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5048B1 -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5048B1
KR102545048B1 KR1020210080771A KR20210080771A KR102545048B1 KR 102545048 B1 KR102545048 B1 KR 102545048B1 KR 1020210080771 A KR1020210080771 A KR 1020210080771A KR 20210080771 A KR20210080771 A KR 20210080771A KR 102545048 B1 KR102545048 B1 KR 102545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braking
port
block body
inpu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0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0316A (ko
Inventor
안성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0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048B1/ko
Publication of KR20210080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0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1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 B60T13/1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using pumps directly, i.e. without interposition of accumulators or reservoirs
    • B60T13/168Arrangements for pressure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1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 B60T13/1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using accumulators or reservoirs fed by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60T13/68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in hydraulic system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5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 hydraulic system, e.g. a master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43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lay-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 B60T8/361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 B60T8/367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tegrated in modulator units
    • B60T8/368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tegrated in modulator units combined with other mechanical components, e.g. pump units, master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07Manifolds
    • F15B13/0814Monoblock manifo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46Electrical details
    • F15B13/085Electrical cont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40Failsafe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 B60T2270/402Back-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40Failsafe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 B60T2270/413Plausibility monitoring, cross check, redundanc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32Modular valves
    • F15B13/0842Monoblock type valves, e.g. with multiple valve spools in a common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80Other types of control related to particular problems or conditions
    • F15B2211/875Control measures for coping with failures
    • F15B2211/8757Control measures for coping with failures using redundant components or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에 관한 것으로, 블럭본체부와, 블럭본체부 상에 형성되고, 메인제동장치의 제1아웃풋라인, 전륜과 후륜 중 일측의 유압제동을 위한 제1유압제동라인과 연결되는 유압제어포트와, 블럭본체부 상에 형성되고, 메인제동장치의 제2아웃풋라인, 전륜과 후륜 중 타측의 유압제동을 위한 제2유압제동라인과 연결되는 드레인포트와, 블럭본체부의 내부에 유체의 유로를 형성하고, 전자제어장치에 장착된 밸브가 수용되며, 리던던시 상황에서 전륜과 후륜 중 일측은 유압제어포트를 통해 유압제동을 수행하고, 전륜과 후륜 중 타측은 드레인포트를 통해 모터제동을 수행가능하게 유압제어포트와 드레인포트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과 압력을 조절하는 유압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HYDRAULIC BLOCK FOR REDUNDANCY OF ELECTRONIC BRAKING DEVICE}
본 발명은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압에 의해 차량을 제동시키기 위한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은 차량의 제동, 급발진, 또는 급가속시 발생할 수 있는 슬립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차량용 브레이크시스템의 배력장치, 마스터실린더, 휠실린더 뿐 아니라 제동유압의 조절을 위한 유압유닛과, 유압유닛의 제어를 위한 전자제어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을 포함한다.
유압유닛은 각 차륜에 마련된 휠실린더 측으로 전달되는 제동 유압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개의 솔레노이드밸브와, 휠실린더로부터 빠져나온 오일을 일시 저장하기 위한 저압 어큐뮬레이터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와, 펌프의 흡입부와 토출부 측에 각각 마련되는 셔틀밸브 및 구동력 제어밸브 등을 포함하며, 이들 각 부품들은 알루미늄 소재로 제작된 유압블럭에 내장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112258호(2016.09.28 공개, 발명의 명칭: 통합 센서를 이용한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근래에는 완전자율주행을 목표로 하여 자율주행차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제어식 제동장치의 가동 안정성을 보다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제어식 제동장치에 의하면 전자제동 부품의 고장 시 이를 대체하여 수행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자율주행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메인제동장치의 고장 시 제동기능을 대체하여 수행할 수 있는 보조제동장치로서 적용가능하고, 메인제동장치와 함께 공간효율적으로 설치가능한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전자제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은, 블럭본체부; 상기 블럭본체부 상에 형성되고, 메인제동장치의 제1아웃풋라인, 전륜과 후륜 중 일측의 유압제동을 위한 제1유압제동라인과 연결되는 유압제어포트; 및 상기 블럭본체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제동장치의 제2아웃풋라인, 전륜과 후륜 중 타측의 유압제동을 위한 제2유압제동라인과 연결되는 드레인포트; 및 상기 블럭본체부의 내부에 유체의 유로를 형성하고, 전자제어장치에 장착된 밸브가 수용되며, 리던던시 상황에서 전륜과 후륜 중 일측은 상기 유압제어포트를 통해 유압제동을 수행하고, 전륜과 후륜 중 타측은 상기 드레인포트를 통해 모터제동을 수행가능하게 상기 유압제어포트와 상기 드레인포트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과 압력을 조절하는 