 도 1 내지 3을 참조로 설명한 선택막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 패턴(450) 상에 상기 개구부 내부를 완전하게 채우는 콘택 플러그(4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콘택 플러그(452)는 상부 전극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동작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먼저, 동작시키고자 하는 셀 구조물에 포함되는 하부 전극막(404a)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한다. 또한, 하부 전극막(404a)을 통해 가열 전극(406a)으로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상기 가열 패턴(406a)은 상기 가변 저항막(410a)의 일부분을 히팅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변 저항막(410a)을 통해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상기 선택 패턴(450)이 선택되고, 상기 선택 패턴(450) 및 콘택 플러그(452)를 통해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도 26 및 도 27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예를 들면, 도 26 및 도 27은 도 25를 참조로 설명한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예비 캡핑막, 예비 하부 전극막, 예비 제1 절연막 및 예비 가변 저항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예비 구조물을 형성한다. 계속하여, 상기 예비 가변 저항막 상에, 상기 예비 캡핑막, 예비 하부 전극막, 예비 제1 절연막, 예비 가변 저항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예비 구조물을 반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최상부의 예비 가변 저항막 상에는 예비 상부캡핑막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예비 상부캡핑막 및 적층된 예비 구조물들을 이방성 식각하여 상기 적층된 상기 예비 상부캡핑막 및 예비 구조물들을 관통하여 상기 기판(100) 표면을 노출하는 개구부들(150)을 형성한다.
상기 개구부(150)의 측벽에 노출되는 예비 제1 절연막 및 예비 하부 전극막을 선택적으로 등방성 식각하여, 상기 예비 제1 절연막이 식각된 부위에 제1 리세스(190)를 형성하고, 예비 하부 전극막이 식각된 부위에 제2 리세스(192)를 형성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등방성 식각 공정에서, 상기 예비 제1 절연막은 상기 예비 하부 전극막보다 더 빠르게 식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리세스(190) 및 제2 리세스(192)는 서로 다른 등방성 식각 공정을 통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리세스(190)는 측방으로의 제1 폭을 갖고, 상기 제2 리세스(192)는 측방으로 상기 제1 폭보다 좁은 제2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예비 제1 절연막 및 예비 하부 전극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하는 공정은 습식 식각 공정 또는 등방성 건식 식각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50), 제1 및 제2 리세스들(190, 192)이 포함됨으로서, 예비 캡핑막, 예비 하부 전극막, 예비 제1 절연막 및 예비 가변 저항막은 각각 상기 캡핑막(402a), 하부 전극막(404a), 제1 절연막(408a) 및 가변 저항막(410a)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상기 개구부(150), 제1 및 제2 리세스들(190, 192)의 측벽, 기판(100) 및 상부 캡핑막(202a) 상에 가열 전극막을 형성한다. 상기 가열 전극막은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가열 전극막은 상기 제1 리세스(190) 내부를 부분적으로 채울 수 있다.
상기 제1 리세스(190) 내부에만 상기 가열 전극막이 남도록 상기 가열 전극막을 식각하여 가열 전극(406a)을 형성한다.
상기 개구부(150) 측벽, 제2 리세스(192) 및 가열 전극(406a)의 측벽, 기판(100) 및 상부 캡핑막(202a) 상에 절연막을 형성한다. 상기 절연막은 예를들어,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절연막은 상기 제2 리세스(192) 내부를 채울 수도 있다.
상기 제2 리세스(192) 내부에만 상기 절연막이 남도록 상기 절연막을 식각하여 절연 패턴(420)을 형성한다. 상기 절연 패턴(420)은 상기 하부 전극막 및 가열 전극 측벽을 덮을 수 있다.
다시,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개구부(150) 측벽, 기판(100) 및 상부 캡핑막(202a) 상에 선택막을 형성한다. 상기 선택막을 이방성 식각하여 상기 개구부 측벽 상에 선택 패턴(450)을 형성한다.
상기 선택 패턴 상에 상기 개구부 내부를 완전하게 채우는 콘택 플러그(452)를 형성한다.
