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217B1 - 파노라마 선루프 작동부하 경감을 위한 리어레일 및 상기 리어레일 내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파노라마 선루프 작동부하 경감을 위한 리어레일 및 상기 리어레일 내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217B1
KR102157217B1 KR1020180165002A KR20180165002A KR102157217B1 KR 102157217 B1 KR102157217 B1 KR 102157217B1 KR 1020180165002 A KR1020180165002 A KR 1020180165002A KR 20180165002 A KR20180165002 A KR 20180165002A KR 102157217 B1 KR102157217 B1 KR 102157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rail
guide shoe
tilt lever
hole
foreign substan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6783A (ko
Inventor
곽성민
최수윤
김추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바스토코리아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바스토코리아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바스토코리아홀딩스
Priority to KR1020180165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217B1/ko
Priority to CN201911314762.8A priority patent/CN111439099B/zh
Publication of KR20200076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노라마 선루프 작동부하 경감을 위한 리어레일 및 상기 리어레일내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리어레일은, 파노라마 선루프의 리어글라스 양측에 배치되며 틸트레버의 주행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틸트레버와 결합하는 가이드슈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내부공간부를 가지고, 상기 가이드슈의 이동 경로상에는, 내부공간부에 쌓인 이물질을 내부공간부 외부로 배출시키되, 가이드슈에 밀려 이동하는 이물질을, 가이드슈의 주행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이물질배출부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파노라마 선루프 작동부하 경감을 위한 리어레일은, 다수의 먼지배출용 구멍을 가져 외부로부터 침투한 이물질을 신속히 배출할 수 있으므로, 선루프의 작동부하 상승을 방지하고 진동이나 소음 없는 원활한 개폐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리어레일내 이물질 제거장치는, 리어레일 내부에 침투한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털어낼 수 있어 가이드슈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파노라마 선루프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Description

파노라마 선루프 작동부하 경감을 위한 리어레일 및 상기 리어레일 내 이물질 제거장치{Rear rail for reducing running load of panoramic sunroof and Foreign object removing device in the rear rail}
본 발명은 차량에 적용되는 파노라마 선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노라마 선루프의 리어레일 내에 들러붙는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작동부하를 최소화 시키는 파노라마 선루프 작동부하 경감을 위한 리어레일 및 상기 리어레일내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천장 전면에 글라스를 배치하여 채광성과 개방감을 제공하는 파노라마 선루프에는, 글라스를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부분개방형과 완전히 개방시킬 수 있는 완전 개방형이 있다. 당연히, 선루프를 구성하는 유리는 자외선과 적외선은 물론 강한 태양열을 차단하기 위한 각종 열처리 및 쉐이딩처리가 되어 있고, 더 나아가, 사고 시 유리 파편에 탑승객이 부상을 입지 않도록 고강도 소재로 제작된다.
파노라마 선루프는, 일반 선루프에 비해 글라스의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이를 구동하기 위한 기계적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며, 완전 개방시 프론트 글라스를 이동시키기 위한 리어레일이 리어글라스의 양측에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도 1은 차량에 설치된 파노라마 선루프(12)의 적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10)의 지붕에 루프프레임(12a)이 고정되어 있고, 루프프레임(12a)에 선루프(12)가 장착되어 있다. 선루프(12)는 루프프레임(12a)에 고정되는 리어글라스(16)와 개폐가 가능한 프론트글라스(14)로 이루어진다. 또한 리어글라스(16)의 양측에는 가이드장치(20)가 구비된다.
가이드장치(20)는 프론트글라스(14)의 왕복운동을 가이드 하는 것으로서, 리어글라스(16)와 사이드몰딩(12b)의 연접부위 하부에 설치되는 리어레일(27), 리어레일(27)에 왕복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틸트레버(21), 틸트레버(21)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가이드슈(23), 리어글라스(16)와 사이드몰딩(13b)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는 밀폐시일(25)을 갖는다.