유압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압제어포트는, 상기 제1아웃풋라인과 연결되는 인풋포트부; 및 상기 제1유압제동라인과 연결되는 아웃풋포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풋포트부는, 상기 제1아웃풋라인 중 일측과 연결되는 제1인풋포트; 및 상기 제1아웃풋라인 중 타측과 연결되는 제2인풋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웃풋포트부는, 상기 제1인풋포트를 통해 상기 블럭본체부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제1아웃풋포트; 및 상기 제2인풋포트를 통해 상기 블럭본체부의 내부로 입력된 유체가 배출되는 제2아웃풋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럭본체부의 전면부에는 모터가 결합되는 모터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블럭본체부의 후면부에는 상기 전자제어장치가 결합되는 제어기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인풋포트와 상기 제2인풋포트 중 일측은, 상기 제1아웃풋포트, 상기 제2아웃풋포트와 함께 상기 블럭본체부의 상면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인풋포트와 상기 제2인풋포트 중 타측은, 상기 블럭본체부의 전면부 상에 형성되고, 펌프수용보어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럭본체부의 전면부에는 모터가 결합되는 모터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블럭본체부의 후면부에는 상기 전자제어장치가 결합되는 제어기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아웃풋포트와 상기 제2아웃풋포트 중 일측은, 상기 제1인풋포트, 상기 제2인풋포트와 함께 상기 블럭본체부의 상면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아웃풋포트와 상기 제2아웃풋포트 중 타측은, 상기 블럭본체부의 전면부 상에 형성되고, 펌프수용보어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레인포트는, 상기 제2아웃풋라인과 연결되는 드레인인풋포트; 및 상기 제2유압제동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드레인인풋포트를 통해 상기 블럭본체부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유압회로부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드레인아웃풋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럭본체부의 전면부에는 모터가 결합되는 모터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블럭본체부의 후면부에는 상기 전자제어장치가 결합되는 제어기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드레인인풋포트와 상기 드레인아웃풋포트 중 일측은, 상기 제1인풋포트와 상기 제2인풋포트 중 일측, 상기 제1아웃풋포트, 상기 제2아웃풋포트와 함께 상기 블럭본체부의 상면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인풋포트와 상기 제2인풋포트 중 타측은, 상기 블럭본체부의 전면부 상에 형성되고, 펌프수용보어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모터장착부의 좌측부와 우측부 중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드레인인풋포트와 상기 드레인아웃풋포트 중 타측은, 상기 블럭본체부의 전면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펌프수용보어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모터장착부의 좌측부와 우측부 중 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럭본체부의 전면부에는 모터가 결합되는 모터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블럭본체부의 후면부에는 상기 전자제어장치가 결합되는 제어기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드레인인풋포트와 상기 드레인아웃풋포트 중 일측은, 상기 제1아웃풋포트와 상기 제2아웃풋포트 중 일측, 상기 제1인풋포트, 상기 제2인풋포트와 함께 상기 블럭본체부의 상면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아웃풋포트와 상기 제2아웃풋포트 중 타측은, 상기 블럭본체부의 전면부 상에 형성되고, 펌프수용보어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모터장착부의 좌측부와 우측부 중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드레인인풋포트와 상기 드레인아웃풋포트 중 타측은, 상기 블럭본체부의 전면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펌프수용보어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모터장착부의 좌측부와 우측부 중 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블럭본체부 상에 형성되고, 리저버(reservoir)로 작동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리저버라인과 연결되는 리저버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압회로부는, 상기 제1인풋포트에서 상기 제1아웃풋포트까지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밸브에 의해 유압이 조절되는 제1제동유로부; 상기 제2인풋포트에서 상기 제2아웃풋포트까지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밸브에 의해 유압이 조절되는 제2제동유로부; 상기 드레인인풋포트에서 상기 드레인아웃풋포트까지 연장되게 형성되는 경유유로부; 및 상기 경유유로부에서 상기 리저버포트까지 연장되게 형성되는 드레인유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저버포트는, 상기 블럭본체부의 전면부 상에 형성되고, 펌프수용보어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럭본체부의 전면부에는 모터가 결합되는 모터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블럭본체부의 후면부에는 상기 전자제어장치가 결합되는 제어기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리저버포트는, 상기 펌프수용보어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장착부의 좌측부와 우측부 중 일측에 배치되는 제1리저버포트; 및 상기 펌프수용보어의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모터장착부의 좌측부와 우측부 중 타측에 배치되는 제2리저버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은, 리던던시 상황에서 유압제동을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전륜과 후륜 중 일측의 유압제동을 구현가능한 유압제어포트와 유압회로부의 구성을 가지므로, 즉, 2개의 휠을 유압제동하기 위한 간결한 구성을 가지면 충분하므로, 기존의 메인제동장치와 비교해 보다 소형의 사이즈로 그 적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메인제동장치와 보조제동장치를 한정된 공간상에 함께 배치함에 있어서, 메인제동장치와 보조제동장치의 배치 방향, 위치 등에 있어서 보다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고, 공간활용적으로 그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의 소형화,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원가절감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압제어포트 외에 드레인포트를 형성함으로써, 리던던시 상황에서 전륜과 후륜 중 일측을 유압제동함과 동시에, 전륜과 후륜 중 타측으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드레인, 감압시킴으로써 모터제동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이 적용된 차량용 전자제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보조제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의 내부 유로를 투시하여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측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측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이 적용된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이 적용된 차량용 전자제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보조제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제동장치(1)는 메인제동장치(2)와 보조제동장치(6)를 포함한다.
