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828B1 - 물품 판매기의 칼럼 자동 설정장치 - Google Patents

물품 판매기의 칼럼 자동 설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828B1
KR102540828B1 KR1020217014225A KR20217014225A KR102540828B1 KR 102540828 B1 KR102540828 B1 KR 102540828B1 KR 1020217014225 A KR1020217014225 A KR 1020217014225A KR 20217014225 A KR20217014225 A KR 20217014225A KR 102540828 B1 KR102540828 B1 KR 102540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shelf
unit
motor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4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2084A (ko
Inventor
히로시 쿠도세
카츠야 셈본기
히로노리 이토
노부유키 다카야마
히데키 사다카타
타츠야 히로세
Original Assignee
산덴 리테일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덴 리테일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덴 리테일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72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2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165Delivery means using xyz-picker or multi-dimensional article pick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 B65G1/08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the articles being fed by grav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motor-drive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30Modular constru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칼럼의 설정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물품 판매기의 칼럼 자동 설정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물품을 수납하는 선반(13)에 설치되고, 물품을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수납하는 칼럼과, 칼럼마다 선반(13)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판매 명령에 근거하여 칼럼에 수납된 물품을 순차적으로 반출(搬出)하는 반출 기구(機構)(55)를 구비한 물품 판매기(1)의 칼럼 자동 설정장치로서, 반출 기구(55)는, 선반(13)에 미리 설정된 복수 군데의 좌우 위치에 임의로 설치 가능하고, 반출 기구(55)의 모터(61)의 접속 상태에 따라 모터(61)의 설치 위치를 검출하는 모터 유무 정보 작성부(81)와, 모터 유무 정보 작성부(81)에 의해 검출한 모터(61)의 유무 정보에 근거하여, 선반(13)에 있어서의 반출 기구(55)의 종류 및 설치 위치를 자동적으로 판정하는 패턴 추출부(8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물품 판매기의 칼럼 자동 설정장치
[0001] 본 발명은, 물품을 자동적으로 판매하는 물품 판매기에 있어서, 물품을 수납하는 선반의 칼럼(column)을 자동적으로 설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0002] 상자형상의 캐비닛 내에 설치된 선반에 복수의 종류의 물품을 수납하고, 구입자가 선택한 물품을 자동적으로 반출(搬出)하는 물품 판매기가 알려져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물품 판매기(자동 판매기)에서는, 캐비닛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배치된 선반의 전방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버킷(캐처 버킷)을 구비하고, 구입자가 선택한 물품을 반출 기구(機構)에 의해 선반으로부터 전방으로 밀어 내고, 해당 선반의 전방으로 이동한 버킷에 물품을 반출한다. 그리고, 물품을 실은 버킷을 물품 판매기의 하부에 위치하는 물품 배출구(取出口)와 마주 보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해당 물품 배출구에서 구입자가 물품을 꺼내는 구조로 되어 있다.
[0003] 또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물품 판매기에서는, 선반을 좌우 방향으로 복수 개로 칸막이하고,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한 칼럼을 형성하고 있다. 각 칼럼에는, 물품이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놓이는 동시에, 나선봉형상의 부품인 스파이럴을 구비한 반출 기구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이 스파이럴은 축선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스파이럴 사이에 물품을 끼우도록 하여 지지하고 있고, 스파이럴의 후부(後部)에 설치된 모터에 의해 해당 스파이럴을 회전시킴으로써, 물품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0004] 한편, 특허문헌 2에는, 물품 판매기의 모터 등의 각종 전기 액추에이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판정하는 테스트 기능을 구비한 물품 판매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물품 판매기에서는, 각 전기 액추에이터를 소정 시간 작동시켰을 때의 전류치에 근거하여, 하니스(harness)의 접속 불량 등의 고장을 판정한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H05-81533호 일본 특허공보 제2822359호
[0006] 그런데, 다른 크기의 물품을 수납 가능하게 하는 물품 판매기에서는, 각 선반에 있어서, 칼럼의 폭 및 위치를 미리 정해진 복수 군데에서 선택하여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이 칼럼의 폭 및 위치를 변경한 경우에는, 1개의 선반에 있어서 칼럼의 개수가 변경되는 경우가 있고, 또한 이에 따라 반출 기구의 위치도 변경된다.
[0007] 그러나, 이와 같이 칼럼의 개수, 위치를 변경한 경우에는, 그 위치에 맞춰 조작 패널의 조작 스위치를 변경하여 칼럼과 조작 스위치를 정합시키는 칼럼의 설정 작업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 칼럼의 설정 작업은, 관리자가 칼럼을 변경할 때마다 실행할 필요가 있어, 용이하게 설정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0008]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선반에 있어서의 복수의 칼럼의 개수나 위치를 변경 가능한 물품 판매기에 있어서, 칼럼의 설정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물품 판매기의 칼럼 자동 설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0009]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물품 판매기의 칼럼 자동 설정장치는, 물품을 수납하는 선반에 좌우로 복수 개 나란히 설치되고, 상기 물품을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수납하는 칼럼과, 상기 선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판매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칼럼에 수납된 물품을 순차적으로 반출하는 반출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반출 기구는, 상기 선반에 미리 설정된 복수 군데의 좌우 위치에 임의로 설치 가능한 물품 판매기의 칼럼 자동 설정장치로서, 상기 선반에 있어서의 상기 반출 기구의 설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기와, 상기 위치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반출 기구의 설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선반에 있어서의 상기 칼럼의 설정 상황을 판정하는 판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0]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출 기구는, 1개의 구동부와, 1개 또는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상기 칼럼을 점유하여 설치되는 반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반출부가 점유하는 상기 칼럼의 수 또는 상기 반출부에 대한 상기 구동부의 상대적인 위치가 다른 복수의 종류에서 선택하여 설치되고, 상기 위치 검출기는, 상기 칼럼마다 검출한 상기 구동부의 설치의 유무를 상기 반출 기구의 설치 위치로서 검출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위치 검출기에 의해 검출한 상기 구동부의 설치의 유무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반출 기구의 종류 및 설치 위치를 상기 칼럼의 설정 상황으로서 판정하면 된다.
[0011] 바람직하게는, 상기 칼럼의 설정 상황이 복수의 패턴으로 판정되는 경우에 경고를 행하는 경고부를 구비하면 된다.
[0012]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칼럼의 설정 상황이 복수의 패턴으로 판정된 경우에, 해당 복수의 패턴의 상기 설정 상황을 표시시키는 표시부를 구비하면 된다.
[0013]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복수의 패턴의 상기 설정 상황으로부터, 실제의 상기 칼럼의 설정 상황을 선택하여 확정시키는 선택부를 구비하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상기 칼럼의 설정 상황에 근거하여, 상기 칼럼에 수납되는 물품의 정보, 및 상기 물품을 구입하기 위한 조작 버튼을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면 된다.
[0014]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반에 있어서의 반출 기구의 설치 위치를 위치 검출기에 의해 검출하고, 검출한 반출 기구의 설치 위치에 근거하여 선반에 있어서의 칼럼의 설정 상황이 판정되므로, 칼럼의 설정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0015]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물품 판매기의 개략 외부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물품 판매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물품 수납부의 선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물품 수납부의 선반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물품 수납부의 선반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정면도이다.
