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157B1 - 이산화 염소 발생 에어졸 - Google Patents

이산화 염소 발생 에어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157B1
KR102454157B1 KR1020207024277A KR20207024277A KR102454157B1 KR 102454157 B1 KR102454157 B1 KR 102454157B1 KR 1020207024277 A KR1020207024277 A KR 1020207024277A KR 20207024277 A KR20207024277 A KR 20207024277A KR 102454157 B1 KR102454157 B1 KR 102454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ontainer
aerosol product
propellant
chlor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1754A (ko
Inventor
야스토모 나카지마
레미 데라시마
Original Assignee
도요 에어로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 에어로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에어로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11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1/00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Salts thereof
    • C01B11/02Oxides of chlorine
    • C01B11/022Chlorine dioxide (ClO2)
    • C01B11/023Preparation from chlorites or chlorates
    • C01B11/024Preparation from chlorites or chlorates from chlor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8Dispensing two or more contents, e.g. sequential dispensing or simultaneous dispensing of two or more products without mixing them
    • B65D83/682Dispensing two or more contents, e.g. sequential dispensing or simultaneous dispensing of two or more products without mixing them the products being first separated, but finally mixed, e.g. in a dispensing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0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0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 B65D83/62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by membrane, bag,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8Dispensing two or more contents, e.g. sequential dispensing or simultaneous dispensing of two or more products without mixing them
    • B65D83/682Dispensing two or more contents, e.g. sequential dispensing or simultaneous dispensing of two or more products without mixing them the products being first separated, but finally mixed, e.g. in a dispensing head
    • B65D83/685Dispensing two or more contents, e.g. sequential dispensing or simultaneous dispensing of two or more products without mixing them the products being first separated, but finally mixed, e.g. in a dispensing head with one product being located in a chamber within, or forming part of, the dispensing head, e.g. for admixture during dispen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3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for aeros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속하여 즉효성이 높은 이산화 염소를 발생 가능한 에어졸 제품을 제공한다. 제1액이 충전된 제1용기, 제2액이 충전된 제2 용기 및 분사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액 및 제2액을 토출하여 혼합시키는 토출 기구를 가지는 에어졸 제품으로서, 상기 제1액은 아염소산염 수용액을 포함하고, 상기 제2액은 산성 물질 수용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졸 제품.

Description

이산화 염소 발생 에어졸
본 발명은, 이산화 염소를 발생시키는 에어졸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이산화 염소(ClO2)는 강한 산화력을 가져, 살균제나 바이러스 제거제, 소취제로서 이용되고 있다. 이산화 염소는, 취급의 관점으로부터 수용액의 형태로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그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아염소산 나트륨 등의 아염소산염의 상태로, 또한 pH를 알칼리성으로 한, 이른바 안정화 이산화 염화수 용액의 형태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안정화 이산화 염화수 용액을 이용하여, 일정한 농도의 이산화 염소 가스를 계속하여 방출시키는 수단으로서, 용존 이산화 염소 가스, 아염소산염 및 pH 조정제를 구성 성분으로 가지는 이산화 염소 액제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3110724호 공보
특허문헌 1의 이산화 염소 액제에서는, 일정한 농도의 이산화 염소 가스를 일정시간 계속하여 방출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해, 이러한 이산화 염소 액제는 즉효성이 높은 이산화 염소를 발생시킨다고 하는 관점에서는 불충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효성이라고 하는 관점에서는, 아염소산 나트륨 등의 아염소산염과, 이것을 활성화하여 이산화 염소를 발생시키기 위한 구연산 등의 활성제를 따로 따로 준비해 두고, 사용전에 혼합하는 수단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일단 혼합하면, 시간에 따라서 즉효성은 얻을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계속하여 즉효성이 높은 이산화 염소를 발생 가능한 에어졸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액이 충전된 제1용기, 제2액이 충전된 제2 용기 및 분사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액 및 제2액을 토출하여 혼합시키는 토출 기구를 가지는 에어졸 제품으로서,
상기 제1액은 아염소산염 수용액을 포함하고,
상기 제2액은 산성 물질 수용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졸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계속하여 즉효성이 높은 이산화 염소를 발생 가능한 에어졸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이중구조 용기의 에어졸 제품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 이중구조 용기에 있어서의 액추에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 이연관식(二連罐式)의 에어졸 제품의 개략도
[도 4] 바이러스가(價) 비교 시험에 있어서의 샬레의 설치예
본 발명은, 제1액이 충전된 제1용기, 제2액이 충전된 제2 용기 및 분사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액 및 제2액을 토출하여 혼합시키는 토출 기구를 가지는 에어졸 제품으로서,
상기 제1액은 아염소산염 수용액을 포함하고,
상기 제2액은 산성 물질 수용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에어졸 제품은, 아염소산염 수용액을 포함하는 제1액, 및 산성 물질 수용액을 포함하는 제2액을 토출하여 혼합한다. 아염소산염 수용액 및 산성 물질 수용액이 혼합되면, 아염소산염 수용액이 활성화하여 이산화 염소를 발생시킨다. 즉, 본 발명에서는 토출 직후에 이산화 염소의 발생이 시작되기 때문에, 즉효성 높고(발생 속도가 빠른 상태로) 피토출 부분으로부터 이산화 염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토출 후 1시간 이내에 바이러스가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즉효성이 높기 때문에, 종래의 안정화 이산화 염화수 용액을 이용한 이산화 염소 액제와 비교하여, 피토출 부분의 유기물 등의 영향도 받기 어렵다.
