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362B1 -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마스크 - Google Patents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362B1
KR102549362B1 KR1020217017575A KR20217017575A KR102549362B1 KR 102549362 B1 KR102549362 B1 KR 102549362B1 KR 1020217017575 A KR1020217017575 A KR 1020217017575A KR 20217017575 A KR20217017575 A KR 20217017575A KR 102549362 B1 KR102549362 B1 KR 102549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ayer
electrode layer
disposed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7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8561A (ko
Inventor
준후이 로
루 장
샤오양 통
미아오 창
Original Assignee
쿤산 고-비젼녹스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쿤산 고-비젼녹스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쿤산 고-비젼녹스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10078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4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 C23C14/042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using mas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10K50/813An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7Passive-matrix OLED displays
    • H10K59/173Passive-matrix OLED displays comprising banks or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60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light-sensitive elements, e.g. with inorganic solar cells or inorganic photodi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1Anodes
    • H10K59/80515An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 H10K71/16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using selective deposition, e.g. using a mask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10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 H10K2102/101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 H10K2102/102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comprising tin oxides, e.g. fluorine-doped SnO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10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 H10K2102/101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 H10K2102/103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comprising indium oxides, e.g. ITO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31Two-side emission, e.g. transparent OLEDs [T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8Transparent cathodes, e.g. comprising thin meta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2Cathodes
    • H10K59/80522Cathodes combined with auxiliary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ome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위치하는 발광 구조층, 및 상기 발광 구조층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전극층은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1 전극 그룹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1 전극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을 포함하며, 동일한 상기 제1 전극 그룹 내의 제1 전극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각각의 상기 제1 전극은 적어도 2개의 제1 전극 블록 및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를 포함하며, 인접한 2개의 제1 전극 블록은 대응하는 연결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마스크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관련출원
본 출원은 2019년 3월 29일에 출원한, 출원번호가 201910252177.3이고, 명칭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마스크"인 중국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여기서 모든 내용은 참고용으로 원용된다.
전자기기가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스크린 투 바디 비율(screen-to-body ratio)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는 점점 높아졌고, 따라서 전자기기의 풀스크린(full screen) 표시가 업계에서 점점 더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관련된 전자기기에서, 전면 카메라, 이어 피스 및 적외선 감지 소자 등을 집적할 필요가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노치(Notch)를 형성하여 노치 영역에 카메라, 이어 피스 및 적외선 감지 소자 등을 설치하고 있으나, 종래의 노치디자인 스크린과 같이 노치 영역은 화면 표시에 사용될 수 없다. 또한 스크린에 개구를 형성하는 방법이 채택되고 있는데, 카메라 기능을 구현하는 전자기기에서 외부광선은 스크린 상의 개구부를 통해 스크린 아래에 위치하는 감광 소자에 입사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기기는 진정한 풀스크린이 아니며, 카메라 영역에서 화면을 표시할 수 없듯이 스크린 전체의 모든 영역에서 표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내 배선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고, 광선 투과 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내의 복잡한 배선으로 인한 회절 중첩 현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광면에 배치된 카메라의 촬영 화질을 향상시키고, 이미지 왜곡 결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위치하는 발광 구조층, 및 상기 발광 구조층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전극층은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1 전극 그룹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1 전극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을 포함하며, 동일한 상기 제1 전극 그룹 내의 제1 전극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각각의 상기 제1 전극은 적어도 2개의 제1 전극 블록 및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를 포함하며, 인접한 2개의 제1 전극 블록은 대응하는 연결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더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전술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이 배치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광 투과율은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광 투과율보다 크고, 상기 제1 표시 영역 아래에 감광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더 제공되는 마스크는, 전술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조 공정에 사용하기 위한 마스크로서,
상기 제1 전극층 상에는 제1 화소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1 화소 격벽층이 배치되고; 상기 제1 화소 개구 내에는 발광 구조 블록이 배치되고; 상기 제2 전극층은 표면전극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전극층은 상기 제1 화소 격벽층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화소 개구의 측벽에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에는 제3 전극층이 더 배치되고, 상기 제3 전극층은 적어도 상기 제1 화소 개구의 측벽에 배치되며, 상기 제3 전극층은 상기 제2 전극층과 직접 접촉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에는 제4 전극층, 상기 제4 전극층 상에 위치하고 제2 화소 개구가 형성된 제2 화소 격벽층, 제2 화소 개구 내에 배치된 발광 구조 블록, 및 상기 제2 화소 격벽층 상에 위치하는 제5 전극층이 배치되고, 상기 제5 전극층은 표면전극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5 전극층의 두께는 상기 제2 전극층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마스크는 상기 제5 전극층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제1 개구, 및 상기 제3 전극층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복수의 제2 개구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장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동일한 제1 전극이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제1 전극 블록에서 인접한 2개의 제1 전극 블록이 대응하는 연결부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 전극 내의 제1 전극 블록은 동일한 화소 회로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상기 제1 전극 내의 하나의 제1 전극 블록만 대응하는 화소 회로 구동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되기에,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내 배선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고, 광선 투과 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내의 복잡한 배선으로 인한 회절 중첩 현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광면에 배치된 카메라의 촬영 화질을 향상시키고, 이미지 왜곡 결함의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동일한 제1 전극 내의 복수의 제1 전극 블록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동일한 전극 내 복수의 제1 전극 블록에 대응하여 배치된 발광 구조 블록들을 동시에 발광하거나 동시에 꺼지도록 제어할 수 있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제어를 간소화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조 과정에 적용하는 경우, 제1 개구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2 표시 영역에 정렬하여, 제1 개구를 통해 제2 표시 영역의 제5 전극층을 제조하고; 제2 개구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표시 영역에 있는 제1 화소 격벽층의 측벽에 정렬하여, 제2 개구를 통해 제1 표시 영역의 제3 전극층을 제조한다. 상기 마스크를 이용함으로써 제2 표시 영역의 제5 전극층 및 제1 표시 영역의 제3 전극층을 동시에 제조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판 상에서 제1 전극층에 의해 형성된 투영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판 상에서제1 전극층에 의해 형성된 투영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판 상에서 제1 전극층에 의해 형성된 투영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판 상에서 제1 전극층에 의해 형성된 투영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판 상에서 제1 전극층에 의해 형성된 투영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선이 도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과하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출원과 일치하는 모든 실시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부 측면과 일치하는 장치의 예시에 불과하다.
휴대폰 및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스마트 전자기기에서는, 전면 카메라, 조도 센서 등의 감광 장치를 집적할 필요가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상기 전자기기에 투명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설치하여 전자기기의 풀스크린 표시를 구현한다.
그러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투과하여 카메라에 수집되는 광선은 품질이 떨어지고, 심지어 이미지 수집 과정에서 이미지 왜곡 결함이 발생한다. 본 발명자의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문제점의 원인은 전자기기의 투명 디스플레이 스크린 내에 배선이 비교적 복잡하여, 외부 광선이 투명 디스플레이 스크린를 통과할 때 복잡한 회절강도 분포가 초래되어 회절 무늬가 발생하므로, 감광 장치의 정상 작동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투명한 표시 영역 아래에 위치한 카메라가 작동하는 경우, 외부 광선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내에 위치한 배선을 통과하면 서로 다른 배선 사이의 경계에서 비교적 현저한 회절이 발생하므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면이 왜곡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상기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마스크를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후술하는 실시예들 및 실시예들에 포함된 특징들은 서로 보완되거나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기판(1), 상기 기판(1) 상에 위치하는 제1 전극층(2), 상기 제1 전극층(2) 상에 위치하는 발광 구조층(3) 및 상기 발광 구조층(3)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층(4)을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전극층(2)은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1 전극 그룹(20)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1 전극 그룹(20)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21)을 포함하며, 동일한 상기 제1 전극 그룹(20) 내의 제1 전극(21)은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한다. 각각의 상기 제1 전극(21)은 적어도 2개의 제1 전극 블록(211) 및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212)를 포함하며, 인접한 2개의 제1 전극 블록(211)은 대응하는 연결부(212)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발광 구조층(3)은 복수의 제1 전극 블록(211) 상에 일대일 대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 구조 블록(31)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동일한 제1 전극(21)이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제1 전극 블록(211)에서 인접한 2개의 제1 전극 블록(211)이 대응하는 연결부(212)를 통해 연결되므로, 상기 제1 전극(21) 내의 제1 전극 블록(211)은 동일한 화소 회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21) 내에 있는 하나의 제1 전극 블록(211)만 대응하는 화소 회로 구동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되기에,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내 배선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고, 광선 투과 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내의 복잡한 배선으로 인한 회절 중첩 현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광면에 배치된 카메라의 촬영 화질을 향상시키고, 이미지 왜곡 결함의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동일한 제1 전극(21) 내에 있는 복수의 제1 전극 블록(211)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동일한 제1 전극(21) 내 복수의 제1 전극 블록(211)에 대응하여 배치된 발광 구조 블록들을 동시에 발광하거나 동시에 꺼지도록 제어할 수 있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제어를 간소화한다.
