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939B1 - 냉장고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939B1
KR102521939B1 KR1020180098748A KR20180098748A KR102521939B1 KR 102521939 B1 KR102521939 B1 KR 102521939B1 KR 1020180098748 A KR1020180098748 A KR 1020180098748A KR 20180098748 A KR20180098748 A KR 20180098748A KR 102521939 B1 KR102521939 B1 KR 102521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hecker
opening
checker arm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2736A (ko
Inventor
박유민
심도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8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939B1/ko
Publication of KR20200022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1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 E05C17/2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 E05C17/2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with braking, clamping or securing means in the gu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2011/1092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the angle between the hinge parts being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의 상측에 설치되는 체커; 상기 캐비닛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상측에 구비되는 체커암 고정부; 및 상기 체커암 고정부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상기 체커를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체커에 대한 삽입 길이가 조절되는 체커암을 포함하며, 상기 체커는, 상기 체커암이 관통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및 상기 개구부 내에 위치하는 상기 체커암의 적어도 일측면을 탄성 가압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탄성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커암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상기 탄성 가압부가 걸림되는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가 형성되는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OPENING ANGLE ADJUSTMENT DEVICE OF REFRIGERATOR DO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캐비닛에 대한 도어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부 가전기기(예를 들어, 냉장고, 스타일러, 세탁기, 건조기 등)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캐비닛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다. 도어의 회전을 위해, 캐비닛과 도어는 힌지부를 통하여 연결된다.
일반적으로는,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도어를 열더라도, 관성에 의해 도어가 쉽게 끝까지 열리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이처럼, 도어가 최대 열림각도까지 열림되는 경우, 힌지부에 큰 충격이 전달되어, 관련 구성이 파손될 염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10615호(2001.02.15. 공개)는 도어에 설치된 스위치가 조작되면, 마찰수단이 회동편의 움직임을 단속하여, 여러 위치에서 도어가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구조는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이 필요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떨어지고, 전자장치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구조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0005호(2017.03.21. 등록)는 힌지핀이 연결편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힌지핀의 결합시 도어가 90도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되되, 힌지핀의 분리시에는 도어가 270도 까지도 더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구조는 사용자가 힌지핀을 결합하고 분리하는 조작이 필요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떨어지고, 도어의 고정 각도가 다양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10615호(2001.02.15.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0005호(2017.03.21.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캐비닛에 대한 도어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는, 캐비닛의 상측에 설치되는 체커; 상기 캐비닛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상측에 구비되는 체커암 고정부; 및 상기 체커암 고정부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상기 체커를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체커에 대한 삽입 길이가 조절되는 체커암을 포함하며, 상기 체커는, 상기 체커암이 관통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및 상기 개구부 내에 위치하는 상기 체커암의 적어도 일측면을 탄성 가압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탄성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커암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상기 탄성 가압부가 걸림되는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 가압부는, 상기 체커암의 적어도 일측에 접촉되는 접촉핀; 및 상기 케이스의 내측벽과 상기 접촉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접촉핀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체커암에는 상기 체커암 고정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까지 라운드진 형태로 연장되는 커브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브드부는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체커암은 리지드하되 플렉서블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체커암은 상기 체커암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캐비닛의 전방을 향하여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는, 상기 체커암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굴곡부와 제2굴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굴곡부와 상기 제2굴곡부는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는 상기 체커암의 양측면에 각각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캐비닛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부재; 상기 캐비닛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상측에 구비되는 체커; 및 상기 링크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체커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시 상기 체커에 대한 삽입 길이가 조절되는 체커암을 포함하며, 상기 체커는, 상기 체커암이 관통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및 상기 개구부 내에 위치하는 상기 체커암의 적어도 일측면을 탄성 가압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탄성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커암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상기 탄성 가압부가 걸림되는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가 형성되는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체커는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개폐시, 상기 개구부가 상기 캐비닛의 측방을 향하여 개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체커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체커암은 일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탄성 가압부는, 상기 체커암의 적어도 일측에 접촉되는 접촉핀; 및 상기 케이스의 내측벽과 상기 접촉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접촉핀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술한 해결수단을 통해 얻게 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캐비닛에 대한 도어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에서 체커의 탄성 가압부가 체커의 개구부 내에 위치하는 체커암의 굴곡부에 걸리도록 구성됨으로써, 해당 기설정된 회전 각도에서 도어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관성에 의해 최대 열림각도까지 열림되어 도어의 회전 관련 구성들에 큰 충격이 전달되어 관련 구성이 파손될 염려가 있었던 기존의 구조 대비, 관련 구성들에 전달되는 충격이 감소될 수 있다.