토출시 이외에서는, 아염소산염 수용액을 포함하는 제1액, 및 산성 물질 수용액을 포함하는 제2액은, 에어졸 제품 내에서 각각 제1용기 및 제2 용기에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안정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계속하여 즉효성이 높은 이산화 염소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에 이용할 수 있는 재료에 대해 설명한다.
<아염소산염 수용액>
본 발명에서는, 제1액으로서 아염소산염의 수용액을 이용한다. 아염소산염은, 아염소산 나트륨, 아염소산 칼륨, 아염소산 리튬, 아염소산 칼슘, 아염소산 마그네슘, 및 아염소산 바륨,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염소산 나트륨, 아염소산 칼륨, 및 아염소산 리튬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염소산 나트륨이다. 아염소산 나트륨 수용액은 시판의 것을 이용해도 되고, 예를 들면, 퓨오로젠(바이오사이드 재팬 주식회사)을 들 수 있다.
아염소산염 수용액에는, 필요에 따라서 완충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에어졸 제품 중의, 아염소산염 수용액의 농도는, 동시에 이용하는 산성 물질 수용액의 농도에도 의존하기 때문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질량 기준으로, 0.1~100,000 ppm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0,000 pp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10,000 pp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염소산염 수용액의 pH는, 사용하는 아염소산염이나, 필요에 따라서 이용하는 완충제 등에도 의존하기 때문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안정성의 관점으로부터, 5 이상 1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상 1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이상 9 미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 이상 8 미만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아염소산염 수용액이 완충제를 포함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5 이상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상 9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이상 8.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 이상 8 미만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산성 물질 수용액>
본 발명에서는, 제2액으로서, 산성 물질의 수용액을 이용한다. 산성 물질은, 아염소산염 수용액을 활성화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산성 물질은, 염산, 황산, 질산, 인산, 젖산, 아세트산, 숙신산, 옥살산, 구연산, 붕산, 및 글루콘산 등의 산이나, 구연산 나트륨, 인산 2수소 나트륨, 및 인산 수소 2나트륨 등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염산, 황산, 구연산, 및 젖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다.
인체 등에 대한 안전성의 관점에서는, 인산, 젖산, 숙신산, 옥살산, 구연산, 붕산, 및 글루콘산 등의 산이나, 구연산 나트륨, 인산 2수소 나트륨, 및 인산 수소 2나트륨 등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구연산, 및 젖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다.
산성 물질 수용액의 농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0.1~3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pH는, 1~5인 것이 바람직하고, 1~3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제1액이 아염소산 나트륨 수용액이며, 제2액이 구연산 수용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염소산 나트륨과 구연산의 혼합에 의해, 예를 들면 이하의 반응으로 이산화 염소를 발생시킬 수 있다.
5NaClO2 + 4C5H7O5(COOH)
→ 4ClO2+2H2O+5Na+ + C5H7O5COO-
<그 외의 첨가제>
본 발명의 에어졸 제품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정도로 다른 첨가제를 이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공지의 계면활성제, 증점제, 향료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안정성의 관점으로부터, 첨가제는 제2액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제1액과 제2액이 충전되는 용기가 따로따로 있기 때문에, 제1액인 아염소산염의 안정성을 유지한 채로, 제1액과 제2액의 혼합액에 첨가제의 효과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분사제>
분사제는 특별 한정되지 않고, 액화 가스를 사용해도 되고, 압축 가스를 사용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압축 가스이며, 아산화 질소 가스, 질소 가스, 탄산 가스 또는 이들 혼합 가스 등을 들 수 있다.
