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488B1 - 자동차 선루프의 리어 레일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선루프의 리어 레일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0488B1
KR101780488B1 KR1020160091391A KR20160091391A KR101780488B1 KR 101780488 B1 KR101780488 B1 KR 101780488B1 KR 1020160091391 A KR1020160091391 A KR 1020160091391A KR 20160091391 A KR20160091391 A KR 20160091391A KR 101780488 B1 KR101780488 B1 KR 101780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rail
tilt lever
foreign matter
preventing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윤
곽성민
박창민
라명수
Original Assignee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filed Critical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Priority to KR1020160091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4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8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 B60J10/82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for movable panels in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45Assembling sealing arrangements with vehic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선루프의 리어 레일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슈 작동구간에 이물질의 직접적인 유입을 방지하고 고압 세차로 인한 그리스 유실을 방지하도록 폐쇄형 단면구조를 갖는 리어 레일과, 일단이 무빙 글래스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리어 레일에 끼워지어 리어 레일의 궤적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틸트 레버와, 상기 틸트 레버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틸트 레버가 작동되지 않는 구간에서는 상기 슈 작동구간에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리어 레일을 폐쇄하는 리어 레일 씰을 포함함으로써, 이물질 유입 및 고압세차로 인한 그리스 유실을 방지하여 작동부하 및 내구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선루프의 리어 레일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Inflow of Dust in Rear Rail of Sunroof}
본 발명은 자동차 선루프의 리어 레일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어 레일의 슈(Shoe) 작동구간을 패쇄형 단면으로 변경하고 틸트 레버의 형상을 변경하여 이물질 유입 및 고압세차로 인한 그리스 유실을 방지하여 작동부하 및 내구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자동차 선루프의 리어 레일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에는 개방감을 위하여 차량의 루프에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선루프를 장착하는데, 이중 루프 판넬이 전면 유리 구조로 되어 있는 파노라마 선루프는 현재 일종의 트렌드라고 할 만큼 고객의 선호 사양이 되고 있다.
파노라마 선루프에서는 전방의 무빙 글래스가 슬라이딩 작동할 때 상기 무빙 글래스와 스크류 체결되어 전방의 무빙 글래스를 끌고 다니는 틸트 레버가 구비된다.
첨부한 도 1은 종래의 파노라마 선루프의 리어 레일과 틸트 레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파노라마 선루프에서 리어 레일이 설치된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의 A-A선 단면도이다.
통상, 무빙 글래스(G)의 리어(Rear)부를 지지하는 메카니즘으로 크게 리어 레일(Rear Rail)(12)과 틸트 레버(Tilt lever)(11)로 구성된다.
상기 틸트 레버(11)는 일단이 무빙 글래스(G)와 결합되고 타단은 리어 레일(12)에 끼워진 상태에서 무빙 글래스(G)가 슬라이딩 작동함에 따라 소정의 각도로 틸트되어 세워진 후, 상기 리어 레일(12)의 궤적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상기 리어 레일(12)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방형의 단면구조로 이루어지어 메카니즘 구동부인 슈(Shoe) 작동구간에 리어 글래스 웨더 스트립(Rear Glass Weather Strip)(14)과 사이드 몰딩 씰(Side Molding Seal)(16)의 오버랩(Overlap) 구간을 통해 먼지가 유입되고 고압세차 시 그리스가 유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리어 레일의 슈(Shoe) 작동구간(2)이 이물질 유입 및 고압세차로 인한 그리스 유실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지어 상기 슈 작동구간(2)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끼게 되면 모터에 과도한 작동부하가 걸리게 되어 작동 불량 및 내구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틸트 레버(11)는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어 상기와 같이 슈 작동구간(2)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끼게 되어 작동 불량 및 그리스 유실이 발생하면 상기 틸트 레버(11)가 상기 리어 레일(12)의 궤적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때 작동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41245호.