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407B1 - 광 커넥터와 케이블 및 광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광 커넥터와 케이블 및 광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407B1
KR102443407B1 KR1020167023357A KR20167023357A KR102443407B1 KR 102443407 B1 KR102443407 B1 KR 102443407B1 KR 1020167023357 A KR1020167023357 A KR 1020167023357A KR 20167023357 A KR20167023357 A KR 20167023357A KR 102443407 B1 KR102443407 B1 KR 102443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ignal
optical
lens
ligh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3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0758A (ko
Inventor
가즈요시 스즈키
가즈모토 곤도
가즈아키 도바
야스히사 나카지마
사토시 미야자키
마사나리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130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0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the light guide being disconnectable from the opto-electronic element, e.g. mutually self alig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2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lens focusing means positioned between opposed fibre e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47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 G02B6/3849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using mechanical protective elements, e.g. caps, hoods, sealing membra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3Lens inside the ferrul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6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coupling with sources of high radiant energy, e.g. high power lasers, high temperature light sources
    • G02B2006/4297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coupling with sources of high radiant energy, e.g. high power lasers, high temperature light sources having protection means, e.g. protecting humans against accidental exposure to harmful laser 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플러그(31)의 렌즈(311)는, 광 섬유 케이블(20)로부터의 광 신호를 소정의 발산각의 광으로 변환해서 출사한다. 플러그 하우징(315)은, 광 섬유 케이블(20)과 렌즈(311)를 고정한다. 렌즈(311)는, 광 섬유 케이블(20)의 출사면(20a)측에서, 광 섬유 케이블(20)로부터의 광 신호가 소정의 발산각의 광이 되는 위치로 한다. 플러그(31)로부터 출사되는 광 신호는, 주위 사람의 안구에 입사될 때에 분산된 상태로 되므로, 시각 기능 등에 악영향을 주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광 커넥터와 케이블 및 광 통신 장치{OPTICAL CONNECTOR, CABLE, AN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이 기술은, 광 커넥터와 케이블 및 광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광 신호가 시각 기능 등에 악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종래, 레이저광을 사용한 광 통신에서는, 예를 들어 광 커넥터를 사용한 광 섬유 케이블의 접속이 행해지고 있다. 광 커넥터에서는, 플러그와 리셉터클 사이에서 통신되는 광 신호를 콜리메이트 광으로 하기 위한 렌즈가 플러그측과 리셉터클측의 한쪽에 설치되고, 다른 쪽에 콜리메이트 광을 집광하기 위한 렌즈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콜리메이트 광을 사용해서 플러그와 리셉터클 사이의 통신을 행하도록 하면, 광 섬유 케이블의 단부면을 광 검출 등과 서로 대향하도록 소정 간격으로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하지 않더라도 광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광 커넥터를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광 섬유 케이블의 단부로 이동 가능한 셔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 셔터는, 폐쇄 위치일 때에 광 섬유 케이블의 광 신호 출사측의 단부면(출사면)을 커버한다. 따라서, 출사면을 흠집이나 오염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음과 함께, 광 섬유 케이블 안으로의 광의 입사 등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셔터는 광 섬유 케이블의 출사면을 커버함으로써, 광 섬유 케이블의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되는 콜리메이트 광이 주위 사람의 안구에 입사하여, 시각 기능 등에 악영향을 주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00-147333호 공보
그런데, 레이저광의 출사면을 커버하는 셔터를 설치하는 경우, 셔터의 마모 등에 의해 폐쇄 위치로 되지 않는 경우나, 클리닝 등을 위해 셔터를 개방 위치로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광 신호의 출사면이 노출된 상태가 되므로 콜리메이트 광이 주위 사람의 안구에 입사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 기술에서는, 시각 기능 등에 악영향을 주는 광 신호의 출사를 방지할 수 있는 광 커넥터와 케이블 및 광 통신 장치를 제공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기술의 제1 측면은, 광 전송로 또는 광원으로부터의 광 신호를 소정의 발산각으로 변환해서 출사하는 렌즈와,
상기 렌즈가 고정되어, 상기 광 신호의 수신측 커넥터에 장착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광 커넥터에 있다.
