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019B1 - 워치 극장 모드 - Google Patents

워치 극장 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019B1
KR102432019B1 KR1020217030552A KR20217030552A KR102432019B1 KR 102432019 B1 KR102432019 B1 KR 102432019B1 KR 1020217030552 A KR1020217030552 A KR 1020217030552A KR 20217030552 A KR20217030552 A KR 20217030552A KR 102432019 B1 KR102432019 B1 KR 102432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ghtness level
input
display screen
user interface
bright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0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9576A (ko
Inventor
케빈 타일러 맥아티
바부 고우리선커
마이클 제이. 램브
브렌트 더블유. 쇼르슈
케빈 린치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riority to KR1020227027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252B1/ko
Publication of KR20210119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 G06F11/327Alarm or error message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2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in absence of operation, e.g. no data being entered during a predetermined tim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밝히기 구성 세션 동안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워치 극장 모드{WATCH THEATER MODE}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이클립스 모드 보기"로 2016년 9월 23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399,314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로써 그 가특허 출원의 내용은 그 전체가 참고로 포함된다. 본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극장 모드 보기"로 2016년 12월 3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441,274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로써 그 가특허 출원의 내용은 그 전체가 참고로 포함된다. 본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극장 모드 보기"로 2017년 1월 1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445,028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로써 그 가특허 출원의 내용은 그 전체가 참고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기법들에 관한 것이다.
전자 디바이스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스크린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디스플레이 스크린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다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디밍(dim)되거나 밝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들은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조명 조건들의 변화들, 상이한 사용 조건들, 및/또는 다른 상황들에 응답하여 디밍되거나 밝아질 수 있다.
그러나, 전자 디바이스 상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일부 기법들은 일반적으로 번거롭고 비효율적이다. 예를 들어, 일부 기존의 기법들은 복잡하고 시간 소모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데, 이는 다중 키 누르기들 또는 키스트로크(keystroke)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지 예로서, 사용자는 디바이스의 밝기 설정을 조정하기 위해 설정들의 다수의 스크린들을 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횡단해야 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사용자가 밝기 레벨만을 일시적으로 변경하기를 원할 경우, 또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교대로 밝게 하고 이어서 디밍하기를 원할 경우, 시간 소모적이고 번거롭다. 기존의 기법들은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은 시간을 요구하여, 사용자 시간 및 디바이스 에너지를 낭비한다. 이러한 후자의 고려사항은 배터리-작동형 디바이스들에서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본 기법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더 빠르고 더 효율적인 방법들 및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들을 제공한다. 그러한 방법들 및 인터페이스들은 디스플레이 스크린들의 밝기 레벨들을 조정하기 위한 다른 방법들을 선택적으로 보완하거나 대체한다. 그러한 방법들 및 인터페이스들은 사용자에 대한 인지적 부담을 감소시키고 보다 효율적인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배터리-작동형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경우, 그러한 방법들 및 인터페이스들은 전력을 절약하고 배터리 충전들 사이의 시간을 증가시킨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일부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스크린들을 디밍 및 밝게 하는 것에 관한 문제들을 해결한다.
예시적인 방법들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예시적인 방법은,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에서,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킨다는 결정에 따라 -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이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 미만일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함 -,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을 보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방법은,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에서: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입력은 밝기 구성 세션을 개시한다. 방법은,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동안: 회전가능 입력의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 엑시트 구성(exit configuration)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된다는 결정에 따라 -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이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 초과일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함 -: 밝기 구성 세션을 종료하는 단계, 및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회전에 응답하여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을 중단하는 단계; 및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되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밝기 구성 세션을 유지하는 단계, 및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계속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시적인 디바이스들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킨다는 결정에 따라 -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이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 미만일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함 -,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며; 그리고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을 보류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고 - 제1 입력은 밝기 구성 세션을 개시함 -;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동안: 회전가능 입력의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고;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된다는 결정에 따라 -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이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 초과일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함 -: 밝기 구성 세션을 종료하고, 그리고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회전에 응답하여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을 중단하며; 그리고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되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밝기 구성 세션을 유지하고, 그리고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계속 조정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예시적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 디바이스로 하여금: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게 하고;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킨다는 결정에 따라 -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이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 미만일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함 -,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게 하며; 그리고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을 보류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 디바이스로 하여금: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게 하고 - 제1 입력은 밝기 구성 세션을 개시함 -;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동안: 회전가능 입력의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게 하고;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된다는 결정에 따라 -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이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 초과일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함 -: 밝기 구성 세션을 종료하게 하고, 그리고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회전에 응답하여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을 중단하게 하며; 그리고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되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밝기 구성 세션을 유지하게 하고, 그리고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계속 조정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킨다는 결정에 따라 -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이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 미만일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함 -,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 및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을 보류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제1 입력은 밝기 구성 세션을 개시함 -;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동안: 회전가능 입력의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된다는 결정에 따라 -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이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 초과일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함 -: 밝기 구성 세션을 종료하고, 그리고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회전에 응답하여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을 중단하기 위한 수단; 및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되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밝기 구성 세션을 유지하고, 그리고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계속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 중 임의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전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디바이스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 중 임의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 및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에 커플링된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고, 프로세싱 유닛은: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킨다는 결정에 따라 -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이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 미만일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함 -,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며; 그리고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을 보류하도록 구성된 조정 유닛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 및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에 커플링된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고, 프로세싱 유닛은: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제1 입력은 밝기 구성 세션을 개시함 -;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동안,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의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조정 유닛;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동안 그리고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된다는 결정에 따라 -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이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 초과일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함 -, 밝기 구성 세션을 종료하도록 구성된 세션 구성 유닛;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동안 그리고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된다는 결정에 따라,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의 추가적인 회전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구성된 조정 유닛을 포함하며; 세션 구성 유닛은,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되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밝기 구성 세션을 유지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조정 유닛은,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되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의 추가적인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의 밝기 레벨을 계속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러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한 실행을 위해 구성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포함된다. 이러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한 실행을 위해 구성된 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포함된다. 예시적인 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예시적인 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 디바이스로 하여금: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게 하고;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킨다는 결정에 따라 -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이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 미만일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함 -,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게 하며; 그리고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을 보류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 디바이스로 하여금: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게 하고 - 제1 입력은 밝기 구성 세션을 개시함 -;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동안: 회전가능 입력의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게 하고;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된다는 결정에 따라 -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이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 초과일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함 -: 밝기 구성 세션을 종료하게 하고, 그리고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회전에 응답하여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을 중단하게 하며; 그리고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되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밝기 구성 세션을 유지하게 하고, 그리고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계속 조정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디바이스들에는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더 빠르고 더 효율적인 방법들 및 인터페이스들이 제공되며, 그에 의해, 그러한 디바이스들의 유효성, 효율성 및 사용자 만족도를 증가시킨다. 그러한 방법들 및 인터페이스들은 디스플레이 스크린들의 밝기 레벨들을 조정하기 위한 다른 방법들을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 있다.
다양하게 설명된 실시예들의 보다 양호한 이해를 위해, 유사한 도면 부호들이 도면 전체에 걸쳐서 대응 부분들을 나타내는 하기의 도면들과 관련하여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 참조되어야 한다.
도 1a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다기능 디바이스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b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벤트 처리를 위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다기능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도 3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터치 감응형 표면을 갖는 예시적인 다기능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4a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다기능 디바이스 상의 애플리케이션들의 메뉴에 대한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다.
도 4b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와는 별개인 터치 감응형 표면을 갖는 다기능 디바이스에 대한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다.
도 5a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개인용 전자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도 5b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개인용 전자 디바이스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a 내지 도 6j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밝기 레벨의 조정을 보여주는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예시한다.
도 7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들의 기능 블록도들이다.
도 11a 내지 도 11q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정숙 모드(quiet mode) 특징부를 보여주는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예시한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정숙 모드 특징부에 대한 예시적인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들이다.
도 13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의 기능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은 예시적인 방법들, 파라미터들 등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이 본 개시내용의 범주에 대한 제한으로서 의도되지 않고 그 대신에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설명으로서 제공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들 및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하는 전자 디바이스들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그러한 밝기 레벨들은 시뮬레이션된 밝기 레벨(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어둡게 하거나 밝게 하기 위해 가변적으로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흑색층을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알파-블렌딩(alpha-blend)함), 실제 밝기 레벨(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백라이트의 밝기 설정을 변경함), 및/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사용자에게 직관적이고, 사용자가 신중하게 되도록 하면서 액세스하기 쉬운 밝기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실제로, 그러한 기법들은 밝기 레벨을 조정하기를 원하는 사용자에 대한 인지적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에 의해 생산성 및 사용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로, 그러한 기법들은 그렇지 않으면 여분의 사용자 입력들로 낭비되는 프로세서 및 배터리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a 및 도 1b, 도 2, 도 3, 도 4a 및 도 4b 및 도 5a 및 도 5b는 이벤트 통지들을 관리하기 위한 기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디바이스들의 설명을 제공한다. 도 6a 내지 도 6j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예시한다. 도 7 및 도 8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들을 조정하는 방법들을 예시하는 흐름도들이다. 도 6a 내지 도 6j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은 도 7 및 도 8의 프로세스들을 포함하여 아래에 설명되는 프로세스들을 예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1a 내지 도 11q는 전자 디바이스에서 정숙 모드 특징부에 대한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예시한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정숙 모드 특징부에 대한 방법들을 예시하는 흐름도들이다. 도 11a 내지 도 11q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은 도 12a 내지 도 12c의 프로세스들을 포함하여 아래에 설명되는 프로세스들을 예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개시내용의 모든 도면들에 설명된 프로세스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이 위에서-설명된 대응들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도 11q는 도 7 및 도 8의 프로세스들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다.
이하의 설명이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들을 사용하지만, 이 요소들이 그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하나의 요소를 다른 요소와 구별하는 데에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제1 터치가 제2 터치로 지칭될 수 있고, 이와 유사하게, 제2 터치가 제1 터치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터치 및 제2 터치는 둘 모두 터치이지만, 그들이 동일한 터치인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하게 설명된 실시예들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목적만을 위한 것이고,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다양한 설명된 실시예들의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의 형태("a", "an", 및 "the")는 문맥상 명백히 달리 나타내지 않는다면 복수의 형태도 마찬가지로 포함하려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되는 연관된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들의 임의의 그리고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나타내고 그들을 포괄하는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용어들 "포함한다(include)", "포함하는(including)",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언급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이들의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지 않음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용어 "~할 경우(if)"는, 선택적으로, 문맥에 따라 "~할 때(when)" 또는 "~할 시(upon)" 또는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in response to determining)" 또는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in response to detecting)"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유사하게, 어구 "~라고 결정된 경우" 또는 "[언급된 조건 또는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는, 선택적으로, 문맥에 따라 "~라고 결정할 시" 또는 "~라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또는 "[언급된 조건 또는 이벤트]를 검출할 시" 또는 "[언급된 조건 또는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전자 디바이스들, 그러한 디바이스들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및 그러한 디바이스들을 사용하기 위한 연관된 프로세스들의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PDA 및/또는 음악 재생기 기능들과 같은 다른 기능들을 또한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예를 들어 이동 전화기이다. 휴대용 다기능 디바이스들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 소재의 애플 인크.(Apple Inc.)로부터의 아이폰(iPhone)®, 아이팟 터치(iPod Touch)®, 및 아이패드(iPad)® 디바이스들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터치 감응형 표면들(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들 및/또는 터치패드들)을 갖는 랩톱 또는 태블릿 컴퓨터들과 같은 다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들이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가 아니라 터치 감응형 표면(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및/또는 터치패드)을 갖는 데스크톱 컴퓨터임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논의에서, 디스플레이 및 터치 감응형 표면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가 설명된다. 그러나, 전자 디바이스가 선택적으로 물리적 키보드, 마우스 및/또는 조이스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다른 물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디바이스는 전형적으로 다음 중 하나 이상과 같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한다: 드로잉 애플리케이션, 프레젠테이션 애플리케이션, 워드 프로세싱 애플리케이션, 웹사이트 제작 애플리케이션, 디스크 저작 애플리케이션, 스프레드시트 애플리케이션, 게임 애플리케이션, 전화 애플리케이션, 화상 회의 애플리케이션, 이메일 애플리케이션,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운동 지원 애플리케이션, 사진 관리 애플리케이션, 디지털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징 애플리케이션, 디지털 음악 재생기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디지털 비디오 재생기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은, 선택적으로, 터치 감응형 표면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보편적인 물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사용한다. 터치 감응형 표면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뿐만 아니라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대응하는 정보는, 선택적으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다음 애플리케이션으로 그리고/또는 개개의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조정되고/되거나 변경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바이스의 (터치 감응형 표면과 같은) 보편적인 물리적 아키텍처는, 선택적으로, 사용자에게 직관적이고 투명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한다.
이제,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들을 갖는 휴대용 디바이스들의 실시예들에 주목한다. 도 1a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을 갖는 휴대용 다기능 디바이스(100)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2)는 때때로 편의상 "터치 스크린"이라고 지칭되고, 때때로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 알려져 있거나 또는 그렇게 지칭된다. 디바이스(100)는 메모리(102)(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을 포함함), 메모리 제어기(122),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CPU)들(120), 주변기기 인터페이스(118), RF 회로부(108), 오디오 회로부(110), 스피커(111), 마이크로폰(113), 입/출력(I/O) 서브시스템(106), 다른 입력 제어 디바이스들(116), 및 외부 포트(124)를 포함한다. 디바이스(100)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광 센서(optical sensor)들(164)을 포함한다. 디바이스(100)는 선택적으로, 디바이스(100)(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과 같은 터치 감응형 표면) 상의 접촉들의 세기를 검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접촉 세기 센서들(165)을 포함한다. 디바이스(100)는 선택적으로, 디바이스(100) 상의 촉각적 출력들을 생성하기 위한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 또는 디바이스(300)의 터치패드(355)와 같은 터치 감응형 표면 상의 촉각적 출력들을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촉각적 출력 생성기들(167)을 포함한다. 이들 컴포넌트들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들 또는 신호 라인(103)들을 통해 통신한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터치 감응형 표면 상의 접촉의 "세기"라는 용어는 터치 감응형 표면 상의 접촉(예를 들어, 손가락 접촉)의 힘 또는 압력(단위 면적 당 힘), 또는 터치 감응형 표면 상의 접촉의 힘 또는 압력에 대한 대체물(대용물(proxy))을 지칭한다. 접촉의 세기는, 적어도 4개의 구별되는 값들을 포함하고 더 전형적으로는 수백 개(예를 들어, 적어도 256개)의 구별되는 값들을 포함하는 일정 범위의 값들을 갖는다. 접촉의 세기는 다양한 접근법들, 및 다양한 센서들 또는 센서들의 조합들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결정(또는 측정)된다. 예를 들어, 터치 감응형 표면 아래의 또는 그에 인접한 하나 이상의 힘 센서들은 터치 감응형 표면 상의 다양한 지점들에서 힘을 측정하는 데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는, 다수의 힘 센서들로부터의 힘 측정치들이 접촉의 추정되는 힘을 결정하기 위해 조합(예를 들어, 가중 평균)된다. 유사하게, 스타일러스의 압력 감응형 팁이 터치 감응형 표면 상의 스타일러스의 압력을 결정하는 데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대안으로, 터치 감응형 표면 상에서 검출된 접촉 면적의 크기 및/또는 그에 대한 변화들, 접촉 부근의 터치 감응형 표면의 용량 및/또는 그에 대한 변화들, 및/또는 접촉 부근의 터치 감응형 표면의 저항 및/또는 그에 대한 변화들은 터치 감응형 표면 상의 접촉의 힘 또는 압력에 대한 대체물로서 선택적으로 이용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접촉 힘 또는 압력에 대한 대체 측정치들은 세기 임계치가 초과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데 직접 이용된다(예를 들어, 세기 임계치는 대체 측정치들에 대응하는 단위로 설명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접촉 힘 또는 압력에 대한 대체 측정치들은 추정된 힘 또는 압력으로 변환되고, 추정된 힘 또는 압력은 세기 임계치가 초과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된다(예를 들어, 세기 임계치는 압력의 단위로 측정된 압력 임계치이다). 사용자 입력의 속성으로서 접촉의 세기를 사용하는 것은, 그렇지 않았으면 어포던스들을 (예를 들어,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하고/하거나 (예를 들어,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터치 감응형 표면, 또는 노브(knob) 또는 버튼과 같은 물리적/기계적 제어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한정된 실면적을 갖는 감소된 크기의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액세스 가능하지 않을 수 있는 부가적인 디바이스 기능에의 사용자 액세스를 가능하게 한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촉각적 출력"이라는 용어는 디바이스의 이전 위치에 대한 디바이스의 물리적 변위, 디바이스의 다른 컴포넌트(예를 들어, 하우징)에 대한 디바이스의 컴포넌트(예를 들어, 터치 감응형 표면)의 물리적 변위, 또는 사용자의 촉각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검출될 디바이스의 질량 중심에 대한 컴포넌트의 변위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의 컴포넌트가 터치에 감응하는 사용자의 표면(예를 들어, 손가락, 손바닥, 또는 사용자의 손의 다른 부분)과 접촉하는 상황들에서, 물리적 변위에 의해 생성된 촉각적 출력은 사용자에 의해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의 컴포넌트의 물리적 특성들에서의 인지된 변화에 대응하는 촉감(tactile sensation)으로서 해석될 것이다. 예를 들어, 터치 감응형 표면(예를 들어,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또는 트랙 패드)의 이동은, 선택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물리적 액추에이터 버튼의 "다운 클릭" 또는 "업 클릭"으로서 해석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이동에 의해 물리적으로 눌리는(예를 들어, 변위되는) 터치 감응형 표면과 연관된 물리적 액추에이터 버튼의 이동이 없는 경우에도 "다운 클릭" 또는 "업 클릭"과 같은 촉감을 느낄 것이다. 다른 예로서, 터치 감응형 표면의 이동은, 터치 감응형 표면의 평활도(smoothness)의 변화가 없는 경우에도, 선택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터치 감응형 표면의 "조도(roughness)"로서 해석 또는 감지된다. 사용자에 의한 터치의 이러한 해석들이 사용자의 개별화된 감각 인지(sensory perception)에 영향을 받기 쉬울 것이지만, 대다수의 사용자들에게 보편적인 많은 터치 감각 인지가 있다. 따라서, 촉각적 출력이 사용자의 특정 감각 인지(예를 들어, "업 클릭", "다운 클릭", "조도")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기술될 때, 달리 언급되지 않는다면, 생성된 촉각적 출력은 전형적인(또는 평균적인) 사용자에 대한 설명된 감각 인지를 생성할 디바이스 또는 그의 컴포넌트의 물리적 변위에 대응한다.
디바이스(100)는 휴대용 다기능 디바이스의 일례일 뿐이고, 디바이스(100)는, 선택적으로,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컴포넌트들을 갖거나, 선택적으로, 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조합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컴포넌트들의 상이한 구성 또는 배열을 갖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에 도시된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둘 모두의 조합으로 구현된다.
메모리(102)는, 선택적으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하고, 또한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또는 다른 비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디바이스들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 제어기(122)는 선택적으로 디바이스(100)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의한 메모리(102)에의 액세스를 제어한다.
주변기기 인터페이스(118)는 디바이스의 입력 및 출력 주변기기들을 CPU(120) 및 메모리(102)에 커플링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20)은 디바이스(100)에 대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그리고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해 메모리(102)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 및/또는 명령어들의 세트들을 구동 또는 실행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주변기기 인터페이스(118), CPU(120) 및 메모리 제어기(122)는, 선택적으로, 칩(104)과 같은 단일 칩 상에 구현된다.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서, 이들은 선택적으로 별개의 칩들 상에서 구현된다.
RF(radio frequency) 회로부(108)는 전자기 신호들로 또한 지칭되는 RF 신호들을 수신 및 전송한다. RF 회로부(108)는 전기 신호들을 전자기 신호들로/로부터 변환하고, 전자기 신호들을 통해 통신 네트워크들 및 다른 통신 디바이스들과 통신한다. RF 회로부(108)는, 선택적으로, 안테나 시스템, RF 트랜시버, 하나 이상의 증폭기들,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CODEC 칩셋,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이들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잘 알려진 회로부를 포함한다. RF 회로부(108)는, 선택적으로, 네트워크들, 예컨대 월드 와이드 웹(WWW)으로 또한 지칭되는 인터넷, 인트라넷,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예컨대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및/또는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및 다른 디바이스들과 무선 통신에 의해 통신한다. RF 회로부(108)는, 선택적으로, 예컨대 단거리 통신 라디오(short-range communication radio)에 의해,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필드들을 검출하기 위한 잘 알려진 회로부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은, 선택적으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EV-DO(Evolution, Data-Only), HSPA, HSPA+, DC-HSPDA(Dual-Cell HSPA), LTE(long term evolu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BTLE(Bluetooth Low Energy), Wi-Fi(Wireless Fidelity)(예를 들어, 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IEEE 802.11n 및/또는 IEEE 802.11ac),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Wi-MAX, 이메일용 프로토콜(예를 들어, IMAP(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및/또는 POP(post office protocol)), 인스턴트 메시징(예를 들어, XMPP(extensible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 SIMPLE(Session Initiation Protocol for Instant Messaging and Presence Leveraging Extensions), IMPS(Instant Messaging and Presence Service)), 및/또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본 문서의 출원일 당시 아직 개발되지 않은 통신 프로토콜들을 비롯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 복수의 통신 표준들, 프로토콜들 및 기술들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한다.
오디오 회로부(110), 스피커(111), 및 마이크로폰(113)은 사용자와 디바이스(100) 사이에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오디오 회로부(110)는 주변기기 인터페이스(118)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오디오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그 전기 신호를 스피커(111)로 송신한다. 스피커(111)는 전기 신호를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파들로 변환한다. 오디오 회로부(110)는 또한 마이크로폰(113)에 의해 음파들로부터 변환된 전기 신호들을 수신한다. 오디오 회로부(110)는 전기 신호를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고, 프로세싱을 위해 오디오 데이터를 주변기기 인터페이스(118)로 송신한다. 오디오 데이터는, 선택적으로, 주변기기 인터페이스(118)에 의해 메모리(102) 및/또는 RF 회로부(108)로부터 인출되고 그리고/또는 메모리(102) 및/또는 RF 회로부(108)로 송신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오디오 회로부(110)는 또한 헤드셋 잭(예를 들어, 도 2의 212)을 포함한다. 헤드셋 잭은 출력-전용 헤드폰들, 또는 출력(예를 들어, 한쪽 또는 양쪽 귀용 헤드폰) 및 입력(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둘 모두를 갖는 헤드셋과 같은 분리가능한 오디오 입/출력 주변기기들과 오디오 회로부(110)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I/O 서브시스템(106)은 터치 스크린(112) 및 다른 입력 제어 디바이스들(116)과 같은, 디바이스(100) 상의 입/출력 주변기기들을 주변기기 인터페이스(118)에 커플링시킨다. I/O 서브시스템(106)은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제어기(156), 광 센서 제어기(158), 세기 센서 제어기(159), 햅틱 피드백 제어기(161) 및 다른 입력 또는 제어 디바이스들을 위한 하나 이상의 입력 제어기(160)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입력 제어기들(160)은 다른 입력 제어 디바이스들(116)로부터/로 전기 신호들을 수신/전송한다. 다른 입력 제어 디바이스들(116)은 선택적으로 물리적 버튼들(예를 들어, 푸시 버튼(push button)들, 로커 버튼(rocker button)들 등), 다이얼들, 슬라이더 스위치들, 조이스틱들, 클릭 휠들 등을 포함한다. 일부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입력 제어기(들)(160)는 선택적으로 키보드, 적외선 포트, USB 포트, 및 마우스와 같은 포인터 디바이스 중 임의의 것에 커플링된다(또는 어떤 것에도 커플링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버튼들(예를 들어, 도 2의 208)은, 선택적으로, 스피커(111) 및/또는 마이크로폰(113)의 음량 제어를 위한 업/다운 버튼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버튼들은 선택적으로 푸시 버튼(예를 들어, 도 2의 206)을 포함한다.
푸시 버튼의 신속한 누르기(quick press)는 선택적으로 터치 스크린(112)의 잠금을 풀거나, 디바이스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터치 스크린 상의 제스처들을 사용하는 프로세스들을 시작하며, 이는 2005년 12월 23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1/322,549호, "Unlocking a Device by Performing Gestures on an Unlock Image"(미국 특허 제7,657,849호)에 설명된 바와 같으며, 이는 이로써 그 전체가 참고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푸시 버튼(예를 들어, 206)의 더 긴 누르기는 선택적으로 디바이스(10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한다. 버튼들 중 하나 이상의 버튼들의 기능성은 선택적으로, 사용자 맞춤화가 가능하다. 터치 스크린(112)은 가상 또는 소프트 버튼들 및 하나 이상의 소프트 키보드들을 구현하는 데 사용된다.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2)는 디바이스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제어기(156)는 터치 스크린(112)으로부터/으로 전기 신호들을 수신하고/하거나 전송한다. 터치 스크린(112)은 사용자에게 시각적 출력을 디스플레이한다. 시각적 출력은 선택적으로 그래픽들, 텍스트, 아이콘들, 비디오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총칭하여 "그래픽들"로 지칭됨)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각적 출력의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들에 대응한다.
터치 스크린(112)은 햅틱 및/또는 촉각적 접촉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용하는 터치 감응형 표면, 센서 또는 센서들의 세트를 갖는다. 터치 스크린(112) 및 디스플레이 제어기(156)는 (메모리(102) 내의 임의의 연관된 모듈들 및/또는 명령어들의 세트들과 함께) 터치 스크린(112) 상의 접촉(및 접촉의 임의의 이동 또는 중단)을 검출하고, 검출된 접촉을 터치 스크린(112) 상에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들(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소프트 키들, 아이콘들, 웹 페이지들 또는 이미지들)과의 상호작용으로 변환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터치 스크린(112)과 사용자 사이의 접촉 지점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응한다.
터치 스크린(112)은 선택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기술,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기술,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 기술을 이용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다른 디스플레이 기술들이 이용된다. 터치 스크린(112) 및 디스플레이 제어기(156)는, 선택적으로, 용량성, 저항성, 적외선, 및 표면 음향파 기술들뿐만 아니라 다른 근접 센서 어레이들, 또는 터치 스크린(112)과의 하나 이상의 접촉 지점을 결정하기 위한 다른 요소들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 현재 공지되어 있거나 추후에 개발되는 복수의 터치 감지 기술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접촉 및 그의 임의의 이동 또는 중단을 검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미국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 소재의 애플 인크.로부터의 아이폰® 및 아이팟 터치®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은 투영형 상호 정전용량 감지 기술(projected mutual capacitance sensing technology)이 이용된다.
터치 스크린(112)의 일부 실시예들에서의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는, 선택적으로, 하기 미국 특허들 제6,323,846호(Westerman 외), 제6,570,557호(Westerman 외), 및/또는 제6,677,932호(Westerman), 및/또는 미국 특허 공개 공보 제2002/0015024A1호에 기재된 다중-터치 감응형 터치패드들과 유사하며, 이들 각각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그러나, 터치 스크린(112)은 디바이스(100)로부터의 시각적 출력을 디스플레이하는 반면, 터치 감응형 터치패드들은 시각적 출력을 제공하지 않는다.
터치 스크린(112)의 일부 실시예들에서의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는 하기 출원들에 기술되어 있다: (1) 2006년 5월 2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1/381,313호, "Multipoint Touch Surface Controller"; (2) 2004년 5월 6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0/840,862호, "Multipoint Touchscreen"; (3) 2004년 7월 30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0/903,964호, "Gestures For 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4) 2005년 1월 31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1/048,264호, "Gestures For 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5) 2005년 1월 18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1/038,590호, "Mode-Base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6) 2005년 9월 16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1/228,758호, "Virtual Input Device Placement On A Touch Screen User Interface"; (7) 2005년 9월 16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1/228,700호, "Operation Of A Computer With A Touch Screen Interface"; (8) 2005년 9월 16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1/228,737호, "Activating Virtual Keys Of A Touch-Screen Virtual Keyboard"; 및 (9) 2006년 3월 3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1/367,749호, "Multi-Functional Hand-Held Device". 이 출원들 모두는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터치 스크린(112)은, 선택적으로, 100 dpi를 초과하는 비디오 해상도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터치 스크린은 대략 160 dpi의 비디오 해상도를 갖는다.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스타일러스, 손가락 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물체 또는 부속물을 사용하여 터치 스크린(112)과 접촉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주로 손가락 기반 접촉들 및 제스처들을 이용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는데, 이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의 손가락의 더 넓은 접촉 면적으로 인해 스타일러스 기반 입력보다 덜 정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대략적인 손가락 기반 입력을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정밀한 포인터/커서 위치 또는 커맨드로 변환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터치 스크린 이외에, 디바이스(100)는, 선택적으로, 특정 기능들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터치패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터치 패드는, 터치 스크린과는 달리, 시각적 출력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디바이스의 터치 감응형 영역이다. 터치 패드는, 선택적으로, 터치 스크린(112)과는 별개인 터치 감응형 표면 또는 터치 스크린에 의해 형성된 터치 감응형 표면의 연장부이다.
디바이스(100)는 또한 다양한 컴포넌트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시스템(162)을 포함한다. 전력 시스템(162)은, 선택적으로, 전력 관리 시스템, 하나 이상의 전원(예를 들어, 배터리, 교류 전류(alternating current, AC)), 재충전 시스템, 전력 고장 검출 회로, 전력 변환기 또는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ED)), 및 휴대용 디바이스들 내에서의 전력의 생성, 관리 및 분배와 연관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디바이스(100)는 또한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광 센서(164)를 포함한다. 도 1a는 I/O 서브시스템(106) 내의 광 센서 제어기(158)에 커플링된 광 센서를 도시한다. 광 센서(164)는 선택적으로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포토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한다. 광 센서(164)는 하나 이상의 렌즈들을 통해 투영되는, 주변환경으로부터의 광을 수광하고, 그 광을 이미지를 표현하는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미징 모듈(143)(카메라 모듈로도 지칭됨)과 함께, 광 센서(164)는 선택적으로, 정지 이미지들 또는 비디오를 캡처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광 센서는 디바이스 전면 상의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12)의 반대편인 디바이스(100)의 배면 상에 위치되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가 정지 및/또는 비디오 이미지 획득을 위한 뷰파인더로서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광 센서는 디바이스의 전면 상에 위치됨으로써,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 다른 화상 회의 참가자들을 보는 동안, 선택적으로, 사용자의 이미지가 화상 회의를 위해 얻어진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광 센서(164)의 위치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 하우징 내의 렌즈 및 센서를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어, 단일 광 센서(164)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와 함께 화상 회의와 정지 및/또는 비디오 이미지 획득 둘 모두에 사용된다.
