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8361B1 - 조절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조절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8361B1
KR101008361B1 KR1020080075103A KR20080075103A KR101008361B1 KR 101008361 B1 KR101008361 B1 KR 101008361B1 KR 1020080075103 A KR1020080075103 A KR 1020080075103A KR 20080075103 A KR20080075103 A KR 20080075103A KR 101008361 B1 KR101008361 B1 KR 101008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isplay device
axis
adjustmen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6041A (ko
Inventor
박규철
이정환
박원장
사공병춘
김상범
Original Assignee
(주)마이크로인피니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이크로인피니티 filed Critical (주)마이크로인피니티
Priority to US12/230,737 priority Critical patent/US8089352B2/en
Priority to CN200880106083A priority patent/CN101802772A/zh
Priority to JP2010521797A priority patent/JP5139528B2/ja
Priority to EP14185617.9A priority patent/EP2840483A1/en
Priority to EP08829788A priority patent/EP2198363A4/en
Priority to PCT/KR2008/005269 priority patent/WO2009031860A2/en
Publication of KR20090026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6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4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image parameters, e.g. image brightness, contr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5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list of items to be played back in a given order, e.g. playli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장치는 외부의 힘에 의한 조절 장치의 동작을 측정하는 측정 모듈 및 상기 동작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조절한다.
관성 센서, keystone, 트래포조이드(Trapozoid), 탑코너(TopCorner), 바톰코너(BottomCorner), 로테이션(Rotation)

Description

조절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s}
본 발명은 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의 힘에 의한 조절 장치의 동작을 측정하는 측정 모듈 및 상기 동작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조절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모콘 등과 같은 조절 장치를 이용해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과 관련해서, 종래에는 사용자가 포인터 또는 커서에 대응되는 조작을 리모콘 등과 같은 조절 장치내의 방향키 버튼을 여러 번 눌러서 직접 실행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서 리모컨 등 조절 장치의 상, 하, 좌, 우 및 회전 등의 동작만으로 직접적임 키 버튼의 조작 없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고 조절하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사람의 동작을 이용한 입력 장치는 상하좌우의 움직임을 측정함으로써 컴퓨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에서 포인터의 움직임을 직관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종래 조절 장치의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관성 센서 등을 탑재하여 조절 장치의 동작을 측정하고, 측정된 동작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제어하고 조절하는, 조절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장치는 외부의 힘에 의한 조절 장치의 동작을 측정하는 측정 모듈 및 상기 동작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조절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절 방법은 외부의 힘에 의한 조절 장치의 동작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동작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 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조절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조절 장치의 동작(자세 또는 위치 변화)을 측정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빠른 시간에 키스톤(keystone)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절 장치의 동작을 측정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의 명암, 소리의 크기, 동영상 재생속도조절, 화면 확대 이동, 화면 안정화 등을 빠른 시간에 조정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조절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장치(100)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장치(100)는 측정 모 듈(110) 및 신호 생성 모듈(120)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 모듈(130), 송수신 모듈(140) 및 키 설정 모듈(150)을 포함하여 확장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외부의 힘에 의해 조절 장치(100)가 동작되면, 측정 모듈(110)은 조절 장치(100)의 동작 방향 및 이동 거리를 측정한다. 여기서, 동작은 병진, 회전 등에 의한 위치 변화와 자세 변화를 포함하며, 이동 거리는 수평 이동에 따른 거리 및 회전 이동에 따른 회전 거리 등을 포함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측정 모듈(100)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관성 센서를 포함하며, 관성 센서는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자이로 및 지자기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측정 모듈(100)은 마그네틱 센서(Magnetic Sensor), 비전 센서(Vision Sensor), 인프라 레드 센서(Infra Red Sensor), 압력 센서(Pressure Sensor) 및 소너 센서(Sonar Sens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관성 센서가 동작하는 조절 장치(100)의 각속도, 각 가속도 및 가속도 등을 측정하여, 조절 장치(100)의 이동 방향 및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측정 모듈(100)은 요(yaw) 자이로 1개와 가속도계로 구성될 수 있다. 측정 모듈(100)은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X축 회전 거리 값(롤(roll) 값)과 Y축 회전 거리 값(피치(pitch) 값)을 구하고 요 자이로를 통하여 Z축 회전 거리 값(요(Yaw) 값)을 구한다. 여기서, X축, Y축, Z축은 임의로 설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리모콘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장치가 탑재되었을 때, 지면에 수직하는 방향을 Z축, 조절 장치가 제어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를 향하는 방향을 X 축, X축 및 Z축에 동시에 수직인 방향을 Y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X, Y, Z축이 설정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로, 3축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X축 회전 거리 값 및 Y축 회전 거리 값을 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지표면과 수평한 X, Y축에서 X축 방향 가속도를 a_x라 하고 중력 가속도를 g라 할 때, 피치(θ)는 다음과 같다.
