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438B1 - 레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레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438B1
KR102427438B1 KR1020200137303A KR20200137303A KR102427438B1 KR 102427438 B1 KR102427438 B1 KR 102427438B1 KR 1020200137303 A KR1020200137303 A KR 1020200137303A KR 20200137303 A KR20200137303 A KR 20200137303A KR 102427438 B1 KR102427438 B1 KR 102427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tape
rail
scrape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3169A (ko
Inventor
강동헌
안석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코메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코메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코메론
Priority to KR1020200137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438B1/ko
Priority to PCT/IB2021/058678 priority patent/WO2022084768A1/ko
Publication of KR20220053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60N2/0725Closing members for covering the sl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이동 물체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어셈블리는, 이동 물체의 이동 경로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 슬릿 및 가이드 슬릿의 양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평행 슬릿 지지부를 포함하는 레일, 이동 물체와 함께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 레일의 양단부 중 적어도 일 단부에 장착되며, 볼록한 단면의 스크린 테이프를 제공하는 스크린 하우징, 및 스크린 테이프의 단부와 이동부를 결속하며, 평행 슬릿 지지부를 따라 이동하는 스크레이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레일 어셈블리 {RAIL ASSEMBLY}
본 발명은 레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고 지속적인 배출이 가능한 레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시트 등의 이동 물체는 일정 경로를 따라 직선 이동을 할 수 있다. 이들 이동 물체의 이동을 위해 바닥에는 레일이 가설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레일에는 위로 개방된 가이드 슬릿이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먼지나 쓰레기 등의 이물질이 가이드 슬릿을 통해 레일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렇게 유입된 이물질들은 원활한 작동을 방해하거나 비위생적인 관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20768호에는 "시트레일의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에는 레일 커버의 가이드 슬릿을 스크린 부재로 차단하고, 그 내부의 롤러 등을 보호하는 내용이 설명되어 있다. 하지만, 스크린 부재가 가이드 슬릿을 따라 이동하면서 그 틈새로 이물질 등이 지속적으로 유입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 어떠한 해결책이 없다.
또한, 스크린 부재가 평판으로 제공되어 이물질을 특정 위치로 유도할 수 있는 기능이 없으며, 하이힐이 가이드 슬릿에 진입하여 빠지지 않는 경우도 발생할 수가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1-001800호(2001.1.9. 공개)에는 차량용 시트의 설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설치 구조도 레일 내부로 쓰레기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일을 따라 슬라이더가 움직이며 슬라이더의 전후단에 코일 스프링이 권취된 상태로 장착되어 상부로 개방된 가이드 슬릿을 차단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코일 스프링 역시 가이드 슬릿을 차단만 하고 있으며, 스크레이퍼로 이물질을 가이드 슬릿 바깥으로 퍼 올리는 기능을 하지만, 역시 스크레이퍼의 측면으로 빠지는 이물질은 제거할 수 없으며, 바깥으로 이물질을 퍼 올린다고 해도 이들은 다시 가이드 슬릿으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근본적인 해결이 될 수 없다.
또한, 하이힐과 같이 좁은 폭의 물체가 가이드 슬릿으로 침입하는 경우, 코일 스프링은 유효한 저항력을 제공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은 시트 등의 이동 물체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이물질을 일정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레일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스크린을 이용한 레일 어셈블리로서, 이동하는 부속과 스크린의 장착이 용이한 레일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스크린으로 가해지는 수직 힘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켜, 가이드 슬릿으로 뾰족한 물체가 진입하여도 유효한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는 레일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물체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어셈블리는, 이동 물체의 이동 경로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 슬릿 및 가이드 슬릿의 양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평행 슬릿 지지부를 포함하는 레일, 이동 물체와 함께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 레일의 양단부 중 적어도 일 단부에 장착되며, 볼록한 단면의 스크린 테이프를 제공하는 스크린 하우징, 및 스크린 테이프의 단부와 이동부를 결속하며, 평행 슬릿 지지부를 따라 이동하는 스크레이퍼를 포함한다.
