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814B1 - 동물용 하네스 - Google Patents

동물용 하네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814B1
KR102495814B1 KR1020197021507A KR20197021507A KR102495814B1 KR 102495814 B1 KR102495814 B1 KR 102495814B1 KR 1020197021507 A KR1020197021507 A KR 1020197021507A KR 20197021507 A KR20197021507 A KR 20197021507A KR 102495814 B1 KR102495814 B1 KR 102495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g
waistband
wheelchair
animal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1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1030A (ko
Inventor
타다히토 헤이안자
히데키 노나카
Original Assignee
피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피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90111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2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7Exercising equipment, e.g. tread mills, carous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bstract

네발 동물에 대하여 동물용 휠체어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동물용 하네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개(D)의 동체부에 권회되는 동체띠부(11)와, 동체띠부(11)의 둘레 방향 길이를 조정하는 동체띠 조정부(12)와, 동물용 휠체어(100)의 제1 접속부(108)에 접속되는 제1 피접속부(13)와, 개(D)의 흉부 전방면을 덮는 가슴 덮개부(14)와, 개(D)의 복부에 대향하는 연결부(15)를 갖는 전방측 파트(10)와, 개(D)의 허리부에 권회되는 허리띠부(21)와, 허리띠부(21)의 둘레 방향 길이를 조정하는 허리띠 조정부(22)와, 동물용 휠체어(100)의 제2 접속부(109)에 접속되는 제2 피접속부(23)와, 개(D)의 뒷발 근원을 지지하는 한 쌍의 다리 지지부(24, 24)와, 연결부(15)에 대하여 전후 방향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연결되는 피연결부(25)를 갖는 후방측 파트(20)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였다.

Description

동물용 하네스
본 발명은, 네발 동물에 동물용 휠체어를 장착할 때에 사용하는 동물용 하네스에 관한 발명이다.
종래, 뒷발의 운동 기능이 불충분해진 애완견 등의 네발 동물의 보행을 보조하는 동물용 휠체어(이하, "휠체어"라 한다)를, 네발 동물에 장착할 때에 사용하는 하네스로서, 미리 휠체어에 설치된 동물용 하네스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참조).
JP 5460916 B JP 4335230 B
그러나, 종래의 동물용 하네스는, 미리 휠체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하네스의 움직임이 휠체어에 의해 제한된다. 그로 인해, 네발 동물에 장착할 때의 하네스 자유도가 저해되어, 네발 동물에 하네스를 장착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하네스의 장착 상태의 미세 조정에 대해서는, 네발 동물에 휠체어를 장착한 후에 행할 필요가 있으므로, 하네스의 장착 상태를 조정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발생한다. 이 결과, 종래의 동물용 하네스에서는, 네발 동물에 휠체어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네발 동물에 대하여 동물용 휠체어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동물용 하네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네발 동물에 동물용 휠체어를 장착할 때에 사용하는 동물용 하네스이며, 전방측 파트와, 후방측 파트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전방측 파트는, 네발 동물의 동체부에 권회되는 동체띠부와, 동체띠부에 설치되어 동체띠부의 둘레 방향의 길이를 조정하는 동체띠 조정부와, 동물용 휠체어에 설치된 제1 접속부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1 피접속부와, 동체띠부에 설치되어 네발 동물의 흉부 전방면을 덮는 가슴 덮개부와, 동체띠부에 형성되어 네발 동물의 복부에 대향하는 연결부를 갖고 있다.
또한, 후방측 파트는, 네발 동물의 허리부에 권회되는 허리띠부와, 허리띠부에 설치되어 허리띠부의 둘레 방향의 길이를 조정하는 허리띠 조정부와, 동물용 휠체어에 설치된 제2 접속부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2 피접속부와, 허리띠부에 설치되어 네발 동물의 뒷발의 근원을 지지하는 한 쌍의 다리 지지부와, 허리띠부에 형성되어 네발 동물의 복부에 대향하는 동시에 연결부에 대하여 전후 방향의 연결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연결되는 피연결부를 갖고 있다.
이 결과, 네발 동물에 대하여 동물용 휠체어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1a는 실시예 1의 동물용 하네스를 사용하여 개에 휠체어를 장착한 상태를 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실시예 1의 동물용 하네스를 사용하여 개에 휠체어를 장착한 상태를 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동물용 휠체어의 제1 접속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동물용 휠체어의 제1 접속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c는 동물용 휠체어의 제1 접속부의 접속 시의 단면도이다.
도 2d는 동물용 휠체어의 제1 접속부의 접속 중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동물용 하네스를 개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실시예 1의 동물용 하네스의 전방측 파트의 표면측의 전개 상태 평면도이다.
도 4b는 실시예 1의 동물용 하네스의 전방측 파트의 이면측의 전개 상태 평면도이다.
도 5a는 실시예 1의 동물용 하네스의 후방측 파트의 표면측의 전개 상태 평면도이다.
도 5b는 실시예 1의 동물용 하네스의 후방측 파트의 이면측의 전개 상태 평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의 다리 지지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동물용 하네스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 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먼저, 구성을 설명한다.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동물용 하네스(1)는, 네발 동물(여기서는, 개)에 동물용 휠체어(100)를 장착할 때에 사용하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 1의 동물용 하네스(1)의 구성을, "전체 구성", "전방측 파트의 상세 구성", "후방측 파트의 상세 구성"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a 및 도 1b는, 실시예 1의 동물용 하네스를 사용하여 개에 휠체어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 1a, 1B에 기초하여, 실시예 1의 동물용 하네스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실시예 1의 동물용 하네스(1)는, 도 1a,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네발 동물)(D)에 장착되고 나서 동물용 휠체어(100)(이하, "휠체어"라 한다)에 연결됨으로써, 개(D)에게 휠체어(100)를 장착하는 것이다.