이 기술에서는, 광 신호의 수신측 커넥터에 장착되는 하우징에 고정된 렌즈에 의해, 광 신호가 소정의 발산각으로 변환되어 출사된다. 소정의 발산각은, 렌즈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의 소정 영역의 광량이 미리 설정된 광량 이하가 되는 각도, 예를 들어 10도 이상의 발산각으로 변환된다. 또는, 소정의 발산각은, 하우징을 수신측 커넥터에 장착했을 때의 설치 허용 오차 범위에서, 수신측 커넥터에서 수신되는 광 신호의 광량의 저하량이 미리 설정된 광량 이하가 되는 각도, 예를 들어 20도 이하의 발산각으로 변환된다. 또한, 렌즈는 광 신호를 렌즈로부터 소정 거리보다 근접한 위치에 집광시키는 것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소정의 발산각을 갖는 광 신호로 변환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하우징에서는, 렌즈뿐만 아니라, 렌즈로부터 출사하는 광 신호가 소정의 발산각이 되는 위치에서, 광 신호를 렌즈에 출사하는 광 전송로 또는 광원이 유지된다. 예를 들어 광 전송로 또는 광원은, 광 신호의 출력 위치가 렌즈의 초점 위치와 다른 위치에서 유지된다.
이 기술의 제2 측면은,
광 섬유 케이블 단부면으로부터의 광 신호를 소정의 발산각으로 변환해서 출사하는 렌즈와,
상기 광 섬유 케이블과 상기 렌즈를 일체로 고정해서 상기 광 신호의 수신측 커넥터에 장착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케이블에 있다.
이 기술의 제3 측면은,
광 신호 출력부와,
상기 광 신호 출력부로부터의 광 신호를 소정의 발산각으로 변환해서 출사하는 렌즈와,
상기 렌즈가 고정되어, 상기 광 신호의 수신측 커넥터가 장착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광 통신 장치에 있다.
이 기술에서는, 광 전송로 또는 광원으로부터의 광 신호를 소정의 발산각의 광으로 변환하는 렌즈와, 상기 렌즈가 고정되어, 상기 광 신호의 수신측 광 커넥터와 장착되는 하우징이 설치된다. 따라서, 출사되는 광 신호는, 주위 사람의 안구에 입사될 때에 분산된 상태로 되므로, 시각 기능 등에 악영향을 주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부가적인 효과가 있어도 된다.
도 1은 광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광 신호를 출사하는 플러그의 개략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광 신호가 입사되는 리셉터클의 개략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광 커넥터의 제1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플러그로부터의 출사광이 발산각을 갖는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설치로 인해 오차가 발생한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리셉터클에 플러그를 장착한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광 커넥터의 제2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기술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광 통신 시스템의 구성
2. 광 커넥터의 개략 구성
3. 광 커넥터의 제1 동작
4. 광 커넥터의 제2 동작
5. 광 커넥터의 다른 동작
<1. 광 통신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기술의 광 커넥터를 사용한 광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광 통신 시스템(10)은, 정보의 송신측인 소스 기기(12)와 정보의 수신측인 싱크 기기(14)가, 광 전송로 예를 들어 광 섬유 케이블(20)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소스 기기(12)는, 영상이나 음성의 콘텐츠, 컴퓨터 데이터 등의 정보를 출력 가능한 기기이다. 예를 들어, 소스 기기(12)는, 방송 프로그램이나 배신 프로그램 등을 수신하는 셋톱 박스,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이나 음성의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 여러 콘텐츠나 컴퓨터 데이터 등의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서버, 정보 송신 장치 등의 기기이다.
싱크 기기(14)는, 소스 기기(12)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유저에 대하여 제시하는 처리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처리 등을 행하는 기기이다. 예를 들어, 싱크 기기(14)는, 영상 표시 장치나 음성 출력 장치, 기록 장치, 정보 수신 장치 등의 기기이다.
광 통신 시스템(10)에 있어서, 소스 기기(12)나 싱크 기기(14)에 광 섬유 케이블(20)을 접속하는 경우, 광 커넥터가 사용된다. 광 커넥터는, 플러그(31)와 리셉터클(32)로 구성되어 있고, 리셉터클(32)에 플러그(31)가 삽입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플러그(31)는, 예를 들어 광 섬유 케이블(20)의 양 끝에 설치되어 있고, 리셉터클(32)은 예를 들어 소스 기기(12)와 싱크 기기(14)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소스 기기(12)의 리셉터클(32-a)에는 레이저광을 출사하는 광원(41)이 설치되어 있고, 싱크 기기(14)의 리셉터클(32-b)에는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 검출부(42)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섬유 케이블(20)의 일단부에 설치된 플러그(31)를 소스 기기(12)의 리셉터클(32-a)에 장착하고, 광 섬유 케이블(20)의 타단부에 설치된 플러그(31)를 싱크 기기(14)의 리셉터클(32-b)에 장착한다. 또한, 소스 기기(12)의 리셉터클(32-a)에서는, 송신하는 정보에 따라서 변조된 레이저광을 광원(41)으로부터 광 신호로서 출사한다. 이와 같이 송신하는 정보를 광 신호로서 송신하면, 싱크 기기(14)의 리셉터클(32-b)은, 광 신호를 광 검출부(42)에 집광해서 광 신호에 따른 전기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광 섬유 케이블(20)을 통해서 소스 기기(12)와 싱크 기기(14)에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광 통신 시스템(10)에서는, 싱크 기기(14)에 관한 정보 등을, 광 섬유 케이블을 통해서 소스 기기로 송신하는 구성을 갖고 있어도 된다.
