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6608B1 - 시트레일의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시트레일의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6608B1
KR101046608B1 KR1020090039576A KR20090039576A KR101046608B1 KR 101046608 B1 KR101046608 B1 KR 101046608B1 KR 1020090039576 A KR1020090039576 A KR 1020090039576A KR 20090039576 A KR20090039576 A KR 20090039576A KR 101046608 B1 KR101046608 B1 KR 101046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oupled
screen
blocking devic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0768A (ko
Inventor
김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090039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6608B1/ko
Publication of KR20100120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레일의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동레일(5)의 슬라이드 이동에 상관없이 상기 이동레일(5)의 전후방쪽에 위치한 레일커버(11) 사이의 틈새(11a) 및 고정레일(3)의 상부 틈새(3b)가 스크린부재(70)에 의해 함께 완전히 밀폐된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먼지나 흙 등의 이물질이 상기 고정레일(3)의 레일홈(3a)속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고, 이 결과 이물질로 인한 롤러부재(9)의 파손 예방 및 더 나아가 시트레일(1)의 전체적인 내구성 증대를 통해 시트레일(1)의 사용수명 연장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시트레일, 고정레일, 이물질, 스크린

Description

시트레일의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dust intrusion of seat rail}
본 발명은 고정레일속으로 먼지나 흙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시트레일의 이물질유입 차단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는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데, 이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시트레일(1)이다.
상기 시트레일(1)은 플로어패널에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레일(3)과, 상기 고정레일(3)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고정레일(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면서 시트쿠션에 구비된 브라켓(미도시)과 고정 결합되는 이동레일(5)과, 상기 고정레일(3)에 대한 상기 이동레일(5)의 자유로운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레일(5)에 구비된 로크기구(7)와, 상기 고정레일(3)에 대한 상기 이동레일(5)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레일(5)에 결합되면서 상기 고정레일(3)에 구비된 레일홈(3a)속으로 삽입 설치되는 다수개의 롤러부재(9)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레일(3)의 상단 좌우측에 각각 덮여져서 상기 고정레일(3)의 상부 틈새(3b)를 부분적으로 밀폐시키고 외관미를 향상시키는 한 쌍의 레일커버(11)와, 상기 레일커버(11)의 고정 및 상기 고정레일(3)의 측방향 벌어짐을 구속하기 위해 상기 고정레일(3)의 밑면과 양쪽의 측면을 외측에서 감싸면서 리벳(13a)을 매개로 상기 고정레일(3)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레일클립(13)과, 상기 고정레일(3)의 양끝단에 각각 끼워져서 볼트(15a)와 너트(15b)에 의해 상기 고정레일(3)에 결합되는 한 쌍의 스토퍼브라켓(15)과, 상기 스토퍼브라켓(15)의 상단에 각각 덮여지도록 스크류(17a)를 매개로 스토퍼브라켓(15)과 결합되어 설치되면서 상기 레일커버(11)의 양단을 눌러서 지지하는 스토퍼캡(1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시트레일(1)은, 상기 레일커버(11)가 상기 고정레일(3)의 상부 틈새(3b)를 완전히 밀폐시키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밀폐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레일커버(11) 사이의 틈새(11a)와 상기 고정레일(3)의 상부 틈새(3b)를 통해 먼지나 흙 등의 이물질들이 상기 고정레일(3)의 레일홈(3a)속으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로, 상기 레일커버(11)가 상기 고정레일(3)의 상부 틈새(3b)를 완전히 밀폐시키는 구조이면, 상기 이동레일(5)이 상기 고정레일(3)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없으므로, 상기 레일커버(11)는 상기 고정레일(3)의 상부 틈새(3b)를 완전히 밀폐시키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밀폐시킬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고정레일(3)의 레일홈(3a)속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장기간 축적되면, 결과적으로 롤러부재(9)의 파손을 초래하게 되는 새로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물질이 