여기서, 휠체어(100)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101, 102)과, 연결 프레임(103)과, 한 쌍의 기립 프레임(104, 105)을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수평 프레임(101, 102)은, 길이 방향이 개(D)의 전후 방향을 따른 상태에서, 개(D)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각 수평 프레임(101, 102)은, 텔레스코픽 기능을 갖고 있으며,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연결 프레임(103)은, 길이 방향이 개(D)의 가로 폭에 따른 상태에서, 한 쌍의 수평 프레임(101, 102)의 후단부끼리를 연결한다. 이 연결 프레임(103)은,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수평 프레임(101)에 연결된 단면 ㄷ자 형상의 외측 프레임(103a)과, 다른 쪽의 수평 프레임(102)에 연결된 단면 ㄷ자 형상의 내측 프레임(103b)을 갖고 있다. 그리고, 개방면을 전방을 향하게 한 외측 프레임(103a)의 내측에, 개방면을 전방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내측 프레임(103b)이 수용되고, 이 내측 프레임(103b)의 수용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연결 프레임(103)의 길이가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외측 프레임(103a)과 내측 프레임(103b)은, 나사(N) 및 도시하지 않은 너트에 의해 고정된다.
한 쌍의 기립 프레임(104, 105)은, 한 쌍의 수평 프레임(101, 102)에 각각 중간부가 고정됨과 함께, 하단부에 차륜(106)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기립 프레임(104, 105)에는,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구멍(107)이 형성되어 있고, 수평 프레임(101, 102)에 설치된 돌기부(도시하지 않음)가 다수의 구멍(107)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됨으로써, 기립 프레임(104, 105)의 높이 위치가 설정된다.
또한, 이 휠체어(100)의 각 수평 프레임(101, 102)에는, 각각 제1 접속부(108)와, 제2 접속부(109)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접속부(108)는, 제2 접속부(109)보다도 전방측, 즉 수평 프레임(101, 102)의 전단부 근방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접속부(109)는, 기립 프레임(104, 105)의 고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접속부(108)는, 동물용 하네스(1)에 설치된 제1 피접속부(13)가 연결되고, 동물용 하네스(1)를 휠체어(100)에 대하여 접속하는 부분이다. 실시예 1에서는, 제1 접속부(108)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08a)와, 보호지지부(108b)와, 캡부(108c)를 갖고 있다. 또한, 도 2a, 도 2b에서는, 한쪽의 수평 프레임(101)에 설치한 제1 접속부(108)만을 나타내지만, 다른 쪽의 수평 프레임(102)에 설치한 제1 접속부(108)도 동일한 구성이다.
본체부(108a)는, 수평 프레임(101)의 샤프트 본체(101a) 외측에 끼움 결합된 중공 원통체이며, 외표면에 제1 피접속부(13)의 각고리(13a)이 끼워지는 홈형상 오목부(108d)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홈형상 오목부(108d)는, 본체부(108a)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오목부이며, 샤프트 본체(101a)에 형성된 오목부(10lb)에 끼움 결합됨과 함께, 휠체어(100)의 내측에 면한다. 보호지지부(108b)는, 본체부(108a)의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C형 채널 부재이다. 이 보호지지부(108b)는, 잘린 곳(108e)에 면하는 일단부로부터 둘레 방향의 소정 영역에, 각고리(13a)에 삽입 가능한 축방향 길이로 설정된 보호지지편(108f)이 형성되어 있다. 캡부(108c)는, 샤프트 본체(101a)에 끼움 결합된 본체부(108a)의 선단에 끼워지고, 캡부(108c), 본체부(108a), 샤프트 본체(101a)를 관통하는 블라인드 리벳(R)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부터 고정된다.
그리고, 이 제1 접속부(108)에서는,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잘린 곳(108e)을 통하여 홈형상 오목부(108d)에 각고리(13a)를 끼운 후,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지지부(108b)를 회전시켜서 보호지지편(108f)을 각고리(13a)에 삽입한다. 이에 의해, 제1 접속부(108)에 제1 피접속부(13)가 접속된다.
또한, 이때, 제1 접속부(108)에 대하여, 제1 피접속부의 높이 위치는, 대략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설정된다.
제2 접속부(109)는, 동물용 하네스(1)에 설치된 제2 피접속부(23)가 연결되고, 동물용 하네스(1)를 휠체어(100)에 대하여 매다는 부분이다. 실시예 1에서는, 제2 접속부(109)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프레임(101)에 설치된 D고리(109a)과, D고리(109a)에 연결된 회전고리(109b)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 제2 접속부(109)에서는, 회전고리(109b)를 제2 피접속부(23)가 갖는 D고리(23a)에 접속하고, 이 회전고리(109b)에 대하여, D고리(23a)의 높이 위치를 낮은 높이로 설정함으로써, 제2 피접속부(23)를 매달 수 있다.
실시예 1의 동물용 하네스(1)는, 개(D)의 동체부에 장착됨과 함께 제1 피접속부(13)가 설치된 전방측 파트(10)와, 개(D)의 허리부에 장착됨과 함께 제2 피접속부(23)가 설치된 후방측 파트(2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개(D)의 동체부"란, 개(D) 앞발의 겨드랑이 밑으로부터 흉골 둘레 부분이다. 또한, "개(D)의 허리부"란, 개(D)의 고관절 둘레 및 둔부 주위 부분이다. 그리고, 전방측 파트(10)와 후방측 파트(20)는, 전방측 파트(10)가 갖는 연결부(15)와, 후방측 파트(20)가 갖는 피연결부(25)를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방측 파트의 상세 구성]
도 3은 실시예 1의 동물용 하네스를 개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실시예 1의 동물용 하네스의 전방측 파트의 전개 상태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4b에 기초하여, 실시예 1의 전방측 파트의 상세 구성을 설명한다.
실시예 1의 전방측 파트(1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체띠부(11)와, 동체띠 조정부(12)와, 제1 피접속부(13)와, 가슴 덮개부(14)와, 연결부(15)를 갖고 있다
동체띠부(11)는, 신축성이 거의 없는 천 부재에 의해 형성된 띠 형상의 부재이며, 동물용 하네스(1)의 사용 시에 개(D)의 동체부에 권회된다(도 3 참조). 여기서, 동체띠부(11)는, 통기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층(11a)과, 내마모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층(11b)을 겹친 2층 구조의 천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개(D)에게 장착했을 때, 제1층(11a)이 내측으로 되고, 제2층(11b)이 외측으로 된다.
또한, 이 동체띠부(11)는, 길이 방향 중앙부가 개(D)의 복부에 대향하고, 개(D)의 배면부측에서 길이 방향의 양단부가 결합되어 환형상으로 됨으로써 개(D)에게 장착된다(도 3 참조).