<에어졸 제품>
본 발명의 에어졸 제품은, 제1액이 충전된 제1용기, 및 제2액이 충전된 제2 용기를 포함한다. 제1액과 제2액을 따로따로 충전하고, 양자를 토출 혼합할 수 있는 용기 형태이면 되고, 예를 들면, 이중구조 용기나 이연관식 등의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이중구조 용기는, 예를 들면, 분사제가 충전된 분사제용 충전 공간과, 제1용기와, 제2 용기를 구비하는 외(外)용기, 및 제1용기 및 제2 용기로부터 제1액 및 제2액을 토출 혼합시키는 토출 기구를 갖고, 상기 분사제용 충전 공간은, 상기 제1용기, 상기 제2 용기 및 상기 외용기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중구조 용기에서는, 분사제가 충전된 분사제용 충전 공간과, 제1액이 충전된 제1용기와, 제2액이 충전된 제2 용기를 구비하는 외용기를 가진다. 분사제용 충전 공간에 충전된 분사제의 압력에 의해, 이들 제1용기 및 제2 용기의 각각으로부터, 제1액 및 제2액을 동시에 토출 혼합시킬 수 있다.
이하, 토출 기구를 포함하는 이중구조 용기의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이중구조 용기의 에어졸 제품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2는, 도 1의 이중구조 용기에 있어서의 액추에이터(토출 기구)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 이중구조 용기(10)는, 에어졸용 밸브(12)가 설치되어 있는 금속제의 내압 용기(외용기)(11)을 구비하고 있다. 이 내압 용기(외용기)(11)의 내부에는, 제1액을 충전하기 위한 제1용기를 구획하는 제1의 내대(內袋)(15A)와, 제2액을 충전하기 위한 제2 용기를 구획하는 제2의 내대(15B)가 설치되어 있다. 추가로, 내압 용기(외용기)(11), 제1의 내대(15A) 및 제2의 내대(15B)의 각각의 사이의 간극에 의해서 분사제를 충전하기 위한 분사제용 충전 공간(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에어졸용 밸브(12)에는, 제1의 하우징(13A) 내 및 제2의 하우징(13B) 내의 각각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접동 가능하게 배치된, 내부에 스템 통로를 가지는 제1의 스템(14A) 및 제2의 스템(14B)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1의 스템(14A) 및 제2의 스템(14B)의 상단에는, 공통의 액추에이터(토출 기구)(21)이 설치되어 있다.
도 1 에 있어서는, 내압 용기(11) 및 액추에이터(21)의 내부에 위치하는 구성요소를 파선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에어졸 제품에서는, 토출 혼합물이 분무상으로 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무상으로 토출하기 위한 액추에이터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태양을 들 수 있다.
공통의 액추에이터(21)에는, 제1의 스템(14A)의 스템 통로에 연통하는 제1의 액추에이터 통로(22A)와, 제2의 스템(14B)의 스템 통로에 연통하는 제2의 액추에이터 통로(22B)와, 이들 제1의 액추에이터 통로(22A) 및 제2의 액추에이터 통로(22B)와 일단에 있어서 연통하고, 타단에 있어서 분구(噴口) 형성 부재(24)의 토출구(24A)와 연통하는 L자상의 혼합용 공간(23)이 설치되어 있다. 이 혼합용 공간(23)에는, 제1액 및 제2액을 통과시키면서 미소 액적으로 분할하는 기능을 가지는 선회 통로(23A)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토출 기구를 채용하는 것으로써, 분사제용 충전 공간에 충전된 분사제의 압력에 의해, 제1액 및 제2액을 각각 제1의 내대(15A) 및 제2의 내대(15B)로부터 분무상으로 토출 혼합시킬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1액 및 제2액의 2 종류의 내용액을 토출 혼합하는 태양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중구조 용기에서는 3종류 이상의 내용액을 토출 혼합하는 태양이어도 된다. 즉, 추가로, 내압 용기(11) 내에, 제3의 내대, 제3의 하우징 및 제3의 스템 등을 마련함으로, 3종류 이상의 내용액을 토출 혼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의 내대나 제4의 내대를 마련하고, 상기 그 외의 첨가제 등을 충전하고 토출 혼합시킬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용액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내대를 병렬적으로 배열시키고 있지만, 내대의 배치는 공지의 여러가지 태양을 채용할 수 있다. 제1의 내대와 제2의 내대를 상하로 배열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제1의 내대를 위에, 제2의 내대를 아래에 배열시키고, 튜브 등으로 액추에이터와 제1의 내대 및 제2의내대를 연결시켜도 된다. 제2의 내대와 액추에이터를 연결하는 튜브는, 제1의 내대의 밖을 통해도 되고, 제1액과 접촉하지 않게 제1의 내대의 내부를 통해도 된다.
한편, 이연관식은, 각각 2 개의 에어졸 제품을 일체로 하여서, 제1액 및 제2액을 분사제에 의해서 동시에 토출 혼합하는 태양이다.
예를 들면, 제1액이 충전된 제1내용기 및 제2액이 충전된 제2 내용기, 상기 제1내용기가 격납된 제1외용기 및 상기 제2 내용기가 격납된 제2외용기, 및 상기 제1액 및 상기 제2액을 토출 혼합시키는 토출 기구를 갖고,
상기 제1내용기와 상기 제1외용기와의 사이 및 상기 제2 내용기와 상기 제2외 용기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각각 분사제가 충전되어 있다.