고정레일의 상부 틈새를 통해 상기 고정레일의 레일홈속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여, 이물질로 인한 롤러부재의 파손을 예방함과 더불어 더 나아가 내구성 증대를 통해 시트레일의 사용수명 연장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시트레일의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시트레일의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는, 고정레일의 단부에 결합된 스토퍼브라켓에 결합되어 설치되면서 슬릿모양으로 절개된 인출구를 구비한 스크린하우징과; 회전축부재의 일단과 결합되면서 상기 스크린하우징내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부재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부재와; 상기 회전축부재의 타단이 관통하도록 상기 회전축부재에 끼워지면서 상기 스크린하우징의 개구된 구멍을 막아 상기 드럼부재가 상기 스크린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우징커버부재와; 상기 하우징커버부재를 관통한 상기 회전축부재의 타단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커버부재에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부재를 복귀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와; 일단은 상기 드럼부재의 바깥 둘레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스크린하우징의 인출구를 통해 일출되어 이동레일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동레일의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드럼부재에 감김과 풀림이 반복되면서 상기 고정레일이 상부 틈새를 밀폐시키는 스 크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시트레일은, 이동레일의 슬라이드 이동에 상관없이 상기 이동레일의 전후방쪽에 위치한 레일커버 사이의 틈새 및 고정레일의 상부 틈새가 스크린부재에 의해 함께 완전히 밀폐된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먼지나 흙 등의 이물질이 상기 고정레일의 레일홈속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고, 이 결과 이물질로 인한 롤러부재의 파손 예방 및 더 나아가 시트레일의 전체적인 내구성 증대를 통해 시트레일의 사용수명 연장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레일(1)은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어패널에 양단이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레일(3)과, 상기 고정레일(3)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고정레일(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이동레일(5)과, 상기 고정레일(3)에 대한 상기 이동레일(5)의 자유로운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레일(5)에 구비된 로크기구(7)와, 상기 고정레일(3)에 대한 상기 이동레일(5)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레일(5)에 결합되면서 상기 고정레일(3)에 구비된 레일홈(3a)속으로 삽입 설치되는 다수개의 롤러부재(9)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레일(3)의 상단 좌우측에 각각 덮여져서 외관미를 향상시키 는 한 쌍의 레일커버(11)와, 상기 레일커버(11)의 고정 및 상기 고정레일(3)의 측방향 벌어짐을 구속하기 위해 상기 고정레일(3)의 밑면과 양쪽의 측면을 외측에서 감싸면서 리벳(13a)을 매개로 상기 고정레일(3)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레일클립(13)과, 상기 고정레일(3)의 양끝단에 각각 끼워져서 볼트(15a)와 너트(15b)에 의해 상기 고정레일(3)에 결합되는 한 쌍의 스토퍼브라켓(15)과, 상기 스토퍼브라켓(15)의 상단에 각각 덮여지도록 스크류(17a)를 매개로 스토퍼브라켓(15)과 결합되어 설치되면서 상기 레일커버(11)의 양단을 눌러서 지지하는 스토퍼캡(1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레일(1)은 먼지나 흙 등의 이물질들이 상기 고정레일(3)의 레일홈(3a)속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는, 상기 고정레일(3)의 양쪽 단부에 결합된 스토퍼브라켓(15)에 각각 결합되어 설치되면서 슬릿모양으로 절개된 인출구(21a)를 구비한 스크린하우징(20)과, 회전축부재(30)의 일단과 결합되면서 상기 스크린하우징(20)내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부재(30)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부재(40)와, 상기 회전축부재(30)의 타단이 관통하도록 상기 회전축부재(30)에 끼워지면서 상기 스크린하우징(20)의 개구된 구멍을 막아 상기 드럼부재(40)가 상기 스크린하우징(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우징커버부재(50)와, 상기 하우징커버부재(50)를 관통한 상기 회전축부재(30)의 타단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커버부재(50)에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부재(30)를 복귀시키도록 탄성력 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60)와, 일단은 상기 드럼부재(40)의 바깥 둘레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스크린하우징(20)의 인출구(21a)를 통해 