동체띠 조정부(12)는, 동체띠부(11)의 둘레 방향 길이를 조정하면서, 동체띠부(11)의 길이 방향 양단부를 결합 고정하는 부분이며, 여기에서는 동체띠부(11)에 설치된 면 파스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이 동체띠 조정부(12)는, 동체띠부(11)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 설치된 제1 파스너(12a)와, 동체띠부(11)의 길이 방향 타단부에 설치되고, 제1 파스너(12a)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 가능한 제2 파스너(12b)를 갖고 있다. 여기서, 제1 파스너(12a)는, 동체띠부(11)의 내측면(제1층(11a))에 꿰매 붙여져 있다(도 4b 참조). 한편, 제2 파스너(12b)는, 동체띠부(11)의 외측면(제2층(11b))에 꿰매 붙여져 있다(도4A 참조). 또한, 제2 파스너(12b)는, 동체띠부(1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파스너(12a)의 걸림 지지 위치를 동체띠부(11)의 길이 방향으로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피접속부(13)는, 가슴 덮개부(14)를 통하여 동체띠부(11)에 설치되고, 휠체어(100)에 설치된 제1 접속부(108)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부분이다. 여기에서는, 제1 피접속부(13)는, 보호지지부(108b)에 보호지지되는 각고리(13a)와, 각고리(13a)에 삽입되는 동시에 가슴 덮개부(14)의 길이 방향 단부에 꿰매 붙여 고정된 천편(13b)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각고리(13a)는,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해진다. 또한, 이 제1 피접속부(13)는, 동체띠부(11)의 표면에 한 쌍 설치되어 있고, 개(D)에게 장착하여 동체띠부(11)가 환상으로 되었을 때에 개(D)의 양측부에 하나씩 배치된다(도 3 참조).
가슴 덮개부(14)는, 동체띠부(1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개(D)의 흉부 전방면을 덮는 부분이다. 이 가슴 덮개부(14)는, 통기성을 갖는 천 부재에 의해 형성된 띠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제1 스냅 버튼(14a)과, 동체띠부(11)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제2 스냅 버튼(14b)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제1, 제2 스냅 버튼(14a, 14b)이 결합함으로써 동체띠부(11)에 설치된다. 또한, 제2 스냅 버튼(14b)은, 동체띠부(1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여기서는 3개씩) 설치되어 있고, 결합하는 제2 스냅 버튼(14b)을 다르게 함으로써, 제1 스냅 버튼(14a)의 결합 위치를 동체띠부(11)의 길이 방향으로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연결부(15)는, 동체띠부(11)에 형성되어 개(D)의 복부에 대향하는 동시에, 허리띠부(21)에 형성된 피연결부(25)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 연결부(15)는, 동체띠부(11)의 폭 방향 중앙부에서 개(D)의 후방으로 연장된 후방 연장부(15a)와, 이 후방 연장부(15a)의 내측면(제1층11a)에 꿰매 붙여진 면 파스너의 일측인 제3 파스너(15b)를 갖고 있다.
리드 결합부(16)는, 동체띠부(11)에 설치되고, 도시하지 않은 리드(끄는 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 리드 결합부(16)는, 양단이 동체띠부(11)의 외측면(제2층(11b))에 고정된 벨트(16a)와, 벨트(16a)가 삽입 관통된 링(16b)과, 벨트(16a)의 도중에 설치된 사이드 릴리스 버클(16c)과, 링(16b)째 벨트(16a)가 삽입 관통된 슬라이더(16d)를 갖고 있다.
이 리드 결합부(16)에서는, 사이드 릴리스 버클(16c)을 벗겨냄으로써 벨트(16a)가 두개로 분할되어 동체띠부(11)를 전개 가능하게 한다.
[후방측 파트의 상세 구성]
도 5a, 5B는 실시예 1의 동물용 하네스의 후방측 파트의 전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6은 실시예 1의 다리 지지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 5a 내지 도 6에 기초하여, 실시예 1의 후방측 파트의 상세 구성을 설명한다.
실시예 1의 후방측 파트(2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리띠부(21)와, 허리띠 조정부(22)와, 제2 피접속부(23)와, 한 쌍의 다리 지지부(24, 24)와, 피연결부(25)를 구비하고 있다.
허리띠부(21)는, 신축성이 거의 없는 천 부재에 의해 형성된 띠 형상 부재이며, 동물용 하네스(1)의 사용 시에 개(D)의 허리부에 권회된다. 여기서, 허리띠부(21)는, 통기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층(21a)과, 내마모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층(21b)을 겹친 2층 구조의 천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개(D)에게 장착했을 때, 제1층(21a)이 내측으로 되고, 제2층(21b)이 외측으로 된다. 또한, 이 허리띠부(21)는, 길이 방향 중앙부가 개(D)의 복부에 대향하고, 개(D)의 배면부측에서 길이 방향의 양단부가 결합되어 환형상으로 됨으로써 개(D)에게 장착된다. 또한, 길이 방향 중앙부에는, 개(D)의 전방측(헤드부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절결부(21c)가 형성되어 있다.
허리띠 조정부(22)는, 허리띠부(21)의 둘레 방향 길이를 조정하면서, 허리띠부(21)의 길이 방향 양단부를 결합 고정하는 부분이며, 여기에서는 허리띠부(21)에 설치된 면 파스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이 허리띠 조정부(2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리띠부(21)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 설치된 제4 파스너(22a)와, 허리띠부(21)의 길이 방향 타단부에 설치되고, 제4 파스너(22a)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 가능한 제5 파스너(22b)를 갖고 있다. 여기서, 제4 파스너(22a)는, 허리띠부(21)의 내측면(제1층(21a))에 꿰매 붙여져 있다. 한편, 제5 파스너(22b)는, 허리띠부(21)의 외측면(제2층(21b))에 꿰매 붙여져 있다. 또한, 제5 파스너(22b)는, 허리띠부(2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피접속부(23)는, 허리띠부(21)에 설치되고, 휠체어(100)에 설치된 제2 접속부(109)에 착탈 가능하게 매달리는 부분이다. 여기에서는, 제2 피접속부(23)는, 회전고리(109b)가 연결되는 D고리(23a)와, 이 D고리(23a)에 삽입 관통되는 동시에 허리띠부(21)의 외측면(제2층(21b))에 꿰매 붙여 고정되는 천편(23b)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D고리(23a)는,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해진다. 또한, 이 제2 피접속부(23)는, 허리띠부(21)의 표면에 한 쌍 설치되어 있고, 개(D)에게 장착하여 허리띠부(21)가 환상이 되었을 때에 개(D)의 양측부에 하나씩 배치된다(도 3 참조).
