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940B1 - 재봉기용 재봉물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재봉기용 재봉물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940B1
KR100888940B1 KR1020080136842A KR20080136842A KR100888940B1 KR 100888940 B1 KR100888940 B1 KR 100888940B1 KR 1020080136842 A KR1020080136842 A KR 1020080136842A KR 20080136842 A KR20080136842 A KR 20080136842A KR 100888940 B1 KR100888940 B1 KR 100888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support
coupled
conveying bel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6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세제
Original Assignee
조세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세제 filed Critical 조세제
Priority to KR1020080136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9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10Work-feeding means with rotary circular feed members
    • D05B27/12Work-feeding means with rotary circular feed members rotating continuously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6Presser fee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3/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upplying or removing the work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02Mechanical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봉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봉기의 재봉바늘 전방으로 설치된 지지판 상측의 지지대 전,후방 양측으로 전동축의 전동풀리들에 결합되어 재봉물을 이송시켜 주는 이송용벨트를 구비하고 이송용벨트의 구동수단에 의해 이송용벨트를 구동시켜 회전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송용벨트 양측의 전동풀리 사이에는 이송용풀리들을 위치시키고 이송용풀리의 압지수단에 의해 이송용풀리가 이송용벨트를 압지하여 이송용벨트가 재봉물의 표면을 균일하게 압지할 수 있도록 한 다음 이송용벨트의 후진수단에 의해 이송용벨트를 재봉이 완료된 다음 재봉기 방향으로 후진시켜 재봉기의 재봉바늘이 되밖음질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이송용벨트의 승강수단에 의해 이송용벨트에 의해 이송중인 재봉물에 예기치 않은 문제가 발생할 경우 이송용벨트를 들어 올려 재봉물을 이송용벨트로 부터 취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지지판의 관통공으로 결합되는 받침판에 의해 이송용벨트에 의해 압지되고 있는 재봉물의 이면에 압력을 가하여 받쳐줄 수 있도록 하며 받침판의 승강수단에 의해 받침판을 승강시켜 재봉이 완료된 재봉물을 후공정인 적재공정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재봉기용 재봉물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80136842
이송용벨트

Description

재봉기용 재봉물 이송장치{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재봉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봉기의 재봉바늘 전방으로 설치된 지지판 상측의 지지대 전,후방 양측으로 전동축의 전동풀리들에 결합되어 재봉물을 이송시켜 주는 이송용벨트를 구비하고 이송용벨트의 구동수단에 의해 이송용벨트를 구동시켜 회전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송용벨트 양측의 전동풀리 사이에는 이송용풀리들을 위치시키고 이송용풀리의 압지수단에 의해 이송용풀리가 이송용벨트를 압지하여 이송용벨트가 재봉물의 표면을 균일하게 압지할 수 있도록 한 다음 이송용벨트의 후진수단에 의해 이송용벨트를 재봉이 완료된 다음 재봉기 방향으로 후진시켜 재봉기의 재봉바늘이 되밖음질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이송용벨트의 승강수단에 의해 이송용벨트에 의해 이송중인 재봉물에 예기치 않은 문제가 발생할 경우 이송용벨트를 들어 올려 재봉물을 이송용벨트로 부터 취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지지판의 관통공으로 결합되는 받침판에 의해 이송용벨트에 의해 압지되고 있는 재봉물의 이면에 압력을 가하여 받쳐줄 수 있도록 하며 받침판의 승강수단에 의해 받침판을 승강시켜 재봉이 완료된 재봉물을 후공정인 적재공정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재봉기의 재봉바늘에 의해 재봉되어 나오는 길고 넓은 면적을 가진 와이셔츠 등판과 같은 재봉물을 넓게 펼친 상태로 이송시켜 후 공정인 적재공정으로 질서정 연하게 공급할 수 있어 후공정의 작업이 매우 간편해지기 때문에 효율적인 작업을 할 수 있고 다수개의 이송용풀리들에 의해 이송용벨트가 재봉물의 시작점부터 끝점까지 압지를 해주는 이송방식이므로 오차의 발생없이 정확하고 신속한 이송이 가능하며 이송용벨트는 재봉물의 표면을 받침판은 재봉물의 하측을 압지한 상태에서 이송을 하기 때문에 더욱 정밀한 이송이 가능하고 받침판의 승강동작에 의해 재봉이 완료된 재봉물은 자동으로 다음 공정으로 공급하게 되므로 이송중 작업자가 재봉물을 잡아주거나 다음 공정으로 운반하는 등의 불필요한 인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재봉이 완료되면 이송용벨트를 후진시켜서 되밖음질을 하여 마무리를 지을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재봉사가 재봉이 완료된 재봉물을 재차 되밖음질을 하였던 번거로운 폐단을 해소하였으며 이송용벨트에 의해 이송중인 재봉물에 혹시 모를 문제점등이 발생되면 이송용벨트를 상승시켜 재봉물을 곧바로 취출할 수 있으므로 비상시에도 뛰어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재봉기용 재봉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재봉기용 재봉물 이송장치는 재봉기의 노루발 후측에 장착되어 재봉이 완료된 재봉물을 후측으로 인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은, 한 개의 로울러에 의해 재봉물을 인출시키는 수단을 취하고 있으므로 길이가 길고 넓이가 넓은 재봉물을 다량으로 재봉하기 위해서는 많은 어려움이 뒤따르게 된다.