도 6은, 모두 싱글 칼럼 타입의 반출 기구가 설치된 선반의 구조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각 칼럼 타입의 반출 기구의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칼럼 자동 설정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9는, 칼럼 자동 설정 제어 요령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0은, 모터 유무 정보 작성 서브 루틴에 있어서의 제어 요령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1은, 조작 패널에 있어서의 모터 유무 정보의 표시예이다.
도 12는, 패턴 추출·세팅 서브 루틴에 있어서의 제어 요령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3은, 패턴 추출 후의 조작 패널에 있어서의 표시예이다.
도 14는, 조합 선택 중에서의 조작 패널에 있어서의 표시예이다.
도 15는, 조합 결정 후의 조작 패널에 있어서의 표시예이다.
도 16은, 조합 결정 후의 조작 패널에 있어서의 다른 표시예이다.
도 17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칼럼 패턴의 일람표이다.
[0016]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0017]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물품 판매기의 개략 외부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물품 판매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0018]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품 판매기(1)는, 물품을 수납하는 본체 유닛(2)과, 조작 유닛(3)을 구비하고 있다.
[0019] 본체 유닛(2)은, 전면(前面)을 개구(開口)한 상자형(箱型)으로 형성되고, 전면 개구를 자유자재로 개폐 가능하게 덮는 도어(5)를 구비한 상자형상의 캐비닛(4)을 갖고 있다. 또한, 캐비닛(4)의 내부에는, 물품을 수납하는 물품 수납부(6)가 설치되어 있다.
[0020] 조작 유닛(3)은, 본체 유닛(2)의 측방(側方)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물품의 선택 스위치와, 지폐, 동전 등에 의한 요금의 수용이나 지급, 혹은 카드에 의한 결제를 행하는 과금부(課金部)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 유닛(3)은, 과금부에 있어서 요금의 지불이 행해지고, 선택 스위치에 의해 물품의 선택 조작이 됨으로써, 판매 명령을 본체 유닛(2)에 송신한다.
[0021] 도 1,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유닛(2)의 도어(5)의 전면 상부에는, 투명한 유리나 수지에 의해 형성된 투명판(10)에 의해 내부가 눈으로 확인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어(5)의 하부에는, 직사각형상의 물품 배출구(11)(배출구)가 구비되어 있다. 물품 배출구(11)에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배출구 셔터(12)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구 셔터(12)는, 물품 배출구(11)의 상부 가장자리부(緣部)에 전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배출구 셔터(1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폐색 위치에서 물품 배출구(11)를 폐색하고, 이 폐색 위치로부터 하부를 후방으로 요동시킴으로써, 물품 배출구(11)가 개구된다.
[0022] 캐비닛(4)의 내부의 물품 수납부(6)는,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전부(前部)를 개구한 복수 개(예컨대 6개)의 선반(13a~13f)이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물품 수납부(6)에 있어서의 최하단(最下段)의 선반(13f)은, 예컨대 패트병 음료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비교적 큰 물품을 수납하고, 최상단(最上段)의 선반(13a)은 상하 방향으로 비교적 작은 물품을 수납한다.
[0023] 선반(13a~13f)의 전단부(前端部)와 도어(5)의 전면인 투명판(10) 사이에는 전후 방향으로, 버킷(30)이 이동하는 공간(space)(이후, 버킷 이동 공간(21)이라고 함)이 형성되어 있다.
[0024] 버킷(30)은, 선반(13a~13f)의 좌우 방향과 거의 동일한 길이로 구성되고, 버킷 이동 공간(21)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버킷(30)은, 도어(5)의 내부에 설치된 미도시된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버킷(30)의 바닥판(底板)(31)의 후단부(後端部)가 각 선반(13a~13f)의 바닥판의 상하 위치로 이동 가능한 동시에, 최하방으로 이동했을 때에 최하단의 선반(13f)의 하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최하방으로 이동한 버킷(30)의 위치가 대기·배출 위치이며, 이 대기·배출 위치에 있어서, 버킷(30)의 전면에 물품 배출구(11)가 위치하고, 배출구 셔터(12)를 엶으로써, 버킷(30) 내에 손을 넣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0025] 본체 유닛(2)의 내부에는, 물품 수납부(6)의 하방에 기계실(22)이 구비되어 있다. 기계실(22)에는, 냉동 사이클에 의한 냉각 기기의 응축기(23a), 응축기용 팬(23b), 압축기(23c)가 구비되어 있다. 기계실(22)의 전부 및 후부는, 외부와 연결되어 통해 있다. 또한, 기계실(22)과 최하단의 선반(13f) 사이에는, 하부 덕트(24)가 구비되어 있다. 하부 덕트(24)에는, 냉각 기기의 증발기(23d) 및 증발기(23d)용 팬(23e)이 구비되어 있다. 팬(23e)은, 하부 덕트(24)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증발기(23d)를 통과시키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킨다.
[0026] 하부 덕트(24)의 후부는, 물품 수납부(6)의 후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부 덕트(25)와 연결되어 통해 있다. 또한 물품 수납부(6)의 상방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덕트(26)가 구비되어 있다.
[0027] 상부 덕트(26)의 전방의 개구부(開口部)는, 버킷 이동 공간(21)의 상부를 향해 개구되어 있다. 또한, 상부 덕트의 전방의 개구부의 상부 가장자리부에는, 전방을 향해 하방으로 예컨대 45도의 각도로 경사지는 도풍판(導風板)(27)이 설치되어 있다.
[0028] 한편, 하부 덕트(24)의 전단부에는, 백 패널(28)이 설치되어 있다. 백 패널(28)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부 덕트(24)와 그 전방의 버킷 이동 공간(21)을 구획한다. 또한, 백 패널(28)의 상부의 경사부(28a)에는, 직경 수 mm 정도의 통기구멍(28c)이 거의 1cm 간격으로 상하좌우로 복수 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0029] 도 2 중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 기기의 각 기기를 작동시키고, 특히 하부 덕트(24) 내의 팬(23e)을 작동시킴으로써, 증발기(23d)를 통과하여 냉각된 냉각풍이, 하부 덕트(24)로부터, 후부 덕트(25), 상부 덕트(26), 버킷 이동 공간(21), 그리고 하부 덕트(24)의 순서로 순환된다. 또한, 후부 덕트(25)로부터 냉각풍의 일부는 선반(13a~13f) 사이를 전방으로 이동하여, 선반(13a~13f)에 수납한 물품을 냉각한다.
[0030] 상부 덕트(26)로부터 버킷 이동 공간(21)으로 냉각풍이 이동할 때, 도풍판(27)에 의해 냉각풍은 버킷 이동 공간(21)의 후부를 하방을 향해 이동하고, 백 패널(28)의 통기구멍(28c)을 통해 하부 덕트(24)로 냉각풍이 이동한다. 따라서, 냉각풍에 의해 선반(13a~13f)의 전면에 에어 커튼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냉각풍이 도어(5)의 투명판(10)에 접촉하는 것이 억제되어, 도어(5)의 투명판(10)의 흐려짐을 억제할 수 있다.