한 쌍의 다리 지지부(24, 24)는, 허리띠부(21)에 설치되고, 개(D)의 뒷발의 근원을 각각 지지하는 부분이다. 각 다리 지지부(24)는, 뒷발의 내측에 권회되는 끈부(24a)와, 끈부(24a)의 도중 위치를 허리띠부(21)에 고정하는 고정부(24b)와, 끈부(24a)의 도중 위치에 설치된 길이 조정부(24c)를 갖고 있다.
여기에서는, 끈부(24a)는, 통기성을 갖는 천 부재로 면 등의 탄성체를 감싸 끈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끈부(24a)는, 일단(24α)이 허리띠부(21)에 형성된 절결부(21c)의 주연에 고정되어 있다(도 5a 참조).
고정부(24b)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조정부(24c)인 이동고리에 설치된 천편(24d)과, 이 천편(24d)에 설치된 제1 스냅 버튼(24e)과, 허리띠부(21)에 설치된 제2 스냅 버튼(24f)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1, 제2 스냅 버튼(24e, 24f)이 결합함으로써, 끈부(24a)의 도중 위치가 허리띠부(21)에 고정된다. 또한, 제2 스냅 버튼(24f)은, 허리띠부(2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여기서는 3개) 설치되어 있고, 결합하는 제2 스냅 버튼(24f)를 다르게 함으로써, 제1 스냅 버튼(24e)의 결합 위치를 허리띠부(21)의 길이 방향으로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길이 조정부(24c)는, 끈부(24a)가 삽입 관통된 이동고리에 의해 구성되고, 이 끈부(24a)의 허리띠부(21)에 고정된 일단부(24α)로부터 고정부(24b)까지의 길이를 조정가능하게 하고 있다.
피연결부(25)는, 허리띠부(21)에 형성되어 개(D)의 복부에 대향하는 동시에, 동체띠부(11)에 형성된 연결부(15)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 피연결부(25)는, 허리띠부(21)의 폭 방향 중앙부에서 개(D)의 전방으로 연장된 전방 연장부(25a)와, 이 전방 연장부(25a)의 외측면(제2층(21b))에 꿰매 붙여진 면 파스너의 타측인 제6 파스너(25b)를 갖고 있다.
이어서,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실시예 1의 동물용 하네스(1)의 사용 수순을 설명하고, 계속해서, 실시예 1의 동물용 하네스의 작용을 "휠체어의 장착 용이화 작용"과, "기타 특징적 작용"으로 나누어서 설명한다.
[하네스 사용 순서]
실시예 1의 동물용 하네스(1)를 사용하여 개(D)에게 휠체어(100)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미리 동물용 하네스(1)를 개(D)에게 장착한다. 즉, 먼저, 전방측 파트(10)의 연결부(15)의 후방 연장부(15a)를, 후방측 파트(20)의 피연결부(25)의 전방 연장부(25a)에 겹치고, 제6 파스너(25b)에 제3 파스너(15b)를 부착하여 걸어 지지하고, 전방측 파트(10)와 후방측 파트(20)를 연결한다. 이때, 개(D)의 몸길이에 맞추어 피연결부(25)에 대한 연결부(15)의 결합 위치를 조정하고, 전방측 파트(10) 및 후방측 파트(20)가 적절한 위치에 장착되도록 한다. 또한, 전방측 파트(10)의 동체띠부(11) 및 후방측 파트(20)의 허리띠부(21)를 각각 전개 상태로 해 둔다. 또한, 리드 결합부(16)의 사이드 릴리스 버클(16c)은 벗겨 둔다. 또한, 가슴 덮개부(14)도, 전방측 파트(10)의 동체띠부(11)로부터 벗겨 둔다.
전방측 파트(10)와 후방측 파트(20)를 연결하면, 동물용 하네스(1)의 전후 방향을 확인한 후, 이 동물용 하네스(1)를 개(D)의 복부 하방으로 삽입한다. 이때, 연결부(15) 및 피연결부(25)가 복부에 대향하도록 조정한다. 그리고, 허리띠부(21)의 양단부를 개(D)의 배면부측으로 돌리고, 이 허리띠부(21)를 개(D)의 신체를 따르도록 권회한다. 그리고, 허리띠 조정부(22)의 제4 파스너(22a)를 제5 파스너(22b)에 부착하여 걸어 지지하고, 허리띠부(21)를 개(D)에게 장착한다. 또한, 이때, 개(D)의 국부가 허리띠부(21)에 형성된 절결부(21c)의 내측에 대향하도록, 허리띠부(21)의 둘레 방향 위치 및 전후 방향 위치를 조정한다.
허리띠부(21)를 장착했으면, 계속해서, 동체띠부(11)의 양단부를 개(D)의 배면부측으로 돌리고, 이 동체띠부(11)를 개(D)의 신체를 따르도록 권회한다. 그리고, 동체띠 조정부(12)의 제1 파스너(12a)를 제2 파스너(12b)에 부착하여 걸어 지지하고, 동체띠부(11)를 개(D)에게 장착한다. 그 후, 리드 결합부(16)의 사이드 릴리스 버클(16c)을 체결한다.
동체띠부(11) 및 허리띠부(21)를 장착했으면, 한 쌍의 다리 지지부(24, 24)의 각각의 끈부(24a)를, 개(D)의 뒷발 가랑이를 통과시키고, 개(D)의 후방측으로 인출하고 나서 고정부(24b)의 제1 스냅 버튼(24e)을, 허리띠부(21)에 설치된 제2 스냅 버튼(24f)에 결합한다.
이에 의해, 끈부(24a)의 도중 위치가 허리띠부(21)에 고정된다. 그 후, 길이 조정부(24c)로부터의 끈부(24a)의 인출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끈부(24a)의 일단부(24α)로부터 고정부(24b)까지의 길이를 조정하고, 끈부(24a)를 개(D)의 뒷발의 근원에 여유가 없게 접촉시킨다.
한 쌍의 끈부(24a)의 길이를 각각 조정하면, 가슴 덮개부(14)를 개(D)의 흉부 전방면에 갖다 대고,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제1 스냅 버튼(14a)을, 동체띠부(11)에 설치된 제2 스냅 버튼(14b)에 결합한다.