<2. 광 커넥터의 개략 구성>
도 2는, 광 신호를 출사하는 플러그의 개략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도 3은, 광 신호가 입사되는 리셉터클의 개략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이 기술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이하의 도면에서는 하우징이나 광 섬유 케이블 등을 단면도로 예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신호를 출사하는 플러그(송신측 광 커넥터)는, 렌즈(311)와 플러그 하우징(315)을 갖고 있다.
렌즈(311)는, 광 섬유 케이블(20)의 광 신호 출사측의 단부면(출사면)(20a)측에 배치되어 있고, 광 섬유 케이블(20)의 출사면(20a)으로부터의 광 신호를 소정의 발산각으로 변환해서 출사한다.
플러그 하우징(315)은, 광 섬유 케이블(20)과 렌즈(311)를, 렌즈(311)로부터 출사하는 광 신호가 소정의 발산각이 되는 위치에서 고정해서 유지한다. 이 플러그 하우징(315)에는 감합 돌기부(315a)가 설치되어 있다. 감합 돌기부(315a)는, 렌즈(311)를 통해서 출사되는 광 신호의 수신측인 리셉터클(32)에 설치된 감합 구멍에 대응하는 형상 및 사이즈로 되어 있어, 플러그(31)와 리셉터클(32)을 접속할 때에 리셉터클(32)의 감합 구멍에 삽입된다. 즉, 플러그(31)는, 리셉터클(수신측 광 커넥터)(32)에 대하여 삽입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신호가 입사되는 리셉터클(수신측 광 커넥터)(32)은, 렌즈(321)와 리셉터클 하우징(325), 리셉터클 설치부(326) 및 광 검출부(42)를 갖고 있다.
렌즈(321)는, 광 검출부(42)의 수광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리셉터클(32)에 입사된 광 신호를 광 검출부(42)의 수광면에 집광한다.
리셉터클 하우징(325)은, 렌즈(321)와 광 검출부(42)를 상술한 위치 관계로 고정한다. 이 리셉터클 하우징(325)에는 감합 구멍(325a)이 설치되어 있다. 감합 구멍(325a)은, 플러그 하우징(315)의 감합 돌기부(315a)에 대응하는 형상 및 사이즈로 되어 있어, 플러그(31)와 리셉터클(32)을 접속할 때에 플러그 하우징(315)의 감합 돌기부(315a)가 삽입된다. 즉, 리셉터클(32)은, 플러그(31)가 삽입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리셉터클 설치부(326)는, 리셉터클(32)을 수신측 기판(327)에 기계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 설치부(326)는, 리셉터클(32)을 수신측 기판(327)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광 검출부(42)에서 생성된 신호를 수신측 기판(327)의 회로에 입력한다. 또한, 리셉터클 설치부(326)는, 리셉터클(32)을 수신측 기판(327)에 기계적으로 접속하여, 리셉터클 하우징(325)을 수신측 기판(327)의 소정 위치에 고정한다.
<3. 광 커넥터의 제1 동작>
이와 같이 구성된 광 커넥터에 있어서, 예를 들어 싱크 기기(14)의 리셉터클(32)에 삽입되는 플러그(31)로부터 출사되는 광 신호가 콜리메이트 광이면, 거리에 따른 광 강도의 감쇠량이 적다. 이로 인해, 플러그(31)로부터 이격되어 있더라도 사람의 안구에 입사하면, 시각 기능 등에 악영향을 주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플러그(31)의 렌즈(311)에서는, 광 섬유 케이블(20)로부터의 광 신호를 소정의 발산각의 광으로 변환해서 출사하는 것으로, 렌즈(311)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의 소정 영역의 광량이, 미리 설정된 광량 이하로 되도록 광 신호를 분산시킨다.