도 3은, 이연관식의 에어졸 제품의 개략도이다.
에어졸 제품(30)은, 제1외 용기(31a), 제2외 용기(31b), 및 액추에이터 통로(35)를 구비한 액추에이터(토출 기구)(36)를 구비한다. 제1외 용기(31a)에는 제1내용기(32a)가 격납되고, 또한 제1내용기(32a)에는 제1액이 충전되어 있다. 제2외 용기(31b)에는 제2 내용기(32b)가 격납되고, 또한 제2 내용기(32b)에는 제2액이 충전되어 있다. 제1외 용기(31a), 및 제2외 용기(31b)는, 고정반(37)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에어졸 제품 내에 있어서, 제1외용기(31a)와 제1내용기(32a)의 사이, 및 제2외용기(31b)와 제2 내용기(32b)의 사이에는 제1분사제용 충전 공간(33a)과 제2 분사제용 충전 공간(33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분사제용 충전 공간에는, 제1액 및 제2액을 토출 기구(35)로부터 토출시키기 위한 분사제가 충전된다.
도 3에서는, 용기를 병렬적으로 배열시키고 있지만, 용기의 배치는 공지의 여러가지 태양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외용기와 제2외 용기를 상하에 배열시켜도 된다. 제1외용기를 위에, 제2외용기를 아래에 배열시키고, 튜브 등으로 액추에이터와 제1외용기 및 제2외용기를 연결시켜도 된다.
토출 기구(35)는, 제1내용기(32a) 및 제2 내용기(32b)에 충전된 조성물을 토출 혼합하는 토출구를 각각 가진다. 토출구에서 토출된 제1액과 제2액은, 바람직하게는 분무상으로 토출된다.
이연관식의 에어졸 제품도, 이중구조 용기와 같게, 3종류 이상의 내용액을 토출 혼합하는 태양이어도 된다. 즉, 추가로, 제3외용기, 제3 내용기, 제3 분사제 충전 공간 등을 마련함으로, 3종류 이상의 내용액을 토출 혼합시킬 수 있다.
도 3에 있어서의 액추에이터(토출 기구)는, 토출구를 2개 갖고, 제1액과 제2액이 다른 토출구로부터(바람직하게는 분무상으로) 토출되고, 혼합되는 태양이다. 이와 같이, 제1액 및 제2액의 혼합은, 액추에이터(토출 기구)로부터 토출된 후에 행해져도 된다.
이중구조 용기 및 이연관식의 양태양에 있어서, 액추에이터(토출 기구)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2와 같이, 제1액 및 제2액이 액추에이터(토출 기구) 내에서 혼합된 후에 (바람직하게는 분무상으로) 토출되는 구조이어도 되고, 도 3과 같이, 토출구를 2개 갖고, 제1액과 제2액이 다른 토출구로부터 (바람직하게는 분무상으로) 토출되고, 혼합되는 태양이어도 된다. 제1액 및 제2액의 반응성의 관점으로부터 전자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에어졸 제품에 있어서, 액추에이터(토출 기구)로부터 토출되는 제1액 및 제2액의 혼합비(제1액의 질량:제2액의 질량)는, 제1액 및 제2액의 농도에도 의존하기 때문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0.8:1.2~1.2:0.8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제1액 및 제2액을 충전하는 용기(내용기)는 특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지의 수지제, 금속제 및 그들을 조합한 용기를 이용할 수 있다.
외용기에 관해서도, 분사제의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금속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의 태양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에어졸 제품 1의 제조>
제1액 및 제2액으로서 이하의 수용액을 준비하고, 각각 도 1에 나타냄 같은 이중구조 용기의 제1용기 및 제2 용기에 충전했다. 이중구조 용기의 외용기, 제1용기 및 제2 용기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에 질소 가스를 충전하여, 에어졸 제품 1을 얻었다. 덧붙여, 토출 기구는 도 2에 나타냄 같은, 혼합물을 분무상으로 토출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제1액 및 제2액의 토출량은, 질량 기준으로 1:1로 했다. 토출 후의 아염소산 이온 농도는 500ppm이 된다.
(제1액)
·아염소산 나트륨 수용액(아염소산 이온 농도 1000ppm, pH 8.9)
퓨오로젠(바이오사이드 재팬 주식회사)을 희석하여 사용
(제2액)
·구연산 20 질량% 수용액
<비교예 1>
시판의 이산화 염소 제제인 클레베린 스프레이(다이코 약품 주식회사)를 이용했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이용한 것과 같은 아염소산 나트륨 수용액을 희석한 것(아염소산 이온 농도 500ppm, pH 8.7)을, 에어졸 용기에 충전하고, 비교 에어졸 제품을 얻었다. 분사제로는 질소 가스를 사용하고, 토출 형태는 분무상이다.