둘째, 체커암에 굴곡부를 복수 개로 형성함으로써, 도어가 기설정된 회전 각도마다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회전 각도에서 도어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어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도어가 닫힌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3은 도2에 도시된 열림각도 조절장치를 A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의 주요 구성들을 보인 개념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체커암을 보인 개념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체커암의 변형예를 보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도어가 닫힌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인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구조적, 기능적으로 모순이 되지 않는 한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구조는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캐비닛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는 구조라면 어디든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는 도어 개폐 구조를 구비하는 가전기기(예를 들어, 냉장고, 스타일러, 세탁기, 건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가 냉장고에 적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에서, 도어(12)가 닫힌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12)가 열린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며, 도 3은 도2에 도시된 열림각도 조절장치(100)를 A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냉장고(10)의 본체를 형성하는 캐비닛(11)은 내부에 식품의 저장을 위한 저장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저장공간은 격벽에 의해 분리될 수 있으며, 설정 온도에 따라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분될 수 있다.
냉장고(10)는 냉장실과 냉동실이 좌우로 배치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부에 냉장실이 마련되고 하부에 냉동실이 마련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의 냉장고, 냉동실이 냉장실 위에 배치되는 탑 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의 냉장고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캐비닛(11)에는 도어(12)가 연결되어, 캐비닛(11)의 전면 개구(11a)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도어(12)는 캐비닛(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형 도어(12), 캐비닛(1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랍형 도어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냉장실과 냉동실의 개구(11a)를 개폐하도록 캐비닛(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형 도어(12)를 보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2)가 캐비닛(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우, 캐비닛(11)과 도어(12)는 힌지부(20)를 통하여 연결된다. 본 도면에서는, 힌지부(20)가 캐비닛(11)에 장착되어 도어(12)의 단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브래킷(21)과, 브래킷(21)에서 하향 돌출되어 도어(12)와 연결되는 회전축(22)을 포함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도어(12)의 회전시, 회전축(22)은 도어(12) 또는 브래킷(21)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통상의 힌지부(20)에서는,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도어(12)를 열더라도, 관성에 의해 도어(12)가 쉽게 끝까지 열리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이처럼, 도어(12)가 최대 열림각도까지 열림되는 경우, 힌지부(20)에 큰 충격이 전달되어, 관련 구성이 파손될 염려가 있다.
이하에서는, 기설정된 회전 각도마다 도어(12)가 열린 상태로 고정되어, 상술한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 도어(12)의 열림각도 조절장치(100)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어(12)의 열림각도 조절장치(100)는 체커(110), 체커암 고정부(120) 및 체커암(130)을 포함한다. 체커(110)는 캐비닛(11)에 설치되고, 체커암 고정부(120)는 도어(12)에 설치되며, 체커암(130)은 체커(110)와 체커암 고정부(120)에 연결된다. 즉, 캐비닛(11)과 도어(12)는 힌지부(20)뿐만 아니라, 도어(12)의 열림각도 조절장치(100)에 의해서 상호 연결된다.
