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184B1 -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단백질 바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백질 바 - Google Patents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단백질 바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백질 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76184B1 KR102476184B1 KR1020200142925A KR20200142925A KR102476184B1 KR 102476184 B1 KR102476184 B1 KR 102476184B1 KR 1020200142925 A KR1020200142925 A KR 1020200142925A KR 20200142925 A KR20200142925 A KR 20200142925A KR 102476184 B1 KR102476184 B1 KR 1024761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powder
- salmon meat
- parts
- extract
- Prior art date
Links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41000972773 Aulopiforme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35000019515 salmon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41000703121 Campanula rotundifoli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40000000599 Lentinula edode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5000014571 nut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5000019219 chocol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40000000249 Morus alb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08708 Morus alb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4000144725 Amygdalus commun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0000005781 Arachis hypogae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758791 Juglandacea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20224 almon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20232 peanu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20234 walnu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965 increased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UIIMBOGNXHQVGW-UHFFFAOYSA-M NaHCO3 Chemical compound [Na+].OC([O-])=O UIIMBOGNXHQVG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108 freeze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0000006773 Coriandr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2787 Coriandrum sativ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58 adul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40077082 red pepper extract Drug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1465 calc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53 sensor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FUCYIEXQVQJBKY-ZFWWWQNUSA-N (+)-δ-Cadinene Chemical compound C1CC(C)=C[C@H]2[C@H](C(C)C)CCC(C)=C21 FUCYIEXQVQJBKY-ZFWWWQNUSA-N 0.000 description 2
- HVYWMOMLDIMFJA-DPAQBDIFSA-N (3β)-Cholest-5-en-3-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283 Capsicum annuum var avicula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284 Capsicum baccatum var bacc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568 Capsicum frutesc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8000008787 Cardio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32536 Cirsi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4000163122 Curcuma domestic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392 Curcuma domest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8665 Gastrointestin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RGHNJXZEOKUKBD-SQOUGZDYSA-N Glucon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O RGHNJXZEOKUKBD-SQOUGZD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BEJNERDRQOWKJM-UHFFFAOYSA-N Kojic acid Chemical compound OCC1=CC(=O)C(O)=CO1 BEJNERDRQOWK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805 Musa ABB Gro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12843 Omega-3 Fatty Acids Drug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4678 Panax pseudoginseng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4331 Plantago major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266 Plantago maj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6753 Platycodon grandiflo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3582 Platycodon grandiflor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4808 Saccharomyces cerevisi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3118 ar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3 cayenne pepp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373 curcuma long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57 edible vegetab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419 expectora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172 expector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035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963 growth medi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238 hear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40057995 liquid paraff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480 minera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660 omega-3 fatty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14 omega-3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030 sodium bi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557 sodium bicarbon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976 turmer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56 vitamin B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20 vitamin B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OZQAPQSEYFAMCY-QLFBSQMISA-N (2R,4aR,8aR)-4a,8-dimethyl-2-(prop-1-en-2-yl)-1,2,3,4,4a,5,6,8a-octahydronaphthalene Chemical compound C1CC=C(C)[C@@H]2C[C@H](C(=C)C)CC[C@]21C OZQAPQSEYFAMCY-QLFBSQMISA-N 0.000 description 1
- BVDRUCCQKHGCRX-UHFFFAOYSA-N 2,3-dihydroxypropyl formate Chemical compound OCC(O)COC=O BVDRUCCQKHGCR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QZIGYBFDRPAKN-QISQUURKSA-N 6-hydroxy-3-[(1E,3E,5E,7E,9E,11E,13E,15E,17E)-18-(4-hydroxy-2,6,6-trimethyl-3-oxocyclohexen-1-yl)-3,7,12,16-tetramethyloctadeca-1,3,5,7,9,11,13,15,17-nonaenyl]-2,4,4-trimethylcyclohex-2-en-1-one Chemical compound CC=1C(=O)C(O)CC(C)(C)C=1\C=C\C(\C)=C\C=C\C(\C)=C\C=C\C=C(/C)\C=C\C=C(/C)\C=C\C1=C(C)C(=O)C(O)CC1(C)C MQZIGYBFDRPAKN-QISQUURK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0269 Absc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82 Amyl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3142 Amyl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5511 Amyl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2525 Anas platyrhyncho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5 Argin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210 Arteri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246 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8212 Aspergi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439 Aspergillus oryz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247 Aspergillus oryza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673 Asth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ISAOCJYIOMOJEB-UHFFFAOYSA-N Benzoin Chemical compound C=1C=CC=CC=1C(O)C(=O)C1=CC=CC=C1 ISAOCJYIOMOJE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130 Benzo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747 Betacarote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6550 Bulimia nervos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069 Calcium Drug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218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15 Carbon black (E15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7161 Choleste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6306 Cor pulmonal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1224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XUEHVOLRMXNRKQ-HKGGGCDWSA-N Cubebene Chemical compound CC(C)[C@H]([C@@H]12)CC[C@H](C)C32C1C(C)=CC3 XUEHVOLRMXNRKQ-HKGGGCDW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428 