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511B1 - 댐퍼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도어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댐퍼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도어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511B1
KR101527511B1 KR1020130137301A KR20130137301A KR101527511B1 KR 101527511 B1 KR101527511 B1 KR 101527511B1 KR 1020130137301 A KR1020130137301 A KR 1020130137301A KR 20130137301 A KR20130137301 A KR 20130137301A KR 101527511 B1 KR101527511 B1 KR 101527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hole
viscous fluid
door
shaf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7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5231A (ko
Inventor
정길석
Original Assignee
에버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버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버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7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511B1/ko
Publication of KR20150055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5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23Wound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 상태를 유지하고, 도어의 회전 속도를 달리하여 사용감을 고급스럽게 할 수 있는 댐퍼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도어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립체는 하우징, 슬라이딩부, 탄성부재 그리고 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하우징은 점성 유체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진다. 슬라이딩부는 일단부에는 제1캠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축 방향으로 안내공이 관통 형성되며, 수용부에 구비되어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탄성부재는 수용부에 구비되고, 일단부는 수용부의 바닥면에 접하며, 타단부는 슬라이딩부에 접하여 슬라이딩부를 제1방향으로 탄발 지지한다. 그리고, 회전부는 안내공으로 삽입되는 축부와, 축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제1캠과 접하는 제2캠을 가지며 하우징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2캠은 회전하면서 제1캠을 밀어내어 슬라이딩부가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거나, 제1캠이 제1방향으로 이동시 회전하면서 축부를 회전시킨다.

Description

댐퍼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도어 회전장치{DAMPER ASSEMBLY AND APPARATUS FOR ROTATING DO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댐퍼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도어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개폐 상태를 유지하고, 도어의 회전 속도를 달리하여 사용감을 고급스럽게 할 수 있는 댐퍼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도어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덮개, 뚜껑 등을 개폐하는 과정에서 회전력을 제어하여 도어나 덮개 등이 급격하게 닫히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댐퍼를 사용하고 있다.
댐퍼는 크게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를 이용하는 탄성부재 방식과, 점성 유체를 사용하여 감쇠력을 부여하는 점성 유체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탄성부재 방식을 적용한 댐퍼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988-0014508호와 같이, 케이싱과, 케이싱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일단이 돌출되는 축과, 케이싱과 축 사이에 설치되어 축에 감쇠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탄성부재 방식의 댐퍼는 감쇠력이 양방향(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 모두에 대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일방향으로만 감쇠력이 필요한 경우에는 채용할 수 없으며, 사용 횟수가 늘어남에 따라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변화를 가져오기 때문에 감쇠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점성 유체 방식을 이용한 댐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414520호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점성 유체 방식을 이용한 댐퍼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종래의 점성 유체 방식을 이용한 오일 댐퍼는 적용 대상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에 따라서 감쇠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 오일 댐퍼는 이 같은 감쇠력의 제어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점성 유체 방식을 이용한 오일 댐퍼는 점성 유체의 밀폐 및 회전에 의한 감쇠력을 얻기 위하여 많은 부품이 하우징 내부에 구성되어 있어,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 과정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제작 원가가 고가이며, 오일 댐퍼의 전체적인 크기가 커져서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988-0014508호(1988.12.2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414520호(2003.12.2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도어의 개폐 상태를 유지하고, 도어의 회전 속도를 달리하여 사용감을 고급스럽게 할 수 있는 댐퍼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도어 회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점성 유체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된 하우징; 일단부에는 제1캠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축 방향으로 안내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어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부;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고, 일단부는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접하고, 타단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에 접하여 상기 슬라이딩부를 제1방향으로 탄발 지지하는 탄성부재; 그리고 상기 안내공으로 삽입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캠과 접하는 제2캠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캠은 회전하면서 상기 제1캠을 밀어내어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1캠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시 회전하면서 상기 