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191B1 -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 - Google Patents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70191B1 KR102470191B1 KR1020200116734A KR20200116734A KR102470191B1 KR 102470191 B1 KR102470191 B1 KR 102470191B1 KR 1020200116734 A KR1020200116734 A KR 1020200116734A KR 20200116734 A KR20200116734 A KR 20200116734A KR 102470191 B1 KR102470191 B1 KR 1024701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orean beef
- raw meat
- parts
- weight
- wild ginseng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0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0
- 235000005035 ginseng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0
- 240000003877 Perilla frutescens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5000004348 Perilla frutescen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40000004678 Panax pseudoginseng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15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9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2
- 235000020995 raw mea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9938 sal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41000132536 Cirsi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5000003805 Musa ABB Group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5000015266 Plantago majo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02732 oigno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40000000129 Piper nigr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4000223760 Cinnamomum zeylanic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04310 Cinnamomum zeylanic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6002 Pepp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16761 Piper adunc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17804 Piper guineens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17803 cinnamo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19991 rice win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40069765 Bean extract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0000004331 Plantago major Species 0.000 claims 2
- 240000002840 Allium cepa Species 0.000 claims 1
- 230000014860 sensory perception of tast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35917 tast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13410 fast food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41000208340 Aral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86
- 241000675108 Citrus tangerina Species 0.000 description 37
- 240000001132 Stevia rebaud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37
- 241000239366 Euphausi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28
- 241001127637 Plantago Species 0.000 description 2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5000019587 textu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5000010523 Cicer arietin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5
- 240000000464 Cicer arietinum Specie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29940106134 krill oil Drug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4
- 241000255789 Bombyx mori Speci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UIIMBOGNXHQVGW-UHFFFAOYSA-M NaHCO3 Chemical compound [Na+].OC([O-])=O UIIMBOGNXHQVG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108 freeze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40000005158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8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41000013557 Plantagin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6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6
- 240000000249 Morus alb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08708 Morus alba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KRKNYBCHXYNGOX-UHFFFAOYSA-N c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O)=O)CC(O)=O KRKNYBCHXYNGO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6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4121 but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953 sensor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456 HOTAI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FFEARJCKVFRZRR-BYPYZUCNSA-N L-methionine Chemical compound CSCC[C@H](N)C(O)=O FFEARJCKVFRZRR-BYPYZUCNSA-N 0.000 description 4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1963 growth medi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1 phospholipid compound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030 sodium bi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7557 sodium bicarbon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194 supercritical-fluid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41000001727 Tropicoporus linteu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29940029983 VITAMINS Drugs 0.000 description 3
- 229940021016 Vitamin IV solution additives Drugs 0.000 description 3
- XEKOWRVHYACXOJ-UHFFFAOYSA-N acetic acid ethyl ester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712 anti-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30003935 flavonoid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96 gastric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737 immune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65 increased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090 marinad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599 spi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522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137 ultrasound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30003231 vitamin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HVYWMOMLDIMFJA-DPAQBDIFSA-N (3β)-Cholest-5-en-3-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2
- CDOSHBSSFJOMGT-JTQLQIEISA-N (R)-linalool Natural products CC(C)=CCC[C@@](C)(O)C=C CDOSHBSSFJOMGT-JTQLQIEISA-N 0.000 description 2
- MQZIGYBFDRPAKN-QISQUURKSA-N 6-hydroxy-3-[(1E,3E,5E,7E,9E,11E,13E,15E,17E)-18-(4-hydroxy-2,6,6-trimethyl-3-oxocyclohexen-1-yl)-3,7,12,16-tetramethyloctadeca-1,3,5,7,9,11,13,15,17-nonaenyl]-2,4,4-trimethylcyclohex-2-en-1-one Chemical compound CC=1C(=O)C(O)CC(C)(C)C=1\C=C\C(\C)=C\C=C\C(\C)=C\C=C\C=C(/C)\C=C\C=C(/C)\C=C\C1=C(C)C(=O)C(O)CC1(C)C MQZIGYBFDRPAKN-QISQUURKSA-N 0.000 description 2
- KZNIFHPLKGYRTM-UHFFFAOYSA-N Apigenin Chemical compound C1=CC(O)=CC=C1C1=CC(=O)C2=C(O)C=C(O)C=C2O1 KZNIFHPLKGYRT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JWJHRPNHPHBRN-FKYSHFPBSA-N Aucubin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O)[C@@H](CO)O1)[C@@H]1OC=C[C@@H]2[C@H](O)C=C(CO)[C@@H]12 RJWJHRPNHPHBRN-FKYSHFPBSA-N 0.000 description 2
- DSSYKIVIOFKYAU-UHFFFAOYSA-N Camphor Chemical compound C1CC2(C)C(=O)CC1C2(C)C DSSYKIVIOFKY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0846 Camphor Drug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170 Cell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108010022172 Chitin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12286 Chitin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41000723346 Cinnamomum camphor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07199 Citr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AEMOLEFTQBMNLQ-DTEWXJGMSA-N D-Galacturonic acid Natural products O[C@@H]1O[C@H](C(O)=O)[C@H](O)[C@H](O)[C@H]1O AEMOLEFTQBMNLQ-DTEWXJGM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767 Daucus caro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2860 Daucus caro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RGHNJXZEOKUKBD-SQOUGZDYSA-N Glucon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O RGHNJXZEOKUKBD-SQOUGZDY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09 Hair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8000006454 Hep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BEJNERDRQOWKJM-UHFFFAOYSA-N Kojic acid Chemical compound OCC1=CC(=O)C(O)=CO1 BEJNERDRQOWK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QPNAANSBPBGFQ-UHFFFAOYSA-N Luteolin Chemical compound C=1C(O)=CC(O)=C(C(C=2)=O)C=1OC=2C1=CC=C(O)C(O)=C1 IQPNAANSBPBG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15 Mucilag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FQTLCLSUCSAZDY-QKXCFHHRSA-N Nerolidol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O)C=C FQTLCLSUCSAZDY-QKXCFHHR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33546 Pallo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108091005771 Peptid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9164 Petroselinum crisp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59820 Polygalacturon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65 Prot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382353 Pup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4808 Saccharomyces cerevisi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KDYFGRWQOYBRFD-UHFFFAOYSA-N Succin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O)=O KDYFGRWQOYBR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435 Tendon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CIWBSHSKHKDKBQ-JLAZNSOCSA-N Vitamin C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2
- 101700006119 XYL1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700047052 XYLA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700051122 XYLD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700065756 XYN4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700001256 Xy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KGEKLUUHTZCSIP-HOSYDEDBSA-N [(1S,4S,6R)-1,7,7-trimethyl-6-bicyclo[2.2.1]heptan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1C[C@]2(C)[C@H](OC(=O)C)C[C@H]1C2(C)C KGEKLUUHTZCSIP-HOSYDEDB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58 adul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10 anti-inflammator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323 ascorb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5070 ascorb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668 ascorb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793 astaxanth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40022405 astaxanth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168 astaxanth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58 bitte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7890 camphor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027 cell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512 chemo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971 citrus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84 detox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673 eicosapentaeno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776 essential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7 essential amino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285 flavono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215 flavo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283 hepatitis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VLKZOEOYAKHREP-UHFFFAOYSA-N 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374 legum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KMDFBPHZNJCSN-UHFFFAOYSA-N myricetin Chemical compound C=1C(O)=CC(O)=C(C(C=2O)=O)C=1OC=2C1=CC(O)=C(O)C(O)=C1 IKMDFBPHZNJCS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RHPLDYGYMQRHN-UHFFFAOYSA-N n-butanol Chemical compound CCCCO LRHPLDYGYMQRH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660 omega-3 fatty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197 perej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54 pick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266 salt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00 scaven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588 toxic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1700065693 xlnA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700006979 xyl2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710017636 xynS20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DTGKSKDOIYIVQL-WEDXCCLWSA-N (+)-borne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H]1C2(C)C DTGKSKDOIYIVQL-WEDXCCLW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490 (3R)-3,7-dimethylocta-1,6-dien-3-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913863 Amphicarpaea edgeworth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82 Amyl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5511 Amyl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3142 Amyl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2525 Anas platyrhyncho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17893 Apigen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087 Apium graveol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849 Apium graveolens Dulce Gro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591 Appi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210 Arteri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820 Arthral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8212 Aspergi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439 Aspergillus oryz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247 Aspergillus oryza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08838 Aste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7001 Balanites aegyptia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04 Blood Vessel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40116229 Borne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791 Brassica nap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293 Brassica nap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299 Brassica oleracea var botryt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647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259 Brassica oleracea var. botry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540 Brassica rapa subsp ra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7247 Carbuncl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787 Cardio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21 Cell Wa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01 Chi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DJHJJVWPFGHIPH-OODMECLYSA-N Chitin Chemical compound O[C@@H]1C(NC(=O)C)[C@H](O)OC(CO)[C@H]1COC[C@H]1C(NC(C)=O)[C@@H](O)[C@H](COC[C@H]2C([C@@H](O)[C@H](O)C(CO)O2)NC(C)=O)C(CO)O1 DJHJJVWPFGHIPH-OODMECL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107161 Choleste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231 Chol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268 Citrus limo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79 Citrus lim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307 Citrus med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9944 Colon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954 Cucurbita pepo var melopep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366 Cucurbita pepo var. melopep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63122 Curcuma domest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392 Curcuma domest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557 Dec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68709 Dipterocarpus cost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MBMBGCFOFBJSGT-KUBAVDMBSA-N Docosahexae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CC(O)=O MBMBGCFOFBJSGT-KUBAVDMB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3911 Dysgeu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33147 ERVK-25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41000380130 Ehrharta erec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135 Eicosapentaeno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JAZBEHYOTPTENJ-JLNKQSITSA-N Eicosapentae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O)=O JAZBEHYOTPTENJ-JLNKQSIT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14 Extremiti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40013317 Fish Oils Drug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7758 Gastric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07 Gland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842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3915 Gynecological Organic acids Drug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8830 Haemateme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133 Hangov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750 Hematur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87 Hemolymph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286 Hydroxymethylglutaryl CoA Reduct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895 Hydroxymethylglutaryl CoA Reduct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9027 Ilex aquifo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332 Ilex aquifol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22653 Intestinal haemorrhag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36 Intestin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ZUKLFFYDSALIQW-MSUKCBDUSA-N Iridoid glycoside Natural products [H][C@]12CC[C@H](C(O)=O)[C@@]1([H])[C@H](OC1O[C@H](CO)[C@@H](O)[C@H](O)[C@H]1O)OC=C2 ZUKLFFYDSALIQW-MSUKCBDUSA-N 0.000 description 1
- IYRMWMYZSQPJKC-UHFFFAOYSA-N Kaempferol Chemical compound C1=CC(O)=CC=C1C1=C(O)C(=O)C2=C(O)C=C(O)C=C2O1 IYRMWMYZSQPJK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RBFZHDQGSBBOR-HWQSCIPKSA-N L-arabinose Chemical compound O[C@H]1COC(O)[C@H](O)[C@H]1O SRBFZHDQGSBBOR-HWQSCIPKSA-N 0.000 description 1
- ROHFNLRQFUQHCH-YFKPBYRVSA-N L-leucine Chemical compound CC(C)C[C@H](N)C(O)=O ROHFNLRQFUQHCH-YFKPBYRVSA-N 0.000 description 1
- KDXKERNSBIXSRK-YFKPBYRVSA-N L-lysine Chemical compound NCCCC[C@H](N)C(O)=O KDXKERNSBIXSRK-YFKPBYRVSA-N 0.000 description 1
- AYFVYJQAPQTCCC-GBXIJSLDSA-N L-threonine Chemical compound C[C@@H](O)[C@H](N)C(O)=O AYFVYJQAPQTCCC-GBXIJSLDSA-N 0.000 description 1
- KZSNJWFQEVHDMF-BYPYZUCNSA-N L-valine Chemical compound CC(C)[C@H](N)C(O)=O KZSNJWFQEVHDMF-BYPYZUCN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2 Lys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7339 Menstruation irregula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116 Mirabilis expan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429 Mirabilis expan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SNICXCGAKADSCV-JTQLQIEISA-N Nicotine Chemical compound CN1CCC[C@H]1C1=CC=CN=C1 SNICXCGAKADSCV-JTQLQIEI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715 Nicot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0155 Oesophageal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132 Osteopo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DUXQKCCELUKXOE-CBBZIXHGSA-N Pectolinarin Chemical compound C1=CC(OC)=CC=C1C(OC1=C2)=CC(=O)C1=C(O)C(OC)=C2O[C@H]1[C@H](O)[C@@H](O)[C@H](O)[C@@H](CO[C@H]2[C@@H]([C@H](O)[C@@H](O)[C@H](C)O2)O)O1 DUXQKCCELUKXOE-CBBZIXHG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35443 Peptid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67631 Phospholipids Drugs 0.000 description 1
- 241001499733 Plantago asiat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SNFFBROYEDWRGB-SASFBZJPSA-N Plantagosid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O)[C@@H](CO)O1)c1c(O)c(O)cc([C@H]2Oc3c(c(O)cc(O)c3)C(=O)C2)c1 SNFFBROYEDWRGB-SASFBZJP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423 Pleuris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751 Quercus petra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913 Quercus petra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38038 Rectal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100 Rhamn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AUNGANRZJHBGPY-SCRDCRAPSA-N Riboflavin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N1C=2C=C(C)C(C)=CC=2N=C2C1=NC(=O)NC2=O AUNGANRZJHBGPY-SCRDCRAP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477 Riboflav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41000320380 Silyb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841 Silybum marian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6010054184 Small intestine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016 Solanum tuber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95 Solanum tubero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52 Sple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107 Stomach Ul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QJVXKWHHAMZTBY-GCPOEHJPSA-N Syringin Chemical compound COC1=CC(\C=C\CO)=CC(OC)=C1O[C@H]1[C@H](O)[C@@H](O)[C@H](O)[C@@H](CO)O1 QJVXKWHHAMZTBY-GCPOEHJP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3 Threon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6788 Uterine haemorrhag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51 Vitamin B1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71 Vitamin B2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4299 Zingibe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FBSKJMQYURKNSU-ZLSOWSIRSA-N [(2R,3R,4R,5R,6R)-6-[2-(3,4-dihydroxyphenyl)ethoxy]-5-hydroxy-2-(hydroxymethyl)-4-[(2S,3R,4R,5R,6S)-3,4,5-trihydroxy-6-methyloxan-2-yl]oxyoxan-3-yl] (E)-3-(3,4-dihydroxyphenyl)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C@H]1O[C@H]1[C@H](OC(=O)\C=C\C=2C=C(O)C(O)=CC=2)[C@@H](CO)O[C@@H](OCCC=2C=C(O)C(O)=CC=2)[C@@H]1O FBSKJMQYURKNSU-ZLSOWSIR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13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IAJILQKETJEXLJ-QTBDOELSSA-N aldehydo-D-glucuron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O IAJILQKETJEXLJ-QTBDOELS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18 amyla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96 anti-anti-diure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605 anti-dot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3 anti-fung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90 anti-mutagen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965 antibodi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1123 antibodi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9 antido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714 apigen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14 black pepp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6709 borne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115397 bornyl ace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PUPZLCDOIYMWBV-UHFFFAOYSA-N but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CO PUPZLCDOIYMWB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1 cancerogen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57 carcinoge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83 carcinogen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47 carote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CRBHXDCYXIISFC-UHFFFAOYSA-N choline Chemical compound C[N+](C)(C)CC[O-] CRBHXDCYXIISF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UTLYIVDDKVIGB-UHFFFAOYSA-N cobalt Chemical compound [Co] GUTLYIVDDKVIG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1 cob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3 cob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4 co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71 cre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373 curcuma long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59 degra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25 dietary fib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249 digestiv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82 diure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34 diur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69 docosahexaeno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s Drug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0312 duodenum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5 enzyma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4101 esophageal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65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VHBFFQKBGNRLFZ-UHFFFAOYSA-N flavone Chemical compound O1C2=CC=CC=C2C(=O)C=C1C1=CC=CC=C1 VHBFFQKBGNRLF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949 