즉, 상기 로울러에 의해 인출된 재봉물은 곧게 펼치진 상태로 인출되지 못하고 접혀지기 때문에 다른 작업자가 재봉물을 펴 주는 작업을 해야 했고 또 다른 작업자 는 이를 차곡차곡 정리하는 작업을 해야 했으므로 재봉사를 포함해 최소 3명의 작업자가 필요하였었다.
따라서, 작업능률이 저하되었고 생산성의 떨어지는 원인이 되었으며 인건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은, 재봉물을 인출하는 로울러가 후진은 하지 못하고 전진만을 하였기 때문에 마무리를 위한 되박음질시 재봉이 완료된 재봉물을 다시 다른 재봉기에서 되밖음질을 해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재봉기의 재봉바늘에 의해 재봉되어 나오는 길고 넓은 면적을 가진 와이셔츠 등판과 같은 재봉물을 넓게 펼친 상태로 이송시켜 후 공정인 적재공정으로 질서정연하게 공급할 수 있어 후공정의 작업이 매우 간편해지기 때문에 효율적인 작업을 할 수 있고 다수개의 이송용풀리들에 의해 이송용벨트가 재봉물의 시작점부터 끝점까지 압지를 해주는 이송방식이므로 오차의 발생없이 정확하고 신속한 이송이 가능하며 이송용벨트는 재봉물의 표면을 받침판은 재봉물의 하측을 압지한 상태에서 이송을 하기 때문에 더욱 정밀한 이송이 가능하고 받침판의 승강동작에 의해 재봉이 완료된 재봉물은 자동으로 다음 공정으로 공급하게 되므로 이송중 작업자가 재봉물을 잡아주거나 다음 공정으로 운반하는 등의 불필요한 인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재봉이 완료되면 이송용벨트를 후진시켜서 되밖음질을 하여 마무리를 지을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재봉사가 재봉이 완료된 재봉물을 재차 되밖음질을 하였던 번거로운 폐단을 해소하였으며 이송용벨트에 의해 이송중인 재봉물에 혹시 모를 문제점등이 발생되면 이송용벨트를 상승시켜 재봉물을 곧바로 취출할 수 있으므로 비상시에도 뛰어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재봉기의 재봉바늘 전방으로 설치된 지지판 상측의 지지대 전,후방 양측으로 전동축의 전동풀리들에 결합되어 재봉물을 이송시켜 주는 이송용벨트를 구비하고 이송용벨트의 구동수단에 의해 이송용벨트를 구동시켜 회전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송용벨트 양측의 전동풀리 사이에는 이송용풀리들을 위치시키고 이송용풀리의 압지수단에 의해 이송용풀리가 이송용벨트를 압지하여 이송용벨트가 재봉물의 표면을 균일하게 압지할 수 있도록 한 다음 이송용벨트의 후진수단에 의해 이송용벨트를 재봉이 완료된 다음 재봉기 방향으로 후진시켜 재봉기의 재봉바늘이 되밖음질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이송용벨트의 승강수단에 의해 이송용벨트에 의해 이송중인 재봉물에 예기치 않은 문제가 발생할 경우 이송용벨트를 들어 올려 재봉물을 이송용벨트로 부터 취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지지판의 관통공으로 결합되는 받침판에 의해 이송용벨트에 의해 압지되고 있는 재봉물의 이면에 압력을 가하여 받쳐줄 수 있도록 하며 받침판의 승강수단에 의해 받침판을 승강시켜 재봉이 완료된 재봉물을 후공정인 적재공정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재봉기의 재봉바늘에 의해 재봉되어 나오는 길고 넓은 면적을 가진 와이셔츠 등판과 같은 재봉물을 넓게 펼친 상태로 이송시켜 후 공정인 적재공정으로 질서정연하게 공급할 수 있어 후공정의 작업이 매우 간편해지기 때문에 효율적인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이송용풀리들에 의해 이송용벨트가 재봉물의 시작점부터 끝점까지 압지를 해주는 이송방식이므로 오차의 발생없이 정확하고 신속한 이송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이송용벨트는 재봉물의 표면을 받침판은 재봉물의 하측을 압지한 상태에서 이송을 하기 때문에 더욱 정밀한 이송이 가능하고 받침판의 승강동작에 의해 재봉이 완료된 재봉물은 자동으로 다음 공정으로 공급하게 되므로 이송중 작업자가 재봉물을 잡아주거나 다음 공정으로 운반하는 등의 불필요한 