θ = arcsin(a_x/g)
또한, Y축 방향 가속도를 a_y라 할 때, 이미 피치가 발생한 것을 전제로 하면, 중력 가속도의 연직 성분 a_z는 g·cosθ가 된다. 따라서, 롤(Φ)은 다음과 같다.
Φ = arctan(a_y/a_z)
측정 모듈(100)를 사용하여 조절 장치(100)의 이동 방향 및 거리가 측정되면, 신호 생성 모듈(120)은 이를 반영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신호는 이동 방향 및 이동한 일정 거리에 따라, 특정한 값이 부여된다. 부여된 특정 값을 반영한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제어하고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조절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는 화면의 명암, 소리 크기, 화면의 위치 상태, 컨텐츠의 조절(즉, 되감기, 빨리 감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 또는 표시되는 컨텐츠의 선택,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메뉴의 선택, 화면 확대 이동, 및 화면 안정화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화면의 명암, 소리 크기, 화면의 위치 상태, 컨텐츠 조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 또는 표시되는 컨텐츠의 선택,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메뉴의 선택, 화면 확 대 이동, 및 화면 안정화 등의 조절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신호 생성 모듈(120)은 측정 모듈(110)에 포함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관성 센서가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관성 센서에 따라 정해진 스펙을 기초로, 이동 방향 및 거리에 대응되는 특정 값을 부여하며, 특정 값을 반영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신호 생성 모듈(120)로부터 신호가 생성되면, 송수신 모듈(130)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신호를 송신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키 설정 모듈(150)은 사용자가 화면 명암의 상태 조절 모드, 소리 크기의 상태 조절 모드, 화면의 위치 상태 조절 모드, 컨텐츠 조절 모드, 컨텐츠 선택 모드, 메뉴 선택 모드, 화면 확대 이동 모드, 및 화면 안정화 모드 등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컨텐츠 조절 모드는 재생 중인 컨텐츠를 뒤로 되감기 또는 앞으로 빨리 감기 등으로 조절하여,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장면을 검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컨텐츠 선택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들을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로, 컨텐츠의 내용을 대표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보여질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의 화면에 나타난 컨텐츠를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를 기준으로 이전 또는 이후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전술한 모드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다른 기능 등이 포함되어 확장될 수 있다.
사용자가 화면 명암의 상태의 조절 모드를 선택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절 장치(100)를 사용하여 화면 명암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소리 크기의 상태 조절 모드를 선택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절 장치(100)를 사용하여 소리 크기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가 화면의 위치 상태 조절 모드를 선택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절 장치(100)를 사용하여 화면의 위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가 컨텐츠 조절 모드를 선택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절 장치(100)를 사용하여 재생 중인 컨텐츠의 되감기 또는 빨리 감기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컨텐츠 선택 모드를 선택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절 장치(100)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시청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메뉴 선택 모드를 선택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절 장치(100)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화면 확대 이동 모드를 선택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절 장치(100)를 사용하여 현재 화면에서 상하좌우로 연결되는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화면 안정화 모드를 선택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절 장치(100)를 사용하여 외부 진동 등에 의해서 흔들리는 화면을 안정화시킬 수가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현 방법은 도 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다만, 키 설정 모듈(150)은 기본 설정 값으로 화면의 위치 상태 조절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송수신 모듈(130)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송수신 받을 수 있으며, 특히, 송수신 모듈(130)은 블루투스(Bluetooth)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블루투스 칩 등을 탑재할 수 있다.
