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135B1 - 댐퍼내장형 도어힌지 - Google Patents

댐퍼내장형 도어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135B1
KR101113135B1 KR1020100062926A KR20100062926A KR101113135B1 KR 101113135 B1 KR101113135 B1 KR 101113135B1 KR 1020100062926 A KR1020100062926 A KR 1020100062926A KR 20100062926 A KR20100062926 A KR 20100062926A KR 101113135 B1 KR101113135 B1 KR 101113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piston
lever
cup
doo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171A (ko
Inventor
이영만
Original Assignee
(주)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우 filed Critical (주)삼우
Priority to KR1020100062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135B1/ko
Priority to PCT/KR2010/007997 priority patent/WO2012002625A1/ko
Publication of KR20120002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6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hinges having a cup-shaped fixing part, e.g. for attachment to cabinets 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댐퍼어셈블리가 컵의 내측에 내장되어 레버의 움직임에 따라 댐핑(damping) 기능을 하도록 구성되는 댐퍼내장형 도어힌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댐퍼내장형 도어힌지는, 도어 또는 가구에 장착되는 컵(100)과; 상기 컵(100)과 대응되도록, 가구 또는 도어에 장착되는 암(110)과; 상기 암(110)과 컵(100)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레버(120)와; 상기 컵(100)에 하나 또는 쌍으로 구비되고, 댐핑(damping) 기능을 가지는 댐퍼어셈블리(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댐퍼어셈블리(200)는, 일부가 상기 컵(10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130)으로 돌출되어, 상기 레버(120)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유동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품의 공간활용과 효용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댐퍼내장형 도어힌지{Door hinge having built-in damper on it}
본 발명은 댐퍼내장형 도어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댐퍼어셈블리가 컵의 내측에 내장되어 레버의 움직임에 따라 댐핑(damping) 기능을 하도록 구성되는 댐퍼내장형 도어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용 수납장과 장농 등의 가구에는 일렬로 배열된 여러 개의 도어가 구비되며, 이와 같은 도어는 도어힌지에 의해 가구의 벽체에 연결되어 개폐된다.
그리고, 도어힌지는 다양한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나, 이들 대부분은 상기 도어에 장착 고정되는 컵과 벽체에 장착되는 암, 그리고, 상기 암과 컵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레버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도어힌지는 소정 회전각도 이상이 되면,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도어힌지에 의해 도어가 닫히는 순간 충격과 소음의 발생이 필연적으로 수반된다. 따라서, 충격과 소음을 감소 또는 해소하기 위해서 상기 가구의 일측에 별도의 댐퍼를 설치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상기 댐퍼의 설치를 위한 작업 및 그에 따른 비용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수납시 댐퍼에 의해 간섭받을 수 있게 되는 등 사용상 불편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댐퍼는, 기존의 도어힌지 외측에 부착하여 사용하므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며, 제조비용이 과다한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댐퍼어셈블리가 컵의 내측에 내장되는 댐퍼내장형 도어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댐퍼어셈블리가 레버의 움직임에 의해 좌우로 작동되어 댐핑(damping) 기능을 수행하는 댐퍼내장형 도어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댐퍼내장형 도어힌지는, 도어 또는 가구에 장착되는 컵과; 상기 컵과 대응되도록, 가구 또는 도어에 장착되는 암과; 상기 암과 컵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레버와; 상기 컵에 하나 또는 쌍으로 구비되고, 댐핑 기능을 가지는 댐퍼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댐퍼어셈블리는, 일부가 상기 컵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레버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유동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댐퍼어셈블리는, 외형을 형성하는 실린더와, 상기 레버에 의해 간섭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를 따라 슬라이딩 유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에 의해 슬라이딩 유동된 피스톤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강제하는 복귀수단과, 상기 피스톤의 일측에 구비되어 유체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보상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실린더 또는 피스톤에는, 상기 피스톤 내외부로 오일이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오리피스유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스톤은, 유체가 충진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레버가 선택적으로 접하는 헤드부와; 상기 몸체부의 다른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복귀수단의 일단을 지지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드부는, 반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드부는, 상기 레버와 접하는 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댐퍼내장형 도어힌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컵에 댐퍼어셈블리가 내장된다. 따라서, 기존의 도어힌지가 차지하는 공간을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댐핑 기능을 가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즉, 설치 공간이 더 필요하지 않으므로 제품의 효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컵의 양측에 댐퍼어셈블리가 내장된다. 따라서, 좌우 균형이 이루어지므로, 장기간 사용으로 도어 등의 개폐 횟수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도어의 비틀림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댐퍼내장형 도어힌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댐퍼내장형 도어힌지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도 1의 A-A'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댐퍼내장형 도어힌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댐퍼내장형 도어힌지의 일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는 도 1의 A-A'부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댐퍼내장형 도어힌지는, 도어 또는 가구에 장착되는 컵(100)과, 상기 컵(100)과 대응되도록 가구 또는 도어에 장착되는 암(110)과, 상기 암(110)과 컵(100)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레버(120)와, 상기 컵(100)에 구비되어 레버(120)에 의해 도어가 닫힐 때의 충격을 완화하는 댐퍼어셈블리(200) 등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도어힌지는, 가구와 도어에 각각 일단이 장착되어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도어힌지는, 컵(100)과 암(110) 그리고, 레버(120)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버(120)는 이중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어가 닫힐 때에는, 상기 레버(120)가 상기 컵(100)에 형성된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130)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컵(100)과 암(110) 그리고, 레버(120)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어힌지의 기본적인 구성은 이미 알려진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도어힌지의 기본 구조와 기본 기능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댐퍼어셈블리(200)는, 상기 컵(100)에 설치되어, 도어가 닫힐 때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도어와 가구의 충격을 방지한다.