[0031] 이하, 도 3~도 7을 이용하여 물품 수납부(6)에 있어서의 선반(13)(13a~13f)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0032] 도 3은, 물품 수납부(6)의 선반(13)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물품 수납부(6)의 선반(13)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물품 수납부(6)의 선반(13)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정면도이다. 또한, 도 3에 있어서는, 칸막이판(71)을 분리한 상태에서, 1개의 반출 기구(55)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모두 싱글 칼럼 타입의 반출 기구(55)가 설치된 선반(13)의 구조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각 칼럼 타입의 반출 기구(55)의 모식도인 (a)는 싱글 타입, (b)는 더블 칼럼 타입, (c)는 중앙 구동 트리플 칼럼 타입, (d)는 좌구동(左驅動) 트리플 칼럼 타입이다.
[0033]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반(13)(13a~13f)은, 바닥판(51)과 좌우의 측판(側板)(52)과 배면판(背面板)(53)을 가지며, 상방 및 전방이 개구된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반(13)에는, 반출 기구(55)와 미도시된 칸막이판이 구비되어 있다.
[0034] 반출 기구(55)는, 직경 수 mm의 금속봉을 나선형으로 형성한 스파이럴부(57)(반출부)와, 스파이럴부(57)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60)를 구비하고 있다. 스파이럴부(57)의 축선 방향의 길이는, 바닥판(51)의 전후 길이와 거의 동일하고, 미도시된 칸막이판 사이, 혹은 칸막이판과 측판(52)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0035] 칸막이판은, 바닥판(51) 위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좌우의 측판(52) 사이를 서로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된다. 칸막이판은, 선반(13)의 바닥판(51) 및 배면판(53)에 설치된 복수의 부착 부분에 임의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0036] 구동부(60)는, 선반(13)의 배면판(53)에 지지되며, 스파이럴부(57)의 후단부를 고정하고, 스파이럴부(57)의 축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해당 스파이럴부(57)를 회전 구동시킨다.
[0037] 구동부(60)는, 모터(61)(구동부), 변속기부(62), 기어 샤프트(63)를 구비하고 있다.
[0038] 변속기부(62)는, 변속 기어를 내장하고 있고, 선반(13)의 배면판(53)의 후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0039] 변속기부(62)의 상부의 후면측에는 모터(61)가 고정된다. 변속기부(62)의 하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어 샤프트(63)의 후부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0040] 기어 샤프트(63)는, 원기둥형상의 샤프트의 전단부에, 스파이럴부(57)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의 원판형상의 기어(67)를 고정하여 형성되어 있다. 기어 샤프트(63)의 전단부는 배면판(53)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기어(67)는 배면판(53)에 근접하여 전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0041] 기어(67)의 전면에는, 스파이럴부(57)의 후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기어 샤프트(63), 기어(67), 스파이럴부(57)는, 중심선(축선)이 동일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61)를 구동함으로써, 변속기부(62)의 내부의 변속 기어를 통해, 기어 샤프트(63)가 회전 구동하고, 이에 따라 기어(67) 및 스파이럴부(57)가 회전 구동된다.
[0042] 또한, 스파이럴부(57)의 내부에는, 스파이럴부(57)의 축선과 평행하게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상자형상의 받침대(臺座)(70)가 설치되어 있다. 받침대(70)는, 선반(13)의 바닥판(51)에 지지되고, 그 상면은 스파이럴부(57)의 축선과 상하 위치가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0043] 또한, 도 3에서는,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스파이럴부(57)에 의해 1쌍(組)의 반출 기구로서, 1열의 물품을 지지 및 반출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이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스파이럴부(57) 중 한쪽에는 모터(61)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 도 3에서는, 선반(13)에 설치된 복수의 반출 기구(55) 중, 하나의 스파이럴부(57) 및 받침대(70)만 나타내고 있지만, 다른 반출 기구(55)에도 마찬가지로 스파이럴부(57) 및 받침대(7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2개의 스파이럴부(57)에 의해 1열의 물품을 반출하는 반출 기구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2개의 반출 기구(55)의 기어(67)를 서로 맞물리게 하도록 하는 동시에, 스파이럴부(57)의 감기 방향을 역방향으로 한다.
[0044] 물품은, 받침대(70) 위에, 그리고 스파이럴부(57)의 피치마다 끼움지지(挾持)되도록, 전방의 피치 사이부터 놓여 있다. 그리고, 스파이럴부(57)를 1피치분(分) 회전시킴으로써 스파이럴부(57)에 끼움지지되어 있는 물품은 전방으로 이동하고, 해당 스파이럴부(57)의 가장 전방에 지지되어 있는 물품이 선반(13)으로부터 전방으로 반출된다. 그리고, 선반(13)으로부터 전방으로 반출된 물품은, 버킷 이동 공간(21)에 위치하는 버킷(30)으로 낙하한다.
[0045] 또한, 반출 기구(55)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선반(13)의 배면판(53)에 설치 가능하다. 서로 이웃하는 반출 기구(55)를 서로 좌우 방향으로 이격(離間)시켜 설치시키고, 기어(67)가 맞물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독립적으로 스파이럴부(57)를 회전 작동시킬 수 있다.
[0046]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67)가 이격된 서로 이웃하는 반출 기구(55) 사이에 칸막이판(71)을 각각 설치하는 동시에, 각각의 반출 기구(55)에 모터(61)를 구비함으로써, 비교적 소형의 물품을 각각의 반출 기구(55)에 수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칸막이판(71) 사이, 또는 칸막이판(71)과 측판(52) 사이의 물품을 일렬로 수납하는 공간(space)을 1개의 칼럼(72)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1개의 스파이럴부(57)로 반출 기구(55)를 구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싱글 칼럼 타입,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스파이럴부(57)를 사용하여 반출 기구(55)를 구성하는 경우를, 더블 칼럼 타입이라고 한다. 좌우로 3개 나란한 칼럼(72) 중 좌우 양측의 스파이럴부(57)를 사용하여 반출 기구(55)를 구성하는 경우를, 트리플 칼럼 타입이라고 한다.
[0047]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의 (a)에 나타내는 싱글 칼럼 타입의 반출 기구(55a), (b)에 나타내는 좌구동 더블 칼럼 타입의 반출 기구(55b), (c)에 나타내는 중앙 구동 트리플 칼럼 타입의 반출 기구(55c), (d)에 나타내는 좌구동 트리플 칼럼 타입의 반출 기구(55d)의 4가지 종류의 반출 기구가 사용 가능하다.
[0048]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싱글 칼럼 타입의 반출 기구(55a)는, 1개의 칼럼(72)에 모터(61)가 설치된다. 즉, 후술하는 모터(61)의 유무 정보의 패턴 a는, 칼럼번호 n에 있어서 모터(61) 있음이 된다. 또한, 칼럼번호 n은, 왼쪽으로부터 n번째의 칼럼(72)을 나타낸다.
[0049] 좌구동 더블 칼럼 타입의 반출 기구(55b)는,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스파이럴부(57)를 가지며, 구동부(60)의 모터(61)는 좌측의 칼럼(72)에 설치되고, 우측의 칼럼(72)에는 모터(61)는 설치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우측에 모터(61)를 설치하는 더블 칼럼 타입의 반출 기구는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구동 더블 칼럼 타입의 반출 기구(55b)에서는, 모터(61)의 유무 정보의 패턴 b는, 칼럼번호 n에 있어서 모터(61) 있음, 칼럼번호 n+1에 있어서 모터(61) 없음이 된다.