제어 모듈(140)은 조절 장치(100)내의 측정 모듈(100), 신호 생성 모듈(120), 송수신 모듈(130) 및 키 설정 모듈(150)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어 모듈(140)은 사용자가 키 설정 모듈(150)을 사용하여 소정의 모드를 설정한 경우, 설정된 모드에 대응되는 신호를 발생시켜 측정 모듈(110) 및 신호 생성 모듈(120)을 제어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조절 장치(100)는 리모컨(Remote Controller) 및 포인팅 장치 등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 프로젝터(projector), 모니터, TV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시스템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명암의 상태, 소리 크기의 상태 및 화면의 위치 상태 등을 조절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장치(100)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조절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화면 명암의 상태 조절 모드, 소리 크기의 상태 조절 모드, 화면의 위치 상태 조절 모드, 컨텐츠 조절 모드, 컨텐츠 선택 모드, 메뉴 선택 모드, 화면 확대 이동 모드, 및 화면 안정화 모드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모드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다른 기능 등이 포함되어 확장될 수 있다. 다만, 기본 설정 값으로 화면의 위치 상태 조절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술한 바와 같은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사용자 또는 외부의 힘에 의해 조절 장치(100)가 동작을 하는 경우, 조절 장치(100)의 동작을 측정한다(S210).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절 장치의 동작(100)은 관성 센서 등을 사용하여 측정된다. 또한, 조절 장치(100)가 사용하는 관성 센서에 따라 정해진 스펙을 기초로 특정 값이 결정된다.
다만,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명암의 상태, 화면의 위치 상태, 소리 크기의 상태, 컨텐츠 조절 모드, 컨텐츠 선택 모드, 및 메뉴 선택 모드 등의 조절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동작을 측정하면, 신호 생성 모듈(120)은 동작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한다(S220). 생성된 신호는 조절 장치(100)의 이동 방향 및 이동한 일정 거리에 따라, 특정한 값이 부여된 신호이다. 부여된 특정 값이 반영된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제어하고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신호가 생성되면,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조절한다(S230). 수신된 특정 값이 반영된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 명암의 상태, 화면의 위치 상태 및 소리 크기의 상태 등을 제어 및 조절한다.
사용자가 화면 명암의 상태 조절 모드를 선택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조절된 상태를 화면에 보여주고, 사용자는 조절 장치(100)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태를 다시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가 화면의 위치 상태 조절 모드를 선택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조절된 상태를 화면에 보여주고, 사용자는 조절 장치(100)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태를 다시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가 화면의 소리 크기의 상태 조절 모드를 선택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조절된 상태를 스피커를 통해 들여주고, 사용자는 조절 장치(100)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리 크기의 상태를 다시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가 컨텐츠 조절 모드를 선택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되감기 또는 빨리 감기 등의 기능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을 검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컨텐츠 선택 모드를 선택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들을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절 장치(100)를 사용하여 상기의 모드를 재 조절하여, 컨텐츠를 조절하고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메뉴 선택 모드를 선택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메뉴를 선택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화면 확대 이동 모드를 선택한 경우, 현재 화면에 상하좌우로 연결된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화면 안정화 모드를 선택한 경우, 외부 진동 등에 의해 흔들리는 화면을 안정화시킬 수가 있다.
또한, 조절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신호의 수신여부 및 수신된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 상태의 조절 여부에 대해 생성된 별개의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재 조절할 수 도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프로젝터(projector), 모니터, TV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시스템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태 등을 조절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조절 장치(100)가 Z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면의 위치 상태 조절 모드로 설정된 경우, 조절 장치(100)가 Z 축을 기반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태를 트래포조이드(Trapozoid)할 수 있다. 여기서, 트래포조이드는 오른쪽 면의 길이 보다 왼쪽 면의 길이가 적은 경우, 왼쪽 면의 길이를 오른쪽 면의 길이와 똑같아지도록 보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조절 장치(100)가 축을 따라, 회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은 트레포조이드 되어서, 오른 쪽 면의 길이와 왼쪽 면의 길이가 똑 같은 직사각형 모양을 형성하게 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화면 명암의 상태 조절 모드로 설정된 경우, 조절 장치(100)가 Z 축을 기반으로 회전하면, 화면의 상태를 밝게 할 수 있다.
