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1622B1 - 힌지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김치냉장고 - Google Patents

힌지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김치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1622B1
KR100801622B1 KR1020070022401A KR20070022401A KR100801622B1 KR 100801622 B1 KR100801622 B1 KR 100801622B1 KR 1020070022401 A KR1020070022401 A KR 1020070022401A KR 20070022401 A KR20070022401 A KR 20070022401A KR 100801622 B1 KR100801622 B1 KR 100801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cam
door
cam
hinge uni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2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만
류상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2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1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4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힌지유니트는, 도어와 본체캐비닛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힌지축과; 힌지축에 결합되며 힌지축의 축방향으로 형성된 고정캠경사면을 갖는 고정캠과; 고정캠경사면에 맞물리는 유동캠경사면을 가지며 고정캠의 회동에 따라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유동하는 유동캠과; 유동캠을 고정캠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와; 도어와 본체캐비닛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어 고정캠을 수용하는 고정캠커버와; 고정캠커버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고정캠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돌기부와; 도어가 개방위치를 유지하는 개방유지구간과 도어가 개방위치에서 자중에 의하여 폐쇄되는 자동폐쇄구간 사이의 경계영역에서 도어의 작동저항이 발생하도록 고정캠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돌기부가 걸림 결합되는 돌기걸림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도어의 개방유지구간과 자동폐쇄구간 사이의 경계영역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힌지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김치냉장고{HINGE UNIT AND KIMCHI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김치냉장고의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힌지유니트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종래의 김치냉장고의 도어 개방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유니트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유니트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부분절취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힌지유니트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부분절취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힌지유니트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부분절취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힌지유니트 25 : 힌지축
30 : 고정캠 40 : 유동캠
50 : 제1탄성부재 60 : 고정캠커버
70 : 하우징 80 : 돌기부
90 : 돌기걸림부 101 : 김치냉장고
110 : 본체캐비닛 115 : 도어
본 발명은 힌지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김치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개방유지구간과 자동폐쇄구간 사이의 경계영역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힌지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김치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힌지유니트는 냉장고, 김치냉장고, 건축물, 수납장치, 복사기 등 다양한 장치에서 본체에 대하여 도어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서 힌지유니트는 일 실시예로 김치냉장고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김치냉장고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개구(113)를 갖는 저장실(111)이 형성된 본체캐비닛(110)과, 저장실(111)의 상부개구(113)를 개폐하는 도어(115)와, 도어(115)를 본체캐비닛(1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유니트(120)를 포함한다.
힌지유니트(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도어(115)에 결합되는 힌지축(125)과, 힌지축(125)에 결합되며 힌지축(125)의 축방향으로 형성된 고정캠경사면을 갖는 고정캠(130)과, 고정캠(130)의 고정캠경사면에 맞물리는 유동캠경사면을 가지며 고정캠(130)의 회동에 따라 힌지축(125)의 축방향으로 유동하는 유동캠(140)과, 유동캠(140)을 고정캠(130)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어(115)의 개방각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15)의 개방위치를 유지하는 개방유지구간(A)과, 도어(115)가 개방위치에서 자중에 의하여 폐쇄되는 자동폐쇄구간(B)으로 나뉜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어(115)를 개방유지구간(A)으로 회동시키면, 힌지유니트(120)의 힌지축(125)과 고정캠(130)이 회동하고, 이에 따라 탄성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하여 유동캠(140)이 고정캠(130) 방향으로 유동한다. 