인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재봉이 완료되면 이송용벨트를 후진시켜서 되밖음질을 하여 마무리를 지을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재봉사가 재봉이 완료된 재봉물을 재차 되밖음질을 하였던 번거로운 폐단을 해소하였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이송용벨트에 의해 이송중인 재봉물에 혹시 모를 문제점등이 발생되면 이송용벨트를 상승시켜 재봉물을 곧바로 취출할 수 있으므로 비상시에도 뛰어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재봉기(171)의 재봉바늘(172)에 의해 재봉되어 나오는 길고 넓은 면적을 가진 와이셔츠 등판과 같은 재봉물(173)을 넓게 펼친 상태로 이송시켜 후 공정인 적재공정으로 공급하기 위해 재봉기(171)의 재봉바늘(172) 전방으로 설치된 지지판(108) 상측의 지지대(136) 전,후방 양측으로 전동축(161)의 전동풀리(169)들에 결합되어 재봉물(173)을 이송시켜 주는 이송용벨트(168)와,
상기 이송용벨트(168)를 구동시켜 회전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용벨트의 구동수단과,
상기 이송용벨트(168) 양측의 전동풀리(169) 사이에 위치되는 다수개의 이송용풀리(162)와,
상기 이송용풀리(162)가 이송용벨트(168)를 압지하여 이송용벨트(168)가 재봉물(173)의 표면을 균일하게 압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송용풀리의 압지수단과,
상기 이송용벨트(168)를 재봉이 완료된 다음 재봉기(171) 방향으로 후진시켜 재봉기(171)의 재봉바늘(172)이 되밖음질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송용벨트의 후진수단과,
상기 이송용벨트(168)에 의해 이송중인 재봉물(173)에 예기치 않은 문제가 발생할 경우 이송용벨트(168)를 들어 올려 재봉물(173)을 이송용벨트(168)로 부터 취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송용벨트의 승강수단과,
상기 이송용벨트(168)에 의해 압지되고 있는 재봉물(173)의 이면에 압력을 가하여 받쳐주기 위해 지지판(108)의 관통공(109)으로 결합되는 받침판(107)과,
상기 받침판(107)을 승강시켜 재봉이 완료된 재봉물(173)을 후공정인 적재공정으로 공급하기 위한 받침판의 승강수단을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이송용벨트의 구동수단은 지지대(136) 후방에서 이송용벨트(168)를 결합하고 있는 전동풀리(169)의 전동축(161)에 제2유니버셜조인트(149)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축(148)과,
상기 연결축(148)의 제1유니버셜조인트(147)에 일측부를 연결하고 있고 베어링케이스(113)에 의해 지지되는 종동축(146)과,
상기 종동축(146) 타측에 결합된 종동풀리(145)와 벨트(144)로 연결되는 구동풀리(143)와,
상기 구동풀리(143)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풀리(143)를 메인회전축(142)에 결합하고 있고 메인판(101)에 안착 고정되는 메인감속모터(141)로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메인감속모터(141) 보다 적은 출력으로 이송용벨트(168)를 구동시키기 위해 메인감속모터(141)의 메인회전축(142)에 부가되어 설치되는 일방향베어링(156)이 내장된 연동풀리(155)와,
상기 연동풀리(155)와 벨트(154)로 연결되는 보조풀리(153)와,
상기 보조풀리(153)를 회전시키기 위해 보조풀리(153)에 보조회전축(152)을 결합하고 있고 메인판(101)에 안착고정되는 보조감속모터(151)를 더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이송용풀리의 압지수단은 이송용풀리(162)에 결합된 지지축(163)에 일단부를 결합하고 있고 타단부는 지지대(136)의 지지핀(165)에 회전용이토록 결합되는 지지편(164)과,