일출되어 이동레일(5)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동레일(5)의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드럼부재(40)에 감김과 풀림이 반복되면서 상기 고정레일(3)의 상부 틈새(3b)를 밀폐시키는 스크린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하우징(20)은 상기 고정레일(3)의 양쪽 단부에 결합된 상기 스토퍼브라켓(15)에 각각 결합되어 설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레일(5)의 상부에는 이동레일브라켓(80)이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스크린부재(70)는 상기 이동레일브라켓(80)의 양쪽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이동레일(5)과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스크린부재(70)는 상기 이동레일(5)을 기준으로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모두 위치하게 설치된 구조이며,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고정레일(3)의 상부 틈새(3b)를 모두 밀폐시킬 수 있게 되어, 이물질의 유입통로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크린하우징(20)은, 상기 드럼부재(40)가 삽입되도록 일단이 개구되고 상기 하우징커버부재(50)가 결합되어 개구된 일단이 밀폐되며 개구된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 절개된 슬릿모양의 인출구(21a)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드럼설치부(21)와, 상기 드럼설치부(21)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브라켓(15)을 상기 고정레일의 단부에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15a)가 관통하는 하우징결합부(23)로 구성된다.
상기 드럼설치부(21)는 상기 드럼부재(40)와 형상이 동일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드럼부재(40)가 상기 드럼설치부(21)속에서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드럼부재(40)에는 양측면의 중앙을 관통하는 축구멍(41)이 형성되고, 상기 축구멍(41)에는 상기 축구멍(41)을 지름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결합편(43)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부재(30)는 돌기부(31)를 기준으로 일측에 드럼결합부(33)와 타측에 스프링결합부(3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돌기부(31)는 상기 드럼결합부(33)가 상기 드럼부재(40)의 축구멍(41)을 충분히 관통할 수 있는 길이를 갖출 수 있게 상기 회전축부재(30)의 길이방향 중간위치에서 일측방향으로 치우쳐진 위치에 상기 드럼결합부(33) 및 상기 스프링결합부(35)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드럼결합부(33)에는 상기 드럼부재(40)의 결합편(43)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편끼움홈(33a)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결합부(35)에는 상기 스프링부재(60)의 일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스프링끼움홈(35a)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편끼움홈(33a)과 상기 스프링끼움홈(35a)은 상기 돌기부(31)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축부재(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드럼결합부(33)의 단부와 상기 스프링결합부(35)의 단부를 향해 각각 개구되도록 절개된 홈이다.
상기 회전축부재(30)의 드럼결합부(33)가 상기 드럼부재(40)의 축구멍(41)으로 끼워질 때, 상기 드럼부재(40)의 결합편(43)이 상기 결합편끼움홈(33a)으로 끼워지면, 상기 회전축부재(30)와 상기 드럼부재(40)는 보다 확실한 결합이 이루어지 게 됨으로써, 보다 원활한 동작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결합편(43)과 상기 결합편끼움홈(33a)의 결합은 틈새가 없도록 억지 끼움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커버부재(5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데, 일측면은 중앙에 구멍만이 형성된 밀폐구조이고, 타측면은 완전히 개방된 구조이다.
상기 하우징커버부재(50)의 일측면에 형성된 구멍으로는 상기 회전축부재(30)의 스프링결합부(35)만이 관통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부재(60)는 태엽스프링으로 상기 하우징커버부재(50)속으로 수납되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부재(60)의 일단은 기역(ㄱ)자 모양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부위는 상기 스프링결합부(35)의 스프링끼움홈(35a)으로 억지 끼움으로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부재(60)의 타단은 상기 하우징커버부재(50)의 내주면 소정부위에 일체로 고정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커버부재(50)에서 개구된 측면은 스프링커버부재(90)가 결합되어 밀폐시키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하우징커버부재(50)속에 수납된 상기 스프링부재(60)는 상기 하우징커버부재(50)로부터 이탈되지 못하게 된다.
