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349B1 -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349B1
KR102523349B1 KR1020220055945A KR20220055945A KR102523349B1 KR 102523349 B1 KR102523349 B1 KR 102523349B1 KR 1020220055945 A KR1020220055945 A KR 1020220055945A KR 20220055945 A KR20220055945 A KR 20220055945A KR 102523349 B1 KR102523349 B1 KR 102523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conveyor
sewing machine
sewing material
inpu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5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환욱
Original Assignee
김환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환욱 filed Critical 김환욱
Priority to KR1020220055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349B1/ko
Priority to PCT/KR2022/008046 priority patent/WO202321461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10Work-feeding means with rotary circular feed members
    • D05B27/12Work-feeding means with rotary circular feed members rotating continuously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9/00Workpiece carri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5/00Frames, stands, tables, or other furniture adapted to carry sew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심부에 후방을 향해 진행하는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컨베이어테이블과, 상기 컨베이어테이블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재봉기테이블과, 상기 재봉기테이블에 장착되는 재봉기를 포함하며, 상기 재봉물 투입모듈은 상기 재봉기의 구동에 대응하여 일정속도로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기어부재와, 상기 기어부재에 맞물려 이동하는 체인부재와,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컨베이어 형태를 이루고 상기 체인부재에 고정되어 이동하는 복수개의 금속판 재질의 선반부재와, 상기 선반부재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재봉물을 펼쳐진 상태로 고정시킨 후 상기 재봉기로 투입시키는 그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 {SEWING MACHINE HAVING CONVEYOR TYPE FEEDING MODULE}
본 발명은 재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재봉 작업 시에 재봉물을 정렬하여 투입할 수 있게 하는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옷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바느질 기법이 다양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 발전에 따라 재봉기의 성능도 점차 향상되고 있다. 최근에는 재봉 작업 효율 향상을 위해 재봉기 자체의 구조 뿐 아니라 재봉기에 옷감을 공급하는 구조에 대해서도 연구가 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3704호 '이송 장치 및 상기 이송 장치를 구비한 재봉기'(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서는 로딩 위치(loading position)로부터 재봉 위치로 재봉될 옷감을 이송하고 그 이후에 언로딩 위치(unloading position)로 옷감을 이송하는 이송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재봉기 상에 장착되는 이송 장치는 재봉기의 베이스에 고정된 플레이트, 회전하기 위해서 지지 구조물에 고정된 두 개의 롤러들 상에 장착된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하고, 컨베이어 벨트가 플레이트에 인접하도록, 지지 구조물은 재봉기와 결합되고, 이송 장치는 컨베이어 벨트가 동작 상태에 있을 때, 플레이트와 컨베이어 벨트 사이에 배열된 옷감이 병진 운동하도록, 컨베이어 벨트에 연결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동작하게 하는 모터 수단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하지만, 특허문헌 1에 따르면 옷감을 이송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옷감이 이송 중 팽팽하게 당겨지지 않을 뿐 아니라 옷감의 끝단이 서로 일치하지 않아 재봉 부위의 마감이 안좋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수동으로 두 옷감을 고정시키는 방법이 존재하지만 매번 수동으로 옷감을 고정하는 것이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컨베이어를 통해 옷감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손으로 옷감을 고정시키다가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재봉기 관련 업체들은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여 연구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370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340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0367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재봉 작업 시에 재봉물을 정렬하여 투입할 수 있게 하는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심부에 후방을 향해 진행하는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컨베이어테이블과, 상기 컨베이어테이블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재봉기테이블과, 상기 재봉기테이블에 장착되는 재봉기를 포함하며, 상기 재봉물 투입모듈은 상기 재봉기의 구동에 대응하여 일정속도로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기어부재와, 상기 기어부재에 맞물려 이동하는 체인부재와,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컨베이어 형태를 이루고 상기 체인부재에 고정되어 이동하는 복수개의 금속판 재질의 선반부재와, 상기 선반부재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재봉물을 펼쳐진 상태로 고정시킨 후 상기 재봉기로 투입시키는 그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재봉기는 상기 재봉기테이블에 안착되고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컨베이어테이블에 장착되어 재봉물 투입모듈을 통해 이송되는 옷감을 재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립부재는 상기 선반부재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그립부재바디와, 상기 그립부재바디의 단부에 형성되고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고, 재봉물을 꽂을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핀 형상을 이루는 그립부재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인부재는 상기 선반부재들의 중심부에 체결되는 결합구와, 상기 선반부재들의 사이에 배치되어 이웃한 두 선반부재의 하부를 받치도록 형성되는 받침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베이어테이블의 뒤쪽 부재로부터 앞쪽방향으로 돌출되어 평판부재의 하강이동구간을 가리고, 일측에 그립부재핀이 지나갈 수 있는 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를 개시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재봉 작업에 맞추어 정렬된 옷감을 투입할 수 있기 때문에 옷감 연결부위를 보다 자연스럽고 깔끔하게 마감할 수 있게 한다.
