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457B1 - 립스틱 용기 - Google Patents

립스틱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457B1
KR102542457B1 KR1020207017106A KR20207017106A KR102542457B1 KR 102542457 B1 KR102542457 B1 KR 102542457B1 KR 1020207017106 A KR1020207017106 A KR 1020207017106A KR 20207017106 A KR20207017106 A KR 20207017106A KR 102542457 B1 KR102542457 B1 KR 102542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ylinder
lipstick
cylinder
outer cylinder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7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1916A (ko
Inventor
카즈히사 요시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200101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4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effected by a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2Casings with provision for preventing undesired movement of the sti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27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piston co-operating with a screw-thread in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Abstract

용기 본체(B)와, 캡(C)을 구비하는 립스틱 용기(A)이며, 용기 본체(B)는 나사 결합 핀(45)이 설치된 중간 접시체(G)와, 중통체(F)와, 나사 결합 핀(45)과 나사 결합하는 나선 홈(23)이 형성된 내통체(E)와, 외통체(D)를 갖추고, 외통체(D)를 회동함으로써, 중간 접시체(G)와 내통체(E)의 한쪽이 정 위치에 위로 올라가며 한쪽이 정 위치에 도달한 후에는, 외통체(D)를 회동함으로써, 중간 접시체(G)와 내통체(E)의 다른 한쪽이 위로 올라가는 립스틱 용기(a).

Description

립스틱 용기
본 발명은 회동 조작에 의해 립스틱을 인출하는 립스틱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도가 부드러운 립스틱을 수납하는 립스틱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7년 12월 27일자로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7-250775호와, 2018년 3월 30일자로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8-069860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립스틱 등의 봉형 화장료를 수납하는 원통형의 인출 용기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이 인출 용기는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에 장착하는 캡을 갖추며, 용기 본체는 봉형 화장료를 수납하는 중간 접시체(middle plate body)와, 중간 접시체를 회전 불가능 또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내통체(중통체)와, 내통체의 외주면을 따라 회동함으로써, 중간 접시체를 상하 이동하는 외통체를 갖춘다. 이 인출 용기에서는 캡을 분리한 후, 내통체를 잡으면서, 외통체를 회동시킴으로써, 내통체로부터 봉형 화장료를 중간 접시체의 상하 이동에 의해 출몰시켜 사용한다.
또한, 봉형 화장품(립스틱)을 필요 이상으로 인출해 버리는 것으로 인한 봉형 화장품의 파손 등의 사고를 방지하는 인출 용기도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를 참조). 이 인출 용기에서는 커버(캡)를 분리하면, 화장품 접시(중간 접시체)와 나사식 통의 나사식 결합체가 스프링에 의해 상방으로 규정량 밀어 올려지도록 하여, 봉형 화장품의 인출량을 적정량으로 정할 수 있다. 또한, 소량 인출 조작 부재를 부설함으로써, 봉형 화장품이 소모되었을 때에는 소량 인출 조작 부재의 누진 조작에 의해 간단하게 봉형 화장품의 소모분을 보충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000343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공고 소64-000838호 공보
그러나 최근 경향으로서, 인출 용기에 수납되는 립스틱은 경도가 부드러워지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인출 용기에서는 사용자가 용기로부터 립스틱을 너무 내밀어버려, 립스틱을 밑에서 부러뜨려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인출 용기에서는 당초의 립스틱 인출량을, 화장하기에는 충분하지만 그 이상 불필요하게 너무 내보내지 않도록 억제하여, 립스틱의 파손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지만, 당초의 립스틱 인출량을 조절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삼아, 사용 개시 시에 사용자가 잘못해서 립스틱을 너무 내밀어버려, 립스틱이 부러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립스틱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양태로서,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에 장착하는 캡을 구비하는 립스틱 용기이며, 용기 본체는 립스틱을 수납하고, 나사 결합 핀(screw pin)이 설치된 중간 접시체(middle plate body)와, 중간 접시체를 회전 불가능 또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중통체(middle tubular body)와, 중간 접시체의 나사 결합 핀과 나사식 결합하는 나선 홈(spiral groove)이 형성되어, 중통체의 외주면을 따라 회동함으로써 중간 접시체를 상하 이동하는 내통체와, 내통체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나사식 결합되는 외통체를 갖추고, 외통체를 회동함으로써, 중간 접시체와 내통체의 한쪽이 정 위치로 올라가며 한쪽이 정 위치에 도달한 후에는 외통체를 회동함으로써, 중간 접시체와 내통체의 다른 한쪽이 올라가는 립스틱 용기라고 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로서, 상기 제1 양태에 있어서, 나사 결합하는 외통체와 내통체 사이의 작동 저항은, 나사 결합하는 중간 접시체의 나사 결합 핀과 내통체의 나선 홈 사이의 작동 저항보다 큰 립스틱 용기라고 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로서, 상기 제1 양태에 있어서, 나사 결합하는 외통체와 내통체 사이의 작동 저항은, 나사 결합하는 중간 접시체의 나사 결합 핀과 내통체의 나선 홈 사이의 작동 저항보다 작은 립스틱 용기라고 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로서, 상기 제1 또는 제2 양태에 있어서, 내통체는 외통체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를 갖추고, 나선 홈의 피치가 나사부의 피치보다 큰 립스틱 용기라고 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로서, 상기 제1 또는 제3 양태에 있어서, 내통체는 외통체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를 갖추고, 나선 홈의 피치가 나사부의 피치보다 작은 립스틱 용기라고 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제6 양태로서, 상기 제1 내지 제5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내통체는 나선 홈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내통체의 중심축선을 따른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평면 부분을 갖는 립스틱 용기라고 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제7 양태로서, 상기 제2, 4, 및 6 양태에 있어서, 내통체는 외통체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를 갖추고, 나사부에 간섭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립스틱 용기라고 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제8 양태로서, 상기 제7 양태에 있어서, 간섭 돌기는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립스틱 용기라고 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제9 양태로서, 상기 제7 또는 8 양태에 있어서, 간섭 돌기는 지름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밸브 작동부(valve actuator)에 형성되어 있는 립스틱 용기라고 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립스틱 용기는 립스틱을 수납하고, 나사 결합 핀이 설치된 중간 접시체와, 중간 접시체를 회전 불가능 또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중통체와, 중간 접시체의 나사 결합 핀과 나사 결합하는 나선 홈이 형성되어, 중통체의 외주면을 따라 회동함으로써 중간 접시체를 상하 이동하는 내통체와, 내통체의 외주면에 내주면을 나사 결합하는 외통체를 갖추고, 외통체를 회동함으로써 립스틱을 정 위치까지 인출하며 립스틱이 정 위치에 도달한 후에는, 외통체를 보다 강한 힘으로 회동함으로써 립스틱이 조금씩 인출된다. 