상기 댐퍼어셈블리(200)는, 댐핑(damping)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컵(100)에 하나 또는 쌍으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컵(10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130)의 좌우에 쌍으로 댐퍼어셈블리(200)가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퍼어셈블리(200)는, 일부가 상기 컵(10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130)으로 돌출되어, 상기 레버(120)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유동된다.
상기 댐퍼어셈블리(200)는, 외형을 형성하는 실린더(210)와, 상기 레버(120)에 의해 간섭되어 상기 실린더(210) 내부를 따라 슬라이딩 유동하는 피스톤(220)과, 상기 실린더(21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120)에 의해 슬라이딩 유동된 피스톤(220)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강제하는 복귀수단(230)과, 상기 피스톤(2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오일을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보상수단(24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끝단부(도 2에서는 우측단)는 더 큰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130)의 내측에 걸어진다.
상기 실린더(210)의 끝단부(도 2에서는 우측단) 내측에는 밀봉부재(25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밀봉부재(250)는, 실린더(210)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밀봉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린더(210)의 끝단부(도 2에서는 우측단)에는 상기 밀봉부재(25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212)이 더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턱(212)은, 상기 실린더(210)의 끝단 테두리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밀봉부재(250)가 수용공간(130) 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피스톤(2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210)의 내측에 수용되어 슬라이딩하는 것으로, 일단(도 2에서는 우측단)이 상기 레버(120)와 선택적으로 간섭된다.
상기 피스톤(220)은, 유체가 충진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222)와, 상기 레버(120)가 선택적으로 접하는 헤드부(224)와, 상기 복귀수단(230)의 일단을 지지하는 바닥부(22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222)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실린더(210)의 내측에 슬라이딩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에는 오일과 같은 유체가 충진된다.
상기 헤드부(224)는, 상기 몸체부(222)의 일단(도 2에서는 우측단)에 구비되며, 상기 레버(120)가 선택적으로 접하는 부분이다. 물론, 상기 헤드부(224)는, 상기 몸체부(222)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부(22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수용공간(130) 측(도 2에서는 우측)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되어 반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바닥부(226)는, 상기 몸체부(222)의 다른 일단(도 2에서는 좌측단)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222)와 좌측(도 2에서)을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복귀수단(230)의 일단(도 2에서는 우측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닥부(226)에는, 상기 복귀수단(230)의 일단이 수용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귀수단(230)은, '⊃'형상과 같이 우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좌측(도 2에서)에 상기 복귀수단(230)의 우측단이 지지된다.
상기 복귀수단(230)은, 상기 실린더(2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220)이 상기 레버(120)에 간섭되어 이동한 다음,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힘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피스톤(220)이 상기 레버(120)에 의해 실린더(210) 내부(도 2에서는 좌측)로 밀려들어온 다음, 다시 원위치(도 2에서 우측)로 이동하도록 힘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복귀수단(230)은,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상수단(240)은, 상기 피스톤(220) 내부에 수용되어 선택적으로 유체를 함유하게 된다. 즉, 상기 보상수단(240)은, '보정기(compensator)'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내부에 구비된 미세공간이 선택적으로 유체(오일)를 함유하도록 하여 완충역할을 하게 한다. 이러한 보상수단(240)은 댐퍼 등에 사용되는 것이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의 기능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실린더(210) 및/또는 피스톤(220)에는, 상기 피스톤(220) 내외부로 오일이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오리피스유로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피스톤(220)의 몸체부(222)에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오일홈(260)이 형성되고, 이러한 오일홈(260)의 좌측(도 2에서)으로는 내측으로 함몰된 피스톤홈(262)이 길이방향(도 2에서는 좌우)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피스톤(220)의 몸체부(222) 좌측단(도 2에서)으로부터 상기 오일홈(260) 사이에는 외주면을 따라 소정 깊이의 피스톤홈(26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실린더(210)의 내주면에도 소정 깊이의 실린더홈(264)이 형성되기도 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210)의 하단면에는 소정 깊이의 실린더홈(264)이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220)의 내외부로 유체가 유동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오일홈(260)과 피스톤홈(262) 또는 실린더홈(264)은, 상기 피스톤(220)의 내외부로 유체가 조금씩 유동하도록 하여 댐핑(damping) 효과를 가져오도록 하는 오리피스유로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댐퍼내장형 도어힌지의 작용을 살펴본다.
