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0367B1 - 오버록 재봉틀 - Google Patents

오버록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0367B1
KR100900367B1 KR1020020045728A KR20020045728A KR100900367B1 KR 100900367 B1 KR100900367 B1 KR 100900367B1 KR 1020020045728 A KR1020020045728 A KR 1020020045728A KR 20020045728 A KR20020045728 A KR 20020045728A KR 100900367 B1 KR100900367 B1 KR 100900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machine
transfer
accommodating portion
grease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3315A (ko
Inventor
히라노야스아키
오세이호
하시모토야스유키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3582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038885A/ja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3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1/00Lubricating or cooling devices
    • D05B71/02Loop-taker lubric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00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 D05B1/08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multi-thread sea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4Needle-bar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30Driving-gear for loop tak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3/00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10/00Applications
    • F16N2210/32Sew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봉제를 오염시키는 윤활유의 누설방지와 재봉틀의 내구성을 양립할 수 있는 오버록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재봉틀 프레임(2)에, 연결기구 수납부(16)와, 바늘기구 수납부(18)와, 이송기구 수납부(17)와, 상루퍼기구 수납부(21)를 배치함과 동시에 연결기구 수납부(16)를 밀봉하여 그 내부에 배치되는 연결기구의 접동부위를 윤활유에 의한 기름윤활로 하고, 바늘기구 수납부(18), 이송기구 수납부(17) 및 상루퍼기구 수납부(21)중 최소한 하나의 수납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구의 접동부위를 그리스에 의한 그리스윤활로 한다. 특히 이송기구 수납부(17)에, 그리스를 수용가능한 그리스 수납부(97)를 배치한다.

Description

오버록 재봉틀{OVERLOCK SEW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오버록 재봉틀의 요부를 도시하는 외관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재봉틀 프레임 및 그 근방 요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재봉틀 프레임을 간략화하여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 5는 도 4의 5-5선을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4의 6-6선을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4의 하면도.
도 8은 도 4의 재봉틀 프레임의 요부를 간략화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오버록 재봉틀의 실시예의 요부를 모식화하여 도시하는 기구선도.
도10은 본 발명에 관한 오버록 재봉틀의 실시예의 재봉틀 주축 및 이송구동축 근방을 도시하는 하면도.
도11은 본 발명에 관한 오버록 재봉틀의 실시예의 재봉틀 주축의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12는 본 발명에 관한 오버록 재봉틀의 실시예의 이송캠기구의 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13은 본 발명에 관한 오버록 재봉틀의 실시예의 이송캠기구의 요부의 실제 부품배치에 대해 기단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전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오버록 재봉틀 2: 재봉틀 프레임
2A: 기부 2Aa: 기부내부공간 2B: 천받침 받이부
2Ba: 천받침 받이부 내부공간 2Baa: 제 1천받침 받이부 내부공간
2Bab: 제 2천받침 받이부 내부공간 2C: 머리부
2Ca: 머리부 내부공간
2FW: 정면벽 2RW: 배면벽 2BW: 기단벽
2MW: 중간벽 2TW: 선단벽 2SWa: 제 1지지벽
2SWb: 제 2지지벽 2SWc: 제 3지지벽 2FPW: 상루퍼용 돌출벽
2FPWa: 상루퍼용 내부공간 2FOW: 외부용 돌출벽
2FOWa: 외측공간내부 3: 오일팬 13: 간막이 판
16: 연결기구 수납부 17: 이송기구 수납부
18: 바늘기구 수납부 21: 상루퍼기구 수납부
23: 하루퍼·이중환기구 수납부 31: 재봉틀 주축
41: 상루퍼 구동용 연결로드 42: 메스구동용 연결로드
43: 바늘구동용 연결로드 44: 하루퍼구동용 연결로드
46: 상루퍼 구동축 47: 상루퍼구동용 링크
48: 메스구동축 49: 메스구동용 링크
50: 바늘구동축 51: 바늘구동용 링크
52: 하루퍼 구동축 53: 하루퍼 구동용 링크
60: 이송캠기구 61: 이송구동축
73: 이송구동용 연결로드 78: 이송조정 보턴
85: 웜 86: 웜휠
88: 윤활유 공급로 88a: 윤활유 급유구
88b: 윤활유 토출구 94: 이중환 구동용 연결로드
97: 그리스 수납부 105: 이송기구
114: 이중환 전후팔 115: 이중환 구동축
117: 이송축용 그리스 수납부 129: 바늘봉
138: 결합연결링크 N: 바늘
본 발명은 윤활유의 누설에 의한 봉제물로의 오염을 방지하는 데 적합한 오버록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으로 이중체인스티치, 테두리 사뜨기를 행하는 오버록 재봉틀에 있어서는 재봉틀의 주축의 구동력을 바늘 구동축, 이송구동축, 상루퍼 구동축 및 하루퍼 구동축 등의 각 구동축에 전달하는 연결기구, 각 구동축으로부터 출력되 는 구동력을 바늘봉에 전달하는 바늘기구, 이송톱니에 전달하는 이송기구, 상루퍼에 전달하는 상루퍼기구 등에 대표되는 각 부품 중 최소한 한쪽의 부품이 가동이 되고 이 한쪽의 부품이 다른쪽의 부품에 접촉하도록 하여 지지되는 접동부위가 배치된다.
이와같은 종래의 재봉틀의 접동부위는 재봉틀의 고속운전에 따라 접동부위의 마모에 의한 마모가루의 발생이나, 접동부위에 접동저항(마찰저항)이 일어나 발열하고, 이 발열에 기인하여 소성손상 등이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래서 이와같은 접동부위의 마모에 의한 마모가루의 발생이나 소성손상의 발생 등을 방지하므로 종래의 오버록 재봉틀에 있어서는 재봉틀 프레임의 하부에 오일팬을 배치하는 것으로 예를들면 동점도 5~25cSt정도의 저점도의 윤활유를 저류하고, 이 저류한 윤활유를 재봉틀 주축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오일펌프를 이용하여 접동부위에 강제 급유하거나 저류한 윤활유를 유심(油芯)을 이용하여 접동부위에 급유하거나 하는 것으로 마모에 의한 마모가루의 발생 및 소성손상의 발생 등을 방지하기 위한 윤활막을 형성하도록 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오버록 재봉틀에 있어서는 윤활막의 형성에 필요한 윤활유의 공급량이 접동부위에 따라 달라 접동부위마다 윤활유의 공급량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없으며 특히 직선운동이 행해지는 바늘봉부, 상루퍼부, 주이송 요동간(桿) 및 부이송 요동간 등의 이송부로부터 윤활유의 누설이 발생하여 윤활유의 누설 에 의한 천 등의 봉제물의 오염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는 것이 문제였다.
즉 윤활유의 공급량이 많으면 접동부위에서 윤활유가 누설하여 봉제물의 오염이 발생하고, 윤활유의 공급량이 적으면 소성손상이 발생하여 윤활유의 누설방지와 재봉틀의 내구성을 양립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모든 접동부위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구성은 재봉틀의 구성을 복잡한 것으로 함과 동시에 부품점수나 조립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증가하여 경제적 부담도 증가한다.