둘째,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재봉물을 투입할 수 있게 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킨다.
셋째,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과 재봉기를 분리할 수 있어 장치를 정비하거나 교체하기가 용이해진다.
넷째, 손으로 옷감을 밀어 넣을 필요가 없이 자동으로 옷감이 투입되기 때문에 재봉 작업 시간을 줄여 생산 경쟁력을 재고시킬 수 있다.
다섯째, 재봉물 정렬투입 모듈을 종래의 재봉기에 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기존의 재봉기를 변경할 필요없이 간단한 작업을 통해 종래 재봉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의 도면이다.
도 2는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의 개념도이다.
도 3은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 선반부재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 선반부재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선반부재에 결합되는 재봉물 그립부재의 개념도이다.
도 6a는 재봉물 그립부재에 옷감을 고정시킨 상태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b는 재봉물 그립부재에 옷감을 고정시킨 상태를 옆에서 바라본 도면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재봉물 투입모듈에 결합된 재봉기를 옆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은 재봉기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일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타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2는 이송롤러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130)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100)의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베이어(130)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100)는 재봉기(200)와, 재봉물 투입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재봉물 투입모듈은 컨베이어테이블(110)과, 재봉기테이블(120)과, 컨베이어(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테이블(110)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이루고 중심부에 컨베이어(130)가 장착된다.
컨베이어테이블(11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테이블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후방향 부재들과, 상기 전후방향 부재들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여 컨베이어테이블(110)의 다리를 형성하는 상하방향 부재들을 포함한다. 컨베이어테이블(110)의 전후방향 부재들과 상하방향 부재들 사이에는 이들 사이를 연결하여 테이블의 강도를 높이는 보강부재들이 존재할 수 있다.
재봉기테이블(120)은 컨베이어테이블(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재봉장치(100)의 틀을 형성한다.
재봉기테이블(120)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테이블의 외관을 형성하는 좌우방향 부재들과, 상기 좌우방향 부재들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재봉기테이블(120)의 다리를 형성하는 상하방향 부재들을 포함한다. 재봉기테이블(120)의 전후방향 부재들과 상하방향 부재들 사이에는 이들 사이를 연결하여 테이블의 강도를 높이는 보강부재들이 존재할 수 있다.
재봉기테이블(120)의 상면에는 슬라이딩부재(122)가 장착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122)의 위에는 재봉기(200)가 안착될 수 있으며, 재봉기(200)와 슬라이딩부재(122) 사이에는 재봉기(200) 받침부재(124)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컨베이어(130)형 재봉물 투입모듈의 개념도이고, 도 3은 컨베이어(130)형 재봉물 투입모듈 선반부재(131)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컨베이어(130)형 재봉물 투입모듈 선반부재(131)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재봉물 투입모듈은 샤프트(134)와, 상기 샤프트(134)에 결합되는 기어부재(136)와, 상기 기어부재(136)에 맞물려 회전하는 체인부재(135)와, 상기 체인부재(135)에 고정되는 금속판 재질의 선반부재(13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134)는 재봉물 투입모듈의 일단부에 배치된다. 샤프트(134)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부에는 구동모터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샤프트(134)는 재봉기(200)에 연결될 수 있다. 재봉기(200)의 구동모터와 샤프트(134)가 연결되어 재봉기(200) 구동에 대응하여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재봉기(200)의 구동모터와 샤프트(134) 사이에는 회전속도를 변경시키기 위한 기어가 결합될 수 있다.
샤프트(134)에는 기어부재(136)가 형성될 수 있다. 기어부재(13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기어부재와 우측 기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기어부재와 우측 기어부재는 샤프트(134)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컨베이어(130) 좌측 우측의 진행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체인부재(135)는 기어부재(136)에 맞물려 회전한다. 체인부재(135)는 좌측 기어부재에 맞물리는 좌측 체인부재와 우측 기어부재에 맞물리는 우측 체인부재가 포함된다.
