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704B1 - 이송 장치 및 상기 이송 장치를 구비한 재봉기 - Google Patents

이송 장치 및 상기 이송 장치를 구비한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704B1
KR101593704B1 KR1020100114257A KR20100114257A KR101593704B1 KR 101593704 B1 KR101593704 B1 KR 101593704B1 KR 1020100114257 A KR1020100114257 A KR 1020100114257A KR 20100114257 A KR20100114257 A KR 20100114257A KR 101593704 B1 KR101593704 B1 KR 101593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onveyor belt
plate
hole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5429A (ko
Inventor
카를로 구에레쉬
Original Assignee
브이아이.비이.엠에이씨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아이.비이.엠에이씨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브이아이.비이.엠에이씨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10055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5/00Sewing units consisting of combinations of several sew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3/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upplying or removing the work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207/00Use of special elements
    • D05D2207/02Pneumatic or hydraulic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재봉기 상에 장착되는 이송 장치는 재봉기의 베이스에 고정된 플레이트, 회전하기 위해서 지지 구조물에 고정된 두 개의 롤러들 상에 장착된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하고, 컨베이어 벨트가 플레이트에 인접하도록, 지지 구조물은 재봉기와 결합되고, 이송장치는 컨베이어 벨트가 동작 상태에 있을 때, 플레이트와 컨베이어 벨트 사이에 배열된 옷감이 병진 운동하도록, 컨베이어 벨트에 연결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동작하게 하는 모터 수단을 구비한다. 이송 장치는 실린더의 피스톤에 의해 작동되는 하나 이상의 가압 요소를 구비하고, 이 피스톤은 탄성 수단을 구비하고 컨베이어 벨트의 지지 구조물에 고정되고, 실린더는 압력 제어 시스템에 연결된다. 탄성 수단이 동일한 시스템을 통하여 조절가능하고 가압 요소가 플레이트 및/또는 벨트의 부분과 접촉하기 때문에, 압력 제어 시스템은 이송될 옷감 상에 작용하는 압력을 조정한다.

Description

이송 장치 및 상기 이송 장치를 구비한 재봉기{CONVEYING DEVICE AND SEWING MACHINE COMPRISING SAID DEVICE}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이송 장치와 이 이송 장치를 구비한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이송 장치와 이 이송 장치를 구비한 재봉기에 관한 것으로, 이 이송 장치는 로딩 위치(loading position)로부터 재봉 위치로 재봉될 옷감을 이송하고, 그 이후에 언로딩 위치(unloading position)로 옷감을 이송한다.
공지된 바와 같이, 변화되는 다양한 작업에 의존한 상이한 구성 기법에 따라서 산업 정도 내에서 옷감으로 제조된 두 개 이상의 물품을 기계식 재봉을 하는 재봉기가 통상적으로 고안되어왔다.
예를 들면, 하나의 바늘 유닛들과 그 이상의 바늘 유닛들이 공지되었다.
이 유닛들은 일반적으로 작업 의류 및 셔츠 또는 그와 유사한 진 바지(trouser jean) 또는 캐주얼 바지와 같이 옷감에서 나온 물품을 재봉한다.
재봉기의 종래 형태에서, 이러한 형태에는 바늘이 위치된 상측 헤드, 재봉될 옷감의 물품을 이송하는 이송 장치 및 상측 헤드 아래에 위치된 베이스가 제공되며 재봉 스티치(sewing stitch)의 형상을 위해 바늘과 공조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통상적으로 선행 기술에 따른 이송 장치는 구동 수단에 의해 적합하게 이동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하고, 컨베이어 벨트는 베이스의 상측에 있는 평평한 표면 다음에 위치된다. 재봉기를 이용하는 동안, 수동으로 옷감을 변위시키는 대신에, 이용자는 베이스의 상측 표면상에 옷감을 배열해야만 하고 컨베이어 벨트로 동일하게 접근시켜야한다. 이로써, 옷감은 베이스와 벨트 사이에 배열되고, 로딩 위치에서 재봉 위치로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연속적으로 전진되며, 그 이후에 언로딩 위치로 전진된다.
선행 기술에 따르면, 이송 장치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두 개의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하여서, 원하지 않는 회전이 일어나지 않고 옷감이 병진 운동(translation)한다.
적합한 방식으로 이송 장치가 옷감을 공급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컨베이어 벨트가 베이스에 대해서 옷감 자체를 가압하여야만 한다.
게다가, 재봉될 옷감의 두께가 다양함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와 베이스의 거리가 조절가능하다.
선행 기술에 따르면, 옷감 상에 압력과 베이스가 가변할 수 있도록, 베이스 다음에 컨베이어 벨트의 부분이 벨트에 작용하는 스프링 시스템에 의해 압력하에 놓여짐에 따라, 상술한 요건이 충족된다.
상기 스프링 시스템은 컨베이어 벨트에 가해지는 압력을 가변하도록 조절될 수 없기 때문에, 압력의 제어를 위해서 바람직한 값에 따라 스프링을 교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시스템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가 단지 수직 센스(sense)만으로 컨베이어 벨트의 위치를 변화시켜서, 컨베이어 벨트 자체는 옷감의 구조와 이동을 거의 적용할 수 없다.