먼저 도어와 가구에 본 발명의 댐퍼내장형 도어힌지가 장착되어 있으며, 도어가 닫히게 되면, 상기 레버(120)가 상기 컵(100)의 수용공간(130)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레버(120)의 양단은, 상기 수용공간(130)으로 돌출된 댐퍼어셈블리(200)의 일부와 접하게 된다. 즉, 상기 피스톤(220)의 헤드부(224)와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헤드부(224)는, 레버(120)에 밀려 좌우(도 2에서는 좌측)으로 밀려, 실린더(210)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실린더(210)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유체(오일)는, 상기 오리피스유로를 따라 유동하여 피스톤(220) 내부로 유입된다. 즉, 상기 피스톤(220)의 좌측(도 2에서)에 있는 유체가, 상기 실린더홈(264) 또는 피스톤홈(262)을 따라 우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오일홈(260)을 통해 피스톤(220)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실린더(210) 내부의 유체가, 좁은 통로인 오리피스유로를 통해 상기 피스톤(220) 내부로 유입되면서 댐핑(damping)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120)가 수용공간(130)으로 들어오는 속도가 감소되므로, 도어의 닫힘속도가 늦어진다.
반대로, 도어가 열리는 경우에는, 상기 피스톤(220)의 헤드부(224)와 접촉하던 레버(120)가 원상으로 복귀하게 되므로, 상기 피스톤(220)은 상기 레버(120)의 간섭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상기 레버(120)가 상기 수용공간(130)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상기 복귀수단(230)에 의해 상기 피스톤(220)이 원위치로 복귀한다. 즉, 상기 복귀수단(230)이 상기 피스톤(220)을 우측(도 2에서)으로 밀고 있으므로, 상기 복귀수단(230)의 힘에 의해 상기 피스톤(220)이 점차 우측으로 밀려나게 되어 원위치된다.
물론, 이때에는 상기 오리피스유로를 통하여 피스톤(220) 내부의 유체가 상기 실린더(210) 내부로 유동하게 된다. 즉, 피스톤(220)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오일홈(260)과 피스톤홈(262) 또는 실린더홈(264)을 통하여 좌측으로 유동하여 실린더(210) 내부의 공간으로 복귀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220)의 내부에 구비된 보상수단(240)은, 자체의 완충능력에 의해, 필요시 유체를 흡수하게 조절한다. 즉, 상기 오리피스유로는 통하여 피스톤(220)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양이 많아지는 경우에는 유체를 일정 부분 흡수하여 완충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피스톤(220)의 헤드부(224)가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헤드부(224)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상기 레버(120)와 원활하게 접촉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는 한,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도 3에는, 상기 피스톤(220)의 헤드부(224) 형상이 삼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즉, 여기에서는, 상기 헤드부(224)는, 상기 레버(120)와 접하는 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224)는, '
Figure 112010042449019-pat00001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우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레버(120)가 이러한 경사 부분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상기 레버(120)가 헤드부(224)의 경사부분에 접촉되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스톤(220)이 좌측으로 유동하여 댐핑(damping)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 외의 기능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100. 컵 110. 암
120. 레버 200. 댐퍼어셈블리
210. 실린더 220. 피스톤
230. 복귀수단 240. 보상수단
250. 밀봉부재 260. 오일홈
262. 피스톤홈

Claims (5)

  1. 도어 또는 가구에 장착되는 컵(100)과;
    상기 컵(100)과 대응되도록, 가구 또는 도어에 장착되는 암(110)과;
    상기 암(110)과 컵(100)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레버(120)와;
    상기 컵(100)에 하나 또는 쌍으로 구비되고, 댐핑(damping) 기능을 가지는 댐퍼어셈블리(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댐퍼어셈블리(200)는,
    일부가 상기 컵(10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130)으로 돌출되어, 상기 레버(120)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유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내장형 도어힌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어셈블리(200)는,
    외형을 형성하는 실린더(210)와, 상기 레버(120)에 의해 간섭되어 상기 실린더(210) 내부를 따라 슬라이딩 유동하는 피스톤(220)과, 상기 실린더(21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120)에 의해 슬라이딩 유동된 피스톤(220)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강제하는 복귀수단(230)과, 상기 피스톤(2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유체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보상수단(24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실린더(210) 또는 피스톤(220)에는, 상기 피스톤(220) 내외부로 오일이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오리피스유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내장형 도어힌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20)은,
    유체가 충진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222)와;
    상기 몸체부(222)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레버(120)가 선택적으로 접하는 헤드부(224)와;
    상기 몸체부(222)의 다른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복귀수단(230)의 일단을 지지하는 바닥부(226);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내장형 도어힌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224)는,
    반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내장형 도어힌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224)는,
    상기 레버(120)와 접하는 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내장형 도어힌지.