소리 크기 상태의 조절 모드로 설정된 경우, 조절 장치(100)가 Z 축을 기반으로 회전하면, 소리를 크게 할 수 있다.
도 4는 도 1 및 도 2의 조절 장치(100)가 Z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면의 위치 상태 조절 모드로 설정된 경우, 조절 장치(100)가 Z 축을 기반으로 도 3에 전술한 반대 방향인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태를 트래포조이드(Trapozoid)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트레포조이드는 오른쪽의 길이를 왼쪽 면의 길이와 똑같아지도록 보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조절 장치(100)가 축을 따라 회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은 트레포조이드 되어서, 왼쪽 면의 길이와 오른쪽 면의 길이가 똑 같은 직사각형 모양을 형성하게 된다.
화면 명암의 상태 조절 모드로 설정된 경우, 조절 장치(100)가 축을 기반으로 도 3에서 전술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화면의 상태를 어둡게 할 수 있다.
소리 크기 상태의 조절 모드로 설정된 경우, 조절 장치(100)가 축을 기반으로 도 3에서 전술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소리를 적게 할 수 있다.
도 5는 도 1 및 도 2의 조절 장치(100)가 Y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화면의 위치 상태 조절 모드로 설정된 경우, 조절 장치(100)가 Y축을 기반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태를 탑코너(TopCorner)한다. 탑코너는 상단 면의 길이가 하단 면의 길이보다 적은 경우, 상단 면의 길이를 하단 면의 길이와 똑같아지도록 보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조절 장치(100)가 도면과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은 상단 면의 길이와 하단 면의 길이가 똑 같은 직사각형 모양을 형성하게 된다.
도 6은 도 1 및 도 2의 조절 장치(100)가 Y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화면의 위치 상태 조절 모드로 설정된 경우, 조절 장치(100)가 축을 기반으로 도 5에서 전술한 반대 방향인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태를 다운코너(DownCorner)한다. 다운코너는 하단 면의 길이가 상단 면의 길이보다 적은 경우, 하단 면의 길이를 상단 면의 길이와 똑같아지도록 보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톰코너(BottomCorner)로 불리기도 한다. 따라서, 조절 장치(100)가 축을 따라 회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은 하단 면의 길이와 상단 면의 길이가 똑 같은 직사각형 모양을 형성하게 된다.
도 7은 도 1 및 도 2의 조절 장치(100)가 X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화면의 위치 상태 조절 모드로 설정된 경우, 조절 장치(100)가 축을 기반으로 회전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태를 로테이션(Rotation)한다. 로테이션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경우, 화면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보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조절 장치(100)가 X축을 따라 도면과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화면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8은 도 1 및 도 2의 조절 장치(100)가 X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화면의 위치 상태 조절 모드로 설정된 경우, 조절 장치(100)가 축을 기반으로 도 7에 전술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태를 로테이션한다. 로테이션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경우, 화면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보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조절 장치(100)가 축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화면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9 및 도 10은 도 1 및 도 2의 조절 장치(100)가 X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의 재생목록 중 해당 컨텐츠가 선택되는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컨텐츠 선택 모드로 설정된 경우, 조절 장치(100)가 X 축을 기반으로 회전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재생 중인 컨텐츠와 다른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를 화면을 통해 보여주고 사용자는 조절 장치(100)를 회전시킴으로써,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조절 장치(100)가 X축을 기반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재생 중인 컨텐츠의 이전 컨텐츠로 이동하며, 조절 장치(1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재생 중인 컨텐츠의 이후 컨텐츠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 및 도 2의 조절 장치(100)가 X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 중인 컨텐츠를 되감기 또는 빨리 감기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컨텐츠 조절 모드로 설정된 경우, 조절 장치(100)가 X 축을 기반으로 회전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재생 중인 컨텐츠를 되감 기 또는 빨리 감기를 수행하여 사용자가 시청하기를 원하는 화면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되감기는 재생 중인 컨텐츠를 뒤로 감아 이전 화면을 보여주는 것을 의미하며, 빨리 감기는 재생 중인 컨텐츠를 앞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조절 장치(1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되감기 모드를 수행하며, 조절 장치(1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빨리 감기 모드를 실행 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 및 도 2의 조절 장치(100)가 X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메뉴를 선택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메뉴 선택 모드로 설정된 경우, 조절 장치(100)가 X 축을 기반으로 회전하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조절 장치(1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현재 선택된 메뉴의 왼쪽에 있는 