게다가, 벨트에 가해지는 압력과 스프링 시스템에 의한 옷감에 가해지는 압력이 일정하지 않고 스프링들의 압축에 따라 가변하므로, 옷감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 장치는 매우 안전하지 못하고 실용적이지 못하다. 또한, 선행 기술의 이송 장치에서, 움직이는 롤러들로부터 벨트의 이격된 움직임 또는 컨베이어 벨트와 롤러들 사이에 옷감의 삽입과 같은 다른 결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결점을 제거하는 것이며, 또한 이용하기 용이하며 실제적인 이송 장치를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결점들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송 장치를 실행하는 것이며, 이 이송 장치 내에서 옷감의 압력이 단순하고, 빠른 방식으로 조절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목적은 옷감 자체의 두께와 조직에 무관하게, 일정한 방식으로 압력 하에 옷감을 두는 이송 장치를 실행하는 것이다.
이송 장치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라 상술한 모든 목적과 장점이 구현되며, 이 재봉기 상에 장착되는 이송 장치는 재봉기의 베이스에 고정된 플레이트, 회전하기 위해서 지지 구조물에 고정된 두 개의 롤러들 상에 장착된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하고, 컨베이어 벨트가 플레이트에 인접하도록, 지지 구조물은 재봉기와 결합되고, 이송 장치는 컨베이어 벨트가 동작 상태에 있을 때, 플레이트와 컨베이어 벨트 사이에 배열된 옷감이 병진 운동하도록, 컨베이어 벨트에 연결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동작하게 하는 모터 수단을 구비한다. 이송 장치는 피스톤에 의해 작동되는 하나 이상의 가압 요소를 구비하고, 이 피스톤은 실린더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하며, 실린더는 피스톤 상에 작용하는 탄성 수단을 구비하고 컨베이어 벨트의 지지 구조물에 고정된다. 또한, 이 실린더는 압력 제어 시스템에 연결되며, 압력 제어 시스템이 이송될 옷감 상에 작용하는 압력을 조절하도록, 이 가압 요소는 상기 플레이트의 섹터 및/또는 상기 벨트의 섹터와 접촉한다.
상술된 장치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 공급되며 그 후에 컨베이어 벨트와 플레이트 사이에 배열되는 옷감에 작용하는 압력의 최적화된 제어를 보장하며, 실제로 컨베이어 벨트 또는 플레이트 또는 이 둘 모두는 이용자가 압력 제어 시스템에 의해 설정한 변수에 따라 이송된 옷감을 가압하며, 벨트 또는 플레이트 또는 이들 모두는 가압 수단이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부분들을 구비하기 때문에, 상기 가압 수단은 가압 장치에 의해 작동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에서, 탄성 수단은 압축성 유체로 구성되며 챔버는 실린더 내부에 형성되며, 이 실린더 내에는 피스톤이 슬라이딩하고 압축성 유체가 흐르며, 챔버는 챔버 내 압축성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압력 제어 시스템과 연결된다. 압력 제어 시스템은 챔버늬 내부에서 유체의 양을 가변하여서, 압력 제어 시스템은 가압 요소가 플레이트 및/또는 벨트의 부분 상에 가하는 압력을 가변시킨다.
결과적으로, 유체가 공기인 경우에, 압력 제어 시스템은 공압 플랜트(pneumatic plant)이고, 압력의 조절을 위한 실린더들은 공압 실린더들이다. 명백하게, 상이한 유체가 이용가능하고 시스템은 수압 시스템(hydraulic system)일 수 있다.
게다가, 탄성 수단은 피스톤에 작용하는 스프링과 이 스프링의 연장에 대한 조절을 위한 수단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조절 수단은 압력 제어 시스템과 연결되어서, 압력 제어 시스템은 스프링의 연장을 가변시키고, 결과적으로 압력 제어 시스템은 가압 요소가 플레이트 및/또는 벨트의 부분 상에 가하는 압력을 변화시킨다.
이 방식에서, 압력은 스프링들의 조정가능한 연장에 따라 조절되고, 압력 제어 시스템은 적합한 기계적 요소의 수단에 의해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특히 벨트에 작용하는 가압 요소는 핀들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롤러를 구비하고, 이 롤러는 캐리지에 구속되며 실린더의 피스톤에 의해 작동되어서, 롤러들은 롤러들의 운동을 방해하지않고 컨베이어 벨트에 작용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는 컨베이어 벨트용 지지 구조물과 결합되고 하나 이상의 롤러와 연결된 위치 제한 수단을 구비하여서, 하나 이상의 롤러들의 움직임이 상기 위치 제한 수단에 의해 제한된다. 이 방식에서,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며 컨베이어 벨트를 위한 지지 구조물 상에 고정된 피스톤은 고정된 위치 내부에서 롤러를 움직이게 한다.
유리하게는, 캐리지는 하나 이상의 롤러를 구비하며, 이 롤러의 핀들은 하나 이상의 박판에서 피봇 회전하며, 이 박판 상에서 플래크는 고정되고, 실린더의 피스톤은 상기 플래크를 가압한다. 이 방식에서, 캐리지는 하나의 포크(fork)를 형성하고, 이 포크 상에서 회전하도록 하나 이상의 롤러가 고정된다.
게다가, 위치 제한 수단은 하나 이상의 측벽을 구비할 수 있고, 이 측벽은 컨베이어 벨트의 지지 구조물 상에 고정되고 피스톤의 작동 방향과 평행하게 배열되며, 하나 이상의 관통-홀은 상기 측벽 내에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핀 및/또는 플래크는 상기 홀을 관통한다. 하나 이상의 관통-홀들의 치수는 핀과 플래크의 관통 섹션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서, 하나 이상의 롤러들은 피스톤과 컨베이어 벨트의 가압 작용 하에서 제한된 공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 방식에서, 캐리지의 위치와 하나 이상의 롤러들의 위치는 각각이지만 이들 모두는 특정한 범위 내에 포함된다.
