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547U - 누비기용 시트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누비기용 시트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547U
KR20100009547U KR2020090003234U KR20090003234U KR20100009547U KR 20100009547 U KR20100009547 U KR 20100009547U KR 2020090003234 U KR2020090003234 U KR 2020090003234U KR 20090003234 U KR20090003234 U KR 20090003234U KR 20100009547 U KR20100009547 U KR 201000095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quilting
chain
sprockets
pin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2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관
Original Assignee
이재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관 filed Critical 이재관
Priority to KR20200900032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9547U/ko
Publication of KR201000095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54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1/00Machines for sewing quilts or mattress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02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3/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upplying or removing the work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누비기용 시트공급장치는 미싱헤드와 미싱가마박스가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시트를 누비는 누비기에 설치되어, 시트를 작업 위치로 연속 공급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누비기용 시트공급장치에 있어서, 누비기의 프레임의 하측의 한쪽 단부에 배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축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구동스프로킷, 두 개의 구동스프로킷과 각각 이격되어 누비기 프레임의 하측의 다른쪽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종동스프로킷, 구동스프로킷과 이에 대응하는 종동스프로킷을 각각 연결하는 두 개의 체인, 시트의 양쪽 가장자리부를 걸어내는 다수의 핀을 구비하여 상기 체인 상에서 등간격으로 각각 이격 설치되는 다수의 핀부재, 체인의 상부에 위치하여 시트의 가장자리부에 걸리는 상기 핀부재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어 핀부재에 걸린 시트의 가장자리부를 아래로 안내하는 시트이탈방지부재, 두 개의 체인 사이의 안쪽을 지지 안내하는 체인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지며, 또한 입구측에 위치하여 시트의 양쪽 가장자리부를 초기에 걸어내는 두 개의 핀부재 사이의 거리가 다른 위치에서 대응하는 두 개의 핀부재 사이의 거리보다 좁게 형성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두 개의 종동스프로킷의 상측에 위치하는 체인 상에 배치되는 두 개의 핀부재에 의해 시트의 양측 가장자리부가 걸려서 구동스프로킷의 작동에 의해 시트의 양단부가 당겨지면서 누비기 내부로 공급되기 때문에, 넓은 면적을 보유한 시트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시트의 재단에 따른 손실을 줄여서 시트 전체의 손실을 절감하고, 누비기해야할 시트를 편리하게 공급할 수 있어 작업성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누비기, 이불누비기, 시트공급장치, 이불공급장치

Description

누비기용 시트공급장치{SHEET CONVEYOR FOR QUILTING MACHINE}
본 고안은 누비기에 이불 등과 같은 시트를 투입하기 위한 시트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누비기로 누비기 작업해야할 넓은 면적의 시트를 연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시트의 손실을 절감하고 누비기해야할 시트를 편리하게 공급할 수 있어 작업성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누비기용 시트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불이나 패드 등과 같은 넓은 면적을 구비한 시트를 누비는 누비기는 받침대에 클램핑된 시트가 받침대와 함께 투입되고, 상기 받침대를 종방향으로 이동함과 더불어 미싱헤드와 미싱가마박스를 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미싱헤드를 작동하여 시트 전체를 누비 작업하게 된다.