메뉴가 선택되도록 하고, 조절 장치(1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현재 선택된 메뉴의 오른쪽에 있는 메뉴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화면 확대 이동 모드로 설정된 경우, 조절 장치가 Z 축을 기반으로 회전하면 현재 화면에서 좌우로 연결되는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조절 장치(1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현재 화면에서 왼쪽으로 연결되는 화면으로 이동하고,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현재 화면에서 오른쪽으로 연결되는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Y 축을 기반으로 회전하면 현재화면에서 상하로 연결되는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조절 장치(1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현재 화면에서 위쪽으로 연결되는 화면으로 이동하고,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현재 화면에서 아래쪽으로 연결되는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화면 안정화 모드로 설정된 경우, 외부 진동에 의해 흔들리는 화면을 안정화시킨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조절 장치(100)가 모바일 장치의 화면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내장되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의 진동 등에 의해서 불필요하게 움직여 화면이 흔들릴 때, 움직임의 반대 방향으로 화면을 이동시켜 안정된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 내지 도 14에서 X축, Y축, Z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설정된 축이다. X축, Y축, Z축은 각각 수직관계에 놓여 있으며, 전술한 도 3 및 도 4, 도 5 및 도 6, 도 7 및 도 8, 도 9 및 도 10, 도 11 및 도 12, 도 13 및 도 14는 각각 같은 축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예로서, 전술한 회전은 시계 방향(축을 기반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회전하는 경우) 및 반시계 방향(축을 기준으로 오른쪽에 왼쪽으로 회전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조절 장치를 회전할 때, 회전각의 크기 또는 속도에 따라 화면의 명암, 소리 크기, 화면의 위치 상태, 컨텐츠의 조절, 컨텐츠의 선택, 메뉴의 선택 등 에 있어서 상태 변화의 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회전각의 크기가 20도에 가까울 때에는 컨텐츠를 2배속으로 재생하고, 40도에 가까울 때에는 4배속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1배속, 2배속 등의 정해진 속도가 아니라 조절 장치의 회전 각도나 속도에 따라서 비례하도록 상태가 변화하도록 하여 아날로그적인 감성을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조절 장치의 회전 속도가 빠를 때에는 메뉴의 선택에 있어서 선택되는 메뉴가 빠르게 전환되고, 회전 속도가 느릴 때에는 메뉴의 선택에 있어서 선택되는 메뉴가 느리게 전화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장치(100)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장치(100)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조절하는 플로우 차트 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조절 장치(100)가 Z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의 조절 장치(100)가 Z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2의 조절 장치(100)가 Y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 및 도 2의 조절 장치(100)가 Y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 및 도 2의 조절 장치(100)가 X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 및 도 2의 조절 장치(100)가 X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1 및 도 2의 조절 장치(100)가 X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의 재생목록 중 해당 컨텐츠가 선택되는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 및 도 2의 조절 장치(100)가 X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 중인 컨텐츠를 되감기 또는 빨리 감기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 및 도 2의 조절 장치(100)가 X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메뉴가 선택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0: 측정 모듈
120: 신호 생성 모듈
130: 송수신 모듈
140: 제어 모듈
150: 키 설정 모듈

Claims (32)

  1. 외부의 힘에 의해 조절 장치가 설정된 임의의 상호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작을 측정하는 측정 모듈; 및
    상기 동작에 대응되는 회전 방향에 대한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조절하는, 조절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소정의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조절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설정하는 키 설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조절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모드는,
    화면의 명암 상태 조절 모드, 소리 크기의 상태 조절 모드, 화면의 위치 상태 조절 모드, 컨텐츠 조절 모드, 컨텐츠 선택 모드, 메뉴 선택 모드, 화면 확대 이동 모드, 및 화면 안정화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절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모듈은,
    관성 센서, 마그네틱 센서, 비전 센서, 인프라 레드 센서, 압력 센서 및 소너(sonar)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절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명암 상태, 소리 크기 상태 및 화면의 위치 상태, 컨텐츠의 조절, 컨텐츠의 선택,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메뉴의 선택, 화면 확대 이동, 및 화면 안정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절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은,