일 실시예에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1 전극층(2) 상에 배치된 제1 화소 격벽층(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화소 격벽층(5) 상에는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제1 화소 개구가 형성되고, 발광 구조층(3)의 복수의 발광 구조 블록(31)은 복수의 제1 화소 개구 내에 일대일 대응하여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극층(2)은 양극층일 수 있고, 상기 제2 전극층(4)은 음극층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극층(4)은 표면전극, 즉 하나의 연속적인 전극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극 그룹(20)의 제1 전극 블록(211) 및 연결부(212)는 동일한 층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하면, 제1 전극 그룹(20)의 제1 전극 블록(211) 및 연결부(212)는 동일한 공정 단계에서 형성될 수 있어 제조 공정의 복잡성을 줄인다.
또한, 제1 전극 그룹(20)의 제1 전극 블록(211) 및 연결부(212)가 동일한 층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212)는 그 연장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에서의 크기가 3㎛보다 크고, 제1 전극 블록(211)의 최대 크기의 절반보다 작다. 연결부(212)는 그 연장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에서의 크기가 3㎛보다 크게 설정됨으로써, 연결부(212)의 저항을 비교적 작게 할 수 있다. 연결부(212)의 크기가 제1 전극 블록(211)의 최대 크기의 절반보다 작게 설정됨으로써, 연결부(212)의 배치가 제1 전극 블록(211)의 크기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적 적게 하여, 연결부(212)의 과도한 크기로 인한 제1 전극 블록(211)의 크기 감소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유효 발광 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극 그룹(20)의 제1 전극 블록(211) 및 연결부(212)는 상이한 층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하면, 제1 전극 블록(211)의 크기는 연결부(212)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제1 전극 블록(211)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유효 발광 면적을 비교적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12)는 상기 제1 전극 블록(211)과 상기 기판(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7을 참조하면, 제1 전극 블록(211) 아래에는 절연층(6)이 배치되고, 연결부(212)는 절연층(6)과 기판(1)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절연층(6)에서 상기 제1 전극 블록(211) 아래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콘택홀(61)이 형성되고, 상기 콘택홀(61) 내에는 전도성 재료가 충진되어 있고, 상기 제1 전극 블록(211)은 그 아래에 있는 콘택홀(61)내의 전도성 재료를 통해 그와 대응되는 연결부(2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전극 블록(211)의 아래에 위치하는 절연층(6)에 콘택홀(61)을 형성하고, 콘택홀(61)에 전도성 재료를 충진하여 제1 전극 블록(211)이 대응하는 연결부(2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제1 전극 블록(211)과 연결부(212)가 상이한 층에 배치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기판(1) 상에서 상기 제1 전극 블록(211)에 의해 형성된 투영은 하나의 제1 패턴 요소 또는 연결된 복수의 제1 패턴 요소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패턴 요소는 원형, 타원형, 아령형, 조롱박형 또는 직사각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회절에 의한 주기적인 구조, 즉 회절장(Diffraction Field)의 분포를 변경함으로써, 외부 입사광이 통과할 때 발생하는 회절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1 전극 그룹(20)은 하나의 제1 전극(21)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1 전극(21)은 6개의 제1 전극 블록(211)을 포함한다. 기판 상에서 각각의 제1 전극 블록(211)에 의해 형성된 투영은 직사각형으로 구성된 하나의 제1 패턴 요소를 포함한다. 도3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1 전극 그룹(20)은 하나의 제1 전극(21)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1 전극(21)은 3개의 제1 전극 블록(211)을 포함한다. 기판 상에서 각각의 제1 전극 블록(211)에 의해 형성된 투영은 조롱박형으로 구성된 하나의 제1 패턴 요소를 포함한다. 도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1 전극 그룹(20)은 하나의 제1 전극(21)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1 전극(21)은 5개의 제1 전극 블록(211)을 포함한다. 기판 상에서 각각의 제1 전극 블록(211)에 의해 형성된 투영은 원형으로 구성된 하나의 제1 패턴 요소를 포함한다. 도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1 전극 그룹(20)은 2개의 제1 전극(21)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1 전극(21)은 2개의 제1 전극 블록(211)을 포함한다. 기판 상에서 상기 전극 블록(211)에 의해 형성된 투영은 아령형으로 구성된 하나의 제1 패턴 요소를 포함한다. 도6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1 전극 그룹(20)은 2개의 제1 전극(21)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1 전극(21)은 4개의 제1 전극 블록(211)을 포함한다. 기판 상에서 상기 제1 전극 블록(211)에 의해 형성된 투영은 직사각형으로 구성된 하나의 제1 패턴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패턴 요소가 원형, 타원형, 아령형 및 조롱박형으로 구성되기에, 제1 전극(21)은 제1 방향에서의 크기가 연속적으로 변화하거나 또는 간헐적으로 변화하고, 제1 방향에서 인접한 2개의 제1 전극(21)은 제1 방향에서의 간격이 연속적으로 변화하거나 또는 간헐적으로 변화함으로써, 인접한 2개의 제1 전극(21)에 의해 발생되는 회절은 위치가 상이하다. 상이한 위치에서의 회절 효과가 서로 상쇄되어, 회절 효과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아래에 배치된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의 고화질을 확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1 전극 블록(211) 상에 대응하여 배치된 발광 구조 블록(31)에 의해 형성된 기판(1) 상의 투영은 하나의 제2 패턴 요소 또는 연결된 복수의 제2 패턴 요소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패턴 요소는 원형, 타원형, 아령형, 조롱박형 또는 직사각형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패턴 요소는 제1 패턴 요소와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이와 같이, 회절에 의한 주기적인 구조, 즉 회절장의 분포를 변경함으로써, 외부 입사광이 통과할 때 발생하는 회절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전극 블록(211) 상에 대응하여 배치된 발광 구조 블록(31)에 의해 형성된 상기 기판(1) 상의 투영은, 제1 전극 블록(211)에 의해 형성된 상기 기판(1) 상의 투영과 상이하다. 예를 들어, 위치가 완전히 일치하지 않거나, 형상이 다르거나, 크기가 다르다. 따라서 광선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회절 효과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2 방향에 수직되고, 상기 제1 방향은 행 방향 또는 열 방향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전극(21)은 단일 행*복수 열, 또는 단일 열*복수 행, 또는 두 열*복수 행, 또는 두 행*복수 열, 또는 복수 행*복수 열로 배열될 수 있다. 도2 내지 도6은 제1 방향이 열 방향이고, 제2 방향이 행 방향인 경우만을 예로 들어 개략적으로 제시한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방향이 행 방향이고, 제2 방향이 열 방향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2,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 방향에서, 동일한 상기 제1 전극 그룹(20) 내에 있는 복수의 제1 전극 블록(211) 중 인접한 2개의 제1 전극 블록(211)은 어긋나게 배열된다. 이와 같이 배치하면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회절 효과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방향에서, 동일한 상기 제1 전극 그룹(20) 내에 있는 복수의 제1 전극 블록(211) 중 인접한 2개의 제1 전극 블록(211)은 중심축 사이의 상기 제1 방향을 따른 거리가 상기 제1 전극 블록(211)의 상기 제2 방향을 따른 크기의 0.5배 또는 1.5배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접한 2개의 제1 전극 블록(211)은 중심축 사이의 상기 제1 방향을 따른 거리가 전극 블록(211)의 제2 방향을 따른 크기의 1.0배, 0.8배 등일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상기 제1 전극 그룹(20) 내에 있는 복수의 제1 전극 블록(211) 중, 하나의 제1 전극 블록(211)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2개의 제1 전극 블록(211)은 상기 제2 방향의 중심축이 서로 일치한다. 