메인제동장치(2)는 정상 상태에서 차량을 제동시키는 기능을 주요하게 구현하는 장치부로, 리저버(reservoir)(5)로부터 작동유체를 공급받아 설정 유압으로 제어하여, 휠 개별조정을 위한 유압제동장치(CBS, Conventional Brake System)(B)로 전달한다. 즉, 메인제동장치(2)는 안티브레이크시스템(ABS, Anti Lock Brake Systme), 전자식 제동력 분배장치(EBD, Electronic Brake force Distribution system), 차체자세제어장치(ESC,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등의 전자제어식 제동장치에 해당된다.
보조제동장치(6)는 차량 제동의 리던던시(redundancy)를 위해 구비되는 장치부로, 메인제동장치(2)의 고장 시 메인제동장치(2)가 수행하던 제동 기능을 대체하여 수행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보조제동장치(6)는 메인제동장치(2)의 하류측에, 다른 표현으로는 메인제동장치(2)로부터 유압제동장치(B)로 유체가 전달되는 경로 상에 배치되어, 메인제동장치(2)의 고장 시 리저버(5)에서 메인제동장치(2)로 공급된 유체를 전달받아 목적한 압력으로 제어하여 유압제동장치(B)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리던던시 상황에서 전륜과 후륜 중 일측은 보조제동장치(6)에 의해 유압제동을 주요하게 수행하고, 전륜과 후륜 중 타측은 EPB(Electroic Parking Brake) 모터 등에 의해 모터제동을 주요하게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전륜 구동 차량에 있어서는, 전륜을 유압제동, 후륜을 모터제동함으로써, 제동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후륜 구동 차량에 있어서는, 전륜을 유압제동, 후륜을 모터제동함으로써, 제동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메인제동장치(2)는 4개의 휠 각각의 유압제동을 위한 4개의 유체공급라인을 가지는데,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리던던시 상황에서 유압제동을 구현하기 위한 유체공급라인을 제1아웃풋라인(3)이라 하고, 모터제동을 구현하기 위한 유체공급라인을 제2아웃풋라인(4)이라 한다.
또한, 보조제동장치(6)를 통과한 유체를 휠 개별조정을 위한 유압제동장치(B)로 전달하는 유체공급라인 중 제1아웃풋라인(3)에 대응되는 유체공급라인을, 즉 유압제동을 구현하기 위한 유체공급라인을 제1유압제동라인(7)이라 한다. 또한, 보조제동장치(6)를 통과한 유체를 휠 개별조정을 위한 유압제동장치(B)로 전달하는 유체공급라인 중 제2아웃풋라인(4)에 대응되는 유체공급라인을, 즉 모터제동을 구현하기 위한 유체공급라인을 제2유압제동라인(8)이라 한다.
보조제동장치(6)는 제1아웃풋라인(3)과 제1유압제동라인(7)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보조제동장치(6)는 제2아웃풋라인(4)과 제2유압제동라인(8)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전륜 구동 차량에 적용하는 구체적인 일례를 들어, 전륜을 유압제동하고, 후륜을 모터제동한다고 가정한다(도 8 참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의 내부 유로를 투시하여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측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측 사시도이다.
도 2,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조제동장치(6)는 유압블럭(10), 전자제어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20), 밸브(30), 모터(40)를 포함한다.