도 28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는 기판(100) 표면 상에, 절연막(422a) 및 하부 전극막(424a)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셀 구조물(14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셀 구조물(14a)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기판(100) 표면에 대해 수직한 제1 방향으로 반복하여 적층될 수 있다. 최상부 구조물 상에는 상부 절연막(203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연막(422a)은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상부 절연막(203a) 및 셀 구조물들(14a, 24a, 34a)을 관통하여 상기 기판(100)을 노출하는 개구부들(1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50) 및 이와 인접하는 하부 전극막(424a) 측벽 사이에는 제1 리세스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리세스 내에는 가열 전극(426a) 및 가변 저항 패턴(428a)이 측방으로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 전극(426a) 및 가변 저항 패턴(428a)은 상기 개구부(150)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열 전극(426a)은 상기 하부 전극막(424a)과 접촉되고, 상기 가변 저항 패턴(428a)은 개구부(150)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50) 측벽 상에 선택 패턴(4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택 패턴(450)은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선택 패턴(450) 상에 상기 개구부(150) 내부를 완전하게 채우는 콘택 플러그(4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콘택 플러그(452)는 상부 전극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동작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먼저, 동작시키고자 하는 셀 구조물에 포함되는 하부 전극막(424a)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한다. 또한, 하부 전극막(424a)을 통해 가열 패턴(426a)으로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상기 가열 패턴(426a)은 상기 가변 저항 패턴(428a)을 히팅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변 저항 패턴(428a)을 통해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상기 선택 패턴(450)이 선택되고, 상기 선택 패턴(450) 및 콘택 플러그(452)를 통해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도 29 및 도 30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예를 들면, 도 29 및 도 30은 도 28을 참조로 설명한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예비 절연막 및 예비 하부 전극막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예비 구조물을 형성한다. 계속하여, 상기 예비 하부 전극막 상에 상기 예비 절연막 및 예비 하부 전극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예비 구조물을 반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최상부의 예비 하부 전극막 상에는 예비 상부 절연막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예비 상부 절연막 및 적층된 상기 예비 구조물들을 이방성 식각하여 상기 적층된 상기 예비 구조물들을 관통하여 상기 기판(100) 표면을 노출하는 개구부들(150)을 형성한다.
상기 개구부(150)의 측벽에 노출되는 예비 하부 전극막을 선택적으로 등방성 식각하여, 리세스(194)를 형성한다.
따라서, 절연막(422a) 및 하부 전극막(424a)을 순차적으로 적층된 셀 구조물들(14a, 24a, 34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상기 개구부(150) 및 리세스(194)의 측벽, 기판(100) 및 상부 절연막(203a) 상에 가열 전극막을 형성한다. 상기 가열 전극막은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가열 전극막은 상기 리세스(194)의 적어도 일부를 채울 수 있다.
상기 가열 전극막을 일부 식각하여 상기 리세스(194) 내부를 부분적으로 채우는 가열 전극(426a)을 형성한다.
상기 개구부(150) 측벽, 가열 전극(426a), 기판(100) 및 최상부 절연막(203a) 상에 상기 리세스(194) 내부를 채우는 가변 저항막을 형성한다. 상기 리세스(194) 내부에만 상기 가변 저항막이 남도록 상기 가변 저항막을 일부 식각하여 상기 가열 전극(426a) 상에 가변 저항 패턴(428a)을 형성한다.
다시, 도 28을 참조하면, 상기 개구부(150) 측벽, 기판(100) 및 상부 절연막(203a) 상에 선택막을 형성한다. 상기 선택막을 이방성 식각하여 상기 개구부(150) 측벽 상에 선택 패턴(450)을 형성한다.
상기 선택 패턴(450) 상에 상기 개구부(150) 내부를 완전하게 채우는 콘택 플러그(452)를 형성한다.
도 3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는 기판(100) 표면 상에, 절연막(422a), 하부 전극막(430), 가열 전극막(432)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물(15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조물(15a)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기판(100) 표면에 대해 수직한 제1 방향으로 반복하여 적층될 수 있으며, 적층되는 구조물들(15a, 25a, 35a)의 수는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최상부 구조물 상에는 상부 절연막(203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연막(422a)은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절연막(203a) 및 구조물들(15a, 25a, 35a)을 관통하여 상기 기판(100)을 노출하는 개구부들(1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50) 및 이와 인접하는 하부 전극막(430) 사이 부위에는 제1 리세스가 구비된다. 상기 개구부(150) 및 이와 인접하는 상기 가열 전극막(432) 사이에는 제2 리세스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리세스 내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 전극막(430) 측벽과 접촉하는 절연 패턴(43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리세스 내부를 채우고, 상기 절연 패턴(434) 및 상기 가열 전극막(432) 측벽 상에는 가변 저항 패턴(436)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변 저항 패턴(436)은 상기 개구부(150)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변 저항 패턴(436)은 개구부(150)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50) 측벽 상에 선택 패턴(4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택 패턴(450)은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선택 패턴(450) 상에 상기 개구부(150) 내부를 완전하게 채우는 콘택 플러그(4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콘택 플러그(452)는 상부 전극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동작은 도 28을 참조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32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예를 들면, 도 32는 도 31을 참조로 설명한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예비 절연막, 예비 하부 전극막 및 예비 가열 전극막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예비 구조물을 형성한다. 계속하여, 상기 예비 가열 전극막 상에 상기 예비 절연막, 예비 하부 전극막 및 예비 가열 전극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예비 구조물을 반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최상부의 예비 하부 전극막 상에는 최상부 절연막(203a)이 형성될 수 있다. 적층된 상기 예비 구조물들을 이방성 식각하여 상기 적층된 상기 예비 구조물들을 관통하여 상기 기판(100) 표면을 노출하는 개구부들(150)을 형성한다.