그런데 상기 구조를 갖는 종래 가이드장치(20)는, 밀폐시일(25)이 적용되어 있다 하더라도, 외부의 먼지나 오염물질이 리어레일(27)의 내부공간(27a)으로 침투하는 것을 막지 못한다. 파노라마 선루프(12)의 구조상 리어레일이 외부로 노출될 수밖에 없어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틸트레버(21)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가이드슈(23)로 하여금 모래나 먼지 등(이하, 이물질(A))을 리어레일(27) 외부로 밀어내도록 하는데, 가이드슈(23)를 이용해 리어레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그 이유는 도 3 및 도 4에 후술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가이드장치(20)의 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종래 리어레일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가이드장치(2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리어레일(27)과 리어레일(27)에 지지되는 틸트레버(21)와 틸트레버(21) 하단에 고정되는 가이드슈(23)를 갖는다. 가이드슈(23)는 틸트레버(21)와 함께 리어레일(27)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하며 리어레일(27) 내부의 이물질(A)을 리어레일(27) 양단부 외부로, 즉 화살표 a방향으로 몰아 배출하는 역할을 겸한다.
그러나 상기한 가이드슈(23)의 작용에도 불구하고, 리어레일(27) 내부공간(27a)에 이물질이 과하게 유입된 경우, 또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이물질이 뭉치거나 고착된 경우, 가이드슈(23)에 의해 밀려나가는 이물질이 리어레일 내에서 뭉쳐 잼(jam)현상을 발생시키고 파노라마선루프의 작동을 방해하는 경우가 많다.
말하자면,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슈(23)가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물질(A)을 몰아 나가는 과정에서, 전방의 이물질(A)이 점차 쌓여 도 4b 처럼 가이드슈(23) 전방의 공간을 막는 경우가 있는 것이다. 이물질의 잼(jam) 현상이 발생하면, 선루프의 작동부하가 크게 증가하고, 프론트글라스의 개폐 작동시 소음이나 떨림 등이 발생하며 작동 내구성이 저하한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241245호 (파노라마 선루프의 리어 레일 먼지유입 방지장치)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80488호 (자동차 선루프의 리어 레일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856621호 (파노라마 선 루프)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선루프의 작동부하 상승을 방지하고 진동이나 소음 없는 원활한 개폐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파노라마 선루프 작동부하 경감을 위한 리어레일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어레일 내부에 침투한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털어낼 수 있어 가이드슈의 마모를 억제하여 파노라마 선루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리어레일내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파노라마 선루프 작동부하 경감을 위한 리어레일은, 파노라마 선루프의 리어글라스 양측에 배치되며 틸트레버의 주행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틸트레버와 결합하는 가이드슈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내부공간부를 가지고, 상기 가이드슈의 이동 경로상에는, 내부공간부에 쌓인 이물질을 내부공간부 외부로 배출시키되, 가이드슈에 밀려 이동하는 이물질을, 가이드슈의 주행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이물질배출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리어레일은; 상기 가이드슈의 측부를 지지하는 측벽부, 저면을 지지하는 제1바닥부, 상기 제1바닥부로부터 단차진 제2바닥부를 가지며, 상기 이물질배출부는; 상기 측벽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사이드구멍과, 제2바닥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하부구멍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사이드구멍 및 하부구멍에는, 가이드슈에 들러붙어 있는 이물질을 가이드슈로부터 박리하여 리어레일 외부로 유도하는 블레이드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리어레일내 이물질 제거장치는, 파노라마 선루프의 리어글라스 양측에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틸트레버의 주행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다수의 구멍을 갖는 리어레일의 내부에 설치되어, 리어레일 내부의 이물질을 상기 구멍을 통해 배출하는 것으로서, 상기 틸트레버에 고정된 상태로 틸트레버의 왕복운동에 따라 리어레일의 내부공간을 슬라이딩하며, 상기 이물질을 상기 구멍을 통해 배출시키는 스위퍼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스위퍼는; 