본 발명은 이 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봉제물을 오염시키는 윤활유의 누설방지와 재봉틀의 내구성을 양립시킬 수 있는 오버록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범위 제 1항에 관한 본 발명의 오버록 재봉틀의 특징은 재봉틀 프레임에 재봉틀 주축의 구동력을 바늘 구동축, 이송구동축, 상루퍼 구동축 및 하루퍼 구동축에 전달하는 연결기구가 수납되는 연결기구 수납부와, 이송구동축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이송구동축으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을 소정의 운동으로 변환하여 이송톱니에 전달하는 이송기구가 수납되는 이송기구 수납부를 배치하고, 연결기구 수납부를 밀봉하여 그 내부에 배치되는 연결기구의 접동부위를 윤활유에 의한 기름윤활로 하며, 이송기구 수납부에 그리스를 수용가능한 그리스 수납부를 배치하고, 이송기구 수납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구의 접동부위를 그리스에 의한 그리스윤활로 한 점에 있다. 그리고 이와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접동부위의 요구기능에 따라 윤활유와 그리스 윤활을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하중이 높고, 마모가루의 발생, 소성손상 및 프레팅이 생기기 쉬운 접동부위를 연결기구 수납부에 배치하여 기름 윤활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또 이송기구 수납부를 그리스 윤활함으로써 봉제물의 오염에 영향을 주는 수납부인 이송기구 수납부의 드라이화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재봉틀 주축과 이송구동축을 연결함과 동시에 재봉틀 주축에 대한 이송구동축의 구동량을 조절하는 이송캠 기구를 연결기구 수납부에 배치하고, 이 이송캠 기구의 접동부위를 윤활유에 의한 기름 윤활유로 한 점에 있다. 그리고 이와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이송기구 중 하중이 큰 접동부위를 구비하는 이송캠 기구를 연결기구 수납부에 수납하여 기름 윤활할 수 있기 때문에 이송캠기구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청구항 3에 관한 본 발명의 오버록 재봉틀의 특징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이송캠 기구의 이송구동용 연결로드의 내경이 재봉틀 주축의 최대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점에 있다. 그리고 이와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재봉틀 프레임의 내부에 이송구동용 연결로드를 배치한 상태에서 재봉틀 프레임의 내부에 재봉틀 주축을 삽입하여 재봉틀 주축에 이송구동용 연결로드를 부착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특히 청구범위 제 9항에 관한 본 발명의 오버록 재봉틀의 특징은 재봉틀 프레임에 재봉틀 주축의 구동력을 최소한 바늘구동축, 이송구동축, 상루퍼 구동축 및 하루퍼 구동축에 전달하는 연결기구가 수납되는 연결기구 수납부와, 바늘 구동축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바늘구동축에서 출력되는 구동력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바늘봉에 전달하는 바늘 기구가 수납되는 바늘기구 수납부와, 이송구동축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이송구동축으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을 소정의 운동으로 변환하여 이송톱니에 전달하는 이송기구가 수납되는 이송기구 수납부와, 상루퍼 구동축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상루퍼 구동축으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을 요동운동으로 변환하여 상루퍼에 전달하는 상루퍼 기구가 수납되는 상루퍼기구 수납부를 배치함과 동시에 연결기구 수납부를 밀봉하여 그 내부에 배치되는 연결기구의 접동부위를 윤활유에 의한 기름윤활로 하고, 바늘기구 수납부, 이송기구 수납부 및 상루퍼기구 수납부 중 하나 이상의 수납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구의 접동부위를 그리스에 의한 그리스 윤활로 한 점에 있다. 그리고 이와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접동부위의 요구기능에 따라 기름윤활과 그리스윤활을 분별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하중이 높고, 마모가루의 발생, 소성손상 및 프레팅이 생기기 쉬운 접동부위를 연결기구 수납부에 배치하여 기름윤할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 봉제물의 오염에 영향을 주는 수납부의 드라이화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어 그 결과 봉제물의 오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재봉틀 주축과 이송구동축을 연결함과 동시에 재봉틀 주축에 대한 이송구동축의 구동량을 조절하는 이송캠 기구를 연결기구 수납부에 배치하고, 이 이송캠 기구의 접동부위를 윤활유에 의한 기름 윤활로 한 점에 있다. 그리고 이와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이송기구 중 하중의 큰 접동부위를 구비하는 이송캠기구를 연결기구 수납부에 수납하여 기름윤활할 수 있기 때문에 이송캠 기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다음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하는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실시예의 오버록 재봉틀(1)은 재봉틀 프레임(2)의 하부에 오일팬(3)이 배치된다. 이 오일팬(3)은 상부가 개구가 되고, 그 내부의 하부에는 접동부위의 기름 윤활을 행하기 위한 예를들면 동점도 5~25cSt정도의 저점도의 윤활유가 저류되고 있다. 그리고 오일팬(3)의 내부의 도 2우측부에는 접동부위에 대해 윤활유의 공급을 행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오일펌프가 배치된다. 이 오버록 재봉틀(1)은 도 1오른쪽 기울어진 아래쪽이 각종 조작 및 작업을 행하는 오퍼레이터와 대치하는 조작측인 정면측 FS가 되고, 도 1왼쪽 기울어진 위쪽이 정면측 FS에 대해 반대측에 위치하는 배면측 RS가 된다. 또 오버록 재봉틀(1)의 정면측 FS에서 보아 우측은 오버록 재봉틀(1)의 구동기구가 배치되는 기단측 BS가 되고, 정면측 FS에서 보아 좌측은 천 등의 봉제물에 봉제가 행해지는 선단측 TS가 된다.
본 실시예의 재봉틀 프레임(2)의 구성에 대해 도 3에서 도 8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오버록 재봉틀(1)의 재봉틀 프레임(2)은 정면측 FS에서 보아 우측의 기단측 BS에 배치되는 기부(2A)와, 기부(2A)의 좌측 하부에서 선단측 TS를 향해 뻗어나온 천받침 받이부(2B)와, 상기 기부(2A)의 좌측 상부에서 천받침 받이부(2B)와 평행하게 선단측 TS를 향해 뻗어나온 머리부(2C)를 갖고, 전체적으로 정면 거의 역 ㄷ자모양으로 형성된다. 이 재봉틀 프레임(2)은 주물(鑄物) 등에 의해 일체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재봉틀 프레임(2)은 정면측 FS에 배치된 정면벽 2FW와, 배면측 RS에 배치된 배면벽 2RW와, 기단측 BS에 배치된 기단벽 2BW와, 기부 2A와 천받침 받이부(2B)와의 경계부분에 배치된 중간벽 2MW와, 선단측 TS에 배치된 선단벽 2TW를 갖고 있다.
상기 정면벽 2FW는 기부(2A)에 배치된 높이의 높은 기부 정면벽 2FWA와, 천받침 받이부(2B)에 배치되어 그 높이가 기부 정면벽 2FWA의 거의 절반 정도가 된 천받침 받이부 정면벽 2FWB에 의해 정면측 FS에서 보아 거의 역 L자모양으로 형성된다. 또 배면벽 2RW는 정면벽 2FW와 마찬가지로 하여 기부(2A)에 배치되는 높이의 높은 기부배면벽 2RWA와, 천받침 받이부(2B)에 배치되어 그 높이가 기부배면벽 2RWA의 거의 절반 정도가 된 천받침 받이부 배면벽 2RWB에 의해 정면측 FS에서 보아 거의 역 L자모양으로 형성된다. 또한 기단벽 2BW 및 중간벽 2MW는 측면 거의 세로로 긴 직사각형모양으로 형성되고, 선단벽 2TW는 그 높이가 기단벽 2BW 및 중간벽 2MW 높이의 거의 절반 정도가 된 거의 가로로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기부정면벽 2FWA, 기부배면벽 2RWA, 기단벽 2BW 및 중간벽 2MW의 각각의 높이는 동일하게 형성되고, 천받침 받이부 정면벽 2FWB, 천받침 받이부 배면벽 2RWB, 선단벽 2TW의 각각의 높이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기부(2A)는 기부 정면벽 2FWA, 기부배면벽 2RWA, 기단벽 2BW 및 중간벽 2MW에 의해 4측면이 둘러싸여 그 내부가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거의 사각통모양으로 형성되고, 천받침 받이부(2B)는 천받침 받이부 정면벽 2FWB, 천받침 받이부 배 면벽 2RWB, 중간벽 2MW 및 선단벽 2TW에 의해 4측면이 둘러싸여져 그 내부가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거의 4각 통모양으로 형성된다. 또한 기부(2A)의 윗면에는 기부(2A)의 상부의 개구를 막도록 도 1 및 도 2와 같이 프레임 상커버(4)가 배치된다.
상기 기단벽 2BW와 중간벽 2MW와의 상호간의 거의 중앙에는 기단벽 2BW 및 중간벽 2MW의 각각과 평행하게 연재하는 거의 평판모양의 제 1지지벽 2SWa가 배치된다. 이 제 1지지벽 2SWa의 정면측 FS에 위치하는 측면은 정면벽 2FW의 내면에 접속되고, 제 1지지벽 2SWa의 배면측 RS에 위치하는 측면은 배면벽 2RW의 내면에 접속된다. 또 제 1지지벽 2SWa는 도 8에 상세하게 도시한 것과 같이 선단측 TS에서 보아 왼쪽 아래 모서리부의 부위, 즉 제 1지지벽 2SWa의 배면측 RS에 위치하는 부위가 전후방향 길이의 절반 정도로 천받침 받이부(2B)의 높이 위치와 거의 동일 높이위치까지 측면 거의 직사각형으로 잘려져 기부내 연통공(11)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제 1지지벽 2SWa의 좌우에 위치하는 기부(2A)의 내부공간이 연통된다.
또 중간벽 2MW의 하부는 선단측 TS에서 보아 오른쪽 아래 모서리부, 즉 중간벽 2MW의 정면측 FS에 위치하는 부위가 전후방향의 길이의 절반 정도로, 천받침 받이부(2B) 높이의 절반정도의 높이에 걸쳐 측면 거의 직사각형모양으로 잘려져 사각형 연통공(12)(도 8)이 형성되고, 이 사각형 연통공(12)의 정면측 FS에 위치하는 면에는 상기 정면벽 2FW와 배면벽 2RW의 상호간의 거의 중앙위치에 좌우방향으로 연재하는 거의 평판모양의 제 2지지벽 2SWb의 길이방향의 거의 중앙부에 접속된다.
이 제 2지지벽 2SWb의 중간벽 2MW의 우측, 즉 기부(2A)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위의 높이는 제 1지지벽 2SWa에 형성되는 기부내 연통공(11)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게 되고, 이 제 2지지벽 2SWb의 우단면은 제 1지지벽 2SWa의 좌측면의 기부내 연통공(11)의 형성부위에 접속된다. 또 제 2지지벽 2SWb의 중간벽 2MW의 좌측 즉 천받침 받이부(2B)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위의 높이는 천받침 받이부(2B)의 높이의 절반 정도가 되고, 이 제 2지지벽 2SWb의 좌단부는 천받침 받이부(2B)의 좌우방향의 길이의 거의 절반 정도의 위치까지 뻗어나온다. 그리고 제 2지지벽 2SWb의 좌단부는 선단벽 2TW와 평행하게 배치된 거의 평판모양의 제 3지지벽 2SWc의 배면측 RS에 위치하는 측면에 접속되고, 이 제 3지지벽 2SWc의 정면측 FS에 위치하는 정면은 천받침 받이부 정면벽 2FWB의 내면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제 2지지벽 2SWb의 정면측 FS에 있어서, 중간벽 2MW의 우측에 위치하는 기부(2A)의 기부내부공간(2Aa)과, 중간벽 2MW의 좌측에 위치하는 천받침 받이부(2B)의 천받침 받이부 내부공간(2B)이 연통된다.