디바이스(100)는 또한,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접촉 세기 센서들(165)을 포함한다. 도 1a는 I/O 서브시스템(106) 내의 세기 센서 제어기(159)에 커플링된 접촉 세기 센서를 도시한다. 접촉 세기 센서(165)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압전 저항 스트레인 게이지들, 용량성 힘 센서들, 전기적 힘 센서들, 압전 힘 센서들, 광학적 힘 센서들, 용량성 터치 감응형 표면들, 또는 다른 세기 센서들(예를 들어, 터치 감응형 표면 상의 접촉의 힘(또는 압력)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센서들)을 포함한다. 접촉 세기 센서(165)는 환경으로부터 접촉 세기 정보(예를 들어, 압력 정보 또는 압력 정보에 대한 프록시)를 수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세기 센서는 터치 감응형 표면(예를 들어,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과 함께 위치(collocate)되거나 그에 근접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세기 센서가 디바이스(100)의 전면 상에 위치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12)의 반대편인 디바이스(100)의 배면 상에 위치된다.
디바이스(100)는 또한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근접 센서(166)를 포함한다. 도 1a는 주변기기 인터페이스(118)에 커플링된 근접 센서(166)를 도시한다. 대안적으로, 근접 센서(166)는, 선택적으로, I/O 서브시스템(106) 내의 입력 제어기(160)에 커플링된다. 근접 센서(166)는, 선택적으로, 미국 특허 출원들 제11/241,839호, "Proximity Detector In Handheld Device"; 제11/240,788호, "Proximity Detector In Handheld Device"; 제11/620,702호, "Using Ambient Light Sensor To Augment Proximity Sensor Output"; 제11/586,862호, "Automated Response To And Sensing Of User Activity In Portable Devices"; 및 제11/638,251호,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 Configuration Of Peripherals"에 설명된 바와 같이 수행되며, 이로써 이들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근접 센서는 다기능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귀 근처에 위치될 때(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하고 있을 때) 터치 스크린(112)을 끄고 디스에이블시킨다.
디바이스(100)는 또한,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촉각적 출력 생성기들(167)을 포함한다. 도 1a는 I/O 서브시스템(106) 내의 햅틱 피드백 제어기(161)에 커플링된 촉각적 출력 생성기를 도시한다. 촉각적 출력 생성기(167)는, 선택적으로, 스피커들 또는 다른 오디오 컴포넌트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자음향 디바이스들 및/또는 모터, 솔레노이드, 전기활성 중합체, 압전 액추에이터, 정전 액추에이터, 또는 다른 촉각적 출력 생성 컴포넌트(예를 들어, 전기 신호들을 디바이스 상의 촉각적 출력들로 변환하는 컴포넌트)와 같은, 에너지를 선형 모션(linear motion)으로 변환하는 전자기계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접촉 세기 센서(165)는 햅틱 피드백 모듈(133)로부터 촉각적 피드백 생성 명령어들을 수신하여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디바이스(100) 상의 촉각적 출력들을 생성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촉각적 출력 생성기는 터치 감응형 표면(예를 들어,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과 함께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하며, 선택적으로, 터치 감응형 표면을 수직으로(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표면 내/외로) 또는 측방향으로(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표면과 동일한 평면에서 앞뒤로) 이동시킴으로써 촉각적 출력을 생성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촉각적 출력 생성기 센서는 디바이스(100)의 전면 상에 위치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12)의 반대편인 디바이스(100)의 배면 상에 위치된다.
디바이스(100)는 또한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가속도계(168)를 포함한다. 도 1a는 주변기기 인터페이스(118)에 커플링된 가속도계(168)를 도시한다. 대안적으로, 가속도계(168)는 선택적으로 I/O 서브시스템(106) 내의 입력 제어기(160)에 커플링된다. 가속도계(168)는 선택적으로, 미국 특허 공개 공보 제20050190059호, "Acceleration-based Theft Detection Syste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및 미국 특허 공개 공보 제20060017692호,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perating A Portable Device Based On An Accelerometer"에 설명된 바와 같이 수행되며, 이들 둘 모두는 그 전체가 참고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가속도계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분석에 기초하여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세로보기(portrait view) 또는 가로보기(landscape view)로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디바이스(100)는, 선택적으로, 가속도계(들)(168) 외에도, 자력계(도시되지 않음), 및 디바이스(100)의 위치 및 배향(예를 들어, 세로 또는 가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GPS(또는 GLONASS 또는 다른 글로벌 내비게이션 시스템) 수신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102)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은 운영 체제(126), 통신 모듈(또는 명령어들의 세트)(128), 접촉/모션 모듈(또는 명령어들의 세트)(130), 그래픽 모듈(또는 명령어들의 세트)(132), 텍스트 입력 모듈(또는 명령어들의 세트)(134),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모듈(또는 명령어들의 세트)(135), 및 애플리케이션들(또는 명령어들의 세트들)(136)을 포함한다. 게다가,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도 1a의 102 또는 도 3의 370)는 도 1a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글로벌 내부 상태(157)를 저장한다. 디바이스/글로벌 내부 상태(157)는, 존재하는 경우, 어느 애플리케이션들이 현재 활성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활성 애플리케이션 상태; 어떤 애플리케이션들, 뷰들 또는 다른 정보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12)의 다양한 영역들을 점유하는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상태; 디바이스의 다양한 센서들 및 입력 제어 디바이스들(116)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포함하는 센서 상태; 및 디바이스의 위치 및/또는 자세에 관한 위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운영 체제(126)(예를 들어, Darwin, RTXC, LINUX, UNIX, OS X, iOS, WINDOWS, 또는 VxWorks와 같은 임베디드 운영 체제)는 일반적인 시스템 태스크들(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디바이스 제어, 전력 관리 등)을 제어 및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드라이버들을 포함하고, 다양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한다.
통신 모듈(128)은 하나 이상의 외부 포트(124)를 통한 다른 디바이스들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RE 회로부(108) 및/또는 외부 포트(124)에 의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외부 포트(124)(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파이어와이어(FIREWIRE) 등)는 다른 디바이스들에 직접적으로 또는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 무선 LAN 등)를 통해 간접적으로 커플링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외부 포트는 아이팟®(애플 인크.의 상표) 디바이스들에서 사용되는 30-핀 커넥터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고 그리고/또는 이와 호환가능한 멀티-핀(예를 들어, 30-핀) 커넥터이다.
접촉/모션 모듈(130)은,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제어기(156)와 함께) 터치 스크린(112), 및 다른 터치 감응형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터치 패드 또는 물리적 클릭 휠)과의 접촉을 검출한다. 접촉/모션 모듈(130)은 접촉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예를 들어, 손가락-다운 이벤트(finger-down event)를 검출하는 것), 접촉의 세기(예를 들어, 접촉의 힘 또는 압력, 또는 접촉의 힘 또는 압력에 대한 대체물)를 결정하는 것, 접촉의 이동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여 터치 감응형 표면을 가로지르는 이동을 추적하는 것(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손가락-드래깅 이벤트(finger-dragging event)들을 검출하는 것), 및 접촉이 중단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예를 들어, 손가락-업 이벤트(finger-up event) 또는 접촉 중단을 검출하는 것)과 같은, 접촉의 검출에 관련된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접촉/모션 모듈(130)은 터치 감응형 표면으로부터 접촉 데이터를 수신한다. 일련의 접촉 데이터에 의해 표현되는 접촉 지점의 이동을 결정하는 것은, 선택적으로, 접촉 지점의 속력(크기), 속도(크기 및 방향), 및/또는 가속도(크기 및/또는 방향의 변화)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동작들은, 선택적으로, 단일 접촉들(예를 들어, 한 손가락 접촉들)에 또는 다수의 동시 접촉들(예를 들어, "멀티터치"/다수의 손가락 접촉들)에 적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모션 모듈(130) 및 디스플레이 제어기(156)는 터치 패드 상의 접촉을 검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모션 모듈(130)은 동작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아이콘 위에서 "클릭"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세기 임계치들의 세트를 이용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세기 임계치들의 서브세트가 소프트웨어 파라미터들에 따라 결정된다(예를 들어, 세기 임계치들은 특정 물리적 액추에이터들의 활성화 임계치들에 의해 결정되지 않으며, 디바이스(100)의 물리적 하드웨어를 변경함이 없이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랙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마우스 "클릭" 임계치는 트랙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하드웨어를 변경함이 없이 넓은 범위의 미리 정의된 임계 값들 중 임의의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부 구현예들에서,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예를 들어, 개별 세기 임계치들을 조정함으로써 그리고/또는 복수의 세기 임계치들을 시스템 레벨 클릭 "세기" 파라미터로 한꺼번에 조정함으로써) 소정 세트의 세기 임계치들 중 하나 이상을 조정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설정들을 제공받는다.
접촉/모션 모듈(130)은, 선택적으로, 사용자에 의한 제스처 입력을 검출한다. 터치 감응형 표면 상에서의 상이한 제스처들은 상이한 접촉 패턴들(예를 들어, 상이한 모션들, 타이밍들, 및/또는 검출된 접촉들의 세기들)을 갖는다. 따라서, 제스처는, 선택적으로, 특정 접촉 패턴을 검출함으로써 검출된다. 예를 들어, 손가락 탭 제스처(finger tap gesture)를 검출하는 것은 손가락-다운 이벤트를 검출한 다음에 손가락-다운 이벤트와 동일한 위치(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서(예컨대, 아이콘의 위치에서) 손가락-업(리프트오프(liftoff))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예로서, 터치 감응형 표면 상에서 손가락 스와이프 제스처(finger swipe gesture)를 검출하는 것은 손가락-다운 이벤트를 검출한 다음에 하나 이상의 손가락-드래깅 이벤트들을 검출하고, 그에 후속하여 손가락-업(리프트오프)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래픽 모듈(132)은,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의 시각적 효과(예를 들어, 밝기, 투명도, 채도, 콘트라스트 또는 다른 시각적 속성)를 변경하기 위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112)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상에서 그래픽을 렌더링 및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양한 공지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그래픽"은 텍스트, 웹 페이지들, 아이콘들(예를 들어, 소프트 키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들), 디지털 이미지들, 비디오들, 애니메이션들 등을 제한 없이 포함하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임의의 객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그래픽 모듈(132)은 사용될 그래픽을 표현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각각의 그래픽에는, 선택적으로, 대응하는 코드가 할당된다. 그래픽 모듈(132)은, 필요한 경우, 좌표 데이터 및 다른 그래픽 속성 데이터와 함께, 디스플레이될 그래픽들을 특정하는 하나 이상의 코드들을 애플리케이션들 등으로부터 수신하며, 이어서 스크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제어기(156)에 출력한다.
햅틱 피드백 모듈(133)은 디바이스(100)와의 사용자 상호작용들에 응답하여 디바이스(100) 상의 하나 이상의 위치들에서 촉각적 출력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촉각적 출력 생성기(들)(167)에 의해 이용되는 명령어들을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그래픽 모듈(132)의 컴포넌트인 텍스트 입력 모듈(134)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예를 들어, 연락처들(137), 이메일(140), IM(141), 브라우저(147), 및 텍스트 입력을 필요로 하는 임의의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소프트 키보드들을 제공한다.
GPS 모듈(135)은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고, 이러한 정보를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에서의 사용을 위해 (예를 들어, 위치-기반 다이얼링에서 사용하기 위해 전화(138)에; 사진/비디오 메타데이터로서 카메라(143)에; 그리고 날씨 위젯들, 지역 옐로 페이지 위젯들 및 지도/내비게이션 위젯들과 같은 위치 기반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들에) 제공한다.
애플리케이션들(136)은, 선택적으로, 다음의 모듈들(또는 명령어들의 세트들), 또는 이들의 서브세트 또는 수퍼세트(superset)를 포함한다:
Figure 112021109367979-pat00001
연락처 모듈(137)(때때로 주소록 또는 연락처 목록으로 지칭됨);
Figure 112021109367979-pat00002
전화 모듈(138);
Figure 112021109367979-pat00003
화상 회의 모듈(139);
Figure 112021109367979-pat00004
이메일 클라이언트 모듈(140);
Figure 112021109367979-pat00005
인스턴트 메시징(IM) 모듈(141);
Figure 112021109367979-pat00006
운동 지원 모듈(142);
Figure 112021109367979-pat00007
정지 및/또는 비디오 이미지들을 위한 카메라 모듈(143);
Figure 112021109367979-pat00008
이미지 관리 모듈(144);
Figure 112021109367979-pat00009
비디오 재생기 모듈;
Figure 112021109367979-pat00010
음악 재생기 모듈;
Figure 112021109367979-pat00011
브라우저 모듈(147);
Figure 112021109367979-pat00012
캘린더 모듈(148);
Figure 112021109367979-pat00013
날씨 위젯(149-1), 주식 위젯(149-2), 계산기 위젯(149-3), 알람 시계 위젯(149-4), 사전 위젯(149-5), 및 사용자에 의해 얻어지는 다른 위젯들뿐 아니라 사용자-생성 위젯들(149-6)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위젯 모듈들(149);
Figure 112021109367979-pat00014
사용자-생성 위젯들(149-6)을 만들기 위한 위젯 생성기 모듈(150);
Figure 112021109367979-pat00015
검색 모듈(151);
Figure 112021109367979-pat00016
비디오 재생기 모듈 및 음악 재생기 모듈을 통합하는 비디오 및 음악 재생기 모듈(152);
Figure 112021109367979-pat00017
메모 모듈(153);
Figure 112021109367979-pat00018
지도 모듈(154); 및/또는
Figure 112021109367979-pat00019
온라인 비디오 모듈(155).
선택적으로 메모리(102) 내에 저장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들(136)의 예들은 다른 워드 프로세싱 애플리케이션들, 다른 이미지 편집 애플리케이션들, 드로잉 애플리케이션들, 프레젠테이션 애플리케이션들, JAVA-인에이블형 애플리케이션들, 암호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음성 인식 및 음성 복제를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112), 디스플레이 제어기(156), 접촉/모션 모듈(130), 그래픽 모듈(132) 및 텍스트 입력 모듈(134)과 함께, 연락처 모듈(137)은, 선택적으로, 주소록 또는 연락처 목록(예를 들어, 메모리(102) 또는 메모리(370) 내의 연락처 모듈(137)의 애플리케이션 내부 상태(192)에 저장됨)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며: 이는 다음을 포함한다: 이름(들)을 주소록에 부가하는 것; 주소록으로부터 이름(들)을 삭제하는 것; 전화번호(들), 이메일 주소(들), 물리적 주소(들) 또는 다른 정보를 이름과 연관시키는 것; 이미지를 이름과 연관시키는 것; 이름들을 분류 및 정렬하는 것; 전화(138), 화상 회의 모듈(139), 이메일(140) 또는 IM(141)에 의한 통신을 개시하고/하거나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화번호들 또는 이메일 주소들을 제공하는 것 등.
RF 회로부(108), 오디오 회로부(110), 스피커(111), 마이크로폰(113), 터치 스크린(112), 디스플레이 제어기(156), 접촉/모션 모듈(130), 그래픽 모듈(132), 및 텍스트 입력 모듈(134)과 함께, 전화 모듈(138)은, 선택적으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문자들의 시퀀스를 입력하고, 연락처 모듈(137) 내의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들에 액세스하고, 입력된 전화번호를 수정하고, 개별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고, 대화를 하고, 대화가 완료된 때 연결해제하거나 끊는 데 사용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은 선택적으로 복수의 통신 표준, 프로토콜 및 기술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한다.
RF 회로부(108), 오디오 회로부(110), 스피커(111), 마이크로폰(113), 터치 스크린(112), 디스플레이 제어기(156), 광 센서(164), 광 센서 제어기(158), 접촉/모션 모듈(130), 그래픽 모듈(132), 텍스트 입력 모듈(134), 연락처 모듈(137) 및 전화 모듈(138)과 함께, 화상 회의 모듈(139)은 사용자 지시들에 따라 사용자와 한 명 이상의 다른 참여자들 사이의 화상 회의를 개시, 시행 및 종료하도록 하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RF 회로부(108), 터치 스크린(112), 디스플레이 제어기(156), 접촉/모션 모듈(130), 그래픽 모듈(132) 및 텍스트 입력 모듈(134)과 함께, 이메일 클라이언트 모듈(140)은 사용자 지시들에 응답하여 이메일을 작성, 전송, 수신, 및 관리하도록 하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이미지 관리 모듈(144)과 함께, 이메일 클라이언트 모듈(140)은 카메라 모듈(143)로 촬영된 정지 또는 비디오 이미지들을 갖는 이메일을 생성 및 전송하는 것을 매우 용이하게 한다.
RF 회로부(108), 터치 스크린(112), 디스플레이 제어기(156), 접촉/모션 모듈(130), 그래픽 모듈(132) 및 텍스트 입력 모듈(134)과 함께, 인스턴트 메시징 모듈(141)은, 인스턴트 메시지에 대응하는 문자들의 시퀀스를 입력하고, 이전에 입력된 문자들을 수정하고, (예를 들어, 전화 기반 인스턴트 메시지들을 위한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토콜을 사용하거나, 인터넷 기반 인스턴트 메시지들을 위한 XMPP, SIMPLE 또는 IMPS를 사용하여) 개개의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신하고, 인스턴트 메시지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인스턴트 메시지들을 보도록 하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송 및/또는 수신된 인스턴트 메시지들은 선택적으로 그래픽들, 사진, 오디오 파일들, 비디오 파일들 및/또는 MMS 및/또는 EMS(Enhanced Messaging Service)에서 지원되는 바와 같은 다른 첨부물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인스턴트 메시징"은 전화 기반 메시지들(예를 들어, SMS 또는 MMS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메시지들) 및 인터넷 기반 메시지들(예를 들어, XMPP, SIMPLE 또는 IMPS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메시지들) 둘 모두를 지칭한다.
RF 회로부(108), 터치 스크린(112), 디스플레이 제어기(156), 접촉/모션 모듈(130), 그래픽 모듈(132), 텍스트 입력 모듈(134), GPS 모듈(135), 지도 모듈(154), 및 음악 재생기 모듈과 함께, 운동 지원 모듈(142)은, (예를 들어, 시간, 거리, 및/또는 열량 소비 목표들과 함께) 운동들을 고안하고; 운동 센서들(스포츠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고; 운동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운동을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되는 센서들을 교정하고; 운동을 위한 음악을 선택 및 재생하고; 운동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저장 및 송신하도록 하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112), 디스플레이 제어기(156), 광 센서(들)(164), 광 센서 제어기(158), 접촉/모션 모듈(130), 그래픽 모듈(132) 및 이미지 관리 모듈(144)과 함께, 카메라 모듈(143)은, 정지 이미지들 또는 비디오(비디오 스트림을 포함함)를 캡처하고 이들을 메모리(102) 내에 저장하거나, 정지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특성을 수정하거나, 메모리(102)로부터 정지 이미지 또는 비디오를 삭제하도록 하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112), 디스플레이 제어기(156), 접촉/모션 모듈(130), 그래픽 모듈(132), 텍스트 입력 모듈(134) 및 카메라 모듈(143)과 함께, 이미지 관리 모듈(144)은 정지 및/또는 비디오 이미지들을 배열하거나, 수정(예를 들어, 편집)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조작하고, 라벨링하고, 삭제하고, (예를 들어, 디지털 슬라이드 쇼 또는 앨범에) 제시하고, 저장하도록 하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RF 회로부(108), 터치 스크린(112), 디스플레이 제어기(156), 접촉/모션 모듈(130), 그래픽 모듈(132) 및 텍스트 입력 모듈(134)과 함께, 브라우저 모듈(147)은, 웹 페이지들 또는 이들의 부분들뿐만 아니라 웹 페이지들에 링크된 첨부물들 및 다른 파일들을 검색하고, 그들에 링크하고, 수신하고, 그리고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여, 사용자 지시들에 따라 인터넷을 브라우징하도록 하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RF 회로부(108), 터치 스크린(112), 디스플레이 제어기(156), 접촉/모션 모듈(130), 그래픽 모듈(132), 텍스트 입력 모듈(134), 이메일 클라이언트 모듈(140), 및 브라우저 모듈(147)과 함께, 캘린더 모듈(148)은 사용자 지시들에 따라 캘린더들 및 캘린더들과 연관된 데이터(예를 들어, 캘린더 엔트리들, 할 일 목록들 등)를 생성, 디스플레이, 수정, 및 저장하도록 하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RF 회로부(108), 터치 스크린(112), 디스플레이 제어기(156), 접촉/모션 모듈(130), 그래픽 모듈(132), 텍스트 입력 모듈(134) 및 브라우저 모듈(147)과 함께, 위젯 모듈들(149)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다운로드 및 사용되거나(예를 들어, 날씨 위젯(149-1), 주식 위젯(149-2), 계산기 위젯(149-3), 알람 시계 위젯(149-4) 및 사전 위젯(149-5)), 또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예를 들어, 사용자-생성 위젯(149-6)) 미니-애플리케이션들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위젯은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파일, CSS(Cascading Style Sheets) 파일 및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파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위젯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파일 및 자바스크립트 파일(예를 들어, 야후(Yahoo)! 위젯들)을 포함한다.
RF 회로부(108), 터치 스크린(112), 디스플레이 제어기(156), 접촉/모션 모듈(130), 그래픽 모듈(132), 텍스트 입력 모듈(134) 및 브라우저 모듈(147)과 함께, 위젯 생성기 모듈(150)은 선택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위젯들을 생성(예를 들어, 웹 페이지의 사용자 특정 부분을 위젯으로 변경)하는 데 사용된다.
터치 스크린(112), 디스플레이 제어기(156), 접촉/모션 모듈(130), 그래픽 모듈(132) 및 텍스트 입력 모듈(134)과 함께, 검색 모듈(151)은 사용자 지시들에 따라 하나 이상의 검색 기준들(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사용자-특정 검색어들)에 매칭되는 메모리(102) 내의 텍스트, 음악, 사운드, 이미지, 비디오, 및/또는 다른 파일들을 검색하도록 하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112), 디스플레이 제어기(156), 접촉/모션 모듈(130), 그래픽 모듈(132), 오디오 회로부(110), 스피커(111), RF 회로부(108) 및 브라우저 모듈(147)과 함께, 비디오 및 음악 재생기 모듈(152)은, 사용자가 MP3 또는 AAC 파일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파일 포맷들로 저장된 기록된 음악 및 다른 사운드 파일들을 다운로드 및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들, 및 비디오들을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112) 상에서 또는 외부 포트(124)를 통해 외부의 연결된 디스플레이 상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상영하도록, 또는 다른 방식으로 재생하도록 하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100)는 선택적으로 아이팟(애플 인크.의 상표)과 같은 MP3 재생기의 기능을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112), 디스플레이 제어기(156), 접촉/모션 모듈(130), 그래픽 모듈(132) 및 텍스트 입력 모듈(134)과 함께, 메모 모듈(153)은 사용자 지시들에 따라 메모들, 할 일 목록들 등을 생성 및 관리하도록 하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RF 회로부(108), 터치 스크린(112), 디스플레이 제어기(156), 접촉/모션 모듈(130), 그래픽 모듈(132), 텍스트 입력 모듈(134), GPS 모듈(135), 및 브라우저 모듈(147)과 함께, 지도 모듈(154)은 선택적으로 사용자 지시들에 따라 지도들 및 지도들과 연관된 데이터(예를 들어, 운전 방향; 특정한 위치에 또는 그 인근의 상점들 및 다른 관심 지점들에 관한 데이터; 및 다른 위치-기반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하고, 수정하고,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터치 스크린(112), 디스플레이 제어기(156), 접촉/모션 모듈(130), 그래픽 모듈(132), 오디오 회로부(110), 스피커(111), RF 회로부(108), 텍스트 입력 모듈(134), 이메일 클라이언트 모듈(140) 및 브라우저 모듈(147)과 함께, 온라인 비디오 모듈(155)은, 사용자가 H.264와 같은 하나 이상의 파일 포맷들의 온라인 비디오들에 액세스하고, 그들을 브라우징하고, (예를 들어, 스트리밍 및/또는 다운로드에 의해) 수신하고,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상에서 또는 외부 포트(124)를 통해 외부의 연결된 디스플레이 상에서) 재생하고, 특정한 온라인 비디오로의 링크와 함께 이메일을 전송하고, 그렇지 않으면 관리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메일 클라이언트 모듈(140)보다는 오히려 인스턴트 메시징 모듈(141)이 특정 온라인 비디오로의 링크를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온라인 비디오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추가적 설명은, 2007년 6월 20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0/936,562호,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laying Online Videos" 및 2007년 12월 31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1/968,067호,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laying Online Videos"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이들의 내용은 이로써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위에서-식별된 모듈들 및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은 위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기능들 및 본 출원에 설명되는 방법들(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컴퓨터 구현 방법들 및 다른 정보 프로세싱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의 세트에 대응한다. 이들 모듈(예를 들어, 명령어들의 세트들)은 별개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 절차들 또는 모듈들로서 구현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이들 모듈의 다양한 서브세트들이 선택적으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조합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재배열된다. 예를 들어, 비디오 재생기 모듈은, 선택적으로, 음악 재생기 모듈과 함께 단일 모듈(예를 들어, 도 1a의 비디오 및 음악 재생기 모듈(152))로 조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102)는 선택적으로, 위에서-식별된 모듈들 및 데이터 구조들의 서브세트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102)는 선택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가적인 모듈들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 상의 미리 정의된 세트의 기능들의 동작이 터치 스크린 및/또는 터치패드를 통해 전용으로 수행되는 디바이스이다. 터치 스크린 및/또는 터치패드를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위한 주 입력 제어 디바이스로서 사용함으로써, 디바이스(100) 상의 (푸시 버튼들, 다이얼들 등과 같은) 물리적 입력 제어 디바이스들의 수가 선택적으로 감소된다.
전적으로 터치 스크린 및/또는 터치 패드를 통해 수행되는 미리 정의된 세트의 기능들은, 선택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간의 내비게이션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터치패드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될 때, 디바이스(100)를 디바이스(10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임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메인, 홈 또는 루트 메뉴로 내비게이팅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메뉴 버튼"이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서, 메뉴 버튼은 터치 패드 대신에 물리적 푸시 버튼 또는 다른 물리적 입력 제어 디바이스이다.
도 1b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벤트 처리를 위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도 1a의 102 또는 도 3의 370)는 (예를 들어, 운영 체제(126)에서의) 이벤트 분류기(170) 및 개개의 애플리케이션(136-1)(예를 들어, 전술된 애플리케이션들(137 내지 151, 155, 380 내지 390)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한다.
이벤트 분류기(170)는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고, 이벤트 정보를 전달할 애플리케이션(136-1), 및 애플리케이션(136-1)의 애플리케이션 뷰(191)를 결정한다. 이벤트 분류기(170)는 이벤트 모니터(171) 및 이벤트 디스패처 모듈(event dispatcher module)(174)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애플리케이션(136-1)은 애플리케이션이 활성이거나 실행 중일 때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2)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현재 애플리케이션 뷰(들)를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 내부 상태(192)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글로벌 내부 상태(157)는 이벤트 분류기(170)에 의해 어느 애플리케이션(들)이 현재 활성인지 결정하는 데 이용되며, 애플리케이션 내부 상태(192)는 이벤트 분류기(170)에 의해 이벤트 정보를 전달할 애플리케이션 뷰들(191)을 결정하는 데 이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애플리케이션 내부 상태(192)는 애플리케이션(136-1)이 실행을 재개할 때 사용될 재개 정보, 애플리케이션(136-1)에 의해 디스플레이되고 있거나 디스플레이될 준비가 된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 정보,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136-1)의 이전 상태 또는 뷰로 되돌아가도록 인에이블하기 위한 상태 큐(queue), 및 사용자에 의해 취해진 이전 동작들의 재실행(redo)/실행취소(undo) 큐 중 하나 이상과 같은 부가적인 정보를 포함한다.
이벤트 모니터(171)는 주변기기 인터페이스(118)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수신한다. 이벤트 정보는 서브이벤트(예를 들어, 다중 터치 제스처의 일부로서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2) 상에서의 사용자 터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주변기기 인터페이스(118)는 I/O 서브시스템(106) 또는 센서, 예를 들어 근접 센서(166), 가속도계(들)(168), 및/또는 (오디오 회로부(110)를 통한) 마이크로폰(113)으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를 송신한다. 주변기기 인터페이스(118)가 I/O 서브시스템(106)으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2) 또는 터치 감응형 표면으로부터의 정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벤트 모니터(171)는 요청들을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주변기기 인터페이스(118)에 전송한다. 이에 응답하여, 주변기기 인터페이스(118)는 이벤트 정보를 송신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주변기기 인터페이스(118)는 중요한 이벤트(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잡음 임계치를 초과하는 입력 및/또는 미리 결정된 지속기간 초과 동안의 입력을 수신하는 것)가 있을 때에만 이벤트 정보를 송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벤트 분류기(170)는 또한 히트 뷰(hit view) 결정 모듈(172) 및/또는 활성 이벤트 인식기 결정 모듈(173)을 포함한다.
히트 뷰 결정 모듈(172)은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2)가 하나 초과의 뷰를 디스플레이할 때 하나 이상의 뷰들 내에서 서브이벤트가 발생한 곳을 결정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절차들을 제공한다. 뷰들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상에서 볼 수 있는 제어부들 및 다른 요소들로 구성된다.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양태는 본 명세서에서 때때로 애플리케이션 뷰들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윈도우(user interface window)들로 지칭되는 뷰들의 세트이며, 여기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터치 기반 제스처가 발생한다. 터치가 검출되는 (개개의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뷰들은 선택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 또는 뷰 계층구조 내의 프로그램 레벨들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터치가 검출되는 최하위 레벨의 뷰는 선택적으로 히트 뷰로 지칭되고, 적절한 입력들로서 인식되는 이벤트들의 세트는 선택적으로 터치 기반 제스처를 시작하는 초기 터치의 히트 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된다.
히트 뷰 결정 모듈(172)은 터치 기반 제스처의 서브이벤트들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애플리케이션이 계층구조에서 조직화된 다수의 뷰들을 가질 때, 히트 뷰 결정 모듈(172)은 히트 뷰를, 서브이벤트를 처리해야 하는 계층구조 내의 최하위 뷰로서 식별한다. 대부분의 상황들에서, 히트 뷰는 개시되는 서브이벤트(예를 들어, 이벤트 또는 잠재적 이벤트를 형성하는 서브이벤트들의 시퀀스에서의 제1 서브이벤트)가 발생하는 최하위 레벨 뷰이다. 일단 히트 뷰가 히트 뷰 결정 모듈(172)에 의해 식별되면, 히트 뷰는 전형적으로 그것이 히트 뷰로서 식별되게 한 것과 동일한 터치 또는 입력 소스에 관련된 모든 서브이벤트들을 수신한다.
