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807B1 - 이축 파쇄기 - Google Patents

이축 파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807B1
KR102471807B1 KR1020207030077A KR20207030077A KR102471807B1 KR 102471807 B1 KR102471807 B1 KR 102471807B1 KR 1020207030077 A KR1020207030077 A KR 1020207030077A KR 20207030077 A KR20207030077 A KR 20207030077A KR 102471807 B1 KR102471807 B1 KR 102471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creen
scraper
rotary
cr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0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3777A (ko
Inventor
츠카사 야마무라
히로후미 마츠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코 칸쿄 카가쿠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코 칸쿄 카가쿠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코 칸쿄 카가쿠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33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3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02C18/182Disc-shaped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two or more inter-engaging rotatable cutte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이 이축 파쇄기(1)는, 한 쌍의 회전축(7)과, 일방의 회전축(7a)에 장착된 회전날(8)의 회전 궤적의 일부와, 타방의 회전축(7b)에 장착된 회전날(8)의 회전 궤적의 일부가 중첩되어 있는 복수의 회전날(8)과, 각각의 회전축(7)에 장착된 복수의 스페이서(9)와, 스크린부(4)를 갖는다. 스크린부(4)는, 축선 방향(Da)으로 뻗는 지붕부(23)와, 지붕부(23)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붕 받침대(24)와, 지붕 받침대(24)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스크린날 받침대(25)와, 지붕 받침대(24)와 스크린날 받침대(25)를 접속시켜, 인접하는 연결부(26) 간에 개구가 마련되는 연결부(26)와, 스크린날 받침대(25)에 장착되어, 회전날(8)과의 사이에서 폐기물의 2차 파쇄를 행하는 스크린날(29)을 갖는다.

Description

이축 파쇄기
본 발명은, 이축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8년 6월 12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 2018-111871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 목재(예를 들면 바이오매스 발전용 목질재(木質材)), 죽재, 가연·불연성 쓰레기 등의 폐기물을 파쇄 처리하는 수단으로서 이축 파쇄기 등의 파쇄기가 이용되고 있다. 폐기물 처리 설비(쓰레기 청소 공장 등)에서는, 파쇄기를 이용하여 폐기물을 소정의 크기(입도) 이하로 파쇄한 후, 소각로 등에 투입하여 처리하고 있다.
이축 파쇄기는, 한 쌍의 회전축과 각각의 회전축에 장착된 복수의 회전날을 갖고 있다. 회전날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된 복수의 파쇄날을 갖고 있다.
이축 파쇄기에 있어서, 대나무 등의 장척물이 파쇄되지 않고 한 쌍의 회전축 간을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는, 착탈 가능한 복수의 파쇄날을 다수 장착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에는, 회전날의 선단부를 산 형상으로 형성함과 함께, 스크린을 회전날의 회전 궤적을 따른 골 형상으로 형성하여, 폐기물을 소정의 크기 이하로 파쇄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7-963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49194호
그런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은, 모두 장척물의 빠져 나감이 방지되지만, 보다 효율적으로 폐기물을 파쇄하는 방법이 요망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에서는, 한 쌍의 회전축 간에서만 파쇄가 행해지므로, 원하는 입도가 된다고는 한정할 수 없다. 한편,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에서는, 한 쌍의 회전축 간에서는 파쇄는 행해지지 않아, 이축인 것의 우위성이 발휘되어 있지 않다.
이 발명은, 보다 효율적으로 폐기물을 소정의 크기 이하로 파쇄할 수 있는 이축 파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하면, 이축 파쇄기는, 폐기물을 파쇄하는 이축 파쇄기로서,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회전축과, 각각의 상기 회전축에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상기 폐기물의 1차 파쇄를 행하는 복수의 회전날로서, 상기 축선 방향에서 보아 상기 한 쌍의 회전축 중 일방의 회전축에 장착된 상기 회전날의 회전 궤적의 일부와, 타방의 회전축에 장착된 상기 회전날의 회전 궤적의 일부가 중첩되어 있는 복수의 회전날과, 각각의 상기 회전축에 상기 회전날과 상기 축선 방향으로 교대로 장착된 복수의 스페이서와, 상기 한 쌍의 회전축의 하방에 배치된 스크린부를 갖고,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한 쌍의 회전축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축선 방향으로 뻗는 지붕부와, 상기 지붕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또한 상기 축선 방향으로 뻗는 지붕 받침대와, 상기 지붕 받침대에 대하여 상기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상기 지붕 받침대의 주면(主面)과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그 주면이 배치된 스크린날 받침대와, 상기 지붕 받침대와 상기 스크린날 받침대를 접속시키는 복수의 연결부로서, 인접하는 상기 연결부 간에 개구가 마련되는 연결부와, 상기 스크린날 받침대에 상기 폭방향으로부터 장착되어, 상방에서 통과하는 상기 회전날과의 사이에서 상기 폐기물의 2차 파쇄를 행하는 스크린날을 구비하고, 상기 지붕부는 상기 개구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폐기물에 대하여, 1차 파쇄, 및 2차 파쇄가 행해짐으로써, 소정의 크기까지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파쇄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하게 폐기물을 소정의 입도까지 파쇄할 수 있다.
상기 이축 파쇄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및 상기 스크린부를 수용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의 측방에서 상기 축선 방향으로 뻗는 스크레이퍼로서, 상기 케이싱과 상기 스페이서의 사이를 메우도록 상기 스페이서에 근접하여 배치된 판 형상의 제1 스크레이퍼편과, 상기 제1 스크레이퍼편과 상기 축선 방향으로 교대로 중첩되어, 상기 케이싱과 상기 회전날의 사이를 메우도록 상기 회전날에 근접하여 배치된 제2 스크레이퍼편을 갖는 스크레이퍼와, 상기 제2 스크레이퍼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날과의 사이에서 상기 폐기물의 3차 파쇄를 행하는 스크레이퍼날을 가져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폐기물에 대하여 1차 파쇄, 및 2차 파쇄에 더하여, 3차 파쇄가 행해짐으로써, 소정의 크기까지 폐기물을 더 효율적으로 파쇄할 수 있다.