즉 천받침 받이부 내부공간(2Ba)은 제 2지지벽 2SWb 및 제 3지지벽 2SWc의 위쪽에 있어서는 천받침 받이부 정면벽 2FWB, 천받침 받이부 배면벽 2RWB, 중간벽 2MW 및 선단벽 2TW에 의해 4측면이 둘러쌓여진 평면 거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제 2지지벽 2SWb 및 제 3지지벽 2SWc의 형성부에 있어서는 제 2지지벽 2SWb 및 제 3지지벽 2SWc를 경계로 하여 2개로 구분된다.
또 상기 천받침 받이부(2B)의 천받침 받이부 정면벽 2FWB, 제 3지지벽 2SWc의 상단, 제 2지지벽 2SWb의 상단, 중간벽 2MW를 접속하도록 하여 평면 직사각형모양으로 형성된 평판모양의 간막이 판(13)이 그 두께 방향을 상하방향으로 하여 배 치되고, 천받침 받이부 내부공간(2Ba) 중 간막이판(13)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 1천받침 받이부 내부공간(2Baa)만을 기부(2A)의 기부 내부공간(2Aa)에 연통시키고 있다. 즉 간막이판(13)은 도 8과 같이 천받침 받이부(2B)의 천받침 받이부 내부공간(2Ba)를 기부(2A)에 연통하는 제 1천받침 받이부 내부공간(2Baa)과, 기부(2A)의 기부 내부공간(2Aa)에서 차단한 제 2천받침 받이부 내부공간(2Bab)에 2구분하는 격벽의 기능을 받아 들고 있다.
또한 천받침 받이부(2B)의 천받침 받이부 정면벽 2FWB, 선단벽 2TW, 천받침 받이부 배면벽 2RWB, 중간벽 2MW, 제 2지지벽 2SWb 및 제 3지지벽 2SWc의 각각의 하단을 접속하도록 하여 평면 거의 도립(倒立) L자모양으로 형성된 평판모양의 저판(14)이 그 두께 방향을 상하방향으로 하여 배치된다. 즉 저판(14)의 위쪽에 위치하는 천받침 받이부(2B)의 제 2천받침 받이부 내부공간(2Bab)은 간막이판(13)에 의해 기부(2A)의 기부내부공간(2Aa)에서 차단되고, 저판(14)에 의해 오일팬(3)의 내부공간에서 차단되도록 되어있다.
상기 기부(2A)의 기부내부공간(2Aa)과, 이에 연통하는 천받침 받이부(2B)의 제 1천받침 받이부 내부공간(2Baa)에 의해, 본 실시예의 연결기구 수납부(16)가 구성되고, 상기 천받침 받이부(2B)의 제 2천받침 받이부 내부공간(2Bab)에 의해 본 실시예의 이송기구 수납부(17)가 구성된다.
따라서 간막이판(13)은 본 실시예의 연결기구 수납부(16)와 이송기구 수납부(17)와의 사이를 차단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중간벽 2MW의 좌측면의 상부에는 머리부(2C)를 형성하기 위한 머리부용 틀모양벽 2CW가 선단측 TS를 향해 연출 형성되고, 이 머리부용 틀모양 벽 2CW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머리부 내부공간(2Ca)에 의해 본 실시예의 바늘기구 수납부(18)가 구성된다. 그리고 머리부(2C)에는 머리부용 틀모양벽 2CW의 개구부를 막도록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머리부커버(19)가 배치된다.
상기 정면벽 2FW의 외면의 좌우방향의 거의 중앙부분의 하부에는 도 3과 같이 거의 틀모양으로 형성된 상루퍼용 돌출벽 2FPW가 정면측 FS를 향해 연출형성되고, 이 상루퍼용 돌출벽 2FPW의 개구부는 루퍼덮개(20a)의 우측부분에 의해 피복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상루퍼용 돌출벽 2FPW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상루퍼용 내부공간 2FPWa에 의해 본 실시예의 상루퍼기구 수납부(21)가 구성된다. 또 루퍼덮개(20a)의 앞쪽에는 루퍼커버(20b)가 배치되고,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정면벽 2FW의 외면의 상루퍼용 돌출벽 2FPW가 형성된 부위의 좌측에는 외측용 돌출벽 2FOW가 정면측 FS를 향해 연출형성되고, 이 외측용 돌출벽 2FOW의 개구부는 루퍼덮개(20a)의 좌측부분 및 천받침 받이부(2B)의 선단측 TS에 배치되는 천받이 받침 커버(22)에 의해 피복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이 정면벽 2FW의 외면의 루퍼덮개(20a)의 좌측부분 및 천받이 받침커버(22)에 의해 피복되는 외측내부 공간 2FOWa에 의해 하루퍼·이중환기구 수납부(23)가 구성된다.
또한 천받침 받이부(2B)의 좌단부에 배치되는 천받이 받침커버(22) 및 재봉틀 프레임(2)의 천받침 받이부(2B)의 윗면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봉제동작을 실행할 때 천 등의 봉제물이 올려놓여지는 천 올려놓는 판(24)이 배치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오버록 재봉틀(1)의 요부의 구성에 대해 도 1 내지 도 13을 기초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오버록 재봉틀(1)의 재봉틀 프레임(2)의 하부내의 정면측 FS에는 도 9 및 도 10과 같이 수평방향으로 연재하는 재봉틀 주축(31)이 배치된다. 이 재봉틀 주축(31)은 재봉틀 프레임(2)의 기부(2A) 및 천받침 받이부(2B), 상세하게는 기단벽 2BW, 제 1지지벽 2SWa, 중간벽 2MW 및 선단벽 2TW를 동축상에 관통하도록 하여 형성된 제 1주축 지지공(32A), 제 2주축 지지공(32B), 제 3주축 지지공(32C) 및 제 4주축 지지공(32D)에 각각 고정되는 제 1주축용 베어링(33A), 제 2주축용 베어링(33B), 제 3주축용 베어링(33C) 및 제 4주축용 베어링(33D)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제 1주축용 베어링(33A), 제 2주축용 베어링(33B) 및 제 4주축용 베어링(33D)으로서는 굴림 베어링이 이용되고, 제 3주축용 베어링(33C)으로서는 C메탈(미끄럼 베어링)이 이용된다. 또 제 1주축용 베어링(33A)은 도 10에 상술한 것과 같이 플랜지모양 하우징(34)을 통해 제 1주축 지지공(32A)에 장착되고, 제 1주축용 베어링(33A)과 플랜지모양 하우징(34)과의 상호간 및 플랜지모양 하우징(34)과 제 1주축 지지공(32A)의 상호간에는 밀봉장치로서의 O링(35)이 각각 배치된다. 이 플랜지모양 하우징(34)을 이용하는 것으로 기단벽 2BW에 형성하는 제 1주축 지지공(32A)의 내경을 재봉틀 주축(31)의 최대외경보다 크게하고, 재봉틀 주축(31)의 재봉틀 프레임(2)의 내부로의 장착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플랜지모양 하우징(34)은 꼭 이용할 필요는 없다.
도 11에 상세하게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재봉틀 주축(31)의 제 2주축용 베 어링(33B)이 장착되는 제 2베어링 장착부(36B)와 제 3주축용 베어링(33C)이 장착되는 제 3베어링 장착부(36C)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는 4개의 북모양의 클랭크핀(37A)(37B)(37C)(37D)이 배치된 클랭크 샤프트가 되며, 도 9와 같이 기단측 BS의 클랭크핀(37A)에는 상루퍼 구동용 연결로드(41), 클랭크 핀(37B)에는 메스구동용 연결로드(42), 클랭크핀(37C)에는 바늘구동용 연결로드(43), 클랭크핀(37D)에는 하루퍼 구동용 연결로드(44)의 각각의 기단부가 장착된다. 그리고 도 9와 같이 상루퍼 구동용 연결로드(41)의 선단부에는 일단이 상루퍼 구동축(46)에 접속된 상루퍼 구동용 링크(47)의 타단이 접속된다. 또한 메스구동용 연결로드(42)의 선단부에는 일단이 메스구동축(48)에 접속된 메스구동용 링크(49)의 타단이 접속된다. 또한 바늘구동용 연결로드(43)의 선단부에는 일단이 바늘구동축(50)에 접속된 바늘구동용 링크(51)의 타단이 접속된다. 또한 하루퍼 구동용 연결로드(44)의 선단부에는 일단이 하루퍼 구동축(52)에 접속된 하루퍼 구동용 링크(53)의 타단이 접속된다.