    상기 조절 장치가 상기 X, 상기 Y축 및 상기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태를 트래포조이드(Trapozoid)하는, 조절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은,
    상기 조절 장치가 상기 X, 상기 Y축 및 상기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태를 탑코너(TopCorner) 및 바톰코너(BottomCorner) 중 적어도 하나를 하는, 조절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은,
    상기 조절 장치가 상기 X, 상기 Y축 및 상기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태를 로테이션(Rotation)하는, 조절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은,
    상기 조절 장치가 상기 X축, 상기 Y축 및 상기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리 크기의 상태를 조절하는, 조절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은,
    상기 조절 장치가 상기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명암 상태를 조절하는, 조절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은,
    상기 조절 장치가 상기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되감기 또는 빨리 감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조절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은,
    상기 조절 장치가 상기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재생되는 컨텐츠를 기준으로 이전 컨텐츠 또는 이후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로 이동하는, 조절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은,
    상기 조절 장치가 상기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메뉴의 선택을 전환하는, 조절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은,
    상기 조절 장치가 상기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면과 연결되는 화면으로 이동시키는, 조절 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은,
    상기 조절 장치가 상기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면을 안정화시키는, 조절 장치.
  17. 외부의 힘에 의해 조절 장치가 설정된 임의의 상호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작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동작에 대응되는 회전 방향에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절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소정의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조절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절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모드는,
    화면의 명암 상태 조절 모드, 소리 크기의 상태 조절 모드 및 화면의 위치 상태 조절 모드, 컨텐츠 조절 모드, 컨텐츠 선택 모드, 및 메뉴 선택 모드, 화면 확대 이동 모드, 및 화면 안정화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절 방법.
  20. 삭제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명암 상태, 소리 크기 상태 및 화면의 위치 상태, 컨텐츠의 조절, 컨텐츠의 선택,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메뉴의 선택, 화면 확대 이동, 및 화면 안정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절 방법.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은,
    상기 조절 장치가 상기 X축, 상기 Y축 및 상기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태를 트래포조이드(Trapozoid)하는, 조절 방법.
  23.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은,
    상기 조절 장치가 상기 X축, 상기 Y축 및 상기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태를 탑코너(TopCorner) 및 바톰코너(BottomCorner) 중 적어도 하나를 하는, 조절 방법.
  24.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은,
    상기 조절 장치가 상기 X축, 상기 Y축 및 상기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태를 로테이션(Rotation)하는, 조절 방법.
  25.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은,
    상기 조절 장치가 상기 X축, 상기 Y축 및 상기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리 크기의 상태를 조절하는, 조절 방법.
  26.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은,
    상기 조절 장치가 상기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명암 상태를 조절하는, 조절 방법.
  27.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은,
    상기 조절 장치가 상기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되감기 또는 빨리 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조절하는, 조절 방법.
  2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은,
    상기 조절 장치가 상기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재생되는 컨텐츠를 기준으로 이전 컨텐츠 또는 이후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로 이동하는, 조절 방법.
  2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은,
    상기 조절 장치가 상기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메뉴의 선택을 전환하는, 조절 방법.
  3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은,
    상기 조절 장치가 상기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면과 연결되는 화면으로 이동시키는, 조절 방법.
  3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은,
    상기 조절 장치가 상기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면을 안정화시키는, 조절 방법.
  3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관성 센서, 마그네틱 센서, 비전 센서, 인프라 레드 센서, 압력 센서 및 소너(sonar)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동작을 측정하는, 조절 방법.