이와 같이 배치하면, 제1 전극 그룹(20) 내에 있는 복수의 제1 전극 블록(211)이 보다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복수의 제1 전극 블록(211) 위에 대응하여 배치된 발광 구조 블록(31)이 보다 규칙적으로 배열됨으로써, 발광 구조 블록(31)의 제조에 사용되는 마스크의 개구가 비교적 규칙적으로 배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과 기존의 불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복합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발광 구조 블록을 증착할 때, 동일한 마스크를 사용하여 동일한 증착 공정에서 제조할 수 있으며, 마스크 상의 패턴이 비교적 균일하기 때문에 인장 주름도 감소된다.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광 투과율을 높이기 위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각 층의 재료는 투명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아래에 배치된 카메라와 같은 감광 장치의 광수집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극층(2) 및/또는 상기 제2 전극층(4)은 모두 투명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층(2) 및/또는 상기 제2 전극층(4)을 구성하는 투명 재료의 광 투과율은 70%이상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투명 재료의 광 투과율은 90%이상, 예를 들어 90%, 95% 등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하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비교적 높은 광 투과율을 갖게 되고,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광 투과율은 그 아래에 배치된 감광 장치의 광수집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층(2) 및/또는 상기 제2 전극층(4)을 제조하기 위한 투명 재료는 인듐 주석 산화물, 인듐 아연 산화물, 은(Ag)으로 도핑된 인듐 주석 산화물 및 은(Ag)으로 도핑된 인듐 아연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높은 광 투과율을 확보하면서 제1 전극층(2) 및/또는 상기 제2 전극층(4)의 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제1 전극층(2) 및/또는 상기 제2 전극층(4)을 제조하기 위한 투명 재료는 은으로 도핑된 인듐 주석 산화물 또는 은으로 도핑된 인듐 아연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내부에는 광 투과가 가능한 복수의 경로가 형성되어 있고, 각 경로가 통과하거나 경과하는 필름층은 서로 다르며, 외부 입사광은 상기 기판(1)의 표면에 수직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입사되며, 필름층의 두께가 소정의 두께, 및/또는 굴절률이 소정의 굴절률로 설정되는 경우, 외부 입사광이 상기 복수의 경로 중 어느 두 경로를 따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통과한 후에 형성된 상기 두 경로의 광경로 차이값은 외부 입사광의 파장의 정수배가 된다.
두 경로의 차이값이 광선의 파장의 정수배이므로, 광선이 두 경로를 통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로부터 방출될 때 그 위상차는 0이다. 동일한 위상의 광선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경과한 후 생기는 위상차는 회절이 발생하는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인데, 동일한 위상의 광선이 두 경로를 거쳐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과한 후에도 위상이 동일하여 위상차가 생기지 않고 위상차로 인한 회절 현상이 해소되므로, 광선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통과한 후에 회절로 인한 이미지 왜곡이 발생하지 않고,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아래에 배치된 카메라가 감지하는 이미지의 선명도가 향상되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뒤에 있는 감광 소자는 선명하고 리얼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내에는 복수의 경로, 예를 들어 3개, 4개, 5개의 경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중 어느 두 경로에 의해 형성되는 광경로의 차이값은 입사광 파장의 정수배이다. 이와 같이, 이러한 경로를 통과한 광선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통과한 후에 생기는 회절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조건을 만족하는 경로가 많을수록 광선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통과한 후에 생기는 회절 현상은 약해진다. 이와 같이, 광선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통과한 후, 위상의 차이로 인한 위상차를 거의 모두 해소할 수 있으므로 회절 현상의 발생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광경로는 광선이 매질에서 전파되는 거리에 매질의 굴절률을 곱한 값과 같고, 광경로는 매질의 굴절률과 광선이 지나가는 길이를 곱한 값과 같다. 외부 입사광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각 필름층을 통과할 때, 상기 광경로의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L=d1*n1+d2*n2+…+di*ni
여기서, L은 광경로이고, i는 외부 입사광이 통과하는 경로의 필름층 개수이며, d1, d2, … di는 외부 입사광이 통과하는 경로의 각 필름층의 두께이고, n1, n2, ... ni는 외부 입사광이 통과하는 경로의 각 필름층의 굴절률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두 경로의 광경로 차이값은 0, 즉 La와 Lb의 차이는 0, 즉 두 경로의 광경로는 0이다. 필름층의 두께 및 굴절률을 조절하여 두 경로의 광경로차가 0이 되도록 하고, 이는 필름층의 두께 및 굴절률을 조절하여 두 경로의 광경로차가 외부 입사광의 파장의 정수배가 되게 하는 것보다 조정하고 실현하기 용이하다.
일 실시예에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2 전극층(4) 상에 배치된 봉지층(7)을 더 포함하며, 봉지층(7)은 리지드 스크린 봉지이거나, 또는 유기 박막 봉지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봉지층이 글라스프릿(Glass Frit) 봉지와 같은 리지드 스크린 봉지인 경우, 봉지층(7)은 진공 갭층(71) 및 봉지 기판(72)을 포함하고, 봉지 기판(72)은 예를 들어 글라스 커버 플레이트이다.
상기 제1 전극 그룹(20)의 제1 전극 블록(211) 및 연결부(212)가 동일한 층에 배치되는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내에는 복수의 경로가 존재한다.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전면 발광 구조 및 배면 발광 구조의 두 가지 방식이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전면 발광 구조인 경우, 카메라는 기판(1) 아래에 배치된다.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배면 발광 구조인 경우, 카메라는 봉지 글라스에서 제2 전극층(4)과 떨어진 측에 배치된다.
이하, 도 8에 도시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각 필름층에 대하여 살펴본다.
기판(1)은 강성 기판, 예를 들어 유리 기판, 석영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과 같은 투명 기판일 수 있다. 또한, 소자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기판(1)은 플렉서블 투명 기판, 예를 들어 PI 박막일 수 있다. 광선이 기판을 수직으로 통과하는 모든 경로에 있어서 기판은 동일하므로, 광선이 기판을 수직으로 통과하는 상이한 경로의 광경로 차이값에 대한 기판(1)의 실질적인 영향은 없다.
도 8에 도시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제1 전극 블록(211)과 연결부(212)는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동일한 공정 단계에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양자의 두께 및 재료는 같을 수 있다. 제1 전극 블록(211)과 연결부(212)는 투명한 전도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인듐 주석 산화물, 인듐 아연 산화물, 은으로 도핑된 인듐 주석 산화물, 또는 은으로 도핑된 인듐 아연 산화물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전극 블록(211)과 연결부(212)의 두께 및 굴절률은 모두 조절될 수 있으며, 두께 또는 굴절률을 조절하거나 두께 및 굴절률을 동시에 조절하여 광선이 경로를 통과하는 광경로를 조절함으로써, 다른 경로와의 광경로 차이값이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도록 한다. 제1 전극 블록(211)과 연결부(212)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20nm 내지 200nm이고, 이 범위 내에서 제1 전극 블록(211)과 연결부(212)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양자가 동일한 공정 단계에서 형성되는 경우, 제1 전극 블록(211)과 연결부(212)의 두께 및 굴절률은 동시에 조절될 수 밖에 없다.
