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861B1 - 표시 시스템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시스템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861B1
KR102492861B1 KR1020177014094A KR20177014094A KR102492861B1 KR 102492861 B1 KR102492861 B1 KR 102492861B1 KR 1020177014094 A KR1020177014094 A KR 1020177014094A KR 20177014094 A KR20177014094 A KR 20177014094A KR 102492861 B1 KR102492861 B1 KR 102492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panel
area
display area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4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2548A (ko
Inventor
순페이 야마자키
유이치 야나기사와
다이키 나카무라
노조무 수기사와
히사오 이케다
나오유키 센다
켄수케 요시주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ublication of KR20170082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enclosures rotating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or with ball-joint coupling, e.g. PDA with display enclosure orientation changeable between portrait and landscape by rotation with respect to a coplanar body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15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with means for detecting differences between the image stored in the host and the images displayed on the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3Display panel composed of stacked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65Improved aperture ratio, e.g. by size reduction of the pixel circuit, e.g. for improving the pixel density or the maximum displayable luminance or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42Handling or displaying different aspect ratios, or changing the aspect rati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57Improvement of perceived resolution by subpixel render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대형화에 적합한 표시 시스템 또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표시 시스템은 제 1 표시 패널, 제 2 표시 패널, 검출 수단, 및 보정 수단을 포함한다. 제 1 표시 패널은 제 1 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제 2 표시 패널은 제 2 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제 1 표시 영역과 제 2 표시 영역은 이들이 중첩되는 제 1 영역을 포함한다. 검출 수단은 제 1 영역의 크기를 검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보정 수단은 제 1 영역의 크기의 변화에 따라, 제 1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화상을 보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Description

표시 시스템 및 표시 장치{DISPLAY SYSTEM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일 형태는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술한 기술 분야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 등에 개시(開示)된 발명의 일 형태의 기술 분야는 물건, 방법, 또는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공정(process), 기계(machine), 제품(manufacture), 또는 조성물(composition of matter)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일 형태의 기술 분야의 예에는 반도체 장치, 표시 장치, 발광 장치, 조명 장치, 축전 장치, 기억 장치, 이들 중 어느 것의 구동 방법, 및 이들 중 어느 것의 제작 방법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 등에서 표시 시스템이란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전반을 가리킨다. 표시 시스템은 표시 장치에 더하여, 트랜지스터 등의 반도체 장치, 반도체 장치, 연산 장치, 기억 장치, 및 촬상 장치 등을 포함하여도 좋다.
근년에 들어, 더 큰 표시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각선 40인치 이상의 표시 패널을 포함한 텔레비전 수상기가 일반 가정에 보급되면서, 더 대형화될 양상을 띠고 있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및 PID(public information display)를 들 수 있다. 더 큰 디지털 사이니지 및 PID 등은 보다 대량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특히 광고 등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더 눈에 띄기 때문에, 광고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표시 장치는 광범위한 응용이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고, 표시 장치의 형태는 다양화되고 있다.
표시 장치의 예에는 대표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electroluminescent) 소자 또는 LED(light-emitting diode) 등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및 전기 영동 방식 등에 의하여 표시를 하는 전자 종이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유기 EL 소자의 기본적인 구조에서는 한 쌍의 전극 사이에 발광성 유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층이 제공된다. 이 소자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발광성 유기 화합물은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EL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 등에 필요한 백 라이트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얇고, 가볍고, 콘트라스트가 높으며 소비전력이 낮은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유기 EL 소자와, 스위칭 소자로서 기능하는 트랜지스터가 필름 기판 위에 제공된 플렉시블 액티브 매트릭스 발광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3-174153호
본 발명의 일 형태의 과제는 대형화에 적합한 표시 장치 또는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다른 과제는 표시의 불균일이 억제된 표시 장치 또는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과제는 공간 절약에 적합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과제는 수납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과제는 신뢰성이 높은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다른 과제는 신규 표시 장치, 신규 발광 장치, 신규 조명 장치, 또는 신규 전자 기기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들 과제의 기재는 다른 과제의 존재를 방해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 모든 과제를 해결할 필요는 없다. 상술한 것 외의 과제는 명세서 등의 기재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제 1 표시 패널, 제 2 표시 패널, 검출 수단, 및 보정 수단을 포함하는 표시 시스템이다. 제 1 표시 패널은 제 1 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제 2 표시 패널은 제 2 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제 1 표시 영역과 제 2 표시 영역은 이들이 중첩되는 제 1 영역을 포함한다. 검출 수단은 제 1 영역의 크기를 검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보정 수단은 제 1 영역의 크기의 변화에 따라, 제 1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화상을 보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보정 수단은 제 1 영역의 크기의 변화에 따라, 제 1 표시 영역 및 제 2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화상을 보정하는 기능을 가져도 좋다.
제 2 표시 패널은 제 2 표시 영역에 인접한 제 1 투명부를 포함하여도 좋다.
제 1 표시 패널 및 제 2 표시 패널은 가요성을 가져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는 검출 수단이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시스템이다. 광전 변환 소자는 제 1 표시 패널의 제 1 표시 영역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는 제 1 표시 패널이 보조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보정 수단이 제 1 영역의 크기의 변화에 따라, 보조 표시 영역의 일부로 하여금 화상을 표시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표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대형화에 적합한 표시 장치 또는 표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표시의 불균일이 억제된 표시 장치 또는 표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공간 절약에 적합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수납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신뢰성이 높은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신규 표시 장치(표시 패널) 또는 신규 전자 기기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들 효과의 기재는 다른 효과의 존재를 방해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반드시 상술한 모든 효과를 실현할 필요는 없다. 다른 효과는 명세서, 도면, 및 청구항 등의 기재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추출될 수 있다.
도 1의 (A) 내지 (C)는 일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의 구조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A) 및 (B)는 일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의 구조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A) 및 (B)는 일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의 구조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A) 내지 (D)는 일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의 응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A) 및 (B)는 일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의 응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A) 내지 (D)는 일 실시형태의 표시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의 (A1), (A2), (B1), (B2), (C1), 및 (C2)는 일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의 (A1), (A2), (B1), (B2), (C1), 및 (C2)는 일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의 (A) 및 (B)는 일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의 (A) 내지 (F)는 일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의 (A) 및 (B)는 일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의 (A) 내지 (C)는 일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의 (A) 및 (B)는 일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의 (A) 내지 (D)는 일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의 (A) 내지 (D)는 일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의 (A) 내지 (C)는 일 실시형태의 표시 패널을 도시한 것이다.
도 17의 (A) 내지 (C)는 일 실시형태의 표시 패널을 도시한 것이다.
도 18의 (A) 내지 (C)의 각각은 일 실시형태의 표시 패널들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의 (A) 및 (B)는 일 실시형태의 표시 패널을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일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의 (A) 내지 (C)는 일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을 도시한 것이다.
도 22의 (A) 및 (B)는 일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을 도시한 것이다.
도 23의 (A) 내지 (C)는 일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을 도시한 것이다.
도 24의 (A) 내지 (C)는 일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을 도시한 것이다.
도 25의 (A) 내지 (D)는 일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을 도시한 것이다.
도 26의 (A) 내지 (D)는 일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을 도시한 것이다.
도 27의 (A) 내지 (C)는 일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을 도시한 것이다.
도 28의 (A) 내지 (F)는 일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을 도시한 것이다.
도 29는 일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을 도시한 것이다.
도 30은 일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을 도시한 것이다.
도 31의 (A) 내지 (F)는 전자 기기 및 조명 장치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2의 (A1) 내지 (I)는 전자 기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3의 (A) 및 (B)는 전자 기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4는 전자 기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하의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의 내용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발명의 구조에 있어서 같은 부분 또는 비슷한 기능을 가지는 부분은 다른 도면 간에서 같은 부호로 표시하고, 이러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비슷한 기능을 가지는 부분에는 같은 해칭 패턴을 적용하고, 그 부분을 특별히 부호로 표시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각 도면에서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층의 두께, 또는 영역은 명료화를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러한 스케일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 등에서 "제 1" 및 "제 2" 등의 서수사는 구성 요소 간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트랜지스터는 반도체 소자의 일종으로, 전류 또는 전압의 증폭, 혹은 도통 또는 비도통을 제어하는 스위칭 동작 등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트랜지스터는 IGFET(insulated-gate field effect transistor) 및 TFT(thin film transistor)를 포함한다.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구조예]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200)의 구조예를 나타낸 것이다. 표시 장치(200)는 복수의 표시 패널(100), 샤프트(201), 회전 기구(202), 및 베어링(203)을 포함한다.
복수의 표시 패널(100)의 각각은 플렉시블하다. 인접한 표시 패널들(100)은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표시 장치(200)는 2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하나는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표시 패널(100)이 샤프트(201)에 감겨져 있는 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표시 패널(100)이 샤프트(201)에 매달려 있는 형태이다. 도 1의 (B)에 나타낸 표시 장치(200)는 총 12개의 표시 패널(100)(세로 3개 및 가로 4개)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200)를 사용할 때에는 복수의 표시 패널(100)이 샤프트(201)에 매달린 형태를 선택함으로써, 큰 화면에 정지 화상 및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장치(2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복수의 표시 패널(100)이 샤프트(201)에 감겨진 형태를 선택함으로써, 소형으로 한다. 또한, 복수의 표시 패널(100)을 꺼내는 양을 조정함으로써, 표시되는 화상의 크기를 용도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큰 화면에 동영상을 투영할 수 있는 장치의 예에는, 백색의 스크린에 화상을 투영하는 프로젝터 등의 투영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젝터를 사용할 때는 프로젝터 자체에 더하여 스크린이 필요하다. 스크린에 큰 화상을 투영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터와 스크린의 거리를 수m(예를 들어, 2m 이상 5m 이하)로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투영 장치는 가정에서의 사용 또는 좁은 방에서의 사용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투영 장치 주위의 밝기가 높은 경우에는, 스크린에 의하여 반사되는 광의 영향으로, 투영되는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저하된다. 또한, 스크린과 프로젝터의 위치 관계에 따라서는 투영되는 화상의 왜곡이 생길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200)는 그 자체가 화상 또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어 공간 제한이 있는 가정 등에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200)는 화상 왜곡의 우려가 없고, 높은 밝기로 인한 콘트라스트의 저하가 거의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화상 또는 영상을 고품질로 투영 및 표시할 수 있다. 투영 장치에는 램프 등의 광원이 필요하지만, 표시 장치(200)에는 필요 없기 때문에,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고, 발열의 우려가 없고, 광원을 교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신뢰성이 높은 표시 장치(200)를 낮은 유지 비용으로 얻을 수 있다.
복수의 표시 패널(100) 각각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μm 이상 5mm 이하, 바람직하게는 20μm 이상 4m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0μm 이상 3mm 이하, 대표적으로는 40μm 이상 1mm 이하로 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두께를 얇게 할수록, 표시 패널(100)이 감겨진 형태에서의 표시 장치(200)의 크기가 작아진다. 한편, 두께를 지나치게 얇게 하면 샤프트(201)에 매달린 표시 패널(100)이 바람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기 쉬워지고, 또한 기계적인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이 바람에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플렉시블 보호 시트 등을 각 표시 패널(100)에 붙여, 각 표시 패널(100)이 총 0.5mm 이상 5mm 이하의 적당한 두께를 가지도록 한다.
표시 패널(100)을 매우 얇게 하거나, 표시 패널(100)에 플렉시블 부재를 사용하는 것 등에 의하여 표시 패널(100)의 무게를 매우 가볍게 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무게는 표시 면적 100cm2당 0.1g 이상 50g 이하, 바람직하게는 0.1g 이상 30g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1g 이상 10g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g 이상 5g 이하로 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무게는, 표시 패널(100) 자체(즉, 화상을 표시하는 최소한의 기능을 가지는 부분: 예를 들어 소자 등을 포함하는 한 쌍의 기판)의 무게를 나타낼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무게는, 시트 또는 프레임 등, 표시 패널(100)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부재의 무게, 표시 패널(100)에 접속되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배선, 및 커넥터 등의 무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량의 표시 패널(100)을 사용하면, 표시 장치(200)의 무게를 상술한 투영 장치의 스크린의 무게 이하로 할 수 있다.
각 표시 패널(100)은 표시 영역(101)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101)에는 화상이 표시될 수 있다. 각 표시 패널(100)은 표시 영역(101)의 윤곽을 따라 투명부(110)를 포함한다.
인접해 있고 서로 중첩하고 있는 2개의 표시 패널(100) 중 위쪽의 표시 패널(100)(즉, 표시면 측의 표시 패널(100))의 투명부(110)는 아래쪽의 표시 패널(100)의 표시 영역(101)과 중첩된다.
도 1의 (B)의 예에서는, 인접한 2개의(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의 양쪽) 표시 패널(100) 중 위쪽의 표시 패널(100)의 투명부(110)가 아래쪽의 표시 패널(100)의 투명부(110)의 일부와 중첩된다. 각 열에서 샤프트(201)에 가장 가까운 표시 패널(100)이 가장 위에 위치(표시 측에 가장 가까움)하고 있지만, 적층의 순서는 도 1의 (B) 등에 나타낸 예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2개의 표시 패널(100)의 중첩 부분에 있어서, 표시면 측과는 반대 측의 아래쪽 표시 패널(100)의 표시 영역(101)에 표시되는 화상은, 표시면 측의 위쪽 표시 패널(100)의 투명부(110)를 통하여 시인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표시 장치(200)는 하나의 화상을 복수의 표시 패널(100) 위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200)는 이음매 없이 인접한 표시 패널들(100)에 의하여, 크고 고품질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의 (B)의 파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은 표시 장치(200)의 표시 영역(103)에 대응한다.
표시 장치(200)에 복수의 비교적 소형의 표시 패널(100)을 사용하면, 고수율의 제작을 실현할 수 있다. 모든 표시 패널(100)의 종류가 같으면, 표시 패널(100)의 수 또는 배치를 바꿈으로써 표시 영역의 크기가 다른 표시 장치들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그 결과, 제품 종류의 추가, 그리고 고객의 수요에 따른 소량 생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작자가 표시 패널(100)의 유닛들을 따로따로 판매하여 사용자가 표시 영역의 크기 및 형상을 커스터마이즈할 수도 있다.
표시 장치(200)의 표시 영역(103)에서의 화소 수(화면 해상도라고도 함)는 표시 패널(100)의 표시 영역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구동되는 화소들의 합이다. 표시 영역(103)의 화소를 소정의 수로 하기 위하여, 인접한 2개의 표시 패널(100) 중 아래쪽의 표시 패널(100)의 표시 영역을, 위쪽의 표시 패널(100)의 표시 영역과 부분적으로 중첩하도록 배치하여도 좋다. 결과적으로, 이와 같이 표시 영역(103)의 화소 수가 사용자의 요구 및 규격을 충족하는 표시 장치(200)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는 복수의 표시 패널(100)을 사용하여 큰 표시 영역을 가지는 표시 장치(200)를 제공하지만, 도 1의 (A) 등에 나타낸 표시 패널(100)의 표시 영역(101)보다 큰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끊어짐 없는 하나의 표시 패널(100)을 사용하여도 좋다. 끊어짐 없는 표시 패널(100)은 이음매가 없는 화면 때문에, 예를 들어 감겨졌을 때에 직경의 크기가 균일하게 될 수 있다.
샤프트(201)는 표시 패널(100)의 하나의 단부를 고정할 수 있다. 도 1의 (B)에서는 3행 4열의 매트릭스로 총 12개의 표시 패널(100)을 배치하였고, 이 경우 샤프트(201) 측의 4개의 표시 패널(100) 각각의 하나의 단부는 샤프트(201)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201)는 각 표시 패널(1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FPC 등의 일부를 포함한다. 샤프트(201)에는 FPC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 또는 배선 등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샤프트(201)에는 각 표시 패널(100)에 신호 또는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샤프트(201)에는 안테나, 무선 수신기, 무선 송신기, 전력 공급선, 배터리, 연산 장치 또는 기억 장치 등의 IC가 실장된 인쇄 기판(회로 기판), 및 외부 접속 포트 등 중 하나 이상이 제공되어도 좋다.
샤프트(201)의 직경이 작을수록, 감겨진 표시 패널(100)의 직경도 작아질 수 있기 때문에, 표시 패널(100)을 소형으로 수납할 수 있다. 샤프트(201)의 직경은 표시 패널(100)의 허용되는 곡률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샤프트(201)의 직경은 예를 들어, 0.1mm 이상 50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5mm 이상 30m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mm 이상 20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mm 이상 10mm 이하로 할 수 있다. 샤프트(201)의 직경을 0.1mm 이상으로 하기만 하면, 표시 패널(100)의 무게로 샤프트(201)가 굽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직경 50mm 이하의 샤프트(201)로 하면, 표시 패널(100)을 수납하였을 때에 표시 장치(200)가 충분히 소형화된다.
회전 기구(202)는 샤프트(20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베어링(203)은 샤프트(201)를 고정할 수 있다. 도 1의 (A) 및 (B) 등에서는, 샤프트(201)의 하나의 단부가 회전 기구(202)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단부는 베어링(203)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203)은 샤프트(201)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가져도 좋고, 그 경우 베어링(203)은 회전 기구(202)와 동시에 움직인다.
회전 기구(202)에 의한 샤프트(201)의 회전량의 조정에 의하여, 표시 패널(100)을 꺼내는 양, 즉 표시 영역(103)에서 화상의 표시에 사용되는 부분의 길이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회전 기구(202)로서 예를 들어 모터 등, 기어 및 동력을 조합하여 샤프트(20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200)를 높은 벽 또는 천장에 탑재하는 경우에는, 회전 기구(202)에 적외선 수신기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리모컨 등을 사용하여 회전 기구(202)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는, 샤프트(201)는 수동으로 회전되어도 좋고, 예를 들어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기구(202)가 코드(211)를 가진다. 코드(211)를 조작하여 샤프트(201)를 회전시킴으로써 표시 패널(100)을 꺼내거나 말아 올릴 수 있다.
도 2의 (B)는 아래쪽 단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표시 패널(100)을 따라, 코드(213)를 가지는 막대기(212)를 배치한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회전 기구(202)는 복수의 표시 패널(100)을 꺼내는 양에 따라, 단계적으로 샤프트(201)의 회전이 멈추는 기구, 및 복수의 표시 패널(100)을 완전히 꺼낸 후에 코드(213)를 조작함으로써 복수의 표시 패널(100)을 말아 올릴 수 있도록 샤프트(201)를 회전시키는 기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막대기(212)는 꺼낸 복수의 표시 패널(100)이 휘는 것을 방지하는 추로 작용할 수 있다.
회전 기구(202)와 샤프트(201) 사이에는, 샤프트(201) 내의 FPC 등에 전력 및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배선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샤프트(201)의 회전에 기인하는 파손의 방지를 위하여, 배선의 비틀림에 대한 대책으로서, 파손을 피할 정도로 긴 배선 또는 미리 회전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비틀린 배선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기구(202)와 샤프트(201) 사이의 배선들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끊어지지 않는 기구를 그 접속부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수은 또는 갈륨 등의 액체 금속으로 형성된 회전 커넥터, 및 브러시상의 전극을 가지는 슬립 링을 사용할 수 있다. 회전 커넥터는 마찰에 기인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회전 기구(202)와 샤프트(201) 사이에서는, 신호 및 전력의 무선 전송을 채용하여도 좋고, 그 경우 배선이 불필요해지거나 또는 배선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신호 전송을 위하여 회전 기구(202) 및 샤프트(201)에 무선 송신기 및 무선 수신기를 실장하여도 좋다. 또는, 회전 기구(202)와 샤프트(201) 사이에, 비접촉 전력 전송을 위한 기구를 제공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배선의 파손 등의 문제가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회전 기구(202)로부터가 아니라 다른 장치로부터 샤프트(201)에 신호 및 전력을 공급하여도 좋다.
베어링(203)은 샤프트(201)에 탑재된 FPC 등에 신호 및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기구를 포함하여도 좋다.
회전 기구(202) 및 베어링(203)은 샤프트(201)에 신호 및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외에, 회전 기구(202) 및 베어링(203)에는 안테나, 무선 수신기, 무선 송신기, 전력 공급선, 배터리, 연산 장치 또는 기억 장치 등의 IC가 실장된 인쇄 기판, 및 외부 접속 포트 등 중 하나 이상이 제공되어도 좋다.
도 1의 (A) 및 (B)의 복수의 표시 패널(100)은 표시면 측이 외측이 되도록 샤프트(201)에 감겨져 있지만, 복수의 표시 패널(100)은 도 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영역(101)이 내측이 되도록 샤프트(201)에 감겨져도 좋고, 이로써, 수납 시에 표시 패널(100)의 표시면이 다른 부재와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3의 (A)는 복수의 표시 패널(100)을 꺼낸 상태의 표시 장치(200)의 뒤쪽(표시면 측과는 반대 측)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각 표시 패널(100)에는 FPC(104)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샤프트(201)로부터 떨어져 있는 표시 패널(1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FPC(104)는, 상기 표시 패널(100)보다 샤프트(201)에 가까운 다른 표시 패널(100)의 뒷면을 따라 배치되고, 샤프트(20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FPC(104)는 근접한 표시 패널(100)의 표시면과는 반대 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FPC(104)가 서로 중첩되도록, 각 FPC(104)의 형상 및 배치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PC들(104)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하면, 그 사이에서 노이즈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표시 장치(200)는 표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노이즈는 FPC(104)로부터, 상기 FPC(104)와 중첩되는 표시 패널(100)로 전달되는 경우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FPC(104)와 표시 패널(100)이 중첩되는 영역에, 도전성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의 뒷면 또는 FPC(104)의 표시 패널(100) 측의 면에 도전막을 형성하거나 또는 도전성을 가지는 필름을 부착한다. 또한, 상기 도전막의 표면 또는 도전성을 가지는 필름의 표면에 절연막을 형성하거나 또는 절연성을 가지는 필름을 부착하여 그들의 표면을 절연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FPC(104)와, FPC(104)와 중첩되는 표시 패널(100)은 그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서로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복수의 표시 패널(100)을 말아 올리거나 꺼내는 것에 의하여 FPC(104)가 당겨지거나 또는 비틀렸을 때에, FPC(104)의 접합 부분(압착부)에 가해지는 응력에 기인하는 전기적인 단절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FPC(104)와 표시 패널(100)은 테이프 등으로 접합하여도 좋고, 또는 각 면에 점성이 있는 시트를 제공하여도 좋다. 점성이 있는 시트에 실리콘 수지 등의 겔을 사용하면, FPC(104)와 표시 패널(100)의 상대적인 위치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고,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술한 노이즈의 영향은 시트가 전자기파를 흡수하는 기능을 가지는 경우에도 방지될 수 있다.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FPC(104) 및 표시 패널(100)의 뒷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복수의 표시 패널(100) 위에 플렉시블 보호 부재(105)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 부재(105)에 사용하는 재료의 예에는, 플라스틱, 금속, 합금, 종이, 고무, 및 천연 섬유 또는 합성 섬유의 직물이 포함된다. 또는 플렉시블하고 얇은 유리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보호 부재(105)에 색채 등을 이용하여 차광성을 부여하면, FPC(104) 등이 시각적으로 인식되기 어려워져 디자인성이 높아진다.
여기까지 구조예를 설명하였다.
[적용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사용한 적용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의 (A)는 실내의 벽(221)에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200)를 설치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A)에 나타낸 표시 장치(200)는 회전 기구(202)(여기서는 미도시)와 연동하는 코드(211)를 가진다. 표시 장치(200)의 표시 패널은 코드(211)를 사용하여 말아 올리거나 꺼낼 수 있다.
표시 장치(200)의 상부에는, 샤프트(201), 회전 기구(202), 및 베어링(203) 등(여기서는 미도시)을 수납하기 위한 커버(222)가 제공되어 있다.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장치(200)의 표시 패널을 말아서 커버(222) 내에 수납할 수 있다.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하지 않을 때는 표시 장치(200)를 말아서 커버(222)에 의하여 완전히 숨기도록 하면 보다 깔끔한 인테리어 디자인이 된다.