KR1020080075103A 2007-09-06 2008-07-31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1008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230,737 US8089352B2 (en) 2007-09-06 2008-09-04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N200880106083A CN101802772A (zh) 2007-09-06 2008-09-05 控制装置与方法
JP2010521797A JP5139528B2 (ja) 2007-09-06 2008-09-05 調節装置および方法
EP14185617.9A EP2840483A1 (en) 2007-09-06 2008-09-05 Control apparatus
EP08829788A EP2198363A4 (en) 2007-09-06 2008-09-05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CT/KR2008/005269 WO2009031860A2 (en) 2007-09-06 2008-09-05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90561 2007-09-06
KR1020070090561 2007-09-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041A KR20090026041A (ko) 2009-03-11
KR101008361B1 true KR101008361B1 (ko) 2011-01-14

Family

ID=40694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103A KR101008361B1 (ko) 2007-09-06 2008-07-31 조절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89352B2 (ko)
EP (2) EP2840483A1 (ko)
JP (1) JP5139528B2 (ko)
KR (1) KR101008361B1 (ko)
CN (1) CN101802772A (ko)
WO (1) WO200903186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42010B2 (en) * 2009-09-15 2017-01-10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ystem for interacting with objects in a virtual environment
KR20110055088A (ko) * 2009-11-19 201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915615B1 (ko) * 2010-10-14 2019-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모션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07622B1 (ko) * 2010-12-27 2017-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리모콘 및 이에 적용되는 제어방법
US9035742B2 (en) * 2011-12-06 2015-05-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lectronic compensated pivot control
JP2013222399A (ja) 2012-04-18 2013-10-28 Sony Corp 操作方法、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2763015A1 (en) * 2013-01-30 2014-08-06 Rightware Oy A method of and system for displaying a list of items on an electronic device
CN103440752B (zh) * 2013-08-15 2017-07-25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电磁遥控器及电磁遥控器的控制方法
CN103500047A (zh) * 2013-09-23 2014-01-08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移动终端中交互元素的控制方法、装置和移动终端
CN103607504A (zh) * 2013-11-13 2014-02-2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音量调整方法、装置
CN104598031A (zh) * 2015-01-19 2015-05-06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4866753B (zh) * 2015-05-15 2018-09-04 金硕澳门离岸商业服务有限公司 控制电子设备组的方法和控制装置
CN106210294B (zh) * 2016-06-30 2019-10-2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屏幕状态切换控制方法及装置
WO2018018508A1 (zh) * 2016-07-28 2018-02-0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控制播放的方法及装置
KR102208257B1 (ko) * 2016-09-23 2021-01-27 애플 인크. 워치 극장 모드
DK179555B1 (en) 2017-05-16 2019-02-13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A FLASHLIGHT MODE ON AN ELECTRONIC DEVICE
CN109640218B (zh) * 2018-12-20 2021-04-09 歌尔科技有限公司 音箱旋转机构的供电方法及音箱
DK180392B1 (en) 2019-09-09 2021-03-12 Apple Inc Techniques for managing display usage
CN112270910A (zh) * 2020-11-26 2021-01-26 深圳市艾比森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屏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显示屏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7096A (ko) * 2005-11-01 2007-05-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속도 신호를 이용한 동작 입력 장치, 호스트 정합 장치 및 동작 인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842020D1 (de) * 1997-01-31 2011-01-05 Hitachi Ltd Bildanzeigesystem mit der Veranlagung zur Modifikation von Anzeigeeigenschaften in einem bestimmten Anzeigebereich
JP2000112609A (ja) * 1998-10-05 2000-04-21 Hitachi Ltd マルチメディア情報機器の情報表示方法、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US6603420B1 (en) * 1999-12-02 2003-08-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mote control device with motion-based control of receiver volume, channel selection or other parameters