제1 전극 블록(211)과 연결부(212)는 서로 다른 공정 단계에서 형성될 수도 있고, 양자의 재료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의 두께 및 굴절률은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제1 화소 격벽층(5)의 두께는 비교적 두껍고, 조절 가능한 범위는 다소 넓다. 일반적으로 제1 화소 격벽층(5)의 두께는 0.3㎛ 내지 3㎛ 이며, 이 범위 내에서 제1 화소 격벽층(5)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화소 격벽층(5)의 두께를 조절하여 광경로가 상술한 요건을 만족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화소 격벽층(5)의 두께만으로는 요건을 만족하도록 조절할 수 없는 경우, 제1 화소 격벽층(5)의 재료에 대한 조절을 조합하여 굴절률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화소 격벽층(5)의 두께 및 굴절률을 동시에 조절하여 광선이 상기 경로를 통과하는 광경로를 조절할 수도 있다.
발광 구조층(3)은 일반적으로 광추출층, 전자 주입층, 전자 수송층, 정공 차단층, 발광 구조 블록(31), 정공 수송층, 정공 주입층을 포함한다. 발광 구조 블록(31)을 제외한 나머지 층들(광추출층, 전자 주입층, 전자 수송층, 정공 차단층, 정공 수송층, 정공 주입층)은 전면(全面)으로 배치되어 광선이 통과하는 경로의 광경로 차이값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발광 구조층(3)의 발광 구조 블록(31)은 제1 화소 개구 내에 배치되며, 상이한 발광 부화소(subpixel)에 포함된 발광 구조 블록(31)의 재료는 다르며, 적색 발광 재료, 청색 발광 재료 및 녹색 발광 재료를 포함한다. 상이한 발광 부화소에 있어서, 발광 구조 블록의 두께 또는 굴절률을 조절하거나, 발광 구조 블록의 두께 및 굴절률을 동시에 조절하여 광선이 상기 경로를 통과하는 광경로를 조절할 수 있다. 발광 구조 블록(31) 전체의 두께는 비교적 얇고, 따라서 상기 발광 구조 블록(31)의 조절 가능 범위가 비교적 좁기 때문에, 다른 필름층과의 조합을 통해 광경로를 조절할 수 있으며, 단독 조절에 의해 광경로가 상술한 요건을 만족하도록 하는 것을 피한다.
제2 전극층(4)은 전면(全面)으로 배치되므로, 광선이 각 경로를 통과하는 광경로 차이값에 대한 제2 전극층(4)의 실질적인 영향은 없다.
도 8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글라스프릿 봉지(즉, Frit 봉지) 방식을 이용한 리지드 스크린이고, 상기 봉지층(7)은 진공 갭층(71) 및 불활성 가스가 충진된 봉지 기판(72)을 포함하며, 봉지 기판(72)은 봉지 글라스인 것이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투과하는 광선의 경로는 제1 경로(A), 제2 경로(B) 및 제3 경로(C)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경로(A)는 상기 봉지층(7), 상기 제2 전극층(4), 상기 발광 구조층(3), 상기 제1 전극 블록(211) 및 상기 기판(1)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경로(B)는 상기 봉지층(7), 상기 제2 전극층(4), 상기 제1 화소 격벽층(5), 상기 연결부(212) 및 상기 기판(1)을 포함한다.
상기 제3 경로(C)는 상기 봉지층(7), 상기 제2 전극층(4), 상기 제1 화소 격벽층(5) 및 상기 기판(1)을 포함한다.
여기서, A 경로의 진공 갭층(71)의 두께는 다른 경로의 진공 갭층(71)의 두께보다 크다.
A 경로를 통과하는 광선의 광경로는 LA이고, B 경로를 통과하는 광선의 광경로는 LB이며, C 경로를 통과하는 광선의 광경로는 LC이다. 상술한 하나 이상의 필름층의 두께 또는 굴절률을 조절하여, LA, LB 및 LC 중 어느 2개의 차이값 중 하나 이상이 파장의 정수배가 되도록 한다.
여기서 LA, LB, LC를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LA-LB = X1·λ; X1은 정수이다.
또는 LB-LC = X2·λ; X2는 정수이다.
물론, LA-LB = X1·λ 및 LB-LC = X2·λ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다. 여기서, X1 및 X2는 양의 정수, 음의 정수 또는 0일 수 있는 정수이다. 따라서, A 경로, B 경로, C 경로 사이의 광경로 차이값은 모두 광선 파장의 정수배인 것을 만족할 수 있다. 즉, 광선이 A 경로, B 경로, C 경로의 세 경로를 통과한 후, 입사광과 출사광의 위상이 동일하여 회절 현상의 발생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상이한 경로의 광경로인 LA, LB, LC는 각 필름층의 두께 및 굴절률을 측정하여 각 경로의 광경로를 계산할 수 있다.
경로 내의 각 필름층을 조절하여 상술한 광경로 차이값의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층 중에서 광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필름층들을 확정할 필요가 있다. 각 경로에 있어서 통과하는 필름층은 많지만, 광경로 차이값을 계산할 때, 경로에 동일한 필름층이 존재하고 필름층의 재료 및 두께가 모두 동일하면, 두 경로의 광경로 차이값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이한 재료로 구성된 필름층, 또는 동일한 재료지만 두께가 상이한 필름층만이 광경로 차이값에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A 경로, B 경로 및 C 경로의 경우, A 경로는 발광 구조층(3)을 포함하고, B 경로 및 C 경로는 발광 구조층(3)을 포함하지 않는다. 발광 구조층(3)의 두께 및/또는 굴절률을 조절하여 A 경로와 B 경로 또는 C 경로 사이의 광경로 차이값을 조절할 수 있다.
A 경로와 B 경로의 경우, 기판(1), 봉지 기판(72), 제2 전극층(4)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며 두께가 같아서, 고려할 필요가 없다. 연결부(212)와 제1 전극 블록(211)이 동일한 공정 단계에서 형성되는 경우, 양자의 두께는 같으므로 고려할 필요가 없다. A 경로와 B 경로에 있어서, 구분되는 층은 진공 갭층(71)(A 경로와 B 경로에 모두 존재하지만 두께가 다름), 제1 화소 격벽층(5)(B 경로에 존재함) 및 발광 구조층(3)(A 경로에 존재함)이며, A 경로와 B 경로에서 진공 갭층(71)과 제1 화소 격벽층(5)의 두께의 합이 동일하므로, 제1 화소 격벽층(5)의 두께를 조절하면 A 경로와 B 경로에서 진공 갭층(71)의 두께 차이도 조절된다. 보다시피, A 경로와 B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필름층은 제1 화소 격벽층(5) 및 발광 구조층(3)이다. 제1 화소 격벽층(5)의 두께 및/또는 굴절률을 조절하여, 상기 A 경로와 B 경로의 광경로 차이값이 파장의 정수배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A 경로와 B 경로에 있어서, A 경로의 발광 구조층(3)의 두께를 조절하여 경로의 광경로를 더 조절할 수도 있다.
B 경로와 C 경로의 경우, 기판(1), 봉지 기판(72), 제2 전극층(4)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며 두께가 같아서, 고려할 필요가 없다. 두 경로의 주요 차이점은, B 경로가 연결부(212)를 포함하고, C 경로의 제1 화소 격벽층(5)과 B 경로의 제1 화소 격벽층(5)의 두께가 다르다는 것이다. 따라서, 연결부(212)의 두께 또는 굴절률을 조절하여 B 경로와 C 경로의 광경로 차이값이 파장의 정수배가 되도록 한다. 또는, 제1 화소 격벽층(5)의 두께 및/또는 굴절률을 조절하여, B 경로와 C 경로를 통과한 상기 외부 입사광의 광경로 차이값이 상기 외부 입사광의 파장의 정수배가 되도록 할 수 있다.