유압블럭(10)은 펌프 하우징의 기능을 하는 장치부로, 전륜의 유압제동을 위한 4개의 유압제어포트(120)와, 후륜의 모터제동을 위한 2개의 드레인포트(130)와, 리저버(5)로 작동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리저버라인(9)과 연결되는 리저버포트(140)가 형성되고, 내부에 유체의 유압을 제어하기 위한 유압회로부(150)가 형성된다.
전자제어장치(20)는 유압블럭(10)을 통과하는 유체를 전자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부로, 유압블럭(10)의 후면부(113)에 결합된다. 전자제어장치(20)에는 유압블럭(10)을 통과하는 유체의 유압,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개의 밸브(30)가 장착된다. 밸브(30)는 전자제어장치(20)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된다.
모터(40)는 유압블럭(10) 내부의 유체를 설정방향으로 강제 유동시키기 위한 장치부로, 유압블럭(10)의 전면부에 결합된다. 전자제어장치(20)와 모터(40)는 기존의 전자제어식 제동장치 내지 메인제동장치(2)에 개시된 구조를 가지는 바, 전자제어장치(20)와 모터(40)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10)은 블럭본체부(110), 유압제어포트(120), 드레인포트(130), 리저버포트(140), 유압회로부(150)를 포함한다.
블럭본체부(110)는 전면부(111)와 후면부(113)가, 상면부(115)와 저면부, 좌측면부(116)와 우측면부(117)에 비해 축소된 면적을 가지는 직육면체 블럭의 형상을 가진다. 블럭본체부(110)의 전면부(111)에는 모터(40)가 장착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모터(40)가 결합되는 부분을 모터장착부(112)라 한다. 블럭본체부(110)의 후면부(113)에는 전자제어장치(20)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전자제어장치(20)가 결합되는 부분을 제어기장착부(114)라 한다.
유압제어포트(120)는 전륜의 유압제동을 위한, 즉 전륜으로 공급되는 작동유체의 유압을 목적한 세기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부이다. 유압제어포트(120)는 블럭본체부(110) 상에 4개가 형성된다. 유압제어포트(120) 중 2개는 제1아웃풋라인(3)과 연결되고, 2개는 좌측전륜과 우측전륜의 개별조정을 위한 제1유압제동라인(7)과 연결된다.
유압제어포트(120)는 제1아웃풋라인(3)과 연결되는 인풋포트부(121)와, 제1유압제동라인(7)과 연결되는 아웃풋포트부(124)를 포함한다. 인풋포트부(121)는 제1아웃풋라인(3) 중 좌측전륜과 연결되는 제1인풋포트(122)와, 제1아웃풋라인(3) 중 우측전륜과 연결되는 제2인풋포트(123)를 포함한다. 아웃풋포트부(124)는 제1인풋포트(122)를 통해 블럭본체부(110)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제1아웃풋포트(125)와, 제2인풋포트(123)를 통해 블럭본체부(110)의 내부로 입력된 유체가 배출되는 제2아웃풋포트(126)를 포함한다.
드레인포트(130)는 후륜의 모터제동을 위한, 즉 유압의 간섭없이 모터제동을 안정적으로 구현가능하게 후륜으로 공급되는 작동유체의 압력을 감압시키기 위한 장치부이다. 드레인포트(130)는 2개가 형성된다. 드레인포트(130) 중 1개는 제2아웃풋라인(4)과 연결되고, 1개는 후륜의 개별조정을 위한 제2유압제동라인(8)과 연결된다.
드레인포트(130)는 제2아웃풋라인(4)과 연결되는 1개의 드레인인풋포트(131)와, 드레인인풋포트(131)를 통해 블럭본체부(110)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1개의 드레인아웃풋포트(132)를 포함한다.
제2아웃풋라인(4)은 좌측후륜, 우측후륜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2개가 구비되는데, 2개의 제2아웃풋라인(4)은 메인제동장치(2) 상에서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어서, 2개의 제2아웃풋라인(4) 중 일측에서만 감압이 이루어지더라도, 2개의 제2아웃풋라인(4) 모두에서 함께 감압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레인포트(130)는 2개의 제2아웃풋라인(4) 중 하나만이 연결되는 1개의 드레인인풋포트(131)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레인포트(130)는, 전륜을 유압제동하고, 후륜을 모터제동한다는 가정 하에서 상기와 같이 개수와 연결위치가 한정되어 기재되었으나, 이로써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드레인포트(130)는 모터제동을 위해 작동유체의 압력을 감압가능하다면 전륜과 후륜 중 하나 이상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이 적용된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회로도이다.