활성 이벤트 인식기 결정 모듈(173)은 뷰 계층구조 내에서 어느 뷰 또는 뷰들이 서브이벤트들의 특정 시퀀스를 수신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활성 이벤트 인식기 결정 모듈(173)은 히트 뷰만이 서브이벤트들의 특정 시퀀스를 수신해야 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활성 이벤트 인식기 결정 모듈(173)은 서브이벤트의 물리적 위치를 포함하는 모든 뷰들이 적극 참여 뷰(actively involved view)들인 것으로 결정하고, 그에 따라 모든 적극 참여 뷰들이 서브이벤트들의 특정 시퀀스를 수신해야 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터치 서브이벤트들이 전적으로 하나의 특정 뷰와 연관된 영역으로 한정되었더라도, 계층구조 내의 상위 뷰들은 여전히 적극 참여 뷰들로서 유지될 것이다.
이벤트 디스패처 모듈(174)은 이벤트 정보를 이벤트 인식기(예를 들어, 이벤트 인식기(180))에 디스패치한다. 활성 이벤트 인식기 결정 모듈(173)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에서, 이벤트 디스패처 모듈(174)은 이벤트 정보를 활성 이벤트 인식기 결정 모듈(173)에 의해 결정된 이벤트 인식기에 전달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벤트 디스패처 모듈(174)은 이벤트 큐 내에 이벤트 정보를 저장하는데, 그 이벤트 정보는 개개의 이벤트 수신기(182)에 의해 인출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운영 체제(126)는 이벤트 분류기(170)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애플리케이션(136-1)은 이벤트 분류기(170)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이벤트 분류기(170)는 독립형 모듈이거나, 또는 접촉/모션 모듈(130)과 같이 메모리(102)에 저장되는 다른 모듈의 일부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애플리케이션(136-1)은 복수의 이벤트 핸들러들(190) 및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뷰들(191)을 포함하며, 이들의 각각은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각각의 뷰 내에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들을 처리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136-1)의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뷰(191)는 하나 이상의 이벤트 인식기들(180)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개개의 애플리케이션 뷰(191)는 복수의 이벤트 인식기들(180)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이벤트 인식기들(180) 중 하나 이상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키트(도시되지 않음) 또는 애플리케이션(136-1)이 방법들 및 다른 속성들을 물려받는 상위 레벨 객체와 같은 별개의 모듈의 일부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개개의 이벤트 핸들러(190)는 데이터 업데이터(176), 객체 업데이터(177), GUI 업데이터(178), 및/또는 이벤트 분류기(170)로부터 수신된 이벤트 데이터(179)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벤트 핸들러(190)는 선택적으로 데이터 업데이터(176), 객체 업데이터(177) 또는 GUI 업데이터(178)를 이용하거나 호출하여 애플리케이션 내부 상태(192)를 업데이트한다. 대안적으로, 애플리케이션 뷰들(191) 중 하나 이상은 하나 이상의 각각의 이벤트 핸들러들(190)을 포함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데이터 업데이터(176), 객체 업데이터(177), 및 GUI 업데이터(178) 중 하나 이상은 개개의 애플리케이션 뷰(191) 내에 포함된다.
개개의 이벤트 인식기(180)는 이벤트 분류기(170)로부터 이벤트 정보(예를 들어, 이벤트 데이터(179))를 수신하고 그 이벤트 정보로부터 이벤트를 식별한다. 이벤트 인식기(180)는 이벤트 수신기(182) 및 이벤트 비교기(184)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벤트 인식기(180)는 또한 적어도 메타데이터(183) 및 이벤트 전달 명령어들(188)(선택적으로 서브이벤트 전달 명령어들을 포함함)의 서브세트를 포함한다.
이벤트 수신기(182)는 이벤트 분류기(170)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수신한다. 이벤트 정보는 서브이벤트, 예를 들어 터치 또는 터치 이동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서브이벤트에 따라서, 이벤트 정보는 또한 서브이벤트의 위치와 같은 추가 정보를 포함한다. 서브이벤트가 터치의 모션과 관련되는 경우, 이벤트 정보는 또한 선택적으로 서브이벤트의 속력 및 방향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벤트들은 하나의 배향으로부터 다른 배향으로(예를 들어, 세로 배향으로부터 가로 배향으로, 또는 그 반대로)의 디바이스의 회전을 포함하며, 이벤트 정보는 디바이스의 현재 배향(디바이스 자세로 또한 지칭됨)에 관한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벤트 비교기(184)는 이벤트 정보를 미리 정의된 이벤트 또는 서브이벤트 정의들과 비교하고, 그 비교에 기초하여, 이벤트 또는 서브이벤트를 결정하거나, 이벤트 또는 서브이벤트의 상태를 결정 또는 업데이트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벤트 비교기(184)는 이벤트 정의들(186)을 포함한다. 이벤트 정의들(186)은 이벤트들(예를 들어, 서브이벤트들의 미리 정의된 시퀀스들), 예를 들어 이벤트 1(187-1), 이벤트 2(187-2) 등의 정의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벤트(187) 내의 서브이벤트들은, 예를 들어, 터치 시작, 터치 종료, 터치 이동, 터치 취소, 및 다중 터치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이벤트 1(187-1)에 대한 정의는 디스플레이된 객체 상에의 더블 탭이다. 더블 탭은,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페이즈(phase) 동안의 디스플레이된 객체 상의 제1 터치(터치 시작), 미리 결정된 페이즈 동안의 제1 리프트오프(터치 종료), 미리 결정된 페이즈 동안의 디스플레이된 객체 상의 제2 터치(터치 시작), 및 미리 결정된 페이즈 동안의 제2 리프트오프(터치 종료)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이벤트 2(187-2)에 대한 정의는 디스플레이된 객체 상에서의 드래깅이다. 드래깅은,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페이즈 동안의 디스플레이된 객체 상의 터치(또는 접촉),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2)를 가로지르는 터치의 이동, 및 터치의 리프트오프(터치 종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벤트는 또한 하나 이상의 연관된 이벤트 핸들러들(19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벤트 정의(187)는 개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에 대한 이벤트의 정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벤트 비교기(184)는 어느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가 서브이벤트와 연관되어 있는지 결정하도록 히트 테스트(hit test)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3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들이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2) 상에 디스플레이된 애플리케이션 뷰에서,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2) 상에서 터치가 검출되는 경우, 이벤트 비교기(184)는 3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들 중 어느 것이 터치(서브이벤트)와 관련되는지를 결정하도록 히트 테스트를 수행한다. 각각의 디스플레이된 객체가 개개의 이벤트 핸들러(190)와 연관되는 경우, 이벤트 비교기는 어느 이벤트 핸들러(190)가 활성화되어야 하는지 결정하기 위해 히트 테스트의 결과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이벤트 비교기(184)는 히트 테스트를 트리거하는 객체 및 서브이벤트와 연관된 이벤트 핸들러를 선택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이벤트(187)에 대한 정의는 또한 서브이벤트들의 시퀀스가 이벤트 인식기의 이벤트 유형에 대응하는지 대응하지 않는지 여부가 결정된 후까지 이벤트 정보의 전달을 지연하는 지연된 액션들을 포함한다.
개개의 이벤트 인식기(180)가 일련의 서브이벤트들이 이벤트 정의들(186) 내의 이벤트들 중 어떠한 것과도 매칭되지 않는다고 결정할 때, 개개의 이벤트 인식기(180)는 이벤트 불가능, 이벤트 실패, 또는 이벤트 종료 상태에 진입하고, 그 후 개개의 이벤트 인식기는 터치 기반 제스처의 후속적인 서브이벤트들을 무시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만일 있다면, 히트 뷰에 대해 활성 상태로 유지되는 다른 이벤트 인식기들이 진행 중인 터치 기반 제스처의 서브이벤트들을 계속해서 추적 및 프로세싱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개개의 이벤트 인식기(180)는 이벤트 전달 시스템이 어떻게 적극 참여 이벤트 인식기들로의 서브이벤트 전달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표시하는 구성가능한 속성들, 플래그(flag)들, 및/또는 목록들을 갖는 메타데이터(183)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타데이터(183)는 이벤트 인식기들이 어떻게 서로 상호작용하는지, 또는 상호작용하게 되는지를 표시하는 구성가능한 속성들, 플래그들, 및/또는 목록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타데이터(183)는, 서브이벤트들이 뷰 또는 프로그램 계층구조에서의 다양한 레벨들에 전달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구성가능한 속성들, 플래그들, 및/또는 목록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개개의 이벤트 인식기(180)는 이벤트의 하나 이상의 특정 서브이벤트들이 인식될 때 이벤트와 연관된 이벤트 핸들러(190)를 활성화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개개의 이벤트 인식기(180)는 이벤트와 연관된 이벤트 정보를 이벤트 핸들러(190)에 전달한다. 이벤트 핸들러(190)를 활성화시키는 것은 개개의 히트 뷰에 서브이벤트들을 전송(및 지연 전송)하는 것과는 별개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벤트 인식기(180)는 인식된 이벤트와 연관된 플래그를 보내고, 그 플래그와 연관된 이벤트 핸들러(190)는 그 플래그를 캐치하고 미리 정의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벤트 전달 명령어들(188)은 이벤트 핸들러를 활성화시키지 않으면서 서브이벤트에 관한 이벤트 정보를 전달하는 서브이벤트 전달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대신에, 서브이벤트 전달 명령어들은 일련의 서브이벤트들과 연관된 이벤트 핸들러들에 또는 적극 참여 뷰들에 이벤트 정보를 전달한다. 일련의 서브이벤트들 또는 적극 참여 뷰들과 연관된 이벤트 핸들러들은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고 사전결정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데이터 업데이터(176)는 애플리케이션(136-1)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생성 및 업데이트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업데이터(176)는 연락처 모듈(137)에서 이용되는 전화 번호를 업데이트하거나, 비디오 재생기 모듈에서 이용되는 비디오 파일을 저장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객체 업데이터(177)는 애플리케이션(136-1)에서 사용되는 객체들을 생성 및 업데이트한다. 예를 들어, 객체 업데이터(177)는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생성하거나,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의 위치를 업데이트한다. GUI 업데이터(178)는 GUI를 업데이트한다. 예를 들어, GUI 업데이터(178)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상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정보를 준비하고 이를 그래픽 모듈(132)에 전송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벤트 핸들러(들)(190)는 데이터 업데이터(176), 객체 업데이터(177), 및 GUI 업데이터(178)를 포함하거나 이들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데이터 업데이터(176), 객체 업데이터(177), 및 GUI 업데이터(178)는 개개의 애플리케이션(136-1) 또는 애플리케이션 뷰(191)의 단일 모듈 내에 포함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이들은 2개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들 내에 포함된다.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상의 사용자 터치들의 이벤트 처리에 관하여 전술한 논의는 또한 입력 디바이스들을 갖는 다기능 디바이스들(100)을 작동시키기 위한 다른 형태들의 사용자 입력들에도 적용되지만, 그 모두가 터치 스크린들 상에서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단일 또는 다수의 키보드 누르기 또는 유지하기(hold)와 선택적으로 조화되는 마우스 이동 및 마우스 버튼 누르기; 터치패드 상에서의, 탭, 드래그, 스크롤 등과 같은 접촉 이동들; 펜 스타일러스 입력들; 디바이스의 이동; 구두 명령어들; 검출된 눈 이동들; 생체측정 입력들;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은, 인식될 이벤트를 정의하는 서브이벤트들에 대응하는 입력들로서 선택적으로 이용된다.
도 2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112)을 갖는 휴대용 다기능 디바이스(100)를 도시한다. 터치 스크린은, 선택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UI)(200) 내에서 하나 이상의 그래픽들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실시예 뿐만 아니라 아래에서 설명되는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손가락들(202)(도면에서 축척에 맞게 도시되지 않음) 또는 하나 이상의 스타일러스들(203)(도면에서 축척에 맞게 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그래픽들 상에서 제스처를 행함으로써 그래픽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그래픽의 선택은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그래픽과의 접촉을 중단할 때 발생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스처는 선택적으로 디바이스(100)와 접촉한 손가락의 하나 이상의 탭,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우측에서 좌측으로의, 상향으로의 그리고/또는 하향으로의) 하나 이상의 스와이프, 및/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의,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상향으로의 그리고/또는 하향으로의) 롤링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 또는 상황들에서, 그래픽과 부주의하여 접촉되면 그 그래픽은 선택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선택에 대응하는 제스처가 탭일 때,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위를 스윕(sweep)하는 스와이프 제스처는 선택적으로,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지 않는다.
디바이스(100)는 또한 선택적으로 "홈" 또는 메뉴 버튼(204)과 같은 하나 이상의 물리적 버튼을 포함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메뉴 버튼(204)은 선택적으로, 디바이스(100) 상에서 선택적으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의 세트 내의 임의의 애플리케이션(136)으로 내비게이팅하는 데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뉴 버튼은 터치 스크린(112) 상에 디스플레이된 GUI에서 소프트 키로서 구현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100)는 터치 스크린(112), 메뉴 버튼(204), 디바이스의 전원을 온/오프하고 디바이스를 잠그기 위한 푸시 버튼(206), 음량 조절 버튼(들)(208), 가입자 식별 모듈(SIM) 카드 슬롯(210), 헤드셋 잭(212), 및 도킹/충전 외부 포트(124)를 포함한다. 푸시 버튼(206)은 선택적으로, 버튼을 누르고 버튼을 미리 정의된 시간 간격 동안 누른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디바이스의 전원을 온/오프시키고/시키거나; 버튼을 누르고 미리 정의된 시간 간격이 경과하기 전에 버튼을 누름해제함으로써 디바이스를 잠그고/잠그거나; 디바이스를 잠금해제하거나 잠금해제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데 사용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0)는 또한 마이크로폰(113)을 통해 일부 기능들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구두 입력을 수용한다. 디바이스(100)는 또한, 선택적으로, 터치 스크린(112) 상의 접촉들의 세기를 검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접촉 세기 센서들(165) 및/또는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를 위해 촉각적 출력들을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촉각적 출력 생성기들(167)을 포함한다.
도 3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터치 감응형 표면을 갖는 예시적인 다기능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디바이스(300)가 휴대용일 필요는 없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300)는, 랩톱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멀티미디어 재생기 디바이스, 내비게이션 디바이스, (어린이 학습 장난감과 같은) 교육용 디바이스, 게이밍 시스템, 또는 제어 디바이스(예를 들어, 가정용 또는 산업용 제어기)이다. 디바이스(300)는 전형적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CPU)(310),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또는 다른 통신 인터페이스들(360), 메모리(370), 및 이들 컴포넌트를 상호연결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들(320)을 포함한다. 통신 버스들(320)은, 선택적으로, 시스템 컴포넌트들을 상호연결시키고 이들 사이의 통신들을 제어하는 회로부(때때로 칩셋으로 지칭됨)를 포함한다. 디바이스(300)는 전형적으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인 디스플레이(340)를 포함하는 입/출력(I/O) 인터페이스(330)를 포함한다. I/O 인터페이스(330)는 또한, 선택적으로,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또는 다른 포인팅 디바이스)(350) 및 터치패드(355), 디바이스(300) 상에 촉각적 출력들을 생성하기 위한 촉각적 출력 생성기(357)(예를 들어, 도 1a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촉각적 출력 생성기(들)(167)와 유사함), 및 센서들(359)(예를 들어, 도 1a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접촉 세기 센서(들)(165)와 유사한 광 센서,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터치 감응형 센서, 및/또는 접촉 세기 센서)을 포함한다. 메모리(370)는 DRAM, SRAM, DDR RAM 또는 다른 랜덤 액세스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디바이스들과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광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다른 비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 디바이스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370)는 선택적으로 CPU(들)(310)로부터 원격으로 위치된 하나 이상의 저장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370)는 휴대용 다기능 디바이스(100)(도 1a)의 메모리(102)에 저장된 프로그램들, 모듈들, 및 데이터 구조들과 유사한 프로그램들, 모듈들, 및 데이터 구조들, 또는 이들의 서브세트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370)는, 선택적으로, 휴대용 다기능 디바이스(100)의 메모리(102) 내에 존재하지 않는 추가의 프로그램들, 모듈들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300)의 메모리(370)는, 선택적으로, 드로잉 모듈(380), 프레젠테이션 모듈(382), 워드 프로세싱 모듈(384), 웹사이트 제작 모듈(386), 디스크 저작 모듈(388), 및/또는 스프레드시트 모듈(390)을 저장하는 반면, 휴대용 다기능 디바이스(100)(도 1a)의 메모리(102)는, 선택적으로, 이러한 모듈들을 저장하지 않는다.
도 3에서의 앞서 식별된 요소들 각각은, 선택적으로, 전술된 메모리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저장된다. 앞서 식별된 모듈들 각각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세트에 대응한다. 위에서-식별된 모듈들 또는 프로그램들(예를 들어, 명령어들의 세트들)은 별개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 절차들 또는 모듈들로서 구현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이들 모듈의 다양한 서브세트들이 선택적으로 조합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재배열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370)는 선택적으로, 위에서 식별된 모듈들 및 데이터 구조들의 서브세트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370)는 선택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가적인 모듈들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한다.
이제, 예를 들어, 휴대용 다기능 디바이스(100) 상에서 선택적으로 구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실시예들에 주목한다.
도 4a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다기능 디바이스(100) 상의 애플리케이션들의 메뉴에 대한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유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이 선택적으로 디바이스(300) 상에 구현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400)는 하기의 요소들, 또는 그들의 서브세트나 수퍼세트를 포함한다:
Figure 112021109367979-pat00020
셀룰러 및 Wi-Fi 신호들과 같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신호 세기 표시자(들)(402);
Figure 112021109367979-pat00021
시간(404);
Figure 112021109367979-pat00022
블루투스 표시자(405);
Figure 112021109367979-pat00023
배터리 상태 표시자(406);
Figure 112021109367979-pat00024
다음과 같은, 빈번하게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아이콘들을 갖는 트레이(408):
o 부재 중 전화들 또는 음성메일 메시지들의 개수의 표시자(414)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전화"라고 라벨링된 전화 모듈(138)에 대한 아이콘(416);
o 읽지 않은 이메일들의 개수의 표시자(410)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메일"이라고 라벨링된 이메일 클라이언트 모듈(140)에 대한 아이콘(418);
o "브라우저"라고 라벨링된 브라우저 모듈(147)에 대한 아이콘(420);및
o 아이팟(애플 인크.의 상표) 모듈(152)로도 지칭되는, "아이팟"이라고 라벨링된 비디오 및 음악 재생기 모듈(152)에 대한 아이콘(422);및
Figure 112021109367979-pat00025
다음과 같은,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아이콘들:
o "메시지"라고 라벨링된 IM 모듈(141)에 대한 아이콘(424);
o "캘린더"라고 라벨링된 캘린더 모듈(148)에 대한 아이콘(426);
o "사진"이라고 라벨링된 이미지 관리 모듈(144)에 대한 아이콘(428);
o "카메라"라고 라벨링된 카메라 모듈(143)에 대한 아이콘(430);
o "온라인 비디오"라고 라벨링된 온라인 비디오 모듈(155)에 대한 아이콘(432);
o "주식"이라고 라벨링된 주식 위젯(149-2)에 대한 아이콘(434);
o "지도"라고 라벨링된 지도 모듈(154)에 대한 아이콘(436);
o "날씨"라고 라벨링된 날씨 위젯(149-1)에 대한 아이콘(438);
o "시계"라고 라벨링된 알람 시계 위젯(149-4)에 대한 아이콘(440);
o "운동 지원"이라고 라벨링된 운동 지원 모듈(142)에 대한 아이콘(442);
o "메모"라고 라벨링된 메모 모듈(153)에 대한 아이콘(444);및
o 디바이스(100) 및 그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136)에 대한 설정으로의 액세스를 제공하는, "설정"이라고 라벨링된, 설정 애플리케이션 또는 모듈에 대한 아이콘(446).
도 4a에 도시된 아이콘 라벨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임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비디오 및 음악 재생기 모듈(152)에 대한 아이콘(422)은 "음악" 또는 "음악 재생기"로 라벨링된다. 기타 라벨들이 선택적으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들에 대해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개개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한 라벨은 개개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이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한 라벨은 특정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이름과는 별개이다.
도 4b는 디스플레이(450)(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12))와는 별개인 터치 감응형 표면(451)(예를 들어, 도 3의 태블릿 또는 터치패드(355))을 갖는 디바이스(예를 들어, 도 3의 디바이스(300)) 상의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다. 디바이스(300)는 또한, 선택적으로, 터치 감응형 표면(451) 상의 접촉들의 세기를 검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접촉 세기 센서들(예를 들어, 센서들(359) 중 하나 이상) 및/또는 디바이스(300)의 사용자에 대한 촉각적 출력들을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촉각적 출력 생성기들(357)을 포함한다.
후속하는 예들 중 일부가 (터치 감응형 표면과 디스플레이가 조합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12) 상의 입력들을 참조하여 제공될 것이지만,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와 별개인 터치 감응형 표면 상에서 입력들을 검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터치 감응형 표면(예를 들어, 도 4b의 451)은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450) 상의 주축(예를 들어, 도 4b의 453)에 대응하는 주축(예를 들어, 도 4b의 452)을 갖는다. 이들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상의 개개의 위치들에 대응하는 위치들(예를 들어, 도 4b에서, 460은 468에 대응하고, 462는 470에 대응함)에서 터치 감응형 표면(451)과의 접촉들(예를 들어, 도 4b의 460 및 462)을 검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터치 감응형 표면(예를 들어, 도 4b의 451) 상에서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 입력들(예를 들어, 접촉들(460, 462) 및 그의 이동들)은 터치 감응형 표면이 디스플레이와는 별개일 때 디바이스에 의해 다기능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도 4b의 450)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데 사용된다. 유사한 방법들이, 선택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에 대해 사용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부가적으로, 다음의 예들이 손가락 입력들(예를 들어, 손가락 접촉들, 손가락 탭 제스처들, 손가락 스와이프 제스처들)을 주로 참조하여 제공되는 반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손가락 입력들 중 하나 이상은 다른 입력 디바이스로부터의 입력(예를 들어, 마우스 기반 입력 또는 스타일러스 입력)으로 대체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스와이프 제스처가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접촉 대신의) 마우스 클릭 및 뒤이은 (예를 들어, 접촉의 이동 대신의) 스와이프의 경로를 따른 커서의 이동으로 대체된다. 다른 예로서, (예를 들어, 접촉의 검출 및 뒤이은 접촉을 검출하는 것이 중단되는 것 대신에) 커서가 탭 제스처의 위치 위에 위치되는 동안에 탭 제스처가 선택적으로 마우스 클릭으로 대체된다. 유사하게, 다수의 사용자 입력이 동시에 검출되는 경우, 다수의 컴퓨터 마우스가 선택적으로 동시에 사용되거나, 또는 마우스와 손가락 접촉들이 선택적으로 동시에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도 5a는 예시적인 개인용 전자 디바이스(500)를 도시한다. 디바이스(500)는 몸체(502)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500)는 디바이스들(100, 300)(예를 들어, 도 1a 내지 도 4b)에 대해 설명된 특징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500)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이하, 터치 스크린(504))을 갖는다. 터치 스크린(504)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디바이스(500)는 디스플레이 및 터치 감응형 표면을 갖는다. 디바이스들(100, 300)과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터치 스크린(504)(또는 터치 감응형 표면)은, 선택적으로, 가해지는 접촉들(예를 들어, 터치들)의 세기를 검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세기 센서들을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504)(또는 터치 감응형 표면)의 하나 이상의 세기 센서들은 터치들의 세기를 표현하는 출력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5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터치들의 세기에 기초하여 터치들에 응답할 수 있는데, 이는 상이한 세기들의 터치들이 디바이스(500) 상의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동작들을 호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터치 세기를 검출하고 프로세싱하기 위한 예시적인 기법들은, 예를 들어, 관련 출원들: 2013년 5월 8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인 국제 특허 출원 PCT/US2013/040061호(WIPO 공개 번호 WO/2013/169849호로서 공개됨), 및 2013년 11월 11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ransitioning Between Touch Input to Display Output Relationships"인 국제 특허 출원 PCT/US2013/069483호(WIPO 공개 번호 WO/2014/105276호로서 공개됨)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500)는 하나 이상의 입력 메커니즘들(506, 508)을 갖는다. 입력 메커니즘들(506, 508)(포함되어 있는 경우)은 물리적인 것일 수 있다. 물리적 입력 메커니즘들의 예들은 푸시 버튼들 및 회전가능 메커니즘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500)는 하나 이상의 부착 메커니즘들을 갖는다. 이러한 부착 메커니즘들(포함되어 있는 경우)은 디바이스(500)가, 예를 들어, 모자, 안경, 귀걸이, 목걸이, 셔츠, 재킷, 팔찌, 시계줄, 쇠줄(chain), 바지, 벨트, 신발, 지갑, 배낭 등에 부착될 수 있게 한다. 이 부착 메커니즘들은 디바이스(500)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도록 한다.
도 5b는 예시적인 개인용 전자 디바이스(500)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500)는 도 1a, 도 1b, 및 도 3에 대해 설명된 컴포넌트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500)는 I/O 섹션(514)을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세서들(516) 및 메모리(518)와 동작가능하게 커플링시키는 버스(512)를 갖는다. I/O 섹션(514)은 디스플레이(504)에 연결될 수 있고, 이는 터치 감응형 컴포넌트(522), 및 선택적으로, 세기 센서(524)(예를 들어, 접촉 세기 센서)를 가질 수 있다. 부가적으로, I/O 섹션(514)은, Wi-Fi, 블루투스, 근거리 통신(NFC), 셀룰러 및/또는 다른 무선 통신 기법들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및 운영 체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통신 유닛(530)과 연결될 수 있다. 디바이스(500)는 입력 메커니즘들(506 및/또는 508)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메커니즘(506)은, 선택적으로, 회전가능 입력 디바이스 또는 예를 들어 누름가능 및 회전가능 입력 디바이스이다. 일부 예들에서, 입력 메커니즘(508)은, 선택적으로, 버튼이다.
일부 예들에서, 입력 메커니즘(508)은, 선택적으로, 마이크로폰이다. 개인용 전자 디바이스(500)는, 선택적으로, GPS 센서(532), 가속도계(534), 방향 센서(540)(예를 들어, 나침반), 자이로스코프(536), 모션 센서(538), 및/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하고, 이들 모두는 I/O 섹션(514)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개인용 전자 디바이스(500)의 메모리(518)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세서들(516)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터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프로세스들(700, 800)(도 7 및 도 8)을 포함하는, 아래에 설명 기법들을 수행하게 할 수 있는,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개인용 전자 디바이스(500)는 도 5b의 컴포넌트들 및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의 구성들에서 다른 또는 추가적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어포던스"라는 용어는, 선택적으로, 디바이스들(100, 300, 및/또는 500)(도 1, 도 3, 및 도 5)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상호작용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user-interactive graphical user interface object)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예를 들어, 아이콘), 버튼, 및 텍스트(예를 들어, 하이퍼링크) 각각이 선택적으로 어포던스를 구성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포커스 선택자(focus selector)"라는 용어는 사용자와 상호작용하고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현재 부분을 나타내는 입력 요소를 지칭한다. 커서 또는 다른 위치 마커(location marker)를 포함하는 일부 구현예들에서, 커서가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예를 들어, 버튼, 윈도우, 슬라이더 또는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위에 있는 동안 터치 감응형 표면(예를 들어, 도 3의 터치패드(355) 또는 도 4b의 터치 감응형 표면(451)) 상에서 입력(예를 들어, 누르기 입력)이 검출될 때,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가 검출된 입력에 따라 조정되도록, 커서는 "포커스 선택자"로서 기능한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과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인에이블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도 1a의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 또는 도 4a의 터치 스크린(112))를 포함하는 일부 구현예들에서, 입력(예를 들어, 접촉에 의한 누르기 입력)이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예를 들어, 버튼, 윈도우, 슬라이더 또는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의 위치에 있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 검출될 때,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가 검출된 입력에 따라 조정되도록, 터치 스크린 상에서 검출된 접촉이 "포커스 선택자"로서 기능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예를 들어 포커스를 하나의 버튼으로부터 다른 버튼으로 움직이도록 탭 키 또는 화살표 키를 사용함으로써)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의 대응하는 커서의 이동 또는 접촉의 이동 없이 포커스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하나의 구역으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구역으로 이동되며; 이러한 구현예들에서, 포커스 선택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이한 영역들 사이에서의 포커스의 이동에 따라 움직인다. 포커스 선택자에 의해 취해진 특정 형태와 무관하게, 포커스 선택자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호작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요소를 디바이스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와의 사용자의 의도된 상호작용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또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의 접촉)이다. 예를 들어, 터치 감응형 표면(예를 들어, 터치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 누르기 입력이 검출되는 동안 개개의 버튼 위의 포커스 선택자(예를 들어, 커서, 접촉 또는 선택 상자)의 위치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에 보여지는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과 달리) 사용자가 개개의 버튼을 활성화시키려고 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할 것이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접촉의 "특성 세기"라는 용어는 접촉의 하나 이상의 세기들에 기초한 접촉의 특성을 지칭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특성 세기는 다수의 세기 샘플들에 기초한다. 특성 세기는, 선택적으로, 미리 정의된 수의 세기 샘플들, 또는 미리 정의된 이벤트에 대해 (예를 들어, 접촉을 검출한 후에, 접촉의 리프트오프를 검출하기 이전에, 접촉의 이동의 시작을 검출하기 이전 또는 이후에, 접촉의 종료를 검출하기 이전에, 접촉의 세기의 증가를 검출하기 이전 또는 이후에, 및/또는 접촉의 세기의 감소를 검출하기 이전 또는 이후에)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예를 들어, 0.05, 0.1, 0.2, 0.5, 1, 2, 5, 10초) 동안 수집된 세기 샘플들의 세트에 기초한다. 접촉의 특성 세기는, 선택적으로, 접촉의 세기들의 최대 값, 접촉의 세기들의 중간 값(mean value), 접촉의 세기들의 평균값(average value), 접촉의 세기들의 상위 10 백분위 값(top 10 percentile value), 접촉의 세기들의 최대 값의 절반의 값, 접촉의 세기들의 최대값의 90 퍼센트의 값 등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의 지속기간은 (예를 들어, 특성 세기가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접촉의 세기의 평균일 때) 특성 세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동작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특성 세기가 하나 이상의 세기 임계치들의 세트와 비교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세기 임계치의 세트는 선택적으로 제1 세기 임계치 및 제2 세기 임계치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제1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특성 세기를 갖는 접촉의 결과, 제1 동작이 행해지고, 제1 세기 임계치를 초과하지만 제2 세기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특성 세기를 갖는 접촉의 결과, 제2 동작이 행해지며, 제2 임계치 초과의 특성 세기를 갖는 접촉의 결과, 제3 동작이 행해진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특성 세기와 하나 이상의 임계치들 사이의 비교는, 제1 동작을 수행할지 또는 제2 동작을 수행할지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기보다는, 하나 이상의 동작들을 수행할지 여부(예를 들어, 개개의 동작을 수행할지 또는 개개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보류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특성 세기를 결정하려는 목적들을 위해 제스처의 일부분이 식별된다. 예를 들어, 터치 감응형 표면은, 선택적으로, 시작 위치로부터 전이하여 종료 위치(이 지점에서 접촉의 세기가 증가함)에 도달하는 연속적인 스와이프 접촉을 수신한다. 이러한 예에서, 종료 위치에서의 접촉의 특성 세기는 선택적으로 스와이프 접촉 전체가 아니라 연속적인 스와이프 접촉의 일부분에만(예를 들어, 종료 위치에서의 스와이프 접촉의 부분에만) 기초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의 특성 세기를 결정하기 전에 선택적으로 스와이프 접촉의 세기들에 평활화 알고리즘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 평활화 알고리즘은, 선택적으로, 비가중 이동 평균(unweighted sliding-average) 평활화 알고리즘, 삼각(triangular) 평활화 알고리즘, 메디안 필터(median filter) 평활화 알고리즘, 및/또는 지수(exponential) 평활화 알고리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부 상황들에서, 이 평활화 알고리즘들은 특성 세기를 결정하려는 목적들을 위해 스와이프 접촉의 세기들에서의 좁은 급등(spike)들 또는 급감(dip)들을 제거한다.
