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758B1 -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758B1
KR102499758B1 KR1020180081868A KR20180081868A KR102499758B1 KR 102499758 B1 KR102499758 B1 KR 102499758B1 KR 1020180081868 A KR1020180081868 A KR 1020180081868A KR 20180081868 A KR20180081868 A KR 20180081868A KR 102499758 B1 KR102499758 B1 KR 102499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hecker
cabinet
groove
elas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7587A (ko
Inventor
박유민
심도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1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758B1/ko
Publication of KR20200007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2011/1035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with circumferential and evenly distributed detents around the pivot-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2011/1092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the angle between the hinge parts being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에 장착되는 제1힌지유닛; 및 상기 캐비닛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제1힌지유닛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힌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힌지유닛 중 어느 하나에는 체커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힌지유닛 중 다른 하나에는 둘레를 따라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캐비닛에 대한 상기 도어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도어의 회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체커는 상기 복수의 걸림홈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OPENING ANGLE ADJUSTMENT DEVICE OF DOOR}
본 발명은 기설정된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부 가전기기(예를 들어, 냉장고, 스타일러, 세탁기, 건조기 등)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캐비닛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다. 도어의 회전을 위해, 캐비닛과 도어는 힌지 구조를 통하여 연결된다.
일반적으로는,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도어를 열더라도, 관성에 의해 도어가 쉽게 끝까지 열리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이처럼, 도어가 최대 열림각도까지 열림되는 경우, 힌지 구조에 큰 충격이 전달되어, 관련 구성이 파손될 염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10615호(2001.02.15. 공개)는 도어에 설치된 스위치가 조작되면, 마찰수단이 회동편의 움직임을 단속하여, 여러 위치에서 도어가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구조는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이 필요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떨어지고, 전자장치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구조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0005호(2017.03.21. 등록)는 힌지핀이 연결편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힌지핀의 결합시 도어가 90도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되되, 힌지핀의 분리시에는 도어가 270도 까지도 더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구조는 사용자가 힌지핀을 결합하고 분리하는 조작이 필요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떨어지고, 도어의 고정 각도가 다양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10615호(2001.02.15.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0005호(2017.03.21. 등록)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기설정된 회전 각도 이상의 임의의 열림각도에서 도어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기설정된 회전 각도 범위 내의 특정 열림각도에서 도어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상기 도어의 회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도어의 추가 회전을 위한 힘이 점차 더 요구되는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는, 캐비닛에 장착되는 제1힌지유닛; 및 상기 캐비닛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제1힌지유닛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힌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힌지유닛 중 어느 하나에는 캠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힌지유닛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캠홈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캠홈의 내주면을 따라 상대 이동하는 체커가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에 대한 상기 도어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이상에서 상기 체커는 상기 캠홈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캐비닛에 대한 상기 도어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이내에서, 상기 체커는 상기 캠홈의 내주면에 미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캠홈은, 상기 캐비닛에 대한 상기 도어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이내에서 상기 체커와 미접촉되는 제1홈부; 및 상기 캐비닛에 대한 상기 도어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이상에서 상기 체커와 접촉되는 제2홈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2홈부는, 상기 캐비닛에 대한 상기 도어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이상에서 상기 도어의 회전 각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캠홈의 내주면에 대한 상기 체커의 가압력을 점차 증가시키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는, 캐비닛에 장착되는 제1힌지유닛; 및 상기 캐비닛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에 장착되고 캠홈을 구비하는 제2힌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힌지유닛은, 상기 캠홈 내에 삽입되고 수용홈을 구비하는 힌지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고 일부가 상기 힌지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캠홈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체커; 및 상기 수용홈의 내측면과 상기 체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체커를 상기 힌지핀의 외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캐비닛에 대한 상기 도어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이상에서 상기 체커는 상기 캠홈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캐비닛에 대한 상기 도어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이내에서, 상기 체커는 상기 캠홈의 내주면에 미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용홈은, 상기 탄성체를 수용하는 탄성체 수용부; 및 상기 탄성체 수용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힌지핀의 외주로 개구되고 상기 체커를 수용하는 체커 수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체커는, 상기 탄성체에 지지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보다 좁은 폭을 가지며 상기 힌지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체커 수용부는, 상기 탄성체 수용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리세스되어 상기 제1부분을 수용하는 제1홈과, 상기 제1홈보다 좁은 폭을 가지며 상기 힌지핀의 외주로 개구되어 상기 제2부분을 수용하는 제2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에 대한 상기 도어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이내에서, 상기 체커의 일단부는 상기 캠홈의 내주면에 접촉되고, 상기 체커의 타단부는 탄성체에 지지된다.