Decreased appetit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SBJKKFFYIZUCET-JLAZNSOCSA-N Dehydro-L-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SBJKKFFYIZUCET-JLAZNSOC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232 Ente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88724 Escherichia col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9745 Ey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11 Gastric Aci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989 Glutam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842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233 Headach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2717 Increased upper airway secre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0509 Infertil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2437 Insomn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02 Inul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JYJIGFIDKWBXDU-MNNPPOADSA-N Inul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C@]1(OC[C@]2(OC[C@]3(OC[C@]4(OC[C@]5(OC[C@]6(OC[C@]7(OC[C@]8(OC[C@]9(OC[C@]%10(OC[C@]%11(OC[C@]%12(OC[C@]%13(OC[C@]%14(OC[C@]%15(OC[C@]%16(OC[C@]%17(OC[C@]%18(OC[C@]%19(OC[C@]%20(OC[C@]%21(OC[C@]%22(OC[C@]%23(OC[C@]%24(OC[C@]%25(OC[C@]%26(OC[C@]%27(OC[C@]%28(OC[C@]%29(OC[C@]%30(OC[C@]%31(OC[C@]%32(OC[C@]%33(OC[C@]%34(OC[C@]%35(OC[C@]%36(O[C@@H]%37[C@@H]([C@@H](O)[C@H](O)[C@@H](CO)O%37)O)[C@H]([C@H](O)[C@@H](CO)O%36)O)[C@H]([C@H](O)[C@@H](CO)O%35)O)[C@H]([C@H](O)[C@@H](CO)O%34)O)[C@H]([C@H](O)[C@@H](CO)O%33)O)[C@H]([C@H](O)[C@@H](CO)O%32)O)[C@H]([C@H](O)[C@@H](CO)O%31)O)[C@H]([C@H](O)[C@@H](CO)O%30)O)[C@H]([C@H](O)[C@@H](CO)O%29)O)[C@H]([C@H](O)[C@@H](CO)O%28)O)[C@H]([C@H](O)[C@@H](CO)O%27)O)[C@H]([C@H](O)[C@@H](CO)O%26)O)[C@H]([C@H](O)[C@@H](CO)O%25)O)[C@H]([C@H](O)[C@@H](CO)O%24)O)[C@H]([C@H](O)[C@@H](CO)O%23)O)[C@H]([C@H](O)[C@@H](CO)O%22)O)[C@H]([C@H](O)[C@@H](CO)O%21)O)[C@H]([C@H](O)[C@@H](CO)O%20)O)[C@H]([C@H](O)[C@@H](CO)O%19)O)[C@H]([C@H](O)[C@@H](CO)O%18)O)[C@H]([C@H](O)[C@@H](CO)O%17)O)[C@H]([C@H](O)[C@@H](CO)O%16)O)[C@H]([C@H](O)[C@@H](CO)O%15)O)[C@H]([C@H](O)[C@@H](CO)O%14)O)[C@H]([C@H](O)[C@@H](CO)O%13)O)[C@H]([C@H](O)[C@@H](CO)O%12)O)[C@H]([C@H](O)[C@@H](CO)O%11)O)[C@H]([C@H](O)[C@@H](CO)O%10)O)[C@H]([C@H](O)[C@@H](CO)O9)O)[C@H]([C@H](O)[C@@H](CO)O8)O)[C@H]([C@H](O)[C@@H](CO)O7)O)[C@H]([C@H](O)[C@@H](CO)O6)O)[C@H]([C@H](O)[C@@H](CO)O5)O)[C@H]([C@H](O)[C@@H](CO)O4)O)[C@H]([C@H](O)[C@@H](CO)O3)O)[C@H]([C@H](O)[C@@H](CO)O2)O)[C@@H](O)[C@H](O)[C@@H](CO)O1 JYJIGFIDKWBXDU-MNNPPOAD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29339 Inulin Drugs 0.000 description 1
- WHUUTDBJXJRKMK-VKHMYHEASA-N L-glutam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N)CCC(O)=O WHUUTDBJXJRKMK-VKHMYHEA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2 Lys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7339 Menstruation irregula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84 Ment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40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132 Osteopo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662 Paraffin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16257 Pepper extract Drug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7249 Phagocyt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423 Pleuris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6790 Productive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128 Pulmonary Tubercul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AUNGANRZJHBGPY-SCRDCRAPSA-N Riboflavin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N1C=2C=C(C)C(C)=CC=2N=C2C1=NC(=O)NC2=O AUNGANRZJHBGPY-SCRDCRAP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477 Riboflav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975 Styrax benzoi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126 Styrax benzo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11 Sumatra benzointre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44008 Tonsill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65 Toxi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29940029983 VITAMINS Drugs 0.000 description 1
- FPIPGXGPPPQFEQ-BOOMUCAASA-N Vitamin A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BOOMUCAA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45997 Vitamin A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70 Vitamin B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51 Vitamin B1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71 Vitamin B2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6008 Vitamin D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316 Vitamin 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6009 Vitamin 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27 Vitamin 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1016 Vitamin IV solution additive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FPIPGXGPPPQFEQ-OVSJKPMPSA-N all-trans-retinol Chemical compound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OVSJKPMPSA-N 0.000 description 1
- 201000004384 alopec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014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18 amyla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02 analges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54 anituss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12 anti-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8 anti-cholinerg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54 anti-pyre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21 antipyr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793 astaxanth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168 astaxanth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2405 astaxanthin Drugs 0.000 description 1
- OENHQHLEOONYIE-VYAWBVGESA-N beta-Carotene Natural products CC=1CCCC(C)(C)C=1\C=C\C(\C)=C/C=C/C(/C)=C\C=C\C=C(\C)/C=C/C=C(/C)\C=C\C1=C(C)CCCC1(C)C OENHQHLEOONYIE-VYAWBVGE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734 beta-carote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48 beta-carot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180 bone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04 chlorophyl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ATNHDLDRLWWWCB-AENOIHSZSA-M chlorophyll a Chemical compound C1([C@@H](C(=O)OC)C(=O)C2=C3C)=C2N2C3=CC(C(CC)=C3C)=[N+]4C3=CC3=C(C=C)C(C)=C5N3[Mg-2]42[N+]2=C1[C@@H](CCC(=O)OC\C=C(/C)CCC[C@H](C)CCC[C@H](C)CCCC(C)C)[C@H](C)C2=C5 ATNHDLDRLWWWCB-AENOIHSZSA-M 0.000 description 1
- 229930002875 chlorophyll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4 chron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GUTLYIVDDKVIGB-UHFFFAOYSA-N cobalt Chemical compound [Co] GUTLYIVDDKVIG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3 cob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1 cob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231 colorectal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62 cooking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78 dieta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916 diet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28 die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69 docosahexaeno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71 drink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4 dys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6549 dyspep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94 eating hab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3 eicosapentaeno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438 eyes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fatty acid ester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634 