상기 이축 파쇄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은, 상기 축선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고 각각이 상기 둘레 방향에서 보아 일부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를 갖는 복수의 파쇄날을 가지며, 상기 스크린날과 상기 스크레이퍼날 중 적어도 일방은, 상기 볼록부가 통과하는 오목부를 가져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폐기물을 볼록부와 오목부의 사이에서 파쇄할 수 있다.
상기 이축 파쇄기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날은, 상기 스페이서를 향하여 뻗고, 또한 상기 스페이서에 근접하는 연신부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스페이서와 스크린날의 사이를 폐기물이 파쇄되지 않고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축 파쇄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과 상기 스크린날 받침대를 접속하는 복수의 외측 연결부로서, 인접하는 상기 외측 연결부 간에 제2 개구가 마련되는 복수의 외측 연결부를 가져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케이싱과 스크린날 받침대의 사이의 공간을 스크린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상기 이축 파쇄기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날과 상기 스크레이퍼날 중 적어도 일방은, 상기 복수의 회전날의 각각에 대응하여 분할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스크린날, 스크레이퍼날이 마모 등으로 파손된 경우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폐기물에 대하여, 1차 파쇄, 및 2차 파쇄가 행해짐으로써, 소정의 크기까지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파쇄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하게 폐기물을 소정의 입도까지 파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이축 파쇄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파쇄 기구, 스크린 유닛, 및 스크레이퍼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이축 파쇄기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파쇄 기구의 날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회전날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이축 파쇄기의 폭방향에 인접하는 회전날, 스페이서, 및 스크레이퍼의 형상을 설명하는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스크린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스크린 유닛의 상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스크린날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1 스크레이퍼편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2 스크레이퍼편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스크레이퍼날의 축선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XIV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스크레이퍼날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이축 파쇄기의 작용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의 스크린 유닛의 상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의 파쇄 기구, 스크린 유닛, 및 스크레이퍼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변형예의 스크린 유닛의 상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4 변형예의 이축 파쇄기의 폭방향에 인접하는 회전날, 스페이서, 및 스크레이퍼의 형상을 설명하는 상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5 변형예의 스크린 유닛의 상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이축 파쇄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이축 파쇄기는, 예를 들면 목재, 죽재, 가연·불연성 쓰레기 등의 폐기물을 파쇄하여, 소정의 크기(길이, 입도) 이하의 파쇄물로 하는 파쇄기이다. 본 실시형태의 이축 파쇄기는, 특히 장척상의 폐기물을 많이 포함하는 목질재, 죽재의 파쇄에 최적이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축 파쇄기(1)는, 회전날(8)을 갖는 한 쌍의 파쇄 기구(3)와, 한 쌍의 파쇄 기구(3)에 의하여 파쇄된 파쇄물을 받음과 함께 소정의 크기 이하가 된 파쇄물을 하방으로 낙하시키는 스크린 유닛(4)(스크린부)과, 한 쌍의 스크레이퍼 유닛(5)과, 파쇄 기구(3), 스크린 유닛(4), 및 스크레이퍼 유닛(5)을 수용하는 케이싱(2)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에서는, 파쇄 기구(3)를 구성하는 구동 장치(10)의 도시를 생략하고, 도 2에서는, 케이싱(2)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스크린 유닛(4)에는, 파쇄 기구(3)의 복수의 회전날(8)과의 사이에서 폐기물의 파쇄를 행하는 복수의 스크린날(29)이 마련되어 있다. 스크레이퍼 유닛(5)에는, 파쇄 기구(3)의 복수의 회전날(8)과의 사이에서 폐기물의 파쇄를 행하는 복수의 스크레이퍼날(35)이 마련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파쇄 기구(3)에서 행해지는 파쇄를 1차 파쇄라고 부르고, 회전날(8)과 스크린날(29)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파쇄를 2차 파쇄라고 부르며, 회전날(8)과 스크레이퍼날(35)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파쇄를 3차 파쇄라고 부른다.
각각의 파쇄 기구(3)는, 회전축(7)과, 회전축(7)에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회전날(8)과, 회전축(7)에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스페이서(9)와, 회전축(7)을 회전 구동시키는 전동기 등의 구동 장치(10)를 갖고 있다. 이하, 일방의 파쇄 기구(3)의 회전축(7)을 제1 회전축(7a), 타방의 파쇄 기구(3)의 회전축(7)을 제2 회전축(7b)이라고 부른다.
한 쌍의 회전축(7)은, 케이싱(2)의 내부에, 각각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평행하게, 축선(A)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1 회전축(7a)의 축선(A1)과, 제2 회전축(7b)의 축선(A2)은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하, 축선(A)을 따른 방향을 간단히 축선 방향(Da)이라고 부른다. 축선 방향(Da)에 직교하는 수평 방향을 폭방향(Y)이라고 부른다.
제1 회전축(7a) 및 제2 회전축(7b)은, 각각이 구동 장치(10)에 의하여 구동되고 있다. 제1 회전축(7a)은, 도 4의 T1 방향(우회전), 제2 회전축(7b)은, 도 4의 T2 방향(좌회전)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제1 회전축(7a)과 제2 회전축(7b)의 사이를 하방을 향하여 폐기물이 통과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1 회전축(7a) 및 제2 회전축(7b)은 도 4의 T1 방향, T2 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역방향으로도 회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파쇄 중에 있어서 구동 장치(10)에 큰 부하가 걸린 경우 등에, 회전축(7)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 장치(10)는 출력축의 회전수를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구동 장치(10)는 회전축(7)을 원하는 회전수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축 파쇄기(1)는, 제1 회전축(7a)을 고속으로 회전시키고, 제2 회전축(7b)을 제1 회전축(7a)보다 저속으로 회전시킨다. 제1 회전축(7a)의 회전 속도와 제2 회전축(7b)의 회전 속도는 다르며, 제1 회전축(7a)의 회전 속도는, 제2 회전축(7b)의 회전 속도보다 높다.