체인부재(135)에는 결합구(135a)와 이격구가 장착될 수 있다.
결합구(135a)는 선반부재(131)를 고정시키는 용도로 사용되고, 받침구(135b)는 두 선반부재(131)의 사이에 형성되어 컨베이어테이블(110)의 단부에서 체인이 기어부재(136) 둘레를 돌 때 선반부재(131)간 이격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체인이 컨베이어테이블(110)의 중심부에서 직선 방향으로 진행할 때 인접한 선반부재(131)가 서로 엇갈리지 않고 하나의 평면인 것처럼 이동하여 옷감이 선반부재(131)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말해, 서로 인접한 두 금속판 재질의 선반부재(131)의 양단부를 붙여 놓을 경우 선반부재(131)가 샤프트(134) 주위를 돌아가는 것이 불가능하고, 인접한 선반부재(131) 사이에 별도의 받침구(135b)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직선구간에서 선반부재(131)들이 진동하며 선반부재(131) 사이에 옷감이 낄 우려가 있다.
선반부재(131)는 체인부재(135)에 형성된 결합구(135a)에 체결된다.
선반부재(131)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금속 판재로 이루어지며 좌측단부와 우측 단부에는 결합구(135a)에 체결되기 위한 홀들이 형성된다.
선반부재(131)의 일측 단부에는 그립부재바디(132a)가 체결되며, 그립부재바디(132a)의 일단부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핀 형상을 이루는 그립부재핀(132b)들이 형성된다.
그립부재바디(132a)의 타단부에는 그립부재바디(132a)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체결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이격된 체결홀들에 볼트가 결합되어 그립부재바디(132a)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선반부재(131)에 결합되는 재봉물 그립부재(132)의 개념도이고, 도 6a는 재봉물 그립부재(132)에 옷감을 고정시킨 상태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b는 재봉물 그립부재(132)에 옷감을 고정시킨 상태를 옆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재봉물 그립부재(132)들은 받침부재(124)의 일단부에 받침부재(124)와 오버랩되도록 체결된다. 도시된 것과 같이 그립부재(132)와 받침부재(124)는 4개의 볼트에 의해 고정되며, 내측 볼트와 외측 볼트는 서로 일정간격 떨어져 배치되어 그립부재핀(132b)에 재봉물의 무게가 실리는 경우에도 그립부재(132)가 받침부재(124)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a와 도 6b를 참조하면,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동시킬 때 사용자는 그립부재핀(132b)에 옷감의 단부를 끼워넣어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립부재핀(132b)에 옷감을 고정시키는 경우 사람이 옷감을 잡아당기지 않더라도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립부재핀(132b)들은 그립부재바디(132a)의 단부에 일정간격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립부재핀(132b)들은 뾰족한 핀 형상을 이루며 끝부분이 컨베이어(130)의 중심부쪽으로 조금 휘어진 형상을 이룰수도 있다.
컨베이어(130)의 뒤쪽 단부에는 그립부재핀(132b)에 꽂혀진 옷감이 장치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부재는 컨베이어테이블(110)의 뒤쪽 부재로부터 앞쪽방향으로 돌출된 평판부재의 형상을 취하며, 받침부재(124)의 직선이동구간까지 돌출되어 받침부재(124)가 샤프트(134)를 따라 아래쪽으로 내려갈 때 옷감을 분리할 수 있다.
분리부재(160)의 일단부에는 그립부재핀(132b)이 지나갈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핀홀(16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재봉물 투입모듈에 결합된 재봉기(200)를 옆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9는 재봉기(200)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재봉기테이블(120)의 상면에는 슬라이딩부재(122)가 장착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122)의 위에는 재봉기(200)가 안착될 수 있으며, 재봉기(200)와 슬라이딩부재(122) 사이에는 재봉기(200) 받침부재(124)가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재(122)는 A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재봉장치(100)를 정비하거나 재봉기(200)를 교체하는 경우 슬라이딩부재(122)를 이동시킨 후 재봉기(200)를 교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일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타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2는 이송롤러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은 받침플레이트(141)와, 눈금자(133)와, 이송롤러(151)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플레이트(141)는 컨베이어(130)를 덮어 재봉물이 선반부재(131)에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선반부재(131)가 외부로 노출되어 심미감이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받침플레이트(141)는 컨베이어(130)가 존재하는 영역 전체를 덮는 하나의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받침플레이트(141)의 일측에는 그립부재핀(132b)이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컨베이어(130)는 받침플레이트(141)에 의해 가려지지만 그립부재핀(142b)은 외부로 노출되어 재봉물을 꽂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립부재핀(142b)의 측면에는 눈금자(133)가 배치될 수 있다.