이에 의해, 사용 개시 시에 사용자가 잘못해서 립스틱을 너무 내보내지 않아, 립스틱이 부러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립스틱 용기는 내통체의 나사부에 간섭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외통체의 내주면과 내통체의 외주면이 나사 결합할 때의 작동 저항은, 중간 접시체의 나사 결합 핀과 내통체의 나선 홈이 나사 결합할 때의 작동 저항보다 안정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 개시 시에, 외통체를 회동하면, 내통체가 외통체와 일체로 회동하여, 중간 접시체를 정 위치까지 위로 올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립스틱 용기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립스틱 용기에서의 외통체 및 내통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외통체의 정면 단면도, (b)는 외통체의 정면도, (c)는 내통체의 정면 단면도, (d)는 내통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립스틱 용기에서의 중통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측면 단면도, (b) 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의 립스틱 용기에서의 장착통 및 중간 접시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장착통의 측면 단면도, (b)는 중간 접시체의 측면 단면도, (c)는 중간 접시체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립스틱 용기에 있어서, 립스틱을 정 위치까지 인출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측면 단면도, (b)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의 립스틱 용기에 있어서, 사용 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립스틱을 정 위치에서 소모했을 때의 측면 단면도, (b)는 (a)의 상태로부터 립스틱을 인출했을 때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의 립스틱 용기에 있어서, 내통체를 위로 올린 상태로 립스틱의 선단부를 용기 본체 내로 되돌렸을 때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립스틱 용기에 있어서, 립스틱을 정 위치까지 인출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립스틱 용기에 있어서, 사용 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립스틱을 정 위치에서 소모했을 때의 측면 단면도, (b)는 (a)의 상태로부터 립스틱을 인출했을 때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립스틱 용기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의 외통체 및 내통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외통체의 정면 단면도, (b)는 내통체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형태의 외통체 및 내통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내통체의 정면도, (b)는 외통체와 나사 결합하는 내통체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형태의 외통체 및 내통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내통체의 정면도, (b)는 외통체와 나사 결합하는 내통체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인 외통체 및 내통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내통체의 정면도, (b)는 (a)의 X-X에서 본 단면도, (c)는 외통체와 나사 결합하는 내통체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 15는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인 외통체 및 내통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내통체의 정면도, (b)는 (a)의 Y-Y에서 본 단면도, (c)는 외통체와 나사 결합하는 내통체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인 내통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도 14의 (a)를 변형한 내통체의 정면도, (b)는 도 15의 (a)를 변형한 내통체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제2 실시형태의 립스틱 용기에 있어서, 립스틱을 정 위치까지 인출했을 때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8은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인 내통체 및 외통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외통체에 대해 내통체를 정 위치까지 아래로 내렸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 (b)는 내통체의 정면 단면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립스틱 용기에 대해서, 각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축선 방향"이라 하고, 좌우 방향을 "수평 방향" 또는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라 하며, 상 방향을 "위"라 하고, 하 방향을 "아래"라 하며, 좌 방향을 "정면"이라 하고, 우 방향을 "배면"이라 한다. 또한, 축선 방향은 후술하는 용기 본체 B(외통체 D, 내통체 E, 중통체 F, 및 중간 접시체 G)의 중심축선을 따른 방향이기도 하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형태의 립스틱 용기(A)를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립스틱 용기(A)는 회동 조작함으로써, 립스틱(k)을 인출하는 용기 본체(B)와, 용기 본체(B)의 상부를 덮도록,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캡(C)을 구비한다. 용기 본체(B)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외통체(D)와, 외통체(D)의 내주면에 외주면이 나사 결합되는 내통체(E)와, 내통체(E)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중통체(F)와, 립스틱(k)을 수납하여, 중통체(F) 내에 회전 불가능 또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중간 접시체(G)를 구비한다.
도 2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통체(D)는 축선(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통형의 외주벽(1)과, 외주벽(1)의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원판형의 바닥벽(2)을 갖는다. 외주벽(1)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3)가 후술하는 내통체(E)의 나선 홈(23)과 비교해서, 둘레 방향에 대해서 완만한 경사를 갖추고, 또한 작은 피치를 갖추도록 나사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통체(D)의 상부에는, 장착통(10)이 설치되어 있다. 장착통(10)은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통체(D)의 외주벽(1) 중 내주면의 상부에 회동 불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는 삽입통부(11)와, 장착통(10)의 대략 중간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12)와, 플랜지부(12)보다 상부가 캡(C)에 의해 착탈되는 캡 장착부(13)와, 캡 장착부(13)의 상단부에서 지름이 축소하는 환상 리지(ridge)(14)를 갖는다. 장착통(10)의 내측에는 시일통(16)이 회동 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시일통(16)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시일통(16)의 내주면 상단이, 중통체(F)의 외주면에 기밀하게, 또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해 있다.
도 2의 (c) 및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통체(E)는 외통체(D)의 외주벽(1)의 높이보다 낮은 원통형의 본체부(21)를 갖춘다. 즉, 본체부(21)는 축선 방향으로 외통체(D)보다 짧다. 본체부(21)는 본체부(21) 하부의 외주면에 나사 형성되어, 외통부(D)의 암나사부(3)와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부(22)와, 본체부(2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2개의 나선 홈(23)과, 본체부(21) 상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내통체(E)가 외통체(D)의 내주면을 따라 위로 올려졌을 때, 장착통(10)의 삽입통부(11)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상부 지름 축소부(24)를 갖는다. 상부 지름 축소부(24)는 본체부(21)의 하부보다 지름이 축소되어 있다. 또한, 2개의 나선 홈(23)은 외통체(D)의 암나사부(3)와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부(22)의 피치보다 큰 피치를 갖추도록 형성되는 경사부분(23a)과, 경사부분(23a)의 경사 상단부에 형성되는 수평부분(23b)으로 이루어진다. 경사부분(23a)은 본체부(21)의 둘레 방향에 대해서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경사 상단부는 경사부분(23a)이 연장하는 방향에서의 경사부분(23a)의 일단부이며, 타단부보다 상측에위치하는 단부이다. 수평부분(23b)은 수평 방향을 따른 평면 부분이며, 내통체(E)의 중심축선을 따른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평면 부분이고, 본체부(21)의 둘레 방향으로 평행한 방향을 따른 평면 부분이기도 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나선 홈(23)은 외통체(D)의 암나사부(3)와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부(22)의 피치보다 큰 피치를 갖추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통체(D)의 암나사부(3)와 내통체(E)의 수나사부(22)가 나사 결합할 때의 작동 저항이, 중간 접시체(G)의 나사 결합 핀(45)과 내통체(E)의 나선 홈(23)이 나사 결합할 때의 작동 저항보다 작은 경우에는 2개의 나선 홈(23)은 외통체(D)의 암나사부(3)와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부(22)의 피치보다 작은 피치를 갖추도록 형성되어도 상관없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통체(F)는 중간부의 걸어멈춤 돌기부(34)에 의해 시일통(16)의 내측에 빠짐 방지된 상태로, 내통체(E)에 대해서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중간부는 중통체(F) 중 축선 방향으로 대략 중간에 위치해 있는 부분이며, 걸어멈춤 돌기부(34)는 중간부에서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통체(F)는 중간부의 걸어멈춤 돌기부(34)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수납통부(31)와, 걸어멈춤 돌기부(34)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가이드통부(32)를 구비한다. 가이드통부(32)에는,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향하는 2개의 슬릿부(33)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슬릿부(33)는 가이드통부(32)의 지름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도 1 및 도 4의 (b) 및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접시체(G)는 상부에 위치하며, 립스틱(k)을 수납하는 원통형의 접시측벽(41)과, 접시측벽(41)의 하단부에서 내측에 형성되어, 중심부가 개구하는 링 형태의 접시 바닥벽(42)과, 립스틱(k)의 하부를 중간 접시체(G)에 유지하기 위해서, 접시측벽(41)의 내주면에서 지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 개의 수납 리브(43)와, 접시측벽(41)의 하단부에서 수직으로 설치되어, 중통체(F)의 가이드통부(32)의 내주면에 외주면이 슬라이딩 접촉하는 원통형의 안내통벽(44)을 갖는다.