도 4는, 광 커넥터의 제1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의 (A)는, 광 섬유 케이블(20)로부터의 광 신호를 렌즈(311)에서 소정의 발산각의 광으로 변환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의 (B)는, 콜리메이트 렌즈(361)를 사용함으로써 광 섬유 케이블(20)로부터의 광 신호를 콜리메이트 광으로 변환하는 종래의 플러그 구성을 참고로 해서 예시하고 있다.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콜리메이트 렌즈(361)를 사용해서 광 섬유 케이블(20)로부터의 광 신호를 콜리메이트 광으로 변환해서 출사하는 플러그(36)에서는, 거리에 따른 광 강도의 감쇠량이 적다. 따라서, 플러그(36)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플러그(36)의 출사광을 육안으로 보는 경우에도 눈에 들어가는 광량이 커서, 눈에 악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
그러나,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섬유 케이블(20)로부터의 광 신호를 렌즈(311)에서 소정의 발산각으로 변환하면, 플러그(31)로부터 이격된 위치는 광 신호가 분산된다. 즉, 플러그 하우징(315)은, 광 섬유 케이블(20)의 출사면(20a)을 렌즈(311)의 초점 위치와 다른 위치, 예를 들어 렌즈(311)로서 볼록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에, 렌즈(311)의 초점 위치보다 출사면(20a)을 렌즈측의 위치로 한다. 이와 같이, 광 섬유 케이블(20)과 렌즈(311)를 유지하면, 광 섬유 케이블(20)로부터의 광 신호는, 발산각을 갖는 광 신호로 변환된다. 따라서, 플러그(3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플러그(31)의 출사광을 육안으로 보는 경우, 광 신호가 분산되어 있으므로 눈에 들어가는 광량이 적어져서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소정의 발산각은, 렌즈(311)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의 소정 영역의 광량이 미리 설정된 광량 이하가 되는 각도로 한다. 예를 들어 IEC60825-1/JIS C 6802의 규격에서는, 광원으로부터 예를 들어 70㎜ 이격된 거리에서, 사람의 동공에 상당하는 직경 7㎜로 들어가는 광량을 제한하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소정의 발산각은, 이러한 규격 등을 만족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렌즈(311)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의 소정 영역의 광량이 미리 설정된 광량 이하가 되는 각도로 한다.
도 5는, 플러그로부터의 광 신호가 발산각을 갖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플러그(31)를 통해서 출사되는 광 신호의 발산각을 각도 a라 하면, 거리 La만큼 이격된 위치에서는 식 (1)에 기초하여 광 신호의 빔 직경이 BMa만큼 넓어진다.
(La×Sin(a/2))×2=BMa … (1)
즉, 각도 a가 적으면 빔 직경의 확대가 적기 때문에, 렌즈(311)에서는 발산각이 10도 이상이 되도록 광 신호의 변환을 행한다.
이와 같이, 광 섬유 케이블로부터의 광 신호를 소정의 발산각 예를 들어 10도 이상의 발산각으로 변환해서 출사하는 것으로, 광 신호의 출사면이 노출된 상태에서도, 광 신호가 눈에 들어가서 악영향을 발생시켜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광 신호를 차단하는 셔터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그런데, 발산각을 크게 하면 플러그(31)와 리셉터클(32)의 설치 오차를 적게 해야 한다. 도 6은 플러그(31)와 리셉터클(32)의 설치로 인해 오차가 발생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리셉터클(32)에 플러그(31)를 설치했을 때, 렌즈(311)와 렌즈(321)의 간격에 오차 Db를 발생시키면, 렌즈(321)에 입사되는 광 신호의 빔 직경은, 식 (2)에 기초하여 BMb만큼 커진다.
(Db×Sin(b/2)×2=BMb … (2)
또한, 도 6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렌즈(321)의 위치는 올바른 렌즈 위치, 실선으로 나타내는 렌즈(321)의 위치는, 오차를 발생시킨 렌즈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즉, 각도 b가 크면 설치 오차에 의해 광 신호의 빔 직경이 렌즈(321)보다 커져서, 광 검출부에 집광되는 광 신호의 광량이 감소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소정의 발산각은, 플러그(31)와 리셉터클(32)에 장착했을 때의 설치 허용 오차 범위에서, 리셉터클(32)에서 수신되는 광 신호의 광량의 저하량이 미리 설정된 광량 이하가 되는 각도로 한다. 예를 들어, 렌즈(311)에서는 발산각이 10도 이상이며 20도 이하가 되도록 광 신호의 변환을 행한다.