물론 클램핑된 받침대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미싱헤드와 미싱가마박스를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이동하면 미싱헤드를 작동시켜서 시트 전체를 누빌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시트를 공급하기 위한 기술은 받침대의 가장자리에 다수의 클램프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에 맞추어서 시트를 재단한 뒤, 재단된 시트를 받침대에 놓고 다수의 클램프로 시트를 당기면서 시트의 가장자리를 클램프로 고정하고, 클램핑된 시트를 받침대와 함께 누비기에 공급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시트를 받침대에 수작업으로 클램핑한 뒤에 받침대와 함께 시트를 누비기에 투입하는 종래의 기술은 시트를 클램핑하기 위한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제품의 단가를 상승시키며, 시트의 재단으로 인하여 시트의 손실이 많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시트를 클램핑하는 받침대가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누비기의 경우에는 받침대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야 하므로,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누비기의 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누비기로 누비기 작업해야할 넓은 면적의 시트를 연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시트의 손실을 절감하고, 누비기해야할 시트를 편리하게 공급할 수 있어 작업성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는 누비기용 시트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미싱헤드와 미싱가마박스가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시트를 누비는 누비기에 설치되어, 시트를 작업 위치로 연속 공급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누비기용 시트공급장치에 있어서, 누비기의 프레임의 하측의 한쪽 단부에 배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축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구동스프로킷, 두 개의 구동스프로킷과 각각 이격되어 누비기 프레임의 하측의 다른쪽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종동스프로킷, 구동스프로킷과 이에 대응하는 종동스프로킷을 각각 연결하는 두 개의 체인, 시트의 양쪽 가장자리부를 걸어내는 다수의 핀을 구비하여 상기 체인 상에서 등간격으로 각각 이격 설치되는 다수의 핀부재, 체인의 상부에 위치하여 시트의 가장자리부에 걸리는 상기 핀부재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어 핀부재에 걸린 시트의 가장자리부를 아래로 안내하는 시트이탈방지부재, 두 개의 체인 사이의 안쪽을 지지 안내하는 체인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지는 누비기용 시트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입구측에 위치하여 시트의 양쪽 가장자리부를 초기에 걸어내는 두 개의 핀부재 사이의 거리가 다른 위치에서 대응하는 두 개의 핀부재 사이의 거리보다 좁게 형성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누비기용 시트공급장치는 두 개의 종동스프로킷의 상측에 위치하는 체인 상에 배치되는 두 개의 핀부재에 의해 시트의 양측 가장자리부가 걸려서 구동스프로킷의 작동에 의해 시트의 양단부가 당겨지면서 누비기 내부로 공급되기 때문에, 넓은 면적을 보유한 시트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시트의 재단에 따른 손실을 줄여서 시트 전체의 손실을 절감하고, 누비기해야할 시트를 편리하게 공급할 수 있어 작업성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시트공급장치가 적용되는 누비기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상기 누비기는 미싱헤드(1)와 미싱가마박스(2)가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시트(3)를 누비는 기계이며, 본 고안에 의한 시트공급장치는 상기 누비기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이불, 패드 등과 같이 넓은 면적을 보유한 시트(3)를 누비기할 수 있는 작업 위치로 연속 공급하게 된다.
물론 본 고안의 시트공급장치는 상기 시트(3)을 일정한 길이로 작업 위치에 공급한 뒤에는 누비기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시트(3)의 공급을 중단하게 되며, 누비기 작업이 완료된 뒤에는 다시 일정한 길이만큼 시트(3)를 누비기 내부로 공급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누비기용 시트공급장치는 두 개의 구동스프로킷(11), 두 개의 종동스프로킷(12), 두 개의 체인(13), 다수의 핀부재(14)를 이용하여 일정한 폭을 구비한 긴 길이의 시트(3)을 이송하게 되며, 시트이탈방지부재(15)와 체인가이드부재(16)를 이용하여 시트(3)를 원활하게 이송하는 구조이다.
즉 두 개의 구동스프로킷(11)은 누비기의 프레임(4)의 하측의 한쪽 단부에 설치되어 모터(11a)에 의해 회전되는 축(11b)의 양단부에 설치되며, 두 개의 종동스프로킷(12)은 두 개의 구동스프로킷(11)과 각각 이격되어 누비기 프레임(4)의 하측의 다른쪽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두 개의 체인(13)은 상기 구동스프로킷(11)과 이에 대응하는 종동스프로킷(12)을 각각 연결하는 것이며, 다수의 핀부재(14)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3)의 양쪽 가장자리부를 걸어내는 다수의 핀(14a)을 구비하여 상기 체인(13) 상에서 등간격으로 각각 이격 설치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13)의 일부에 연장부(13a)를 형성하고, 상기 핀부재(14)와 연장부(13a)를 연결체(14b)로 연결하게 되며,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체인(13)의 연장부(13a)에 핀부재(14)를 그대로 연결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트(3)가 상 기 핀부재(14)의 핀(14a)에 걸려서 이동할 때, 시트(3)의 가장자리가 당겨지면 핀(14a)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으므로, 상기 시트이탈방지부재(15)가 상기 핀부재(14)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어 핀부재(14)에 걸린 시트(3)의 가장자리부를 아래로 안내하게 된다.