또한, 안내통벽(44) 하단부의 외주면에는, 중통체(F)의 가이드통부(32)에 형성된 슬릿부(33)를 관통하여, 내통체(E)의 나선 홈(23)과 나사 결합하는 2개의 나사 결합 핀(45)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나사 결합 핀(45)은 안내통벽(44)에서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외통체(D)의 암나사부(3)와 내통체(E)의 수나사부(22)가 나사 결합할 때의 작동 저항과, 중간 접시체(G)의 나사 결합 핀(45)과 내통체(E)의 나선 홈(23)이 나사 결합할 때의 작동 저항은, 한쪽이 다른 쪽보다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C)은 둘레 가장자리에서 중심을 향해 볼록한 원판 형태의 정벽(51)과, 정벽(51)의 외연에서 수직 설치되는 원통형의 측주벽(52)을 갖춘다. 측주벽(52)은 내주면이 장착통(10)의 캡 장착부(13)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장착통(10)에 끼워 맞춰지는 내경을 갖추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사용 방법과 작용 효과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립스틱(k)을 사용할 때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립스틱 용기(A)의 용기 본체(B)에서 캡(C)을 분리한 후, 중통체(F)의 수납통부(31)를 손가락으로 잡으면서, 외통체(D)의 외주벽(1)을 중통체(F)에 대해(외통체(D)를 축선 방향의 하측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때, 외통체(D)의 암나사부(3)와 내통체(E)의 수나사부(22)가 나사 결합할 때의 작동 저항이, 중간 접시체(G)의 나사 결합 핀(45)과 내통체(E)의 나선 홈(23)이 나사 결합할 때의 작동 저항보다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사용 개시 시에, 내통체(E)는 외통체(D)와 일체로 회동한다.
그리고, 내통체(E)가 외통체(D)와 일체로 회동하면, 중간 접시체(G)는 내통체(E)의 나선 홈(23)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 핀(45)이, 중통체(F)의 슬릿부(33)를 따라 위로 올라가기 시작하는 동시에, 위로 올라가기 시작한다. 이윽고,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접시체(G)의 나사 결합 핀(45)은 내통체(E)의 회동에 수반하여, 나선 홈(23)의 경사부분(23a)의 경사 상단부까지 위로 올라가면, 경사부분(23a)에서 연속하는 수평부분(23b)에 의해, 중간 접시체(G)는 정 위치에서 위로 올라가는 것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립스틱(k)의 선단부는 중통체(F)의 수납통부(31)에서 돌출하여, 립스틱(k)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나선 홈(23)의 수평부분(23b)은, 내통체(E)의 본체부(21)에 관통된 개구부를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립스틱 용기(A)를 사용할 때에, 사용자가 잘못해서 외통체(D)를 단숨에 회동했다 해도, 도 1, 및 도 5의 (a) 및 (b)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사용 개시 상태)에서는, 내통체(E)의 나선 홈(23)에 있는 경사부분(23a)의 피치가 큰 점에서, 립스틱(k)을 수납하는 중간 접시체(G)는, 스트레스 없이 도 5의 (a) 및 (b)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상승한다. 그러나 중간 접시체(G)를 더 상승시키기 위해서 내통체(E)를 외통체(D)에 대해서 상승시키려면 외통체(D)를 초기 상태보다 큰 힘으로 회동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립스틱(k)을 중통체(F)의 수납통부(31)에서 너무 내보내서 부러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 2의 (c)에 나타내는 내통체(E)의 본체부(2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선 홈(23)의 축선 방향 길이(높이)를 조정함으로써, 초기 상태에서의 립스틱(k)의 최대 인출량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내통체(E)에 형성되는 나선 홈(23)이나 외통체(D)에 형성되는 암나사부(3)의 피치크기는 자유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인출하는 립스틱(k)의 양(길이)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다음에, 립스틱(k)을 사용 후, 도 5의 (a) 및 (b)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립스틱(k)의 선단부를 중통체(F)의 수납통부(31) 내에 수납한 상태로 되돌릴 때에는 외통체(D)의 외주벽(1)을 중통체(F)에 대해서(외통체(D)를 축선 방향의 하측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 내통체(E)는 외통체(D)의 내주면 상에서 위로 올라가 있지 않다. 즉, 내통체(E)는 외통체(D)의 바닥벽부(2)에 접해 있다. 그 때문에, 외통체(D)의 암나사부(3)와, 수나사부(22)에 의해 나사 결합된 내통체(E)는, 외통체(D)와 일체로 회동한다. 그러면, 중간 접시체(G)의 나사 결합 핀(45)은 내통체(E)의 나선 홈(23)에 나사 결합할 때의 작동 저항이 작음으로 인해, 중간 접시체(G)는 원활하게 중통체(F)의 슬릿부(33)를 따라 하강하여, 립스틱(k)의 선단부를 수납통부(31) 내로 되돌릴 수 있다.