스크린 테이프가 위로 볼록한 단면을 가짐으로써, 가이드 슬릿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1차적으로 차단되는 것은 물론, 가이드 슬릿 상에 정체된 이물질은 자연스럽게 스크린 테이프의 양측으로 이동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그리고 위로 볼록한 단면을 가진 스크린 테이프가 평행 슬릿 지지부에 의해서 지지됨으로써, 스크린 테이프가 위에서 눌려지더라도 하방으로 좌굴되지 않고 수직 힘에 대해서 유효한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크린 테이프는 곡면으로 성형된 메탈 테이프로 제공될 수 있으며, 스크레이퍼는 스크린 테이프의 형상에 대응하여 위로 볼록한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메탈 테이프로 제공됨으로써, 얇은 두께로 제공되는 것은 물론, 중앙으로 가해지는 수직 힘을 양측으로 분산시켜 효율적인 수직항력을 제공할 수 있다.
스크린 하우징은 스크린 테이프가 출입하도록 전방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 개구부보다 내측에 형성되어 개구부의 하부로 먼지 배출 경로를 형성하고 먼지 배출 경로로부터 내부를 차단하는 내부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볼록한 스크린 테이프에 의해서 양측으로 유도된 이물질은 이동부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스크레이퍼를 따라 스크린 하우징 쪽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일단 스크린 하우징으로 이동한 이물질은 스크린 테이프가 출입하는 개구부에서 스크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그전에 먼지 배출 경로를 따라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먼지 배출 경로와 스크린 하우징 내부 사이에는 내부 격벽이 형성되어, 먼지 배출 경로를 정의하는 것은 물론 하우징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로 볼록한 스크린 테이프를 지지하기 위해서, 개구부에는 스크린 테이프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된 정지 돌기가 제공될 수 있다. 정지 돌기는 스크린 테이프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은 물론, 스크레이퍼가 스크린 하우징의 개구부에서 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정지 돌기는 스크린 테이프가 이동부와 결속되지 않은 상태 또는 초기 상태에서 스크린 테이프가 스크린 하우징 내부로 들어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크린 테이프와 이동부를 결속하는 과정에서 스크레이퍼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스크린 테이프는 스크린 하우징의 내부에 감겨진 상태로 보관될 수 있으며, 스크린 하우징은 스크린 테이프를 외면에 감기 위한 릴 및 스크린 테이프를 감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내장할 수 있다. 스프링으로는 태엽 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릴은 스크린 하우징 내부에 보빈 형태로 제공되거나 스크린 하우징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된 고정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다.
스크레이퍼는 저면에 형성된 결속 홈을 포함하며, 이동부는 결속 홈에 대응하는 결속 돌기를 포함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이동부가 스크레이퍼에 밀착하는 과정에서 결속 돌기가 결속 홈에 결속됨으로써 스크레이퍼 및 스크린 테이프의 단부가 이동부에 용이하게 초기 장착 또는 결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레일 어셈블리는 시트 등의 이동 물체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이물질을 상부에서 아래로, 즉 일정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레일 어셈블리는 스크린으로 가이드 슬릿을 차단하는 레일 어셈블리로서, 이동하는 부속과 스크린 간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레일 어셈블리는 스크린으로 가해지는 수직 힘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켜, 가이드 슬릿으로 뾰족하거나 좁은 물체가 진입하여도 유효한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B-B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C-C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스크린 테이프와 이동부 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스크린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레일 어셈블리의 스크린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레일 어셈블리의 스크린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A-A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B-B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C-C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스크린 테이프와 이동부 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레일 어셈블리(100)는 이동 물체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용 시트(10) 등의 이동 물체에 결속될 수 있으며, 스크린 테이프(140)로 가이드 슬릿(112)을 차단하여 바닥으로 떨어진 이물질이 레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물체로서 차량용 시트(10)를 예시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정, 공장, 차량 등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크기로 다양한 이동 물체와 결속되어 사용될 수 있다.