눈금자(133)에는 길이가 표시되어 있어 사용자가 작업하고자 하는 옷감의 길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송롤러(151)는 재봉 작업이 마무리된 재봉물을 그립부재핀(132b)에서 분리한다. 이송롤러의 표면에는 재봉물을 고정시킬 수 있는 탄성부재나 접착부재 등이 추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송롤러(151)에 재봉물의 한 쪽 끝을 고정시킨 후 재봉기를 구동시키면 이송롤러(151)가 회전하며 재봉물을 위쪽으로 잡아당겨 그립부재핀(132b)에서 뽑아낸다.
이러한 구동을 위해 이송롤러(151)는 기어부재(136)와 연결된다. 이송롤러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벨트부재(152)를 통해 기어부재(136)에 연결된다.
또한, 이송롤러의 전방에는 투입중단부재(142)가 배치될 수 있다.
투입중단부재(142)는 몸체(142a)와 몸체(142a)의 단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핀(142b)을 포함할 수 있다.
재봉물이 이송롤러(151)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경우 재봉물은 가이드핀(142b)에 힘을 가하게 되며, 가이드핀(142b)에 힘이 가해져 돌어가게 되면 재봉장치의 구동이 차단된다.
이와 같이 투입중단부재(142)는 재봉물이 컨베이어에 끼어 장치가 고장나는 것을 방치하는 안전장치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재봉 작업에 맞추어 정렬된 옷감을 투입할 수 있기 때문에 옷감 연결부위를 보다 자연스럽고 깔끔하게 마감할 수 있고,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재봉물을 투입할 수 있게 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며,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과 재봉기를 분리할 수 있어 장치를 정비하거나 교체하기가 용이해지고, 손으로 옷감을 밀어 넣을 필요가 없이 자동으로 옷감이 투입되기 때문에 재봉 작업 시간을 줄여 생산 경쟁력을 재고시킬 수 있으며, 재봉물 정렬투입 모듈을 종래의 재봉기에 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기존의 재봉기를 변경할 필요없이 간단한 작업을 통해 종래 재봉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등 종래기술에 비해 양적/질적으로 향상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
110 : 컨베이어테이블
120 : 재봉기테이블
122 : 슬라이딩부재
124 : 받침부재
130 : 컨베이어
131 : 선반부재
132 : 그립부재
132a : 그립부재바디
132b : 그립부재핀
133 : 눈금자
134 : 샤프트
135 : 체인부재
135a : 결합구
135b : 받침구
136 : 기어부재
141 : 받침플레이트
142 : 투입중단부재
142a : 투입중단부재 몸체
142b : 투입중단부재 가이드핀
151 : 이송롤러
152 : 벨트부재
160 : 분리부재
161 : 핀홀
200 : 재봉기

Claims (5)

  1.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심부에 후방을 향해 진행하는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컨베이어테이블;
    상기 컨베이어테이블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재봉기테이블; 및
    상기 재봉기테이블에 장착되는 재봉기를 포함하며,
    상기 재봉물 투입모듈은,
    상기 재봉기의 구동에 대응하여 일정속도로 회전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기어부재;
    상기 기어부재에 맞물려 이동하는 체인부재;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컨베이어 형태를 이루고 상기 체인부재에 고정되어 이동하는 복수개의 금속판 재질의 선반부재; 및
    상기 선반부재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재봉물을 펼쳐진 상태로 고정시킨 후 상기 재봉기로 투입시키는 그립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재봉기는,
    상기 재봉기테이블에 안착되고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컨베이어테이블에 장착되어 재봉물 투입모듈을 통해 이송되는 옷감을 재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재는,
    상기 선반부재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그립부재바디; 및
    상기 그립부재바디의 단부에 형성되고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고, 재봉물을 꽂을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핀 형상을 이루는 그립부재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부재는,
    상기 선반부재들의 중심부에 체결되는 결합구; 및
    상기 선반부재들의 사이에 배치되어 이웃한 두 선반부재의 하부를 받치도록 형성되는 받침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물 투입모듈은,
    상기 컨베이어 테이블의 상면을 덮고 일측을 통해 상기 그립부재핀이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받침플레이트;
    상기 기어부재의 구동에 대응하여 구동되고 재봉 작업이 마무리된 재봉물을 상기 그립부재핀으로부터 분리하도록 형성되는 이송롤러; 및
    상기 이송롤러에 의해 재봉물이 분리되지 않은 경우 재봉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투입중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