다음에,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립스틱(k)을 중통체(F)로부터 인출하여 사용함으로써 립스틱(k)이 소모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중통체(F)의 수납통부(31)를 손가락으로 잡으면서, 외통체(D)의 외주벽(1)을 중통체(F)에 대해서(외통체(D)를 축선 방향의 하측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려고 해도, 내통체(E) 중 나선 홈(23)의 상단부인 수평부분(23b)에 중간 접시체(G)의 나사 결합 핀(45)이 걸어 맞춰져 있다. 그 때문에, 내통체(E)는 초기 상태와 동등한 힘으로 외통체(D)를 회동해도, 그 이상 회동하지 못한다. 그러나 초기 상태보다 큰 힘으로 외통체(D)를 회동하면, 내통체(E)는 수나사부(22)와 나사 결합하는 외통체(D)의 암나사부(3)의 회동에 의해, 외통체(D)의 내주면을 따라서 회전을 규제 받으면서 조금씩 위로 올라간다. 즉, 내통체(E)는 외통체(D)의 바닥벽부(2)로부터 이간한다.
이와 동시에,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립스틱(k)을 수납하는 중간 접시체(G)는 중통체(F)의 슬릿부(33)를 따라 위로 올라간다. 이로 인해, 립스틱(k)의 선단부는 중통체(F)의 수납통부(31)로부터 돌출하여, 립스틱(k)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립스틱(k)을 사용함으로써 립스틱(k)이 소모되었을 경우에는, 도 6의 (a) 및 (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통체(D)를 더 회동함으로써,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통체(E)의 상단이 중통체(F)의 걸어멈춤 돌기부(34)에 맞닿는 상한 위치까지 내통체(E)를 위로 올릴 수 있다.
립스틱(k)을 사용 후, 도 6의 (b)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립스틱(k)의 선단부를 중통체(F)의 수납통부(31) 내에 수납한 상태로 되돌릴 때에는, 외통체(D)의 외주벽(1)을 중통체(F)에 대해서(외통체(D)를 축선 방향의 하측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 내통체(E)는 중간 접시체(G)의 나사 결합 핀(45)에 의해 회동이 규제되지 않기 때문에, 외통체(D)의 암나사부(3)와 수나사부(22)에 의해 나사 결합되는 내통체(E)는 외통체(D)와 일체로 회동한다. 그 때문에, 내통체(E)가 외통체(D)의 내주면을 따라서 아래로 내려가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러면, 중간 접시체(G)의 나사 결합 핀(45)은 내통체(E)의 나선 홈(23)에, 중간 접시체(G)의 나사 결합 핀(45)과 내통체(E)의 나선 홈(23)이 나사 결합할 때의 작동 저항이 외통체(D)의 암나사부(3)와 내통체(E)의 수나사부(22)가 나사 결합할 때의 작동 저항보다 작아지도록 나사 결합됨으로써, 중간 접시체(G)는 원활하게 중통체(F)의 슬릿부(33)를 따라서 하강하여, 립스틱(k)의 선단부를 수납통부(31) 내로 되돌릴 수 있다.
(변형예)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도 8 내지 도 9의 (a) 및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외통체(D)의 암나사부(3)와 내통체(E)의 수나사부(22)가 나사 결합할 때의 작동 저항이, 중간 접시체(G)의 나사 결합 핀(45)과 내통체(E)의 나선 홈(23)이 나사 결합할 때의 작동 저항보다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립스틱 용기(A)의 용기 본체(B)에서 캡(C)을 분리한 후, 중통체(F)의 수납통부(31)를 손가락으로 잡으면서, 외통체(D)의 외주벽(1)을 중통체(F)에 대해서(외통체(D)를 축선 방향의 하측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 내통체(E)는 수나사부(22)와 나사 결합하는 외통체(D)의 암나사부(3)의 회동에 의해, 외통체(D)의 내주면을 따라서, 회전을 규제받으면서 위로 올라간다.
이와 동시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립스틱(k)을 수납하는 중간 접시체(G)는 중통체(F)를 따라 위로 올라감으로써, 립스틱(k)의 선단부는, 중통체(F)의 수납통부(31)로부터 돌출하여, 립스틱(k)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립스틱(k)을 사용함으로써, 도 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립스틱(k)이 소모된 경우에는, 외통체(D)를 더 회동함으로써, 도 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접시체(G)의 나사 결합 핀(45)은 내통체(E)의 회동에 수반하여, 나선 홈(23)의 경사부분(23a)의 경사 상단부까지 위로 올릴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제2 실시형태를 도 10 내지 도 13 및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로서, 사용 개시 시에, 립스틱 용기(A)를 회동시키면, 확실하게 중간 접시체(G)가 먼저 위로 올라가고, 그 후, 필요에 따라서 내통체(E)가 위로 올라가도록, 외통체(D)에 대한 내통체(E)의 작동 저항을 안정시키기 위해서, 제1 실시형태의 외통체(D) 및 내통체(E)의 구성을 변경한 경우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외통체(D) 및 내통체(E)에서의 변경 부분에 새로운 부호를 붙여,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0에 있어서, 립스틱 용기(A)는 회동 조작함으로써, 립스틱(k)을 인출하는 용기 본체(B)와, 용기 본체(B)의 상부를 덮도록,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캡(C)을 갖춘다. 용기 본체(B)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외통체(Da)와, 외통체(Da)의 내주면에 외주면이 나사 결합되는 내통체(Ea)와, 내통체(E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중통체(F)와, 립스틱(k)을 수납하여, 중통체(F) 내에 회전 불가능 또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중간 접시체(G)를 구비한다.
도 1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통체(Da)는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통형의 외주벽(6)과, 외주벽(6)의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바닥벽(7)을 가지며, 외주벽(6)의 내주면에는, 나사산부(8)가 후술하는 내통체(Ea)의 나사홈부(72)와 나사 결합하도록, 하단부부터 상부의 도중까지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통체(Da)의 상부에는, 장착통(60)이 설치되어 있다. 장착통(60)의 내측에는 시일통(61)이 회동 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시일통(61)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시일통(61)의 내주면 상단이, 중통체(F)의 외주면에 기밀하게 또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해 있다.
도 1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통체(Ea)는 외통체(Da)의 외주벽(6) 높이보다 낮은 원통형의 본체부(71)와, 본체부(71)의 외주면 하단부부터 상단부까지 나사식으로 형성되어, 외통체(Da)의 나사산부(8)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홈부(72)(나사부)와, 본체부(71)를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2개의 나선홈(73)을 갖는다. 또한, 2개의 나선홈(73)은 외통체(Da)의 나사산부(8)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홈부(72)의 피치보다 큰 피치로 형성되는 경사부분(73a)과, 경사부분(73a)의 경사 상단부에 형성되는 수평부분(73b)으로 이루어진다. 수평부분(73b)은 수평 방향을 따른 평면 부분이며, 내통체(Ea)의 중심축선을 따른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평면 부분이고, 본체부(71)의 둘레 방향으로 평행한 방향을 따른 평면 부분이기도 하다.