상기 개구부(150)의 측벽에 노출되는 예비 하부 전극막 및 가열 전극막을 선택적으로 등방성 식각하여, 제1 및 제2 리세스를 각각 형성한다.
따라서, 절연막(422a), 하부 전극막(430) 및 가열 전극막(432)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물들(15a, 25a, 3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50), 제1 및 제2 리세스의 측벽, 기판(100) 및 최상부 절연막(203a) 상에 절연막을 형성한다. 상기 절연막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하부 전극막의 측벽 상에 상기 제1 리세스 내부를 부분적으로 채우는 절연 패턴(434)을 형성한다.
다시, 도 31을 참조하면, 상기 개구부(150) 측벽, 절연막(422a), 절연 패턴(434), 가열 전극막(432), 기판(100) 및 상부 절연막(203a) 상에 상기 제2 리세스 내부를 채우는 가변 저항막을 형성한다. 상기 가변 저항막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가열 전극막 및 절연 패턴 측벽 상에 상기 제2 리세스 내부를 채우는 가변 저항 패턴(436)을 형성한다.
상기 개구부(150) 측벽, 기판(100) 및 상부 절연막(203a) 상에 선택막을 형성한다. 상기 선택막을 이방성 식각하여 상기 개구부(150) 측벽 상에 선택 패턴(450)을 형성한다.
상기 선택 패턴(450) 상에 상기 개구부(150) 내부를 완전하게 채우는 콘택 플러그(452)를 형성한다.
이와같이, 복층으로 적층된 고집적도를 갖는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f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기판 102a : 캡핑막
104a : 제1 버퍼막 106a : 선택막
108a : 제2 버퍼막 110a : 가변 저항막
112a : 상부 전극막 154a, 180, 250 : 가열 전극
158 : 제1 도전 패턴 164, 286 : 콘택 플러그

Claims (10)

  1.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캡핑막, 선택막, 버퍼막, 가변 저항막 및 상부 전극막을 포함하는 셀 구조물이 구비되고, 상기 셀 구조물이 수직 방향으로 반복 적층되어 복수의 셀 구조물들을 포함하는 구조물;
    상기 구조물을 관통하는 개구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버퍼막, 가변 저항막 및 상부 전극막과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상기 복수의 셀 구조물들 내에 포함된 각 선택막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구조물; 및
    상기 전극 구조물과 절연되고, 상기 복수의 셀 구조물들 내의 상기 가변 저항막 및 선택막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가변 저항막으로 열을 가하기 위한 가열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셀 구조물에서 상기 선택막 및 가변 저항막 사이에 상기 버퍼막이 형성되고,
    상기 캡핑막은 절연 물질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막 및 가변 저항막은 칼코겐 화합물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전극은 상기 가변 저항막의 일부 표면과 직접 접촉하는 반도체 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전극은 상기 버퍼막 측벽 상에 구비되고, 상기 가변 저항막 및 선택막 사이의 리세스 내부에 구비되는 반도체 소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구조물 및 상기 개구부의 측벽에 노출되는 상기 가변 저항막, 상부 전극막 및 가열 전극 사이에는 절연 패턴이 구비되는 반도체 소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패턴은 상기 가변 저항막, 상부 전극막 및 가열 전극이 각각 산화되어 형성된 산화물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전극은 상기 전극 구조물과 이격되면서 상기 전극 구조물을 둘러싸는 링 형상을 갖는 반도체 소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핑막 상에 하부 전극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막은 실리콘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 구조물 및 상기 개구부의 측벽에 노출되는 상기 하부 전극막, 선택막, 가변 저항막, 상부 전극막 및 가열 전극 사이에는 게이트 절연 패턴이 구비되는 반도체 소자.
