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067B1 - 차량용 도어 힌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힌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067B1
KR101897067B1 KR1020160182889A KR20160182889A KR101897067B1 KR 101897067 B1 KR101897067 B1 KR 101897067B1 KR 1020160182889 A KR1020160182889 A KR 1020160182889A KR 20160182889 A KR20160182889 A KR 20160182889A KR 101897067 B1 KR101897067 B1 KR 101897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ctuator
bracket
slider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7975A (ko
Inventor
박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
Priority to KR1020160182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067B1/ko
Publication of KR20180077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 E05F5/025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07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05D5/062Bent fla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도어 힌지 조립체는, 차체에 결합되고 힌지축을 가지는 제1 브라켓과, 도어에 결합되고 제1 브라켓의 힌지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브라켓과, 제2 브라켓에 결합되고 바닥면에 복수개의 홈을 가지는 캠 부재와, 캠 부재의 하측에서 제1 브라켓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액츄에이터와, 액츄에이터의 상방에 위치하고, 액츄에이터의 상부를 감싸도록 하우징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복수개의 홈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힌지 조립체{DOOR HINGE ASSEMBLY FOR VEHICLE}
본 개시는 차량용 도어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도어는 차체에 대하여 개폐가능하게 구성된다. 도어의 개폐를 위해 도어와 차체 사이에는 도어 힌지(door hinge)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도어 힌지는 차체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도어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2개의 브라켓을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축을 포함한다. 도어가 일정한 각도로 개방된 후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키거나 도어가 미리 설정된 각도보다 많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와 차체 사이에는 도어 체커(door checker)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도어 힌지는 도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도어 체커는 2개의 도어 힌지의 사이에 설치된다.
차량의 경량화와 조립의 편리성을 위해, 도어 힌지의 힌지축에 도어 체커부가 일체로 구비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종래의 도어 힌지에 있어서, 힌지축이 도어 체커부의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물이나 먼지가 힌지축과 하우징 사이의 틈을 통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또는 액츄에이터는 유입되는 물에 의해 부식되거나 유입되는 먼지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종래 기술의 결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방수 및 방진 성능을 가지는 차량용 도어 힌지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도어 힌지 조립체는, 차체에 결합되고 힌지축을 가지는 제1 브라켓과, 도어에 결합되고 제1 브라켓의 힌지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브라켓과, 제2 브라켓에 결합되고 바닥면에 복수개의 홈을 가지는 캠 부재와, 캠 부재의 하측에서 제1 브라켓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액츄에이터와, 액츄에이터의 상방에 위치하고, 액츄에이터의 상부를 감싸도록 하우징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복수개의 홈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은, 액츄에이터가 수용되는 제1 하우징과, 제1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1 하우징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2 하우징과, 제1 하우징의 외주면과 제2 하우징의 내주면의 하단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더는, 원판부와, 원판부로부터 원판부의 축방향을 따라 돌출하고 복수개의 홈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돌기와, 원판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돌기의 반대쪽으로 연장하고, 액츄에이터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중공의 원통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원판부의 원통부는 제1 하우징의 외주면과 제2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은 연결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배출 구멍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힌지 조립체는 슬라이더 및 액츄에이터가 하우징에 수용된 상태에서 슬라이더의 상방에서 하우징에 고정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홈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홈은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홈의 깊이는 바닥면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가면서 깊어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액츄에이터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캠 부재 및 슬라이더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힌지 조립체에 있어서, 슬라이더가 액츄에이터의 상부에 위치하고, 액츄에이터의 상부를 감싸도록 하우징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하우징의 내부로 물이나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하우징의 내부 또는 액츄에이터가 유입되는 물에 의해 부식되거나 유입되는 먼지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 조립체가 차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 힌지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어 힌지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캠 부재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하우징과, 액츄에이터와, 슬라이더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Ⅵ-Ⅵ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제2 브라켓이 제1 브라켓에 대하여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방", "상" 등의 방향지시어는 첨부된 도면에서 캠 부재가 액츄에이터에 대해 위치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하방”, “하” 등의 방향지시어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는 캠 부재는 달리 배향될 수도 있으며, 상기 방향지시어들은 그에 맞추어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 조립체가 차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힌지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힌지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캠 부재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 조립체(100)는, 제1 브라켓(110)과, 제2 브라켓(120)과, 캠 부재(130)와, 하우징(140)과, 액츄에이터(150)와, 슬라이더(160)를 포함한다.