feeding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97 fiber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510 functional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74 gluco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50006191 gluco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08 gluco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131 glucos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922 glutam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20 glutam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82 gum benzo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76 hair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69 headache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12 infert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535 infertil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0 iod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30 iod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NDPGZBMCMUPRI-UHFFFAOYSA-N iodine Chemical compound II PNDPGZBMCMUPR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705 koj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PWHULOQIROXLJO-UHFFFAOYSA-N manganese Chemical compound [Mn] PWHULOQIROXLJ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8 manganes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2 mangane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544 menstrual irregular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86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6 mineral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0 moisturi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ZOKXTWBITQBERF-UHFFFAOYSA-N molybdenum Chemical compound [Mo] ZOKXTWBITQBER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0 molybde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3 molybden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MYMOFIZGZYHOMD-UHFFFAOYSA-N oxygen Chemical compound O=O MYMOFIZGZYHOM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29 palatabil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88 paraffin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04 perfu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82 phagocyto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97 quillaja saponaria molina bar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054 red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829 reduce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71 retinol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949 sapon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BUGBHKTXTAQXES-UHFFFAOYSA-N selenium Chemical compound [Se] BUGBHKTXTAQX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1 sele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69 sele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299 sexual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59 skin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91 smo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94 supercritical-fluid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KYMBYSLLVAOCFI-UHFFFAOYSA-N thiamine Chemical compound CC1=C(CCO)SCN1CC1=CN=C(C)N=C1N KYMBYSLLVAOCF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95 thiam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19 tissu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3 tox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130 triterpenoid sapon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37 ultrasound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5 vitamin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9 vitamin 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74 vitamin B1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91 vitamin B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4 vitamin B2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6 vitamin B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00 vitamin C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6 vitamin 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0 vitamin 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10 vitamin 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5 vitamin 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9 vitamin 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12 vitamin E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31 vitamin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OENHQHLEOONYIE-JLTXGRSLSA-N β-Carot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C)C=1\C=C\C(\C)=C\C=C\C(\C)=C\C=C\C=C(/C)\C=C\C=C(/C)\C=C\C1=C(C)CCCC1(C)C OENHQHLEOONYIE-JLTXGRSL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10—Fish meal or powder; Granules, agglomerates or flak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5/00—Food consisting mainly of nutmeat or seed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은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단백질 바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백질 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단백질 바의 제조방법은 연어살을 준비한 후 건조, 분쇄하여 연어살 분말을 제조하는 연어살 분말 제조 단계(S100); 황칠 추출물과 고춧대 추출물을 제조하는 황칠 추출물 및 고춧대 추출물 제조 단계(S200); 발효 흑도라지 분말을 제조하는 발효 흑도라지 분말 제조 단계(S300); 상기 연어살 분말, 황칠 추출물, 고춧대 추출물, 발효 흑도라지 분말 및 첨가물을 일정한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 단계(S400); 상기 혼합물을 냉각한 후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하여 단백질 바 성형체를 제조하는 냉각 및 성형 단계(S500); 및 상기 단백질 바 성형체를 멸균하여 단백질 바를 제조하는 멸균 단계(S600)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단백질 바의 제조방법은 한약재의 약효 성분과 단백질을 간편하게 보충할 수 있고 소비자의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어 건강 지향적인 현대인의 소비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단백질 바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단백질 바의 제조방법은 연어살을 준비한 후 건조, 분쇄하여 연어살 분말을 제조하는 연어살 분말 제조 단계(S100); 황칠 추출물과 고춧대 추출물을 제조하는 황칠 추출물 및 고춧대 추출물 제조 단계(S200); 발효 흑도라지 분말을 제조하는 발효 흑도라지 분말 제조 단계(S300); 상기 연어살 분말, 황칠 추출물, 고춧대 추출물, 발효 흑도라지 분말 및 첨가물을 일정한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 단계(S400); 상기 혼합물을 냉각한 후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하여 단백질 바 성형체를 제조하는 냉각 및 성형 단계(S500); 및 상기 단백질 바 성형체를 멸균하여 단백질 바를 제조하는 멸균 단계(S600)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단백질 바의 제조방법은 한약재의 약효 성분과 단백질을 간편하게 보충할 수 있고 소비자의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어 건강 지향적인 현대인의 소비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단백질 바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단백질 바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백질 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약재의 약효 성분과 단백질을 간편하게 보충할 수 있고 소비자의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어 건강 지향적인 현대인의 소비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단백질 바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백질 바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으로 인해,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 식습관에 기인하는 만성질환의 증가, 식품의 유효성분에 의한 건강증진효과 및 질병예방의 효과 등이 연구로 증명되면서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수준이 높아져 건강보조식품에 대한 관심도도 높아진 실정이다.
현재 경제성장과 산업화의 급격한 성장에 따라 여러 가지 사회적, 경제적 요인과 국민의식에 대한 가치관이 변화하게 되면서 식품산업, 식품서비스업, 외식산업 등이 크게 발전 되었으며, 그 가운데 식품첨가물의 사용증가와 불규칙한 식생활 등으로 인해 암이나 고혈압, 심장병, 당뇨병 등 소위 성인병이 증가하고 있다.
현대사회는 식생활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고지방 및 인스턴트식품 등의 고칼로리식품의 섭취가 늘어난 반면, 섬유질 섭취나 운동량 부족으로 인하여 변비와 비만환자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급속한 생활의 변화로 말미암아 충분한 시간을 갖고 식사를 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대신 인스턴트식품으로 대체하거나 끼니를 건너뛰는 경우도 있다.
또한, 여성들의 경우에는 무리한 다이어트를 함으로써 몸의 영양소의 불균형이 일어나고 그로 인하여 거식증, 폭식증, 생리불순, 또는 불임 등의 이상현상이 발병되는 경우가 많아 사회 문제화되고 있다.
또한, 스트레스나 음주 및 흡연 등의 다양한 현대 사회의 문제로 인하여 고도비만, 혈액순환장애, 고혈압, 심장병, 장염, 두통이나 신경쇠약, 우울증, 불면증, 소화불량, 탈모현상 등의 성인병이 증가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간장기능저하 및 심폐질환 등 각종 건강관련 문제가 발병되고 있다.