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리어 레일의 슈(Shoe) 작동구간을 패쇄형 단면으로 변경하여 이물질 유입 및 고압세차로 인한 그리스 유실을 방지하여 작동부하 및 내구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자동차 선루프의 리어 레일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틸트 레버의 형상을 변경하여 틸트 레버의 슬라이딩 작동 시 발생하는 작동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선루프의 리어 레일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슈 작동구간에 이물질의 직접적인 유입을 방지하고 고압 세차로 인한 그리스 유실을 방지하도록 폐쇄형 단면구조를 갖는 리어 레일과, 일단이 무빙 글래스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리어 레일에 끼워지어 리어 레일의 궤적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틸트 레버와, 상기 틸트 레버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틸트 레버가 작동되지 않는 구간에서는 상기 슈 작동구간에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리어 레일을 폐쇄하는 리어 레일 씰을 포함하는 자동차 선루프의 리어 레일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리어 레일 씰은 상기 리어 레일의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 단부에 연장되어 상기 틸트 레버가 작동되는 구간에서는 틸트 레버의 작동에 따라 접혀지고, 상기 틸트 레버가 작동되지 않는 구간에서는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펴지어 슈 작동구간에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씰링부와, 상기 씰링부의 동작이 원활하도록 상기 고정부와 씰링부 사이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접힘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씰링부가 접히는 경우, 상기 씰링부는 리어 레일과 틸트 레버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리어 레일은 폐쇄형 단면구조를 갖도록 상기 슈 작동구간의 입구에 상하 한 쌍으로 상부턱과 하부턱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턱에 연결되는 이물질 유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물질 유입부는 상기 슈 작동구간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물질 유입부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배수홀이 형성되어 배수로로 사용이 가능하고, 유입된 이물질이 쌓였다가 상기 배수홀을 통해 배출이 용이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틸트 레버는 작동 시 발생하는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재질의 몰드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드는 리어 글래스 웨더 스트립(Rear Glass Weather Strip)과 사이드 몰딩 씰(Side Molding Seal)에 접하는 면을 포함하여 상기 틸트 레버의 외면에 일체로 결합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의하면 리어 레일의 슈(Shoe) 작동구간을 패쇄형 단면으로 변경하고 외부에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모터의 과부하를 해소하고, 작동불량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틸트 레버의 형상을 변경하여 틸트 레버의 작동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작동불량으로 인한 수리 및 교체 등의 비용을 절감하고, 파노라마 선루프의 신뢰성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파노라마 선루프의 리어 레일과 틸트 레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파노라마 선루프에서 리어 레일이 설치된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차 선루프의 리어 레일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가 적용된 리어 레일과 틸트 레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자동차 선루프의 리어 레일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리어 레일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틸트 레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리어 레일 씰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차 선루프의 리어 레일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가 적용된 리어 레일과 틸트 레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자동차 선루프의 리어 레일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 선루프의 리어 레일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는 파노라마 선루프의 리어 레일(120)과, 상기 리어 레일(120)의 궤적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틸트 레버(110)와, 상기 틸트 레버(11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틸트 레버(110)가 작동되지 않는 구간에서는 슈 작동구간에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리어 레일(120)을 폐쇄하는 리어 레일 씰(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어 레일(120)은 슈(Shoe) 작동구간에 이물질의 직접적인 유입을 방지하고 고압 세차로 인한 그리스 유실을 방지하도록 폐쇄형 단면구조를 갖는데 그 특징이 있다.