[0050] 도 7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 구동 트리플 칼럼 타입의 반출 기구(55c)는, 좌우로 3개 나란한 칼럼(72) 중 중앙의 칼럼(72)에 모터(61)를 설치하고 좌우 양측의 칼럼(72)에 스파이럴부(57)를 갖는다. 한편, 도 7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구동 트리플 칼럼 타입의 반출 기구(55d)에서는, 좌우로 3개 나란한 칼럼(72) 중 좌측의 칼럼(72)에 모터(61)를 설치하고 좌우 양측의 칼럼(72)에 스파이럴부(57)를 갖는다. 또한, 좌우로 3개 나란한 칼럼(72) 중 우측의 칼럼(72)에 모터(61)를 설치한 우구동(右驅動) 트리플 칼럼 타입의 반출 기구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도 7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 구동 트리플 칼럼 타입의 반출 기구(55c)에서는, 모터(61)의 유무 정보의 패턴 c는, 칼럼번호 n에 있어서 모터(61) 없음, 칼럼번호 n+1에 있어서 모터(61) 있음, 칼럼번호 n+2에 있어서 모터(61) 없음이 된다. 도 7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구동 트리플 칼럼 타입의 반출 기구(55d)에서는, 모터(61)의 유무 정보의 패턴 d는, 칼럼번호 n에 있어서 모터(61) 있음, 칼럼번호 n+1에 있어서 모터(61) 없음, 칼럼번호 n+2에 있어서 모터(61) 없음이 된다.
[0051]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칼럼 자동 설정장치(80)의 구성도이다.
[0052]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선반(13)에 6개의 칼럼(72)을 가지며, 싱글 칼럼 타입의 반출 기구(55a)가 6개 설치 가능하다. 또한, 선반을 6단으로 설치 가능하다.
[0053]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칼럼 자동 설정장치(80)는, 모터 유무 정보 작성부(81)(위치 검출기), 패턴 추출부(82)(판정부) 및 조작 패널(83)(표시부, 경고부, 선택부)을 구비하고 있다.
[0054] 모터 유무 정보 작성부(81) 및 패턴 추출부(82)는, 물품 판매기의 전체적인 제어를 행하는 컨트롤 유닛(84)(제어부)에 구비되어 있다.
[0055] 조작 패널(83)은, 예컨대 조작 유닛(3)에 구비되며, 액정 패널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물품을 판매할 때의 선택 조작을 행하는 장치이다.
[0056] 캐비닛(4)의 물품 수납부(6)에는, 각 선반(13)에 설치한 반출 기구(55)의 모터(61)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85)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예컨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선반(13)을 6단 설치 가능한 동시에, 각 선반(13)에 6개의 반출 기구(55)를 구비할 수 있는 경우에는, 6×6=36개의 커넥터(85)가 구비되어 있다. 각 커넥터(85)는, 컨트롤 유닛(84)에 각각 전력 공급선(78)을 통해 접속되어 있고, 컨트롤 유닛(84)을 통해 전력이 공급된다.
[0057] 각 커넥터(85)에는, 몇 번째 단의 선반(13)(1번째 단~6번째 단)의 왼쪽으로부터 몇 번째(1번째~6번째) 등과 같이 마킹이 되어 있다.
[0058] 반출 기구(55)의 모터(61)에는, 1개의 커넥터(85)와 접속하는 커넥터(86)를 구비하고 있다.
[0059] 또한, 선반(13)의 모터(61)의 설치 위치에도, 예컨대 왼쪽으로부터 몇 번째(1번째~6번째) 등과 같은 마킹이 되어 있다.
[0060] 그리고, 상기와 같이 관리자가 선반(13)에 수납하는 물품의 크기에 따라, 상기와 같이 싱글 칼럼 타입이나 더블 칼럼 타입 등의 반출 기구(55)를 임의로 설정한 경우에는, 관리자는 추가로, 모터(61)를 구동시키기 위해, 선반(13)에 있어서의 모터(61)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커넥터(85)와 각 모터(61)의 커넥터(86)를 접속한다.
[0061] 컨트롤 유닛(84)은, 입출력장치, 기억장치(메모리(84a))(ROM, RAM, 불휘발성 RAM 등), 중앙 연산 처리장치(CPU) 및 타이머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컨트롤 유닛(84)은, 조작 패널(83)에 표시되는 각종 스위치의 조작 신호 및 각 모터(61)에 흐르는 전류치를 입력하고, 조작 패널(83)에 모터의 검출 결과 및 설정 상태, 설정 스위치, 설정 결과를 표시한다.
[0062] 또한, 컨트롤 유닛(84)에는, 리모트 컨트롤러(87)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87)는, 조작 패널(83)에 있어서의 표시 내용이나 조작 스위치의 전부 혹은 일부를 표시하여, 조작 패널(83)의 모든 기능 혹은 일부의 기능의 대체로서 사용된다.
[0063] 도 9는, 컨트롤 유닛(84)에 있어서 실행하는 칼럼 자동 설정 제어 요령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0은, 모터 유무 정보 작성 서브 루틴에 있어서의 제어 요령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1은, 조작 패널(83)에 있어서의 모터 유무 정보의 표시예이다. 도 12는, 패턴 추출·세팅 서브 루틴에 있어서의 제어 요령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3은, 패턴 추출 후의 조작 패널(83)에 있어서의 표시예이다. 도 14는, 조합 선택 중에서의 조작 패널(83)에 있어서의 표시예이다. 도 15는, 조합 결정 후의 조작 패널(83)에 있어서의 표시예이다. 도 16은, 조합 결정 후의 조작 패널(83)에 있어서의 다른 표시예이다. 도 17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칼럼 패턴의 일람표이다.
[0064] 도 9에 나타내는 칼럼 자동 설정 제어는, 모터(61)의 커넥터(86)를 모터의 위치에 해당하는 커넥터(85)에 접속한 후에, 조작 패널(83) 혹은 리모트 컨트롤러(87)로 칼럼 자동 설정 제어를 개시(開始) 지시함으로써 실행 개시된다.
[0065] 처음에, 단계 S10에서는, 모터 유무 정보 작성 서브 루틴을 실행한다. 모터 유무 정보 작성 서브 루틴은, 각 단의 선반(13a~13f)마다 차례로 실행된다.
[0066] 모터 유무 정보 작성 서브 루틴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음에 단계 S100에서는, 칼럼번호 n의 모터(61)에 대해 통전(通電)한다. 칼럼번호 n은, 본 서브 루틴 개시 시에는, n=1로 한다. 그리고, 단계 S110으로 진행한다.
[0067] 단계 S110에서는, 칼럼번호 n에 대해 전류 검지를 한다. 그리고, 단계 S120으로 진행한다.
[0068] 단계 S120에서는, 단계 S100에 있어서의 칼럼번호 n의 모터(61)에 대한 통전을 개시하고 나서 소정 시간(T1) 이상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소정 시간(T1)은, 반출 기구(55)가 구동하지 않을 정도의 약간의 시간이며, 예컨대 수 m초로 하면 된다. 소정 시간(T1) 이상 경과한 경우에는, 단계 S130으로 진행한다. 소정 시간(T1) 이상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10으로 되돌아간다.
[0069] 단계 S130에서는, 칼럼번호 n의 모터(61)에 대한 통전을 정지한다. 그리고 단계 S140으로 진행한다.
