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440B1 - 꿀벌―섭취가능한 조성물, 이를 이용한 꿀 생산 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꿀 - Google Patents

꿀벌―섭취가능한 조성물, 이를 이용한 꿀 생산 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440B1
KR102460440B1 KR1020187005317A KR20187005317A KR102460440B1 KR 102460440 B1 KR102460440 B1 KR 102460440B1 KR 1020187005317 A KR1020187005317 A KR 1020187005317A KR 20187005317 A KR20187005317 A KR 20187005317A KR 102460440 B1 KR102460440 B1 KR 102460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ney
bee
specific embodiment
cannabis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5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0908A (ko
Inventor
아미트 도브 아비도브
일란 벤 시몬
Original Assignee
피토파마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토파마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피토파마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30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0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8Fatty acids; Fats; Products containing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63Sugars;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9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insects, e.g. bees or silkwor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61K35/644Beeswax; Propolis; Royal jelly; Hon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8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nausea, cinetosis or vertigo; Antiem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4Centrally acting analgesics, e.g. opi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6Antimigrain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8Antiepileptics; Anticonvul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8Antipsychotics, i.e. neuroleptics; Drugs for mania or schizophr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3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use or depend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3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use or dependence
    • A61P25/32Alcohol-ab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6Antiglaucoma agents or m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sychia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Addiction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Abstract

꿀벌 푸드 베이스(food base) 및 THC 및/또는 CBD를 포함하는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꿀 생산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꿀 및 이의 용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꿀벌―섭취가능한 조성물, 이를 이용한 꿀 생산 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꿀
본 발명은, 이의 일부 구체예에서,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 이를 이용한 꿀 생산 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꿀에 관한 것이다.
마리화나(marijuana)로 더 일반적으로 알려진 대마초(Cannabis)는, 식물 표현형 및 이차 대산 산물(secondary metabolite) 프로파일(profile)에 의해 결정된 적어도 3개의 종(species), 칸나비스 사티바(Cannabis sativa), 칸나비스 인디카(Cannabis indica), 및 칸나비스 루더랄리스(Cannabis ruderalis)를 포함하는 현화식물(flowering plant) 속(genus)이다.
사교(social) 및 의료 목적을 위한 대마초의 사용은 거의 모든 인류의 기록된 역사서에 공지되어 있다. 대마초는 가장 일반적으로 마리화나가 주입된(marijuana-infused) 음식 및 음료의 흡입(inhalation) 또는 섭취를 통해 투여된다.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etrahydrocannabinol, THC), 칸나비놀(cannabinol, CBN), 칸나비디올(cannabidiol, CBD) 및 칸나비크로멘(cannabichromene, CBC) 성분을 함유하는, 대마초의 활성 성분(active ingredient)에 대한 여러 의약 용도가 발견되었다. 대마초의 의약 용도는 암 및 화학요법(chemotherapy)과 관련된 구역질(nausea) 및 통증; 에이즈(AIDS)와 관련된 구역질, 통증 및 쇠약; 관절염(arthritis) 및 류머티즘(rheumatism); 녹내장(glaucoma); 편두통(migraine);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및 마비(paralysis)와 관련된 근육 경직(muscle spasticity); 알코올 및 마약 금단; 스트레스 및 우울증; 천식(asthma); 간질 발작(epileptic seizures)의 치료를 포함한다.
대마초의 입증되거나 예견되는 많은 이점에도 불구하고, 법적 및 사회적 장벽은 이의 광범위한 사용을 금지한다.
현재 다양한 의학적 용도를 위해 보다 효과적이고 보다 안전한 대마초 추출물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꿀은 고대부터 천연 치료제 및 치료 보조제로서 사용되어 왔다. 꿀의 항균 특성은 민간 및 과학적 지식 두 부분에서 오랫동안 형성되어 왔다. 최근에는 넥타(nectar)로 꿀을 생산하는 공정이 자연적으로 넥타에 존재하는 활성 성분의 효과를 강화시켜 보다 효과적이고 쉽게 몸에 흡수되도록 한다는 것이 제안되었다. 상기 과학적인 결과에 기반을 둔 제품은 세계에서 가장 비싼 꿀인 LifeMel Honey와 WO 2006/080019에 개시된 것 또한 포함된다.
추가 배경기술은 다음을 포함한다:
미국 특허 제8,445,034호에는 대마초 식물 물질을 준비하고 대마초 식물 물질을 산성, 중성 또는 아날로그 형태로 분류하여 약물(medicine)을 제조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대마초 식물 물질을 증발(evaporating) 및 응축(condensing) 시키는 환류 공정(reflux process) 또는 대마초 식물 물질을 초음파를 이용한 초음파 추출 공정에 의해 대마초 식물 물질로부터 칸나비노이드(cannabinoid)를 추출하고; 칸나비노이드에 글리세린(glycerine) 또는 꿀을 주입하여 대마초 식물로부터 약물을 생산한다;
www.thctalk.com/cannabis-forum/archive/index.php/t-82646.html.
미국 특허 출원 제2014/302086호는 꿀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교시하고 있다.
Bibi et al. Pakistan J. of Botany 40:2:507-516, 2008 는 꽃가루 존재 하에서, 꿀(꽃 또는 꿀물)의 근원을 교시하고 있다.
Diez et al. Int. J.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9:167-176, 2004 는 꽃가루 존재 하에서 꿀(꽃 또는 꿀물)의 근원을 교시하고 있다.
GB 156041 은 꿀벌이 자연적으로 먹는 꿀과 향나무 오일을 교시하고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의 양태에 따르면, 꿀벌 푸드 베이스(food base) 및 THC 및/또는 CBD를 포함하는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은 대마초 오일(cannabis oil)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보다 유동적으로 만들기 위한 오일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오일은 올리브 오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푸드 베이스(food base)는 고체 형태이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푸드 베이스는 액체 형태이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푸드 베이스는 반고체(semi-solid) 형태이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은 페이스트(paste)이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푸드 베이스는 천연 꿀벌 먹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푸드 베이스는 비-천연 꿀벌 먹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푸드 베이스는 꿀(honey), 화분(pollen), 넥타(nectar), 탄수화물 수액제(carbohydrate solution)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푸드 베이스는 소맥(wheat), 대두분(soybean flour), 효모(yeast), 옥수수 시럽(corn syrup), 사탕무 설탕 시럽(beet sugar syrup), 이성질화 옥수수 시럽(isomerized corn syrup) 및 타입-50 설탕 시럽(type-50 sugar syrup)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푸드 베이스는 꿀이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대마초 오일은 상기 THC 및/또는 CBD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은 항알레르기제(anti-allergic agent), 항염증제(anti-inflammatory agent), 항산화제(antioxidant), 항미생물제(anti-microbial agent), 항세균제(antibacterial agent), 항진균제(antifungal agent), 항바이러스제(antiviral agent), 항암제(anti-cancer agent), 아폽토시스 유도제(apoptosis inducing agent) 및 항설사제(anti-diarrheal agen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의약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의약은 식물-유래 의약이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의약은 대마초 트리콤(trichome) 또는 대마초 오일에 자연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의약은 플라보노이드(flavanoid), 헤테로사이드(heteroside), 폴리페놀(polyphenol) 및 테르페노이드(terpenoi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플라보노이드는 나린진(naringin)이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푸드 베이스는 최소 50%의 양으로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대마초 오일에 상기 CBD 및/또는 THC가 1%를 초과하지 않는 양으로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은 꿀벌 푸드 베이스 50 내지 99.9%; 대마초 오일 0.1 내지 5%; 및 선택적으로 의약 0.1 내지 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의 양태에 따르면, (a)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을 꿀벌에 급이하고; (b) 상기 꿀벌에 의해 생산된 꿀을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꿀을 생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의 양태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기술된 상기 방법에 따라 수득가능한 꿀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은 식물 소재가 실질적으로 없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의 양태에 따르면, THC 및/또는 CBD 및 대마초에 자연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의약을 포함하는 꿀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의약은 식물 유래 의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은 상기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 제조에 사용된 대마초 오일에 존재하는 것보다 약 1,000배 이상 더 낮은(예를 들어, 약 10,000배 이하) 농도의 THC 및/또는 CBD, 및 선택적으로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 자체보다 약 4배 이상 더 낮은 농도의 THC 및/또는 CB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의 양태에 따르면, 5 ppm 내지 500 ppm의 THC 및/또는 CBD를 포함하는 꿀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의 양태에 따르면, 5 ppm 내지 400 ppm의 THC 및/또는 CBD를 포함하는 꿀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의 양태에 따르면, 5 ppm 내지 300 ppm의 THC 및/또는 CBD를 포함하는 꿀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의 양태에 따르면, 5 ppm 내지 300 ppm의 THC 및/또는 CBD를 포함하는 꿀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의 양태에 따르면, 10 ppm 내지 200 ppm의 THC 및/또는 CBD를 포함하는 꿀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은 50 ppm 내지 100 ppm의 THC 및/또는 CBD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은 50 ppm 내지 80 ppm의 THC 및/또는 CBD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은 의약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은 반고체(semi-solid) 형태이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은 고체(solid) 형태이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은 액체(liquid) 형태이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의 양태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기술된 상기 꿀을 포함하는 가공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의 양태에 따르면, 대마초에 의해 완화되는 의학적 상태를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치료적 유효량의 꿀 또는 이의 가공품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함으로써, 대마초에 의해 완화되는 의학적 상태를 치료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의학적 상태는 암 및 화학요법(chemotherapy)과 관련된 구역질(nausea) 및 통증; 에이즈(AIDS)와 관련된 구역질, 통증 및 쇠약; 관절염(arthritis) 및 류머티즘(rheumatism); 녹내장(glaucoma); 편두통(migraine);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및 마비(paralysis)와 관련된 근육 경직(muscle spasticity); 알코올 및 마약 금단; 스트레스; 우울증; 천식(asthma); 간질 발작(epileptic seizures), 치매(dementia), 섬유근육통(fibromyalgia),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또는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비록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것과 유사한 또는 동등한 방법 및 재료가 본 발명의 구체예를 실시 또는 테스트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지라도, 예시적인 방법 및/또는 재료를 하기에 기술한다. 분쟁이 있는 경우, 정의를 포함한 특허 명세서가 제한할 것이다. 또한, 재료, 방법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반드시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단지 일례로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다. 상세한 도면에 대한 특정 참조와 함께, 도시된 세부 사항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예의 구체적인 논의를 목적으로 한 것임을 강조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면들에 기재된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예가 수행될 수 있는 방법을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하는 것이다.