축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이루면서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안내홈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제1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의 타단부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제1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홈에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1실링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캠은 원주 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되는 산부와 골부를 가지고, 상기 산부는 제1능선과, 상기 제1능선보다 짧은 길이의 제2능선을 가지는 비대칭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산부에서 상기 제1능선과 상기 제2능선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2캠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캠은 상기 제1캠의 각각의 골부에 동시에 치합되도록 상기 축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축부에는 중앙에 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점성 유체가 수용되는 관통공과, 상기 축부의 외측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수용된 점성 유체가 상기 축부의 외측으로 배출되거나 상기 축부의 외측의 점성 유체가 상기 관통공으로 유입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제1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안착홈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탄성력을 가지는 띠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띠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띠부재의 타단부 상측을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수용된 점성 유체가 상기 제1통공을 통해 상기 축부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축부의 외측의 점성 유체가 상기 제1통공을 통해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축부에는 상기 제1통공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관통공에 수용된 점성 유체가 상기 축부의 외측으로 배출되거나 상기 축부의 외측의 점성 유체가 상기 관통공으로 유입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제2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축부의 일단부에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2통공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조절구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체에 결합되고, 힌지부를 가지는 고정 플레이트; 그리고 하우징은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에 결합되며, 축부의 일단부에 형성된 결합헤드는 상기 힌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힌지 회전을 지지하는 댐퍼 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어 회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단차부가 상기 도어의 소켓에 형성된 결합부에 끼워져 상기 도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의 외측면에 제1단차부가 형성되어 도어의 소켓에 형성되는 결합부에 끼워짐으로써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소켓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어가 개방 회전시에, 제2캠은 상대적으로 길이가 더 긴 제1능선을 따라 이동하고, 걸림홈은 제1능선의 끝 지점에 형성되기 때문에, 제2캠이 걸림홈에 걸려 도어가 정지되었을 때 도어는 큰 개방 각도를 가질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캠이 걸림홈에 위치되면 개방된 도어에 일정 힘이 가해지기 전까지 정지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좋은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능선의 제1구간은 제2구간보다 전체적으로 기울기가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어가 닫히도록 회전하는 경우, 제2캠이 제1구간에서 이동하게 되면 도어의 회전 속도가 느려지게 되어 도어가 천천히 닫힐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어가 본체에 닫히는 순간에 부드럽게 닫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점성 유체가 이동하는 제1통공의 외측에 띠부재가 구비되어, 점성 유체가 제1통공을 통해 축부의 외측으로는 이동되도록 하고, 점성 유체가 제1통공을 통해 축부의 내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체크밸브의 기능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슬라이딩부의 상향 이동 속도가 줄어들게 되어 제2캠의 회전 속도도 감소하게 되기 때문에, 도어가 천천히 닫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축부의 관통홀에 조절구가 결합되어 제2통공의 개방 면적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점성 유체의 유량 및 점성 유체의 흐름 저항의 미세한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립체의 하우징과 슬라이딩부의 분해 및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립체의 슬라이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립체의 슬라이딩부의 제1캠의 형상을 평면에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립체의 하우징과 슬라이딩부의 작동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립체의 회전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립체의 회전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립체의 슬라이딩부와 회전부의 작동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립체의 슬라이딩부와 회전부의 작동예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립체의 제1캠과 제2캠의 위치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립체를 가지는 도어 회전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립체를 가지는 도어 회전장치가 본체 및 도어에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립체의 하우징과 슬라이딩부의 분해 및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립체의 슬라이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립체의 슬라이딩부의 제1캠의 형상을 평면에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립체의 하우징과 슬라이딩부의 작동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립체(10)는 하우징(20), 슬라이딩부(30), 탄성부재(12) 그리고 회전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하우징(20)은 댐퍼 조립체(10)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20)의 내측에는 수용부(21)가 형성되며, 수용부(21)는 하우징(20)의 일단부를 통해 외측으로 개방된다.
수용부(21)의 내측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안내홈(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안내홈(22)은 하우징(20)의 일단부에서부터 하우징(2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안내홈(22)은 라운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처럼 안내홈(22)을 각진 형상이 아닌 라운드된 형태로 형성함에 따라 안내홈(22)의 가공이 용이해질 수 있다.