상기 지지편(164)의 상면에 하측부를 접촉하고 있고 상측부는 지지대(136)에 고정되어 지지편(164)의 상면을 압지하는 탄성부재(166)와,
상기 탄성부재(166)의 탄력에 의해 압지되는 지지편(164)이 일정 거리 내에서 정지하도록 지지편(164) 하측의 지지대(136)에 결합되는 스토퍼(167)로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이송용벨트의 후진수단은 이송용벨트(168)가 결합된 지지대(136) 반대면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이동편(135)과,
상기 이동편(135)에 결합되어 이동편(135)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누름판(121)에 고정된 다수개의 고정레일(134)과,
상기 지지대(136)에 고정되어 누름판(121)의 이동공(137)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연결편(133)과,
상기 연결편(133)을 누름판(121)의 이동공(137)내에서 후진시키기 위해 연결편(133)에 피스톤(132)을 결합하고 있고 누름판(121)의 저면으로 고정되는 후진용실린더(131)로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이송용벨트의 승강수단은 이송용벨트(168)가 결합된 지지대(136)를 연결하고 있는 누름판(121) 후측 저부의 상측지지편(122)을 메인판(101)의 상측베어링케이스(124)와 회전용이토록 결합하고 있는 상측힌지축(123)과,
상기 누름판(121)의 상측면으로 고정되는 비상용실린더(125)와,
상기 비상용실린더(125)의 피스톤(126)에 결합되어 메인판(101)의 표면과 접촉을 하는 고무체(127)로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받침판의 승강수단은 받침판(107)에 일측부를 연결하고 있고 중간부의 하측베어링케이스(105)를 메인판(101) 저부의 하측지지편(103)과 하측힌지축(104)으로 회전용이토록 결합되는 연결판(106)과,
상기 연결판(106)의 타측부에는 메인판(101)의 통공(102)을 관통하는 피스톤(112)을 결합하고 있고 메인판(101)의 표면에 고정되는 승강용실린더(111)로 구비하였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재봉물 이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재봉물 이송장치의 재봉물 이송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로서, 본 발명은 길고 넓은 면적을 가진 와이셔츠 등판과 같은 재봉물(173)을 넓게 펼친 상태에서 재봉기(171)의 재봉바늘(172)에 의해 재봉을 한 후 이송용벨트(168)에 펼친상태 그대로 이송을 시켜서 다음 적재공정으로 공급을 하게 된다.
먼저, 작업자가 재봉기(171)의 전원을 켜고 재봉작업을 시작하면 재봉바늘(172)이 작동되는 것과 동시에 도 3에 나타낸 바와같은 메인판(101)에 안착 고정된 메인감속모터(141)가 작동되면서 메인회전축(142)을 회전시킨다.
상기 메인회전축(142)의 회전에 의해 이에 결합된 구동풀리(143)가 회전하고 동일축상에 부가 결합된 연동풀리(155)는 내장된 일방향베어링(156) 때문에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구동풀리(143)의 회전력은 벨트(144)에 의해 종동풀리(145)에 전동되어 베어링케이스(113)에 결합된 종동축(146)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종동축(146)의 회전에 의해 이에 제1유니버셜조인트(147)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축(148)이 회전하면서 제2유니버셜조인트(149)를 통해 지지대(136)의 후측부에 결합된 전동축(161) 및 전동풀리(169)를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전동풀리(169)와 지지대(136)의 전측부에 결합된 전동풀리(169)를 연결하고 있는 이송용벨트(168)가 회전 이동하면서 재봉바늘(172)에 의해 재봉되어 나온 재봉물(173)과 접촉을 하게 된다.