체커(110)는 캐비닛(11)의 상측에 설치된다. 체커(110)는 캐비닛(11)의 상면을 형성하는 패널에 장착될 수 있다. 도어(12)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에서, 체커(110)는 체커암(13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체커(110)는 힌지부(20)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치 위치에 의하면, 도어(12)가 개방된 상태에서, 체커(110)와 체커암 고정부(120) 간의 간격이 줄어들게 된다. 결국, 이들에 각각 연결되는 체커암(130)의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체커(110)는 케이스(111)와 탄성 가압부(112)를 포함한다.
케이스(111)는 체커(110)의 외형을 형성하고, 체커암(130)이 관통하는 개구부(111a)를 구비한다. 케이스(111)는 캐비닛(11)의 상측에 설치된다.
탄성 가압부(112)는 케이스(111)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에 의해 개구부(111a)의 개방된 면적이 조절된다. 탄성 가압부(112)는 개구부(111a)의 개방된 면적을 줄이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이동한다. 예를 들어, 탄성 가압부(112)는 개구부(111a)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이동하며, 이 과정에서 개구부(111a) 내에 위치하는 체커암(130)의 적어도 일측면을 탄성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가압부(112)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체커암(130)의 양측면을 각각 탄성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탄성 가압부(112)는 개구부(111a)의 양측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즉, 어느 하나의 탄성 가압부(112)는 개구부(111a)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이동하고, 다른 하나의 탄성 가압부(112)는 개구부(111a)의 타측에서 일측을 향하여 이동하며, 이 과정에서 개구부(111a) 내에 위치하는 체커암(130)의 양측면을 탄성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체커암 고정부(120)는 도어(12)의 상측에 구비된다. 체커암 고정부(120)는 체커암(130)을 도어(12)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체커암 고정부(120)는 힌지부(20)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커암 고정부(120)는 도어(12)의 상면을 형성하는 패널에 장착될 수 있다.
체커암(130)은 체커암 고정부(120)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체커(110)의 개구부(111a)를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체커암(130)은 곡선형으로 형성되며, 힌지부(20)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체커암(130)은 리지드하되 플렉서블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체커(110)와 체커암 고정부(120)는 가장 인접한 상태에 있게 되고, 도어(12)가 열린 상태에서 체커(110)와 체커암 고정부(120)는 가장 이격된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도어(12)의 개폐에 따라 체커(110)에 대한 체커암(130)의 삽입 길이가 조절된다.
도어(12)의 회전에 대응하여, 체커암(130)과 체커(110) 중 어느 하나는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구부(111a)가 캐비닛(11)의 전방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체커(110)가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고, 체커암(130)이 체커암 고정부(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 체커암(130)은 도어(12)의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도어(12)의 개폐시, 탄성 가압부(112)는 체커암(130)의 적어도 일측면을 탄성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즉, 체커암(130)은 탄성 가압부(112)와 접촉된 상태로 개구부(111a)의 내외측으로 이동된다.
체커암(130)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탄성 가압부(112)가 걸림되는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131)가 형성된다. 굴곡부(131)가 형성된 부분에서, 체커암(130)의 두께는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는 형태를 갖는다. 이에 따라, 탄성 가압부(112)는 체커암(130)의 적어도 일측면과 접촉된 상태로 부드럽게 슬라이드 이동하다가 굴곡부(131)에서 걸림되도록 구성된다.
도어(12)의 개방시 체커암(130)에 가해지는 힘이 굴곡부(131)를 넘어가기 위해 요구되는 힘보다 작으면, 탄성 가압부(112)는 굴곡부(131)에서 걸림되고, 체커암(130)은 더 이상의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도어(12)가 특정 열림 위치에서 고정된다.
도어(12)의 개방시 체커암(130)에 가해지는 힘이 굴곡부(131)를 넘어가기 위해 요구되는 힘보다 크면, 굴곡부(131)는 탄성 가압부(112)를 지나게 되고, 그 결과 체커암(130)이 더 이동(인출)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12)가 더 큰 각도로 개방된다.