특히, 캐리지는 제 1 롤러와 제 2 롤러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롤러들의 핀들은 일 측부 상에 제 1 박판과 타 측부 상에 제 2 박판 상에서 피봇 회전하며, 상기 제 1 박판과 상기 제 2 박판은 플래크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이 방식에서, 단지 피스톤만이 작동하며, 서로 연결된 두 개의 롤러들을 구비한 캐리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된 캐리지에 대하여, 위치 제한 수단은 컨베이어 벨트의 지지 구조물의 측부 상에 고정된 제 1 측벽을 구비하며, 컨베이어 벨트의 지지 구조물의 반대편 측부 상에 고정된 제 2 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측벽과 제 2 측벽은 피스톤의 작동 방향과 평행하게 배열되고 제 1 롤러와 제 2 롤러의 운동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적어도 제 1 홀, 제 2 홀 및 제 3 홀을 포함한 제 1 일련의 관통-홀들은 상기 제 1 측벽에 형성되고 제 1 홀, 제 2 홀 및 제 3 홀을 포함한 제 2 일련의 관통-홀들은 상기 제 2 측벽에 형성되며, 적어도 제 1 일련의 관통-홀들과 제 2 일련의 관통-홀들은 서로 대응하기 위해서 배열된다. 제 1 롤러의 핀들이 제 1 일련의 홀들의 제 1 홀과 제 2 일련의 홀들의 제 1홀을 관통하고, 제 2 롤러의 핀들이 제 1 일련의 홀들의 제 2 홀과 제 2 일련의 홀들의 제 2 홀을 관통하며, 플래크는 제 1 일련의 홀들의 제 3 홀과 제 2 일련의 제 3 홀을 관통하여서, 측벽을 가진 하나 이상의 캐리지에 대한 연결이 형성된다. 제 1 일련의 홀들과 제 2 일련의 홀들 모두가 가지는 제 1 홀, 제 2 홀 및 제 3 홀의 치수는 각각 제 1 롤러의 핀들, 제 2 롤러의 핀들 및 플래크가 가지는 홀들의 관통 섹션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 방식에서, 제 1 롤러와 제 2 롤러는 벨트에 있는 옷감의 압력의 결과와 피스톤 작용하에서 구동할 수 있고, 이 롤러들은 관통-홀들의 치수에 의해 고정된 공간 범위 내부에서 구동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공급된 옷감의 부분들이 롤러들과 컨베이어 벨트 사이에 비자발적이며 의도하지 않게 모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 1 박판과 제 2 박판은 제 1 측벽과 제 2 측벽에서 나온 제 1 핀들, 제 2 핀들 및 플래크로 결합되고, 제 1 롤러와 제 2 롤러는 제 1 측벽과 제 2 측벽 사이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 방식에서, 모든 롤러들은 두 개의 측벽 사이에서, 내부에 위치된다.
전진하는 전체 벨트를 따라서, 옷감에 균일하고 일정한 압력을 형성하도록, 유리하게는, 컨베이어 벨트에 가해진 압력의 제어를 위한 캐리지는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일렬로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압력 제어 시스템과 연결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에서, 플레이트의 단부는 실린더가 가지는 하나 이상의 피스톤에 의해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가압 요소에 의해 압력 하에 놓이며, 이러한 방식에서, 플레이트의 상기 단부가 이송 장치에 의해 이송될 옷감을 위한 입구에 대응하기 때문에, 옷감 상에 압력이 이송 장치에서 옷감의 입구로부터 제어된다.
유리하게는, 플레이트의 단부는 제 1 섹터와 제 2 섹터로 컷에 의해 분할되며, 상기 제 1 섹터는 제 1 실린더의 제 1 피스톤에 의해 작용하는 제 1 가압 요소의 작용을 받고, 상기 제 2 섹터는 제 2 실린더의 제 2 피스톤에 의해 작용하는 제 2 가압 요소의 작용을 받는다. 옷감의 공급과 평행한 변위를 더욱 잘 제어하기 위해서, 제 1 컨베이어 벨트는 상기 제 1 섹터와 부합하는 플레이트의 교차 섹터 상에 작용하고 이와 대응하는 가압 요소들은 제 1 컨베이어 벨트에 작용하고, 제 2 컨베이어 벨트는 상기 제 2 섹터와 부합하는 플레이트의 교차 섹터 상에 작용하고 이와 대응하는 가압 요소들은 제 1 컨베이어 벨트에 작용한다.
상기 모든 목적과 장점이 상술된 이송 장치를 구비한 재봉기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된다.
본 발명의 특징과 세부사항은 후술될 설명, 첨부도면뿐만 아니라 비-제한적 실시예에 의해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를 구비한 재봉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A로 표시된 세부사항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서 A로 표시된 세부사항을 나타낸 도면.
도 5,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의 사시도이며, 이 이송장치는 제 1 컨베이어 벨트와 제 2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한다.
도 7은 제 1 제 1 컨베이어 벨트의 사시도.
도 8은 제 1 컨베이어 벨트의 내부 매커니즘에 대한 관측이 가능하도록 커버링 요소를 제외한 제 1 컨베이어 벨트의 사시도.
도 9는 제 2 컨베이어 벨트의 사시도.
도 10은 제 2 컨베이어 벨트의 내부 매커니즘에 대한 관측이 가능하도록 커버링 요소를 제외한 제 2 컨베이어 벨트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의 요소가 가지는 일 요소인 가압 캐리지에 대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가압 캐리지의 측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가압 캐리지의 사시도.
