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6811B1 - 체커기능이 마련된 자동차용 도어힌지 - Google Patents

체커기능이 마련된 자동차용 도어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6811B1
KR100826811B1 KR1020070050902A KR20070050902A KR100826811B1 KR 100826811 B1 KR100826811 B1 KR 100826811B1 KR 1020070050902 A KR1020070050902 A KR 1020070050902A KR 20070050902 A KR20070050902 A KR 20070050902A KR 100826811 B1 KR100826811 B1 KR 100826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racket
hinge
stopp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0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현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0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68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6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6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1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 E05C17/2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 E05C17/203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concealed, e.g.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 E05F5/025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76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 Accessori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회전중심을 지지하는 축을 이용하여 도어힌지와 도어의 개폐량을 순차로 제어하는 도어체커 구조를 일체화시킨 체커기능이 마련된 자동차용 도어힌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차체 출입구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힌지축을 매개로 회동되며, 자동차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는 도어브라켓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도어힌지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에는, 외경에 다단의 걸림턱이 굴곡지게 형성된 스토핑 기어가 축 설치되고, 상기 도어 브라켓에는 일단이 상기 스토핑 기어의 걸림턱을 가압하는 스토핑 레버가 축 설치되는 한편, 상기 스토핑 레버와 도어 브라켓 사이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서, 도어 브라켓에 탄지된 스토핑 레버의 일단이 스토핑 기어의 굴곡진 걸림턱을 항시 가압함으로써, 도어의 개폐를 위한 도어 브라켓의 회전이 스토핑 기어와 스토핑 레버 사이에 생성되는 탄성 간섭력에 의해 순차로 제어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자동차용 도어힌지, 도어체커, 스토핑 기어, 스토핑 레버, 스프링, 고정턱, 고정핀