상기 이송용벨트(168)와 접촉을 하는 재봉물(173)은 이송용벨트(168)의 회전 력에 의해 지지판(108)에 밀착된 상태로 강제적 이송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용벨트(168)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개의 이송용풀리(162)들이 이송용벨트(168) 하측부를 압지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즉, 지지대(136)에 상측부를 고정하고 있는 탄성부재(166)의 하측부가 지지편(164)를 탄지하고 있으므로 지지편(164)은 지지대(136)에 고정된 지지핀(165)을 중심으로 하향 회전이동을 하면서 이송용벨트(168)를 눌러주게 되므로 이송용벨트(168) 역시 재봉물(173)의 표면을 압지하는 상태에서 재봉물(173)을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편(164)하측부 지지대(136)에 고정된 스토퍼(167)는 지지편(164)이 과도한 압지력을 발휘하지 못하도록 잡아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용벨트(168)가 이송중인 재봉물(173)의 표면을 압지하는 것과 동시에 재봉물(173)의 이면은 도 7에 나타낸 바와같이 지지판(108)의 관통공(109)에 결합된 받침판(107)이 압지를 하게 된다.
즉, 상기 받침판(107)은 메인판(101)의 표면에 고정된 승강용실린더(111)의 피스톤(112)이 메인판(101)의 통공(102)을 관통하여 연결판(106) 타측부와 연결되어 있고 연결판(106)의 중간부에 고정된 하측베어링케이스(105)를 메인판(101) 저부의 하측지지편(103)에 하측힌지축(104)으로 회전용이토록 결합시키고 있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112)이 전진하면 연결판(106)은 하측힌지축(10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연결판(106) 일측부의 받침판(107)이 상승을 하게 되므로 받침판(107)이 이동되는 재봉물(173)의 이면을 압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재봉물(173)의 표면과 이면을 압지하고 이송중인 상태의 재봉물(173)에 재봉바늘(172)의 재봉작업이 완료되면 재봉선이 풀리지 않토록 되밖음질을 하여야 한다.
이때에는, 누름판(121)의 저부에 도 4에 나타낸 바와같이 고정된 후진용실린더(131)가 작동하면서 피스톤(132)을 전진시키게 된다.
상기 피스톤(132)의 전진 이동에 의해 이에 결합된 연결편(133)이 누름판(121)의 이동공(137)내에서 이동을 하게 되고 연결편(133)이 고정된 지지대(136) 역시 도 4의 실선 위치에서 가상선 위치로 후진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36)의 후진 이동에 의해 이에 결합된 이송용벨트(168)도 후진 이동을 하기 때문에 재봉물(173) 역시 후진하면서 재봉바늘(172)에 의해 되밖음질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136)의 후진 이동은 지지대(136)에 고정된 다수개의 이동편(135)들이 누름판(121)에 고정된 다수개의 고정레일(134)들의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하게 되므로 부드러운 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재봉바늘(172)에 의해 되밖음질이 완료된 재봉물(173)은 이송용벨트(168)에 의해 계속 이송을 하게 되는바, 되밖음질이 완료되면 재봉기(171)가 정지를 하게 되고 동시에 메인감속모터(141)도 정지를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감속모터(141)의 정지와 함께 콘트롤박스의 지시에 의해 메인판(101)에 안착 고정된 보조감속모터(151)가 작동을 시작하게 된다.
이는, 상기 메인감속모터(141)는 이송용벨트(168)의 구동 뿐만 아니라 재봉 기(171) 전체에 동력을 전달하기 때문이며 상기 재봉물(173)은 되밖음질 후 이송만을 시켜야 하기 때문에 다음 재봉시까지는 약간의 시간이 소요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재봉물(173)의 이송시에 소요되는 동력만 있으면 되는 것이지 필요 없이 재봉기까지 공회전을 시킬 필요가 없는 것이며 그만큼 동력 손실을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같은 보조감속모터(151)의 작동에 의해 보조회전축(152)이 회전을 하게 되고 이울러 이에 결합된 보조풀리(153)가 회전하면서 벨트(154)에 의해 메인회전축(142)에 결합된 연동풀리(155)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므로 메인회전축(142)의 회전에 의해 전술한 바와 동일한 동력전달 과정으로 이송용벨트(168)를 회전시켜 재봉물(173)을 동일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동풀리(155)에 내장되어 있는 일방향베어링(156)은 방향성을 가진 베어링으로서 메인회전축(142)이 회전시에는 정지를 하고 있고 연동풀리(155)가 회전할 때만 회전을 하는 베어링이다.