상기 고정레일(3)의 상단에 안착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레일커버(11)에는 각각 스크린가이드홈(11b)이 형성된다.
상기 스크린가이드홈(11b)은 상기 레일커버(11)에서 상기 고정레일(3)의 상부 틈새(3b)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 대하는 안쪽 측면으로 개구되면서 차체의 전 후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부재(70)는 양쪽의 측면이 각각 상기 스크린가이드홈(11b)속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스크린부재(70)는 상기 레일커버(11) 사이의 틈새(11a) 및 상기 고정레일(3)의 상부 틈새(3b)를 함께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스크린부재(70)에서 상기 드럼부재(40)와 결합되지 않은 반대쪽 끝단이 고리모양으로 형성된 후크와이어(100)를 매개로 상기 이동레일브라켓(80)과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레일브라켓(80)에서 차체의 전후방향을 향한 양쪽 단에는 상기 후크와이어(100)가 걸려져 결합되기 위한 후크고리(81)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후크와이어(100)는 상기 스크린부재(70)와 상기 이동레일브라켓(80)의 연결을 보다 견고히 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이동레일브라켓(80)에는 시트쿠션과 결합된 시트쿠션브라켓(110)이 결합되고, 상기 시트쿠션브라켓(110)에는 상기 이동레일브라켓(80)과 상기 이동레일(5)의 바깥쪽 측면 및 상기 후크고리(81)가 위치한 양쪽 단부를 감싸서 외관미를 향상시키는 래그커버(120)가 결합된다.
상기 래그커버(120)에서 차체의 전후방향을 위치한 양쪽 단부에는 상기 후크고리(81)에 걸려진 상기 후크와이어(100)를 상기 후크고리(81)쪽으로 밀착시켜서 상기 후크고리(81)로부터 상기 후크와이어(10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래그 커버도어(130)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래그커버도어(130)의 양쪽 측면에는 상기 래그커버(120)의 안쪽면에 걸려져서 상기 래그커버도어(130)의 밀폐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도어후크(131)가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도어후크(131)는 끝단이 외측으로 돌출된 삼각 화살촉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래그커버(120)에 밀폐시 상기 래그커버(120)의 안쪽면에 걸려져서 결합된다.
상기 도어후크(131)는 약간의 힘으로 탄력적인 휘어짐이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래그커버(120)로부터 상기 래그커버도어(130)의 개방동작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래그커버도어(130)의 안쪽면에는 상기 래그커버도어(130)가 상기 래그커버(120)에 밀폐된 상태일 때 상기 후크와이어(100)의 일단을 상기 후크고리(81)쪽으로 가압하는 도어로드(13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도어로드(133)는 끝단이 기역(ㄱ)자 모양으로 절개되어 상기 래그커버(120)의 밀폐 상태시 상기 후크와이어(100)의 일단과 완전한 밀착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래그커버도어(130)의 상단부는 탄력적으로 휘어짐이 가능한 도어플랜지(135)를 매개로 상기 래그커버(12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 래그커버도어(130)의 회전동작을 위해 힌지축이나 또는 경첩과 같은 다른 형태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도어플랜지(135)를 사용하게 되면, 원가 절감 및 중량 감소에 큰 도움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트레일(1)은 이동레일(5)이 도 3의 상태에서 차체의 전방쪽을 슬라이드 이동을 하게 되면, 상기 이동레일(5)을 기준으로 전방쪽에 위치한 스크린부재(70)는 드럼부재(40)에 감겨지게 되고, 상기 이동레일(5)을 기준으로 후방쪽에 위치한 스크린부재(70)는 드럼부재(40)로부터 풀려지게 됨으로써, 상기 이동레일(5)의 전후방쪽 틈새(3b,11a)를 모두 밀폐시키게 된다.