Description

체커기능이 마련된 자동차용 도어힌지{Automobile Door Hinge Having Checker Function}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도어에 적용되고 있는 도어힌지와 도어체커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2a는 종래의 도어힌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종래의 도어체커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체커기능이 마련된 자동차용 도어힌지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체커기능이 마련된 자동차용 도어힌지의 조립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체커기능이 마련된 자동차용 도어힌지에 있어, 스토핑 기어와 스토핑 레버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6는 상기 도 5의 'A'부분의 단면구성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자동차용 도어힌지
10. 고정 브라켓 11. 절곡편
12. 힌지공 13. 고정턱
20. 도어 브라켓 21. 절곡편
22. 힌지공 23. 고정핀
30. 힌지핀
40. 스토핑 기어 41. 걸림턱
42. 피막층
50. 스토핑 레버 51. 축
52. 피막층
60. 스프링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를 다단계로 개폐하는 체커기능이 마련된 자동차용 도어힌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회전중심을 지지하는 축을 이용하여 도어힌지와 도어의 개폐량을 순차로 제어하는 도어체커 구조를 일체화시킨 체커기능이 마련된 자동차용 도어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탑승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소 이상에 출입구가 마련되어 있고 그 출입구에는 도어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도어를 개폐 및 지지하는 수단으로써, 도어힌지와 도어체커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통상의 도어힌지는 도어와 자동차 바디 사이의 상, 하부 2곳에 설치되어 도어의 자중을 견딤과 동시에 힌지축을 매개로 도어의 개폐 기능을 담당하고, 통상의 도어체커는 상기 상, 하부에 설치된 도어힌지의 중간에 위치하며 도어가 소정의 각도만큼 열려 있도록 하는 홀드기능과 완전히 열렸을 때 멈추게 하는 스토핑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 체커의 또 다른 주요기능은 도어가 개폐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대비하여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보통 2-3 단계의 개폐과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갑자기 닫히는 도어에 의해 인체가 상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도어에 적용되고 있는 도어힌지와 도어체커를 도시한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의 자중을 지지하고 도어개폐를 원활히 하기 위한 축 역할을 하는 도어힌지가 도어의 상,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 도어힌지의 중간위치에는 도어의 열림량을 제어하는 도어체커가 설치되는데 이 도어체커(20)에 의해 제어되는 도어(1)의 최대 개방각도는 일반적으로 60~70도 정도로 설정하고 있다.
도 2a는 종래의 도어힌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종래의 도어체커를 나타낸 개략도인데, 여기에서 살펴보면 도어힌지(10)는 자동차 바디(2)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11)과 도어(1)에 장착되는 도어브라켓(12)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브라켓(11)과 도어브라켓(12)은 힌지축(13)을 매개로 연결되며, 이 힌지축(13)을 회 전 중심으로 하여 도어(1)가 일정 각도만큼 회동된다.
이때 상기 도어(1)가 한번에 갑자기 열리고 닫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1)와 바디(2) 사이에 도어체커(20)가 설치되었다고 하였는바, 도어체커(20)의 구조는 다수개의 굴곡부(21)를 가지는 길다란 막대형상으로 체커의 일측 끝단은 핀(22)을 통하여 바디(2)에 설치되고, 타측 끝단은 스토퍼(24)가 마련되어 도어(1)의 내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도어(1)의 개폐시에 체커의 굴곡부(21)가 도어(1)에 설치된 체커몸체(23)의 롤러(25)에 의해 순차적으로 개폐되게 된다.
또한, 도어(1)가 설정된 최대 열림각 위치에서는 체커의 끝단에 마련된 스토퍼(24)가 체커몸체(23)에 걸림으로써 도어(1)는 더 이상 개방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도어체커는 도어의 순차적 개폐와 개폐량만이 제어되는 단순기능을 하는 것에 비하여, 작은 여러 개의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어서 구조가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도어체커를 설치하기도 매우 번거롭다.
또한, 종래의 도어체커는 작고 복잡한 만큼 장시간 사용에 대한 내구성도 떨어지고 차체와 도어에 별도의 구멍을 형성시켜야만 장착이 가능하므로 이 구멍으로 물이 유입되어 도어가 빨리 부식되는 문제점과 도어힌지와 도어체커를 별도로 조립하여야 함으로 조립 공정이 많아지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 별개의 독립된 부품으로 존재하던 기존의 도어힌지와 도어체커를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화함으 로써 종전의 도어체커는 삭제하고 도어힌지에서 도어체커의 기능까지 수행하도록 하여 조립공정을 줄이고 원가절감의 효과를 꾀하며, 무엇보다도 일체형에 따른 작업상의 편의성이 증대된 도어힌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체커기능이 마련된 자동차용 도어힌지는,
차체 출입구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힌지축을 매개로 회동되며, 자동차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는 도어브라켓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도어힌지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에는, 외경에 다단의 걸림턱이 굴곡지게 형성된 스토핑 기어가 축 설치되고, 상기 도어 브라켓에는 일단이 상기 스토핑 기어의 걸림턱을 가압하는 스토핑 레버가 축 설치되는 한편, 상기 스토핑 레버와 도어 브라켓 사이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서,
