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004B1 - 고광택 및 높은 노치 내충격성을 가진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 - Google Patents
고광택 및 높은 노치 내충격성을 가진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92004B1 KR102492004B1 KR1020180102470A KR20180102470A KR102492004B1 KR 102492004 B1 KR102492004 B1 KR 102492004B1 KR 1020180102470 A KR1020180102470 A KR 1020180102470A KR 20180102470 A KR20180102470 A KR 20180102470A KR 102492004 B1 KR102492004 B1 KR 1024920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l
- monomers
- acid
- polyamide molding
- componen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6—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65—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from at least two different diamines or at least two different dicarboxylic aci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36—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 acids,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4—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r ozo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41—Optical brightening agents, organic pigm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03—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7/00—Use of PA, i.e. 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am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노치 내충격성 및 고광택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이들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은 하기 성분을 포함하거나 이들 성분으로 구성된다: (A) 84.5 내지 97.0중량%의 PA 6I/6T/MACMI/MACMT/PACMI/PACMT/Y, PA 6I/6T/MACMI/MACMT/Y,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비정질 또는 미세결정질 코폴리아마이드; (B) 3.0 내지 9.5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특이적 작용화된 내충격성 개량제; 및 (C) 0 내지 6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이고; 여기서 성분 (A) 내지 (C)의 중량 비율은 100중량% 이하가 되도록 첨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으로 이루어진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광택 및 높은 노치 내충격성을 가진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 및 이들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로 이루어진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내충격성 개량제를 추가하여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의 내충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런 다양한 화합물들이 시판되고 있고, 내충격성이 개량된 일련의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이 종래 기술에 기재되어 있다.
유럽 특허 0 156 523 A2는 그래프트된 숙신산 무수물기를 포함하는 내충격성 개량제의 분산된 입자 및 비정질 폴리아마이드를 포함하는 높은 내충격성 폴리아마이드 수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내충격성 개량제는 입자 크기가 360nm 미만이고, 그 양은 수지 중에 15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한다.
유럽 특허 2 107 083 A2에서는 a) 코폴리아마이드 내 MACMI 비율이 5 내지 95중량%의 범위이고, MACMT 비율이 0 내지 90중량%이며, LC12 비율이 5 내지 60중량%인 95 내지 51중량%의 식 PA MACMI/MACMT/12의 비정질 코폴리아마이드, 여기서 코폴리아마이드 a) 내 이들 3개 성분의 비율의 합은 100중량%이고; b) 5 내지 49중량%의 식 PA(MACMX)x/(PACMY)y/(MXDU)u/(LCZ)z의 비정질 또는 미세결정질 또는 반결정질 폴리아마이드, 여기서 4개 단량체 군의 비율 x, y, u, 및 z는 각각 0 내지 100중량%이고, 폴리아마이드 b) 내 이들 4개 비율의 합은 100중량%이고; X, Y, 및 U는 DC4, DC6, DC9, DC10, DC11, DC12, DC13, DC14, DC15 내지 DC36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디카복실산, 및 LC4, LC6, LC11 및 LC1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LCZ 락탐, 또는 대응하는 아미노 카복실산이고; c) 1 내지 30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내충격성 개량제; 및 d) 0 내지 80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성분 a), b), c) 및 d)의 합이 100중량%인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을 기재하고 있다.
일본 특허 19860203494 A는 불포화 카복시산에 의해 변형된 비정질 폴리아마이드 및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비정질 폴리아마이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은 높은 내충격값을 갖지만, 특히 비누액으로 처리한 후에 높은 내충격값뿐만 아니라 고광택인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을 제공하는데 있어서는 아직 어떠한 성공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은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의 세정이 불가피한 완구 산업과 같은 분야 또는 스포츠 용품, 레저 용품 또는 국내 용품에 종종 사용되기 때문에, 세정 후 양호한 광택 특성을 수득하는 것이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에 대한 중요한 요구 사항이 된다.
이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누액으로 처리한 후에 고광택을 가지며 높은 노치 내충격성도 갖는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탄성계수로 표현되는 양호한 강성값을 갖는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1항에 따른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은 하기 성분을 포함하거나 이들 성분으로 구성된다:
(A) PA 6I/6T/MACMI/MACMT/PACMI/PACMT/Y, PA 6I/6T/MACMI/MACMT/Y,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84.5 내지 97.0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비정질 또는 미세결정질 코폴리아마이드,
여기서 상기 단량체 Y는 7 내지 14개의 탄소원자를 가지고 락탐, ω-아미노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B) 하기 단량체를 포함하는 3.0 내지 9.5중량%의 작용화된 내충격성 개량제
Ba) 에틸렌;
Bb) 프로필렌; 및
Bc) 1-부텐;
여기서 상기 작용화는 불포화 카복실산, 불포화 카복실산 유도체, 불포화 글리시딜 화합물,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과 그래프트화 및/또는 공중합체화에 의해 수행되며;
(C) 0 내지 6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
여기서 성분 (A) 내지 (C)의 중량 비율이 100 중량% 이하가 되도록 첨가한다.
이들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의 유리한 실시형태는 청구항 제 2항 내지 제 13항에 명시되어 있다. 청구항 제 14항 및 제 15항은 이들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로 이루어진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용어 정의
폴리아마이드 및 그 단량체의 표기법 및 약어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폴리아마이드"(약칭 PA)는 포괄적 용어로서 이해되고; 이는 호모폴리아마이드 및 코폴리아마이드를 포함한다. 폴리아마이드 및 그 단량체에 대한 선택된 표기법 및 약어는 ISO 표준 16396-1 (2015, (D))에 기재된 표기법 및 약어에 상응하는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약어를 이하에서 단량체의 IUPAC 명명과 동의어에 사용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히 단량체에 대해서 하기 약어를 사용한다: 비스(4-아미노-3-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 (3,3'-디메틸-4,4'-디아미노디사이클로헥실메탄이라고도 함), CAS # 6864-37-5)에 대해서는 MACM;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4,4'-디아미노디사이클로헥실메탄이라고도 함, CAS # 1761-71-3)에 대해서는 PACM; 테레프탈산 (CAS # 100-21-0)에 대해서는 T; 이소프탈산 (CAS # 121-95-5)에 대해서는 I, 도데칸산 (1,10-데칸디카복실산이라고도 함, CAS# 693-23-2)에 대해서는 12, 1,6-헥산디아민 (CAS # 124-09-4)에 대해서는 6, 라우릭 락탐 (CAS # 947-04-6)에 대해서는 12 및 ω-아미노도데칸산 (CAS # 693-57-2)에 대해서는 12이다.
비정질 또는 미세결정질 폴리아마이드
비정질 또는 미세결정질 폴리아미드는 바람직하게는 ISO 11357 (2013)에 따라 동적 시차주사열량계(DSC)에서 20K/min의 가열속도에서 바람직하게는 최대 50J/g,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25J/g, 특히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2J/g의 용융열을 나타낸다.
미세결정질 폴리아미드는 반결정질 폴리아마이드이므로, 융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들은 미결정이 너무 작은 치수여서 미결정으로부터 제조된 플레이트가 2mm의 두께에서 여전히 투명한, 즉 이의 광 투과율을 ASTM D 1003-13 (2013)에 따라 측정하면 적어도 75%인 형태를 갖는다.