즉, 상기 리어 레일(120)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폐쇄형 단면구조를 갖도록 상기 슈 작동구간(2)의 입구에 상하 한 쌍으로 상부턱(122)과 하부턱(124)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턱(122)과 하부턱(124)은 상기 틸트 레버(110)가 리어 레일(120)의 궤적에 삽입되도록 하면서도 슈 작동구간(2)의 입구를 최소한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리어 레일(120)은 상기 상부턱(122)과 하부턱(124)을 갖는 단면형상으로 인해 1차적으로 슈(Shoe) 작동구간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고압 세차로 인한 그리스 유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하부턱(124)의 일측에는 이물질 유입부(126)가 연결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리어 레일(120)의 슈(Shoe) 작동구간(2)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리어 레일(120)을 폐쇄형 단면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리어 레일 씰(130)도 구비하였지만 틸트 레버(110)의 슬라이드 이동 시 먼지 등의 작은 이물질이 리어 레일(120)에 유입되는 것을 100% 방지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조금이라도 리어 레일(120)에 들어올 수 있는데,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슈(Shoe) 작동구간(2)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하부턱(124)의 일측에 이물질 유입부(126)를 연결형성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 경우, 상기 이물질 유입부(126)는 상기 슈 작동구간(2)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이물질 유입부(126)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쌓일 수 있는 공간을 허용하며, 상기 슈 작동구간(2)보다 낮은 위치에 있으므로 메카니즘 구동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 유입부(126)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배수홀(도시안함)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리어 레일(12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배수홀이 형성되어 이물질 유입부(126)에 유입된 이물질이 물에 의해 씻겨져 내려갈 때 상기 배수홀을 통해 배출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물질 유입부(126)에는 길이방향으로 돌기(126a)가 형성되어 유입된 이물질이 쌓였다가 상기 배수홀을 통해 배출될 때 가이드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틸트 레버(110)는 일단이 무빙 글래스(G)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리어 레일(120)에 끼워진 상태에서 무빙 글래스(G)가 슬라이딩 작동함에 따라 소정의 각도로 틸트되어 세워진 후, 상기 리어 레일(120)의 궤적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기 틸트 레버(110)의 설치 구조 및 작동 방법은 공지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틸트 레버(110)는 작동 시 발생하는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재질의 몰드(112)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종래의 틸트 레버(11)는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어 리어 글래스 웨더 스트립(Rear Glass Weather Strip)(140)과 사이드 몰딩 씰(Side Molding Seal)(160)의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때 작동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와 같은 문제점은 슈 작동구간(2)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끼게 되어 작동 불량이 발생하거나 그리스 유실이 발생하면 더욱 심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어 왔던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 틸트 레버(110)의 외면에 몰드(112)를 결합시켜 스틸 재질보다 부드러운 재질로 틸트 레버(110)가 상기 리어 레일(120)의 궤적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때 발생가능한 작동소음을 줄이는 구성을 갖는다.
이 경우, 상기 몰드(112)는 리어 글래스 웨더 스트립(Rear Glass Weather Strip)(140)과 사이드 몰딩 씰(Side Molding Seal)(160)에 접하는 면을 포함하여 상기 틸트 레버(110)의 외면에 일체로 결합된다. 도 5의 확대도에서 도면부호 111이 스틸 재질의 틸트 레버이고, 상기 틸트 레버(110)의 스틸 재질 부분(111)의 외면에 플라스틱 재질의 몰드(112)가 결합되어 틸트 레버(110)를 구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틸트 레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리어 레일 씰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리어 레일 씰(130)은 상기 리어 레일(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 자체의 탄성복원력을 갖는 탄성체, 예를 들어 고무나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탄성복원력을 갖는 리어 레일 씰(130)로 인해 상기 틸트 레버(110)가 리어 레일(120)의 궤적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때, 상기 틸트 레버(110)가 리어 레일 씰(130)을 접거나 펼치면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리어 레일 씰(130)은 상기 리어 레일(120)의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부(136)와, 상기 고정부(136)의 일측 단부에 연장되어 상기 틸트 레버(110)가 작동되는 구간에서는 틸트 레버(110)의 작동에 따라 접혀지고, 상기 틸트 레버(110)가 작동되지 않는 구간에서는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펴지어 슈 작동구간(2)에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씰링부(132)와, 상기 씰링부(132)의 동작이 원활하도록 상기 고정부(136)와 씰링부(132) 사이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접힘홈(13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씰링부(132)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대략 75°의 각도로 펼쳐지며 상기 틸트 레버(110)의 작동에 따라 씰링부(132)가 접히는 경우, 상기 씰링부(132)는 리어 레일(120)과 틸트 레버(11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틸트 레버(110)의 작동에 따라 씰링부(132)가 접히게 되면, 상기 씰링부(132)는 리어 레일(120)의 상부턱(122)과 틸트 레버(110) 사이에 위치하여 틸트 레버(110)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한편, 상기 고정부(136)는 상기 리어 레일(120)의 상면에 대응되는 폭과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리어 레일(120)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은 리어 레일 씰(130)은 상기 고정부(136)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씰링부(132)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접힘홈(134)이 고정부(136)와 씰링부(132)가 연결된 부위의 내측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접힘홈(134)을 중심으로 상기 씰링부(132)가 소정의 각도로 접혀질 수 있으며, 상기 틸트 레버(110)가 작동되지 않는 구간에서는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펴지어 상기 리어 레일(120)의 상단부를 폐쇄할 수 있으므로 슈 작동구간(2)에 이물질 유입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힘홈(134)은 호(弧)형상의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호형상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된 접힘홈(134)은 상기 씰링부(132)의 접힘과 펼쳐짐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연속적인 접힘과 펼쳐짐 동작에도 리어 레일 씰(130)의 파손 등의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자동차 선루프의 리어 레일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무빙 글래스(G)가 개방되기 위해 틸트 레버(110)가 소정의 각도로 틸트되어 세워진 후, 상기 리어 레일(120)의 궤적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무빙 글래스(G)를 이동시킨다.