도 14, 15는 각각 제 2 컨베이어 벨트를 위한 커버링 플레이트의 사시도와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 따른 이송 장치를 구비한 재봉기에 대한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서 C로 표시된 세부사항에 대한 도면.
도 18은 도 16에서 컨베이어 벨트의 베이스 지지부에 대한 사시도.
도 19는 도 18에서 베이스 지지부가 가지는 일 요소의 사시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 특히 도 1과 도 3에서, 도면부호 100은 도면부호 10으로 나타낸 이송 장치(conveying device) 뿐만 아니라 도면들에서 표시되지 않지만 선행기술에 따라 제조된 헤드(head)와 베이스(base)를 구비한 재봉기(sewing machine)를 나타낸다.
도 1, 2, 3,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이송 장치(10)는 재봉기(100)의 베이스에 단단히 고정된 베이스 지지부(base support, 11)를 구비한다.
또한, 도 5,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송 장치(10)는 제 1 이송 요소(conveying element, 12)와 제 2 이송 요소(14)를 구비하며, 이 이송 요소들은 플레이트(plate, 20)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동력 수단(motorization means, 18)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 기어(driving gear, 16)에 의해 구동된다. 이 구동 기어와 동력 수단은 선행 기술에 따라 실행되기 때문에, 구동 기어(16)와 동력 수단(18)에 대하여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이송 장치(10)는 제 1 이송 요소(12)에 고정된 커넥터(connector, 28)와 플레이트(20)에 의해 재봉기(100) 상에 고정된다.
도 7, 8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1 이송 요소(12)는 제 1 측벽(side wall, 22)과 제 2 측벽(24)을 구비한다. 제 1 벨트(belt, 26)는 제 1 측벽(22)과 제 2 측벽(24) 사이에서 이동된다.
제 1 벨트(26)는 회전하기 위해서 두 개의 측벽(22, 24)의 단부들 상에 고정된 두 개의 롤러(25, 27)들 상에서 이동된다. 제 1 벨트(26)의 이동은 제 1 벨트 체결 풀리(belt tightening pulley, 29)에 의해 상측 부분 상에서 제어되며 아래에서 설명될 6 개의 캐리지(carriage, 40)들에 의해 하측 부분 상에서 제어된다.
제 1 이송 요소와 같이, 도 9, 10에서 도시된 제 2 이송 요소(14)는 제 3 측벽(30)과 제 4 측벽(32)을 구비한다. 제 2 벨트(34)는 상기 제 3 측벽(30)과 제 4 측벽(32) 사이에서 이동된다.
제 2 벨트(34)는 회전하기 위해서 두 개의 측벽(30, 32)들의 단부들 상에 고정된 두 개의 롤러(31, 33)들 상에서 이동된다. 제 2 벨트(34)의 이동은 제 2 벨트 체결 풀리(9)에 의해 상측 부분 상에서 제어되며 3 개의 캐리지(40)들에 의해 하측 부분 상에서 제어된다.
도 11, 12,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캐리지(40)는 개별 핀(43, 45)들을 가지는 제 1 롤러(42)와 제 2 롤러(44)를 구비하며, 이 롤러들은 일 측부에서 제 1 박판(lamella, 46)을 이용하여 연결되고 타 측부에서 제 2 박판(48)을 이용하여 연결된다. 제 1 박판(46)과 제 2 박판(48)은 플래크(plaque, 52)에 의해 중앙부에서 고정되며 서로 연결된다.
실린더(50)는 플래크(52) 상에서 작동한다. 더욱 정밀하게는, 실린더(50)는 본체의 내부에 챔버(58)가 형성된 본체(body, 54)를 구비하며, 이 챔버를 따라서 피스톤(56)이 수직으로 운동한다. 피스톤(56)에는 팩킹 링(packing ring, 64)이 적합하게 제공된다.
실린더(50)의 챔버(58)는 두 개의 커넥터(60, 62)들을 통하여 유사한 챔버들 및 공기 조절 시스템(pneumatic regulation system)에 연결된다.
실린더(56)의 자유 단부는 플래크(52) 상에서 작동하고 플래크에 고정되지 않고 상기 플래크에 부딪친다.
제 1 이송 요소(12)와 제 2 이송 요소(14)에서 개별 캐리지(40)의 연결은 롤러(42, 44)들과 박판(46, 48)들 사이에서 측벽(22, 24, 30,32)들을 위치시킴으로써 그리고 측벽들 상에서 개별 피스톤(50)의 본체(54)를 고정시켜서 실행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6, 7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6 개의 일련의 홀들이 제 1 측벽(22)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일련의 홀들 각각은 3 개의 관통 홀(36, 38, 51)들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다른 것들과 평행한 6 개의 일련의 홀들이 제 2 측벽(24)에 형성된다. 이 일련의 홀들 각각은 3 개의 관통-홀(through-hole)들을 포함하며, 이 관통-홀들 중 두 개만이 보여지며 도 5에서 도면부호 37, 39로 표시된다.
개별적으로, 제 1 롤러(42)의 제 1 핀(43)과 제 2 롤러(44)의 제 1 핀(45)은 홀(36, 38)들을 관통한다. 제 1 측벽(22) 외부에서, 상기 핀(43, 45)들은 회전하기 위해서 제 1 박판(46)과 연결된다. 제 1 플래크(52)는 제 1 박판(46) 상에 고정될 뿐만 아니라 제 1 측벽(22)에 형성된 중앙에 있는 관통-홀(51)을 관통한다.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제 2 측벽(24)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개별적으로, 제 1 롤러(42)의 제 1 핀(43)과 제 2 롤러(44)의 제 1 핀(45)은 홀(39, 37)들을 관통한다. 제 2 측벽(24) 외부에서, 상기 핀들은 회전하기 위해서 제 2 박판(48)과 연결된다. 제 1 플래크(52)는 제 2 박판(48) 상에 고정될 뿐만 아니라 도 5에서 보여지지 않지만, 제 2 측벽(24)에 형성된 중앙에 있는 관통-홀을 관통한다.