비정질 폴리아마이드는 미세결정질 폴리아마이드에 비하여 보다 작은 용융열을 갖는다. 비정질 폴리아마이드는 바람직하게는 ISO 11357 (2013)에 따라 동적 시차주사열량계(DSC)에서 20K/min의 가열속도에서 최대 5J/g,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3J/g, 가장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J/g의 용융열을 나타내고, 융점은 없다.
단량체의 양 표시
본 발명의 코폴리아마이드는 또한 X몰%에서의 락탐 또는 ω-아미노산뿐만 아니라, 디카복실산 및 디아민을 포함하므로; 코폴리아마이드 100몰%에 대하여 모든 디아민만의 양의 합이 (50 - 0.5 X)몰%이고 모든 디카복실산의 합이 (50 - 0.5 X)몰%이다.
이는 모든 디아민의 몰량 합이 모든 디카복실산의 몰량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코폴리아마이드의 디카복실산의 양 및 디아민의 양의 적용을 표시된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은 디카복실산 또는 디아민의 최대 초과량이 3%임을 의미하며, 즉 디카복실산 대 디아민의 몰비가 1.03 : 1 내지 1 : 1.03임을 의미한다. 디카복실산 또는 디아민의 최대 초과량은 2%인 것이 바람직하며, 즉 디카복실산 대 디아민의 몰비가 1.02 : 1 내지 1 : 1.02인 것이다.
초과량은 단량체 손실의 균형 및/또는 폴리아마이드의 상대점도의 조절 및 이에 따른 몰질량을 제공한다.
여기서 단량체에 대한 양의 표시는 축중합에서 사용된 이들 단량체의 해당 몰비가 축중합에 의해 제조된 코폴리아마이드에서도 재발견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수량의 표시에 대한 일반적인 언급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은 성분 (A), (B), 및 임의적으로 (C)를 포함하거나 바람직하게는 이들로만 구성되며; 여기서 성분 (A), (B) 및 (C)의 합이 총 100 중량%로 적용될 필요가 있다. 각각의 성분 (A), (B) 및 (C)에 대한 양 표시의 고정된 범위는 모든 성분 (A) 내지 (C)의 합이 100 중량%를 만들어낸다는 엄격한 규정을 만족한다면 각각의 개별적인 성분에 대한 임의의 양을 지정된 범위 내에서 선택할 수 있다고 이해해야 한다.
코폴리아마이드 (A)에 포함된 모든 단량체는 그 합이 100몰% 이하가 되도록 첨가한다. 각각의 단량체에 대한 양 표시의 고정된 범위는 코폴리아마이드 (A) 내 모든 단량체의 합이 100중량%를 만들어낸다는 엄격한 규정을 만족한다면 각각의 개별적인 성분에 대한 임의의 양을 지정된 범위 내에서 선택할 수 있다고 이해해야 한다.
내충격성 개량제 (B)에 포함된 모든 단량체는 그 합이 100몰% 이하가 되도록 첨가한다. 각각의 단량체에 대한 양 표시의 고정된 범위는 코폴리아마이드 (B) 내 모든 단량체의 합이 100중량%를 만들어낸다는 엄격한 규정을 만족한다면 각각의 개별적인 성분에 대한 임의의 양을 지정된 범위 내에서 선택할 수 있다고 이해해야 한다.
성분 (B)의 작용화
성분 (B)는 공중합 또는 그래프트에 의해 작용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공중합에 의한 작용화는 성분 (B)의 주사슬에서 이 주사슬의 성분으로서 작용 화한 화합물을 설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 그래프트에 의한 성분 (B)의 작용화는 주사슬에 작용화한 화합물이 연결되어 측사슬이 유발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성분 (A): 코폴리아마이드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아마이드 (A)는 비정질 또는 미세결정질이고 PA 6I/6T/MACMI/MACMT/PACMI/PACMT/Y, PA 6I/6T/MACMI/MACMT/Y,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단량체 Y는 7 내지 14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며 락탐, ω-아미노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코폴리아마이드는 비정질이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는 코폴리아마이드 (A)가 하기 단량체 a1) 내지 a6)로 구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a1) 4 내지 30몰% 비스(3-메틸-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a2) 18 내지 45몰% 1,6-헥산디아민;
a3) 0 내지 10몰%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a4) 18 내지 30몰% 이소프탈산;
a5) 18 내지 30몰% 테레프탈산; 및
ac) 0.1 내지 10몰%의 단량체 Y를 포함하고, 여기서 단량체 Y는 7 내지 14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며, 락탐, ω-아미노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여기서 코폴리아마이드 내 단량체 a1) 내지 a6)의 비율은 100몰% 이하가 되도록 첨가하고, 모든 디아민 단량체의 합은 모든 디카복실산 단량체의 합과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보다 바람직한 코폴리아마이드 (A)는 하기 단량체로 구성된 비정질 코폴리아마이드 PA 6I/6T/MACMI/MACMT/PACMI/PACMT/Y이고
a1) 4 내지 30몰% 비스(3-메틸-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a2) 18 내지 45몰% 1,6-헥산디아민;
a3) 0.1 내지 10몰%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a4) 18 내지 30몰% 이소프탈산;
a5) 18 내지 30몰% 테레프탈산; 및
ac) 0.1 내지 10몰%의 단량체 Y를 포함하며, 여기서 단량체 Y는 7 내지 14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며, 락탐, ω-아미노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여기서 코폴리아마이드 내 단량체 a1) 내지 a6)의 비율은 100몰% 이하가 되도록 첨가하고, 모든 디아민 단량체의 합은 모든 디카복실산 단량체의 합과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여기서, 코폴리아마이드 (A)가 하기 단량체로 구성된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a1) 5 내지 20몰%,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15몰%,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10몰%의 비스(3-메틸-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a2) 20 내지 43몰%, 바람직하게는 25.5 내지 41몰%,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34 내지 40몰%의 1,6-헥산디아민;
a3) 0.1 내지 8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7몰%,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몰%의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a4) 20 내지 29.5몰%,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27몰%,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23 내지 25.75몰%의 이소프탈산;
a5) 20 내지 29.5몰%,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27몰%,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23 내지 25.75몰%의 테레프탈산; 및
a6) 1 내지 8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몰%,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몰%의 단량체 Y를 포함하며, 여기서 단량체 Y는 7 내지 14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며, 락탐, ω-아미노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여기서 코폴리아마이드 내 단량체 a1) 내지 a6)의 비율은 100몰% 이하가 되도록 첨가하고, 모든 디아민 단량체의 합은 모든 디카복실산 단량체의 합과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성분 (A)는 하기 단량체로 구성된 비정질 코폴리아마이드 PA 6I/6T/MACMI/MACMT/Y이고
a1) 4 내지 30몰% 비스(3-메틸-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a2) 18 내지 45몰% 1,6-헥산디아민;
a4) 18 내지 30몰% 이소프탈산;
a5) 18 내지 30몰% 테레프탈산; 및