수용부(21)에는 점성 유체가 수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점성 유체는 오일일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20)의 일단부 내측면에는 제1나사산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나사산부(23)에는 후술할 마개부(7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0)의 외측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제1단차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단차부(25)는 하우징(2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닥면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0)은 후술할 도어(300, 도 15참조)의 소켓(310, 도 15참조)에 삽입 결합될 수 있는데, 이때, 제1단차부(25)가 상기 소켓에 형성된 결합부(311, 도 15참조)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소켓에 삽입된 하우징(20)은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딩부(30)는 수용부(21)의 내측 지름에 대응되는 외측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부(30)의 외측면에는 슬라이딩 돌기(31)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돌기(31)는 수용부(21)의 안내홈(22)에 대응되도록 라운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돌기(31)는 안내홈(22)에 결합될 수 있으며, 안내홈(2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부(30)는 수용부(21)에 위치되어 하우징(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돌기(31)가 안내홈(22)에 결합되어 이동하기 때문에, 슬라이딩부(30)는 회전이 없이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30)의 중앙에는 축 방향으로 안내공(32)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안내공(32)으로는 후술할 회전부(50)의 축부(51)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부(30)의 일단부에는 제1캠(4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캠(40)은 원주 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되는 산부(41)와 골부(46)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산부(41)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골부(46)도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산부(41) 및 골부(46)는 각각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산부(41)는 제1능선(43)과 제2능선(44)을 가질 수 있는데, 제2능선(44)은 제1능선(43)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능선(43)의 전체 기울기는 제2능선(44)의 전체 기울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능선(43)이 제2능선(44)보다 전체적으로 완만한 경사도를 가질 수 있다. 즉, 산부(41)는 비대칭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산부(41)에서 제1능선(43)과 제2능선(44)이 연결되는 부분, 즉, 제일 높은 부분에는 걸림홈(45)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45)은 후술할 회전부(50)의 제2캠(6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걸림홈(45)에는 제2캠(60)이 걸릴 수 있다.
제1캠(40)은, 슬라이딩부(30)의 중심으로부터 제1위치(L1)까지를 0도로 하고, 이를 기준으로 했을 때, 제1위치(L1)에서부터30도 각도까지의 제1구간(S1)은 큰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31도 각도에서부터 110도 각도까지의 제2구간(S2)은 제1구간(S1)보다 작은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45)은 111도 각도에서부터 130도 각도까지의 제3구간(S3)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131도 각도에서부터 180도 각도까지의 제4구간(S4)은 제2구간(S2)의 기울기보다 큰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구간별 각도 및 기울기 관계는 반드시 전술한 바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한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골부(46)는 대칭을 이루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구간(S1) 및 제4구간(S4)의 일부 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골부(46)는 제2캠(6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부(30)의 타단부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제1결합홈(3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홈(33)에는 수용부(21)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1실링부재(11)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용부(21)에 수용된 점성 유체가 슬라이딩부(30)의 외측면과 수용부(21)의 내측면의 사이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용부(21)의 상부에 위치한 슬라이딩부(30)가 도 6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향 이동 시, 수용부(21)에 수용된 점성 유체는 슬라이딩부(30)의 안내공(32)으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안내공(32)은 축부(51)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제1밀착부(34)와, 축부(51)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점성 유체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 형성부(35)를 가질 수 있다. 공간 형성부(35)에는 점성 유체가 수용될 수 있는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하우징(20)의 수용부(21)에는 탄성부재(12)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12)는 일단부가 수용부(21)의 바닥면에 접하고, 타단부는 슬라이딩부(30)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지지부(37)에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12)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탄성부재(12)는 슬라이딩부(30)를 제1방향으로 탄발 지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립체의 회전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립체의 회전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립체의 슬라이딩부와 회전부의 작동예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립체의 슬라이딩부와 회전부의 작동예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립체의 제1캠과 제2캠의 위치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여기서, 도 9의 (a) 및 (b)는 회전부의 제2캠이 슬라이딩부의 제1캠의 골부에 위치된 상태를 90도 각도만큼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10의 (a) 및 (b)는 제2캠이 제1캠의 걸림홈에 위치된 상태를 90도 각도만큼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1의 (a)는 제2캠이 제1캠의 골부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의 (b)는 제2캠이 제1캠의 걸림홈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4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와 함께 도 7 및 도 8을 포함하여 보는 바와 같이, 회전부(50)는 축부(51)와 제2캠(60)을 가질 수 있다.