flavon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944 flavone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173 flavono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89 garnish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917 gastric ul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709 ginseng supplem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74 gluco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50006191 gluco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08 gluco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131 glucos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6 glycan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338 glycos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497 healthy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238 hear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079 hex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294 holl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296 holl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632 homeosta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18 hypoglycaem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0 iod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30 iod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NDPGZBMCMUPRI-UHFFFAOYSA-N iodine Chemical compound II PNDPGZBMCMUPR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145 iridoid glycos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705 koj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7744 linalo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7270 liver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565 lobste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498 luteol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WHULOQIROXLJO-UHFFFAOYSA-N manganese Chemical compound [Mn] PWHULOQIROXLJ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8 manganes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2 mangane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544 menstrual irregular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52 metamorpho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411 milk thist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36 mis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ZOKXTWBITQBERF-UHFFFAOYSA-N molybdenum Chemical compound [Mo] ZOKXTWBITQBER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3 molybden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0 molybde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743 myrice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116852 myricet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4077 nerolidol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24 neuroprotec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15196 nicoti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IOVCWXUNBOPUCH-UHFFFAOYSA-M nitrite anion Chemical compound [O-]N=O IOVCWXUNBOPUC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00 nontox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52 non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MYMOFIZGZYHOMD-UHFFFAOYSA-N oxygen Chemical compound O=O MYMOFIZGZYHOM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29 palatabil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904 phospho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66 phys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VUGRLRAUZWGZJP-IAAKTDFRSA-N plantagin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C(=C1O)O)=CC2=C1C(=O)C=C(C=1C=CC(O)=CC=1)O2 VUGRLRAUZWGZJP-IAAKTDFRSA-N 0.000 description 1
- SNFFBROYEDWRGB-NHXQFOETSA-N plantagosid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1=CC([C@H]2OC3=CC(O)=CC(O)=C3C(=O)C2)=CC(O)=C1O SNFFBROYEDWRGB-NHXQFOET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07 poiso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572 poisoning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442 polyphenol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24 polyphen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804 polysaccharide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777 polyunsaturated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77 por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15 potato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BDERNNFJNOPAEC-UHFFFAOYSA-N 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BDERNNFJNOPA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1275 rectum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095 red w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2 reflux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271 res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3 salty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BUGBHKTXTAQXES-UHFFFAOYSA-N selenium Chemical compound [Se] BUGBHKTXTAQX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1 sele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69 sele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639 sod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49 stomach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84 succ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29 tetraterpeno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KYMBYSLLVAOCFI-UHFFFAOYSA-N thiamine Chemical compound CC1=C(CCO)SCN1CC1=CN=C(C)N=C1N KYMBYSLLVAOCF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95 thiam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19 tissu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976 turmer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22 unsaturated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0 unsaturated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4 va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28 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2 vine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5 vitamin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9 vitamin 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74 vitamin B1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91 vitamin B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4 vitamin B2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6 vitamin B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00 vitamin C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6 vitamin 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0 vitamin 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5 vitamin 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9 vitamin 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1 volati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618 wa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4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additives
- A23L13/42—Additives other than enzymes or microorganisms in meat products or meat meals
- A23L13/428—Addition of flavours, spices, colours, amino acids or their salts, peptides, vitamins, yeast extract or autolysate, nucleic acid or derivatives, organic acidifying agents or their salts or acidogens, sweeteners, e.g. sugars or sugar alcohols; Addition of alcohol-containing produ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4—Dried spic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의 제조방법은 산양삼 분말을 제조하는 산양삼 분말 제조 단계(S100); 한우 원료육을 준비하여 핏물을 제거하고 비식용 부위를 제거하는 한우 원료육 전처리 단계(S200); 상기 비식용 부위가 제거된 한우 원료육을 염지액에 침지시켜 염지하는 한우 원료육 염지 단계(S300); 상기 염지된 한우 원료육에 천연 추출물을 혼합한 후 냉장 숙성하는 천연 추출물 혼합 및 냉장 숙성 단계(S400); 상기 냉장 숙성된 한우 원료육을 일정한 중량 단위로 절단한 후 가열하여 조리하는 한우 원료육 절단 및 가열 조리 단계(S500); 및 상기 절단되어 가열 조리된 한우 원료육과 산양삼 분말을 혼합하여 한우 스테이크를 제조하는 스테이크 제조 단계(S600)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의 제조방법은 산양삼과 한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는 스테이크를 제조함으로써, 산양삼의 영양성분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고, 한우 고유의 쫄깃하고 부드러운 식감 및 영양과, 각종 재료들의 맛과 영양을 균형있게 섭취할 수 있는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의 제조방법은 산양삼 분말을 제조하는 산양삼 분말 제조 단계(S100); 한우 원료육을 준비하여 핏물을 제거하고 비식용 부위를 제거하는 한우 원료육 전처리 단계(S200); 상기 비식용 부위가 제거된 한우 원료육을 염지액에 침지시켜 염지하는 한우 원료육 염지 단계(S300); 상기 염지된 한우 원료육에 천연 추출물을 혼합한 후 냉장 숙성하는 천연 추출물 혼합 및 냉장 숙성 단계(S400); 상기 냉장 숙성된 한우 원료육을 일정한 중량 단위로 절단한 후 가열하여 조리하는 한우 원료육 절단 및 가열 조리 단계(S500); 및 상기 절단되어 가열 조리된 한우 원료육과 산양삼 분말을 혼합하여 한우 스테이크를 제조하는 스테이크 제조 단계(S600)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의 제조방법은 산양삼과 한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는 스테이크를 제조함으로써, 산양삼의 영양성분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고, 한우 고유의 쫄깃하고 부드러운 식감 및 영양과, 각종 재료들의 맛과 영양을 균형있게 섭취할 수 있는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양삼과 한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는 스테이크를 제조함으로써, 산양삼의 영양성분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고, 한우 고유의 쫄깃하고 부드러운 식감 및 영양과, 각종 재료들의 맛과 영양을 균형있게 섭취할 수 있는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이크는 두꺼운 육류 조각을 구운 서양 요리로서, 돼지고기 및 쇠고기를 주 재료로 하고 있으며, 여러 가지의 제조방법이 있다.
그 일예로서, 한우의 안심고기를 각종 양념 및 재료로서 만들어진 매리네이드에 12시간 동안 재어두어 안심고기에 각종 양념 및 재료가 충분히 스며들 수 있도록 하는 절임공정을 진행하여 고기에 향과 간이 베어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절임공정의 진행이 완료되면 매리네이드에 절여진 안심고기를 실로 묶어서 프라이팬에서 기름을 5㎖ 넣고 갈색이 날 때까지 100℃의 온도에서 2분 동안 데치는 데침공정을 실행한다.
상기 데침공정이 완료되면 오븐용 시트팬에 유자된장 매리네이드에 절여진 안심고기를 올려놓고, 그 위에 양파, 당근, 샐러리, 마늘로 이루어진 야채 소스를 덮은 다음 350℃의 오븐에서 버터를 바르고 적포도주을 끼얹으면서 익힘공정을 실행한다.
상기 익힘공정을 통해 안심고기, 야채 소스, 버터가 차례로 적층된 안심고기 위에 버섯, 다진 마늘, 다진 양파, 버터, 생크림, 소금, 후춧가루로 이루어진 버섯 딕셀을 올리고, 이어서 다진 파, 식초, 후추, 버터, 향신료즙, 소금, 레몬즙 다진 파슬리로 이루어진 포요트 소스를 고르게 도포한 다음, 150℃의 오븐에서5분 동안 구워 갈색이 나도록 구운(gratinating) 후, 그 위에 다진 파슬리를 고르게 뿌려 스테이크를 완전하게 형성하는 스테이크 형성공정을 실행한다.
상기 스테이크 형성공정을 통해 스테이크가 완전히 제조되면 통상적인 스테이크 소스를 깔고, 그 스테이크 소스 위에 스테이크를 올린 다음, 감자, 서양호박, 당근, 순무, 브로콜리로 모양을 내어 고명(garnish)으로 곁들이는 셋팅과정을 진행함으로써 일반적인 스테이크의 제조를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스테이크는 첨가되는 재료가 버터, 향신신료 등에 의해 서양인의 기호에 맞도록 되어 있으나, 한국인의 입맛에는 적절하지 않는 느끼한 맛을 지니고 있는 관계로 한국인의 입맛에 맞도록 많은 제조방법들이 개발 또는 알려져 있다.
특히, 최근에 들어 외식문화가 발달되어 대형 외식산업체에서 한국인의 입맛에 맞는 요리들을 선보이고 있는 실정이고, 이러한 외식산업의 1년 총 매출액은 실로 막대하며, 그 중에서도 스테이크는 고급요리로서 많이 선호하고 있어 스테이크 고유의 맛을 지니면서 보다 한국적인 맛이 나도록 하는 스테이크의 제조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한우는 비위(脾胃)를 보하고, 익기혈(益氣血)하며, 근골을 강화시키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끓이면 걸쭉하고 엉기는 성분인 콜라겐이 우러나고, 이는 눈과 관절 및 피부재생을 돕는 효과가 있고 노화방지 효과가 우수하다.
그 밖에도, 라이신, 트레오닌, 발린, 메티오닌, 로이신 같은 필수 아미노산과 지방산, 비타민 외 칼슘, 인, 철 등의 미네랄이 풍부하여 건강에 좋은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칼슘의 함량이 높아 폐경기 이후 여성의 골다공증 예방 또는 증상 완화에도 유용하다.
그리고 산양삼은 산간의 삼림하에 인위적으로 종자나 묘삼을 파종 이식하여 재배한 삼이다. 산양삼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 수천 년 전부터 널리 사용되어 온 한국의 대표 약용 작물이다. 토양을 포함한 환경적 요인에 매우 민감하며 재배 조건이 매우 까다로우나, 독성이 거의 없고 만병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주로 뿌리를 약용한다.
구체적으로 산양삼은 인삼의 씨를 산에 뿌려 야생상태로 재배한 것으로, 장뇌 또는 장뇌산삼(長腦山蔘), 장로(長蘆)라고도 한다. 산양삼은 생체의 부족한 기를 보충하고 증강하여, 피로 회복과 균에 대한 저항력과 면역 기능을 증진하고 허약체질을 개선하며,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작용을 하므로 열이 많은 사람은 열을 내려주고, 냉한 사람은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작용을 한다. 또한, 각종 성인 병(당뇨, 암,혈압,간염, 심장병)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산양삼과 한우를 이용하는 방법을 연구하던 중, 산양삼과 한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는 스테이크를 제조함으로써, 산양삼의 영양성분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고, 한우 고유의 쫄깃하고 부드러운 식감 및 영양이 증진되어 스테이크를 취식하는 소비자의 기호도를 충족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산양삼과 한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는 스테이크를 제조함으로써, 산양삼의 영양성분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고, 한우 고유의 쫄깃하고 부드러운 식감 및 영양과, 각종 재료들의 맛과 영양을 균형있게 섭취할 수 있는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산양삼의 강한 향 및 육류 특유의 냄새를 제거함과 동시에 스테이크의 풍미, 식감 및 관능성을 향상시켜 소비자의 기호도를 충족시키고 영양을 배가하여 소비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의 제조방법은 산양삼 분말을 제조하는 산양삼 분말 제조 단계(S100); 한우 원료육을 준비하여 핏물을 제거하고 비식용 부위를 제거하는 한우 원료육 전처리 단계(S200); 상기 비식용 부위가 제거된 한우 원료육을 염지액에 침지시켜 염지하는 한우 원료육 염지 단계(S300); 상기 염지된 한우 원료육에 천연 추출물을 혼합한 후 냉장 숙성하는 천연 추출물 혼합 및 냉장 숙성 단계(S400); 상기 냉장 숙성된 한우 원료육을 일정한 중량 단위로 절단한 후 가열하여 조리하는 한우 원료육 절단 및 가열 조리 단계(S500); 및 상기 절단되어 가열 조리된 한우 원료육과 산양삼 분말을 혼합하여 한우 스테이크를 제조하는 스테이크 제조 단계(S600)를 포함한다.