도 4의 (A) 및 (B)에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인 표시 장치(200)를 포함하는 테이블(230)도 나타내었다. 도 4의 (C) 및 (D)는 테이블(230)의 단면 개략도이다.
테이블(230)은 하우징(231) 내부에 표시 장치(200)를 포함한다. 하우징(231)의 상면에는 투명한 커버(232)가 제공되어 있다. 커버(232)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200)의 표시면이 평탄할 때에는 커버(232)를 통하여 표시면에 표시되는 화상을 볼 수 있다.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을 말아서 표시 장치(200)를 커버(232)에 의하여 덮여 있지 않은 부분에 수납하면, 테이블(230)을 통상의 테이블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200)를 사용한 휴대 표시 기기(240)를 도시한 것이다. 표시 기기(240)는 표시 장치(200), 하우징(241), 막대기(242), 프레임(243), 및 다리부(244)를 포함한다. 도 5의 (A)의 표시 기기(240)는 사용 시의 상태이고, 도 5의 (B)의 표시 기기(240)는 비사용 시의 상태이며 만 상태이다.
하우징(241)은 샤프트(210), 회전 기구(202), 및 베어링(203) 등(미도시)을 포함한다.
막대기(242)는 단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표시 패널(100)을 따라 제공되어 있다. 막대기(242)를 하우징(241)으로부터 위로 당겨서 표시 패널을 꺼낼 수 있다. 막대기(242)와 프레임(243)을 고정하여 표시 패널을 말아 올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하우징(241)과 프레임(243)은 서로 평행하게 고정되고, 90° 회전시킬 수 있다. 프레임(243)에는 접을 수 있는 다리부(244)가 실장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기기(240)를 소형으로 접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하지 않을 때는 휴대성이 높고 사용할 때는 대화면 표시가 가능해진다.
하우징(241)과 프레임(243)은 떼어낼 수 있어도 좋고, 예를 들어 표시 기기(240)를 사용할 때에는 하우징(241)을 프레임(243)에 고정하고, 표시 기기(24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이들을 서로 분리하여 케이스 등에 수납한다.
프레임(243) 및 다리부(244) 중 하나 또는 양쪽이 신축 가능하여도 좋다. 프레임(243)의 신축에 의하여, 표시 영역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표시 기기(240)를 더 소형으로 하여 수납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아래쪽에 배치된 하우징(241)으로부터 막대기(242)를 위로 당기고 있지만, 막대기(242)는 위쪽에 배치된 하우징(241)으로부터 아래로 당겨도 좋고, 또는 하우징(241)과 막대기(242)를 세로로 배치하고 막대기(242)를 옆으로 당겨도 좋다.
하우징(241)에는 배터리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써 옥외 또는 넓은 홀 등, 건물에서 전력을 얻을 수 없는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벽(221), 테이블(230), 또는 표시 기기(240) 등에 탑재되는 표시 장치(200)는 화상을 수신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표시면에 텔레비전을 표시할 수 있도록 텔레비전 방송 수신기(튜너)를 내장하여도 좋다. 기억 매체에 저장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DVD 등의 기억 매체의 재생 장치와 표시 장치(200)를 접속하기 위한 단자를 제공하여도 좋다.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 또는 화상 단자 등의 단자, 혹은 유선 또는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등을 사용하여 인터넷 상의 화상 또는 동영상을 표시 장치(200)에 표시하여도 좋다. 표시 장치(200)를 단자 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컴퓨터 또는 휴대 정보 단말기 등과 접속하여, 출력되는 화상을 표시 장치(200)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상술한 것이 적용예에 대한 설명이다.
표시를 할 수 있는 표시 패널(100)을 발광 패널로 대체함으로써, 표시 장치(200)를 조명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플렉시블 발광 패널로서는, 유기 EL 소자 등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적어도 일부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형태와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시스템의 구조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표시 시스템에는 실시형태 1에 기재된 표시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표시 장치에서, 타일 패턴으로 배치된 표시 패널의 복수의 표시 영역을, 하나의 표시 화면으로서 사용하여 큰 대화면을 제공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타일 패턴으로 배치되어 고정된 표시 패널들을 포함하는 큰 화면에 있어서, 보관 온도 및 습도의 변화는 타일상의 표시 패널의 팽창과 수축을 초래하고, 표시 패널에는 반복적으로 외력이 가해진다. 그 결과, 타일상의 표시 패널들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이하에 나타내는 구조예는, 표시 시스템에 포함되는 복수의 표시 패널의 상대적인 위치의 변화에 맞춰 화상을 보정하는 표시 시스템, 대형화에 적합한 표시 시스템, 표시의 불균일이 감소된 표시 시스템, 한눈에 보기 쉬운 전자 기기, 또는 휴대하기 쉬운 전자 기기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시스템은 제 1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표시 패널, 제 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 2 표시 패널, 검출 수단, 및 보정 수단을 포함한다. 제 1 표시 영역의 일부는 제 2 표시 영역과 중첩된다. 검출 수단은 제 1 표시 영역이 제 2 표시 영역과 중첩되는 제 1 영역의 크기를 검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보정 수단은 제 1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화상을 보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보정 수단은 제 1 영역의 크기의 변화에 따라, 제 1 및 제 2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화상을 보정하는 기능을 더 가져도 좋다.
도 6의 (A)는 표시 시스템(10)의 구조예의 블록도이다. 블록도에서의 화살표는 데이터 또는 신호가 전송되는 방향을 나타낸다.
도 6의 (A)의 표시 시스템(10)은 표시 패널(20a), 표시 패널(20b), 검출 수단(31), 및 보정 수단(32)을 포함한다.
먼저, 표시 시스템(10)에 포함되는 표시 장치(20)의 구조예에 대하여 도 7의 (A1), (A2), (B1), (B2), (C1), 및 (C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의 (A1), (A2), (B1), (B2), (C1), 및 (C2)는 표시 시스템(10)에 포함되는 표시 장치(20)의 상면 개략도이다. 표시 장치(20)는 표시 패널(20a 및 20b)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20a)은 표시 영역(21a)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20b)은 표시 영역(21b) 및 투명부(22b)를 포함한다. 투명부(22b)는 가시광을 투과시키는 영역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들(20a 및 20b)은 표시 패널(20b)에 투명부(22b)가 존재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패널들(20a 및 20b)이 같은 구조를 가지면, 즉 표시 패널(20a)도 표시 패널(20b)의 투명부와 비슷한 투명부를 포함하면, 표시 장치(20)의 양산성이 높아질 수 있다.
표시 영역들(21a 및 21b)의 각각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매트릭스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각 화소는 하나 이상의 표시 소자를 포함한다. 표시 소자로서는 예를 들어, 유기 EL 소자 등의 발광 소자 또는 액정 소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표시 영역들(21a 및 21b)의 각각은 가시광을 투과시키지 않는 영역도 포함한다.
표시 패널(20a)의 표시 영역(21a) 외의 영역에는, 예를 들어 표시 영역(21a)에 포함되는 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배선이 제공된다. 이에 더하여, 주사선 구동 회로 또는 신호선 구동 회로 등, 화소를 위한 구동 회로가 제공되어 있어도 좋다. 표시 패널(20b)의 표시 영역(21b) 및 투명부(22b) 외의 영역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7의 (A1), (A2), (B1), (B2), (C1), 및 (C2)에는 표시 패널(20a 및 20b)과 외부의 장치 등을 접속하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를 나타내지 않았다.
표시 패널(20a 및 20b)이 얇으면, 표시 영역들(21a 및 21b)의 이음매가 시각적으로 인식되기 어려워지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표시 패널(20a 및 20b)이 플렉시블하면, 표시 장치(20)를 말아서 휴대 가능하게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도 7의 (A1)은 표시 장치(20)의 표시 패널(20a 및 20b)의 초기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A2)는 이음매가 없는 하나의 표시 화상(15)을 표시 영역(21a 및 21b)에 표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표시 장치(20)는 도 7의 (A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음매가 없는 하나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시 영역들(21a 및 21b)에 각각 화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도 7의 (A2)의 파선은 표시 영역들(21a 및 21b)의 경계를 나타낸다.
도 7의 (A1)에서, 표시 패널(20a)은 표시 패널(20b)과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있다. 투명부(22b)는 표시 영역(21b)에 인접해 있고, 표시면 측에서 봤을 때 표시 영역들(21a 및 21b)이 사이에 틈이 없이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표시 장치(20)는 이음매가 없는 큰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영역(21a)은 영역(11)에서 표시 영역(21b)과 중첩된다.
다음에, 표시 시스템(10)의 각 구성 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말아서 수납한 표시 장치(20)를 도 7의 (B1)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펴면, 표시 장치(20)에 화살표의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진다. 표시 장치(20)를 잡았을 때에 마찬가지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다. 표시 장치에 반복적으로 외력이 가해짐으로써, 도 7의 (B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패널(20a 및 20b)의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그러나, 표시 장치(20)에 영역(11)이 있으면, 이러한 위치의 변화가 일어나도 표시 영역들(21a 및 21b) 사이에서의 틈의 발생을 피할 수 있다.
표시 시스템(10)은 표시 장치(20)에서의 표시 영역의 크기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31), 그리고 표시되는 화상을 상기 변화에 따라 보정하기 위한 보정 수단(32)을 더 포함한다. 바꿔 말하면 표시 장치(20)는 표시 시스템(10)에 의하여, 표시 장치(20)에서 표시 영역의 크기가 변화된 후에도 그 전과 비슷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시스템은 신뢰성이 높은 표시를 행할 수 있다. 표시 장치(20)의 보관 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의하여 표시 패널(20a 및 20b)의 위치가 변화되어도, 본 발명의 일 형태인 표시 장치(20)는 변화 전의 화상과 비슷하게 화상 표시를 행할 수 있다.
표시 영역(21a)에서 영역(11)과 중첩되는 부분을 비표시 상태로 하면, 표시 장치(20)의 소비전력의 저감으로 이어진다. 투명부(22b)에 의하여 가시광의 일부가 흡수 또는 반사되는 경우, 투명부(22b)와 중첩되는 표시 영역(21a)에 표시되는 화상이 어두워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투명부(22b)와 중첩되는 표시 영역(21a)의 휘도를 그 영역 주변보다 높게 하면, 표시 장치(20)는 표시의 불균일이 시각적으로 인식되기 어렵고 이음매가 없는 표시 화상(15)을 표시할 수 있다.
도 7의 (B1)은 표시 패널들(20a 및 20b)이, 도 7의 (A1)에 나타낸 상태에서 이들 패널의 인접 방향(즉, 도 7의 (B1)에서의 X축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의 표시 장치(20)의 상면 개략도이다. 도 7의 (A1)에서의 영역(11)은 도 7의 (B1)에서의 영역(11A)에 대응한다. 표시 영역(21a)과 중첩되는 표시 영역(21b)은 도 7의 (A1)보다 작다. 또한, 투명부(22b)와 중첩되는 표시 영역(21a)의 위치가 도 7의 (A1)에서의 위치에서 변화되어 있다.
검출 수단(31)(미도시)은 영역(11)의 크기의 변화를 검출한다. 보정 수단(32)(미도시)은 영역(11)의 크기의 변화에 따라, 표시 영역(21a 및/또는 21b)에 표시되는 화상을 보정한다.
표시 패널(20a 및 20b)의 위치가 도 7의 (A1)에서 도 7의 (B1)로 변화한 경우의 표시 보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의 (B1)에서, 표시 영역(21a)(즉, 영역(11))에서 표시 영역(21b)과 중첩되지 않는 부분은 발광부이다(즉, 영역(11A)을 제외한 영역(11)의 부분). 도 7의 (A1)에서 주변보다 밝게 한 표시 영역(21a)의 일부(즉, 도 7의 (A1)에서 투명부(22b)와 중첩되어 있는 부분)의 표시 휘도를, 그 주변의 표시 휘도와 같게 하고, 도 7의 (B1)에서 투명부(22b)와 중첩되어 있는 표시 영역(21a)의 일부의 표시 휘도를 그 주변보다 높게 한다. 그리고, 표시 영역(21a 및 21b)의 발광부의 전체 크기에 따라 표시 화상(15)의 크기 및 종횡비를 변경한다.
바꿔 말하면, 표시 영역(21a 및/또는 21b)에서의 발광부 및 비발광부의 변경, 발광부에서 표시 휘도를 변경하는 영역과 그 영역의 표시 휘도의 결정, 및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상의 크기 및 종횡비의 변경의 보정 내용이, 보정 수단(32)에 의하여 생성되는 신호에 함유된다.
보정 수단(32)이 상술한 보정 내용을 함유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신호를 표시 패널(20a 및 20b)로 전송함으로써, 표시 시스템(10)은 표시 패널(20a 및 20b)의 위치 관계의 변화에 상관없이 표시 장치(20)에 이음매가 없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도 7의 (B2) 참조). 도 7의 (B2)는 표시 장치(20)가 표시 화상(15)의 크기 및 종횡비를 변경한 표시 화상(15A)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C1)은 표시 패널들(20a 및 20b)이, 도 7의 (A1)에 나타낸 상태에서 이들 2개의 패널의 인접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즉, 도 7의 (C1)에서의 Y축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의 표시 장치(20)의 상면 개략도이다. 도 7의 (A1)에서의 영역(11)은 도 7의 (C1)에서의 영역(11B)에 대응한다. 표시 영역(21a)과 중첩되는 표시 영역(21b)은 도 7의 (A1)보다 작다. 또한, 도 7의 (A1)에서 동일 직선상에 있는 표시 영역(21a)의 변과 표시 영역(21b)의 변이 일치하고 있지 않다. 또한, 투명부(22b)와 중첩되는 표시 영역(21a)의 위치가 도 7의 (A1)에서의 위치에서 변화되어 있다.
검출 수단(31)은 영역(11)의 크기가 변화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보정 수단(32)은 영역(11)의 크기의 변화에 따라, 표시 영역(21a 및/또는 21b)에 표시되는 화상을 보정한다.
표시 패널(20a 및 20b)의 위치가 도 7의 (A1)에서 도 7의 (C1)로 변화한 경우의 표시 보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의 (C1)에서, 표시 영역(21a)(즉, 영역(11))에서 표시 영역(21b)과 중첩되지 않는 부분은 발광부이다(즉, 영역(11B)을 제외한 영역(11)의 부분). 도 7의 (A1)에서 주변보다 밝게 한 표시 영역(21a)의 일부(즉, 도 7의 (A1)에서 투명부(22b)와 중첩되어 있는 영역(21a)의 일부 중, 도 7의 (C1)에서 투명부(22b)와 중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표시 휘도를, 그 주변의 표시 휘도와 같게 하고, 도 7의 (B1)에서 투명부(22b)와 중첩되는 표시 영역(21a)의 일부의 표시 휘도를 그 주변보다 높게 한다. 그리고, 표시 영역(21a 및 21b)으로 형성된 표시 영역에서 가장 큰 직사각형을 포함하는 부분을 발광부로 간주하여, 발광부에 맞춰 표시 화상(15)의 크기 및 종횡비를 변경한다. 마지막으로, 직사각형의 부분을 제외한 표시 영역(21a 및 21b)을 비발광부로 간주한다.
보정 수단(32)이 상술한 보정 내용을 함유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신호를 표시 패널(20a 및 20b)로 전송함으로써, 표시 시스템(10)은 표시 패널(20a 및 20b)의 위치 관계의 변화에 상관없이 표시 장치(20)에 이음매가 없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도 7의 (C2) 참조). 도 7의 (C2)는 표시 장치(20)가 표시 화상(15)의 크기 및 종횡비를 변경한 표시 화상(15B)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에, 표시 시스템(10)의 구조예에 대하여 도 6의 (A) 내지 (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블록도에서 사각형 안의 구성 요소들은 적어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같은 하우징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6의 (A)는 표시 패널(20a 및 20b), 검출 수단(31), 및 보정 수단(32)이 상이한 하우징에 포함되어 있는 표시 시스템(10)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B)는 표시 패널들(20a 및 20b)이 같은 하우징에 수납되어 표시 장치(20)로서 기능하는 표시 시스템(10)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표시 패널들(20a 및 20b)을 상이한 하우징에 수납하여 표시 장치(20)로서 기능시켜도 좋다.
검출 수단(31)은 표시 패널(20a 및 20b)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취득하는 기능, 구체적으로는 도 7의 (A1) 등에 나타낸 영역(11)의 크기를 검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검출 수단(31)으로서는, 디지털 카메라,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 또는 이미지 스캐너 등의 촬상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표시 장치(20)에 표시되는 화상은 이러한 촬상 장치에 의하여 촬영될 수 있고, 위치 데이터로서 보정 수단(32)에 출력될 수 있다.
도 6의 (C)는 검출 수단이 표시 패널에 포함되는 예이다. 표시 패널에 포함되는 검출 수단(31a 및 31b)으로서는, 광전 변환 소자, 그리고 광전 변환 소자 및 이 광전 변환 소자를 구동시키는 촬상 화소 회로를 포함하는 촬상 화소를 사용할 수 있다.
표시 영역(21b)에 의하여 외광이 차단되기 때문에, 도 7의 (A1)에서, 표시 영역(21a)에서 표시 영역(21b)과 중첩되는 영역(11)에 포함되는 화소에는 외광이 들어가지 않고, 표시 영역(21a)에서 영역(11)을 제외한 영역의 화소에는 외광이 들어간다. 표시 영역(21a)에 포함되는 화소는 검출 수단(31a)으로서 기능하는 촬상 화소를 포함하며, 촬상 화소에 포함되는 광전 변환 소자에 의하여 외광을 검출함으로써 영역(11)의 크기의 변화를 높은 감도로 검출할 수 있다. 표시 영역(21a)이 투명부(22b)와 중첩되는 영역에서는, 표시 영역(21a)의 화소에 들어가는 외광의 일부가 투명부(22b)에 의하여 흡수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광전 변환 소자에 의하여 검출되는 외광의 강도에 따라 표시 영역(21a)의 화소의 표시 휘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촬상 화소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의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보정 수단(32)은 검출 수단(31)에 의하여 검출된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 위치 데이터의 변화에 따라 표시 패널(20a 및/또는 20b)의 표시를 보정하기 위한 신호(이하, 보정 신호라고도 함)를 생성하는 기능, 및 보정 신호를 표시 패널(20a 및/또는 20b)로 전송하는 기능을 가진다. 보정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로서는, GPU(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연산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컴퓨터에 의하여 상술한 보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 장치와, 이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를 사용하여도 좋다.
보정 수단(32)은 도 6의 (A) 내지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패널 및 검출 수단과는 독립해 있어도 좋고, 도 6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시스템(10) 내에서 표시 패널 및 검출 수단에 전기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보정 수단(32)은 배선을 통하여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의 수신과 신호의 전송이 가능하다.
[변형예 1]
이하에서 설명하는 표시 장치는 도 7의 (A1), (A2), (B1), (B2), (C1), 및 (C2)에 나타낸 표시 장치(20)와는 부분적으로 상이하다.
도 8의 (A1), (A2), (B1), (B2), (C1), 및 (C2)는 표시 시스템(10)에 포함되는 표시 장치(25)의 상면 개략도이다. 표시 장치(20)의 구성 요소와 비슷한 표시 장치(25)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표시 장치(20)의 구성 요소를 참조할 수 있다.
표시 장치(25)는 표시 패널(25a 및 25b)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25a)은 표시 영역(21a) 및 보조 표시 영역(23a)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25b)은 표시 영역(21b), 투명부(22b), 및 보조 표시 영역(23b)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25b)은 반드시 보조 표시 영역(23b)을 포함할 필요는 없다.
보조 표시 영역들(23a 및 23b)의 각각은 매트릭스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각 화소에는 하나 이상의 표시 소자가 제공되어 있다. 보조 표시 영역(23a 및 23b)은 표시 장치(25)의 초기 상태에서 화상을 표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검출 수단(31)은 영역(11)의 크기의 변화에 따라, 보조 표시 영역(23a 및/또는 23b)의 일부에 화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다.
보조 표시 영역은 표시 영역의 변에 인접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8의 (A1)에서, 보조 표시 영역(23b)은 표시 영역(21b)의 3개의 변에 인접하여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보조 표시 영역(23a)은 보조 표시 영역(23b)과 마찬가지로 표시 영역(21a)의 3개의 변에 인접하여 제공되어 있지만, 보조 표시 영역(23a)은 표시 영역(21a)을 둘러싸도록 제공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25a 및 25b)의 초기 위치에 있어서, 표시 영역(21a)에서 표시 영역(21b)과 중첩되는 부분(즉, 도 8의 (A1)에서의 영역(11))은 보조 표시 영역(23a)으로서 기능하고, 이에 따라 표시 장치(25)의 소비전력이 저감된다.
표시 패널에서의 보조 표시 영역의 크기는 상정되는 표시 패널들(25a 및 25b)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에 포함되는 기판 등의 재료의 열팽창 계수를 고려한다. 표시 패널들(25a 및 25b)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화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용도 등에 따라 보조 표시 영역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A1), (A2), (B1), (B2), (C1), 및 (C2)의 상면 개략도에서는 설명을 위하여 보조 표시 영역(23a 및 23b)의 크기를 과장하여 나타내었다.
보조 표시 영역의 폭 방향의 길이는 50μm 이상 50m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μm 이상 30m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00μm 이상 20mm 이하로 할 수 있다. 보조 표시 영역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화소의 수는, 1개 이상 100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5개 이상 80개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개 이상 50개 이하로 할 수 있다.
표시 패널(25a)의 표시 영역 전체(표시 영역(21a 및 23a)을 포함함)의 크기가 대각선 13.5인치이고, 제어 가능한 화소(표시 영역(21a) 및 보조 표시 영역(23a)의 화소를 포함함)의 수가 2560×1440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보조 표시 영역(23a)은 보조 표시 영역(23a)의 폭의 길이가 약 5mm가 될 수 있도록, 즉 표시 영역의 각 변에서 25 화소의 범위에 제공한다.
도 8의 (A1)은 표시 장치(25)의 표시 패널(25a 및 25b)의 초기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A2)는 표시 영역(21a 및 21b)에 이음매가 없는 하나의 표시 화상(15)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표시 장치(25)의 초기 상태에서 보조 표시 영역(23a 및 23b)은 비발광 영역이다(도 8의 (A2) 참조).
도 8의 (B1)은 표시 패널들(25a 및 25b)이, 도 8의 (A1)에 나타낸 상태에서 이들 패널의 인접 방향(즉, 도 8의 (B1)에서의 X축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의 표시 장치(25)의 상면 개략도이다. 도 8의 (A1)에서의 영역(11)은 도 8의 (B1)에서의 영역(11C)에 대응한다. 표시 영역(25a)과 중첩되는 표시 영역(25b)의 크기는 X축 방향으로 커진다. 또한, 투명부(22b)와 중첩되는 표시 영역(25a)의 위치가 도 8의 (A1)에서의 위치에서 변화되어 있다.
검출 수단(31)은 영역(11)의 크기의 변화를 검출한다. 보정 수단(32)은 영역(11)의 크기의 변화에 따라, 표시 영역(21a 및/또는 21b)에 표시되는 화상을 보정한다.