체커암(130)에는 체커암 고정부(120)에서 첫 굴곡부(131)까지 라운드진 형태로 연장되는 커브드부(132)가 형성된다. 도어(12)가 개방된 상태에서, 커브드부(132)는 힌지부(20)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커브드부(132)는 일정한 두께를 가질 수도 있고, 점차 두께가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131)는 체커암(130)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굴곡부(131a)와 제2굴곡부(131b)를 포함한다. 즉, 굴곡부(131)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탄성 가압부(112)는 제1굴곡부(131a)의 시작 지점[즉, 커브드부(132)와 제1굴곡부(131a)와 사이]에서 가장 먼저 걸림되고, 이후 제1굴곡부(131a)와 제2굴곡부(131b) 사이의 움푹 들어간 지점에서 걸림된다.
굴곡부(131)는 체커암(130)의 일측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체커암(130)의 타측면은 굴곡이 없는 매끈한 곡선형을 갖는다. 이 경우, 탄성 가압부(112)는 굴곡부(131)가 형성된 체커암(130)의 일측면에 대향하는 위치에만 구비된다.
또는, 굴곡부(131)는 체커암(13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굴곡부(131)는 체커암(130)의 양측면에 각각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 가압부(112)는 체커암(130)의 양측면에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캐비닛(11)에 대한 도어(12)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에서 체커(110)의 탄성 가압부(112)가 체커(110)의 개구부(111a) 내에 위치하는 체커암(130)의 굴곡부(131)에 걸리도록 구성됨으로써, 해당 기설정된 회전 각도에서 도어(12)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관성에 의해 최대 열림각도까지 열림되어 도어(12)의 회전 관련 구성들에 큰 충격이 전달되어 관련 구성이 파손될 염려가 있었던 기존의 구조 대비, 관련 구성들에 전달되는 충격이 감소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도어(12)의 열림각도 조절장치(100)의 주요 구성들을 보인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 4에 도시된 체커(110)의 내부 구조는 일 예로써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체커암(130)의 굴곡부(131)에 걸림되는 구조를 갖는다면 어느 것이든지 본 발명의 체커(110)로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탄성 가압부(112)는 접촉핀(112a) 및 탄성부재(112b)를 포함한다.
접촉핀(112a)은 체커암(130)의 적어도 일측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접촉핀(112a)은 단일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112a')와 캐리어(112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112a")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접촉핀(112a)이 롤러(112a")를 구비하는 경우, 체커암(130)의 적어도 일측면에 구름 접촉되어 접촉핀(112a)과 체커암(130) 간의 마찰력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도어(12)가 보다 적은 힘으로도 부드럽게 열릴 수 있다.
탄성부재(112b)는 케이스(111)의 내측벽과 접촉핀(112a) 사이에 개재되어, 접촉핀(112a)을 탄성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본 도면에서는, 탄성부재(112b)로 스프링이 이용된 것을 보이고 있다. 상기 스프링은 케이스(111)의 내측벽과 캐리어(112a')에 각각 지지되어, 캐리어(112a')를 개구부(111a)의 일측을 향하여 탄성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체커암(130)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부(131)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굴곡부(131)는 같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복수의 굴곡부(131)는 같은 형상과 길이를 갖는다.
이 경우, 탄성 가압부(112)가 굴곡부(131)에 걸림되어 도어(12)가 고정된 상태에서 도어(12)를 더 개방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힘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아울러, 서로 인접한 두 굴곡부(131) 사이의 간격(d)은 일정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간격(d)은 탄성 가압부(112)의 롤러(112a")가 두 굴곡부(131) 사이에 수용되어 이동이 제한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체커암(230)의 변형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굴곡부(231)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제1 및 제2굴곡부(231a, 231b)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 및 제2굴곡부(231a, 231b)는 다른 형상 또는 다른 길이를 갖는다.
예를 들어, 도어(12)의 개방시 탄성 가압부(212)가 순차적으로 마주하게 되는 제1 및 제2굴곡부(231a, 231b)는 점차 그 크기가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굴곡부(231)를 넘어가기 위해 요구되는 힘이 점차 증가하게 된다. 즉, 도어(12)를 더 개방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힘이 점차 증가하게 된다.
