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2651B1 - 도어용 경첩 - Google Patents

도어용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2651B1
KR100922651B1 KR1020070095680A KR20070095680A KR100922651B1 KR 100922651 B1 KR100922651 B1 KR 100922651B1 KR 1020070095680 A KR1020070095680 A KR 1020070095680A KR 20070095680 A KR20070095680 A KR 20070095680A KR 100922651 B1 KR100922651 B1 KR 100922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door
rotating body
hinge por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0211A (ko
Inventor
양두영
Original Assignee
양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두영 filed Critical 양두영
Priority to KR1020070095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2651B1/ko
Publication of KR20070100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0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2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2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7/0415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with adjusting drive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에 장착되는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2개의 힌지회전체의 내측에 힌지축을 구비하되, 상기 힌지축의 외면에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회전각 조절부를 더 구성하여 경첩의 회전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각 조절부의 조절이 미세하게 조절되도록 하여 도어의 개방범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며, 또한 축의 회면에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여 도어의 개방 시에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도어용 경첩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면에 회전방지키(11)가 돌설된 제1힌지부(12)가 측면 하단에 연장형성된 제1힌지회전체(10)와; 상기 제1힌지회전체(10)의 제1힌지부(12)와 대응되도록 측면 상단에 연장형성되고 상단면 둘레부를 따라 미세각조절홈(21)이 복수개 형성된 제2힌지부(22)를 갖는 제2힌지회전체(20)와; 상기 제1힌지회전체(10)의 제1힌지부(12)의 하단으로부터 장입되어 제2힌지회전체(20)의 제2힌지부(22)의 상단으로 관통되며 외면에 걸림편(31)이 형성된 힌지축(30)과; 상기 제2힌지회전체(20)의 제2힌지부(22) 상단으로부터 장입되어 힌지축(30)의 상부측에 축설되되, 상기 힌지축(30)의 걸림편(31)에 걸리는 걸림돌기(41)가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힌지부(22)의 상단면에 형성된 미세각조절홈(21)에 끼워지는 미세각조절돌기(42)가 상부측 하단면 둘레부를 따라 복수개 형성된 회전각 조절부(40)와; 상기 제1힌지부(12)와 제2힌지부(22) 및 회전각조절부(40)의 내부에 끼워지는 상기 힌지 축(30)의 상단에 체결되는 너트(5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축(30)의 하부측 외면에는 상기 제1힌지부(12)의 내부에 내삽되는 탄성부재(6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60)는, 고무재질이나 실리콘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절곡형성되는 호형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너트(50)가 체결되는 힌지축(30)의 상단에는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커버(70)가 더 씌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힌지회전체(10)의 제1힌지부(12)와, 상기 제1힌지부(12)에 대응되는 제2힌지회전체(20)의 제2힌지부(22) 사이에는 링(80)이 더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경첩, 도어 경첩, 열림각도 변위 경첩

Description

도어용 경첩{open and close hinge for door}
본 발명은 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첩의 오픈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내부에 탄성체를 구비하여 도어의 오픈시에 도어와 가구 또는 도어와 문틀과의 충격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가구나 도어의 손상을 줄이고, 또한, 탄성체에 의해 도어의 오픈동작이 천천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열리는 도어에 상해를 입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첩은 힌지라고도 하여 도어와 문틀 사이에 고정 설치하여 실내와 실외를 구분하기 위한 도어나 창문,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케이스 등에 널리 쓰이는 힌지부재로서, 경첩은 통상 목재, 철재, 알루미늄재, 스텐레스스틸재, 구리재 또는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진 도어 구조에 적용되는 경첩구조이다.