ac) 0.1 내지 10몰%의 단량체 Y를 포함하고, 여기서 단량체 Y는 7 내지 14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며, 락탐, ω-아미노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여기서 코폴리아마이드 내 단량체 a1), a2) 및 a4) 내지 a6)의 비율은 100몰% 이하가 되도록 첨가하고, 모든 디아민 단량체의 합은 모든 디카복실산 단량체의 합과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본원에서 성분 (A)가 하기 단량체로 구성된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a1) 5 내지 20몰%,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15몰%,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12몰%의 비스(3-메틸-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a2) 26 내지 43몰%, 바람직하게는 32.5 내지 42몰%,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36 내지 41.5몰%의 1,6-헥산디아민;
a4) 20 내지 29.5몰%,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27몰%,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23 내지 25.75몰%의 이소프탈산;
a5) 20 내지 29.5몰%,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27몰%,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23 내지 25.75몰%의 테레프탈산; 및
a6) 1 내지 8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몰%,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몰%의 단량체 Y를 포함하고, 여기서 단량체 Y는 7 내지 14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며, 락탐, ω-아미노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여기서 코폴리아마이드 내 단량체 a1), a2) 및 a4) 내지 a6)의 비율은 100몰% 이하가 되도록 첨가하고, 모든 디아민 단량체의 합은 모든 디카복실산 단량체의 합과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성분 (A)의 단량체 Y는 락탐 및 ω-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에난토락탐(7개의 탄소원자), 카프릴 락탐(8개의 탄소원자), 카프르산 락탐(10개의 탄소원자), 락탐 11(11개의 탄소원자), 라우릭 락탐(12개의 탄소원자), 1,7-아미노헵탄산, 1,8-아미노옥탄산, 1,11-아미노운데카논산, 및 1,12-아미노도데칸산,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단량체 Y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락탐 11(11개의 탄소원자), 라우릭 락탐(12개의 탄소원자), 1,11-아미노운데카논산, 및 1,12-아미노도데칸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단량체 Y는 라우릭 락탐(12개의 탄소원자) 및 1,12-아미노도데칸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라우릭 락탐(12개의 탄소원자)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코폴리아마이드 (A)의 상대점도는 20℃에서 m-크레졸 100ml 중의 코폴리아마이드 0.5g의 용액에서 측정하여, 1.40 내지 1.80이고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1.70이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는 코폴리아마이드 (A)의 유리전이온도(Tg)는 ISO 11357-2 및 -3 (2013)에 따라 측정하여 155 내지 165℃인 것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 내 성분 (A)의 비율은 성분 (A) 내지 (C)의 합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87.5 내지 96.5중량%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9 내지 96중량%의 범위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90.5 내지 94.99중량%의 범위이다.
성분 (B): 작용화된 내충격성 개량제
본 발명에 따른 작용화된 내충격성 개량제 (B)는 단량체 Ba) 에틸렌, Bb) 프로필렌; 및 Bc) 1-부텐을 포함한다. 이는 하나의 공중합체 또는 복수의 공중합체의 혼합물의 형태일 수 있다. 작용화된 공중합체는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거나 작용화된 공중합체 및 비-작용화된 공중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작용화는 불포화 카복실산, 불포화 카복실산 유도체, 불포화 글리시딜 화합물,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과 그래프트 및/또는 공중합함으로써 일어난다.
또한, 작용화는 공중합 및 그래프트에 의해 수행할 수 있고, 작용화는 그래프트 단독에 의해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성분 (B)의 작용화는 공중합에 의해 수행하고, 작용화에 사용된 화합물의 비율은 성분 (B)의 총 질량에 대하여 3 내지 25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0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15중량%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성분 (B)의 작용화가 그래프트에 의해 수행하고 작용화에 사용된 화합물의 비율이 성분 (B)의 총 질량에 대하여 0.3 내지 2.5중량%,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2.0중량%,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9중량%인 것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성분 (B)의 작용화에 사용된 화합물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글리시딜 아크릴산, 글리시딜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에스터, 메타크릴산 에스터, α-에틸 아크릴산,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푸마르산, 이타콘산, 이타콘산 무수물, 시트라콘산, 아코니트산,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부테닐 숙신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푸마르산, 이타콘산, 이타콘산 무수물, 아코니트산, 및 이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며; 말레산 무수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는 단량체 Ba), Bb), 및 Bc)가 하기와 같은 몰 비율로 성분 (B)에 포함된 것을 제공한다:
Ba) 65 내지 90몰%,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87몰%,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71 내지 84몰%;
Bb) 8 내지 33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몰%,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0몰%;
Bc) 2 내지 25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몰%,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4 내지 9몰%이며,
여기서 단량체 Ba, Bb, 및 Bc)의 몰 비율은 100몰% 이하가 되도록 첨가한다.
내충격성 개량제가 혼합물로서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공중합체는 각각 단량체 Ba) 내지 Bc) 중 2가지, 즉 Ba) 및 Bb), Ba) 및 Bc), 또는 Bb) 및 Bc)를 포함하여 혼합할 수 있어서 단량체 Ba) 내지 Bc)가 혼합물 내에서 지시된 몰 비율로 존재한다. 이러한 혼합물은 단량체 Ba) 및 Bb)의 공중합체 및 단량체 Ba) 및 Bc)의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단량체 Ba) 내지 Bc)가 혼합물 내에서 지시된 몰 비율로 존재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용융시, 예를 들어 압출기에서 균질화된다. 또한, 여기서 산 변성이 바람직하게는 그래프트에 의해 동시에 일어나 변성의 정도가 전체 혼합물, 즉 전체 작용화된 내충격성 개량제 (B)에 대하여 0.3 내지 2.5중량%,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2.0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9중량%이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 내의 성분 (B)의 비율이 성분 (A) 내지 (C)의 합에 대하여 3.5 내지 8.5중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중량%,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5중량%의 범위이다.
특히 바람직한 작용화된 내충격성 개량제 (B)는 상품명 Tafmer MC201로 미쓰이캐미컬에서 시판되고 있는 것이다. 이는 0.6중량% 말레산 무수물로 그래프트함으로써 작용화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20몰% 프로필렌) 및 에틸렌/부텐-1 공중합체(15몰% 부텐-1)의 중량비 67 : 33인 블렌딩이다.