이때에도, 서로 인접한 두 굴곡부(231a, 231b) 사이의 간격(d)은 일정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간격(d)은 탄성 가압부(112)의 롤러(112a")가 두 굴곡부(231a, 231b) 사이에 수용되어 이동이 제한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12)의 열림각도 조절장치(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에서, 도어(12)가 닫힌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도어(12)가 열린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어(12)의 열림각도 조절장치(300)는 링크부재(310), 체커(320) 및 체커암(330)을 포함한다. 링크부재(310)는 캐비닛(11)에 설치되고, 체커(320)는 도어(12)에 설치되며, 체커암(330)은 링크부재(310)와 체커(320)에 연결된다. 즉, 캐비닛(11)과 도어(12)는 힌지부(20)뿐만 아니라, 도어(12)의 열림각도 조절장치(300)에 의해서 상호 연결된다.
링크부재(310)는 캐비닛(11)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링크부재(310)는 캐비닛(11)의 상면을 형성하는 패널에 장착될 수 있다. 링크부재(310)는 힌지부(20)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커(320)는 도어(12)의 상측에 구비된다. 체커(320)는 도어(12)의 상면을 형성하는 패널에 장착될 수 있다. 도어(12)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에서, 체커(320)는 체커암(33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체커(320)는 힌지부(20)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커(320)는 도어(12)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2)의 개폐시, 체커(320)가 회전되어 개구부(321a)가 캐비닛(11)의 측방을 향하여 개구(11a)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체커(320)는 도어(12)의 주면(main surface)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고, 도어(12)가 90도로 열린 상태에서 체커(320)는 도어(12)의 주면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체커(320)는 케이스(321)와 탄성 가압부(322)를 포함한다. 체커(320)로 앞선 실시예(도 4 참조)에 적용된 구조를 포함하여, 체커암(330)이 걸림되는 구조를 갖는다면 어느 것이든지 본 발명의 체커(320)로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케이스(321)는 체커(320)의 외형을 형성하고, 체커암(330)이 관통하는 개구부(321a)를 구비한다. 케이스(321)는 도어(12)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탄성 가압부(322)는 케이스(32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에 의해 개구부(321a)의 개방된 면적이 조절된다. 탄성 가압부(322)는 개구부(321a)의 개방된 면적을 줄이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이동한다. 예를 들어, 탄성 가압부(322)는 개구부(321a)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이동하며, 이 과정에서 개구부(321a) 내에 위치하는 체커암(330)의 적어도 일측면을 탄성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가압부(322)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체커암(330)의 양측면을 각각 탄성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탄성 가압부(322)는 개구부(321a)의 양측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즉, 어느 하나의 탄성 가압부(322)는 개구부(321a)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이동하고, 다른 하나의 탄성 가압부(322)는 개구부(321a)의 타측에서 일측을 향하여 이동하며, 이 과정에서 개구부(321a) 내에 위치하는 체커암(330)의 양측면을 탄성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체커암(330)은 링크부재(3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체커(320)의 개구부(321a)를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체커암(330)은 일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로 연장 형성된다. 체커암(330)은 리지드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링크부재(310)는 캐비닛(11)과 체커암(33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위해, 링크부재(310)의 일단부에는 제1핀(311)이 삽입되어 캐비닛(11)에 체결되고, 링크부재(310)의 타단부에는 제2핀(312)이 삽입되어 체커암(330)에 체결된다.
상술한 구조에 의하면, 도어(12)의 개폐에 대응하여, 체커(320)에 대한 체커암(330)의 삽입 길이가 조절된다.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체커암(330)은 체커(320)의 개구부(321a)에 가장 많이 삽입된 상태에 놓이며, 도어(12)가 열린 상태에서 체커암(330)은 체커(320)의 개구부(321a)로부터 가장 많이 인출된 상태에 놓인다.