이에 의해, 동물용 하네스(1)가 개(D)에게 장착된다. 그리고, 동물용 하네스(1)를 개(D)에게 장착하면, 이 개(D)를 휠체어(100)의 내측, 즉, 한 쌍의 수평 프레임(101, 102)과 연결 프레임(103)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배치한다. 이때, 한 쌍의 수평 프레임(101, 102) 사이에 개(D)가 들어갈 수 있도록, 미리 연결 프레임(103)의 길이를 조정한다.
그리고, 개(D)를 휠체어(100)의 내측에 배치하면, 수평 프레임(101, 102)에 각각 설치된 제2 접속부(109)의 회전고리(109b)를, 허리띠부(21)의 양측부에 설치된 제2 피접속부(23)의 D고리(23a)에 결합한다. 이에 의해, 제2 피접속부(23)가 제2 접속부(109)에 의해 매달리고, 후방측 파트(20)가 장착된 개(D)의 뒷발이, 휠체어(100)에 매달린다. 또한, 이때, 개(D)의 뒷발이 적절한 높이로 매달리도록, 기립 프레임(104, 105)에 대한 한 쌍의 수평 프레임(101, 102)의 고정 높이를 조정한다. 이 수평 프레임(101, 102)의 높이 조정은, 제2 피접속부(23)를 제2 접속부(109)에 연결하기 전이어도 좋고, 제2 피접속부(23)를 매단 후라도 좋다.
그 후, 수평 프레임(101, 102)에 각각 설치된 제1 접속부(108)의 홈형상 오목부(108d)에, 전방측 파트(10)에 설치된 제1 피접속부(13)의 각고리(13a)를 끼워 넣는다. 그리고, 보호지지부(108b)를 회전시켜서 보호지지편(108f)을 각고리(13a)에 삽입하고, 이 각고리(13a)를 보호지지한다. 이에 의해, 제1 피접속부(13)와 제1 접속부(108)가 접속되고, 전방측 파트(10)가 장착된 개(D)에게 휠체어(100)가 고정된다.
또한, 이때, 제1 접속부(108)와 제1 피접속부(13)의 전후 위치 관계가 적절한 상태, 즉, 제1 접속부(108)와 제1 피접속부(13)가 개(D)의 폭 방향을 따라서 대향한 상태로 되도록, 한 쌍의 수평 프레임(101, 102)의 길이를 조정한다. 이 수평 프레임(101, 102)의 길이 조정은, 제1 피접속부(13)를 접속하기 전에 행한다.
[휠체어의 장착 용이화 작용]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는, 개(D)에게 휠체어(100)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미리 동물용 하네스(1)를 개(D)에게 장착하고, 그 후, 이 동물용 하네스(1)에 설치된 제1 피접속부(13) 및 제 2 피접속부(23)를 휠체어(100)에 연결한다. 즉, 이 실시예 1의 동물용 하네스(1)는, 휠체어(10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이 동물용 하네스(1)를 개(D)에게 장착할 때에, 동물용 하네스(1)의 움직임이 휠체어(100)에 의해 제한되는 일이 없고, 하네스 장착 시의 하네스 자유도가 저해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이 동물용 하네스(1)를 개(D)에게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피접속부(13) 및 제 2 피접속부(23)를 휠체어(100)에 설치한 제1 접속부(108) 및 제 2 접속부(109)에 각각 설치하면, 휠체어(100)에 대하여 동물용 하네스(1)를 연결할 수 있고, 개(D)에 대하여 휠체어(100)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는, 미리 동물용 하네스(1)를 개(D)에게 장착하고 나서, 이 동물용 하네스(1)를 휠체어(100)에 연결하고, 개(D)에게 휠체어(100)를 장착한다.
여기서, 개(D)는, 허리띠부(21)를 통하여 휠체어(100)에 매달리게 되므로, 개(D)의 허리부에 대하여 허리띠부(21)를 간극없이 장착할 필요가 있다. 한편, 허리띠부(21)를 과도하게 조이면 개(D)의 복부가 압박되어버린다. 즉, 허리띠부(21)는, 개(D)의 복부를 압박하지 않는 상태에서 간극없이 장착되어야 한다.
또한, 휠체어(100)는, 동체띠부(11)를 통하여 개(D)에 의해 끌어당겨진다.
즉, 휠체어(100)의 하중은, 동체띠부(11)로부터 개(D)에게 전달된다. 그로 인해, 개(D)와 동체띠부(11) 사이에 불필요한 간극이 발생되어 있으면, 휠체어(100)를 끌어당겼을 때에 동체띠부(11)가 어긋나버려, 휠체어(100)가 불안정해지고, 개(D)에게 불필요한 부담이 가해지는 것이 염려된다. 또한, 동체띠부(11)를 과도하게 조이면, 허리띠부(21)와 마찬가지로 개(D)의 복부가 압박되어버린다.
또한, 개(D)는, 견종이나 개체에 따라서 체격에 큰 차가 있다. 즉, 개(D)의 몸길이(흉부로부터 신장부까지의 길이)는, 개(D)에 따라서 크게 다르다. 그로 인해, 전방측 파트(10)와 후방측 파트(20)를 일체로 형성한 경우에서는, 동체띠부(11)나 허리띠부(21)를 적절한 위치에 장착할 수 없다. 한편, 전방측 파트(10)와 후방측 파트(20)가 상시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서는, 동물용 하네스(1)를 휠체어(100)에 연결했을 때에, 개(D)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어렵다라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대해, 실시예 1의 동물용 하네스(1)에서는, 전방측 파트(10)의 동체띠부(11)는, 동체띠 조정부(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동체띠 조정부(12)에서는, 제2 파스너(12b)가 동체띠부(11)의 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제1 파스너(12a)의 걸림 지지 위치를 동체띠부(11)의 길이 방향으로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파스너(12a)의 걸림 지지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동체띠부(11)의 둘레 방향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후방측 파트(20)의 허리띠부(21)에는, 제5 파스너(22b)가 허리띠부(21)의 긴 방향으로 연장된 허리띠 조정부(22)가 설치되고, 제4 파스너(22a)의 걸림 지지 위치를 허리띠부(2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조정함으로써, 허리띠부(21)의 둘레 방향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개(D)의 동체 둘레 치수에 따라, 동체띠부(11) 및 허리띠부(21)의 둘레 방향 길이를 적절한 길이로 설정할 수 있고, 동체띠부(11) 및 허리띠부(21)를 각각 적절한 상태로 장착할 수 있다.