표시 패널들(25a 및 25b)의 위치 관계가 도 8의 (A1)에서 도 8의 (B1)로 변화한 경우에 보정 수단(32)에 의하여 생성되는 표시 보정 내용은, 표시 패널들(20a 및 20b)의 위치 관계가 도 7의 (A1)에서 도 7의 (B1)로 변화한 경우와 상이하다. 차이점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표시 패널들(25a 및 25b)의 위치 관계가 변화된 경우, 보정 수단(32)은, 크기 및 종횡비를 변경하지 않고 초기 표시 화상(15)을 계속 표시할 수 있도록, 표시 영역 및 보조 표시 영역에서의 발광부 및 비발광부의 영역을 변경한다. 바꿔 말하면, 위치 변화 전후에 있어서 표시 장치(20)가 화상을 표시하는 데 필요한 화소의 수(유효 화소 수라고도 함)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표시 장치(25)가 도 8의 (A1)에 나타낸 상태에서 도 8의 (B1)에 나타낸 상태로 변화한 경우, 표시 장치(25)의 표시 영역의 크기는 X축 방향으로 축소된다. 크기의 축소에 따라 보조 표시 영역(23a 및/또는 23b)의 일부를 발광부로서 사용하여, 표시 장치(25)는 도 8의 (B1)에 나타낸 상태이더라도 도 8의 (A2)와 같은 크기 및 종횡비의 표시 화상(15)을 표시할 수 있다(도 8의 (B2) 참조).
표시 패널(25a 및 25b)이 표시 장치(25)의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보조 표시 영역(23a 및 23b)을 포함하기 때문에, 보정 수단(32)은 상술한 보정을 행할 수 있다. 표시 장치(25)의 보관 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의하여 표시 패널(25a 및 25b)의 위치가 변화되어도, 본 발명의 일 형태인 표시 장치(25)는 같은 화상을 계속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시스템은 신뢰성이 높은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도 8의 (C1)은 표시 패널들(25a 및 25b)이, 도 8의 (B1)에 나타낸 상태에서 이들 2개의 패널의 인접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즉, 도 8의 (C1)에서의 Y축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의 표시 장치(25)의 상면 개략도이다. 도 8의 (B1)에서의 영역(11)은 도 8의 (C1)에서의 영역(11D)에 대응한다. 표시 영역(21a)과 중첩되는 표시 영역(21b)의 크기는 Y축 방향으로 작아진다. 또한, 도 8의 (B1)에서의 동일 직선상의 표시 영역(21a)의 변과 표시 영역(21b)의 변이 일치하고 있지 않다.
표시 장치(25)가 도 8의 (B1)의 상태에서 도 8의 (C1)의 상태로 변화한 경우, 표시 장치(25)의 표시 영역의 윤곽은 직사각형에서 팔각형으로 변화한다. 그러므로, 보정 수단(32)은 종횡비 및 유효 화소 수가 변화 전의 표시 영역과 같게 될 수 있도록, Y축 방향으로 표시 영역(21a 및 21b)에 인접해 있는 보조 표시 영역(23a 및 23b)을 발광부로서 사용하는 보정 내용을 생성한다. 이 보정을 통하여, 표시 장치(25)는 도 8의 (C1)의 상태에서도 크기 및 종횡비가 도 8의 (A2)와 같은 표시 화상(15)을 표시할 수 있다(도 8의 (C2) 참조).
[적용예 1]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35)는, 표시 영역들이 이음매 없이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표시 패널(36)을 가진다. 표시 패널(36)의 표시 영역의 일부만을 사용함으로써, 표시 장치(35)의 표시 영역(37)의 형상을 자유로이 변형할 수 있다. 각 표시 패널(36)은 표시 영역에 인접한 투명부(38)를 포함한다.
도 9의 (A)는 표시 패널(36)의 표시 영역의 전체에 화상이 표시되어, 큰 표시 영역(37)이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의 (B)는 표시 장치(35)의 표시 영역(37)이 부채 형상이 될 수 있도록 표시 패널(36)의 표시 영역의 일부에만 화상을 표시한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표시 장치(35)에서 부채 형상의 표시 영역(37)을 제외한 영역은 비표시 영역(39)이다.
전체가 표시 영역(37)에 포함된 표시 패널(36)의 표시 영역 전체는 화상의 일부를 표시한다. 전체가 비표시 영역(39)에 포함된 표시 패널(36)의 표시 영역은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다. 표시 영역(37)과 비표시 영역(39)의 양쪽이 포함된 표시 패널(36)의 표시 영역의 일부는 화상의 일부를 표시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표시 패널들(36)이 서로 비슷한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도 표시 영역(37)을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표시 영역(37)을 원하는 형상으로 하기 위하여 설계 및 공정 등을 변경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같은 표시 패널을 사용하여 임의의 형상의 표시 영역(37)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된다.
임의의 형상의 표시 영역(37)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각 표시 패널(36)의 표시 영역의 일부를 구동시켜 화상을 표시시킨다. 여기서, 표시 패널(36)은 표시 패널(36)의 표시 영역의 다른 부분에 화상을 표시하지 않도록 구동시킨다.
시스템은 표시 장치(35), 검출 수단, 및 보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보정 수단은 표시 패널(36)에 표시되는 화상이 이음매 없이 연결되도록, 화상의 어긋남을 보정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상의 어긋남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검출 수단으로부터 보정 수단으로 어긋남의 데이터가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용예 2]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인 표시 장치(40)에 포함되는 표시 패널(45)의 상면 개략도이다. 표시 패널(45)은 표시 영역(41), 투명부(42), 및 보조 표시 영역(43)을 포함한다. 투명부(42)는 표시 영역(41)의 3개의 변에 인접하도록 제공되어 있다.
표시 패널(45)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 보조 표시 영역(43)은 비발광 상태에 있다. 표시 영역(41)은 보조 표시 영역(43)으로도 기능할 수 있다. 보조 표시 영역(43)은 표시 영역(41)으로도 기능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표시 패널(45)에 있어서 도 10의 (A)에 나타낸 보조 표시 영역(43)의 윤곽의 내측에 있는 표시 영역(41)은 자유로이 변형될 수 있다. 표시 영역(41) 및 보조 표시 영역(43)의 설정은 보정 수단(32)에 의하여 생성되는 보정 내용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0의 (B)는 도 10의 (A)에 나타낸 표시 패널(45)을 2개 포함하는 표시 장치(40)의 상면 개략도이다. 표시 패널(45a)이 표시 패널(45b)과 중첩되어 있다. 표시 패널(45b)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 보조 표시 영역(43b)은 비발광 상태에 있다. 표시 영역(41a)과 중첩되는 영역(44)이 발광부로서 동작함으로써, 표시 장치(40)의 표시 영역에 이음매가 없는 화상(46)이 표시될 수 있다(도 10의 (C) 참조).
표시 패널(45a)의 표시면과 표시 패널(45b)의 표시면과는 반대쪽의 면은, 그 상대적인 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접합하여도 좋고, 또는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여도 좋다. 표시 패널들(45a 및 45b)을 떼어낼 수 있으면, 표시 패널을 쉽게 교환할 수 있게 된다. 표시 패널들을 착탈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흡착성을 가지는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흡착성을 가지는 필름은 물체와 그 필름 사이의 공기를 제거하여 저압 상태 또는 진공 상태를 만들어 상기 물체에 흡착되는 기능을 가진다. 또는 점착성을 가지는 필름을 사용하여도 좋다.
표시 패널들(45a 및 45b)의 위치가 변화한 경우, 즉 영역(44)의 크기가 변화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일 형태인 표시 시스템(10)의 검출 수단(31) 및 보정 수단(32)에 의하여 표시 장치(40)는 표시 영역에 이음매가 없는 매끄러운 화상을 계속 표시할 수 있다. 보정 수단(32)이 표시 패널(45a 및 45b)의 표시 영역(41a 및 41b) 및 보조 표시 영역(43a 및 43b)을 자유로이 변경하는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표시 장치(40)는 임의의 형상의 표시 영역에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도 10의 (D)는 5개의 표시 패널(45)(표시 패널(45a 내지 45e))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48)의 상면 개략도이다. 예를 들어, 도 10의 (A)의 표시 패널(45)의 표시 영역(41)을, 도 10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의 표시 영역(41A)이 형성될 수 있도록 변경한다. 도 10의 (E)에서와 같이 도넛형의 표시 영역(41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D) 내지 (E)에서는 표시 패널(45a 내지 45e)의 투명부 및 보조 표시 영역을 나타내지 않았다.
표시 시스템(10)에서는, 표시 패널(45)을 복수로 조합함으로써, 표시 영역을 타원상, 다각형, 및 평탄한 면에 형성될 수 있는 임의의 평탄 형상으로 할 수 있다. 평탄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 영역은 4면체 및 6면체 등의 다면체, 및 기타 원뿔 및 구체 등의 곡면을 가지는 입체 형상의 면에 이음매 없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의 (F)는 6면체 형상의 표시 영역(41C)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49)의 사시 개략도이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 등에서 표시 소자, 표시 소자를 포함하는 장치인 표시 장치,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장치인 발광 장치는 다양한 형태를 채용할 수 있고, 또는 다양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소자, 표시 장치, 발광 소자, 또는 발광 장치는 예를 들어, EL(electroluminescence) 소자(예를 들어, 유기 및 무기 재료를 포함하는 EL 소자, 유기 EL 소자, 또는 무기 EL 소자), LED(예를 들어, 백색 LED, 적색 LED, 녹색 LED, 또는 청색 LED), 트랜지스터(전류에 따라 광을 방출하는 트랜지스터), 전자 방출체, 액정 소자, 전자 잉크, 전기 영동 소자, GLV(grating light valve), PDP(plasma display panel),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를 사용한 표시 소자,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DMS(digital micro shutter), MIRASOL(등록 상표), IMOD(간섭 변조) 소자, MEMS 셔터 표시 소자, 광 간섭 방식의 MEMS 표시 소자, 전기 습윤 소자, 압전 세라믹 디스플레이, 및 카본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표시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술한 것 외에, 전기적 또는 자기적 작용에 의하여 콘트라스트, 휘도, 반사율, 또는 투과율 등이 변화되는 표시 매체가 포함되어도 좋다. EL 소자를 가지는 표시 장치의 예에는 EL 디스플레이가 포함된다. 전자 방출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예에는, FED(field emission display) 및 SED 방식 평판 디스플레이(SED: 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가 있다. 액정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예에는 액정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투과형 액정 디스플레이, 반투과형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형 액정 디스플레이, 직시형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투사형 액정 디스플레이)가 포함된다. 전자 잉크, 전자 분류체(電子粉流體, Electronic Liquid Powder(등록 상표)), 또는 전기 영동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예에는 전자 종이가 포함된다. 반투과형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반사형 액정 디스플레이의 경우, 화소 전극의 일부 또는 전부가 반사 전극으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어, 화소 전극의 일부 또는 전부를 알루미늄 또는 은 등을 함유하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반사 전극 아래에 SRAM 등의 기억 회로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전력의 저감으로 이어진다. 또한, LED를 사용하는 경우, LED의 전극 또는 질화물 반도체 아래에 그래핀 또는 그래파이트를 제공하여도 좋다. 그래핀 또는 그래파이트는 복수의 층을 적층한 다층막이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래핀 또는 그래파이트를 제공하면, 그 위에 결정을 포함하는 n형 GaN 반도체층 등의 질화물 반도체막을 쉽게 형성할 수 있다. 그 위에 결정을 포함하는 p형 GaN 반도체층 등을 제공하여 LED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그래핀 또는 그래파이트와, 결정을 포함하는 n형 GaN 반도체층 사이에 AlN층을 제공하여도 좋다. LED에 포함되는 GaN 반도체층은 MOCVD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그래핀을 제공하는 경우, LED에 포함되는 GaN 반도체층을 스퍼터링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 등에서는 예를 들어, 화소에 능동 소자가 포함되는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 또는 화소에 능동 소자가 포함되지 않는 패시브 매트릭스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에서는 능동 소자(비선형 소자)로서, 트랜지스터뿐만 아니라 다양한 능동 소자(비선형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IM(metal insulator metal) 또는 TFD(thin film diode)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소자는 제작 단계 수가 적기 때문에, 제작 비용을 삭감할 수 있거나 또는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소자의 크기는 작기 때문에,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거나 또는 고휘도화를 달성할 수 있다.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 외의 방식으로서, 능동 소자(비선형 소자)를 사용하지 않는 패시브 매트릭스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능동 소자(비선형 소자)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작 단계 수가 적고, 제작 비용을 삭감할 수 있거나 또는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능동 소자(비선형 소자)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예를 들어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거나 또는 고휘도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표시 장치를 사용하여 다양한 표시를 행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반드시 데이터를 표시할 필요는 없다. 일례로서는 표시 장치를 조명 장치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표시 장치를 조명 장치로서 사용함으로써, 매력적인 디자인의 인테리어 조명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다양한 방향을 비출 수 있는 조명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백 라이트 또는 프런트 라이트 등의 광원으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바꿔 말하면, 표시 패널을 위한 조명 장치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적어도 일부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형태와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실시형태 3)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조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구조예 1]
도 11의 (A)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표시 패널(100)의 상면 개략도이다.
표시 패널(100)은 표시 영역(101), 그리고 표시 영역(101)에 인접한 가시광을 투과시키는 투명부(110) 및 가시광을 차단하는 영역(120)을 포함한다. 또한, 도 11의 (A)에 도시된 예에서는 표시 패널(100)에 FPC(flexible printed circuit)(112)가 제공되어 있다.
표시 영역(101)은 매트릭스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며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각 화소에 하나 이상의 표시 소자가 제공된다. 표시 소자로서는 대표적으로 유기 EL 소자 등의 발광 소자 또는 액정 소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투명부(110)에는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에 포함되는 한 쌍의 기판, 및 한 쌍의 기판 사이에 끼워진 표시 소자를 밀봉하기 위한 실란트 등이 제공되어도 좋다. 여기서, 투명부(110)에 제공되는 부재에는 가시광을 투과시키는 재료를 사용한다.
영역(120)에는 예를 들어, 표시 영역(101)에 포함되는 화소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배선이 제공된다. 배선에 더하여, 화소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회로(주사선 구동 회로 및 신호선 구동 회로 등)가 제공되어도 좋다. 또한, 영역(120)에는 FPC(1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접속 단자라고도 함) 및 이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배선 등이 제공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50)는 복수의 이러한 표시 패널(100)을 포함한다. 도 11의 (B)는 3개의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50)의 상면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표시 패널들, 표시 패널들에 포함되는 같은 구성 요소들, 또는 표시 패널들에 연관되는 같은 구성 요소들을 각각 구별하기 위하여, 부호에 문자를 부기한다.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가장 아래쪽(표시면 측과는 반대 측)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 및 구성 요소의 부호에 "a"를 부기하고, 그 위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표시 패널 및 구성 요소에는 아래쪽에서 부호에 "b" 이후의 문자를 알파벳순으로 부기한다. 또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구조를 설명하는 경우, 표시 패널들 또는 구성 요소들의 공통 부분을 설명할 때에 문자를 부기하지 않는다.
도 11의 (B)에서의 표시 장치(50)는 표시 패널(100a), 표시 패널(100b), 및 표시 패널(100c)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100b)은 표시 패널(100b)의 일부가 표시 패널(100a)의 위쪽(표시면 측)과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표시 패널(100b)은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100b)에서 가시광을 투과시키는 투명부(110b)가 표시 패널(100a)의 표시 영역(101a)의 일부와 중첩되고, 표시 패널(100a)의 표시 영역(101a)과 표시 패널(100b)에서 가시광을 차단하는 영역(120b)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또한, 표시 패널(100c)은 표시 패널(100c)의 일부가 표시 패널(100b)의 위쪽(표시면 측)과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표시 패널(100c)은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100c)에서 가시광을 투과시키는 투명부(110c)가 표시 패널(100b)의 표시 영역(101b)의 일부와 중첩되고, 표시 패널(100b)의 표시 영역(101b)과 표시 패널(100c)에서 가시광을 차단하는 영역(120c)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투명부(110b)는 표시 영역(101a)과 중첩되기 때문에, 표시면 측에서 표시 영역(101a) 전체가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투명부(110c)가 표시 영역(101b)과 중첩되는 경우, 표시면 측에서 표시 영역(101b) 전체도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영역(101a), 표시 영역(101b), 및 표시 영역(101c)이 이음매 없이 배치된 영역(도 11의 (B)에서 굵은 파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이 표시 장치(50)의 표시 영역(51)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1의 (A)에서의 투명부(110)의 폭(W)은 0.5mm 이상 150mm 이하, 바람직하게는 1mm 이상 100m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mm 이상 50mm 이하이다. 투명부(110)는 밀봉 영역으로서 기능하고, 투명부(110)의 폭(W)을 크게 할수록 표시 패널(100)의 끝면과 표시 영역(101) 사이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물 등의 불순물이 표시 영역(101)에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본 구조예에서는 표시 영역(101)에 인접하도록 투명부(110)가 제공되기 때문에, 투명부(110)의 폭(W)을 적절한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표시 소자로서 유기 EL 소자를 사용하는 경우, 투명부(110)의 폭(W)을 1mm 이상으로 함으로써 유기 EL 소자의 열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투명부(110) 외의 부분에서도 표시 영역(101)의 단부와 표시 패널(100)의 끝면 사이의 거리는 상술한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예 2]
도 11의 (B)에서는, 한 방향으로 복수의 표시 패널(100)이 서로 중첩되어 있지만, 복수의 표시 패널(100)은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의 두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어도 좋다.
도 12의 (A)는 투명부(110)의 형상이 도 11의 (A)와는 다른 표시 패널(100)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의 (A)에서의 표시 패널(100)에서, 투명부(110)는 표시 영역(101)의 인접한 2개의 변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도 12의 (B)는 도 12의 (A)에서의 표시 패널(100)을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의 양쪽 방향으로 2개씩 배치한 표시 장치(50)의 사시 개략도이다. 도 12의 (C)는 표시면 측과는 반대 측에서 본 표시 장치(50)의 사시 개략도이다.
도 12의 (B) 및 (C)에서 표시 패널(100b)의 투명부(110b)의 일부는 표시 패널(100a)의 표시 영역(101a)의 짧은 변을 따르는 영역과 중첩되어 있다. 또한, 표시 패널(100c)의 투명부(110c)의 일부는 표시 패널(100a)의 표시 영역(101a)의 긴 변을 따르는 영역과 중첩되어 있다. 또한, 표시 패널(100d)의 투명부(110d)는 표시 패널(100b)의 표시 영역(101b)의 긴 변을 따르는 영역, 및 표시 패널(100c)의 표시 영역(101c)의 짧은 변을 따르는 영역의 양쪽 모두와 중첩되어 있다.
따라서,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101a), 표시 영역(101b), 표시 영역(101c), 및 표시 영역(101d)이 이음매 없이 배치된 영역이 표시 장치(50)의 표시 영역(51)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패널(100)에 포함되는 한 쌍의 기판에 플렉시블한 재료를 사용하고, 표시 패널(100)이 가요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12의 (B) 및 (C)에서의 표시 패널(100a)의 경우와 같이, 예를 들어 FPC(112a) 등이 표시면 측에 제공되는 경우, 표시 패널(100a)에서 FPC(112a) 측의 일부를 만곡시켜서, FPC(112a)를 인접한 표시 패널(100b)의 표시 영역(101b) 아래에 표시 영역(101b)과 중첩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FPC(112a)는 표시 패널(100b) 뒷면과 물리적으로 간섭하지 않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00a)과 표시 패널(100b)이 중첩되고 서로 접합될 때에는 FPC(112a)의 두께를 고려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표시 패널(100b)의 투명부(110b) 상면과 표시 패널(100a)의 표시 영역(101a) 상면의 높이의 차이를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영역(101a) 위에 있는 표시 패널(100b)의 단부가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표시 패널(100)이 가요성을 가짐으로써, 표시 패널(100b)을, 표시 패널(100b)의 표시 영역(101b)의 상면과 표시 패널(100a)의 표시 영역(101a)의 상면의 높이가 서로 같게 되도록 완만하게 만곡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표시 패널(100a)과 표시 패널(100b)이 서로 중첩되는 영역 부근을 제외하고 표시 영역들의 높이를 서로 같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장치(50)의 표시 영역(51)에 표시되는 화상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표시 패널(100a)과 표시 패널(100b)의 관계를 예로 들었지만 다른 인접한 2개의 표시 패널의 관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인접한 2개의 표시 패널(100) 사이의 단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표시 패널(100)의 두께가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의 두께를 바람직하게는 1m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00μ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μm 이하로 한다.
도 13의 (A)는 표시면 측에서 본 도 12의 (B) 및 (C)에서의 표시 장치(50)의 상면 개략도이다.
여기서, 하나의 표시 패널(100)의 투명부(110)가 가시광(예를 들어, 400nm 이상 700nm 이하의 파장의 광)에 대하여 충분히 높은 투과율을 가지지 않는 경우, 표시 영역(101)과 중첩되는 표시 패널(100)의 수에 따라서는 표시되는 화상의 휘도가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의 (A)에서의 영역(A)에서는, 하나의 표시 패널(100c)이 표시 패널(100a)의 표시 영역(101a)과 중첩되어 있다. 영역(B)에서는, 2개의 표시 패널(100)(표시 패널(100c 및 100d))이 표시 패널(100b)의 표시 영역(101b)과 중첩되어 있다. 영역(C)에서는, 3개의 표시 패널(100)(표시 패널(100b, 100c, 및 100d))이 표시 패널(100a)의 표시 영역(101a)과 중첩되어 있다.
이 경우, 표시 영역(101)과 중첩되는 표시 패널(100)의 수에 따라 화소의 그레이스케일이 국소적으로 증가되도록, 표시되는 화상의 데이터를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 장치(50)의 표시 영역(51)에 표시되는 화상의 표시 품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는, 상부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100)의 위치를 어긋나게 함으로써, 아래의 표시 패널(100)의 표시 영역(101)과 중첩되는 표시 패널(100)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도 13의 (B)에서는, 표시 패널(100a) 및 표시 패널(100b) 상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100c) 및 표시 패널(100d)이, 한 방향(X방향)으로 투명부(110)의 폭(W)의 거리만큼 상대적으로 어긋나 있다. 이때, 하나의 표시 패널(100)이 다른 하나의 표시 패널(100)의 표시 영역(101)과 중첩되는 영역(D)과, 2개의 표시 패널(100)이 다른 하나의 표시 패널(100)의 표시 영역(101)과 중첩되는 영역(E)의 2종류의 영역이 있다.
또한, 표시 패널(100)을 X방향에 수직인 방향(Y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어긋나게 하여도 좋다.
상부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100)을 상대적으로 어긋나게 하는 경우, 표시 패널(100)의 표시 영역(101)을 조합한 영역의 윤곽 형상은 직사각형과는 다르다. 그러므로,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50)의 표시 영역(51)의 형상을 직사각형으로 하는 경우, 표시 영역(51) 외측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100)의 표시 영역(101)에 화상이 표시되지 않도록 표시 장치(50)를 구동시켜도 좋다. 여기서,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영역의 화소 수를 고려하여, 직사각형의 표시 영역(51)의 총 화소 수를 표시 패널(100)의 수로 나눠서 얻은 수보다 많은 화소를 표시 패널(100)의 표시 영역(101)에 제공하여도 좋다.
상술한 예에서는 각 표시 패널(100)을 상대적으로 어긋나게 하는 거리를, 투명부(110)의 폭(W)의 정수배(整數倍)로 하였지만, 거리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 패널(100)의 형상 및 표시 패널(100)을 조합한 표시 장치(50)의 표시 영역(51)의 형상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하여도 좋다.
[단면 구조예]
도 14의 (A)는 2개의 표시 패널(100)을 서로 접합한 경우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14의 (A)에서 FPC(112a) 및 FPC(112b)는 각각 표시 패널(100a) 및 표시 패널(100b)의 표시면 측에 접속되어 있다.