먼저, 축부(51)의 일단부에는 결합헤드(52)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헤드(52)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제2단차부(53)를 가질 수 있다. 제2단차부(53)는 바닥면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고정 플레이트(110, 도 16참조)의 힌지부(120, 도 16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축부(51)의 일단부에는 마개부(7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개부(70)에는 중앙을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공(71)이 형성되고, 결합공(71)의 내측으로 축부(51)의 일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결합공(71)은 삽입되는 축부(51)의 일단부의 외측 지름보다 큰 내측 지름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결합공(71)에 삽입된 축부(51)는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결합공(71)의 내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제2실링부재(13)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마개부(70)와 축부(51)의 사이는 실링될 수 있다.
제2실링부재(13)는 원주 방향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제2실링부재(13)와 축부(51)의 외측면과의 접촉 면적이 감소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회전부(50)의 회전시 마찰력이 최소화되어 회전부(50)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마개부(70)의 외측면에는 하우징(20)에 형성된 제1나사산부(23)에 대응되는 제2나사산부(7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마개부(70)는 하우징(20)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회전부(50)는 마개부(70)에 결합된 상태로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마개부(70)의 외측면에는 제2결합홈(75)이 형성될 수 있고, 제2결합홈(75)에는 제3실링부재(15)가 결합될 수 있다. 제3실링부재(15)는 하우징(2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하우징(20)의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하우징(20)의 점성유체가 외측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축부(51)의 타단부에는 슬라이딩부(30)의 안내공(32)의 제1밀착부(34, 도 6 참조)에 밀착되는 제2밀착부(54)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밀착부(54)는 상기 제1밀착부의 내측 지름에 대응되는 외측 지름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축부(51)에는 제2밀착부(54)와 인접하게 경사부(55)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55)는 축부(51)의 일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축부(51)가 슬라이딩부(30)의 안내공(32)에 삽입되었을 때 형성되는 공간 형성부(35, 도 6 참조)의 부피가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축부(51)에는 중앙에 축 방향으로 관통공(56)이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공(56)에는 수용부(21)에 수용된 점성 유체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축부(51)의 외측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안착홈(57)이 형성될 수 있으며, 안착홈(57)에는 제1통공(58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통공(58a)은 관통공(56)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56)에 수용된 점성 유체는 제1통공(58a)을 통해 축부(51)의 외측, 즉, 공간 형성부(35)로 배출될 수 있고, 공간 형성부(35)의 점성 유체는 제1통공(58a)을 통해 관통공(56)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안착홈(57)에는 안착홈(57)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탄성력을 가지는 띠부재(80)가 구비될 수 있다. 띠부재(80)는 일단부(81)가 띠부재(80)의 타단부(82) 상측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띠부재(80)는 말린 형상의 판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축부(51)에는 제1통공(58a)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2통공(58b)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통공(58b)도 관통공(56)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점성 유체는 제2통공(58b)을 통해서도 관통공(56) 및 공간 형성부(35)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축부(51)의 일단부에는 조절구(9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조절구(90)는 스크류 드라이버 등이 결합될 수 있는 홈(91)이 형성된 헤드(92)와, 축부(51)의 관통공(56)에 삽입되는 몸체부(93)를 가질 수 있다.
조절구(90)의 몸체부(93)의 외측면에는 제3나사산부(9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3나사산부(94)는 축부(51)의 관통공(56)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4나사산부(59)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조절구(90)는 축부(51)의 관통공(56)에 결합되어 축부(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조절구(90)는 헤드(92)에 형성된 홈(91)에 스크류 드라이버 등이 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축부(51)의 관통공(56)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조절구(90)는 관통공(56)의 위치 상태에 따라 제2통공(58b)의 개방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점성 유체는 제1통공(58a) 및 제2통공(58b)을 통해 이동하거나, 제1통공(58a) 만을 통해 이동하도록 유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점성 유체의 이동 저항이 조절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점성 유체가 제1통공(58a) 및 제2통공(58b)을 통해 이동하는 경우에도, 제2통공(58b)의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점성 유체의 이동 저항이 더욱 미세하게 조절될 수 있다.