한편, 연어는 육류에 비해 양질의 단백질과 지방이 풍부하며 특히 DHA, 및 EPA 등 오메가-3 지방산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어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에 효과적이다. 상기 오메가-3 지방산은 주름 예방, 성인병 예방, 관절염, 보습효과, 시력보호, 대장암, 또는 골다공증 예방 등 다양한 효능을 가지고 있어 사람들의 선호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연어의 단백질 중에서 아미노산인 라이신(lysine), 아르기닌(arginine)과 감칠맛을 주는 글루타민산(glutamic acid)이 많이 들어 있어 산뜻하고 시원한 느낌을 준다. 또한, 연어는 다른 어종에 비해 비타민 A가 풍부하여 눈의 질병이나 감기 예방에 좋으며, 비타민 B군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성장촉진, 위장장애 완화에 효과적이다.
아울러, 연어의 빨간 색소 성분인 아스타잔틴은 산소를 제거하는 강력한 항산화 작용으로 노화방지와 주름 개선에 효과적이고, 연어의 함유된 비타민 D와 칼슘은 뼈 건강에 좋으며, 피부건강은 물론 성 기능 유지에도 효과적인 비타민 E도 많이 함유하고 있다. 특히, 연어는 비타민 B군을 거의 다 함유하고 있어 위장 장애를 완화시켜 주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는 것은 물론 피로회복에도 좋아서, 미국 일간 타임지가 선정한 '세계10대 슈퍼 푸드' 중 하나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단백질 등의 성분이 풍부한 연어를 이용하는 방법을 연구하던 중, 각종 천연추출물을 포함한 한약재와, 연어를 이용하여 단백질 바를 제조함으로써, 한약재의 약효 성분과 단백질을 간편하게 보충할 수 있고 소비자의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한약재의 약효 성분과 단백질을 간편하게 보충할 수 있고 소비자의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어 건강 지향적인 현대인의 소비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단백질 바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백질 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단백질 바의 제조방법은 연어살을 준비한 후 건조, 분쇄하여 연어살 분말을 제조하는 연어살 분말 제조 단계(S100); 황칠 추출물과 고춧대 추출물을 제조하는 황칠 추출물 및 고춧대 추출물 제조 단계(S200); 발효 흑도라지 분말을 제조하는 발효 흑도라지 분말 제조 단계(S300); 상기 연어살 분말, 황칠 추출물, 고춧대 추출물, 발효 흑도라지 분말 및 첨가물을 일정한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 단계(S400); 상기 혼합물을 냉각한 후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하여 단백질 바 성형체를 제조하는 냉각 및 성형 단계(S500); 및 상기 단백질 바 성형체를 멸균하여 단백질 바를 제조하는 멸균 단계(S600)를 포함한다.
상기 연어살 분말 제조 단계(S100)에서 상기 연어살 분말은, 연어살을 준비한 후 상기 연어살을 감싸도록 뽕잎으로 덮은 후 수증기로 증숙하되, 상기 뽕잎은 상기 연어살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고, 상기 증숙은 130 내지 150℃ 온도의 수증기를 이용하여 30 내지 70분 동안 가열함으로써 수행되며, 상기 증숙된 연어살을 건조하되, 상기 건조는 50 내지 70mbar의 압력, 60 내지 70℃의 온도에서 10 내지 20분 동안 상기 증숙된 연어살에 2.1GHz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함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건조된 연어살 100 중량부에 대해 표고버섯 분말 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3 내지 7℃의 온도에서 10 내지 30시간 동안 숙성하며, 상기 숙성된 연어살과 표고버섯 분말을 -65 내지 -55℃의 온도로 30 내지 40시간 동안 동결 건조하고, 상기 동결 건조된 연어살과 표고버섯 분말을 분쇄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혼합 단계(S400)에서 상기 첨가물은 초콜릿, 견과류 및 쌀 조청을 포함하고, 상기 견과류는 땅콩, 아몬드 및 호두가 1:1:1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혼합물은 연어살 분말 20 내지 30 중량부, 황칠 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 고춧대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부, 발효 흑도라지 분말 3 내지 7 중량부, 초콜릿 10 내지 20 중량부, 견과류 5 내지 10 중량부 및 쌀 조청 5 내지 1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된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단백질 바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단백질 바의 제조방법은 한약재의 약효 성분과 단백질을 간편하게 보충할 수 있고 소비자의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어 건강 지향적인 현대인의 소비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단백질 바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단백질 바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단백질 바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단백질 바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단백질 바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단백질 바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단백질 바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단백질 바의 제조방법은 연어살 분말 제조 단계(S100), 황칠 추출물 및 고춧대 추출물 제조 단계(S200), 발효 흑도라지 분말 제조 단계(S300), 혼합 단계(S400), 냉각 및 성형 단계(S500), 및 멸균 단계(S600)를 포함한다.