[0070] 단계 S140에서는, 단계 S110에서 검출한 칼럼번호 n의 모터(61)의 전류치의 검지 결과를 메모리(84a)에 기록한다. 또한, 모터(61)의 전류치의 검지 결과로서는, 전류가 흘렀는지의 여부를 결과로서 기록하면 된다. 전류가 흐른 경우에는, 칼럼번호 n의 커넥터(85)에 모터(61)가 접속되어 있음을, 즉, 칼럼번호 n에 모터(61)를 구비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한편, 전류가 흐르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칼럼번호 n의 커넥터(85)에 모터(61)가 접속되어 있지 않음을, 즉, 칼럼번호 n에 모터(61)가 구비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낸다. 그리고, 단계 S150으로 진행한다.
[0071] 단계 S150에서는, 현재 상태의 칼럼번호 n이 각 선반(13)에 있어서 가장 우측의 마지막 칼럼(72)인지의 여부, 예컨대 맨 위의 1번째 단의 선반(13a)인 경우에는 n=6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칼럼번호 n이 마지막 칼럼(72)인 경우에는, 본 서브 루틴을 종료한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본 서브 루틴은 선반(13)마다 실행되므로, 예컨대 선반(13)이 6단 설치된 경우에는, 본 서브 루틴을 합계 6회 실행하게 된다. 그리고, 본 서브 루틴을 종료하고, 도 9에 나타내는 메인 루틴의 단계 S20으로 진행한다. 칼럼번호 n이 마지막 칼럼(72)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 S160으로 진행한다.
[0072] 단계 S160에서는, n=n+1로 한다. 그리고, 단계 S100으로 되돌아간다.
[0073] 또한, 모터 유무 정보 작성 서브 루틴은, 모터 유무 정보 작성부(81)에 의한 제어로서, 본 발명의 위치 검출기에 해당한다.
[0074] 도 9의 단계 S20에서는, 모터(61)의 유무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단계 S30으로 진행한다. 모터(61)의 유무 정보는, 예컨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패널(83)에 선반번호 1~N(본 실시형태에서는, N=6)마다, 칼럼번호를 예컨대 동그라미 안에 표시한 칼럼번호 표시(90)를 좌측부터 차례로 표시하고, 모터(61)가 있는 칼럼(72)은 흰 동그라미 표시, 모터(61)가 없는 칼럼(72)은 그레이 표시와 같이 색을 바꾸어 표시한다. 도 11에서는, 1번째 단의 선반(13a)(선반번호 1: 선반 1로 표시)에서는, 왼쪽으로부터 칼럼번호 1(01로 표시)은 모터(61) 있음, 칼럼번호 2(02로 표시)는 모터(61) 없음, 칼럼번호 3(03으로 표시)은 모터(61) 있음, 칼럼번호 4(04로 표시)는 모터(61) 없음, 칼럼번호 5(05로 표시)는 모터(61) 있음, 칼럼번호 6(06으로 표시)은 모터(61) 없음을 나타내고 있다.
[0075] 단계 S30에서는, 패턴 추출·세팅 서브 루틴을 실행한다. 패턴 추출·세팅 서브 루틴은, 각 단의 선반(13)마다 차례로 실행된다. 또한, 본 서브 루틴의 개시 시에는, 선반번호 N=1로 한다.
[0076] 패턴 추출·세팅 서브 루틴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음에 단계 S200에서는, 선반번호 N의 패턴 추출을 실행 개시한다. 또한, 칼럼번호 n을, 선반번호 N의 가장 좌측의 칼럼번호로 설정한다. 그리고, 단계 S210으로 진행한다.
[0077] 단계 S210에서는, 선반번호 N의 칼럼번호 n, n+1, n+2에 대해, 메모리(84a)에 기억되어 있는 모터 유무 정보를 읽어낸다. 예컨대 선반(13a)(선반번호 1)에 있어서 처음에는, 칼럼번호 1, 칼럼번호 2 및 칼럼번호 3의 모터 유무 정보를 읽어내어 취득한다. 그리고, 단계 S220으로 진행한다.
[0078] 단계 S220에서는, 단계 S210에서 읽어낸 칼럼번호 n의 모터 유무 정보가, 도 7의 (a)에 나타내는 싱글 칼럼 타입의 모터 유무 정보의 패턴 a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패턴 a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단계 S230으로 진행한다. 패턴 a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240으로 진행한다.
[0079] 단계 S230에서는, 칼럼번호 n을 싱글 칼럼 타입이라고, 상세하게는 칼럼번호 n에는 싱글 칼럼 타입의 반출 기구(55a)가 설치되어 있다고 추정하고, 그 추정 결과를 일시 기억한다(싱글 세팅). 그리고, 단계 S240으로 진행한다.
[0080] 단계 S240에서는, 단계 S210에서 읽어낸 칼럼번호 n 및 n+1의 모터 유무 정보가, 도 7의 (b)에 나타내는 좌구동 더블 칼럼 타입의 모터 유무 정보의 패턴 b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패턴 b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단계 S250으로 진행한다. 패턴 b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260으로 진행한다.
[0081] 단계 S250에서는, 칼럼번호 n, n+1을 좌구동 더블 칼럼 타입이라고, 상세하게는 칼럼번호 n, n+1에는 좌구동 더블 칼럼 타입의 반출 기구(55b)가 설치되어 있다고 추정하고, 그 추정 결과를 일시 기억한다(더블 세팅). 그리고, 단계 S260으로 진행한다.
[0082] 단계 S260에서는, 단계 S210에서 읽어낸 칼럼번호 n, n+1, n+2의 모터 유무 정보가, 도 7의 (c)에 나타내는 중앙 구동 트리플 칼럼 타입의 모터 유무 정보의 패턴 c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패턴 c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단계 S270으로 진행한다. 패턴 c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280으로 진행한다.
[0083] 단계 S270에서는, 칼럼번호 n, n+1, n+2를 중앙 구동 트리플 칼럼 타입이라고, 상세하게는 칼럼번호 n, n+1, n+2에는 중앙 구동 트리플 칼럼 타입의 반출 기구(55c)가 설치되어 있다고 추정하고, 그 추정 결과를 일시 기억한다(트리플A 세팅). 그리고, 단계 S280으로 진행한다.
[0084] 단계 S280에서는, 단계 S210에서 읽어낸 칼럼번호 n, n+1, n+2의 모터 유무 정보가, 도 7의 (d)에 나타내는 좌구동 트리플 칼럼 타입의 모터 유무 정보의 패턴 d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패턴 d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단계 S290으로 진행한다. 패턴 d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300으로 진행한다.
[0085] 단계 S290에서는, 칼럼번호 n, n+1, n+2를 좌구동 트리플 칼럼 타입이라고, 상세하게는 칼럼번호 n, n+1, n+2에는 좌구동 트리플 칼럼 타입의 반출 기구(55d)가 설치되어 있다고 추정하고, 그 추정 결과를 일시 기억한다(트리플B 세팅). 그리고, 단계 S300으로 진행한다.
[0086] 단계 S300에서는, 칼럼번호 n=n+1로 한다. 그리고, 단계 S310으로 진행한다.