1개의 구동 장치(10)와, 이 구동 장치(10)의 구동력을 2개의 회전축(7)에 전달하는 기어 기구를 이용하여, 2개의 회전축(7)을 구동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단일의 구동 장치(10)로 한 쌍의 회전축(7)을 구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복수의 회전날(8)은, 회전축(7)의 축선 방향(Da)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다. 복수의 스페이서(9)는, 축선 방향(Da)으로 인접하는 회전날(8)끼리의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회전날(8)과 스페이서(9)는, 축선 방향(Da)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회전날(8)의 축선 방향(Da)의 폭(두께)과, 스페이서(9)의 축선 방향(Da)의 폭은, 동일하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7)의 단면 형상은, 육각형이다. 회전축(7)은, 구동 장치(10)에 의하여 축선(A) 둘레로 회전한다. 회전축(7)의 단면 형상은, 단면 다각 형상이면 되고, 예를 들면 사각 형상으로 해도 된다. 회전축(7)을 단면 원형으로 하고, 스페이서(9) 및 회전날(8)을, 키를 이용하여 고정해도 된다.
회전날(8)은, 디스크부(11)(날 받침대)와, 디스크부(11)의 외주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축선(A)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병설되는 날부(12)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회전날(8)은, 축선(A)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된 6개의 날부(12)(파쇄날(14))를 갖고 있다. 날부(12)는 볼트(19)(도 5 참조)에 의하여 디스크부(11)에 장착되어 있다.
디스크부(11)에는, 회전축(7)의 단면 형상에 대응한 육각 형상의 중심 구멍(11b)이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부(11)의 중심 구멍(11b)에는, 회전축(7)이 삽통(揷通)되어 있다.
디스크부(11)는, 축선 방향(Da)에서 보아, 대략 육각 형상을 이루고 있다. 날부(12)는, 디스크부(11)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6개의 에지면(11a)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크부(11)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6개의 에지면(11a)에는, 축선(A)의 둘레 방향을 향하는 계합면(11d)을 구비한 단부(11c)가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부(11)의 에지면(11a)에 당접하는 날부(12)의 당접면(12a)에는, 축선(A)의 둘레 방향을 향하는 계합면(12d)을 구비한 단부(12c)가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부(11)의 단부(11c)와 날부(12)의 단부(12c)는, 계합면(11d, 12d)끼리를 면접촉시켜 서로 계합시킨다.
날부(12)는, 축선(A)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파쇄날(14)을 갖고 있다. 파쇄날(14)은, 회전 방향(R)의 전방을 향하는 경사면(14a)과, 파쇄날(14)의 선단(17)과, 회전 방향(R)에서 보아 선단(17)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여유면(14b)을 갖고 있다.
날부(12)의 당접면(12a)과 디스크부(11)의 에지면(11a)은, 날부(12)의 당접면(12a)에 형성되어 있는 핀 구멍(12e)과, 디스크부(11)의 에지면(11a)에 형성되어 있는 핀 구멍(11e)에, 대략 동일한 직경의 원주 형상의 핀(15)을 끼워 맞춤으로써 위치 맞춤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회전축(7a)에 장착되어 있는 회전날(8)의 선단의 회전 궤적(L81)의 일부와, 제2 회전축(7b)에 장착되어 있는 회전날(8)의 선단의 회전 궤적(L82)의 일부는, 축선(A) 방향에서 보아 중첩되어 있다.
환언하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날(8)의 최대 외경(D8)은, 제1 회전축(7a)과 제2 회전축(7b)의 축간 거리(DA)보다 크다.
제1 회전축(7a)에 장착되어 있는 회전날(8)과 제2 회전축(7b)에 장착되어 있는 회전날(8)은, 축선 방향(Da)으로 엇갈려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회전축(7a)에 장착되어 있는 회전날(8)의 폭방향(Y)의 옆에는 제2 회전축(7b)에 장착되어 있는 스페이서(9)가 배치되고, 제1 회전축(7a)에 장착되어 있는 스페이서(9)의 폭방향(Y)의 옆에는 제2 회전축(7b)에 장착되어 있는 회전날(8)이 배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쇄날(14)(회전날(8))은 축선(A)의 둘레 방향에서 보아 일부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파쇄날 볼록부(16)(볼록부)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파쇄날(14)의 파쇄날 볼록부(16)는, 축선 방향(Da)의 중앙부가 첨예(尖銳)(산 형상)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파쇄날 볼록부(16)는,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축선 방향(Da)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파쇄날 볼록부(16)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는 선단(17)과, 선단(17)과 파쇄날(14)의 주면을 접속하는 한 쌍의 파쇄날 경사면(18)을 갖고 있다. 한 쌍의 파쇄날 경사면(18)은, 선단(17)에서 교차하고 있다. 한 쌍의 파쇄날 경사면(18)끼리가 이루는 각도는, 예를 들면 80°내지 100°로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9)는, 축선(A)의 둘레 방향에서 보아, 축선 방향(Da)의 중앙부가 직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한 스페이서 오목부(20)를 갖고 있다. 스페이서 오목부(20)는, 축선 방향(Da)의 중앙부를 향함에 따라 점차 축경하는 한 쌍의 스페이서 경사면(21)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2, 도 4,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린 유닛(4)은, 한 쌍의 회전축(7)의 하방에서 축선 방향(Da)으로 뻗어, 1차 파쇄를 거쳐 한 쌍의 파쇄 기구(3)의 사이에서 낙하하는 파쇄물을 받는 지붕부(23)와, 지붕부(23)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며, 또한 축선 방향(Da)으로 뻗는 지붕 받침대(24)와, 지붕 받침대(24)와 평행해지도록 배치된 한 쌍의 스크린날 받침대(25)와, 지붕 받침대(24)와 스크린날 받침대(25)를 접속하는 복수의 연결부(26)와, 스크린날 받침대(25)에 장착된 스크린날(29)을 갖고 있다.