도면에서:
도 1은 다양한 급이 프로토콜에 대한 꿀벌의 유인(attraction)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유인 레벨(level) 1 및 9를 예시로 나타내었다.
도 2는 섬유근육통(fibromyalgia) 환자에서 24시간 동안 가장 강한 통증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T-검정(t-test)은 대마초 꿀 그룹에서의 통계적 경향을 나타낸다. 주황색 막대(orange bar): 설문지 # Ⅰ의 평균 및 설문지 # Ⅲ의 평균. 회색 막대(grey bar): 설문지 # Ⅱ의 평균 및 설문지 # Ⅳ의 평균.
도 3은 섬유근육통 환자에서 24시간 동안 평균 통증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T-검정은 대마초 꿀 그룹에서의 통계적 경향을 나타낸다. 주황색 막대: 설문지 # Ⅰ의 평균 및 설문지 # Ⅲ의 평균. 회색 막대: 설문지 # Ⅱ의 평균 및 설문지 # Ⅳ의 평균.
도 4는 섬유근육통 환자에서 24시간 동안 무릎 국소 통증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T-검정은 대마초 꿀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을 나타낸다. 주황색 막대: 설문지 # Ⅰ의 평균 및 설문지 # Ⅲ의 평균. 회색 막대: 설문지 # Ⅱ의 평균 및 설문지 # Ⅳ의 평균.
도 5는 섬유근육통 환자에서 24시간 동안 일반적인 활동 제한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T-검정은 대마초 꿀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을 나타낸다. 주황색 막대: 설문지 # Ⅰ의 평균 및 설문지 # Ⅲ의 평균. 회색 막대: 설문지 # Ⅱ의 평균 및 설문지 # Ⅳ의 평균.
도 6는 섬유근육통 환자에서 24시간 동안 도보(walking) 제한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T-검정은 대마초 꿀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을 나타낸다. 주황색 막대: 설문지 # Ⅰ의 평균 및 설문지 # Ⅲ의 평균. 회색 막대: 설문지 # Ⅱ의 평균 및 설문지 # Ⅳ의 평균.
도 7은 섬유근육통 환자에서 24시간 동안 불면증(insomnia)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T-검정은 대마초 꿀 그룹에서의 통계적 경향을 나타낸다. 주황색 막대: 설문지 # Ⅰ의 평균 및 설문지 # Ⅲ의 평균. 회색 막대: 설문지 # Ⅱ의 평균 및 설문지 # Ⅳ의 평균.
도 8은 PTSD 환자에서 24시간 동안 평균 통증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T-검정은 대마초 꿀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낸다.
도 9는 PTSD 환자에서 24시간 동안 감정에 관한 효과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T-검정은 대마초 꿀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낸다. 주황색 막대: 설문지 # Ⅰ의 평균 및 설문지 # Ⅲ의 평균. 회색 막대: 설문지 # Ⅱ의 평균 및 설문지 # Ⅳ의 평균.
도 10은 PTSD 환자에서 24시간 동안 불면증(insomnia)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T-검정은 대마초 꿀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낸다. 주황색 막대: 설문지 # Ⅰ의 평균 및 설문지 # Ⅲ의 평균. 회색 막대: 설문지 # Ⅱ의 평균 및 설문지 # Ⅳ의 평균.
본 발명은, 이의 일부 구체예에서,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 이를 이용한 꿀 생산 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구체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은 이의 적용에 있어서, 이하의 설명에 기술되거나 실시예에 의해 예시된 세부사항으로 반드시 제한되지 않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른 구체예가 가능하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마리화나(marijuana) 및 수많은 다른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는, 대마초(cannabis)는 향정신성 약물(psychoactive drug) 또는 약물(medicine)로서 사용하기 위한 대마초 식물(Cannabis plant)의 제제이다. 대마초의 주요 향정신성 성분은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etrahydrocannabinol, THC)이며, 이는 적어도 84종의 다른 칸나비노이드(cannabinoid), 예컨대, 카나비디올(cannabidiol, CBD), 카나비놀(cannabinol, CBN),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베린(tetrahydrocannabivarin, THCV)을 포함하는 식물에서 알려져 있는 483개의 화합물 중 하나이다.
대마초는 화학요법(chemotherapy) 동안의 구역질 및 구토 감소, HIV/AIDS를 가진 환자의 식욕 개선, 만성 통증 및 근육 경련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의 하기에 상세히 기술된 다른 의학적 상태의 완화를 위해 권고되었다.
20세기 초반 이후, 대다수 국가는 대마초의 재배, 불법 소지 또는 이송에 대한 법률을 제정하였다. 현재 다양한 의학적 용도를 위해 보다 효과적이고 보다 안전한 대마초 제제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을 축소하면서, 본 발명자들은 대마초 오일 추출물을 꿀벌에게 먹일 수 있었다. 양봉계(beekeeping world)에서 꿀벌이 대마초에 수분(pollination) 하지 않는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 발견은 특히 놀랍다. 사실상, 대마초는 자연적으로 바람에 의해 수분되기 때문에, 식물은 탄수화물과 단백질원(protein source)으로서 꿀벌에 필수적인 넥타(nectar)를 생성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teaching)에 따르면, 대마초 오일을 포함하는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을 꿀벌에게 먹여 대마초 오일의 활성 성분, 예를 들어, 칸나비노이드(cannabinoid)를 포함하는 꿀을 차례로 생산한다. 이와 같이 생산된 꿀의 활성 성분의 농도가 더 낮더라도, 상기 꿀은 대조 꿀(control honey), 즉, 해당하는 농도의 활성 성분과 간단히 혼합된 꿀에는 없는 약학적 활성이 부여된다. 따라서, 본 결과는 다양한 의학적 용도를 위한 효과적이고 안전한 꿀 및 꿀-기반 제품(honey-based product) 생산에 대한 길을 마련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꿀벌 푸드 베이스(bee food base) 및 CBD 및/또는 THC를 포함하는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꿀벌(bee)"은 벌목(Hymenoptera) 꿀벌상과(Apoidea superfamily)의 여러 개의 날개가 달린, 털이 많은 몸(hairy-bodied)을 가진, 보통 쏘는 곤충(stinging insect)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하며, 단독생활 종(solitary species) 및 사회적 종(social species)을 포함하고, 넥타(nectar)를 모으는 것 뿐만 아니라 화분(pollen)을 수집하기 위한 흡인(sucking) 및 저작 구기(chewing mouthparts)로 특징 지워진다. 예시적인 꿀벌 종(species)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아피스(Apis), 범부스(Bombus), 트리고나(Trigona), 오스미아(Osmia) 등을 포함한다. 일구체예에서, 꿀벌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범블비(bumblebee; Bombus terrestris) 및 허니비(honeybee; Apis mellifera)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전술한 꿀벌 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상업적인 관심으로 인해 꿀벌에 더 중점을 두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임의의 발달단계(developmental stage)의 벌, 예를 들어, 알 유충 및 번데기, 성충(adult), 예컨대, 여왕벌, 일벌(worker bee) 및 수벌(drone bee)을 의미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은 성충벌(adult bee)이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용어 "꿀벌(honeybee)" 또는 "꿀벌(honey bee)"은 꿀벌(bee)의 한 종(species)인 서양 꿀벌 또는 유럽 꿀벌 (아피스 멜리페라(Apis mellifera))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조성물(composition)로도 언급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bee ingestible composition)"은 꿀 생산을 위한 넥타낭(nectar sac)과 선택적으로 위(stomach)로 옮겨지는 천연 또는 비-천연 꿀벌 먹이를 의미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고체 형태(solid form), 예를 들어, 화분떡(pollen cake)이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반고체(semi-solid) 형태이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액체 형태이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액체는 수크로스(sucrose) 용액이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액체는 옥수수 시럽 용액이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페이스트(paste)이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액체는 탄수화물 또는 설탕 보충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의 꿀벌 푸드 베이스는 천연 꿀벌 먹이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의 꿀벌 푸드 베이스는 비-천연 꿀벌 먹이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푸드 베이스는 꿀(honey), 화분(pollen), 넥타(nectar), 탄수화물 수액제(carbohydrate solution)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푸드 베이스는 소맥(wheat), 대두분(soybean flour), 효모(yeast), 옥수수 시럽(corn syrup), 사탕무 설탕 시럽(beet sugarsyrup), 이성질화 옥수수 시럽(isomerized corn syrup) 및 타입-50 설탕 시럽(type-50 sugarsyrup)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에서 상기 꿀벌 푸드 베이스는 꿀이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보다 유동적으로 만들기 위한 오일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오일은 밀배아(wheat germ), 카멜리나(Camelina), 호호바(Jojova), 마크로로바(macroloba), 파시플로라 애듈리스(passiflora edulis), 마우리티아 플렉수오사(Mauritia flexuosa), 카르파(Carpa), 브라질 너트(Brazil nut), 아스트로카리움 아큘레튬(Astrocaryum aculetum), 아노나 무리카타(Annona muricata), 아크멜라 올레라세아(Acmella oleracea), 아사이 팜(Acai palm), 참깨(Sesame), 쌀겨(Rice bran), 아마인(Linseed), 헤이즐넛(Hazelnut), 포도씨(Grape seed), 옥수수(Corn), 코코넛(Coconut), 팜커넬(Palm kernel), 목화씨(Cottonseed), 땅콩(Peanut), 카놀라(Canola), 해바라기씨 고 올레익(Sunflowerseed High Oleic), 해바라기씨 고 리놀레익(Sunflowerseed High Linoleic), 유채(Rapeseed), 대두(Soybean) 및 팜(Palm)으로부터 유래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오일은 올리브 오일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칸나비디올(cannabidiol)" 또는 "CBD"는 하시시(hashish) 및 마리화나(marihuana)와 같은 대부분의 대마초 제제에서 주요 비-향정신성(non-psychotropic) 칸나비노이드(cannabinoid)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칸나비디올은 2-[3-메틸-6-(1-메틸에테닐)-2-사이클로헥센-1-일]-5-펜틸-1,3-벤젠디올 (2-[3-methyl-6-(1-methylethenyl)-2-cyclohexen-1-yl]-5-pentyl-1,3-benzenediol) 뿐만 아니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solvate), 대사 산물(metabolite) (예를 들어, 피부의 대사 산물(cutaneous metabolites), 및 2-[3-메틸-6-(1-메틸에테닐)-2-사이클로헥센-1-일]-5-펜틸-1,3-벤젠디올의 물질대사 전구체(metabolic precursor)를 의미할 수 있다. 2-[3-메틸-6-(1-메틸에테닐)-2-사이클로헥센-1-일]-5-펜틸-1,3-벤젠디올의 합성은, 예를 들어, Petilka 등, Helv. Chim. Acta, 52:1102 (1969) 및 Mechoulam 등, J. Am. Chem. Soc., 87:3273 (1965)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들은 본 명세서에 참고 문헌으로 포함된다.