도어(12)가 개방됨에 따라, 링크부재(310)는 힌지부(20)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도어(12)가 개방됨에 따라, 링크부재(310)와 체커암(330)이 이루는 각도는 점차 커진다.
도어(12)의 개폐시, 탄성 가압부(322)는 체커암(330)의 적어도 일측면을 탄성 가압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체커암(330)은 탄성 가압부(322)와 접촉된 상태로 개구부(321a)의 내외측으로 이동된다.
체커암(330)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탄성 가압부(322)가 걸림되는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331)가 형성된다. 굴곡부(331)가 형성된 부분에서, 체커암(330)의 두께는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는 형태를 갖는다. 이에 따라, 탄성 가압부(322)는 체커암(330)의 적어도 일측면과 접촉된 상태로 부드럽게 슬라이드 이동하다가 굴곡부(331)에서 걸림되도록 구성된다.
도어(12)의 개방시 체커암(330)에 가해지는 힘이 굴곡부(331)를 넘어가기 위해 요구되는 힘보다 작으면, 탄성 가압부(322)는 굴곡부(331)에서 걸림되고, 체커암(330)은 더 이상의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도어(12)가 특정 열림 위치에서 고정된다.
도어(12)의 개방시 체커암(330)에 가해지는 힘이 굴곡부(331)를 넘어가기 위해 요구되는 힘보다 크면, 굴곡부(331)는 탄성 가압부(322)를 지나게 되고, 그 결과 체커암(330)이 더 이동(인출)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12)가 더 큰 각도로 개방된다.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331)는 체커암(330)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굴곡부(331a)와 제2굴곡부(331b)를 포함한다. 즉, 굴곡부(331)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탄성 가압부(322)는 제1굴곡부(331a)의 시작 지점에서 가장 먼저 걸림되고, 이후 제1굴곡부(331a)와 제2굴곡부(331b) 사이의 움푹 들어간 지점에서 걸림된다.
굴곡부(331)는 체커암(330)의 일측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체커암(330)의 타측면은 굴곡이 없는 매끈한 직선형을 갖는다. 이 경우, 탄성 가압부(322)는 굴곡부(331)가 형성된 체커암(330)의 일측면에 대향하는 위치에만 구비된다.
또는, 굴곡부(331)는 체커암(33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굴곡부(331)는 체커암(330)의 양측면에 각각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 가압부(322)는 체커암(330)의 양측면에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캐비닛(11)에 대한 도어(12)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에서 체커(320)의 탄성 가압부(322)가 체커(320)의 개구부(321a) 내에 위치하는 체커암(330)의 굴곡부(331)에 걸리도록 구성됨으로써, 해당 기설정된 회전 각도에서 도어(12)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관성에 의해 최대 열림각도까지 열림되어 도어(12)의 회전 관련 구성들에 큰 충격이 전달되어 관련 구성이 파손될 염려가 있었던 기존의 구조 대비, 관련 구성들에 전달되는 충격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굴곡부(331)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굴곡부(331)는 같은 크기를 가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다만, 서로 인접한 두 굴곡부(331) 사이의 간격(d)은 일정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선 도 5와 도 6에서 설명한 것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Claims (16)

  1. 냉장고의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의 상면을 형성하는 패널에 상기 캐비닛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게 설치되는 체커;
    상기 캐비닛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상면을 형성하는 패널에 상기 도어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게 구비되는 체커암 고정부; 및
    상기 체커암 고정부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상기 체커를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체커에 대한 삽입 길이가 조절되는 체커암을 포함하며,
    상기 체커는,
    상기 체커암이 관통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및
    상기 개구부 내에 위치하는 상기 체커암의 적어도 일측면을 탄성 가압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탄성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커암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상기 탄성 가압부가 걸림되는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가압부는,
    상기 체커암의 적어도 일측에 접촉되는 접촉핀; 및
    상기 케이스의 내측벽과 상기 접촉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접촉핀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커암에는 상기 체커암 고정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까지 라운드진 형태로 연장되는 커브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브드부는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커암은 리지드하되 플렉서블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커암은 상기 체커암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캐비닛의 전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는, 상기 체커암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굴곡부와 제2굴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굴곡부와 상기 제2굴곡부는 같은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는 상기 체커암의 양측면에 각각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10. 냉장고의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의 상면을 형성하는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부재;