1. 연어살 분말 제조 단계(S100)
상기 연어살 분말 제조 단계(S100)는 연어살을 준비한 후 건조, 분쇄하여 연어살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연어살 분말 제조 단계(S100)에서 상기 연어살 분말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연어살 분말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연어살 분말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연어살을 준비한 후 상기 연어살을 감싸도록 뽕잎으로 덮은 후 수증기로 증숙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준비된 연어살을 뽕잎으로 감싼 후 수증기로 증숙함으로써, 연어살의 잡냄새가 제거됨과 동시에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는데, 상기 뽕잎은 글루코사이드(Glucoside), 비타민 C, 비타민 B1, 비타민 B2 등 50여 종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고 당뇨병 치료와 혈압 및 혈당 강하, 항암, 노화 방지, 동맥경화 등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고, 상기 뽕잎은 연어살과 함께 증숙되고, 상기 뽕잎의 향이 연어살에 침투됨으로써, 상기 연어살의 잡내를 제거함과 동시에 향을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뽕잎은 신선한 생잎을 따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뽕잎은 상기 연어살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고, 상기 증숙은 130 내지 150℃ 온도의 수증기를 이용하여 30 내지 70분 동안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증숙이 상기한 하한 범위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뽕잎의 향이 연어살에 충분히 전달되지 않아 연어살의 잡냄새가 충분히 제거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한 상한 범위를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는 뽕잎의 향이 연어살에 과도하게 전달되어 제조되는 연어살의 향미를 저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증숙된 연어살을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증숙된 연어살의 건조는 상기 증숙된 연어살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건조는 50 내지 70mbar의 압력, 60 내지 70℃의 온도에서 10 내지 20분 동안 상기 증숙된 연어살에 2.1GHz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는 상기 증숙된 연어살의 내부까지 침투하여 상기 증숙된 강황, 엉겅퀴 및 질경이 전체를 가열하는 체적 가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면 상기 증숙된 연어살 내부의 수분자가 마이크로웨이브의 극성 변환에 따라 진동 또는 회전하게 되고, 이와 같은 분극 진동이 분자간의 마찰로 이어져 발열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증숙된 연어살을 50 내지 70mbar의 압력, 60 내지 70℃의 온도에서 10 내지 20분 동안 상기 증숙된 연어살에 2.1GHz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함으로써, 열전도에 의하지 않고 단시간에 상기 증숙된 강황, 엉겅퀴 및 질경이의 혼합물 내부에 침투하여 극성변환에 의한 마찰로 인해 열로 변환되므로 가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건조된 연어살과 표고버섯 분말을 혼합한 후 숙성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건조된 연어살과 표고버섯 분말을 혼합한 후 숙성함으로써 표고버섯의 향과 영양이 상기 건조된 연어살에 흡수되어 기호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데, 상기 건조된 연어살 100 중량부에 대해 표고버섯 분말 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3 내지 7℃의 온도에서 10 내지 30시간 동안 숙성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숙성된 연어살과 표고버섯 분말을 동결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동결 건조는 상기 숙성된 연어살과 표고버섯 분말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급속히 얼린 다음 감압하여 수분을 승화시키는 과정으로 진행되는데, 일반적으로 동결 건조 방법으로는 상압 동결 건조법과 감압 동결 건조법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숙성된 연어살과 표고버섯 분말의 손상을 줄이기 위하여 0.5 내지 3mmHg의 고진공 상태를 유지하며 -65 내지 -55℃의 온도로 30 내지 40시간 동안 동결 건조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동결 건조된 연어살과 표고버섯 분말을 분쇄하여 표고버섯 분말이 포함된 연어살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동결 건조된 연어살과 표고버섯 분말의 분쇄는 공지된 분쇄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동결 건조된 연어살과 표고버섯 분말의 분쇄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2. 황칠 추출물 및 고춧대 추출물 제조 단계(S200)
상기 황칠 추출물 및 고춧대 추출물 제조 단계(S200)는 황칠 추출물과 고춧대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황칠 추출물 및 고춧대 추출물 제조 단계(S200)에서 상기 황칠 추출물은 황칠나무 잎의 유용성분을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Lev)는 두릅나무과 오갈피속의 상록활엽교목으로 높이 15m 이상까지 자라는 한국 고유의 토종나무이다. 어린 가지는 녹색이며 광택이 있고, 꽃은 6월에 피며, 길이 7~19mm의 열매가 검게 익는다. 최저기온이 영하 2℃ 이상, 연 평균기온이 12~15℃ 이상인 지역에서 자라는 난대성 식물이다.
황칠은 일반적으로 황금색 도막을 형성하는 도료 성분인 비휘발 성분 66.7%, 방향성분 10.8%, 수분 8.1%, 고형분 14.4%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방향 성분은 주로 세스퀴테르펜류의 β-쿠베벤(cubebene), γ-셀리넨(selinene), δ-카디넨 (cadinene) 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칠에 포함된 방향 성분은 심신을 맑고 편안하게 해주는 안식향으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다양한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어 향수, 화장료나 기능성 식음료로서의 이용가치가 높다.
상기 황칠 추출물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황칠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황칠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황칠나무 생잎을 준비한 후 세척하여 상기 황칠나무 생잎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황칠나무 생잎의 세척은 상기 준비된 황칠나무 생잎을 2 내지 4(w/w)% 농도 및 30 내지 35℃의 온도의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에서 5 내지 10분 동안 침지시켜 세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황칠나무 생잎을 건조기에서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황칠나무 생잎의 건조는 햇빛 건조시 상기 황칠나무 생잎의 엽록소가 파괴되고 유용 성분이 휘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황칠나무 생잎을 온도 18 내지 22℃ 및 습도 35 내지 40%로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건조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건조된 황칠나무 생잎을 정제수와 혼합한 후 가열하여 황칠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황칠 추출물은 상기 건조된 황칠나무 생잎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1000 내지 20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90 내지 95℃의 온도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황칠 추출물 및 고춧대 추출물 제조 단계(S200)에서 상기 고춧대 추출물은 고춧대를 추출하여 고춧대의 유용성분이 유효적으로 포함되도록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고춧대는 가을철 고추를 수확하고 남은 뿌리와 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춧대는 비타민, 베타카로틴, 칼슘 등 다양한 영양소가 함유되어 있고 각종 미네랄도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작용, 암 예방, 심혈관질환 억제효과, 인체 면역력 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춧대 추출물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고춧대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고춧대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고춧대를 준비한 후 세척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고춧대의 세척은 40 내지 45℃의 온도로 유지되는 1 내지 3(w/w)% 농도의 탄산수소나트륨(NaHCO3) 용액에 상기 고춧대를 10 내지 30분 동안 침지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고춧대를 수증기로 증숙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증숙은 상기 세척된 고춧대를 5 내지 7kgf/cm2의 압력에서 130 내지 150℃ 온도의 수증기로 50 내지 150분 동안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증숙된 고춧대를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증숙된 고춧대의 건조는 상기 증숙된 