연결부(26)는, 축선 방향(Da)의 양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연결부(27)와, 한 쌍의 제1 연결부(27) 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연결부(28)를 갖고 있다. 스크린 유닛(4)은, 한 쌍의 제1 연결부(27)와 한 쌍의 스크린날 받침대(25)에 의하여 형성된 프레임(30)을 갖고 있다. 프레임(30)이 케이싱(2)에 고정됨으로써, 스크린 유닛(4)은 케이싱(2)에 고정된다.
지붕부(23)는, 한 쌍의 파쇄 기구(3)의 하방에서, 축선 방향(Da)으로 뻗어 있다. 지붕부(23)는, 상방에서 보아 한 쌍의 회전축(7)의 중간에 배치되어 있다. 지붕부(23)는, 한 쌍의 파쇄 기구(3)에 의하여 파쇄된 파쇄물이 낙하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지붕부(23)는, 박공 지붕의 형상을 이루며, 축선 방향(Da)으로 연장되는 능선(23a)으로부터 폭방향(Y)의 외측을 향함에 따라 내려가도록 경사진 한 쌍의 경사면(23b)을 갖고 있다. 즉, 지붕부(23)의 한 쌍의 경사면(23b)은, 폭방향(Y)의 외측이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지붕 받침대(24)는, 주면이 폭방향(Y)을 향하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의 부재이다. 지붕 받침대(24)의 상단은, 지붕부(23)의 능선(23a) 근방에 접속되어 있다.
스크린날 받침대(25)는, 지붕 받침대(24)와 마찬가지로, 주면이 폭방향(Y)을 향하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의 부재이다. 스크린날 받침대(25)는, 지붕 받침대(24)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지붕 받침대(24)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2 연결부(28)는, 주면이 축선 방향(Da)을 향하여, 지붕 받침대(24) 및 스크린날 받침대(25)의 주면과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제2 연결부(28)는, 축선 방향(Da)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축선 방향(Da)으로 인접하는 제2 연결부(28) 간에는, 소정의 크기 이하가 된 파쇄물이 통과하는 개구(31a)가 마련된다. 개구(31a)는 상방에서 보아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있다. 개구(31a)의 크기는, 스크린 유닛(4)으로부터 배출되는 파쇄물의 크기(입도)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지붕부(23)는, 개구(31a)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지붕부(23)의 폭방향(Y)의 폭은, 파쇄물의 성상(性狀)이나, 지붕부(23)에 의하여 작아지는 개구(31a)의 면적 등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스크린날(29)은, 스크린날 받침대(25)에 고정되어 있으며, 회전날(8)과 협동하여, 개구(31a)로부터 낙하하지 않고 스크린 유닛(4)의 상방에 저류된 파쇄물의 2차 파쇄를 행한다. 스크린날(29)은, 회전날(8)에 대응하여 복수로 분할되어 있다. 스크린날(29)은, 주면이 폭방향(Y)을 향하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스크린날(29)은, 볼트(41)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하여 스크린날 받침대(25)의 외면(폭방향(Y) 외측을 향하는 면)에 고정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린날(29)에는, 회전날(8)의 파쇄날 볼록부(16)가 통과하는 스크린날 오목부(39)가 형성되어 있다. 스크린날 오목부(39)는, 파쇄날 볼록부(16)의 파쇄날 경사면(18)에 대응하는 한 쌍의 스크린날 경사면(40)을 갖고 있다. 스크린날 경사면(40)은, 파쇄날 경사면(18)의 회전 궤적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마련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2,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레이퍼 유닛(5)은, 케이싱(2)의 측벽(2a)에 고정되며, 회전축(7)의 측방에서 축선 방향(Da)으로 뻗어, 회전날(8) 및 스페이서(9)를 향하여 돌출하는 스크레이퍼(32)와, 스크레이퍼(32)에 장착되어 있는 스크레이퍼날(35)을 갖고 있다.
스크레이퍼(32)는, 폐기물이 회전날(8)과 케이싱(2)의 사이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회전날(8)에 낀 폐기물을 긁어내거나 한다.