이와 같이, 플러그(31)에서는, 렌즈(311)에 의해 광 신호를 소정의 발산각 예를 들어 10도 이상에서 20도 이하의 발산각으로 변환해서 출사한다. 이로 인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32)에 플러그(31)를 설치했을 때, 설치 오차가 발생해도 플러그(31)로부터의 출사되는 광 신호의 빔 직경이 지나치게 커지지 않는 상태에서 리셉터클(32)의 렌즈(321)에 입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안정되게 양호하게 광 통신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광 커넥터의 제1 동작에서 얻어지는 효과는 예시이며, 상술한 효과에 한하지 않고 다른 효과가 얻어져도 된다.
<4. 광 커넥터의 제2 동작>
그런데, 플러그(31)로부터 출사되는 광 신호는, 육안 위치에서 발산된 상태가 되면, 상술한 제1 동작과 같이 플러그(31)로부터 광 신호를 발산시켜서 출사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어서, 제2 동작에서는, 예를 들어 렌즈(311)에 근접하는 위치에서 플러그(31)로부터의 출사광을 집광하여, 소정 거리에서는 소정의 발산각을 갖는 광 신호로 하는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광 커넥터의 제2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플러그(31)의 렌즈(311)로부터 출사된 광 신호를 렌즈(311)에 근접하는 위치 Pa에 집광시킨다. 즉, 플러그 하우징(315)은, 광 섬유 케이블(20)의 출사면(20a)을 렌즈(311)의 초점 위치와 다른 위치, 예를 들어 렌즈(311)로서 볼록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에, 렌즈(311)의 초점 위치보다 출사면(20a)을 렌즈(311)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한다. 이와 같이, 광 섬유 케이블(20)과 렌즈(311)를 고정해서 유지하면, 렌즈(311)로부터 위치 Pa까지의 거리 Lc보다 위치 Pa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는, 렌즈(311)로부터 출사된 광 신호보다 분산된 광으로 된다.
따라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의 소정 영역의 광량이 미리 설정된 광량 이하의 발산광이 되도록, 렌즈(311)로부터 출사된 광 신호를 소정 거리보다 근접한 위치에서 집광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플러그(3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플러그(31)의 출사광을 육안으로 본 경우, 광 신호가 분산되어 있으므로 눈에 들어가는 광량이 적어져서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 신호가 근접한 위치에 집광하므로, 집광 위치가 리셉터클(32)의 렌즈(321)보다 이격되어 있으면, 리셉터클(32)에 플러그(31)를 장착했을 때에 설치 오차를 발생하더라도, 제1 동작에 비해 광 신호의 발산이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광 커넥터의 제2 동작에서 얻어지는 효과는 예시이며, 상술한 효과에 한하지 않고 다른 효과가 얻어져도 된다.
<5. 광 커넥터의 다른 동작>
또한, 상술한 제1 및 제2 동작에서는, 송신측 광 커넥터인 플러그(31)의 렌즈(311)에 의해, 광 섬유 케이블(20)로부터의 광 신호를 소정의 발산각으로 변환해서 출사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소정의 발산각의 광 신호로 하는 변환은, 플러그에 한하지 않고 리셉터클에서 행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소스 기기에 설치된 리셉터클을 송신측 커넥터로서, 리셉터클의 렌즈에 의해, 광원으로부터의 광 신호를 소정의 발산각으로 변환해서 출사한다. 또한, 수신측 광 커넥터인 플러그에서는, 렌즈에 의해 광 신호를 광 섬유 케이블의 단부면(광 신호의 입사면)에 집광한다.
이와 같이, 소스 기기에 설치한 리셉터클의 렌즈에서, 광원으로부터의 광 신호를 소정의 발산각으로 변환해서 출사하면, 소스 기기에 광 케이블의 플러그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소스 기기로부터의 광 신호가 눈에 들어가 악영향을 발생시켜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 신호를 소정의 발산각으로 변환해서 출사하는 렌즈가 설치된 광 커넥터는, 광 섬유 케이블과 별개로 제공되어 있어도 되고, 광 커넥터가 일체화된 광 섬유 케이블로서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의 광 커넥터에서는, 플러그의 광 신호 출사면과 리셉터클의 광 신호 입사면이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광 신호 출사면과 광 신호 입사면 사이에 광로 변환 소자 예를 들어 미러 등을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광 신호 출사면과 광 신호 입사면을 소정의 각도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광 커넥터의 방향이나 형상 등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상술한 기술의 실시 형태에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 기술의 실시 형태는, 예시라고 하는 형태로 본 기술을 개시하고 있고, 본 기술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가 실시 형태의 수정이나 대용을 이룰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즉, 본 기술의 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청구범위를 참작해야 한다.