성분 C: 첨가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은 또한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첨가제 (C)의 적어도 하나는 무기 안정제, 유기 안정제, 특히 항산화제, 오존화방지제 및/또는 광보호 수단, 윤활유, 착색제, 마킹 수단, 무기 안료, 유기 안료, 이형(demolding) 수단, 사슬-연장 첨가제, 차단방지 수단, 광학 광택제,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 내 성분 (C)의 비율은 성분 (A) 내지 (C)의 합에 대하여 0 내지 4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중량%,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중량%의 범위이다.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은 성분 (A) 내지 (C)를 포함하거나 하기 양의 비율로 이들 성분으로 구성된다.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 내 성분 (A)의 비율은 성분 (A) 내지 (C)의 합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87.5 내지 96.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89 내지 96중량%,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90.5 내지 94.99중량%의 범위이다.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 내 성분 (B)의 비율은 성분 (A) 내지 (C)의 합에 대하여 3.5 내지 8.5중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중량%,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5중량%의 범위이다.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 내 성분 (C)의 비율은 성분 (A) 내지 (C)의 합에 대하여 0 내지 4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중량%,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중량%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 내 성분 (A)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성분 (A) 내지 (C)의 합에 대하여 87.5 내지 96.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89 내지 96중량%,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90.5 내지 94.99중량%의 범위이고,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 내 성분 (B)의 비율은 성분 (A) 내지 (C)의 합에 대하여 3.5 내지 8.5중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중량%,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5중량%의 범위이며,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 내 성분 (C)의 비율은 성분 (A) 내지 (C)의 합에 대하여 0 내지 4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중량%,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중량%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비누액으로 시험편 처리 후 DIN EN ISO 2813 (2015)에 따라 측정된 광택도 60°는 적어도 75% 및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의 값을 갖는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는 DIN EN ISO 179/2 eA (2000)에 따라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의 노치 내충격성은 적어도 70 kJ/m2,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kJ/m2,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kJ/m2의 값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DIN EN ISO 527 (1997)에 따라 측정된 탄성계수는 적어도 2100 MPa,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200 MPa,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300 MPa의 값을 갖는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DIN EN ISO 2813 (2015)에 따라 측정된 광택도 60°는 적어도 8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5%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의 값을 갖는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는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이 성분 (A)로서 정확하게 하나의 코폴리아마이드 및 성분 (B)로서 정확하게 하나의 작용화된 내충격성 개량제를 포함하는 것을 제공한다.
폴리아마이드 성형체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을 포함하거나 이러한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로 완전히 이루어진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성형체는 트림 구성물, 특히 자동차 내장재에 또는 패션 분야에, 스포츠 용품, 특히 스키 부츠, 스포츠화의 미드솔, 레저 용품, 완구, 특히 건축 구성물, 모듈, 조각상 또는 모형, 가정용품, 특히 그릇, 캔, 또는 비커, 안경의 구성물, 가구용품, 삽입용 밑창, 건축 부품 및 위생 분야, 보건 분야, 및 화장품 분야에서의 유닛의 가시용 부품, 안전화의 부품, 특히 캡, 하우징, 및 전기 장치 및 전자 장치용 하우징 부품, 휴대전화의 보호용 케이스, 컴퓨터 및 통신 분야의 시각 부품, 튜브, 호스, 및 전자담배 부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 요소는 하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원에 도시된 특정 실시형태로 이를 제한하지 않고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1 측정 방법
본 명세서의 범위 내에서 하기 측정 방법을 사용하였다.
상대점도
상대점도는 ISO 307 (2007)에 따라 20℃에서 측정하였다. 이 목적을 위해 100ml m-크레졸 내에서 0.5g 중합체 과립을 칭량하였고; t/t0에 따른 상대점도 (RV)의 계산을 표준 제 11조에 따라 수행하였다.
유리전이온도 (Tg)
유리전이온도의 측정은 ISO 11357-2 및 -3 (2013)에 따라 수분함량이 0.1중량% 미만인 과립에서 시차주사열량계 (DSC)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DSC는 가열속도 20K/min로 2회 가열 단계 각각에서 실행하였다. 첫번째 가열 후 샘플을 드라이아이스로 반응종료시켰다. 유리전이온도 (Tg)는 2번째 가열 동안에 결정하였다. 여기서 유리전이온도 (Tg)로서 명시된 유리전이 영역의 평균을 "절반 높이(half height)"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탄성계수
탄성계수 및 인장강도의 측정은 표준: ISO/CD 3167 (2003)에 따라 생산된 ISO 인장 로드(tensile rod)(타입 A1, 매스 170 x 20/10 x 4)에 대하여 23℃에서 인장속도 1 mm/min로 DIN EN ISO 527 (1997)에 따라 실행하였다.
샤르피(Charpy)에 따른 노치 내충격성
샤르피에 따른 노치 내충격성의 측정은 표준 ISO/CD 3167에 따라 생산된 ISO 테스트 로드(test rod), 타입 B1 (매스 80 x 10 x 4 mm)에 대하여 23℃에서 ISO 179/2 eA (2000)에 따라 실행하였다.
광택도 60° 및 세척 테스트 후의 광택도 60°
세척 테스트 전과 후의 측정 각도 60°에서의 광택도는 Gloss Tector (ATP Messtechnik GmbH, 독일)로 23℃에서 60 x 60 x 2 mm 크기의 플레이트에서 DIN EN ISO 2813 (2015)에 따라 실행하였다.
세척 테스트
5개의 플레이트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63 ± 2℃로 온도 조절한 교반식 비누욕 내에 침지시키고 거기서 30 ± 2 min 동안 방치하였다. 제거 후에, 여전히 붙어있는 비누액을 흰색 면 옷감으로 조심스럽게 닦아내고, 침지되어 있던 지점에서 광택도 60°를 측정하였다. 표 3 및 4에 명시된 값은 5개의 측정값에 대한 산술평균값이다. 비누욕은 증류수 및 0.1% 트리톤 x-100을 포함한다. 트리톤 x-100은 미국 Dow Chemical Company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octylphenolethoxylate, CAS # 9002-93-1)이다.
시험편 제조하기
시험편은 Arburg의 사출 성형기, 모델 Allrounder 420 C 1000-250 상에서 제조하였다. 여기서 실린더 온도를 280℃ 내지 300℃로 증가시켜 사용하였다.
ISO 인장 로드 및 ISO 테스트 로드를 도구 온도 80℃에서 제조하였다.
광택도 측정을 위한 60 x 60 x 2 mm 플레이트는 광택 도구로 도구 온도 100℃에서 제조하였다.
시험편은 별도로 명시되지 않는 한 건조한 상태에서 사용하였고; 이 목적을 위하여 이들은 건조 환경, 즉 실리카겔 상에서 사출 성형 후 적어도 48시간 동안 상온에서 보관하였다.
2 출발 물질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된 물질을 표 1 및 표 2에 정리하였다.
3 실시예 및 비교예
3.1 코폴리아마이드 (A)의 일반적인 제조 규칙
코폴리아마이드 (A)의 제조는 수집용기 및 반응용기를 갖는 공지된 교반 가능한 압력 오토클레이브에서 그 자체로서 공지된 방법에 의해 실행하였다.
탈이온수를 수집용기에 넣고, 단량체 및 가능한 첨가제를 첨가하였다. 그 다음, 질소가스로 다중 불활성화를 수행하였다. 설정된 압력 하에서 교반하는 동안에180 내지 230℃에서 가열하여 균질화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은 스크린을 통하여 반응용기 내로 펌핑하고, 최대 압력 30bar에서 270 내지 310℃의 원하는 반응온도로 가열하였다. 제조물은 압력 단계 중의 2 내지 4시간 동안 반응온도에서 유지시켰다. 이어지는 팽창 단계에서, 압력을 1 내지 2.5시간 이내에 대기압으로 감소시키고, 온도는 약간 감소될 수 있다. 다음의 탈기 단계에서, 제조물은 대기압 하에서 1 내지 2.5시간 동안 270 내지 310℃의 온도로 유지시켰다. 중합체 용융물은 가닥 형태로 추출하고, 수조 내에서 15 내지 80℃로 냉각시키고, 과립화하였다. 과립들은 수분함량이 0.1중량% 미만이 되도록 질소 하에서 또는 진공에서 80 내지 120℃에서 건조하였다.