도 12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71)의 외주면에 나사 형성된 나사홈부(72)에는, 나사홈부(72)와, 외통체(Da)의 나사산부(8)가 나사 결합할 때의 작동 저항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본체부(71)의 하단부로부터 1둘레만, 나사홈부(72)의 상면을 따라서 간섭 돌기(74)가 형성되어 있다. 즉, 간섭 돌기(74)는 나사홈부(72)의 상면에서 하측을 향해 돌출함과 더불어, 나사홈부(72) 중 본체부(71)의 하단부에서 시작하는 1둘레분에 상면을 따라 연장하는 간섭 돌기이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간섭 돌기(74)는 나사홈부(72)의 상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간섭 돌기(74)는 나사홈부(72)의 어느 부분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예를 들면, 도 13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간섭 돌기(74)는 나사홈부(72)의 바닥면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간섭 돌기(74)는 나사홈부(72)의 바닥면에서 본체부(71)의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함과 더불어, 나사홈부(72) 중 본체부(71)의 하단부에서 1둘레분에, 나사홈부(72)의 바닥면을 따라서 연장하는 간섭 돌기여도 좋다. 또한, 나사홈부(72)의 상면과 하면에 교대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간섭 돌기(74)는 나사홈부(72)의 상면에서 하측을 향해 돌출하는 제1 간섭 돌기와, 나사홈부(72)의 하면에서 상측을 향해 돌출하는 제2 간섭 돌기를 갖추고, 나사홈부(72) 중 본체부(71)의 하단부에서 시작하는 1둘레분에, 제1 간섭 돌기 및 제2 간섭 돌기가 나사홈부(72)의 상면과 하면에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간섭 돌기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간섭 돌기(74)는 본체부(71)의 하단부에서 시작하는 나사홈부(72)의 1둘레분에만 형성되어 있다. 이는 내통체(Ea)가 외통체(Da)의 내주면을 따라서 위로 올라갈 때에, 도 1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통체(Da)의 나사산부(8)가 외주벽(6)의 내주면 상단까지 나사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외통체(Da)의 성형에 있어서, 나사 형성되는 나사산부(8)의 주회수를 적게 하는 쪽이 제조하기 쉽기 때문이다. 그러나 외통체(Da)의 나사산부(8)를 외주벽(6)의 내주면 상단까지 나사 형성하는 것이면, 간섭 돌기(74)는 나사홈부(72)의 전체 길이 중 어느 부분에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또한, 간섭 돌기(74)는 나사홈부(72)를 따라, 연속해서 형성될 필요는 없고,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통체(F)는 중간부의 걸어멈춤 돌기부(34)에 의해서 시일통(61)의 내측에 빠짐 방지된 상태로, 내통체(Ea)에 대해서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중간부는 중통체(F)의 축선 방향으로 대략 중간에 위치해 있다. 중통체(F)는 중간부의 걸어멈춤 돌기부(34)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수납통부(31)와, 걸어멈춤 돌기부(34)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가이드통부(32)를 갖춘다. 가이드통부(32)에는,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여, 대향하는 2개의 슬릿부(33)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슬릿부(33)는 가이드통부(32)의 지름 방향으로 대향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접시체(G)는 상부에 위치하여, 립스틱(k)을 수납하는 원통형의 접시측벽(41)과, 접시측벽(41)의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형성되어, 중심부가 개구하는 링 형태의 접시 바닥벽(42)과, 립스틱(k)의 하부를 중간 접시체(G)에 유지하기 위해서, 접시측벽(41)의 내주면에서 지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 개의 수납 리브(43)와, 접시측벽(41)의 하단부에서 수직으로 설치되어, 중통체(F)의 가이드통부(32)의 내주면에 외주면이 슬라이딩 접촉하는 원통형의 안내통벽(44)을 갖는다. 또한, 안내통벽(44) 하단부의 외주면에는, 중통체(F)의 가이드통부(32)에 형성된 슬릿부(33)를 관통하여, 내통체(Ea)의 나선홈(73)과 나사 결합하는 2개의 나사 결합 핀(45)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중간 접시체(G)에 수납되는 립스틱(k)에 포함되는 휘발 성분의 휘산을 방지하는 것과 더불어, 마모분이나 먼지 등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통체(F)의 수납통부(31)의 상단부에, 내측 커버(50)가 장착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C)은 둘레 가장자리에서 중심을 향해 볼록한 원판형의 정벽(51)과, 정벽(51)의 외연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원통형의 측주벽(52)을 구비하며, 측주벽(52)은 내주면이 장착통(60)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장착통(60)에 끼워 맞춰져 있다. 정벽(51)의 볼록부는 상측으로 팽출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사용 방법과 작용 효과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립스틱(k)을 사용할 때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립스틱 용기(A)의 용기 본체(B)에서 캡(C)을 분리한다. 또한, 중통체(F)에서 내측 커버(50)를 벗긴 후, 중통체(F)의 수납통부(31)를 손가락으로 잡으면서, 외통체(Da)의 외주벽(6)을 중통체(F)에 대해서(외통체(D)를 축선 방향의 하측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 외통체(Da)의 나사산부(8)과 내통체(Ea)의 나사홈부(72)가 나사 결합할 때의 작동 저항은,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통체(Ea)의 나사홈부(72)에 간섭 돌기(7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 접시체(G)의 나사 결합 핀(45)과 내통체(Ea)의 나선홈(73)이 나사 결합할 때의 작동 저항보다 확실히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 개시 시에, 내통체(Ea)는 외통체(Da)와 일체로 회동한다.