여기서, 유동캠(140)이 탄성부재(150)로부터 제공받는 탄성력이 도어(115)의 자중에 비하여 크므로 도어(115)가 자중에 의하여 폐쇄위치로 이동하지 않고 개방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어(115)를 개방유지구간(A)으로부터 자동폐쇄구간(B)으로 회동시키면, 힌지유니트(120)의 힌지축(125)과 고정캠(130)이 회동하고, 이에 따라 유동캠(140)이 탄성부재(15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유동캠(140)이 탄성부재(150)로부터 제공받는 탄성력이 도어(115)의 자중을 극복할 수 없으므로 도어(115)는 자중에 의하여 폐쇄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김치냉장고(101)에서 사용자가 개방유지구간(A)과 자동폐쇄구간(B) 사이의 경계영역(C)을 인지할 수 있다면, 사용자는 도어(115)를 자동폐쇄구간(B)까지만 회동시키면 되므로, 사용자가 도어(115)를 세게 닫아 김치냉장고(101)에 충격을 가하거나, 사용자가 손을 다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도어(115)를 폐쇄하기가 용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개방유지구간과 자동폐쇄구간 사이의 경계 영역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힌지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개방유지구간과 자동폐쇄구간 사이의 경계영역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힌지유니트를 갖는 김치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도어를 본체캐비닛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상기 본체캐비닛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며 상기 힌지축의 축방향으로 형성된 고정캠경사면을 갖는 고정캠과; 상기 고정캠경사면에 맞물리는 유동캠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고정캠의 회동에 따라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유동하는 유동캠과; 상기 유동캠을 상기 고정캠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도어와 상기 본체캐비닛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캠을 수용하는 고정캠커버와; 상기 고정캠커버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고정캠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돌기부와; 상기 도어가 개방위치를 유지하는 개방유지구간과 상기 도어가 개방위치에서 자중에 의하여 폐쇄되는 자동폐쇄구간 사이의 경계영역에서 상기 도어의 작동저항이 발생하도록 상기 고정캠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상기 돌기부가 걸림 결합되는 돌기걸림부를 포함하는 힌지유니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돌기걸림부는 상기 고정캠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걸림부는 상기 고정캠의 외주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캠커버에 마련되어 상기 돌기부를 상기 고정캠 방향으로 탄성 가압 하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캠커버에는 상기 돌기부 및 상기 제2탄성부재가 수용되는 돌기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김치냉장고에 있어서, 상부개구를 갖는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캐비닛과; 상기 상부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힌지유니트를 포함하는 김치냉장고에 의하여 달성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로 힌지유니트(20)가 김치냉장고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에 따른 힌지유니트(20)는 냉장고, 수납장치, 복사기 등 도어가 본체에 대하여 상향 회동하는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유니트(20) 및 이를 포함하는 김치냉장고를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 1 및 도 3에서 힌지유니트(120)를 제외한 구성은 본 발명과 동일하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 도 1 및 도 3을 인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는 상부개구(113)를 갖는 저장실(111)이 형성된 본체캐비닛(110)과, 저장실(111)의 상부개구(113)를 개폐하는 도어(115)와, 도어(115)를 본체캐비닛(11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유니트(20)를 포함한다.
본체캐비닛(110)은 사각함체상으로 마련되며, 그 내부에는 상부개구(113)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111)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저장실(111)은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저장실(111)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어(115)는 저장실(111)의 상부개구(113)를 개폐한다. 도어(115)는 상부개구(113)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상부개구(113)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여기서, 도어(115)의 개방위치는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개방유지구간(A)과 자동폐쇄구간(B)을 갖는다.
힌지유니트(20)는 힌지축(25)과, 힌지축(25)에 결합되며 힌지축(25)의 축방향으로 형성된 고정캠경사면(35)을 갖는 고정캠(30)과, 고정캠경사면(35)에 맞물리는 유동캠경사면(45)을 가지며 고정캠(30)의 회동에 따라 힌지축(25)의 축방향으로 유동하는 유동캠(40)과, 유동캠(40)을 고정캠(30)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50)와, 고정캠(30)을 수용하는 고정캠커버(60)와, 고정캠커버(6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고정캠(30)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돌기부(80)와, 도어(115)의 개방유지구간(A)과 자동폐쇄구간(B) 사이의 경계영역(C)에서 도어(115)의 작동저항이 발생하도록 고정캠(30)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돌기부(80)가 걸림 결합되는 돌기걸림부(90)를 포함한다.
힌지축(25)은 양단부가 도어(115)와 본체캐비닛(11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힌지축(25)은 도어(115)에 결합된다. 이에, 도어(115)를 회동시키면 힌지축(25)이 회동할 수 있게 된다.