도어 브라켓에 탄지된 스토핑 레버의 일단이 스토핑 기어의 굴곡진 걸림턱을 항시 가압함으로써, 도어의 개폐를 위한 도어 브라켓의 회전이 스토핑 기어와 스토핑 레버 사이에 생성되는 탄성 간섭력에 의해 순차로 제어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브라켓과 도어 브라켓의 양편에는 각각 힌지공이 형성된 절곡편이 형성되고, 이들 고정 브라켓의 절곡편과 도어 브라켓의 절곡편은 상호 중첩된 상태에서 힌지축을 통해 상호 힌지 결속상태를 이루며,
상기 고정 브라켓의 절곡편과 이와 중첩되는 도어 브라켓의 절곡편에는, 고정턱과 상기 고정턱에 견착되는 고정핀이 택일적으로 마련되어, 도어 브라켓의 개폐각이 걸림턱과 고정핀의 스토핑 작용에 의해 물리적으로 제한되도록 구성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토핑 기어와 스토핑 레버는 각각 스틸재질의 몸체의 표면에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피막층이 형성되어, 내마모성이 겸비되고, 소음발생이 억제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체커기능이 마련된 자동차용 도어힌지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체커기능이 마련된 자동차용 도어힌지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체커기능이 마련된 자동차용 도어힌지의 조립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체커기능이 마련된 자동차용 도어힌지에 있어, 스토핑 기어와 스토핑 레버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6는 상기 도 5의 'A'부분의 단면구성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동차용 도어힌지(1)는,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상의 것과 같이 차체 출입구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10)과; 상기 고정브라켓(10)에 힌지축(30)을 매개로 회동되며, 자동차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는 도어브라켓(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도어힌지(1)는 자동차의 차체와 도어 사이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기능을 도모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브라켓(10)의 양편에는 힌지공(12)이 형성된 절곡편(11)이 형성되어 있고, 도어 브라켓(20)도 양편에도 힌지공(22)이 형성된 절곡편(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고정 브라켓(10)의 절곡편(11)과 도어 브라켓(20)의 절곡편(21)은 상호 중첩된 상태에서 힌지축(30)을 통해 상호 힌지 결속상태를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브라켓(10)의 절곡편(11)에 고정턱(13)을 형성하고, 이와 중첩되는 도어 브라켓(20)의 절곡편(21)에는 고정핀(23)을 마련하여, 도어 브라켓(20)의 개폐각이 걸림턱(13)과 고정핀(23)의 스토핑 작용에 의해 물리적으로 구속되도록 하고 있다.
즉, 도어 브라켓(20)이 일정각 이상 절환이 되면, 고정 브라켓(10)에 형성된 고정턱(13)에 도어 브라켓(20)의 고정핀(23)이 견착되어, 도어 브라켓(20)의 개폐가 물리적으로 제한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자동차용 도어힌지(1)에, 도어의 개폐량을 다단으로 제어하는 체커기능을 부가함으로써, 별도 제작된 도어체커의 제작 및 설치가 불필요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기 힌지축(30)에는, 외경에 복수의 걸림턱(41)이 굴곡지게 형성된 스토핑 기어(40)를 설치하고, 상기 도어 브라켓(20)에는 일단이 상기 스토핑 기어(40)의 걸림턱(41)을 가압하는 스토핑 레버(50)를 축(51) 설치하는 한편, 상기 스토핑 레버(50)와 도어 브라켓(20) 사이에는 스프링(60)이 설치하고 있다. 이때, 상기 스토핑 기어(40)가 설치된 힌지축(30)은 고정 브라 켓(10)에 고정된 상태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도어 브라켓(20)에 스프링(60)을 통해 탄지된 스토핑 레버(50)의 일단은, 스토핑 기어(40)의 굴곡진 걸림턱(41)을 항시 가압하여서, 도어의 개폐를 위한 도어 브라켓(20)의 회전이 스토핑 기어(40)와 스토핑 레버(50) 사이에 생성되는 탄성 구속력에 의해 순차로 제어된다.
즉,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의 개폐작용에 의해 스프링(60)에 탄지된 스토핑 레버(50)의 일단과 스토핑 기어(40)의 굴곡진 걸림턱(41) 사이에 탄성 간섭이 발생되고, 이러한 탄성 간섭에 의해 도어가 순간적으로 개폐되는 현상이 억제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도어힌지(1)를 구현함에 있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토핑 기어(40)와 스토핑 레버(50)를 각각 스틸재질의 몸체로 구성하는 한편, 이 몸체의 표면에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피막(42, 52)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어의 개폐작용에 의해 실질적인 간섭과 마찰이 발생되는 스토핑 기어(40)와 스토핑 레버(50)에,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피막층(42, 52)을 형성하게 되면, 우수한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겸비되고, 또 소음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종래 각각 별개의 독립된 부품으로 존재하던 기존의 도어힌지와 도어체커를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화시킨 도어힌지를 제안하 고 있다.
이와 같이 도어힌지에 도어체커 기능을 마련하게 되면, 도어힌지와 도어체커의 별도 제작에 따른 부대비용이 감소되고, 또 조립에 따른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도어체커는, 종래 도어체커를 구성하는 고정 브라켓과 도어 브라켓 및 힌지축의 변경없이, 스토핑 기어와 스토핑 레버 및 스프링을 단순히 부가하여 구현이 되므로, 생산에 따른 편의성이 제공될 수 있다.