상기와 같이 보조감속모터(151)의 구동력에 의해 이송용벨트(168)와 받침판(107)의 압지력을 받고 있는 재봉물(173)의 이송이 완료되면 센서의 감지에 따른 콘트롤박스(도시안됨)의 지시에 의해 상기 승강용실린더(111)가 역작동을 하면서 피스톤(112)을 당기게 되므로 연결판(106)은 하측힌지축(104)을 중심으로 역회전을 하게 되고 아울러 받침판(107) 역시 하강하게 되므로 재봉물(173)의 이면을 받치고 있던 압지력이 없어지게 되어 재봉물(173)은 지지판(108)우측으로 떨어져 적재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송용벨트(168)와 받침판(107)에 의해 표면과 이면을 압지 당한 상태로 이송중인 재봉물(173)에 단추나 바늘과 같은 외부의 이물질이 섞여서 이송중이거나 재봉물(173)에 바느질이 잘못되었을 경우가 발견되면 곧바로 비상조치를 취하여 이들을 제거해야 하는바, 이때는 작업자가 비상보턴을 누르게 된다.
상기 비상보턴을 누르면 도 8에 나타낸 바와같은 누름판(121)에 고정된 비상용실린더(125)가 작동을 하면서 피스톤(126)을 전진시킨다.
상기 피스톤(126)의 전진에 의해 피스톤 끝단부에 결합된 고무체(127)가 하강하여 메인판(101)과 접촉을 하면서 계속 전진을 하게 되므로 비상용실린더(125)를 고정하고 있는 누름판(121)의 후측 저부에 결합된 상측지지편(122)이 상측힌지축(123)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면서 누름판(121)을 도 8의 신선위치에서 가상선 위치로 들어 올리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누름판(121)에 연결된 지지대(136)와 재봉물(173)의 표면을 압지하고 있던 이송용벨트(168)들이 들어 올려지게 되므로 작업자는 재봉물(173)을 손쉽게 빼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재봉물(173)을 빼낸후에는 다시 보턴을 누르면 비상용실린더(125)가 역작동에 의해 원위치하면서 누름판(121)과 이송용벨트(168)들이 원위치하게 되므로 재봉물 이송작업을 계속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재봉물 이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재봉물 이송장치의 재봉물 이송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재봉물 이송장치의 구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재봉물 이송장치의 후진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 재봉물 이송장치의 지지대에 결합된 이송용풀리들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 도 5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 재봉물 이송장치의 받침판을 승강시키는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 재봉물 이송장치의 누름판과 이송용풀리를 승강시키는 작용을 나타낸 도면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메인판 102-통공
103-하측지지편 104-하측힌지축
105-하측베어링케이스 106-연결판
107-받침판 108-지지판
109-관통공 111-승강용실린더
112-피스톤 113-베어링케이스
121-누름판 122-상측지지편
123-상측힌지축 124-상측베어링케이스
125-비상용실린더 126-피스톤
127-고무체 131-후진용실린더
132-피스톤 133-연결편
134-고정레일 135-이동편
136-지지대 137-이동공
141-메인감속모터 142-메인회전축
143-구동풀리 144-벨트
145-종동풀리 146-종동축
147-제1유니버셜조인트 148-연결축
149-제2유니버셜조인트 161-전동축
162-이송용풀리 163-지지축
164-지지편 165-지지핀
167-스토퍼 168-이송용벨트
169-전동풀리 171-재봉기
172-재봉바늘 173-재봉물

Claims (7)

  1. 재봉기의 재봉바늘에 의해 재봉되어 나오는 길고 넓은 면적을 가진 와이셔츠 등판과 같은 재봉물을 넓게 펼친 상태로 이송시켜 후 공정인 적재공정으로 공급하기 위해 재봉기의 재봉바늘 전방으로 설치된 지지판 상측의 지지대 전,후방 양측으로 전동축의 전동풀리들에 결합되어 재봉물을 이송시켜 주는 이송용벨트와,
    상기 이송용벨트를 구동시켜 회전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용벨트의 구동수단과,
    상기 이송용벨트 양측의 전동풀리 사이에 위치되는 다수개의 이송용풀리와,
    상기 이송용풀리가 이송용벨트를 압지하여 이송용벨트가 재봉물의 표면을 균일하게 압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송용풀리의 압지수단과,