고정캠(30)은 힌지축(25)의 양측 영역에 상호 이격되어 마련된다. 고정캠(30)은 상호 마주보는 면에 힌지축(25)의 축방향으로 고정캠경사면(35)이 형성되 어 있다. 고정캠(30)은 힌지축(25)과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고정캠(30)은 힌지축(25)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한편, 한 쌍의 고정캠(30) 사이에는 한 쌍의 유동캠(40)이 배치되어 있다.
유동캠(40)에는 고정캠(30)과 마주보는 면에 고정캠경사면(35)과 대응되는 형상의 유동캠경사면(45)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고정캠(30)이 회전함에 따라 유동캠(40)이 힌지축(25)의 축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유동캠(40)의 상호 마주보는 면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캠플레이트(47)가 마련되어 있다. 캠플레이트(47)는 제1탄성부재(50)의 탄성력을 지지하여 유동캠(4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1탄성부재(50)는 유동캠(40)을 고정캠(30) 방향으로 탄성 가압한다. 제1탄성부재(50)는 한 쌍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힌지축(25)의 중앙 영역에는 제1탄성부재(50)를 지지하는 탄성지지부(55)가 힌지축(25)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한편, 제1탄성부재(50)는 한 쌍의 유동캠(40) 사이에 하나로 마련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탄성지지부(55)는 마련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캠커버(60)는 고정캠(30)을 수용한다. 고정캠커버(60)는 도어(115)와 본체캐비닛(110) 중 다른 하나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캠커버(60)는 본체캐비닛(110)에 장착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 전술한 힌지축(25)은 도어(115)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도록 도어(115)에 결합되며, 고정캠커버(60)는 도어(115)가 회동하더라도 회동하지 않도록 본체캐비닛(110)에 결합된다. 이와 반대로, 힌지축(25)이 본체캐비닛(110)에 결합되고, 고정캠커버(60)가 도 어(115)에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본체캐비닛(110)에는 전술한 힌지축(25), 고정캠(30), 유동캠(40), 제1탄성부재(50) 및 고정캠커버(60)를 수용하는 하우징(70)이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고정캠커버(60)는 하우징(7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정캠커버(60)의 내주면에는 돌기수용부(87)가 함몰 형성될 수가 있다. 돌기수용부(87)는 고정캠커버(60)의 내주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어 돌기부(80)가 장착 및 작동 공간을 제공한다.
돌기부(80)는 돌기수용부(87)에 장착되며, 고정캠커버(6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돌기부(80)는 고정캠(30)의 외주면에 접촉된다. 돌기부(80)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돌기부(80)는 도어(115)의 개방유지구간(A)과 자동폐쇄구간(B) 사이의 경계영역(C)에서 돌기걸림부(90)에 걸림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돌기걸림부(90)는 고정캠(30)의 외주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된다. 돌기걸림부(90)는 도어(115)가 개방유지구간(A)과 자동폐쇄구간(B) 사이의 경계영역(C)에 위치할 때, 돌기부(80)에 대응되는 고정캠(30)의 외주면에 함몰 형성된다. 한편, 돌기걸림부(90)의 위치는 상황에 따라 가변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돌기걸림부(90)는 도어(115)의 회동에 따라 돌기부(80)가 자연스럽게 미끄러지면서 삽입 및 이탈되도록 함몰된 부분으로부터 고정캠(30)의 외주면을 향하여 경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와 동일한 개념으로 돌기부(80)의 외표면을 곡면으로 마련하여, 도어(115)의 회동에 따라 돌기부(80)가 돌기걸림부(90)에 용이하게 삽입 및 이탈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개방유지구간(A)과 자동폐쇄구간(B)의 경계영역(C)은 도어(115)의 폐쇄위치를 기준으로 대략 10도 내지 30도 범위 이내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수치적 의미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설계시 도어(115)의 자중과 제1탄성부재(50)의 탄성력을 고려하여 가변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힌지유니트(20)는 고정캠커버(60)에 마련되어 돌기부(80)를 고정캠(30)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2탄성부재(8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2탄성부재(85)는 돌기수용부(87)에 장착되어 돌기부(8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탄성부재(8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힌지유니트(20) 및 이를 포함하는 김치냉장고를 자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으며, 동일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힌지유니트(20)는 제1실시예의 돌기걸림부(90)의 형상을 변경시킨 구조이다. 돌기걸림부(90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80)가 도어(115)의 회동에 따라 고정캠(30)의 외주면을 미끄러지다가 걸림 결합 할 수 있도록 고정캠(3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어(115)가 개방유지구간(A)과 자동폐쇄구간(B) 사이의 경계영역을 지나면, 돌기부(80)는 돌기걸림부(90a)에 걸리면서 도어(115)의 회동에 저항으로 작용하게 되며, 작동 소음이 발생된다. 