상기 탄성체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체커는 판상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면이 상기 캠홈의 내주면에 접촉되고, 타측면이 상기 탄성체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캠홈은, 상기 캐비닛에 대한 상기 도어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이내에서 상기 체커와 미접촉되는 제1홈부; 및 상기 캐비닛에 대한 상기 도어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이상에서 상기 체커와 접촉되는 제2홈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캐비닛에 대한 상기 도어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이상에서, 상기 도어의 회전 각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체커에 대한 상기 탄성체의 탄성 가압력은 점차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는, 캐비닛에 장착되는 제1힌지유닛; 및 상기 캐비닛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제1힌지유닛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힌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힌지유닛 중 어느 하나에는 체커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힌지유닛 중 다른 하나에는 둘레를 따라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캐비닛에 대한 상기 도어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도어의 회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체커는 상기 복수의 걸림홈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힌지유닛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체커를 상기 복수의 걸림홈을 향하여 탄성 가압하는 탄성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걸림홈 각각의 폭은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걸림홈 각각의 리세스된 깊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의 회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체커가 삽입되는 상기 복수의 걸림홈의 리세스된 깊이가 점차 깊어지도록 형성되는 경우, 상기 도어의 추가 회전을 위한 힘이 점차 더 요구되어,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체커가 상기 복수의 걸림홈 중 첫 걸림홈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도어는 상기 캐비닛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며, 상기 체커가 상기 복수의 걸림홈 중 마지막 걸림홈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도어는 상기 캐비닛에 대하여 둔각을 이룰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는, 캐비닛에 결합된 브래킷에 장착되고 내부에 수용부를 구비하는 환형의 조절유닛; 및 상기 캐비닛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수용부 내에서 회전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에는 외주를 따라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유닛에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를 향하여 돌출되는 체커가 형성되며, 상기 캐비닛에 대한 상기 도어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도어의 회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체커는 상기 복수의 걸림홈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회전축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아우터링; 및 상기 아우터링과 상기 체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체커를 내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아우터링의 내주를 따라 연장되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탄성체의 내주를 감싸고 상기 체커의 일부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홀을 구비하는 이너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에 대한 상기 도어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범위 외에서, 상기 체커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접촉된다.
상기 체커가 상기 복수의 걸림홈 중 첫 걸림홈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도어는 상기 캐비닛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며, 상기 체커가 상기 복수의 걸림홈 중 마지막 걸림홈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도어는 상기 캐비닛에 대하여 둔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도어의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회전축과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도어의 상부와 상기 브래킷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는, 캐비닛에 장착되는 제1힌지유닛; 및 상기 캐비닛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에 장착되고 캠홈을 구비하는 제2힌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힌지유닛은, 상기 캠홈 내에 삽입되고 수용홈을 구비하는 힌지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고 일부가 상기 힌지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캠홈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체커; 및 상기 수용홈의 내측면과 상기 체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체커를 상기 힌지핀의 외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캐비닛에 대한 상기 도어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체커는 상기 캠홈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캠홈은 상기 캐비닛에 대한 상기 도어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도어의 회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체커가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걸림홈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해결수단을 통해 얻게 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캐비닛에 대한 도어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이상에서 체커가 캠홈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기설정된 회전 각도 이상의 임의의 열림각도에서 도어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열림각도에서 도어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어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캐비닛에 대한 도어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도어의 회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체커가 복수의 걸림홈에 순차적으로 삽입됨으로써, 기설정된 회전 각도 범위 내의 특정 열림각도에서 도어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열림각도에서 도어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어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캐비닛에 대한 도어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이상에서 도어의 회전 각도가 증가할수록 캠홈의 내주면에 대한 체커의 가압력이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도어의 추가 회전을 위한 힘이 점차 더 요구된다. 또는, 캐비닛에 대한 도어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도어의 회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체커가 삽입되는 복수의 걸림홈의 리세스된 깊이가 점차 깊어지도록 형성되는 경우, 도어의 추가 회전을 위한 힘이 점차 더 요구된다.
따라서, 관성에 의해 최대 열림각도까지 열림되어 도어의 회전 관련 구성들에 큰 충격이 전달되어 관련 구성이 파손될 염려가 있었던 기존의 구조 대비, 관련 구성들에 전달되는 충격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보인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힌지유닛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B 부분의 평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1힌지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2힌지유닛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C 부분의 평면도.
도 8a 내지 도8c는 도어의 회전 각도에 따른 제1힌지유닛에 대한 제2힌지유닛의 회전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9는 제1힌지유닛의 변형예를 보인 평면도.
도 10은 제2힌지유닛의 변형예를 보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보인 개념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D 부분의 확대도.