레일 어셈블리(100)는 가이드 슬릿(112)이 형성된 레일(110),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120), 스크린 테이프(140)를 공급하는 스크린 하우징(130) 및 스크레이퍼(1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일(110)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슬릿(112)을 포함하며, 이를 위해 전체적으로 상방이 개방된 ㄷ-자 또는 C-자 형상의 몸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일(110)을 따라 이동부(120)가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이동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레일(110) 내부에 이동 물체(10)와 연결될 배선, 배선 가이드 등이 더 추가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슬릿(112)의 양측으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평행 슬릿 지지부(114)가 제공될 수 있다. 평행 슬릿 지지부(114)는 스크린 테이프(140) 또는 스크레이퍼(150)의 양측 모서리를 수용하는 홈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상부가 개방된 지지턱 형상으로도 제공될 수 있고, 외형적으로 별다른 구분 없이 스크린 테이프와 스크레이퍼의 양측 모서리를 지지하는 구조로도 제공될 수 있다.
레일(110) 내부로 이동부(12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부(120)는 큐브 형상으로 제공되지만, 결합되는 이동 물체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 및 연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동부(120)의 전면 및 후면으로 연장부(1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부(122)에는 각각 결속 돌기(124)가 상방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결속 돌기(124)는 각각 전방 및 후방으로 진입이 용이하도록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크린 테이프(140)의 단부 저면에 고정된 스크레이퍼(150)의 결속 홈(154)의 저면으로 진입하여 결속될 수 있다.
레일(110)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스크린 하우징(130)이 제공될 수 있으며, 스크린 하우징(130)은 이동부(120)와 결속될 수 있는 스크린 테이프(140)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린 테이프(140)는 스크린 하우징(130) 내부에서 감긴 상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동부(120)가 레일(110)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노출되는 가이드 슬릿(112)을 차단할 수 있도록 스크린 테이프(140)는 스크린 하우징(130)의 개구부(132)를 출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린 테이프(140)는 얇은 금속 테이프로 제공되며, 그 표면에 나일론 등의 코팅이 추가될 수가 있다. 외형적으로 스크린 테이프(140)는 전반적으로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굽어진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4의 (a)와 같이, 가이드 슬릿(112) 사이로 스크린 테이프(140)를 누르는 힘이 발생할 때, 평행 슬릿 지지부(114)에 의해서 양단 모서리가 지지됨으로써 스크린 테이프(140)가 좌굴 없이 누르는 힘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와 같이, 스크린 테이프(140) 위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이면 점차적으로 이물질은 스크린 테이프(140)의 양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자연스럽게 양측으로 이동한 이물질은, 도 5에 도시된 스크레이퍼(150)의 양단부에 의해서 어느 일측으로 밀려 이동할 수 있다.
금속 테이프로 형성된 스크린 테이프(140)는 스크린 하우징(130) 내에서 권취될 때에는 평평하게 펴진 상태로 권취될 수 있으며, 개구부(132)에서 나오면서 원래의 볼록하게 굽어진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도 7을 보면, 이동부(120)에 스크린 테이프(140)를 결착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이동부(120)는 결속 돌기(124)가 형성된 연장부(122)를 전후에 포함하며, 레일(1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스크린 테이프(140)가 결속되지 않는 초기 상태 또는 분리된 상태에서 스크레이퍼(150)는 스크린 테이프(140)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스크린 테이프(140)의 안쪽 단부는 스프링(160)에 의해 결속되어 안쪽으로 감기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스프링(160)은 스크린 테이프(140)가 안쪽으로 감기도록 회전시킬 수 있으며, 스크린 하우징(130)의 내부에 형성된 릴 돌기의 외면에 스크린 테이프(140)가 감긴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a)를 보면, 스크레이퍼(150)가 스크린 하우징(130)의 개구부(132)에 의해서 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정지 돌기(139)가 외벽에 형성되어 스크레이퍼(150) 및 스크린 테이프(140)의 단부가 스크린 하우징(130) 내부로 들어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부(120)는 반대쪽 스크린 테이프(140)와 결속된 상태에서 아직 결합되지 않은 스크린 하우징(130)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부(120)의 결속 돌기(124)가 스크레이퍼(150)의 저면을 타고 진입하여 결속 홈(154)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120)가 반대로 이동하면, 이동부(120)의 연장부(122)과 스크레이퍼(150)는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면 같이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부(120)를 스크린 하우징(130)에 밀착하고 분리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이동부(120)와 스크린 테이프(140)를 용이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
스크린 하우징(130)은 스크린 테이프(140)가 출입하도록 전방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132), 개구부(132)보다 내측에 형성되어 개구부(132)의 하부로 먼지 배출 경로(134)를 형성하고 먼지 배출 경로(134)로부터 내부(138)를 차단하는 내부 격벽(136)을 포함할 수 있다.