KR1020220055945A 2022-05-06 2022-05-06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 KR102523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945A KR102523349B1 (ko) 2022-05-06 2022-05-06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
PCT/KR2022/008046 WO2023214611A1 (ko) 2022-05-06 2022-06-08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945A KR102523349B1 (ko) 2022-05-06 2022-05-06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349B1 true KR102523349B1 (ko) 2023-04-19

Family

ID=86142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945A KR102523349B1 (ko) 2022-05-06 2022-05-06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23349B1 (ko)
WO (1) WO2023214611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940B1 (ko) * 2008-12-30 2009-03-17 조세제 재봉기용 재봉물 이송장치
KR100900367B1 (ko) 2001-08-03 2009-06-02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오버록 재봉틀
KR20100009547U (ko) * 2009-03-20 2010-09-29 이재관 누비기용 시트공급장치
KR101353400B1 (ko) 2012-06-07 2014-01-21 펭-추 쿠오 실을 절단하는 동안 오버로크 박음질 재봉틀에서의 실을 절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93704B1 (ko) 2009-11-19 2016-02-12 브이아이.비이.엠에이씨 에스.피.에이. 이송 장치 및 상기 이송 장치를 구비한 재봉기
JP2018034922A (ja) * 2016-08-30 2018-03-08 川崎鍛工株式会社 スラット式コンベア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8606U (ja) * 1999-10-29 2000-05-16 長崎ニット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ア型ミシンの生地スライド搬入用傾斜ガイド
KR101975898B1 (ko) * 2017-11-30 2019-05-07 주식회사 알에스엠글로벌 대면적 열선 봉착용 재봉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367B1 (ko) 2001-08-03 2009-06-02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오버록 재봉틀
KR100888940B1 (ko) * 2008-12-30 2009-03-17 조세제 재봉기용 재봉물 이송장치
KR20100009547U (ko) * 2009-03-20 2010-09-29 이재관 누비기용 시트공급장치
KR101593704B1 (ko) 2009-11-19 2016-02-12 브이아이.비이.엠에이씨 에스.피.에이. 이송 장치 및 상기 이송 장치를 구비한 재봉기
KR101353400B1 (ko) 2012-06-07 2014-01-21 펭-추 쿠오 실을 절단하는 동안 오버로크 박음질 재봉틀에서의 실을 절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8034922A (ja) * 2016-08-30 2018-03-08 川崎鍛工株式会社 スラット式コンベ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4611A1 (ko) 2023-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286190A (ja) ミシン用布送り装置
KR102523349B1 (ko)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
TWI544118B (zh) A sewing device, a manufacturing method of a sewing product, and a sewing method
JPH0780540B2 (ja) コンベヤ−装置
KR20100106094A (ko) 네트형 컨베이어 벨트의 변부 마감용 봉제장치
US5322156A (en) Vehicle body conveying apparatus
JP5255563B2 (ja) 自動バンド掛け梱包機および自動バンド掛け梱包システム
JP4800370B2 (ja) 布類投入機における布類の受け渡し装置
US5325802A (en) Sewing machine for large-surface, frame clamped material
CN109665368B (zh) 叠布机
JP2007511302A (ja) 実質的に矩形の布片をフィーダに前送り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110025336A (ko) 슬링벨트 재봉장치
KR200466197Y1 (ko) 패턴 재봉기의 x-y 이송 구동장치
JPH04504967A (ja) 縫い目形成装置
JP5242931B2 (ja) 仕分けコンベヤ
JP7393781B2 (ja) 布類受け渡し装置とその布類受け渡し装置を有する布類投入装置
US1039202A (en) Sheet-cooling machine.
KR101656704B1 (ko) 직물재 제조장치
CN220298949U (zh) 一种用于浴巾折叠包装机的折叠机构
CN213804253U (zh) 一种自动锁边机
CN218842532U (zh) 多裁片埋夹拼缝装置
JP2559666B2 (ja) 長尺布加工機における主送り装置
KR102607879B1 (ko) 의류 및 개인 장구류의 재봉 부위 보강 재봉 장치
JPS6333871Y2 (ko)
JP2012082038A (ja) 布類反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