도 13은 도 12의 라인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라인 F-F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5a 내지 도 15d는 도어의 회전 각도에 따른 조절유닛에 대한 회전축의 회전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16은 회전축의 변형예를 보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구조적, 기능적으로 모순이 되지 않는 한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구조는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캐비닛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는 구조라면 어디든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는 도어 개폐 구조를 구비하는 가전기기(예를 들어, 냉장고, 스타일러, 세탁기, 건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가 냉장고에 적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를 보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냉장고(10)의 본체를 형성하는 캐비닛(11)은 내부에 식품의 저장을 위한 저장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저장공간은 격벽(11a)에 의해 분리될 수 있으며, 설정 온도에 따라 냉장실(11b)과 냉동실(11c)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에 냉장실(11b)이 마련되고 하부에 냉동실(11c)이 마련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의 냉장고(10)를 보이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냉장실과 냉동실이 좌우로 배치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의 냉장고, 냉동실이 냉장실 위에 배치되는 탑 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의 냉장고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캐비닛(11)에는 도어(12)가 연결되어, 캐비닛(11)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도어(12)는 캐비닛(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형 도어, 캐비닛(1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랍형 도어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냉장실(11b)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캐비닛(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형 도어(12)를 보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2)가 캐비닛(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우, 캐비닛(11)과 도어(12)는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100)를 통하여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캐비닛(11)에는 제1힌지유닛(110)이 장착되고, 도어(12)에는 제2힌지유닛(120)이 장착되며, 제2힌지유닛(120)은 제1힌지유닛(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통상의 힌지 구조에서는,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도어(12)를 열더라도, 관성에 의해 도어(12)가 쉽게 끝까지 열리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이처럼, 도어(12)가 최대 열림각도까지 열림되는 경우, 힌지 구조에 큰 충격이 전달되어, 관련 구성이 파손될 염려가 있다.
이하에서는, 기설정된 회전 각도 이상에서 도어(12)가 열린 상태로 고정되어, 상술한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100)에 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2)는 메인 도어(12a)와, 메인 도어(12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브 도어(12b)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도어(12a)에는 개구(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에는 소량의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바스켓(미도시)이 설치된다. 서브 도어(12b)는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서브 도어(12b)를 열어, 바스켓에 저장된 식품에 접근할 수 있다.
서브 도어(12b)에는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는 윈도우(12b')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윈도우(12b')를 통하여 내측의 바스켓에 저장된 식품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메인 도어(12a)에 서브 도어(12b)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에도, 본 발명의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100')가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캐비닛(11)과 도어(12)에 각각 구비되는 구조는 메인 도어(12a)와 서브 도어(12b)에 각각 그대로 적용된다. 구체적으로, 메인 도어(12a)에는 제1힌지유닛(110')이 장착되고, 서브 도어(12b)에는 제2힌지유닛(120')이 장착되며, 제2힌지유닛(120')은 제1힌지유닛(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힌지유닛(11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B 부분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1힌지유닛(1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2힌지유닛(120)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C 부분의 평면도이다. 아울러, 도 8a 내지 도 8c는 도어(12)의 회전 각도에 따른 제1힌지유닛(110)에 대한 제2힌지유닛(120)의 회전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상술한 도면들을 참조하면, 제1힌지유닛(110)은 캐비닛(11)에 장착되는 장착부(111)와, 장착부(111)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도어(12)의 상면 또는 하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연장부(112)를 포함한다.
장착부(111)에는 복수의 개소에 체결홀(111a)이 형성되며, 체결부재(130)는 체결홀(111a)을 관통하여 캐비닛(11)에 결합된다.
연장부(112)는 도어(12)의 상면 위로 연장되거나 도어(12)의 저면 아래로 연장되어, 상하 방향으로 도어(12)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장부(112)가 도어(12)의 저면 아래로 연장되어 도어(1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어(12)가 완전히 닫히면, 제2힌지유닛(120)의 절곡부(122)가 제1힌지유닛(110)에 수용될 수 있도록 연장부(112)에는 리세스부(112a)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힌지유닛(120)은 캠홈(123)을 구비하는 베이스부(121)와, 베이스부(121)로부터 절곡되어 갈고리 형상을 이루는 절곡부(122)를 포함한다. 본 도면에서는, 절곡부(122)가 베이스부(121)로부터 멀어지는 일방향으로 연장되었다가 절곡되어 반대방향인 타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진 것을 보이고 있다.
절곡부(122)는 베이스부(121)보다 하방으로 더 두껍게 형성되어, 도어(12)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연장부(112)의 리세스부(112a)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도 8a 참조]. 이 과정에서 절곡부(122)의 외주면이 리세스부(112a)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어(12)의 개폐시 사용자에게 조작감이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제2힌지유닛(120)에는 복수의 개소에 체결홀(120a)이 형성되며, 체결부재(140)는 체결홀(120a)을 관통하여 도어(12)에 결합된다.