동일한 구성과 형상이 제 2 이송 요소(14)에서 형성되고, 이 제 2 이송 요소(14)에서는 3 쌍인 3 개의 홀들이 제 3 측벽(30)과 제 4 측벽(32)에서 형성된다.
제 1 이송 요소(12)의 제 1 측벽(22)과 제 2 측벽(24)의 경우와 제 2 이송 요소(14)의 제 3 측벽(30)과 제 4 측벽(32)의 경우 모두에서, 각각의 일련의 홀들은 수직 개구부로 형성된 제 1 홀, 수평 개구부로 형성된 제 2 홀 및 수직 개구부로 형성된 제 3 홀을 포함한다.
도 14, 15는 제 3 측벽(30)을 나타내며, 이 제 3 측벽에서는 3 쌍의 홀들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일련의 홀들 각각은 수직 개구부로 형성된 제 1 홀(71), 수평 개구부로 형성된 제 2 홀(75) 및 수직 개구부(73)로 형성된 제 3 홀을 포함한다.
측벽에 형성된 홀들의 치수는 핀(43, 45)들과 플래크(52)의 치수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서, 핀들과 플래크는 상기 홀들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캐리지(40)들이 측벽(22, 24, 30, 32)에 고정되게 연결되지 않지만, 캐리지들은 수직하게 병진운동(translate)할 뿐만 아니라 수평 면이 가지는 두 개의 직교 축들에 대해 회전할 수도 있기 때문에, 캐리지들은 기울어져 있다.
따라서, 실린더(50)는 개별 이송 요소의 측벽들에 고정되고, 이 실린더는 플래크(52) 상에서 실린더의 피스톤(56)을 이용하여 작동하며 플래크의 회전을 방지함 없이 플래크의 수직 위치를 조정한다. 이러한 방식에서, 롤러(42, 44)들은 공급될 옷감에 교대로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는 벨트를 가압한다. 동시에, 롤러(42, 44)들은 수직하게 병진 운동하며 벨트가 옷감의 구성이 가지는 미세한 변형에 대해 적용되게 한다.
도면들에 나타나진 않지만, 개별 실린더(50)의 챔버(58)들이, 커넥터(60, 62)들에 연결된, 적합한 도관(conduit)들을 통하여 일렬로 연결되기 때문에, 개별 이송 요소(12, 14)들이 가지는 캐리지의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분명히, 일련의 도관들이 가지는 단부들은 압력을 조절하는 공기 시스템에 적합하게 연결된다.
도 16, 17, 18, 19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 따르면, 이송 장치(110)는 재봉기(101)의 베이스에 고정된 베이스 지지부(111)를 구비한다. 이송 장치(110)는 제 1 이송 요소와 제 2 이송 요소를 구비하며, 제 1 이송 요소와 제 2 이송 요소는 위에서 설명된 이송 장치의 요소들과 유사하기 때문에 설명하지 않는다.
베이스 지지부(111)는 플레이트(113)를 구비하고, 이 플레이트는 재봉기의 베이스에 고정되지만, 기울어지는 것이 자유로운 자유 단부를 가진다. 플레이트(113)의 단부는 제 1 부분(115)과 제 2 부분(117)으로 나눠진다. 컷(119, cut)은 상기 부분들을 분리한다.
가압 요소(pressing element, 170)는 플레이트(113)의 자유 단부 아래에 배열되며 두 개의 실린더(172, 174)들과 재봉기의 베이스 상에서 고정되기 위한 고정 브라켓(fixing bracket, 176)을 구비한다. 상기 실린더들이 가지는 개별 피스톤(173, 175)들은 개별적으로 플레이트(113)의 자유 단부가 가지는 제 1 부분(115)과 제 2 부분(117)에 부딪친다.
플레이트(113)의 자유 단부에 대한 수직 병진운동의 실현성과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실린더(172, 174)들은 서로 연결되며 압력 제어 시스템에 연결된다.
베이스 지지부(111)는 이송 장치(110) 상에 장착되어서, 이송 장치에서 옷감의 입구 부분에서, 플레이트(113)의 자유 단부는 두 개의 이송 요소의 최외각 롤러들과 부합한다.
이 방식에서, 병진운동될 옷감에 대한 압력 조절이 베이스 지지부(111)에 의해 실행되며, 다시 말하자면, 두 개의 실린더가 작동하는 플레이트의 두 개의 부분(172, 174)들에 의해 실행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두 개의 이송 요소들의 전방 부분에서 두 개의 벨트들에 대한 압력 조절을 위한 압력 제어 시스템의 결여(lack)를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압력 제어 시스템의 결여는 병진운동 없이 회전하는 롤러들의 존재에 때문이다. 이 롤러들은 이송 장치(10)에서 도면번호 27, 33으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공압 실린더(pneumatic cylinder)를 이용하여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공압 시스템(pneumatic system)을 대신하여, 위에서 설명된 이송 장치(10)와 유사한 이송 장치가 하나 이상의 실린더를 가질 수 있고, 이 실린더 내에서 피스톤이 실린더의 내부에 수용된 스프링 또는 이와 균등한 탄성 수단(elastic means)의 작용을 통하여 슬라이딩한다. 피스톤을 압력 하에 놓기 위해서 스프링의 일 단부가 피스톤의 베이스로 작용하며, 스프링의 타단부는 기계식 시스템의 조절에 의하여 피스톤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실린더의 일 요소 상에 놓여진다. 이 방식에서, 실린더가 가지는 요소의 위치가 가변함에 따라, 스프링의 연장이 가변하고 결과적으로, 피스톤 상에 있는 스프링의 압력이 가변한다.