터치 감응형 표면 상에서의 접촉의 세기는, 선택적으로, 접촉-검출 세기 임계치, 가볍게 누르기 세기 임계치, 깊게 누르기 세기 임계치,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세기 임계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세기 임계치에 대해 특성화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볍게 누르기 세기 임계치는, 디바이스가 물리적 마우스의 버튼 또는 트랙 패드를 클릭하는 것과 전형적으로 연관된 동작들을 수행하게 될 세기에 대응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깊게 누르기 세기 임계치는, 디바이스가 물리적 마우스의 버튼 또는 트랙 패드를 클릭하는 것과 전형적으로 연관된 동작들과는 상이한 동작들을 수행하게 될 세기에 대응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이 가볍게 누르기 세기 임계치 미만의(예를 들어, 그리고 공칭 접촉 검출 세기 임계치(이 미만에서는 접촉이 더 이상 검출되지 않음) 초과의) 특성 세기로 검출될 때, 디바이스는 가볍게 누르기 세기 임계치 또는 깊게 누르기 세기 임계치와 연관된 동작을 수행함이 없이 터치 감응형 표면 상의 접촉의 이동에 따라 포커스 선택자를 이동시킬 것이다. 일반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이 세기 임계치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면들의 상이한 세트들 사이에서 일관성이 있다.
가볍게 누르기 세기 임계치 미만의 세기로부터 가볍게 누르기 세기 임계치와 깊게 누르기 세기 임계치 사이의 세기로의 접촉의 특성 세기의 증가는 때때로 "가볍게 누르기" 입력으로서 지칭된다. 깊게 누르기 세기 임계치 미만의 세기로부터 깊게 누르기 세기 임계치 초과의 세기로의 접촉의 특성 세기의 증가는 때때로 "깊게 누르기" 입력으로서 지칭된다. 접촉 검출 세기 임계치 미만의 세기로부터 접촉 검출 세기 임계치와 가볍게 누르기 세기 임계치 사이의 세기로의 접촉의 특성 세기의 증가는 때때로 터치 표면 상의 접촉을 검출하는 것으로서 지칭된다. 접촉 검출 세기 임계치 초과의 세기로부터 접촉 검출 세기 임계치 미만의 세기로의 접촉의 특성 세기의 감소는 때때로 터치 표면으로부터의 접촉의 리프트오프를 검출하는 것으로서 지칭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검출 세기 임계치는 영(0)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검출 세기 임계치는 0 초과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동작들은, 개개의 누르기 입력을 포함하는 제스처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또는 개개의 접촉(또는 복수의 접촉들)으로 수행되는 개개의 누르기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수행되며, 여기서 개개의 누르기 입력은 누르기-입력 세기 임계치 초과의 접촉(또는 복수의 접촉들)의 세기의 증가를 검출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검출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개개의 동작은, 누르기-입력 세기 임계치 초과의 개개의 접촉의 세기의 증가(예를 들어, 개개의 누르기 입력의 "다운 스트로크(down stroke)")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수행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누르기 입력은 누르기-입력 세기 임계치 초과의 개개의 접촉의 세기의 증가 및 누르기-입력 세기 임계치 미만의 접촉의 세기의 후속하는 감소를 포함하며, 개개의 동작은 누르기-입력 임계치 미만의 개개의 접촉의 세기의 후속하는 감소(예를 들어, 개개의 누르기 입력의 "업 스트로크(up stroke)")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수행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때때로 "지터(jitter)"로 지칭되는 우발적인 입력들을 회피하기 위해 세기 히스테리시스를 이용하며, 여기서 디바이스는 누르기-입력 세기 임계치에 대한 미리 정의된 관계를 갖는 히스테리시스 세기 임계치(예를 들어, 히스테리시스 세기 임계치는 누르기-입력 세기 임계치보다 X 세기 단위 더 낮거나, 또는 히스테리시스 세기 임계치는 누르기-입력 세기 임계치의 75%, 90% 또는 어떤 적절한 비율임)를 정의하거나 선택한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누르기 입력은 누르기-입력 세기 임계치 초과의 개개의 접촉의 세기의 증가 및 누르기-입력 세기 임계치에 대응하는 히스테리시스 세기 임계치 미만의 접촉의 세기의 후속하는 감소를 포함하며, 개개의 동작은 히스테리시스 세기 임계치 미만의 개개의 접촉의 세기의 후속하는 감소(예를 들어, 개개의 누르기 입력의 "업 스트로크")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수행된다. 유사하게, 일부 실시예들에서, 누르기 입력은 디바이스가 히스테리시스 세기 임계치 이하에서의 세기로부터 누르기-입력 세기 임계치 이상에서의 세기로의 접촉의 세기의 증가, 및 선택적으로, 히스테리시스 세기 이하에서의 세기로의 접촉의 세기의 후속적인 감소를 검출하는 때에만 검출되고, 개개의 동작은 누르기 입력(예를 들어, 환경에 따른 접촉의 세기의 증가 또는 접촉의 세기의 감소)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수행된다.
설명의 편의상, 누르기 입력 세기 임계치와 연관된 누르기 입력에 응답하여 또는 누르기 입력을 포함하는 제스처에 응답하여 수행되는 동작들의 설명은, 선택적으로, 누르기 입력 세기 임계치 초과의 접촉의 세기의 증가, 히스테리시스 세기 임계치 미만의 세기로부터 누르기 입력 세기 임계치 초과의 세기로의 접촉의 세기의 증가, 누르기 입력 세기 임계치 미만의 접촉의 세기의 감소, 및/또는 누르기 입력 세기 임계치에 대응하는 히스테리시스 세기 임계치 미만의 접촉의 세기의 감소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트리거된다. 또한, 동작이 누르기 입력 세기 임계치 미만의 접촉의 세기의 감소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수행되는 것으로서 기술되어 있는 예들에서, 동작은, 선택적으로, 누르기 입력 세기 임계치에 대응하고 그보다 더 낮은 히스테리시스 세기 임계치 미만의 접촉의 세기의 감소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수행된다.
이제, 휴대용 다기능 디바이스(100), 디바이스(300), 또는 디바이스(500)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 상에서 구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들 및 연관된 프로세스들의 실시예들에 주목한다.
도 6a 내지 도 6j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예시한다. 이들 도면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은 도 7 및 도 8의 프로세스들을 포함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프로세스들을 예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6a는 여러 상태들 사이에서 전환하는 전자 디바이스(500)를 예시한다. 전자 디바이스(500)는, 위에서 그리고/또는 도 5a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발견될 수 있는 다른 요소들 중에서,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스크린(504) 및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506)을 갖는다. 본 예에서, 디바이스(500)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이고,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506)은 회전가능 크라운이다.
도 6a에서, 초기에,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은 오프, 비활성, 또는 그렇지 않으면 슬립, 어두운, 또는 절전 모드에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이 오프인 동안, 화살표(600a)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506)의 회전과 같은 제1 입력이 검출된다. 디바이스(500)는 제1 입력(600a)이 밝기 구성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제1 입력(600a)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킨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디바이스(5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02)(예를 들어, 시계 바늘들을 갖는 시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의 밝기 레벨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킨다. 일부 예들에서, 밝기 레벨은 제1 입력(600a)의 회전 속력에 따라(또는 그에 비례하여) 변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밝기 레벨을 신속하게 또는 더 점진적으로 변경시키기 위해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506)을 더 빠르게 또는 더 느리게 회전시킨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사용자 인터페이스(602)는 시계 바늘들을 포함하고, 제1 입력(600a)이 수신됨에 따라 제1 상태(603)로부터 제2의 더 밝은 상태(604)로 전환한다.
제1 입력(600a)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는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디바이스(50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일부 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이 오프 상태 또는 어두운 상태에 있는 동안 제1 입력(600a)이 수신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은 오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단지 예로서, 밝기 조정 모드에 대한 설정이 꺼질 수 있다.
도 6a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500)는 화살표(600b)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 방향과 반대인 제2 회전 방향을 갖는 제2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입력(600b)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500)는 최소 밝기 레벨을 향해 밝기 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계 사용자 인터페이스(602)는 제2 상태(604)로부터 제3의 덜 밝고 더 페이딩된(faded) 상태(605)로 전환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이 점진적으로 꺼질 때까지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506)을 제2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입력(600a)의 방향은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506)에 의해 제공되는 2개의 회전 방향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는 반면, 제2 입력(600b)은 제1 방향과 반대인 방향에 대응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일부 예들에서, 밝기 기준들의 세트는, 제1 입력이 밝기 레벨의 조정을 개시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의 회전 방향을 포함해야 한다는 기준을 포함한다. 예시의 용이함을 위해, 도 6a 내지 도 6d는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506)에서의 제1 입력에 대한 시계 방향의 회전 방향을 예시하지만, 일부 예들에서, 제1 입력은 반시계 방향의 회전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아래의 도 6e 참조).
아래에서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는 제1 입력이 수신되는 동안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상태들, 임계 회전 속력, 임계 회전 지속기간, 미리 결정된 회전 방향,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기초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은 시뮬레이션된 또는 실제 백라이트 레벨을 생성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의 백라이트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알파 블렌딩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스크린(504) 상에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602)를 점차적으로 더 투명한 마스킹 층과 알파 블렌딩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점점 더 밝게 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602) 스크린이 페이딩 인(fade in)되게 한다. 그 경우, 마스킹 층은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의 밝기 레벨이 증가함에 따라 점점 덜 알파(alpha)가 된다. 일부 예들에서, 디바이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반투명 마스킹 층과 알파 블렌딩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504) 상에 디스플레이된 반정도-밝은(semi-bright) 사용자 인터페이스(602)를 유발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이 오프 또는 슬립인 것으로 보일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불투명한 흑색 마스킹 층, 예컨대 완전 흑색 스크린을 유발하기 위해 알파가 증가한 층과 알파 블렌딩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예에서, 사용자는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506)을 제1 입력(600a)에 의해 정의된 제1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506)의 계속된 회전이 디바이스 상의 다른 기능들로 하여금 활성화되게 하도록 최대 밝기 레벨에 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504) 상의 애플리케이션들을 기동하기 위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어포던스들을 갖는 홈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606a 또는 606b)가 최대 밝기 레벨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506)의 계속된 회전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602)를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606a 또는 606b)로 전환하고, 최대 줌(zoom)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606a 또는 606b) 내로 (예를 들어, 제1 줌 레벨(606a)로부터 제2 줌 레벨(606b)로) 계속 줌할 수 있다. 줌 속력은 회전 입력 메커니즘(506)의 회전 속력에 비례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일부 예들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의 실질적으로 전체 표면에 걸쳐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덮는 것과 같은 다른 제스처들에 의해,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506)을 회전시키기보다는 누름으로써, 또는 다른 제스처들에 의해 초기의 어둡거나 비활성 상태로 재개할 수 있다. 추가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밝기 레벨에 도달된 이후 그리고/또는 줌이 완료된 이후의 회전 입력 메커니즘의 계속된 회전은 디스플레이 스크린(504) 또는 그 상에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변경시키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줌 레벨(606b)의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제1 입력(600a)의 추가적인 검출은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변경하지 않는다.
도 6c를 참조하면, 일부 예들에서, 디바이스(60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최대 또는 최소 밝기 레벨로 각각 자동으로 밝게 하거나 디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오프 상태에 있는 동안, 화살표(600c)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506)의 신속한 회전 또는 플릭(flick)(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의 플릭)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은 밝기 레벨을 최대 밝기 레벨로 (예를 들어, 시계 사용자 인터페이스(602)의 제1 상태(603)로부터 제2 상태(604)로) 자동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요청으로서 등록된다. 이러한 경우,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최대 밝기 레벨로 자동으로 밝히므로, 신속한 제스처 이후 어떠한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 또는 회전도 요구되지 않는다. 일부 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이 최대 밝기 레벨에 있는 동안,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의 사용자 플릭은 최소 밝기 레벨을 향해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자동으로 디밍할 수 있다(예를 들어, 스크린을 끌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504) 상에서 검출된 사용자 탭과 같은 다른 사용자 제스처들이 또한 스크린을 스크린을 자동으로 밝게 하거나 디밍할 수 있다(예를 들어, 아래의 도 6f 참조).
이제 도 6d를 참조하면, 일부 예들에서, 제1 입력(600a)은 최대 밝기 레벨을 향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지만(예를 들어, 시계 사용자 인터페이스(602)는 제1 상태(603)로 세미-페이딩(semi-fade)됨), 최대 밝기 레벨에 도달하기 전에(예를 들어, 최대에 도달하기 전에 사용자 입력이 중단됨),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을 갖는 제2 사용자 입력(600b)이 수신된다. 제2 입력(600b)에 응답하여, 디바이스는 초기의 어두운 상태를 향해 밝기 레벨을 감소시키며, 여기서 최소 밝기 레벨 이후의 제2 방향으로의 추가적인 계속된 회전은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의 밝기 레벨을 변경하지 않는다.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506)을 반대 방향들로 단순히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교대로 밝게 하거나 디밍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도 6e는 도 6a에 도시된 밝기 구성 세션과는 상이한 예시적인 새로운 밝기 구성 세션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도 6e에서, 제1 입력(600d)은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포함하며, 이는 도 6a의 제1 입력(600a)의 회전 방향과 반대이다. 여전히, 도 6e의 제1 입력(600d)은, 밝기 구성 기준을 충족시킬 시에, 제1 방향으로의 회전들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를 증가시키도록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청으로서 정의되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600e)으로의 후속 회전 입력들은 밝기 레벨을 감소시킨다.
도 6f를 참조하면, 다른 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오프인 동안,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506)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제1 입력(600a)이 검출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602)의 점진적인 페이드-인을 야기한다(예를 들어, 시계 사용자 인터페이스(602)는 제1 상태(603)에서 뷰로 페이딩됨).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보다 낮은 밝기 레벨에 있는 동안, 터치 제스처(608)(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504) 상의 탭)가 검출된다. 터치 제스처(608)에 응답하여, 디바이스는 최대 밝기 레벨을 향해 일정하고 가속된 레이트로 밝기 레벨을 자동으로 조정한다(예를 들어, 시계 사용자 인터페이스(602)의 밝기는 제1 상태(603)로부터 제2 상태(604)로 진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터치 제스처(608)는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506)에서의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에 대한 필요 없이 밝기 레벨 조정을 완료한다. 다른 예에서,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506)에서의 사용자 입력이 밝기 레벨을 감소시키는 것에 대응하는 회전을 포함하는 경우, 후속 터치 제스처는 최소 밝기 레벨에 도달(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 오프)할 때까지 사용자 인터페이스(602)의 디밍 또는 페이딩-아웃(fading-out)을 완료할 수 있다.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임계 상위 레벨에 도달할 시에 최대 밝기 레벨을 충족시키도록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을 자동으로 완료한다. 여기서, 제1 입력(600a)은 시계 사용자 인터페이스(602)가 제1 상태(603)에서 뷰로 페이딩되게 하며, 여기서 제1 상태(603)의 밝기 레벨은 자동 밝히기에 대한 임계 상위 레벨을 만족시킨다. 이와 같이, 시계 사용자 인터페이스(602)는 제1 상태(603)로부터 최대 밝기 레벨을 포함하는 제2 상태(604)로 자동으로 계속 진행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제1 상태(603)가 제2 상태(604)로의 진행에 도달되면 어떠한 사용자 입력도 요구되지 않는다. 실제로, 일단 자동 조정이 최대 임계 밝기 레벨을 충족시킴으로써 인스턴스화(instantiate)되면, 사용자는 추가적인 회전 입력들 또는 임의의 입력들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예를 들어, 도 6g 참조). 유사한 방식으로, 디바이스는 임계 하위 레벨에 도달할 시에 최소 밝기 레벨을 충족시키도록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을 자동으로 완료할 수 있다.
도 6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요소(예를 들어, 시계 바늘들) 및 제2 요소(예를 들어, 날짜, "9월 9일")를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02)의 차동 밝히기가 디스플레이 스크린(504) 상에 구현된다. 디바이스(500)는 제2 요소의 밝기 레벨과는 상이한 레이트로 제1 요소의 밝기 레벨을 조정한다. 제1 요소 및 제2 요소의 밝기 레벨들은 제1 요소가 제2 요소보다 더 신속하게 최대 밝기 레벨에 도달하도록 상이한 레이트들로 동시에 조정될 수 있다. 상이한 레이트들 각각은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506)에서의 회전의 레이트에 추가로 의존할 수 있다. 도 6h에 보여진 바와 같이,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506)의 회전은 제1 요소의 더 빠른 페이드-인(예를 들어, 시계 바늘들은 제1 상태(603)로부터 최대 밝기 레벨을 포함하는 제2 상태(604)로 전환됨) 및 제2 요소의 더 느린 페이드-인(예를 들어, 날짜는 제1 상태(610a)로부터 제2 상태(610b)로, 최대 밝기 레벨을 포함하는 제3 상태(610c)로 전환됨)을 야기하여, 제1 요소가 제2 요소보다 더 신속하게 최대 밝기 레벨에 도달하게 된다. 도 6h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입력(600b)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의 밝기 레벨을 감소시킬 때, 제2 요소(날짜)는 제1 요소(시계 바늘들)보다 먼저 그리고 더 신속하게 페이드 아웃되기 시작할 수 있어서, 제1 요소는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이 꺼지기 바로 전에 디스플레이된다.
이제 도 6i를 참조하면, 제1 입력(600a)에 응답하여, 디바이스(5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02)를 제1 상태(603)로 페이딩-인한다. 제1 상태(603)에 있는 동안, 어떠한 사용자 입력도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 디바이스에서 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504) 상에서 검출되지 않는다.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의 경과 이후, 사용자 인터페이스(602)는 디스플레이 오프 상태와 같은 최소 밝기 레벨을 향해 페이딩 어웨이(fade away)된다. 디스플레이 오프 상태에 있는 동안,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켜기 위한 사용자 입력(612)(예를 들어, 손목 턴 또는 손목 들어올림)을 검출한다. 디스플레이가 비활성이 될 때로부터 미리 정의된 시간프레임 내에서 사용자 입력(612)이 수신될 때,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끄기 전에 검출된 밝기 레벨(예를 들어, 제1 상태(603))로 재개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켠다(예를 들어, 도 6i 참조). 디바이스는 이전에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602)를 이전에 검출된 밝기 레벨로 점진적으로 페이딩-인하거나 또는 페이드-인 효과 없이 이전 밝기 레벨로 사용자 인터페이스(602)를 즉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에 검출된 밝기 레벨은 최대 밝기 레벨과 최소 밝기 레벨(예를 들어, 제1 상태(603)) 사이에 있을 수 있고, 밝기 레벨을 증가 및 감소시키기 위한 정의된 회전 방향들은 일단 재개되면 여전히 적용될 수 있다.
도 6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입력(600a)에 응답하여, 디바이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02)를 제1 상태(603)로 점진적으로 페이딩-인한다. 어떠한 사용자 입력도 검출되지 않는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의 경과 이후,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의 밝기 레벨이 페이딩된 상태(601)로 자동으로 감소된다. 밝기 레벨을 자동으로 감소시키는 동안, 디바이스는 제1 입력(600a)의 제1 방향과 동일한 회전 방향을 갖는 제2 사용자 입력(600f)을 검출한다. 제2 사용자 입력(600f)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는 밝기 레벨을 다시 제1 상태(603)로 증가시키고, 그에 의해 밝기 구성 세션을 재개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재진입한다.
도 7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방법(70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을 갖는 디바이스(예를 들어, 100, 300, 500)에서 수행된다. 방법(700)의 일부 동작들은 선택적으로 조합되고, 일부 동작들의 순서는 선택적으로 변경되며, 일부 동작들은 선택적으로 생략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방법(70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직관적인 방식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적 부담을 감소시키며, 그에 의해 보다 효율적인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배터리-작동형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경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더 빠르고 더 효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전력을 절약하고 배터리 충전들 사이의 시간을 증가시킨다.
방법(70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선택적으로,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예를 들어, 도 6a의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506))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1 입력(예를 들어, 도 6a의 제1 입력(600a))을 수신할 수 있다(702). 일부 경우들에서, 디바이스는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에서 회전 속력 및 제1 회전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회전 입력 메커니즘에서 입력을 수신하는 것은, 사용자가 밝기 구성 특징부들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게 함으로써 디바이스의 동작성을 향상시킨다.
디바이스는 선택적으로, 제1 입력(예를 들어, 도 6a의 제1 입력(600a))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킨다는 결정에 따라 또는 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예를 들어, 도 6a의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704).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이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 미만일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초기에 오프, 비활성, 또는 어두워지는 것에 대응하는 레벨이다. 일부 예들에서, 결정은 제1 입력이 수신될 때 전자 디바이스의 상태에 기초한다. 그러한 상태들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태,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온 또는 어웨이크 상태에 있는지, 또는 오프 또는 슬립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전자 디바이스의 상태는, 스크린 밝히기 기능 특징부의 설정 및 그 설정이 온인지 또는 오프인지 여부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의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에서의 사용자 입력이 밝기 구성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킨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은, 디바이스에서 다른 기능들을 활성화시키는 것에 관련된 다른 유형들의 입력들이 동일한 입력 수신 메커니즘에서 수신되게 허용함으로써 디바이스의 동작성을 향상시키며, 이는 부가적인 입력 수신 컴포넌트들에 대한 필요성을 추가로 감소시킨다.
일부 예들에서,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킨다는 결정은 임계 회전 속력을 충족시키는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의 회전 속력에 기초한다. 일부 예들에서, 결정은, 제1 방향으로의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의 지속기간이 임계 지속기간을 충족시키는지 여부에 기초한다. 일부 예들에서, 결정은, 제1 회전 방향이 미리 결정된 방향에 대응하는지 여부, 및/또는 제1 회전 속력에서의 제1 방향이 임계 회전 속력 또는 임계 지속기간을 충족시키는지 여부에 기초한다.
디바이스는 선택적으로, 제1 입력(예를 들어, 도 6a의 제1 입력(600a))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을 보류할 수 있다(706).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현재 밝기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은 제1 입력에 응답하여 변경되지 않는다. 일부 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오프 또는 어둡게 유지된다. 일부 예들에서, 제1 입력에 응답하여 디바이스에서 다른 기능이 수행되는데, 여기서 기능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 이외의 것이다. 다른 기능이 제1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에서의 사용자 입력이 밝기 구성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는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의 조정을 보류하는 것은, 다른 기능들을 활성화시키는 것에 관련된 다른 유형들의 입력들이 동일한 입력 수신 메커니즘에서 수신되게 허용함으로써 디바이스의 동작성을 향상시키며, 이는 부가적인 입력 수신 컴포넌트들에 대한 필요성을 추가로 감소시킨다.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이 다른 기능들에 관련된 다른 유형들의 입력들을 수신할 수 있게 하는 것은, 본 명세서에서 고려되는 웨어러블 워치와 같은 제한된 크기의 전자 디바이스들 상에 제공되는 부가적인 하드웨어 컴포넌트의 다목적성을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또는 그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는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제1 입력이 어두운 또는 슬립 상태로부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밝히기 위한 요청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초기에 오프될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초기 밝기 레벨은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 미만이며, 이는 오프 상태에 대한 낮은 밝기 레벨 또는 밝기 부족에 대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오프 또는 어두운 상태로부터 스크린 밝히기 기능들을 개시하는 것은 사용자가 광범위한 밝기 레벨들에 액세스하게 허용하며, 이는 향상된 사용자 프라이버시 및 만족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는 밝기 조정 모드가 온일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밝기 조정 기능은 활성이거나 또는 시스템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에이블될 수 있다. 밝기 조정 모드가 밝기 조정 기준의 세트를 만족시키기 위한 기준으로서 온되는 것을 요구하는 것은 의도하지 않은 회전 입력들이 밝기 레벨을 변경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디바이스의 동작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가 스크린 밝히기 특징부가 언제 적용될지 및 어떻게 적용될 지를 맞춤화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디바이스는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 이외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밝기 구성 세션에 진입하는 것을 보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킨다는 결정에 따라, 디바이스는 밝기 구성 세션에 진입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청으로서 회전 방향을 정의하고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밝기 구성 세션을 시작한다.
방법(70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킨다는 결정에 따라, 밝기 구성 세션 동안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청으로서 제1 입력에 기초하여 제1 회전 방향을 정의한다(708). 정의하는 것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를 증가시키는 것에 대응하는 방향으로서 제1 회전 방향을 등록 또는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밝기 구성 세션 동안 밝기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한 요청으로서 제1 회전 방향과 반대인 제2 회전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6a의 제1 입력(600a) 및 제2 입력(600b) 참조). 일부 경우들에서, 밝기 레벨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정의된 요청들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꺼질 때까지 그리고/또는 최대/최소 밝기 레벨이 충족될 때까지, 특정 밝기 구성 세션에 대해 일시적으로 정의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1 또는 제2 방향으로의 후속 회전 입력들은 더 이상 밝기를 변경하지 않고, 그리고/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오프될 때 후속 회전 입력이 수신될 때 재정의된다. 정의하는 것 또는 재정의하는 것은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청과 이전에 연관되었던 이전에 저장된 회전 방향(및 유사하게, 밝기 레벨을 감소시키는 것과 연관된 이전에 저장된 방향)을 오버라이팅(overwrite)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청으로서 제1 입력에 기초하여 제1 회전 방향을 정의하는 것은, 사용자 입력의 임의의 회전 방향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밝기 구성 특징부들에 액세스하게 함으로써 디바이스의 동작성을 향상시키며, 이는 디바이스의 동작성을 향상시키고 필요한 입력들의 수를 감소시킨다.
방법(70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제1 입력을 수신한 이후, 제1 회전 방향과 반대인 제2 회전 방향을 갖는 제2 입력(예를 들어, 도 6a의 제2 입력(600b))을 수신하고, 제2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밝기 구성 세션을 유지하면서 밝기 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다(710). 예를 들어, 일부 경우들에서, 제2 입력은 제1 입력을 수신하는 임계 시간 기간 내에서 수신된다. 일부 예들에서, 제2 입력은 회전 방향이 제1 방향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변할 때 제1 입력에 바로 뒤따른다. 밝기 구성 세션은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제2 입력에 응답하여 (밝기 구성 세션을 유지하면서) 밝기 레벨을 감소시키는 것은, 제1 입력에 따라 밝기 레벨이 증가된 이후 밝기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방식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디바이스의 동작성을 향상시킨다. 이는 사용자 시간을 절약하면서, 전력 사용을 감소시키고 디바이스의 배터리 수명을 개선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새로운 회전 방향들을 이용하여 새로운 밝기 구성 세션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선택적으로, 제1 입력을 수신한 이후 임계 시간 기간의 경과 시에 밝기 구성 세션을 엑시트(exit)할 수 있다. 밝기 구성 세션을 엑시트한 이후, 디바이스는 제1 방향과 반대인 제3 방향으로의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3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6a의 제1 입력(600a) 및 도 6e의 반대의 제1 입력(600d) 참조). 제3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킨다는 결정에 따라, 디바이스는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고 새로운 밝기 구성 세션으로 진입할 수 있다. 실제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스크린 밝히기 기능들을 개시하기 위한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방향-독립성은, 어느 방향으로 회전할지를 생각하거나 추측할 것을 사용자에게 요구하지 않으면서 임의의 사용자가 스크린 밝기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조정하도록 허용함으로써 디바이스의 동작성을 향상시킨다.
일부 경우들에서, 임계 시간 기간의 경과는 사용자 입력에서의 일시정지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2 입력은 제1 입력을 수신하는 임계 시간 기간 이후 수신된다. 임계 시간 기간 이후, 요청이 리셋되기 때문에, 제1 방향은 스크린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청과 더 이상 연관되지 않는다. 일부 예들에서, 새로운 밝기 구성 세션에서, 제3 방향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청과 연관되고, 제3 방향과 반대인 제4 방향은 밝기 레벨을 감소시킨다(예를 들어, 도 6a의 제1 입력(600a) 및 도 6e의 반대의 제1 입력(600d) 참조).