또한, 이동레일(5)이 도 3의 상태에서 차체의 후방쪽을 슬라이드 이동을 할 때에도 스크린부재(70)는 상기와 같이 감김과 풀림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본 발명의 시트레일(1)은 상기 이동레일(5)의 슬라이드 이동에 상관없이 상기 이동레일(5)의 전후방쪽에 위치한 상기 레일커버(11) 사이의 틈새(11a) 및 상기 고정레일(3)의 상부 틈새(3b)를 함께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본 발명의 시트레일(1)은 먼지나 흙 등의 이물질이 고정레일(3)의 상부 틈새(3b)를 통해 상기 고정레일(3)의 레일홈(3a)속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이물질로 인한 롤러부재(9)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시트레일(1)의 전체적인 내구성 증대를 통해 시트레일(1)의 사용수명 연장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시트레일을 설명하기 위한 결합상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를 구비한 시트레일의 결합상태 사시도와 평면도 및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4의 Ⅰ-Ⅰ선 단면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래그커버와 래그커버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시트레일 3 - 고정레일
5 - 이동레일 15 - 스토퍼브라켓
20 - 스크린하우징 30 - 회전축부재
40 - 드럼부재 50 - 하우징커버부재
60 - 스프링부재 70 - 스크린부재
80 - 이동레일브라켓 90 - 스프링커버부재

Claims (10)

  1. 고정레일(3)의 단부에 결합된 스토퍼브라켓(15)에 결합되어 설치되면서 슬릿모양으로 절개된 인출구(21a)를 구비한 스크린하우징(20)과;
    회전축부재(30)의 일단과 결합되면서 상기 스크린하우징(20)내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부재(30)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부재(40)와;
    상기 회전축부재(30)의 타단이 관통하도록 상기 회전축부재(30)에 끼워지면서 상기 스크린하우징(20)의 개구된 구멍을 막아 상기 드럼부재(40)가 상기 스크린하우징(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우징커버부재(50)와;
    상기 하우징커버부재(50)를 관통한 상기 회전축부재(30)의 타단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커버부재(50)에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부재(30)를 복귀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60)와;
    일단은 상기 드럼부재(40)의 바깥 둘레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스크린하우징(20)의 인출구(21a)를 통해 일출되어 이동레일(5)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동레일(5)의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드럼부재(40)에 감김과 풀림이 반복되면서 상기 고정레일(3)의 상부 틈새(3b)를 밀폐시키는 스크린부재(70);를 포함하는 시트레일의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하우징(20)은,
    상기 드럼부재(40)가 삽입되도록 일단이 개구되고 상기 하우징커버부재(50)가 결합되어 개구된 일단이 밀폐되며 개구된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 절개된 슬릿모양의 상기 인출구(21a)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드럼설치부(21)와;
    상기 드럼설치부(21)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브라켓(15)을 상기 고정레일의 단부에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15a)가 관통하는 하우징결합부(23);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레일의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60)는 상기 하우징커버부재(50)속으로 수납되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커버부재(50)에는 상기 하우징커버부재(50)로부터 상기 스프링부재(6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프링커버부재(90)가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레일의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하우징(20)은 상기 고정레일(3)의 양쪽 단부에 결합된 스토퍼브라켓(15)에 각각 결합되어 설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레일(5)의 상부에는 이동레일브라켓(80)이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스크린부재(70)는 상기 이동레일브라켓(80)의 양쪽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이동레일(5)과 연결되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레일의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3)의 상단 좌우측에는 레일커버(11)가 각 각 안착되어 설치되는데, 상기 레일커버(11)에는 상기 고정레일(3)의 상부 틈새(3b)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 대하는 안쪽 측면으로 개구되면서 차체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된 스크린가이드홈(11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부재(70)는 양쪽 측면이 각각 상기 스크린가이드홈(11b)속으로 삽입되어서 상기 고정레일(3)의 상부 틈새(3b)를 밀폐시키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레일의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재(70)는 고리모양으로 형성된 후크와이어(100)를 매개로 상기 이동레일브라켓(80)과 결합되고;