상기 한우 원료육 전처리 단계(S200)에서 상기 한우 원료육의 핏물 제거는 상기 준비된 한우 원료육을 10 내지 15℃ 온도의 침지액에 5 내지 10분 동안 침지시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한우 원료육 염지 단계(S300)에서 상기 염지액은 양파분말 10 내지 20 중량부, 정제염 20 내지 30 중량부, 간장 30 내지 50 중량부, 청주 10 내지 20 중량부, 마늘즙 5 내지 15 중량부, 후춧가루 3 내지 7 중량부, 설탕 10 내지 20 중량부, 계피가루 3 내지 5 중량부 및 정제수 40 내지 6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되고, 상기 비식용 부위가 제거된 한우 원료육을 염지액에 침지시킨 후 8 내지 12℃의 온도에서 30 내지 50분 동안 침지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천연 추출물 혼합 및 냉장 숙성 단계(S400)에서 상기 천연 추출물은 엉겅퀴 추출물, 질경이 추출물, 새콩 추출물 및 돌가시나무 추출물로 이루어진 천연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천연 추출물 혼합 및 냉장 숙성 단계(S400)는 상기 염지된 한우 원료육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천연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3 내지 5℃의 온도에서 10 내지 20시간 동안 냉장 보관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천연 추출물은 엉겅퀴 추출물, 질경이 추출물, 새콩 추출물 및 돌가시나무 추출물이 1:1:1:1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크 제조 단계(S600)에서 상기 산양삼 분말은 상기 절단되어 가열 조리된 한우 원료육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된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의 제조방법은 산양삼과 한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는 스테이크를 제조함으로써, 산양삼의 영양성분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고, 한우 고유의 쫄깃하고 부드러운 식감 및 영양과, 각종 재료들의 맛과 영양을 균형있게 섭취할 수 있는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의 제조방법은 산양삼의 강한 향 및 육류 특유의 냄새를 제거함과 동시에 스테이크의 풍미, 식감 및 관능성을 향상시켜 소비자의 기호도를 충족시키고 영양을 배가하여 소비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의 제조방법은 산양삼 분말 제조 단계(S100), 한우 원료육 전처리 단계(S200), 한우 원료육 염지 단계(S300), 천연 추출물 혼합 및 냉장 숙성 단계(S400), 한우 원료육 절단 및 가열 조리 단계(S500), 및 스테이크 제조 단계(S600)를 포함한다.
1. 산양삼 분말 제조 단계(S100)
상기 산양삼 분말 제조 단계(S100)는 한우 스테이크와 혼합되어 사용되는 산양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산양삼 분말 제조 단계(S100)에서 상기 산양삼 분말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산양삼 분말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기 산양삼 분말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품질이 우수한 산양삼을 준비한 후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물질 제거는 상기 준비된 산양삼을 정제수로 세척하고 비식용 부위를 제거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산양삼을 건조하여 상기 산양삼 내부에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햇빛 건조시 상기 세척된 산양삼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급격하게 증발되고, 고유의 향이 사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조기나 그늘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건조는 상기 산양삼을 온도 20 내지 22℃ 및 습도 55 내지 60%로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50 내지 100시간 동안 건조할 수 있다.
즉, 상기 건조는 상기와 같은 공정 조건에 의해 상기 산양삼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점진적으로 고르게 증발되도록 하여 산양삼의 쓴맛이나 강한 향을 제거할 수 있고, 산양삼의 세포조직의 파괴로 공기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발효 작용을 촉진시킴으로써 맛과 향이 진하게 발휘되도록 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건조된 산양삼에, 풋귤 분말, 숙잠 분말, 스테비아 추출액, 크릴새우 오일 및 미네랄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혼합한 후 숙성시킬 수 있다.
상기 혼합 및 숙성은 상기 건조된 산양삼에, 풋귤 분말, 숙잠 분말, 스테비아 추출액, 크릴새우 오일 및 미네랄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혼합한 후 숙성시킴으로써 가공되는 산양삼의 영양성분을 더욱 강화하고 산양삼 특유의 쓴맛을 제거할 수 있는데, 상기 건조된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해 풋귤 분말, 숙잠 분말, 스테비아 추출액, 크릴새우 오일 및 미네랄로 이루어진 혼합물 10 내지 3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혼합물은 풋귤 분말 1 내지 3 중량부, 숙잠 분말 2 내지 4 중량부, 스테비아 추출액 0.5 내지 1.5 중량부, 크릴새우 오일 0.1 내지 1 중량부 및 미네랄 0.1 내지 0.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배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 및 숙성은 상기 건조된 산양삼에, 풋귤 분말, 숙잠 분말, 스테비아 추출액, 크릴새우 오일 및 미네랄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혼합한 후 10 내지 15℃의 온도에서 20 내지 40시간 동안 숙성시킴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상기 풋귤은 미숙과 상태인 귤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미숙과 상태인 풋귤에는 완숙과보다 식이섬유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이며, 감귤류 플라보노이드(flavonoides)는 항암, 항염증, 심혈관계 질환 예방 및 치료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감귤류의 폴리페놀은 전자공여 작용이 높음에 따라 항산화 작용, 활성산소 제거 아질산염 소거작용으로 발암물질에 의한 질환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상기 풋귤 분말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풋귤 분말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풋귤 분말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풋귤을 준비한 후 세척하여 풋귤 표면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준비된 풋귤을 흐르는 물을 이용하여 세척하거나 살균력이 있는 0.5 내지 0.6ppm의 오존수로 세척함으로써 상기 풋귤의 표면에 부착된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풋귤의 껍질이나 씨 등과 같은 비식용 부위를 제거하여 풋귤 과육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세척된 풋귤을 공지의 박피기 등을 이용하여 껍질이나 씨 등을 제거함으로써 풋귤 과육을 형성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비식용 부위가 제거된 풋귤의 과육을 열풍으로 건조하여 상기 풋귤의 과육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비식용 부위가 제거된 풋귤의 과육을 70 내지 80℃ 온도의 열풍으로 5 내지 15시간 동안 건조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열풍 건조가 상기한 하한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풋귤의 과육에 존재하는 수분이 충분히 증발되기 어려우며, 상기한 상한을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풋귤의 과육에 존재하는 수분이 과도하게 증발되어 상기 풋귤의 물성이 나빠질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열풍 건조된 풋귤 과육을 -40℃ 내지 -30℃ 온도의 범위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동결 건조한 후, 상기 동결 건조된 풋귤 과육을 분쇄하여 풋귤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공지의 분쇄기 등을 이용하여 상기 동결 건조된 풋귤 과육을 분쇄하여 분말화할 수 있는데, 상기 동결 건조된 풋귤 과육을 분말화하는 구성은 공지의 기술인 바,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숙잠 분말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숙잠 분말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숙잠 분말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숙잠을 준비할 수 있다.
상기 숙잠은 누에 몸속에 견사단백질이 가득 차 있는 누에로서 고치를 완전히 지어 번데기로 탈피하기 전까지의 견사단백질이 누에 몸속에 들어있는 누에를 말한다.
즉, 통상적으로 4면잠 누에의 경우 5령3일 누에란 누에가 마지막 잠을 자고 5령이 되어 3일째 되는 것으로, 약 3일이 지나면 체내에서 단백질 성분의 견사단백질(견사선)이 급속히 비대해지기 시작하고, 내장이 점차 퇴화되며 5령7일~8일 정도가 되면 견사단백질만으로 가득차게 되는데, 이때를 숙잠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누에는 알에서 깨어나 4번의 탈피를 거쳐 누에고치를 짓고 누에번데기로 변태한 후 나방이 되어 알을 낳고 약 2주 후면 죽게 되는 일생의 과정을 가진 완전변태 곤충의 하나이다.
그리고 누에분말은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누에 성분 및 약리효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이와 관련된 여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혈당강하 활성성분의 연구와 더불어, 임상적으로 상당수의 환자에게 이를 장기 복용할 경우에 혈당이 감소한다고 생각하여 환자들 사이에서 권장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예전부터 민간에서 당뇨병의 치료목적으로 무분별하게 사용되어온 누에의 혈당 강하효과를 임상연구를 통하여 안정성과 효력이 규명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준비된 숙잠과 뽕잎을 혼합한 후 수증기로 가열하여 찔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연상태에서 숙잠을 가열하면(또는, 찌면) 실샘(견사실)이 매우 딱딱해져서 가공이 어려운데, 상기와 같이 뽕잎과 상기 숙잠을 혼합한 후 수증기로 가열하여 찌면 숙잠의 잡냄새가 제거됨과 동시에 실샘이 물러져서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다.