또한, 본 기술의 광 커넥터는 이하와 같은 구성도 취할 수 있다.
(1) 광 전송로 또는 광원으로부터의 광 신호를 소정의 발산각으로 변환해서 출사하는 렌즈와,
상기 렌즈가 고정되어, 상기 광 신호의 수신측 커넥터에 장착되는 하우징
을 구비하는 광 커넥터.
(2) 상기 소정의 발산각은, 상기 렌즈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의 소정 영역의 광량이 미리 설정된 광량 이하가 되는 각도로 하는 (1)에 기재된 광 커넥터.
(3) 상기 렌즈는, 상기 광 신호를 10도 이상의 발산각으로 변환하는 (2)에 기재된 광 커넥터.
(4) 상기 소정의 발산각은, 상기 하우징을 상기 수신측 커넥터에 장착했을 때의 설치 허용 오차 범위에서, 상기 수신측 커넥터에서 수신되는 광 신호의 광량의 저하량이 미리 설정된 광량 이하가 되는 각도로 하는 (2)에 기재된 광 커넥터.
(5) 상기 렌즈는, 상기 광 신호를 20도 이하의 발산각으로 변환하는 (4)에 기재된 광 커넥터.
(6) 상기 렌즈는, 상기 광 신호를 상기 렌즈로부터 상기 소정 거리보다 근접한 위치에 집광시킴으로써, 상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소정의 발산각을 갖는 광 신호로 변환하는 (2) 또는 (3)에 기재된 광 커넥터.
(7)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렌즈로부터 출사하는 광 신호가 상기 소정의 발산각이 되는 위치에서, 상기 광 신호를 상기 렌즈에 출사하는 광 전송로 또는 광원을 유지하는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 커넥터.
(8)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광 전송로 또는 광원의 광 신호의 출사 위치를 상기 렌즈의 초점 위치와 다른 위치로 하는 (7)에 기재된 광 커넥터.
이 기술의 광 커넥터와 케이블 및 광 통신 장치에서는, 광 전송로 또는 광원으로부터의 광 신호를 소정의 발산각의 광으로 변환하는 렌즈와, 상기 렌즈가 고정되어, 상기 광 신호의 수신측 광 커넥터와 장착되는 하우징이 설치된다. 이로 인해, 출사되는 광 신호는, 주위 사람의 안구에 입사될 때에 분산된 상태로 되므로, 시각 기능 등에 악영향을 주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영상이나 음성의 콘텐츠, 컴퓨터 데이터 등의 정보를 송신하는 기기와, 송신된 영상이나 음성의 콘텐츠, 컴퓨터 데이터 등의 정보를 수신해서 처리하는 기기를 광 섬유 케이블로 접속하는 광 통신 시스템 등에 적합하다.
10 : 광 통신 시스템
12 : 소스 기기
14 : 싱크 기기
20 : 광 섬유 케이블
20a : 출사면
31, 36 : 플러그
32, 32-a, 32-b : 리셉터클
41 : 광원
42 : 광 검출부
311, 321 : 렌즈
315 : 플러그 하우징
315a : 감합 돌기부
325 : 리셉터클 하우징
325a : 감합 구멍
326 : 리셉터클 설치부
327 : 수신측 기판
361 : 콜리메이트 렌즈

Claims (10)

  1. 광 커넥터로서,
    광 전송로 또는 광원으로부터의 광 신호를 소정의 발산각의 변환된 광 신호로 변환해서 변환된 광 신호를 출사하도록 구성된 렌즈; 및
    상기 렌즈가 고정되어, 상기 광 신호의 수신측에서 커넥터에 장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발산각은, 상기 렌즈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소정의 범위 내의 광량이 미리 설정된 광량 이하인 각도이고,
    상기 소정의 발산각은, 상기 하우징이 상기 수신측에서 상기 커넥터에 장착될 때의 설치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상기 수신측에서 상기 커넥터에 의해 수신되는 광 신호의 광량의 저하량이 미리 설정된 광량 이하인 각도이고,
    상기 소정의 발산각은, 10도 이상이고,
    상기 소정의 발산각은, 20도 이하이고,
    상기 렌즈는, 상기 광 신호를 상기 렌즈로부터 소정 거리보다 근접한 위치에 집광시킴으로써, 상기 광 신호를 상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소정의 발산각을 갖는 광 신호로 변환하는, 광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렌즈로부터 출사하는 광 신호가 상기 소정의 발산각이 되는 위치에서, 상기 광 신호를 상기 렌즈에 출사하는 광 전송로 또는 광원을 유지하는 광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광 전송로 또는 광원의 광 신호의 출사 위치는 상기 렌즈의 초점 위치와 다른 위치에 있는 광 커넥터.