볼록하게 굴곡진 스크린 테이프(140)에 의해서 양측으로 유도된 이물질은 이동부(120)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스크레이퍼(150)와 함께 스크린 하우징(130) 쪽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일단 스크린 하우징(130)으로 이동한 이물질은 스크레이퍼(150)가 개구부(132)에 진입할 때 스크린 하우징(130)의 내부(138)로 유입되지 않고, 그전에 내부 격벽(136)에 의해 차단되어 먼지 배출 경로(134)를 따라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내부 격벽(136)은 먼지 배출 경로(134)와 스크린 하우징(130)의 내부(138) 사이에 형성되며, 먼지 배출 경로(134)를 정의하는 것은 물론 하우징의 내부(138)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로 볼록한 스크린 테이프(140)를 지지하기 위해서, 개구부(132)에는 스크린 테이프(14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는 정지 돌기(139)가 형성될 수 있다. 정지 돌기(139)는 스크린 테이프(14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도 7의 (a)와 같이, 스크레이퍼(150)가 스크린 하우징(130)의 내부(138)로 들어가지 않고 개구부(132)에서 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스크린 테이프(140)는 스크린 하우징(130)의 내부에 감겨진 상태로 보관될 수 있으며, 스크린 하우징(130)은 스크린 테이프(140)를 외면에 감기 위한 릴 및 스크린 테이프(140)를 감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60)을 내장할 수 있다. 물론, 스크린 테이프가 릴 주변에 감겨지지 않고 구겨지거나 절곡되어 보관될 수 있고, 레일 등의 다른 부속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하지만,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테이프를 감아서 보관하는 경우, 작은 부피를 차지하는 것은 물론 스프링에 의해 지속적인 복원력이 제공되어 스크린 테이프의 들뜸이나 느슨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스프링(160)으로는 태엽 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릴은 스크린 하우징(130) 내부에서 별도의 보빈 형태로 제공되거나 스크린 하우징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된 고정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레일 어셈블리의 스크린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9의 레일 어셈블리의 스크린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레일 어셈블리(200)는 차량용 시트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크린 테이프(240)로 가이드 슬릿을 차단하여 바닥으로 떨어진 이물질이 레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체 차량용 시트에 대응하여 이동부(220)는 복수의 장착공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레일(210), 이동부(220), 스크린 하우징(230), 스크린 테이프(240), 스크레이퍼(250) 등에 대한 설명은 위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도 9에서 스크린 테이프(240)와 스크레이퍼(250)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아직 이동부(220)와 결속되지 않은 상태이고, 도 7과 같이, 이동부(220)를 레일(210)의 양끝으로 한번씩 이동시킴으로써 이동부(220)의 결속 돌기와 스크레이퍼(250)의 결속 홈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레일(210)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슬릿(212)을 포함하며, 이를 위해 전체적으로 상방이 개방된 ㄷ-자 또는 C-자 형상의 몸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일(210)을 따라 이동부(220)가 수용되어 이동하며, 레일(210)의 내부로는 이동부(220)가 베어링이나 롤러 등을 이용하여 구름 이동할 수 있으며, 차량용 시트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나 팬 등과 연결될 수 있는 배선, 배선 가이드 등이 같이 내장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린 테이프(240)는 얇은 금속 테이프로 제공되며, 스크린 테이프(240)는 스크린 하우징(230) 내부에서 감겨지거나(wound) 풀어짐으로써(unwound) 스크린 하우징(230) 밖으로 인출될 수 있다. 여기서도 스크린 테이프(240)는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굽어진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스크린 하우징(230)은 스크린 테이프(240)가 출입하도록 전방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232), 개구부(232)보다 내측에 형성되어 개구부(232)의 하부로 먼지 배출 경로(234)를 형성하고 먼지 배출 경로(234)로부터 내부를 차단하는 내부 격벽(236)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 하우징(230)으로 이동한 이물질은 스크레이퍼(250)가 개구부(232)에 진입할 때 스크린 하우징(23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그전에 내부 격벽(236)에 의해 차단되어 먼지 배출 경로(234)를 따라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내부 격벽(236)은 먼지 배출 경로(234)와 스크린 하우징(230)의 내부(238) 사이에 형성되며, 먼지 배출 경로(234)를 정의하는 것은 물론 하우징의 내부(238)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크린 하우징(230)의 내부로는 태엽 스프링 등이 내장될 수 있으며, 릴은 스크린 하우징(230) 내부에서 별도의 보빈 형태로 제공되어 스프링에 의해 테이프를 감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레일 어셈블리 110 : 레일