리저버포트(140)는 리저버(5)로 작동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리저버라인(9)과 연결되는 장치부이다. 유압제어포트(120), 드레인포트(130)를 통해 유압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블럭본체부(110)의 외부로 배출이 필요한 작동유체는, 리저버포트(140)를 통해 리저버(5)로 순환된다. 리저버포트(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형성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유압회로부(150)는 블럭본체부(110)의 내부에 작동유체의 유로를 형성하고, 밸브(30)와 펌프부재(50)를 이용해 유압제어포트(120)와 드레인포트(130)를 통과하는 작동유체의 유량과 압력을 조절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압회로부(150)는 제1제동유로부(151), 제2제동유로부(152), 경유유로부(153), 드레인유로부(154)를 포함한다.
제1제동유로부(151)는 제1인풋포트(122)에서 제1아웃풋포트(125)까지 연장되게 형성되고, 전자제어장치(20)에 장착된 복수개의 밸브(30)에 의해 유압이 조절된다. 제2제동유로부(152)는 제2인풋포트(123)에서 제2아웃풋포트(126)까지 연장되게 형성되고, 전자제어장치(20)에 장착된 복수개의 밸브(30)에 의해 유압이 조절된다.
작동유체가 제1제동유로부(151)와 제2제동유로부(152)를 통과하면서 좌측전륜과 우측전륜을 각각 제동시키기 위한 유압이 조성되고, 제1유압제동라인(7)을 통해 좌측전륜과 우측전륜 각각을 제동시키기 위한 유압제동장치(B)로 전달된다.
제1제동유로부(151)와 제2제동유로부(152)는, 메인제동장치(2)의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상태에서는 단순히 작동유체의 통과 경로만을 제공하다가, 리던던시 상황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1아웃풋라인(3)을 통해 유입된 작동유체의 유압을 조절하여 제1유압제동라인(7)로 전달한다.
경유유로부(153)는 드레인인풋포트(131)에서 드레인아웃풋포트(132)까지 연장되게 형성된다. 드레인유로부(154)는 경유유로부(153)에서 리저버포트(140)까지 연장되게 형성된다. 2개의 제2아웃풋라인(4) 중 일측은 드레인인풋포트(131), 경유유로부(153), 드레인아웃풋포트(132)와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즉, 2개의 제2아웃풋라인(4) 중 일측은 경유유로부(153)를 경유해서 좌측후륜의 제동을 위한 유압제동장치(B)와 연결된다. 2개의 제2아웃풋라인(4) 중 타측은 우측후륜의 제동을 위한 유압제동장치(B)와 직접 연결된다.
메인제동장치(2)의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2개의 제2아웃풋라인(4) 중 하나로 유입된 작동유체는 경유유로부(153)를 경유하여 제2유압제동라인(8)을 통해 좌측후륜의 제동을 위한 유압제동장치(B)에 유압을 전달하고, 2개의 제2아웃풋라인(4) 중 다른 하나로 유입된 작동유체는 우측후륜의 제동을 위한 유압제동장치(B)에 직접 유압을 전달한다.
리던던시 상황에서, 펌프부재(50), 밸브(30)의 작동 등에 의해 드레인유로부(154)가 활성화되면, 경유유로부(153)로 진입된 작동유체는, 드레인유로부(154)와 리저버포트(140)를 통해 유압블럭(10)의 외부로 배출되고, 리저버라인(9)을 통과하여 리저버(5)에 수용된다.