상기 재봉틀 주축(31)의 제 1주축용 베어링(33A)이 장착되는 제 1베어링 장착부(36A)와 제 2주축용 베어링(33B)이 장착되는 제 2베어링 장착부(36B) 사이는 이송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이송캠기구 배치부(56)가 되고, 이 이송캠기구 배치부(56)에는 도 12와 같이 이송캠기구(60)가 배치된다. 이 이송캠기구(60)는 재봉틀 주축(31)과 이 재봉틀 주축(31)에 평행하게 뻗는 이송구동축(61)을 연결함과 동시에 재봉틀 주축(31)에 대한 이송구동축(61)의 구동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도 12와 같이 2개의 라쳇용 나사(62a)(62b)에 의해 재봉틀 주축(31)의 기단부 측에 고정되는 라쳇기어(62)를 갖고 있다. 이 라쳇기어(62)의 선단측 TS에 위치하는 좌측에는 스프링(64)에 의해 압착되어 라쳇기어(62)에 맞물리는 라쳇(65)이 재봉틀 주축(31)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라쳇(65)의 좌측에는 재봉틀 주축(31)에 삽입되는 이송조절캠(66)이 배치되고, 이 이송조절캠(66)의 우단면에는 라쳇(65)의 슬라이드면(65a)이 접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라쳇용 슬라이드면(66a)이 형성된다. 또 이송조절캠(66)에는 한쌍의 스토퍼핀(67)이 장착되는 2개의 핀용 관통공(66b)과, 스프링(64)의 일단이 삽입되는 스프링용 관통공(66c)이 형성된다.
상기 이송조절캠(66)의 좌단부에는 편심캠부(66d)가 형성되고, 이 편심캠부(66d)에는 각구(角駒)가 바깥으로 끼워진다. 그리고 각구(68)의 외주에는 이송캠(69)의 내주면이 결합되고, 각구(68)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한쌍의 이송캠용 슬라이드면(68a)과, 이송캠(69)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한쌍의 각구용 슬라이드면(69a)이 재봉틀 주축(31)의 축방향을 따라 접동가능하게 감합된다. 또한 이송캠(69)의 좌단에는 한쌍의 지지대 결합부(69b)가 형성되고, 이 지지대 결합부(69b)에는 2개의 지지대 고정나사(70)에 의해 재봉틀 주축(31)에 고정되는 지지대(71)의 피결합부(71a)가 결합된다.
상기 이송캠(69)의 우단에는 캠부(69c)가 형성되고, 이 캠부(69c)에는 베어링(72)을 통해 이송구동용 연결로드(73)의 기단부가 장착된다. 이 이송구동용 연결로드(73)의 내경은 재봉틀 주축(31)의 최대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재봉틀 프레임(2)의 내부에 이송구동용 연결로드(73)를 배치한 상태에서 재봉틀 프레임(2)의 내부에 재봉틀 주축(31)을 삽입하여 재봉틀 주축(31)에 이송구동용 연결로드(73)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 이송구동용 연결로드(73)의 선단부에는 2갈래로 나뉜 고정나사(74)에 의해 이송구동축(61)에 고정된 이송 2갈래로 나뉜 클랭크(75)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는 지지핀(76)이 지지핀 고정나사(77)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라쳇(65)의 외주에는 이송캠기구(60)에 의한 이송구동축(61)의 구동량을 조정하는 이송조정 보턴(78)의 작동단(78a)이 접리하는 오목부(65b)가 형성된다. 상기 이송캠기구(60)의 요부의 실제의 부품배치에 대해 기단측 BS에서 본 상태를 도 13에 도시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오버록 재봉틀(1)에 있어서는 도 9와 같이 재봉틀 주축(31)의 구동력을 최소한 바늘 구동축(50), 이송구동축(61), 상루퍼 구동축(46) 및 하루퍼 구동축(52)에 전달하는 연결기구 상세하게는 바늘구동용 연결로드(43), 바늘구동용 링크(51), 상루퍼 구동용 연결로드(41), 상루퍼 구동용 링크(47), 하루퍼 구동용 연결로드(44) 및 하루퍼 구동용 링크(53)와, 종래 공지의 이송기구(105)의 일부를 구성하는 이송캠기구(60)가 재봉틀 프레임(2)의 연결기구 수납부(16)의 내부에 수납된다.
상기 이송조정보턴(78)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재봉틀 프레임(2)의 오퍼레이터가 대치하는 정면측 FS 아래쪽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도 10과 같이 재봉틀 프레임(2)의 기부 정면벽 2FWA의 기단벽 2BW와 제 1지지벽 2SWa 사이에서 또한 재봉틀 주축(31)의 축심과 거의 동일 높이위치에, 그 길이방향을 재봉틀 주축(31)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 배치되고, 이송조정 보턴(78)의 선단부인 작 동단(78a)이 라쳇(65)의 외주에 형성된 오목부(65b)에 접촉가능하게 되어있다.
상기 이송조정 보턴(78)과 기부 정면벽 2FWA의 상호간에는 연결기구 수납부(16)의 내부의 윤활유가 외부로 누설하는 것을 방지하는 누설방지수단으로서의 밀봉장치 상세하게는 오일씨일(80)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이송조정보턴(78)의 조작부(78b)를 재봉틀 프레임(2)의 외부로 노출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 이송조정보턴(78)은 대경의 조작부(78b)와 멈춤바퀴(81)에 의해 기부정면벽 2FWA의 두께방향을 따른 최대이동위치가 규제됨과 동시에 이송조정보턴(78)의 작동단(78a)측에 배치된 압축스프링(82)의 부세력을 갖고, 평소에는 재봉틀 프레임(2)의 외부로 노출하는 조작부(78b)가 기부정면벽 2FWA의 외면에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부세되며, 이송조정보턴(78)의 작동단(78a)도, 라쳇(65)의 외주에 형성된 오목부(65b)로부터 이간된다.
이와같은 본 실시예의 이송캠기구(60) 및 이송조정보턴(78)에 의하면 이송조정보턴(78)의 조작단(78b)이 오퍼레이터에 의해 눌려지게 되면 이송조정보턴(78)의 작동단(78a)이 라쳇(65)의 외주에 형성된 오목부(65b)에 접촉하고, 라쳇(65)과 라쳇기어(62)와의 맞물림이 풀린다. 여기서 재봉틀 주축(31)을 회동시켜 이송캠(69)의 편심량을 변경하는 것으로 이송핏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이송조절캠(66)은 라쳇(65)이 라쳇용 슬라이드면(66a)에 위치하므로 회동하지 않는다. 또 지지대(71)는 재봉틀 주축(31)과 함께 회동한다. 여기서 이송캠(69)의 지지대 결합부(69b)가 지지대(71)의 피결합부(71a)와 결합되므로 이송캠(69)이 재봉틀 주축(31)과 함께 회동하지만 이송캠(69)의 내주면은 각구(68)에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재봉틀 주축(31)과 동 심으로 회동할 수 없어 이송캠(69)의 캠부(69c)가 재봉틀 주축(31)에 대한 편심량을 변화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재봉틀 주축(31)에 대한 이송구동축(61)의 구동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이송캠 기구(60)의 지지대(71)는 도 10 및 도 13과 같이 그 외주에 사다리형 나사(85a)등이 형성되어 웜(85)이 된다. 즉 종래 개별의 다른 부품으로 된 웜(85)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송캠기구(60) 중 재봉틀 주축(31)과 동 심으로 일체로 회전하는 부위인 지지대(71)의 외주에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웜(85)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웜휠(86)(도 10)이 맞물리고, 이 웜휠(86)은 기부(2A)의 내부에 연직으로 지지된 도시하지 않는 펌프구동축의 상단부에 고착된다. 그리고 재봉틀 주축(31)의 구동력에 의해 오일팬(3)의 내부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오일펌프를 구동하여 오일팬(3)의 저부에 저류되어 있는 윤활유를 퍼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1로 되돌아 가서 상기 재봉틀 주축(31)의 내부의 우단부와 제 3베어링 장착부(36C)사이에는 윤활유가 유동가능한 윤활유 공급로(88)가 형성된다. 이 윤활유 공급로(88)는 제 3베어링 장착부(36C)의 중앙부에 윤활유의 급유에 이용하는 윤활유 급유구(88a)가 형성되고, 4개의 클랭크핀(37A)(37B)(37C)(37C) 및 이송캠기구(60)의 배설부의 중앙부분의 총 모두 5개소에 윤활유를 접동부위에 공급하기 위한 윤활유 토출구(88b)가 배치되며, 윤활유 급유구(88a)로부터 공급된 윤활유를 도 11에 화살표 O로 도시한 것과 같이 각 윤활유 토출구(88b)에서 토출하는 것으로 각 접동부위 상세하게는 재봉틀 주축(31)에 대한 상루퍼 구동용 연결로드(41), 메스구 동용 연결로드(42), 바늘구동용 연결로드(43), 하루퍼 구동용 연결로드(44) 및 이송캠기구(60)의 이송캠(69) 등의 접동부위를 기름 윤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재봉틀 주축(31)의 윤활유 급유구(88a)에 대한 윤활유의 공급은 오일팬(3) 하부에 저류되어 있는 윤활유를 재봉틀 주축(31)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도시하지 않은 오일팬으로 퍼올리고, 이 오일팬 펌프로 퍼 올린 윤활유를 도시하지 않은 급유파이프에 의해 제 3주축용 베어링(33C)에 형성된 급유공(33Ca)을 통해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재봉틀 주축(31)의 제 3베어링 장착부(36C)의 좌측에는 편심캠이 된 이중환 구동용 연결로드 장착부(91) 및 이송 상하각구연결부(92)가 이 순서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중환 구동용 연결로드 장착부(91)에는 도 9에 도시하는 이중환 구동용 연결로드(94)의 기단부가 장착되고, 이송 상하각구연결부(92)에는 이송 상하각구(95)가 장착된다. 또 재봉틀 주축(31)의 내부의 선단부 TS와 제 3베어링 장착부(36C)의 좌측 사이에는 그리스를 수납가능한 그리스 수납부(97)가 형성되고, 이 그리스 수납부(97)에 수납한 그리스를, 도 11에 화살표 G로 도시한 것과 같이 이중환 구동용 연결로드 장착부(91) 및 이송 상하각구연결부(92)의 각각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2개의 그리스 토출구(97a)에서 도 11에 화살표 G로 도시한 것과 같이 조금씩 외부로 스며나오도록 토출시키는 것으로 재봉틀 프레임(2)의 이송기구 수납부(17)를 형성하는 제 2천받침 받이부 내부공간 2Bab에 배치된 재봉틀 주축(31)의 각 접동부위 상세하게는 재봉틀 주축(31)에 대한 이중환 구동용 연결로드(94), 이송 상하각구(95) 등과의 접동부위를 그리스 윤활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 그리 스 토출구(97a)는 재봉틀 주축(31)의 지름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재봉틀 주축(31)의 회전에 따른 그리스 토출구(97a)로부터의 그리스의 토출상태를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즉 재봉틀 주축(31)이 회전구동했을 때의 원심력에 의해 그리스를 원활하게 그리스 토출구(97a)로부터 토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송 상하각구(95)에는 도 9와 같이 주이송 요동간(98) 및 부이송 요동간(99)이 연결된다. 또 그리스 수납부(97)에 수납하는 그리스로서는 폴리 α올리핀 리튬계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그리스 수납부(97) 및 그리스 토출구(97a)를 재봉틀 주축(31)에 배치하는 구성은 그리스 윤활을 행하는 부위에 배치되는 구동축, 종동축 등의 가동이 된 각 종의 축에 적용가능하다.