<바이러스 도포 샬레>
고양이 칼리시 바이러스(FCV-F9)의 인산 완충 생리 식염수에 의한 희석액을, 샬레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바이러스 도포 샬레를 준비했다.
<바이러스가 비교 시험>
상기대로 준비한, 바이러스 도포 샬레를 이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이산화 염소제의 효과를 조사했다. 제품의 분무는, 폭 95 cm, 길이 180 cm, 높이 160 cm의 가라지 내에서 실시했다. 가라지 내에 높이 60 cm의 시험대(1)를 준비하고, 바이러스 도포 샬레(3)를, 분무한 액체가 바이러스 도포면(2)에 직접 접촉하지 않게 도 4와 같이 설치하고, 높이 131 cm의 위치로부터, 분무했다. 분무량은 각각의 이산화 염소제로 같게 되도록 했다.
분무한 0시간 후 및 1시간 후에 샬레를 가라지로부터 취출하고, 바이러스를 추출하여, 바이러스가를 평가했다. 각 이산화 염소제로 대하여, 0시간 후 및 1시간 후에 평가하고, 상가평균치(相加平均値)를 산출하여,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바이러스가의 평가는, TCID50법에서 수행했다. 분사 샘플로서 증류수를 이용했을 경우의 값을 100으로 했을 때의, 각 예의 결과를 나타낸다.
표 1의 결과에서, 본 발명의 에어졸 제품은 즉효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20088454016-pct00001
<유효 이산화 염소의 적정 시험>
이하의 방법에 의해, 각 아염소산 나트륨 수용액의 유효 이산화 염소 농도의 경시 변화를 확인했다.
·측정 샘플액 1(구연산 없음)
퓨오로젠(바이오사이드 재팬 주식회사)을 정제수로 희석하여, BCI 적정 키트로 측정 가능한 500ppm으로 조정하여, 측정 샘플액 1로 했다.
·측정 샘플액 2(구연산 1질량% 수용액으로 활성화)
퓨오로젠(바이오사이드 재팬 주식회사)을 정제수로 희석하여, 퓨오로젠 2,000ppm 희석액을 제작했다. 별도로, 구연산 1질량% 수용액을 제작했다. 퓨오로젠 2,000ppm 희석액과 구연산 1질량% 수용액을 20g씩 혼합하여, 활성화 퓨오로젠 1,000ppm 희석액을 제작했다. 이것을 추가로 2배 희석하여, BCI 키트 적정으로 측정 가능한 500ppm으로 조정하여, 측정 샘플액 2로 했다.
·측정 샘플액 3(구연산 10질량% 수용액으로 활성화)
퓨오로젠(바이오사이드 재팬 주식회사)을 정제수로 희석하여, 퓨오로젠 2,000ppm 희석액을 제작했다. 별도로, 구연산 10질량% 수용액을 제작했다. 퓨오로젠 2,000ppm 희석액과 구연산 10질량% 수용액을 20g씩 혼합하여, 활성화 퓨오로젠 1,000ppm 희석액을 제작했다. 이것을 추가로 2배 희석하여, BCI 적정 키트로 측정 가능한 500ppm으로 조정하여, 측정 샘플액 3으로 했다.
·측정 샘플액 4(구연산 20 질량% 수용액으로 활성화)
퓨오로젠(바이오사이드 재팬 주식회사)을 정제수로 희석하여, 퓨오로젠 2,000ppm 희석액을 제작했다. 별도로, 구연산 20질량% 수용액을 제작했다. 퓨오로젠 2,000ppm 희석액과 구연산 20질량% 수용액을 20 g씩 혼합하여, 활성화 퓨오로젠 1,000ppm 희석액을 제작했다. 이것을 추가로 2배 희석하여, BCI 적정 키트로 측정 가능한 500ppm으로 조정하여, 측정 샘플액 4로 했다.
○적정 절차
적정은, BCI 적정 키트(바이오사이드 재팬 주식회사)를 이용하여 이하와 같게 실시했다.
1. 적정 용기에 C/D Reagent#1을 10 방울 넣는다.
2. 1의 용기에 C/D Reagent#2를 10 방울 넣는다.
3. 2의 용기에 측정 샘플액을 1 g 넣고, 혼합한다.
4. 3의 용기에 C/D Reagent#3을 5방울 넣는다.
5. 4의 용기에 C/D Reagent#4를 1방울씩 넣고, 액이 투명하게 될 때까지 적하한다.
각 측정 샘플에 대해서, 샘플액 조정 직후(0일), 3시간 후(0.125일 후), 1일 후, 3일 후, 35일 후에 적정을 실시했다.