또는,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FPC(112a) 및 FPC(112b)는 각각 표시 패널(100a) 및 표시 패널(100b)의 표시면 측과는 반대 측에 접속되어도 좋다. 이 구조에 의하여 아래쪽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100a)의 단부를 표시 패널(100b) 뒷면에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접합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고 접합 부분의 기계적인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는, 도 14의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0a) 및 표시 패널(100b)의 상면을 덮도록 투광성 수지층(131)을 제공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패널(100a 및 100b)의 표시 영역과, 표시 패널(100a)과 표시 패널(100b)이 중첩되는 영역을 덮도록 수지층(131)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표시 패널(100) 위에 수지층(131)을 제공함으로써 표시 장치(50)의 기계적인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평탄한 표면을 가지도록 수지층(131)을 형성함으로써 표시 영역(51)에 표시되는 화상의 표시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릿 코터, 커튼 코터, 그라비어 코터, 롤 코터, 또는 스핀 코터 등의 코팅 장치를 사용하면 평탄성이 높은 수지층(13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수지층(131)과 표시 패널(100)의 표시면 측의 기판의 굴절률의 차이는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이러한 굴절률을 가지는 수지층(131)을 사용함으로써 표시 패널(100)과 수지의 굴절률의 차이를 저감하여 광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굴절률을 가지는 수지층(131)을 표시 패널(100a)과 표시 패널(100b) 사이의 단차부를 덮도록 제공함으로써 단차부가 쉽게 시각적으로 인식되지 않게 되어, 표시 장치(50)의 표시 영역(51)에 표시되는 화상의 표시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수지층(131)에 사용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 아라미드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마이드 수지, 또는 폴리아마이드이미드 수지 등의 유기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도 1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층(131)을 개재(介在)하여 표시 장치(50) 위에 보호 기판(132)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지층(131)은 보호 기판(132)을 표시 장치(50)에 접합하기 위한 접합층으로서 기능하여도 좋다. 보호 기판(132)에 의하여, 표시 장치(50) 표면을 보호할 수 있고, 또한 표시 장치(50)의 기계적인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적어도 표시 영역(51)과 중첩되는 영역의 보호 기판(132)에는 투광성 재료를 사용한다. 또한, 표시 영역(51)과 중첩되는 영역 외의 영역의 보호 기판(132)은, 시각적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차광성을 가져도 좋다.
보호 기판(132)은 터치 패널의 기능을 가져도 좋다. 표시 패널(100)이 플렉시블하고 구부러질 수 있는 경우, 보호 기판(132)도 플렉시블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 기판(132)과 표시 패널(100)의 표시면 측의 기판 또는 수지층(131)의 굴절률의 차이는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보호 기판(132)으로서는 필름과 같이 형성된 플라스틱 기판,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PI), 아라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터설폰(PES),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카보네이트(PC), 나일론, 폴리에터에터케톤(PEEK), 폴리설폰(PSF), 폴리에터이미드(PEI), 폴리아릴레이트(PAR), 폴리뷰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및 실리콘(silicone) 수지 등으로 만들어진 플라스틱 기판, 또는 유리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보호 기판(132)은 플렉시블한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 기판(132)은 섬유 등(예를 들어, 프리프레그)을 포함한다. 또한, 보호 기판(132)은 수지막에 한정되지 않고 펄프를 연속 시트로 가공하여 형성한 투명한 부직포, 피브로인이라고 불리는 단백질을 함유하는 인공 거미줄 섬유를 포함하는 시트, 투명한 부직포 또는 상술한 시트와 수지를 혼합한 복합체, 섬유 폭이 4nm 이상 100nm 이하인 셀룰로스 섬유를 함유하는 부직포와 수지막의 적층, 또는 인공 거미줄 섬유를 포함하는 시트와 수지막의 적층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는, 도 15의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0a) 및 표시 패널(100b)의 표시면과는 반대 측의 표면에 수지층(133)을 제공하여도 좋고, 보호 기판(134)과 각 표시 패널(100a 및 100b) 사이에 수지층(133)이 제공되도록, 보호 기판(134)을 제공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표시 패널(100a 및 100b)을 2개의 보호 기판 사이에 끼워서 표시 장치(50)의 기계적인 강도를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수지층들(131 및 133)의 두께를 실질적으로 같게 하고, 보호 기판들(132 및 134)에 두께가 실질적으로 서로 같은 재료를 사용하면 복수의 표시 패널(100)을 이 적층의 중앙에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을 포함하는 적층을 구부렸을 때에 표시 패널(100)이 두께 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구부림에 의하여 표시 패널(100)에 가해지는 가로 방향의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어,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의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0a 및 100b)의 뒷면 측에 위치하는 수지층(133) 및 보호 기판(134)에 FPC(112a)를 취출하기 위한 개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FPC(112a)의 일부를 덮도록 수지층(133)을 제공함으로써 표시 패널(100a)과 FPC(112a)의 접속부에서의 기계적인 강도를 높일 수 있고 FPC(112a)의 박리 등의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FPC(112b)의 일부를 덮도록 수지층(133)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시면과는 반대 측에 제공되는 수지층(133) 및 보호 기판(134)은 반드시 투광성을 가질 필요는 없고 가시광을 흡수 또는 반사하는 재료를 사용하여도 좋다. 수지층들(133 및 131) 또는 보호 기판들(134 및 132)이 같은 재료를 가지면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표시 영역의 구조예]
다음에, 표시 패널(100)의 표시 영역(101)의 구조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의 (A)는 도 12의 (A)에서의 영역(P)을 확장한 상면 개략도이고, 도 16의 (B)는 도 12의 (A)에서의 영역(Q)을 확장한 상면 개략도이다.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101)에는 복수의 화소(141)가 매트릭스로 배치되어 있다. 적색, 청색, 및 녹색의 3색을 사용한 풀 컬러 표시가 가능한 표시 패널(100)을 형성하는 경우, 화소(141)는 3색 중 어느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3색에 더하여 백색 또는 황색을 표시할 수 있는 화소를 제공하여도 좋다. 화소(141)를 포함하는 영역이 표시 영역(101)에 상당한다.
하나의 화소(141)에 배선(142a) 및 배선(142b)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복수의 배선(142a)의 각각은 배선(142b)과 교차되고, 회로(143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복수의 배선(142b)은 회로(143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회로들(143a 및 143b) 중 한쪽은 주사선 구동 회로로서 기능할 수 있고, 다른 쪽은 신호선 구동 회로로서 기능할 수 있다. 회로들(143a 및 143b) 중 한쪽 또는 모두가 없는 구조를 채용하여도 좋다.
도 16의 (A)에서 회로(143a) 또는 회로(143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배선(145)이 제공되어 있다. 배선(145)은 도시되지 않은 영역에서 FPC(12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의 신호를 회로(143a 및 143b)에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 16의 (A)에 있어서 회로(143a), 회로(143b), 및 복수의 배선(145)을 포함하는 영역이 가시광을 차단하는 영역(120)에 상당한다.
도 16의 (B)에 있어서 끝에 가장 가깝게 제공되는 화소(141)보다 외측의 영역이 가시광을 투과시키는 투명부(110)에 상당한다. 투명부(110)는 화소(141), 배선(142a), 및 배선(142b) 등의 가시광을 차단하는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화소(141)의 일부, 배선(142a), 또는 배선(142b)이 가시광을 투과시키는 경우, 화소(141)의 일부, 배선(142a), 또는 배선(142b)을 투명부(110)까지 연장시켜 제공하여도 좋다.
여기서 투명부(110)의 폭(W)은 표시 패널(100)에 제공되는 투명부(110)에서 가장 좁은 폭을 가리키는 경우가 있다. 표시 패널(100)의 폭(W)이 장소에 따라 다른 경우에는 가장 짧은 길이를 폭(W)으로 할 수 있다. 도 16의 (B)에서는 세로 방향의 화소(141)와 기판 끝면 사이의 거리(즉, 투명부(110)의 폭(W))가 가로 방향과 동일하다.
도 16의 (C)는 도 16의 (B)에서의 선 A1-A2를 따라 취한 단면 개략도이다. 표시 패널(100)은 한 쌍의 투광성 기판(기판(151) 및 기판(152))을 포함한다. 기판(151)과 기판(152)은 접합층(153)으로 서로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화소(141) 및 배선(142b) 등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을 기판(151)으로 한다.
도 16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141)가 표시 영역(101)의 끝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경우, 가시광을 투과시키는 투명부(110)의 폭(W)은 기판(151) 또는 기판(152)의 단부와 화소(141)의 단부 사이의 거리가 된다.
또한 화소(141)의 단부란, 화소(141)의 끝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며 가시광을 차단하는 부재의 단부를 말한다. 또는, 한 쌍의 전극 사이에 발광성 유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층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유기 EL 소자라고도 함)를 화소(141)로서 사용하는 경우, 화소(141)의 단부는 하부 전극의 단부, 발광성 유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층의 단부, 및 상부 전극의 단부 중 어느 것이라도 좋다.
도 17의 (A)는 배선(142a)의 위치가 도 16의 (B)와 다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의 (B)는 도 17의 (A)에서의 선 B1-B2를 따라 취한 단면 개략도이고, 도 17의 (C)는 도 17의 (A)에서의 선 C1-C2를 따라 취한 단면 개략도이다.
도 17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142a)이 표시 영역(101)의 끝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경우, 가시광을 투과시키는 투명부(110)의 폭(W)은 기판(151) 또는 기판(152)의 단부와 배선(142a)의 단부 사이의 거리가 된다. 배선(142a)이 가시광을 투과시키는 경우, 투명부(110)는 배선(142a)이 제공되는 영역을 포함하여도 좋다.
여기서, 표시 패널(100)의 표시 영역(101)에 제공되는 화소의 밀도가 높은 경우, 2개의 표시 패널(100)을 접합하였을 때에, 또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기재된 2개의 표시 패널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화되었을 때에, 화소들이 불연속적으로 배치된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8의 (A)는 표시면 측에서 본, 아래쪽에 제공되는 표시 패널(100a)의 표시 영역(101a)과, 위쪽에 제공되는 표시 패널(100b)의 표시 영역(101b)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의 (A)는, 표시 영역(101a 및 101b)의 모서리 부분 부근을 나타낸 것이다. 표시 영역(101a)의 일부는 투명부(110b)로 덮여 있다.
도 18의 (A)는 인접한 화소들(141a 및 141b)이 한 방향(Y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어긋나 있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의 화살표는, 표시 패널(100a)이 표시 패널(100b)로부터 어긋나 있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18의 (B)는, 인접한 화소들(141a 및 141b)이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X방향 및 Y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어긋나 있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의 (A) 및 (B)의 예에서는,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거리가 각각 하나의 화소의 길이보다 짧다. 이 경우, 표시 영역들(101a 및 101b) 중 어느 한쪽에 표시되는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이 어긋난 거리에 따라 보정함으로써, 표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어긋남에 의하여 화소들 사이의 거리가 작아지는 경우에는 화소의 그레이스케일(휘도)이 낮아지도록 데이터를 보정하고, 어긋남에 의하여 화소들 사이의 거리가 커지는 경우에는 화소의 그레이스케일(휘도)이 높아지도록 데이터를 보정한다. 또는, 2개의 화소가 중첩되는 경우에는 아래쪽에 배치되는 화소를 구동시키지 않고 화상 데이터를 1열 시프트시키도록 데이터를 보정한다.
도 18의 (C)는 인접해 있어야 할 화소들(141a 및 141b)이, 한 방향(Y방향)으로 화소 1개분보다 긴 거리만큼 상대적으로 어긋나 있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화소 1개분보다 큰 어긋남이 생긴 경우에는, 돌출한 화소(해칭된 화소)를 표시하지 않도록 화소를 구동시킨다. 또한, 어긋난 방향이 X방향인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복수의 표시 패널(100)을 접합하는 경우에는, 정렬 불량을 억제하기 위하여 각 표시 패널(100)에 정렬 마커 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표시 패널(100)의 표면에 볼록 및 오목을 형성하고, 2개의 표시 패널(100)이 중첩되는 영역에서 볼록과 오목을 서로 접합시켜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적어도 일부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형태와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실시형태 4)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표시 패널의 구조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로 유기 EL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예시하지만,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표시 패널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형태 1에 예시되는 다른 발광 소자 또는 표시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패널 또는 표시 패널을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9의 (A)는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고, 도 19의 (B)는 도 19의 (A)의 일점쇄선 D1-D2를 따라 취한 단면도의 예이다. 또한, 도 19의 (B)는 투명부(810)의 단면도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구조예 1의 표시 패널은, 컬러 필터 방식을 사용한 전면 발광 표시 패널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표시 패널은 예를 들어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3색의 부화소가 하나의 색을 표현하는 구조; R, G, B, 및 백색(W)의 4색의 부화소가 하나의 색을 표현하는 구조; 또는 R, G, B, 및 황색(Y)의 4색의 부화소가 하나의 색을 표현하는 구조 등을 가질 수 있다. 색 요소에 특별한 한정은 없고, R, G, B, W, 및 Y 외의 색을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시안 또는 마젠타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도 19의 (A)에 나타낸 표시 패널은 투명부(810), 표시부(804), 동작 회로부(806), 및 FPC(808)를 포함한다. 투명부(810)는 표시부(804)에 인접해 있고, 표시부(804)의 2개의 변을 따라 제공되어 있다. 동작 회로부(806)는 주사선 구동 회로 및 신호선 구동 회로 등을 포함한다. 투명부(810)는 가시광을 투과시키는 영역을 포함한다. 동작 회로부(806)는 가시광을 차단하는 영역을 포함한다.
도 19의 (B)에 도시된 표시 패널은 기판(701), 접착층(703), 절연층(705), 복수의 트랜지스터, 도전층(857), 절연층(815), 절연층(816), 절연층(817), 복수의 발광 소자, 절연층(821), 접착층(822), 착색층(845), 차광층(847), 절연층(715), 접착층(713), 및 기판(711)을 포함한다. 접착층(822), 절연층(715), 접착층(713), 및 기판(711)은 가시광을 투과시킨다. 표시부(804) 및 동작 회로부(806)에 포함되는 발광 소자 및 트랜지스터는 절연층(705), 절연층(715), 및 접착층(822)에 의하여 밀봉되어 있다.
표시부(804)는 접착층(703) 및 절연층(705)을 개재하여 기판(701) 위에 있는 트랜지스터(820) 및 발광 소자(830)를 포함한다. 발광 소자(830)는 절연층(817) 위의 하부 전극(831), 하부 전극(831) 위의 EL층(833), 및 EL층(833) 위의 상부 전극(835)을 포함한다. 즉, 발광 소자(830)는 하부 전극(831), 상부 전극(835), 및 하부 전극(831)과 상부 전극(835) 사이에 제공된 EL층(833)을 포함한다.
하부 전극(831)은, 트랜지스터(820)의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하부 전극(831)의 단부는 절연층(821)으로 덮여 있다. 하부 전극(831)은 가시광을 반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전극(835)은 가시광을 투과시킨다.
또한, 표시부(804)는 발광 소자(830)와 중첩되는 착색층(845) 및 절연층(821)과 중첩되는 차광층(847)을 포함한다. 발광 소자(830)와 착색층(845) 사이의 공간은 접착층(822)으로 충전(充塡)되어 있다.
절연층(815) 및 절연층(816)은, 트랜지스터에 포함되는 반도체에 불순물이 확산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진다. 트랜지스터에 기인하는 표면 요철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절연층(817)으로서 평탄화 기능을 가지는 절연층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시 패널에 있어서 트랜지스터가 제공되지 않는 영역에는 절연층(815) 및/또는 절연층(816)이 없어도 된다. 특히, 투명부(810)에 절연층(815) 및/또는 절연층(816)을 형성하지 않으면 투과율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도 19의 (A) 및 (B)는 각각 투명부(810)에 절연층(815)을 형성하지 않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절연층(815) 및 절연층(816)으로서는 각각, 질화 실리콘 및 산화 질화 실리콘을 사용할 수 있다.
동작 회로부(806)는 접착층(703) 및 절연층(705)을 개재하여 기판(701) 위에 있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도 19의 (B)에는 동작 회로부(806)에 포함되는 트랜지스터들 중 하나를 도시하였다.
절연층(705) 및 절연층(715)의 방습성이 높으면, 발광 소자(830) 또는 트랜지스터(820)에 물 등의 불순물이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표시 패널의 신뢰성이 높아지므로 바람직하다. 표시 패널이 기판을 포함하면, 표시 패널의 표면이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기판(701)은 접착층(703)에 의하여 절연층(705)에 접합되어 있다. 기판(711)은 접착층(713)에 의하여 절연층(715)에 접합되어 있다.
도전층(857)은, 외부로부터의 신호(예를 들어, 영상 신호, 클럭 신호, 스타트 신호, 또는 리셋 신호) 또는 전위를 동작 회로부(806)에 전달하는 외부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는, 외부 전극으로서 FPC(808)를 제공하는 예를 설명한다. 제작 단계 수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전층(857)을 표시부 또는 구동 회로부의 전극 또는 배선과 같은 재료 및 같은 단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트랜지스터(820)의 전극과 같은 재료 및 같은 단계로 도전층(857)을 형성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19의 (B)의 표시 패널에서는, FPC(808)가 절연층(715) 위에 배치되어 있다. 커넥터(825)는 절연층(715), 접착층(822), 절연층(817), 절연층(816), 및 절연층(815)에 제공된 개구를 통하여 도전층(857)에 접속되어 있다. 커넥터(825)는 FPC(808)에도 접속된다. FPC(808)와 도전층(857)은 커넥터(825)를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20은 도 19의 (B)에 각각 나타낸 2개의 표시 패널을, 접착층(723)을 개재하여 서로 부착한 상태의 단면도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2개의 표시 패널은, 접착층(723) 대신에 흡착층을 사용하여, 서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도 좋다.
도 20은 아래쪽(뒤쪽)의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101a)(도 19의 (A)에 나타낸 표시부(804)에 대응) 및 가시광을 차단하는 영역(120a)(도 19의 (A)에 나타낸 동작 회로부(806) 등에 대응)과, 위쪽(앞쪽)의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101b)(도 19의 (A)에 나타낸 표시부(804)에 대응) 및 투명부(101b)(도 19의 (A)에 나타낸 투명부(810)에 대응)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20에 나타낸 단면도는 실시형태 2에 기재된 2개의 표시 패널(100a 및 100b)이 서로 중첩되는 중첩 부분(도 14의 (A) 영역(170))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0에서, 위쪽(표시면 측)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은, 표시부(804)에 인접한 투명부(810)를 포함한다. 또한, 아래쪽의 표시 패널의 표시부(804)와, 위쪽의 표시 패널의 투명부(810)는 서로 중첩되어 있다. 그러므로, 중첩된 2개의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들 사이의 비표시 영역을 축소하거나 나아가서는 없앨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패널들의 연결 부분이 사용자에게 보이기 어려운 대형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20에서, 가시광을 투과시키는 접착층(723)이 아래쪽의 표시 패널의 표시부(804)와 위쪽의 표시 패널의 투명부(810) 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접착층(723)과, 위쪽의 표시 패널의 기판(701) 및/또는 아래쪽의 표시 패널의 기판(711)의 굴절률 차이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아래쪽의 표시 패널의 표시부(804) 위에 위치하는 적층에서의 굴절률 차이로 인한 계면에서의 반사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대형 표시 장치에서의 표시의 불균일 또는 휘도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재료 및 형성 방법의 예]
다음에, 표시 패널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 등에서 이미 설명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각 기판에는 유리, 석영, 유기 수지, 금속, 또는 합금 등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발광 소자로부터 광이 추출되는 기판은, 이 광을 투과시키는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한다.
특히, 플렉시블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유기 수지; 또는 가요성을 가질 정도로 얇은 유리, 금속, 또는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유리보다 비중이 작은 유기 수지를 플렉시블 기판에 사용하면, 유리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표시 패널을 경량화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기판은 인성(toughness)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파손되기 어려운, 내충격성이 높은 표시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 수지 기판, 또는 얇은 금속 또는 합금 기판을 사용하면, 유리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표시 패널을 가볍게, 그리고 파손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열 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료 및 합금 재료는, 기판 전체에 열을 쉽게 전도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패널에서의 국소적인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금속 재료 또는 합금 재료를 사용한 기판의 두께는 10μm 이상 20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μm 이상 50μ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금속 기판 또는 합금 기판의 재료에 특별한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니켈, 또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 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판에 열 방사율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면, 표시 패널의 표면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표시 패널의 파손 또는 신뢰성 저하의 억제로 이어진다. 예를 들어, 기판은 금속 기판과 열 방사율이 높은 층(이 층은 예를 들어, 금속 산화물 또는 세라믹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음)의 적층 구조를 가져도 좋다.
가요성 및 투광성을 가지는 기판으로서는, 필름으로 형성된 플라스틱 기판,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PI), 아라미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터설폰(PES),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폴리카보네이트(PC), 나일론, 폴리에터에터케톤(PEEK), 폴리설폰(PSF), 폴리에터이미드(PEI), 폴리아릴레이트(PAR), 폴리뷰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및 실리콘 수지 등으로부터 만들어진 플라스틱 기판, 또는 유리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기판은 섬유 등(예를 들어, 프리프레그)을 포함하여도 좋다. 또한, 기판은 수지 필름에 한정되지 않고, 펄프를 연속 시트로 가공하여 형성한 투명 부직포, 피브로인이라고 불리는 단백질을 함유하는 인공 거미줄 섬유를 포함하는 시트, 투명 부직포 또는 상기 시트와 수지를 혼합한 복합체, 섬유 폭이 4nm 이상 100nm 이하의 셀룰로스 섬유를 함유하는 부직포와 수지막의 적층, 또는 인공 거미줄 섬유를 포함하는 시트와 수지막의 적층을 사용하여도 좋다.
플렉시블 기판은, 장치의 표면을 대미지로부터 보호하는 하드 코트층(예를 들어, 질화 실리콘층), 또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층(예를 들어, 아라미드 수지층) 등이, 상술한 재료 중 어느 것의 층 위에 적층된 적층 구조를 가져도 좋다.
플렉시블 기판은 복수의 층을 적층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유리층을 사용하면, 물 및 산소에 대한 배리어성이 향상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표시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소자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유리층, 접착층, 및 유기 수지층을 적층한 플렉시블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유리층의 두께는 20μm 이상 200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25μm 이상 100μm 이하로 한다. 이러한 두께에 의하여, 유리층은 물 및 산소에 대한 높은 배리어성과 높은 가요성의 양쪽을 가질 수 있다. 유기 수지층의 두께는 10μm 이상 200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20μm 이상 50μm 이하로 한다. 이러한 유기 수지층을 유리층의 외측에 제공함으로써, 유리층에서의 크랙 또는 깨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유리 재료와 유기 수지의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기판을 사용하여, 신뢰성이 높은 플렉시블 표시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플렉시블 표시 패널의 형성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편의상, 화소 및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구조, 컬러 필터 등의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구조,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구조, 또는 기능 부재를 포함하는 구조를 소자층이라고 한다. 소자층은 예를 들어 표시 소자를 포함하고, 표시 소자에 더하여 표시 소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배선, 또는 화소 또는 회로에 사용되는 트랜지스터 등의 소자를 포함하여도 좋다.
여기서는 소자층이 형성되는 절연 표면이 제공된 지지체를 기재(base material)라고 부른다.
플렉시블 기재 위에 소자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기재 위에 소자층을 직접 형성하는 방법, 및 기재와는 다른, 강성(剛性)을 가지는 지지 기재 위에 소자층을 형성한 다음 지지 기재로부터 소자층을 분리하여 기재로 전치(轉置)하는 방법이 있다.