이러한 작동유체의 유동에 의해 경유유로부(153)와 연결된 제2아웃풋라인(4), 제2유압제동라인(8)의 감압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이와 연통된 다른 제2아웃풋라인(4) 또한 함께 감압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좌측후륜과 우측후륜 모두가 유압에 의한 간섭 없이 모터제동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메인제동장치(2)는 4개의 휠을 개별적으로 유압제동하기 위한 구성을 가지는데 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10)은 2개의 휠을 유압제동하기 위한 보다 간결한 구성을 가지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10)은, 리던던시 상황에서 유압제동을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기존의 메인제동장치(2)와 동일, 유사한 사이즈일 필요가 없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메인제동장치(2)와 비교해 보다 소형의 사이즈로 그 적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메인제동장치(2)와 보조제동장치(6)를 한정된 공간상에 함께 배치함에 있어서, 메인제동장치(2)와 보조제동장치(6)의 배치 방향, 위치 등에 있어서 보다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고, 공간활용적으로 그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차량의 구동을 주요하게 기여하는 전륜 또는 후륜을 유압제동함과 동시에, 모터제동을 구현하고자 하는 휠측으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드레인, 감압시킬 수 있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압블럭(10)은, 모터장착부(112)가 블럭본체부(110)의 전면부(111)에 형성되고, 제어기장착부(114)가 블럭본체부(110)의 후면부(113)에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제1인풋포트(122), 제1아웃풋포트(125), 제2아웃풋포트(126), 드레인인풋포트(131)가 블럭본체부(110)의 상면부(115) 상에 일렬로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제2인풋포트(123)와 드레인아웃풋포트(132)는 블럭본체부(110)의 전면부(111) 중 펌프수용보어(118)의 하측에 배치되되, 모터장착부(112)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각각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펌프수용보어(118)는 모터장착부(112)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하는 수평선(CL) 상에 배치되고, 좌측면부(116)와 우측면부(117) 상에 중공되게 형성된다. 펌프부재(50)는 펌프수용보어(118)의 내부에 장착된다.
리저버포트(140)는 블럭본체부(110)의 전면부(111) 중 펌프수용보어(118)의 상측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저버포트(140)는 제1리저버포트(141)와 제2리저버포트(142)를 포함한 한 쌍이 구비되고, 제1리저버포트(141)와 제2리저버포트(142)는 펌프수용보어(118)의 상측에 배치되되, 모터장착부(112)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각각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와 같이 제1인풋포트(122)와 제2인풋포트(123) 중 일측을 상면부(115), 타측을 전면부(111)의 하부에 각각 배치함으로써, 2개의 제1아웃풋라인(3)과, 드레인인풋포트(131)와 연결되는 제2아웃풋라인(4)을 포함한 3개의 아웃풋라인이, 모터(40) 상측의 공간부에만 편중되지 않고, 모터(40) 하측의 공간부를 활용하여 상호간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공간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드레인인풋포트(131)와 드레인아웃풋포트(132) 중 일측을 상면부(115), 타측을 전면부(111)의 하부에 배치하고, 리저버포트(140)를 전면부(111)의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인풋포트부(121)에서 아웃풋포트부(124)까지의 연장경로와, 드레인인풋포트(131)와 드레인아웃풋포트(132)까지의 연장경로 상에 리저버포트(140)가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유압블럭(10)의 내부에 드레인유로부(154)를 제1제동유로부(151), 제2제동유로부(152), 경유유로부(153)와 연통되게 형성함에 있어서, 유로의 연장길이를 최소화하면서 공간효율적으로 그 배치,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유압블럭(10)은, 도 4,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압블럭(10)과 비교해, 제1인풋포트(122), 제2인풋포트(123), 제1아웃풋포트(125), 드레인아웃풋포트(132)가 블럭본체부(110)의 상면부(115) 상에 일렬로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제2아웃풋포트(126)와 드레인인풋포트(131)가 블럭본체부(110)의 전면부(111) 중 펌프수용보어(118)의 하측에 배치되되, 모터장착부(112)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각각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와 같이 제1아웃풋포트(125)와 제2아웃풋포트(126) 중 일측을 상면부(115), 타측을 전면부(111)의 하부에 각각 배치함으로써, 2개의 제1유압제동라인(7)과 드레인아웃풋포트(132)와 연결되는 제2유압제동라인(8)이 모터(40) 상측과, 하측의 공간부에 균일하게 분할되어 위치된다. 이에 따라, 제1유압제동라인(7)과와 제2유압제동라인(8)을 포함한 복수개의 유압제동라인이, 제1아웃풋라인(3)과, 제2아웃풋라인(4)을 포함한 복수개의 아웃풋라인과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공간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제동장치(1)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10)에 의하면, 리던던시 상황에서 유압제동을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전륜과 후륜 중 일측의 유압제동을 구현가능한 유압제어포트(120)와 유압회로부(150)의 구성을 가지므로, 즉, 2개의 휠을 유압제동하기 위한 간결한 구성을 가지면 충분하므로, 기존의 메인제동장치(2)와 비교해 보다 소형의 사이즈로 그 적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제동장치(2)와 보조제동장치(6)를 한정된 공간상에 함께 배치함에 있어서, 메인제동장치(2)와 보조제동장치(6)의 배치 방향, 위치 등에 있어서 보다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고, 공간활용적으로 그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10)의 소형화,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원가절감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압제어포트(120) 외에 드레인포트(130)를 형성함으로써, 리던던시 상황에서 전륜과 후륜 중 일측을 유압제동함과 동시에, 전륜과 후륜 중 타측으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드레인, 감압시킴으로써 모터제동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차량용 전자제동장치 2 : 메인제동장치