상기 틸트레버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가이드슈와, 상기 가이드슈의 측부에 나란하게 고정되는 사이드슬라이더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리어레일은; 상기 가이드슈의 측부를 지지하는 측벽부, 가이드슈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1바닥부, 상기 제1바닥부로부터 단차지며 상기 사이드슬라이더와 접하는 제2바닥부를 가지고, 상기 구멍은; 상기 측벽부에 형성된 사이드구멍과, 제2바닥부에 형성된 하부구멍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슈 및 사이드슬라이더에는, 상기 이물질을 사이드구멍 및 하부구멍으로 쓸어내는 브러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슈에는, 가이드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다수의 브러시설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브러시는, 브러시설치홈의 내부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사이드슬라이더의 저면은 상기 제2바닥부로부터 평행하게 이격되며, 상기 브러시는, 사이드슬라이더의 저면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스위퍼는 리어레일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반경질 아노다이징 처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파노라마 선루프 작동부하 경감을 위한 리어레일은, 다수의 먼지배출용 구멍을 가져 외부로부터 침투한 이물질을 신속히 배출할 수 있으므로, 선루프의 작동부하 상승을 방지하고 진동이나 소음 없는 원활한 개폐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리어레일내 이물질 제거장치는, 리어레일 내부에 침투한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털어낼 수 있어 가이드슈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파노라마 선루프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도 1은 차량에 설치된 파노라마 선루프의 적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 리어레일 및 이에 설치된 틸트레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종래 리어레일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레일을 틸트레버와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레일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제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스위퍼의 일부분을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9에 도시한 이물질제거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리어레일은, 그 내부에 침투한 이물질을 외부로 신속히 배출할 수 있도록, 측부와 하부로 개방된 다수의 구멍을 갖는다. 종전에는 이물질 배출구멍이 따로 없어, 이물질을 리어레일의 단부까지 밀고 나가 내보내는 구조를 가지므로, 리어레일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형성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리어레일은, 파노라마 선루프의 리어글라스 양측에 배치되며 틸트레버의 주행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틸트레버와 결합하는 가이드슈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내부공간부를 가지고, 상기 가이드슈의 이동 경로상에는, 내부공간부에 쌓인 이물질을 내부공간부 외부로 배출시키되, 가이드슈에 밀려 이동하는 이물질을, 가이드슈의 주행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이물질배출부가 구비된 구조를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레일(30)을 틸트레버와 함께 도시한 가이드장치(20)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리어레일(30)은 개념적 도면으로서, 실제 리어레일(30)은 도 6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당연히 리어레일(30)의 모양은 차량마다 다르다.
도 5를 참조하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리어레일(30)의 내부에 틸트레버(21)의 하단부가 끼워져 있음을 알 수 있다. 틸트레버(21)는 프론트글라스의 양단부와 결합하는 부재로서 하단부에 가이드슈(23)를 갖는다.
한편, 상기 리어레일(30)에는 다수의 사이드구멍(31)과 하부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구멍(31)과 하부구멍(33)은 가이드슈(23)의 경로상에 위치한 관통구멍으로서, 리어레일(30)의 내부공간부에 쌓인 이물질을 측부 및 하부로 배출시키는 통로이다. 즉, 이물질을, 가이드슈(23)의 주행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이물질배출부이다.
도 5에는 리어레일(30)의 양단부가 배출단부(30a)를 통해 개방되어 있지만, 사이드구멍(31)과 하부구멍(33)이 적용되어 있는 이상 배출단부(30a)는 없앨 수도 있다.