상기 뽕잎은 글루코사이드(Glucoside), 비타민 C, 비타민 B1, 비타민 B2 등 50여 종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고 당뇨병 치료와 혈압 및 혈당 강하, 항암, 노화 방지, 동맥경화 등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상기 뽕잎은 숙잠과 함께 가열되고, 상기 뽕잎의 향이 숙잠에 침투됨으로써, 상기 숙잠의 잡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뽕잎은 상기 숙잠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고, 상기 가열은 120 내지 130℃의 온도의 수증기로 1 내지 3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가열하여 쪄진 숙잠을 동결 건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동결 건조 방법으로는 상압 동결 건조법과 감압 동결 건조법이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숙잠의 손상을 줄이기 위하여 0.5 내지 3mmHg의 압력 및 -65 내지 -55℃의 온도로 30 내지 50시간 동안 동결 건조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동결 건조가 상기한 범위를 벗어나서 수행되는 경우에는 숙잠 내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충분히 승화되지 않거나 과도하게 수분의 증발이 일어나 숙잠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생물/생화학적인 활성의 유지가 어려울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동결 건조된 숙잠을 분쇄하여 숙잠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숙잠의 분쇄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스테비아 추출액은 당도를 높여 발효 흑삼의 기호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스테비아 추출액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스테비아 추출액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테비아 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스테비아 생잎을 준비한 후 상기 스테비아 생잎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준비된 스테비아 생잎을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이 용해된 정제수로 세척할 수 있는데, 상기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이 용해된 정제수는 1 내지 3(w/w)% 농도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탄산수소나트륨은 식품첨가물로도 이용되는 것으로, 독성이 없으며 침투, 확산, 팽창 등의 기능을 가지는데, 상기 스테비아 생잎을 탄산수소나트륨이 용해된 정제수를 이용하여 세척함으로써, 곰팡이의 세포벽을 팽창시켜 상기 스테비아 생잎을 살균함과 동시에 세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스테비아 생잎을 자연 건조시켜 상기 스테비아 생잎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세척된 스테비아 생잎을 30 내지 35℃의 온도에서 1 내지 3일 동안 건조할 수 있는데, 상기한 범위로 스테비아 생잎을 건조함으로써 스테비아 생잎의 향이 은은하게 살아 있도록 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자연 건조된 스테비아 생잎을 감압분위기에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진공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50 내지 60mbar의 압력하에서 자연 건조된 스테비아 생잎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단계는 40 내지 45℃의 온도에서 30 내지 100초 동안 수행되고, 상기 자연 건조된 스테비아 생잎에 2 내지 2.2GHz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는 스테비아 생잎의 내부까지 침투하여 가열하는 체적가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면 스테비아 생잎 내부의 물 분자가 마이크로웨이브의 극성 변환에 따라 진동 또는 회전하게 되고, 이와 같은 분극 진동이 분자간의 마찰로 이어져 발열 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데, 감압하에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스테비아 생잎을 건조해주면, 스테비아 생잎 내부의 가열에 의한 팽화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순간적인 내부가열과 팽화에 의해 스테비아 생잎 내부의 세포막이 파괴됨으로써 살균효과도 발생하고, 또한, 스테비아 생잎 내부 가열에 의한 팽화에 의해 추후 스테비아 추출액 제조시 스테비아의 성분이 효과적으로 침출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진공 건조된 스테비아 생잎을 추출하여 스테비아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공지의 추출법을 이용하여 상기 진공 건조된 스테비아 생잎을 추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추출법으로 열수 추출, 환류 추출 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고,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해 상기 추출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크릴새우 오일은 크릴새우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크릴새우는 인체 세포막 구성 성분과 유사한 구조의 인지질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크릴새우로부터 추출되는 오일은 인체로의 흡수가 다른 어류 오일에 비하여 잘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크릴오일에는 오메가-3 등의 지질 외에 비타민 A, E, D가 함유되어 있고, 특히 강력한 항산화제인 아스타잔틴(astaxanthin)이라는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크릴오일의 항산화 기능은 일반 생선오일의 48배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즉, 크릴새우는 영양학적으로는 양질의 단백질과 지질로 구성되어 있고, 신선한 크릴새우에는 약 10%까지의 지질을 함유하며, 크릴새우의 지질은 고도불포화지방산 오메가-3인 에이코사펜타에노산(EPA)과 도코사헥사엔산(DHA)이 약 40% 함유되어 있고, 인지질(phospholipids)이 약 40~50%가 함유되어 있다. 또한, 지용성 카로틴노이드(carotenoid)의 항산화물질인 아스타잔틴(astaxanthin)이 함유되어 있어 유용하다.
상기 크릴새우 오일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크릴새우를 준비하여 세척한 후, 상기 세척된 크릴새우를 건조할 수 있다.
상기 세척된 크릴새우의 건조는 제1 건조 및 제2 건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제1 건조는 상기 세척된 크릴새우를 50 내지 60℃의 온도에서 5 내지 15시간 동안 건조시켜 상기 세척된 크릴새우에 잔류하는 수분을 1차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건조는 상기 제1 건조된 크릴새우를 열풍으로 건조할 수 있는데, 상기 제2 건조는 상기 제1 건조된 크릴새우를 110 내지 130℃ 온도의 열풍을 30 내지 50분 동안 가하여 줌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 건조된 크릴새우를 분쇄하여 분말화한 후 숙성하여 크릴새우 숙성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제2 건조된 크릴새우의 분쇄는 상기 제2 건조된 크릴새우를 5 내지 10mm의 입경으로 분쇄하여 분말화하고, 상기 분말화된 크릴새우의 숙성은 상기 분말화된 크릴새우를 6 내지 8℃의 온도에서 20 내지 40시간 동안 보관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크릴새우 숙성분말에 효소와 산을 혼합한 후 보관하여 효소 분해할 수 있다.
즉,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크릴새우 숙성분말에 효소와 산을 혼합한 후 상기 효소 및 산이 혼합된 크릴새우 숙성분말을 36 내지 38℃의 온도에서 10 내지 30시간 동안 보관함으로써 효소 분해할 수 있는데, 상기 크릴새우 숙성분말의 효소 분해는 상기 크릴새우에 존재하는 단백질이나 키틴, 면역활성 다당체를 분리해낼 수 있는 효소를 사용하여 분해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효소로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공지된 프로테아제(Protease), 키티나제(chitinase), 펙티나제(Pectinase) 및 자일라나제(Xylanase)가 이용되고, 상기 산으로는 구연산 및 아스코르빈산이 이용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크릴새우 숙성분말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프로테아제(Protease) 0.01 내지 0.03 중량부, 키티나제(chitinase) 0.03 내지 0.05 중량부, 펙티나제(Pectinase) 0.005 내지 0.009 중량부, 자일라나제(Xylanase) 0.008 내지 0.012 중량부, 구연산 0.01 내지 0.1 중량부 및 아스코르빈산 0.01 내지 0.1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상기 효소 및 산이 혼합된 크릴새우 숙성분말의 pH가 3.5 ~ 6.5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효소 분해된 크릴새우 숙성분말에서 오일을 분리함으로써 크릴새우 오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효소 분해된 크릴새우 숙성분말에서 오일을 추출하는 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공지의 기술인 바,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미네랄은 상기 산양삼에 흡수되어 인체의 성장과 유지 및 생식에 비교적 소량 필요한 영양물질인 광물질을 의미하며, 칼슘, 인, 칼륨, 마그네슘, 망간, 요오드, 셀레늄, 몰리브덴 및 코발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혼합된 산양삼, 풋귤 분말, 숙잠 분말, 스테비아 추출액, 크릴새우 오일 및 미네랄로 이루어진 산양삼 혼합물을 발효시킬 발효균 배양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발효균 배양액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균 배양액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효균 배양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멥쌀을 준비하여 세척한 후 물에 침지시켜 멥쌀을 불릴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세척된 멥쌀을 30 내지 35℃의 온도의 물에서 50 내지 100분 동안 침지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불려진 멥쌀을 가열하여 고두밥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불려진 멥쌀에 1.5 내지 2 중량배의 물을 혼합한 후 110 내지 130℃ 온도의 열원에서 20 내지 60분 동안 가열함으로써 발효균이 배양되기 알맞은 고두밥을 제조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고두밥에 발효균, 효모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발효균 배양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고두밥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발효균 2 내지 4 중량부, 효모 3 내지 7 중량부 및 물 50 내지 76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효균으로는 황국균(Aspergillus oryzae; 아스퍼질러스 오리재)이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황국균(Aspergillus oryzae; 아스퍼질러스 오리재)은 장류의 제조에 사용되는 공지의 균주로, 전분 분해능이 우수하고, 통상적으로 생육 적온은 30℃ 전후이며, 고온 다습한 상태를 좋아하고, 생성되는 유기산은 코지산, 글루콘산 등이다. 또한, 상기 황국균은 아밀라아제의 작용, 즉 녹말을 설탕으로 분해하는 힘을 이용하여 간장, 된장, 고추장 등을 제조할 수 있는 우수 발효 곰팡이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상기 황국균은 시판되고 있는 공지된 황국균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산양삼 혼합물을 발효시킬 수 있다.