    상기 이동레일브라켓(80)에는 상기 후크와이어(100)가 걸려져 결합되기 위한 후크고리(81)가 일체로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레일의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브라켓(80)에는 시트쿠션과 결합된 시트쿠션브라켓(110)이 결합되고;
    상기 시트쿠션브라켓(110)에는 상기 이동레일브라켓(80)과 상기 이동레일(5)의 바깥쪽 측면 및 상기 후크고리(81)가 위치한 양쪽 단부를 감싸서 외관미를 향상시키는 래그커버(120)가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레일의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래그커버(120)에서 차체의 전후방향을 위치한 양쪽 단부에는 상기 후크고리(81)에 걸려진 상기 후크와이어(100)를 상기 후크고리(81)쪽으로 밀착시켜서 상기 후크고리(81)로부터 상기 후크와이어(10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래그커버도어(130)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레일의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래그커버도어(130)의 양쪽 측면에는 상기 래그커버(120)의 안쪽면에 걸려져서 상기 래그커버도어(130)의 밀폐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도어후크(131)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래그커버도어(130)의 안쪽면에는 상기 래그커버도어(130)가 밀폐상태일 때 상기 후크와이어(100)의 일단을 상기 후크고리(81)쪽으로 가압하는 도어로드(133)가 일체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레일의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래그커버도어(130)의 상단부는 탄력적으로 휘어짐이 가능한 도어플랜지(135)를 매개로 상기 래그커버(12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레일의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KR1020090039576A 2009-05-07 2009-05-07 시트레일의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KR101046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576A KR101046608B1 (ko) 2009-05-07 2009-05-07 시트레일의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576A KR101046608B1 (ko) 2009-05-07 2009-05-07 시트레일의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768A KR20100120768A (ko) 2010-11-17
KR101046608B1 true KR101046608B1 (ko) 2011-07-06

Family

ID=43406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576A KR101046608B1 (ko) 2009-05-07 2009-05-07 시트레일의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660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457B1 (ko) 2013-10-04 2014-09-17 박재수 차량용 시트레일 이물질 제거장치
KR20190064751A (ko) 2017-12-01 2019-06-11 박승만 웹크리너 필름롤
GB2576505A (en) * 2018-08-20 2020-02-26 Thompson Aero Seating Ltd Slide assembly with deployable cover
KR20200065312A (ko) 2018-11-30 2020-06-09 아이탑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 파워시트의 안티핀치 검출제어 방법 및 안티핀치 검출제어 시스템
KR20200065302A (ko) 2018-11-30 2020-06-09 아이탑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 파워시트의 안티핀치 검출제어 방법 및 안티핀치 검출제어 시스템
KR20230151860A (ko) 2022-04-26 2023-11-02 (주)제이에이테크 동작안정성과 내구성이 겸비된 자동차 시트레일 커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06862A1 (de) 2014-04-09 2015-10-1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Baugruppe eines Fahrzeugsitzes mit einer Befestigungseinrichtung
JP6101719B2 (ja) * 2015-02-18 2017-03-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レール構造
KR102474365B1 (ko) * 2017-12-12 2022-12-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시트 레일 조립체의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KR101950649B1 (ko) * 2018-10-12 2019-02-20 이미선 캠핑 차량용 실내 주방 가구 이송장치
KR102155856B1 (ko) * 2019-10-29 2020-09-15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이동 레일 구조체