일부 실시예들에서, 새로운 밝기 구성 세션에 있는 동안, 디바이스는 제3 회전 방향과 반대인 제4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4 입력을 수신한다. 여전히 일부 경우들에서, 제4 방향은 제1 입력의 제1 방향과 동일한 방향일 수 있고, 그리고/또는 제1 입력의 제2 방향과 반대이다. 제4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는 후속 밝기 구성 세션을 유지하면서 밝기 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다(예를 들어, 도 6a의 제2 입력(600b) 및 도 6e의 반대의 제2 입력(600e) 참조).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은 회전 입력의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가변 레이트로 밝기 레벨을 변경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사용자 입력의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밝기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제1 회전 입력의 초기 회전 컴포넌트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켤 수 있고(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웨이크함),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생성된 회전 속도에 따라 변하거나 그에 비례하는 가변 레이트로 알파-블렌드 완전 흑색 스크린으로부터 더 밝은 스크린으로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회전 입력의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변하는 가변 레이트로 밝기 레벨을 변경시키는 것은,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보는 동안,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이 얼마나 신속하게 변경되어야 하는지 및 어떤 레벨로 변경시켜야 하는지를 결정하게 하며, 이는 디바이스의 작동성 및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흑색 또는 불투명 층과 같은 마스킹 층과 알파 블렌딩함으로써 밝기 레벨을 조정한다. 마스킹 층에서는 최대 밝기 레벨을 향해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해 투명도가 증가할 수 있다(또는 그렇지 않으면 불투명도가 감소). 일부 예들에서, 마스킹 층에 대한 변화들의 증가 또는 감소는 입력의 회전 속도 및 방향에 응답하여 그리고/또는 그에 비례하는 레이트로 발생한다. 마스킹 층에서는 최소 밝기 레벨을 향해 밝기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해 투명도가 감소할 수 있다(또는 그렇지 않으면 불투명도가 증가). 실제로, 알파 블렌딩은 백라이트 레벨을 변경할 필요 없이 밝기 레벨을 조정하며, 이는 전력 사용을 감소시키고 디바이스의 배터리 수명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불투명 마스킹 층은 완전히 포화된 흑색 층이다. 일부 예들에서, 최대 및 최소 밝기 레벨들은 사용자 구성 및/또는 주변 광 센서("ALS")에서 검출된 주변 광 레벨에 추가로 기초하는 최대 및 최소 백라이트 레벨들에 의존한다. 일부 예들에서, 야간 스크린 밝히기 세션은 알파 블렌딩을 위한 적색-톤 마스킹 층과 같은 상이한 컬러 색조를 포함한다. 상이한 스크린 밝히기 세션들은 ALS 판독들 또는 하루 중 시간(time-of-day)에 따라 인에이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최대 밝기 레벨이 충족된다는 결정에 따라, 디바이스는 알파 블렌딩을 중단하고 마스킹 층을 제거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마스킹 층의 디스플레이 또는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마스킹 층은 완전히 투명하다. 완전히 또는 충분히 투명한 마스킹 층은, 밝히기 구성 세션이 엑시트되더라도 디스플레이되게 유지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디바이스는 밝히기 구성 세션을 엑시트할 때 클리어(clear) 마스킹 층을 제거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5 입력을 수신하고,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에서 검출된 제5 입력의 회전 속도가 단위 시간당 임계 회전 속도를 초과한다고 결정한다. 결정에 따라, 디바이스는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을 향해 밝기 레벨을 자동으로 조정한다(예를 들어, 도 6c 참조). 예를 들어, 크라운(예를 들어, 도 6c의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506) 참조)에서의 플릭(예를 들어, 도 6c의 플릭(600c) 참조) 제스처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는 크라운에서의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 없이 일정하고 가속된 레이트로 밝기 레벨을 증가시킨다. 디바이스가 플릭의 방향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최대/최소 밝기 레벨을 충족시키고 밝히기/디밍을 완료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일정한 속력으로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동안, 최대 또는 최소 밝기 레벨에 도달하는 시간의 양은 크라운의 플릭을 등록한 시간에서 어느 하나의 극단으로부터 현재 밝기 레벨의 거리에 의존할 수 있다. 입력의 회전 속도가 임계 회전 속도를 초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을 향해 밝기 레벨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것(예를 들어, 신속한 플릭)은 급속한 스크린 밝히기를 제공함으로써 디바이스의 동작성을 향상시키며, 이는 사용자 시간을 절약하고 다른 활동들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을 자유롭게 해준다.
일부 예들에서,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는, 입력이 자동 밝기 조정 기준들을 충족시킬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자동 밝기 조정 기준들은, 입력의 회전 속도가 임계 회전 속도를 초과하거나 충족시킬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한다(예를 들어, 도 6c 참조). 자동 밝기 조정 기준들을 충족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는 밝기를 최대 밝기 레벨과 같은 미리 결정된 레벨로 증가시킨다. 미리 결정된 레벨은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의 정도, 회전 속력, 및/또는 회전 속도와 독립적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입력은 크라운에서의 플릭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스크린이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보다 낮은 밝기 레벨에 있는 동안, 그리고/또는 제1 입력을 수신한 이후 일정 시간 기간 내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검출할 수 있다.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는 미리 결정된 최대 및/또는 최소 밝기 레벨을 충족시키기 위해,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을 향해 일정한 가속된 레이트로 밝기 레벨을 자동으로 조정하고, 밝히기 또는 디밍을 완료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6f 참조). 일부 예들에서, 터치 제스처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탭 제스처(예를 들어, 도 6f의 터치 제스처(608) 참조)이다. 일부 예들에서, 스크린 탭이 검출될 때 밝히기 또는 디밍을 완료하는 것은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제1 또는 제2 회전 방향에 기초한다. 디바이스는 임계점에 대한 현재 밝기 레벨에 기초하여 스크린을 밝게 하거나 디밍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탭 제스처는 밝기 레벨의 가속된 밝히기 또는 디밍을 개시하며, 여기서 최대 또는 최소 밝기 레벨에 도달하기 위한 시간의 양은 탭 제스처를 등록한 시간에서 어느 하나의 극단으로부터의 현재 밝기 레벨의 거리에 의존한다. 스크린을 자동으로 밝게 하는 것은, 밝게 된 스크린에 대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액세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요구되는 지속기간 또는 입력들의 수를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임계 밝기 레벨에 도달할 시에 최대 또는 최소 밝기 레벨을 충족시키도록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을 자동으로 완료한다. 실제로, 일단 자동 조정이 인스턴스화되면, 사용자는 추가적인 회전 입력들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예를 들어, 도 6g 참조).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차동 밝히기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적어도 제1 디스플레이된 요소 및 제2 디스플레이된 요소를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디바이스는 제2 디스플레이된 요소의 밝기 레벨과는 상이한 레이트로 제1 디스플레이된 요소의 밝기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된 요소 및 제2 디스플레이된 요소의 밝기 레벨들은 상이한 레이트들로 동시에 조정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디바이스는, 나머지 디스플레이된 요소들이 조정되는 제2 레이트와는 별개인 제1 레이트로, 디스플레이된 요소들의 미리 결정된 서브세트의 밝기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알파 블렌딩을 차동적으로 적용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시간 또는 시계 바늘들에서는 나머지 또는 환경 요소들의 밝기(예를 들어, 도 6h의 디스플레이된 상태(9월 9일)의 제1 상태(610a), 제2 상태(610b), 및 제3 상태(610c) 참조)가 증가하기 전에 밝기 레벨(예를 들어, 도 6h의 시계 바늘들의 제1 상태(603) 및 제2 상태(604) 참조)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스크린 밝히기 기능들에 영향을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상이한 디스플레이된 요소들을 상이하게 밝게 하는 것은 깨끗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신속하게 식별 및 프로세싱하게 한다.
방법(700)(예를 들어, 도 7)에 대해 위에서 설명된 프로세스들의 세부사항들은 또한 아래에서 설명되는 방법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가능하다는 것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방법(700)은 선택적으로 방법(800)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되는 다양한 방법들의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의 특성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방법(700)은 밝기 레벨의 조정을 허용하는 밝기 구성 세션을 유지 및/또는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동안 밝기 구성 세션을 유지 또는 종료하기 위한 결정이 프로세싱될 수 있다. 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그러한 결정들은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동안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되는지 여부에 기초할 수 있다. 간결성을 위해, 이들 세부사항들은 아래에서 반복되지 않는다.
도 8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밝기 구성 세션을 유지 또는 엑시트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방법(80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을 갖는 디바이스(예를 들어, 100, 300, 500)에서 수행된다. 방법(800)의 일부 동작들은 선택적으로 조합되고, 일부 동작들의 순서는 선택적으로 변경되며, 일부 동작들은 선택적으로 생략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방법(80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이 조정될 수 있는 밝기 구성 세션을 유지하거나 엑시트하기 위한 직관적인 방식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적 부담을 감소시키며, 그에 의해 보다 효율적인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배터리-작동형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경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더 빠르고 더 효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전력을 절약하고 배터리 충전들 사이의 시간을 증가시킨다.
방법(80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선택적으로,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1 입력(예를 들어, 도 6a의 제1 입력(600a))을 수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입력은 밝기 구성 세션(예를 들어, 도 6a의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506) 참조)을 개시한다(802).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 속력 및 방향을 검출하고 밝기 구성 세션을 시작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선택적으로,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동안,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804). 일부 예들에서, 제1 입력을 수신하는 것은 크라운이 회전되고 있음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밝기 레벨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은 회전 방향 및/또는 회전의 회전 속도에 기초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504)) 상에 디스플레이된 임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 예컨대 실행중일 수 있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 시계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페이딩 인 또는 아웃한다(예를 들어, 도 6a 참조).
디바이스는 선택적으로,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동안,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된다는 결정에 따라 -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이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 초과일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함 -, 밝기 구성 세션을 종료하고(806),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회전에 응답하여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을 중단한다(808)(예를 들어, 도 6b 참조). 엑시트 구성 기준들은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을 중단하기 위한 또는 밝기 구성 세션을 엑시트하기 위한 기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엑시트 구성 기준들은, 예를 들어: 임계 밝기 레벨에 도달하는 것, 스크린 밝기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입력 이외의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것, 및/또는 어떠한 크라운 회전도 없음을 포함하여 최소 회전 속도 미만의 크라운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밝기 구성 세션을 종결함으로써, 크라운의 추가적인 회전들이 검출되고 등록되지만, 밝기 레벨의 조정을 야기하지 않을 수 있다.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회전들에 응답하여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을 중단하는 것은, 밝기 구성 세션이 종료되었고 다른 특징들 또는 기능들이 그 시간에서의 활성화를 위해 이용가능할 수 있음을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디바이스의 동작성을 향상시킨다.
디바이스는 선택적으로,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동안,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되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밝기 구성 세션을 유지하고(810),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계속 조정할 수 있다(812)(예를 들어, 도 6a 참조).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크라운 회전들이 활성 세션에서 계속 등록 및/또는 검출되는 밝기 구성 세션을 계속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동안,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는, 밝기 레벨이 임계 밝기 레벨을 충족시킬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임계 밝기 레벨은 최대 밝기 레벨이다.
방법(80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임계 밝기 레벨은 최대 밝기 레벨에 대응하며, 여기서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에서 검출된 추가적인 회전은 디바이스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동작을 수행하게 한다(814). 일부 예들에서, 추가적인 회전들은, 밝기 레벨을 변경하지 않지만, 애플리케이션들을 기동하기 위해 복수의 아이콘들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어포던스들을 포함하는 홈 스크린 내로 줌(예를 들어, 도 6b의 사용자 인터페이스(606a,b)의 줌 참조)하는 것과 같이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로 및/또는 밖으로 줌한다. 일단 최대 밝기 레벨에 도달되면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은, 그러한 전환들을 행하도록 사용자에 의한 부가적인 상이한 입력들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능률적인 방식(streamlined manner)으로 디바이스가 다른 기능들, 예컨대, 선택가능 어포던스들의 메뉴 내로 줌하는 것으로 효율적으로 전환되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임계 밝기 레벨은 최소 밝기 레벨에 대응하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고(예를 들어, 꺼지고), 제1 입력에서의 회전가능 요소의 계속된 회전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변경하지 않는다. 일부 예들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는 것은 디바이스를 끄는 것에 대응하며, 여기서 디바이스는 임의의 추가적인 회전들에도 불구하고 유지된다(예를 들어, 도 6d의 제2 입력(600b) 참조).
일부 실시예들에서,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는,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 이외의 기능에 대한 사용자 요청이 수신될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어포던스를 선택하고, 하드웨어 버튼을 활성화시키고, 음성 커맨드를 입력하고, 그리고/또는,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 이외의 기능에 대응하는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사용자 요청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수신된 탭 또는 누르기인 후속 입력을 포함할 수 있으며, 탭 또는 버튼 누르기의 위치에 따라 즉각적인 밝히기 및 임의의 기능의 활성화를 야기한다(예를 들어, 도 6f 참조).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 이외의 기능에 대한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밝기 레벨을 최대 밝기 레벨로 자동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예를 들어, 도 6c 및 도 6f 참조).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 이외의 기능에 대한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전자 디바이스와의 추가적인 사용자 상호작용이 검출되는 동안 밝기 레벨을 조정된 밝기 레벨로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전히 페이딩 업하는 대신에, 디바이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의 전체 사용자 상호작용이 허용되는 동안, 조정된 밝기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조정된 밝기 레벨은 전체 또는 최대 밝기 레벨보다 낮을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밝기 레벨의 추가적인 조정은, 밝히기 세션이 엑시트될 때, 회전가능 요소에서 수신된 입력들로부터 허용되거나 등록되지 않는다. 그 경우, 조정된 밝기 레벨은 디스플레이가 꺼질 때까지 유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능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끄는 것 및/또는 비활성 또는 슬립 모드에 진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요청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낮춰진 손목 또는 손바닥과 같은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에서의 후속 회전들은 새로운 밝기 구성 세션을 인스턴스화할 것이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신속하게 끄는 것을 허용하는 것은 전력 사용을 감소시키고 배터리 수명을 개선시키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새로운 밝기 구성 세션을 확립하게 허용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켜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끄기 전에 검출된 밝기 레벨로 재개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켠다.(예를 들어, 도 6i의 사용자 입력(612) 참조). 일부 예들에서, 디바이스는 사용자 입력이 손목 들어올림일 때 이전에 결정된 밝기 레벨로 재개된다. 마지막으로 조정된 밝기 레벨은 다음의 손목 들어올림 시에 다수회 지속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새로운 밝기 구성 세션은 다음 손목 들어올림 시에 입력된다. 새로운 밝기 구성 세션은, 정의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을 야기하는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상이한 회전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이전에 검출된 밝기 레벨로 재개하는 것은, 세션을 의도하지 않게 그만두었다면 사용자가 이전 세션의 밝기 레벨을 신속하게 가져오게 함으로써 디바이스의 동작성을 향상시키고, 이전에 설정된 밝기 레벨로 복귀하기 위한 부가적인 사용자 입력들에 대한 임의의 필요성을 추가로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는, 사용자가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을 최소 회전 속도 미만으로 회전시킬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검출된 회전이 없거나 너무 느릴 때 밝기 구성 세션을 엑시트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는, 어떠한 사용자 입력도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 검출되지 않을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약 4초일 수 있는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 제1 입력 이후 사용자가 비활동적이라고 또는 일시정지가 존재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어떠한 사용자 입력도 검출되지 않는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의 경과 이후,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최소 밝기 레벨로 자동으로 감소시키고, 밝기 레벨을 자동으로 감소시키는 동안 제2 사용자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는,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의 경과 이전에 검출된 원래의 밝기 레벨로 재개하도록 밝기 레벨을 자동으로 증가시키고, 밝기 구성 세션에 재진입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밝기 구성 세션을 재개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6j 참조).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밝기 레벨을 디스플레이 오프 상태로 자동으로 페이딩 다운할 수 있다. 자동 페이드-다운 동안 후속 크라운 회전(예를 들어, 도 6j의 입력(600f) 참조)이 검출될 때, 동일한 밝기 구성 세션이 활성으로 재개되거나 유지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밝기 구성 세션은, 타임아웃 기간의 경과까지 엑시트되지 않는다. 사용자 입력의 결여 시에 밝기 레벨을 자동으로 감소시키는 것은 전력 사용을 감소시키고 디바이스의 배터리 수명을 개선시킨다. 후속 사용자 입력이 페이드-다운이 개시되었던 밝기 레벨로 재개하게 허용하는 것은, 디바이스를 이전의 밝기 레벨로 다시 설정하기 위한 부가적인 입력들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사용자가 이전에 디스플레이된 밝기 레벨에 액세스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 지연 기간을 개시하고, 지연 기간 동안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후속 회전에 대응하는 후속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며, 밝기 구성 세션을 유지하면서 후속 사용자 입력에 따라 밝기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 지연 기간을 개시하는 것은 밝기 구성 세션을 종료하기 전에 또는 그 후에 발생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지연 기간은 대략 1 초이다. 비-밝히기 기능들이 크라운 회전(예를 들어, 도 6b의 줌 기능들)에 의해 활성화되게 하기 전에 최대 밝기 레벨에 도달할 시에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를 끄기 전에 최소 밝기 레벨에 도달할 시에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밝기 구성 세션은,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한 지연 기간의 경과 이후 종결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지연 기간 동안의 사용자 입력의 결여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디바이스의 자동 페이드-다운으로 하여금 밝기 구성 세션을 엑시트하고 그리고/또는 디스플레이를 끄게 한다.
방법(800)(예를 들어, 도 8)에 대해 위에서 설명된 프로세스들의 세부사항들은 또한 위의 도 7에서 설명된 방법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가능하다는 것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방법(800)은 선택적으로 방법(700)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다양한 방법들의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의 특성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방법(800)은,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에서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청으로서 제1 회전 방향을 정의하는 단계, 및 밝기 구성 세션 동안 밝기 레벨을 감소시키도록 제1 회전 방향과 반대인 제2 회전 방향을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간결성을 위해, 이들 세부사항들은 반복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9는 다양한 설명된 실시예들의 원리들에 따라 구성된 전자 디바이스(900)의 예시적인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900)의 기능 블록들은 위에서 설명된 기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디바이스(900)의 기능 블록들은 선택적으로, 다양한 설명된 예들의 원리들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된다. 다양한 설명된 예들의 원리들을 구현하기 위해 도 9에서 설명된 기능 블록들이 선택적으로 조합되거나 서브블록들로 분리된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해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설명은 선택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 블록들의 임의의 가능한 조합 또는 분리 또는 추가적인 정의를 지원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90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유닛(902), 선택적으로, 터치 접촉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터치 감응형 표면 유닛(904),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906), 및 디스플레이 유닛(902)에 커플링된 프로세싱 유닛(908) 및 선택적으로 터치 감응형 표면 유닛(904) 및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906)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유닛(908)은 수신 유닛(910), 조정 유닛(912), 결정 유닛(914), 수행 유닛(916), 세션 구성 유닛(918), 정의 유닛(920), 검출 유닛(922), 및 디스플레잉 유닛(924)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유닛(908)은: (예를 들어, 수신 유닛(910)을 이용하여)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킨다는 결정에 따라 -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이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 미만일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함 -, (예를 들어, 조정 유닛(912)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며; 그리고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예를 들어, 조정 유닛(912)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을 보류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유닛(908)은: 제1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예를 들어, 결정 유닛(914)을 이용하여)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이 초기에 오프될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는 밝기 조정 모드가 온일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유닛(908)은: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예를 들어, 수행 유닛(916)을 이용하여)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 이외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유닛(908)은: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킨다는 결정에 따라, (예를 들어, 세션 구성 유닛(918)을 이용하여) 밝기 구성 세션에 진입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유닛(908)은: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킨다는 결정에 따라, (예를 들어, 정의 유닛(920)을 이용하여) 밝기 구성 세션 동안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청으로서 제1 입력에 기초하여 제1 회전 방향을 정의하고, (예를 들어, 정의 유닛(920)을 이용하여) 밝기 구성 세션 동안 밝기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한 요청으로서 제1 회전 방향과 반대인 제2 회전 방향을 정의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유닛(908)은: 제1 입력을 수신한 이후: (예를 들어, 수신 유닛(910)을 이용하여) 제1 회전 방향과 반대인 제2 회전 방향을 갖는 제2 입력을 수신하고, 제2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예를 들어, 세션 구성 유닛(918)을 이용하여) 밝기 구성 세션을 유지하면서 (예를 들어, 조정 유닛(912)을 이용하여) 밝기 레벨을 감소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유닛(908)은: 제1 입력을 수신한 이후 임계 시간 기간의 경과 시에,(예를 들어, 세션 구성 유닛(918)을 이용하여) 밝기 구성 세션을 엑시트하고; 밝기 구성 세션을 엑시트한 이후, (예를 들어, 수신 유닛(910)을 이용하여) 제1 방향과 반대인 제3 방향으로의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3 입력을 수신하고; 제3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킨다는 결정에 따라, (예를 들어, 조정 유닛(912)을 이용하여)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고 새로운 밝기 구성 세션으로 진입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유닛(908)은: 새로운 밝기 구성 세션에 있는 동안, (예를 들어, 수신 유닛(910)을 이용하여) 제3 회전 방향과 반대인 제4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4 입력을 수신하고; 제4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예를 들어, 세션 구성 유닛(918)을 이용하여) 후속 밝기 구성 세션을 유지하면서 (예를 들어, 조정 유닛(912)을 이용하여) 밝기 레벨을 감소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은 (예를 들어, 조정 유닛(912)을 이용하여) 회전 입력의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가변 레이트로 밝기 레벨을 변경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유닛(908)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마스킹 층과 알파 블렌딩함으로써 (예를 들어, 조정 유닛(912)을 이용하여) 밝기 레벨을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마스킹 층에서는 교대로: (예를 들어, 조정 유닛(912)을 이용하여) 최대 밝기 레벨을 향해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도록 투명도가 증가하고; (예를 들어, 조정 유닛(912)을 이용하여) 최소 밝기 레벨을 향해 밝기 레벨을 감소시키도록 투명도가 감소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유닛(908)은: 최대 밝기 레벨이 충족된다는 결정에 따라, (예를 들어, 조정 유닛(912)을 이용하여) 알파 블렌딩을 중단하고 (예를 들어, 조정 유닛(912)을 이용하여) 마스킹 층을 제거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유닛(908)은: (예를 들어, 수신 유닛(910)을 이용하여)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5 입력을 수신하고; (예를 들어, 결정 유닛(914)을 이용하여)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에서 검출된 제5 입력의 회전 속도가 단위 시간당 임계 회전 속도를 초과한다고 결정하며; 결정에 따라, (예를 들어, 조정 유닛(912)을 이용하여)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을 향해 밝기 레벨을 자동으로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유닛(908)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이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보다 낮은 밝기 레벨에 있는 동안, 제1 입력을 수신한 이후 일정 기간 내에서 (예를 들어, 검출 유닛(922)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 상의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고;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예를 들어, 조정 유닛(912)을 이용하여)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을 향해 밝기 레벨을 자동으로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유닛(908)은: (예를 들어, 조정 유닛(912)을 이용하여) 임계 레벨에 도달할 시에 최대 또는 최소 밝기 레벨을 충족시키도록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을 자동으로 완료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유닛(908)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잉 유닛(924)을 이용하여) 적어도 제1 디스플레이된 요소 및 제2 디스플레이된 요소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된 요소의 밝기 레벨은 제2 디스플레이된 요소의 밝기 레벨과는 상이한 레이트로 조정되고, 추가로, 제1 디스플레이된 요소 및 제2 디스플레이된 요소의 밝기 레벨들은 동시에 조정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0은 다양한 설명된 실시예들의 원리들에 따라 구성된 전자 디바이스(1000)의 예시적인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1000)의 기능 블록들은 방법(800)의 기법들과 같은 위에서 설명된 기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디바이스(1000)의 기능 블록들은 선택적으로, 다양한 설명된 예들의 원리들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된다. 다양한 설명된 예들의 원리들을 구현하기 위해 도 10에서 설명된 기능 블록들이 선택적으로 조합되거나 서브블록들로 분리된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해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설명은 선택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 블록들의 임의의 가능한 조합 또는 분리 또는 추가적인 정의를 지원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유닛(1002), 선택적으로, 터치 접촉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터치 감응형 표면 유닛(1004),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1006), 및 디스플레이 유닛(1002)에 커플링된 프로세싱 유닛(1008) 및 선택적으로 터치 감응형 표면 유닛(1004) 및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1006)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유닛(1008)은 수신 유닛(1010), 조정 유닛(1012), 결정 유닛(1014), 세션 구성 유닛(1016), 검출 유닛(1018), 지연 유닛(1020), 및 수행 유닛(1022)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유닛(1008)은: (예를 들어, 수신 유닛(1010)을 이용하여)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고 - 제1 입력은 밝기 구성 세션을 개시함 -;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동안: (예를 들어, 조정 유닛(1012)을 이용하여)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의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고;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된다는 결정에 따라 -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이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 초과일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함 -: (예를 들어, 세션 구성 유닛(1016)을 이용하여) 밝기 구성 세션을 종료하고,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의 추가적인 회전에 응답하여 (예를 들어, 조정 유닛(1012)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을 중단하며;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되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예를 들어, 세션 구성 유닛(1016)을 이용하여) 밝기 구성 세션을 유지하고,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의 추가적인 회전에 따라 (예를 들어, 조정 유닛(1012)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의 밝기 레벨을 계속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유닛(1008)은: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동안, (예를 들어, 결정 유닛(1014)을 이용하여)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는, 밝기 레벨이 임계 밝기 레벨을 충족시킬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임계 밝기 레벨은 최대 밝기 레벨에 대응하며, 여기서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에서 검출된 추가적인 회전은 (예를 들어, 수행 유닛(1022)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동작을 수행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임계 밝기 레벨은 최소 밝기 레벨에 대응하며, 여기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은 (예를 들어, 조정 유닛(1012)을 이용하여)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고, 제1 입력에서의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의 계속된 회전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의 밝기 레벨을 변경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는,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 이외의 기능에 대한 사용자 요청이 (예를 들어, 수신 유닛(1010)을 이용하여) 수신될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유닛(1008)은: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 이외의 기능에 대한 사용자 요청을 (예를 들어, 수신 유닛(1010)을 이용하여)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예를 들어, 조정 유닛(1012)을 이용하여) 밝기 레벨을 최대 밝기 레벨로 자동으로 증가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유닛(1008)은: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 이외의 기능에 대한 사용자 요청을 (예를 들어, 수신 유닛(1010)을 이용하여)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전자 디바이스와의 추가적인 사용자 상호작용이 검출되는 동안 (예를 들어, 조정 유닛(1012)을 이용하여) 밝기 레벨을 조정된 밝기 레벨로 유지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능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을 끄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유닛(1008)은: (예를 들어, 검출 유닛(1018)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을 켜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고; (예를 들어, 조정 유닛(1012)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을 끄기 전에 검출된 밝기 레벨로 재개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을 켜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는, 사용자가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을 최소 회전 속도 미만으로 회전시킬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는, 어떠한 사용자 입력도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 검출되지 않을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유닛(1008)은: 어떠한 사용자 입력도 검출되지 않는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의 경과 이후, (예를 들어, 조정 유닛(1012)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최소 밝기 레벨로 자동으로 감소시키고; (예를 들어, 검출 유닛(1018)을 이용하여) 밝기 레벨을 자동으로 감소시키는 동안 제2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고; (예를 들어, 검출 유닛(1018)을 이용하여) 제2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예를 들어, 조정 유닛(1012)을 이용하여)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의 경과 이전에 검출된 원래의 밝기 레벨로 재개하도록 밝기 레벨을 자동으로 증가시키고, (예를 들어, 세션 구성 유닛(1016)을 이용하여) 밝기 구성 세션에 재진입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유닛(1008)은: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예를 들어, 지연 유닛(1020)을 이용하여)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 지연 기간을 개시하고; (예를 들어, 검출 유닛(1018)을 이용하여) 지연 기간 동안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의 후속 회전에 대응하는 후속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며; (예를 들어, 조정 유닛(1012)을 이용하여) 후속 사용자 입력에 따라 밝기 레벨을 조정하고, 밝기 구성 세션을 유지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동작들은 선택적으로, 도 1a 및 도 1b 또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컴포넌트들에 의해 구현된다. 예를 들어, 수신 동작(702), 증가 동작(704), 및 증가 보류 동작(706)은 선택적으로, 이벤트 분류기(170), 이벤트 인식기(180) 및 이벤트 핸들러(190)에 의해 구현된다. 추가로, 예를 들어, 수신 동작(802) 조정 동작(804), 종료 동작(806), 조정 중단 동작(808), 유지 동작(810), 및 계속 조정 동작(812)은 선택적으로, 이벤트 분류기(170), 이벤트 인식기(180) 및 이벤트 핸들러(190)에 의해 구현된다. 이벤트 분류기(170) 내의 이벤트 모니터(171)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2) 상의 접촉을 검출하고, 이벤트 디스패처 모듈(174)은 이벤트 정보를 애플리케이션(136-1)에 전달한다. 애플리케이션(136-1)의 각자의 이벤트 인식기(180)는 이벤트 정보를 각자의 이벤트 정의들(186)과 비교하고, 터치 감응형 표면 상의 제1 위치에서의 제1 접촉이 미리 정의된 이벤트 또는 서브이벤트,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어포던스의 활성화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개개의 미리 정의된 이벤트 또는 서브이벤트가 검출될 때, 이벤트 인식기(180)는 이벤트 또는 서브이벤트의 검출과 연관된 이벤트 핸들러(190)를 활성화시킨다. 이벤트 핸들러(190)는, 선택적으로, 데이터 업데이터(176) 또는 객체 업데이터(177)를 이용하거나 호출하여 애플리케이션 내부 상태(192)를 업데이트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벤트 핸들러(190)는 개개의 GUI 업데이터(178)에 액세스하여,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업데이트한다. 유사하게, 다른 프로세스들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컴포넌트들에 기초하여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제 도 11a 내지 도 11q를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에서 이하 "정숙 모드"로 지칭되는 극장 모드 특징부에 대응하는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이 도 12a 내지 도 12c에 설명된 프로세스들을 포함하여 아래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시된다. 정숙 모드 설정에서, 정숙 모드가 온일 때,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를 켜기 위한 손목 제스처들을 무시하고, 착신 경고들을 무음화(silence)시킨다. 전자 디바이스는 도 5a 및 도 6a 내지 도 6j에 대해 위에서 도시된 것과 유사한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500)는 도 5a에 대해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스크린(504) 및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버튼들, 예컨대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506) 및/또는 누름가능 버튼(508)(예를 들어, 전원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전자 디바이스(500)는 본 명세서에서 회전가능 크라운으로 상호교환가능하게 지칭될 수 있는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506)을 포함하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이다.