3 : 제1아웃풋라인 4 : 제2아웃풋라인
5 : 리저버 6 : 보조제동장치
7 : 제1유압제동라인 8 : 제2유압제동라인
10 : 유압블럭 20 : 전자제어장치
30 : 밸브 40 : 모터
50 : 펌프부재 110 : 블럭본체부
111 : 전면부 112 : 모터장착부
113 : 후면부 114 : 제어기장착부
115 : 상면부 116 : 좌측면부
117 : 우측면부 118 : 펌프수용보어
120 : 유압제어포트 121 : 인풋포트부
122 : 제1인풋포트 123 : 제2인풋포트
124 : 아웃풋포트부 125 : 제1아웃풋포트
126 : 제2아웃풋포트 130 : 드레인포트
131 : 드레인인풋포트 132 : 드레인아웃풋포트
140 : 리저버포트 141 : 제1리저버포트
142 : 제2리저버포트 150 : 유압회로부
151 : 제1제동유로부 152 : 제2제동유로부
153 : 경유유로부 154 : 드레인유로부

Claims (13)

  1. 블럭본체부;
    상기 블럭본체부 상에 형성되고, 메인제동장치의 제1아웃풋라인, 전륜과 후륜 중 일측의 유압제동을 위한 제1유압제동라인과 연결되는 유압제어포트; 및
    상기 블럭본체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제동장치의 제2아웃풋라인, 전륜과 후륜 중 타측의 유압제동을 위한 제2유압제동라인과 연결되는 드레인포트; 및
    상기 블럭본체부의 내부에 유체의 유로를 형성하고, 전자제어장치에 장착된 밸브가 수용되며, 리던던시 상황에서 전륜과 후륜 중 일측은 상기 유압제어포트를 통해 유압제동을 수행하고, 전륜과 후륜 중 타측은 상기 드레인포트를 통해 모터제동을 수행가능하게 상기 유압제어포트와 상기 드레인포트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과 압력을 조절하는 유압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제어포트는,
    상기 제1아웃풋라인과 연결되는 인풋포트부; 및
    상기 제1유압제동라인과 연결되는 아웃풋포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풋포트부는,
    상기 제1아웃풋라인 중 일측과 연결되는 제1인풋포트; 및
    상기 제1아웃풋라인 중 타측과 연결되는 제2인풋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풋포트부는,
    상기 제1인풋포트를 통해 상기 블럭본체부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제1아웃풋포트; 및
    상기 제2인풋포트를 통해 상기 블럭본체부의 내부로 입력된 유체가 배출되는 제2아웃풋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본체부의 전면부에는 모터가 결합되는 모터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블럭본체부의 후면부에는 상기 전자제어장치가 결합되는 제어기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인풋포트와 상기 제2인풋포트 중 일측은, 상기 제1아웃풋포트, 상기 제2아웃풋포트와 함께 상기 블럭본체부의 상면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인풋포트와 상기 제2인풋포트 중 타측은, 상기 블럭본체부의 전면부 상에 형성되고, 펌프수용보어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본체부의 전면부에는 모터가 결합되는 모터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블럭본체부의 후면부에는 상기 전자제어장치가 결합되는 제어기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아웃풋포트와 상기 제2아웃풋포트 중 일측은, 상기 제1인풋포트, 상기 제2인풋포트와 함께 상기 블럭본체부의 상면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아웃풋포트와 상기 제2아웃풋포트 중 타측은, 상기 블럭본체부의 전면부 상에 형성되고, 펌프수용보어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210080771A 2019-10-29 2021-06-22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 KR102545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771A KR102545048B1 (ko) 2019-10-29 2021-06-22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009A KR102272082B1 (ko) 2019-10-29 2019-10-29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
KR1020210080771A KR102545048B1 (ko) 2019-10-29 2021-06-22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009A Division KR102272082B1 (ko) 2019-10-29 2019-10-29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316A KR20210080316A (ko) 2021-06-30
KR102545048B1 true KR102545048B1 (ko) 2023-06-20

Family

ID=753788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009A KR102272082B1 (ko) 2019-10-29 2019-10-29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
KR1020210080771A KR102545048B1 (ko) 2019-10-29 2021-06-22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009A KR102272082B1 (ko) 2019-10-29 2019-10-29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85336B2 (ko)
KR (2) KR102272082B1 (ko)
CN (1) CN112744205B (ko)
DE (1) DE1020201037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65637S1 (en) * 2020-04-10 2022-10-04 Dallas Fabian Air manifold for a truck