A 경로와 C 경로의 경우, 기판(1), 봉지 기판(72), 제2 전극층(4)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며 두께가 같아서, 고려할 필요가 없다. 두 경로의 주요 차이점은, A 경로가 제1 전극 블록(211) 및 발광 구조층(3)을 포함하고, C 경로가 제1 화소 격벽층(5)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1 전극 블록(211)의 두께 및/또는 굴절률을 조절하여 A 경로와 C 경로의 광경로 차이값이 파장의 정수배가 되도록 한다. 또는, 제1 화소 격벽층(5)의 두께 및/또는 굴절률을 조절하여, A 경로와 C 경로를 통과한 상기 외부 입사광의 광경로 차이값이 상기 외부 입사광의 파장의 정수배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1 전극 블록(211)의 두께 및/또는 굴절률과 제1 화소 격벽층(5)의 두께 및/또는 굴절률을 동시에 조절하여, A 경로와 C 경로를 통과한 상기 외부 입사광의 광경로 차이값이 상기 외부 입사광의 파장의 정수배가 되도록 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플렉서블 패널인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2 전극층(4) 상에 박막 봉지층을 형성하는 박막 봉지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기판(1)은 플렉서블 기판일 수 있으며, 플렉서블 기판의 재료는 PEN(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I(폴리이미드), PES(폴리에테르술폰), PC(폴리카보네이트), PEI(폴리에테르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박막 봉지층은 무기물 봉지층과 유기물 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물 봉지층은 전면에 걸쳐 배치되고 두께가 균일하기 때문에 각 경로의 광경로 차이값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유기물 봉지층은 제1 화소 개구를 채우고, 제1 화소 개구를 채운 후 전면을 걸친 봉지층을 형성한다. 따라서, 유기물 봉지층의 두께는 상이한 경로에 따라 다르므로, 상기 유기물 봉지층에서 상기 제1 화소 개구 내에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를 조절하거나 상기 유기물 봉지층의 굴절률을 조절하여, 상기 경로를 통과하는 광선의 광경로에 대한 조절을 실현할 수 있다. 또는, 유기물 봉지층의 두께 및 굴절률을 동시에 조절하거나 다른 방식을 조합하여 함께 조절할 수 있다. A 경로의 유기물 봉지층의 두께는 다른 경로의 유기물 봉지층의 두께보다 크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AMOLED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으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기판(1)과 제1 전극층(2) 사이에 배치된 구동 회로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 회로층에는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화소 회로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화소 회로는 하나 이상의 스위칭 소자 및 커패시터 등 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T1C 회로, 3T1C 회로, 3T2C 회로, 7T1C 회로, 또는 7T2C 회로와 같은 화소 회로인 것이다.
상기 스위칭 소자는 박막 트랜지스터 TFT일 수 있고, 박막 트랜지스터는 산화물 박막 트랜지스터, 또는 저온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LTPS TFT), 또는 이그조(IGZO, 인듐/갈륨/아연/산소) 박막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또는, 스위칭 소자는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FET, Metal-Oxide-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일 수도 있으며,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 등과 같은 종래 기술에서 스위칭 특성을 갖는 다른 소자일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스위칭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에 집적될 수 있는 전자 소자라면 모두 본 출원의 보호범위 내에 속한다.
또한, 화소 구동 회로는 다양한 소자를 포함하므로, 소스, 드레인, 게이트, 게이트 절연층, 액티브층, 층간 절연층 등을 포함하는 다층의 필름층 구조를 형성하고, 각각의 필름층은 패터닝된 필름층 구조를 형성한다. 상이한 경로에서 광선이 통과하는 경로는 다르므로, 상기 구동 회로층의 각 필름층의 두께 또는 굴절률을 조절하여 광선이 통과하는 경로의 광경로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극 그룹(20)은 2개의 제1 전극(21)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상기 제1 전극(21)은 하나의 화소 회로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배치하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2개의 표시 영역으로 분할되고, 각 표시 영역의 밝기는 그 표시 영역의 제1 전극(21)에 대응하는 화소 회로를 통해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으므로, 조절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극 그룹(20)은 하나의 제1 전극(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전극(21)의 구동 방식은 PM(수동) 구동 또는 AM(능동) 구동일 수 있다. 제1 전극(21)의 구동 방식이 AM 구동인 경우, 상기 제1 전극(21)은 상기 제1 전극(21)의 일단에 연결된 하나의 화소 회로와 대응되거나, 상기 제1 전극(21)의 양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2개의 화소 회로와 대응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전극(21)이 2개의 화소 회로와 대응하는 경우, 데이터 신호는 제1 전극(21)의 양단을 통해 유입될 수 있으므로, 신호의 지연을 보다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화소 격벽층(5)의 제1 화소 개구(501)의 측벽은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된다(즉, 제1 화소 개구(501)의 측벽과 제1 화소 개구의 저부의 협각은 둔각이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3 전극층(8)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전극층(8)은 적어도 상기 제1 화소 개구(501)의 측벽에 배치되며, 상기 제3 전극층(8)은 상기 제2 전극층(4)과 직접 접촉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전극층(8)은 상기 제2 전극층(4)과 직접 접촉하도록 상기 제2 전극층(4)의 상면 또는 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도9는 제3 전극층(8)이 제2 전극층(4)의 상면에 위치하는 경우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제3 전극층(8)이 제2 전극층(4)의 하면에 위치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전극층(4)은 전면을 걸쳐 배치되므로, 얇고 일함수(work function)가 낮은 재료(예: MgAg)를 사용하여 제2 전극층(4)을 형성하는 경우, 제2 전극층(4)에서 제1 화소 개구(501)의 측벽에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기 때문에, 제2 전극층(4)에서 제1 화소 개구(501)의 측벽에 위치하는 부분의 저항이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사용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제2 전극층(4)에서 이 부분은 열화되고, 심한 경우 제2 전극층(4)에서 이 부분이 파손되며, 따라서 제1 화소 개구(501) 내의 발광 구조 블록(31)이 정상적으로 발광할 수 없게 된다. 제1 화소 개구(501)의 측벽에 제2 전극층(4)과 직접 접촉하는 제3 전극층(8)을 배치함으로써, 제1 화소 개구(501)의 측벽에 위치하는 금속층의 두께를 증가시켜, 제1 화소 개구(501)의 측벽에 위치하는 제2 전극층(4)의 얇은 두께로 인하여 제2 전극층(4)의 이 부분의 저항이 상대적으로 높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제1 화소 개구(501)의 측벽에 위치하는 제2 전극층(4)이 파손되더라도, 제3 전극층(8)이 오버랩(overlap) 역할을 할 수 있기에, 제3 전극층(8)을 통해 전류가 흐를 수 있어 제1 화소 개구(501) 내의 발광 구조 블록(31)의 정상적인 발광을 확보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전극층(8)을 형성할 때 마스크를 이용하여 증착하며, 증착된 제3 전극층(8)이 제1 화소 개구의 측벽에 형성되도록 증착용 개구는 제1 화소 개구(501)의 측벽에 정렬된다. 하지만 마스크의 증착용 개구의 정렬 오차를 고려하여, 제3 전극층(8)의 증착에 사용되는 마스크는 일반적으로 수평 방향의 개구 크기를 약간 크게 설정하며, 측벽에 형성되는 제3 전극층의 수평 방향의 최대 간격보다 크게 함으로써, 제3 전극층(8)의 증착 시 마스크의 개구 정렬에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제1 화소 개구(501)의 측벽에 제3 전극층(8)이 형성되도록 확보할 수 있다.
마스크의 증착용 개구의 수평 방향 크기가 측벽에 형성되는 제3 전극층(8)의 수평 방향의 최대 간격보다 크면, 증착에 의해 형성되는 제3 전극층(8)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경우가 있다.
첫번째 경우로서, 상기 제3 전극층(8)은 상기 제1 화소 개구(501)의 측벽에 배치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화소 개구(501)의 측벽과 인접한 상기 제1 화소 격벽층(5)의 상단 가장자리에까지 연장되어 배치된다.
두번째 경우로서, 상기 제3 전극층(8)은 상기 제1 화소 개구(501)의 측벽에 배치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화소 개구(501)의 저부에까지 연장되어 배치된다.
세번째 경우로서, 상기 제3 전극층(8)은 상기 제1 화소 개구(501)의 측벽에 배치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화소 개구(501)의 저부, 및 상기 제1 화소 개구(501)의 측벽과 인접한 상기 제1 화소 격벽층(5)의 상단 가장자리에까지 연장되어 배치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더 제공한다.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광 투과율은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광 투과율보다 크고, 상기 제1 표시 영역 아래에는 감광 장치가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표시 영역에는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위치하고 제1 화소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1 화소 격벽층, 상기 제1 화소 개구 내에 배치된 발광 구조 블록, 및 제2 전극층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전극층은 표면전극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전극층은 상기 제1 화소 격벽층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화소 개구의 측벽에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 표시 영역에는 제3 전극층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3 전극층은 적어도 상기 제1 화소 개구의 측벽에 배치되며, 상기 제3 전극층은 상기 제2 전극층과 직접 접촉한다.