특히, 이 실시예 1에서는, 동체띠 조정부(12) 및 허리띠 조정부(22)가, 모두 면 파스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동체띠부(11) 및 허리띠부(21)의 둘레 방향 길이를 조금씩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전방측 파트(10)와 후방측 파트(20)는, 연결부(15) 및 피연결부(25)를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피연결부(25)가 갖는 제6 파스너(25b)가 개(D)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부(15)의 제3 파스너(15b)의 걸림 지지 위치를 개(D)의 전후 방향을 따라서 조정함으로써, 개(D)의 몸길이 치수에 따라, 전방측 파트(10)와 후방측 파트(20)의 간격을 적절한 길이로 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방측 파트(10) 및 후방측 파트(20)를 적절한 상태로 장착할 수 있다.
특히, 이 실시예 1에서는, 연결부(15) 및 피연결부(25)가, 모두 면 파스너인 제3 파스너(15b)와 제6 파스너(25b)를 갖고 있다. 그로 인해, 전방측 파트(10)와 후방측 파트(20)의 간격을 조금씩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휠체어(100)를 개(D)에게 장착하기 전에, 미리 동물용 하네스(1)의 장착 상태를 적절한 상태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휠체어(100)를 개(D)에게 장착한 후에, 하네스 장착 상태를 조정할 필요가 없다. 이 결과, 개(D)에 대하여 휠체어(100)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5) 및 피연결부(25)는, 개(D)의 복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이 연결부(15) 및 피연결부(25)에 의해, 개(D)의 복부를 지지할 수 있고, 휠체어(100)를 안정적으로 개(D)에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동물용 하네스(1)에서는, 동체띠부(11)에 설치된 제2 스냅 버튼(14b)이, 동체띠부(1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3개)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가슴 덮개부(14)의 양단부에 설치된 제1 스냅 버튼(14a)이 결합하는 제2 스냅 버튼(14b)를 바꿈으로써, 가슴 덮개부(14)의 동체띠부(11)에 대한 설치 위치를, 환상으로 된 동체띠부(11)의 둘레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개(D)의 체격에 따라서 가슴 덮개부(14)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고, 동물용 하네스(1)를 적절한 상태로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 1에서는, 허리띠부(21)에 설치된 제2 스냅 버튼(24f)이, 허리띠부(2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3개)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다리 지지부(24)의 고정부(24b)가 갖는 제1 스냅 버튼(24e)이 결합하는 제2 스냅 버튼(24f)를 바꿈으로써, 다리 지지부(24)의 끈부(24a)의 허리띠부(21)에 대한 설치 위치를, 환상으로 된 허리띠부(21)의 둘레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개(D)의 체격에 따라서 다리 지지부(24)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고, 동물용 하네스(1)를 적절한 상태로 장착할 수 있다.
특히, 이 실시예 1에서는, 다리 지지부(24)가, 일단(24α)이 허리띠부(21)에 고정된 끈부(24a)와, 끈부(24a)의 도중 위치를 허리띠부(21)에 고정하는 고정부(24b)와, 끈부(24a)의 일단부(24α)로부터 고정부(24b)까지의 길이를 조정하는 길이 조정부(24c)를 갖고 있다.
그로 인해,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24b)를 허리띠부(21)에 고정하고, 끈부(24a)를 개(D)의 뒷발에 권회한 후에 끈부(24a)의 일단부(24α)로부터 고정부(24b)까지의 길이를 조정하고, 끈부(24a)를 개(D)의 뒷발의 근원에 여유없이 접촉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개(D)가 후방측 파트(20)의 장착 도중에 움직인 경우라도, 끈부(24a)가 뒷발에서 벗겨지기 어렵고, 빠르게 다리 지지부(24)의 장착을 행할 수 있다.
[기타 특징적 작용]
실시예 1의 동물용 하네스(1)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체띠부(11)에, 착탈 가능하게 리드(끄는 줄)가 결합되는 리드 결합부(16)가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휠체어(100)를 장착한 개(D)에게 리드를 설치할 때, 동물용 하네스(1)와는 별도로 목걸이나 동체띠 등을 장착할 필요가 없다. 또한, 리드 결합부(16)가 동체띠부(11)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개(D)의 목에 부담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 1의 동물용 하네스(1)는, 동체띠부(11)에 한 쌍의 제1 피접속부(13)가 설치되고, 허리띠부(21)에 한 쌍의 제2 피접속부(23)가 설치되어 있고, 휠체어(100)에 대하여 4점 지지에 의해 개(D)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동체띠부(11) 및 허리띠부(21)에 의해 개(D)를 지지하므로, 목걸이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큰 면적으로 개(D)의 몸을 지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동물용 하네스(1)와 개(D)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을 적게 하여 개(D)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어서, 효과를 설명한다.
실시예 1의 동물용 하네스(1)에 있어서는, 하기에 열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네발 동물(개(D))에 동물용 휠체어(100)를 장착할 때에 사용하는 동물용 하네스(1)이며, 상기 네발 동물(개(D))의 동체부에 권회되는 동체띠부(11)와, 상기 동체띠부(11)에 설치되어 상기 동체띠부(11)의 둘레 방향 길이를 조정하는 동체띠 조정부(12)와, 상기 동물용 휠체어(100)에 설치된 제1 접속부(108)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1 피접속부(13)와, 상기 동체띠부(11)에 설치되어 상기 네발 동물(개(D))의 흉부 전방면을 덮는 가슴 덮개부(14)와, 상기 동체띠부(11)에 형성되어 상기 네발 동물(개(D))의 복부에 대향하는 연결부(15)를 갖는 전방측 파트(10)와, 상기 네발 동물(개(D))의 허리부에 권회되는 허리띠부(21)와, 상기 허리띠부(21)에 설치되어 상기 허리띠부(21)의 둘레 방향 길이를 조정하는 허리띠 조정부(22)와, 상기 동물용 휠체어(100)에 설치된 제2 접속부(109)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2 피접속부(23)와, 상기 허리띠부(21)에 설치되어 상기 네발 동물(개(D))의 뒷발의 근원을 지지하는 한 쌍의 다리 지지부(24, 24)와, 상기 허리띠부(21)에 형성되어 상기 네발 동물(개(D))의 복부에 대향하는 동시에 상기 연결부(15)에 대하여 전후 방향의 연결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연결되는 피연결부(25)를 갖는 후방측 파트(20)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네발 동물인 개(D)에 대하여 동물용 휠체어(100)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2) 상기 가슴 덮개부(14)의 상기 동체띠부(11)에 대한 설치 위치는, 상기 동체띠부(11)의 둘레 방향으로 변경 가능한 구성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1)의 효과 외에, 개(D)의 체격에 따라서 가슴 덮개부(14)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고, 동물용 하네스(1)를 적절한 상태로 장착할 수 있다.