  9. 기판 상에, 적층된 캡핑막, 하부 전극막, 절연막 및 가변 저항막을 포함하는 셀 구조물이 구비되고, 상기 셀 구조물이 수직 방향으로 반복 적층되어 복수의 셀 구조물들을 포함하는 구조물;
    상기 구조물을 관통하는 개구부 측벽 상에 구비되는 선택 패턴;
    상기 선택 패턴 상에, 상기 개구부 내부를 채우는 전극 구조물; 및
    상기 복수의 셀 구조물들 내의 상기 가변 저항막과 각각 접촉하고, 상기 가변 저항막으로 열을 가하기 위한 복수개의 가열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 전극은 전극 구조물을 둘러싸는 링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셀 구조물에 포함되는 가변 저항막들은 상기 선택 패턴과 직접 접촉하는 반도체 소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패턴은 실린더 형상을 갖는 반도체 소자.
KR1020160165222A 2016-12-06 2016-12-06 반도체 소자 KR102551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222A KR102551799B1 (ko) 2016-12-06 2016-12-06 반도체 소자
US15/630,087 US10454028B2 (en) 2016-12-06 2017-06-22 Semiconductor devices including a plurality of stacked cell structures
CN201711276605.3A CN108155203B (zh) 2016-12-06 2017-12-06 半导体器件
US16/658,548 US10825986B2 (en) 2016-12-06 2019-10-21 Semiconductor devices including a stacked cell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222A KR102551799B1 (ko) 2016-12-06 2016-12-06 반도체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842A KR20180064842A (ko) 2018-06-15
KR102551799B1 true KR102551799B1 (ko) 2023-07-05

Family

ID=62243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222A KR102551799B1 (ko) 2016-12-06 2016-12-06 반도체 소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454028B2 (ko)
KR (1) KR102551799B1 (ko)
CN (1) CN1081552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6555B2 (en) * 2016-10-01 2019-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magnetic cell usable in spin transfer torque applications and including a switchable shunting layer
KR102123118B1 (ko) * 2018-05-14 2020-06-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육각 구조를 갖는 전자 소자 및 전자 소자의 어드레싱 방법
KR20200041031A (ko) * 2018-10-11 2020-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
US11380369B2 (en) 2018-11-30 2022-07-0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memory cel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2649489B1 (ko) * 2019-01-11 2024-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
US11462686B2 (en) * 2020-06-22 2022-10-04 Nantero, Inc. Three-dimensional array architecture for resistive change element array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CN111969106A (zh) * 2020-08-17 2020-11-20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相变存储器件及其制造方法
CN113644087A (zh) * 2021-08-10 2021-11-12 长江先进存储产业创新中心有限责任公司 相变存储器及其制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623B1 (ko) * 2012-07-31 2014-01-27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수평 전극 구조가 개선된 수직형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16192443A (ja) * 2015-03-30 2016-11-10 株式会社東芝 記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986B1 (ko) * 2008-10-10 2011-03-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성장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콘택 구조를 절연시키는 절연막을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및 그들의 제조방법
US8461566B2 (en) 2009-11-02 2013-06-11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structures and devices for increasing memory density
JP2011199215A (ja) * 2010-03-24 2011-10-06 Hitachi Ltd 半導体記憶装置
KR20120002832A (ko) * 2010-07-01 2012-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의 형성방법
EP2731109B1 (en) * 2010-12-14 2016-09-07 SanDisk Technologies LLC Architecture for three dimensional non-volatile storage with vertical bit lines
JP2012244180A (ja) * 2011-05-24 2012-12-10 Macronix Internatl Co Ltd 多層接続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15673B1 (ko) 2011-06-13 2015-05-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린징 효과를 이용하는 3차원 플래시 메모리 및 이의 제조하는 방법
KR20130017347A (ko) * 2011-08-10 2013-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KR20130092930A (ko) * 2012-02-13 2013-08-2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30095499A (ko) * 2012-02-20 2013-08-2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그 제조 방법
US9093369B2 (en) * 2012-06-07 2015-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ree-dimensional 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devices,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418051B1 (ko) * 2012-06-28 2014-07-10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공통 선택소자를 갖는 수직형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20150162383A1 (en) 2012-06-28 2015-06-11 Intellectual Discovery Co., Ltd. Vertical 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8841649B2 (en) 2012-08-31 2014-09-23 Micron Technology, Inc. Three dimensional memory array architecture
KR102002802B1 (ko) 2012-09-05 2019-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KR20140068627A (ko) 2012-11-28 2014-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저항막을 갖는 저항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9064547B2 (en) * 2013-03-05 2015-06-23 Sandisk 3D Llc 3D non-volatile memory having low-current cells and methods