이러한 경첩은 대개 2개의 장착브라켓과 중심축으로 구성되어 있는 바, 상기 장착브라켓은 각각 문과 문틀에 체결볼트에 의해 장착할 수 있도록 장착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착브라켓의 일측변을 따라서는 홀더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더는 상기 장착 브라켓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교대로 형성되되, 원통형으로 절곡되어 그 내부에 상기 중심축이 관통되는 것으로, 종래의 경첩은 상기 장착 브라켓이 각각 도어와 도어틀에 체결나사로 장착되어 일측 장착브라켓은 도어와 함께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타측 장착브라켓은 도어틀에 고정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경첩을 매개로 설치된 여닫이문은, 문의 회전반경을 확보할 수 있는 충분한 여유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면 문을 원활하게 여닫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문의 후면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어 공간활용에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되고 후면공간이 충분히 마련되어 있어도 문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손잡이가 맞닿게 되는 문 후면의 벽면이 파손되게 되는 등의 여러 결점이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도어의 후면공간에 장롱이나 침대 또는 화장대와 같은 가구의 일부분이 노출될 경우 열리는 도어와 가구와의 충돌에 의해 가구와 도어가 훼손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의해 도어의 개방범위를 확보한 상태에서 가구의 배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구를 배치하는 공간활용성이 크게 저하되는 실정이다.
종래 안출된 바 있는 각도가 조정되는 경첩은, 등록실용신안 제20-0391475호인 도어의 열림각을 조정 및 제어할 수 있는 경첩이 안출된 바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20-0391475호는, 핀축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고정부착판과 회전부착판으로 구성되는 경첩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착판에 회전부착판의 회전각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는 고정걸림부와, 상기 회전부착판에는 회전 작동시 설정된 각도범위까지 회전하게 되면 상기한 고정걸림부에 걸림되어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회전제어부로 이루어진 도어 열림각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열림각 제어수단은, 상기 고정부착판의 일단에 하나 이상으로 돌출되어 핀축을 고정시키는 상태로 감싸주는 고정지지부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상향이나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걸림부와, 상기 회전부착판의 일단에 하나 이상으로 돌출되어 회전가능한 상태로 핀축을 감싸주는 회전지지부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상향이나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착판의 회전작동시 설정된 각도범위내에서는 회전작동을 허용하는 한편, 설정된 각도범위를 벗어나려고 할 때에는 상기한 고정걸림부에 걸림되어 상기 회전부착판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부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경첩의 열림각도가 조절될 수 있어 도어가 열리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경첩의 열림각이 미세하게 조절되지 않음으로써, 도어의 개방시에 적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또한, 도어의 개방시에 별다른 완충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도어를 급하게 열 경우 구성된 고정걸림부와 회전제어부간의 충격에 의해 경첩의 심하게 마모되거나 또는 고장나는 현상이 발생되어 경첩의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도어에 장착되는 경첩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2개의 힌지회전체의 내측에 힌지축을 구비하되, 상기 힌지축의 외면에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회전각 조절부를 더 구성하여 경첩의 회전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각 조절부의 조절이 미세하게 조절되도록 하여 도어의 개방범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며, 또한 축의 회면에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여 도어의 개방 시에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도어용 경첩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도어용 경첩은, 내면에 회전방지키가 돌설된 제1힌지부가 측면 하단에 연장형성된 제1힌지회전체와; 상기 제1힌지회전체의 제1힌지부와 대응되도록 측면 상단에 연장형성되고 상단면 둘레부를 따라 미세각조절홈이 복수개 형성된 제2힌지부를 갖는 제2힌지회전체와; 상기 제1힌지회전체의 제1힌지부의 하단으로부터 장입되어 제2힌지회전체의 제2힌지부의 상단으로 관통되며 외면에 걸림편이 형성된 힌지축과; 상기 제2힌지회전체의 제2힌지부 상단으로부터 장입되어 힌지축의 상부측에 축설되되, 상기 힌지축의 걸림편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힌지부의 상단면에 형성된 미세각조절홈에 끼워지는 미세각조절돌기가 상부측 하단면 