본 발명의 분야에 있는 기술자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된 의도적인 수정 또는 변형을 추가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 개의 롤러들을 구비한 캐리지를 이용하는 대신에, 롤러가 작동하는 벨트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해서 피스톤이 작동하는 단지 하나의 롤러만을 구비한 캐리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압력의 조절을 위해서 공압 시스템 대신에, 더 압축될 수 있거나 덜 압축될 수 있는 유형의 유체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4)

  1. 재봉기(100; 101) 상에 장착되는 이송 장치(10; 110)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는
    상기 재봉기의 베이스에 고정된 플레이트(11; 111),
    회전하기 위해서 지지 구조물에 고정된 두 개의 롤러(25, 27, 31, 33)들 상에 장착된 컨베이어 벨트(26, 34)를 구비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26, 34)가 플레이트(11; 111)에 인접하도록, 상기 지지 구조물은 재봉기와 결합되고,
    상기 이송장치는 컨베이어 벨트가 작동할 때, 플레이트(11; 111)와 컨베이어 벨트(26, 34) 사이에 배열된 옷감이 병진 운동하도록, 컨베이어 벨트에 연결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26, 34)를 작동하게 하는 모터 수단(18)을 구비하며,
    상기 이송장치는 피스톤(56, 173, 175)에 의해 작동되는 하나 이상의 가압 요소(42, 43, 44, 45, 46, 48, 52)를 구비하고, 이 피스톤은 실린더(50, 172, 174)의 내부에서 슬라이딩하고, 상기 실린더는 컨베이어 벨트(26, 34)의 지지 구조물에 고정되며 피스톤에 작용하는 탄성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실린더는 압력 제어 시스템에 연결되고,
    상기 압력 제어 시스템이 이송될 옷감에 작용하는 압력을 조정하도록, 상기 가압 요소(42, 43, 44, 45, 46, 48, 52)는 상기 플레이트(11, 111)의 섹터 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26, 34)의 섹터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압축성 유체이며, 챔버 내부에서 피스톤이 슬라이딩하는 챔버(58)는 상기 실린더(50, 172, 174) 내에서 형성되며, 상기 챔버는 상기 압축성 유체를 포함하고 챔버 내 압축성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압력 제어 시스템과 연결되어서, 상기 압력 제어 시스템이 챔버(58)의 내부에서 상기 압축성 유체의 양을 가변시키고 가압 요소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11, 111)의 섹터 또는 컨베이어 벨트(26, 34)의 섹터 상에 가해진 압력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피스톤에 작용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연장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압력 제어 시스템이 가압 요소에 의해서 상기 플레이트(11, 111)의 섹터 또는 컨베이어 벨트(26, 34)의 섹터에 가해진 압력을 변화시키고 스프링의 연장을 가변하게 하도록, 상기 조정 수단은 압력 제어 시스템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가압 요소는 회전을 위해서 캐리지(46, 48, 52)에 고정되며 핀(43, 45)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롤러(42, 44)를 구비하고, 상기 캐리지는 실린더(50)의 피스톤(56)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롤러(42, 44)는 컨베이어 벨트(26, 34) 상에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에는 위치 제한 수단(22, 24, 30, 32, 36, 38, 43, 45, 51, 52, 71, 73, 75)이 구비되고, 하나 이상의 롤러(42, 44)의 움직임이 상기 위치 제한 수단에 의해 제한되도록, 상기 위치 제한 수단은 컨베이어 벨트의 지지 구조물에 결합하며 하나 이상의 롤러(42, 44)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는 하나 이상의 롤러(42, 44)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롤러들의 핀(43, 45)들은 하나 이상의 박판(46, 48) 내부에서 피봇 회전하며, 상기 박판 상에서 플래크(52)가 고정되며, 상기 실린더(50)의 피스톤(56)은 플래크(52)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제한 수단은 컨베이어 벨트(26, 34)의 지지 구조물에 고정되며 피스톤(56)의 작동 방향과 평행하게 배열된 하나 이상의 측벽(22, 24, 30, 32)을 구비하고, 하나 이상의 관통 홀(36, 38, 51, 71, 73, 75)은 상기 측벽(22, 24, 30, 32) 내에서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핀(43, 45) 또는 