    상기 이송용벨트를 재봉이 완료된 다음 재봉기 방향으로 후진시켜 재봉기의 재봉바늘이 되밖음질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송용벨트의 후진수단과,
    상기 이송용벨트에 의해 이송중인 재봉물에 예기치 않은 문제가 발생할 경우 이송용벨트를 들어 올려 재봉물을 이송용벨트로 부터 취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송용벨트의 승강수단과,
    상기 이송용벨트에 의해 압지되고 있는 재봉물의 이면에 압력을 가하여 받쳐주기 위해 지지판의 관통공으로 결합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을 승강시켜 재봉이 완료된 재봉물을 후공정인 적재공정으로 공급하기 위한 받침판의 승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용 재봉물 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용벨트의 구동수단은 지지대 후방에서 이송용벨트를 결합하고 있는 전동풀리의 전동축에 제2유니버셜조인트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의 제1유니버셜조인트에 일측부를 연결하고 있고 베어링케이스에 의해 지지되는 종동축과,
    상기 종동축 타측에 결합된 종동풀리와 벨트로 연결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풀리를 메인회전축에 결합하고 있고 메인판에 안착 고정되는 메인감속모터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용 재봉물 이송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감속모터 보다 적은 출력으로 이송용벨트를 구동시키기 위해 메인감속모터의 메인회전축에 부가되어 설치되는 일방향베어링이 내장된 연동풀리와,
    상기 연동풀리와 벨트로 연결되는 보조풀리와,
    상기 보조풀리를 회전시키기 위해 보조풀리에 보조회전축을 결합하고 있고 메인판에 안착고정되는 보조감속모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용 재봉물 이송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용풀리의 압지수단은 이송용풀리에 결합된 지지축에 일단부를 결합하고 있고 타단부는 지지대의 지지핀에 회전용이토록 결합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상면에 하측부를 접촉하고 있고 상측부는 지지대에 고정되어 지지편의 상면을 압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탄력에 의해 압지되는 지지편이 일정 거리 내에서 정지하도록 지지편 하측의 지지대에 결합되는 스토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용 재봉물 이송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용벨트의 후진수단은 이송용벨트가 결합된 지지대 반대면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이동편과,
    상기 이동편에 결합되어 이동편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누름판에 고정된 다수개의 고정레일과,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어 누름판의 이동공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을 누름판의 이동공내에서 후진시키기 위해 연결편에 피스톤을 결합하고 있고 누름판의 저면으로 고정되는 후진용실린더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용 재봉물 이송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용벨트의 승강수단은 이송용벨트가 결합된 지지대를 연결하고 있는 누름판 후측저부의 상측지지편을 메인판의 상측베어링케이스와 회전용이토록 결합하고 있는 상측힌지축과,
    상기 누름판의 상측면으로 고정되는 비상용실린더와,
    상기 비상용실린더의 피스톤에 결합되어 메인판의 표면과 접촉을 하는 고무체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용 재봉물 이송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의 승강수단은 받침판에 일측부를 연결하고 있고 중간부의 하측베어링케이스를 메인판 저부의 하측지지편과 하측힌지축으로 회전용이토록 결합되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의 타측부에는 메인판의 통공을 관통하는 피스톤을 결합하고 있고 메인판의 표면에 고정되는 승강용실린더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용 재봉물 이송장치.