기재의 재료가 소자층의 형성 공정에서의 가열 온도에 견딜 수 있는 경우에는 기재 위에 소자층을 직접 형성하면 제작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때, 기재를 지지 기재에 고정한 상태로 소자층을 형성하면, 장치 내와 장치 간에서의 소자층의 반송이 쉬워질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소자층을 지지 기재 위에 형성한 다음 기재로 전치하는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 먼저 지지 기재 위에 분리층과 절연층을 적층한 다음, 이 절연층 위에 소자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소자층을 지지 기재로부터 분리한 다음 기재로 전치한다. 이때 지지 기재와 분리층의 계면, 분리층과 절연층의 계면, 또는 분리층 내에서 분리가 일어나도록 재료를 선택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기재의 상한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소자층을 형성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표시 패널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예를 들어, 텅스텐 등의 고융점 금속 재료를 포함하는 층과 금속 재료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층의 적층을 분리층으로서 사용하고, 질화 실리콘층 및 산화 질화 실리콘층 등의 복수의 층의 적층을 절연층으로서 분리층 위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융점 금속 재료를 사용하면 소자층을 형성하는 데 고온 처리를 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신뢰성이 높아진다. 예를 들어, 소자층에 함유되는 불순물을 더 저감하거나, 소자층에 포함되는 반도체 등의 결정성을 더 높일 수 있다. 기재에는, 상술한 플렉시블 재료 중 어느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분리의 예에는, 기계적인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한 박리, 에칭에 의한 분리층의 제거, 또는 분리 계면의 일부에 액체를 적하하여 분리 계면 전체로 침투시키는 것에 의한 분리가 포함된다.
지지 기재와 절연층의 계면에서 분리가 일어날 수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분리층을 제공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지지 기재로서 유리를 사용하고, 절연층으로서 폴리이미드 등의 유기 수지를 사용하고, 유기 수지의 일부를 레이저 광 등에 의하여 국소적으로 가열함으로써 분리 트리거를 형성하고, 유리와 절연층의 계면에서 분리를 행하여도 좋다. 또는, 지지 기재와 유기 수지를 함유하는 절연층 사이에 열 전도성이 높은 재료(예를 들어, 금속 또는 반도체)를 함유하는 층을 제공하고, 전류에 의하여 이 층을 가열함으로써 분리가 쉽게 일어나도록 한 다음에, 분리를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유기 수지를 함유하는 절연층을 기재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접착층으로서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 등의 광 경화성 수지, 반응 경화성 수지, 열 경화성 수지, 및 혐기성 수지 등의 다양한 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지의 예에는,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실리콘 수지, 페놀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이미드 수지, 폴리바이닐 클로라이드(PVC) 수지, 폴리바이닐 뷰티랄(PVB) 수지, 에틸렌 바이닐 아세테이트(EVA) 수지 등이 포함된다. 특히 에폭시 수지 등 투습성이 낮은 재료가 바람직하다. 또는, 2성분 혼합형(two-component-mixture-type) 수지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는, 접착 시트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수지는 건조제를 포함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알칼리 토금속의 산화물(예를 들어, 산화 칼슘 또는 산화 바륨) 등, 화학 흡착에 의하여 수분을 흡착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제올라이트 또는 실리카겔 등, 물리 흡착에 의하여 수분을 흡착하는 물질을 사용하여도 좋다. 건조제가 포함되면, 수분 등 불순물이 발광 소자에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표시 패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지에 굴절률이 높은 필러 또는 광 산란 부재를 혼합하면,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산화 타이타늄, 산화 바륨, 제올라이트, 또는 지르코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절연층(705) 및 절연층(715)에는 방습성이 높은 절연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절연층(705) 및 절연층(715)은 발광 소자에 불순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습성이 우수한 절연막으로서는 질소와 실리콘을 함유하는 막(예를 들어, 질화 실리콘막 또는 질화 산화 실리콘막), 또는 질소와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막(예를 들어, 질화 알루미늄막)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산화 실리콘막, 산화 질화 실리콘막, 또는 산화 알루미늄막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습성이 우수한 절연막의 수증기 투과율은 1×10-5[g/(m2·day)] 이하, 바람직하게는 1×10-6[g/(m2·day)]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10-7[g/(m2·day)]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8[g/(m2·day)] 이하로 한다.
표시 패널에서, 절연층들(705 및 715) 중 적어도 발광면 측에 있는 쪽은, 발광 소자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투과시킬 필요가 있다. 표시 패널이 절연층(705 및 715)을 포함하는 경우, 절연층들(705 및 715) 중 발광 소자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쪽은, 파장 400nm 이상 800nm 이하의 투과율의 평균이 다른 쪽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층들(705 및 715)의 각각은 산소, 질소, 및 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층들(705 및 715)의 각각은 예를 들어, 산화 질화 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연층들(705 및 715)의 각각은 질화 실리콘 또는 질화 산화 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층들(705 및 715)의 각각은 서로 접촉되는 산화 질화 실리콘막과 질화 실리콘막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 질화 실리콘막과 질화 실리콘막을 교대로 적층하여, 역 위상의 간섭이 가시 영역에서 더 자주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적층의 가시 영역의 광의 투과율을 높일 수 있다.
표시 패널의 트랜지스터의 구조에 특별한 한정은 없다. 예를 들어, 순 스태거(forward staggered)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도 좋고, 또는 역 스태거(inverted staggered)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톱 게이트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도 좋고, 또는 보텀 게이트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도 좋다. 트랜지스터에 사용되는 반도체 재료에 특별한 한정은 없고, 예를 들어 실리콘, 저마늄, 또는 유기 반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In-Ga-Zn계 금속 산화물 등 인듐, 갈륨, 및 아연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하여도 좋다.
트랜지스터에 사용하는 반도체 재료의 결정성에 특별한 한정은 없고, 비정질 반도체 또는 결정성을 가지는 반도체(미결정(microcrystalline) 반도체, 다결정 반도체, 단결정 반도체, 또는 부분적으로 결정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를 사용하여도 좋다. 결정성을 가지는 반도체를 사용하면, 트랜지스터 특성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트랜지스터의 안정적인 특성을 위해서는 하지막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막은 산화 실리콘막, 질화 실리콘막, 산화 질화 실리콘막, 또는 질화 산화 실리콘막 등의 무기 절연막을 사용하여 단층 구조 또는 적층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막은 스퍼터링법, 화학 기상 증착(CVD)법(예를 들어, 플라스마 CVD법, 열 CVD법, 또는 유기 금속 CVD(MOCVD)법), 원자층 증착(ALD)법, 도포법, 또는 인쇄법 등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지막을 반드시 제공할 필요는 없다. 상술한 구조예의 각각에서, 절연층(705)은 트랜지스터의 하지막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발광 소자로서는 자발광(self-luminous) 소자를 사용할 수 있고, 전류 또는 전압에 의하여 휘도가 제어되는 소자가 발광 소자의 범주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ED), 유기 EL 소자, 또는 무기 EL 소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발광 소자는 전면 발광 구조, 배면 발광 구조, 및 양면 발광 구조 중 어느 구조를 가져도 좋다. 광이 추출되는 전극으로서는 가시광을 투과시키는 도전막을 사용한다. 광이 추출되지 않는 전극으로서는 가시광을 반사하는 도전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시광을 투과시키는 도전막은 예를 들어, 산화 인듐, 인듐 주석 산화물(ITO), 인듐 아연 산화물, 산화 아연(ZnO), 또는 갈륨이 첨가된 산화 아연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는, 금, 은, 백금, 마그네슘, 니켈, 텅스텐, 크로뮴, 몰리브데넘, 철, 코발트, 구리, 팔라듐, 또는 타이타늄 등의 금속 재료; 이들 금속 재료 중 어느 것을 함유하는 합금; 또는 이들 금속 재료 중 어느 것의 질화물(예를 들어, 질화 타이타늄) 등의 막을 광을 투과시킬 정도로 얇게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재료 중 어느 것의 적층막을 도전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은과 마그네슘의 합금과 ITO의 적층막을 사용하면, 도전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는, 그래핀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가시광을 반사하는 도전막에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금, 백금, 은, 니켈, 텅스텐, 크로뮴, 몰리브데넘, 철, 코발트, 구리, 또는 팔라듐 등의 금속 재료, 또는 이들 금속 재료 중 어느 것을 포함하는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재료 또는 합금에 란타넘, 네오디뮴, 또는 저마늄 등이 첨가되어도 좋다. 또한, 알루미늄과 타이타늄의 합금, 알루미늄과 니켈의 합금, 알루미늄과 네오디뮴의 합금, 또는 알루미늄, 니켈, 및 란타넘의 합금(Al-Ni-La) 등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합금(알루미늄 합금), 또는 은과 구리의 합금, 은, 팔라듐, 및 구리의 합금(Ag-Pd-Cu, APC라고도 함), 또는 은과 마그네슘의 합금 등 은을 함유하는 합금을 도전막에 사용할 수 있다. 은과 구리의 합금은 내열성이 높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알루미늄 합금막에 금속막 또는 금속 산화물막을 적층하면, 알루미늄 합금막의 산화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금속막 또는 금속 산화물막의 재료의 예에는 타이타늄 및 산화 타이타늄이 있다. 또는, 가시광을 투과시키는 성질을 가지는 도전막과 상술한 금속 재료 중 어느 것을 함유하는 막을 적층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은과 ITO의 적층막, 또는 은과 마그네슘의 합금과 ITO의 적층막을 사용할 수 있다.
하부 전극(831) 및 상부 전극(835)은, 가시광을 투과시키는 도전막 또는 가시광을 반사하는 도전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전극들은 각각 증착법 또는 스퍼터링법에 의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또는, 잉크젯법 등의 토출법(discharging method), 스크린 프린팅법 등의 인쇄법, 또는 도금법을 사용하여도 좋다.
하부 전극(831)과 상부 전극(835) 사이에 발광 소자의 문턱 전압보다 높은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양극 측으로부터 EL층(833)에 정공이 주입되고 음극 측으로부터 EL층(833)에 전자가 주입된다.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EL층(833)에서 재결합되어, EL층(833)에 함유된 발광 물질이 발광한다.
EL층(833)은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한다. 발광층에 더하여, EL층(833)은 정공 주입성이 높은 물질, 정공 수송성이 높은 물질, 정공 차단 재료, 전자 수송성이 높은 물질, 전자 주입성이 높은 물질, 및 바이폴라(bipolar)성을 가지는 물질(전자 및 정공 수송성이 높은 물질) 등 중 어느 것을 함유한 하나 이상의 층을 더 포함하여도 좋다.
EL층(833)에는, 저분자 화합물 및 고분자 화합물 중 어느 쪽이나 사용할 수 있고, 무기 화합물을 사용하여도 좋다. EL층(833)에 포함되는 각 층은 증착법(진공 증착법을 포함함), 전사법(transfer method), 인쇄법, 잉크젯법, 및 도포법 등 중 어느 방법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발광 소자(830)는 2종류 이상의 발광 물질을 함유하여도 좋다. 이로써, 예를 들어 백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를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종류 이상의 발광 물질이 보색의 광을 방출하도록 발광 물질을 선택함으로써 백색 발광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색(R)의 광, 녹색(G)의 광, 청색(B)의 광, 황색(Y)의 광, 또는 주황색(O)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물질, 또는 R의 광, G의 광, 및 B의 광 중 2개 이상의 스펙트럼 성분을 함유하는 광을 방출하는 발광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물질 및 황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물질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때, 황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물질의 발광 스펙트럼은 G의 광 및 R의 광의 스펙트럼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 소자(830)의 발광 스펙트럼은 가시 영역의 파장범위(예를 들어, 350nm 이상 750nm 이하, 또는 400nm 이상 800nm 이하)에서 2개 이상의 피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EL층(833)은 복수의 발광층을 포함하여도 좋다. EL층(833)에서 복수의 발광층은 서로 접촉하여 적층되어도 좋고, 또는 분리층을 개재하여 적층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형광층과 인광층 사이에 분리층이 제공되어도 좋다.
분리층은 예를 들어, 인광층에서 생성되는 여기 상태의 인광 재료 등으로부터 형광층 내의 형광 재료 등으로의 덱스터 기구(Dexter mechanism)에 의한 에너지 이동(특히 삼중항 에너지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분리층의 두께는 수nm로 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분리층의 두께는 0.1nm 이상 20nm 이하, 1nm 이상 10nm 이하, 또는 1nm 이상 5nm 이하로 하여도 좋다. 분리층은, 단일의 재료(바람직하게는 바이폴라 물질) 또는 복수의 재료(바람직하게는 정공 수송성 재료 및 전자 수송성 재료)를 함유한다.
분리층은, 상기 분리층과 접촉되는 발광층에 함유되는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되어도 좋다. 이에 의하여, 발광 소자의 제작이 용이해지고 구동 전압이 저감된다. 예를 들어, 인광층이 호스트 재료, 어시스트 재료, 및 인광 재료(게스트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호스트 재료 및 어시스트 재료를 사용하여 분리층을 형성하여도 좋다. 바꿔 말하면, 상술한 구조에서 분리층은 인광 재료를 함유하지 않는 영역을 포함하고, 인광층은 인광 재료를 함유하는 영역을 포함한다. 따라서, 인광 재료를 사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분리층과 인광층을 각각 증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분리층과 인광층을 같은 체임버에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작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소자(830)는 하나의 EL층을 포함하는 싱글 소자이어도 좋고, 또는 EL층들이 전하 발생층을 개재하여 적층된 탠덤 소자이어도 좋다.
발광 소자는 방습성이 우수한 한 쌍의 절연막 사이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 발광 소자에 물 등 불순물이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표시 패널의 신뢰성의 저하가 억제된다.
절연층(815) 및 절연층(816)으로서는 예를 들어, 산화 실리콘막, 산화 질화 실리콘막, 또는 산화 알루미늄막 등의 무기 절연막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절연층(815)과 절연층(816)을 상이한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절연층(817)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아크릴, 폴리아마이드, 폴리이미드아마이드, 또는 벤조사이클로뷰텐계 수지 등의 유기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저유전율 재료(low-k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절연막을 적층함으로써 각 절연층을 형성하여도 좋다.
절연층(821)은 유기 절연 재료 또는 무기 절연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한다.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마이드 수지, 아크릴 수지, 실록산 수지, 에폭시 수지, 또는 페놀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절연층(821)은, 감광성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하부 전극(831) 위에 개구부를 가지도록 형성하고, 개구부의 측벽이 연속된 곡률을 가지는 경사면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절연층(821)의 형성 방법에 특별한 한정은 없고, 포토리소그래피법, 스퍼터링법, 증착법, 액적 토출법(예를 들어, 잉크젯법), 또는 인쇄법(예를 들어, 스크린 인쇄법 또는 오프셋 인쇄법)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의 전극 또는 배선, 또는 발광 소자의 보조 전극 등으로서 기능하는, 표시 패널에 사용되는 도전층은 몰리브데넘, 타이타늄, 크로뮴, 탄탈럼, 텅스텐, 알루미늄, 구리, 네오디뮴, 및 스칸듐 등의 금속 재료 중 어느 것, 및 이들 원소 중 어느 것을 함유하는 합금 재료를 사용하여 단층 구조 또는 적층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도전층은 도전성 금속 산화물을 사용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도전성 금속 산화물로서는 산화 인듐(예를 들어, In2O3), 산화 주석(예를 들어, SnO2), ZnO, ITO, 인듐 아연 산화물(예를 들어, In2O3-ZnO), 또는 이들 금속 산화물 재료 중 어느 것에 산화 실리콘이 함유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착색층은 특정한 파장범위의 광을 투과시키는 유색층이다. 예를 들어, 적색, 녹색, 청색, 또는 황색의 파장범위의 광을 투과시키는 컬러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각 착색층은 다양한 재료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 인쇄법, 잉크젯법, 또는 포토리소그래피법을 사용한 에칭법 등에 의하여 원하는 위치에 형성한다. 백색의 부화소에서는 투명 수지 또는 백색 수지 등의 수지를 발광 소자와 중첩되도록 제공하여도 좋다.
차광층은, 인접한 착색층들 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차광층은 인접한 발광 소자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차단하여, 인접한 발광 소자들 간의 혼색을 억제한다. 여기서, 착색층을 그 단부가 차광층과 중첩되도록 제공함으로써, 광 누설을 저감할 수 있다. 차광층으로서는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을 차단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금속 재료, 안료, 또는 염료를 함유하는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한다. 또한, 차광층을 구동 회로부 등 표시부 외의 영역에 제공하면, 도파광 등의 원하지 않은 누설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착색층 및 차광층을 덮는 오버코트를 제공하여도 좋다. 오버코트에 의하여 착색층에 함유되는 불순물 등이 발광 소자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오버코트는 발광 소자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재료로 형성하고, 예를 들어 질화 실리콘막 또는 산화 실리콘막 등의 무기 절연막, 아크릴막 또는 폴리이미드막 등의 유기 절연막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유기 절연막과 무기 절연막의 적층 구조를 채용하여도 좋다.
착색층 및 차광층의 상면을 접착층의 재료로 덮는 경우, 오버코트의 재료로서는 접착층의 재료에 대하여 습윤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오버코트로서 ITO막 등의 산화물 도전막 또는 광을 투과시킬 정도로 얇은 Ag막 등의 금속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로서는 다양한 이방성 도전 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 및 이방성 도전 페이스트(ACP: anisotropic conductive paste) 등 중 어느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다른 임의의 실시형태와 적절히 조합될 수 있다.
(실시형태 5)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터치 패널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기재된 표시 패널의 구성 요소와 비슷한 터치 패널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상술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을 예시하지만,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형태에 예를 나타낸, 다른 소자(예를 들어, 표시 소자)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을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 사용할 수도 있다.
[구조예 1]
도 21의 (A)는 터치 패널의 상면도이다. 도 21의 (B)는 도 21의 (A)의 일점쇄선 A-B 및 일점쇄선 C-D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1의 (C)는 도 21의 (A)의 일점쇄선 E-F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1의 (A)에 도시된 터치 패널(390)은 표시부(301)(입력부로도 기능함), 주사선 구동 회로(303g(1)), 촬상 화소 구동 회로(303g(2)), 화상 신호선 구동 회로(303s(1)), 및 촬상 신호선 구동 회로(303s(2))를 포함한다.
표시부(301)는 복수의 화소(302) 및 복수의 촬상 화소(308)를 포함한다.
화소(302)는 복수의 부화소를 포함한다. 각 부화소는 발광 소자 및 화소 회로를 포함한다.
화소 회로는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화소 회로는 선택 신호가 공급되는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화소 회로는 화상 신호가 공급되는 배선과도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주사선 구동 회로(303g(1))는 화소(302)에 선택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화상 신호선 구동 회로(303s(1))는 화소(302)에 화상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촬상 화소(308)를 사용하여 터치 센서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상 화소(308)는 표시부(301)에서의 손가락 등의 접촉을 검지할 수 있다.
촬상 화소(308)는 광전 변환 소자 및 촬상 화소 회로를 포함한다.
촬상 화소 회로는 광전 변환 소자를 구동할 수 있다. 촬상 화소 회로는 제어 신호가 공급되는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촬상 화소 회로는 전원 전위가 공급되는 배선과도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어 신호의 예에는 기록된 촬상 신호를 판독하는 촬상 화소 회로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 촬상 화소 회로를 초기화하기 위한 신호, 및 촬상 화소 회로가 광을 검지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신호가 포함된다.
촬상 화소 구동 회로(303g(2))는 촬상 화소(308)에 제어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촬상 신호선 구동 회로(303s(2))는 촬상 신호를 판독할 수 있다.
도 21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패널(390)은 기판(701), 접착층(703), 절연층(705), 기판(711), 접착층(713), 및 절연층(715)을 포함한다. 기판들(701 및 711)은 접착층(360)에 의하여 서로 접합된다.
기판(701)과 절연층(705)은 접착층(703)에 의하여 서로 접합된다. 기판(711)과 절연층(715)은 접착층(713)에 의하여 서로 접합된다.
기판(701 및 711)은 플렉시블한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 접착층, 및 절연층에 사용하는 재료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2를 참조할 수 있다.
각 화소(302)는 부화소(302R), 부화소(302G), 및 부화소(302B)를 포함한다(도 21의 (C) 참조). 부화소(302R)는 발광 모듈(380R)을 포함하고, 부화소(302G)는 발광 모듈(380G)을 포함하고, 부화소(302B)는 발광 모듈(380B)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부화소(302R)는 발광 소자(350R) 및 화소 회로를 포함한다. 화소 회로는 발광 소자(350R)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트랜지스터(302t)를 포함한다. 또한, 발광 모듈(380R)은 발광 소자(350R) 및 광학 소자(예를 들어, 적색의 광을 투과시키는 착색층(367R))를 포함한다.
발광 소자(350R)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하부 전극(351R), EL층(353), 및 상부 전극(352)을 포함한다(도 21의 (C) 참조).
EL층(353)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 1 EL층(353a), 중간층(354), 및 제 2 EL층(353b)을 포함한다.
또한, 특정한 파장의 광을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캐비티 구조를 발광 모듈(380R)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한 파장의 광을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가시광을 반사하는 막과 가시광을 부분적으로 반사하며 부분적으로 투과시키는 막 사이에, EL층을 제공하여도 좋다.
발광 모듈(380R)은 예를 들어, 발광 소자(350R) 및 착색층(367R)과 접촉되는 접착층(360)을 포함한다.
착색층(367R)은 발광 소자(350R)와 중첩되는 영역에 위치한다. 따라서, 발광 소자(350R)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일부는 접착층(360) 및 착색층(367R)을 통과하고, 도 21의 (B) 또는 (C)에서 화살표로 가리킨 바와 같이 발광 모듈(380R)의 외측으로 방출된다.
터치 패널(390)은 차광층(367BM)을 포함한다. 차광층(367BM)은 착색층(예를 들어, 착색층(367R))을 둘러싸도록 제공된다.
터치 패널(390)은 표시부(301)와 중첩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반사 방지층(367p)을 포함한다. 반사 방지층(367p)으로서는, 예를 들어, 원편광판을 사용할 수 있다.
터치 패널(390)은 절연층(321)을 포함한다. 절연층(321)은 트랜지스터(302t) 등을 덮는다. 또한, 절연층(321)은 화소 회로 및 촬상 화소 회로에 기인하는 요철을 덮기 위한 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절연층(321)으로서는, 트랜지스터(302t) 등으로의 불순물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는 층이 적층된 절연층을 사용할 수 있다.
터치 패널(390)은 하부 전극(351R)의 단부와 중첩되는 칸막이(328)를 포함한다. 또한, 칸막이(328) 상에는 기판(701)과 기판(711) 사이의 거리를 제어하는 스페이서(329)가 제공된다.
화상 신호선 구동 회로(303s(1))는 트랜지스터(303t) 및 커패시터(303c)를 포함한다. 또한, 구동 회로는 화소 회로와 같은 공정에서, 같은 기판 위에 형성할 수 있다. 도 2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303t)는 절연층(321) 위에 제 2 게이트(304)를 포함하여도 좋다. 제 2 게이트(304)는 트랜지스터(303t)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시켜도 좋고, 또는 이들 게이트에 상이한 전위를 공급하여도 좋다. 또는, 필요하다면, 트랜지스터(308t) 또는 트랜지스터(302t) 등에 제 2 게이트(304)를 제공하여도 좋다.
촬상 화소들(308)의 각각은 광전 변환 소자(308p) 및 촬상 화소 회로를 포함한다. 촬상 화소 회로는 광전 변환 소자(308p)에 의하여 받은 광을 검지할 수 있다. 촬상 화소 회로는 트랜지스터(308t)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PIN 포토다이오드를 광전 변환 소자(308p)로서 사용할 수 있다.
터치 패널(390)은 신호가 공급되는 배선(311)을 포함한다. 배선(311)에는 단자(319)가 제공된다. 또한, 단자(319)에는 화상 신호 또는 동기 신호 등의 신호가 공급되는 FPC(309)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FPC(309)에는 PWB(printed wiring board)가 부착되어도 좋다.
또한, 트랜지스터(302t, 303t, 및 308t) 등의 트랜지스터는 같은 공정에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트랜지스터들을 상이한 공정에서 형성하여도 좋다.
[구조예 2]
도 22의 (A) 및 (B)는 터치 패널(505A)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22의 (A) 및 (B)에는 간략화를 위하여 주된 구성 요소만을 도시하였다. 도 23의 (A)는 도 22의 (A)의 일점쇄선 G-H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패널(505A)은 표시부(501), 주사선 구동 회로(303g(1)), 및 터치 센서(595) 등을 포함한다. 또한, 터치 패널(505A)은 기판(701), 기판(711), 및 기판(590)을 포함한다.