제1 브라켓(110)은 차체(10)에 결합된다. 제1 브라켓(110)은 금속 재질(예를 들어, 스틸)의 판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브라켓(110)은 차체(10)와 맞닿아 차체(10)에 결합되는 제1 측부판(111)과, 제1 측부판(111)의 상단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상부판(112)과, 제1 측부판(111)의 하단으로부터 연장하고 제1 상부판(112)에 대하여 평행한 제1 하부판(113)과, 제1 상부판(112)과 제1 하부판(113)을 관통하는 힌지축(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부판(111)은 볼트, 리벳, 용접 등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차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상부판(112)과 제1 하부판(113)에는 힌지축(114)이 관통하여 설치되는 제1 힌지축 구멍(112a, 113a)이 형성된다. 제1 하부판(113)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더(160)의 돌기(162)가 관통하는 슬라이더 구멍(113b)이 형성된다.
제2 브라켓(120)은 도어에 결합된다. 제2 브라켓(120)은 제1 브라켓(110)의 힌지축(11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브라켓(11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제2 브라켓(120)은 금속 재질(예를 들어, 스틸)의 판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브라켓(120)은 캠 부재(130)가 결합되는 제2 측부판(121)과, 제2 측부판(121)의 상단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 상부판(122)과, 제2 측부판(121)의 하단으로부터 연장하고 제2 상부판(122)에 대하여 평행한 제2 하부판(123)과, 제2 상부판(122)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상부 수직판(124)과, 제2 하부판(123)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하부 수직판(1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브라켓(120)의 제2 측부판(121)은 제1 브라켓(110)의 제1 상부판(112)과 제1 하부판(113)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2 상부판(122)은 제1 브라켓(110)의 제1 상부판(112)의 하방에 위치하고, 제2 하부판(123)은 제1 브라켓(110)의 제1 하부판(113)의 상방에 위치한다. 제2 상부판(122)과 제2 하부판(123)에는 힌지축(114)이 관통하는 제2 힌지축 구멍(122a 123a)이 형성된다. 제2 하부판(123)은 캠 부재(130)와의 결합을 위해 제2 측부판(121)과 제2 하부판(123)의 경계부 쪽에 얇은 두께를 가지는 캠 부재 결합부(12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수직판(124) 및 하부 수직판(125)은 볼트, 리벳, 용접 등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도어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상부판(112)과 제2 상부판(122)의 사이 및 제1 하부판(113)과 제2 하부판(123)의 사이에는 완충 부재(115)가 장착될 수 있다. 완충 부재(115)는 제2 브라켓(120)이 제1 브라켓(110)에 대하여 회전할 때 제1 브라켓(110) 또는 제2 브라켓(120)의 마모와 제1 브라켓(110)과 제2 브라켓(120) 사이의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부재(130)는 제2 브라켓(120)의 제2 측부판(121)에 교체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캠 부재(130)가 마모되는 경우에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캠 부재(130)는 제2 측부판(121)이 끼워지는 수직 슬롯(131)과 제2 하부판(123)의 캠 부재 결합부(123b)가 끼워지는 수평 슬롯(132)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슬롯(131)의 폭은 제2 측부판(121)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수평 슬롯(132)의 폭은 제2 하부판(123)의 캠 부재 결합부(123b)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제 2 브라켓(120)의 제2 측부판(121) 및 캠 부재 결합부(123b)가 캠 부재(130)의 수직 슬롯(131) 및 수평 슬롯(132)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캠 부재(130)의 관통 구멍(130a)과 제2 측부판(121)의 관통 구멍(121a)이 정렬된다. 캠 부재(130)는 정렬된 관통 구멍들(130a, 121a)을 관통하는 스크류 또는 볼트/너트에 의해 제2 측부판(121)에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캠 부재(130)는 플라스틱 재료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캠 부재(13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캠 부재(130)와 슬라이더(160) 사이의 마찰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부재(130)는 바닥면(133)에 복수개의 홈(134)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홈(134)은 힌지축(114)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주 상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홈(134)은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홈(134)의 깊이는 도 4에 도시된 바닥면(133)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가면서 깊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캠 부재(130)는 제1 내지 제4 홈(134a, 134b, 134c, 134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홈(134a, 134b, 134c, 134d)으로 감에 따라 홈의 깊이가 커지도록 형성된다. 