  4. 케이블로서,
    광 섬유 케이블; 및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 커넥터를 포함하고,
    광 신호는 상기 광 섬유 케이블의 단부면으로부터의 광 신호이고,
    하우징은 상기 광 섬유 케이블과 렌즈를 일체로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케이블.
  5. 광 통신 장치로서,
    광 신호 출력부; 및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 커넥터를 포함하고,
    광 신호는 상기 광 신호 출력부로부터의 광 신호인 광 통신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7023357A 2014-03-06 2015-01-09 광 커넥터와 케이블 및 광 통신 장치 KR1024434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43734 2014-03-06
JP2014043734 2014-03-06
PCT/JP2015/050491 WO2015133164A1 (ja) 2014-03-06 2015-01-09 光コネクタとケーブルおよび光通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758A KR20160130758A (ko) 2016-11-14
KR102443407B1 true KR102443407B1 (ko) 2022-09-16

Family

ID=54054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3357A KR102443407B1 (ko) 2014-03-06 2015-01-09 광 커넥터와 케이블 및 광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71097B2 (ko)
EP (1) EP3115815B1 (ko)
JP (1) JPWO2015133164A1 (ko)
KR (1) KR102443407B1 (ko)
CN (1) CN106062602B (ko)
RU (1) RU2678961C1 (ko)
WO (1) WO20151331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84260B2 (ja) 2015-09-30 2020-11-11 ソニー株式会社 光通信コネクタ、光通信ケーブル及び電子機器
WO2017056890A1 (ja) * 2015-09-30 2017-04-06 ソニー株式会社 光通信コネクタ、光通信ケーブル及び電子機器
US10990658B2 (en) 2016-07-11 2021-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user using multiple biometric verifiers
EP3596530A1 (en) 2017-03-16 2020-01-22 Fastree3D SA Apparatus for beam shaping the pulsed laser emission of a remote sensing operating at wavelengths in the retinal hazard region
JP6890631B2 (ja) * 2019-06-06 2021-06-18 京セラ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ー給電システムの光コネクタ及び給電装置並びに光ファイバー給電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7324A (ja) * 1998-11-06 2000-05-26 Sony Corp 光ファイバ接続器とこれを用いた光送受信装置
JP2013037156A (ja) * 2011-08-08 2013-02-21 Hosiden Corp 光通信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806829A (nl) * 1978-06-26 1979-12-28 Philips Nv Snel losneembare koppeling voor lichtgeleidende vezels.
FR2496281A1 (fr) * 1980-12-16 1982-06-18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Joint rotatif pour fibres optiques
GB8312650D0 (en) 1983-05-07 1983-06-08 Plessey Co Plc Optical connectors
EP0119727B1 (en) 1983-02-23 1989-04-19 Plessey Overseas Limited Optical connectors
US4690487A (en) * 1983-11-14 1987-09-01 Allied Corporation Hermetically sealed fiber optic connector
US4889406A (en) * 1985-04-11 1989-12-26 Sezerman Omur M Tilt adjustable optical fibre connectors
IT1186469B (it) * 1985-12-18 1987-11-26 Pirelli Cavi Spa Connettore per cavi a fibre ottiche
US4798428A (en) * 1986-10-14 1989-01-17 Ncr Corporation Fiber optic coupling system
JPH02111086A (ja) * 1988-10-20 1990-04-24 Fujitsu Ltd レーザ光に対する保護方法
IT1239223B (it) * 1990-02-20 1993-09-28 Pirelli Cavi Spa Connettore ottico orientabile per collegamento di fibre ottiche a componenti ottici discreti e sensore impiegante uno o piu' connettori orientabili
JPH04309907A (ja) * 1991-04-09 1992-11-02 Mitsubishi Electric Corp 光半導体素子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US5300063A (en) * 1991-05-11 1994-04-05 Nidek Co., Ltd. Ophthalmic laser apparatus
US5351330A (en) * 1993-04-08 1994-09-27 Uniphase Corporation Laser diode-lens alignment