이때, 본 발명의 리어 레일(120)에는 상단부를 밀폐하는 리어 레일 씰(13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틸트 레버(110)가 소정의 각도로 틸트될 때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틸트 레버(110)가 리어 레일 씰(130)의 씰링부(132)를 접으면서 세워지게 되어, 상기 씰링부(132)가 리어 레일(120)의 상부턱(122)과 틸트 레버(110) 사이에 접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틸트 레버(110)가 이동된 후에는 상기 리어 레일 씰(130)의 씰링부(132)가 자체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펼쳐지게 되어 상기 리어 레일(120)을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리어 레일(120)의 슈(Shoe) 작동구간(2)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모터의 과부하를 해소하고 작동불량 문제를 개선하며, 작동불량으로 인한 수리 및 교체 등의 비용을 절감하고, 파노라마 선루프의 신뢰성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10: 틸트 레버 112: 몰드
120: 리어 레일 122: 상부턱
124: 하부턱 126: 이물질 유입부
130: 리어 레일 씰 132: 씰링부
134: 접힘홈 136: 고정부

Claims (8)

  1. 슈 작동구간에 이물질의 직접적인 유입을 방지하고 고압 세차로 인한 그리스 유실을 방지하도록 폐쇄형 단면구조를 갖는 리어 레일;
    일단이 무빙 글래스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리어 레일에 끼워지어 리어 레일의 궤적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틸트 레버; 및
    상기 틸트 레버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틸트 레버가 작동되지 않는 구간에서는 상기 슈 작동구간에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리어 레일을 폐쇄하는 리어 레일 씰;
    을 포함하고,
    상기 리어 레일 씰은 상기 리어 레일의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일측 단부에 연장되어 상기 틸트 레버가 작동되는 구간에서는 틸트 레버의 작동에 따라 접혀지고, 상기 틸트 레버가 작동되지 않는 구간에서는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펴지어 슈 작동구간에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씰링부; 및 상기 씰링부의 동작이 원활하도록 상기 고정부와 씰링부 사이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접힘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씰링부가 접히는 경우, 상기 씰링부는 리어 레일과 틸트 레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리어 레일과 상기 리어 레일 씰은 상기 리어 레일의 상부 측에서 상기 틸트 레버의 서로 다른 면과 접촉하는 자동차 선루프의 리어 레일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 레일은 폐쇄형 단면구조를 갖도록 상기 슈 작동구간의 입구에 상하 한 쌍으로 상부턱과 하부턱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턱에 연결되는 이물질 유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선루프의 리어 레일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부는 상기 슈 작동구간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선루프의 리어 레일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부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배수홀이 형성되어 배수로로 사용이 가능하고, 유입된 이물질이 쌓였다가 상기 배수홀을 통해 배출이 용이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선루프의 리어 레일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틸트 레버는 작동 시 발생하는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재질의 몰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선루프의 리어 레일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몰드는 리어 글래스 웨더 스트립(Rear Glass Weather Strip)과 사이드 몰딩 씰(Side Molding Seal)에 접하는 면을 포함하여 상기 틸트 레버의 외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선루프의 리어 레일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
KR1020160091391A 2016-07-19 2016-07-19 자동차 선루프의 리어 레일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 KR101780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391A KR101780488B1 (ko) 2016-07-19 2016-07-19 자동차 선루프의 리어 레일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391A KR101780488B1 (ko) 2016-07-19 2016-07-19 자동차 선루프의 리어 레일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0488B1 true KR101780488B1 (ko) 2017-09-22