제1 홈(134a)은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었을 때 슬라이더(160)가 위치하는 홈이고, 제4 홈(134d)은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슬라이더(160)가 위치하는 홈이다. 제2 홈(134b) 및 제3 홈(134c)은 도어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로부터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가능 도중에 슬라이더(160)가 위치하는 홈이다. 따라서, 도어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로부터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감에 따라,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힘(즉, 도어 힌지 조립체의 유지력)이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차량이 경사로에서 완전히 개방되더라도, 도어 힌지 조립체(100)는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홈의 개수, 깊이, 위치 등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량의 사양 또는 도어 힌지 조립체의 설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40)은 캠 부재(130)의 하측에 위치하고 제1 브라켓(110)의 제1 하부판(113)의 하면에 결합된다. 하우징(140)은 금속 재료(예를 들어, 스틸)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140)은 제1 브라켓(110)의 제1 하부판(113)에 교체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40)은 볼트/너트 또는 스크류에 의해 제1 하부판(113)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160)의 돌기(162)가 마모되거나 액츄에이터(150) 또는 하우징(140)이 파손되는 경우에 슬라이더(160), 액츄에이터(150) 또는 하우징(140)은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하우징과, 액츄에이터와, 슬라이더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Ⅵ-Ⅵ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40)은 제1 하우징(141)과, 제2 하우징(142)과, 연결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41) 및 제2 하우징(142)은 중공의 원통형상이다. 제1 하우징(141) 내에는 액츄에이터(150)가 수용된다. 제2 하우징(142)은 제1 하우징(141)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1 하우징(141)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제2 하우징(142)의 내주면은 제1 하우징(141)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되어 있다. 즉, 하우징(140)의 상부는 제1 하우징(141)과 제2 하우징(142)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다. 연결부(143)는 제1 하우징(141)의 외주면과 제2 하우징(142)의 내주면의 하단 사이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140)은 연결부(143)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배출 구멍(143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하우징(141)과 제2 하우징(142)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이나 먼지가 배출 구멍(143a)을 통해 하우징(14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150)는 하우징(140)의 제1 하우징(141) 내에 수용된다. 액츄에이터(150)는 슬라이더(160)를 하우징(14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왕복이동 또는 슬라이드시키는 역할을 한다. 액츄에이터(150)는 스프링,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액츄에이터(150)는 금속 재질의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액츄에이터(150)가 간단한 구조와 적은 무게를 가지며, 액츄에이터(150)의 제조 원가가 낮아질 수 있다.
슬라이더(160)는 액츄에이터(150)의 상방에 위치한다. 슬라이더(160)는 액츄에이터(150)의 상부를 감싸도록 하우징(14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슬라이더(160)는 캠 부재(130)의 복수개의 홈(134)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맞물린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더(160)는 플라스틱 재료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16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캠 부재(130)와 슬라이더(160) 사이의 마찰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160)는 원판부(161)와, 돌기(162)와, 원통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원판부(161)는 미리 결정된 두께를 가지고 액츄에이터(150) 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돌기(162)는 원판부(161)의 중앙부로부터 원판부(161)의 축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돌출한다. 돌기(162)는 제1 브라켓(110)의 제1 하부판(113)에 형성된 슬라이더 구멍(113b)을 관통하여 복수개의 홈(134)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맞물린다. 따라서, 돌기(162) 상단의 형상은 복수개의 홈(134)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돌기(162)는 반구형 단부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어를 개폐하거나 도어의 개방각도를 조절할 때, 돌기(162)가 홈(134)으로부터 용이하게 빠져나올 수 있다.