120 : 이동부 130 : 스크린 하우징
140 : 스크린 테이프 150 : 스크레이퍼
160 : 스프링

Claims (6)

  1. 이동 물체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이동 물체의 이동 경로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 슬릿 및 상기 가이드 슬릿의 양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평행 슬릿 지지부를 포함하는 레일;
    상기 이동 물체와 함께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레일의 양단부 중 적어도 일 단부에 장착되며, 볼록한 단면의 스크린 테이프를 제공하는 스크린 하우징; 및
    상기 스크린 테이프의 단부와 상기 이동부를 결속하며, 상기 평행 슬릿 지지부를 따라 이동하는 스크레이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 하우징은 상기 스크린 테이프가 출입하도록 전방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 상기 개구부보다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의 하부로 먼지 배출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먼지 배출 경로로부터 내부를 차단하는 내부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레이퍼에 의해서 상기 스크린 하우징 쪽으로 이동한 이물질이 상기 스크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기 전에 상기 먼지 배출 경로를 통해 상기 레일 어셈블리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서 상기 스크린 테이프의 저면을 지지하며, 상기 스크레이퍼를 상기 스크린 하우징에 대해 저지하는 정지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테이프는 상기 스크린 하우징의 상기 내부에 감겨진 상태로 보관되며,
    상기 스크린 하우징은 상기 스크린 테이프를 외면에 감기 위한 릴 및 상기 스크린 테이프를 감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4. 이동 물체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이동 물체의 이동 경로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 슬릿 및 상기 가이드 슬릿의 양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평행 슬릿 지지부를 포함하는 레일;
    상기 이동 물체와 함께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레일의 양단부 중 적어도 일 단부에 장착되며, 볼록한 단면의 스크린 테이프를 제공하는 스크린 하우징; 및
    상기 스크린 테이프의 단부와 상기 이동부를 결속하며, 상기 평행 슬릿 지지부를 따라 이동하는 스크레이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레이퍼는 저면에 형성된 결속 홈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결속 홈에 대응하는 결속 돌기를 포함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가 상기 스크레이퍼에 밀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결속 돌기가 상기 결속 홈에 결속됨으로써 상기 스크레이퍼 및 상기 스크린 테이프의 단부가 상기 이동부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5. 이동 물체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이동 물체의 이동 경로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 슬릿 및 상기 가이드 슬릿의 양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평행 슬릿 지지부를 포함하는 레일;
    상기 이동 물체와 함께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레일의 양단부 중 적어도 일 단부에 장착되며, 볼록한 단면의 스크린 테이프를 제공하는 스크린 하우징; 및
    상기 스크린 테이프의 단부와 상기 이동부를 결속하며, 상기 평행 슬릿 지지부를 따라 이동하는 스크레이퍼;를 포함하고,
    상기 평행 슬릿 지지부는 상기 스크린 테이프 또는 상기 스크레이퍼의 양측 모서리를 수용하는 홈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테이프는 곡면으로 성형된 메탈 테이프로 제공되며, 상기 스크레이퍼는 상기 스크린 테이프의 형상에 대응하여 위로 볼록한 상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KR1020200137303A 2020-10-22 2020-10-22 레일 어셈블리 KR102427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303A KR102427438B1 (ko) 2020-10-22 2020-10-22 레일 어셈블리
PCT/IB2021/058678 WO2022084768A1 (ko) 2020-10-22 2021-09-23 레일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303A KR102427438B1 (ko) 2020-10-22 2020-10-22 레일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169A KR20220053169A (ko) 2022-04-29