이하, 제1 및 제2힌지유닛(110, 120)에 의한 도어(12)의 회전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어(12)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연장부(112)에는 힌지핀(113)이 구비되며, 기설정된 회전 각도 이상에서 도어(12)를 열린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힌지핀(113)의 수용홈(113a)에는 체커(114) 및 탄성체(115)가 수용된다. 수용홈(113a)에 수용된 탄성체(115)와 체커(114)도 캠홈(123)에 삽입된다.
힌지핀(113)은 연장부(112)의 일면에서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된다. 힌지핀(113)의 단부에는 테이퍼진 형태를 가지는 테이퍼부(113b)가 형성될 수 있다. 힌지핀(113)은 제2힌지유닛(120)의 캠홈(123) 내에 삽입되며, 탄성체(115)와 체커(114)를 수용하는 수용홈(113a)을 구비한다.
힌지핀(113)은 연장부(112)를 통과하여 연장부(112)의 타면(본 도면에서는, 하면)으로 돌출 형성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연장부(112)의 타면으로 돌출된 힌지핀(113)은 다른 도어(12)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게 된다.
수용홈(113a)은 탄성체 수용부(113a')와 체커 수용부(113a")를 포함한다.
탄성체 수용부(113a')는 탄성체(115)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도면에서는, 탄성체 수용부(113a')가 힌지핀(113)의 상부로 개구된 형태를 갖는 것을 보이고 있다.
체커 수용부(113a")는 체커(114)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체커 수용부(113a")는 탄성체 수용부(113a')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힌지핀(113)의 외주로 개구된 형태를 갖는다. 체커 수용부(113a")도 힌지핀(113)의 상부로 개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체커(114)는 체커 수용부(113a")에 삽입되고, 일부가 힌지핀(113)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캠홈(123)의 내주면을 따라 상대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도면에서는, 체커(114)가 판상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면이 탄성체(115)에 지지되고, 타측면이 캠홈(123)의 내주면을 따라 상대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체커(114)는 고강도의 리지드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탄성체(115)는 수용홈(113a)의 내측면과 체커(114) 사이에 배치되어, 체커(114)를 힌지핀(113)의 외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본 도면에서는, 탄성체(115)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탄성체(115)는 고무, 우레탄 등의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도어(12)가 캐비닛(11)에 대하여 회전되면, 제2힌지유닛(120)이 제1힌지유닛(110)에 대하여 회전된다. 따라서, 캠홈(123)은 내부에 힌지핀(113)을 수용한 상태로 회전된다. 달리 말하면, 힌지핀(113)은 캠홈(123)의 내주면 둘레를 상대 이동하게 된다.
도 8a를 참조하면, 캐비닛(11)에 대한 도어(12)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이내에서, 체커(114)는 캠홈(123)의 내주면에 미접촉되도록 구성된다.
도 8b를 참조하면, 캐비닛(11)에 대한 도어(12)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이상에서, 체커(114)는 캠홈(123)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체커(114)의 일단부는 캠홈(123)의 내주면에 접촉되고, 체커(114)의 타단부는 탄성체(115)에 지지된다.
캠홈(123) 내주면의 형상에 따라, 체커(114)는 체커 수용부(113a")로 더 인입되거나 체커 수용부(113a")로부터 더 인출된다. 체커(114)가 체커 수용부(113a")로 더 인입되면 탄성체(115)는 체커(114)에 의해 더 가압되어 압축된다.
이러한 캠홈(123)의 내주면과 체커(114)의 미접촉/접촉을 구현하기 위해, 캠홈(123)은, 캐비닛(11)에 대한 도어(12)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이내에서 체커(114)와 미접촉되는 제1홈부(123a)와, 캐비닛(11)에 대한 도어(12)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이상에서 체커(114)와 접촉되는 제2홈부(12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회전 각도는 예각 또는 90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12)가 캐비닛(11)에 대하여 90도 미만으로 개방되었을 때까지는 체커(114)가 캠홈(123)의 내주면에 미접촉되다가[도 8a 참조], 90도 이상으로 개방되면 체커(114)가 캠홈(123)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8b 참조].