또한, 내통체(Ea)가 외통체(Da)와 일체로 회동하면, 중간 접시체(G)는 내통체(Ea)의 나선홈(73)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 핀(45)이, 중통체(F)의 슬릿부(33)를 따라 위로 올라가기 시작하는 동시에, 위로 올라가기 시작한다. 이윽고, 중간 접시체(G)의 나사 결합 핀(45)은 내통체(Ea)의 회동에 수반하여, 나선홈(73)의 경사부분(73a)에서 연속하는 수평부분(73b)까지 위로 올라간다. 이에 의해, 중간 접시체(G)는 정 위치에서 위로 올라가는 것을 정지하여,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립스틱(k)의 선단부는 중통체(F)의 수납통부(31)에서 돌출하여, 립스틱(k)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통체(Ea)의 나사홈부(72)에 간섭 돌기(74)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외통체(Da)의 나사산부(8)와 내통체(Ea)의 나사홈부(72)가 나사 결합할 때의 작동 저항은, 중간 접시체(G)의 나사 결합 핀(45)과 내통체(Ea)의 나선홈(73)이 나사 결합할 때의 작동 저항보다 안정하게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내통체(Ea)의 나사홈부(72)에 형성되는 간섭 돌기(74)의 형상이나 크기는 필요로 하는 작동 저항의 크기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변형예)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 1을,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내통체(Ea)의 나사홈부(72)에 형성되는 간섭 돌기(74) 대신에, 도 14의 (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홈부(72)를 따른 간극 s1에 의해 상하단이 분리된 두께가 얇은 밸브 작동부(76)와, 밸브 작동부(76)의 중앙부에 형성된 간섭 돌기(77)가 형성된 내통체(Ea)에 대해 설명한다. 즉, 본체부(71)는 나사홈부(72)를 따라 연장하는 간극 s1을 갖추고, 두께가 얇은 밸브 작동부(76)는 본체부(71) 중 간극 s1을 형성하는 상면 및 하면에서 상하단이 분리되도록 형성되며 나사홈부(72)가 연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간섭 돌기(77)는 나사홈부(72)가 연장하는 방향에서의 밸브 작동부(76)의 중앙부에 밸브 작동부(76)의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해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밸브 작동부(76)는 나사홈부(72)를 따라 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밸브 작동부는 도 15의 (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홈부(72)와 교차하여 종 방향으로 형성된 밸브 작동부(78)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두께가 얇은 밸브 작동부(78)는 나사홈부(72)와 교차하는 종 방향을 따른 간극 s2에 의해 좌우 단이 분리되어, 밸브 작동부(78)의 나사홈부(72)와 교차하는 위치에 간섭 돌기(79)가 형성되어 있다. 즉, 본체부(71)는 나사홈부(72)와 교차하는 종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간극 s2를 갖추고, 두께가 얇은 밸브 작동부(78)는 본체부(71) 중 간극 s2를 형성하는 둘레 방향으로 대향하는 2개의 면에서 좌우 단이 분리되도록 형성되며 나사홈부(72)와 교차하는 종 방향으로 연장하고, 간섭 돌기(77)는 밸브 작동부(78)의 나사홈부(72)와 교차하는 위치에 간섭 돌기(79)가 형성되어 있다.
도 14의 (a)~(c) 및 도 15의 (a)~(c)에 나타내는 밸브 작동부(76, 78)는 양단이 본체부(71)와 연결되어 있다. 즉, 밸브 작동부(76)는 나사홈부(72)가 연장하는 방향에서의 양단이 본체부(71)에 연결되어 있고, 밸브 작동부(78)는 나사홈부(72)와 교차하는 종 방향에서의 양단이 본체부(71)에 연결되어 있다. 단, 밸브 작동부는 도 16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 측만이 본체부(71)와 연결되고, 다른쪽 측이 간극 s1 또는 s2에 의해 분리된 캔틸레버 구조의 밸브 작동부(76a, 78a)여도 상관없다. 즉, 밸브 작동부는 도 1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홈부(72)가 연장하는 방향에서의 양단 중, 일단이 본체부(71)와 연결되고, 타단이 간극 s1에 의해 분리되어 본체부(71)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밸브 작동부(76a)여도 좋고, 도 1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홈부(72)와 교차하는 종 방향에서의 양단 중, 일단이 본체부(71)와 연결되고, 타단이 간극 s2에 의해 분리되어 본체부(71)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밸브 작동부(78a)여도 좋다. 밸브 작동부(76, 76a, 78, 78a)는 내통체(Ea)에 적어도 1개소 형성되어 있으면 작동 저항을 안정시킬 수 있지만, 복수의 밸브 작동부가 내통체(Ea) 둘레 상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나사홈부(72)가 연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밸브 작동부(76, 76a)가 내통체(Ea)의 외주면에 있어서, 나사홈부(72)가 연장하는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사홈부(72)와 교차하는 종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밸브 작동부(78, 78a)가 내통체(Ea)의 외주면에 있어서, 지름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간섭 돌기(74) 대신에 밸브 작동부(76, 76a, 78, 78a)에 지지된 간섭 돌기(77, 77a, 79, 79a)를 내통체(Ea)에 형성하고 있지만, 간섭 돌기(74)와, 밸브 작동부(76, 76a, 78, 78a)에 지지된 간섭 돌기(77, 77a, 79, 79a)를 병용하여도 상관없다.
다음에, 본 변형예의 사용 방법과 작용 효과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외통체(Da)의 나사산부(8)와 내통체(Ea)의 나사홈부(72)가 나사 결합할 때의 작동 저항은, 도 14~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통체(Ea)의 나사홈부(72)에 간섭 돌기(77, 77a, 79, 79a)를 갖는 두께가 얇은 밸브 작동부(76, 76a, 78, 78a)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간섭 돌기(77, 77a, 79, 79a)에 외통체(Da)의 나사산부(8)가 맞닿으면, 밸브 작동부(76, 76a, 78, 78a)의 탄성 변형에 의해 간섭 돌기(77, 77a, 79, 79a)가 지름 방향으로 눌려진다. 이에 의해, 외통체(Da)의 나사산부(8)와 내통체(Ea)의 나사홈부(72)가 나사 결합할 때에, 적절한 작동 저항을 부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외통체(Da)의 나사산부(8)와 내통체(Ea)의 나사홈부(72)에 치수 오차가 있어도, 작동 저항을 부여하는 간섭 돌기(77, 77a, 79, 79a)는, 탄성 변형 가능한 밸브 작동부(76, 76a, 78, 78a)에 지지됨으로써, 지름 방향으로 출몰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외통체(Da)의 나사산부(8)와 내통체(Ea)의 나사홈부(72)가 나사 결합할 때에, 적절한 작동 저항을 부여하면서, 양자를 원활하게 나사 결합시킬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립스틱 용기는 외통체(D, Da)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와, 내통체(E, Ea)에 형성되어, 걸어맞춤부에 걸어 맞춤 가능한 피걸어맞춤부를 갖추고, 걸어맞춤부와 피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춤함으로써 외통체(D, Da)와 내통체(E, Ea)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스토퍼 장치를 구비해도 좋다. 예를 들면, 걸어맞춤부는 도 1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통체(D, Da)의 외주벽(1, 6)의 내주면 중 하단부에 설치된 리브(80)이며, 피걸어맞춤부는 도 18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통체(E, Ea)의 본체부(21, 71)의 외주면 중 하단부에 설치되어, 리브(80)와 걸어맞춤 가능한 단부(82)여도 좋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리브(80)는 나사산부(8)의 나선 방향에서의 양단부 중 하측에 위치하는 일단부(하단부) 근처에 형성되어, 외주벽(6)의 내주면에서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해 있는 돌기이다. 나사산부(8)의 나선 방향이란, 나사산부(8) 자체의 나선 형상을 따른 방향을 의미한다. 리브(80)는 도 1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산부(8)의 나선 방향을 따라 연장해 있는 돌기이다. 일례로서, 리브(80)와 같은 돌기를 설명하고 있지만, 리브(80)를 대신하여 다른 형상을 갖는 돌기를 형성해도 좋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통체(E, Ea)를 아래로 내림으로써 단부(82)의 측면(83)에 당접 가능한 돌기라면, 돌기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리브(80) 대신에, 나사산부(8)의 나선 방향을 따라 연장하지 않는 돌기를 형성해도 좋다.