(3) 상기 다리 지지부(24)의 상기 허리띠부(21)에 대한 설치 위치는, 상기 허리띠부(21)의 둘레 방향으로 변경 가능한 구성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1) 또는 (2)의 효과 외에, 개(D)의 체격에 따라서 다리 지지부(24)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고, 동물용 하네스(1)를 적절한 상태로 장착할 수 있다.
(4) 상기 다리 지지부(24)는, 일단(24α)이 상기 허리띠부(21)에 고정됨과 함께 상기 뒷발에 권회되는 끈부(24a)와, 상기 끈부(24a)의 도중 위치를 상기 허리띠부(21)에 고정하는 고정부(24b)와, 상기 끈부(24a)의 도중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끈부(24a)의 일단부(24α)로부터 상기 고정부(24b)까지의 길이를 조정하는 길이 조정부(24c)를 갖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효과 외에, 끈부(24a)를 개(D)의 뒷발에 권회한 후에 끈부(24a)의 일단부(24α)로부터 고정부(24b)까지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고, 개(D)가 후방측 파트(20)의 장착 도중에 움직여도, 빠르게 다리 지지부(24)의 장착을 행할 수 있다.
(5) 상기 동체띠부(11)는, 착탈 가능하게 리드가 결합되는 리드 결합부(16)를 갖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효과 외에, 휠체어(100)를 장착한 개(D)에게 리드를 설치할 때, 동물용 하네스(1)와는 별도로 목걸이나 동체띠 등을 장착할 필요가 없다.
이상, 본 발명의 동물용 하네스를 실시예 1에 기초하여 설명해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관한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설계의 변경이나 추가 등은 허용된다.
실시예 1에서는, 동체띠 조정부(12) 및 허리띠 조정부(22)를 면 파스너에 의해 구성함과 함께, 연결부(15) 및 피연결부(25)가 면 파스너를 갖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동체띠부(11)나 허리띠부(21)의 둘레 방향 길이나, 전방측 파트(10)와 후방측 파트(20)와 간격 치수를 조정하면서 결합할 수 있으면 된다. 그로 인해, 예를 들어 암형 또는 수형 중 한쪽을 복수 설치한 스냅 버튼이나, 갈고리단추, 혹은 벨트와 버클로 이루어지는 연결 구조 등에 의해 동체띠 조정부(12) 등을 구성해도 좋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가슴 덮개부(14)를 동체띠부(11)에 설치하는 구성으로서, 제1, 제2 스냅 버튼(14a, 14b)을 결합시키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면 파스너나 갈고리단추, 스프링 호크 등을 통하여, 동체띠부(11)에 가슴 덮개부(14)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한 쌍의 다리 지지부(24, 24)를 허리띠부(21)에 고정하는 구조에 대해서도, 면 파스너나 갈고리단추, 스프링 호크 등을 통하여, 허리띠부(21)에 다리 지지부(24, 24)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리드 결합부(16)에 대해서는, 이 동물용 하네스(1)에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에는, 개(D)에게 동물용 하네스(1)와는 별도로 목걸이나 동체띠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동물용 하네스(1)를 2륜 동물용 휠체어(100)에 적용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후 좌우로 4개의 차륜을 배치한 4륜 동물용 휠체어나, 그 이상의 수의 차륜을 갖는 다륜 휠체어라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피접속부(13)나 제2 피접속부(23)의 수에 대해서도, 적절히 증가시켜도 좋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휠체어(100)에 설치된 제1 접속부(108)에 대하여, 제1 피접속부(13)의 높이 위치를 대략 동일한 높이로 설정하고, 휠체어(100)에 설치된 제2 접속부(109)에 대하여, 제2 피접속부(23)의 높이 위치를 낮은 높이로 설정하고, 제2 접속부(109)에 의해 제2 피접속부(23)를 매달아 지지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특히 4륜 이상의 다륜 휠체어에 이 동물용 하네스(1)를 적용하는 경우에서는, 제1 접속부(108)에 대하여, 제1 피접속부(13)의 높이 위치를 낮은 높이로 설정하고, 제1 접속부(108)에 의해 제1 피접속부(13)를 매달아 지지해도 좋다.
즉, 제1 피접속부(13) 및 제 2 피접속부(23)는, 모두 휠체어(100)에 대하여 접속하기만 해도 좋고, 매달아 지지되어도 좋다.
그리고, 제1 피접속부(13) 및 제 2 피접속부(23)를 이용하여, 동물용 하네스(1)에 손잡이가 설치된 보행 보조용 하네스를 설치하면, 개(D)의 몸을 가방과 같이 들어 올려서 보행을 돕거나, 일어설 때의 보조를 행하거나 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네발 동물로서 개(D)에게 동물용 하네스(1)를 장착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양이나 돼지 등의 네발 보행 동물이라면 사용할 수 있다.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7년 2월 9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17-21850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모든 개시는 완전히 본 명세서에서 참조에 의해 편입된다.