상기 재봉틀 주축(31)의 기단측 BS에 위치하는 기단부는 도 10과 같이 재봉틀 프레임(2)의 외측으로 뻗어나오고, 이 재봉틀 주축(31)의 기단부에는 종래 공지한 것과 같이 재봉틀 모터의 회전을 벨트를 통해 전달되는 플리(100)가 고착된다.
도 9 및 도 10과 같이 재봉틀 프레임(2)의 하부내의 배면측 RS에는 재봉틀 주축(31)과 평행하게 연재하는 이송구동축(61)이 배치된다. 이 이송구동축(61)은 재봉틀 프레임(2)의 기부(2A) 및 천받침 받이부(2B), 상세하게는 기단벽 2BW, 중간벽 2MW 및 선단벽 2TW를 동 축상에 관통하도록 하여 형성된 이송축 지지공(101A)(101B)(101C)(도 6)에 각각 고정되는 제 1이송축용 베어링(102A), 제 2이송축용 베어링(102B) 및 제 3이송축용 베어링(102C)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제 1이송축용 베어링(102A), 제 2이송축용 베어링(102B) 및 제 3이송축용 베어링(102C)으로서는 베어링메탈(미끄럼 베어링)이 이용(利用)되고 있다. 그리고 이송구동축(61)은 제 2이송 베어링장착부(103B)를 경계로 하여 재봉틀 프레임(2)의 연결기구 수납부(16)에 배치되는 부위와, 재봉틀 프레임(2)의 이송기구 수납부(17)에 배치되는 부위로 구분된다.
상기 이송구동축(61)의 제 1이송축용 베어링(102A)이 장착되는 제 1이송 베어링 장착부(103A)와 제 2이송축용 베어링(102B)이 장착되는 제 2이송 베어링 장착부(103B)사이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상기 이송캠기구(60)의 이송 2갈래로 나뉜 클랭크(75)가 접속된다. 또 이송구동축(61)의 제 2이송축용 베어링(102B)이 장착되는 제 2이송 베어링 장착부(103B)와 제 3이송축용 베어링(102C)이 장착되는 제 3이송베어링 장착부(103C)사이에는 도 9와같이 이송캠기구(60)를 뺀 종래 공지한 이송기구(105)의 일부를 구성하는 주이송팔(106) 및 부이송팔(107)의 기단부가 접속된다. 그리고 주이송팔(106)의 선단부에는 일단이 주이송 요동간(98)에 접속된 주이송 링크(108)의 타단이 접속된다. 또한 부이송팔(107)의 선단부는 부이송핀 각구(109)를 통해 부이송 요동간(99)에 접속되고, 이 부이송 핀각구(109)에는 부이송핀(110)을 통해 차동조절링크(111)의 일단이 접속된다. 그리고 차동조절 링크(111)의 타단은 재봉틀 프레임(2)의 선단벽 2TW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차동조절축 지지공에 고정되는 차동조절축용 베어링(112)(도 9)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되는 차동조절축(113)에 접속된다.
또 이송구동축(61)의 주이송팔(106) 및 부이송팔(107)의 각각의 기단부가 접속되는 부위 사이에는 일단이 이중환 구동용 연결로드(94)의 선단부에 접속되는 이중환 전후팔(114)의 타단과, 재봉틀 프레임(2)의 제 2천받침 받이부 내부공간(2Bab)의 내부에 위치하는 이중환 구동축(115)의 기단부에 접속되는 이중환 전후팔(114)의 기단부가 접속된다. 또한 이송구동축(61)에서 출력되는 구동력을 상하전후의 소정의 운동으로 변환하여 도시하지 않은 이송톱니에 전달하는 이송기구(105)의 구성은 종래 공지한 것이 이용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송구동축(61)의 제 2이송축용 베어링(102B)이 장착되는 부위의 좌측에는 도 10과 같이 그리스를 수납가능한 그리스 수납부로서의 이송축용 그리스 수납부(117)가 형성되고 이 이송축용 그리스 수납부(117)에 수납한 그리스를 도 10과 같이 4개의 이송축용 그리스 토출구(117a)로부터 조금씩 외부로 새어나오도록 토출하는 것으로 재봉틀 프레임(2)의 이송기구 수납부(17)에 배치된 이송구동축(61)의 각 접동부위 상세하게는 이송구동축(61)에 대한 이중환 전후팔(114) 및 제 3이송축용 베어링(102C)등과의 접동부위를 그리스 윤활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 이송축용 그리스 토출구(117a)는 이송구동축(61)의 지름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재봉틀 주축(31)에 연동하여 요동하는 이송구동축(61)의 요동에 따른 이송축용 그리스 토출구(117a)로부터의 그리스의 토출상태를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즉 이송구동축(61)이 요동했을 때의 원심력에 의해 그리스를 원활하게 이송축용 그리스 토출구(117a)로부터 토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송축용 그리스 수납부(117)에 수납하는 그리스로서는 폴리 α올리핀 리튬계의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루퍼 구동축(46)은 재봉틀 프레임(2)의 정면벽 2FW와, 제 2지지벽 2SWb의 정면측 FS에서 보아 중간벽 2MW의 우측을 재봉틀 주축(31)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양벽 2FW, 2SWb를 동 축상에 관통하도록 하여 형성된 상루퍼 축지지공(121A)(121B)(도 7)에 각각 고정되는 제 1상루퍼축용 베어링(122A) 및 제 2 상루퍼축용 베어링(122B)(도 9)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다. 이 상루퍼 구동축(46)의 정면측 FS에 위치하는 선단부는 정면벽 2FW의 외측에 형성되는 상루퍼기구 수납부(21)내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루퍼 구동축(46)의 선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종래 공지의 상루퍼 기구가 접속된다. 또한 상루퍼 구동축(46)의 선단측에 재봉틀 주축(31) 또는 이송구동축(61)과 동일한 그리스를 수납가능한 그리스 수납부를 배치하는 것으로 상루퍼기구 수납부(21)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루퍼 기구의 접동부위를 그리스에 의한 그리스 윤활로 할 수 있다. 또 그리스 수납부를 배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루퍼 기구의 접동부위에 그리스를 도포하면 된다. 또한 상루퍼 구동축(46)에서 출력되는 구동력을 요동운동으로 변환하여 상루퍼에 전달하는 상루퍼 기구의 구성은 종래 공지한 것이 이용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메스구동축(48)은 도 5와 같이 재봉틀 프레임(2)의 기부(2A)의 재봉틀 주축(31)이 배치되는 부위의 위쪽 상세하게는 제 1지지벽 2SWa 및 중간벽 2MW의 높이 방향의 거의 중앙위치를 좌우방향에 있어서 양 벽 2SWa, 2MW를 동 축상에 관통하도록 하여 형성된 메스축 지지공(124A)(124B)(도 5)에 각각 고정되는 제 1메스축용 베어링(125A) 및 제 2메스축용 베어링(125B)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된다. 이 메스구동축(48)의 선단측 TS에 위치하는 선단부는 재봉틀 프레임(2)의 천받침 받이부(2B)의 위쪽으로 돌출되고, 이 메스구동축(48)의 선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종래 공지한 천절단 기구가 배치된다. 이 천절단 기구는 종래 공지한 것이 이용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메스구동축(48)의 선단측에 재봉 틀 주축(31) 또는 이송구동축(61)의 동일한 그리스를 수납할 수 있는 그리스 수납부를 배치해도 좋다.