도 11a에서, 복수의 선택가능 어포던스들(1102, 1104, 1106, 1108, 1110, 1112)을 포함하는 제어 패널(1100)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된다. 제어 패널(1100)은 사용자에 의한 디스플레이 스크린(504) 상의 상향 스와이프(1114)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예에서, 복수의 선택가능 어포던스들(1102, 1104, 1106, 1108, 1110, 1112)은, 배터리 레벨 또는 전력 백분율 어포던스(1102) 및 비행기 모드에 대응하는 비행기 모드 어포던스(1104)를 갖는 제1 행, 통지들에 대한 무음 모드(silent mode)에 대응하는 무음 모드 어포던스(1106) 및 통지들에 대한 슬립 모드에 대응하는 슬립 모드 어포던스(1108)를 갖는 제2 행, 및 위에서 언급된 정숙 모드에 대응하는 정숙 모드 어포던스(1110) 및 전자 디바이스(500)에서의 잠금 모드에 대응하는 잠금 어포던스(1112)를 갖는 제3 행을 포함한다. 제어 패널(1100)에 디스플레이된 어포던스들 각각은 사용자가 어포던스 상의 터치 제스처(예를 들어, 탭핑)에 의해 어포던스에 대응하는 설정을 켜고 그리고/또는 끄게 허용하고, 그리고/또는 디바이스에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배터리 레벨 백분율)를 제공한다. 제어 패널(1100)은, 전자 디바이스(500)가 전화, 태블릿, 또는 랩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고 있는지 (예를 들어, 블루투스, WiFi, 또는 다른 무선 연결) 여부를 표시하는 연결 상태(1116)를 더 포함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어 패널(1100)은 현재 날짜 및/또는 시간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같은 홈 스크린 상의 상향 스와이프(1114)의 이동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되고 그리고/또는 그에 따라 드러난다. 예를 들어, 제어 패널(1100)은, 스와이프 제스처(1114)가 스크린(504)의 저부로부터 상부로 횡단함에 따라 홈 스크린을 점진적으로 덮기 위해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의 저부로부터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의 상부를 향해 상향으로 당겨지는 것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반대 방향의 스와이프 제스처(예를 들어, 하향 스와이프 제스처)는 홈 스크린을 점진적으로 드러내면서, 제어 패널(1100)을 그것이 숨겨지는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의 저부로 다시 당긴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어 패널(110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가로지르는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하여 수직으로 또는 수평으로 스크롤링함으로써, 뷰를 가져오거나 또는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506)의 회전을 통해 수직으로 스크롤링되는 부가적인 어포던스들 또는 정보를 포함한다.
도 11a 및 도 11b에서, 사용자는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정숙 모드에 관여하기 위해 정숙 모드 어포던스(1110)(예를 들어, 팝콘 글리프(popcorn glyph)에 의해 표현되는 소프트 버튼)를 탭핑할 수 있다. 정숙 모드에 관여하는 것은, 무음 모드로 지칭되는 별도의 디바이스 설정을 자동으로 활성화시키며, 그에 의해, 전자 디바이스(500)에 의해 수신된 경고들(예를 들어, 텍스트 메시지들, 전화 통화들, 이메일들, 뉴스 업데이트들, 전자 디바이스(500) 상의 애플리케이션들로부터의 통지들 등)은 전자 디바이스(500)로 하여금 경고에 대응하는 가청 출력(및/또는 시각적 출력)을 방출하게 하지 않는다. 일부 경우들에서, 디바이스(500)에서의 정숙 모드 및/또는 무음 모드 설정의 변경은 연결 상태(1116)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500)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들에서 자동으로 또한 구현된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숙 모드의 활성화는 정숙 모드 어포던스(1110a) 및 무음 모드 어포던스(1106a)의 외관이 업데이트되게 한다. 예를 들어, 2개의 어포던스들(1110a, 1106b)의 외관들은 정숙 모드 및 무음 모드가 활성이라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하이라이팅으로 업데이트되는 반면, 비선택된 어포던스들(1102, 1104, 1108, 1112)은 현재 활성이지 않거나 선택되지 않고 따라서 하이라이팅되지 않는다.
도 11a의 정숙 모드 어포던스(1110)의 사용자 선택과 같은 정숙 모드에 대한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는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령어 스크린(1118)(예를 들어, 확인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한다. 명령어 스크린(1118)은, 정숙 모드 확인 어포던스(1120)(예를 들어, "극장 모드" 어포던스 또는 소프트 버튼), 취소 어포던스(1122), 및 정숙 모드의 활성화가 무음 모드의 활성화를 포함한다는 것, 디바이스(500)에서의 정숙 모드의 활성화가 또한 다른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들 상의 정숙 모드에 관여한다는 것, 정숙 모드 동안 구현되는 특징부의 설명, 정숙 모드 동안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활성화시키는 방법, 및/또는 정숙 모드에 진입한 이후 정숙 모드를 끄는 방법을 표시하는 명령어들(1124)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명령어 스크린(1118)은 정숙 모드의 활성화를 위한 각각의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은 제어 패널(1100)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부터 명령어 스크린(1118)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전환된다. 명령어 스크린(1118)에서, 취소 어포던스(1122) 상에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500)는 정숙 모드의 활성화를 중단하고, 제어 패널(1100)을 디스플레이하거나 홈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복귀한다. 정숙 모드의 활성화가 자동으로 무음 모드를 활성화시키지만, 일부 경우들에서, 사용자는 정숙 모드 어포던스(1110a)가 하이라이팅되게 유지되면서 무음 모드 어포던스(1106a)를 비하이라이팅(예를 들어, 탭핑)함으로써 정숙 모드를 활성시킨 이후 무음 모드를 선택적으로 비활성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추가로 고려된다. 그 경우, 정숙 모드에 있는 동안 디바이스(500)에서 수신된 통지들은 디바이스(500)로 하여금, 경고들이 수신될 때 정상 통지 동작에서와 같이 가청 출력들 및/또는 디스플레이 통지들을 방출하게 하는 반면, 손목 제스처들은 활성인 정숙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활성화시키지 않는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어 패널(11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그러한 설정들은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로 중계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 디바이스에서 자동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정숙 모드 확인 어포던스(1120) 상에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500)는 정숙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그에 진입하며, 여기서, 일반적으로 오프 상태로부터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켜는 손목 제스처들과 같은 사용자 입력들은 이제 무시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의 활성화 또는 켜짐을 야기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손목 제스처들은 디바이스(500)의 가속도계에 의해 계속 검출되지만,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활성화시키거나 켜기 위해서는 등록되지 않을 수 있다. 추가로, 무음 모드의 동시 및 자동 활성화는 디바이스(500)로 하여금, 정숙 모드가 활성인 동안 수신된 경고들(예를 들어, 텍스트 메시지들, 전화 통화들, 이메일들, 뉴스 업데이트들, 디바이스(500) 상의 애플리케이션들로부터의 통지들 등)에 대응하는 가청 통지들의 출력을 보류하게 한다.
디바이스(500)가 정숙 모드에 있는 동안, 정숙 모드 아이콘(1126)은 정숙 모드가 활성이라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예를 들어, 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은 물리적 입력들에 의해) 디스플레이(504)가 활성화될 경우 홈 스크린(1128a)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숙 모드 아이콘(1126)은 팝콘 글리프이며, 디바이스(500)의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다른 상태, 정보, 및/또는 통지들을 표시하는 아이콘들, 예컨대 체크마크(1130) 및 현재 온도(1132)를 더 포함하는 홈 스크린(1128a) 상에서 현재 시간(예를 들어, 10:09) 위에 디스플레이된다. 청중 글리프 또는 영화 티켓 글리프와 같은 다른 글리프들이 정숙 모드 아이콘(1126)에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정숙 모드 아이콘(1126)은 디스플레이 스크린(504) 상의 다른 위치들, 예컨대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의 코너 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의 저부에서 다른 아이콘들(1130, 1132)에 인접하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실제로, 정숙 모드 아이콘(1126)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디바이스(500)가 현재 손목 제스처들을 무시하고 있고 착신 통지들에 대해 무음이라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기술적 이점을 제공하며, 이는, 디바이스가 특수한 설정으로 동작하고 있으므로 디바이스가 오작동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추측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손목 턴 또는 손목 들어올림과 같은 손목의 이동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활성화시키기를 원하지 않는 상황들에서 정숙 모드 특징부가 사용자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그러한 상황들은 사용자가 방해를 야기하거나 원하지 않는 주의를 얻기를 원하지 않는 영화 극장과 같은 낮은 조명 환경들에서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본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디스플레이 스크린(504) 상의 홈 스크린(예를 들어, 홈 스크린(1128))으로부터 정숙 모드를 켜고 끄기 위한 신속하고 용이한 액세스를 제공한다. 정숙 모드 특징부는 또한 다른 제어 패널들, 예컨대 디바이스(500) 상의 일반 설정 패널 또는 외부적으로 연결된 디바이스의 제어 패널들을 통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추가로, 정숙 모드 아이콘(1126)은 전체 정숙 모드가 활성인지(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손목 제스처들에 대해 정숙하고 경고들에 대한 통지들을 디스플레이하거나 가청적으로 출력하는 것에 대해 무음임), 또는 "부분적인" 정숙 모드가 활성인지(예를 들어, 사용자는, 통지들이 여전히 디스플레이를 위해 방출/출력되면서 오직 손목 제스처들만이 무시되도록 무음 모드 특징부를 선택해제함)를 표시하기 위해 상이한 컬러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정숙 모드가 활성이면서 동시에 무음 모드를 끄기 위한 사용자 선택은 정숙 모드를 끈다. 더 추가로, 정숙 모드는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 그리고/또는 디바이스(500)의 지리적 위치에 기초하여 활성으로서 설정되며,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의 경과 이후 그리고/또는 디바이스(500)의 지리적 위치가 지정된 "정숙 모드" 위치로부터 변경된 이후 정상 동작 모드로 복귀하도록 자동으로 꺼질 수 있다.
이제 도 11e를 참조하면, 정숙 모드를 활성화, 정숙 모드에 진입, 및 정숙 모드를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흐름이 도시된다. 초기에, 디바이스(50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이 활성일 때 홈 스크린(1128)을 디스플레이한다. 홈 스크린(1128)이 나타난 동안 디스플레이 스크린(504) 상의 상향 스와이프 제스처(1114a)에 응답하여, 제어 패널(110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가로질러 상향으로 당겨진다. 정숙 모드 특징부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사용자 요청은 정숙 모드 어포던스(1110) 상의 탭(1134) 또는 다른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등록된다. 정숙 모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사용자 요청(1134)에 응답하여, 명령어 스크린(1118)이 제어 패널(1100) 대신에 디스플레이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명령어 스크린(1118)은 정숙 모드를 보류하기 위한 취소 어포던스(1122) 및 정숙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확인 어포던스(1120)와 함께, 정숙 모드 특징부에 진입하고 정숙 모드 특징부를 사용하기 위한 명령어들(예를 들어, 정숙 모드 동안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켜는 방법, 정숙 모드를 엑시트하는 방법, 무음 모드가 정숙 모드와 함께 자동으로 활성화된다는 것 등)을 제공한다. 도 11e에서, 정숙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확인 어포던스(1120) 상의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명령어 스크린(1118)이 디스플레이로부터 제거되고, 제어 패널(1100)이 디스플레이를 위해 재개되며, 정숙 모드 어포던스(1110a) 및 무음 모드 어포던스(1106a)는 그 모드들이 켜져서 활성이라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하이라이팅된 것으로 도시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디바이스(500)는, 디바이스(500)가 정숙 동작 모드에 진입했다는 사용자로의 추가적인 확인으로서 정숙 모드 및/또는 무음 모드에 진입할 시에 진동을 방출할 수 있다.
도 11e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패널(1100) 상의 하향 스와이프 제스처(1136)에 응답하여, 제어 패널(1100)이 디스플레이로부터 제거되고, 홈 스크린(1128a)이 디스플레이된다. 디바이스가 정숙 모드에 있는 동안, 홈 스크린(1128a)은 정숙 모드 아이콘(1126)을 체크마크 아이콘(1130) 및 온도 아이콘(1132)과 같은 임의의 다른 아이콘들과 함께 포함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디스플레이한다. 일부 예들에서, 정숙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확인 어포던스(1120) 상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이후, 디바이스(500)는 정숙 모드에 진입하고, 디스플레이로부터 명령어 스크린(1118)을 제거하며, 하이라이팅된 어포던스들(1106a, 1110a)을 갖는 제어 패널(1100)을 디스플레이하는 것보다는, 정숙 모드 어포던스(1126)를 갖는 홈 스크린(1128a)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직접 점프한다.
정숙 모드는 정숙 모드를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언제든지 꺼지거나 그렇지 않으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e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숙 모드 아이콘(1126)을 갖는 홈 스크린(1128a) 상의 상향 스와이프 제스처(1114b)는 디스플레이를 위해 제어 패널(1100)을 가져온다. 하이라이팅된 정숙 모드 어포던스(1110a) 상의 사용자 탭(1134a) 또는 다른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디바이스는 정숙 모드 어포던스(1106) 및 무음 모드 어포던스(1110) 둘 모두의 하이라이팅을 제거하고, 정숙 모드 및 무음 모드 둘 모두를 엑시트, 종료, 또는 그렇지 않으면 끈다. 정숙 모드(및 그에 따라, 또한 무음 모드)가 오프되면, 정지 모드 아이콘(1126)은 홈 스크린(1128)의 최종 디스플레이로부터 제거된다. 무음 모드는 무음 모드 어포던스(1106)의 사용자 선택에 의해 정숙 모드와는 독립적으로 켜질 수 있고, 대응하는 무음 모드 아이콘(도시되지 않음)은 무음 모드가 활성이라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홈 스크린(1128)에 표시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추가로, 홈 스크린(1128, 1128a)이 현재 시간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어포던스들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같은 다른 홈 스크린들이 고려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이제 도 11f를 참조하면, 명령어 스크린(1118)으로부터의 정숙 모드의 진입을 보류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의 진입을 취소하기 위한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흐름이 도시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에서 홈 스크린(1128) 상의 상향 스와이프(1114c)에 응답하여, 제어 패널(1100)이 디스플레이된다. 정숙 모드 특징부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사용자 요청은 제어 패널(1100)에서 정숙 모드 어포던스(1100) 상의 탭(1134b) 또는 다른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등록된다. 정숙 모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사용자 요청(1134b)에 응답하여, 제어 패널(1100)은 디스플레이로부터 제거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명령어 스크린(1118)의 디스플레이로 대체된다. 명령어 스크린(1118)은 확인 어포던스(1120)를 선택함으로써 정숙 모드에 진입하거나 또는 취소 어포던스(1122)를 선택함으로써 정숙 모드의 진입을 보류하기 위한 명령어들 및 옵션들을 제공한다. 도 1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소 어포던스(1122)를 탭핑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터치함으로써 정숙 모드의 추가적인 진입을 보류하기 위한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디바이스는, 자신의 원래의 비하이라이팅된 외관의 정숙 모드 어포던스(1110) 및 무음 모드 어포던스(1106)를 갖는 제어 패널(1100)의 디스플레이를 재개한다. 제어 패널(1100) 상의 하향 스와이프 제스처(1136a)에 응답하여, 홈 스크린(1128)은, 정숙 모드가 활성이지 않으므로 적어도 도 11e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숙 모드 아이콘(1126) 없이 원래 제시된 바와 같이 재디스플레이된다. 일부 예들에서, 취소 어포던스(1122)의 사용자 선택에 응답하여, 디바이스(500)는 제어 패널(1100)의 재디스플레이를 스킵하고, 홈 스크린(1128)을 재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직접 진행된다.
도 11g 내지 도 11q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정숙 모드가 활성일 때,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은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스크린(504) 상에서 수신된 터치 입력들을 포함하는 물리적 입력들, 디바이스(500)에서의 하드웨어의 누르기, 및/또는 회전과 같은 소정의 사용자 입력들에만 응답하여 오프 또는 비활성 상태로부터 활성화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50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일반적으로 활성화시킬, 그의 가속도계(예를 들어, 도 1a의 가속도계(168))에 의해 검출된 제스처들(예를 들어, 손목 플릭, 손목 이동), 예컨대 정상 동작 하에서는 오프 또는 비활성 상태로부터 스크린(504)을 활성화시킬, 디바이스가 웨어러블 스마트 워치일 때에는 손목 턴을 무시한다. 예를 들어, 정숙 모드가 비활성인 도 11g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비활성 상태(1140)를 갖는 디바이스(500)의 가속도계에 의해 검출된 손목 제스처(1138)는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의 활성화 및 홈 스크린(1128)의 디스플레이를 야기한다. 다른 한편으로, 정숙 모드가 활성인 도 11h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손목 턴 또는 손목 들어올림과 같은 손목 제스처(1138a) 또는 정숙 모드가 오프일 때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활성화시킬, 디바이스의 가속도계에 의해 검출된 다른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디바이스(50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의 활성화를 보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의 비활성 상태(1140)를 유지한다.
도 11i 내지 도 11k를 참조하면, 정숙 모드가 활성인 동안 경고가 디바이스(500)에서 수신될 때, 디바이스(500)는 착신 경고에 대응하는 통지들의 가청 또는 시각적 출력을 방출하지 않는다. 그러나, 진동 또는 다른 촉각적 출력들과 같은 다른 인지적 출력들이 사용자에게 경고하기 위해 방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숙 모드가 비활성이고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이 비활성 상태(1140)에 있는 도 11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500)는 사용자에게 경고를 통지하기 위해 진동 출력(1142) 및/또는 가청 출력(1144)을 방출한다. 손목 제스처(1138b), 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요청으로서 가속도계에 의해 등록된 다른 이동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활성화시키고, 수신된 경고에 대응하는 시각적 통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시각적 통지는 애플리케이션 유형(1148)(예를 들어, 텍스트 메시지 아이콘) 및 경고와 연관된 정보(1150), 예컨대 정보의 제1 부분 또는 경고의 소스 이름(예를 들어, 텍스트 메시지의 송신자는 제이슨 존스라는 이름의 연락처임)의 표시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착신 경고에 대한 시각적 통지(1146)는, 경고를 수신한 이후 또는 진동 출력(1142) 및/또는 가청 출력(1144)을 방출한 이후 손목 제스처(1138b)가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 내에서 검출될 때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이 비활성 상태(1140)에 있고 정숙 모드가 오프인 도 11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출력(1142a) 및/또는 가청 출력(1144a)을 방출한 이후에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이 경과한 이후 손목 제스처(1138c)가 수신된다. 그 경우, 손목 제스처(1138c)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활성화시키고, 현재 시간 및 판독되지 않은 통지(들) 아이콘 또는 표시자(1152)(예를 들어, 원 또는 도트)를 나타내는 홈 스크린(1128b)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11k는, 정숙 모드가 활성인 동안,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에 대한 무음 모드 및 정숙 모드 둘 모두가 온이므로, 디바이스(500)가 착신 경고들 및 손목 제스처들에 응답하여 가청 또는 시각적 출력들을 출력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초기에,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은 오프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비활성 상태(1140)에 있다. 장치(500)는, 정숙 모드가 무음 모드의 활성화를 포함하므로, 가청 출력이 무음화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방출되지 않는 동안 경고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진동 출력(1142b)을 방출한다. 그 후에, 디바이스(500)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의 활성화를 야기하는 손목 제스처(1138d) 또는 다른 입력을 가속도계에서 검출한다. 그러나, 활성인 정숙 모드는, 손목 제스처(1138d)가 디바이스(500)에 의해 무시되게 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이 비활성 상태(1140)로 유지되게 한다.
위의 도 11i 내지 도 11k에서 예시된 정숙 모드의 예들이 변형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경고들에 대응하는 진동 출력이 정숙 모드 동안 방출될 수 있지만, 일부 예들에서, 정숙 모드가 활성일 때, 어떠한 인지적 출력(예를 들어, 가청, 시각적, 진동과 같은 촉각적)이 전혀 방출되지 않는다. 다른 예에서, 디바이스가 정숙 모드에 있고 경고에 대응하는 진동 출력이 방출되는 동안, 디바이스(500)가 정숙 모드에 있는 동안 손목 제스처가 진동 출력 이후의 즉각적인 시간 간격 내에서 수신되는 경우, 디바이스(500)는, 디바이스(500)를 정숙 모드로 유지하면서, 그 즉각적인 시간 간격 동안 손목 제스처를 무시하는 것을 잠시 보류하고, 경고에 대응하는 시각적 통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켠다.
도 11l 내지 도 11q는, 정숙 모드가 활성인 동안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활성화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오프 상태로부터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켜는 다양한 사용자 입력들, 예컨대 디바이스(500)의 가속도계에서 검출되는 손목 제스처들이 아닌 물리적 입력들을 예시한다. 아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리적 입력들은 디바이스의 표면 상에서 수신된 입력들, 예컨대,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예를 들어, 탭 또는 힘 누르기(force press)), 하우징, 전원 버튼과 같은 버튼의 누르기, 및/또는 디바이스(500)의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활성화시키는 것은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의 밝기 레벨을 미리 결정된/최대 밝기 레벨로 증가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켜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물리적 입력들은 정숙 모드가 활성인지 비활성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비활성 상태(1140)로부터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활성화시킨다.
예를 들어, 도 11l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500)는 정숙 모드에 있고(예를 들어, 정숙 모드가 활성임),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은 초기에 비활성 상태(1140)에 있다. 디바이스(500)의 표면 상의 터치 입력, 예컨대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스크린(504) 상의 탭 제스처(1154)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50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켜고 정숙 모드가 활성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정숙 모드 아이콘(1126) 및 현재 시간을 포함하는 홈 스크린(1128c)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활성화시킨다. 홈 스크린(1128c) 상의 다른 아이콘들, 예컨대, 체크마크 아이콘(1130), 온도 아이콘(1132), 및 디바이스(500)에 판독되지 않은 경고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판독되지 않은 통지 아이콘(1152)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스처(1154)와 유사한 탭 제스처들은 정숙 모드가 오프 또는 비활성일 때 유사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활성화시키며, 그에 의해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의 활성화는 정숙 모드가 비활성일 때 정숙 모드 아이콘(1126)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지 않을 것으로 고려된다.
도 11m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500)는 정숙 모드로 동작하고 있고,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은 초기에 비활성 상태(1140)에 있다. 디바이스(500)는 경고를 수신하고, 진동 출력(1142c)을 방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가청 출력들은 정숙 모드와 함께 무음 모드의 자동 활성화에 따라 무음화된다. 진동 출력(1142c)의 방출 이후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 내에서 탭 제스처(1154a)와 같은 사용자 입력이 디스플레이 스크린(504) 상에서 검출될 때,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은 시각적 통지(1146)를 활성화시키고 디스플레이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기간 동안 시각적 통지(1146)를 디스플레이한 이후, 디바이스(500)는,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유형 아이콘(1148)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고 경고와 연관된 추가적인 정보(예를 들어, 제이슨 존스로부터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통지의 제2 부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자동으로 전환한다. 여전히, 도 11n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부 경우들에서, 진동 출력(1142d)을 방출한 이후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의 경과 이후에 탭 제스처(1154b)가 비활성 디스플레이 스크린(504) 상에서 검출될 때,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은, 정숙 모드 아이콘(1126)과 함께 판독되지 않은 통지 표시자(1152)를 포함하는 홈 스크린(1128c)을 활성화시키고 디스플레이한다.
이제 도 11o 내지 도 11p를 참조하면, 일부 예들에서, 전자 디바이스(500)는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506) 및/또는 누름가능 버튼(508)(예를 들어, 전원 온/오프 버튼)과 같은 하드웨어 버튼을 포함하고, 물리적 입력은, 사용자가 하드웨어 버튼을 가압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누르는 것을 포함하며, 이는 디바이스(500)가 정숙 모드에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활성화시킨다. 예를 들어, 도 11o는,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이 비활성 상태(1140)에 있고 정숙 모드가 온인 동안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506)의 누르기(1156)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이 활성화되고 홈 스크린(1128c)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예시한다. 디바이스(500)가 정숙 모드에 있으므로, 홈 스크린(1128c)은 정숙 모드 아이콘(1126)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도 11p는,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이 비활성 상태에 있고 정숙 모드가 온인 동안 누름가능 버튼(508)의 누르기(1156a)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이 활성화되고 홈 스크린(1128c)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도시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은 디바이스(500)가 정숙 모드에 있는지 또는 정숙 모드로 동작하고 있지 않은지 여부에 관계없이 어느 하나의 하드웨어 버튼의 누르기에 응답하여 최대 또는 그렇지 않으면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로 켜지는 것으로 고려된다.
이제 도 11q를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500)는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506)을 포함하고, 물리적 입력은, 정숙 모드 동작 동안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점진적으로 켜는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506)의 회전(1158)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500)는 도 6a 내지 도 6j에 대해 위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504)의 회전의 회전 속도에 따라 변하는 레이트로 미리 결정된(예를 들어, 최대) 밝기 레벨을 향해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활성화시킨다.
도 11q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500)는 초기에 비활성 상태(1140)에 있고, 홈 스크린(1128c)에서 최대 밝기 레벨로 홈 스크린(1128d)을 페이딩 인 뷰(fading into view)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점진적으로 켜며, 페이딩-인의 레이트는 회전가능 크라운(506)의 사용자의 회전들(1158, 1158a)의 회전 속력에 따라 변한다. 홈 스크린(1128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최대 밝기 레벨에서, 디바이스(500)는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506)에서 검출된 회전(1158b)에 대응하는 레이트로 홈 스크린(1128c)을 디밍된 홈 스크린(1128d)으로 점진적으로 끄거나 그렇지 않으면 페이딩-아웃할 수 있다. 페이딩된 홈 스크린(1128d) 동안의 추가적인 회전(1158c)은 어두운 디스플레이를 향해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알파 블렌딩을 통해 계속 점진적으로 어둡게 하며, 여기서,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은 비활성 상태(1140)에 진입한다. 뷰의 페이딩-인 및 페이딩-아웃을 위한 회전들은 도 6a 내지 도 6j에 대해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회전의 반대 방향들에 의해 정의된다. 일부 예들에서, 디스플레이된 홈 스크린(1128c)에 도달된 밝기 레벨은 최소 밝기 레벨(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오프 상태)을 향해 밝기 레벨을 감소시키기 전에 최대 밝기 레벨보다 작다. 추가로, 일부 예들에서, 디바이스(500)는, 어떠한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도 수신되지 않는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이 경과한 이후 자동으로 비활성 상태(1140)를 끄거나 그렇지 않으면 비활성 상태(1140)에 진입한다.
도 11q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밝은 홈 스크린(1128d) 및 완전히 밝은 홈 스크린(1128c)은, 페이딩된 정숙 모드 아이콘(1126a), 페이딩된 판독되지 않은 통지 아이콘(1152a), 페이딩된 체크마크 아이콘(1130a), 페이딩된 온도 아이콘(1132a), 및 페이딩된 현재 시간을 포함하는 유사하게 페이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포함한다. 도 6a 내지 도 6j에 대해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각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는 상이한 레이트들로 페이딩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시간은 아이콘들 또는 표시자들보다 더 신속하게 페이딩-인되거나, 또는 시간이 다른 아이콘들 또는 표시자들보다 더 느리게 유지 및 페이딩-아웃된다. 도 11q는 디바이스(500)가 정숙 모드에 있을 때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보여주지만, 위의 도 6a 내지 도 6j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506)의 회전이 또한 정숙 모드가 오프인 동안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다시 도 11e를 참조하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정숙 모드는 제어 패널(1100)을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언제든지 토글(toggle) 온 및 오프될 수 있다. 정숙 모드가 활성일 때, 제어 패널(1100)은, 정숙 모드 및 무음 모드가 활성이라는 것을 표시하도록 하이라이팅된 것으로서의 정숙 모드 어포던스(1110a) 및 무음 모드 어포던스(1106a)와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정숙 모드 어포던스(1110a) 상의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디바이스(500)는 정숙 모드를 엑시트하고(그에 따라, 또한 무음 모드를 엑시트함), 모드들이 오프 또는 비활성이라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어포던스들(1110, 1106)의 하이라이팅을 제거한다. 제어 패널(1100)은 제어 패널(1100) 상의 하향 스와이프(1136)에 의해 홈 스크린(1128)을 재개함으로써 디스플레이로부터 제거된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도 11a 내지 도 11q에 관하여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정숙 모드에 대한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방법(120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하드웨어 버튼들, 예컨대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및/또는 누름가능 버튼을 갖는 디바이스(예를 들어, 100, 300, 500)에서 수행된다. 방법(1200)의 일부 동작들은 선택적으로 조합되고, 일부 동작들의 순서들은 선택적으로 변경되며, 일부 동작들은 선택적으로 생략된다. 추가로, 위의 도 7 및 도 8에서 그리고 아래의 도 12a 내지 도 12c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은 선택적으로 조합 및/또는 상호교환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의 방법(120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선택적으로, 전자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도 11g의 손목 제스처(1138), 도 11h의 손목 제스처(1138a), 도 11i의 손목 제스처(1138b), 도 11j의 손목 제스처(1138c), 도 11k의 손목 제스처(1138d))을 수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가속도계(예를 들어, 도 1a의 가속도계(168)에 의해 등록된다(1202). 도 12c의 방법(120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선택적으로, 정숙 모드가 활성인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다는 결정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비활성 상태(예를 들어, 도 11h의 비활성 상태(1140))로 유지할 수 있다(1204). 디바이스는 선택적으로, 정숙 모드가 비활성인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다는 결정에 따라,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도 11g의 손목 제스처(1138))에 응답하여 비활성 상태로부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1206)(예를 들어, 도 11g에서 홈 스크린(1128)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스크린(504)을 활성화시킴). 디바이스는 선택적으로 전자 디바이스에서 경고를 수신할 수 있다(1208)(예를 들어, 도 11i 내지 도 11k). 디바이스는 선택적으로, 정숙 모드가 활성인 동안 경고가 수신된다는 결정에 따라(예를 들어, 도 11k), 경고에 대응하는 가청 통지의 출력을 보류할 수 있다(1210). 디바이스는 선택적으로, 정숙 모드가 비활성인 동안 경고가 수신된다는 결정에 따라, 가청 통지(예를 들어, 도 11i의 가청 출력(1114), 도 11j의 가청 출력(1114a))를 출력할 수 있다(1212).
도 12a의 방법(120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선택적으로, 정숙 모드가 활성인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고 사용자 입력이 전자 디바이스의 표면(예를 들어, 도 11l 내지 도 11n의 디스플레이 스크린(504), 도 11o 및 도 11q의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506), 도 11p의 누름가능 버튼(508)) 상의 물리적 입력(예를 들어, 도 11l의 탭 입력(1154), 도 11m의 탭 입력(1154a), 도 11n의 탭 입력(1154b), 도 11o의 누르기(1156), 도 11p의 누르기(1156a), 도 11q의 회전(1158))이라는 결정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비활성 상태로부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1214)(예를 들어, 도 11l 내지 도 11q).
디바이스에서, 물리적 입력은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예를 들어, 도 11l의 탭 입력(1154), 도 11m의 탭 입력(1154a), 도 11n의 탭 입력(1154b))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활성화시키는 것은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켜는 것을 포함한다(1216).
디바이스는 선택적으로 하드웨어 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물리적 입력은 선택적으로 하드웨어 버튼의 누르기(예를 들어, 도 11o의 누르기(1156), 도 11p의 누르기(1156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로 여기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활성화시키는 것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켜는 것을 포함한다(1218).