이러한 사이드구멍(31)과 하부구멍(33)의 적용 개수나 구멍의 사이즈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특히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구멍(31)과 하부구멍(33)의 내측 에지부에 블레이드부(34)를 형성할 수도 있다. 블레이드부(34)는 사이드구멍(31)과 하부구멍(33) 내부의 두께방향 에지부를 날카롭게 가공한 날부로서, 가령, 가이드슈(23)에 들러붙어 있는 이물질을 가이드슈로부터 박리하여 도 11의 화살표 d 방향, 즉 리어레일(3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블레이드부(34)를 적용함으로써 이물질(A)의 배출이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구현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레일(30)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6의 C-C선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레일(30)에는 상기 가이드슈(23) 또는 도 9의 스위퍼(42)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부(30c)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스위퍼(42)가 적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리어레일(30)에는, 측벽부(30f), 제1바닥부(30d), 제2바닥부(30 e)가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30f)는 스위퍼(41)의 가이드슈(41a)의 측면이 접하는 부분이고, 제1바닥부(30d)는 가이드슈(41a)의 바닥면이 접하는 부분이다. 또한 제2바닥부(30e)는 제1바닥부(30d)로부터 단차진 부분으로서 사이드슬라이더(41b)와 평행하게 이격된다. 측벽부(30f)와 제1바닥부(30d)는 스위퍼(41)의 왕복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면의 역할을 한다.
아울러 측벽부(30f)에는 다수의 사이드구멍(31)이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구멍(31)은 리어레일(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것으로서, 리어레일(30) 내부의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이다.
또한 제2바닥부(30e)에는 하부구멍(33)이 위치한다. 하부구멍(33)도 측부구멍(31)과 마찬가지로 리어레일(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며, 내부공간부(30c) 내부의 이물질을 하부로 배출시킨다.
상기 사이드구멍(31)과 하부구멍(33)이 내측에 블레이드부(34)가 형성될 수 있음은 위에 언급한 바와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제거장치(40)를 리어레일(30)과 함께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이물질제거장치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이물질제거장치(40)는 리어레일(30)의 내부공간부(30c)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 상태로 동작한다. 즉, 슬라이딩 운동하면서, 리어레일(30) 내부의 이물질을 상기한 사이드구멍(31)과 하부구멍(33)을 통해 배출하는 것이다.
상기 이물질제거장치(40)는, 틸트레버(21)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스위퍼(41)와 스위퍼(41)에 고정되는 브러시(41c)로 이루어진다.
또한, 스위퍼(41)는, 상기 측벽부(30f)와 제1바닥부(30d)에 면접 지지되는 가이드슈(41a)와, 사이드슬라이더(41b)를 갖는다. 사이드슬라이더(41b)는 가이드슈(41a)의 측부에 일체로 형성된 일정두께의 띠형 부재로서, 제2바닥부(30e)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슈(41a)에는 다수의 브러시설치홈(41e)이 형성되어 있다. 브러시설치홈(41e)은 가이드슈(41a)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가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된 홈이며, 그 내부에 브러시(41c)를 수용한다.
상기 브러시(41c)는 각 브러시설치홈(41e)의 내부에 심어진 상태로 측부와 상부와 하부로 연장되어 리어레일(30)에 접한다. 리어레일(30)의 내벽면에 오염되어 있는 이물질을 브러시(41c)로 쓸어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이드슬라이더(41b)의 저면과 측면에도 브러시(41c)가 구비되어 있다. 사이드슬라이더(41b)에 고정되어 있는 브러시(41c)는, 제2바닥부(30e)와 도면상 제2바닥부(30e)의 우측편 측벽부(30k)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쓸어내는 역할을 한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사이드슬라이더(41b)의 저면은 제2바닥부(30e)로부터 평행하게 이격되며 브러시(41c)를 고정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스위퍼(41)는, 리어레일(30)의 마모를 야기하지 않도록 반경질 아노다이징 처리 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도 9에 도시한 이물질제거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물질제거장치(40)가 리어레일(30)에 지지된 상태로 화살표 m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인 화살표 n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며, 내부공간부(30c) 내에 쌓여 있는 이물질(A)을 사이드구멍(31)이나 하부구멍(33)을 통해 화살표 d방향으로 배출시킨다. 이 때 상기 브러시(41c)는, 마치 빗자루로 먼지 등을 쓸어 나가는 것처럼, 리어레일(30) 내부의 이물질을 쓸어 리어레일(30)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차량 12:선루프 12a:루프프레임