상기 산양삼 혼합물의 발효는 상기 산양삼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발효균 배양액 20 내지 4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30 내지 32℃의 온도에서 10 내지 20시간 동안 발효시킬 수 있는데, 상기 발효가 상기한 하한 범위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산양삼이 충분히 발효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한 상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공되어 제조되는 산양삼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발효된 산양삼 혼합물을 동결 건조한 후 분쇄하여 산양삼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동결 건조 및 분말의 제조는 상기 발효된 산양삼 혼합물을 동결 건조하여 상기 발효된 산양삼 혼합물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한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함으로써 산양삼 분말을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발효된 산양삼 혼합물의 동결 건조는 -45 내지 -40℃의 온도에서 10 내지 30시간 동안 수행되고, 동결 건조된 산양삼 혼합물의 분쇄는 공지의 분쇄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2. 한우 원료육 전처리 단계(S200)
상기 한우 원료육 전처리 단계(S200)는 한우 스테이크를 제조하기 위한 한우 원료육을 준비하여 핏물을 제거하고 기름 및 힘줄 등 한우 원료육에 포함되어 있는 비식용 부위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한우 원료육 전처리 단계(S200)에서는 한우 원료육을 준비하여 핏물을 제거하고 상기 한우 원료육에 포함되어 있는 기름, 힘줄 등 비식용 부위를 제거할 수 있는데, 상기 한우 원료육 전처리 단계(S200)에서는 힘줄과 같이 질긴 부위나, 기름이 많은 지방 부위를 제거함으로써, 제조되는 한우 스테이크의 맛을 증진시키고 부드러운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우 원료육 전처리 단계(S200)에서 상기 한우 원료육으로는 스테이크를 제조할 수 있는 공지의 한우 원료육이 준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한우 원료육으로는 한우 등심, 한우 안심, 한우 채끝살 등 공지된 다양한 부위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우 원료육 전처리 단계(S200)에서 상기 한우 원료육은 핏물이 제거되어 이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한우 원료육의 핏물 제거는 상기 준비된 한우 원료육을 10 내지 15℃ 온도의 침지액에 5 내지 10분 동안 침지시키는 과정을 거쳐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우 원료육 전처리 단계(S200)에서 상기 한우의 핏물 제거는, 상황버섯, 월계수 잎 및 정제수를 1:1:8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고, 상기 상황버섯 및 월계수 잎이 혼합된 정제수를 85 내지 90℃의 온도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가열한 후 상황버섯 및 월계수 잎을 제거하고 여과하여 여과액을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여과액 100 중량부에 대해 녹차잎 1 내지 1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고 8 내지 12℃의 온도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숙성시킨 후 녹차잎을 제거하여 침지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침지액에 상기 준비된 한우를 침지시킨 후 10 내지 15℃의 온도에서 5 내지 10분 동안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한우에 잔류하는 핏물을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한우 특유의 누린내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상황버섯은 뽕나무에서 자라는 노란버섯이란 뜻으로 우리말로는 '목질진흙 버섯'이라고 하는데, 상기 상황버섯은 초기암의 증식을 막는 효과가 뛰어나며 고혈압에 대한 혈압 강하 작용이 탁월하며, 암 수술후 재발 방지에도 효과가 뛰어나다. 항암성 화학요법과 달리 정상세포에는 독작용을 나타내지 않으며 면역기능을 더욱 강화하여 면역항체를 정상수준으로 끌어올려 암에 대한 저항력을 크게 높인다.
또한, 상기 상황버섯은 소화기 계통의 암인 위암, 식도암, 십이지장암, 결장암, 직장암을 비롯한 간암의 절제수술후 화학요법을 병행할 때 면역 기능을 향상시키며, 자궁출혈및 월경불순, 장출혈, 오장및 위장기능을 활성화시키고 해독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한우 원료육 염지 단계(S300)
상기 한우 원료육 염지 단계(S300)는 상기 비식용 부위가 제거된 한우 원료육을 염지액에 침지시켜 염지하는 단계이다.
상기 한우 원료육 염지 단계(S300)에서는 상기 비식용 부위가 제거된 한우 원료육을 염지액에 침지시킴으로써 상기 한우 원료육의 식감을 부드럽게 하고 한우 원료육 내부까지 염지액이 흡수되어 간이 배도록 할 수 있는데, 상기 염지액으로는 양파분말, 정제염, 간장, 청주, 마늘즙, 후춧가루, 설탕, 계피가루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한우 원료육 염지 단계(S300)에서 상기 염지액은 양파분말 10 내지 20 중량부, 정제염 20 내지 30 중량부, 간장 30 내지 50 중량부, 청주 10 내지 20 중량부, 마늘즙 5 내지 15 중량부, 후춧가루 3 내지 7 중량부, 설탕 10 내지 20 중량부, 계피가루 3 내지 5 중량부 및 정제수 40 내지 6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되고, 상기 비식용 부위가 제거된 한우 원료육을 염지액에 침지시킨 후 8 내지 12℃의 온도에서 30 내지 50분 동안 침지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한우 원료육 염지 단계(S300)에서 상기 정제염은 염지액에 포함되어 짠맛을 부여함고 동시에 설탕의 단맛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간장은 소금, 당분, 아미노산 및 비타민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염분과 아미노산 및 단백질의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데, 특히, 상기 간장에 함유된 메티오닌은 간장(肝腸)의 해독 작용을 도와 체내에 유독한 유해물질을 제거하며, 알코올 및 니코틴을 제거해주는 역할과 혈관을 부드럽게 하여 혈액을 맑게 하고 비타민의 체내 합성을 촉진할 수 있다.
상기 청주, 양파분말, 후춧가루 및 계피가루는 염지액에 포함되어 풍미를 증진시키는 향신료로 작용할 수 있고, 또한, 한우 원료육 특유의 잡냄새를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마늘즙은 마늘을 분쇄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상기 마늘즙은 간장의 해독, 체력증진, 암과 혈관 질환 및 노화방지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며, 육류 특유의 잡냄새를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4. 천연 추출물 혼합 및 냉장 숙성 단계(S400)
상기 천연 추출물 혼합 및 냉장 숙성 단계(S400)는 상기 염지된 한우 원료육에 천연 추출물을 혼합한 후 냉장 숙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천연 추출물 혼합 및 냉장 숙성 단계(S400)에서는 상기 염지된 한우 원료육에 천연 추출물을 혼합한 후 냉장 숙성함으로써 천연 추출물의 약효 성분이 가미된 냉장 숙성된 한우 원료육을 얻을 수 있는데, 상기 천연 추출물은 엉겅퀴 추출물, 질경이 추출물, 새콩 추출물 및 돌가시나무 추출물로 이루어진 천연 추출물이 이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천연 추출물 혼합 및 냉장 숙성 단계(S400)에서는 상기 염지된 한우 원료육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천연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3 내지 5℃의 온도에서 10 내지 20시간 동안 냉장 보관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엉겅퀴 추출물은 엉겅퀴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엉겅퀴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이며 전 세계에 약 25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약 13종이 분포되어 있다.
한방에서는 지상부 또는 지하부를 대계라 하여 약용으로 사용해 왔으며, 잎과 줄기, 꽃 및 씨 등 지상부는 개화 시기에서 씨가 여무는 5~6월에 채취하고 뿌리는 가을에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 열수 또는 알코올 추출에 의한 약 성분을 토혈, 혈뇨, 대하, 간염 및 고혈압 등 치료에 활용해왔다.
또한, 엉겅퀴는 순 잎, 줄기, 뿌리는 모두 식용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특유의 향미가 있어 차로도 이용되고 있는 식물이다. 엉겅퀴에는 생리활성이 뛰어난 아피게닌(apigenin), 루테올린(luteolin), 미리세틴(myricetin), 캠페롤(kaemferol), 펙토리나린(pectolinarin) 등을 포함한 약 78종의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화합물이 풍부하여 항염증, 항암, 항돌연변이, 항진균, 신경보호 및 면역 증진 활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엉겅퀴는 면역력 증진과 혈액순환, 항산화작용, 숙취해소, 정력증진, 피부미용에 좋으며, 어혈을 풀어주고 피를 맑게 하는 효과와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간세포를 재생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질경이 추출물은 질경이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질경이(Plantago asiatica)는 질경이과(Plantagin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이다. 한방 및 생약학에서는 차전초가 청열(淸熱), 양혈(凉血), 열독(熱毒)에 의한 옹종(癰腫)의 해독제로, 혈림뇨혈(血淋尿血) 및 이뇨제, 위장약, 부인병, 늑막염 및 변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상기 질경이의 주요성분으로는 iridoid 배당체인 aucubin, genipiosidic acid, flavone 배당체인 plantagoside, acetoside, plantaginin, homoplantagin, mucilage인 plantasan, plantago-mucilage A(L-arabinose, Dxylose, D-glucuronic acid, D-galacturonic acid 함유)와 그 외 choline, succinic acid, siringin, 불포화지방산, 필수아미노산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상기 질경이는 항균 효능과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 및 고콜레스테롤 개선 효능 및 위궤양 억제 효능이 보고되었다.