고춧대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건조는 50 내지 70mbar의 압력, 50 내지 55℃의 온도에서 30 내지 50분 동안 상기 증숙된 고춧대에 2.3 내지 2.5GHz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는 상기 증숙된 고춧대의 내부까지 침투하여 상기 증숙된 고춧대 전체를 가열하는 체적 가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면 상기 증숙된 고춧대 내부의 수분자가 마이크로웨이브의 극성 변환에 따라 진동 또는 회전하게 되고, 이와 같은 분극 진동이 분자간의 마찰로 이어져 발열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증숙된 고춧대를 50 내지 70mbar의 압력, 50 내지 55℃의 온도에서 30 내지 50분 동안 상기 증숙된 고춧대에 2.3 내지 2.5GHz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함으로써, 열전도에 의하지 않고 단시간에 상기 증숙된 고춧대, 들초 및 돌가시나무의 혼합물 내부에 침투하여 극성변환에 의한 마찰로 인해 열로 변환되므로 가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건조된 고춧대를 추출하여 고춧대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건조된 고춧대의 추출은 열수 추출법, 유기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등 다양한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는데, 상기 추출법은 공지의 기술인 바,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3. 발효 흑도라지 분말 제조 단계(S300)
상기 발효 흑도라지 분말 제조 단계(S300)는 발효 흑도라지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발효 흑도라지 분말은 발효 흑도라지를 분말화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도라지는 특히, 배농, 거담, 편도선염, 최유, 진해, 화농성 종기, 천식 및 폐결핵의 거담제로서, 그리고 늑막염 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값 비싼 인삼 대신 보약으로 쓰면 좋다고 하고, 오래 묵은 것은 산삼 못지않은 약효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도라지의 주요 약리성분은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계 사포닌으로 밝혀졌는데, 기관지분비를 항진시켜 가래를 삭히는 효능이 있다. 도라지에서만 특별히 관찰되는 사포닌 성분은 진정, 해열, 진통, 진해, 거담, 혈당강하, 콜레스테롤 대사개선, 항콜린, 항암작용 및 위산분배 억제효과 등 여러 약리 효과가 있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리고 도라지에 함유된 물질들은 곰팡이의 독소 생성을 감소시키며, 실험동물에 투여했을 때 식균작용을 촉진하였을 뿐만 아니라 특히 이뉼린(inulin) 성분은 생쥐를 이용한 항암실험에서 강력한 항암활성을 보임이 확인되었다.
상기 발효 흑도라지 분말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흑도라지 분말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도라지를 준비한 후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준비된 도라지를 정제수로 세척함으로써 상기 도라지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도라지를 건조하여 상기 도라지 내부에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햇빛 건조시 상기 세척된 도라지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급격하게 증발되고, 고유의 향이 사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조기나 그늘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세척된 도라지를 온도 23 내지 27℃로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40 내지 60시간 동안 건조할 수 있다.
즉,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와 같은 공정 조건에 의해 상기 도라지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점진적으로 고르게 증발되도록 하여 도라지의 세포조직의 파괴로 공기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발효 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건조된 도라지를 발효시킬 발효균 배양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발효균 배양액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균 배양액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효균 배양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멥쌀을 준비하여 세척한 후 물에 침지시켜 멥쌀을 불릴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세척된 멥쌀을 25 내지 30℃의 온도에서 50 내지 100분 동안 물에 침지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불려진 멥쌀을 가열하여 고두밥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불려진 멥쌀에 1.5 내지 2 중량배의 물을 혼합한 후 110 내지 130℃ 온도의 열원에서 50 내지 100분 동안 가열함으로써 발효균이 배양되기 알맞은 고두밥을 제조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고두밥에 발효균, 효모, 미네랄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발효균 배양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고두밥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발효균 3 내지 7 중량부, 효모 4 내지 8 중량부, 미네랄 0.5 내지 1.5 중량부 및 정제수 80 내지 12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발효균으로는 황국균(Aspergillus oryzae; 아스퍼질러스 오리재)이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황국균(Aspergillus oryzae; 아스퍼질러스 오리재)은 장류의 제조에 사용되는 공지의 균주로, 전분 분해능이 우수하고, 통상적으로 생육 적온은 30℃ 전후이며, 고온 다습한 상태를 좋아하고, 생성되는 유기산은 코지산, 글루콘산 등이다. 또한, 상기 황국균은 아밀라아제의 작용, 즉 녹말을 설탕으로 분해하는 힘을 이용하여 간장, 된장, 고추장 등을 제조할 수 있는 우수 발효 곰팡이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상기 황국균은 시판되고 있는 공지된 황국균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미네랄은 상기 도라지의 발효, 증포 과정 중 상기 도라지에 흡수되고, 인체의 성장과 유지 및 생식에 비교적 소량 필요한 영양물질인 광물질을 의미하며, 칼슘, 인, 칼륨, 마그네슘, 망간, 요오드, 셀레늄, 몰리브덴 및 코발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건조된 도라지 및 발효균 배양액을 혼합하여 상기 도라지를 발효시켜 발효 도라지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건조된 도라지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발효균 배양액 30 내지 5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24 내지 26℃의 온도에서 20 내지 40시간 동안 발효시킬 수 있는데, 상기 발효가 상기한 하한 범위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도라지가 충분히 발효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한 상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조되는 발효 흑도라지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발효 도라지를 세척한 후 절단하고, 상기 절단된 발효 도라지를 건조하여 상기 절단된 발효 도라지에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발효 도라지를 일정한 길이 단위로 절단한 후, 온도 30 내지 35℃로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30 내지 40시간 동안 건조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절단된 후 건조된 발효 도라지를 가열하여 증포한 후 숙성시켜 발효 흑도라지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절단된 후 건조된 발효 도라지 100 중량부에 대해 각각 1:1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파라핀 및 식용유의 혼합물 2000 내지 30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가열 용기에 투입한 후 90 내지 95℃의 온도에서 10 내지 20분 동안 가열하고, 이후 80 내지 85℃의 온도에서 40 내지 50분 동안 온도를 유지하여 찌며, 75 내지 80℃의 온도에서 5 내지 10분 동안 숙성함으로써 1회의 증포 및 숙성 과정을 진행하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10회 진행함으로써 발효 흑도라지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파라핀은 유동파라핀을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유동파라핀(liquid paraffin)은 마르지 않는 성질을 갖는 불건성 오일로 탄화수소 계열의 미네랄오일로서, 예를 들어, NF 또는 FDA Grade인 분자량이 C8~C32의 범위의 화이트 미네랄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동점도의 규격은 ISO VG(Viscosity Grade)로 37.8℃에서 6~100CST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식용유는 동물성 또는 식물의 씨앗·견과류·열매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글리세롤의 지방산 에스테르(Glyceride)로서, 음식물의 조리시 풍미감을 내기 위하여 조미료로 첨가되거나 각종 생선류 또는 육류를 튀기거나 볶아 익히는데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식용의 기름을 일컫는다.