또한 시트(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부재(14)의 핀(14a)의 상부를 시트(3)의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체인가이드부재(16)는 상기 구동스프로킷(11)과 종동스프로킷(12) 사이의 구간에 위치한 체인의 안쪽을 나란하게 지지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트(3)가 공급되는 입구인 본 고안의 시트공급장치의 입구가 되는 두 개의 종동스프로킷(12)의 바깥쪽의 체인(13) 상에서 최단거리에 위치하는 두 개의 핀부재(14) 사이의 거리(L1)가 두 개의 구동스프로킷(11)의 체인(13) 상에서 최단거리에 위치하는 두 개의 핀부재(14) 사이의 거리(L2)보다 가깝게 구성되도록 상기 종동스프로킷(12)의 바깥쪽 사이의 거리를 좁히게 된다.
즉 두 개의 종동스프로킷(12)의 바깥쪽 사이의 거리를 좁혀서 시트(3)가 투입되는 입구인 두 개의 종동스프로킷(12)에 위치하여 시트(3)의 양쪽 가장자리부를 초기에 걸어내는 두 개의 핀부재(14) 사이의 거리가 다른 위치에서 대응하는 두 개의 핀부재(14) 사이의 거리보다 좁게 형성하게 한다.
더우기 미싱헤드(1)와 미싱가마박스(2)로 시트(3)를 누빌 때에는 시트(3)가 팽팽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므로, 본 고안에서는 구동스프로킷(11)과 종동스프로킷(12) 사이의 구간에 위치한 체인을 나란하게 지지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시트(3)을 팽팽하게 할 뿐만 아니라 체인(1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누비기용 시트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우선 작업자는 두 개의 종동스프로킷(12) 상에 각각 위치되는 짧은 거리의 두 개의 핀부재(14)에 시트(3)의 가장자리부를 걸어서 시트(3)를 팽팽하게 한 뒤, 모터(11a)를 작동시키면 두 개의 핀부재(14) 사이의 거리가 체인가이드부재(16)에 의해 벌려지면서 시트(3)를 더욱 팽팽하게 하면서 도 5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송하게 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시트(3)가 누비기의 내부에 완전하게 배치되면 미싱헤드(1)와 미싱가마박스(2)가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이동 즉 평면 운동하면서 시트(3)를 누비게 되며, 이 때에는 모터(11a)가 정지되어 시트(3)의 이동도 정지된 상태가 된다.
누비기 내에 배치된 시트(3)의 누비기 작업이 완료되면 모터(11a)가 작동되어 시트(3)의 가장자리부에 핀부재(14)의 핀(14a)이 연속적으로 삽입되면서 시트(3)를 바깥쪽으로 당기면서 시트(3)를 이동하게 되며, 상기와 같이 누비기의 내부에 시트(3)의 작업 부위가 위치되면 모터(11a)가 정지하게 되고, 누비기가 시트(3)를 다시 누비게 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일련의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 는 것이므로, 일정한 폭과 긴 길이를 구비한 시트(3) 전체를 작업자의 손을 거치지 않으면서 연속적으로 누비기 작업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시트공급장치가 적용되는 누비기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 - A선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부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C - C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누비기용 시트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구동스프로킷
12 : 종동스프로킷
13 : 체인
14 : 핀부재
14a : 핀
15 : 시트이탈방지부재
16 : 체인가이드부재

Claims (2)

  1. 미싱헤드와 미싱가마박스가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시트를 누비는 누비기에 설치되어, 시트를 작업 위치로 연속 공급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누비기용 시트공급장치에 있어서,
    누비기의 프레임의 하측의 한쪽 단부에 배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축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구동스프로킷,
    두 개의 구동스프로킷과 각각 이격되어 누비기 프레임의 하측의 다른쪽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종동스프로킷,
    구동스프로킷과 이에 대응하는 종동스프로킷을 각각 연결하는 두 개의 체인,