상기 새콩 추출물은 새콩을 추출하여 새콩의 유용성분이 유효적으로 포함되도록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새콩(Amphicarpaea edgeworthii var trisperma)은 콩과(Zingiberaceae)에 속하는 1년생 초본으로 덩굴성 식물이며, 길이 1~2m이고 전체에 밑으로 향한 퍼진 털이 있다. 한국 내에서는 전국 각처의 산야지 초원에 흔히 자생하며, 국외로는 중국, 일본, 인도지역 등에 분포한다.
새콩의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소엽은 3개이고 난형이며, 6~9월에 꽃이 피고 꽃은 자주색이다. 8월부터 열매가 성숙되는데, 열매는 협과이며 편평한 타원형이고 둘레를 따라 털이 있으며, 3개의 종자가 들어있다.
상기 새콩은 한방에서는 뿌리를 양형두라는 약재로 쓰는데, 사지동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분으로는 씨의 정유성분이 있으며, 그 주성분은 보르네올(Borneol), 보르닐-아세테이트(Bornyl-acetate), 리날로올(Linalool), 네롤리돌(Nerolidol) 등이다.
상기 돌가시나무 추출물은 돌가시나무를 추출하여 돌가시나무의 유용성분이 유효적으로 포함되도록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돌가시나무의 열매인 영실은 생리와 생리통에 좋으며 변비, 신장염, 방광염, 각기, 수종 등에 그 효과가 알려져 있으며 8~9월경 열매를 채취하여 그늘에 말린 후 가루를 내어 복용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가시나무 뿌리는 열 내림이나 풍습제거, 혈액순환 촉진, 해독, 관절통, 산후풍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엉겅퀴 추출물, 질경이 추출물, 새콩 추출물 및 돌가시나무 추출물로 이루어진 천연 추출물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천연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천연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엉겅퀴, 질경이, 새콩 및 돌가시나무를 준비한 후 세척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엉겅퀴, 질경이, 새콩 및 돌가시나무는 1:1:1:1의 중량 비율로 준비되고, 상기 엉겅퀴, 질경이, 새콩 및 돌가시나무의 세척은 35 내지 40℃의 온도로 유지되는 1 내지 3(w/w)% 농도의 탄산수소나트륨(NaHCO3) 용액에 상기 엉겅퀴, 질경이, 새콩 및 돌가시나무를 10 내지 20분 동안 침지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엉겅퀴, 질경이, 새콩 및 돌가시나무를 수증기로 증숙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증숙은 상기 세척된 엉겅퀴, 질경이, 새콩 및 돌가시나무를 5 내지 7kgf/cm2의 압력에서 130 내지 150℃ 온도의 수증기로 50 내지 150분 동안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증숙된 엉겅퀴, 질경이, 새콩 및 돌가시나무를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증숙된 엉겅퀴, 질경이, 새콩 및 돌가시나무의 건조는 상기 증숙된 엉겅퀴, 질경이, 새콩 및 돌가시나무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건조는 70 내지 80mbar의 압력, 50 내지 55℃의 온도에서 20 내지 40분 동안 상기 증숙된 강황, 엉겅퀴 및 질경이에 2.5GHz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는 상기 증숙된 엉겅퀴, 질경이, 새콩 및 돌가시나무의 내부까지 침투하여 상기 증숙된 엉겅퀴, 질경이, 새콩 및 돌가시나무 전체를 가열하는 체적 가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면 상기 증숙된 엉겅퀴, 질경이, 새콩 및 돌가시나무 내부의 수분자가 마이크로웨이브의 극성 변환에 따라 진동 또는 회전하게 되고, 이와 같은 분극 진동이 분자간의 마찰로 이어져 발열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증숙된 엉겅퀴, 질경이, 새콩 및 돌가시나무를 70 내지 80mbar의 압력, 50 내지 55℃의 온도에서 20 내지 40분 동안 상기 증숙된 엉겅퀴, 질경이, 새콩 및 돌가시나무에 2.5GHz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함으로써, 열전도에 의하지 않고 단시간에 상기 증숙된 엉겅퀴, 질경이, 새콩 및 돌가시나무의 혼합물 내부에 침투하여 극성변환에 의한 마찰로 인해 열로 변환되므로 가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건조된 엉겅퀴, 질경이, 새콩 및 돌가시나무를 추출하여 엉겅퀴 추출물, 질경이 추출물, 새콩 추출물 및 돌가시나무 추출물로 이루어진 천연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건조된 엉겅퀴, 질경이, 새콩 및 돌가시나무의 추출은 열수 추출법, 유기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등 다양한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초음파 추출법 또는 초임계 추출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추출법이란 시료에 추출 용매로서 증류수,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프로판올, 함수 부틸렌글리콜, 함수 프로필렌글리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10배 내지 20배 부피량으로 가한 후, 1 시간 내지 10 시간, 바람직하게는 1 시간 내지 4 시간의 초음파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추출 방법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초임계 추출법이란 건조하여 파쇄한 시료와 보조용매로 에탄올(99.5%) 500~700mL를 초임계 유체 추출 반응기(Natex, Autstria)에 넣고 반응기 내의 온도가 65℃, 압력이 450 bar, S/F 비(supercritical fluid ㎏/Feed ㎏) 35가 되는 조건하에서 추출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5. 한우 원료육 절단 및 가열 조리 단계(S500)
상기 한우 원료육 절단 및 가열 조리 단계(S500)는 상기 냉장 숙성된 한우 원료육을 일정한 중량 단위로 절단한 후 가열하여 조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한우 원료육 절단 및 가열 조리 단계(S500)에서는 취식자가 섭취하기에 알맞은 중량 단위로 상기 냉장 숙성된 한우 원료육을 절단한 후 그릴 등과 같은 공지의 가열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절단된 한우 원료육을 가열하여 조리할 수 있는데, 상기 한우 원료육 절단 및 가열 조리 단계(S500)에서 상기 냉장 숙성된 한우 원료육의 절단 및 가열 조리는 공지의 기술인 바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6. 스테이크 제조 단계(S600)
상기 스테이크 제조 단계(S600)는 상기 절단되어 가열 조리된 한우 원료육과 산양삼 분말을 혼합하여 한우 스테이크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스테이크 제조 단계(S600)에서는 상기 절단되어 가열 조리된 한우 원료육에 산양삼 분말을 혼합하여 한우 스테이크를 제조함으로써, 제조되는 한우 스테이크의 맛과 영양을 배가하여 소비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데, 상기 산양삼 분말은 단독으로 상기 절단되어 가열 조리된 한우 원료육과 혼합되어 사용되거나, 또는 공지의 스테이크 소스액과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크 제조 단계(S600)에서 상기 산양삼 분말은 상기 절단되어 가열 조리된 한우 원료육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될 수 있는데, 상기 산양삼 분말이 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산양삼 분말을 사용하는 효과가 미미하고, 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산양삼 분말에 의해 한우 스테이크의 식감 및 풍미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의 제조방법에 대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1 >
먼저, 산양삼을 준비하여 세척한 후 건조하였고, 상기 건조된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해 풋귤 분말, 숙잠 분말, 스테비아 추출액, 크릴새우 오일 및 미네랄로 이루어진 혼합물 2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12℃의 온도에서 30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이때, 상기 혼합물은 풋귤 분말 2 중량부, 숙잠 분말 3 중량부, 스테비아 추출액 1 중량부, 크릴새우 오일 0.5 중량부 및 미네랄 0.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배합되었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된 산양삼, 풋귤 분말, 숙잠 분말, 스테비아 추출액, 크릴새우 오일 및 미네랄로 이루어진 산양삼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발효균 배양액 3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31℃의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발효시킨 후, 상기 발효된 산양삼 혼합물을 동결 건조한 후 분쇄하여 산양삼 분말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으로, 한우 원료육으로 한우 등심을 준비하여 핏물 및 비식용 부위를 제거하였고, 양파분말 15 중량부, 정제염 25 중량부, 간장 40 중량부, 청주 15 중량부, 마늘즙 10 중량부, 후춧가루 5 중량부, 설탕 15 중량부, 계피가루 4 중량부 및 정제수 5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염지액을 제조한 후 상기 비식용 부위가 제거된 한우 원료육을 염지액에 침지시킨 후 10℃의 온도에서 40분 동안 침지시켜 염지하였다.
이어서, 상기 염지된 한우 원료육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천연 추출물 8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4℃의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냉장 보관함으로써 숙성하였는데, 천연 추출물은 엉겅퀴 추출물, 질경이 추출물, 새콩 추출물 및 돌가시나무 추출물이 1:1:1:1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되었다.
다음으로, 상기 냉장 숙성된 한우 원료육을 일정한 중량 단위로 절단한 후 가열하여 조리하였고, 상기 절단되어 가열 조리된 한우 원료육 100 중량부에 대해 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산양삼 분말을 혼합함으로써 한우 스테이크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한우 스테이크를 제조하였는데, 실시예 2에서는 상기 건조된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해 풋귤 분말, 숙잠 분말, 스테비아 추출액, 크릴새우 오일 및 미네랄로 이루어진 혼합물 28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였고, 상기 혼합물은 풋귤 분말 3 중량부, 숙잠 분말 2.5 중량부, 스테비아 추출액 1.4 중량부, 크릴새우 오일 0.2 중량부 및 미네랄 0.4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배합되어 사용되었다.