스크레이퍼(32)는, 판 형상을 이루고, 스페이서(9)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 스크레이퍼편(33)과, 판 형상을 이루며, 회전날(8)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스크레이퍼편(34)을 갖고 있다. 제1 스크레이퍼편(33)은, 케이싱(2)과 스페이서(9)의 사이를 메우도록 스페이서(9)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2 스크레이퍼편(34)은, 케이싱(2)과 회전날(8)의 사이를 메우도록 회전날(8)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스크레이퍼(32)는, 제1 스크레이퍼편(33)과 제2 스크레이퍼편(34)을, 축선 방향(Da)으로 교대로 중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스크레이퍼편(33)은, 상방을 향하여, 케이싱(2)의 측벽(2a)으로부터 이간함에 따라 낮아지는 제1 상면(42)과, 하방을 향하여, 케이싱(2)의 측벽(2a)으로부터 이간함에 따라 높아지는 제1 하면(43)을 갖고 있다. 제1 상면(42)과 제1 하면(43)은, 스페이서(9)의 외주면의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1 스크레이퍼편(33)에는, 스페이서(9)의 스페이서 오목부(20)에 대응하는 스크레이퍼 볼록부(46)가 마련되어 있다. 스크레이퍼 볼록부(46)는, 스페이서(9)의 외주면(스페이서 오목부(20))을 따르도록 만곡되어 있다. 스크레이퍼 볼록부(46)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단(47)과, 선단(47)과 제1 스크레이퍼편(33)의 주면을 접속하는 한 쌍의 스크레이퍼 볼록부 경사면(48)을 갖고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스크레이퍼편(34)은, 상방을 향하여, 케이싱(2)의 측벽(2a)으로부터 이간함에 따라 낮아지는 제2 상면(44)과, 하방을 향하여, 케이싱(2)의 측벽(2a)으로부터 이간함에 따라 높아지는 제2 하면(45)을 갖고 있다. 제2 상면(44)과 제2 하면(45)은, 회전날(8)의 파쇄날(14)의 회전 궤적의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2 스크레이퍼편(34)에는, 회전날(8)의 파쇄날 볼록부(16)에 대응하는 스크레이퍼 오목부(49)가 마련되어 있다. 스크레이퍼 오목부(49)는, 회전날(8)의 회전 궤적을 따르도록 만곡되어 있다. 스크레이퍼 오목부(49)는, 축선 방향(Da)의 중앙부를 향함에 따라 점차 가장 가까운 축선(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스크레이퍼 오목부 경사면(50)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 스크레이퍼편(33) 및 제2 스크레이퍼편(34)은, 제1 스크레이퍼편(33)과 제2 스크레이퍼편(34)을, 축선 방향(Da)으로 교대로 중첩했을 때에, 제1 상면(42)과 제2 상면(44)이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됨과 함께, 제1 하면(43)과 제2 하면(45)이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레이퍼날(35)은, 제2 스크레이퍼편(34)의 제2 하면(45)에 장착되어 있으며, 회전날(8)과 협동하여, 폐기물의 3차 파쇄를 행한다. 스크레이퍼날(35)은, 회전날(8)에 대응하여 복수로 분할되어 있다. 스크레이퍼날(35)은 판 형상의 부재이며, 볼트(41)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하여 제2 스크레이퍼편(34)의 제2 하면(45)에 고정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레이퍼날(35)에는, 회전날(8)의 파쇄날 볼록부(16)에 대응하는 스크레이퍼날 오목부(51)가 형성되어 있다. 스크레이퍼날 오목부(51)는, 파쇄날 볼록부(16)의 파쇄날 경사면(18)에 대응하는 한 쌍의 스크레이퍼날 경사면(52)을 갖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9)와 회전날(8)은, 스페이서(9)의 스페이서 오목부(20)에 회전날(8)의 파쇄날 볼록부(16)가 가장 접근했을 때에, 스페이서 경사면(21)과 파쇄날 경사면(18)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G)이 마련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회전날(8)의 파쇄날 볼록부(16)의 회전 궤적과 스페이서(9)의 스페이서 오목부(20)는, 상보적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스페이서(9)와 제1 스크레이퍼편(33)은, 스페이서(9)의 스페이서 경사면(21)과 제1 스크레이퍼편(33)의 스크레이퍼 볼록부 경사면(48)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마련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스페이서(9)의 스페이서 오목부(20)와, 제1 스크레이퍼편(33)의 스크레이퍼 볼록부(46)는, 상보적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회전날(8)과 제2 스크레이퍼편(34)은, 제2 스크레이퍼편(34)의 스크레이퍼 오목부(49)에 회전날(8)의 파쇄날 볼록부(16)가 가장 접근했을 때에, 파쇄날 경사면(18)과 스크레이퍼 오목부 경사면(50)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마련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회전날(8)이 회전했을 때의 파쇄날 볼록부(16)의 회전 궤적과 제2 스크레이퍼편(34)의 스크레이퍼 오목부(49)는, 상보적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2의 P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날(8)과 스크린날(29)은, 회전날(8)의 파쇄날 볼록부(16)와 스크린날(29)의 스크린날 오목부(39)가 가장 접근했을 때에, 파쇄날 경사면(18)과 스크린날 경사면(40)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마련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회전날(8)과 스크레이퍼날(35)은, 회전날(8)의 파쇄날 볼록부(16)와 스크레이퍼날(35)의 스크레이퍼날 오목부(51)가 가장 접근했을 때에, 파쇄날 경사면(18)과 스크레이퍼날 경사면(52)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마련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회전날(8)과 스크린날(29)의 사이의 간극 및 회전날(8)과 스크레이퍼날(35)의 사이의 간극은, 스페이서(9)와 스크레이퍼(32)의 사이의 간극 및 회전날(8)과 스크레이퍼(32)의 사이의 간극보다 작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구성의 이축 파쇄기(1)에서는, 케이싱(2) 내에 폐기물(W1)이 투입되면, 제1 회전축(7a)의 회전날(8)이 T1 방향으로, 또한, 제2 회전축(7b)의 회전날(8)이 T1 방향과는 역방향인 T2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폐기물(W1)의 1차 파쇄가 행해진다. 파쇄물(W2)은, 한 쌍의 회전축(7) 간의 하방으로 배출되어, 지붕부(23) 상에 낙하한다. 지붕부(23) 상에 낙하한 파쇄물(W2)은, 경사면(23b)에 의하여 폭방향(Y) 중 어느 일방으로 유도된다. 파쇄물(W2) 중, 소정의 크기 이하가 된 파쇄물(W2)은, 스크린 유닛(4)의 개구(31a)를 통하여 하방으로 낙하한다. 즉, 소정의 크기 이하가 된 파쇄물(W2)은, 가일층의 파쇄가 행해지지 않고, 이축 파쇄기(1)로부터 배출된다.
한편, 개구(31a)로부터 낙하하지 않고, 스크린 유닛(4)에 저류된 파쇄물(W2)은, 회전축(7)의 회전에 따라, 스크린날(29)과 회전날(8)의 사이에 도입되어, 2차 파쇄된다. 즉, 본 실시형태의 이축 파쇄기(1)에서는, 한 쌍의 파쇄 기구(3)에 의한 파쇄(1차 파쇄)를 거친 파쇄물(W2)에 대하여, 가일층의 파쇄가 행해진다.