터치 패널(505A)은 복수의 화소 및 복수의 배선(311)을 포함한다. 복수의 배선(311)은 화소에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복수의 배선(311)은 기판(701)의 주변부로 리드되고, 복수의 배선(311)의 일부가 단자(319)를 형성한다. 단자(319)는 FPC(509(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터치 패널(505A)은 터치 센서(595) 및 복수의 배선(598)을 포함한다. 복수의 배선(598)은 터치 센서(59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복수의 배선(598)은 기판(590)의 주변부로 리드되고, 복수의 배선(598)의 일부가 단자를 형성한다. 단자는 FPC(509(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도 22의 (B)에서는 명료화를 위하여, 기판(590)의 뒤쪽(기판(701)과 마주 보는 쪽)에 제공되는 터치 센서(595)의 전극 및 배선 등을 실선으로 나타내었다.
터치 센서(595)로서는 예를 들어, 정전식(capacitive) 터치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정전식 터치 센서의 예에는 표면형 정전식 터치 센서 및 투영형 정전식 터치 센서가 포함된다. 여기서는 투영형 정전식 터치 센서를 사용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투영형 정전식 터치 센서의 예에는 주로 구동 방식이 상이한 자기 정전식 터치 센서 및 상호 정전식 터치 센서가 포함된다. 상호 정전식을 사용하면, 여러 지점을 동시에 검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터치 센서(595)로서는 손가락 등의 검지 대상의 근접 또는 접촉을 검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투영형 정전식 터치 센서(595)는 전극(591) 및 전극(592)을 포함한다. 전극(591)은 복수의 배선(598) 중 어느 것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전극(592)은 다른 배선(598) 중 어느 것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극들(592)의 각각은 도 2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변형의 한 모서리가 다른 사변형의 하나의 모서리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사변형의 한 방향으로 배치된 형상을 가진다.
전극들(591)의 각각은 사변형의 형상을 가지고, 전극(592)이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전극(591)을 반드시 하나의 전극(59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할 필요는 없고, 90도 미만의 각도로 하나의 전극(592)과 교차하도록 배치하여도 좋다.
배선(594)은 전극(592)과 교차한다. 배선(594)은 전극(592)이 사이에 위치하는 2개의 전극(591)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전극(592)과 배선(594)의 교차 면적은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전극이 제공되지 않는 영역의 면적을 축소시킬 수 있어, 투과율의 불균일이 저감된다. 그 결과, 터치 센서(595)로부터의 광의 휘도의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전극(591) 및 전극(592)의 형상은 상술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 중 어느 것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극(591)을, 전극들(591) 사이의 공간이 가능한 한 작아지도록 배치하고, 전극(591)과 전극(592) 사이에 절연층을 개재하여 복수의 전극(592)을, 전극(591)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이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하여 제공하여도 좋다. 그 경우, 인접하는 2개의 전극(592) 사이에 이들 전극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 더미 전극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써, 투과율이 상이한 영역의 면적을 축소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595)의 더 구체적인 구조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패널(505A)은 기판(701), 접착층(703), 절연층(705), 기판(711), 접착층(713), 및 절연층(715)을 포함한다. 기판들(701 및 711)은 접착층(360)에 의하여 서로 접합된다.
터치 센서(595)가 표시부(501)와 중첩되도록, 접착층(597)에 의하여 기판(590)이 기판(711)에 접합된다. 접착층(597)은 광을 투과시킨다.
전극(591) 및 전극(592)은 광을 투과시키는 도전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투광성 도전 재료로서는, 산화 인듐, 인듐 주석 산화물, 인듐 아연 산화물, 산화 아연, 또는 갈륨이 첨가된 산화 아연 등의 도전성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그래핀을 포함하는 막을 사용하여도 좋다. 그래핀을 포함하는 막은 예를 들어, 산화 그래핀을 포함하는 막을 환원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환원 방법으로서는, 열을 가하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전극(591), 전극(592), 및 배선(594) 등의 도전막, 즉 터치 패널에서의 배선 및 전극에 사용하는 재료의 저항은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재료의 예에는 ITO, 인듐 주석 산화물, ZnO, 은, 구리, 알루미늄, 카본 나노튜브, 및 그래핀이 포함된다. 또는, 폭이 매우 작은(예를 들어, 직경 수nm) 다수의 도전체를 포함하는 금속 나노와이어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금속 나노와이어, 카본 나노튜브, 또는 그래핀 등은 투과율이 높기 때문에, 표시 소자의 전극, 예를 들어 화소 전극 또는 공통 전극에 사용하여도 좋다.
전극(591) 및 전극(592)은 스퍼터링법에 의하여 기판(590)에 투광성 도전 재료를 퇴적한 다음, 포토리소그래피 등의 다양한 패터닝 기술에 의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형성하여도 좋다.
전극(591) 및 전극(592)은 절연층(593)으로 덮인다. 또한, 절연층(593)에는 전극(591)에 도달하는 개구가 형성되고, 배선(594)에 의하여 인접한 전극들(591)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터치 패널의 개구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배선(594)으로서는 투광성 도전 재료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저항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배선(594)에는 전극(591) 및 전극(592)의 도전성보다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595)를 보호하기 위하여 절연층(593) 및 배선(594)을 덮는 절연층을 제공하여도 좋다.
또한, 접속층(599)에 의하여 배선(598)이 FPC(509(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표시부(501)는 매트릭스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각 화소는 구조예 1과 같은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다양한 종류의 트랜지스터 중 어느 것을 터치 패널에 사용할 수 있다. 보텀 게이트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경우의 구조를 도 23의 (A) 및 (B)에 도시하였다.
예를 들어, 산화물 반도체 또는 비정질 실리콘 등을 함유하는 반도체층을 도 23의 (A)에 도시된 트랜지스터(302t) 및 트랜지스터(303t)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 어닐링 등의 결정화 처리에 의하여 얻어진 다결정 실리콘을 함유하는 반도체층을 도 23의 (B)에 도시된 트랜지스터(302t) 및 트랜지스터(303t)에 사용할 수 있다.
톱 게이트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경우의 구조를 도 23의 (C)에 도시하였다.
예를 들어, 다결정 실리콘, 또는 단결정 실리콘 기판으로부터 전치된 단결정 실리콘막 등을 포함하는 반도체층을 도 23의 (C)에 도시된 트랜지스터(302t) 및 트랜지스터(303t)에 사용할 수 있다.
[구조예 3]
도 24의 (A) 내지 (C)는 터치 패널(505B)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기재된 터치 패널(505B)은, 트랜지스터가 제공되어 있는 측에 수신된 화상 데이터가 표시되는 점, 표시부의 기판(701) 측에 터치 센서가 제공되어 있는 점, 그리고 FPC(509(2))가 FPC(509(1))와 같은 측에 제공되어 있는 점에서 구조예 2의 터치 패널(505A)과 다르다.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다른 비슷한 구조에 대해서는 상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착색층(367R)은 발광 소자(350R)와 중첩되는 영역에 위치한다. 도 24의 (A)에 도시된 발광 소자(350R)는 트랜지스터(302t)가 제공되어 있는 측으로 광을 방출한다. 따라서, 발광 소자(350R)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일부는 착색층(367R)을 통과하고, 도 24의 (A)에서 화살표로 가리킨 바와 같이 발광 모듈(380R)의 외측으로 방출된다.
터치 패널(505B)은 광 추출 측에 차광층(367BM)을 포함한다. 차광층(367BM)은 착색층(예를 들어, 착색층(367R))을 둘러싸도록 제공된다.
터치 센서(595)는 기판(711) 측이 아니라, 기판(701) 측에 제공된다(도 24의 (A) 참조).
터치 센서(595)가 표시부와 중첩되도록, 접착층(597)에 의하여 기판(590)이 기판(701)에 접합된다. 접착층(597)은 광을 투과시킨다.
또한, 표시부(501)에 보텀 게이트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경우의 구조를 도 24의 (A) 및 (B)에 도시하였다.
예를 들어, 산화물 반도체 또는 비정질 실리콘 등을 함유하는 반도체층을 도 24의 (A)에 도시된 트랜지스터(302t) 및 트랜지스터(303t)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결정 실리콘을 함유하는 반도체층을 도 24의 (B)에 도시된 트랜지스터(302t) 및 트랜지스터(303t)에 사용할 수 있다.
톱 게이트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경우의 구조를 도 24의 (C)에 도시하였다.
예를 들어, 다결정 실리콘 또는 전치된 단결정 실리콘막 등을 함유하는 반도체층을 도 24의 (C)에 도시된 트랜지스터(302t) 및 트랜지스터(303t)에 사용할 수 있다.
[터치 센서의 구조예]
이하에서는, 터치 센서(595)의 더 구체적인 구조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5의 (A)는 터치 센서(595)의 상면 개략도이다. 터치 센서(595)는 기판(590) 위에 복수의 전극(531), 복수의 전극(532), 복수의 배선(541), 및 복수의 배선(542)을 포함한다. 기판(590)에는 복수의 배선(541) 및 복수의 배선(542)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FPC(550)가 제공되어 있다.
도 25의 (B)는 도 25의 (A)의 일점쇄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확대도를 나타낸 것이다. 전극들(531)의 각각은 마름모형의 전극 패턴들이 이 도면의 가로 방향으로 연속하여 정렬된 형상이다. 일렬로 정렬된 마름모형의 전극 패턴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극들(532)의 각각 또한, 마름모형의 전극 패턴들이 이 도면의 세로 방향으로 정렬된 형상이고, 일렬로 정렬된 마름모형의 전극 패턴들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극(531)의 일부와 전극(532)의 일부는 중첩되고 서로 교차한다. 이 교차 부분에서는, 전극(531)과 전극(532) 간의 전기적인 단락(쇼트)을 피하기 위하여 절연체가 끼워져 있다.
도 2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들(532)이 복수의 섬 형상의 마름모형의 전극(533) 및 브리지 전극(534)을 형성하여도 좋다. 복수의 섬 형상의 마름모형의 전극(533)은 이 도면의 세로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고, 2개의 인접한 전극(533)은 브리지 전극(534)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같은 도전막을 가공하여 전극(533)과 전극(531)을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하여, 이들 막의 두께가 달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장소에 따라 각 전극의 저항값 및 광 투과율이 달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전극(532)이 브리지 전극(534)을 포함하고 있지만, 전극(531)이 이러한 구조를 가져도 좋다.
도 25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25의 (B)에 나타낸 전극(531 및 532)의 마름모형의 전극 패턴을 도려내어 윤곽 부분만을 남긴 형태로 하여도 좋다. 이때, 전극(531) 및 전극(532)의 폭이 작아서 사용자가 볼 수 없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금속 또는 합금 등 차광성 재료를 사용하여 전극(531) 및 전극(532)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5의 (D)에 나타낸 전극(531) 및 전극(532)의 어느 쪽이 상술한 브리지 전극(534)을 포함하여도 좋다.
전극들(531) 중 하나는 배선들(541)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극들(532) 중 하나는 배선들(542)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터치 센서(595)를 표시 패널의 표시면 위에 중첩시켜 터치 패널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전극(531) 및 전극(532)에 투광성 도전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531) 및 전극(532)에 투광성 도전 재료를 사용하고 표시 패널로부터의 광이 전극(531) 또는 전극(532)을 통하여 추출되는 경우에는, 전극(531)과 전극(532) 사이에 같은 도전 재료를 함유하는 도전막을 더미 패턴으로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531)과 전극(532) 사이의 공간의 일부를 더미 패턴으로 메움으로써 광 투과율의 편차를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터치 센서(595)를 투과하는 광의 휘도의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
투광성 도전 재료로서는, 산화 인듐, 인듐 주석 산화물, 인듐 아연 산화물, 산화 아연, 또는 갈륨이 첨가된 산화 아연 등의 도전성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그래핀을 포함하는 막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래핀을 포함하는 막은 예를 들어, 산화 그래핀을 함유하는 막을 환원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환원 방법으로서는, 열을 가하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는, 투광성을 가질 정도로 얇은 금속막 또는 합금막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 은, 백금, 마그네슘, 니켈, 텅스텐, 크로뮴, 몰리브데넘, 철, 코발트, 구리, 팔라듐, 또는 타이타늄 등의 금속 재료, 또는 이들 금속 재료 중 어느 것을 함유하는 합금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금속 재료 또는 합금 재료의 질화물(예를 들어, 질화 타이타늄)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는, 상술한 재료를 함유하는 도전막을 2개 이상 적층한 적층막을 사용하여도 좋다.
전극(531) 및 전극(532)에는 사용자가 볼 수 없을 정도로 얇게 가공된 도전막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러한 도전막을 격자 형상(메시 형상)으로 가공함으로써, 예를 들어 높은 도전성과 표시 장치의 높은 시인성을 실현할 수 있다. 도전막은 폭이 30nm 이상 100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50nm 이상 50μ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0nm 이상 20μm 이하인 부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패턴 폭이 10μm 이하인 도전막은, 사용자가 보기 매우 어려우므로 바람직하다.
일례로서, 전극(531) 또는 전극(532)의 일부(도 25의 (B)의 일점쇄선으로 형성된 동그라미 안의 부분)를 확장한 개략도를 도 26의 (A) 내지 (D)에 나타내었다. 도 26의 (A)는 격자 형상의 도전막(561)을 사용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격자 형상의 도전막(561)을,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표시 소자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하면, 표시 장치로부터의 광이 차단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이 경우, 격자의 방향이 표시 소자의 배열의 방향과 같게 되도록 하고, 격자의 피치를 표시 소자의 배열의 피치의 정수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6의 (B)는, 삼각형의 개구가 제공되도록 가공된 격자 형상의 도전막(562)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도 26의 (A)에 나타낸 구조에 비하여 저항을 더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2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불규칙한 패턴 형상을 가지는 도전막(563)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표시 장치의 표시부와 중첩시켰을 때에, 모아레(moire)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모아레란, 균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가는 도전막들 등을 외광 등이 통과할 때, 또는 상기 도전막들에 의하여 외광이 반사될 때에 회절 또는 간섭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간섭 무늬를 말한다.
전극(531) 및 전극(532)에는 도전성 나노와이어를 사용하여도 좋다. 도 26의 (D)는 나노와이어(564)를 사용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나노와이어(564)를, 인접한 나노와이어와 접촉되도록 적절한 밀도로 분산시키면 이차원적인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투광성이 매우 높은 도전막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경의 평균값이 1nm 이상 100nm 이하, 바람직하게는 5nm 이상 50n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nm 이상 25nm 이하의 나노와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 나노와이어(564)로서는 Ag 나노와이어, Cu 나노와이어, 및 Al 나노와이어 등의 금속 나노와이어, 또는 카본 나노튜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Ag 나노와이어를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광 투과율은 89% 이상, 시트 저항값은 40Ω/sq. 이상 100Ω/sq. 이하로 할 수 있다.
도 25의 (A) 등에는, 전극(531) 및 전극(532)의 상면 형상으로서, 복수의 마름모형이 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전극(531) 및 전극(53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벨트 형상(장방형), 곡선을 가지는 벨트 형상, 및 지그재그 형상 등, 다양한 상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한 전극(531)과 전극(532)을 나타내었지만, 이들을 반드시 직교하도록 배치할 필요는 없고, 2개의 전극이 이루는 각이 90도 미만이어도 좋다.
도 27의 (A) 내지 (C)는 전극(531) 및 전극(532) 대신에 세선(細線) 형상의 상면 형상을 가지는 전극(536) 및 전극(537)을 사용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7의 (A)는, 선 형상의 전극(536 및 537)이 격자 형상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7의 (B)는 전극(536) 및 전극(537)이 지그재그 형상의 상면 형상을 가지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536)과 전극(537)을, 직선 부분의 중심에서 교차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직선 부분의 중심이 서로 다른 위치에 있도록 배치함으로써, 전극(536)과 전극(537)의 평행하게 근접하여 마주 보는 부분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이는 전극들 사이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감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는, 도 27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536) 및 전극(537)을, 지그재그 형상의 직선 부분의 일부가 돌출한 형태로 배치하면, 직선 부분의 중심들이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도, 서로 마주 보는 부분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어 전극들 사이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8의 (A) 내지 (C)는 도 27의 (B)의 일점쇄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확대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8의 (D) 내지 (F)는 도 27의 (C)의 일점쇄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확대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 도면에는 전극(536), 전극(537), 및 전극(536)과 전극(537)이 교차하는 교차부(538)를 도시하였다. 도 28의 (A) 및 (D)에 나타낸 전극(536) 및 전극(537)의 직선 부분은, 도 28의 (B) 및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이 있는 모서리를 가지도록 굽이치는 사행(蛇行) 형상을 가져도 좋고, 또는 도 28의 (C) 및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굽이치는 사행 형상이어도 좋다.
[구조예 4]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패널(500TP)은 서로 중첩되어 있는 표시부(500)와 입력부(600)를 포함한다. 도 30은 도 29의 일점쇄선 Z1-Z2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터치 패널(500TP)에 포함되는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또한, 이들 구성 요소를 명확히 구별할 수는 없고,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도 기능하거나 또는 다른 구성 요소의 일부를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입력부(600)가 표시부(500)와 중첩되는 터치 패널(500TP)을 터치 패널이라고도 한다.
입력부(600)는 매트릭스로 배치된 복수의 검지 유닛(602)을 포함한다. 또한, 입력부(600)는 선택 신호선(GL), 제어선(RES), 및 신호선(DL) 등을 포함한다.
선택 신호선(GL) 및 제어선(RES)은 행 방향(도 29에서 화살표(R)로 가리킴)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검지 유닛(60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신호선(DL)은 열 방향(도 29에서 화살표(C)로 가리킴)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검지 유닛(60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검지 유닛(602)은 이에 가까운 또는 이와 접촉되어 있는 물체를 검지하고, 검지 신호를 공급한다. 예를 들어, 검지 유닛(602)은 예를 들어, 용량, 조도, 자기력, 전파, 또는 압력을 검지하고, 검지한 물리량에 기초한 데이터를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검지 소자로서 커패시터, 광전 변환 소자, 자기 검지 소자, 압전 소자, 또는 공명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검지 유닛(602)은, 예를 들어 검지 유닛(602)과 이에 가까운 물체 또는 이와 접촉되어 있는 물체 사이의 용량의 변화를 검지한다.
또한 대기 중에서 손가락 등, 대기보다 유전율이 높은 물체가 도전막에 가까워지면, 손가락과 도전막 사이의 용량이 변화된다. 검지 유닛(602)은 용량의 변화를 검지하고, 검지 데이터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전기 용량의 변화로 인하여 도전막과 커패시터 사이에서 전하의 분배가 일어나기 때문에, 커패시터에서 전압이 변화된다. 이 전압의 변화를 검지 신호로서 사용할 수 있다.
검지 유닛(602)에는 검지 회로가 제공된다. 검지 회로는 선택 신호선(GL), 제어선(RES), 또는 신호선(DL) 등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검지 회로는 트랜지스터 및/또는 검지 소자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전막, 및 도전막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패시터를 검지 회로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커패시터, 및 커패시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트랜지스터를 검지 회로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층(653), 및 절연층(653)을 사이에 개재하는 제 1 전극(651) 및 제 2 전극(652)을 포함하는 커패시터(650)를 검지 회로에 사용할 수 있다(도 30 참조). 구체적으로, 커패시터(650)의 하나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도전막에 물체가 근접하면, 커패시터(650)의 전극들 사이의 전압이 변화한다.
검지 유닛(602)은 제어 신호에 따라 온 또는 오프가 될 수 있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스위치로서 트랜지스터(M12)를 사용할 수 있다.
검지 신호를 증폭하는 트랜지스터를 검지 유닛(602)에 사용할 수 있다.
스위치, 및 검지 신호를 증폭하는 트랜지스터로서, 같은 공정을 거쳐 제작되는 트랜지스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간략화된 공정을 거쳐 입력부(600)를 제공할 수 있다.
검지 유닛(602)은 매트릭스로 배치된 복수의 창문부(667)를 포함한다. 창문부(667)는 가시광을 투과시킨다. 창문부들(667) 사이에 차광층(BM)을 제공하여도 좋다.
터치 패널(500TP)에서 창문부(667)와 중첩되는 위치에는 착색층이 제공된다. 착색층은 소정의 색의 광을 투과시킨다. 또한, 착색층을 컬러 필터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색의 광을 투과시키는 착색층(367B), 녹색의 광을 투과시키는 착색층(367G), 및 적색의 광을 투과시키는 착색층(367R)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황색의 광 또는 백색의 광을 투과시키는 착색층을 사용하여도 좋다.
표시부(500)는 매트릭스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302)를 포함한다. 화소(302)는 입력부(600)의 창문부(667)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화소(302)는 검지 유닛(602)보다 높은 밀도로 배치되어도 좋다. 각 화소는 구조예 1과 같은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터치 패널(500TP)은 매트릭스로 배치된 복수의 검지 유닛(602) 및 가시광을 투과시키는 창문부(667)를 포함하는 입력부(600), 창문부(667)와 중첩되는 복수의 화소(302)를 포함하는 표시부(500), 및 창문부(667)와 화소(302) 사이의 착색층을 포함한다. 각 검지 유닛은 다른 검지 유닛에 대한 간섭을 저감할 수 있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각 검지 유닛에 의하여 얻어진 검지 데이터를 검지 유닛의 위치 정보와 함께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소의 위치 데이터에 관련지어 검지 데이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검지 데이터를 공급하지 않는 검지 유닛을 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지 않음으로써, 검지 신호를 공급하는 검지 유닛에 대한 간섭을 저감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편리성이 높거나, 신뢰성이 높은 신규 터치 패널(500TP)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500TP)의 입력부(600)는 검지 데이터를 검지할 수 있고, 검지 데이터를 위치 데이터와 함께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패널(500TP)의 사용자는 입력부(600)에 대하여 손가락 등을 포인터로서 사용하여 다양한 제스처(예를 들어, 탭, 드래그, 스와이프, 및 핀치인 조작)를 할 수 있다.
입력부(600)는 입력부(600)에 근접하거나 또는 접촉되어 있는 손가락 등을 검지하고, 검지한 위치 또는 경로 등을 포함하는 검지 데이터를 공급할 수 있다.
연산 유닛은 공급된 데이터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프로그램 등에 기초하여 판단하고, 소정의 제스처와 관련지은 명령을 실행한다.
따라서, 입력부(600)의 사용자는 손가락 등으로 소정의 제스처를 하여, 연산 유닛에 의하여 제스처와 관련지은 명령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저 터치 패널(500TP)의 입력부(600)는 하나의 신호선에 검지 데이터를 공급할 수 있는 복수의 검지 유닛으로부터 하나의 검지 유닛(X)을 선택한다. 그리고, 검지 유닛(X) 외의 검지 유닛과 신호선을 전기적 연속성이 없는 상태로 한다. 이에 의하여 검지 유닛(X)에 대한 다른 검지 유닛의 간섭을 저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지 유닛(X)의 검지 소자에 대한 다른 검지 유닛의 검지 소자의 간섭을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패시터, 및 커패시터의 하나의 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도전막을 검지 소자에 사용하는 경우, 검지 유닛(X)의 도전막의 전위에 대한 다른 검지 유닛의 도전막의 전위의 간섭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패널(500TP)은 그 사이즈에 의존하지 않고 검지 유닛을 구동하고, 검지 데이터를 공급할 수 있다. 터치 패널(500TP)의 크기는 예를 들어, 핸드헬드 장치의 크기에서 전자 흑판의 크기까지 다양하게 할 수 있다.
터치 패널(500TP)은 접고 펼칠 수 있다. 검지 유닛(X)에 대한 다른 검지 유닛의 간섭이 접은 상태와 펼친 상태에서 상이한 경우에도, 터치 패널(500TP)의 상태에 의존하지 않고 검지 유닛을 구동하고, 검지 데이터를 공급할 수 있다.