이어서, 상기 발효 흑도라지를 분쇄하여 분말화함으로써 발효 흑도라지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발효 흑도라지 분말은 공지의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화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분쇄기를 이용한 분쇄의 구성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의 기술인바,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4. 혼합 단계(S400)
상기 혼합 단계(S400)는 상기 연어살 분말, 황칠 추출물, 고춧대 추출물, 발효 흑도라지 분말 및 첨가물을 일정한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혼합 단계(S400)에서 상기 첨가물은 초콜릿, 견과류 및 쌀 조청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견과류는 땅콩, 아몬드 및 호두가 1:1:1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초콜릿 및 쌀 조청은 단백질 바의 맛을 증진시키고 결합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혼합 단계(S400)에서 상기 혼합물은 연어살 분말 20 내지 30 중량부, 황칠 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 고춧대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부, 발효 흑도라지 분말 3 내지 7 중량부, 초콜릿 10 내지 20 중량부, 견과류 5 내지 10 중량부 및 쌀 조청 5 내지 1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5. 냉각 및 성형 단계(S500)
상기 냉각 및 성형 단계(S500)는 상기 혼합물을 냉각한 후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하여 단백질 바 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냉각 및 성형 단계(S500)에서는 상기 혼합물을 냉각함으로써 초콜릿, 쌀 조청에 의한 접착력을 강화하여 용이하게 성형되도록 할 수 있는데, 상기 혼합물의 냉각은 3 내지 5℃의 온도로 수행되고, 상기 성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형상으로 수행될 수 있다.
6. 멸균 단계(S600)
상기 멸균 단계(S600)는 상기 단백질 바 성형체를 멸균하여 단백질 바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멸균 단계(S600)에서는 상기 단백질 바 성형체를 멸균하여 대장균과 같은 미생물을 사멸시킨 후 단백질 바를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단백질 바 성형체를 멸균 등의 공정을 거쳐 단백질 바로 제조하는 구성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공지의 기술인바,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단백질 바의 제조방법에 대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1 >
먼저, 표고버섯 분말이 포함된 연어살 분말, 황칠 추출물, 고춧대 추출물, 발효 흑도라지 분말을 제조하여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표고버섯 분말이 포함된 연어살 분말, 황칠 추출물, 고춧대 추출물 및 발효 흑도라지 분말에 참가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는데, 상기 첨가물은 초콜릿, 견과류 및 쌀 조청을 이용하였고, 상기 혼합물은 연어살 분말 25 중량부, 황칠 추출물 2 중량부, 고춧대 추출물 1 중량부, 발효 흑도라지 분말 5 중량부, 초콜릿 15 중량부, 견과류 7 중량부 및 쌀 조청 1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되었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4℃의 온도로 냉각한 후 성형, 멸균 등의 과정을 거쳐 단백질 바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단백질 바를 제조하였는데, 실시예 2에서는 상기 혼합물이 연어살 분말 21 중량부, 황칠 추출물 2.5 중량부, 고춧대 추출물 0.3 중량부, 발효 흑도라지 분말 4 중량부, 초콜릿 11 중량부, 견과류 9 중량부 및 쌀 조청 14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되었다.
< 실시예 3 >
실시예 1와 동일한 방법으로 단백질 바를 제조하였는데, 실시예 3에서는 상기 혼합물이 연어살 분말 29 중량부, 황칠 추출물 1.2 중량부, 고춧대 추출물 1.3 중량부, 발효 흑도라지 분말 7 중량부, 초콜릿 20 중량부, 견과류 6 중량부 및 쌀 조청 6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되었다.
< 비교예 >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단백질 바를 제조하였는데, 비교예에서는 황칠 추출물, 고춧대 추출물, 발효 흑도라지 분말이 포함되지 않고, 연어살 분말을 이용하여 단백질 바를 제조하였다.