디바이스는 선택적으로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고, 물리적 입력은 선택적으로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예를 들어, 도 11q의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506)의 회전(1158))을 포함할 수 있다(1220).
디바이스는 선택적으로,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예를 들어, 도 11q의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506)의 회전들(1158, 1158a)의 회전 속도에 따라 변하는 레이트로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을 향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1222).
디바이스는 선택적으로, 정숙 모드가 활성인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다는 결정에 따라, 정숙 모드를 활성으로 유지할 수 있다(1224)(예를 들어, 도 11h, 도 11k 및 도 11l 내지 도 11q).
도 12b에서 계속되는 방법(120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선택적으로, 비활성 상태로부터 정숙 모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사용자 요청(예를 들어, 도 11e의 탭(1134), 도 11f의 탭(1134b))을 수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정숙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것은 전자 디바이스에서 무음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예를 들어, 도 11b 및 도 11e의 활성화된 무음 모드 어포던스(1106a))(1226).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요청은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제어 패널(예를 들어, 도 11e 및 도 11f의 제어 패널(1100))의 정숙 모드 어포던스(예를 들어, 도 11e 및 도 11f의 정숙 모드 어포던스(1110)) 상의 터치 입력(예를 들어, 도 11e의 탭(1134), 도 11f의 탭(1134b))을 포함할 수 있다(1228).
디바이스는 선택적으로, 정숙 모드 어포던스 상의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제어 패널 상에 디스플레이된 정숙 모드 어포던스 및 무음 모드 어포던스의 디스플레이를 하이라이팅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11b 및 도 11e의 하이라이팅된 정숙 모드 어포던스(1110a) 및 무음 모드 어포던스(1106a))(1230).
디바이스는 선택적으로, 정숙 모드를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제2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며 - 제2 사용자 요청은 하이라이팅된 정숙 모드 어포던스 상의 제2 터치 입력(예를 들어, 도 11e의 하이라이팅된 정숙 모드 어포던스(1110a) 상의 탭(1134a))을 포함함 -; 제2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활성 상태로부터 비활성 상태로 정숙 모드 및 무음 모드를 비활성화시키고, 디스플레이된 정숙 모드 어포던스 및 무음 모드 어포던스의 하이라이팅을 제거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11e의 비하이라이팅된 정숙 모드 어포던스(1110) 및 무음 모드 어포던스(1106))(1232).
디바이스는 선택적으로, 정숙 모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명령어들(예를 들어, 도 11e 및 도 11f의 명령어들(1124)), 확인 어포던스(예를 들어, 도 11e 및 도 11f의 확인 어포던스(1120)), 및 취소 어포던스(예를 들어, 도 11e 및 도 11f의 취소 어포던스(1122))를 갖는 명령어 스크린(예를 들어, 도 11e 및 도 11f의 명령어 스크린(1118))을 디스플레이하고; 확인 어포던스가 선택된다는 결정에 따라, 명령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제거하고 정숙 모드를 활성화시키며(예를 들어, 도 11e); 취소 어포던스가 선택된다는 결정에 따라, 명령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제거하고 정숙 모드의 활성화를 보류할 수 있다(1234)(예를 들어, 도 11f).
도 12c에서 계속되는 방법(120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선택적으로, 정숙 모드가 활성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정숙 모드 아이콘(예를 들어, 도 11d, 도 11e, 도 11l 내지 도 11q의 정숙 모드 아이콘(1126))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1236).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입력 및 경고는 선택적으로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동시에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1238)(예를 들어, 도 11h 내지 도 11q).
방법(1200)(예를 들어, 도 12a 내지 도 12c)에 대해 위에서 설명된 프로세스들의 세부사항들은 또한 위의 도 7 및 도 8에서 설명된 방법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가능하다는 것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방법(1200)은 선택적으로 방법(700) 및 방법(800)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다양한 방법들의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의 특성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방법(1200)은, 디바이스가 선택적으로,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는 것(704)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방법(1200)은, 디바이스가 선택적으로,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는 것 - 제1 입력은 밝기 구성 세션을 개시함 - (802)을 포함할 수 있다. 간결성을 위해, 이들 세부사항들은 반복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3은 다양한 설명된 실시예들의 원리들에 따라 구성된 전자 디바이스(1300)의 예시적인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1300)의 기능 블록들은 위에서 설명된 기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디바이스(1300)의 기능 블록들은 선택적으로, 다양한 설명된 예들의 원리들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된다. 다양한 설명된 예들의 원리들을 구현하기 위해 도 13에서 설명된 기능 블록들이 선택적으로 조합되거나 서브블록들로 분리된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해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설명은 선택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 블록들의 임의의 가능한 조합 또는 분리 또는 추가적인 정의를 지원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30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1302), 선택적으로, 터치 접촉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터치 감응형 표면 유닛(1304), 디바이스(1300)의 이동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가속도계 유닛(1306),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1302), 가속도계 유닛(1306), 및 선택적으로 터치 감응형 표면 유닛(1304),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1308), 및/또는 누름가능 버튼 유닛(1310)에 커플링된 프로세싱 유닛(1312)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유닛(1312)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1302), 터치 감응형 표면 유닛(1304), 하드웨어 버튼 유닛(1311),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1308), 및/또는 누름가능 버튼 유닛(1310)을 포함할 수 있는 표면 유닛(1309)에 추가로 커플링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312)은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1308) 및/또는 누름가능 버튼 유닛(1310)을 포함할 수 있는 하드웨어 버튼 유닛(1311)에 추가로 커플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유닛(1312)은 수신 유닛(1314), 유지 유닛(1316), 활성화 유닛(1318), 출력 유닛(1320), 조정 유닛(1322), 정숙 모드 설정 유닛(1324), 디스플레잉 유닛(1326) 및 결정 유닛(1328)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유닛(1312)은: (예를 들어, 수신 유닛(1314)을 이용하여) 전자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 사용자 입력은 가속도계 유닛(1306)에 의해 등록됨 -; 정숙 모드가 활성인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다는 결정에 따라, (예를 들어, 유지 유닛(1316)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1302)을 비활성 상태로 유지하고; 정숙 모드가 비활성인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다는 결정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예를 들어, 활성화 유닛(1318)을 이용하여) 비활성 상태로부터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1302)을 활성화시키고; (예를 들어, 수신 유닛(1314)을 이용하여) 전자 디바이스(1300)에서 경고를 수신하고; 정숙 모드가 활성인 동안 경고가 수신된다는 결정에 따라, (예를 들어, 출력 유닛(1320)을 이용하여) 경고에 대응하는 가청 통지의 출력을 보류하며; 정숙 모드가 비활성인 동안 경고가 수신된다는 결정에 따라, (예를 들어, 출력 유닛(1320)을 이용하여) 가청 통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유닛(1312)은, 정숙 모드가 활성인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고 사용자 입력이 전자 디바이스(1300)의 표면 유닛(1309) 상의 물리적 입력이라는 결정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예를 들어, 활성화 유닛(1318)을 이용하여) 비활성 상태로부터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1302)을 활성화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물리적 입력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1302) 상의 터치 입력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활성화 유닛(1318)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1302)을 활성화시키는 것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1302)을 켜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자 디바이스(1300)는 하드웨어 버튼 유닛(1311)을 포함하고, 물리적 입력은 하드웨어 버튼 유닛(1311)의 누르기를 포함하며, 추가로, (예를 들어, 활성화 유닛(1318)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1302)을 활성화시키는 것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1302)을 켜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자 디바이스(1300)는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1308)을 포함하고, 물리적 입력은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1308)의 회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유닛(1312)은,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1308)의 회전의 회전 속도에 따라 변하는 레이트로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을 향해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의 밝기 레벨을 (예를 들어, 조정 유닛(1322)을 이용하여) 증가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활성화 유닛(1318)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을 활성화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유닛(1312)은, 정숙 모드가 활성인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다는 결정에 따라, (예를 들어, 유지 유닛(1316)을 이용하여) 정숙 모드를 활성으로 유지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입력 및 경고는 전자 디바이스(1300)에 의해 동시에 (예를 들어, 수신 유닛(1314)을 이용하여) 수신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유닛(1312)은, 비활성 상태로부터 정숙 모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사용자 요청을 (예를 들어, 수신 유닛(1314)을 이용하여) 수신하도록 구성된 정숙 모드 설정 유닛으로 추가로 구성되며, 여기서, (예를 들어, 정숙 모드 설정 유닛(1324)을 이용하여) 정숙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것은 전자 디바이스(1300)에서 무음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요청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 상에 (예를 들어, 디스플레잉 유닛(1326)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된 제어 패널의 정숙 모드 어포던스 상의 터치 입력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유닛(1312)은, 정숙 모드 어포던스 상의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1302) 상의 제어 패널 상에 (예를 들어, 디스플레잉 유닛(1326)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된 정숙 모드 어포던스 및 무음 모드 어포던스의 (예를 들어, 디스플레잉 유닛(1326)을 이용한) 디스플레이를 하이라이팅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유닛(1312)은, 정숙 모드를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제2 사용자 요청을 (예를 들어, 수신 유닛(1314)을 이용하여) 수신하며 - 제2 사용자 요청은 하이라이팅된 정숙 모드 어포던스 상의 제2 터치 입력을 포함함 -; 제2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예를 들어, 정숙 모드 설정 유닛(1324)을 이용하여) 활성 상태로부터 비활성 상태로 정숙 모드 및 무음 모드를 비활성화시키고, 디스플레이된 정숙 모드 어포던스 및 무음 모드 어포던스의 (예를 들어, 디스플레잉 유닛(1326)을 이용한) 하이라이팅을 제거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유닛(1312)은, 정숙 모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명령어들, 확인 어포던스, 및 취소 어포던스를 갖는 명령어 스크린을 (예를 들어, 디스플레잉 유닛(1326)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하고; 확인 어포던스가 선택된다는 결정에 따라, (예를 들어, 디스플레잉 유닛(1326)을 이용한) 명령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제거하고 (예를 들어, 정숙 모드 설정 유닛(1324)을 이용하여) 정숙 모드를 활성화시키며; 취소 어포던스가 선택된다는 결정에 따라, 명령어 스크린의 (예를 들어, 디스플레잉 유닛(1326)을 이용한) 디스플레이를 제거하고 (예를 들어, 정숙 모드 설정 유닛(1324)을 이용한) 정숙 모드의 활성화를 보류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활성화 유닛(1318)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1302)을 활성화시키는 것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잉 유닛(1326)을 이용하여) 정숙 모드가 활성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정숙 모드 아이콘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유닛(1312)은 다음 중 임의의 것을 (예를 들어, 결정 유닛(1328)을 이용하여)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정숙 모드가 활성인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다는 것, 정숙 모드가 비활성인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다는 것, 정숙 모드가 활성인 동안 경고가 수신된다는 것, 정숙 모드가 비활성인 동안 경고가 수신된다는 것, 정숙 모드가 활성인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고 사용자 입력이 전자 디바이스(1300)의 표면 유닛(1309) 상의 물리적 입력이라는 것, 정숙 모드가 활성인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다는 것, 확인 어포던스가 선택된다는 것, 및/또는 취소 어포던스가 선택된다는 것.
예시적인 방법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전자 디바이스들이 다음의 항목 1 내지 항목 108에서 기재된다:
[항목 1] 방법으로서,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에서: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킨다는 결정에 따라 -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이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 미만일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함 -,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을 보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2] 항목 1에 있어서,
제1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항목 3] 항목 1 또는 항목 2에 있어서,
추가로,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초기에 오프될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하는, 방법.
[항목 4] 항목 1 내지 항목 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추가로,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는, 밝기 조정 모드가 온일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하는, 방법.
[항목 5] 항목 1 내지 항목 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 이외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항목 6] 항목 1 내지 항목 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킨다는 결정에 따라, 밝기 구성 세션에 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항목 7] 항목 6에 있어서,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킨다는 결정에 따라:
밝기 구성 세션 동안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청으로서 제1 입력에 기초하여 제1 회전 방향을 정의하는 단계, 및
밝기 구성 세션 동안 밝기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한 요청으로서 제1 회전 방향과 반대인 제2 회전 방향을 정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항목 8] 항목 7에 있어서,
제1 입력을 수신한 이후:
제1 회전 방향과 반대인 제2 회전 방향을 갖는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2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밝기 구성 세션을 유지하면서 밝기 레벨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항목 9] 항목 6 내지 항목 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입력을 수신한 이후 임계 시간 기간의 경과 시에, 밝기 구성 세션을 엑시트(exit)하는 단계;
밝기 구성 세션을 엑시트한 이후, 제1 방향과 반대인 제3 방향으로의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3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3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킨다는 결정에 따라,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고 새로운 밝기 구성 세션에 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항목 10] 항목 9에 있어서,
새로운 밝기 구성 세션에 있는 동안, 제3 회전 방향과 반대인 제4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4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4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후속 밝기 구성 세션을 유지하면서 밝기 레벨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항목 11] 항목 1 내지 항목 1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추가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는 단계는 회전 입력의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가변 레이트로 밝기 레벨을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12] 항목 1 내지 항목 1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마스킹 층과 알파 블렌딩(alpha blend)함으로써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마스킹 층에서는 교대로,
최대 밝기 레벨을 향해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도록 투명도가 증가하고;
최소 밝기 레벨을 향해 밝기 레벨을 감소시키도록 투명도가 감소하는, 방법.
[항목 13] 항목 12에 있어서,
추가로, 최대 밝기 레벨이 충족된다는 결정에 따라, 알파 블렌딩을 중단하고, 마스킹 층을 제거하는, 방법.
[항목 14] 항목 1 내지 항목 1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5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에서 검출된 제5 입력의 회전 속도가 단위 시간당 임계 회전 속도를 초과한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에 따라,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을 향해 밝기 레벨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항목 15] 항목 1 내지 항목 1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보다 낮은 밝기 레벨에 있는 동안, 제1 입력을 수신한 이후 일정 기간 내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는 단계; 및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을 향해 밝기 레벨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항목 16] 항목 1 내지 항목 1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임계 레벨에 도달할 시에 최대 또는 최소 밝기 레벨을 충족시키도록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을 자동으로 완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항목 17] 항목 1 내지 항목 1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적어도 제1 디스플레이된 요소 및 제2 디스플레이된 요소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제1 디스플레이된 요소의 밝기 레벨은 제2 디스플레이된 요소의 밝기 레벨과는 상이한 레이트로 조정되고,
추가로, 제1 디스플레이된 요소 및 제2 디스플레이된 요소의 밝기 레벨들은 동시에 조정되는, 방법.
[항목 18] 방법으로서,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에서: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 제1 입력은 밝기 구성 세션을 개시함 -;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동안: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
엑시트 구성(exit configuration)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된다는 결정에 따라 -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이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 초과일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함 -:
밝기 구성 세션을 종료하는 단계, 및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회전에 응답하여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을 중단하는 단계; 및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되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밝기 구성 세션을 유지하는 단계, 및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계속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19] 항목 18에 있어서,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동안,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항목 20] 항목 18 또는 항목 19에 있어서,
추가로,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는, 밝기 레벨이 임계 밝기 레벨을 충족시킬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하는, 방법.
[항목 21] 항목 18 내지 항목 2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추가로, 임계 밝기 레벨은 최대 밝기 레벨에 대응하며,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에서 검출된 추가적인 회전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항목 22] 항목 18 내지 항목 2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추가로, 임계 밝기 레벨은 최소 밝기 레벨에 대응하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고, 제1 입력에서의 회전가능 요소의 계속된 회전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변경하지 않는, 방법.
[항목 23] 항목 18 내지 항목 2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추가로,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는,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 이외의 기능에 대한 사용자 요청이 수신될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하는, 방법.
[항목 24] 항목 23에 있어서,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 이외의 기능에 대한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밝기 레벨을 최대 밝기 레벨로 자동으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항목 25] 항목 23에 있어서,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 이외의 기능에 대한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전자 디바이스와의 추가적인 사용자 상호작용이 검출되는 동안, 밝기 레벨을 조정된 밝기 레벨로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항목 26] 항목 23에 있어서,
추가로, 기능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끄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항목 27] 항목 26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켜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끄기 전에 검출된 밝기 레벨로 재개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켜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항목 28] 항목 18 내지 항목 2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추가로,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는, 사용자가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을 최소 회전 속도 미만으로 회전시킬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하는, 방법.
[항목 29] 항목 18 내지 항목 2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추가로,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는, 어떠한 사용자 입력도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 검출되지 않을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하는, 방법.
[항목 30] 항목 29에 있어서,
어떠한 사용자 입력도 검출되지 않는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의 경과 이후,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최소 밝기 레벨로 자동으로 감소시키는 단계;
밝기 레벨을 자동으로 감소시키는 동안 제2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제2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의 경과 이전에 검출된 원래의 밝기 레벨로 재개하도록 밝기 레벨을 자동으로 증가시키는 단계; 및
밝기 구성 세션에 재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항목 31] 항목 18 내지 항목 3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 지연 기간을 개시하는 단계;
지연 기간 동안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후속 회전에 대응하는 후속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및
후속 사용자 입력에 따라 밝기 레벨을 조정하고 밝기 구성 세션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항목 32] 전자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킨다는 결정에 따라 -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이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 미만일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함 -,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며; 그리고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을 보류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33] 전자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고 - 제1 입력은 밝기 구성 세션을 개시함 -;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동안: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고;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된다는 결정에 따라 -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이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 초과일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함 -:
밝기 구성 세션을 종료하고, 그리고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회전에 응답하여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을 중단하며; 그리고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되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밝기 구성 세션을 유지하고, 그리고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계속 조정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34]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 디바이스로 하여금: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게 하고;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킨다는 결정에 따라 -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이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 미만일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함 -,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게 하며; 그리고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을 보류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항목 35]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 디바이스로 하여금: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게 하고 - 제1 입력은 밝기 구성 세션을 개시함 -;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동안: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게 하고;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된다는 결정에 따라 -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이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 초과일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함 -:
밝기 구성 세션을 종료하게 하고, 그리고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회전에 응답하여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을 중단하게 하며; 그리고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되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밝기 구성 세션을 유지하게 하고, 그리고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계속 조정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항목 36] 전자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킨다는 결정에 따라 -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이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 미만일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함 -,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 및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을 보류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37] 전자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제1 입력은 밝기 구성 세션을 개시함 -;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동안: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된다는 결정에 따라 -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이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 초과일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함 -:
밝기 구성 세션을 종료하고, 그리고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회전에 응답하여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을 중단하기 위한 수단; 및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되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밝기 구성 세션을 유지하고, 그리고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계속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38] 전자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항목 1 내지 항목 17 중 어느 한 항목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39] 전자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항목 18 내지 항목 31 중 어느 한 항목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40]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전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디바이스로 하여금, 항목 1 내지 항목 17 중 어느 한 항목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항목 41]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전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디바이스로 하여금, 항목 18 내지 항목 31 중 어느 한 항목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항목 42] 전자 디바이스로서,
항목 1 내지 항목 17 중 어느 한 항목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43] 전자 디바이스로서,
항목 18 내지 항목 31 중 어느 한 항목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44] 전자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 및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에 커플링된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고,
프로세싱 유닛은: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조정 유닛을 포함하며,
조정 유닛은: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킨다는 결정에 따라 -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이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 미만일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함 -,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며; 그리고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을 보류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45] 항목 44에 있어서,
프로세싱 유닛은:
제1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46] 항목 44 또는 항목 45에 있어서,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이 초기에 오프될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47] 항목 44 내지 항목 4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추가로,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는, 밝기 조정 모드가 온일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48] 항목 44 내지 항목 4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프로세싱 유닛은: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 이외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수행 유닛을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49] 항목 44 내지 항목 4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프로세싱 유닛은: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킨다는 결정에 따라, 밝기 구성 세션에 진입하도록 구성된 세션 구성 유닛을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50] 항목 49에 있어서,
프로세싱 유닛은:
제1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킨다는 결정에 따라:
밝기 구성 세션 동안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청으로서 제1 입력에 기초하여 제1 회전 방향을 정의하고, 그리고
밝기 구성 세션 동안 밝기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한 요청으로서 제1 회전 방향과 반대인 제2 회전 방향을 정의하도록
구성된 정의 유닛을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51] 항목 50에 있어서,
수신 유닛은, 제1 입력을 수신한 이후, 제1 회전 방향과 반대인 제2 회전 방향을 갖는 제2 입력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조정 유닛은, 제1 입력을 수신한 이후, 제2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밝기 구성 세션을 유지하면서 밝기 레벨을 감소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52] 항목 49 내지 항목 5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세션 구성 유닛은, 제1 입력을 수신한 이후 임계 시간 기간의 경과 시에, 밝기 구성 세션을 엑시트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수신 유닛은, 밝기 구성 세션을 엑시트한 이후, 제1 방향과 반대인 제3 방향으로의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3 입력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조정 유닛은, 제3 입력이 밝기 조정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킨다는 결정에 따라,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고 새로운 밝기 구성 세션에 진입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53] 항목 52에 있어서,
수신 유닛은, 새로운 밝기 구성 세션에 있는 동안, 제3 회전 방향과 반대인 제4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4 입력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조정 유닛은, 제4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후속 밝기 구성 세션을 유지하면서 밝기 레벨을 감소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54] 항목 44 내지 항목 5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추가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은 회전 입력의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가변 레이트로 밝기 레벨을 변경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55] 항목 44 내지 항목 5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조정 유닛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마스킹 층과 알파 블렌딩함으로써 밝기 레벨을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마스킹 층에서는 교대로,
최대 밝기 레벨을 향해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도록 투명도가 증가하고;
최소 밝기 레벨을 향해 밝기 레벨을 감소시키도록 투명도가 감소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56] 항목 55에 있어서,
추가로, 최대 밝기 레벨이 충족된다는 결정에 따라, 알파 블렌딩을 중단하고, 마스킹 층을 제거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57] 항목 44 내지 항목 5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수신 유닛은,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5 입력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결정 유닛은,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에서 검출된 제5 입력의 회전 속도가 단위 시간당 임계 회전 속도를 초과한다고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조정 유닛은, 결정에 따라,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을 향해 밝기 레벨을 자동으로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58] 항목 44 내지 항목 5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검출 유닛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이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보다 낮은 밝기 레벨에 있는 동안, 제1 입력을 수신한 이후 일정 기간 내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 상의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조정 유닛은,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을 향해 밝기 레벨을 자동으로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59] 항목 44 내지 항목 5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조정 유닛은:
임계 레벨에 도달할 시에 최대 또는 최소 밝기 레벨을 충족시키도록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을 자동으로 완료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60] 항목 44 내지 항목 5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디스플레잉 유닛은:
적어도 제1 디스플레이된 요소 및 제2 디스플레이된 요소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제1 디스플레이된 요소의 밝기 레벨은 제2 디스플레이된 요소의 밝기 레벨과는 상이한 레이트로 조정되고,
추가로, 제1 디스플레이된 요소 및 제2 디스플레이된 요소의 밝기 레벨들은 동시에 조정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61] 전자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 및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에 커플링된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고,
프로세싱 유닛은: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제1 입력은 밝기 구성 세션을 개시함 -;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동안,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의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조정 유닛;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동안 그리고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된다는 결정에 따라 -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이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 초과일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함 -, 밝기 구성 세션을 종료하도록 구성된 세션 구성 유닛;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동안 그리고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된다는 결정에 따라,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의 추가적인 회전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구성된 조정 유닛을 포함하며;
세션 구성 유닛은,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되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밝기 구성 세션을 유지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조정 유닛은,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되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의 추가적인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의 밝기 레벨을 계속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62] 항목 61에 있어서,
프로세싱 유닛은: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동안,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가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63] 항목 61 또는 항목 62에 있어서,
추가로,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는, 밝기 레벨이 임계 밝기 레벨을 충족시킬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64] 항목 61 내지 항목 6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추가로, 임계 밝기 레벨은 최대 밝기 레벨에 대응하며,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에서 검출된 추가적인 회전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65] 항목 61 내지 항목 6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추가로, 임계 밝기 레벨은 최소 밝기 레벨에 대응하며,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은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고, 제1 입력에서의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의 계속된 회전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의 밝기 레벨을 변경하지 않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66] 항목 61 내지 항목 6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추가로,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는,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 이외의 기능에 대한 사용자 요청이 수신될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67] 항목 66에 있어서,
조정 유닛은: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 이외의 기능에 대한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밝기 레벨을 최대 밝기 레벨로 자동으로 증가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68] 항목 66에 있어서,
조정 유닛은:
밝기 레벨을 조정하는 것 이외의 기능에 대한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전자 디바이스와의 추가적인 사용자 상호작용이 검출되는 동안, 밝기 레벨을 조정된 밝기 레벨로 유지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69] 항목 66에 있어서,
추가로, 기능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을 끄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70] 항목 66에 있어서,
프로세싱 유닛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을 켜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 유닛을 더 포함하며;
조정 유닛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을 끄기 전에 검출된 밝기 레벨로 재개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을 켜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71] 항목 61 내지 항목 7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추가로,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는, 사용자가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을 최소 회전 속도 미만으로 회전시킬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72] 항목 61 내지 항목 7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추가로,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는, 어떠한 사용자 입력도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 검출되지 않을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73] 항목 72에 있어서,
조정 유닛은, 어떠한 사용자 입력도 검출되지 않는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의 경과 이후,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최소 밝기 레벨로 자동으로 감소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검출 유닛은, 밝기 레벨을 자동으로 감소시키는 동안 제2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조정 유닛은, 제2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의 경과 이전에 검출된 원래의 밝기 레벨로 재개하도록 밝기 레벨을 자동으로 증가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밝기 구성 세션에 재진입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74] 항목 61 내지 항목 7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프로세싱 유닛은:
엑시트 구성 기준들의 세트를 충족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 지연 기간을 개시하도록 구성된 지연 유닛을 더 포함하며;
검출 유닛은, 지연 기간 동안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의 후속 회전에 대응하는 후속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조정 유닛은, 후속 사용자 입력에 따라 밝기 레벨을 조정하고 밝기 구성 세션을 유지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75] 방법으로서,
가속도계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에서:
전자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 사용자 입력은 가속도계에 의해 등록됨 -;
정숙 모드가 활성인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다는 결정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비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
정숙 모드가 비활성인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다는 결정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비활성 상태로부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전자 디바이스에서 경고를 수신하는 단계;
정숙 모드가 활성인 동안 경고가 수신된다는 결정에 따라, 경고에 대응하는 가청 통지의 출력을 보류하는 단계; 및
정숙 모드가 비활성인 동안 경고가 수신된다는 결정에 따라, 가청 통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76] 항목 75에 있어서,
정숙 모드가 활성인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고 사용자 입력이 전자 디바이스의 표면 상의 물리적 입력이라는 결정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비활성 상태로부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항목 77] 항목 76에 있어서,
물리적 입력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켜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78] 항목 76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는 하드웨어 버튼을 포함하고, 물리적 입력은 하드웨어 버튼의 누르기를 포함하며,
추가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켜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79] 항목 76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는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물리적 입력은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을 포함하는, 방법.
[항목 80] 항목 79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의 회전 속도에 따라 변하는 레이트로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을 향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81] 항목 75 내지 항목 8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정숙 모드가 활성인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다는 결정에 따라, 정숙 모드를 활성으로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항목 82] 항목 75 내지 항목 8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 및 경고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동시에 수신되지 않는, 방법.
[항목 83] 항목 75에 있어서,
비활성 상태로부터 정숙 모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정숙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것은 전자 디바이스에서 무음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항목 84] 항목 83에 있어서,
사용자 요청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제어 패널의 정숙 모드 어포던스(affordance) 상의 터치 입력을 포함하는, 방법.