조절구(90)의 헤드(92)의 외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실링홈(95)이 형성되고, 실링홈(95)에는 제4실링부재(14)가 구비될 수 있다. 제4실링부재(14)는 축부(51)의 관통공(56)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관통공(56)에 수용된 점성 유체가 축부(51)의 일단부를 통해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축부에는 제2캠(6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2캠(60)은 슬라이딩부(30)의 제1캠(40)과 밀착될 수 있다. 제2캠(60)은 축부(5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데, 조립 등을 고려하여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포함하여 보는 바와 같이, 제2캠(60)은 슬라이딩부(30)의 제1캠(40)에 밀착되어 회전하면서 제1캠(40)을 밀어냄으로써 슬라이딩부(30)가 탄성부재(12)에 의해 탄발 지지되는 방향인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캠(60)은 탄성부재(12)의 탄발력에 의해 슬라이딩부(30)가 제1방향으로 이동시에 제1캠(40)에 의해 회전하면서 축부(51)가 회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2캠(60)은 축부(51)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캠(60)은 제1캠(40)의 각각의 골부(46)에 동시에 치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2캠(60)의 정상부의 형상은 제1캠(40)의 골부(46)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 및 도 11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부(50)의 제2캠(60)은 슬라이딩부(30)의 제1캠(40)의 골부(46)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캠(60)이 제1캠(40)의 골부(46)에 위치되는 경우는 후술할 도어(300, 도 16 참조)가 본체(200, 도 16 참조)를 밀폐한 상태(door close)일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딩부(30)는 탄성부재(12)에 의해 제1방향으로 탄발 지지된 상태가 되며, 점성 유체는 수용부(21) 및 축부(51)의 관통공(56)에 수용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1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부(50)에, 구체적으로는, 축부(51)의 결합헤드(52)에 외력이 가해져서, 제2캠(6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2캠(60)이 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딩부(30)는 제2방향으로 하향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캠(60)이 일방향으로 회전한다는 것은 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를 개방하도록 회전하는 상태(door open)일 수 있다.
자세히, 도 14를 포함하여 보는 바와 같이, 결합헤드(52)에 외력이 가해지면 제2캠(60)은 제1캠(40)의 제1능선(43)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슬라이딩부(30)는 하향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결합헤드(52)에 가해지는 외력은 탄성부재(12)의 탄발력보다 큰 경우로 가정하며, 이에 따라, 탄성부재(12)가 압축되게 되면서 슬라이딩부(30)는 하향 이동하게 된다.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회전하는 제2캠(60)이 제1구간(S1)을 지나는 경우, 슬라이딩부(30)는 하향 이동을 하게 된다. 제2캠(60)이 제1구간(S1)을 지나는 경우, 상기 도어는 0~30도의 각도 범위로 개방 회전하는 상태가 된다.
이후, 제2캠(60)이 제2구간(S2)을 지나는 경우, 제2구간(S2)은 제1구간(S1)보다 전체 기울기가 작기 때문에, 슬라이딩부(30)는 제1구간(S1)에서보다 상대적으로 천천히 하향 이동을 하게 된다. 제2캠(60)이 제2구간(S2)을 지나는 경우, 도어는 31~110도의 각도 범위로 개방 회전하는 상태가 된다.
만일, 제2캠(60)이 제1구간(S1) 또는 제2구간(S2)에 위치된 상태에서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탄성부재(12)의 탄발력에 의해 슬라이딩부(30)는 상향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캠(60)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도어가 닫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가 닫히도록 회전하는 경우, 제2구간(S2)보다 제1구간(S1)의 기울기가 크기 때문에 제2캠(60)이 제1구간(S1)에 위치된 경우 상기 도어의 회전 속도가 느려지게 되어 상기 도어가 천천히 닫힐 수 있다. 이는 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에 닫히는 순간에 부드럽게 닫힐 수 있도록 도와준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110도 각도의 이내 범위까지만 열고 손을 놓게 되면, 상기 도어는 자동적으로 회전하여 닫힐 수 있게 된다.