상기 용어 CBD는 자연 발생적으로 생기는 물질 또는 이의 합성 형태(synthetic version)를 의미한다. 상기 용어는 또한 미국 특허 제7,759,526호, 제8,119,697호 및 제8,435,556호에 각각 개시된 바와 같은 칸나비디올 유도체 및 대사 산물을 의미하며, 이들은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고 문헌으로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THC" 또는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etrahydrocannabinol), 또는 보다 정확하게 이의 주요 이성질체(isomer)인 (-)-트랜스9-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 ((6aR,10aR)-델타-9-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 ((-)-trans9-tetrahydrocannabinol ((6aR,10aR)-delta-9-tetrahydrocannabinol))는, 대마초의 주요한 향정신성 성분 (또는 칸나비노이드)이다. 상기 용어는 자연 발생적으로 생기는 물질 또는 이의 합성 형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트랜스9-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 ((-)-trans9-tetrahydrocannabinol)"은 또한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대사 산물, 및 물질대사 전구체를 의미한다. Δ9-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은 약품명(generic name) "드로나비놀(dronabinol)"로 시판되고 있다.
상기 언급된 THC 및/또는 CBD는 정제된 형태 (예를 들어, 각각 90% 이상의 순도, 예를 들어, 합성 형태) 또는 대마초 오일 (예를 들어, 트리콤(trichome) 추출물)로 조성물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대마초 오일은 전술한 오일과 혼동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오일은 대마초 식물의 단일 유전적 배경, 즉, 라인(line), 또는 다수의 유전적 배경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대마초(cannabis)"는 3개의 다른 종(species), 칸나비스 사티바(Cannabis sativa), 칸나비스 인디카(Cannabis indica), 및 칸나비스 루더랄리스(Cannabis ruderalis)를 포함하는 현화식물(flowering plant) 속(genus)을 의미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대마초는 실질적으로 향정신성 활성이 없는 칸나비스 루더랄리스(Cannabis ruderalis) 종 유래이다.
CBD/THC의 원천(source)으로서 대마초 오일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또한 대마초 오일에서 추출되는 다른 대사 산물 및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예로는 다른 칸나비노이드 뿐만 아니라 테르펜(terpenes), 플라보노이드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화합물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또는 HPLC를 사용하여 쉽게 확인된다 (Romano 등, Cannabinoids 2013;1(1):1-11 상세 참조).
대마초 오일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대마초 유전적 배경은 상기 의도된 용도, 즉, 고(high)/저(low) CBD/THC 수준(level)에 따라 선택된다.
예를 들어, 사육자(breeder)는 Alastair Good에 의해 "Growing marijuana that won't get you high". The Daily Telegraph (London)에 보고(26 October 2010) 된 바와 같이, 현재 CBD가 더 풍부한 계통(CBD-rich strains)을 개발하고 있다. CBD가 풍부한 다른 계통은 Tikun Olam사에서 시판되고 있으며, 상기 개발된 식물 계통은 활성 성분으로서 단지 칸나비디올만을 가지고 있고, THC의 검출 가능한 수준이 아니며, 향정신성 효과 없이 대마초의 약효의 이점 일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CBD 15.8% 및 1% 미만의 THC를 함유하는 대마초 계통인 아비데컬(Avidekel)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CBD가 없거나 CBD의 수준보다 더 높은 수준의 THC를 함유한 대마초 계통이, 예를 들어, 만성 통증을 유발한 상태와 같은 특정 의학적 상태를 치료하기에 바람직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최소 1%의 CBD 및/또는 THC가 제공된 임의의 다양한 대마초(cannabis) 및/또는 헴프(hemp)가 사용될 수 있다.
대마초 식물로부터 오일을 추출하는 수많은 방법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고, 당업자는 의도된 용도에 따라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하는지를 이해할 것이다. CBD/THC 추출 방법의 예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CO2 추출(CO2 extraction), 알코올(예를 들어, 에탄올) 추출, 및 오일 추출(예를 들어, 올리브 오일 추출)을 포함한다.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후자의 다양한 오일, 식물성 오일(vegetable oils), 너트 오일(nut oils), 버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예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아몬드(almond), 아보카도(avocado), 버터(butter), 카놀라(canola), 코코넛 오일(coconut oil), 포도씨 오일(grape seed oil), 햄프 씨드 오일(hemp seed oil), 올리브(olive), 피칸(pecan), 참깨(sesame), 및 월넛 오일(walnut oils)을 포함한다.
따라서 오일 추출과 관련 없는 방법을 사용하여 오일을 추출하더라도, 대마초 오일 내의 칸나비노이드의 조성 및 의도된 용도에 따라, 오일을 상기 조성물에 첨가하여 보다 유동적으로 만들고 상기 활성 성분을 10 내지 200배 (예를 들어, 100배)의 양(factor)으로 희석할 수 있다.
대체 또는 추가 구체예에 따르면, 꿀로부터 설탕 베이스(sugar base)를 얻을 수 없는 경우, 레시틴(lecithin)이 유화제(emulsifier)로서 상기 조성물에 첨가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약학적 활성이 부여된 꿀벌 제품의 생산에 관한 것이므로, 상기 조성물은 다른 의약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의약은 정제된 형태 (예를 들어, 합성) 또는 천연 추출물(herbal extract)의 일부로서 조성물에 제공되는 파이토케미컬(phytochemicals)일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의약은 항알레르기제(anti-allergic agent), 항염증제(anti-inflammatory agent), 항산화제(antioxidant), 항미생물제(anti-microbial agent), 항세균제(antibacterial agent), 항진균제(antifungal agent), 항바이러스제(antiviral agent), 진통제(analgesic agent), 항암제(anti-cancer agent), 아폽토시스 유도제(apoptosis inducing agent) 및 항설사제(anti-diarrheal agen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의약은 진통제가 아니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은 극성 또는 비-극성 및/또는 소수성 또는 친수성 추출물이다. 적합한 식물 추출물의 비-제한적인 예는 에키나시아 속(Echinacea), 운카리아 속(Uncaria), 엘레우테로코쿠스 속(Eleutherococcus), 우르티카 속(Urtica), 카렌듈라 속(Calendula), 트리포리움 속(Trifoluim), 멜리사 속(Melissa), 맘스 속(Moms), 리베스 속(Ribes), 타라사쿰 속(Taraxacum), 치코리움 속(Chicorium), 바시늄 속(Vaccinium), 아베나 속(Avena), 이눌라 속(Inula), 멜릴로투스 속(Melilotus), 피쿠스 속(Ficus), 및 베타 속(Beta) 유래이다.
상기 파이토케미컬(phytochemicals)의 예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테르페노이드(terpenoid), 플라보노이드(flavanoid), 타닌(tannins), 페놀(phenols), 사포닌(saponins), 폴리페놀(polyphenol), 헤테로사이드(heteroside) 및 알칼로이드(alkaloids)가 포함된다.
상기 활성 성분이 추출될 수 있는 약용 식물(medicinal plants)의 예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살비아 스클라레아(Salvia sclarea), 에키네시아 푸르푸레아(Echinacea purpurea), 시트러스(citruses) 추출물이 포함된다. 활성 성분의 예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헤테로사이드(Heterosides): 안트라퀴논(Anthraquinones), 강심배당체(cardiac glycosides), 사이노제닉(cyanogenics); 쿠마린(Coumarins), 플라보노이드(Flavonids), 페놀(phenols), 라눈쿨로사이드(ranunculosides), 사포노사이드(saponosides), 설프라이드(sulphurides); 폴리레놀(Polyphenoles): 페놀산(Phenolic acids), 쿠마린(cumarins),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리그난(lignans), 타닌(tannins), 퀴닌(quinine); 및 테르페노이드(Terpenoids):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s), 이리도이드(iridoids), 락톤(lactones), 디테르펜(diterpones), 사포닌(saponins). 알칼로이드(Alkaloids)가 포함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플라보노이드는 나린진(naringin)이다. 나린진은 플라바논(flavanone)인 나린제닌(Naringenin)과 이당류(disaccharide)인 네오헤스페리도스(neohesperidose) 사이의 플라바논-7-O-글리코사이드(flavanone-7-O-glycoside)이다. 나린진과 헤스페리딘(hesperidin)의 아글리콘(aglycones)을 형성하는 플라보노이드인 나린제닌 및 헤스페레틴(hesperetin)은, 감귤류(citrus fruits), 특히 나린진이 과일의 쓴맛을 담당하는 자몽(grapefruit)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한다. 나린진은 혈관표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방출 억제제로서 알려져 있다. 나린진은 당뇨병-유도성 신경병증(diabetes-induced neuropathy)을 감소시킨다. 나린진은 미토콘드리아 기능 이상(mitochondrial dysfunction)을 약화시킴으로써 알츠하이머 질환(Alzheimer's disease)의 기억 결함(memory deficits)을 개선시킨다. 나린진은 인지기능 장애(cognitive dysfunction) 및 산화적 손상(oxidative damage)에 대한 예방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의약은 본 명세서에서 파이토케미컬로도 언급된, 식물-유래 의약일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의약은 대마초 트리콤(trichome) 또는 대마초 오일에 자연적으로 존재(즉, 내생성(endogenous))하지 않는다.