플래크(52)는 상기 관통 홀을 관통하고, 하나 이상의 롤러(42, 44)가 피스톤(56)과 컨베이어 벨트(26, 34)의 가압 작용 하에서 제한된 공간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관통-홀의 치수가 하나 이상의 핀(43, 45)과 플래크(52)의 관통 섹션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는 제 1 롤러(42)와 제 2 롤러(44)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들의 핀(43,45)들은 일 측부 상에서 있는 제 1 박판(46) 상에서 피봇 회전하고, 타 측부 상에 있는 제 2 박판(48) 상에서 피봇 회전하며, 상기 제 1 박판(46)과 제 2 박판(48)은 플래크(52)에 의해서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제한 수단은 컨베이어 벨트(26, 34)의 지지 구조물의 측부 상에 고정된 제 1 측벽(22, 30)을 구비하며, 컨베이어 벨트(26, 34)의 지지 구조물의 반대편 측부 상에 고정된 제 2 측벽(24, 34)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측벽(22, 30)과 제 2 측벽(24, 34)은 피스톤(56)의 작동 방향과 평행하게 배열되고 제 1 롤러(42)와 제 2 롤러(44)의 운동에 평행하게 배열되며, 적어도 제 1 홀(36, 71), 제 2 홀(51, 75) 및 제 3 홀(38, 73)을 구비한 제 1 일련의 관통-홀들은 상기 제 1 측벽(22, 30)에서 형성되고, 적어도 제 1 홀(37), 제 2 홀 및 제 3 홀(39)을 구비한 제 2 일련의 관통-홀들은 상기 제 2 측벽(24, 32)에서 형성되고, 상기 제 1 일련의 홀들과 제 2 일련의 홀들은 서로 대응하도록 배열되고, 제 1 롤러(42)의 핀(43)들은 제 1 일련의 홀들의 제 1 홀(36, 71)과 제 2 일련의 홀들의 제 1 홀(37)을 관통하고, 제 2 롤러(44)의 핀(45)들은 제 1 일련의 홀들의 제 3 홀(38, 73)과 제 2 일련의 홀들의 제 3 홀(39)을 관통하며, 플래크(52)는 제 1 일련의 홀들의 제 2 홀(51, 75)과 제 2 일련의 홀들의 제 2 홀을 관통하고, 제 1 일련의 홀들과 제 2 일련의 홀들 모두가 가지는 제 1 홀, 제 2 홀 및 제 3홀은 개별적으로 제 1 롤러(42)가 가지는 핀(43)들의 홀이 가지는 관통 섹션, 플래크(52) 및 제 2 롤러(44)의 핀(45)들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서, 제 1 롤러(42)와 제 2 롤러(44)는 컨베이어 벨트(26, 34) 상에 있는 옷감의 압력의 결과와 피스톤(56)의 작용 하에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박판(46)과 제 2 박판(48)은 제 1 측벽(22, 30)과 제 2 측벽(24, 32)에서 나온 제 1 핀(43)들, 제 2 핀(45)들 및 플래크(52)들로 결합되며, 상기 제 1 롤러(42)와 제 2 롤러(44)는 제 1 측벽(22, 30)과 제 2 측벽(24, 32) 사이 내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에는 두 개 이상의 캐리지가 구비되며, 캐리지들의 개별 실린더(50)는 일렬로 서로 연결되며 압력 제어 시스템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단부(113, 115)는 실린더(172, 174)가 가지는 하나 이상의 피스톤(173, 175)에 의해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가압 요소에 의한 압력 하에 놓여서, 상기 플레이트의 단부는 이송 장치에 의해 이송된 옷감을 위한 입구에 대응하기 때문에, 옷감에 대한 압력이 동일한 입구로부터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단부는 컷(119)에 의해 제 1 섹터(115) 및 제 2 섹터(117)로 분할되며, 상기 제 1 섹터(115)는 제 1 실린더(172)가 가지는 제 1 피스톤(173)에 의해 작동하는 제 1 가압 요소의 작용을 받으며, 상기 제 2 섹터(117)은 제 2 실린더(174)가 가지는 제 2 피스톤(175)에 의해 작동하는 제 2 가압 요소의 작용을 받으며, 제 1 컨베이어 벨트는 상기 제 1 섹터(115)에 대응하는 플레이트의 크로스 섹터에 작용하고, 이와 대응하는 가압 요소들은 상기 제 1 컨베이어 벨트에 작용하고, 제 2 컨베이어 벨트는 제 2 섹터(117)에 대응하는 플레이트의 크로스 섹터에 작용하고, 이와 대응하는 가압 요소는 상기 제 2 컨베이어 벨트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는 제 1 롤러(42)와 제 2 롤러(44)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들의 핀(43,45)들은 일 측부 상에서 있는 제 1 박판(46) 상에서 피봇 회전하고, 타 측부 상에 있는 제 2 박판(48) 상에서 피봇 회전하며, 상기 제 1 박판(46)과 제 2 박판(48)은 플래크(52)에 의해서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
KR1020100114257A 2009-11-19 2010-11-17 이송 장치 및 상기 이송 장치를 구비한 재봉기 KR1015937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VR2009A000195A IT1396836B1 (it) 2009-11-19 2009-11-19 Dispositivo trasportatore e macchina da cucire comprendente tale dispositivo.