외력이 가해져서 제2캠(60)이 제1구간(S1) 및 제2구간(S2)에 위치되는 경우, 슬라이딩부(30)는 하향 이동하게 되며, 수용부(21)의 공간이 줄어들게 되면서 점성 유체는 축부(51)의 관통공(56)으로 유입되고, 제1통공(58a) 및/또는 제2통공(58b)을 통해 공간 형성부(35)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띠부재(80)는 제1통공(58a)에서 배출되는 점성 유체에 의해 확장되기 때문에 점성 유체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해지게 된다. 점성 유체는 슬라이딩부(30)의 이동 시에 저항으로 작용하면서 슬라이딩부(30)의 급속한 이동을 방지하기 때문에, 상기 도어가 부드럽게 회전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한편, 제2캠(60)이 제3구간(S3)의 걸림홈(45)에 위치되고, 더 이상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제2캠(60)은 걸림홈(45)에 걸려 이동이 정지될 수 있다. 이때는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로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를 여는 과정에서, 제2캠(60)이 걸림홈(45)에 걸리는 느낌을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도어가 완전 열린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개방 회전시에, 제2캠(60)은 상대적으로 길이가 더 긴 제1능선(43)을 따라 이동하고, 걸림홈(45)은 제1능선(43)의 끝 지점에 형성되기 때문에, 제2캠(60)이 걸림홈(45)에 걸려 상기 도어가 정지되었을 때 상기 도어는 큰 개방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걸림홈(45)이 형성되는 제3구간(S3)의 각도 범위는 전술한 111도에서 130도 범위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캠(60)이 제4구간(S4)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는 개방 회전하여 완전히 개방되게 되며, 슬라이딩부(30)는 상향 이동하게 된다. 제4구간(S4)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적용하지 않더라도, 탄성부재(1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딩부(30)가 상향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제2캠(60)이 회전할 수 있고, 상기 도어는 개방 회전될 수 있다. 제2캠(60)이 제4구간(S4)을 지나 골부(46a)에 안착되거나 또는 안착되지 않고 제4구간(S4)에서 머무르도록 하는 것은 상기 도어가 180도까지 회전하도록 설계하느냐 하지 않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를 닫는 과정에서는, 제2캠(60)이 제4구간(S4)에 위치되었을 때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져서 제2캠(60)이 회전하게 되면, 슬라이딩부(30)는 하향 이동하게 되고, 점성 유체는 제1통공(58a) 및/또는 제2통공(58b)을 통해 관통공(56)에서 공간 형성부(35)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제2캠(60)은 제3구간(S3)의 걸림홈(45)에 위치될 수 있다.
걸림홈(45)에 위치된 도어에 걸림홈(45)의 걸림을 풀 수 있는 정도의 외력이 계속 가해지게 되면, 제2캠(60)은 제2구간(S2) 및 제1구간(S1)을 지나 골부(46b)에 위치될 수 있다.