상기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에 다른 성분이 첨가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성분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착색제(coloring agents), 유화제(emulsifiers), 의학적 용도의 식물 추출물, 향미료(flavors), 및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에서의 CBD 및/또는 THC의 투여량(dose)은 의도된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CBD는 신경학적 적용 (예를 들어, 알츠하이머 질환(Alzheimer's disease) 및 파킨슨(Parkinson)과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neurodegenerative disorders)) 뿐만 아니라 신경보호 활성(neuroprotective activity) 및 항산화 활성으로 인한 염증에서의 용도를 갖는 것으로 밝혀진다. CBD는 항-정신병성(anti-psychotic) 효과를 가지며, 잠재 조현병(latent schizophrenia) 및 양극성 기분 장애(bipolar mood disorder), 불안증(anxiety) 등과 같은 기타 기분 장애가 있는 개인에 대한 THC의 잠재적인 정신이상(psychotomimetic) 효과를 제어한다. 상기 화합물은 안전하고 내약성이 우수한(well-tolerated) 조현병(schizophrenia)에 대한 대체 치료인 것으로 나타났다. 칸나비디올은 또한 사회 불안 장애(social anxiety disorder)의 불안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랫트(rat)에서의 만성적 칸나비디올 투여는 불안 유도-유사 효과(anxiogenic-like effects)를 초래하였으며, 이는 칸나비디올을 이용한 장기적인 치료가 불안 유도 효과를 유발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칸나비디올은 또한 간질(epilepsy), 예를 들어, 드라베 증후군(Dravet syndrome) 치료에 사용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CBD는 또한 염증 치료에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대장염(colitis), 간 염증(liver inflammation), 심장 질환(heart disease) 및 당뇨병(diabetes)과 같은 질환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THC가 다발성 경화증 증상에서의 용도를 갖는 것으로 밝혀진다:
경직, 고 퀄리티(high quality)의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환자의 주관적인 경직(spasticity)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경구용(oral) 대마초 추출물이 효과적(effective)이고, THC가 아마 효과적(probably effective)이라고 평가되었다. 경직의 객관적인 척도를 개선하기 위해, 경구용 대마초 추출물 및 THC 둘 다 아마 효과적이라고 평가되었다 (Koppel BS, Brust JC, Fife T, Bronstein J, Youssof S, Gronseth G, Gloss D (April 2014). "Systematic review: Efficacy and safety of medical marijuana in selected neurologic disorders: Report of the Guideline Development Subcommittee of th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Neurology 82 (17): 1556-63).
중추매개 통증(centrally mediated pain) 및 고통스런 경련(painful spasms). 고 퀄리티의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중추성 통증(central pain) 및 고통스런 경련 치료에 경구용 대마초 추출물이 효과적이고, THC가 아마 효과적이라고 평가되었다 (Koppel, 전술함).
최근에 대마초 및 THC가 권고된 신경퇴행성 질환(neurodegenerative disorder)은 헌팅턴병(Huntington disease), 파킨슨병(Parkinson disease) (예를 들어, 파킨슨병에서 레보도파-유도 이상운동증(levodopa-induced dyskinesia) 개선), 알츠하이머 질환(Alzheimer's disease), 및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투렛 증후군(Tourette syndrome), 경부근긴장이상(Cervical dystonia) 및 간질(epilepsy)을 포함하는 기타 신경학적 장애(neurological disorders)를 포함한다.
THC는 식욕을 증가시키고 구역질을 감소시킴으로써, 에이즈(AIDS) 환자와 화학요법(chemotherapy)을 받는 암 환자 모두가 고통받는 증상을 완화 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안구 내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일부 녹내장(glaucoma) 환자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경병증성 통증(neuropathic pain) 및 경직을 완화시키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예시적인 구체예는 하기에 열거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50 내지 99.9%의 꿀벌 푸드 베이스 (예를 들어, 꿀)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60 내지 99.9%의 꿀벌 푸드 베이스 (예를 들어, 꿀)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70 내지 99.9%의 꿀벌 푸드 베이스 (예를 들어, 꿀)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80 내지 99.9%의 꿀벌 푸드 베이스 (예를 들어, 꿀)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90 내지 99.9%의 꿀벌 푸드 베이스 (예를 들어, 꿀)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50 내지 90%의 꿀벌 푸드 베이스 (예를 들어, 꿀)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60 내지 80%의 꿀벌 푸드 베이스 (예를 들어, 꿀)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65 내지 70%의 꿀벌 푸드 베이스 (예를 들어, 꿀)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60 내지 70%의 꿀벌 푸드 베이스 (예를 들어, 꿀)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60 내지 95%의 꿀벌 푸드 베이스 (예를 들어, 꿀)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70 내지 95%의 꿀벌 푸드 베이스 (예를 들어, 꿀)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80 내지 95%의 꿀벌 푸드 베이스 (예를 들어, 꿀)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90 내지 95%의 꿀벌 푸드 베이스 (예를 들어, 꿀)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95 내지 99.9%의 꿀벌 푸드 베이스 (예를 들어, 꿀)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96 내지 99.9%의 꿀벌 푸드 베이스 (예를 들어, 꿀)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97 내지 99.9%의 꿀벌 푸드 베이스 (예를 들어, 꿀)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95 내지 99%의 꿀벌 푸드 베이스 (예를 들어, 꿀)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97 내지 99%의 꿀벌 푸드 베이스 (예를 들어, 꿀)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98 내지 99%의 꿀벌 푸드 베이스 (예를 들어, 꿀)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50 내지 99.9%의 꿀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60 내지 99.9%의 꿀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65 내지 99.9%의 꿀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70 내지 99.9%의 꿀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80 내지 99.9%의 꿀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90 내지 99.9%의 꿀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50 내지 90%의 꿀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60 내지 80%의 꿀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65 내지 70%의 꿀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60 내지 70%의 꿀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60 내지 95%의 꿀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70 내지 95%의 꿀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80 내지 95%의 꿀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90 내지 95%의 꿀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95 내지 99.9%의 꿀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96 내지 99.9%의 꿀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97 내지 99.9%의 꿀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95 내지 99%의 꿀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97 내지 99%의 꿀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98 내지 99%의 꿀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0.1 내지 5%의 대마초 오일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0.1 내지 4%의 대마초 오일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0.1 내지 3%의 대마초 오일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0.1 내지 2%의 대마초 오일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0.1 내지 1%의 대마초 오일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0.1 내지 0.9%의 대마초 오일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0.1 내지 0.8%의 대마초 오일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0.1 내지 0.7%의 대마초 오일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0.1 내지 0.6%의 대마초 오일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0.1 내지 0.5%의 대마초 오일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0.1 내지 0.3%의 대마초 오일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0.1 내지 0.2%의 대마초 오일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10 내지 600 ㎎/g의 THC 및/또는 CBD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10 내지 200 ㎎/gr의 THC 및/또는 CBD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10 내지 100 ㎎/gr의 THC 및/또는 CBD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50 내지 100 ㎎/gr의 THC 및/또는 CBD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의약(예를 들어, 이는 대마초 오일에 자연적으로 존재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0.1 내지 1%의 의약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0.1 내지 0.9%의 의약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0.1 내지 0.8%의 의약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0.1 내지 0.7%의 의약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0.1 내지 0.6%의 의약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0.1 내지 0.5%의 의약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0.1 내지 0.3%의 의약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0.1 내지 0.2%의 의약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푸드 베이스는 상기 조성물에 최소 50%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푸드 베이스는 상기 조성물에 최소 60%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푸드 베이스는 상기 조성물에 최소 65%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푸드 베이스는 상기 조성물에 최소 70%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푸드 베이스는 상기 조성물에 최소 80%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푸드 베이스는 상기 조성물에 최소 90%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푸드 베이스는 상기 조성물에 최소 95%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푸드 베이스는 상기 조성물에 최소 96%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푸드 베이스는 상기 조성물에 최소 97%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푸드 베이스는 상기 조성물에 최소 98%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푸드 베이스는 상기 조성물에 최소 99%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푸드 베이스는 상기 조성물에 최소 99.1%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푸드 베이스는 상기 조성물에 최소 99.2%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푸드 베이스는 상기 조성물에 최소 99.3%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푸드 베이스는 상기 조성물에 최소 99.4%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푸드 베이스는 상기 조성물에 최소 99.5%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푸드 베이스는 상기 조성물에 최소 99.6%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푸드 베이스는 상기 조성물에 최소 99.7%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벌 푸드 베이스는 상기 조성물에 최소 99.8%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대마초 오일은 상기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에 1%를 초과하지 않는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대마초 오일은 상기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에 0.9%를 초과하지 않는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대마초 오일은 상기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에 0.8%를 초과하지 않는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대마초 오일은 상기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에 0.7%를 초과하지 않는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대마초 오일은 상기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에 0.6%를 초과하지 않는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대마초 오일은 상기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에 0.5%를 초과하지 않는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대마초 오일은 상기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에 0.4%를 초과하지 않는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대마초 오일은 상기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에 0.3%를 초과하지 않는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대마초 오일은 상기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에 0.2%를 초과하지 않는 양으로 존재한다.
주목할 만한 것은, 물을 상기 조성물에 첨가하여 활성 성분(active ingredient)을 희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물 포션(portion)은 50%를 초과하지 않는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물 포션은 45%를 초과하지 않는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물 포션은 40%를 초과하지 않는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물 포션은 35%를 초과하지 않는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물 포션은 25%를 초과하지 않는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물 포션은 15%를 초과하지 않는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꿀벌 푸드 베이스 50 내지 99.9%; 대마초 오일 0.1 내지 1%; 및 선택적으로 의약 0.1 내지 1%;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필요한 경우에 오일 (예를 들어, 올리브 오일) 또는 유화제(emulsifier)로 희석된 THC/CBD을 의약 (존재하는 경우)과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별도의 혼합에서, 꿀과 물은 100%까지 혼합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성분이 첨가될 수 있다.
주목할 만한 것은, 본 명세서에서 명시한 모든 퍼센티지(percentages)는 w/w, v/v, v/w 또는 w/v을 의미한다.