단부(82)는 내통체(E, Ea)의 본체부(71)를 그 하단부에서 상측을 향해 오목해지도록 절결해서 형성되어 있는 절결이다. 단부(82)는 내통체(E, Ea)가 아래로 내려가도록 회전하는 방향을 향하는 측면(83)과, 측면(83)의 상단에서 나사홈부(72)의 나선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하측을 향하는 상면(84)을 갖춘다. 나사홈부(72)의 나선 방향이란, 나사홈부(72) 자체의 나선 형상을 따른 방향을 의미한다. 단부(80)는 도 18의 (a) 및 (b)에 나타내는 형상을 갖는 절결이다. 일례로서 단부(80)와 같은 절결을 설명하고 있지만, 단부(80) 대신에 다른 형상을 갖는 절결을 형성해도 좋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통체(E, Ea)를 아래로 내림으로써 리브(80)에 당접 가능한 측면을 갖추는 절결이면, 절결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단부(80) 대신에, 내통체(E, Ea)의 본체부(21, 71)를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지 않고, 본체부(21, 71)의 외주면에서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오목해지는 형상을 갖는 절결을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은 리브(80)(돌기, 걸어맞춤부)를 갖추는 외통체(D, Da) 및 단부(82)(절결, 피걸어맞춤부)를 갖추는 내통체(E, Ea)에 따르면, 외통체(D, Da)에 대해서 내통체(E, Ea)를 아래로 내림으로써, 단부(82)를 형성하는 측면(83)을, 연장하는 리브(80)를 따른 방향에서의 리브(80)의 양단 중 상측에 위치하는 일단(상단)(81)에 서서히 근접하여 당접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외통체(D, Da)의 리브(80)(돌기, 걸어맞춤부)와, 내통체(E, Ea)의 단부(82)(절결, 피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춤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외통체(D, Da)와 내통체(E, Ea)의 상대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리브(80)(돌기, 걸어맞춤부)가, 나사산부(8)의 나선 방향에서의 양단부 중 하측에 위치하는 일단부(하단부) 가까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내통체(E, Ea)의 본체부(21, 71)와, 외통체(D, Da)의 바닥벽(2, 7)이 축선 방향에서 소정 거리 이간해 있는 위치에 있어서, 내통체(E, Ea)의 내림을 정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다음에, 외통체(D, Da)에 대해서 내통체(E, Ea)가 위로 올라갈 때에, 내통체(E, Ea)의 본체부(21, 71)와, 외통체(D, Da)의 바닥벽(2, 7)이 축선 방향에서 소정 거리 이간해 있는 상태로부터 내통체(E, Ea)가 위로 올라가기 때문에, 내통체(E, Ea)의 본체부(21, 71)와, 외통체(D, Da)의 바닥벽(2, 7)이 면 접촉함으로써 외통체(D, Da)에 대해서 내통체(E, Ea)가 위로 올라가기 어려워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소정 거리는 여러 가지 조건을 고려하여, 외통체(D, Da)의 축선 방향에서의 리브(80)(돌기, 걸어맞춤부)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적절히 설정된다.
상술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나타낸 각 구성 부재의 여러 형상이나 조합 등은 일례이며, 본 발명의 취지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설계 요구 등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나타낸 각 구성 요소를 적절히 조합해도 좋다.
본 발명의 립스틱 용기는 사용 개시 시에 사용자가 잘못해서 립스틱을 너무 내보내서, 립스틱이 부러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최근의 경도가 부드러운 립스틱을 수납하는 립스틱 용기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A 립스틱 용기
B 용기 본체 
C 캡
D, Da 외통체
E, Ea 내통체
F 중통체
G 중간 접시체
k 립스틱
s1, s2 간극
1, 6 외주벽
2, 7 바닥벽
3 암나사부
8 나사산부
10, 60 장착통
11 삽입통부
12 플랜지부
13 캡 장착부
14 환상 돌기
16, 61 시일통
21, 71 본체부
22 수나사부(나사부)
23, 73 나선 홈
23a, 73a 경사부분
23b, 73b 수평부분(평면부분)
24 상부 지름 축소부
31 수납통부
32 가이드통부
33 슬릿부
34 걸어멈춤 돌기부
41 접시측벽
42 접시 바닥벽
43 수납 리브
44 안내통벽
45 나사 결합 핀
50 내측 커버
51 정벽
52 측주벽
72 나사홈부(나사부)
74, 77, 77a, 79, 79a 간섭 돌기
76, 76a, 78, 78a 밸브 작동부
80 리브(돌기, 걸어맞춤부)
81 상단
82 단부(절결, 피걸어맞춤부)
83 측면
84 상면

Claims (13)

  1.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에 장착하는 캡을 구비하는 립스틱 용기이며, 상기 용기 본체는,
    립스틱을 수납하고, 나사 결합 핀이 설치된 중간 접시체와,
    상기 중간 접시체를 회전 불가능 또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중통체와,
    상기 중간 접시체의 상기 나사 결합 핀과 나사 결합하는 나선 홈이 형성되어, 상기 중통체의 외주에서 회동함으로써 상기 중간 접시체를 상하 이동하는 내통체와,
    상기 내통체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나사 결합되는 외통체,
    를 구비하고,
    상기 외통체를 회동함으로써, 상기 중간 접시체와 상기 내통체의 한쪽이 정 위치에 위로 올라가며 상기 한쪽이 정 위치에 도달한 후에는, 상기 외통체를 회동함으로써, 상기 중간 접시체와 상기 내통체의 다른 한쪽이 위로 올라가는 립스틱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체와 상기 내통체가 나사 결합할 때의 작동 저항은, 상기 중간 접시체의 상기 나사 결합 핀과 상기 내통체의 상기 나선 홈이 나사 결합할 때의 작동 저항보다 큰 립스틱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체와 상기 내통체가 나사 결합할 때의 작동 저항은, 상기 중간 접시체의 상기 나사 결합 핀과 상기 내통체의 상기 나선 홈이 나사 결합할 때의 작동 저항보다 작은 립스틱 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체는, 상기 외통체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를 갖추고,
    상기 나선 홈의 피치가 상기 나사부의 피치보다 큰 립스틱 용기.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체는, 상기 외통체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를 갖추고,
    상기 나선 홈의 피치가 상기 나사부의 피치보다 작은 립스틱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체는, 상기 나선 홈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내통체의 중심축선을 따른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평면 부분을 갖는 립스틱 용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체는, 상기 외통체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를 갖추고, 상기 나사부에 간섭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립스틱 용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체는, 상기 외통체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를 갖추고, 상기 나사부에 간섭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립스틱 용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에 간섭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립스틱 용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돌기는, 상기 나사부를 따라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립스틱 용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돌기는, 상기 나사부를 따라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립스틱 용기.