[0087] 단계 S310에서는, 현재 상태의 칼럼번호 n이 선반번호 N에 있어서 가장 우측의 마지막 칼럼(72)인지의 여부, 예컨대 맨 위의 1번째 단의 선반(13a)인 경우에는 n=6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칼럼번호 n이 마지막 칼럼(72)인 경우에는, 단계 S320으로 진행한다. 칼럼번호 n이 마지막 칼럼(72)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 S210으로 되돌아간다.
[0088] 단계 S320에서는, 선반번호 N을 N+1로 한다. 그리고, 단계 S330으로 진행한다.
[0089] 단계 S330에서는, 선반번호 N이 마지막 선반,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N=6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선반번호 N이 마지막 선반인 경우에는, 단계 S340으로 진행한다. 선반번호 N이 마지막 선반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 S200으로 되돌아간다.
[0090] 단계 S340은, 단계 S230, S250, S270, S290에서 추정, 일시 기억한(추출한) 칼럼 패턴을, 칼럼번호에 대응지어 모두 메모리(84a)에 기억한다. 그리고, 패턴 추출·세팅 서브 루틴을 종료하고, 메인 루틴의 단계 S40으로 진행한다.
[0091] 또한, 패턴 추출·세팅 서브 루틴은, 패턴 추출부(82)에 의한 제어로서, 본 발명의 판정부에 해당한다.
[0092] 단계 S40에서는, 모든 선반(13)에 있어서, 메모리(84a)에 기억하고 있는 칼럼 패턴 후보를 조작 패널(83)에 표시한다. 예컨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패널(83)에 칼럼번호를 선반번호 1~선반번호 N마다 동그라미를 쳐서 좌우로 일렬로 나란히 표시한다(칼럼번호 표시(90)).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6단의 선반에 각각 칼럼(72)이 6개 있으므로, 좌우로 6개 나란히 한 칼럼번호 표시(90)를 6단 표시한다. 또한, 칼럼 패턴 후보에 대해서는, 각각의 칼럼번호 표시(90) 아래에 직사각형상의 바 표시(91)로 처리한다. 칼럼 패턴 후보의 표시에 대해서는, 그 종류(a~d)에 따라 다른 색이나 모양 등에 의해 다른 양태로 구별하여 표시한다. 예컨대 도 13, 14에서는, 칼럼 패턴 b는 우상향 사선, 칼럼 패턴 c는 우하향 사선의 해칭으로 바 표시(91)를 하고 있다. 또한, 칼럼 패턴 a에 대해서는 표시를 생략하고 있고, 칼럼 패턴이 결정된 경우에는 검은 칠로 바 표시(91)를 한다.
[0093] 도 11의 1번째 단의 선반(선반번호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칼럼번호 1은 모터(61) 있음, 칼럼번호 2는 모터(61) 없음, 칼럼번호 3은 모터(61) 있음, 칼럼번호 4는 모터(61) 없음, 칼럼번호 5는 모터(61) 있음, 칼럼번호 6은 모터(61) 없음인 경우에는, 도 13의 선반번호 1에 있어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칼럼 패턴의 후보가 이하의 1)~3)의 3 패턴의 조합으로 추정된다.
1) 칼럼번호 1 및 2가 패턴 b, 칼럼번호 3 및 4가 패턴 b, 칼럼번호 5 및 6이 패턴 b.
2) 칼럼번호 1이 패턴 a, 칼럼번호 2, 3 및 4가 패턴 c, 칼럼번호 5 및 6이 패턴 b.
3) 칼럼번호 1 및 2가 패턴 b, 칼럼번호 3이 패턴 a, 칼럼번호 4, 5 및 6이 패턴 c.
따라서, 선반번호 1에 있어서는, 바 표시(91)가 3단으로 표시된다. 또한, 이 바 표시(91)에 대해서는, 모두 표시해도 되고,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반마다 패턴 표시가 동일하게 되지 않으면 예컨대 칼럼 수가 많은 바 표시(91)만 표시하고 바 표시(91)를 일부 생략해도 된다.
[0094] 또한, 칼럼번호 표시(90)에 대해서는, 결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결정되어 있는 경우로, 예컨대 동그라미의 색을 바꾸어 표시한다. 도 13에서는, 선반번호 1에 있어서는, 칼럼번호 1~6에 대해 칼럼 패턴의 후보가 상기 1)~3)의 3 패턴이 있고 하나로 결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그레이 표시를 하고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반번호 N의 왼쪽으로부터 1번째의 칼럼번호 N1은 모터(61) 없음, 왼쪽으로부터 2번째의 칼럼번호 N2는 모터(61) 있음, 왼쪽으로부터 3번째의 칼럼번호 N3은 모터(61) 없음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칼럼번호 N1, N2, N3은, 칼럼 패턴 c만 해당하고, 그 외의 칼럼 패턴 a, b, d는 해당하지 않는다. 따라서, 칼럼번호 N1, N2, N3은, 칼럼 패턴 c로 결정된다. 이와 같이 칼럼 패턴이 결정되는 경우에는, 예컨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칼럼번호 N1, N2, N3의 하부에 검은 칠의 바 표시(91)를 하고, 칼럼번호 N1, N2, N3의 칼럼번호 표시(90)에 대해서는 칼럼 패턴 c의 양태인 우하향 사선의 해칭 표시를 한다.
[0095] 이상과 같이, 세팅한(추출한) 칼럼 패턴을 바 표시(91)에 의해 모든 선반번호 1~N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단계 S50으로 진행한다. 또한, 조작 패널(83)에 모든 선반번호 1~N의 칼럼번호 표시(90) 및 바 표시(91)를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스크롤 표시로 해도 된다.
[0096] 단계 S50에서는, 칼럼 패턴의 조합의 경합이 없는지의 여부, 즉, 선반(13)마다 칼럼 패턴의 조합이 1가지만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조합의 경합이 없는, 즉, 선반(13)마다 칼럼 패턴이 1가지의 조합만 추출된 경우에는, 본 루틴을 종료한다. 조합의 경합이 있는, 즉, 상기 선반번호 1과 같이, 칼럼 패턴의 조합이 복수 가지 있어, 칼럼 패턴을 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단계 S60으로 진행한다.
[0097] 단계 S60에서는, 경합이 있는 선반에 대해 조합의 선택을 실시한다. 조합의 선택은, 조작 패널(83)에 표시되어 있는 칼럼번호 표시(90)를 누르고, 설정 스위치(92)를 누름으로써 결정된다. 예컨대, 도 13의 선반번호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칼럼번호 1 및 2가 칼럼 패턴 b인 경우에는, 칼럼번호 1 및 칼럼번호 2의 칼럼번호 표시(90)를 누르고 설정 스위치(92)를 누른다. 이에 의해, 칼럼번호 1 및 2가 칼럼 패턴 b로 결정된다. 그리고,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칼럼번호 1 및 칼럼번호 2의 칼럼번호 표시(90)의 하방에 검은 칠의 바 표시(91)가 되는 동시에, 칼럼번호 1 및 칼럼번호 2의 칼럼번호 표시(90)는 칼럼 패턴 b의 표시 양태인 우상향 사선의 해칭이 된다. 이 상태에서는, 칼럼번호 1 및 칼럼번호 2의 칼럼 패턴은 결정되었지만, 칼럼번호 3~6의 칼럼 패턴은 아직 결정되어 있지 않다.