원통부(163)는 중공의 원통형상이다. 원통부(163)는 원판부(161)의 가장자리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돌기(162)의 반대쪽(즉, 하방)으로 연장한다. 원통부(163)는 액츄에이터(150)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원통부(163)는 제1 하우징(141)의 외주면과 제2 하우징(142)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물이나 먼지는, 원판부(161)와 원통부(163)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여, 제1 하우징(141)과 제2 하우징(142) 사이의 공간으로 유도되고, 결국 배출 구멍(143a)을 통해 하우징(14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물이나 먼지가 액츄에이터(150)가 수용되는 제1 하우징(14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액츄에이터(150)가 유입되는 물에 의해 부식되거나 유입되는 먼지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 조립체(100)는 슬라이더(160) 및 액츄에이터(150)가 하우징(140)에 수용된 상태에서 슬라이더(160)의 상방에서 하우징(140)에 고정되는 스토퍼(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70)는 슬라이더(160)와 액츄에이터(150)가 하우징(140)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140)과, 액츄에이터(150)와, 슬라이더(160)와, 스토퍼(170)가 조립된 상태에서, 스토퍼(170)는 제2 하우징(142)의 상부에 위치한다. 스토퍼(170)는 중앙에 슬라이더(160)의 돌기(162)가 관통하는 개구(171)를 가지는 원판형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더(160)의 돌기(162)는 스토퍼(170)의 개구(171) 및 제1 브라켓(110)의 제1 하부판(113)에 형성된 슬라이더 구멍(113b)을 차례로 관통하여 캠 부재(130)의 복수개의 홈(134)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하우징(142)은 상단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형성되는 플랜지(14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142a)는 액츄에이터(150)와, 슬라이더(160)와, 스토퍼(170)가 하우징(140)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2 하우징(142)의 상단을 가압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142a)는 제2 하우징(142)의 상단의 코킹(caulking) 또는 스웨이징(swaging)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142a)는 스토퍼(170)가 하우징(140)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160)와 하우징(140)의 플랜지(142a) 사이에 스토퍼(170)를 개재함으로써, 엑츄에이터(150)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는 슬라이더(160)가 하우징(140)의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항상 하우징(140) 내부에 수용되는 것이 보다 확실히 보장된다.
도 1 및 도 2는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었을 때 도어 힌지 조립체(100)를 도시하고, 도 7은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도어 힌지 조립체(100)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슬라이더(160)의 돌기(162)는 캠 부재(130)의 제1 홈(134a)에 위치한다.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슬라이더(160)의 돌기(162)는 캠 부재(130)의 제4 홈(134d)에 위치한다. 슬라이더(160)의 돌기(162)가 캠 부재(130)의 제1 홈(134a)으로부터 제4 홈(134d)으로 감에 따라, 제2 브라켓(1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7에 도시된 상태로 회전된다. 즉, 슬라이더(160)의 돌기(162)가 캠 부재(130)의 제2 홈(134b) 및 제3 홈(134c)에 위치하는 경우에, 제2 브라켓(1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상태와 도 7에 도시된 상태의 중간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는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개시가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차체, 100: 도어 힌지 조립체, 110: 제1 브라켓, 111: 제1 측부판, 112: 제1 상부판, 113: 제1 하부판, 114: 힌지축, 115: 완충 부재, 112a, 113a: 제1 힌지축 구멍, 113b: 슬라이더 구멍, 120: 제2 브라켓, 121: 제2 측부판, 122: 제2 상부판, 123: 제2 하부판, 124: 상부 수직판, 125: 하부 수직판, 122a, 123a: 제2 힌지축 구멍, 123b: 캠 부재 결합부, 130: 캠 부재, 131: 수직 슬롯, 132: 수평 슬롯, 133: 바닥면, 134: 홈, 134a 내지 134d: 제1 홈 내지 제4 홈, 140: 하우징, 141: 제1 하우징, 142: 제2 하우징, 143: 연결부, 142a: 플랜지, 143a: 배출 구멍, 150: 액츄에이터, 160: 슬라이더, 161: 원판부, 162: 돌기, 163: 원통부, 170: 스토퍼, 171: 개구

Claims (11)

  1. 차체에 결합되고 힌지축을 가지는 제1 브라켓과,
    도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브라켓의 상기 힌지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에 결합되고 바닥면에 복수개의 홈을 가지는 캠 부재와,
    상기 캠 부재의 하측에서 상기 제1 브라켓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부를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홈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슬라이더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액츄에이터가 수용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부를 둘러싸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주면과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주면의 하단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도어 힌지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은 중공의 원통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도어 힌지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로부터 상기 원판부의 축방향을 따라 돌출하고 상기 복수개의 홈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돌기와,
    상기 원판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축방향을 따라 상기 돌기의 반대쪽으로 연장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중공의 원통부를 포함하는, 도어 힌지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부의 상기 원통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주면과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되는, 도어 힌지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배출 구멍을 더 포함하는, 도어 힌지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의 상방에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도어 힌지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홈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도어 힌지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홈은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지는, 도어 힌지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홈의 깊이는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가면서 깊어지는, 도어 힌지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도어 힌지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 및 상기 슬라이더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도어 힌지 조립체.