축중합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한 적절한 촉매로는 인을 포함하는 산, 예를 들면 H3PO2, H3PO3, H3PO4, 이들의 염 또는 유기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촉매는 코폴리아마이드에 대하여 0.01 내지 0.5중량%,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1중량%의 범위로 첨가하였다.
탈기 동안에 거품 형성을 피하기 위한 적절한 소포제로는 실리콘 또는 실리콘 유도체를 포함하는 10% 수성 유액이고, 이는 코폴리아마이드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10중량%의 양으로 사용하였다.
상대점도 및 몰질량의 설정은 예를 들어 사슬 조절제로서 단일작용성 아민 또는 카복실산, 및/또는 이작용성 디아민 또는 디카복실산을 통해 그 자체로서 공지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었다. 사슬 조절제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단일작용성 사슬 조절제의 전형적인 사용량은 코폴리아마이드 kg당 10 내지 200 mmol이다.
3.2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의 일반적인 제조 및 가공 규칙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성분 A), B), 및 선택적으로 C)를 종래의 배합 장치 예를 들면 단축 압출기 또는 이중축 압출기 또는 스크류 니더로 혼합하였다. 여기서 성분은 단독으로 중량 계량 트롤리를 통해 공급기 내에서 계량되거나 각각 측면 공급기 내에서 계량되거나 건식 블렌딩의 형태로 공급되었다.
첨가제(성분 C)가 사용되는 경우, 이들은 직접 또는 마스터 배치의 형태에서 도입할 수 있다. 마스터 배치의 운반재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마이드 또는 폴리올레핀이다. 폴리아마이드에서, 각각의 성분 A의 폴리아마이드가 특히 이에 적합하다.
성분 A), B) 및 선택적으로 C)의 건조된 과립을 건식 블렌드 제조용 밀폐 용기에서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워블 믹서, 텀블 믹서 또는 텀블러 건조기로 10 내지 40분 동안 균질화하였다. 균질화는 수분 흡수를 피하기 위해 건조된 보호 가스 하에서 실시할 수 있다.
배합은 250 내지 310℃의 설정 실린더 온도에서 실시하고, 제 1실린더 온도는 110℃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 탈기는 노즐 전에 행할 수 있다. 이는 진공 또는 대기 유사 환경에서 행할 수 있다. 용융물은 가닥 형태로 추출하고, 수조 내에서 10 내지 80℃로 냉각시킨 다음, 과립화하였다. 과립은 수분함량이 0.1중량% 미만이 되도록 질소 하에서 또는 진공에서 80 내지 120℃에서 건조하였다.
사출 성형 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의 가공은 실린더 온도를 260 내지 310℃로 증가시켜 실시하고, 공급기로부터 노즐까지 증가 또는 감소하는 온도 프로파일을 사용할 수 있다. 도구 온도는 60 내지 14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20℃의 온도로 설정하였다.
3.1 실시예 1에 따른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의 제조
건조된 과립 (A) 및 (B)는 건조 블렌드의 형태로 혼합하고, 표 3에 나타난 비율로 제조하였다. 이 혼합물은 텀블 믹서로 약 20분 동안 균질화하였다.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은 Werner & Pfleiderer 타입 ZSK 25의 이중축 압출기 상에서 제조하였다. 건조 블렌드는 여기서 계량 저울을 통해 공급기 내에서 계량하였다.
제 1하우징의 온도는 100℃로 설정하고; 나머지 하우징의 온도는 260 내지 290℃로 설정하였다. 150 r.p.m.의 속도 및 10 kg/h의 처리량을 사용하며 탈기는 발생시키지 않았다. 용융 가닥을 수조에서 냉각시키고, 절단하고, 수득된 과립을 수분 함량이 0.1중량% 미만이 되도록 진공(30 mbar)에서 100℃로 24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3.4 실시예 및 비교예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결과를 표 3 및 4에 나타내었다.
4 결과에 대한 논고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은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아마이드 및 5 내지 7.5중량%의 본 발명에 따른 내충격성 개량제를 포함한다. 이들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로부터의 성형체는 세척 테스트 후 60°에서 매우 높은 값의 광택도를 가지며, 또한 노치 내충격성이 매우 높았다.
비교예 VB4 및 VB5에 따른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은 동일한 내충격성 개량제를 보다 적은 비율 또는 보다 많은 비율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상이하였다. 내충격성 개량제의 비율이 보다 낮으면 노치 내충격성에서 상당히 저하되는 반면, 내충격성 개량제의 비율이 보다 높으면 세척 테스트 후 광택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비교예 VB6 내지 VB9에서, 본 발명에 따른 것이 아닌 2.5 내지 10중량%의 내충격성 개량제를 사용하였다. 세척 테스트 후 양호한 광택도 및 양호한 값의 노치 내충격성은 상기 상응하는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세척 테스트 후에 본 발명에 따른 내충격성 개량제의 비율로 비교예 VB7 및 VB8에서 사용하면 상당히 저하된 광택도를 현저하게 관찰하였다.
비교예 VB10 내지 VB12에 따른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은 본 발명에 따른 내충격성 개량제를 청구항에 따른 양으로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은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코폴리아마이드를 포함한다. 이들 비교예에 따른 세척 테스트 후의 광택도 및 노치 내충격성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B1 내지 B3에서보다 훨씬 더 저하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은 내충격성 개량제 및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마이드 (A1)를 비교예 VB13 내지 VB 17에서 사용하였다. 원하는 조합의 특성인 세척 테스트 후 양호한 광택도 및 양호한 노치 내충격성은 이들 임의의 비교예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비교예 VB11, VB12, 및 VB17에 따른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은 너무 작은 탄성계수를 나타낸다.