[0098] 다음으로, 예컨대 칼럼번호 3이 칼럼 패턴 a, 칼럼번호 4~6이 칼럼 패턴 C인 경우에는, 칼럼번호 4~6의 칼럼번호 표시(90)를 누르고 설정 스위치(92)를 누름으로써 칼럼번호 4~6이 칼럼 패턴 C임이 결정된다. 이에 의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칼럼번호 4~6의 하방에 검은 칠의 바 표시(91)가 되는 동시에, 칼럼번호 4~6의 칼럼번호 표시(90)가 칼럼 패턴 c의 표시 양태인 우하향 사선의 해칭이 된다. 또한, 칼럼번호 3은, 자동적으로 칼럼 패턴 a로 결정된다. 또한, 칼럼번호 3을 누르고 설정 스위치(92)를 눌러도 된다. 이에 의해, 칼럼번호 3이 칼럼 패턴 a로 결정되고, 칼럼번호 4~6이 칼럼 패턴 c로 자동적으로 결정된다.
[0099]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칼럼번호 1 및 칼럼번호 2의 칼럼 패턴이 결정된 상태로부터, 예컨대 칼럼번호 3, 4가 칼럼 패턴 b, 칼럼번호 5, 6도 칼럼 패턴 b인 경우에는, 칼럼번호 3 및 4의 칼럼번호 표시(90)를 누르고 설정 스위치(92)를 누름으로써 칼럼번호 3, 4가 칼럼 패턴 b임이 결정된다. 이에 의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칼럼번호 3, 4의 칼럼번호 표시(90)의 하방에 검은 칠의 바 표시(91)가 되는 동시에, 칼럼번호 3, 4의 칼럼번호 표시(90)가 칼럼 패턴 b의 양태인 우상향 사선의 해칭이 된다. 또한, 칼럼번호 5, 6은 자동적으로 칼럼 패턴 b로 결정되고, 마찬가지로 검은 칠의 바 표시(91)와 칼럼번호 표시(90)의 해칭이 된다.
[0100] 또한, 칼럼번호 표시(90)와 설정 스위치(92)를 누르는 것에 의한 칼럼 패턴의 결정 조작에 대해서는, 아무 칼럼(72)부터 행해도 된다. 그리고, 단계 S30으로 되돌아간다.
[0101] 이상의 제어에 의해, 각 선반(13)(선반번호 1~N)에 대해 모터(61)의 유무 정보가 취득되고, 칼럼 패턴이 일의적(一義的)으로 결정되는 것에 대해서는 자동적으로 결정한다. 칼럼 패턴의 조합의 경합이 있어 자동적으로 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칼럼번호에 대해 칼럼 패턴의 후보를 표시하고, 선택하여 결정 조작을 함으로써, 칼럼 패턴이 결정된다.
[0102] 본 실시형태와 같이, 칼럼 패턴이 (a) 내지 (d)의 4종류로 한정되고, 1개의 선반(13)에 대해 칼럼(72)이 6개 있는 경우에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칼럼 패턴의 조합은, 37가지 있다. 또한, 도 17에 있어서, S가 칼럼 패턴 a, D가 칼럼 패턴 b, TA가 칼럼 패턴 c, TB가 칼럼 패턴 d를 나타낸다.
[0103] 도 17의 (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합 패턴 No. 7과 조합 패턴 No. 24는, 모터(61)의 유무 정보가 동일하게 된다. (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합 패턴 No. 12와 조합 패턴 No. 26은, 모터(61)의 유무 정보가 동일하게 된다. (다)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합 패턴 No. 13과 조합 패턴 No. 29와 조합 패턴 No. 30은, 모터(61)의 유무 정보가 동일하게 된다. 조합 패턴 No. 19와 조합 패턴 No. 28은, 모터(61)의 유무 정보가 동일하게 된다. 조합 패턴 No. 23과 조합 패턴 No. 31은, 모터(61)의 유무 정보가 동일하게 된다. 그리고, 그 외의 모터(61)의 유무 정보에서는, 칼럼 패턴은 1종류로 한정된다.
[0104] 따라서, 모터(61)의 유무 정보가 상기 (가)~(마) 이외의 패턴인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칼럼 패턴이 결정된다. 모터(61)의 유무 정보가 (가)~(마)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는, 칼럼 패턴은 복수 생각할 수 있으므로, 조작 패널(83)에 복수의 바 표시(91)를 함으로써, 결정할 수 없다는 취지의 경고가 행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관리자는 결정할 수 없는 칼럼(72)에 대해, 칼럼번호와 설정 스위치(92)를 누르는 결정 조작을 행함으로써, 칼럼 패턴이 결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부분의 모터(61)의 유무 정보에 대해 대응하는 칼럼 패턴이 1가지이고, 많아도 3종류의 칼럼 패턴으로 한정되므로, 결정 조작을 많아도 2회 행함으로써, 1개의 선반(13)의 칼럼 패턴이 결정된다.
[0105] 패턴 추출부(82)에 있어서 설정된 각 선반(13)의 칼럼 설정 정보는, 컨트롤 유닛(84)에 제공된다. 컨트롤 유닛(84)은, 이 칼럼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조작 패널(83)에 버튼 표시를 한다. 버튼 표시로서는, 선반(13)마다 반출 기구(55)가 점유하는 칼럼(72)의 위치 및 크기에 따른 버튼을 표시하면 된다. 또한, 각 버튼에 대해, 예컨대 리모컨으로 물품의 종류나 가격 등의 정보를 설정하여 조작 패널(83)에 맞춰 표시시킴으로써, 구입자가 물품을 용이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칼럼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추가로, 조명의 제어, 냉온 제어 등에 이용해도 된다.
[0106]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물품 판매기(1)에서는, 물품을 수납하는 물품 수납부(6)의 선반(13)에는, 물품이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놓이고, 판매 요구에 따라 물품을 전방으로 순차적으로 밀어 내는 반출 기구(55)가 구비되어 있다. 각 선반(13)에는, 반출 기구(55)를 복수 설치 가능하게 복수의 칼럼(72)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크기가 다른 물품을 수납 가능하게 하기 위해, 1개의 칼럼(72)을 사용하는 싱글 칼럼 타입, 2개의 칼럼(72)을 사용하는 더블 칼럼 타입, 3개의 칼럼(72)을 사용하는 트리플 칼럼 타입의 반출 기구(55)가 설치 가능하다.
[0107] 이와 같이 크기가 다른 반출 기구(55)를 구비한 경우에는, 관리자는 반출 기구(55)를 변경할 때, 조작 패널(83)에 표시하는 조작 스위치의 크기나 위치를 변경하여, 각 반출 기구(55)와 정합시키는 칼럼(72)의 설정 작업이 필요하다.
[0108]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출 기구(55)의 모터(61)의 접속을 검지하여 선반(13)에 있어서의 모터(61)의 설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칼럼(72)의 설정 상황이 자동적으로 판정된다. 그리고, 이 칼럼(72)의 설정 상황에 따라, 조작 패널(83)에 조작 버튼이 표시됨으로써, 칼럼(72)의 설정 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져, 가격 등의 설정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0109] 또한, 칼럼(72)의 자동 설정이 복수의 패턴으로 추정되는 경우에는, 조작 패널(83)에 칼럼번호 표시(90)와 함께 복수의 바 표시(91)가 됨으로써 경고가 행해지게 된다. 이 경우, 관리자가 복수의 후보에서 선택하여, 칼럼(72)의 설정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칼럼(72)의 자동 설정이 잘못되어 있던 경우에는, 수동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0110]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터(61)의 유무 정보를 검출함으로써, 어느 칼럼(72)에 어느 칼럼 패턴 (a)~(d)의 반출 기구가 배치되어 있는지가 자동적으로 대부분 설정되므로, 모든 칼럼 패턴을 설정하는 것보다 용이하게 칼럼 설정을 행할 수 있다.