○유효 이산화 염소의 산출 방법
적정의 결과로부터, 유효 이산화 염소 농도를 이하의 식에 의해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유효 이산화 염소(ppm) = 적하수 Х 5
표 2의 결과에서, 구연산을 첨가하지 않으면 아염소산 나트륨 수용액의 유효 이산화 염소는 거의 변화하지 않고, 구연산을 가하면 경시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구연산 등의 활성제와 아염소산염을 혼합하는 타입의 제품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에어졸 제품은, 시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하게 즉효성이 높은 이산화 염소를 발생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20088454016-pct00002
다음으로, 염산 또는 황산을 이용했을 경우의 유효 이산화 염소 농도의 경시 변화를 확인했다.
·측정 샘플액 5(염산 1질량% 수용액으로 활성화)
퓨오로젠(바이오사이드 재팬 주식회사)을 정제수로 희석하여, 퓨오로젠 2,000ppm 희석액을 제작했다. 별도로, 염산 1질량% 수용액을 제작했다. 퓨오로젠 2,000ppm 희석액과 염산 1질량% 수용액을 20 g씩 혼합하여, 활성화 퓨오로젠 1,000ppm 희석액을 제작했다. 이것을 추가로 2배 희석해, BCI 키트 적정으로 측정 가능한 500ppm로 조정하여, 측정 샘플액 5로 했다.
·측정 샘플액 6(황산 1 질량% 수용액으로 활성화)
퓨오로젠을 정제수로 희석하여, 퓨오로젠 2,000ppm 희석액을 제작했다. 별도로, 황산 1질량% 수용액을 제작했다. 퓨오로젠 2,000ppm 희석액과 황산 1질량% 수용액을 20g씩 혼합하여, 활성화 퓨오로젠 1,000ppm 희석액을 제작했다. 이것을 추가로 2배 희석해, BCI 키트 적정으로 측정 가능한 500ppm으로 조정하여, 측정 샘플액 6으로 했다.
·측정 샘플액 2(구연산 1질량% 수용액으로 활성화)
상기와 같게 제작한 측정 샘플액 2를 이용했다.
상기 측정 샘플액에 대해서, 샘플 조정 직후(0일), 3시간 후(0.125일 후), 1일 후, 3일 후, 및 35일 후에 적정을 실시했다. 샘플액 5 및 6은, 9일 후 및 28일 후에도 수행했다. 적정은, BCI 적정 키트(바이오사이드 재팬 주식회사)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게 수행하여, 유효 이산화 염소 농도(ppm)를 산출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하기 결과에서, 염산이나 황산 등의 강산을 활성화제로서 이용했을 경우, 유효 성분의 실활이 빠른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졸 제품이면, 산성 물질로 강산을 이용했을 경우에서도, 시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하게 즉효성이 높은 이산화 염소를 발생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20088454016-pct00003
10: 이중구조 용기, 11: 내압 용기(외용기), 12: 에어졸용 밸브, 13A: 제1의 하우징, 13B: 제2의 하우징, 14A: 제1의 스템, 14B: 제2의 스템, 15A: 제1의 내대, 15B: 제2의 내대, 16: 분사제용 충전 공간, 21: 액추에이터, 22A: 제1의 액추에이터 통로, 22B: 제2의 액추에이터 통로, 23: 혼합용 공간, 23A: 선회 통로, 24: 분구 형성 부재, 24A: 토출구
30: 에어졸 제품, 31a: 제1외용기, 31 b: 제2외용기, 32a: 제1내용기, 32b: 제2 내용기, 33a: 제1분사제용 충전 공간, 33b: 제2 분사제용 충전 공간, 35: 액추에이터 통로, 36: 액추에이터, 37: 고정반
1: 시험대, 2: 바이러스 도포면, 3: 샬레

Claims (9)

  1. 제1액이 충전된 제1용기, 제2액이 충전된 제2 용기 및 분사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액 및 제2액을 토출하여 혼합시키는 토출 기구를 가지는 에어졸 제품으로서,
    상기 제1액은 아염소산염 수용액을 포함하고,
    상기 제2액은 산성 물질 수용액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제가 충전된 분사제용 충전 공간과, 상기 제1 용기와 상기 제2 용기를 구비하는 외용기, 및 상기 제1 용기 및 상기 제2 용기로부터 상기 제1액 및 상기 제2액을 토출 혼합시키는 토출 기구를 갖고,
    상기 분사제용 충전 공간은, 상기 제1 용기, 상기 제2 용기 및 상기 외용기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사제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 용기 및 상기 제2 용기로부터, 각각 상기 제1액 및 상기 제2액을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졸 제품.