둘레부를 따라 복수개 형성된 회전각 조절부와; 상기 제1힌지부와 제2힌지부 및 회전각조절부에 끼워진 상기 힌지축의 상단에 체결되는 너트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축의 하부측 외면에는 상기 제1힌지부의 내부에 내삽되는 탄성부재 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인 도어용 경첩은, 제1힌지회전체와 제2힌지회전체가 서로 힌지회전되어 도어가 개방됨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에 형성된 걸림편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갖는 회전각 조절부가 더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도어의 개방범위가 조절될 수 있어 도어와 문틀 또는 도어와 가구와의 충격발생요인이 해결될 수 있으며, 또한, 회전각조절부의 미세각조절돌기와 제2힌지부의 미세각조절홈과의 결합에 의해 회전각조절부의 범위를 조절할 수 있어 도어의 개방범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성이 크게 향상되고, 힌지축의 외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의 완충작용에 의해 도어의 개방 동작이 급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도어의 개방시에 야기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도어용 경첩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도어용 경첩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도어용 경첩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도어용 경첩의 사용예를 나 타낸 개념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도어용 경첩의 구성요부인 탄성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도어용 경첩은, 도어와 도어를 지지하는 도어틀(문틀)에 각각 체결되는 2개의 힌지회전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내면에 회전방지키(11)가 돌설된 제1힌지부(12)가 측면 하단에 연장형성된 제1힌지회전체(10)와,
상기 제1힌지회전체(10)의 제1힌지부(12)와 대응되도록 측면 상단에 연장형성되고 상단면 둘레부를 따라 미세각조절홈(21)이 복수개 형성된 제2힌지부(22)를 갖는 제2힌지회전체(20)와, 상기 제1힌지회전체(10)의 제1힌지부(12)의 하단으로부터 장입되어 제2힌지회전체(20)의 제2힌지부(22)의 상단으로 관통되며 외면에 걸림편(31)이 형성된 힌지축(30)과, 상기 제2힌지회전체(20)의 제2힌지부(22) 상단으로부터 장입되어 힌지축(30)의 상부측에 축설되되, 상기 힌지축(30)의 걸림편(31)에 걸리는 걸림돌기(41)가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힌지부(22)의 상단면에 형성된 미세각조절홈(21)에 끼워지는 미세각조절돌기(42)가 상부측 하단면 둘레부를 따라 복수개 형성된 회전각 조절부(40)와, 상기 제1힌지부(12)와 제2힌지부(22) 및 회전각조절부(40)의 내부에 끼워지는 상기 힌지축(30)의 상단에 체결되는 너트(5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축(30)의 하부측 외면에는 상기 제1힌지부(12)의 내부에 내삽되는 탄성부재(60)가 더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도어용 경첩은, 제1힌지회전체(10)를 도어틀에 체결하고, 상기 제2힌지회전체(20)는 도어에 체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도어에 개방시에 상기 제2힌지회전체(20)가 제1힌지회전체(10)에 대해 힌지 회전되어 접히거나 펼쳐짐으로써, 도어의 개방 및 폐쇄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힌지회전체(20)의 제2힌지부(22) 내부에 내삽되어 상기 힌지축(30)의 외면 상단에 축설된 상기 회전각조절부(40)가 회전에 의해 도어의 개방각도가 조절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각조절부(40)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각조절부(40)의 하단에 돌설된 걸림돌기(41)가 회전되고 또한, 걸림돌기(41)의 측면에 밀착된 탄성부재(60)가 수축되면서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인 도어용 경첩은, 상기 회전각조절부(40)의 걸림돌기(41)의 위치가변에 따라 도어의 회전범위가 조절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상기 회전각조절부(40)의 걸림돌기(41)를 탄성부재(60)로부터 멀어지게 위치할 경우에는 멀어진 위치만큼 걸림돌기(41)의 회전반경이 길어지게 되어 도어의 개방범위가 그 만큼 연장되고, 걸림돌기(41)가 탄성부재(60)로부터 가까워 질 경우에는, 가까워진 걸림돌기(41)의 회전반경이 좁아지게 되어 도어의 개방범위가 그 만큼 축소된다.
다시 말해, 제2힌지회전체(2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힌지부(22)의 내부에 끼워진 회전각조절부(40)가 회전하면서 회전각조절부(40)의 하단에 돌설된 걸림돌기(41)가 회전하게 되는 바, 이 때, 회전되던 걸림돌기(41)가 상기 탄성부재(60)와 밀착되면 탄성부재(60)의 수축범위까지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걸림돌기(41)와 탄성부재(60)와의 간격에 따라 도어의 개방범위가 달라지게 되어 도어의 개방범위 즉, 도어의 열림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60)는 힌지축(30)의 외면에 구비됨에 있어서, 측면이 상기 힌지축(30)의 걸림편(31)에 밀착되기 때문에, 상기 회전각조절부(40)의 걸림돌기(41)가 탄성부재(60)에 접촉되어 탄성부재(60)를 수축할 경우, 탄성부재(60)의 자체 탄성력 만큼 수축되어 도어의 개방동작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인 도어용 경첩은, 상기 탄성부재(60)가 구비되어 있지 않더라도 도어의 개방각도가 조절되어 개방될 수 있다.