Claims (5)

  1. 네발 동물에 동물용 휠체어를 장착할 때에 사용하는 동물용 하네스이며,
    상기 네발 동물의 동체부에 장착됨과 함께 상기 동물용 휠체어에 설치된 제1 접속부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1 피접속부가 설치된 전방측 파트와, 상기 네발 동물의 허리부에 장착됨과 함께 상기 동물용 휠체어에 설치된 제2 접속부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2 피접속부가 설치된 후방측 파트를 구비하고,
    상기 전방측 파트는, 상기 네발 동물의 동체부에 권회되는 동체띠부와, 상기 동체띠부에 설치되어 상기 동체띠부의 둘레 방향의 길이를 조정하는 동체띠 조정부와, 상기 동체띠부에 설치되어 상기 네발 동물의 흉부 전방면을 덮는 가슴 덮개부와, 상기 동체띠부에 형성되어 상기 네발 동물의 복부에 대향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후방측 파트는, 상기 네발 동물의 허리부에 권회되는 허리띠부와, 상기 허리띠부에 설치되어 상기 허리띠부의 둘레 방향의 길이를 조정하는 허리띠 조정부와, 상기 허리띠부에 설치되어 상기 네발 동물의 뒷발 근원을 지지하는 한 쌍의 다리 지지부와, 상기 허리띠부에 형성되어 상기 네발 동물의 복부에 대향하는 피연결부를 갖고,
    상기 전방측 파트와 상기 후방측 파트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피연결부를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에 대한 상기 피연결부의 연결 위치는, 전후 방향으로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하네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 덮개부의 상기 동체띠부에 대한 설치 위치는, 상기 동체띠부의 둘레 방향으로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하네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지지부의 상기 허리띠부에 대한 설치 위치는, 상기 허리띠부의 둘레 방향으로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하네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지지부는, 일단부가 상기 허리띠부에 고정됨과 함께 상기 뒷발에 권회되는 끈부와, 상기 끈부의 도중 위치를 상기 허리띠부에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끈부의 도중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끈부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고정부까지의 길이를 조정하는 길이 조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하네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띠부는, 착탈 가능하게 리드가 결합되는 리드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하네스.
KR1020197021507A 2017-02-09 2018-01-17 동물용 하네스 KR1024958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21850A JP6715195B2 (ja) 2017-02-09 2017-02-09 動物用ハーネス
JPJP-P-2017-021850 2017-02-09
PCT/JP2018/001210 WO2018147022A1 (ja) 2017-02-09 2018-01-17 動物用ハーネ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030A KR20190111030A (ko) 2019-10-01
KR102495814B1 true KR102495814B1 (ko) 2023-02-03

Family

ID=63108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507A KR102495814B1 (ko) 2017-02-09 2018-01-17 동물용 하네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15195B2 (ko)
KR (1) KR102495814B1 (ko)
CN (1) CN110337243B (ko)
WO (1) WO20181470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65087B1 (en) * 2017-01-31 2020-09-08 Loma Linda Academy Walker for animals
JP6715195B2 (ja) * 2017-02-09 2020-07-01 株式会社ピカコーポレイション 動物用ハーネス
JP2022532829A (ja) * 2019-03-13 2022-07-20 ハンディキャップド ペッ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ペット移動用荷台アセンブリ
EP4356725A1 (en) * 2022-06-20 2024-04-24 Sunteqnos Corporation Four-legged animal wheelchai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3775B2 (ja) 1990-01-26 2001-06-04 東芝電池株式会社 ペースト式ニッケル正極及びアルカリ蓄電池
JP2008035708A (ja) * 2006-08-01 2008-02-21 Nobuyuki Shimaoka ペット用車椅子
JP5385584B2 (ja) 2007-10-18 2014-01-08 ウィールズ フォア ペッツ エルエルシー ペット用調節可能車椅子
JP2015070816A (ja) 2013-10-04 2015-04-16 康彰 大島 四足動物用車椅子
JP2018126097A (ja) 2017-02-09 2018-08-16 株式会社ピカコーポレイション 動物用ハーネス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0022A (ja) * 2003-06-10 2005-01-06 Royal Kogyo Kk ペット用歩行補助具
JP4335230B2 (ja) 2006-05-23 2009-09-30 裕司 安藤 犬用歩行補助具
CN101371809A (zh) * 2007-08-23 2009-02-25 朱晏墨 一种后躯残疾宠物助步轮椅车
JP3173775U (ja) * 2011-09-26 2012-02-23 守雄 冨田 ペット用のアクセサリー取付け具
GB201210713D0 (en) * 2012-06-16 2012-08-01 Wizz Mobility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ttendant propelled vehicles
CN204394823U (zh) * 2014-12-18 2015-06-17 上海第二工业大学 一种宠物犬轮椅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3775B2 (ja) 1990-01-26 2001-06-04 東芝電池株式会社 ペースト式ニッケル正極及びアルカリ蓄電池
JP2008035708A (ja) * 2006-08-01 2008-02-21 Nobuyuki Shimaoka ペット用車椅子
JP5385584B2 (ja) 2007-10-18 2014-01-08 ウィールズ フォア ペッツ エルエルシー ペット用調節可能車椅子
JP2015070816A (ja) 2013-10-04 2015-04-16 康彰 大島 四足動物用車椅子
JP2018126097A (ja) 2017-02-09 2018-08-16 株式会社ピカコーポレイション 動物用ハーネ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26097A (ja) 2018-08-16
JP6715195B2 (ja) 2020-07-01
CN110337243A (zh) 2019-10-15
KR20190111030A (ko) 2019-10-01
WO2018147022A1 (ja) 2018-08-16
CN110337243B (zh) 202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5814B1 (ko) 동물용 하네스
US8424495B2 (en) Cover assembly for protecting a dressing on a dog's leg
US6192835B1 (en) Hands-free pet leash system
JP5456798B2 (ja) 安全ハーネス
JP2008220332A (ja) ペット用胴輪
US8534233B1 (en) Hands-free pet leash
JP3192413U (ja) ペット歩行補助ハーネス
JP4153554B1 (ja) 犬の四肢カバー
US8584622B2 (en) Safety belt for riding double on two-wheeled vehicle
JP4467514B2 (ja) ペットの前足用ハーネス
JP3215269U (ja) ペットの歩行補助ハーネス
US20020062510A1 (en) Garment with integral safety device
JP6496951B2 (ja) ハーネス型安全帯
US20190116990A1 (en) Child carrier
KR101716580B1 (ko) 유아용 포대기
WO2017178891A2 (en) Restraint assembly for an animal
JP3239361U (ja) 犬の歩行介助用ハーネス
JP6974118B2 (ja) 装着具
JP4722723B2 (ja) 人体吊り上げ用装着具
JP2008029302A (ja) 愛玩動物用サポーター付きカート
JP6043003B1 (ja) 犬の介護用胴輪
JP3192355U (ja) ペット歩行補助ハーネス
TWM598043U (zh) 寵物接便裝置
KR20180062711A (ko) 유아용 캐리어 및 유아용 캐리어 사용 방법
JP3936383B1 (ja) 愛玩動物歩行介助用サポーター付き胴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