KR102427438B1 true KR102427438B1 (ko) 2022-08-01

Family

ID=81290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303A KR102427438B1 (ko) 2020-10-22 2020-10-22 레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27438B1 (ko)
WO (1) WO20220847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214879A1 (de) 2021-08-31 2023-03-02 Adient Us Llc Abdeckvorrichtung zur abdeckung einer schiene eines längseinstellers, längseinsteller für einen fahrzeugsitz, sowie fahrzeugsitz
DE102022205667A1 (de) 2021-12-22 2023-06-22 Adient Us Llc Schienenanordnung mit einer Abdeckvorrichtung
WO2023119143A1 (de) 2021-12-22 2023-06-29 Adient Us Llc Schienenanordnung mit einer abdeckvorrichtung und fahrzeu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1800A (ja) * 1999-06-16 2001-01-09 Ikeda Bussan Co Ltd 車両用シートの取付構造
JP2003039994A (ja) 2001-07-27 2003-02-13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 シートスライド装置におけるスイーパーの取付構造
JP2005008065A (ja) 2003-06-19 2005-01-13 Nhk Spring Co Ltd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レール構造
JP2012201268A (ja) 2011-03-25 2012-10-22 Toyota Boshoku Corp スライドレール構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4084A (en) * 1989-03-16 1992-04-14 Shiroki Corporation Seat-sliding device for front seat of vehicle
JP3016351B2 (ja) * 1995-05-22 2000-03-06 池田物産株式会社 自動車シート用スライダ
KR101046608B1 (ko) * 2009-05-07 2011-07-06 주식회사다스 시트레일의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JP2018008602A (ja) * 2016-07-13 2018-01-18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シート用スライド装置
JP2019093743A (ja) * 2017-11-17 2019-06-2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構造
KR102157217B1 (ko) * 2018-12-19 2020-09-18 주식회사 베바스토코리아홀딩스 파노라마 선루프 작동부하 경감을 위한 리어레일 및 상기 리어레일 내 이물질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1800A (ja) * 1999-06-16 2001-01-09 Ikeda Bussan Co Ltd 車両用シートの取付構造
JP2003039994A (ja) 2001-07-27 2003-02-13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 シートスライド装置におけるスイーパーの取付構造
JP2005008065A (ja) 2003-06-19 2005-01-13 Nhk Spring Co Ltd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レール構造
JP2012201268A (ja) 2011-03-25 2012-10-22 Toyota Boshoku Corp スライドレール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84768A1 (ko) 2022-04-28
KR20220053169A (ko) 202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7438B1 (ko) 레일 어셈블리
US7238029B2 (en) Power-supply device
US9308833B2 (en) Harness wiring apparatus
EP2476589B1 (en) Wire harness routing device
EP2400615A1 (en) Electrical wire routing device
KR100221210B1 (ko) 초오크 라인 릴
EP1777117B1 (en) Installation apparatus
US20060254800A1 (en) Electric supply device
US3811703A (en) Safety belt protector
JP2001001800A (ja) 車両用シートの取付構造
KR20220133840A (ko) 레일 어셈블리
KR20230096471A (ko) 레일 어셈블리
JP6156457B2 (ja) スライドシート用のワイヤハーネス配索装置
KR102637061B1 (ko) 레일 어셈블리
KR20230096472A (ko) 레일 어셈블리
JP4230405B2 (ja) キャリアプレ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KR20020082602A (ko) 자동차의 러기지 룸 스크린
JP2010143276A (ja) スライド装置
JPH0751406Y2 (ja) 車両の受動安全ベルト用の駆動バンドの貯留装置
JP5208525B2 (ja) キャリアプレート
KR20220000649U (ko)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 및 푸쉬 프레임 스토퍼
JPH0899584A (ja) 車両用グラブボックス
KR970010333A (ko) 원박스형 자동차의 화물 적재 장치
JPH0539968U (ja) インクリボンカセツト
JP2013141844A (ja) 異物排出構造及び電線配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