12b:사이드몰딩 14:프론트글라스 16:리어글라스
20:가이드장치 21:틸트레버 23:가이드슈
25:밀폐시일 27:리어레일 27a:내부공간
30:리어레일 30a:배출단부 30b:주행로
30c:내부공간부 30d:제1바닥부 30e:제2바닥부
30f:측벽부 30k:측벽부 31:사이드구멍
33:하부구멍 34:블레이드부 40:이물질제거장치
41:스위퍼 41a:가이드슈 41b:사이드슬라이더
41c:브러시 41e:브러시설치홈

Claims (10)

  1. 파노라마 선루프의 리어글라스 양측에 배치되며 틸트레버의 주행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틸트레버와 결합하는 가이드슈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내부공간부를 가지고,
    상기 가이드슈의 이동 경로상에는, 내부공간부에 쌓인 이물질을 내부공간부 외부로 배출시키되, 가이드슈에 밀려 이동하는 이물질을, 가이드슈의 주행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이물질배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슈의 측부를 지지하는 측벽부, 저면을 지지하는 제1바닥부, 상기 제1바닥부로부터 단차진 제2바닥부를 가지며,
    상기 이물질배출부는,
    상기 측벽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사이드구멍과, 상기 제2바닥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하부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구멍 및 상기 하부구멍에는,
    상기 가이드슈에 들러붙어 있는 이물질을 상기 가이드슈로부터 박리하여 상기 리어레일 외부로 유도하는 블레이드부가 형성된 파노라마 선루프 작동부하 경감을 위한 리어레일.
  2. 삭제
  3. 삭제
  4. 파노라마 선루프의 리어글라스 양측에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틸트레버의 주행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다수의 구멍을 갖는 리어레일의 내부에 설치되어, 리어레일 내부의 이물질을 상기 구멍을 통해 배출하는 것으로서,
    상기 틸트레버에 고정된 상태로 틸트레버의 왕복운동에 따라 리어레일의 내부공간을 슬라이딩하며, 상기 이물질을 상기 구멍을 통해 배출시키는 스위퍼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퍼는,
    상기 틸트레버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가이드슈와,
    상기 가이드슈의 측부에 나란하게 띠형으로 고정되는 사이드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레일은,
    상기 가이드슈의 측부를 지지하는 측벽부와, 상기 가이드슈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1바닥부와, 상기 제1바닥부로부터 단차지며 상기 사이드슬라이더와 접하는 제2바닥부를 가지고,
    상기 구멍은,
    상기 측벽부에 형성된 사이드구멍과, 상기 제2바닥부에 형성된 하부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슈 및 상기 사이드슬라이더에는,
    상기 이물질을 상기 사이드구멍 및 상기 하부구멍으로 쓸어내는 브러시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슈에는, 상기 가이드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다수의 브러시설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브러시는, 브러시설치홈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사이드슬라이더의 저면은 상기 제2바닥부로부터 평행하게 이격되며,
    상기 브러시는, 상기 사이드슬라이더의 상기 저면에 구비된 리어레일 내 이물질 제거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퍼는 리어레일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반경질 아노다이징 처리된 리어레일 내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180165002A 2018-12-19 2018-12-19 파노라마 선루프 작동부하 경감을 위한 리어레일 및 상기 리어레일 내 이물질 제거장치 KR102157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002A KR102157217B1 (ko) 2018-12-19 2018-12-19 파노라마 선루프 작동부하 경감을 위한 리어레일 및 상기 리어레일 내 이물질 제거장치
CN201911314762.8A CN111439099B (zh) 2018-12-19 2019-12-19 减轻全景天窗操作负荷的后轨道及其内部异物去除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002A KR102157217B1 (ko) 2018-12-19 2018-12-19 파노라마 선루프 작동부하 경감을 위한 리어레일 및 상기 리어레일 내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783A KR20200076783A (ko) 2020-06-30
KR102157217B1 true KR102157217B1 (ko) 2020-09-18

Family