즉, 도어(미도시)에 체결된 제1힌지회전체(20)가 회전될 경우, 제2힌지부(22)가 회전되고, 제2힌지부(22)의 내부에 끼워진 회전각조절부(40)가 회전하면서, 회전각조절부(40)의 하단에 돌설된 걸림돌기(41)가 힌지축(30)의 걸림편(31)과 접촉되는 것에 의해 도어의 개방동작이 멈추게 되는 바, 이 경우에 역시 회전각조절부(40)의 걸림돌기(41) 위치에 따라 도어의 열림각도가 조절된다.
즉, 걸림돌기(41)의 위치가 상기 힌지축(30)의 걸림편(31)으로부터 멀리 있을 경우에는 걸림돌기(41)의 회전반경이 길어지고, 걸림돌기(41)의 위치가 걸림편(31)으로부터 가깝게 위치될 경우에는 걸림돌기(41)의 회전반경이 가까워지기 때문에, 제2힌지회전체(20)의 회전범위가 가변될 수 있어 도어의 열림각도가 조절된다.
본 발명인 도어용 경첩은, 탄성부재(60)가 구비되어 있을 경우 도어의 개방시에 탄성부재(6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완충효과가 이루어짐으로써, 도어의 개방동작이 급하게 이루어지거나 또는 걸림돌기(41)가 걸림편(31)에 접촉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줄 수 있기 때문에, 도어의 개방시에 발생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인 도어용 경첩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각조절부(40)의 상부 하단면을 따라 미세각조절돌기(4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힌지부(22)의 상단 둘레면을 따라 미세각조절홈(21)이 더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각조절부(40)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회전각조절부(40)의 하부측으로 돌설된 걸림돌기(41)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결국 도어의 개방범위 즉, 도어의 열림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각조절부(40)는 상기 제2힌지부(22)의 내부측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힌지축(30)의 상단에 체결되는 너트(50)의 조임동작에 의해 상기 제2힌지부(22)의 상단측에 회전각조절부(40)의 상부가 견고하게 체결되는 것으로, 너트(50)를 풀고, 회전각조절부(40)를 상부측으로 들어올린 다음, 회전각조절부(40)를 좌 또는 우측으로 돌린 후 다시 너트(50)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회전각조절부(40)의 미세한 조절이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재(60)는, 고무재질이나 실리콘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자체 탄성력을 갖는 재질이면 어느 재질이든 무관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형성되는 호형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너트(50)가 체결되는 힌지축(30)의 상단에는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커버(70)가 더 씌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힌지회전체(10)의 제1힌지부(12)와, 상기 제1힌지부(12)에 대응되는 제2힌지회전체(20)의 제2힌지부(22) 사이에는 링(80)이 더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인 도어용 경첩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도어용 경첩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도어용 경첩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도어용 경첩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도어용 경첩의 사용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도어용 경첩의 구성요부인 탄성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힌지회전체 11 : 회전방지키
12 : 제1힌지부 20 : 제2힌지회전체
21 : 미세각조절홈 22 : 제2힌지부
30 : 힌지축 31 : 걸림편
40 : 회전각조절부 41 : 걸림돌기
42 : 미세각조절돌기 50 : 너트
60 : 탄성부재 70 : 커버
80 : 링

Claims (6)

  1. 내면에 회전방지키(11)가 돌설된 제1힌지부(12)가 측면 하단에 연장형성된 제1힌지회전체(10)와;
    상기 제1힌지회전체(10)의 제1힌지부(12)와 대응되도록 측면 상단에 연장형성되고 상단면 둘레부를 따라 미세각조절홈(21)이 복수개 형성된 제2힌지부(22)를 갖는 제2힌치회전체(20)와;
    상기 제1힌지회전체(10)의 제1힌지부(12)의 하단으로부터 장입되어 제2힌지회전체(20)의 제2힌지부(22)의 상단으로 관통되며 외면에 걸림편(31)이 형성된 힌지축(30)과;
    상기 제2힌지회전체(20)의 제2힌지부(22) 상단으로부터 장입되어 힌지축(30)의 상부측에 축설되되, 상기 힌지축(30)의 걸림편(31)에 걸리는 걸림돌기(41)가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힌지부(22)의 상단면에 형성된 미세각조절홈(21)에 끼워지는 미세각조절돌기(42)가 상부측 하단면 둘레부를 따라 복수개 형성된 회전각 조절부(40)와;