  2. 제1액이 충전된 제1용기, 제2액이 충전된 제2 용기 및 분사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액 및 제2액을 토출하여 혼합시키는 토출 기구를 가지는 에어졸 제품으로서,
    상기 제1액은 아염소산염 수용액을 포함하고,
    상기 제2액은 산성 물질 수용액을 포함하며,
    상기 제1액이 충전된 제1 내용기 및 상기 제2액이 충전된 제2 내용기, 상기 제1 내용기가 격납된 제1 외용기 및 상기 제2 내용기가 격납된 제2 외용기, 및 상기 제1액 및 상기 제2액을 토출 혼합시키는 토출 기구를 갖고,
    상기 제1 내용기와 상기 제1 외용기의 사이 및 상기 제2 내용기와 상기 제2 외용기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각각 분사제가 충전되어 있으며,
    상기 분사제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 용기 및 상기 제2 용기로부터, 각각 상기 제1액 및 상기 제2액을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졸 제품.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액 및 상기 제2액이 상기 토출기구의 내부에서 혼합된 후에 분무상으로 토출되는 에어졸 제품.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염소산염이, 아염소산 나트륨을 포함하는 에어졸 제품.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산성 물질이, 염산, 황산, 구연산, 및 젖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에어졸 제품.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염소산염 수용액의 pH가, 5 이상 12.5 이하인 에어졸 제품.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염소산염 수용액의 농도가, 질량 기준으로, 0.1~100,000 ppm인 에어졸 제품.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산성 물질 수용액의 농도가, 0.1~30 질량%인 에어졸 제품.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액이, 첨가제를 포함하는 에어졸 제품.
KR1020207024277A 2018-01-29 2018-09-26 이산화 염소 발생 에어졸 KR1024541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12305A JP7139558B2 (ja) 2018-01-29 2018-01-29 二酸化塩素発生エアゾール
JPJP-P-2018-012305 2018-01-29
PCT/JP2018/035568 WO2019146158A1 (ja) 2018-01-29 2018-09-26 二酸化塩素発生エアゾ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754A KR20200111754A (ko) 2020-09-29
KR102454157B1 true KR102454157B1 (ko) 2022-10-14

Family

ID=67395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277A KR102454157B1 (ko) 2018-01-29 2018-09-26 이산화 염소 발생 에어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339341A1 (ko)
EP (1) EP3738925B1 (ko)
JP (1) JP7139558B2 (ko)
KR (1) KR102454157B1 (ko)
CN (1) CN111655611A (ko)
WO (1) WO201914615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5908A (ja) 1998-12-24 2000-07-04 Chisso Corp 二酸化塩素水の製造方法
JP2000239003A (ja) 1999-02-19 2000-09-05 Chisso Corp 二酸化塩素水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4143004A (ja) * 2002-10-25 2004-05-20 Masakazu Takeuchi 二酸化塩素水の生成装置
JP2008094662A (ja) 2006-10-12 2008-04-24 Takimoto Giken Kogyo Kk 配管接続型の二酸化塩素水生成装置
US20100036305A1 (en) 2005-01-28 2010-02-11 Tristel Plc. Sterila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0724B2 (ja) 1997-11-28 2000-11-20 ビジネスプラン株式会社 純粋二酸化塩素液剤、これを含有するゲル状組成物及び発泡性組成物、並びに、これらを入れるための容器
US7967220B2 (en) * 2002-09-13 2011-06-28 Bissell Homecare, Inc. Manual sprayer with dual bag-on-valve assembly
US20050079123A1 (en) * 2003-10-10 2005-04-14 Shuler Robert K. Method and apparatus for microbial decontamination
JP2004337582A (ja) * 2003-10-27 2004-12-02 Tatsuo Okazaki 殺菌液保存方法及び殺菌用容器並びにこれに用いられる開閉弁付きノズル
JP4362769B2 (ja) * 2004-01-20 2009-11-11 株式会社三谷バルブ 多液混合放出式のエアゾール容器
CN104770394A (zh) * 2007-03-15 2015-07-15 大幸药品株式会社 纯二氧化氯液剂、含有其的凝胶状组合物及发泡性组合物
CN101687638A (zh) * 2007-06-26 2010-03-31 大幸药品株式会社 二氧化氯的制造方法、及使用该方法的二氧化氯制造用碱组合物
JP4947792B2 (ja) * 2007-10-26 2012-06-06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複数液混合用エアゾール装置
GB2484262B (en) * 2010-09-29 2013-08-21 Tristel Plc Hand sanitizer
PL2690061T3 (pl) * 2011-03-23 2019-03-29 Taiko Pharmaceutical Co., Ltd. Generator ditlenku chloru
JP2012229318A (ja) * 2011-04-26 2012-11-22 Toyo Aerosol Ind Co Ltd 泡沫形成用エアゾール製品
JP5804556B2 (ja) * 2011-09-30 2015-11-04 株式会社ダイゾー 2液混合吐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吐出製品
US9776787B2 (en) * 2012-08-16 2017-10-03 Toyo Aerosol Industry Co., Ltd. Foam forming aerosol dispenser