KR1020160182889A 2016-12-29 2016-12-29 차량용 도어 힌지 조립체 KR101897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889A KR101897067B1 (ko) 2016-12-29 2016-12-29 차량용 도어 힌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889A KR101897067B1 (ko) 2016-12-29 2016-12-29 차량용 도어 힌지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975A KR20180077975A (ko) 2018-07-09
KR101897067B1 true KR101897067B1 (ko) 2018-10-29

Family

ID=62919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889A KR101897067B1 (ko) 2016-12-29 2016-12-29 차량용 도어 힌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0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758B1 (ko) * 2018-07-13 202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KR102443075B1 (ko) * 2021-02-25 2022-09-13 장용운 도어의 휨 방지구조를 갖는 손끼임 방지용 도어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811B1 (ko) * 2007-05-25 2008-05-02 평화정공 주식회사 체커기능이 마련된 자동차용 도어힌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2201A (en) * 1998-08-07 2000-01-11 Illinois Tool Works, Inc. Door hinge system
JP4801806B2 (ja) * 2005-06-20 2011-10-26 理研化機工業株式会社 チェッカ付きドアヒンジ
KR100892510B1 (ko) * 2007-12-13 2009-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도어 체크 기능 내재형 도어 힌지
KR101320990B1 (ko) * 2011-11-23 2013-10-30 주식회사 일진 자동차의 도어 힌지
KR101430950B1 (ko) * 2013-01-04 2014-09-23 대동도어 주식회사 도어 체커 기능을 구비한 도어 힌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811B1 (ko) * 2007-05-25 2008-05-02 평화정공 주식회사 체커기능이 마련된 자동차용 도어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975A (ko) 201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7067B1 (ko) 차량용 도어 힌지 조립체
EP2918192B1 (en) Folding table
US10724284B2 (en) Appliance lid hinge assembly with snubber
US10928072B2 (en) Hinge assembly for oven or other appliance
RU2007111874A (ru) Регулирующий клапан с с-образным уплотнением
KR20100120768A (ko) 시트레일의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KR101062534B1 (ko) 힌지
US1045078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sound performance of a latch
RU2762652C2 (ru) Демпфер
US8636902B2 (en) Oil filter arrangement
US9650820B2 (en) Structural arrangement in pneumatic floor spring
KR101915177B1 (ko) 버터플라이형 체크밸브
US9612550B1 (en) Toner cartridge and side cover thereof
CN103419848B (zh) 车辆用配管固定部结构
KR100704610B1 (ko)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WO2014178535A1 (en) Cover opening prevention apparatus for a vehicle's tray
US10247272B2 (en) Hydraulic damper having self-adjusting wear band
JP4852317B2 (ja) 地下構造物用蓋の施錠構造
KR20200089475A (ko) 도어용 힌지 구조
JP3122111U (ja) 多段位置決め式ヒンジ
KR101113135B1 (ko) 댐퍼내장형 도어힌지
KR101866043B1 (ko) 차량용 도어 체커
JP2016022923A (ja) 蓋部材保持構造
KR20150116342A (ko) 도어용 힌지 어셈블리
CN109084084A (zh) 管道保持夹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