  12. 제7항, 제8항, 제10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돌기는, 지름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밸브 작동부에 형성되어 있는 립스틱 용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돌기는, 지름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밸브 작동부에 형성되어 있는 립스틱 용기.
KR1020207017106A 2017-12-27 2018-12-27 립스틱 용기 KR1025424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50775 2017-12-27
JPJP-P-2017-250775 2017-12-27
JPJP-P-2018-069860 2018-03-30
JP2018069860 2018-03-30
PCT/JP2018/047993 WO2019131821A1 (ja) 2017-12-27 2018-12-27 口紅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916A KR20200101916A (ko) 2020-08-28
KR102542457B1 true KR102542457B1 (ko) 2023-06-12

Family

ID=67067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7106A KR102542457B1 (ko) 2017-12-27 2018-12-27 립스틱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04496B2 (ko)
EP (1) EP3733018B1 (ko)
JP (1) JP6929384B2 (ko)
KR (1) KR102542457B1 (ko)
CN (1) CN111526755B (ko)
WO (1) WO20191318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17072B2 (en) * 2018-07-11 2023-08-08 Pat Mcgrath Cosmetics Llc Lipstick arrangement
JP7308780B2 (ja) 2020-02-28 2023-07-1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繰出容器
JP7427343B2 (ja) 2020-11-30 2024-02-0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繰出し容器
KR102568096B1 (ko) 2022-12-27 2023-08-18 오윤탁 립스틱 케이스
KR102646439B1 (ko) * 2023-12-04 2024-03-11 지윤정 탄성 걸림 구조를 갖는 스틱형 화장품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4368A (ja) 2005-06-05 2006-12-14 Mikio Kuzuu 口紅等の収納容器
JP2008043590A (ja) 2006-08-18 2008-02-28 Tokiwa Corp 充填物押出容器
JP2008055025A (ja) 2006-09-01 2008-03-13 Suzuno Kasei Kk 棒状化粧材繰り出し容器
WO2013191523A2 (ko) 2013-07-24 2013-12-27 Kim Yoon Hoi 슬라이드형 립스틱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26983A (en) * 1978-07-20 1980-02-13 Cardia E Cosmetics containers
JPS6073418U (ja) * 1983-10-25 1985-05-23 釜屋化学工業株式会社 繰出容器
JPS64838Y2 (ko) 1984-12-28 1989-01-10
JPS64838U (ko) 1987-06-17 1989-01-05
KR100238849B1 (ko) * 1994-07-08 2000-01-15 마츠누마 히데오 화장품용기
JP2736039B2 (ja) * 1994-08-25 1998-04-02 株式会社トキワ 化粧料繰り出し容器
JP4154176B2 (ja) 2002-05-31 2008-09-2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棒状化粧料の収納皿
EP1681979A1 (en) * 2003-11-13 2006-07-26 Unilever Plc Fabric cleaning fluid and dispensing device
JP3882175B1 (ja) * 2006-08-05 2007-02-14 幹夫 葛生 口紅等の収納容器
JP6168474B2 (ja) 2011-08-12 2017-07-26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レジスト組成物、レジストパターン形成方法、それに用いるポリフェノール化合物及びそれから誘導され得るアルコール化合物
US20130230347A1 (en) * 2012-07-24 2013-09-05 Rnd Group Llc Slide type lipstick case structure
JP6672124B2 (ja) 2016-10-26 2020-03-25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車両用の空調装置
CN206761066U (zh) * 2017-04-24 2017-12-19 苏州佑嘉塑胶科技有限公司 一种旋拧式防脱口红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4368A (ja) 2005-06-05 2006-12-14 Mikio Kuzuu 口紅等の収納容器
JP2008043590A (ja) 2006-08-18 2008-02-28 Tokiwa Corp 充填物押出容器
JP2008055025A (ja) 2006-09-01 2008-03-13 Suzuno Kasei Kk 棒状化粧材繰り出し容器
WO2013191523A2 (ko) 2013-07-24 2013-12-27 Kim Yoon Hoi 슬라이드형 립스틱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33018B1 (en) 2022-04-27
US11304496B2 (en) 2022-04-19
CN111526755B (zh) 2023-03-24
WO2019131821A1 (ja) 2019-07-04
EP3733018A4 (en) 2021-09-15
US20200337439A1 (en) 2020-10-29
JP6929384B2 (ja) 2021-09-01
EP3733018A1 (en) 2020-11-04
CN111526755A (zh) 2020-08-11
KR20200101916A (ko) 2020-08-28
JPWO2019131821A1 (ja) 2020-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2457B1 (ko) 립스틱 용기
US6746170B2 (en) Device for packaging and distributing a substance
KR100496245B1 (ko) 봉형상 화장료 슬라이딩 용기
US20040020811A1 (en) Case
US5879093A (en) Mechanism for feeding stick type cosmetic materials, container employing the same and cartridge employed therein
JP7206038B2 (ja) 繰出容器
JP6161935B2 (ja) 棒状化粧料繰り出し容器
US20020168213A1 (en) Container for stick type cosmetic material
JP2006239277A (ja) 口紅等の収納容器
JP2002262936A (ja) 棒状化粧材繰出容器
JP2008125947A (ja) 棒状化粧材繰出容器
JP7292166B2 (ja) 繰出容器
JP6817046B2 (ja) 繰出容器
JP5466923B2 (ja) 棒状化粧品の収納容器
JP2023144260A (ja) 繰出容器
JPH10229914A (ja) 棒状化粧材繰出容器
KR102549180B1 (ko) 스틱 용기
WO2023095233A1 (ja) 消しゴムケース
JP7370676B2 (ja) 繰出し容器
JP7438635B2 (ja) 繰り出し容器
JP6980347B2 (ja) 口紅容器
JP7175846B2 (ja) 繰出し容器
US20230200516A1 (en) Cup module for a cosmetic stick mechanism, cup comprising such a module, refill comprising such a cup, and receptacle comprising such a cup or refill
JP7246273B2 (ja) 繰出容器
KR102569160B1 (ko) 정량 출몰 조절용 다각형 스틱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