< 관능 평가 >
상기와 같이 실시예 1, 2, 3과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단백질 바의 맛, 풍미, 식감, 선호도 등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관능시험은 식품관련 전문가 및 일반 소비자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점수 및 평가기준은 9점 채점법을 이용하였으며,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점수 | 평가 기준 |
9 | 매우 좋음 |
7 | 좋음 |
5 | 보통 |
3 | 나쁨 |
1 | 매우 나쁨 |
구분 | 맛 | 조직감 | 풍미 | 식감 | 종합적 선호도 |
실시예 1 | 8.6 | 8.7 | 8.6 | 8.5 | 8.6 |
실시예 2 | 8.5 | 8.5 | 8.5 | 8.4 | 8.5 |
실시예 3 | 8.5 | 8.6 | 8.4 | 8.4 | 8.5 |
비교예 | 5.7 | 5.6 | 5.8 | 5.3 | 5.7 |
전술한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들을 통해 제조된 단백질 바와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단백질 바의 맛, 조직감, 풍미, 식감 및 종합적 선호도를 비교한 결과, 실시예들에 의해 제조된 단백질 바가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단백질 바에 비해 전체적인 맛, 조직감, 풍미, 식감 및 종합적 선호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4)
- 연어살을 준비한 후 건조, 분쇄하여 연어살 분말을 제조하는 연어살 분말 제조 단계(S100);
황칠 추출물과 고춧대 추출물을 제조하는 황칠 추출물 및 고춧대 추출물 제조 단계(S200);
발효 흑도라지 분말을 제조하는 발효 흑도라지 분말 제조 단계(S300);
상기 연어살 분말, 황칠 추출물, 고춧대 추출물, 발효 흑도라지 분말 및 첨가물을 일정한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 단계(S400);
상기 혼합물을 냉각한 후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하여 단백질 바 성형체를 제조하는 냉각 및 성형 단계(S500); 및
상기 단백질 바 성형체를 멸균하여 단백질 바를 제조하는 멸균 단계(S600)를 포함하고,
상기 연어살 분말 제조 단계(S100)에서 상기 연어살 분말은, 연어살을 준비한 후 상기 연어살을 감싸도록 뽕잎으로 덮은 후 수증기로 증숙하되, 상기 뽕잎은 상기 연어살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고, 상기 증숙은 130 내지 150℃ 온도의 수증기를 이용하여 30 내지 70분 동안 가열함으로써 수행되며, 상기 증숙된 연어살을 건조하되, 상기 건조는 50 내지 70mbar의 압력, 60 내지 70℃의 온도에서 10 내지 20분 동안 상기 증숙된 연어살에 2.1GHz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함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건조된 연어살 100 중량부에 대해 표고버섯 분말 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3 내지 7℃의 온도에서 10 내지 30시간 동안 숙성하며, 상기 숙성된 연어살과 표고버섯 분말을 -65 내지 -55℃의 온도로 30 내지 40시간 동안 동결 건조하고, 상기 동결 건조된 연어살과 표고버섯 분말을 분쇄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단백질 바의 제조방법.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단계(S400)에서 상기 첨가물은 초콜릿, 견과류 및 쌀 조청을 포함하고, 상기 견과류는 땅콩, 아몬드 및 호두가 1:1:1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혼합물은 연어살 분말 20 내지 30 중량부, 황칠 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 고춧대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부, 발효 흑도라지 분말 3 내지 7 중량부, 초콜릿 10 내지 20 중량부, 견과류 5 내지 10 중량부 및 쌀 조청 5 내지 1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단백질 바의 제조방법.
- 제 1항 및 제 3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단백질 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2925A KR102476184B1 (ko) | 2020-10-30 | 2020-10-30 |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단백질 바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백질 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2925A KR102476184B1 (ko) | 2020-10-30 | 2020-10-30 |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단백질 바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백질 바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57848A KR20220057848A (ko) | 2022-05-09 |
KR102476184B1 true KR102476184B1 (ko) | 2022-12-12 |
Family
ID=81581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42925A KR102476184B1 (ko) | 2020-10-30 | 2020-10-30 |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단백질 바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백질 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76184B1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7098092A2 (en) | 2006-02-21 | 2007-08-30 | Nutrijoy, Inc. | Food and beverage products with improved taste impressions |
KR101146651B1 (ko) * | 2009-11-17 | 2012-05-22 | 김응모 | 한약재가 함유된 어묵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160059544A (ko) | 2014-11-18 | 2016-05-27 | (주)진바이오텍 | 생균제 기능을 지니는 신규 식물성 단백질 공급원 |
KR20170109907A (ko) | 2016-03-22 | 2017-10-10 | 주식회사 네츄럴 라이프 | 식물성 단백질을 포함하는 영양 섭취용 식품 조성물 |
KR101896105B1 (ko) * | 2017-08-28 | 2018-09-07 | 최용선 | 말이 형태의 식품 제형의 제조 방법 |
-
2020
- 2020-10-30 KR KR1020200142925A patent/KR102476184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57848A (ko) | 2022-05-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263588A (zh) | 一种以山楂果、山楂叶为原料制备山楂酒的方法 | |
KR101620095B1 (ko) | 흑울금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흑울금의 추출액과 분말 | |
KR102081844B1 (ko) | 홍삼절편 초콜릿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홍삼절편 초콜릿 | |
KR102002337B1 (ko) | 홍삼액이 함유된 검은콩 청국장 제조방법 | |
CN108991214B (zh) | 一种保健玫瑰佛手脆片及其制备方法 | |
KR102248555B1 (ko) | 감귤류 진피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발효식품의 제조 방법 및 그 기능성 발효식품 | |
KR102279890B1 (ko) | 염지제를 이용한 삼계탕의 제조방법 | |
KR102476184B1 (ko) |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단백질 바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백질 바 | |
KR102131362B1 (ko) | 아로니아 효소가 함유된 된장 제조방법 | |
KR102190419B1 (ko) | 발효 흑도라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발효 흑도라지 | |
CN104059835A (zh) | 一种南瓜酒 | |
KR20150043660A (ko) | 명태찜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명태찜 | |
KR101995913B1 (ko) | 페이스트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페이스트리 | |
KR102283413B1 (ko) | 발효 귀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발효 귀리 | |
KR20160139194A (ko) | 기능성 천연고추장 제조방법 | |
KR102470191B1 (ko) |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 | |
KR102437148B1 (ko) | 산양삼 원재료 가공 방법 | |
KR101871452B1 (ko) | 연 성분이 함유된 천년초 음료 제조방법 | |
KR102171663B1 (ko) |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대구살 알약 단백질 공급원 및 그 제조방법 | |
KR102340751B1 (ko) | 발효흑삼을 이용한 흑삼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흑삼음료 | |
KR102487280B1 (ko) | 초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초밥 | |
KR102432923B1 (ko) |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한 치킨무 조미액 | |
KR102510719B1 (ko) | 능이버섯을 이용한 갈비용 양념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갈비용 양념소스 | |
KR102147881B1 (ko) | 아연과 셀레늄을 섭취할 수 있도록 아연 및 셀레늄이 융합된 기능성 인삼간장의 제조방법 | |
KR102525203B1 (ko) | 표고버섯과 능이버섯을 이용한 뻥튀기 쌀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