상기 바늘구동축(50)은 재봉틀 프레임(2)의 기부(2A)의 재봉틀 주축(31)이 배치되는 부위의 위쪽 상세하게는 제 1지지벽 2SWa 및 중간벽 2MW의 높이방향의 상부를 좌우방향에 있어 양 벽 2SWa, 2MW를 동 축상에 관통하도록 하여 형성된 바늘축 지지공(127A)(127B)(도 5)에 각각 고정되는 제 1바늘축용 베어링(128A) 및 제 2바늘축용 베어링(128B)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다. 이 바늘구동축(50)의 선단측 TS에 위치하는 선단부는 재봉틀 프레임(2)의 머리부 내부공간 2Ca에 의해 형성되는 바늘기구 수납부(18)내에 돌출된다. 그리고 바늘구동축(50)의 선단부는 종래공지의 바늘봉 구동기구를 통해 바늘봉(129)에 접속되고, 바늘봉(129)의 하단부에 부착된 바늘 N(도 1)을 재봉틀 주축(31)의 구동력으로 상하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 바늘봉 구동기구는 종래 공지의 것이 이용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바늘봉(129)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재봉틀 프레임(2)의 머리부(2C)에 배치된 상하한쌍의 베어링인 바늘봉 상메탈(130A) 및 바늘봉 하메탈(130B)(도 9)에 의해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바늘구동축(50)의 선단측에 재봉틀 주축(31) 또는 이송구동축(61)과 마찬가지의 그리스를 수납가능한 그리스 수납부를 배치하는 것으로 바늘기구 수납부(18)의 내부에 배치되는 바늘기구의 접동부위를 그리스에 의한 그리스윤활로 할 수 있다. 또 그리스 수납부를 배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바늘기구의 접동부위에 그리스를 도포하거나 바늘기구 수납부(18)에 개별의 그리스 수납부, 예를들면 그리스 컵 등을 배치하면 된다. 또한 바늘구동축(50)의 기단측 BS에, 재봉틀 주축(31)과 마찬가지의 윤활유의 윤활유 공급로를 배치하는 것이나 혹은 도시하지 않은 오일펌프로부터의 윤활유를 베어링부분(128A, 128B)에 분사하는 것으로 바늘구동축(50)의 연결기구 수납부(16)에 배치되는 접동부위를 윤활유에 의한 기름 윤활로 할 수 있다.
상기 하루퍼 구동축(52)은 재봉틀 프레임(2)의 정면벽 2FW와 제 2지지벽 2SWb의 중간벽 2MW의 좌측을 재봉틀 주축(31)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양 벽 2FW, 2SWb를 동 축상에 관통하도록 하여 형성된 하루퍼축 지지공(132A)(132B)(도 7)에 각각 고정되는 제 1하루퍼축용 베어링(133A) 및 제 2하루퍼축용 베어링(133B)(도 9)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다. 이 하루퍼 구동축(52)의 정면측 FS에 위치하는 선단부는 정면벽 2FW의 외측에 형성되는 하루퍼·이중환기구 수납부(23)를 구성하는 외측내부공간 2FOWa내로 돌출된다. 그리고 하루퍼 구동축(52)의 선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종래 공지의 하루퍼기구가 접속된다. 이 하루퍼기구는 종래 공지한 것이 이용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중환 구동축(115)은 재봉틀 프레임(2)의 정면벽 2FW와 제 2지지벽 2SWb의 선단측 TS를 재봉틀 주축(31)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양 벽 2FW, 2SWb를 동축상에 관통하도록 하여 형성된 이중환 축지지공(135A)(135B)(도 7)에 각각 고정되는 제 1 이중환축용 베어링(136A) 및 제 2 이중환축용 베어링(136B)(도 9)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이 이중환 구동축(115)의 정면측 FS에 위치하는 선단부는 정면벽 2FW의 외측에 형성되는 하루퍼 ·이중환 기구 수납부(23)를 구성하는 외측내부공간 2FOWa내로 돌출된다. 그리고 이중환 구동축(115)의 선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종래 공지의 이중환 기구가 접속된다. 이 이중환 기구는 종래 공지한 것이 이용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하루퍼 구동축(52)과 이중환 구동축(115)과는 도 9와 같이 재봉틀 프레임(2)의 연결기구 수납부(16)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1천받침 받이부 내부공간 2Baa내에 있어 결합연결링크(138)에 의해 동기 구동이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 하루퍼 구동축(52) 및 이중환 구동축(115)의 선단측에 재봉틀 주축(31) 또는 이송구동축(61)과 마찬가지의 그리스를 수납가능한 그리스 수납부를 배치하는 것으로 하루퍼·이중환 기구 수납부(23)에 배치되는 접동부위를 그리스에 의한 그리스윤활로 할 수 있다. 또한 그리스 수납부를 배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하루퍼기구 및 이중환 기구의 접동부위에 그리스를 도포하면 된다.
상기 재봉틀 프레임(2)의 연결기구 수납부(16)와 이 연결기구 수납부(16)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바늘기구 수납부(18), 이송기구 수납부(17), 상루퍼 기구수납부(21) 및 하루퍼·이중환 기구수납부(23)와의 각각의 경계부분에는 윤활유의 누설을 방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누설방지수단이 배치된다.
즉 재봉틀 프레임(2)의 연결기구 수납부(16)와 이 연결기구 수납부(16)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바늘기구 수납부(18)와의 경계부분인 제 2바늘축용 베어링(128B)의 배치부에는 윤활유가 바늘기구 수납부(18)(머리부 내부공간 2Ca)로 누설하는 것을 방지하는 누설방지수단이 배치된다. 그리고 재봉틀 프레임(2)의 연결기구 수납부(16)와 이 연결기구 수납부(16)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이송기구 수납부(17)와의 경계부분인 제 3주축용 베어링(33C), 제 2이송축용 베어링(102B), 제 1하루퍼축용 베어링(133A), 제 1이중환축용 베어링(136A)의 각각의 배치부에는 윤활유가 이송기구 수납부(17)(제 2천받침 받이부 내부공간 2Bab)로 누설하는 것을 방지하는 누설방지수단이 배치된다. 또한 재봉틀 프레임(2)의 연결기구 수납부(16)와 이 연결기구 수납부(16)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상루퍼기구 수납부(21)와의 경계부분인 제 1상루퍼축용 베어링(122A)의 배치부에는 윤활유가 상루퍼기구 수납부(21)(상루퍼용 내부공간 2FPWa)로 누설하는 것을 방지하는 누설방지수단이 배치된다. 또 재봉틀 프레임(2)의 연결기구 수납부(16)와 이 연결기구 수납부(16)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외부와의 경계부분인 제 1주축용 베어링(33A), 제 1이송축용 베어링(102A), 제 2메스축용 베어링(125B), 제 2하루퍼축용 베어링(133B), 제 2이중환축용 베어링(136B), 플랜지모양 하우징(34), 이송조정 보턴(78), 프레임 상커버(4) 및 오일팬(3)의 배치부에도 윤활유가 외부로 누설하는 것을 방지하는 누설방지수단이 배치된다.
상기 누설방지수단으로서는 O링, 오일씨일, 패킹, 가스켓 등의 밀봉장치나, 씨일제, 접착제, 점착제 등의 베어링의 외주부분으로부터의 누설을 방지하는 외주씨일수단, 베어링으로서 소결금속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봉공(封孔)처리를 실시하여 이용하거나, 베어링으로서 소결금속을 이용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거나, 씨일이 있는 베어링을 이용하거나 하는 등의 베어링 자체에서의 윤활유의 누설을 방지하는 베어링씨일수단 등으로부터 누설방지부위의 구성 및 설계컨섭 등의 필요에 따라 선택가능하다.