이에, 사용자는 도어(115)의 개방유지구간(A)과 자동폐쇄구간(B) 사이의 경계영역(C)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힌지유니트(20) 및 이를 포함하는 김치냉장고를 자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으며, 동일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힌지유니트(20)는 제1실시예의 제2탄성부재(85)를 변경시킨 구조이다. 제2탄성부재(85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80a)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돌기수용부(87)로 연결되는 이음매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탄성부재(85a)는 러버, 실리콘,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도어(115)의 개방유지구간(A)과 자동폐쇄구간(B) 사이의 경계영역(C)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유니트(20) 및 이를 포함하는 김치냉장고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115)를 폐쇄위치에서 개방유지구간(A)으로 회동시키면, 힌지유니트(20)의 힌지축(25)과 고정캠(30)이 회동하고, 이에 따라 제1탄성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하여 유동캠(40)이 고정캠(30) 방향으로 유동한다. 여기서, 고정캠(30)은 돌기부(80)와 접촉한 상태에서 회동하게 된다. 이러한 개방유지구간(A)에서는 유동캠(40)이 제1탄성부재(50)로부터 제공받는 탄성력이 도어(115)의 자중에 비하여 크므로 도어(115)의 자중에 의하여 도어(115)가 폐쇄위치로 이동하지 않고 개방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어(115)를 개방유지구간(A)으로부터 자동폐쇄구간(B) 사이의 경계영역으로 회동시키면, 도어(115)의 회동에 따라 고정캠(30)이 회동하고, 고정캠(30)의 회동에 따라 돌기걸림부(90)가 회동하게 된다. 여기서, 도어(115)가 개방유지구 간(A)과 자동폐쇄구간(B) 사이의 경계영역(C)을 지나게 되는 순간 돌기걸림부(90)에 돌기부(80)가 걸려 작동소음 및 작동저항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도어(115)의 개방유지구간(A)과 자동폐쇄구간(B)의 경계영역(C)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어(115)를 자동폐쇄구간(A)으로 가압하여 회동시키면, 힌지유니트(20)의 힌지축(25)과 고정캠(30)이 회동하고, 고정캠경사면(35)과 유동캠경사면(45)의 작동에 의하여 유동캠(40)이 제1탄성부재(5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자동폐쇄구간(A)에서는 유동캠(40)이 제1탄성부재(50)로부터 제공받는 탄성력이 도어(115)의 자중을 극복할 수 없으므로 도어(115)는 자중에 의하여 폐쇄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힌지유니트(20)는 고정캠커버(6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고정캠(30)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돌기부(80)와, 도어(115)가 개방유지구간(A)과 자동폐쇄구간(B) 사이의 경계영역(C)에서 도어(115)의 작동저항이 발생하도록 고정캠(30)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돌기부(80)가 걸림 결합되는 돌기걸림부(90)를 포함함으로써, 도어(115)를 용이하게 폐쇄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도어(115)를 세게 닫아 김치냉장고(101)에 충격을 가하거나 손을 다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개방유지구간과 자동폐쇄구간 사이의 경계영역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힌지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 는 김치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도어를 본체캐비닛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상기 본체캐비닛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며 상기 힌지축의 축방향으로 형성된 고정캠경사면을 갖는 고정캠과;
    상기 고정캠의 고정캠경사면에 맞물리는 유동캠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고정캠의 회동에 따라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유동하는 유동캠과;
    상기 유동캠을 상기 고정캠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도어와 상기 본체캐비닛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캠을 수용하는 고정캠커버와;
    상기 고정캠커버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고정캠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돌기부와;
    상기 도어가 개방위치를 유지하는 개방유지구간과 상기 도어가 개방위치에서 자중에 의하여 폐쇄되는 자동폐쇄구간 사이의 경계영역에서 상기 도어의 작동저항이 발생하도록 상기 고정캠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상기 돌기부가 걸림 결합되는 돌기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걸림부는 상기 고정캠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유니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걸림부는 상기 고정캠의 외주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유니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캠커버에 마련되어 상기 돌기부를 상기 고정캠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유니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캠커버에는 상기 돌기부 및 상기 제2탄성부재가 수용되는 돌기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유니트.