    상기 캐비닛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상면을 형성하는 패널에 상기 도어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게 구비되는 체커; 및
    상기 링크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체커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시 상기 체커에 대한 삽입 길이가 조절되는 체커암을 포함하며,
    상기 체커는,
    상기 체커암이 관통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및
    상기 개구부 내에 위치하는 상기 체커암의 적어도 일측면을 탄성 가압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탄성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커암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상기 탄성 가압부가 걸림되는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체커는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폐시, 상기 개구부가 상기 캐비닛의 측방을 향하여 개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체커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체커암은 일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가압부는,
    상기 체커암의 적어도 일측에 접촉되는 접촉핀; 및
    상기 케이스의 내측벽과 상기 접촉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접촉핀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16. 식품의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열림각도를 조절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림각도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80098748A 2018-08-23 2018-08-23 냉장고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2521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748A KR102521939B1 (ko) 2018-08-23 2018-08-23 냉장고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748A KR102521939B1 (ko) 2018-08-23 2018-08-23 냉장고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736A KR20200022736A (ko) 2020-03-04
KR102521939B1 true KR102521939B1 (ko) 2023-04-14

Family

ID=69783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748A KR102521939B1 (ko) 2018-08-23 2018-08-23 냉장고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9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097B1 (ko) 2007-04-04 2008-10-16 주식회사 일진 도어 체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0615A (ko) 1999-07-21 2001-02-15 전주범 냉장고 도어 개폐 조절장치
KR100471777B1 (ko) * 2002-11-29 2005-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체커의 체커암 형상구조
KR100462485B1 (ko) * 2002-12-03 2004-1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패널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한 도어체커 및 케이스체커 구조
KR100534355B1 (ko) * 2004-04-20 200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체커
KR100588672B1 (ko) * 2004-06-23 2006-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먼지유입방지를 위한 도어체커 마운팅구조
KR100844217B1 (ko) * 2007-03-08 2008-07-07 이병남 문 개폐 고정장치
KR101720005B1 (ko) 2015-12-08 2017-03-27 (주)상전정공 각도 조절이 가능한 탑차용 도어 개폐장치
KR101834184B1 (ko) * 2016-06-21 2018-03-05 (주)선일플라스틱 도어 체커 장치용 도어 체커 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097B1 (ko) 2007-04-04 2008-10-16 주식회사 일진 도어 체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736A (ko)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8238B2 (en) Refrigerator
US8944540B2 (en) Semi-auto clos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9810476B2 (en) Refrigerator
EP2886982B1 (en) Refrigerator
CN113790567B (zh) 冰箱
US8944534B2 (en) Refrigerator includes a second door disposed on a first door, a shelf disposed on the first door, a connection assembly connecting the shelf to the second door and linking opening of the second door to rotate the shelf
EP3176524B1 (en) Door shelf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196314B1 (ko) 냉장고
US20100033067A1 (en) Refrigerator with step adjustment device
EP2789944A2 (en) Refrigerator
US20060226750A1 (en) Refrigerator having home bar
KR102567513B1 (ko) 냉장고
US9534828B2 (en) Refrigerator
US20170299256A1 (en) Refrigerator
KR20220020300A (ko) 냉장고
KR102460242B1 (ko) 냉장고
KR20050096341A (ko) 매입형 냉장고
US8356866B2 (en) Refrigerator with door opening device
KR102521939B1 (ko) 냉장고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US20220034577A1 (en) Multi-joint link hing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0704661B1 (ko) 김치냉장고
KR102100191B1 (ko) 냉장고
KR102499758B1 (ko)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KR102520090B1 (ko)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JP6199664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