2차 파쇄를 거쳐, 스크린 유닛(4)의 외측으로 배출된 파쇄물(W2)은, 스크린 유닛(4)과 케이싱(2)의 사이의 개구(31b)를 통하여 하방으로 낙하한다. 여기에서, 스크린 유닛(4)과 케이싱(2)의 사이의 개구(31b)로부터 낙하하지 않고, 예를 들면, 회전날(8)의 파쇄날(14) 간에 걸린 파쇄물(W2)은, 스크레이퍼날(35)과 회전날(8)의 사이에 도입되어, 3차 파쇄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폐기물에 대하여, 파쇄 기구(3)에 의한 1차 파쇄, 및 스크린날(29)에 의한 2차 파쇄가 행해짐으로써, 소정의 크기까지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파쇄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하게 폐기물을 소정의 입도까지 파쇄할 수 있다.
또, 스크레이퍼날(35)에 의한 3차 파쇄가 행해짐으로써, 파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회전날(8)의 파쇄날(14)에 파쇄날 볼록부(16)가 마련되며, 스크린 유닛 (4) 및 스크레이퍼(32)에는 파쇄날(14)에 대응하는 스크린날(29)과 스크레이퍼날(35)이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파쇄물을 더욱 파쇄할 수 있다.
또, 스크린날(29) 및 스크레이퍼날(35)이 회전날(8)에 대응하여 분할되어 있음으로써, 예를 들면 스크린날(29) 또는 스크레이퍼날(35)이 마모되었을 때에, 필요한 개소만 교환을 행할 수 있다. 즉, 이축 파쇄기(1)의 운용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스크린날(29)을 스크린날 받침대(25)의 외측에 고정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스크린날(29)의 장착,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크린 유닛(4)에 스크린날(29)을 마련하여 2차 파쇄를 행함과 함께, 스크레이퍼 유닛(5)에 스크레이퍼날(35)을 마련하여 3차 파쇄를 행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스크레이퍼 유닛(5)에 스크레이퍼날(35)을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크린날(29)에 스크린날 오목부(39)를 마련함과 함께, 스크레이퍼날(35)에 스크레이퍼날 오목부(51)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크린날(29)과 스크레이퍼날(35) 중 적어도 일방을 오목부가 없는 단순한 형상으로 해도 된다.
〔제1 변형예〕
이하,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의 파쇄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스크린날(29B)은, 스크린날 오목부(39)에 인접하여, 스페이서(9)를 향하여 뻗고, 또한 스페이서(9)에 근접하는 스크린날 볼록부(54)(연신부)를 갖고 있다. 스크린날 볼록부(54)는, 스페이서(9)의 외주면의 근방까지 뻗어 있다. 스크린날 볼록부(54)는, 선단(55)과, 스페이서 경사면(21)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마련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스크린날 볼록부 경사면(56)을 갖고 있다.
상기 변형예에 의하면, 스페이서(9)와 스크린날(29)의 사이를 폐기물이 파쇄되지 않고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변형예〕
이하,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의 파쇄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스크린날(29C)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본 변형예의 스크린날(29C)은, 회전날(8)에 대응하여 분할되어 있지 않다.
상기 변형예에 의하면, 스크린날(29C)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스크린 유닛(4)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스크린날(29C)을 스크린날 받침대(25)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41)의 개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변형예의 스크린날(29B)에 대해서도, 제2 변형예의 스크린날(29C)과 마찬가지로,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제3 변형예〕
이하, 본 발명의 제3 변형예의 파쇄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스크린날(29)은, 실시형태의 스크린날(29)이 스크린날 받침대(25)의 외측에 고정되어 있는 것에 반하여, 스크린날 받침대(25)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다. 즉, 본 변형예의 스크린날(29)은, 한 쌍의 스크린날 받침대(25)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변형예에 의하면, 스크린날(29)이 회전날(8)의 토크를 받을 때에, 스크린날 받침대(25)(프레임체)에 의하여 스크린날(29)이 지지된다. 이로써, 회전날(8)의 회전 토크에 의하여, 스크린날(29)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볼트(41)의 개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변형예의 스크린날(29B)을 스크린날 받침대(25)의 내측에 고정해도 되고, 스크린날 받침대(25)의 내측에 고정하는 스크린날(29)을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제4 변형예〕
이하, 본 발명의 제4 변형예의 파쇄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회전날(8)의 파쇄날(14)은, 축선(A)의 둘레 방향에서 본 형상이 직사각형상인 파쇄날 볼록부(16A)를 갖고 있다.
본 변형예의 스페이서(9)는, 파쇄날 볼록부(16A)의 회전 궤적에 대응한 직사각형상의 스페이서 오목부(20A)를 갖고 있다. 마찬가지로, 본 변형예의 제2 스크레이퍼편(34)은, 파쇄날 볼록부(16A)의 회전 궤적에 대응한 직사각형상의 스크레이퍼 오목부(49A)를 갖고 있으며, 제1 스크레이퍼편(33)은, 스페이서 오목부(20A)에 대응한 직사각형 형상의 스크레이퍼 볼록부(46A)를 갖고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스크린날(29)의 스크린날 오목부(39A), 및 스크레이퍼날(35)의 스크레이퍼날 오목부(51A)도, 직사각형상의 파쇄날 볼록부(16A)에 대응하여,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변형예에 의하면, 회전날(8)과 스크레이퍼(32)의 사이에서, 적극적으로 폐기물의 파쇄를 행할 수 있다.
〔제5 변형예〕
이하, 본 발명의 제5 변형예의 파쇄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는, 스크린날 받침대(25)와 케이싱(2)의 측벽(2a)을, 복수의 외측 연결부(58)로 접속하고 있다. 복수의 외측 연결부(58)를 마련함으로써, 스크린날 받침대(25)와 케이싱(2)의 사이에, 복수의 제2 개구(31c)가 형성된다. 즉, 본 변형예의 이축 파쇄기는, 스크린 유닛(4)과 케이싱(2)의 사이에도 스크린이 마련되어 있다.