KR1020080136842A 2008-12-30 2008-12-30 재봉기용 재봉물 이송장치 KR100888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842A KR100888940B1 (ko) 2008-12-30 2008-12-30 재봉기용 재봉물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842A KR100888940B1 (ko) 2008-12-30 2008-12-30 재봉기용 재봉물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8940B1 true KR100888940B1 (ko) 2009-03-17

Family

ID=40698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6842A KR100888940B1 (ko) 2008-12-30 2008-12-30 재봉기용 재봉물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94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5429A (ko) * 2009-11-19 2011-05-25 브이아이.비이.엠에이씨 에스.피.에이. 이송 장치 및 상기 이송 장치를 구비한 재봉기
KR20150022642A (ko) * 2013-08-23 2015-03-04 치 시앙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재봉틀의 피드 장치
CN109667070A (zh) * 2019-02-27 2019-04-23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锁眼机
TWI783182B (zh) * 2019-10-09 2022-11-11 寶成工業股份有限公司 自動上下料裝置
KR102523349B1 (ko) * 2022-05-06 2023-04-19 김환욱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2902Y1 (ko) * 1984-03-09 1987-08-26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장척의 재봉물을 재봉지점으로 부터 인출해 내는 기구
US4955307A (en) 1988-06-06 1990-09-11 Pfaff Industriemaschinen Gmbh Device on sewing machines for the transport of work pieces
JPH03106390A (ja) * 1989-09-19 1991-05-02 Mitsubishi Electric Corp X―yテーブル駆動装置
JPH06304365A (ja) * 1993-04-21 1994-11-01 Pegasus Sewing Mach Mfg Co Ltd 筒状生地の自動ヘミ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2902Y1 (ko) * 1984-03-09 1987-08-26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장척의 재봉물을 재봉지점으로 부터 인출해 내는 기구
US4955307A (en) 1988-06-06 1990-09-11 Pfaff Industriemaschinen Gmbh Device on sewing machines for the transport of work pieces
JPH03106390A (ja) * 1989-09-19 1991-05-02 Mitsubishi Electric Corp X―yテーブル駆動装置
JPH06304365A (ja) * 1993-04-21 1994-11-01 Pegasus Sewing Mach Mfg Co Ltd 筒状生地の自動ヘミング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5429A (ko) * 2009-11-19 2011-05-25 브이아이.비이.엠에이씨 에스.피.에이. 이송 장치 및 상기 이송 장치를 구비한 재봉기
KR101593704B1 (ko) 2009-11-19 2016-02-12 브이아이.비이.엠에이씨 에스.피.에이. 이송 장치 및 상기 이송 장치를 구비한 재봉기
KR20150022642A (ko) * 2013-08-23 2015-03-04 치 시앙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재봉틀의 피드 장치
KR101589236B1 (ko) 2013-08-23 2016-01-27 치 시앙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재봉틀의 피드 장치
CN109667070A (zh) * 2019-02-27 2019-04-23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锁眼机
TWI783182B (zh) * 2019-10-09 2022-11-11 寶成工業股份有限公司 自動上下料裝置
KR102523349B1 (ko) * 2022-05-06 2023-04-19 김환욱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
WO2023214611A1 (ko) * 2022-05-06 2023-11-09 김환욱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940B1 (ko) 재봉기용 재봉물 이송장치
CN109722799B (zh) 一种枕芯机
CN105035810A (zh) 一种接布方法
US5331910A (en) Sewing machine with auxiliary transport rollers, belt, and cutter
GB125418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itching a succession of fabric workpieces
US3664280A (en) Mattress closing machine with automatic positioning means for a mattress assembly
JP6151748B2 (ja) ウエブの継ぎ合わせ方法
KR20120050208A (ko) 누빔지 원단의 테두리단 봉제장치
CN206752079U (zh) 两段式布料传送设备以及缝纫设备
JP2554371B2 (ja) 紙通し準備装置
JP2608858B2 (ja) 生地の連続プレス・サージング方法
CN115506143B (zh) 一种高安全性的衣料裁剪工艺及装置
CN215100056U (zh) 覆膜机预上料机构
CN219971349U (zh) 一种pu材料自动取料机
KR20110012618A (ko) 관라이닝 백의 센터링 장치
CN211664355U (zh) 一种便于压紧布料的激光裁布机
CN202786704U (zh) 缝纫辅助装置
CN217800072U (zh) 一种自动螺丝机
CN219031166U (zh) 一种卷布机
CN217322667U (zh) 一种纤维布带原料重送装置
CN213261102U (zh) 一种半自动机械手二次贴膜机
JP2639761B2 (ja) タイヤ構成帯状材料の供給方法及びその装置
CN111945409A (zh) 一种全自动锁边切边装置
JPS6293159A (ja) 両面印字機構
KR200471427Y1 (ko) 띠지 자동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