  6. 김치냉장고에 있어서,
    상부개구를 갖는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캐비닛과;
    상기 상부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힌지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KR1020070022401A 2007-03-07 2007-03-07 힌지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김치냉장고 KR100801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401A KR100801622B1 (ko) 2007-03-07 2007-03-07 힌지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김치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401A KR100801622B1 (ko) 2007-03-07 2007-03-07 힌지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김치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1622B1 true KR100801622B1 (ko) 2008-02-11

Family

ID=39342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2401A KR100801622B1 (ko) 2007-03-07 2007-03-07 힌지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김치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16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77484A1 (en) * 2008-01-06 2009-07-09 Marc Eliot Davis System and method for message clustering
US8554623B2 (en) 2008-03-03 2013-10-08 Yaho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ocial network marketing with consumer referral
US8560390B2 (en) 2008-03-03 2013-10-15 Yaho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ocial network marketing with brand referr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463A (ko) * 2001-07-05 2003-01-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저장고의 힌지장치
KR20030062628A (ko) * 2002-01-18 2003-07-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김치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
KR20030065739A (ko) * 2002-01-30 2003-08-09 이민성 김치냉장고용 힌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463A (ko) * 2001-07-05 2003-01-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저장고의 힌지장치
KR20030062628A (ko) * 2002-01-18 2003-07-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김치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
KR20030065739A (ko) * 2002-01-30 2003-08-09 이민성 김치냉장고용 힌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77484A1 (en) * 2008-01-06 2009-07-09 Marc Eliot Davis System and method for message clustering
US8762285B2 (en) * 2008-01-06 2014-06-24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message clustering
US8554623B2 (en) 2008-03-03 2013-10-08 Yaho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ocial network marketing with consumer referral
US8560390B2 (en) 2008-03-03 2013-10-15 Yaho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ocial network marketing with brand referr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80643B (zh) 铰链及具有该铰链的家居装置
AU2011335363B2 (en) Table top dishwasher
KR100801622B1 (ko) 힌지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김치냉장고
KR20170008761A (ko) 가구 또는 가전 제품용 힌지
KR100479006B1 (ko) 김치냉장고용 힌지장치
KR0142056B1 (ko) 냉장고 도어 힌지조립체
KR101527511B1 (ko) 댐퍼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도어 회전장치
KR100534135B1 (ko) 힌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CN111118835B (zh) 一种阻尼结构及衣物处理设备
KR200328910Y1 (ko) 스프링 경첩
KR100922651B1 (ko) 도어용 경첩
KR102499758B1 (ko)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KR200228234Y1 (ko) 유압식 플로어힌지의 하우징
JP7277322B2 (ja) ラッチ受具
JP2020197377A (ja) 冷蔵庫
JP6868287B2 (ja) ゲーム機用下部蝶番
EP1467013A1 (en) Inner tub with rotary damper for clothes washing machine
KR100900952B1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KR101228936B1 (ko) 냉장고
KR20220118657A (ko) 개선된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도어 힌지
RU223838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ерживания ручки двери или окна
WO2020235125A1 (ja) 洗濯機
KR0142058B1 (ko) 조립식 캠을 사용한 냉장고 도어 힌지조립체
KR200358646Y1 (ko) 김치냉장고용 힌지장치
JP2021058415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