비-제한적인 프로토콜은 하기(infra) 및 하기 실시예 1에서 제공된다. 꿀 [또는 글루코스(glucose), 사탕무 설탕(beet sugar), 꿀 대용물(honey substitutes) 또는 트리클(treacle) (당밀(molasses))] 및 물 (예를 들어, 꿀 2 중량부(part) 및 물 1 중량부)을 함유하는 액체 혼합물이 준비된다. 상기 조성물은 쉐이킹(shaking)하여 혼합한다.
일단 상기 꿀 및 물 혼합물이 준비되면, 대마초 오일 및/또는 대마초 헴프(cannabis hemp) 꽃이 케이크(cake) 또는 분말(powder) 형태로 첨가된다. 마지막으로, 천연 착색제와 같은 다른 성분들이 첨가된다.
상기 성분들은 균질(homogeneous) 조성물이 될 때까지 혼합되었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혼합은 가열 (예를 들어, 75℃로) 하면서 수행하였다.
제조 후, 상기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이를 급이 스테이션(feeding station)의 용량에 따라 꿀벌 급이 스테이션에 부었다. 급이 주기(feeding cycle)는 급이 스테이션의 용량 및 꿀벌 벌집(hive)의 크기에 달려있다.
상기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은 아주 많은 다양한 방법으로 꿀벌에게 전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꿀벌 급이는 양봉가(bee-keepers) 사이에서 영양분 및 기타, 예를 들어, 추가적 니즈(needs) 둘 다를 제공하기 위한 통상적인 일이다. 꿀벌은 일반적으로 꿀과 화분(pollen)을 먹으나, 비-천연 먹이도 섭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꿀벌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소맥(wheat) (코티지 치즈(cottage cheese)에서 재배된 낙농 효모(dairy yeast)), 대두분(soybean flour), 효모(yeast) (예를 들어, 맥주 효모(brewer's yeast), 토룰라 효모(torula yeast)) 및 효모 제품을 포함하는 다양한 식량을 급이(feeding) 할 수 있고, 제품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급이 할 수 있으며, 대두분(soybean flour)은 벌집 내부에 건조 혼합물(dry mix) 또는 수분기 있는 케이크(moist cake)로서, 또는 벌집 외부의 오픈 사양기(open feeders)에 건조 혼합물로서 급이 할 수 있다. 설탕 또는 설탕 시럽도 유용하다. 꿀벌에게 급이하는 보충물에 10 내지 12 퍼센트(percent)의 화분 첨가는 기호성(palatability)을 개선시킨다. 25 내지 30 퍼센트의 화분 첨가는 생산적 활동(vital activity)을 위해 꿀벌이 필요로 하는 필수 영양소(essential nutrients)의 질과 양을 개선시킨다.
사탕수수(cane) 또는 사탕무 설탕(beet sugar), 이성질화 옥수수 시럽(isomerized corn syrup), 및 타입-50 설탕 시럽(type-50 sugar syrup)은 꿀벌의 천연 식단(natural diet)에서 꿀에 대한 적절한 대용물(substitutes)이다. 상기 마지막 두 개는 오직 액체로만 꿀벌에게 제공될 수 있다.
액체 먹이는 벌집 내부의 꿀벌에게 다음의 임의의 방법, 예를 들어, 프릭션-탑 들통(friction-top pail), 육방(brood chamber) 내의 콤(combs), 격리판식 사양기(division board feeder), 보드맨 사양기(boardman feeder)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건조 설탕(dry sugar)은 인버티드 내부 커버(inverted inner cover)에 1 또는 2 파운드(pound)를 놓아둠으로써 급이될 수 있다. 꿀벌에게 항상 물 공급이 되어야 한다. 일구체예에서, 우드 칩(wood chips), 코르크(cork), 또는 플라스틱 스펀지(plastic sponge)와 같은 플로팅 서포트(floating supports)가 존재하는 팬(pan) 또는 트레이(trays)를 구상하였다. 꿀벌에 대한 추가 먹이의 상세한 설명은, 예를 들어, "Supplemental Feeding of Honey Bee Colonies"라는 제목의 Standifer 등에 의한 1977년 USDA 출판물(USDA, Agriculture Information BulletinNo. 413)에 개시되어 있다.
꿀벌에게 급이된 활성 성분이 꿀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꿀을 생산하는 방법 또한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a) 본 명세서에 기술된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을 꿀벌에 급이하고; 또는 부수적으로 (b) 상기 꿀벌에 의해 생산된 꿀을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꿀 추출은 양봉(beekeeping) 전통(tradition)에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을 급이한 후 또는 그와 동시에 수행된다. 측정은 넥타/화분에 대한 현장 접근성을 제한하면서, 꿀 생산시에 상기 조성물을 급이한 꿀벌에 대해 기록되었다.
양봉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추출 작업 시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경구 투여된 조성물 또한 꿀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비록 초기 투여한 1000배 감소한 것보다 훨씬 낮은 농도임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수득가능한 꿀을 포함하는 가공품 또한 고려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수득가능한 꿀이 제공된다.
상기 꿀은 임의의 대마초 오일 대사 산물, 예를 들어, 칸나비노이드, 예컨대, THC 및/또는 CBD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은 셀룰로스(cellulose)와 같은 식물 소재가 없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THC 및/또는 CBD 및 선택적으로 대마초에서 자연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의약을 포함하는 꿀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은 상기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 제조에 사용된 대마초 오일에 존재하는 것보다 약 1,000배 이상 더 낮은(예를 들어, 약 10,000배 이하) 농도의 THC 및/또는 CBD, 및 상기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 자체보다 약 4배 이상 더 낮은 농도의 THC 및/또는 CB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측정은 액체 크로마토그래피(liquid chromatography)와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은 상기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에 존재하는 것보다 4 내지 10배 낮은 농도의 THC 및/또는 CBD (및/또는 상기 의약)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은 상기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에 존재하는 것보다 4 내지 8배 낮은 농도의 THC 및/또는 CBD (및/또는 상기 의약)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은 상기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에 존재하는 것보다 4 내지 6배 낮은 농도의 THC 및/또는 CBD (및/또는 상기 의약)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은 상기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에 존재하는 것보다 3 내지 6배 낮은 농도의 THC 및/또는 CBD (및/또는 상기 의약)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의 양태에 따르면, 5 ppm 내지 500 ppm의 THC 및/또는 CBD를 포함하는 꿀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의 양태에 따르면, 5 ppm 내지 400 ppm의 THC 및/또는 CBD를 포함하는 꿀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의 양태에 따르면, 5 ppm 내지 300 ppm의 THC 및/또는 CBD를 포함하는 꿀이 제공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10 ppm 내지 200 ppm의 THC 및/또는 CB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이 제공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은 50 ppm 내지 100 ppm의 THC 및/또는 CB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은 50 ppm 내지 80 ppm의 THC 및/또는 CB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은 의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은 반고체(semi-solid) 형태이다.
일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은 고체(solid) 형태이다.
일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꿀은 액체(liquid) 형태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상기 용어 꿀은 일부 식품 규제 당국이 정의한 꿀의 영양학적 정의를 충족시키지 않는 것들을 포함한, 임의의 꿀-유사 벌집 제품(honey-like beehive product)을 포함하여 사용된다. 미국 국립 꿀 위원회(the National Honey Board of the United States (www.nhb.org))에 의해 정의된 천연 꿀은 "순수 꿀(pure honey)" 또는 "보통 꿀(regular honey)"로 언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꿀벌 푸드 베이스(food base)로서 제공되는 꿀은 순수한 꿀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꿀벌 제품, 예를 들어, 케이크, 쿠키, 바(bars), 캔디, 그레인스(grains), 츄어블(chewable) 꿀을 포함하는 가공품도 고려된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8,642,103호).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대마초에 의해 완화되는 의학적 상태를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치료적 유효량의 꿀 또는 이의 가공품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함으로써, 대마초에 의해 완화되는 의학적 상태를 치료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의학적 상태는 암 및 화학요법(chemotherapy)과 관련된 구역질(nausea) 및 통증; 에이즈(AIDS)와 관련된 구역질, 통증 및 쇠약; 관절염(arthritis) 및 류머티즘(rheumatism); 녹내장(glaucoma); 편두통(migraine);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및 마비(paralysis)와 관련된 근육 경직(muscle spasticity); 알코올 및 마약 금단; 스트레스; 우울증; 천식(asthma); 간질 발작(epileptic seizures), 치매(dementia), 당뇨병(diabetes), 신경병증 통증(neuropathic pain) 또는 이와 관련된 질환, 및 명세서 전반에 걸쳐 기술된 기타 의학적 상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적인 예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섬유근육통(fibromyalgia)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및 이와 관련된 통증이 포함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로 치료된 개체는 인간이지만, 수의학(veterinary) 관련 적응증(indications)도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다.
상기 개체는 질환으로 고통 받거나 이를 가질 위험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개체는 임의의 성별 또는 나이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체는 75세 이상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 "약(about)"은 ±10%를 의미한다.
상기 용어 "포함한다(comprises)", "포함하는(comprising)", "포함한다(includes)", "포함하는(including)", "가지는(having)" 및 이들의 활용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포함하는(including butnot limited to)"을 의미한다.
상기 용어 "구성된(consisting of)"은 "포함하고 제한된(including and limited to)"을 의미한다.