US5663979A (en) * 1995-11-22 1997-09-02 Light Solutions Corporation Fiber stub end-pumped laser
JP3489323B2 (ja) * 1996-03-25 2004-01-19 三菱電機株式会社 レーザダイオードモジユール、集光部品並びに光結合方法
JP2000147333A (ja) 1998-11-18 2000-05-26 Sony Corp 光ファイバ用コネクタとこれを利用した光送受信装置
BG63517B1 (bg) * 1999-08-27 2002-03-29 Ет "Гордим"- Горан Димитров Мет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за свързване и настройване на оптични изделия - елементи, модули, устройства и системи
US6374012B1 (en) * 1999-09-30 2002-04-16 Agere Systems Guardian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path of an optical beam
AU2002212029A1 (en) * 2000-11-10 2002-05-21 Dvl Lasers And Electronics Gmbh Optical waveguide coupling
WO2002079845A1 (en) * 2001-03-28 2002-10-10 Iljin Corporation Small-formed optical module with optical waveguide
US20030081897A1 (en) * 2001-09-27 2003-05-01 Nobuki Itoh Aspherical rod le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spherical rod lens
TW200306439A (en) * 2002-03-27 2003-11-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tical composite module, optical wavelength multiplexer, optical wavelength demutiplexer, and optical composite module manufacturing method
DE102007051294B4 (de) * 2007-07-20 2012-03-22 Lasos Lasertechnik Gmbh Optische Steckverbindung für Lichtwellenleiter
US7633634B2 (en) * 2007-10-23 2009-12-15 Gii Acquisition, Llc Optical modules and method of precisely assembling same
US20110200284A1 (en) * 2009-06-12 2011-08-18 Igor Zhovnirovsky Fiber Optic Jack with High Interface Mismatch Tolerance
TWI503586B (zh) * 2010-08-18 2015-10-11 Hon Hai Prec Ind Co Ltd 光纖耦合連接器
US8393802B2 (en) * 2010-09-30 2013-03-12 Apple Inc. Cleanable and self-cleaning fiber optic connector
JP5754317B2 (ja) * 2011-09-15 2015-07-29 富士通株式会社 光コネクタ
JP2014137384A (ja) * 2013-01-15 2014-07-2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光モジュールおよび光伝送システム
CN105247398B (zh) * 2013-05-08 2020-01-14 光电斯坎达有限公司 光电部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7324A (ja) * 1998-11-06 2000-05-26 Sony Corp 光ファイバ接続器とこれを用いた光送受信装置
JP2013037156A (ja) * 2011-08-08 2013-02-21 Hosiden Corp 光通信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62602B (zh) 2018-06-08
WO2015133164A1 (ja) 2015-09-11
CN106062602A (zh) 2016-10-26
KR20160130758A (ko) 2016-11-14
US9971097B2 (en) 2018-05-15
EP3115815B1 (en) 2022-08-17
EP3115815A1 (en) 2017-01-11
US20170184795A1 (en) 2017-06-29
EP3115815A4 (en) 2018-03-28
RU2678961C1 (ru) 2019-02-04
JPWO2015133164A1 (ja) 201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3407B1 (ko) 광 커넥터와 케이블 및 광 통신 장치
EP3109681B1 (en) Optical assembly and optical module
US9020308B2 (en) Multi-channel optical module with polyhedral mirror
EP2494394A1 (en) Expanded beam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me
KR102359959B1 (ko) 광 커넥터와 케이블 및 광 통신 장치
JP2018173431A (ja) 撮像装置
JP2019047435A (ja) 撮像装置
KR20140147012A (ko) 광모듈 및 그 제조 방법
WO2016125658A1 (ja) 光送信装置、光受信装置、及び光ケーブル
WO2014112281A1 (ja) 光モジュールおよび光伝送システム
JP2005150379A (ja) 光信号送信装置
JP4148102B2 (ja) 光信号伝送システム
KR102357195B1 (ko) 광 커넥터와 케이블 및 광 통신 장치
WO2016111123A1 (ja) 光コネクタ
JP6766430B2 (ja) 通信モジュール
JP2010039115A (ja) 光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1083454A2 (en) Optical data communication
JP2014137527A (ja) 光モジュールおよび光モジュールユニット
JP2005136245A (ja) アレイ光源及びこれを用いた光信号伝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