제1 화소 개구의 측벽에 제2 전극층과 직접 접촉하는 제3 전극층을 배치함으로써, 제1 화소 개구의 측벽에 위치하는 금속층의 두께를 증가시켜, 제1 화소 개구의 측벽에 위치하는 제2 전극층의 얇은 두께로 인하여 제2 전극층의 이 부분의 저항이 상대적으로 높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제1 화소 개구의 측벽에 위치하는 제2 전극층이 파손되더라도, 제3 전극층이 오버랩(overlap) 역할을 할 수 있기에, 제3 전극층을 통해 전류가 흐를 수 있어 제1 화소 개구 내의 발광 구조 블록의 정상적인 발광을 확보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3 전극층은 상기 제2 전극층의 상면 또는 하면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3 전극층은 상기 제1 화소 개구의 측벽과 인접한 상기 제1 화소 격벽층의 상단 가장자리에까지 연장되어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3 전극층은 상기 제1 화소 개구의 저부에까지 연장되어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표시 영역에는 제4 전극층, 상기 제4 전극층 상에 위치하고 제2 화소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2 화소 격벽층, 제2 화소 개구 내에 배치된 발광 구조 블록, 및 상기 제2 화소 격벽층 상에 위치하는 제5 전극층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5 전극층은 표면전극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5 전극층의 두께는 상기 제2 전극층의 두께보다 크다. 이와 같이 배치하면, 제1 표시 영역의 보다 높은 광 투과율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제1 표시 영역 아래에 배치된 감광 장치는 더 많은 광선을 수광할 수 있다.
제2 전극층을 구성하는 재료는 인듐 주석 산화물, 인듐 아연 산화물, Mg 및 Ag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전극층의 재료는 Mg 및 Ag를 포함하며, Mg의 질량과 Ag의 질량의 비율은 1:4 내지 1:20일 수 있다.
제1 화소 격벽층 및 제2 화소 격벽층은 동일한 필름층 구조일 수 있으며, 제1 표시 영역의 발광 구조 블록 및 제2 표시 영역의 발광 구조 블록은 동일한 공정 단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표시 영역은 투명한 표시 영역일 수 있으며, 제1 표시 영역 내에 배치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는 상술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실시예를 참조하고 여기서는 생략하며,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광 투과율은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광 투과율보다 크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조 공정에 사용하기 위한 마스크를 더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광 투과율은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광 투과율보다 크고, 상기 제1 표시 영역 아래에는 감광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영역에는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위치하고 복수의 제1 화소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1 화소 격벽층, 상기 제1 화소 개구 내에 배치된 발광 구조 블록, 제2 전극층, 및 제3 전극층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 전극층은 표면전극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전극층은 상기 제1 화소 격벽층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화소 개구의 측벽에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3 전극층은 적어도 상기 제1 화소 개구의 측벽에 배치되며, 상기 제3 전극층은 상기 제2 전극층과 직접 접촉한다. 상기 제2 표시 영역에는 제4 전극층, 상기 제4 전극층 상에 위치하고 제2 화소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2 화소 격벽층, 제2 화소 개구 내에 배치된 발광 구조 블록, 및 상기 제2 화소 격벽층 상에 위치하는 제5 전극층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5 전극층은 표면전극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5 전극층의 두께는 상기 제2 전극층의 두께보다 크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마스크(300)는 상기 제5 전극층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제1 개구(301), 및 상기 제3 전극층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제2 개구(30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개구(301)의 형상은 제2 표시 영역의 형상과 일치하고, 제2 개구(302)의 크기는 제1 개구(301)의 크기보다 훨씬 작다.
상술한 마스크(300)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조 과정에 적용하는 경우, 제1 개구(301)를 제2 표시 영역에 정렬하여, 제1 개구(301)를 통해 제2 표시 영역의 제5 전극층을 제조하고; 제2 개구(302)를 제1 표시 영역에 있는 제1 화소 격벽층의 측벽에 정렬하여, 제2 개구(302)를 통해 제1 표시 영역의 제3 전극층을 제조한다. 상술한 마스크(300)를 이용함으로써 제2 표시 영역의 제5 전극층 및 제1 표시 영역의 제3 전극층을 동시에 제조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더 제공한다. 도11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은 제1 표시 영역(201) 및 제2 표시 영역(202)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표시 영역(201)에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배치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201)의 광 투과율은 상기 제2 표시 영역(202)의 광 투과율보다 크고, 상기 제1 표시 영역(201) 아래에 감광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의 제1 표시 영역(201) 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일 수 있으므로, 제1 표시 영역(201) 내 배선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고, 광선 투과 시 제1 표시 영역(201) 내의 복잡한 배선으로 인한 회절 중첩 현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표시 영역(201)의 배광면에 배치된 카메라의 촬영 화질을 향상시키고, 이미지 왜곡 결함의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동일한 제1 전극(21) 내의 복수의 제1 전극 블록(211)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동일한 제1 전극(21)에 있는 복수의 제1 전극 블록(211)에 대응하여 배치된 발광 구조 블록들을 동시에 발광하거나 동시에 꺼지도록 제어할 수 있어, 제1 표시 영역(201)에 대한 제어를 간소화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은 상기 제1 표시 영역(201)과 상기 제2 표시 영역(202)에 인접한 과도 표시 영역(20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201)의 적어도 일부는 과도 표시 영역(203)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상기 과도 표시 영역(203)에는 상기 제1 표시 영역(201)의 상기 제1 전극(21)에 대응하는 화소 회로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치하면, 제1 표시 영역(201)의 필름층 구조의 복잡성 및 배선의 복잡성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으며, 광선이 투과할 때 발생하는 회절 중첩 현상을 개선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표시 영역(201)의 배광면에 배치된 카메라의 촬영 화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표시 영역(202) 및 상기 과도 표시 영역(203) 내에는 제4 전극층, 제4 전극층 상에 위치하는 발광 구조층, 및 발광 구조층 상에 위치하는 제5 전극층이 배치되어 있고, 제5 전극층은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제5 전극 블록을 포함하며, 제5 전극 블록의 배열 방식은 제1 표시 영역(201) 내 제1 전극 블록의 배열 방식과 동일할 수 있고, 따라서 제1 표시 영역(201), 제2 표시 영역(202) 및 과도 표시 영역(203)의 표시 효과는 더욱 균일하게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과도 표시 영역(203) 내의 부화소의 밀도는 상기 제2 표시 영역(202) 내의 부화소의 밀도보다 작고, 상기 제1 표시 영역(201) 내의 부화소의 밀도보다 크다. 이와 같이 배치하면,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이 표시될 때, 과도 표시 영역(203)의 밝기는 제1 표시 영역(201)과 제2 표시 영역(202) 사이에 있어, 제1 표시 영역(201)과 제2 표시 영역(202)이 인접하는 경우의 큰 밝기 차이로 인해 경계선이 선명한 문제점을 방지하여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과도 표시 영역(203) 내 인접한 부화소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표시 영역(201) 내 인접한 부화소 사이의 간격보다 작고, 및/또는 상기 과도 표시 영역(203) 내 부화소의 크기는 상기 제1 표시 영역(201) 내 부화소의 크기보다 작다. 이러한 두 가지 방법을 통해, 과도 표시 영역(203) 내에 있는 부화소의 밀도를 제1 표시 영역(201) 내에 있는 부화소의 밀도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장치 본체, 및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제공한다. 장치 본체에는 부품 영역을 구비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장치 본체를 덮는다. 여기서, 상기 부품 영역은 제1 표시 영역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부품 영역에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을 투과하여 광선을 수집하는 감광 장치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감광 장치는 카메라 및/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부품 영역에는 감광 장치 뿐만 아니라, 자이로스코프 또는 이어 피스 등과 같은 다른 장치도 더 배치될 수 있다. 부품 영역은 슬롯 영역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표시 영역은 감광 장치가 상기 제1 표시 영역을 투과하여 광선을 방출하거나 수집할 수 있도록 슬롯 영역에 대응하여 본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제1 표시 영역이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이므로, 제1 표시 영역 내 배선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고, 광선 투과 시 제1 표시 영역 내의 복잡한 배선으로 인한 회절 중첩 현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배광면에 배치된 카메라의 촬영 화질을 향상시키고, 이미지 왜곡 결함의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동일한 제1 전극 내의 복수의 제1 전극 블록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동일한 제1 전극에 있는 복수의 제1 전극 블록에 대응하여 배치된 발광 구조 블록들을 동시에 발광하거나 동시에 꺼지도록 제어할 수 있어, 제1 표시 영역에 대한 제어를 간소화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폰, 태블릿, 팜탑 컴퓨터, 아이팟 등과 같은 디지털 장치일 수 있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의 크기는 도시의 명확성을 위해 과장되었울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구성 요소 또는 층이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 "상"에 있는 것으로 지칭되는 경우, 다른 구성 요소 상에 직접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중간 층이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구성 요소 또는 층이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 "아래"에 있는 것으로 지칭되는 경우, 다른 구성 요소 아래에 직접 있을 수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중간 층 또는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층 또는 구성 요소가 두 층 또는 2개의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것으로 지칭되는 경우, 두 층 또는 2개의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유일한 층일 수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중간 층 또는 구성 요소가 더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유사한 부호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설명의 목적으로 사용되며, 상대적인 중요성을 나타내거나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용어 "복수"는 2개 또는 2개 이상을 의미한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 및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에 대한 실행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용이하게 얻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모든 변형, 용도 또는 적용성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속하고,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용성 변경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를 따르며, 본 발명에서 개시되지 않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 또는 관용적인 수단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와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와 사상은 첨부되는 청구 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 및 도면에 도시된 정확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20)