상기 용어 "필수적으로 구성된(consisting essentially of)"은 추가적인 성분, 단계 및/또는 부분이 상기 청구된 조성물, 방법 또는 구조물(structure)의 기초 및 신규한 특성을 실질적으로 변경시키지 않는 경우에만, 상기 조성물, 방법 또는 구조물은 추가적인 성분, 단계 및/또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단수 형태 "하나의(a)", "하나의(an)" 및 "그(the)"는 문맥상 명확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참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용어 "화합물(a compound)" 또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at least one compound)"은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 다수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 전반에 걸쳐, 본 발명의 다양한 구체예가 범위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범위 형식에서의 설명은 단지 편의 및 간결성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변경할 수 없는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됨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범위의 설명은 가능한 모든 하위 범위 및 그 범위 내의 개별 수치를 구체적으로 개시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1 내지 6과 같은 범위의 설명은 1 내지 3, 1 내지 4, 1 내지 5, 2 내지 4, 2 내지 6, 3 내지 6 등과 같은 하위 범위, 뿐만 아니라, 해당 범위 내의 개별 번호, 예를 들어, 1, 2, 3, 4, 5, 및 6을 구체적으로 개시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는 범위의 폭에 관계없이 적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수치 범위로 표시될 때마다, 이는 표시된 범위 내에서 임의의 인용된 수(소수 또는 정수)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1 표시 숫자 및 제2 표시 숫자 "범위/범위 간(ranging/ranges between)"과 제1 표시 숫자 "내지(to)" 제2 표시 숫자 "범위/범위로부터(ranging/ranges from)"의 문구는 본 명세서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며, 상기 제1 및 제2로 표시된 숫자 및 그 사이의 모든 소수 및 정수의 숫자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방법(method)"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공지된 방식, 수단, 기술 및 절차 또는, 화학, 약학, 생물학, 생화학 및 의학 분야의 전문직 종사자에 의해 쉽게 개발된, 공지된 방식, 수단, 기술 및 절차를 포함하는, 주어진 과업을 수행하기 위한 방식, 수단, 기술 및 절차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treating)"는 상태의 진행을 억제(abrogating), 실질적으로 저해, 지연, 또는 역전시키는 것, 상태의 임상적 또는 미적 증상을 실질적으로 개선시키는 것, 또는 상태의 임상적 또는 미적 증상의 출현을 실질적으로 예방하는 것을 포함한다.
개별 구체예들과 관련하여 기술된 본 발명의 특정 특징들은 명확성을 위해, 단일 구체예에서 조합하여 제공될 수도 있음을 인식한다. 반대로, 단일 구체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은 간결성을 위해,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적합한 부조합(subcombination) 또는 본 발명의 임의의 기타 기술된 적합한 구체예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구체예들과 관련하여 기술된 특정 특징들은 구체예가 이들 요소 없이 효력이 없는 한, 이러한 구체예들의 본질적인 특징으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에서 전술하고 하기 청구 범위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구체예 및 양태는 하기 실시예에서 실험적 지지(support)를 찾을 수 있다.
실시예
전술한 설명과 함께 비 제한적인 방식으로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를 예시하는 하기의 실시예를 참조한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 및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실험실 절차는 분자적, 생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재조합 DNA 기술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술은 문헌에서 철저히 설명된다. 예를 들어,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Sambrook 등, (1989);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Volumes I-Ⅲ Ausubel,R. M., ed. (1994); Ausubel 등,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John Wiley & Sons, Baltimore, Maryland (1989); Perbal, "A Practical Guideto Molecular Cloning", John Wiley & Sons, New York (1988); Watson 등, "Recombinant DNA", Scientific American Books, New York; Birren 등 (eds) "Genome Analysis: A Laboratory Manual Series", Vols. 1-4,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New York (1998); 미국특허 제4,666,828호; 제4,683,202호; 제4,801,531호; 제5,192,659호 및 제5,272,057호에서 전술한 방법론을 참조한다; "Cell Biology: A Laboratory Handbook", Volumes I-Ⅲ Cellis, J. E., ed. (1994); "Culture of Animal Cells - A Manual of Basic Technique" Freshney 저, Wiley-Liss, N. Y. (1994), Third Edition; "Current Protocols in Immunology" Volumes I-Ⅲ Coligan J. E., ed. (1994); Stites 등 (eds), "Basic and Clinical Immunology" (8th Edition), Appleton & Lange, Norwalk, CT (1994); Mishell & Shiigi (eds), "Selected Methods in Cellular Immunology", W. H. Freeman & Co., New York (1980); 이용가능한 면역측정법(immunoassays)은 특허 및 과학 문헌에 광범위하게 기재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3,791,932호; 제3,839,153호; 제3,850,752호; 제3,850,578호; 제3,853,987호; 제3,867,517호; 제3,879,262호; 제3,901,654호; 제3,935,074호; 제3,984,533호; 제3,996,345호; 제4,034,074호; 제4,098,876호; 제4,879,219호; 제5,011,771호 및 제5,281,521호를 참조한다; "Oligonucleotide Synthesis" Gait, M. J., ed. (1984); "Nucleic Acid Hybridization" Hames, B. D., & Higgins S. J., eds. (1985); "Transcription and Translation" Hames, B. D., & Higgins S. J., eds. (1984); "Animal Cell Culture"Freshney, R. I., ed. (1986); "Immobilized Cells and Enzymes" IRL Press, (1986); "A Practical Guideto Molecular Cloning" Perbal, B., (1984) 및 "Methods in Enzymology" Vol. 1-317, Academic Press; "PCR Protocols: A GuideTo Methods And Applications", Academic Press, San Diego, CA (1990); Marshak 등, "Strategies for Protein Purificationand Characterization - A Laboratory Course Manual" CSHL Press (1996)를 참조한다; 이들 모두는 본 명세서에서 완전히 제시된 것과 같이 참고 문헌으로 포함된다. 이 문서 전체에 걸쳐 다른 일반적인 참조가 제공된다. 그 안의 절차는 당업계에서 잘 알려진 것으로 여겨지며, 독자의 편의를 위해 제공된다. 그 안에 포함된 모든 정보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실시예 1
급이 프로토콜(Feeding Protocols)
급이 프로토콜은 꿀벌 섭취(consumption)에 대한 대마초 오일, 나린진, 꿀 및 물의 적합한 농도 범위를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되었다 (A).
유사한 급이 프로토콜은 꿀벌 섭취에 대한 꿀, 물, 천연 착색제(natural coloring agents), 및 대마초 오일의 최적의 농도 범위를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B).
일반적으로, 꿀은 명시한 상태로 물과 쉐이킹(shaking)하여 혼합하였다. 일단 상기 꿀 및 물 혼합물이 준비되면, 대마초 오일을 첨가하였다. IMC Agro Ltd.에서 사전-생산된(pre-produced) 대마초 오일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레시틴(lecithin; 유화제(emulsifier)), 및 사탕무 즙(beet juice) 및 사탕무 추출물(beet extract), 파프리카, 및 토마토 껍질 추출물과 같은 다양한 착색제, 및 꿀벌 먹이 성분인 로얄 젤리(royal jelly)와 같은 몇가지 다른 성분을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상기 성분들은 균질(homogeneous) 혼합물이 생산될 때까지 혼합되었다. 혼합하는 동안, 상기 혼합물은 75℃로 가열되었다.
제조 후, 상기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이를 급이 스테이션(feeding station)의 용량에 따라 꿀벌 급이 스테이션에 부었다. 급이 주기(feeding cycle)는 급이 스테이션의 용량 및 꿀벌 벌집(hive)의 크기에 달려있다.
작은 캔(can) 또는 급이 구유(trough)에 있는 꿀벌에게 처리(treatment)가 제공되었고, 유인(attraction) 데이터가 수집되었다 (하기 프로토콜 A에 대해서는 도 1 및 표 1A, 프로토콜 B에 대해서는 표 1B 참조)
프로토콜(protocol) A:
하기 매개변수(parameter)가 적용되었다:
1. 물로 희석된 순도 98%의 나린진(naringin)
2. 프로토콜에서의 대마초 오일 %
3. 대마초 추출물의 전체 프로파일(full profile)에서의 CBD 및 THC의 상이한 비율
4. 총 꿀 및 물 양의 일부(part)로서 프로토콜에서의 꿀 %
5. 총 꿀 및 물 양의 일부로서 프로토콜에서의 물 %
Figure 112018018821069-pct00001
프로토콜(protocol) B:
하기 매개변수(parameter)가 적용되었다:
1. 총 꿀 및 물 양의 일부(part)로서 프로토콜에서의 꿀 %
2. 총 꿀 및 물 양의 일부로서 프로토콜에서의 물 %
3. 착색제(coloring agent) %
4. 대마초 추출물의 전체 프로파일(full profile)에서의 CBD 및 THC의 상이한 비율
Figure 112018018821069-pct00002
상기 표 1A 및 표 1B에서의 데이터는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 따른 것을 제시한다:
꿀 %는 65% 이상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70% 이상);
물 %는 35% 이하이어야 한다.
4 내지 5는 적절한 유인 매개변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꿀 %는 50% 이상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70% 이상);
물 %는 50% 이하이어야 한다.
실시예 2
대마초 꿀 생산
대마초 꿀과 나린진을 포함한 대마초 꿀은 상기 급이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생산되었다.
Figure 112018018821069-pct00003
모든 제조에서 칸나비놀(cannabinol)의 수준(level)은 10 ppm 미만이었다.
ppm = mg/kg
예시적인 급이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나린진이 있거나 없는 대마초 오일 꿀을 생산하였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꿀에서 CBD, THC 및 나린진의 함량을 검출하였다.
상기 데이터는 mg/kg = ppm으로 나타내었다.
급이 프로토콜과 꿀벌의 준비로 수행된 총 희석은 1/100,000이었으므로, 꿀에서 이러한 농도가 예상되었다.
천연 착색제를 포함하는 대마초 꿀은 급이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생산하였다.
Figure 112018018821069-pct00004
예시적인 급이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대마초 오일 꿀을 생산하였다.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꿀에서 CBD 및 THC의 함량을 검출하였다.
실시예 3
만성 통증으로 고통받는 개체에 대한 영향 평가
프로토콜 개요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018821069-pct00005
구체적으로:
각 환자는 BPI(Brief Pain Inventory) 설문지 (설문지 #1)를 대마초 흡연 치료 직전에 작성하였으며, 24시간 후, 상기 환자에게 BPI 설문지 #2가 제공되었고, 3일 후에 환자에게 설문지 #3이 제공되었으며, 24시간 후에 대마초 꿀로 치료한 직후 환자에게 BPI 설문지 #4가 제공되었다. 모두 7명의 환자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4명의 환자는 섬유근육통(fibromyalgia)으로, 3명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로 진단되었다.
설문지를 수집하고 각 투여(administration) (대마초 및 대마초 꿀)에 대한 데이터를 T-검정(t-test)으로 분석하였다.
투약(dosing):
대마초 담배(cannabis cigarette)에서 활성 복용량 - THC - 16 내지 24 % 및 CBD - 2 % (각 환자는 0.8 내지 1 gr의 담배를 받음).