KR102273872B1 (ko) * 2020-01-17 2021-07-06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시트레일의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KR102333936B1 (ko) * 2020-06-29 2021-12-0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 레일의 개방통로 커버링 장치
KR102427438B1 (ko) * 2020-10-22 2022-08-01 주식회사코메론 레일 어셈블리
KR20220060244A (ko) * 2020-11-04 2022-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레일
KR102495109B1 (ko) * 2020-11-18 2023-02-06 주식회사코메론 레일 어셈블리
KR102446034B1 (ko) * 2020-11-20 2022-09-23 주식회사 다스 차량 시트레일의 이물질 차단장치 및 그 조립방법
DE102021111061A1 (de) 2021-04-29 2022-11-03 Faurecia Autositze Gmbh Schienensystem für einen Fahrzeugsitz
KR102339501B1 (ko) * 2021-07-22 2021-12-15 대원정밀공업(주) 자동차 롱슬라이드용 더스트 커버장치
KR102571427B1 (ko) * 2021-09-27 2023-08-28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레일 보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일
KR102637061B1 (ko) * 2021-12-23 2024-02-15 주식회사코메론 레일 어셈블리
KR20240014161A (ko) 2022-07-25 2024-02-01 홍춘강 이송장치의 홀 마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1800A (ja) * 1999-06-16 2001-01-09 Ikeda Bussan Co Ltd 車両用シートの取付構造
KR20060133720A (ko) * 2005-06-21 2006-1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 슬라이딩 레일의 이물질 방지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1800A (ja) * 1999-06-16 2001-01-09 Ikeda Bussan Co Ltd 車両用シートの取付構造
KR20060133720A (ko) * 2005-06-21 2006-1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 슬라이딩 레일의 이물질 방지기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457B1 (ko) 2013-10-04 2014-09-17 박재수 차량용 시트레일 이물질 제거장치
KR20190064751A (ko) 2017-12-01 2019-06-11 박승만 웹크리너 필름롤
GB2576505A (en) * 2018-08-20 2020-02-26 Thompson Aero Seating Ltd Slide assembly with deployable cover
GB2576505B (en) * 2018-08-20 2021-03-03 Thompson Aero Seating Ltd Slide assembly with deployable cover
KR20200065312A (ko) 2018-11-30 2020-06-09 아이탑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 파워시트의 안티핀치 검출제어 방법 및 안티핀치 검출제어 시스템
KR20200065302A (ko) 2018-11-30 2020-06-09 아이탑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 파워시트의 안티핀치 검출제어 방법 및 안티핀치 검출제어 시스템
KR20230151860A (ko) 2022-04-26 2023-11-02 (주)제이에이테크 동작안정성과 내구성이 겸비된 자동차 시트레일 커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768A (ko)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6608B1 (ko) 시트레일의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KR102260814B1 (ko) 시트레일의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EP2950409B1 (en) Power supply device
WO2014115674A1 (ja) 給電装置のばね部保護構造
KR102446034B1 (ko) 차량 시트레일의 이물질 차단장치 및 그 조립방법
US7086442B1 (en) Garage screen door system
US8066320B1 (en) Door hinge
KR102538474B1 (ko) 도어 프레임 내부로 이물질 유입 방지가 가능한 도어 시스템
CA2688081C (en) Vent apparatus
KR101557986B1 (ko) 회전 개폐식 창호시스템
KR101175295B1 (ko) 상부 고정식 창문 회전 장치
KR101390363B1 (ko) 미닫이 도어 장치
KR101897067B1 (ko) 차량용 도어 힌지 조립체
JP6325786B2 (ja) 差圧用ドア装置
KR100704610B1 (ko)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JP6322112B2 (ja) シャッター装置
KR101664585B1 (ko) 차량용 서랍식 에어클리너
JP5917878B2 (ja) 開閉体の気密構造
CN112594908B (zh) 卷帘机构及空调器
JPH11118236A (ja) 建造物用換気装置
JP4491518B2 (ja) 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KR101085556B1 (ko) 힌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닫이문
KR101971776B1 (ko) 문폭을 확보토록 한 안전도어
JP5712917B2 (ja) 車両用リアランプ及び車体側部構造
JP7046486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及びサイド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