Family

ID=60034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391A KR101780488B1 (ko) 2016-07-19 2016-07-19 자동차 선루프의 리어 레일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04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784A (ko) 2018-12-19 2020-06-30 주식회사 베바스토코리아홀딩스 파노라마 선루프의 리어레일 내 이물질 박리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슈
KR20200076783A (ko) 2018-12-19 2020-06-30 주식회사 베바스토코리아홀딩스 파노라마 선루프 작동부하 경감을 위한 리어레일 및 상기 리어레일 내 이물질 제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7421A (ja) * 2012-05-17 2013-11-28 Aisin Seiki Co Ltd ルーフ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7421A (ja) * 2012-05-17 2013-11-28 Aisin Seiki Co Ltd ルーフ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784A (ko) 2018-12-19 2020-06-30 주식회사 베바스토코리아홀딩스 파노라마 선루프의 리어레일 내 이물질 박리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슈
KR20200076783A (ko) 2018-12-19 2020-06-30 주식회사 베바스토코리아홀딩스 파노라마 선루프 작동부하 경감을 위한 리어레일 및 상기 리어레일 내 이물질 제거장치
CN111439098A (zh) * 2018-12-19 2020-07-24 伟巴斯特韩国控股有限公司 全景天窗后轨道内的具有异物剥离功能的滑动蹄片
CN111439099A (zh) * 2018-12-19 2020-07-24 伟巴斯特韩国控股有限公司 减轻全景天窗操作负荷的后轨道及其内部异物去除装置
KR102157223B1 (ko) * 2018-12-19 2020-09-18 주식회사 베바스토코리아홀딩스 파노라마 선루프의 리어레일 내 이물질 박리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슈
KR102157217B1 (ko) * 2018-12-19 2020-09-18 주식회사 베바스토코리아홀딩스 파노라마 선루프 작동부하 경감을 위한 리어레일 및 상기 리어레일 내 이물질 제거장치
CN111439099B (zh) * 2018-12-19 2023-11-24 伟巴斯特韩国控股有限公司 减轻全景天窗操作负荷的后轨道及其内部异物去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79022C (en) Flush-mounted slider window for pick-up truck
JP2017210164A (ja) 車両用ドア構造
KR101780488B1 (ko) 자동차 선루프의 리어 레일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
US8069615B2 (en) Supported hollow seal
US9186971B1 (en) Structure for supporting sun roof deflector
ITRM950794A1 (it) Complesso di tettuccio per chiudere un'apertura nel tetto di un autoveicolo
US20070069553A1 (en) Weather strip
US7972204B2 (en) Vehicle door seal venting system and method
DE102015007449A1 (de) Dichtungsanordnung
US8091956B2 (en) Apparatus for sealing and damping
US9884542B2 (en) Vertical sealing arrangement between doors without side pillars
KR102654760B1 (ko) 차량 도어용 실링 실링 어셈블리
KR101241245B1 (ko) 파노라마 선루프의 리어 레일 먼지유입 방지장치
RU2415031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кользящего стекл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0405837B1 (ko) 자동차용 선루프의 유리판넬 개폐장치
JP2009527406A (ja) 排水装置
KR100828615B1 (ko) 차량용 선루프글래스의 파손방지구조
KR102673162B1 (ko) 슬라이딩 타입의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
JP2010083421A (ja) 自動車ドアのシール構造
JP6135354B2 (ja) アウトスライド扉の下部シール構造
KR102644373B1 (ko) 차량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
JP2020090232A (ja) 車両のシール構造
JPH0512123Y2 (ko)
JP7248598B2 (ja) 車両のシール構造
US11505044B2 (en) Structure for shielding rail exposed to outside of sliding do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