US9931656B2 (en) * 2014-04-18 2018-04-03 The Clorox Company Dual chamber spray dispenser
JP2018080062A (ja) * 2015-06-26 2018-05-24 株式会社アイ・イー・ジェー 二酸化塩素発生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769748B2 (ja) * 2016-06-16 2020-10-14 日本製紙株式会社 発泡性エアゾール組成物
EP3514214B1 (en) * 2016-09-15 2021-02-17 Lumica Corporation Chemiluminescent aerosol product
DE102016012650A1 (de) * 2016-10-24 2018-04-26 Beiersdorf Ag Mehrkomponentenapplikator
KR20200027972A (ko) * 2017-09-19 2020-03-13 도요 에어로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에어로졸 제품
KR102470703B1 (ko) * 2017-09-20 2022-11-25 씨엘오투 랩 인크. 이산화염소 가스의 발생 방법, 액체 조성물, 겔상 조성물 및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 키트
US10626016B2 (en) * 2017-11-27 2020-04-21 Brandeis University Method and composition of humidity-controlled generation of chlorine dioxide in polymers and superabsorbent hydrogels
JP6941223B2 (ja) * 2018-03-09 2021-09-29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エアゾール製品
WO2019193742A1 (ja) * 2018-04-06 2019-10-10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エアゾール製品
EP3838253B1 (en) * 2018-09-27 2024-03-13 Toyo Aerosol Industry Co., Ltd. Gelled aerosol product and gel forming kit
US11168005B2 (en) * 2019-02-19 2021-11-09 Dripping Wet Water, Inc Conductivity control of aqueous chemical dosing in water treatment system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5908A (ja) 1998-12-24 2000-07-04 Chisso Corp 二酸化塩素水の製造方法
JP2000239003A (ja) 1999-02-19 2000-09-05 Chisso Corp 二酸化塩素水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4143004A (ja) * 2002-10-25 2004-05-20 Masakazu Takeuchi 二酸化塩素水の生成装置
US20100036305A1 (en) 2005-01-28 2010-02-11 Tristel Plc. Sterilant system
JP2008094662A (ja) 2006-10-12 2008-04-24 Takimoto Giken Kogyo Kk 配管接続型の二酸化塩素水生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655611A (zh) 2020-09-11
WO2019146158A1 (ja) 2019-08-01
US20200339341A1 (en) 2020-10-29
JP7139558B2 (ja) 2022-09-21
EP3738925B1 (en) 2023-09-13
EP3738925A4 (en) 2021-03-03
EP3738925A1 (en) 2020-11-18
JP2019131414A (ja) 2019-08-08
KR20200111754A (ko) 202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7311B1 (ko) 이산화염소용 안정화 조성물
EP3269348B1 (en) Aerosol product for forming gel composition
CN101107018B (zh) 消毒剂系统
EP1408005A2 (en) Preparation and use of biocidal solutions
JPS6254838B2 (ko)
CA2519523A1 (en) Formulation for a metered dose inhaler using hydro-fluoro-alkanes as propellants
WO2007060108A3 (de) Aerosolformulierung für die inhalation enthaltend ein anticholinergikum
CY1107376T1 (el) Μεθοδος παρασκευης συνταγοποιησεων για συσκευη εισπνοης μετρημενης δοσης
US6602442B1 (en) Composition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US4431120A (en) Packaging system
KR102454157B1 (ko) 이산화 염소 발생 에어졸
EP1618786A1 (en) Composition for bactericide produc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organic peracid
US20090028965A1 (en) Multi-part disinfectant
JP4738905B2 (ja) 除菌・消臭剤組成物およびエアゾール式噴出装置
EA013405B1 (ru) Состав аэрозоля для дозирующих ингаляторов под давлением
EP3269347B1 (en) Aerosol product for forming cool-feeling gel composition for human body
JPH11269017A (ja) 純粋二酸化塩素液剤又は安定化二酸化塩素液剤を含有するエアゾール組成物
BR112019011552B1 (pt) Sistema de desinfecção, kit de desinfecção e método de desinfecção das mãos
JPH01305023A (ja) 速破性発泡エアゾール組成物
AU2003204430B2 (en) Preparation and use of biocidal solutions
WO2005079872A1 (ja) 空間殺菌用組成物及び空間殺菌方法
DD246786A1 (de) Koerperdeodorantsprays
DE1136057B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luessigen, waessrigen Dauerwellmittels, das durch Druck eines Gases aus einem mit einem Ventil versehenen Behaelter auf das Haar gebracht wird
JP2014172894A (ja) エアゾール型可食性除菌剤
JPS59221375A (ja) エアゾ−ル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