놀랍게도, 세척 후 60°에서 양호한 광택도 및 양호한 노치 내충격성은 청구항 제 1항에 따른 특징들의 조합에 의해서만 성공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Claims (15)
- 하기 성분을 포함하거나, 이들 성분으로 이루어진 폴리아마이드 성형 조성물:
(A) PA 6I/6T/MACMI/MACMT/PACMI/PACMT/Y, PA 6I/6T/MACMI/MACMT/Y,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84.5 내지 97.0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비정질 또는 미세결정질 코폴리아마이드,
여기서 상기 단량체 Y는 7 내지 14개의 탄소원자를 가지고 락탐, ω-아미노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B) 하기 단량체를 포함하는 3.0 내지 9.5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작용화된 내충격성 개량제
Ba) 에틸렌;
Bb) 프로필렌; 및
Bc) 1-부텐,
여기서 상기 작용화는 불포화 카복실산, 불포화 카복실산 유도체, 불포화 글리시딜 화합물,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과 그래프트(grafting) 및/또는 공중합체화에 의해 수행되며;
(C) 0 내지 6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
여기서 상기 성분 (A) 내지 (C)의 중량 비율은 100중량% 이하가 되도록 첨가함.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는 하기 단량체
a1) 4 내지 30몰% 비스(3-메틸-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a2) 18 내지 45몰% 1,6-헥산디아민;
a3) 0 내지 10몰%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a4) 18 내지 30몰% 이소프탈산;
a5) 18 내지 30몰% 테레프탈산; 및
a6) 0.1 내지 10몰%의 단량체 Y로 구성되고, 여기서 단량체 Y는 7 내지 14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며, 락탐, ω-아미노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코폴리아마이드 내 단량체 a1) 내지 a6)의 비율은 100% 이하가 되도록 첨가하며;
여기서 모든 디아민 단량체의 합은 모든 디카복실산 단량체의 합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마이드 성형 조성물.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는 하기 단량체
a1) 4 내지 30몰% 비스(3-메틸-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a2) 18 내지 45몰% 1,6-헥산디아민;
a3) 0.1 내지 10몰%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a4) 18 내지 30몰% 이소프탈산;
a5) 18 내지 30몰% 테레프탈산; 및
a6) 0.1 내지 10몰%의 단량체 Y로 구성된 비정질 코폴리아마이드 PA 6I/6T/MACMI/MACMT/PACMI/PACMT/Y이고, 여기서 단량체 Y는 7 내지 14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며, 락탐, ω-아미노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코폴리아마이드 내 단량체 a1) 내지 a6)의 비율은 100% 이하가 되도록 첨가하며;
여기서 모든 디아민 단량체의 합은 모든 디카복실산 단량체의 합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마이드 성형 조성물.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는 하기 단량체
a1) 5 내지 20몰%의 비스(3-메틸-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a2) 20 내지 43몰%의 1,6-헥산디아민;
a3) 0.1 내지 8몰%의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a4) 20 내지 29.5몰%의 이소프탈산;
a5) 20 내지 29.5몰%의 테레프탈산; 및
a6) 1 내지 8몰%의 단량체 Y로 구성되고, 여기서 단량체 Y는 7 내지 14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며, 락탐, ω-아미노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코폴리아마이드 내 단량체 a1) 내지 a6)의 비율은 100% 이하가 되도록 첨가하며;
여기서 모든 디아민 단량체의 합은 모든 디카복실산 단량체의 합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마이드 성형 조성물.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는 하기 단량체
a1) 4 내지 30몰% 비스(3-메틸-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a2) 18 내지 45몰% 1,6-헥산디아민;
a4) 18 내지 30몰% 이소프탈산;
a5) 18 내지 30몰% 테레프탈산; 및
a6) 0.1 내지 10몰%의 단량체 Y로 구성된 비정질 코폴리아마이드 PA 6I/6T/MACMI/MACMT/Y이고, 여기서 단량체 Y는 7 내지 14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며, 락탐, ω-아미노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코폴리아마이드 내 단량체 a1), a2), 및 a4) 내지 a6)의 비율은 100% 이하가 되도록 첨가하며;
여기서 모든 디아민 단량체의 합은 모든 디카복실산 단량체의 합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마이드 성형 조성물.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는 하기 단량체
a1) 5 내지 20몰%의 비스(3-메틸-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a2) 26 내지 43몰%의 1,6-헥산디아민;
a4) 20 내지 29.5몰%의 이소프탈산;
a5) 20 내지 29.5몰%의 테레프탈산; 및
a6) 1 내지 8몰%의 단량체 Y로 구성되고, 여기서 단량체 Y는 7 내지 14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며, 락탐, ω-아미노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코폴리아마이드 내 단량체 a1), a2), 및 a4) 내지 a6)의 비율은 100% 이하가 되도록 첨가하며;
여기서 모든 디아민 단량체의 합은 모든 디카복실산 단량체의 합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마이드 성형 조성물.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의 단량체 Y는 락탐 및 ω-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폴리아마이드 성형 조성물.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마이드 성형 조성물 내 성분 (A)의 비율은 성분 (A) 내지 (C)의 합에 대하여 87.5 내지 96.5중량%의 범위이고; 및/또는
상기 폴리아마이드 성형 조성물 내 성분 (B)의 비율은 성분 (A) 내지 (C)의 합에 대하여 3.5 내지 8.5중량%의 범위이며; 및/또는
상기 폴리아마이드 성형 조성물 내 성분 (C)의 비율은 성분 (A) 내지 (C)의 합에 대하여 0 내지 4중량%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마이드 성형 조성물.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B)의 작용화는 공중합에 의해 발생하고 작용화에 사용된 화합물의 비율은 성분 (B)의 총 질량에 대하여 3 내지 25중량%이고; 및/또는
상기 성분 (B)의 작용화는 그래프트에 의해 발생하고 작용화에 사용된 화합물의 비율은 성분 (B)의 총 질량에 대하여 0.3 내지 2.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마이드 성형 조성물.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B)의 작용화에 사용된 화합물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글리시딜 아크릴산, 글리시딜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에스터, 메타크릴산 에스터, α-에틸 아크릴산,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푸마르산, 이타콘산, 이타콘산 무수물, 시트라콘산, 아코니트산,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부테닐 숙신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마이드 성형 조성물.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 Ba), Bb), 및 Bc)는 하기 몰 비율:
Ba) 65 내지 90몰%;
Bb) 8 내지 33몰%;
Bc) 2 내지 25몰%로 성분 (B)에 포함되고,
여기서 단량체 Ba), Bb), 및 Bc)의 몰 비율은 100% 이하가 되도록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마이드 성형 조성물.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 (C)의 적어도 하나는 무기 안정제, 유기 안정제, 항산화제, 오존화방지제 및/또는 광보호 수단, 윤활유, 착색제, 마킹 수단, 무기 안료, 유기 안료, 이형 수단, 사슬-연장 첨가제, 차단방지 수단, 광학 광택제,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마이드 성형 조성물.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DIN EN ISO 2813 (2015)에 따라 결정된 광택도 60°는 비누액으로 시험편을 처리한 후 적어도 75%이고; 및/또는
DIN EN ISO 179/2 eA에 따라 결정된 노치 내충격성은 적어도 70 kJ/m2이며; 및/또는
DIN EN ISO 527 (1997)에 따라 결정된 탄성계수는 적어도 2100 MPa이며; 및/또는