< 실시예 3 >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한우 스테이크를 제조하였는데, 실시예 3에서는 양파분말 18 중량부, 정제염 22 중량부, 간장 35 중량부, 청주 19 중량부, 마늘즙 6 중량부, 후춧가루 3 중량부, 설탕 19 중량부, 계피가루 3 중량부 및 정제수 4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염지액을 제조하였고, 상기 염지된 한우 원료육에 천연 추출물을 혼합하지 않고 한우 스테이크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한우 스테이크를 제조하였는데, 비교예 1에서는 산양삼 분말을 사용하지 않고 한우 원료육을 염지한 후 천연 추출물과 혼합하는 과정을 거쳐 한우 스테이크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한우 스테이크를 제조하였는데, 비교예 2에서는 한우 원료육을 염지 및 천연 추출물과 혼합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한우 원료육을 가열하여 조리한 후 산양삼 분말과 혼합하는 과정을 거쳐 한우 스테이크를 제조하였다.
< 관능 평가 >
상기와 같이 실시예 1, 2, 3과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한우 스테이크의 식감, 조직감, 향, 풍미, 선호도 등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관능시험은 식품관련 전문가 및 일반 소비자 4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점수 및 평가기준은 9점 채점법을 이용하였으며,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점수 | 평가 기준 |
9 | 매우 좋음 |
7 | 좋음 |
5 | 보통 |
3 | 나쁨 |
1 | 매우 나쁨 |
구분 | 식감 | 향(냄새) | 조직감 | 풍미(맛) | 종합적 선호도 |
실시예 1 | 8.4 | 8.5 | 8.4 | 8.6 | 8.5 |
실시예 2 | 8.3 | 8.4 | 8.4 | 8.5 | 8.4 |
실시예 3 | 8.4 | 8.4 | 8.5 | 8.3 | 8.4 |
비교예 1 | 6.2 | 6.1 | 6.1 | 6.0 | 6.1 |
비교예 2 | 6.3 | 6.2 | 6.1 | 6.1 | 6.2 |
전술한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 따라 제조된 한우 스테이크의 식감, 조직감, 향, 풍미 및 종합적 선호도를 비교한 결과, 실시예 1, 2, 3에 따라 제조된 한우 스테이크가 비교예 1, 2에 따라 제조된 한우 스테이크에 비해 전체적인 식감, 조직감, 향, 풍미 및 종합적 선호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한우 스테이크가 산양삼 분말과 염지액 및 천연 추출물이 균형하게 조화되고, 부드러운 식감 및 영양성분에 풍미를 더하여 한우 스테이크이 맛과 향을 향상시키며 소비자의 기호도를 충족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6)
- 산양삼 분말을 제조하는 산양삼 분말 제조 단계(S100);
한우 원료육을 준비하여 핏물을 제거하고 비식용 부위를 제거하는 한우 원료육 전처리 단계(S200);
상기 비식용 부위가 제거된 한우 원료육을 염지액에 침지시켜 염지하는 한우 원료육 염지 단계(S300);
상기 염지된 한우 원료육에 천연 추출물을 혼합한 후 냉장 숙성하는 천연 추출물 혼합 및 냉장 숙성 단계(S400);
상기 냉장 숙성된 한우 원료육을 일정한 중량 단위로 절단한 후 가열하여 조리하는 한우 원료육 절단 및 가열 조리 단계(S500); 및
상기 절단되어 가열 조리된 한우 원료육과 산양삼 분말을 혼합하여 한우 스테이크를 제조하는 스테이크 제조 단계(S600)를 포함하고,
상기 한우 원료육 전처리 단계(S200)에서 상기 한우 원료육의 핏물 제거는 상기 준비된 한우 원료육을 10 내지 15℃ 온도의 침지액에 5 내지 10분 동안 침지시켜 수행되고,
상기 한우 원료육 염지 단계(S300)에서 상기 염지액은 양파분말 10 내지 20 중량부, 정제염 20 내지 30 중량부, 간장 30 내지 50 중량부, 청주 10 내지 20 중량부, 마늘즙 5 내지 15 중량부, 후춧가루 3 내지 7 중량부, 설탕 10 내지 20 중량부, 계피가루 3 내지 5 중량부 및 정제수 40 내지 6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되고, 상기 비식용 부위가 제거된 한우 원료육을 염지액에 침지시킨 후 8 내지 12℃의 온도에서 30 내지 50분 동안 침지시킴으로써 수행되며,
상기 천연 추출물 혼합 및 냉장 숙성 단계(S400)에서 상기 천연 추출물은 엉겅퀴 추출물, 질경이 추출물, 새콩 추출물 및 돌가시나무 추출물로 이루어진 천연 추출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추출물 혼합 및 냉장 숙성 단계(S400)는 상기 염지된 한우 원료육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천연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3 내지 5℃의 온도에서 10 내지 20시간 동안 냉장 보관함으로써 진행되고,
상기 천연 추출물은 엉겅퀴 추출물, 질경이 추출물, 새콩 추출물 및 돌가시나무 추출물이 1:1:1:1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크 제조 단계(S600)에서 상기 산양삼 분말은 상기 절단되어 가열 조리된 한우 원료육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 제 1항, 제4항 및 제 5항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6734A KR102470191B1 (ko) | 2020-09-11 | 2020-09-11 |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6734A KR102470191B1 (ko) | 2020-09-11 | 2020-09-11 |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4411A KR20220034411A (ko) | 2022-03-18 |
KR102470191B1 true KR102470191B1 (ko) | 2022-11-25 |
Family
ID=80936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16734A KR102470191B1 (ko) | 2020-09-11 | 2020-09-11 |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70191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19227B1 (ko) | 2011-09-30 | 2012-03-21 | 농업회사법인(주)육품정클러스터 | 친환경 육우를 이용한 육포 및 그의 제조방법 |
KR101390639B1 (ko) | 2012-07-04 | 2014-05-07 |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천연 건조 및 천연 항산화제 추출물을 첨가한 한우 육포의 제조방법 |
KR102070440B1 (ko) * | 2019-08-23 | 2020-01-28 | 정현진 | 함박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함박 스테이크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18163A (ko) * | 2008-08-06 | 2010-02-17 | (주)거송종합식품 | 인삼을 함유한 기능성 우육포 |
KR20100018675A (ko) * | 2008-08-07 | 2010-02-18 | (주)거송종합식품 | 인삼을 함유한 기능성 돈육포 |
KR101645639B1 (ko) | 2014-10-27 | 2016-08-05 | 한국식품연구원 | 간편식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간편식 스테이크 |
KR20180115001A (ko) | 2017-04-12 | 2018-10-22 | 이주연 | 간편식 마늘안심스테이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간편식마늘안심스테이크 |
KR102111003B1 (ko) * | 2018-08-17 | 2020-05-14 | 한국식품연구원 | 비선호 원료육을 이용한 간편식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간편식 스테이크 |
-
2020
- 2020-09-11 KR KR1020200116734A patent/KR10247019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19227B1 (ko) | 2011-09-30 | 2012-03-21 | 농업회사법인(주)육품정클러스터 | 친환경 육우를 이용한 육포 및 그의 제조방법 |
KR101390639B1 (ko) | 2012-07-04 | 2014-05-07 |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천연 건조 및 천연 항산화제 추출물을 첨가한 한우 육포의 제조방법 |
KR102070440B1 (ko) * | 2019-08-23 | 2020-01-28 | 정현진 | 함박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함박 스테이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4411A (ko) | 2022-03-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70440B1 (ko) | 함박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함박 스테이크 | |
KR102311303B1 (ko) | 양념육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념육 소스 | |
KR102407756B1 (ko) | 양념 소갈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념 소갈비 | |
KR102139951B1 (ko) | 양념 돼지갈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념 돼지갈비 | |
KR102185001B1 (ko) | 반건조 오징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반건조 오징어 | |
KR102190419B1 (ko) | 발효 흑도라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발효 흑도라지 | |
KR102470191B1 (ko) |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 | |
KR102267942B1 (ko) | 항균 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 | |
CN112205596A (zh) | 一种特殊风味酸笋加工方法 | |
KR101111288B1 (ko) | 기능성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 |
KR20200116623A (ko) | 깜냥갈비탕 | |
KR102437148B1 (ko) | 산양삼 원재료 가공 방법 | |
KR102283413B1 (ko) | 발효 귀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발효 귀리 | |
KR102397024B1 (ko) | 김치 테이스트 분말형 천연 샐러드 시즈닝 | |
KR102428919B1 (ko) | 산양삼이 포함된 한우 육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한우 육포 | |
CN109287958A (zh) | 卤面及其制备工艺 | |
KR102374319B1 (ko) | 양념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념장 | |
KR102171663B1 (ko) |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대구살 알약 단백질 공급원 및 그 제조방법 | |
KR102344663B1 (ko) | 비빔면 테이스트 분말형 천연 샐러드 시즈닝 | |
KR102200918B1 (ko) | 꾸지뽕을 이용한 건강 단무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 단무지 | |
KR102302950B1 (ko) | 돈가스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돈가스 소스 | |
KR102476184B1 (ko) |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단백질 바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백질 바 | |
Cai et al. | Dehydrated oriental mushrooms, leafy vegetables, and food preparation herbs and condiments | |
KR102200919B1 (ko) | 양파를 이용한 건강 단무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 단무지 | |
KR102190422B1 (ko) | 발효 흑더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발효 흑더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