대마초 꿀(cannabis honey)에서 활성 복용량 - THC - 45 PPM 및 CBD - 4 PPM (각 환자는 꿀 한 티스푼(teaspoon)으로 치료됨 : 7gr).
대마초 꿀의 투여 분석 결과 섬유근육통 및 PTSD 상기 2가지 징후에서 긍정적인 경향 및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상기 결과는 도 2 내지 도 10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이의 특정 구체예와 관련하여 기술되어 있을지라도, 많은 대안, 변형 및 변이들이 당업자에게 명백하다는 것이 자명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 범위의 사상 및 광범위한 범위 내에 있는 그러한 모든 대안, 변형 및 변이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모든 간행물, 특허 및 특허 출원은 각각의 개별 간행물, 특허 또는 특허 출원이 구체적으로 및 개별적으로 참조로 여기에 포함되는 것으로 표시된 것과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전체적으로 포함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임의의 참조 문헌의 인용 또는 식별은 그러한 참조가 본 발명의 선행기술로서 이용 가능하다는 인정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섹션 표제가 사용되는 한, 반드시 제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38)

  1. 꿀벌 푸드 베이스(food base) 50 내지 99% 및 대마초 오일 0.1 내지 5%을 포함하는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로서,
    상기 꿀벌 푸드 베이스는 꿀(honey)이고,
    상기 대마초 오일은 적어도 1% 의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etrahydrocannabinol, THC) 및/또는 칸나비디올(cannabidiol, CBD)를 갖는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유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레시틴을 포함하는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착색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레시틴, 물, 사탕무 즙(beet juice), 및 착색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
  6. (a) 제1항의 꿀벌 섭취가능한 조성물을 꿀벌에 급이하는 단계; 및
    (b) 상기 꿀벌에 의해 생산된 꿀을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꿀을 생산하는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KR1020187005317A 2015-07-22 2016-07-21 꿀벌―섭취가능한 조성물, 이를 이용한 꿀 생산 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꿀 KR1024604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95311P 2015-07-22 2015-07-22
US62/195,311 2015-07-22
PCT/IL2016/050801 WO2017013661A1 (en) 2015-07-22 2016-07-21 Bee-ingestible compositions, methods of using same for producing honey and honey produced thereb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908A KR20180030908A (ko) 2018-03-26
KR102460440B1 true KR102460440B1 (ko) 2022-10-28

Family

ID=56738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5317A KR102460440B1 (ko) 2015-07-22 2016-07-21 꿀벌―섭취가능한 조성물, 이를 이용한 꿀 생산 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꿀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3) US10278996B2 (ko)
EP (1) EP3324754B1 (ko)
JP (1) JP6976242B2 (ko)
KR (1) KR102460440B1 (ko)
CN (1) CN107846936B (ko)
AU (1) AU2016295728B2 (ko)
BR (1) BR112018001310A2 (ko)
CA (1) CA2993023C (ko)
CL (1) CL2018000162A1 (ko)
CO (1) CO2018001115A2 (ko)
EC (1) ECSP18012359A (ko)
ES (1) ES2931903T3 (ko)
IL (2) IL257078B (ko)
MX (1) MX2018000844A (ko)
NZ (1) NZ739334A (ko)
PE (1) PE20181011A1 (ko)
PT (1) PT3324754T (ko)
WO (1) WO2017013661A1 (ko)
ZA (1) ZA2018005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4824A1 (en) 2012-05-03 2013-11-07 Magdent Ltd. Bone enhancement device and method
US10960035B2 (en) 2015-04-01 2021-03-30 The State of Israel, Ministry of Agriculture & Rural Development, Agricultural Research Organization (ARO) (Voleaui Center) Erodium crassifolium L'Her plant extracts and uses thereof
CN107846936B (zh) 2015-07-22 2021-06-01 芙图法尔马国际有限公司 蜜蜂可摄取组成物及使用其生产蜂蜜的方法与由此生产的蜂蜜
WO2017072704A1 (en) * 2015-10-31 2017-05-04 Canabuzz-Med Honey-cannabinoid therapeutic composition
EP3383387A4 (en) * 2015-12-05 2019-08-14 Canabuzz-Med VETERINARY COMPOSITION AND METHODS OF PRODUCTION AND USE
WO2017182950A1 (en) * 2016-04-19 2017-10-26 Canabuzz-Med Cannabis-enriched enzymatically treated therapeutic composition
US10239808B1 (en) 2016-12-07 2019-03-26 Canopy Holdings, LLC Cannabis extracts
WO2018163164A1 (en) 2017-03-05 2018-09-13 The State Of Israel, Ministry Of Agriculture & Rural Development, Agricultural Research Organization (Aro) (Volcani Center)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cancer
EP3384785A1 (de) * 2017-04-04 2018-10-10 Marquie-Amadeus Gerster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onig oder propolis enthaltenden lebensmittels, lebensmittel und bienenstock
CN111212638A (zh) * 2017-09-08 2020-05-29 西卡恩治疗公司 包括大麻素和千日菊素的组合物
CA3089994A1 (en) 2018-01-31 2019-08-08 Canopy Holdings, LLC Hemp powder
CA3096842A1 (en) * 2018-04-09 2019-10-17 Ellevet Sciences Hemp extract for treatment of pain in animals
SI25373A (sl) * 2018-05-08 2018-08-31 Danijela Marković Naravna orodisperzibilna tableta
CA3119729A1 (en) 2018-10-10 2020-04-16 Treehouse Biotech, Inc. Synthesis of cannabigerol
CN109627148B (zh) * 2018-11-28 2021-09-03 中国农业科学院麻类研究所 一种大麻二酚的制备方法、制得的大麻二酚及其用途
LT6672B (lt) 2019-02-04 2019-10-25 Juozas Pileckas Medunešių bičių sveikatos palaikymo ir gydymo būdas, naudojant vaistinių augalų priedus
LT6671B (lt) 2019-02-04 2019-10-25 Juozas Pileckas Medaus su pakeista sudėtimi gamybos būdas, naudojant vaistinių augalų priedus
EP3698643A1 (en) 2019-02-04 2020-08-26 Pileckas, Juozas The method of health maintaining and treating of the honey bee using herbal additives
KR102149215B1 (ko) * 2019-12-12 2020-08-31 주식회사 바이오포스 수밀력 향상을 위한 꿀벌 사양액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US20210177914A1 (en) * 2019-12-11 2021-06-17 Cannabis Global, Inc. Cannabinoid enriched composition and method of using
IT202000008983A1 (it) 2020-04-24 2021-10-24 Paride Caviggioli Metodo di produzione di prodotti delle api ad alto valore aggiunto
KR102278512B1 (ko) * 2021-01-19 2021-07-20 정진욱 광화학 반응시켜 카나비디올 및 풀빅산을 함유하며, 상기 카나비디올 및 풀빅산 성분이 식용 곤충, 파충류, 연체류, 및 가축류로의 천이 가능한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137500A2 (en) * 2022-01-14 2023-07-20 Companion Sciences, Llc Cannabidiol and beta-caryophyllene in combination with condensed tannins and c-ring isomerized condensed tannins (phlobatannins) compositions to treat gynecological diseases and disorde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02086A1 (en) * 2011-05-20 2014-10-09 Brooks Kelly Research, Llc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Cannabinoids Having Reduced Psychoactivity through the Combination of CBD and Non-decarboxylated THC
WO2015074137A1 (en) 2013-11-20 2015-05-28 Mary Lynch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ocular inflammation and pain

Family Cites Families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6041A (en) * 1920-05-05 1921-01-06 William Lilley A composition of matter for addition to bee foods
NL154600B (nl) 1971-02-10 1977-09-15 Organon Nv Werkwijze voor het aantonen en bepalen van specifiek bindende eiwitten en hun corresponderende bindbare stoffen.
NL154598B (nl) 1970-11-10 1977-09-15 Organon Nv Werkwijze voor het aantonen en bepalen van laagmoleculire verbindingen en van eiwitten die deze verbindingen specifiek kunnen binden, alsmede testverpakking.
NL154599B (nl) 1970-12-28 1977-09-15 Organon Nv Werkwijze voor het aantonen en bepalen van specifiek bindende eiwitten en hun corresponderende bindbare stoffen, alsmede testverpakking.
US3901654A (en) 1971-06-21 1975-08-26 Biological Developments Receptor assays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employing biologically specific receptors
US3853987A (en) 1971-09-01 1974-12-10 W Dreyer Immunological reagent and radioimmuno assay
US3867517A (en) 1971-12-21 1975-02-18 Abbott Lab Direct radioimmunoassay for antigens and their antibodies
NL171930C (nl) 1972-05-11 1983-06-01 Akzo Nv Werkwijze voor het aantonen en bepalen van haptenen, alsmede testverpakkingen.