ITVR2009A000195 2009-1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429A KR20110055429A (ko) 2011-05-25
KR101593704B1 true KR101593704B1 (ko) 2016-02-12

Family

ID=42357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257A KR101593704B1 (ko) 2009-11-19 2010-11-17 이송 장치 및 상기 이송 장치를 구비한 재봉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567328B2 (ko)
EP (1) EP2325363B1 (ko)
KR (1) KR101593704B1 (ko)
CN (1) CN102071544B (ko)
BR (1) BRPI1004848B1 (ko)
EG (1) EG25853A (ko)
IT (1) IT1396836B1 (ko)
TW (1) TWI38307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349B1 (ko) 2022-05-06 2023-04-19 김환욱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676B1 (ko) * 2011-09-27 2012-08-06 박시경 재봉기용 재봉물 이송장치
TWI468568B (zh) * 2013-08-23 2015-01-11 Chee Siang Ind Co Ltd The conveyor of the sewing machine
CN104420077B (zh) * 2013-08-27 2017-09-22 启翔股份有限公司 缝纫机的传送装置
CN103757800A (zh) * 2014-01-24 2014-04-30 苏州巨康缝制机器人有限公司 一种毛巾机用输送装置
CN105040287A (zh) * 2015-08-18 2015-11-11 深圳市德业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口袋卷边与缝纫的自动设备
CN105483941B (zh) * 2016-01-21 2018-06-26 泉州市中缝针车城有限责任公司 一种自动包边机
CN105568571B (zh) * 2016-02-16 2018-08-28 广东溢达纺织有限公司 自动车缝系统
CN106868722B (zh) * 2017-04-01 2022-12-09 舒普智能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输料的卷边缝纫机
CN107881667A (zh) * 2017-11-30 2018-04-06 苏州翰德利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缝纫系统及用于连接缝纫设备的输送装置
CN109680416B (zh) * 2019-01-21 2024-03-12 苏州大喆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双侧同步带输送运动机构
CN109667070A (zh) * 2019-02-27 2019-04-23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锁眼机
CN111648052B (zh) * 2020-06-09 2021-11-05 张向荣 一种鞋面加工用缝纫机压料送料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940B1 (ko) 2008-12-30 2009-03-17 조세제 재봉기용 재봉물 이송장치
JP2009256048A (ja) 2008-04-16 2009-11-05 Tsubakimoto Chain Co 摩擦駆動式ワーク搬送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2256A (en) * 1963-03-15 1966-02-01 Master Sew Coutrol Corp Fabric positioning and sewing apparatus
US3469545A (en) * 1967-06-14 1969-09-30 Union Special Machine Co Conveyor sewing unit with shiftable top feed belt and work loading arrangement
US3583341A (en) * 1969-11-05 1971-06-08 Blue Bell Inc Cloth-sorting and garment-forming apparatus
US3861338A (en) * 1974-05-31 1975-01-21 William Galya Fabric edge-rolling and label-attaching machine
US4044698A (en) * 1976-07-16 1977-08-30 Stahl-Urban Company Apparatus for joining plies of material such as textile fabric
US4327653A (en) * 1980-01-21 1982-05-04 Levi Strauss & Co. Continuous sewer
HU180143B (en) * 1980-05-29 1983-02-28 Csepel Muevek Jarmue Band furthering automatic sewing machine for making short seam
US4483262A (en) * 1981-11-09 1984-11-20 Keeton John H Automatic sleeve making
US4486262A (en) * 1982-10-12 1984-12-04 King Instrument Corporation Cassette loading machine
US4773341A (en) * 1987-10-21 1988-09-27 Sew Simple Systems, Inc. Fitted sheet hemmer
US4800830A (en) * 1988-03-02 1989-01-31 Union Special Corporation Hemmer seamer assembly
JPH0761819B2 (ja) * 1989-11-27 1995-07-05 ジューキ株式会社 積層シートの分離把持装置
CN200964495Y (zh) * 2006-10-31 2007-10-24 中国标准缝纫机公司上海惠工缝纫机三厂 一种缝纫机的送料机构
CN201206197Y (zh) * 2008-05-13 2009-03-11 东莞市万江钰兴机械厂 一种无梭绗缝机的进料机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6048A (ja) 2008-04-16 2009-11-05 Tsubakimoto Chain Co 摩擦駆動式ワーク搬送システム
KR100888940B1 (ko) 2008-12-30 2009-03-17 조세제 재봉기용 재봉물 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349B1 (ko) 2022-05-06 2023-04-19 김환욱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429A (ko) 2011-05-25
EP2325363B1 (en) 2012-07-11
EG25853A (en) 2012-09-10
TW201118209A (en) 2011-06-01
ITVR20090195A1 (it) 2011-05-20
IT1396836B1 (it) 2012-12-14
BRPI1004848A2 (pt) 2013-03-19
CN102071544A (zh) 2011-05-25
US8567328B2 (en) 2013-10-29
EP2325363A1 (en) 2011-05-25
US20110114001A1 (en) 2011-05-19
CN102071544B (zh) 2013-12-18
BRPI1004848B1 (pt) 2019-12-03
TWI383078B (zh) 201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3704B1 (ko) 이송 장치 및 상기 이송 장치를 구비한 재봉기
US7984682B2 (en) Multiple needle sewing machine and method for sewing large-area sewing material
JP6249710B2 (ja) 裁断機およびその裁断ヘッド昇降制御方法
KR20150022642A (ko) 재봉틀의 피드 장치
CN103015056A (zh) 全自动松紧带接缝机
CN101037832B (zh) 图案缝缝纫机的送料装置
CN106079563B (zh) 一种用于生产包装箱的瓦楞纸压痕装置
GB2086311A (en) Creasing machine
US3654739A (en) Belt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
CN101037833B (zh) 图案缝缝纫机的送料装置
JP2004169201A (ja) 布類展張機
JPS637921B2 (ko)
EP1453656B1 (en) Apparatus for hot applying strips or films on textile or non-textile supports
KR101367944B1 (ko) 낱장 공급장치
CN212889212U (zh) 新型包边机构
CN113134854A (zh) 一种高档包装纸生产加工方法
CN107893322B (zh) 一种袖英熨烫机
JP2000501629A (ja) 移動している平材のエッジを横方向において位置矯正する方法及び装置
KR20130136273A (ko) 자동급지를 위한 급지조절기구
TWI586289B (zh) Clamping machine
CN219297780U (zh) 一种使辊体受力均匀的压轧装置
CN217077976U (zh) 一种全自动缝纫裁剪一体机
CN218365935U (zh) 一种可调节的送料台
KR100835392B1 (ko) 박판 소재용 로딩/언로딩 장치
JP7194927B2 (ja) スライス肉の折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