    상기 제1힌지부(12)와 제2힌지부(22) 및 회전각조절부(40)의 내부에 끼워지는 상기 힌지축(30)의 상단에 체결되는 너트(5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30)의 하부측 외면에는 상기 제1힌지부(12)의 내부에 내삽되는 탄성부재(6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3. 제 2항에 있어서,
    탄성부재(60)는, 고무재질이나 실리콘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4. 제 2항에 잇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절곡형성되는 호형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50)가 체결되는 힌지축(30)의 상단에는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커버(70)가 더 씌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회전체(10)의 제1힌지부(12)와, 상기 제1힌지부(12)에 대응되는 제2힌지회전체(20)의 제2힌지부(22) 사이에는 링(80)이 더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KR1020070095680A 2007-09-20 2007-09-20 도어용 경첩 KR100922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680A KR100922651B1 (ko) 2007-09-20 2007-09-20 도어용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680A KR100922651B1 (ko) 2007-09-20 2007-09-20 도어용 경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0211A KR20070100211A (ko) 2007-10-10
KR100922651B1 true KR100922651B1 (ko) 2009-10-19

Family

ID=38805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680A KR100922651B1 (ko) 2007-09-20 2007-09-20 도어용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26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316B1 (ko) * 2019-09-23 2020-04-02 (주)동화엠피에스 경첩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306U (ko) * 1998-06-08 2000-01-15 윤종용 힌지장치
KR20000002783U (ko) * 1998-07-10 2000-02-07 윤종용 힌지장치
KR20000015905U (ko) * 1999-01-19 2000-08-16 김병근 각도조절 나비경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306U (ko) * 1998-06-08 2000-01-15 윤종용 힌지장치
KR20000002783U (ko) * 1998-07-10 2000-02-07 윤종용 힌지장치
KR20000015905U (ko) * 1999-01-19 2000-08-16 김병근 각도조절 나비경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0211A (ko) 2007-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152944U (zh) 一种可折叠风扇
KR200459745Y1 (ko) 힌지장치
RU2687399C2 (ru) Консольный узел подлокотника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AU2019258466A1 (en) Door close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WO2006020781B1 (en) Container with lid prop and/or lid latch
KR100922651B1 (ko) 도어용 경첩
RU2000124037A (ru) Узел основания для видеодисплея
US20140284334A1 (en) Case with retractable clasp hook
KR102091352B1 (ko) 손 끼임 방지구조를 갖는 여닫이문
RU2443839C2 (ru) Поворотная опора для прижимного механизма закрыва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JP2016101866A (ja) トランクリッド装置
KR102195332B1 (ko) 자동 닫힘 및 개방 상태 유지가 가능한 경첩
KR100731783B1 (ko) 차량용 암레스트의 힌지 구조
KR200340543Y1 (ko) 도어프레임과 도어간 간극커버장치
JP6967590B2 (ja) ドアまたは窓の取付アセンブリ、および、取付アセンブリを用いたドアまたは窓アセンブリ
KR200339341Y1 (ko) 도어경첩
CN216969532U (zh) 用于车辆的手机支架组件及车辆
ES2887002T3 (es) Herraje de tapa para fijar pivotantemente una tapa a un cuerpo de mueble
KR102558155B1 (ko) 도어경첩 보호덮개
JPH0426276Y2 (ko)
JPH0426277Y2 (ko)
CN215859484U (zh) 扁执手
KR102464816B1 (ko) 도어 스토퍼장치
JP6868287B2 (ja) ゲーム機用下部蝶番
RU2779676C2 (ru) Мебельный шарнир, мебельная панель и мебельный корпу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