US3850578A (en) 1973-03-12 1974-11-26 H Mcconnell Process for assaying for biologically active molecules
US3935074A (en) 1973-12-17 1976-01-27 Syva Company Antibody steric hindrance immunoassay with two antibodies
US3996345A (en) 1974-08-12 1976-12-07 Syva Company Fluorescence quenching with immunological pairs in immunoassays
US4034074A (en) 1974-09-19 1977-07-05 The Board Of Trustees Of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Universal reagent 2-site immunoradiometric assay using labelled anti (IgG)
US3984533A (en) 1975-11-13 1976-10-05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ophoretic method of detecting antigen-antibody reaction
US4098876A (en) 1976-10-26 1978-07-04 Corning Glass Works Reverse sandwich immunoassay
US4879219A (en) 1980-09-19 1989-11-07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Immunoassay utilizing monoclonal high affinity IgM antibodies
US5011771A (en) 1984-04-12 1991-04-30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Multiepitopic immunometric assay
US4666828A (en) 1984-08-15 1987-05-19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Test for Huntington's disease
US4683202A (en) 1985-03-28 1987-07-28 Cetus Corporation Process for amplifying nucleic acid sequences
US4801531A (en) 1985-04-17 1989-01-31 Biotechnology Research Partners, Ltd. Apo AI/CIII genomic polymorphisms predictive of atherosclerosis
JPS61265056A (ja) * 1985-05-20 1986-11-22 Atsuo Inoue 訪花蜂用の即席飼料
KR920010325B1 (ko) * 1988-09-08 1992-11-27 천일제약 주식회사 약용꿀의 제조방법
US5272057A (en) 1988-10-14 1993-12-21 Georgetown University Method of detecting a predisposition to cancer by the use of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of the gene for human poly (ADP-ribose) polymerase
US5192659A (en) 1989-08-25 1993-03-09 Genetype Ag Intron sequence analysis method for detection of adjacent and remote locus alleles as haplotypes
CA2056469C (en) * 1990-11-30 1997-03-25 Hiroaki Oonishi Plastic optical fibers
US5281521A (en) 1992-07-20 1994-01-25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Modified avidin-biotin technique
US5612074A (en) * 1995-12-21 1997-03-18 Leach; Robin L. Nutrient fortified food bar
US5711953A (en) 1996-08-26 1998-01-27 Bassett; John M. Insect repellant
JPH1198962A (ja) * 1997-09-25 1999-04-13 Katakura Industries Co Ltd 蜂用飼料
JPH11169098A (ja) * 1997-12-15 1999-06-29 Nippon Haigou Shiryo Kk 養蜂用飼料
JP2000333619A (ja) * 1999-05-28 2000-12-05 Nobuyuki Izena 抗菌効果物質の製造方法並びに抗菌効果物質を用いた養蜂方法
IL136839A (en) 2000-06-16 2006-12-10 Yissum Res Dev Co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cannabidiol derivatives, and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same
US8449908B2 (en) 2000-12-22 2013-05-28 Alltranz, Llc Transdermal delivery of cannabidiol
GB0103638D0 (en) * 2001-02-14 2001-03-28 Gw Pharmaceuticals Ltd Pharmaceutical formulations
CH695661A5 (de) * 2001-03-06 2006-07-31 Forsch Hiscia Ver Fuer Krebsfo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
KR20030047388A (ko) * 2001-12-10 2003-06-18 김주인 꿀벌용 액당 사료제조방법
IL148244A0 (en) 2002-02-19 2002-09-12 Yissum Res Dev Co Anti-nausea and anti-vomiting activity of cannabidiol compounds
GB0425248D0 (en) * 2004-11-16 2004-12-15 Gw Pharma Ltd New use for cannabinoid
WO2006080019A1 (en) 2005-01-31 2006-08-03 Tzuf Globus Ltd. Bee-food, honey made by bees fed with it, and uses of such honey
JP2006350211A (ja) 2005-06-20 2006-12-28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装置
JP2008208036A (ja) * 2007-02-23 2008-09-11 Osamu Fukuda ステビア含有養蜂用給餌・防菌液および養蜂給餌・防菌方法、養蜂用防菌剤
GB2448535A (en) * 2007-04-19 2008-10-22 Gw Pharma Ltd New use for cannabinoid-containing plant extracts
GB2450753B (en) * 2007-07-06 2012-07-18 Gw Pharma Ltd New Pharmaceutical formulation
US8642103B2 (en) 2008-01-14 2014-02-04 Prakash Kejriwal Process for preparing chewable honey without loss of its nutritional values and honey chew bar obtained through such process
GB2459637B (en) * 2008-01-21 2012-06-06 Gw Pharma Ltd New use for cannabinoids
CN101467598B (zh) * 2008-04-03 2011-04-20 霍耀锋 用蜜蜂采集的天然中药蜂蜜及其制备方法
GB2471987B (en) * 2008-06-04 2012-02-22 Gw Pharma Ltd Anti-tumoural effects of cannabinoid combinations
CN101869235B (zh) 2009-04-27 2012-11-07 北京百花蜂产品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蜂蜜膏的配方及制备方法
US8962584B2 (en) 2009-10-14 2015-02-24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mpany Of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Ltd. Compositions for controlling Varroa mites in bees
KR101314099B1 (ko) * 2010-10-19 2013-10-04 일진에프앤피 주식회사 효소를 이용한 꿀벌용 발효화분 떡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US8445034B1 (en) 2010-11-02 2013-05-21 Albert L Coles, Jr.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organic cannabis tincture
US8808734B2 (en) 2011-07-11 2014-08-19 Full Spectrum Laboratories Limited Cannabinoid formulations
GB2514054A (en) * 2011-09-29 2014-11-12 Gw Pharma Lt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phytocannabinoids cannabidivarin (CBDV) and cannabidiol (CBD)
WO2013138906A1 (en) * 2012-03-16 2013-09-26 Wright Jennifer Hemp-based infant formula and methods of making same
WO2015020516A1 (en) 2013-08-05 2015-02-12 Sustain B.V. Improved pollen and/or pollen substitute comprising bee food composition
EP3049076A4 (en) * 2013-09-26 2018-04-18 Ronald D. Sekura Topical treatments incorporating cannabis sp. derived botanical drug product
CN104256243A (zh) * 2014-09-04 2015-01-07 陈航 一种组合物及其制备方法、制剂与应用
CN104381774A (zh) 2014-10-28 2015-03-04 蚌埠市珠花蜂业有限责任公司 一种治疗便秘的固体沙蒿籽蜂蜜
CN107846936B (zh) 2015-07-22 2021-06-01 芙图法尔马国际有限公司 蜜蜂可摄取组成物及使用其生产蜂蜜的方法与由此生产的蜂蜜
WO2017072704A1 (en) 2015-10-31 2017-05-04 Canabuzz-Med Honey-cannabinoid therapeutic composition
CL2015003546A1 (es) 2015-12-03 2016-07-15 Univ Catolica De Témuco Uso de extractos naturales bioestimulantes para abejas apis mellifera
EP3383387A4 (en) 2015-12-05 2019-08-14 Canabuzz-Med VETERINARY COMPOSITION AND METHODS OF PRODUCTION AND USE
CN105505565A (zh) * 2015-12-28 2016-04-20 贵州航天乌江机电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萃取富含大麻二酚的工业大麻油的方法
GR20160200212U (el) 2016-07-14 2018-03-30 Αθανασιος Χριστοφορου Ζηκιδης Μελι και σιροπι απο καναββ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02086A1 (en) * 2011-05-20 2014-10-09 Brooks Kelly Research, Llc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Cannabinoids Having Reduced Psychoactivity through the Combination of CBD and Non-decarboxylated THC
WO2015074137A1 (en) 2013-11-20 2015-05-28 Mary Lynch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ocular inflammation and pain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bi, et al., "Pollen analysis and heavy metals detection in honey samples from seven selected countries", Pak. J. Bot., Vol. 40, No. 2, pp 507-516(2008)
Khan, et al., "Study of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ollen spectrum of Khan, et al., "Study of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ollen spectrum of
Ross, et. al., "Flavonoid Glycosides and Cannabinoids from the Pollen of Cannabis sativa L." Phytochem. Analysis, Vol. 16, pp 45-48(20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6295728A1 (en) 2018-02-15
CO2018001115A2 (es) 2018-04-19
IL257078A (en) 2018-03-29
JP2018522590A (ja) 2018-08-16
CL2018000162A1 (es) 2018-04-27
NZ739334A (en) 2024-02-23
IL257078B (en) 2021-09-30
IL285972A (en) 2021-10-31
US20190231826A1 (en) 2019-08-01
PT3324754T (pt) 2022-11-30
ES2931903T3 (es) 2023-01-04
WO2017013661A1 (en) 2017-01-26
CA2993023C (en) 2020-04-28
KR20180030908A (ko) 2018-03-26
US10278996B2 (en) 2019-05-07
US20180140644A1 (en) 2018-05-24
CN107846936A (zh) 2018-03-27
CA2993023A1 (en) 2017-01-26
EP3324754A1 (en) 2018-05-30
CN107846936B (zh) 2021-06-01
AU2016295728B2 (en) 2020-07-23
US11426434B2 (en) 2022-08-30
US20220378849A1 (en) 2022-12-01
MX2018000844A (es) 2018-07-06
BR112018001310A2 (pt) 2018-09-11
ZA201800595B (en) 2018-11-28
ECSP18012359A (es) 2018-10-31
PE20181011A1 (es) 2018-06-26
JP6976242B2 (ja) 2021-12-08
EP3324754B1 (en) 2022-09-07
IL285972B (en) 202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0440B1 (ko) 꿀벌―섭취가능한 조성물, 이를 이용한 꿀 생산 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꿀
Schimpl et al. Guarana: revisiting a highly caffeinated plant from the Amazon
KR101314302B1 (ko)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된 옻나무 추출물 및 그의 제조 방법
JP7161064B2 (ja) エルダーベリー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男性更年期症候群の予防、治療または改善用の組成物
Tănase et al. Potential of herbs as galactogogues-a review.
KR101336094B1 (ko) 피부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6762946B2 (ja) バーンアウト症候群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組成物
JP5004529B2 (ja) ヒスタミン遊離抑制剤
CN106822095A (zh) 一种防治脂肪肝和肥胖的药物及其在制药中的应用
Kamenan et al. Anxiolytic activity of an aqueous extract of Alchornea cordifolia (Euphorbiaceae) leaves
KR101009714B1 (ko) 검양옻나무 미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10406187B2 (en) Method for treating neuroinflammation with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Portulaca grandiflora hook. extract or fraction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Berköz Nigella sativa L.
KR102475985B1 (ko) 대황, 황금 및 황련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Verma Pharmacological Study on Ailanthus excelsa-Ardusa (Tree of Heaven) Simaroubaceae: A multipurpose Tree
Mehrabani et al. The effect of aquous extract of Cariandrum sativum on fetal weight and height in pregnant mice
KR101786463B1 (ko) 까마귀쪽나무 열매의 정유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대사증후군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Tavares Development of a plant-based beverage with anxiolytic-like effects evaluated in zebrafish (Danio rerio) model
ANDRONOIU et al. POTENTIAL OF HERBS AS GALACTOGOGUES–A REVIEW
KR20210050308A (ko) 번행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5606668A (zh) 一种抗衰老的食品级功能茶及其制备方法
UA144040U (uk) Дієтична добавка "еліксир "богатир"
KR20140050298A (ko) 프로폴리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크리신 화합물을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알콜 중독 및 금단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A106620U (uk) Спосіб виробництва сиропу із бузини
JP2005289979A (ja) 神経成長因子合成促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