제2캠(60)이 제2구간(S2) 및 제1구간(S1)에서 이동하는 동안 슬라이딩부(30)는 상향 이동하게 되고, 수용부(21)의 공간이 넓어지면서 관통공(56)의 점성 유체는 수용부(21)로 이동하고, 공간 형성부(35)의 점성 유체는 제1통공(58a) 및/또는 제2통공(58b)을 통해 관통공(56)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띠부재(80)의 탄성 복원력과 함께 제1통공(58a)으로 유입되는 점성 유체가 띠부재(80)를 가압함에 따라 띠부재(80)가 조여 들게 되고, 조여든 띠부재(80)가 제1통공(58a)을 막게 되면서 제1통공(58a)으로 유입되려는 점성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점성 유체에 큰 흐름 저항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처럼, 띠부재(80)는 관통공(56)에 수용된 점성 유체가 제1통공(58a)을 통해 축부(51)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축부(51)의 외측의 점성 유체가 제1통공(58a)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통공(56)의 점성 유체가 수용부(21)로 이동하는 흐름에 저항으로 작용하게 되어 슬라이딩부(30)의 상향 이동 속도를 줄일 수 있다. 특히, 제1구간(S1)의 전체 기울기는 제2구간(S2)의 전체 기울기보다 크기 때문에 제2캠(60)은 제1구간(S1)에서 더욱 천천히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1구간(S1)에서 도어는 천천히 닫힐 수 있다. 그리고, 제2캠(60)이 골부(46b)에 위치되면, 제1구간(S1)의 기울기가 크기 때문에, 제2캠(60)과의 접선각이 커지게 되므로, 도어의 닫힘력이 커질 수 있다.
띠부재(80)은 이처럼 점성 유체의 흐름 방향에 따라 점성 유체의 흐름 저항을 높이거나 낮출 수 있는 체크밸브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립체를 가지는 도어 회전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립체를 가지는 도어 회전장치가 본체 및 도어에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 회전장치(100)는 고정 플레이트(110) 및 댐퍼 조립체(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10)는 본체(2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힌지부(120)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댐퍼 조립체(10)의 하우징(20)은 본체(200)를 개폐하는 도어(3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20)은 제1단차부(25)가 도어(300)의 소켓(310)에 형성된 결합부(311)에 끼워짐으로써 용이하게 소켓(3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된 하우징(20)은 제1단차부(25)와 결합부(311)의 결합에 의해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결합헤드(52)는 힌지부(1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결합헤드(52)의 제2단차부(53)가 힌지부(120)에 결합됨으로써 본체(2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댐퍼 조립체(10)는 본체(200) 및 도어(300)에 결합되어 도어(300)의 힌지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체 및 도어는 특정한 제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본체는 고정된 부분으로, 전술한 도어는 고정된 부분과 힌지 연결되어 회전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본체 및 도어는 냉장고, 세탁기 등의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등받이가 회전할 수 있는 의자 등을 포함하는 여러 분야의 제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댐퍼 조립체
12: 탄성부재
20: 하우징
30: 슬라이딩부
31: 슬라이딩 돌기
40: 제1캠
43: 제1능선
44: 제2능선
45: 걸림홈
50: 회전부
58a: 제1통공
58b: 제2통공
60: 제2캠
70: 마개부
80: 띠부재
90: 조절구
100: 도어 회전장치
110: 고정 플레이트
120: 힌지부
200: 본체
300: 도어
310: 소켓
311: 결합부

Claims (12)

  1. 점성 유체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된 하우징;
    일단부에는 제1캠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축 방향으로 안내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어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부;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고, 일단부는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접하고, 타단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에 접하여 상기 슬라이딩부를 제1방향으로 탄발 지지하는 탄성부재; 그리고
    상기 안내공으로 삽입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캠과 접하는 제2캠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캠은 회전하면서 상기 제1캠을 밀어내어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1캠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시 회전하면서 상기 축부를 회전시키고,
    상기 축부에는 중앙에 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점성 유체가 수용되는 관통공과, 상기 축부의 외측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수용된 점성 유체가 상기 축부의 외측으로 배출되거나 상기 축부의 외측의 점성 유체가 상기 관통공으로 유입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제1통공이 형성되는 것인 댐퍼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이루면서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안내홈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되는 것인 댐퍼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제1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인 댐퍼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의 타단부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제1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홈에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1실링부재가 결합되는 것인 댐퍼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캠은 원주 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되는 산부와 골부를 가지고, 상기 산부는 제1능선과, 상기 제1능선보다 짧은 길이의 제2능선을 가지는 비대칭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댐퍼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산부에서 상기 제1능선과 상기 제2능선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2캠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인 댐퍼 조립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캠은 상기 제1캠의 각각의 골부에 동시에 치합되도록 상기 축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것인 댐퍼 조립체.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안착홈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탄성력을 가지는 띠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띠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띠부재의 타단부 상측을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수용된 점성 유체가 상기 제1통공을 통해 상기 축부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축부의 외측의 점성 유체가 상기 제1통공을 통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인 댐퍼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에는 상기 제1통공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관통공에 수용된 점성 유체가 상기 축부의 외측으로 배출되거나 상기 축부의 외측의 점성 유체가 상기 관통공으로 유입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제2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축부의 일단부에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2통공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조절구가 결합되는 것인 댐퍼 조립체.