DIN EN ISO 2813 (2015)에 따라 결정된 광택도 60°는 적어도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마이드 성형 조성물.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따른 폴리아마이드 성형 조성물을 포함하거나 상기 폴리아마이드 성형 조성물로 이루어진 성형체.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는 자동차 내장재 또는 패션 분야에서의 트림 구성물, 스포츠 용품, 스키 부츠, 스포츠화의 미드솔, 레저 용품, 완구, 건축 구성물, 모듈, 조각상 또는 모형, 가정용품, 그릇, 캔, 비커, 안경의 구성물, 가구용품, 삽입용 밑창, 건축 부품 및 위생 분야, 보건 분야, 및 화장품 분야의 유닛용 가시용 부품, 안전화의 부품, 캡, 하우징, 전기 장치 및 전자 장치용 하우징 부품, 휴대전화의 보호용 케이스, 컴퓨터 및 통신 분야의 시각 부품, 튜브, 호스, 및 전자담배 부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7188853.0A EP3450481B1 (de) | 2017-08-31 | 2017-08-31 | Polyamid-formmasse mit hohem glanz und hoher kerbschlagzähigkeit |
EP17188853.0 | 2017-08-3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4818A KR20190024818A (ko) | 2019-03-08 |
KR102492004B1 true KR102492004B1 (ko) | 2023-01-26 |
Family
ID=59772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2470A KR102492004B1 (ko) | 2017-08-31 | 2018-08-30 | 고광택 및 높은 노치 내충격성을 가진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0836905B2 (ko) |
EP (1) | EP3450481B1 (ko) |
JP (1) | JP6964053B2 (ko) |
KR (1) | KR102492004B1 (ko) |
CN (1) | CN109423037B (ko) |
TW (1) | TWI760552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184577A1 (de) | 2015-12-23 | 2017-06-28 | Ems-Patent Ag | Verfahren und behälter für die lagerung und den transport von polyamidgranulaten und entsprechend gelagertes oder transportiertes polyamidgranulat sowie hieraus hergestellte formkörper |
EP3502191B1 (de) | 2017-12-22 | 2021-02-17 | Ems-Chemie Ag | Polyamid-formmasse |
EP3502164B1 (de) | 2017-12-22 | 2022-10-05 | Ems-Chemie Ag | Polyamid-formmasse |
EP3636406B1 (de) | 2018-10-09 | 2021-04-28 | Ems-Chemie Ag | Schlagzähmodifizierte polyamid-formmassen |
EP3772520B1 (de) | 2019-08-09 | 2023-07-12 | Ems-Chemie Ag | Polyamid-formmasse und deren verwendung sowie aus der formmasse hergestellte formkörper |
EP3842496A1 (de) | 2019-12-23 | 2021-06-30 | Ems-Chemie Ag | Polyamid-formmassen für hypochlorit-beständige anwendungen |
EP4015575A1 (de) | 2020-12-17 | 2022-06-22 | Ems-Chemie Ag | Gefüllte polyamid-formmassen, hieraus hergestellte formkörper und verwendung der gefüllten polyamid-formmassen |
EP4253479A1 (de) | 2022-03-29 | 2023-10-04 | Ems-Chemie Ag | Polyamidformmasse mit hoher bruchfestigkeit sowie hieraus gebildete formteil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122321A (ja) | 2012-12-21 | 2014-07-03 | Ems-Patent Ag | 耐汚染性物品およびその使用 |
JP2017048382A (ja) | 2015-08-31 | 2017-03-09 | エーエムエス−パテント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 ポリアミド成形材料及びそれから製造できる成形品 |
Family Cites Families (5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36541A (en) | 1984-02-27 | 1985-08-20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High impact resistant polyamide |
CH671022A5 (ko) * | 1986-08-26 | 1989-07-31 | Inventa Ag | |
JPS6357668A (ja) | 1986-08-29 | 1988-03-12 | Mitsubishi Chem Ind Ltd | アモルフアス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
JPH05279433A (ja) * | 1992-03-31 | 1993-10-26 | Tonen Corp |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
JPH07150034A (ja) * | 1993-12-02 | 1995-06-13 | Showa Denko Kk |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
DE19913042C2 (de) | 1999-03-23 | 2001-05-03 | Inventa Ag | Haftvermittler für textile Verstärkungseinlagen,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dessen Verwendung |
US8022170B2 (en) | 2002-12-17 | 2011-09-20 | Ems-Chemie Ag | Copolyamides |
DE10316873A1 (de) | 2003-04-11 | 2004-11-11 | Ems-Chemie Ag | Flammgeschützte Polyamidformmassen |
DE102005052025B4 (de) | 2005-10-31 | 2008-10-23 | Ems-Chemie Ag | Haftmittelformulierung, Verfahren zur Herstellung sowie dessen Verwendung |
US8268956B2 (en) | 2006-12-08 | 2012-09-18 | Ems-Chemie Ag | Transparent mold made of a polyamide molding material |
EP2060607B2 (de) | 2007-11-16 | 2019-11-27 | Ems-Patent Ag | Gefüllte Polyamidformmassen |
DE102008016436A1 (de) | 2008-03-31 | 2009-10-01 | Ems-Patent Ag | Polyamidformmasse für lackfreie, zähe Gehäuse mit Hochglanz-Oberfläche |
CH699311B1 (de) | 2008-08-14 | 2012-03-30 | Ems Patent Ag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ibenz[c,e][1,2]-oxaphosphorin-Derivaten, Amino-dibenz[c,e][1,2]-oxaphosphorin sowie deren Verwendung. |
CH699310B1 (de) | 2008-08-14 | 2012-03-30 | Ems Patent Ag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erbrückten Dibenz[c,e][1,2]-oxaphosphorin-6-oxiden. |
EP2290004B1 (de) * | 2009-07-31 | 2016-08-31 | Ems-Patent Ag | Polyamid-Blend-Formmasse |
EP2365033B1 (de) | 2010-03-12 | 2013-07-10 | Ems-Patent Ag | Schlagzähmodifizierte Polyamidformmasse sowie hieraus gebildeter Behälter |
EP2412757B1 (de) | 2010-07-30 | 2013-11-13 | Ems-Patent Ag | Polyamidformmasse zur Herstellung von Formkörpern mit einer Weichgriffoberfläche sowie entsprechende Formkörper |
EP2450389B1 (de) | 2010-11-08 | 2015-03-18 | EMS-Patent AG | Haftvermittler für textile Verstärkungseinlagen und dessen Verwendung |
PL2499932T3 (pl) | 2011-03-17 | 2016-12-30 | Korpus tulejowy | |
SI2535365T1 (sl) | 2011-06-17 | 2014-02-28 | Ems-Patent Ag | Delno aromatične oblikovalne mase in njihova uporaba |
EP2662398B1 (de) | 2012-05-11 | 2014-07-16 | Ems-Patent Ag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sulfonen und Polysulfone |
EP2662399B1 (de) | 2012-05-11 | 2014-07-16 | Ems-Patent Ag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sulfonen |
EP2666803B1 (de) | 2012-05-23 | 2018-09-05 | Ems-Patent Ag | Kratzfeste, transparente und zähe Copolyamidformmassen, hieraus hergestellte Formkörper und deren Verwendung |
EP2716716B1 (de) | 2012-10-02 | 2018-04-18 | Ems-Patent Ag | Polyamid-Formmassen und deren Verwendung bei der Herstellung von Formkörpern |
EP3150583B1 (de) | 2012-11-13 | 2019-05-22 | Ems-Patent Ag | Mdi-dimer |
ES2527403T3 (es) | 2012-12-18 | 2015-01-23 | Ems-Patent Ag | Masa para moldeo de poliamida y cuerpos moldeados producidos a partir de ella |