  1.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위치하는 발광 구조층; 및 상기 발광 구조층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전극층은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1 전극 그룹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1 전극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을 포함하며, 동일한 상기 제1 전극 그룹 내의 제1 전극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각각의 상기 제1 전극은 적어도 두 개의 제1 전극 블록 및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를 포함하며, 인접한 두 개의 제1 전극 블록은 대응하는 연결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2 방향에 수직되며, 상기 제1 방향은 행 방향 또는 열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에서, 동일한 상기 제1 전극 그룹 내에 있는 복수의 제1 전극 블록 중 인접한 2개의 제1 전극 블록은 어긋나게 배열되고;
    동일한 상기 제1 전극 그룹 내에 있는 복수의 제1 전극 블록 중, 하나의 제1 전극 블록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2개의 제1 전극 블록의 상기 제2 방향을 따른 중심축은 서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그룹의 제1 전극 블록 및 연결부는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는 그 연장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에서의 크기가 3㎛보다 크고, 상기 제1 전극 블록의 최대 크기의 절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제1 전극 블록에 의해 형성된 투영은 하나의 제1 패턴 요소 또는 연결된 복수의 제1 패턴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 요소는 원형, 타원형, 아령형, 조롱박형 또는 직사각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내부에는 광 투과가 가능한 복수의 경로가 있고, 각 경로가 통과하는 필름층은 서로 다르며, 외부 입사광은 상기 기판의 표면에 수직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로 입사되며,
    필름층의 두께가 소정의 두께로 설정되거나, 굴절률이 소정의 굴절률로 설정되는 경우, 외부 입사광이 상기 복수의 경로 중 어느 두 경로를 따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과한 후에 생기는 두 경로의 광경로 차이값은 외부 입사광의 파장의 정수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에 배치된 제1 화소 격벽층, 및 상기 제2 전극층 상에 위치하는 봉지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 격벽층에는 복수의 제1 화소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발광 구조층은 복수의 상기 제1 화소 개구 내에 일대일 대응하여 배치된 복수의 발광 구조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그룹의 제1 전극 블록 및 연결부는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상기 경로는 제1 경로, 제2 경로 및 제3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경로는 상기 봉지층, 상기 제2 전극층, 상기 발광 구조층,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기판을 통과하며;
    상기 제2 경로는 상기 봉지층, 상기 제2 전극층, 상기 제1 화소 격벽층, 상기 연결부 및 상기 기판을 통과하며;
    상기 제3 경로는 상기 봉지층, 상기 제2 전극층, 상기 제1 화소 격벽층 및 상기 기판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에 배치된 제1 화소 격벽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 격벽층에는 복수의 제1 화소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발광 구조층은 복수의 상기 제1 화소 개구 내에 일대일 대응하여 배치된 복수의 발광 구조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3 전극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전극층은 적어도 상기 제1 화소 개구의 측벽에 배치되며, 상기 제3 전극층은 상기 제2 전극층과 직접 접촉하고;
    상기 제3 전극층은 상기 제2 전극층의 상면 또는 하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극층은 상기 제1 화소 개구의 측벽과 인접한 상기 제1 화소 격벽층의 상단 가장자리에까지 연장되어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3 전극층은 상기 제1 화소 개구의 저부에까지 연장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10.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서,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표시 영역에는 제1항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이 배치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광 투과율은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광 투과율보다 크고, 상기 제1 표시 영역 아래에 감광 장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인접한 과도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과도 표시 영역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상기 과도 표시 영역에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전극에 대응하는 화소 회로가 배치되고;
    상기 과도 표시 영역 내의 부화소의 밀도는 상기 제2 표시 영역 내의 부화소의 밀도보다 작고, 상기 제1 표시 영역 내의 부화소의 밀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 상에는 제1 화소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1 화소 격벽층이 배치되고; 상기 제1 화소 개구 내에는 발광 구조 블록이 배치되고; 상기 제2 전극층은 표면전극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전극층은 상기 제1 화소 격벽층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화소 개구의 측벽에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에는 제3 전극층이 더 배치되고, 상기 제3 전극층은 적어도 상기 제1 화소 개구의 측벽에 배치되며, 상기 제3 전극층은 상기 제2 전극층과 직접 접촉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에는 제4 전극층, 상기 제4 전극층 상에 위치하고 제2 화소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2 화소 격벽층, 제2 화소 개구 내에 배치된 발광 구조 블록, 및 상기 제2 화소 격벽층 상에 위치하는 제5 전극층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5 전극층은 표면전극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5 전극층의 두께는 상기 제2 전극층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13. 제10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조 공정에 사용하기 위한 마스크로서,
    상기 제1 전극층 상에는 제1 화소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1 화소 격벽층이 배치되고; 상기 제1 화소 개구 내에는 발광 구조 블록이 배치되고; 상기 제2 전극층은 표면전극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전극층은 상기 제1 화소 격벽층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화소 개구의 측벽에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에는 제3 전극층이 더 배치되고, 상기 제3 전극층은 적어도 상기 제1 화소 개구의 측벽에 배치되며, 상기 제3 전극층은 상기 제2 전극층과 직접 접촉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에는 제4 전극층, 상기 제4 전극층 상에 위치하고 제2 화소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2 화소 격벽층, 제2 화소 개구 내에 배치된 발광 구조 블록, 및 상기 제2 화소 격벽층 상에 위치하는 제5 전극층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5 전극층은 표면전극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5 전극층의 두께는 상기 제2 전극층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마스크는 상기 제5 전극층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제1 개구, 및 상기 제3 전극층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제2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217017575A 2019-03-29 2019-09-25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마스크 KR1025493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252177.3 2019-03-29
CN201910252177.3A CN110767835B (zh) 2019-03-29 2019-03-29 透明显示面板、显示屏、显示装置及掩膜板
PCT/CN2019/107919 WO2020199537A1 (zh) 2019-03-29 2019-09-25 透明显示面板、显示屏及掩膜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561A KR20210078561A (ko) 2021-06-28
KR102549362B1 true KR102549362B1 (ko) 2023-06-29

Family

ID=69328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7575A KR102549362B1 (ko) 2019-03-29 2019-09-25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마스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95859B2 (ko)
EP (1) EP3872885A4 (ko)
JP (1) JP7297067B2 (ko)
KR (1) KR102549362B1 (ko)
CN (1) CN110767835B (ko)
WO (1) WO20201995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0033B2 (en) 2015-10-26 2019-04-23 Oti Lumionics Inc. Method for patterning a coating on a surface and device including a patterned coating
KR20230117645A (ko) 2017-04-26 2023-08-08 오티아이 루미오닉스 인크. 표면의 코팅을 패턴화하는 방법 및 패턴화된 코팅을포함하는 장치
CN110832660B (zh) 2017-05-17 2023-07-28 Oti照明公司 在图案化涂层上选择性沉积传导性涂层的方法和包括传导性涂层的装置
US11751415B2 (en) 2018-02-02 2023-09-05 Oti Lumionics Inc. Materials for forming a nucleation-inhibiting coating and devices incorporating same
WO2019215591A1 (en) 2018-05-07 2019-11-14 Oti Lumionics Inc. Method for providing an auxiliary electrode and device including an auxiliary electrode