KR1020100062926A 2010-06-30 2010-06-30 댐퍼내장형 도어힌지 KR101113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926A KR101113135B1 (ko) 2010-06-30 2010-06-30 댐퍼내장형 도어힌지
PCT/KR2010/007997 WO2012002625A1 (ko) 2010-06-30 2010-11-12 댐퍼내장형 도어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926A KR101113135B1 (ko) 2010-06-30 2010-06-30 댐퍼내장형 도어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171A KR20120002171A (ko) 2012-01-05
KR101113135B1 true KR101113135B1 (ko) 2012-02-15

Family

ID=45402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926A KR101113135B1 (ko) 2010-06-30 2010-06-30 댐퍼내장형 도어힌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13135B1 (ko)
WO (1) WO20120026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07051B (en) 2012-10-16 2020-04-15 Titus D O O Dekani Toggle type hinge with damping device
KR101652043B1 (ko) 2014-06-09 2016-08-30 광주과학기술원 서로 다른 패턴 또는 구조의 유로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집전체를 갖는 탈이온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7047A (ko) * 2005-08-29 2007-03-09 정회관 밀폐도어 및 도어의 완충힌지장치
KR20080101050A (ko) * 2007-05-15 2008-11-21 주식회사 미네르바 가구용 댐핑 힌지
KR20100041005A (ko) * 2008-10-13 2010-04-22 (주)문주하드웨어 도어 댐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7047A (ko) * 2005-08-29 2007-03-09 정회관 밀폐도어 및 도어의 완충힌지장치
KR20080101050A (ko) * 2007-05-15 2008-11-21 주식회사 미네르바 가구용 댐핑 힌지
KR20100041005A (ko) * 2008-10-13 2010-04-22 (주)문주하드웨어 도어 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02625A1 (ko) 2012-01-05
KR20120002171A (ko)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0365B2 (en) Appliance lid hinge assembly
US9021656B2 (en) Furniture damper
KR101603462B1 (ko) 가구용 힌지
US9926731B2 (en) Closing hinge device for doors, shutters or the like
US8925151B2 (en) Decelerated hinge for furniture
CN110036173B (zh) 多接头铰接结构
CN103987908B (zh) 用于将门安装在一件家具上的铰链
US10041283B2 (en) Snap hinge with damped closing
US20170122020A1 (en) Appliance lid hinge assembly with snubber
US20170130502A1 (en) Lid hinge assembly with snubber and counterbalance spring
US20130033160A1 (en) Domestic appliance
US11414908B2 (en) Decelerated hinge for furniture
US20150322705A1 (en) Door closer provided with unit for adding door-closing force
JP2006299533A (ja) 収納家具
US20120096679A1 (en) Damper for furniture
US20170067277A1 (en) Damping device for the damping of the opening movement of a moveable furniture part
KR101113135B1 (ko) 댐퍼내장형 도어힌지
JP2013138825A (ja) 引出し用衝撃緩和装置
EP3795790A1 (en) A snap hinge with a damper device
KR101113082B1 (ko) 도어클로져용 댐퍼
KR101423933B1 (ko) 가구용 슬라이드 도어의 댐퍼 시스템
JP2022529633A (ja) ファーニチャのヒンジ式ドアを開閉するためのヒンジ
KR101290252B1 (ko) 자체 압력조절기능을 갖는 가구힌지용 내장댐퍼
KR20080088731A (ko) 힌지 및 충격 완충 댐퍼
KR100940368B1 (ko) 가구용 힌지의 완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