KR102025290B1 (ko) 2013-03-12 2019-09-2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099637B2 (en) 2013-03-28 2015-08-04 Intellectual Discovery Co., Ltd. Phase change memor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phase change memory
KR101511421B1 (ko) 2013-04-03 2015-04-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층 상변화 물질을 이용하는 3차원 메모리
KR20140127577A (ko) 2013-04-25 2014-11-0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3차원 저항 가변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9728584B2 (en) 2013-06-11 2017-08-08 Micron Technology, Inc. Three dimensional memory array with select device
KR102061694B1 (ko) 2013-10-14 2020-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크로스 포인트 어레이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102075032B1 (ko) * 2013-11-07 2020-02-1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536511B1 (ko) 2014-03-06 2015-07-1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적층 저항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1018149B2 (en) * 2014-03-27 2021-05-25 Intel Corporation Building stacked hollow channels for a three dimensional circuit device
US9768234B2 (en) * 2014-05-20 2017-09-19 Crossbar, Inc. Resistive memory architecture and devices
US9595531B2 (en) * 2014-07-11 2017-03-14 Intel Corporation Aluminum oxide landing layer for conductive channels for a three dimensional circuit device
US9437658B2 (en) * 2014-08-05 2016-09-06 Sandisk Technologies Llc Fully isolated selector for memory device
KR102255309B1 (ko) 2014-10-17 202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구조의 인공 뉴런 반도체 소자 및 이를 이용한 인공 뉴런 반도체 시스템
US9356074B1 (en) * 2014-11-17 2016-05-31 Sandisk Technologies Inc. Memory array having divided apart bit lines and partially divided bit line selector switches
US9450023B1 (en) * 2015-04-08 2016-09-20 Sandisk Technologies Llc Vertical bit line non-volatile memory with recessed word lines
KR20160131180A (ko) * 2015-05-06 2016-11-1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08431893A (zh) * 2015-11-24 2018-08-21 许富菖 三维垂直存储器阵列单元结构及工艺
US9735202B1 (en) * 2016-02-16 2017-08-15 Sandisk Technologies Llc Implementation of VMCO area switching cell to VBL architecture
KR102539122B1 (ko) * 2016-02-17 2023-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83704B1 (ko) * 2016-03-30 2023-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923140B2 (en) * 2016-04-20 2018-03-20 Sandisk Technologies Llc Low power barrier modulated cell for storage class memory
US10026487B2 (en) * 2016-06-03 2018-07-17 Sandisk Technologies Llc Non-volatile memory with customized control of injection type of disturb during program verify for improved program performance
KR20180003869A (ko) * 2016-07-01 2018-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US10120816B2 (en) * 2016-07-20 2018-11-06 Sandisk Technologies Llc Bad column management with data shuffle in pipeline
US10090318B2 (en) * 2016-08-05 2018-10-02 Micron Technology, Inc. Vertical string of memory cells individually comprising a programmable charge storage transistor comprising a control gate and a charge storage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a vertical string of memory cells individually comprising a programmable charge storage transistor comprising a control gate and a charge storage structure
KR102527669B1 (ko) * 2016-08-11 2023-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623B1 (ko) * 2012-07-31 2014-01-27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수평 전극 구조가 개선된 수직형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16192443A (ja) * 2015-03-30 2016-11-10 株式会社東芝 記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54028B2 (en) 2019-10-22
US20200052204A1 (en) 2020-02-13
CN108155203A (zh) 2018-06-12
KR20180064842A (ko) 2018-06-15
CN108155203B (zh) 2023-04-28
US20180159030A1 (en) 2018-06-07
US10825986B2 (en) 202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1799B1 (ko) 반도체 소자
CN107195776B (zh) 半导体器件
US10593874B2 (en) Variable resistance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7123734B (zh) 可变电阻存储器件
CN107093612B (zh) 可变电阻存储器件及其制造方法
US10468594B2 (en) Variable resistance memory devices
US9768232B2 (en) Variable resistance memor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236444B2 (en) Variable resistanc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393980B2 (en) Variable resistance memory devices implementing two-dimensional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 materials
US10692933B2 (en) Variable resistance memory device
US11195997B2 (en) Variable resistance memory devices including self-heating layer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121179B2 (en) Variable resistance memory devices
KR20200093743A (ko) 정보 저장 패턴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