Claims (3)

  1. 차체 출입구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힌지축을 매개로 회동되며, 자동차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는 도어브라켓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도어힌지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에는, 외경에 다단의 걸림턱이 굴곡지게 형성된 스토핑 기어가 축 설치되고, 상기 도어 브라켓에는 일단이 상기 스토핑 기어의 걸림턱을 가압하는 스토핑 레버가 축 설치되는 한편, 상기 스토핑 레버와 도어 브라켓 사이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서,
    도어 브라켓에 탄지된 스토핑 레버의 일단이 스토핑 기어의 굴곡진 걸림턱을 항시 가압함으로써, 도어의 개폐를 위한 도어 브라켓의 회전이 스토핑 기어와 스토핑 레버 사이에 생성되는 탄성 간섭력에 의해 순차로 제어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커기능이 마련된 자동차용 도어힌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과 도어 브라켓의 양편에는 각각 힌지공이 형성된 절곡편이 형성되고, 이들 고정 브라켓의 절곡편과 도어 브라켓의 절곡편은 상호 중첩된 상태에서 힌지축을 통해 상호 힌지 결속상태를 이루며,
    상기 고정 브라켓의 절곡편과 이와 중첩되는 도어 브라켓의 절곡편에는, 고정턱과 상기 고정턱에 견착되는 고정핀이 택일적으로 마련되어, 도어 브라켓의 개폐각이 걸림턱과 고정핀의 스토핑 작용에 의해 물리적으로 제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커기능이 마련된 자동차용 도어힌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 기어와 스토핑 레버는 각각 스틸재질의 몸체의 표면에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피막층이 형성되어, 내마모성이 겸비되고, 소음발생이 억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커기능이 마련된 자동차용 도어힌지.
KR1020070050902A 2007-05-25 2007-05-25 체커기능이 마련된 자동차용 도어힌지 KR100826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902A KR100826811B1 (ko) 2007-05-25 2007-05-25 체커기능이 마련된 자동차용 도어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902A KR100826811B1 (ko) 2007-05-25 2007-05-25 체커기능이 마련된 자동차용 도어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6811B1 true KR100826811B1 (ko) 2008-05-02

Family

ID=39649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0902A KR100826811B1 (ko) 2007-05-25 2007-05-25 체커기능이 마련된 자동차용 도어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68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491B1 (ko) 2007-11-28 2009-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체커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힌지
KR20180077975A (ko) *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일진 차량용 도어 힌지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064B1 (ko) 2002-05-29 2004-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
JP2006233472A (ja) * 2005-02-23 2006-09-07 Riken Kaki Kogyo Kk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
JP2006307507A (ja) * 2005-04-27 2006-11-09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ドアチェッカ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064B1 (ko) 2002-05-29 2004-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
JP2006233472A (ja) * 2005-02-23 2006-09-07 Riken Kaki Kogyo Kk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
JP2006307507A (ja) * 2005-04-27 2006-11-09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ドアチェッカ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491B1 (ko) 2007-11-28 2009-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체커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힌지
KR20180077975A (ko) *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일진 차량용 도어 힌지 조립체
KR101897067B1 (ko) * 2016-12-29 2018-10-29 주식회사 일진 차량용 도어 힌지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98704B (zh) 具有多部件棘爪的锁止装置
KR101297960B1 (ko) 잠금 장치
US10294700B2 (en) Vehicle door lock
US7360337B2 (en) Door closing apparatus
JP5382542B2 (ja) チェックリンク装置
US20140157550A1 (en) Linear center rail structure for sliding door
KR20210070796A (ko) 차량도어 체크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KR100826811B1 (ko) 체커기능이 마련된 자동차용 도어힌지
US10041279B2 (en) Motor vehicle lock
KR100862097B1 (ko) 도어 체커
US20150204121A1 (en) Lock for a flap or door
JP6318415B2 (ja) ボールソケットジョイント、閉鎖システム及び自動車
KR100448063B1 (ko) 체커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힌지장치
EP2389490B1 (en) Mechanism for smooth opening and retaining a car door in a desired position
KR100448064B1 (ko)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
KR20030097214A (ko) 도어체커 기능을 갖는 도어힌지장치
US20150082703A1 (en) Remote control mechanism for sliding door
KR101207737B1 (ko) 도어클로저
EP4034398A1 (en) Roller mechanism with limited rotation
US20230203743A1 (en) Laundry machine door assembly
KR100716847B1 (ko) 자동차의 도어 체커
KR20180013465A (ko) 차량용 도어 체커
JP2008202306A (ja) 車両ドア開閉装置
TR202022043A2 (tr) Kamyon kapi menteşesi̇ kademe mekani̇zmasi
KR100422875B1 (ko)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