외측 연결부(58)는, 주면이 축선 방향(Da)을 향하여, 스크린날 받침대(25) 및 측벽(2a)의 주면과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외측 연결부(58)는, 축선 방향(Da)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축선 방향(Da)에 인접하는 외측 연결부(58) 간에는, 소정의 크기 이하가 된 파쇄물이 통과하는 제2 개구(31c)가 마련된다. 제2 개구(31c)의 크기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변형예에 의하면, 케이싱과 스크린날 받침대의 사이의 공간을 스크린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
상기 이축 파쇄기에 의하면, 폐기물에 대하여, 1차 파쇄, 및 2차 파쇄가 행해짐으로써, 소정의 크기까지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파쇄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하게 폐기물을 소정의 입도까지 파쇄할 수 있다.
1 이축 파쇄기
2 케이싱
2a 측벽
3 파쇄 기구
4 스크린 유닛(스크린부)
5 스크레이퍼 유닛
7 회전축
7a 제1 회전축
7b 제2 회전축
8 회전날
9 스페이서
10 구동 장치
11 디스크부
11a 에지면
11b 중심 구멍
11c 단부
11d 계합면
12 날부
12a 당접면
12c 단부
12d 계합면
14 파쇄날
14a 경사면
14b 여유면
15 핀
16 파쇄날 볼록부
17 선단
18 파쇄날 경사면
19 볼트
20 스페이서 오목부
21 스페이서 경사면
23 지붕부
23a 능선
23b 경사면
24 지붕 받침대
25 스크린날 받침대
26 연결부
27 제1 연결부
28 제2 연결부
29 스크린날
29B 스크린날
29C 스크린날
30 프레임
31a, 31b 개구
31c 제2 개구
32 스크레이퍼
33 제1 스크레이퍼편
34 제2 스크레이퍼편
35 스크레이퍼날
39 스크린날 오목부
40 스크린날 경사면
41 볼트
42 제1 상면
43 제1 하면
44 제2 상면
45 제2 하면
46 스크레이퍼 볼록부
47 선단
48 스크레이퍼 볼록부 경사면
49 스크레이퍼 오목부
50 스크레이퍼 오목부 경사면
51 스크레이퍼날 오목부
52 스크레이퍼날 경사면
54 스크린날 볼록부
55 선단
56 스크린날 볼록부 경사면
58 외측 연결부
A(A1, A2) 축선
Da 축선 방향
G 간극
Y 폭방향

Claims (6)

  1. 폐기물을 파쇄하는 이축 파쇄기로서,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회전축과,
    각각의 상기 회전축에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상기 폐기물의 1차 파쇄를 행하는 복수의 회전날로서, 상기 축선 방향에서 보아 상기 한 쌍의 회전축 중 일방의 회전축에 장착된 상기 회전날의 회전 궤적의 일부와, 타방의 회전축에 장착된 상기 회전날의 회전 궤적의 일부가 중첩되어 있는 복수의 회전날과,
    각각의 상기 회전축에 상기 회전날과 상기 축선 방향으로 교대로 장착된 복수의 스페이서와,
    상기 한 쌍의 회전축의 하방에 배치된 스크린부를 갖고,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한 쌍의 회전축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축선 방향으로 뻗는 지붕부와,
    상기 지붕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또한 상기 축선 방향으로 뻗는 지붕 받침대와,
    상기 지붕 받침대에 대하여 상기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상기 지붕 받침대의 주면과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그 주면이 배치된 스크린날 받침대와,
    상기 지붕 받침대와 상기 스크린날 받침대를 접속시키는 복수의 연결부로서, 인접하는 상기 연결부 간에 개구가 마련되는 연결부와,
    상기 스크린날 받침대에 상기 폭방향으로부터 장착되어, 상방에서 통과하는 상기 회전날과의 사이에서 상기 폐기물의 2차 파쇄를 행하는 스크린날을 구비하고, 상기 지붕부는 상기 개구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이축 파쇄기는 또한, 상기 회전축 및 상기 스크린부를 수용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의 측방에서 상기 축선 방향으로 뻗는 스크레이퍼로서, 상기 케이싱과 상기 스페이서의 사이를 메우도록 상기 스페이서에 근접하여 배치된 판 형상의 제1 스크레이퍼편과, 상기 제1 스크레이퍼편과 상기 축선 방향으로 교대로 중첩되어, 상기 케이싱과 상기 회전날의 사이를 메우도록 상기 회전날에 근접하여 배치된 제2 스크레이퍼편을 갖는 스크레이퍼와,
    상기 제2 스크레이퍼편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날과의 사이에서 상기 폐기물의 3차 파쇄를 행하는 스크레이퍼날을 갖는 이축 파쇄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은, 상기 축선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고 각각이 상기 둘레 방향에서 보아 일부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를 갖는 복수의 파쇄날을 가지며,
    상기 스크린날과 상기 스크레이퍼날 중 적어도 일방은, 상기 볼록부가 통과하는 오목부를 갖는 이축 파쇄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날은, 상기 스페이서를 향하여 뻗고, 또한 상기 스페이서에 근접하는 연신부를 더 구비하는 이축 파쇄기.
  5. 청구항 1, 청구항 3 및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과 상기 스크린날 받침대를 접속하는 복수의 외측 연결부로서, 인접하는 상기 외측 연결부 간에 제2 개구가 마련되는 복수의 외측 연결부를 갖는 이축 파쇄기.
  6. 청구항 1, 청구항 3 및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날과 상기 스크레이퍼날 중 적어도 일방은, 상기 복수의 회전날의 각각에 대응하여 분할되어 있는 이축 파쇄기.