    시트의 양쪽 가장자리부를 걸어내는 다수의 핀을 구비하여 상기 체인 상에서 등간격으로 각각 이격 설치되는 다수의 핀부재,
    체인의 상부에 위치하여 시트의 가장자리부에 걸리는 상기 핀부재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어 핀부재에 걸린 시트의 가장자리부를 아래로 안내하는 시트이탈방지부재,
    두 개의 체인 사이의 안쪽을 지지 안내하는 체인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지는 누비기용 시트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두 개의 종동스프로킷의 바깥쪽 사이의 거리를 좁혀서 시트가 투입되는 입구 인 두 개의 종동스프로킷에 위치하여 시트의 양쪽 가장자리부를 초기에 걸어내는 두 개의 핀부재 사이의 거리가 다른 위치에서 대응하는 두 개의 핀부재 사이의 거리보다 좁게 형성하며, 두 개의 구동스프로킷과 이에 대응하는 두 개의 종동스프로킷 사이 구간의 체인을 상기 체인가이드부재로 평행하게 지지 안내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누비기용 시트공급장치.
KR2020090003234U 2009-03-20 2009-03-20 누비기용 시트공급장치 KR2010000954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234U KR20100009547U (ko) 2009-03-20 2009-03-20 누비기용 시트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234U KR20100009547U (ko) 2009-03-20 2009-03-20 누비기용 시트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547U true KR20100009547U (ko) 2010-09-29

Family

ID=44199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234U KR20100009547U (ko) 2009-03-20 2009-03-20 누비기용 시트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954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349B1 (ko) * 2022-05-06 2023-04-19 김환욱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
KR20230171165A (ko) * 2022-06-13 2023-12-20 주식회사 자므 퀼팅기용 지그, 클립 작동부, 이너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누비 이불 제작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349B1 (ko) * 2022-05-06 2023-04-19 김환욱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
WO2023214611A1 (ko) * 2022-05-06 2023-11-09 김환욱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
KR20230171165A (ko) * 2022-06-13 2023-12-20 주식회사 자므 퀼팅기용 지그, 클립 작동부, 이너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누비 이불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8947A (ko) 재봉기의 수틀 이송장치
KR101075133B1 (ko) 스팡글 공급 장치
US11066768B2 (en) Fly edgestitching apparatus
US75970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sewing product
KR20100009547U (ko) 누비기용 시트공급장치
KR20130082402A (ko) 봉제장치 및 봉제방법
JP7296707B2 (ja) 給糸装置
KR20120064010A (ko) 재봉기 및 그의 구동 제어방법
KR20070087579A (ko) 자수 필름용 지지부
KR20080027150A (ko) 자동 재봉 조립체 및 상기 자동 재봉 조립체용 공급스테이션
JP4799946B2 (ja) 玉縁縫いミシン
CN211256275U (zh) 一种便于对松紧带进行加工的缝纫机
JP5061323B2 (ja) シート材の裁断方法及び裁断装置
JP5711045B2 (ja) 縫製装置
CN110629420A (zh) 刺绣设备夹布气框
CN211142447U (zh) 刺绣设备夹布气框
KR101096723B1 (ko) 쌍침 사절 장치와 이를 이용한 재봉틀
KR200486116Y1 (ko) 조립식 구조물의 프레임 간격 유지용 연결바 인장 장치
KR101164968B1 (ko) 봉제기계용 원단투입 준비기
JP3750607B2 (ja) 芯付及び天伏用カーテン縫製機
TWI729090B (zh) 縫紉機
JP3646910B2 (ja) 畳縫着装置
CN110607616B (zh) 刺绣设备夹布装置和夹布方法
JP2005080895A (ja) ミシンの被縫製物移送装置
CN218842532U (zh) 多裁片埋夹拼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