이와같은 누설방지수단을 배치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오버록 재봉틀(1)은 그 재봉틀 프레임(2)의 연결기구 수납부(16)를 밀봉하여 그 내부에 배치되는 연결기구의 접동부위를 윤활유에 의한 기름윤활로 할 수 있게 된다. 또 재봉틀 프레임(2)의 바늘기구 수납부(18), 이송기구 수납부(17) 및 상루퍼 기구 수납부(21)중 최소한 하나의 수납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구 접동부위를 그리스에 의한 그리스 윤활로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오버록 재봉틀(1)에 의하면 재봉틀 프레임(2)의 연결기구 수납부(16)에 배치되는 접동부위로의 윤활유의 공급(급유)은 도시하지 않은 오일펌프를 구동하는 것으로 행한다. 이 오일펌프의 구동은 도시하지 않은 재봉틀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재봉틀 주축(31)의 회전운동을, 재봉틀 주축(31)에 고착되는 이송캠기구(60)의 지지대(71)의 외주에 형성되는 웜(85)의 사다리형 나사(85a)로부터 출력하고, 이 웜(85)으로부터의 출력을 이 웜(85)에 맞물리는 웜 휠(86) 및 이 웜휠(86)이 상단부에 배치되는 펌프구동축을 이 순서로 전달하는 것으로 행한다. 그리고 오일펌프의 구동에 의해 오일팬(3)의 저부에 저류되는 윤활유를 퍼 올리고, 이 오일펌프로 퍼올린 윤활유를 도시하지 않은 급유파이프에 의해 제 3주축용 베어링(33C)에 형성되는 급유공(33Ca)을 통해 재봉틀 주축(31)에 형성되는 윤활유 급유구(88a)에 공급한다. 그리고 재봉틀 주축(31)의 윤활유 급유구(88a)에 공급된 윤활유는 윤활유 공급로(88)를 통과하여 각 윤활유 토출구(88b)로부터 토출하고, 이로써 연결기구 수납부(16)의 내부에 배치되는 재봉틀 주축(31)에 대한 상루퍼 구동용 연결로드(41), 메스구동용 연결로드(42), 바늘 구동용 연결로드(43), 하루퍼 구동용 연결로드(44) 및 이송캠기구(60)의 이송캠(69) 등의 접동부위를 기름 윤활한다. 또 이들 접동부위에 공급된 윤활유는 재봉틀 주축(31)의 회전에 의해 재봉틀 프레임(2)의 연결기구 수납부(16)의 내부로 비산(기름 비산)하여 연결기구 수납부(16)의 내부에 배치되는 다른 접동부위의 기름 윤활에 이용됨과 동시에 오일팬(3)의 저부에 유하하여 저류되고, 그 후 순환사용된다. 또한 연결기구 수납부(16)의 내부의 접동부위의 기름윤활에 이용되는 윤활유는 상기 누설방지수단에 의해 연결기구 수납부(16)의 내부에 밀봉된다.
또 본 실시예의 오버록 재봉틀(1)에 의하면 재봉틀 프레임(2)의 이송기구 수납부(17)에 배치되는 접동부위는 재봉틀 주축(31)의 선단측 TS의 내부에 형성된 그리스 수납부(97) 및 구동이송축(61)의 선단측 TS의 내부에 형성된 이송축용 그리스 수납부(117)와의 양자에 수납된 그리스에 의해 그리스 윤활된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의 오버록 재봉틀(1)에 의하면 재봉틀 프레임(2)에 재봉틀 주축(31)의 구동력을 최소한 바늘구동축(50), 이송구동축(61), 상루퍼 구동축(46) 및 하루퍼 구동축(52)에 전달하는 연결기구가 수납되는 연결기구 수납부(16)와, 바늘구동축(50)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바늘구동축(50)으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바늘봉(129)에 전달하는 바늘기구가 수납되는 바늘기구 수납부(18)와, 이송구동축(61)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이송구동축(61)으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을 상하전후의 운동으로 변환하여 이송톱니에 전달하는 이송기구(105)가 수납되는 이송기구 수납부(17)와, 상루퍼 구동축(46)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상루퍼 구동축(46)에서 출력되는 구동력을 요동운동으로 변환하여 상루퍼에 전 달하는 상루퍼기구가 수납되는 상루퍼 기구수납부(21)를 배치함과 동시에 연결기구 수납부(16)를 밀봉하여 그 내부에 배치되는 연결기구의 접동부위를 윤활유에 의한 기름윤활로 하고, 바늘기구 수납부(18), 이송기구 수납부(17) 및 상루퍼 기구수납부(21) 중 최소한 하나의 수납부의 내부, 특히 이송기구 수납부(1)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구위 접동부위를 그리스에 의한 그리스윤활로 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접동부위의 요구기능에 따라 기름윤활과 그리스윤활을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오버록 재봉틀(1)에 의하면 접동부위의 요구기능에 따라 기름윤활과 그리스윤활을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하중이 높고, 마모가루의 발생, 소성손상 및 프레팅이 발생하기 쉬운 접동부위를 연결기구 수납부(16)에 배치하여 기름 윤활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또 봉제물의 오염에 영향을 주는 바늘기구 수납부(18), 이송기구 수납부(17) 및 상루퍼기구 수납부(21)를 기름윤활되는 연결기구 수납부(16)로부터 용이하게 차단함과 동시에 바늘기구 수납부(18), 이송기구 수납부(17) 및 상루퍼기구 수납부(21) 중 최소한 하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송기구 수납부(17)의 내부의 접동부위를 그리스 윤활하는 것으로 드라이화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그 결과 봉제물의 오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오버록 재봉틀(1)에 의하면 봉제물을 오염하는 윤활유의 누설방지와 재봉틀의 내구성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양립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오버록 재봉틀(1)에 의하면 재봉틀 주축(31)과 이송구동축(61)을 연결함과 동시에 재봉틀 주축(31)에 대한 이송구동축(61)의 구동 량을 조절하는 이송캠기구(60)를 연결기구 수납부(16)에 배치하고, 이 이송캠기구(60)의 접동부위를 윤활유에 의한 기름윤활로 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송기구(105)의 일부를 구성하는 접동부위에 가하는 하중이 큰 이송캠기구(60)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기름윤활로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오버록 재봉틀(1)에 의하면 이송기구(105) 중 하중의 큰 접동부위를 구비하는 이송캠기구(60)를 연결기구 수납부(16)에 수납하여 기름윤활할 수 있기 때문에 이송캠기구(60)의 내구성 나아가서는 재봉틀 자체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오버록 재봉틀(1)에 의하면 이송캠기구(60)에 의한 이송구동축(61)의 구동량을 조정하는 이송조정보턴(78)을 재봉틀 프레임(2)의 오퍼레이터가 대치하는 정면측 FS 아래쪽에 배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이송캠기구(60)를 연결기구 수납부(16)에 용이하고 확실하게 배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송조정보턴(78)의 조작부(78b)를 재봉틀 프레임(2)의 외부로 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에 의한 이송조정보턴(78)의 조작성 및 이송구동축(61)의 구동량의 조정작업의 작업성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이송조정보턴(78)은 천받이대 커버(22)의 내부에 배치되고 있어 조작성이 결여되는 구성으로 된다.