KR1020207030077A 2018-06-12 2019-05-24 이축 파쇄기 KR102471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11871 2018-06-12
JP2018111871A JP6476532B1 (ja) 2018-06-12 2018-06-12 二軸破砕機
PCT/JP2019/020756 WO2019239859A1 (ja) 2018-06-12 2019-05-24 二軸破砕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777A KR20200133777A (ko) 2020-11-30
KR102471807B1 true KR102471807B1 (ko) 2022-11-28

Family

ID=65639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0077A KR102471807B1 (ko) 2018-06-12 2019-05-24 이축 파쇄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476532B1 (ko)
KR (1) KR102471807B1 (ko)
CN (1) CN112055619B (ko)
SG (1) SG11202010431WA (ko)
TW (1) TWI704012B (ko)
WO (1) WO20192398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1125360A1 (ko) 2019-12-19 2021-06-24
JP2022082311A (ja) 2020-11-20 2022-06-01 住友重機械エンバイロメント株式会社 破砕装置
JP2022082316A (ja) * 2020-11-20 2022-06-01 住友重機械エンバイロメント株式会社 破砕装置
KR102652168B1 (ko) * 2023-12-12 2024-03-29 주식회사 아리예스코리아 폐기물 파쇄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5580A (ja) * 2002-01-31 2003-08-12 Eishin:Kk 廃材破砕機
JP2004202455A (ja) * 2002-12-26 2004-07-22 Komatsu Ltd 2軸せん断型破砕機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5709Y2 (ko) * 1979-07-28 1982-06-04
JPS586502Y2 (ja) * 1980-07-07 1983-02-04 株式会社 加地エンタ−プライズ 破砕機のプラウグリル
JPH0628193Y2 (ja) * 1990-04-26 1994-08-03 望月精密機械工業有限会社 チップクラッシャー
JPH09308836A (ja) * 1996-05-21 1997-12-02 Hitachi Constr Mach Co Ltd 破砕機
JPH09308536A (ja) * 1996-05-22 1997-12-02 Toto Ltd 食器洗浄機組み込みキャビネット
JP3034468B2 (ja) * 1996-09-30 2000-04-17 株式会社エイシン 破砕機
JP3126022B2 (ja) * 1997-03-24 2001-01-2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2軸剪断型破砕機
ITMI20021673A1 (it) * 2002-07-26 2004-01-26 Satrind Srl Trituratore industriale a due alberi
JP3893353B2 (ja) * 2003-02-05 2007-03-14 株式会社シンコーサービス 破砕装置
JP2004249194A (ja) 2003-02-19 2004-09-09 Ujiie Seisakusho:Kk 破砕処理装置および複軸破砕処理装置
JP4412558B2 (ja) * 2006-07-25 2010-02-10 晃立工業株式会社 粉砕機
TWM365211U (en) * 2009-04-30 2009-09-21 Yung Hsing Machine Industry Co Ltd Dual-axial crusher
JP5563806B2 (ja) * 2009-11-05 2014-07-30 遠藤工業株式会社 破砕装置
FI20115288L (fi) * 2011-03-25 2012-09-26 Bmh Technology Oy Murskain
JP6244596B2 (ja) * 2015-06-11 2017-12-13 三菱重工環境・化学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破砕機用の回転刃及び破砕機
TWM525227U (zh) * 2016-01-30 2016-07-11 yun-long Zeng 剪碎機的剪碎機構
CN206763046U (zh) * 2017-01-05 2017-12-19 环创(厦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双轴撕碎机
TWM558123U (zh) * 2017-07-14 2018-04-11 Yan qian xiang 具有篩網雙軸破碎機
CN207169937U (zh) * 2017-08-18 2018-04-03 苏州亨达尔工业材料有限公司 一种双刀组双联动塑料粉碎机
CN207287701U (zh) * 2017-09-14 2018-05-01 陶缪斯 一种用于化工的物料粉碎筛选除杂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5580A (ja) * 2002-01-31 2003-08-12 Eishin:Kk 廃材破砕機
JP2004202455A (ja) * 2002-12-26 2004-07-22 Komatsu Ltd 2軸せん断型破砕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76532B1 (ja) 2019-03-06
CN112055619A (zh) 2020-12-08
TWI704012B (zh) 2020-09-11
JP2019214013A (ja) 2019-12-19
WO2019239859A1 (ja) 2019-12-19
KR20200133777A (ko) 2020-11-30
CN112055619B (zh) 2022-05-31
TW202000307A (zh) 2020-01-01
SG11202010431WA (en) 2020-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1807B1 (ko) 이축 파쇄기
US5680999A (en) Shredder
JP5081945B2 (ja) 一軸破砕機
CN201832834U (zh) 食物垃圾处理器系统
JP5261472B2 (ja) 粉砕機
KR100584918B1 (ko) 플라스틱 폐기물용 파쇄기
KR20160107594A (ko) 폐기물 파쇄장치
CN102892511B (zh) 立式磨机
NO315387B1 (no) Slagmölle
KR20130103491A (ko) 교환 가능한 절단 날 세트를 가진 2-축 파쇄기
JPS62247843A (ja) ハンマ−破砕器
KR102237772B1 (ko) 바이트인 커터를 구비한 폐기물 분쇄기
JP4453102B2 (ja) 破砕機
JP4574604B2 (ja) 剪断式破砕装置
JP2815826B2 (ja) 破砕機
JP4892211B2 (ja) 切断刃とそれを備えた剪断式破砕機
KR20160036024A (ko) 폐합성수지의 더블 절삭 파쇄 장치
KR100599459B1 (ko) 파쇄기
KR100908139B1 (ko) 폐목을 이용한 화목 제조장치
JP5903722B2 (ja) 破砕装置
JP2003260378A5 (ko)
JP2005296710A (ja) 粉砕機
KR200351072Y1 (ko) 파쇄기
CN101534951A (zh) 粉碎机、驱动部的安装方法
JP6139307B2 (ja) 破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