터치 패널(500TP)의 표시부(500)에는 표시 데이터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산 유닛은 표시 데이터를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더하여, 터치 패널(500TP)은 이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터치 패널(500TP)은 구동 회로(603g) 또는 구동 회로(603d)를 포함하여도 좋다. 또한, 터치 패널(500TP)을 FPC1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도 좋다.
구동 회로(603g)는 예를 들어 소정의 타이밍에서 선택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회로(603g)는 선택 신호선(GL)에 행마다 소정의 순서로 선택 신호를 공급한다. 다양한 회로 중 임의의 것을 구동 회로(603g)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프트 레지스터, 플립플롭 회로, 또는 조합 회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동 회로(603d)는 검지 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검지 데이터를 공급한다. 다양한 회로 중 임의의 것을 구동 회로(603d)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지 유닛에서 검지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소스 폴로어 회로 또는 전류 미러 회로를 형성할 수 있는 회로를 구동 회로(603d)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검지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회로를 구동 회로(603d)에 제공하여도 좋다.
FPC1은 타이밍 신호 또는 전원 전위 등을 공급하고, 검지 신호를 공급받는다.
터치 패널(500TP)은 구동 회로(503g), 구동 회로(503s), 배선(311), 및 단자(319)를 포함하여도 좋다. 또한, 터치 패널(500TP)을 FPC2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도 좋다.
또한, 대미지를 방지하고, 터치 패널(500TP)을 보호하는 보호층(670)을 제공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세라믹 코트층 또는 하드 코트층을 보호층(670)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산화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층 또는 UV 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반투과형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반사형 액정 디스플레이의 경우, 화소 전극의 일부 또는 전부가 반사 전극으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어, 화소 전극의 일부 또는 전부를 알루미늄 또는 은 등을 함유하도록 형성한다.
또한, 반사 전극 아래에 SRAM 등의 기억 회로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전력의 저감으로 이어진다. 채용한 표시 소자에 적합한 구조를, 다양한 화소 회로의 구조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기재된 터치 패널은 실시형태 1 및 실시형태 3의 표시 장치(10)에 포함되는 표시 패널(100)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그 경우, 터치 패널(390) 및 터치 패널(505B) 등, 터치 패널에 접속된 복수의 FPC가 같은 측에서 추출되는 구조의 터치 패널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00) 대신에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경우, 표시 장치(10)를 입출력 장치라고 할 수 있다.
도 15의 (A)와 마찬가지로, 수지층(131)을 개재하여 본 실시형태에 기재된 복수의 터치 패널과 중첩되도록 보호 기판(132)을 제공하는 영우, 보호 기판(132)에 접합하는 수지층(131)은, 이들 터치 패널의 터치 센서(595)(또는 입력부(600))의 상면의 높이가 서로 같고, 이 상면이 보호 기판(132)에 평행하게 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출력 장치의 표면(즉, 보호 기판(132)의 표면)과 터치 패널의 터치 센서(595)(또는 입력부(600)) 사이의 거리를 같게 하면, 검출 감도의 위치 의존성(면내 편차라고도 함)을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적어도 일부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형태와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실시형태 6)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 및 조명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자 기기의 예에는, 텔레비전 수상기(텔레비전 또는 텔레비전 수신기라고도 함), 컴퓨터 등의 모니터,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액자, 휴대 전화기(휴대 전화 장치라고도 함), 휴대 게임기, 휴대 정보 단말기, 음향 재생 장치, 및 핀볼기 등의 대형 게임기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 또는 조명 장치는 가요성을 가지기 때문에, 집 또는 빌딩의 휘어진 내벽/외벽의 면, 또는 자동차의 휘어진 내장/외장의 면을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는 이차 전지를 포함하여도 좋다. 이차 전지는 비접촉 전력 전송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차 전지의 예로서는 겔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 폴리머 전지(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등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리튬 이온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유기 라디칼 전지, 납 축전지, 공기 이차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및 은 아연 전지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는 안테나를 포함하여도 좋다. 신호가 안테나에 의하여 수신되면, 전자 기기는 화상 또는 데이터 등을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기기가 이차 전지를 포함하는 경우, 안테나를 비접촉 전력 전송에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 패널의 수를 늘려서 표시 영역의 면적을 한없이 크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표시 장치는 디지털 사이니지 및 PID 등의 응용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의 배치를 바꿈으로써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윤곽을 다양한 형상 중 임의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31의 (A)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50)를 기둥(55) 및 벽(56)에 제공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표시 장치(50)에 포함되는 표시 패널(100)로서 플렉시블 표시 패널을 사용함으로써, 표시 장치(10)는 곡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특히,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디지털 사이니지 및 PID에 사용하는 경우, 표시 패널에 터치 패널을 사용하면, 표시 영역에 정지 화상 또는 동영상을 표시할 뿐만이 아니라 관찰자가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구조의 장치가 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노선 정보 및 교통 정보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데 사용하면, 직관적인 조작에 의하여 유용성이 높아질 수 있다. 표시 장치를 빌딩 및 공공시설 등의 벽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표시 패널에 터치 패널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
도 31의 (B) 내지 (E)는 곡면을 가지는 표시부(7000)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표시부(7000)의 표시면은 휘어져 있고, 휘어진 표시면에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7000)는 플렉시블하여도 좋다.
도 31의 (B) 내지 (E)의 전자 기기에 각각 포함되는 표시부(7000)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 등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도 31의 (B)는 휴대 전화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휴대 전화(7100)는 하우징(7101), 표시부(7000), 조작 버튼(7103), 외부 접속 포트(7104), 스피커(7105), 및 마이크로폰(7106) 등을 포함한다.
도 31의 (B)에 도시된 휴대 전화(7100)는 표시부(7000)에 터치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등으로 표시부(7000)를 터치함으로써 전화를 걸거나 문자를 입력하는 등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조작 버튼(7103)에 의하여 전원의 ON 또는 OFF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7000)에 표시되는 화상의 종류를 전환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메일 작성 화면에서 메인 메뉴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31의 (C)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텔레비전 수상기(7200)에서는, 표시부(7000)가 하우징(7201)에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는, 하우징(7201)이 스탠드(7203)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도 31의 (C)에 도시된 텔레비전 수상기(7200)는 하우징(7201)의 조작 스위치 또는 별체의 리모컨(7211)에 의하여 조작할 수 있다. 표시부(7000)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여도 좋다. 손가락 등으로 표시부(7000)를 터치함으로써, 텔레비전 수상기(7200)를 조작할 수 있다. 리모컨(7211)에, 리모컨(7211)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제공하여도 좋다. 리모컨(7211)의 조작 키 또는 터치 패널에 의하여 채널 및 음량을 제어할 수 있고, 표시부(7000)에 표시되는 화상을 제어할 수 있다.
텔레비전 수상기(7200)에는 수신기 및 모뎀 등이 제공되어 있다. 수신기에 의하여 일반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텔레비전 수상기를 모뎀을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함으로써, 단방향(송신자로부터 수신자) 또는 쌍방향(송신자와 수신자 사이 또는 수신자들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도 31의 (D)는 휴대 정보 단말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휴대 정보 단말기(7300)는 하우징(7301) 및 표시부(7000)를 포함한다. 휴대 정보 단말기(7300)는 조작 버튼, 외부 접속 포트, 스피커, 마이크로폰, 안테나, 또는 배터리 등을 포함하여도 좋다. 표시부(7000)에는 터치 센서가 제공된다. 휴대 정보 단말기(7300)의 조작은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등으로 표시부(7000)를 터치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도 31의 (D)는 휴대 정보 단말기(7300)의 사시도이다. 도 31의 (E)는 휴대 정보 단말기(7300)의 상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도시한 각 휴대 정보 단말기는 예를 들어, 전화기, 수첩, 및 정보 열람 시스템 중 하나 이상으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휴대 정보 단말기는 스마트폰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각 휴대 정보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 통화, 전자 메일, 문서의 열람 및 편집, 음악 재생, 인터넷 통신, 및 컴퓨터 게임 등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휴대 정보 단말기(7300)는 그 복수의 면에 문자 및 화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조작 버튼(7302)을 하나의 면에 표시할 수 있고, 직사각형으로 나타낸 데이터(7303)를 다른 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1의 (D) 및 (E)는 휴대 정보 단말기의 상부에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정보는 휴대 정보 단말기의 측면에 표시되어도 좋다. 정보는 휴대 정보 단말기의 3개 이상의 면에 표시되어도 좋다.
데이터의 예에는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로부터의 알림, 전자 메일의 수신 또는 전화의 착신을 나타내는 표시, 전자 메일 등의 제목, 전자 메일 등의 송신자, 날짜, 시각, 배터리 잔량, 및 안테나의 수신 강도 등이 포함된다. 데이터가 표시되는 위치에 데이터 대신에 조작 버튼 또는 아이콘 등을 표시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휴대 정보 단말기(7300)의 사용자는 자신의 옷의 가슴 주머니에 휴대 정보 단말기(7300)를 넣은 상태에서 그 표시(여기서는, 데이터(7303))를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착신한 전화의 발신자의 전화 번호 또는 이름 등을, 휴대 정보 단말기(7300)의 위쪽에서 볼 수 있는 위치에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 정보 단말기(7300)를 주머니에서 꺼내지 않고 표시를 보고 전화를 받을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1의 (F)는 휘어진 발광부를 가지는 조명 장치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1의 (F)에 도시된 조명 장치에 포함되는 발광부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도 31의 (F)에 도시된 조명 장치(7400)는 물결 형상의 발광면을 가지는 발광부(7402)를 포함하며, 디자인성이 높은 조명 장치이다.
조명 장치(7400)에 포함되는 발광부는 플렉시블하여도 좋다. 발광부의 발광면을 용도에 따라 자유로이 휠 수 있도록, 발광부를 플라스틱 부재 또는 가동 프레임 등에 고정하여도 좋다.
조명 장치(7400)는 조작 스위치(7403)가 제공된 스테이지(7401) 및 스테이지(7401)에 의하여 지지되는 발광부를 포함한다.
또한, 여기서는 일례로서 스테이지에 의하여 발광부가 지지된 조명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발광부가 제공된 하우징을 천장에 고정하거나 또는 천장에 매달 수 있다. 발광면은 휠 수 있기 때문에, 오목 형상을 가지도록 발광면을 휨으로써 특정한 영역을 밝게 비추거나, 또는 볼록 형상을 가지도록 발광면을 휨으로써 방 전체를 밝게 비출 수 있다.
도 32의 (A1), (A2), 및 (B) 내지 (I)는 가요성을 가지는 표시부(7001)를 포함하는 휴대 정보 단말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표시부(7001)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 등을 사용하여 제작된다. 예를 들어, 곡률 반경 0.01mm 이상 150mm 이하로 휠 수 있는 발광 장치,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표시부(7001)는 손가락 등으로 표시부(7001)를 터치함으로써 휴대 정보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터치 센서를 포함하여도 좋다.
도 32의 (A1)은 휴대 정보 단말기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2의 (B)는 휴대 정보 단말기의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휴대 정보 단말기(7500)는 하우징(7501), 표시부(7001), 표시부 손잡이(7502), 및 조작 버튼(7503) 등을 포함한다.
휴대 정보 단말기(7500)는 하우징(7501) 내에 만 플렉시블 표시부(7001)를 포함한다.
휴대 정보 단말기(7500)는 내장된 제어부에 의하여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영상을 표시부(7001)에 표시할 수 있다. 휴대 정보 단말기(7500)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영상 신호 또는 전력을 배선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직접 공급할 수 있도록, 커넥터를 접속하기 위한 단자부가 하우징(7501)에 포함되어도 좋다.
조작 버튼(7503)을 누름으로써, 전원의 ON/OFF 및 표시되는 영상의 전환 등을 행할 수 있다. 도 32의 (A1), (A2), 및 (B)는 조작 버튼(7503)이 휴대 정보 단말기(7500)의 측면에 위치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조작 버튼(7503)은 휴대 정보 단말기(7500)의 표시면(앞면) 또는 뒷면에 배치되어도 좋다.
도 32의 (B)는 표시부(7001)를 꺼낸 상태의 휴대 정보 단말기(7500)를 도시한 것이다. 이 상태에서 표시부(7001)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정보 단말기(7500)는, 도 32의 (A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7001)의 일부를 만 상태와, 도 3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 손잡이(7502)에 의하여 표시부(7001)를 꺼낸 상태에서 상이한 표시를 행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도 32의 (A1)에 나타낸 상태에서, 표시부(7001)에서 말려진 부분을 비표시 상태로 하면, 휴대 정보 단말기(7500)의 소비전력의 저감으로 이어진다.
꺼냈을 때에 표시부(7001)가 평탄한 표시면을 가지도록, 표시부(7001)의 측부에 보강 프레임을 제공하여도 좋다.
또한, 이 구조에 더하여, 영상 신호와 함께 수신한 음성 신호에 의하여 음성이 출력되도록, 하우징에 스피커를 제공하여도 좋다.
도 32의 (C) 내지 (E)는 접을 수 있는 휴대 정보 단말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2의 (C)는 펼친 휴대 정보 단말기(76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32의 (D)는 펼치거나 또는 접고 있는 휴대 정보 단말기(76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32의 (E)는 접은 휴대 정보 단말기(7600)를 도시한 것이다. 휴대 정보 단말기(7600)는 접었을 때는 가반성이 높고, 펼쳤을 때는 이음매가 없는 큰 표시 영역 때문에 일람성(一覽性)이 높다.
표시부(7001)는 샤프트(7602)로 연결된 3개의 하우징(7601)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샤프트(7602)를 이용하여 2개의 하우징(7601) 사이의 연결부에서 휴대 정보 단말기(7600)를 접어서, 휴대 정보 단말기(7600)를 펼친 상태로부터 접은 상태로 가역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도 32의 (F) 및 (G)는 접을 수 있는 휴대 정보 단말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2의 (F)는 표시부(7001)가 내측이 되도록 접은 휴대 정보 단말기(7650)를 도시한 것이다. 도 32의 (G)는 표시부(7001)가 외측이 되도록 접은 휴대 정보 단말기(7650)를 도시한 것이다. 휴대 정보 단말기(7650)는 표시부(7001) 및 비표시부(7651)를 포함한다. 휴대 정보 단말기(765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표시부(7001)가 내측이 되도록 휴대 정보 단말기(7650)를 접음으로써, 표시부(7001)가 더러워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2의 (H)는 플렉시블 휴대 정보 단말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휴대 정보 단말기(7700)는 하우징(7701) 및 표시부(7001)를 포함한다. 휴대 정보 단말기(7700)는 입력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버튼(7703a 및 7703b), 음성 출력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스피커(7704a 및 7704b), 외부 접속 포트(7705), 또는 마이크로폰(7706) 등을 포함하여도 좋다. 휴대 정보 단말기(7700)에는 플렉시블 배터리(7709)가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7709)는 표시부(7001)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하우징(7701), 표시부(7001), 및 배터리(7709)는 플렉시블하다. 따라서, 휴대 정보 단말기(7700)를 원하는 형상으로 휘거나 휴대 정보 단말기(7700)를 비틀어 구부리기 쉽다. 예를 들어, 표시부(7001)가 내측 또는 외측이 되도록 휴대 정보 단말기(7700)를 휠 수 있다. 휴대 정보 단말기(7700)는 만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7701) 및 표시부(7001)를 자유로이 변형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정보 단말기(7700)를 떨어뜨리거나 또는 휴대 정보 단말기(7700)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도 휴대 정보 단말기(7700)는 파손되기 어렵다.
휴대 정보 단말기(7700)는 가볍기 때문에, 휴대 정보 단말기(7700)를 다양한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7701) 상부를 클립 등에 매단 상태, 또는 하우징(7701)을 자석 등으로 벽에 고정한 상태에서 휴대 정보 단말기(770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2의 (I)는 손목시계형 휴대 정보 단말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휴대 정보 단말기(7800)는 밴드(7801), 표시부(7001), 입출력 단자(7802), 및 조작 버튼(7803) 등을 포함한다. 밴드(7801)는 하우징의 기능을 가진다. 휴대 정보 단말기(7800)에는 플렉시블 배터리(7805)를 탑재할 수 있다. 배터리(7805)는 예를 들어, 표시부(7001) 및 밴드(7801)와 중첩되어도 좋다.
밴드(7801), 표시부(7001), 및 배터리(7805)는 가요성을 가진다. 따라서, 휴대 정보 단말기(7800)는 원하는 형상으로 쉽게 휠 수 있다.
조작 버튼(7803)에 의하여 시각 설정, 전원의 ON/OFF, 무선 통신의 ON/OFF, 매너 모드의 설정 및 해제, 및 전력 절약 모드의 설정 및 해제 등 다양한 기능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정보 단말기(7800)에 설치된 운영 체계에 의하여, 조작 버튼(7803)의 기능을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다.
표시부(7001)에 표시된 아이콘(7804)을 손가락 등으로 터치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할 수 있다.
휴대 정보 단말기(7800)는 기존의 통신 규격에 의거한 통신 방법인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휴대 정보 단말기(7800)와 무선 통신 가능한 헤드세트의 상호 통신을 행할 수 있어, 핸즈프리 통화가 가능하다.
휴대 정보 단말기(7800)는 입출력 단자(7802)를 포함하여도 좋다. 입출력 단자(7802)가 포함되는 경우, 커넥터를 통하여 다른 정보 단말기와 데이터를 직접 주고받을 수 있다. 입출력 단자(7802)를 통하여 충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예로서 설명하는 휴대 정보 단말기의 충전은 입출력 단자를 사용하지 않고 비접촉 전력 전송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
도 33의 (A)는 자동차(9700)의 외관도이다. 도 33의 (B)는 자동차(9700)의 운전석을 도시한 것이다. 자동차(9700)는 차체(9701), 차륜(9702), 대시보드(9703), 및 라이트(9704)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자동차(9700)의 표시부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3의 (B)에 도시된 표시부(9710 내지 9715)에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표시부(9710) 및 표시부(9711)는 자동차의 앞 유리에 제공된 표시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그 전극 및 배선에 투광성 도전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반대 측이 비쳐 보이는 시스루 장치로 할 수 있다. 시스루 표시 장치는 자동차(9700)의 운전 중에 운전자의 시계(視界)를 방해하지 않는다. 그래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자동차(9700)의 앞 유리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트랜지스터 등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유기 반도체 재료를 사용한 유기 트랜지스터 또는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한 트랜지스터 등 투광성을 가지는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9712)는 필러 부분에 제공된 표시 장치이다. 예를 들어, 차체에 제공된 촬상 수단에 의하여 취득된 화상을 표시부(9712)에 표시함으로써, 필러 부분에 가려지는 시계를 보완할 수 있다. 표시부(9713)는 대시보드에 제공된 표시 장치이다. 예를 들어, 차체에 제공된 촬상 수단에 의하여 취득된 화상을 표시부(9713)에 표시함으로써, 대시보드에 가려지는 시계를 보완할 수 있다. 즉, 자동차의 외측에 제공된 촬상 수단에 의하여 취득된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사각을 없앨 수 있고,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운전자가 볼 수 없는 부분을 보완하는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운전자는 더 쉽게 또 편하게 안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4는 운전석과 조수석에 벤치 시트를 사용한 자동차 안을 도시한 것이다. 표시부(9721)는 도어 부분에 제공된 표시 장치이다. 예를 들어, 차체에 제공된 촬상 수단에 의하여 취득한 화상을 표시부(9721)에 표시함으로써, 도어에 가려지는 시계를 보완할 수 있다. 표시부(9722)는 핸들에 제공된 표시 장치이다. 표시부(9723)는 벤치 시트의 시트면 중앙부에 제공된 표시 장치이다. 또한, 표시 장치를 시트면 또는 등받이에 제공하고, 이 표시 장치의 발열을 열원으로서 사용함으로써, 표시 장치를 시트 히터로서 사용할 수 있다.
표시부(9714), 표시부(9715), 및 표시부(9722)는 내비게이션 데이터, 속도계, 태코미터(tachometer), 주행 거리, 연료 미터, 기어 시프트 인디케이터, 및 에어컨디셔너의 설정 등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의 표시의 항목 또는 레이아웃 등은 사용자가 적절히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데이터는 표시부(9710 내지 9713, 9721, 및 9723)에 표시할 수도 있다. 표시부(9710 내지 9715 및 9721 내지 9723)는 조명 장치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표시부(9710 내지 9715 및 9721 내지 9723)는 가열 장치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포함하기만 하면,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술한 전자 기기 및 조명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나위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기재된 구조 및 방법 등은 다른 실시형태에 기재된 구조 및 방법 등 중 임의의 것과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10: 표시 시스템, 11: 영역, 11A: 영역, 11B: 영역, 11C: 영역, 11D: 영역, 15: 표시 화상, 15A: 표시 화상, 15B: 표시 화상, 20: 표시 장치, 20a: 표시 패널, 20b: 표시 패널, 21a: 표시 영역, 21b: 표시 영역, 22b: 투명부, 23a: 보조 표시 영역, 23b: 보조 표시 영역, 25: 표시 장치, 25a: 표시 패널, 25b: 표시 패널, 31: 검출 수단, 31a: 검출 수단, 31b: 검출 수단, 32: 보정 수단, 35: 표시 장치, 36: 표시 패널, 37: 표시 영역, 38: 투명부, 39: 비표시 영역, 40: 표시 장치, 41: 표시 영역, 41a: 표시 영역, 41A: 표시 영역, 41B: 표시 영역, 41C: 표시 영역, 42: 투명부, 43: 보조 표시 영역, 43b: 보조 표시 영역, 44: 영역, 45: 표시 패널, 45a: 표시 패널, 45b: 표시 패널, 45e: 표시 패널, 46: 표시 화상, 48: 표시 장치, 49: 표시 장치, 50: 표시 장치, 51: 표시 영역, 55: 기둥, 56: 벽, 100: 표시 패널, 100a: 표시 패널, 100b: 표시 패널, 100c: 표시 패널, 100d: 표시 패널, 101: 표시 영역, 101a: 표시 영역, 101b: 표시 영역, 101c: 표시 영역, 101d: 표시 영역, 103: 표시 영역, 104: FPC, 105: 보호 부재, 110: 투명부, 110b: 투명부, 110c: 투명부, 110d: 투명부, 112: FPC, 112a: FPC, 112b: FPC, 120: 영역, 120a: 영역, 120b: 영역, 120c: 영역, 123: FPC, 131: 수지층, 132: 보호 기판, 133: 수지층, 134: 보호 기판, 141: 화소, 141a: 화소, 141b: 화소, 142a: 배선, 142b: 배선, 143a: 회로, 143b: 회로, 145: 배선, 151: 기판, 152: 기판, 153: 접착층, 170: 영역, 200: 표시 장치, 201: 샤프트, 202: 회전 기구, 203: 베어링, 211: 코드, 212: 막대기, 213: 코드, 221: 벽, 222: 커버, 230: 테이블, 231: 하우징, 232: 커버, 240: 표시 기기, 241: 하우징, 242: 막대기, 243: 프레임, 244: 다리부, 301: 표시부, 302: 화소, 302B: 부화소, 302G: 부화소, 302R: 부화소, 302t: 트랜지스터, 303c: 커패시터, 303g(1): 주사선 구동 회로, 303g(2): 촬상 화소 구동 회로, 303s(1): 화상 신호선 구동 회로, 303s(2): 촬상 신호선 구동 회로, 303t: 트랜지스터, 304: 게이트, 308: 촬상 화소, 308p: 광전 변환 소자, 308t: 트랜지스터, 309: FPC, 311: 배선, 319: 단자, 321: 절연층, 328: 칸막이, 329: 스페이서, 350R: 발광 소자, 351R: 하부 전극, 352: 상부 전극, 353: EL층, 353a: EL층, 353b: EL층, 354: 중간층, 360: 접착층, 367B: 착색층, 367BM: 차광층, 367G: 착색층, 367p: 반사 방지층, 367R: 착색층, 380B: 발광 모듈, 380G: 발광 모듈, 380R: 발광 모듈, 390: 터치 패널, 500: 표시부, 500TP: 터치 패널, 501: 표시부, 503g: 구동 회로, 503s: 구동 회로, 505A: 터치 패널, 505B: 터치 패널, 509: FPC, 531: 전극, 532: 전극, 533: 전극, 534: 브리지 전극, 536: 전극, 537: 전극, 538: 교차부, 541: 배선, 542: 배선, 550: FPC, 561: 도전막, 562: 도전막, 563: 도전막, 564: 나노와이어, 590: 기판, 591: 전극, 592: 전극, 593: 절연층, 594: 배선, 595: 터치 센서, 597: 접착층, 598: 배선, 599: 접속층, 600: 입력부, 602: 검지 유닛, 603d: 구동 회로, 603g: 구동 회로, 650: 커패시터, 651: 전극, 652: 전극, 653: 절연층, 667: 창문부, 670: 보호층, 701: 기판, 703: 접착층, 705: 절연층, 711: 기판, 713: 접착층, 715: 절연층, 723: 접착층, 804: 표시부, 806: 동작 회로부, 808: FPC, 810: 투명부, 815: 절연층, 816: 절연층, 817: 절연층, 820: 트랜지스터, 821: 절연층, 822: 접착층, 825: 커넥터, 830: 발광 소자, 831: 하부 전극, 833: EL층, 835: 상부 전극, 845: 착색층, 847: 차광층, 857: 도전층, 7000: 표시부, 7001: 표시부, 7100: 휴대 전화, 7101: 하우징, 7103: 조작 버튼, 7104: 외부 접속 포트, 7105: 스피커, 7106: 마이크로폰, 7200: 텔레비전 수상기, 7201: 하우징, 7203: 스탠드, 7211: 리모컨, 7300: 정보 단말기, 7301: 하우징, 7302: 조작 버튼, 7303: 데이터, 7400: 조명 장치, 7401: 스테이지, 7402: 발광부, 7403: 조작 스위치, 7500: 정보 단말기, 7501: 하우징, 7502: 부재, 7503: 조작 버튼, 7600: 정보 단말기, 7601: 하우징, 7602: 샤프트, 7650: 정보 단말기, 7651: 비표시부, 7700: 정보 단말기, 7701: 하우징, 7703a: 버튼, 7703b: 버튼, 7704a: 스피커, 7704b: 스피커, 7705: 외부 접속 포트, 7706: 마이크로폰, 7709: 배터리, 7800: 정보 단말기, 7801: 밴드, 7802: 입출력 단자, 7803: 조작 버튼, 7804: 아이콘, 7805: 배터리, 9700: 자동차, 9701: 차체, 9702: 차륜, 9703: 대시보드, 9704: 라이트, 9710: 표시부, 9711: 표시부, 9712: 표시부, 9713: 표시부, 9714: 표시부, 9715: 표시부, 9721: 표시부, 9722: 표시부, 9723: 표시부.