CN109860239B (zh) * 2018-12-13 2021-03-1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20210149058A (ko) 2019-03-07 2021-12-08 오티아이 루미오닉스 인크. 핵생성 억제 코팅물 형성용 재료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CN109962096B (zh) * 2019-04-15 2021-02-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背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US11832473B2 (en) 2019-06-26 2023-11-28 Oti Lumionics Inc. Optoelectronic device including light transmissive regions, with light diffraction characteristics
CN114097102B (zh) 2019-06-26 2023-11-03 Oti照明公司 包括具有光衍射特征的光透射区域的光电设备
CN112349748A (zh) * 2019-08-09 2021-02-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屏幕及终端
CN114342068A (zh) 2019-08-09 2022-04-12 Oti照明公司 包含辅助电极和分区的光电子装置
CN111834538B (zh) * 2020-02-26 2021-07-06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和显示面板的制造方法
CN111834400B (zh) * 2020-02-26 2021-10-12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CN111415962B (zh) * 2020-03-30 2022-11-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背板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CN111833754B (zh) * 2020-04-27 2021-10-22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WO2021249015A1 (zh) * 2020-06-08 2021-12-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装置及电子设备
CN111834430B (zh) * 2020-07-09 2022-03-08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5224091A (zh) * 2020-08-28 2022-10-21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2258987B (zh) * 2020-10-23 2022-06-21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透光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30116914A (ko) 2020-12-07 2023-08-04 오티아이 루미오닉스 인크. 핵 생성 억제 코팅 및 하부 금속 코팅을 사용한 전도성 증착 층의 패턴화
KR20230026598A (ko) * 2021-08-17 2023-0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0797A (ja) 2009-03-26 2010-10-14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WO2020052192A1 (zh) * 2018-09-14 2020-03-19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屏和显示终端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7081A (ja) 2000-02-02 2001-08-10 Sharp Corp 有機発光表示装置
JP2001313182A (ja) 2000-05-01 2001-11-09 Toyota Motor Corp 有機el表示装置
JP2002299607A (ja) 2001-03-28 2002-10-11 Toshiba Corp Mis型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及びこれの製造方法
JP2002299067A (ja) * 2001-04-03 2002-10-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照光装置
US7554067B2 (en) 2001-05-07 2009-06-30 Panavision Imaging Llc Scanning imager employing multiple chips with staggered pixels
JP4961152B2 (ja) 2006-03-15 2012-06-27 株式会社リコー 光学素子と光偏向素子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8108530A (ja) 2006-10-25 2008-05-08 Hitachi Displays Ltd 有機el表示装置
FR2909223B1 (fr) * 2006-11-24 2009-04-10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Electrode de dispositif emissif lumineux de type oled
KR100864882B1 (ko) * 2006-12-28 2008-10-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5608320B2 (ja) 2008-07-09 2014-10-1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el表示装置
KR101818776B1 (ko) 2009-09-14 2018-01-15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올레드 표시 패널 장치 및 표시 패널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084245B1 (ko) * 2010-01-04 2011-11-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
JP2012033307A (ja) 2010-07-29 2012-02-16 Dainippon Printing Co Ltd 有機el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809866B (zh) * 2012-08-13 2015-12-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液晶透镜及制作方法、显示装置
US8883531B2 (en) * 2012-08-28 2014-11-11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157866B2 (ja) 2013-02-04 2017-07-05 株式会社東芝 有機電界発光素子、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KR20140125182A (ko) * 2013-04-18 2014-10-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컵
KR102173041B1 (ko) * 2013-05-23 2020-1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6487173B2 (ja) 2014-10-08 2019-03-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50029B1 (ko) * 2015-02-17 2022-01-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신축성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6500082B2 (ja) 2015-03-09 2019-04-1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発光装置
WO2017131143A1 (ja) 2016-01-27 2017-08-0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発光装置
KR101919554B1 (ko) * 2016-04-28 2018-1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9315049B (zh) * 2016-05-11 2021-10-08 株式会社日本有机雷特显示器 显示装置和电子设备
WO2017208660A1 (ja) * 2016-05-30 2017-12-07 株式会社Joled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7123743B (zh) * 2017-05-26 2019-02-12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有机发光器件及其制作方法、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7768545B (zh) 2017-09-28 2020-09-1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显示面板及显示装置
WO2019062187A1 (zh) * 2017-09-30 2019-04-04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屏以及电子设备
CN207947007U (zh) * 2017-09-30 2018-10-09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屏及显示装置
CN108269840B (zh) * 2017-09-30 2021-08-13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屏及显示装置
WO2019062221A1 (zh) 2017-09-30 2019-04-04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屏及显示装置
CN208507679U (zh) 2018-06-29 2019-02-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显示装置及高精度金属掩模板
CN108873502B (zh) * 2018-07-16 2021-04-09 惠科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器件及其制备方法
CN208622781U (zh) * 2018-08-06 2019-03-19 昆山维信诺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屏及显示终端
CN208622778U (zh) * 2018-08-06 2019-03-19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屏及显示终端
CN109273512A (zh) 2018-10-17 2019-01-2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双面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CN111128066B (zh) 2018-10-31 2024-01-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屏幕、屏幕结构及其控制方法、装置和终端
CN109192076B (zh) 2018-11-02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0797A (ja) 2009-03-26 2010-10-14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WO2020052192A1 (zh) * 2018-09-14 2020-03-19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屏和显示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767835B (zh) 2021-01-26
JP7297067B2 (ja) 2023-06-23
US11895859B2 (en) 2024-02-06
CN110767835A (zh) 2020-02-07
EP3872885A1 (en) 2021-09-01
US20210249624A1 (en) 2021-08-12
JP2022512355A (ja) 2022-02-03
WO2020199537A1 (zh) 2020-10-08
EP3872885A4 (en) 2021-12-22
KR20210078561A (ko) 202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9362B1 (ko)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마스크
US11362146B2 (en) Display panel, display screen, and display terminal with plurality of film layer and multiple optical lengths
US11322726B2 (en) Display panel, display screen, and display terminal with multiple light paths and compensation layer in groove
CN110767714B (zh) 透明阵列基板、透明显示面板、显示面板及显示终端
US11968873B2 (en)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JP7011149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047846A (zh) 显示面板、显示面板的制作方法和智能设备
WO2016145771A1 (zh) 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以及显示装置
CN110911439B (zh) 显示面板、显示屏和显示终端
US11094910B2 (en) Pixel display component, screen display component, display screen, and terminal
JP7053858B2 (ja) 表示パネル、ディスプレイ及び表示端末
US20220077431A1 (en) Display apparatus having a narrow viewing angle
WO2021077873A1 (zh) 电致发光显示基板和显示装置
CN110911438B (zh) 显示面板、显示屏和显示终端
KR20200096357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1415963A (zh)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N114253419A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20106264A (ko) 표시 장치 및 포토 마스크
JP2006173177A (ja) 平面撮像素子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2672109B1 (ko) 디스플레이 기판,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TW202309857A (zh) 顯示面板以及電子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