[0111]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반출 기구(55)에 있어서 반출부인 스파이럴부(57)에 대해서는, 벨트 컨베이어 등을 사용한 구성이어도 된다. 반출 기구의 구동부나 반출부에 관한 상세한 구조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선반에 다른 종류의 반출 기구를 설치 가능한 물품 판매기에 있어서, 널리 채용할 수 있다.
1 물품 판매기
13 선반
57 스파이럴부(반출부)
55 반출 기구
61 모터(구동부)
72 칼럼
81 모터 유무 정보 작성부(위치 검출기)
82 패턴 추출부(판정부)
83 조작 패널(표시부, 경고부, 선택부)
84 컨트롤 유닛(제어부)

Claims (6)

  1. 물품을 수납하는 선반에 좌우로 복수 개 나란히 설치되고, 상기 물품을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수납하는 칼럼과, 상기 선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판매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칼럼에 수납된 물품을 순차적으로 반출(搬出)하는 반출 기구(機構)를 구비하고, 상기 반출 기구는, 상기 선반에 미리 설정된 복수 군데의 좌우 위치에 임의로 설치 가능한 물품 판매기의 칼럼 자동 설정장치로서,
    상기 선반에 있어서의 상기 반출 기구의 설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기와,
    상기 위치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반출 기구의 설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선반에 있어서의 상기 칼럼의 설정 상황을 판정하는 판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판매기의 칼럼 자동 설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 기구는, 1개의 구동부와, 1개 또는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상기 칼럼을 점유하여 설치되는 반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반출부가 점유하는 상기 칼럼의 수 또는 상기 반출부에 대한 상기 구동부의 상대적인 위치가 다른 복수의 종류에서 선택하여 설치되며,
    상기 위치 검출기는, 상기 칼럼마다 검출한 상기 구동부의 설치의 유무를 상기 반출 기구의 설치 위치로서 검출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위치 검출기에 의해 검출한 상기 구동부의 설치의 유무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반출 기구의 종류 및 설치 위치를 상기 칼럼의 설정 상황으로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판매기의 칼럼 자동 설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의 설정 상황이 복수의 패턴으로 판정되는 경우에 경고를 행하는 경고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판매기의 칼럼 자동 설정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칼럼의 설정 상황이 복수의 패턴으로 판정된 경우에, 해당 복수의 패턴의 상기 설정 상황을 표시시키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판매기의 칼럼 자동 설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복수의 패턴의 상기 설정 상황으로부터, 실제의 상기 칼럼의 설정 상황을 선택하여 확정시키는 선택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판매기의 칼럼 자동 설정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상기 칼럼의 설정 상황에 근거하여, 상기 칼럼에 수납되는 물품의 정보, 및 상기 물품을 구입하기 위한 조작 버튼을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판매기의 칼럼 자동 설정장치.
KR1020217014225A 2018-11-13 2019-11-11 물품 판매기의 칼럼 자동 설정장치 KR1025408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13260A JP7209925B2 (ja) 2018-11-13 2018-11-13 物品販売機のコラム自動設定装置
JPJP-P-2018-213260 2018-11-13
PCT/JP2019/044112 WO2020100805A1 (ja) 2018-11-13 2019-11-11 物品販売機のコラム自動設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084A KR20210072084A (ko) 2021-06-16
KR102540828B1 true KR102540828B1 (ko) 2023-06-05

Family

ID=70731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4225A KR102540828B1 (ko) 2018-11-13 2019-11-11 물품 판매기의 칼럼 자동 설정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83660B2 (ko)
JP (1) JP7209925B2 (ko)
KR (1) KR102540828B1 (ko)
WO (1) WO20201008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592B1 (ko) * 2021-10-27 2023-09-15 주식회사 벤더스터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키오스크형 자판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3379A (ja) 2008-03-13 2009-10-01 Japan Tobacco Inc 自動販売機
JP2011221611A (ja) 2010-04-05 2011-11-04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自動販売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1684U (ja) * 1981-11-27 1983-06-02 三洋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送出装置
JPS5930829B2 (ja) 1982-10-18 1984-07-28 帝人株式会社 難燃合成繊維起毛布帛及びその製造法
JP2822359B2 (ja) 1991-02-12 1998-11-11 富士電機株式会社 テスト機能付自動販売機
JPH0581533A (ja) 1991-09-04 1993-04-02 Sanyo Electric Co Ltd スパイラル型自動販売機
JP3720889B2 (ja) * 1995-11-28 2005-11-30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販売機
KR100343741B1 (ko) * 2000-08-16 2002-07-20 엘지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U2003212450A1 (en) * 2002-02-26 2003-09-09 Munroe Chirnomas Programming presets in a vending machine
JP4035660B2 (ja) 2002-10-31 2008-01-23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商品収納装置
JP2005056383A (ja) * 2003-07-24 2005-03-03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商品収納装置
JP5770838B2 (ja) 2010-05-25 2015-08-26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Thomson Licensing 通信範囲外のブロードキャスト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3134624A (ja) 2011-12-26 2013-07-08 Nippon Conlux Co Ltd 自動販売機
KR101416022B1 (ko) * 2012-12-04 2014-07-08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멀티자동판매기의 선반제어정보 관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3379A (ja) 2008-03-13 2009-10-01 Japan Tobacco Inc 自動販売機
JP2011221611A (ja) 2010-04-05 2011-11-04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自動販売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084A (ko) 2021-06-16
US11783660B2 (en) 2023-10-10
US20210398382A1 (en) 2021-12-23
JP7209925B2 (ja) 2023-01-23
WO2020100805A1 (ja) 2020-05-22
JP2020080072A (ja)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244207A (ja) 自動販売機
KR102540828B1 (ko) 물품 판매기의 칼럼 자동 설정장치
KR102541531B1 (ko) 물품 판매기의 반출 기구
JP4940811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2012164179A (ja) 自動販売機の制御装置
JP2009223773A (ja) 自動販売機
JPH11272936A (ja) 自動販売機
JP7420509B2 (ja) 物品収納庫
JP5494043B2 (ja) 自動販売機
JP7329321B2 (ja) 物品販売機の物品検知装置
JP2006085591A (ja) 自動販売機
JP4049100B2 (ja) 自動販売機、自動販売機の商品搬送方法
JP4725165B2 (ja) 自動販売機
KR100389994B1 (ko)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JP2007148600A (ja) 自動販売機の制御方法
JP2000082177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払い出し装置
KR20210074345A (ko) 물품 판매기의 물품 반출 기구
JP2755843B2 (ja) 自動販売機
JP2000082171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2000030140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2001101514A (ja) 自動販売機
JP5338495B2 (ja) 自動販売機
KR19990047881A (ko) 자동판매기용 랙크조립체
JP2000082168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売り切れ検知装置
JP2007257533A (ja) 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