본 출원은 2014년 11월 11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련 번호 2014-229027의 일본 특허 출원 및 2014년 11월 11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련 번호 2014-229164의 일본 특허 출원에 기초하고, 본 명세서에 그 전문이 참조로 통합된다.

Claims (19)

  1. 표시 시스템으로서,
    제 1 표시 영역 및 제 1 검출 장치를 포함하는 제 1 표시 패널;
    제 2 표시 영역 및 제 2 검출 장치를 포함하는 제 2 표시 패널;
    상기 제 1 표시 패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FPC;
    상기 제 2 표시 패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FPC; 및
    보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 2 표시 영역의 각각은 제 1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표시 영역의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표시 영역의 상기 제 1 영역은 서로 중첩되고,
    상기 제 1 검출 장치는 상기 제 1 영역의 크기를 검출하고,
    상기 보정 장치는 상기 제 1 검출 장치와 상기 제 2 검출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보정 장치는 상기 제 1 영역의 크기의 변화에 따라, 상기 제 1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화상을 보정하고,
    상기 제 1 표시 패널은 상기 제 1 FPC가 상기 제 1 표시 패널과 상기 제 2 표시 패널 사이에 있도록 상기 제 1 FPC에 접속되는 만곡부를 포함하는, 표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장치는 상기 제 1 영역의 크기의 변화에 따라, 상기 제 2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화상을 보정하는, 표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패널은 상기 제 2 표시 영역에 인접한 제 1 투명부를 포함하는, 표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패널 및 상기 제 2 표시 패널의 각각은 가요성을 가지는, 표시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검출 장치는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광전 변환 소자는 상기 제 1 표시 패널의 상기 제 1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표시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패널은 보조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보정 장치는 상기 제 1 영역의 크기의 변화에 따라, 상기 보조 표시 영역의 일부로 하여금 화상을 표시하게 하는, 표시 시스템.
  7. 표시 장치로서,
    제 1 표시 영역 및 제 1 FPC를 포함하는 제 1 표시 패널;
    제 1 투명부 및 제 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 2 표시 패널;
    상기 제 1 표시 패널 및 상기 제 2 표시 패널에 신호를 공급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표시 패널 및 상기 제 2 표시 패널의 각각은 가요성을 가지고,
    상기 제 2 표시 패널의 상기 제 1 투명부는 상기 제 1 표시 패널의 상기 제 1 표시 영역과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표시 패널 및 상기 제 2 표시 패널은 상기 샤프트에 감겨지고,
    상기 제 1 표시 패널은 상기 제 1 FPC가 상기 제 1 표시 패널과 상기 제 2 표시 패널 사이에 있도록 상기 제 1 FPC에 접속되는 만곡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제 2 투명부 및 제 3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 3 표시 패널; 및
    제 3 투명부 및 제 4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 4 표시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표시 패널의 상기 제 2 투명부는 상기 제 1 표시 패널의 상기 제 1 표시 영역과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상기 제 4 표시 패널의 상기 제 3 투명부는 상기 제 2 표시 패널의 상기 제 2 표시 영역 및 상기 제 3 표시 패널의 상기 제 3 표시 영역과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 3 표시 패널 및 상기 제 4 표시 패널에 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제 3 표시 패널 및 상기 제 4 표시 패널은 상기 샤프트에 감겨지는,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표시 패널 및 상기 제 4 표시 패널은 상기 제 1 표시 패널 및 상기 제 2 표시 패널보다 상기 샤프트에 가까운, 표시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패널은 제 2 FPC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FPC는 상기 제 3 표시 패널의 표시면 측과는 반대 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FPC는 상기 제 4 표시 패널의 표시면 측과는 반대 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FPC 및 상기 제 2 FPC는 상기 샤프트에 접속되는, 표시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커넥터, 배선, 회로 기판, 안테나, 무선 수신기, 무선 송신기, 전력 공급선, 배터리, 및 외부 접속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기구는 커넥터, 배선, 회로 기판, 안테나, 무선 수신기, 무선 송신기, 전력 공급선, 배터리, 및 외부 접속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표시 시스템으로서,
    제 8 항에 따른 표시 장치;
    검출 장치; 및
    보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 2 표시 영역의 각각은 제 1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표시 영역의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표시 영역의 상기 제 1 영역은 서로 중첩되고,
    상기 검출 장치는 상기 제 1 영역의 크기를 검출하고,
    상기 보정 장치는 상기 제 1 영역의 크기의 변화에 따라, 상기 제 1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화상을 보정하는, 표시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 CCD 카메라, 및 이미지 스캐너 중 어느 하나인, 표시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장치는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광전 변환 소자는 상기 제 1 표시 패널의 상기 제 1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표시 시스템.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패널은 상기 제 1 표시 영역보다 외측에 보조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보정 장치는 상기 보조 표시 영역의 일부로 하여금 화상을 표시하게 하는, 표시 시스템.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표시 패널 및 상기 제 4 표시 패널의 각각은 가요성을 가지는, 표시 시스템.
  18. 삭제
  19. 삭제
KR1020177014094A 2014-11-11 2015-11-03 표시 시스템 및 표시 장치 KR1024928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29027 2014-11-11
JPJP-P-2014-229164 2014-11-11
JP2014229164 2014-11-11
JP2014229027 2014-11-11
PCT/IB2015/058478 WO2016075589A1 (en) 2014-11-11 2015-11-03 Display system and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548A KR20170082548A (ko) 2017-07-14
KR102492861B1 true KR102492861B1 (ko) 2023-01-31

Family

ID=55912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4094A KR102492861B1 (ko) 2014-11-11 2015-11-03 표시 시스템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719284B2 (ko)
JP (4) JP2016095502A (ko)
KR (1) KR102492861B1 (ko)
CN (2) CN111223407B (ko)
TW (2) TWI757693B (ko)
WO (1) WO20160755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8930B2 (en) * 2011-11-25 2018-10-02 Shanghai Tianma Micro-electronics Co., Lt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n-cell touch panel and drive method thereof
GB2522175A (en) * 2013-10-31 2015-07-22 Barco Nv Display system
US20150208016A1 (en) * 2014-01-21 2015-07-23 Kevin Rymer Flexible video display in use with a sheet of transparent material
US10026910B2 (en) * 2014-12-03 2018-07-1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flexible display panel
KR102420437B1 (ko) * 2015-01-13 2022-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및 롤러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6823927B2 (ja) * 2015-01-21 2021-02-0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システム
WO2016116833A1 (ja) 2015-01-22 2016-07-2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305572B1 (ko) * 2015-02-24 2021-09-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114510A (ko) * 2015-03-24 2016-10-0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터치 패널
US10204535B2 (en) * 2015-04-06 2019-02-1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6421077B2 (ja) * 2015-05-19 2018-11-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アンテナの製造方法およびタッチセンサ
CN104851366B (zh) * 2015-05-29 2018-02-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US20170004803A1 (en) * 2015-07-01 2017-01-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bile device with multiple user-configurable displays
CN104914627B (zh) * 2015-07-09 2017-09-29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取向装置
CN111769154A (zh) 2015-09-08 2020-10-13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显示装置及电子设备
US10516118B2 (en) 2015-09-30 2019-12-2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nic device, display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KR102510395B1 (ko) * 2015-12-01 2023-03-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시스템
US10529260B2 (en) * 2015-12-29 2020-01-07 Christie Digital Systems Usa, Inc. System for mounting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CN105489123A (zh) * 2016-01-04 2016-04-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WO2017170345A1 (ja) * 2016-03-29 2017-10-05 住友化学株式会社 有機光電変換素子、並びにそれを備える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センサー
CN109153371B (zh) 2016-05-11 2021-11-30 株式会社电装 车辆用刮水器装置
GB201608455D0 (en) 2016-05-13 2016-06-29 Belron Internat Ltd Break analysis system, method and device
JP2017207747A (ja) * 2016-05-17 2017-11-24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システムおよび移動体
KR102544532B1 (ko) 2016-05-31 2023-06-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34579B1 (ko) * 2016-06-17 2023-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36791B1 (ko) * 2016-07-29 2023-05-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KR102431202B1 (ko) * 2016-08-23 2022-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대형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555409B1 (ko) * 2016-10-31 2023-07-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셀 터치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2606120B1 (ko) * 2016-12-20 2023-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DE102016124592A1 (de) 2016-12-16 2018-06-21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Sensor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olchen Sensoreinrichtung
KR102188997B1 (ko) * 2017-02-28 2020-12-0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투명 필름 안테나
KR102009382B1 (ko) * 2017-03-03 2019-08-0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
CA3069163C (en) * 2017-03-22 2022-01-11 10644137 Canada Inc. Led apparatus having one or more communication units and a method of employing same
US10540933B2 (en) * 2017-03-29 2020-01-21 Kyocera Corporation Mobile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medium
US10203929B2 (en) * 2017-06-13 2019-02-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xtendable display strips
CN107086027A (zh) * 2017-06-23 2017-08-22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文字显示方法及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US11037525B2 (en) * 2017-06-27 2021-06-1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KR102326164B1 (ko) * 2017-07-03 2021-1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32711B1 (ko) * 2017-07-31 2021-11-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CN114497170A (zh) 2017-08-25 2022-05-13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1672152B2 (en) 2017-11-30 2023-06-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panel
US20190179591A1 (en) * 2017-12-13 2019-06-13 Innolux Corporation Display device
TWI652525B (zh) 2017-12-22 2019-03-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US10832597B2 (en) * 2017-12-22 2020-11-10 Videri Inc. Multiple display device installation
US20210020124A1 (en) * 2018-03-15 2021-01-21 Nec Display Solutions, Ltd. Position detec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 of display device
WO2019180880A1 (ja) * 2018-03-22 2019-09-26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8766235B (zh) * 2018-03-31 2021-04-23 上海创功通讯技术有限公司 卷轴式柔性屏、显示控制方法及存储介质
TWI659346B (zh) * 2018-05-15 2019-05-11 元太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驅動器裝置
KR102577674B1 (ko) * 2018-07-04 2023-09-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WO2020039291A1 (ja) 2018-08-21 2020-02-2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11928989B2 (en) * 2018-09-27 2024-03-12 Sharp Kabushiki Kaisha Rollable display device
KR20200042660A (ko) * 2018-10-16 2020-04-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243318A (zh) * 2018-11-26 2019-01-18 深圳市德铭光科技有限公司 一种拼装有静态展示框的led显示屏及其展示方法
KR102599722B1 (ko) * 2018-12-28 2023-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드 표시 장치
CN109559649B (zh) * 2019-01-02 2022-01-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显示控制方法及制备方法
US11164934B2 (en) 2019-03-12 2021-11-02 X Display Company Technology Limited Tiled displays with black-matrix support screens
WO2020211947A1 (en) * 2019-04-18 2020-10-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Display module for electronic device
CN110021239A (zh) * 2019-04-24 2019-07-16 固安翌光科技有限公司 一种oled拼接结构
US11112609B1 (en) * 2019-05-07 2021-09-07 Snap Inc. Digital glasses having display vision enhancement
CN110706592B (zh) * 2019-09-10 2020-12-08 惠州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器及其显示方法
CN112558900A (zh) * 2019-09-26 2021-03-26 华为技术有限公司 投屏方法、内容源设备和内容接收设备
CN110634407B (zh) * 2019-09-26 2021-09-07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卷绕机构和卷绕式显示终端
CN110491300B (zh) * 2019-09-27 2022-02-11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N115148171A (zh) * 2019-10-09 2022-10-04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CN110992829B (zh) * 2019-12-06 2021-07-2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拼接型的可折叠显示屏
CN111243450B (zh) * 2019-12-26 2022-08-05 上海蓝眸多媒体科技有限公司 一种led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JP2021117459A (ja) * 2020-01-29 2021-08-10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
US11370353B2 (en) * 2020-02-11 2022-06-28 Zealio Electronics Co., Ltd. Wireless doorsill plate with changeable display information and power-saving mechanism
CN114067673A (zh) * 2020-08-03 2022-02-18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TWI814068B (zh) * 2020-09-17 2023-09-01 日商柯尼卡美能達股份有限公司 披覆構件、披覆構件用之基材薄膜,及具備該等之顯示裝置
WO2022103241A1 (ko) * 2020-11-16 2022-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2486442B (zh) * 2020-11-27 2023-04-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模组及电子设备
KR20220076991A (ko) * 2020-12-01 2022-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EP4184501A4 (en) * 2020-12-04 2023-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EDICTING AND COMPENSATING RESIDUAL IMAGE OF DISPLAY DEVICE
DE112021007698T5 (de) * 2021-07-05 2024-03-21 Jdi Design And Development G.K. Kachelpaneel, Selbstleuchtpaneel und Herstellungsverfahren
TWI779733B (zh) * 2021-07-22 2022-10-01 宏通數碼科技股份有限公司 發光智慧卡
TWI814048B (zh) * 2021-08-04 2023-09-01 動顏有限公司 軟性發光顯示幕的應用結構
DE102021126224A1 (de) * 2021-10-08 2023-04-13 OSRAM Opto Semiconductors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Optoelektronische vorrichtung und verfahren
KR20230069535A (ko) * 2021-11-12 2023-05-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대면적 표시장치 및 대면적 표시장치 구동 시스템
WO2023092496A1 (zh) * 2021-11-26 2023-06-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CN114446177B (zh) * 2022-02-15 2022-09-13 珠海华萃科技有限公司 一种软膜显示屏、显示器及显示屏制造工艺
DE102022110160A1 (de) 2022-04-27 2023-11-02 Ams-Osram International Gmbh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KR20240000855A (ko) * 2022-06-24 2024-01-03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터치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센싱 장치
WO2024046853A1 (en) * 2022-09-01 2024-03-07 Elektrobit Automotive Gmbh Multi display arrangement with at least two display uni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6205A1 (en) * 2001-04-27 2002-12-26 Pioneer Corporation Displa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1797A (en) 1996-03-18 1998-09-01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es an opposite board sandwiched by array boards with end portions of the array boards being offset
JPH09311344A (ja) 1996-03-18 1997-12-02 Toshiba Corp 画像表示装置
JP3283842B2 (ja) * 1999-01-08 2002-05-20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用バックライト装置
TW465119B (en) * 1999-07-23 2001-11-21 Semiconductor Energy Lab EL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SG118118A1 (en) 2001-02-22 2006-01-27 Semiconductor Energy Lab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display using the same
JP3406586B2 (ja) * 2001-06-08 2003-05-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US8415208B2 (en) 2001-07-16 2013-04-0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peeling off meth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JP4027740B2 (ja) 2001-07-16 2007-12-2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GB0127090D0 (en) 2001-11-10 2002-01-02 Image Portal Ltd Display
US7362046B2 (en) * 2001-11-10 2008-04-22 Image Portal Limited Partial overlapping display tiles of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JP2004184805A (ja) 2002-12-05 2004-07-02 Tohoku Pioneer Corp 導電配線の接続構造
JP2004251981A (ja) * 2003-02-18 2004-09-09 Seiko Epson Corp 複合型表示装置
TWI399580B (zh) * 2003-07-14 2013-06-21 Semiconductor Energy Lab 半導體裝置及顯示裝置
JP2005173291A (ja) * 2003-12-12 2005-06-30 Canon Inc 画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2006010811A (ja) 2004-06-23 2006-01-12 Sony Corp 表示装置
JP2006154380A (ja) * 2004-11-30 2006-06-15 Victor Co Of Japan Ltd 表示装置
WO2006064696A1 (ja) * 2004-12-15 2006-06-22 Nikon Corporation 画像再生システム
CN100470826C (zh) * 2005-04-25 2009-03-18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双面显示器
US20070001927A1 (en) * 2005-07-01 2007-01-04 Eastman Kodak Company Tiled display for electronic signage
US7966123B2 (en) * 2005-09-28 2011-06-21 Denso Corporatio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vehicle
JP4134157B2 (ja) * 2005-11-25 2008-08-1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表示装置
US7916218B2 (en) * 2006-01-27 2011-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JP2007266800A (ja) * 2006-03-28 2007-10-11 Hitachi Ltd 情報再生装置
JP4248584B2 (ja) * 2006-07-31 2009-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9139463A (ja) * 2007-12-04 2009-06-25 Rohm Co Ltd 有機el発光装置
JP2009216753A (ja) * 2008-03-07 2009-09-24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US8736587B2 (en) * 2008-07-10 2014-05-2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JPWO2010044291A1 (ja) * 2008-10-17 2012-03-15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650703B2 (ja) 2008-12-25 2011-03-16 ソニー株式会社 表示パネルおよびモジュール並びに電子機器
TWI394999B (zh) 2009-01-09 2013-05-01 Prime View Int Co Ltd 多螢幕電子裝置
US8451325B2 (en) * 2009-01-25 2013-05-28 Sightcine Inc. Video customization and presentation systems and methods
JP2010198415A (ja) * 2009-02-26 2010-09-09 Seiko Epson Corp 入力装置、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812858B1 (ko) 2009-05-02 2017-12-2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JP2010266777A (ja) 2009-05-18 2010-11-25 Victor Co Of Japan Ltd 折り畳み式ディスプレイ
US8880338B2 (en) * 2009-06-26 2014-11-04 Kyocera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5509703B2 (ja) 2009-07-15 2014-06-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1996535A (zh) 2009-08-25 2011-03-30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电光学装置和电子设备
US8305294B2 (en) 2009-09-08 2012-11-06 Global Oled Technology Llc Tiled display with overlapping flexible substrates
CN102640200B (zh) 2009-12-03 2014-10-29 夏普株式会社 图像显示装置、面板和面板的制造方法
US8344389B2 (en) * 2010-01-29 2013-01-01 General Electric Company Optoelectronic device array
EP2529409B1 (en) 2010-01-29 2019-08-28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 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JP2011192567A (ja) 2010-03-16 2011-09-29 Rohm Co Ltd 有機el装置
JP2012028638A (ja) 2010-07-26 2012-02-09 Dainippon Printing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の製造方法
JP2012248137A (ja) * 2011-05-31 2012-12-13 Sharp Corp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US10061356B2 (en) 2011-06-30 2018-08-28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KR101320384B1 (ko) 2011-06-30 2013-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5804597B2 (ja) * 2011-12-01 2015-11-04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08505B1 (ko) * 2011-12-27 2018-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3156452A (ja) * 2012-01-30 2013-08-15 Fujitsu Ltd マルチディスプレイ素子、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マルチディスプレイ素子の駆動方法
JP5979218B2 (ja) 2012-02-29 2016-08-2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発光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44227A (ko) * 2012-10-04 2014-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9349969B2 (en) * 2013-02-01 2016-05-24 L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20982B1 (ko) * 2013-02-28 2019-09-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GB2511549B (en) * 2013-03-07 2020-04-22 Plastic Logic Ltd Tiled Displays
KR102076666B1 (ko) 2013-04-11 2020-0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패널
KR102037284B1 (ko) * 2013-07-11 2019-10-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20150161937A1 (en) * 2013-12-05 2015-06-11 Lenovo (Singapore) Pte. Ltd. Overlapping detection display and method
KR102393626B1 (ko) 2014-02-11 2022-05-0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JP6454482B2 (ja) * 2014-05-28 2019-01-1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US9791892B2 (en) * 2014-06-27 2017-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JP2016029464A (ja) 2014-07-18 2016-03-0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
TWI543129B (zh) * 2014-07-22 2016-07-21 Lg顯示器股份有限公司 捲軸式顯示裝置
KR102380645B1 (ko) 2014-07-31 2022-03-31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전자 장치
JP6602585B2 (ja) 2014-08-08 2019-11-0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60032451A (ko) * 2014-09-16 2016-03-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차량용 표시 장치 및 차량용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445185B1 (ko) * 2014-10-08 2022-09-1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TWI701936B (zh) * 2016-03-14 2020-08-11 美商美光科技公司 用於可攜裝置之折疊裝置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6205A1 (en) * 2001-04-27 2002-12-26 Pioneer Corporation Displa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95502A (ja) 2016-05-26
US11216138B2 (en) 2022-01-04
TWI686779B (zh) 2020-03-01
US20160132281A1 (en) 2016-05-12
CN111223407B (zh) 2023-05-09
TW202034290A (zh) 2020-09-16
TWI757693B (zh) 2022-03-11
US20210004193A1 (en) 2021-01-07
CN107111997B (zh) 2020-02-28
JP2020170177A (ja) 2020-10-15
US10719284B2 (en) 2020-07-21
TW201629926A (zh) 2016-08-16
JP2023133384A (ja) 2023-09-22
CN111223407A (zh) 2020-06-02
WO2016075589A1 (en) 2016-05-19
JP2022081577A (ja) 2022-05-31
KR20170082548A (ko) 2017-07-14
CN107111997A (zh)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2861B1 (ko) 표시 시스템 및 표시 장치
JP6974575B2 (ja) 表示装置
JP6602585B2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7347254B (zh) 图像处理装置、显示系统以及电子设备
KR102343163B1 (ko) 발광 장치, 모듈, 및 전자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