상기 접촉은 특정 회전 각도까지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촉은 도어(12)가 캐비닛(11)에 대하여 120도로 개방될 때까지 유지될 수 있다[도 8c 참조]. 상기 특정 회전 각도는 제1 및 제2힌지유닛(110, 120) 간의 기구적 간섭, 내지는 캐비닛(11)과 도어(12)의 기구적 간섭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특정 회전 각도는 캠홈(123)의 형상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어(12)는 캐비닛(11)과의 기구적 간섭이 발생할 때까지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은 그때까지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특정 회전 각도는 제1힌지유닛(110)에 대한 제2힌지유닛(120)의 최대 회전 각도, 내지는 캐비닛(11)에 대한 도어(12)의 최대 회전 각도가 될 수 있다.
체커(114)가 캠홈(123)의 내주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탄성체(115)는 체커(114)를 탄성 가압하여 밀어내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체커(114)는 캠홈(123)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캐비닛(11)에 대한 도어(12)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이상에서, 도어(12)의 회전 각도가 증가할수록, 체커(114)에 대한 탄성체(115)의 가압력이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홈부(123b)는, 캐비닛(11)에 대한 도어(12)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이상에서, 도어(12)의 회전 각도가 증가할수록, 캠홈(123)의 내주면과 탄성체(115)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구성된다. 캠홈(123)의 내주면과 탄성체(115)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탄성체(115)의 탄성 복원력이 커져서, 체커(114)는 캠홈(123)의 내주면을 보다 강하게 가압하게 된다.
이처럼, 체커(114)가 캠홈(123)의 내주면에 접촉되면, 이들 간에 마찰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미접촉된 경우와 비교하여, 도어(12)의 회전을 위해서는 더 큰 힘이 요구된다.
만일, 도어(12)의 회전력이 상기 마찰력보다 작으면, 도어(12)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해서, 캐비닛(11)에 대한 도어(12)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이상에서는 도어(12)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이전보다 더 큰 힘이 요구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12)를 회전시키는 힘을 조절하여, 도어(12)의 열림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임의로 조절된 위치에서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체커(114)가 캠홈(123)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도어(12)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원하는 열림각도에서 도어(12)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어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또는 제2힌지유닛(110, 120)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해당 구성이 변형된 것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9는 제1힌지유닛(210)의 변형예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플레이트 형태를 가졌던 앞선 실시예의 체커(114)와 달리, 본 변형예의 체커(214)는 'T'자 형태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체커(214)는 탄성체(215)에 지지되는 제1부분(214a)과, 제1부분(214a)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어 힌지핀(213)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부분(214b)을 포함한다. 제2부분(214b)은 제1부분(214a)보다 좁은 폭을 가진다.
체커(214)의 형상이 달라짐에 따라, 체커 수용부(213a")의 형상도 달라진다. 체커 수용부(213a")는 탄성체 수용부(213a')의 내주면으로부터 리세스되어 제1부분(214a)을 수용하는 제1홈(213a"1)과, 제1홈(213a"1)보다 좁은 폭을 가지며 힌지핀(213)의 외주로 개구되어 제2부분(214b)을 수용하는 제2홈(213a"2)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1홈(213a"1)과 제2홈(213a"2)의 연결 부분은 단차지게 형성된다. 제1 및 제2홈(213a"1, 213a"2)은 힌지핀(213)의 돌출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측에서 개구된다.
체커(214)는 상측의 개구를 통하여 체커 수용부(213a")에 수용된다. 체커(214)의 제1및 제2부분(214a, 214b)의 형상에 대응하여, 체커 수용부(213a")의 제1홈(213a"1)과 제2홈(213a"2)의 연결 부분이 단차지게 형성됨으로써, 힌지핀(213)의 반경 방향으로 체커(214)의 제1부분(214a)이 걸림되어 체커(214)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0은 제2힌지유닛(320)의 변형예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임의의 열림 각도가 아닌, 특정 열림 각도에서 도어(12)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어(12)는 캐비닛(11)에 대하여 100도, 110도, 120도로 개방된 위치에서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캠홈(123)은 캐비닛(11)에 대한 도어(12)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이상에서, 도어(12)의 회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체커(314)가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걸림홈부(323b)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어(12)가 캐비닛(11)에 대하여 100도로 개방되면, 체커(314)는 첫 번째 걸림홈부(323b1)에 삽입된다. 따라서, 도어(12)는 100도로 개방된 위치에서 고정된다. 체커(314)가 첫 번째 걸림홈부(323b1)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을 만큼의 힘이 가해지면, 체커(314)는 두 번째 걸림홈부(323b2)에 삽입된다. 이때, 도어(12)의 개방 각도는 110도가 된다. 체커(314)가 두 번째 걸림홈부(323b2)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을 만큼의 힘이 가해지면, 체커(314)는 마지막 세 번째 걸림홈부(323b3)에 삽입된다. 이때, 도어(12)의 개방 각도는 120도가 된다.