ID=71121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002A KR102157217B1 (ko) 2018-12-19 2018-12-19 파노라마 선루프 작동부하 경감을 위한 리어레일 및 상기 리어레일 내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7217B1 (ko)
CN (1) CN1114390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438B1 (ko) * 2020-10-22 2022-08-01 주식회사코메론 레일 어셈블리
KR102495109B1 (ko) * 2020-11-18 2023-02-06 주식회사코메론 레일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415B1 (ko) * 2015-12-24 2017-04-26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 장치
KR101780488B1 (ko) * 2016-07-19 2017-09-22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자동차 선루프의 리어 레일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36233C2 (de) * 1991-11-02 1994-06-09 Audi Ag Gleitschuh für ein Schiebedach an einem Fahrzeug
JP2600893Y2 (ja) * 1993-12-28 1999-10-25 デルタ工業株式会社 ロングスライダーレールクリーナー
JP2005186901A (ja) * 2003-12-26 2005-07-14 Ashimori Ind Co Ltd シェード装置
KR100898507B1 (ko) * 2007-07-18 2009-05-21 (주)코락아이엔아이 이물질 배출장치 및 이물질 배출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
KR101241245B1 (ko) 2012-09-05 2013-03-15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파노라마 선루프의 리어 레일 먼지유입 방지장치
JP2016055744A (ja) * 2014-09-09 2016-04-2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の開閉装置
CN105383448A (zh) * 2015-11-25 2016-03-09 杨挺 自动清洗的汽车天窗
KR101856621B1 (ko) 2016-12-13 2018-05-11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파노라마 선 루프
KR102484883B1 (ko) * 2016-12-13 2023-0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선루프의 리어 레일 먼지유입 방지장치
KR102347698B1 (ko) * 2017-04-28 2022-0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 선세이드와 선루프 구조
CN207140755U (zh) * 2017-08-14 2018-03-27 伟巴斯特车顶供暖系统(上海)有限公司 车辆天窗的导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415B1 (ko) * 2015-12-24 2017-04-26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 장치
KR101780488B1 (ko) * 2016-07-19 2017-09-22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자동차 선루프의 리어 레일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439099B (zh) 2023-11-24
CN111439099A (zh) 2020-07-24
KR20200076783A (ko)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7217B1 (ko) 파노라마 선루프 작동부하 경감을 위한 리어레일 및 상기 리어레일 내 이물질 제거장치
CN1321875C (zh) 电梯间的门槛装置
KR20050006142A (ko) 도어조립체
KR200478715Y1 (ko) 미닫이식 창호시스템
JP5209601B2 (ja) 移送デバイス
KR20060128792A (ko) 지붕 구조물용 세척장치
RU276508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крытия зазора для рельс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561715B1 (ko) 트랙의 발라스트를 수거하는 머신 및 방법
JP4436846B2 (ja) 乗客コンベア用オイルパン清掃機
KR102099967B1 (ko) 터널형 방음벽 지붕용 제설 기능을 포함하는 클리닝장치
JPH05263562A (ja) スライドドア用のガイドレールおよびガイド装置
KR200466846Y1 (ko) 승강기 도어 장치
RU2577928C2 (ru) Остекленная крыша с подвижной сдвигаемой и приподнимающейся панелью
JPH05310391A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扉下端部の支持機構
KR101917240B1 (ko) 창호용 샤시
CN107031355B (zh) 用于制造机动车门的方法
KR102064042B1 (ko) 문틀 커버
KR20200076784A (ko) 파노라마 선루프의 리어레일 내 이물질 박리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슈
KR102399538B1 (ko) 방수성이 향상된 유리용 에지 그라인더의 이송장치
CN111032391A (zh) 包括用于卷帘幅的引导条的卷帘布置结构
CN108556796A (zh) 一种汽车玻璃刮刷装置
JP2006168960A (ja) エレベータの上開き式ドア装置
KR20090112776A (ko) 미닫이문의 레일 커버 및 그 장착구조
GB2150624A (en) Vehicle window light
JP5806924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