DE102020212176A1 (de) * 2020-09-28 2022-03-31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Hydraulikblock für ein Hydraulikaggregat einer hydraulischen Fremdkraft-Fahrzeugbremsanlage
KR20230010893A (ko) * 2021-07-12 2023-01-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식 유압 브레이크
KR102658541B1 (ko) * 2022-06-13 2024-04-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식 유압 브레이크 장치
KR20230171173A (ko) 2022-06-13 2023-12-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식 유압 브레이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662B1 (ko) * 2002-04-08 2005-01-24 주식회사 만도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블럭
WO2004048173A2 (de) * 2002-11-22 2004-06-10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Hydraulikaggregat, insbesondere für schlupfgeregelte bremsanlagen
US7407234B1 (en) * 2005-09-17 2008-08-05 Robert Bosch Gmbh Manual assembly to ABS/TCS/ESP hydraulic units
DE102007004494A1 (de) * 2006-07-12 2008-01-17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ohydraulisches Regelsystem zur Betätigung von einem Aktuator in einem Kraftfahrzeug
JP4923839B2 (ja) * 2006-08-11 2012-04-25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車両用ブレーキ液圧制御ユニット
EP2216219B1 (en) * 2007-11-02 2017-03-15 Bosch Corporation Brake liquid-pressure control device
DE102008037047A1 (de) * 2008-05-15 2009-11-19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Hydraulikaggregat
KR101197467B1 (ko) * 2010-08-23 2012-11-09 주식회사 만도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
US10407040B2 (en) * 2014-10-17 2019-09-10 Mando Corporation Hydraulic unit of electronic control brake system
DE102014225954A1 (de) 2014-12-16 2016-06-16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ensteuervorrichtung sowie Bremsanlage
KR101622148B1 (ko) * 2015-02-03 2016-06-01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KR102393657B1 (ko) 2015-03-18 2022-05-03 제트에프 액티브 세이프티 게엠베하 통합 센서를 이용한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DE102016203119A1 (de) * 2016-02-26 2017-08-31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Zusatzmodul für eine elektrohydraulische Bremsanlage und Bremsanlagensystem
KR102546036B1 (ko) * 2016-03-28 2023-06-22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밸브블록
WO2018099747A1 (de) * 2016-11-30 2018-06-07 Robert Bosch Gmbh Hydraulikblock für ein hydraulikaggregat einer bremsregelung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2082B1 (ko) 2021-07-02
KR20210080316A (ko) 2021-06-30
CN112744205B (zh) 2023-04-11
CN112744205A (zh) 2021-05-04
US11485336B2 (en) 2022-11-01
KR20210050667A (ko) 2021-05-10
DE102020103723A1 (de) 2021-04-29
US20210122346A1 (en) 202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5048B1 (ko)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
KR102146432B1 (ko)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전자제동장치
JP4805174B2 (ja) 自動二輪車のブレーキ装置
KR100808482B1 (ko) 전자제어식 브레이크시스템의 유압유닛
JP2005503959A (ja) 外力で操作される油圧制動系統
US6264286B1 (en) Control module for a brake system for a semi-trailer
US20230012180A1 (en) Electric hydraulic brake
JPH06298063A (ja) 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装置を備えた液圧式の車両ブレーキ装置
US5098173A (en) Anti-locking hydraulic brake system
JP6709289B2 (ja) ブレーキ液圧制御ユニット、モータサイクル用のブレーキシステム、及び、モータサイクル
JP2000510787A (ja) 車両用油圧ブレーキ装置に用いられるマスターシリンダ
KR102249800B1 (ko)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
JP4484986B2 (ja) ブレーキ液圧源装置およびブレーキ装置
JPH0558260A (ja) ブレーキ油圧ユニツト
JP4961911B2 (ja) 車両用ブレーキ液圧制御ユニット
US20230008172A1 (en) Electric hydraulic brak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230001900A1 (en) Brake apparatus for vehicle
KR200304179Y1 (ko)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블럭
JP3190990B2 (ja) 車輪ブレーキの圧力制御装置
JPH04215552A (ja) 油圧的な2回路式ブレーキ装置
JP3239486B2 (ja) 車両スリップ制御装置
JPH0629009B2 (ja) 自動車のブレ−キ用液圧源装置
JPH08295220A (ja) 車両用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KR19990029011U (ko)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