복수의 걸림홈부(323b) 각각은 체커(314)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걸림홈부(323b)의 폭은 모두 같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캐비닛(11)에 대한 도어(12)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이상에서 도어(12)의 회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체커(314)가 삽입되는 복수의 걸림홈부(323b)의 리세스된 깊이가 점차 깊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12)의 추가 회전을 위한 힘이 점차 더 요구된다. 예를 들어, 첫 번째 걸림홈(323b1)에서 마지막 걸림홈(323b3)으로 갈수록 그 리세스된 깊이가 점차 깊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어(12)를 더 활짝 개방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힘이 필요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기설정된 회전 각도 범위 내의 특정 열림각도에서 도어(42)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400)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40)를 보인 개념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D 부분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13은 도 12의 라인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라인 F-F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아울러, 도 15a 내지 도 15d는 도어(42)의 회전 각도에 따른 조절유닛(412)에 대한 회전축(421)의 회전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상술한 도면들을 참조하면, 캐비닛(41)에는 제1힌지유닛(410)이 장착되고, 캐비닛(41)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42)에는 제2힌지유닛(420)이 장착된다. 제2힌지유닛(420)은 도어(42)의 개폐시 제1힌지유닛(4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1 및 제2힌지유닛(410, 420) 중 어느 하나에는 체커(412c)가 구비되고, 제1 및 제2힌지유닛(410, 420) 중 다른 하나에는 둘레를 따라 복수의 걸림홈(421a)이 형성된다.
캐비닛(41)에 대한 도어(42)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도어(42)의 회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체커(412c)는 복수의 걸림홈(421a)에 순차적으로 삽입된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기설정된 회전 각도 범위 내의 특정 열림각도에서 도어(42)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힌지유닛(410)이 캐비닛(41)에 장착되는 브래킷(411)과, 상기 브래킷(411)에 장착되고 내부에 수용부(412')를 구비하는 환형의 조절유닛(412)을 포함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아울러, 제2힌지유닛(420)은 수용부(412')에 삽입되어 도어(42)의 개폐에 따라 수용부(412') 내에서 회전되는 회전축(421)을 포함한다.
브래킷(411)은 캐비닛(41)에 장착되어 도어(42)의 상부로 연장되며, 회전축(421)과 조절유닛(412)은 도어(42)의 상부와 브래킷(411) 사이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브래킷(411)은 도어(42)의 하부로 연장되고, 회전축(421)과 조절유닛(412)은 도어(42)의 하부와 브래킷(411)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아울러, 조절유닛(412)과 회전축(421)의 설치 위치는 뒤바뀔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힌지유닛(410)은 캐비닛(41)에 장착되는 브래킷(411)과, 상기 브래킷(411)에 장착되는 축(자체가 회전하지 않으므로 회전축이 아닌 축이라고 명명)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힌지유닛(420)은 축을 수용하는 수용부(412')를 구비하는 환형의 조절유닛(4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회전축(421)에는 외주를 따라 복수의 걸림홈(421a)이 형성된다. 복수의 걸림홈(421a) 각각은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조절유닛(412)은 아우터링(412a), 탄성체(412b), 체커(412c) 및 이너링(412d)을 포함한다.
아우터링(412a)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조절유닛(412)의 외형을 형성한다. 아우터링(412a)은 리지드한 재질(예를 들어, 금속, 고강도 플라스틱 등)로 형성된다.
아우터링(412a)의 내주에는 탄성체(412b)가 배치된다. 탄성체(412b)는 아우터링(412a)의 내주 일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링(412a)의 내주를 따라 연장되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탄성체(412b)는 고무, 우레탄 등의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체커(412c)는 탄성체(412b)에서 조절유닛(412)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체커(412c)는 조절유닛(412)의 수용부(412')에 수용된 회전축(421)의 외주를 향하여 돌출된다. 체커(412c)의 단부는 라운드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체커(412c)는 고강도의 리지드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도면에서는, 체커(412c)가 단일 재질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체커(412c)의 단부에는 롤러나 볼이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체커(412c)가 회전축(421)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거나 걸림홈에 삽입되었다가 빠져나올 때 요구되는 힘이 감소될 수 있다. 즉, 도어(42)의 개폐 조작시 가해지는 힘이 감소될 수 있으며, 부드러운 조작이 구현될 수 있다.