JP2002123242A (ja) * 2000-10-17 2002-04-26 Ricoh Co Ltd 画像表示装置
US6834249B2 (en) * 2001-03-29 2004-12-21 Array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omputing system
KR20030000957A (ko) * 2001-06-27 2003-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JP2003037838A (ja) * 2001-07-25 2003-02-07 Sanyo Electric Co Ltd 画像配信システム
JP4298941B2 (ja) * 2001-09-26 2009-07-22 ヤマハ株式会社 リモコン装置
US7233316B2 (en) * 2003-05-01 2007-06-19 Thomson Licensing Multimedia user interface
KR100543701B1 (ko) * 2003-06-17 2006-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간형 입력 장치 및 방법
WO2005096536A1 (en) * 2004-03-12 2005-10-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ed signal quality estimation
EP2343699A1 (en) * 2004-04-30 2011-07-13 Hillcrest Laboratorie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identifying users based on tremor
US8531392B2 (en) * 2004-08-04 2013-09-10 Interlink Electronics, Inc. Multifunctional scroll sensor
JP2006068027A (ja) * 2004-08-31 2006-03-16 Nintendo Co Ltd 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JP4533292B2 (ja) * 2005-09-13 2010-09-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US7728316B2 (en) * 2005-09-30 2010-06-01 Apple Inc. Integrated proximity sensor and light sensor
CN101309731B (zh) * 2005-10-17 2011-04-13 转换注意力治疗技术有限公司 转移注意力治疗的设备以及平板装置
JP2007228160A (ja) * 2006-02-22 2007-09-06 Funai Electric Co Ltd テレビジョン装置
KR100753397B1 (ko) * 2006-04-04 200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 자동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80002600A (ko) * 2006-06-30 2008-01-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형성 방법
US8514066B2 (en) * 2006-11-25 2013-08-20 Trimble Navigation Limited Accelerometer based extended display
US20080122785A1 (en) * 2006-11-25 2008-05-29 John Paul Harmon Portable display with improved functionality
US7573382B2 (en) * 2007-04-02 2009-08-11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to manage movement of asse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7096A (ko) * 2005-11-01 2007-05-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속도 신호를 이용한 동작 입력 장치, 호스트 정합 장치 및 동작 인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98363A4 (en) 2012-04-25
KR20090026041A (ko) 2009-03-11
JP5139528B2 (ja) 2013-02-06
EP2198363A2 (en) 2010-06-23
JP2010537547A (ja) 2010-12-02
US8089352B2 (en) 2012-01-03
WO2009031860A3 (en) 2009-04-30
WO2009031860A2 (en) 2009-03-12
EP2840483A1 (en) 2015-02-25
US20090066533A1 (en) 2009-03-12
CN101802772A (zh) 201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8361B1 (ko) 조절 장치 및 방법
CN111034181B (zh) 图像捕获设备、图像显示系统和操作方法
US10175784B2 (en) Control device, input device, control system, handheld device, and control method
US9414125B2 (en) Remote control device
CN108664156B (zh) 3d定位器映射
US8531399B2 (en) Control apparatus, input apparatus,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handheld apparatus
US9152246B2 (en) Input apparatus, control apparatus, control system,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JP4690376B2 (ja) 遠隔操作装置、遠隔操作システム及び電気機器
US20060103631A1 (en) Electronic device and pointing representation displaying method
KR20130130453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133550A (ko) 멀티 앵글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모바일 기기
KR20140020841A (ko) 상-하-좌-우 모드 스위칭 및 통합형 스윕 검출기를 구비한 3d 포인팅 장치
AU2014200028A1 (en) Display apparatus and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KR102459166B1 (ko) 영상표시장치
WO2015054868A1 (zh) 内容共享方法和终端设备
JP2004086511A (ja) 電子機器およびポインタ移動方法
JP2007279869A (ja) プロジェクター、プロジェクター用リモコンおよびポインターシステム
JP6568795B2 (ja) 電子機器の操作方法および画像の表示方法
JP2013012010A (ja) ポインタ表示装置、ポインタ表示方法、及びポインタ表示プログラム
JP2009210963A (ja) プラネタリウム装置
KR100828415B1 (ko) 무선통신기반 직관적 영상처리장치 및 방법
KR20230033367A (ko) 짐벌 카메라를 이용한 대상 트래킹 방법 및 장치
KR20230033368A (ko) 경로 기반의 대상 트래킹 방법 및 장치
KR20150145243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3161662U (ja) プラネタリウ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