  11. 본체에 결합되고, 힌지부를 가지는 고정 플레이트; 그리고
    제1항 내지 제7항, 제9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르고, 하우징은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에 결합되며, 축부의 일단부에 형성된 결합헤드는 상기 힌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힌지 회전을 지지하는 댐퍼 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어 회전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단차부가 상기 도어의 소켓에 형성된 결합부에 끼워져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것인 댐퍼 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어 회전장치.
KR1020130137301A 2013-11-13 2013-11-13 댐퍼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도어 회전장치 KR101527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301A KR101527511B1 (ko) 2013-11-13 2013-11-13 댐퍼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도어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301A KR101527511B1 (ko) 2013-11-13 2013-11-13 댐퍼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도어 회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231A KR20150055231A (ko) 2015-05-21
KR101527511B1 true KR101527511B1 (ko) 2015-06-10

Family

ID=53390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7301A KR101527511B1 (ko) 2013-11-13 2013-11-13 댐퍼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도어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75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28887B (zh) * 2015-12-22 2018-03-27 浙江华工电气有限公司 一种配置在弹起式地面插座与桌面插座上专用的单向缓冲阻尼器及应用
FR3098234B1 (fr) 2019-07-01 2021-09-10 Pa Cotte Sa Dispositif d’amortissement de fin de course pour ouvrant, du type mettant en œuvre un amortisseur rotatif simple effe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7722A (ko) * 2009-11-25 2011-06-01 동우정밀(주) 도어용 힌지장치
KR20110087332A (ko) * 2008-11-27 2011-08-02 미쓰비시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회전각도 규제기구 부착 세미 오토형 힌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332A (ko) * 2008-11-27 2011-08-02 미쓰비시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회전각도 규제기구 부착 세미 오토형 힌지
KR20110057722A (ko) * 2009-11-25 2011-06-01 동우정밀(주) 도어용 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231A (ko)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9222A (ko) 문 또는 문짝 등의 회전성 움직임을 위한 힌지
US20110302743A1 (en) Hinge apparatus for a door
US20140102840A1 (en) Rotary type damper
RU2762652C2 (ru) Демпфер
KR200242148Y1 (ko) 클립형 마찰 힌지장치
US11072958B2 (en) Damper hinge and western-style toilet using the same
KR20070004860A (ko) 댐퍼부착힌지
KR101527511B1 (ko) 댐퍼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도어 회전장치
WO2012150481A1 (en) Hinge
KR100896753B1 (ko) 높낮이 조정 가능한 힌지장치
KR101541373B1 (ko) 도어 클로저
KR100439421B1 (ko) 도어 힌지 유니트
KR101643768B1 (ko) 도어 회전장치
KR20180086097A (ko) 클로저의 토션장치
KR101745641B1 (ko) 클로저의 토션장치
KR101784173B1 (ko) 회전식 도어 구동 장치
KR200279159Y1 (ko) 마찰 힌지장치
KR200266486Y1 (ko) 김치냉장고용 힌지장치
CA2775667A1 (en) Rotary damper
KR101849716B1 (ko) 캠궤도 가변형 힌지댐퍼 및 힌지장치
KR101887344B1 (ko) 클로저의 댐핑챔버 및 이를 가지는 댐핑장치
KR20140120724A (ko) 댐퍼축 및 이를 가지는 로터리타입 댐퍼
KR200275106Y1 (ko) 힌지장치
KR100630228B1 (ko) 김치냉장고 도어용 힌지
KR200422594Y1 (ko) 회전형 오일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