체커(412c)가 리지드한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체커(412c)는 이중 사출에 의해 탄성체(412b)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체커(412c)가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체커(412c)는 탄성체(412b)와 같은 재질로서 탄성체(412b)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체커(412c)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탄성체(412b)와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체커(412c)는 탄성체(412b)에 형성된 체결홀을 통해 외측에서 내측으로 끼워지는 방식으로 탄성체(412b)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체커(412c)가 체결홀을 통해 빠지지 않도록, 체커(412c)의 일부는 탄성체(412b)에 걸림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너링(412d)은 탄성체(412b)의 내주를 감싸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이너링(412d)의 내부 공간은 회전축(421)을 수용하는 수용부(412')를 형성한다. 이너링(412d)은 체커(412c)의 일부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홀을 구비한다. 이너링(412d)은 리지드한 재질(예를 들어, 금속, 고강도 플라스틱 등)로 형성된다.
캐비닛(41)에 대한 도어(42)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범위 외에서, 체커(412c)는 회전축(421)의 외주면에 접촉된다. 즉, 체커(412c)의 일단부는 회전축(421)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타단부는 탄성체(412b)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도어(42)의 회전시 회전축(421)의 외주면과 체커(412c) 간의 마찰력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도어(42)의 회전을 위해서는 일정한 힘이 요구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42)를 열었을 때 관성에 의해 계속 회전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캐비닛(41)에 대한 도어(42)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도어(42)의 회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체커(412c)는 복수의 걸림홈(421a)에 순차적으로 삽입된다.
체커(412c)가 복수의 걸림홈(421a) 중 첫 번째 걸림홈(421a1)에 걸린 상태에서, 도어(42)는 캐비닛(41)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거나 90도를 이루거나 둔각을 이룰 수 있다. 체커(412c)가 복수의 걸림홈(421a) 중 마지막 걸림홈(421a3)에 걸린 상태에서, 도어(42)는 캐비닛(41)에 대하여 둔각을 이룬다.
예를 들어, 도 15a 내지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2)가 캐비닛(41)에 대하여 80도, 100도, 120도로 개방된 위치에서, 체커(412c)는 복수의 걸림홈(421a)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42)가 캐비닛(41)에 대하여 80도로 개방되면, 체커(412c)는 첫 번째 걸림홈(421a1)에 삽입된다. 따라서, 도어(42)는 80도로 개방된 위치에서 고정된다. 체커(412c)가 첫 번째 걸림홈(421a1)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을 만큼의 힘이 가해지면, 체커(412c)는 두 번째 걸림홈(421a2)에 삽입된다. 이때, 도어(42)의 개방 각도는 100도가 된다. 체커(412c)가 두 번째 걸림홈(421a2)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을 만큼의 힘이 가해지면, 체커(412c)는 마지막 세 번째 걸림홈(421a3)에 삽입된다. 이때, 도어(42)의 개방 각도는 120도가 된다.
복수의 걸림홈(421a) 각각은 체커(412c)를 수용하도록 체커(412c)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걸림홈(421a)부의 폭은 모두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회전축(421)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해당 구성이 변형된 것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6은 회전축의 변형예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캐비닛(41)에 대한 도어(42)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이상에서 도어(42)의 회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체커(514)가 삽입되는 복수의 걸림홈(521a)의 리세스된 깊이가 점차 깊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42)의 추가 회전을 위해서는 힘이 점차 더 요구된다. 예를 들어, 첫 번째 걸림홈(521a1)에서 마지막 걸림홈(521a3)으로 갈수록 그 리세스된 깊이가 점차 깊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어(42)를 더 활짝 개방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힘이 필요하게 된다.

Claims (20)

  1. 캐비닛에 장착되는 제1힌지유닛; 및
    상기 캐비닛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에 장착되고, 캠홈을 구비하는 제2힌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힌지유닛은,
    상기 캠홈 내에 삽입되고, 수용홈을 구비하는 힌지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고, 일부가 상기 힌지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캠홈의 내주면을 따라 상대 이동하는 체커; 및
    상기 수용홈의 내측면과 상기 체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홈의 내주를 따라 연장되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커를 상기 힌지핀의 외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캐비닛에 대한 상기 도어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이상에서, 상기 체커는 상기 캠홈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대한 상기 도어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이내에서, 상기 체커는 상기 캠홈의 내주면에 미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탄성체를 수용하는 탄성체 수용부; 및
    상기 탄성체 수용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힌지핀의 외주로 개구되고, 상기 체커를 수용하는 체커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커는, 상기 탄성체에 지지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보다 좁은 폭을 가지며 상기 힌지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체커 수용부는, 상기 탄성체 수용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리세스되어 상기 제1부분을 수용하는 제1홈과, 상기 제1홈보다 좁은 폭을 가지며 상기 힌지핀의 외주로 개구되어 상기 제2부분을 수용하는 제2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대한 상기 도어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이상에서, 상기 체커의 일단부는 상기 캠홈의 내주면에 접촉되고, 상기 체커의 타단부는 탄성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홈은,
    상기 캐비닛에 대한 상기 도어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이상에서, 상기 체커와 미접촉되는 제1홈부; 및
    상기 캐비닛에 대한 상기 도어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이내에서, 상기 체커와 접촉되는 제2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대한 상기 도어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이상에서, 상기 도어의 회전 각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체커에 대한 상기 탄성체의 탄성 가압력은 점차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캠홈은,
    상기 캐비닛에 대한 상기 도어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이상에서, 상기 도어의 회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체커가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걸림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9. 캐비닛에 결합된 브래킷에 장착되고, 내부에 수용부를 구비하는 환형의 조절유닛; 및