또 본 실시예의 오버록 재봉틀(1)에 의하면 이송캠기구(60)의 이송구동용 연결로드(73)의 내경은 재봉틀 주축(31)의 최대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재봉틀 프레임(2)의 내부에 이송구동용 연결로드(73)를 배치한 상태에서 재봉틀 프레임(2)의 내부에 재봉틀 주축(31)을 삽입하여 재봉틀 주축(31)에 이송구동용 연결로드(73)를 부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오버록 재봉틀(1)에 의하면 재봉틀 프레임(2)에 대한 재봉틀 주축(31) 및 재봉틀 주축(31)에 대한 이송캠기구(60)의 부착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오버록 재봉틀(1)에 의하면 재봉틀 주축(31)의 연결기구 수납부(16)에 배치되는 부위에, 윤활유를 연결기구 수납부(16)의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윤활유가 유동가능한 윤활유 공급로(88)가 형성되므로 연결기구 수납부(16)의 내부에 배치되는 접동부위의 윤활유에 의한 윤활유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오버록 재봉틀(1)에 의하면 그리스 수납부(97)가 이송기구 수납부(17)에 배치되는 재봉틀 주축(31)에 형성되므로 이송기구 수납부(17)에 별개의 그리스 수납부를 배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페이스를 줄일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오버록 재봉틀(1)에 의하면 재봉틀 주축(31)의 이송기구 수납부(17)에 배치되는 부위에, 그리스 수납부(97)에 수납한 그리스를 외부로 토출하는 그리스 토출구(97a)가 형성되므로 재봉틀 주축(31)의 회전에 따라 그리스를 그리스 토출구(97a)로부터 이송기구 수납부(17)의 접동부위에 자동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오버록 재봉틀(1)에 의하면 그리스 토출구(97a)는 재봉틀 주축(31)의 지름방향을 따라 형성되므로 재봉틀 주축(31)의 회전에 따라 그리스 토출구(97a)로부터 그리스의 토출상태를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오버록 재봉틀(1)에 의하면 바늘구동축(50), 이송구동축(61), 상루퍼 구동축(46) 및 하루퍼 구동축(52)등의 각 구동축의 최소한 하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송구동축(61)에, 그리스 윤활에 이용하는 그리스를 수납가능한 그리스 수납부로서의 이송축용 그리스 수납부(117)가 형성되므로 연결기구 수납부(16)를 뺀 부위, 상세하게는 이송기구 수납부(18)의 그리스 윤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청구항 1에 관한 본 발명의 오버록 재봉틀에 의하면 접동부위의 요구기능에 따라 기름윤활과 그리스 윤활을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하중이 높고, 마모가루의 발생, 소성손상 및 프레팅이 생기기 쉬운 접동부위를 연결기구 수납부에 배치하여 기름 윤활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또 이송기구 수납부를 그리스 윤활함으로써 봉제물의 오염에 영향을 주는 수납부인 이송기구 수납부의 드라이화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봉제물을 오염시키는 윤활유의 누설방지와 재봉틀의 내구성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양립할 수 있는 등의 극히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이송기구 중 하중이 큰 접동부위를 구비하는 이송캠 기구를 연결기구 수납부에 수납하여 기름 윤활할 수 있기 때문에 이송캠기구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는 등의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또 청구항 3에 관한 본 발명의 오버록 재봉틀에 의하면 재봉틀 프레임의 내부에 이송구동용 연결로드를 배치한 상태에서 재봉틀 프레임의 내부에 재봉틀 주축을 삽입하여 재봉틀 주축에 이송구동용 연결로드를 부착할 수 있는 등의 극히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청구항 9에 관한 본 발명의 오버록 재봉틀에 의하면 접동부위의 요구기 능에 따라 기름윤활과 그리스윤활을 분별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하중이 높고, 마모가루의 발생, 소성손상 및 프레팅이 생기기 쉬운 접동부위를 연결기구 수납부에 배치하여 기름윤할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또 봉제물의 오염에 영향을 주는 수납부의 드라이화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봉제물을 오염시키는 윤활유의 누설방지와 재봉틀의 내구성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양립할 수 있는 등의 극히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이송기구중 하중의 큰 접동부위를 구비하는 이송캠기구를 연결기구 수납부에 수납하여 기름윤활할 수 있기 때문에 이송캠 기구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는 등의 극히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오버록 재봉틀에 의하면 봉제물을 오염시키는 윤활유의 누설방지와 재봉틀의 내구성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양립할 수 있는 등의 극히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13)

  1. 이중 체인스티치 및 테두리 사뜨기를 행하는 오버록 재봉틀에 있어서,
    재봉틀 프레임에, 재봉틀 주축의 구동력을 바늘구동축, 이송구동축, 상루퍼 구동축 및 하루퍼 구동축에 전달하는 연결기구가 수납되는 연결기구 수납부와,
    상기 이송구동축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구동축으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을 소정의 운동으로 변환하여 이송톱니에 전달하는 이송기구가 수납되는 이송기구 수납부를 배치하고,
    상기 연결기구 수납부를 밀봉하여 그 내부에 배치되는 연결기구의 접동부위를 윤활유에 의한 기름윤활로 하며,
    상기 이송기구 수납부에 그리스를 수용가능한 그리스 수납부를 배치하고, 상기 이송기구 수납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구의 접동부위를 그리스에 의한 그리스 윤활로 하고,
    상기 연결기구가 상기 재봉틀 주축과 상기 이송구동축을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재봉틀 주축에 대한 상기 이송구동축의 구동량을 조절하는 이송캠 기구를 상기 연결기구 수납부에 배치하고, 이 이송캠 기구의 접동부위를 윤활유에 의한 기름 윤활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록 재봉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캠 기구의 이송구동용 연결로드의 내경이 상기 재봉틀 주축의 최대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록 재봉틀.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이중 체인스티치 및 테두리 사뜨기를 행하는 오버록 재봉틀에 있어서,
    재봉틀 프레임에 재봉틀 주축의 구동력을 바늘구동축, 이송구동축, 상루퍼 구동축 및 하루퍼 구동축에 전달하는 연결기구가 수납되는 연결기구 수납부와,
    상기 바늘 구동축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상기 바늘구동축에서 출력되는 구동력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바늘봉에 전달하는 바늘 기구가 수납되는 바늘기구 수납부와,
    상기 이송구동축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구동축으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을 소정의 운동으로 변환하여 이송톱니에 전달하는 이송기구가 수납되는 이송기구 수납부와,
    상기 상루퍼 구동축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루퍼 구동축으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을 요동운동으로 변환하여 상루퍼에 전달하는 상루퍼 기구가 수납되는 상루퍼기구 수납부를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기구 수납부를 밀봉하여 그 내부에 배치되는 연결기구의 접동부위를 윤활유에 의한 기름윤활로 하고,
    상기 바늘기구 수납부, 상기 이송기구 수납부 및 상기 상루퍼기구 수납부 중 하나 이상의 수납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구의 접동부위를 그리스에 의한 그리스 윤활로 하고,
    상기 재봉틀 주축과 상기 이송구동축을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재봉틀 주축에 대한 상기 이송구동축의 구동량을 조절하는 이송캠 기구를 상기 연결기구 수납부에 배치하고, 이 이송캠 기구의 접동부위를 윤활유에 의한 기름 윤활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록 재봉틀.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20045728A 2001-08-03 2002-08-02 오버록 재봉틀 KR1009003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35823 2001-08-03
JP2001235825A JP2003038885A (ja) 2001-08-03 2001-08-03 ロックミシン
JPJP-P-2001-00235825 2001-08-03
JP2001235823 2001-08-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315A KR20030013315A (ko) 2003-02-14
KR100900367B1 true KR100900367B1 (ko) 2009-06-02

Family

ID=26619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728A KR100900367B1 (ko) 2001-08-03 2002-08-02 오버록 재봉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900367B1 (ko)
CN (1) CN1259474C (ko)
IT (1) ITTO20020691A1 (ko)
TW (1) TW56427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272B1 (ko) 2019-12-23 2021-01-19 김환욱 원반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포함하는 오버록 재봉기
KR102523349B1 (ko) 2022-05-06 2023-04-19 김환욱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6349B2 (ja) * 2008-04-10 2010-12-08 ヤマトミシン製造株式会社 送り出し腕形偏平縫いミシン
CN102011274B (zh) * 2010-12-28 2013-01-30 浙江宝石机电股份有限公司 缝纫机的两挡式针距调整装置
CN103374794B (zh) * 2012-04-20 2017-05-10 Juki株式会社 缝纫机的布料进给机构
CN108385294B (zh) * 2018-03-16 2020-08-25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缝纫机润滑结构及缝纫机
CN111206336B (zh) * 2018-11-21 2021-09-14 吴江市优力机械有限公司 一种双针综合送料切包缝一体缝纫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9652A (ja) * 1995-05-10 1996-11-19 Pegasus Sewing Mach Mfg Co Ltd ミシンベッドの油漏れ防止装置
JPH09192372A (ja) * 1995-11-15 1997-07-29 Juki Corp オーバーロックミシン
JPH10137479A (ja) * 1996-11-14 1998-05-26 Juki Corp 工業用ミシン
JP2000140476A (ja) * 1998-11-02 2000-05-23 Yamato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の冷却潤滑装置
KR100788443B1 (ko) * 2001-02-21 2007-12-24 페가수스미싱세이죠가부시기가이샤 재봉틀의 급유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9652A (ja) * 1995-05-10 1996-11-19 Pegasus Sewing Mach Mfg Co Ltd ミシンベッドの油漏れ防止装置
JPH09192372A (ja) * 1995-11-15 1997-07-29 Juki Corp オーバーロックミシン
JPH10137479A (ja) * 1996-11-14 1998-05-26 Juki Corp 工業用ミシン
JP2000140476A (ja) * 1998-11-02 2000-05-23 Yamato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の冷却潤滑装置
KR100788443B1 (ko) * 2001-02-21 2007-12-24 페가수스미싱세이죠가부시기가이샤 재봉틀의 급유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272B1 (ko) 2019-12-23 2021-01-19 김환욱 원반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포함하는 오버록 재봉기
KR102523349B1 (ko) 2022-05-06 2023-04-19 김환욱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315A (ko) 2003-02-14
ITTO20020691A1 (it) 2003-02-04
CN1259474C (zh) 2006-06-14
ITTO20020691A0 (it) 2002-08-02
CN1407164A (zh) 2003-04-02
TW564272B (en) 200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367B1 (ko) 오버록 재봉틀
US8931574B2 (en) Lubrication structure for working device
CN115199725A (zh) 关节、机械臂、机器人及其安装方法
JP2002227779A (ja) スクロール流体機械
JP2006188968A (ja) 電動オイルポンプ
US6167990B1 (en) Lubricating device for four-stroke engine
US5759021A (en) Scroll type compressor having an annular intake groove for supplying lubricant to the rotation prevention mechanism
US2998787A (en) Loop taker mechanism for chainstitch sewing machines
JP2017180810A (ja) 回転装置
EP1180423A1 (en) Drive train for use with a kneader apparatus
KR20040010182A (ko) 재봉기의 동력 전달 기구
JP2004097422A (ja) ミシン
JP2003126581A (ja) ミシン
JPH10137479A (ja) 工業用ミシン
KR100747166B1 (ko) 재봉틀
CN115194497B (zh) 具有润滑结构的工作台交换装置及加工中心
KR101675251B1 (ko) 감속비 전환이 가능한 감속기
JP2004097421A (ja) ミシン
JP2003245487A (ja) ミシン
JP2006254785A (ja) 作業装置の潤滑構造
KR101701094B1 (ko) 누유 방지형 감속기
JP2004147890A (ja) ミシン
CN217418000U (zh) 一种回转机构及起重机
CN219733991U (zh) 一种高负载的凸轮连杆安装结构
JP2003326071A (ja) 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