[항목 85] 항목 84에 있어서,
정숙 모드 어포던스 상의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제어 패널 상에 디스플레이된 정숙 모드 어포던스 및 무음 모드 어포던스의 디스플레이를 하이라이팅(highlight)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항목 86] 항목 85에 있어서,
정숙 모드를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제2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제2 사용자 요청은 하이라이팅된 정숙 모드 어포던스 상의 제2 터치 입력을 포함함 -; 및
제2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활성 상태로부터 비활성 상태로 정숙 모드 및 무음 모드를 비활성화시키고, 디스플레이된 정숙 모드 어포던스 및 무음 모드 어포던스의 하이라이팅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항목 87] 항목 83 내지 항목 8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정숙 모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명령어들, 확인 어포던스, 및 취소 어포던스를 갖는 명령어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확인 어포던스가 선택된다는 결정에 따라, 명령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제거하고 정숙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취소 어포던스가 선택된다는 결정에 따라, 명령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제거하고 정숙 모드의 활성화를 보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항목 88] 항목 75 내지 항목 8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정숙 모드가 활성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정숙 모드 아이콘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89] 전자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가속도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전자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 사용자 입력은 가속도계에 의해 등록됨 -;
정숙 모드가 활성인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다는 결정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비활성 상태로 유지하고;
정숙 모드가 비활성인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다는 결정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비활성 상태로부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활성화시키고;
전자 디바이스에서 경고를 수신하고;
정숙 모드가 활성인 동안 경고가 수신된다는 결정에 따라, 경고에 대응하는 가청 통지의 출력을 보류하며; 그리고
정숙 모드가 비활성인 동안 경고가 수신된다는 결정에 따라, 가청 통지를 출력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90]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 디바이스로 하여금:
전자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게 하고 - 사용자 입력은 가속도계에 의해 등록됨 -;
정숙 모드가 활성인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다는 결정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비활성 상태로 유지하게 하고;
정숙 모드가 비활성인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다는 결정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비활성 상태로부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활성화시키게 하고;
전자 디바이스에서 경고를 수신하게 하고;
정숙 모드가 활성인 동안 경고가 수신된다는 결정에 따라, 경고에 대응하는 가청 통지의 출력을 보류하게 하며; 그리고
정숙 모드가 비활성인 동안 경고가 수신된다는 결정에 따라, 가청 통지를 출력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항목 91] 전자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가속도계;
전자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사용자 입력은 가속도계에 의해 등록됨 -;
정숙 모드가 활성인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다는 결정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비활성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
정숙 모드가 비활성인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다는 결정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비활성 상태로부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수단;
전자 디바이스에서 경고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정숙 모드가 활성인 동안 경고가 수신된다는 결정에 따라, 경고에 대응하는 가청 통지의 출력을 보류하기 위한 수단; 및
정숙 모드가 비활성인 동안 경고가 수신된다는 결정에 따라, 가청 통지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92] 전자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가속도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항목 75 내지 항목 88 중 어느 한 항목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93]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전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디바이스로 하여금, 항목 75 내지 항목 88 중 어느 한 항목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항목 94] 전자 디바이스로서,
항목 75 내지 항목 88 중 어느 한 항목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95] 전자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
가속도계 유닛;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 및 가속도계 유닛에 커플링된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고,
프로세싱 유닛은:
전자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사용자 입력은 가속도계 유닛에 의해 등록됨 -;
정숙 모드가 활성인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다는 결정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을 비활성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된 유지 유닛;
정숙 모드가 비활성인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다는 결정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비활성 상태로부터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을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 활성화 유닛 -
수신 유닛은 전자 디바이스에서 경고를 수신하도록 구성됨 -;
정숙 모드가 활성인 동안 경고가 수신된다는 결정에 따라, 경고에 대응하는 가청 통지의 출력을 보류하도록 구성된 출력 유닛을 포함하며;
출력 유닛은, 정숙 모드가 비활성인 동안 경고가 수신된다는 결정에 따라, 가청 통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96] 항목 95에 있어서,
활성화 유닛은:
정숙 모드가 활성인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고 사용자 입력이 전자 디바이스의 표면 유닛 상의 물리적 입력이라는 결정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비활성 상태로부터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을 활성화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97] 항목 96에 있어서,
물리적 입력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 상의 터치 입력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을 활성화시키는 것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을 켜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98] 항목 96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는 하드웨어 버튼 유닛을 포함하고, 물리적 입력은 하드웨어 버튼 유닛의 누르기를 포함하며,
추가로,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을 활성화시키는 것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을 켜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99] 항목 96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는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을 포함하고,
물리적 입력은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의 회전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100] 항목 99에 있어서,
프로세싱 유닛은 조정 유닛을 더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을 활성화시키는 것은,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유닛의 회전의 회전 속도에 따라 변하는 레이트로 미리 결정된 밝기 레벨을 향해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의 밝기 레벨을 조정 유닛에 의해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101] 항목 95 내지 항목 10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지 유닛은:
정숙 모드가 활성인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다는 결정에 따라, 정숙 모드를 활성으로 유지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102] 항목 95 내지 항목 10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 및 경고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동시에 수신되지 않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103] 항목 95에 있어서,
프로세싱 유닛은:
비활성 상태로부터 정숙 모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정숙 모드 설정 유닛을 더 포함하며,
정숙 모드 설정 유닛에 의해 정숙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것은 전자 디바이스에서 무음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104] 항목 103에 있어서,
사용자 요청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된 제어 패널의 정숙 모드 어포던스 상의 터치 입력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105] 항목 104에 있어서,
프로세싱 유닛은:
정숙 모드 어포던스 상의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 상의 제어 패널 상에 디스플레이된 정숙 모드 어포던스 및 무음 모드 어포던스의 디스플레이를 하이라이팅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잉 유닛을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106] 항목 105에 있어서,
정숙 모드 설정 유닛은:
정숙 모드를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제2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며 - 제2 사용자 요청은 하이라이팅된 정숙 모드 어포던스 상의 제2 터치 입력을 포함함 -; 그리고
제2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활성 상태로부터 비활성 상태로 정숙 모드 및 무음 모드를 비활성화시키고, 디스플레이된 정숙 모드 어포던스 및 무음 모드 어포던스의 하이라이팅을 디스플레잉 유닛에 의해 제거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107] 항목 103 내지 항목 10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프로세싱 유닛은:
정숙 모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명령어들, 확인 어포던스, 및 취소 어포던스를 갖는 명령어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고;
확인 어포던스가 선택된다는 결정에 따라, 명령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제거하고 정숙 모드를 활성화시키며; 그리고
취소 어포던스가 선택된다는 결정에 따라, 명령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제거하고 정숙 모드의 활성화를 보류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잉 유닛을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항목 108] 항목 95 내지 항목 10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활성화 유닛에 의해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닛을 활성화시키는 것은, 디스플레잉 유닛에 의해, 정숙 모드가 활성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정숙 모드 아이콘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전술한 설명은, 설명의 목적을 위해,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위의 예시적인 논의들은 본 발명을 개시된 정확한 형태들로 규명하거나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많은 수정들 및 변형들이 상기 교시 내용들의 관점에서 가능하다. 실시예들은 기법들의 원리들 및 그것들의 실제적인 응용예들을 가장 잘 설명하기 위하여 선택되고 설명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고려된 특정 사용에 적합한 바와 같이 다양한 수정을 이용하여 기법들 및 다양한 실시예들을 최상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개시내용 및 예들이 첨부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충분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명백할 것이라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한 변경들 및 수정들은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개시내용 및 예들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5)

  1. 방법으로서,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에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동안, 상기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을 포함하는 제1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이 제1 양만큼의 상기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을 포함한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밝기 레벨을 제1 밝기 레벨로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입력이 상기 제1 양보다 큰 제2 양만큼의 상기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을 포함한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밝기 레벨을 상기 제1 밝기 레벨보다 밝은 제2 밝기 레벨로 증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밝기 레벨을 제2 밝기 레벨로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1 밝기 레벨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1 밝기 레벨에서 디스플레이한 이후,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2 밝기 레벨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2 밝기 레벨로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상기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을 포함하는 제2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밝기 레벨을 상기 제2 밝기 레벨에서 상기 제2 밝기 레벨보다 밝은 제3 밝기 레벨로 증가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은 상기 제1 입력의 연속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은 제1 시간에 검출되고, 상기 제1 시간에,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비활성 상태가 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밝기 레벨을 제1 밝기 레벨로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입력의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밝기 레벨을 상기 제1 밝기 레벨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밝기 레벨을 제2 밝기 레벨로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입력의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밝기 레벨을 상기 제2 밝기 레벨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밝기 레벨을 제1 밝기 레벨로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마스킹 층과 알파 블렌딩(alpha blend)함으로써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밝기 레벨을 제2 밝기 레벨로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마스킹 층과 알파 블렌딩함으로써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 상기 마스킹 층에서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키도록 투명도가 증가함 -,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은 제1 방향으로의 상기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에 대응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2 밝기 레벨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상기 제1 방향과는 상이한 제2 방향으로의 상기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을 포함하는 제2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밝기 레벨을 상기 제2 밝기 레벨에서 상기 제2 밝기 레벨보다 어두운 제3 밝기 레벨로 감소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3 밝기 레벨로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상기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을 포함하는 제3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중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밝기 레벨을 상기 제2 밝기 레벨에서 상기 제3 밝기 레벨로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 입력의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밝기 레벨을 상기 제2 밝기 레벨에서 상기 제3 밝기 레벨로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밝기 레벨을 상기 제2 밝기 레벨에서 상기 제3 밝기 레벨로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마스킹 층과 알파 블렌딩함으로써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밝기 레벨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킹 층에서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밝기 레벨을 감소시키도록 투명도가 감소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입력의 회전 속도가 임계 회전 속도를 충족시킨다는 결정에 따라 수행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동안, 상기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의 회전을 포함하는 제2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입력의 회전 속도가 임계 회전 속도를 충족시키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중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입력의 회전 속도가 상기 임계 회전 속도를 충족시킨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5. 전자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회전가능 입력 메커니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KR1020217030552A 2016-09-23 2017-08-31 워치 극장 모드 KR102432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27441A KR102507252B1 (ko) 2016-09-23 2017-08-31 워치 극장 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99314P 2016-09-23 2016-09-23
US62/399,314 2016-09-23
US201662441274P 2016-12-31 2016-12-31
US62/441,274 2016-12-31
US201762445028P 2017-01-11 2017-01-11
US62/445,028 2017-01-11
KR1020217002083A KR102306852B1 (ko) 2016-09-23 2017-08-31 워치 극장 모드
PCT/US2017/049793 WO2018057271A1 (en) 2016-09-23 2017-08-31 Watch theater mod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2083A Division KR102306852B1 (ko) 2016-09-23 2017-08-31 워치 극장 모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7441A Division KR102507252B1 (ko) 2016-09-23 2017-08-31 워치 극장 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576A KR20210119576A (ko) 2021-10-05
KR102432019B1 true KR102432019B1 (ko) 2022-08-12

Family

ID=61685369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2083A KR102306852B1 (ko) 2016-09-23 2017-08-31 워치 극장 모드
KR1020217030552A KR102432019B1 (ko) 2016-09-23 2017-08-31 워치 극장 모드
KR1020237007458A KR20230038303A (ko) 2016-09-23 2017-08-31 워치 극장 모드
KR1020197005734A KR102208257B1 (ko) 2016-09-23 2017-08-31 워치 극장 모드
KR1020227027441A KR102507252B1 (ko) 2016-09-23 2017-08-31 워치 극장 모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2083A KR102306852B1 (ko) 2016-09-23 2017-08-31 워치 극장 모드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7458A KR20230038303A (ko) 2016-09-23 2017-08-31 워치 극장 모드
KR1020197005734A KR102208257B1 (ko) 2016-09-23 2017-08-31 워치 극장 모드
KR1020227027441A KR102507252B1 (ko) 2016-09-23 2017-08-31 워치 극장 모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307757B2 (ko)
EP (1) EP3491639A4 (ko)
JP (3) JP6758590B2 (ko)
KR (5) KR102306852B1 (ko)
CN (3) CN108140361B (ko)
AU (3) AU2017330211B2 (ko)
WO (1) WO20180572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9781B2 (en) 2012-05-09 2016-10-04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imated sequences
US11068128B2 (en) 2013-09-03 2021-07-20 Apple Inc. User interface object manipulations in a user interface
CN110262677B (zh) 2013-09-03 2022-08-09 苹果公司 计算机实现的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545657B2 (en) 2013-09-03 2020-01-2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EP3161603B1 (en) 2014-06-27 2019-10-16 Apple Inc. Manipulation of calendar application in device with touch screen
US10452253B2 (en) 2014-08-15 2019-10-22 Apple Inc. Weather user interface
CN113824998A (zh) 2014-09-02 2021-12-21 苹果公司 音乐用户界面
US20160062571A1 (en) 2014-09-02 2016-03-03 Apple Inc. Reduced size user interface
TWI582641B (zh) 2014-09-02 2017-05-11 蘋果公司 按鈕功能性
WO2016036509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Electronic mail user interface
US10365807B2 (en) 2015-03-02 2019-07-30 Apple Inc. Control of system zoom magnification using a rotatable input mechanism
WO2016144385A1 (en) 2015-03-08 2016-09-15 Apple Inc. Sharing user-configurable graphical constructs
EP3337583B1 (en) 2015-08-20 2024-01-17 Apple Inc. Exercise-based watch face
US10521107B2 (en) 2016-09-24 2019-12-31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selecting and interacting with different device modes
DK179412B1 (en) 2017-05-12 2018-06-06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DK179555B1 (en) 2017-05-16 2019-02-13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A FLASHLIGHT MODE ON AN ELECTRONIC DEVICE
US20190114812A1 (en) * 2017-10-17 2019-04-18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ultrasound imaging system for emphasizing an ultrasound image on a display screen
US11327650B2 (en) 2018-05-07 2022-05-10 Apple Inc. User interfaces having a collection of complications
DK201870334A1 (en) 2018-05-07 2019-12-0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ROACTIVE MANAGEMENT OF NOTIFICATIONS
EP3596589A1 (en) * 2018-06-01 2020-01-22 Apple Inc. Accessing system user interfaces on an electronic device
DK180081B1 (en) * 2018-06-01 2020-04-01 Apple Inc. Access to system user interfaces on an electronic device
US10573273B2 (en) * 2018-06-13 2020-02-25 Mapsted Corp.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placement based optimization techniques
DK179896B1 (en) 2018-09-11 2019-08-30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US11435830B2 (en) 2018-09-11 2022-09-06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CN113157190A (zh) 2019-05-06 2021-07-23 苹果公司 电子设备的受限操作
US11131967B2 (en) 2019-05-06 2021-09-28 Apple Inc. Clock faces for an electronic device
US11960701B2 (en) 2019-05-06 2024-04-16 Apple Inc. Using an illustration to show the passing of time
US10996761B2 (en) 2019-06-01 2021-05-0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non-visual output of time
US10878782B1 (en) 2019-09-09 2020-12-29 Apple Inc. Techniques for managing display usage
KR102324566B1 (ko) * 2019-09-09 2021-11-09 애플 인크. 디스플레이 사용량을 관리하기 위한 기법들
CN111611034A (zh) * 2020-04-23 2020-09-0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屏幕显示调节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5552375A (zh) 2020-05-11 2022-12-30 苹果公司 用于管理用户界面共享的用户界面
DK181103B1 (en) 2020-05-11 2022-12-15 Apple Inc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US11372659B2 (en) 2020-05-11 2022-06-2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user interface sharing
AU2020233622B2 (en) 2020-05-11 2022-03-10 Apple Inc. System, method and user interface for supporting scheduled mode changes on electronic devices
US20210389816A1 (en) * 2020-06-16 2021-12-16 Apple Inc. Direct access to wake state device functionality from a low power state
EP4179413A1 (en) * 2020-07-10 2023-05-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device for obtaining user input
US11694590B2 (en) 2020-12-21 2023-07-04 Apple Inc. Dynamic user interface with time indicator
US11720239B2 (en) 2021-01-07 2023-08-08 Apple Inc. Techniques for user interfaces related to an event
US11379106B1 (en) 2021-05-12 2022-07-0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djusting the provision of notifications
US11921992B2 (en) 2021-05-14 2024-03-05 Apple Inc.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6962A (ja) * 2003-06-23 2005-01-20 Seiko Epson Corp 時計、時計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2531607A (ja) * 2009-07-03 2012-12-10 コム・レ・タン・エスアー タッチ画面を備えた腕時計及びタッチ画面に時計を表示する方法
JP2016020931A (ja) * 2014-07-11 2016-02-0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3653B1 (en) * 1998-02-02 2004-01-27 Fuji Photo Film Co., Ltd. Electronic camera and dial control device of electronic equipment
US8938688B2 (en) * 1998-12-04 2015-01-20 Nuance Communications, Inc. Contextual prediction of user words and user actions
US6982695B1 (en) * 1999-04-22 2006-01-03 Palmsourc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oftware control of viewing parameters
JP2002259046A (ja) * 2001-02-28 2002-09-13 Tomoya Sonoda 空中で手描きした文字・記号入力システム
JP3851554B2 (ja) 2001-12-11 2006-11-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電話装置を制御する制御方法
JP2003196593A (ja) * 2001-12-28 2003-07-11 Toshiba Corp 文字認識装置および文字認識方法および文字認識プログラム
WO2003075146A1 (fr) * 2002-03-05 2003-09-1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Japan, Inc. Dispositif, logiciel et procede de traitement d'image
US7616097B1 (en) 2004-07-12 2009-11-10 Apple Inc. Handheld devices as visual indicators
JP2004320375A (ja) * 2003-04-15 2004-11-11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電子機器
US7580033B2 (en) 2003-07-16 2009-08-25 Honeywood Technologies, Llc Spatial-based power savings
JP2007041385A (ja) 2005-08-04 2007-02-15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70025292A (ko) 2005-09-01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CN1932590A (zh) 2005-09-15 2007-03-21 英保达股份有限公司 照明装置及其方法
JPWO2007043222A1 (ja) * 2005-10-07 2009-04-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入力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携帯端末
CN101385071B (zh) 2005-12-22 2011-01-26 捷讯研究有限公司 用于降低电子设备的显示器中的功耗的方法和设备
JP2006287949A (ja) * 2006-04-27 2006-10-19 Hitachi Ltd 携帯電話装置を制御する制御方法
CN100576857C (zh) 2006-06-26 2009-12-30 昆山维信诺显示技术有限公司 具有照明功能的移动终端
US8068125B2 (en) 2007-01-05 2011-11-29 Apple Inc. Luminescence shock avoidance in display devices
US8031164B2 (en) * 2007-01-05 2011-10-04 Apple Inc. Backlight and ambient light sensor system
US7956847B2 (en) * 2007-01-05 2011-06-07 Apple Inc. Gestures for controlling, manipulating, and editing of media files using touch sensitive devices
US7957762B2 (en) 2007-01-07 2011-06-07 Apple Inc. Using ambient light sensor to augment proximity sensor output
US20080168402A1 (en) * 2007-01-07 2008-07-10 Christopher Blumenberg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for Gesture Operations
AT505245B1 (de) 2007-05-25 2011-02-15 Krieger Martin Mag Elektronisch gesteuerte uhr
KR101008361B1 (ko) * 2007-09-06 2011-01-14 (주)마이크로인피니티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1716401B1 (ko) 2008-01-30 2017-03-14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모바일 디바이스 이벤트의 통지
US8344998B2 (en) 2008-02-01 2013-01-01 Wimm Labs, Inc. Gesture-based power management of a wearabl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JP4571198B2 (ja) * 2008-03-07 2010-10-27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
CA2665842C (en) 2008-05-11 2014-12-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providing improved alarm clock feature and facilitated alarm editing mode
US8130207B2 (en) * 2008-06-18 2012-03-06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nipulating a device using dual side input devices
KR101235958B1 (ko) * 2008-07-30 2013-02-21 오에스지 가부시키가이샤 트리 형상 홈의 절삭 가공 방법 및 절삭 회전 공구
US8245143B2 (en) 2008-10-08 2012-08-1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which arranges icons dynamically
US20100146437A1 (en) 2008-12-04 2010-06-10 Microsoft Corporation Glanceable animated notifications on a locked device
US9197738B2 (en) 2008-12-04 2015-11-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viding selected data through a locked display
US8522163B2 (en) 2008-12-19 2013-08-2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adial display of time based information
US8238876B2 (en) 2009-03-30 2012-08-07 Microsoft Corporation Notifications
US8095191B2 (en) 2009-07-06 2012-01-10 Motorola Mobility, Inc. Detection and function of seven self-supported orientations in a portable device
KR101718892B1 (ko) * 2009-11-13 2017-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드 전환 방법 및 그 장치
EP2328138B1 (en) * 2009-11-27 2015-10-28 Yazaki Corporation Display device for vehicle
US8884939B2 (en) * 2010-07-26 2014-11-11 Apple Inc. Display brightness control based on ambient light levels
US8854318B2 (en) 2010-09-01 2014-10-07 Nokia Corporation Mode switching
US20140256298A1 (en) 2010-10-07 2014-09-11 Allen J. Moss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notifications regarding status of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US20120098639A1 (en) 2010-10-26 2012-04-2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device unlock mechanism
US9519418B2 (en) 2011-01-18 2016-12-13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ulti-stage device transition mechanism initiated based on a touch gesture
US8687840B2 (en) 2011-05-10 2014-04-01 Qualcomm Incorporated Smart backlights to minimize display power consumption based on desktop configurations and user eye gaze
JP5727310B2 (ja) * 2011-06-28 2015-06-03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輝度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565602B1 (en) 2011-08-30 2018-11-14 BlackBerry Limited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object illumination
JP5451944B2 (ja) 2011-10-07 2014-03-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US9830049B2 (en) 2011-12-12 2017-11-28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visual transition between screens
KR20130071808A (ko) * 2011-12-21 2013-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화면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847903B2 (en) 2012-04-26 2014-09-30 Motorola Mobility Llc Unlocking an electronic device
US9052197B2 (en) 2012-06-05 2015-06-09 Apple Inc. Providing navigation instructions while device is in locked mode
JP5922522B2 (ja) 2012-07-24 2016-05-2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WO2014024366A1 (ja) * 2012-08-09 2014-02-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CN102831404B (zh) * 2012-08-15 2016-01-13 深圳先进技术研究院 手势检测方法及系统
US9152211B2 (en) 2012-10-30 2015-10-06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Electronic device with enhanced notifications
US11372536B2 (en) 2012-11-20 2022-06-28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Transition and interaction model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8994827B2 (en) 2012-11-20 2015-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9549323B2 (en) * 2012-12-03 2017-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screen lock
CN103019567B (zh) 2012-12-17 2015-11-25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触屏移动终端及其快速启动照明的方法和装置
KR102301592B1 (ko) 2012-12-29 2021-09-10 애플 인크. 사용자 인터페이스 계층을 내비게이션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GB201300031D0 (en) 2013-01-02 2013-02-13 Canonical Ltd Ubuntu UX innovations
KR20140092634A (ko) * 2013-01-16 2014-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와 그 제어방법
US20140201655A1 (en) 2013-01-16 2014-07-17 Lookout,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nd displaying activity icons on a mobile device
US9477404B2 (en) * 2013-03-15 2016-10-2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concurrently open software applications
JP5751270B2 (ja) 2013-03-21 2015-07-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20101B1 (ko) * 2013-04-03 2020-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71444B1 (ko) 2013-04-22 2020-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워치 및 제어 방법
DE102013007250A1 (de) * 2013-04-26 2014-10-30 Inodyn Newmedia Gmbh Verfahren zur Gestensteuerung
CN103294197B (zh) * 2013-05-22 2017-06-16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基于手势操作实现终端遥控的方法、终端
WO2014193824A1 (en) * 2013-05-28 2014-12-04 Pulletikurty Ravi System having a miniatur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command and control of a plurality of wireless devices
US9635255B1 (en) 2013-05-30 2017-04-25 Amazon Technologies, Inc. Display as adjustable light source
US10021180B2 (en) 2013-06-04 2018-07-10 Kingston Digital, Inc. Universal environment extender
US9542907B2 (en) 2013-06-09 2017-01-10 Apple Inc. Content adjustment in graphical user interface based on background content
CN103399661A (zh) * 2013-06-18 2013-11-20 深圳市创凯电子有限公司 触摸显示屏亮度调整的方法及装置
CN103281419B (zh) 2013-06-20 2015-08-05 上海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及亮屏方法
US9525811B2 (en) 2013-07-01 2016-12-20 Qualcomm Incorporated Display device configured as an illumination source
CN103309618A (zh) 2013-07-02 2013-09-18 姜洪明 移动操作系统
US8725842B1 (en) 2013-07-11 2014-05-13 Khalid Al-Nasser Smart watch
US9923953B2 (en) 2013-07-31 2018-03-20 Adenda Media Inc. Extending mobile applications to the lock screen of a mobile device
US9568891B2 (en) 2013-08-15 2017-02-14 I.Am.Plus, Llc Multi-media wireless watch
US20150062130A1 (en) 2013-08-30 2015-03-05 Blackberry Limited Low power design for autonomous animation
KR102045111B1 (ko) * 2013-09-03 2019-11-14 애플 인크.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US9293119B2 (en) 2014-01-06 2016-03-22 Nvid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display updates on an interactive display device
US9459141B2 (en) * 2014-03-11 2016-10-04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Brightness control apparatus and brightness control method
US9798378B2 (en) 2014-03-31 2017-10-2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awakening a primary processor out of sleep mode
US20150286391A1 (en) 2014-04-08 2015-10-08 Olio De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smart watch navigation
US9377762B2 (en) 2014-06-02 2016-06-28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Displaying notifications on a watchface
US10775875B2 (en) 2014-06-11 2020-09-15 Mediatek Singapore Pte. Ltd. Devices and methods for switching and communication among multiple operating systems and application management methods thereof
CN105204931B (zh) 2014-06-11 2019-03-15 联发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低功耗可穿戴设备及其多操作系统切换、通信及管理方法
EP3161603B1 (en) * 2014-06-27 2019-10-16 Apple Inc. Manipulation of calendar application in device with touch screen
US20160004345A1 (en) * 2014-07-03 2016-01-07 Kobo Inc. Varying a touchscreen display attribute in response to user input
KR20160004770A (ko) 2014-07-04 2016-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WO2016010857A1 (en) * 2014-07-18 2016-01-21 Apple Inc. Raise gesture detection in a device
WO2016022496A2 (en) 2014-08-06 2016-02-11 Apple Inc. Reduced-size user interfaces for battery management
KR102326154B1 (ko) 2014-08-29 2021-11-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저전력 모드의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326200B1 (ko) 2014-08-29 2021-11-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알림 제공 방법
KR102016160B1 (ko) * 2014-09-02 2019-08-29 애플 인크. 경고를 관리하기 위한 축소된 크기의 인터페이스
WO2016036481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Reduced-size user interfaces for dynamically updated application overviews
KR102239316B1 (ko) 2014-09-02 2021-04-13 애플 인크.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US10114342B2 (en) 2014-09-11 2018-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KR102347725B1 (ko) * 2014-09-11 2022-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장치
EP2996012B1 (en) * 2014-09-15 2019-04-1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671828B2 (en) * 2014-09-19 2017-06-0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dual touch sensors located on different sides of terminal bod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952675B2 (en) 2014-09-23 2018-04-24 Fitbit, In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to display visibility changes responsive to user gestures
KR102188267B1 (ko) 2014-10-02 2020-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6085364A (ja) * 2014-10-27 2016-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KR20160066813A (ko) * 2014-12-03 2016-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동 보호를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531888B2 (en) * 2015-01-08 2016-12-27 Intel Corporation Intelligent ringer in smartphones
US9998521B2 (en) * 2015-01-08 2018-06-12 Instart Logic, Inc. HTML streaming
US9794402B2 (en) * 2015-01-12 2017-10-17 Apple Inc. Updating device behavior based on user behavior
US10466883B2 (en) * 2015-03-02 2019-11-05 Apple Inc. Screenreader user interface
AU2016229407A1 (en) * 2015-03-08 2017-09-21 Apple Inc. User interface using a rotatable input mechanism
US9667710B2 (en) 2015-04-20 2017-05-30 Agverdic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loud-based agricultural data processing and management
US10275148B2 (en) 2015-04-21 2019-04-30 Facebook, Inc.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itioning between native content and web content
US20160342327A1 (en) 2015-05-22 2016-11-24 Lg Electronics Inc. Watch-type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CN104978904B (zh) 2015-06-29 2018-11-16 深圳市悦创空间科技有限公司 一种可变速旋转的led显示系统及其显示方法
WO2017003043A1 (ko) 2015-07-01 2017-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4978110B (zh) 2015-07-27 2018-06-01 联想(北京)有限公司 显示处理方法和显示处理设备
CN105045079B (zh) * 2015-07-28 2019-05-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智能手表的控制方法及智能手表
US9880735B2 (en) 2015-08-10 2018-01-30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KR102371906B1 (ko) 2015-08-24 2022-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CN105204620B (zh) * 2015-08-25 2018-09-14 厦门美图移动科技有限公司 一种调节屏幕亮度的方法及装置、移动终端
KR102381617B1 (ko) 2015-09-07 2022-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동작 방법 및 반도체 시스템
US9921719B2 (en) 2015-11-02 2018-03-20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Touch display apparatus and wallpaper replacing method thereof
CN105516824A (zh) * 2015-12-10 2016-04-2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调整电视屏幕亮度的方法和装置
US9609230B1 (en) 2015-12-30 2017-03-28 Google Inc. Using a display as a light source
CN105677179A (zh) 2015-12-31 2016-06-15 魅族科技(中国)有限公司 手电筒亮度的控制方法和装置
JP6327276B2 (ja) 2016-03-23 2018-05-2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時刻表示制御方法
US10546501B2 (en) 2016-04-11 2020-01-28 Magnus Berggr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eet management of equipment
KR102518477B1 (ko) 2016-05-03 2023-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출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20170357427A1 (en) 2016-06-10 2017-12-14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WO2017213937A1 (en) 2016-06-11 2017-12-14 Apple Inc. Configuring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DK201670595A1 (en) 2016-06-11 2018-01-22 Apple Inc Configuring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CN108351750B (zh) 2016-06-12 2019-08-13 苹果公司 用于处理与触摸输入相关联的强度信息的设备、方法、以及图形用户界面
US10522109B2 (en) 2016-06-14 2019-12-31 Lenovo (Singapore) Pte. Ltd. Adjusting brightness settings based on context data
CN106056848B (zh) 2016-06-30 2018-11-06 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一种防跌倒预警器低功耗实现方法
US10101711B2 (en) 2016-07-06 2018-10-16 Barbara Carey Stackowski Past and future time visualization device
JP6866584B2 (ja) 2016-07-21 2021-04-2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510708B1 (ko) 2016-07-25 2023-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이미지 표시 방법
US10466891B2 (en) 2016-09-12 2019-11-05 Apple Inc. Special lock mode user interface
KR102309296B1 (ko) 2017-03-17 2021-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6784204B2 (ja) 2017-03-22 2020-11-1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DK179555B1 (en) 2017-05-16 2019-02-13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A FLASHLIGHT MODE ON AN ELECTRONIC DEVICE
JP2019007751A (ja) 2017-06-21 2019-01-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ウェアラブル装置及び制御方法
KR102463281B1 (ko) 2017-08-25 2022-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드 스위칭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CA2986980A1 (en) 2017-11-29 2019-05-29 Qiqi WANG Display with low voltage feature
KR102460922B1 (ko) 2017-12-14 2022-11-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082417B1 (ko) 2018-03-12 2020-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878782B1 (en) 2019-09-09 2020-12-29 Apple Inc. Techniques for managing display usa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6962A (ja) * 2003-06-23 2005-01-20 Seiko Epson Corp 時計、時計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2531607A (ja) * 2009-07-03 2012-12-10 コム・レ・タン・エスアー タッチ画面を備えた腕時計及びタッチ画面に時計を表示する方法
JP2016020931A (ja) * 2014-07-11 2016-02-0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91639A1 (en) 2019-06-05
WO2018057271A1 (en) 2018-03-29
US11307757B2 (en) 2022-04-19
KR20230038303A (ko) 2023-03-17
JP2019534469A (ja) 2019-11-28
KR20210011071A (ko) 2021-01-29
JP6758590B2 (ja) 2020-09-23
EP3491639A4 (en) 2019-07-31
JP7304840B2 (ja) 2023-07-07
AU2017330211B2 (en) 2020-05-21
JP2023138971A (ja) 2023-10-03
US20180088797A1 (en) 2018-03-29
AU2017330211A1 (en) 2019-03-07
AU2020217354B2 (en) 2022-06-09
KR102507252B1 (ko) 2023-03-07
JP2020194573A (ja) 2020-12-03
KR20210119576A (ko) 2021-10-05
AU2022228204A1 (en) 2022-10-06
AU2020217354C1 (en) 2023-02-02
KR102208257B1 (ko) 2021-01-27
AU2020217354A1 (en) 2020-09-03
US20220206681A1 (en) 2022-06-30
CN114740963A (zh) 2022-07-12
CN108140361B (zh) 2022-03-11
KR20190035800A (ko) 2019-04-03
KR20220116350A (ko) 2022-08-22
CN114740951A (zh) 2022-07-12
CN108140361A (zh) 2018-06-08
KR102306852B1 (ko)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2019B1 (ko) 워치 극장 모드
US11955100B2 (en) User interface for a flashlight mode on an electronic device
US20220300108A1 (en) Reduced-size interfaces for managing alerts
US11941243B2 (en) Handwriting keyboard for screens
EP3404526B1 (en) User interface for a flashlight mode on an electronic device
AU2018101947A4 (en) Watch theater m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