    상기 캐비닛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수용부 내에서 회전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에는 외주를 따라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회전축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아우터링;
    상기 회전축의 외주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는 체커;
    상기 아우터링과 상기 체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링의 내주를 따라 연장되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커를 내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에 대한 상기 도어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도어의 회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체커는 상기 복수의 걸림홈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탄성체의 내주를 감싸고, 상기 체커의 일부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홀을 구비하는 이너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대한 상기 도어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범위 외에서, 상기 체커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커가 상기 복수의 걸림홈 중 첫 걸림홈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도어는 상기 캐비닛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며,
    상기 체커가 상기 복수의 걸림홈 중 마지막 걸림홈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도어는 상기 캐비닛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도어의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회전축과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도어의 상부와 상기 브래킷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16. 캐비닛에 장착되는 제1힌지유닛; 및
    상기 캐비닛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제1힌지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힌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힌지유닛 중 어느 하나에는 체커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힌지유닛 중 다른 하나에는 둘레를 따라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힌지유닛 중 어느 하나에는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커를 상기 복수의 걸림홈을 향하여 탄성 가압하는 탄성체가 더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에 대한 상기 도어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도어의 회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체커는 상기 복수의 걸림홈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17. 삭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걸림홈 각각의 폭은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걸림홈 각각의 리세스된 깊이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체커가 상기 복수의 걸림홈 중 첫 걸림홈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도어는 상기 캐비닛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며,
    상기 체커가 상기 복수의 걸림홈 중 마지막 걸림홈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도어는 상기 캐비닛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KR1020180081868A 2018-07-13 2018-07-13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KR102499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868A KR102499758B1 (ko) 2018-07-13 2018-07-13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868A KR102499758B1 (ko) 2018-07-13 2018-07-13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587A KR20200007587A (ko) 2020-01-22
KR102499758B1 true KR102499758B1 (ko) 2023-02-15

Family

ID=69368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868A KR102499758B1 (ko) 2018-07-13 2018-07-13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7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607B1 (ko) * 2006-10-11 2008-03-17 고모텍주식회사 힌지 어셈블리
CN104453504A (zh) * 2013-09-17 2015-03-25 深圳市海洋王照明工程有限公司 定位铰链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0812Y1 (ko) * 1981-06-30 1982-04-24 류대영 도어 힌지
KR20010010615A (ko) 1999-07-21 2001-02-15 전주범 냉장고 도어 개폐 조절장치
KR20090052918A (ko) * 2007-11-22 2009-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1569025B1 (ko) * 2008-05-26 2015-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힌지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1720005B1 (ko) 2015-12-08 2017-03-27 (주)상전정공 각도 조절이 가능한 탑차용 도어 개폐장치
KR101897067B1 (ko) * 2016-12-29 2018-10-29 주식회사 일진 차량용 도어 힌지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607B1 (ko) * 2006-10-11 2008-03-17 고모텍주식회사 힌지 어셈블리
CN104453504A (zh) * 2013-09-17 2015-03-25 深圳市海洋王照明工程有限公司 定位铰链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587A (ko) 202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7858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9567701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969554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9650737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160273777A1 (en) Hinge apparatus and oven with the same
CN107558118B (zh) 洗衣机
US20140109344A1 (en) Door hinge
EP3176524B1 (en) Door shelf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979063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5169706B2 (ja) 冷蔵庫
KR102499758B1 (ko)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US8356866B2 (en) Refrigerator with door opening device
US10258219B2 (en)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a lock
US20080250605A1 (en) Hinge unit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US20220034577A1 (en) Multi-joint link hing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2521939B1 (ko) 냉장고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200007588A (ko)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KR100801622B1 (ko) 힌지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김치냉장고
KR102100191B1 (ko) 냉장고
EP3899126B1 (en) A laundry washing and/or drying machine comprising a hinge group
CN218092595U (zh) 具有凹口的铰链组件及具有其的制冷设备
KR20220085384A (ko) 냉장고
KR100900952B1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KR20110038388A (ko) 냉장고
KR101669419B1 (ko) 김치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