EP2777919B1 (de) | 2013-03-12 | 2022-06-22 | Ems-Chemie Ag |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Laminaten aus Faserbändchen und deren Verwendung |
EP2778190B1 (de) | 2013-03-15 | 2015-07-15 | Ems-Patent Ag | Polyamidformmasse sowie hieraus hergestellter Formkörper |
EP2837643B1 (de) | 2013-08-16 | 2018-10-10 | Ems-Patent Ag | Pulverförmiger, in wasser dispergierbarer haftvermittler |
DE102013217241A1 (de) | 2013-08-29 | 2015-03-05 | Ems-Patent Ag | Polyamid-Formmassen und hieraus hergestellte Formkörper |
EP2860009B1 (de) | 2013-10-11 | 2019-01-09 | Ems-Patent Ag | Verfahren zu der Herstellung von verstärkten Formkörper |
WO2015090435A1 (de) | 2013-12-20 | 2015-06-25 | Ems-Patent Ag | Langfaser-verstärkte polyamide |
EP2902444B1 (de) | 2014-01-31 | 2018-01-17 | Ems-Patent Ag | Polyamid-Formmassen mit flammhemmenden Eigenschaften und sehr guter Langzeitwärmealterungsbeständigkeit |
FR3018280B1 (fr) | 2014-03-04 | 2017-05-26 | Arkema France | Composition transparente a base de polyamide chargee de verre |
EP2927273B1 (de) * | 2014-04-02 | 2017-06-07 | Ems-Patent Ag | Polyamidformmasse, hieraus hergestellte Formkörper sowie Verwendung der Polyamidformmassen |
EP2933295B1 (de) | 2014-04-15 | 2016-07-06 | Ems-Patent Ag | Polyamidformmasse und deren Verwendung |
EP2952319B1 (de) | 2014-06-06 | 2017-04-19 | Ems-Patent Ag | Verfahren zum spannungsarmen Spritzgießen von amorphen oder mikrokristallinen Polyamiden |
EP2957598A1 (de) | 2014-06-20 | 2015-12-23 | Ems-Patent Ag | Komposit enthaltend ein matrixmaterial aus einem amorphen polyamid und dessen verwendung |
EP3020746B1 (de) | 2014-11-11 | 2020-08-26 | Ems-Patent Ag | Polyamidformmasse, hieraus hergestellter formkörper sowie verwendungszwecke |
US10544286B2 (en) | 2015-02-13 | 2020-01-28 | Ems-Patent Ag | Polyamide moulding composition and moulded article made from this moulding composition |
EP3078475B1 (de) | 2015-04-07 | 2019-01-30 | Ems-Patent Ag | Herstellungsverfahren eines mit einem verstärkungselement verstärkten formkörpers |
CN105085903B (zh) * | 2015-09-14 | 2018-06-15 | 北京旭阳科技有限公司 | 一种耐高温支链聚酰胺嵌段共聚物及其制备方法 |
EP3156435B1 (de) | 2015-10-14 | 2019-07-24 | Ems-Patent Ag | Copolyamide, diese enthaltende formmassen und daraus hergestellte formkörper |
EP3168252B1 (de) | 2015-11-13 | 2019-01-09 | Ems-Patent Ag | Polyketon-formmassen mit verbesserten eigenschaften, hieraus hergestellter formkörper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
ES2676498T3 (es) | 2015-11-13 | 2018-07-20 | Ems-Patent Ag | Materiales policetónicos alifáticos ignífugos, cuerpos de moldeo derivados de ellas así como procedimientos para su producción |
EP3184278B1 (de) | 2015-12-23 | 2019-04-17 | Ems-Patent Ag | Spritzguss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ormteilen, mittels spritzguss hergestelltes formteil sowie spritzgusswerkzeug |
EP3184577A1 (de) | 2015-12-23 | 2017-06-28 | Ems-Patent Ag | Verfahren und behälter für die lagerung und den transport von polyamidgranulaten und entsprechend gelagertes oder transportiertes polyamidgranulat sowie hieraus hergestellte formkörper |
EP3309199B1 (de) | 2016-10-12 | 2020-04-01 | Ems-Patent Ag | Glasfüller-verstärkte polyamid-formmassen auf basis amorpher copolyamide |
EP3312224B1 (en) | 2016-10-21 | 2018-12-26 | Ems-Patent Ag | Polyamide moulding composition and multi-layered structure made herefrom |
EP3330319B1 (de) | 2016-12-02 | 2020-08-26 | EMS-Patent AG | Polyamid-formmassen mit geringer relativer permittivität |
EP3369761B1 (de) | 2017-03-03 | 2022-06-01 | Ems-Chemie Ag | Copolyamide enthaltend dimere fettsäure als monomer |
EP3369760B1 (de) | 2017-03-03 | 2023-05-10 | Ems-Chemie Ag | Mikrowellenbeständige formkörper |
-
2017
- 2017-08-31 EP EP17188853.0A patent/EP3450481B1/de active Active
-
2018
- 2018-08-16 JP JP2018153293A patent/JP6964053B2/ja active Active
- 2018-08-17 TW TW107128860A patent/TWI760552B/zh active
- 2018-08-28 US US16/115,055 patent/US10836905B2/en active Active
- 2018-08-30 KR KR1020180102470A patent/KR10249200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8-30 CN CN201811002913.1A patent/CN109423037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122321A (ja) | 2012-12-21 | 2014-07-03 | Ems-Patent Ag | 耐汚染性物品およびその使用 |
JP2017048382A (ja) | 2015-08-31 | 2017-03-09 | エーエムエス−パテント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 ポリアミド成形材料及びそれから製造できる成形品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450481B1 (de) | 2020-10-21 |
EP3450481A1 (de) | 2019-03-06 |
CN109423037B (zh) | 2022-06-17 |
JP6964053B2 (ja) | 2021-11-10 |
CN109423037A (zh) | 2019-03-05 |
KR20190024818A (ko) | 2019-03-08 |
US10836905B2 (en) | 2020-11-17 |
JP2019070110A (ja) | 2019-05-09 |
US20190062554A1 (en) | 2019-02-28 |
TWI760552B (zh) | 2022-04-11 |
TW201920475A (zh) | 2019-06-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92004B1 (ko) | 고광택 및 높은 노치 내충격성을 가진 폴리아마이드 성형 화합물 | |
US9109115B2 (en) | Polyamide moulding compound and moulded articles produced herefrom | |
JP6705434B2 (ja) | 非晶質コポリアミドをベースとするガラス充填材で強化されたポリアミド成形コンパウンド | |
JP6650381B2 (ja) | コポリアミド、これらを含有する成形材料及びそれから製造された成形品 | |
KR101999800B1 (ko) | 폴리아미드 성형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
US6528560B2 (en) | Colorless, highly transparent polyamide blends with improved stress cracking resistance | |
JP7344074B2 (ja) | 耐衝撃性改良ポリアミド成形材料 | |
BR0115315B1 (pt) | materiais de moldagem à base de poliamida termoplástica semi-cristalina e semi-aromática, uso dos ditos materiais para produção de artigos moldados, e os ditos artigos moldados. | |
US11359091B2 (en) | Polyamide molding compound | |
TWI786240B (zh) | 聚醯胺模製化合物 | |
JP2020501001A (ja) | ポリアミドの制御された粘度調整のための添加剤 | |
JP2019178333A (ja) | 耐衝撃性熱可塑性組成物 | |
TWI793718B (zh) | 具有二聚酸和二聚胺的脂族和半芳族聚醯胺 | |
KR102717759B1 (ko) | 폴리아미드 성형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 물품 및 적용 가능한 이의 용도 | |
CN118715286A (zh) | 聚酰胺树脂组合物和成型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