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760B1 - 차량 도어용 실링 실링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용 실링 실링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760B1
KR102654760B1 KR1020190048590A KR20190048590A KR102654760B1 KR 102654760 B1 KR102654760 B1 KR 102654760B1 KR 1020190048590 A KR1020190048590 A KR 1020190048590A KR 20190048590 A KR20190048590 A KR 20190048590A KR 102654760 B1 KR102654760 B1 KR 102654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enter bar
vehicle
sealing assembly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5003A (ko
Inventor
이재승
마동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8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760B1/ko
Priority to US16/696,344 priority patent/US11192433B2/en
Publication of KR20200125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8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 B60J10/86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arranged on the opening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8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2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60J10/23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assembled from two or mor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4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ontact between two or more cooperating sea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60J5/047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with two doors opening in opposite direction
    • B60J5/0479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with two doors opening in opposite direction without B-pillar or releasable B-pillar, i.e. the pillar is moving with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런트 도어와 리어 도어가 반대방향으로 스윙하는 대향식 스윙도어가 적용된 차량에서 도어의 개폐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실링부재에 의해 프런트 도어와 리어 도어의 사이가 기밀되도록 한 차량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는, 프런트 도어(10)의 전단과 리어 도어(20)의 후단이 각각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차량(1)의 측면을 개폐하는 대향식 스윙도어에 적용되고 상기 프런트 도어(10)의 후단과 상기 리어 도어(20)의 전단을 기밀시키는 실링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도어(10)의 후단과 상기 리어 도어(20)의 전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센터바(31)와, 상기 센터바(31)와 상기 프런트 도어(10)의 후단 사이와 상기 센터바(31)와 상기 리어 도어(20)의 전단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33)(34)와, 상기 센터바(31)가 설치된 도어(10)(20)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면, 상기 센터바(31)를 상기 센터바(31)가 설치되지 않은 도어(10)(20)로부터 이격(도어 개방시)되거나 또는 밀착(도어 폐쇄시)되도록 상기 센터바(31)가 설치된 도어(10)(2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센터바(31)를 회전시키는 연동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도어용 실링 실링 어셈블리{SEALING ASSEMBLY FOR DOOR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의 둘레를 기밀시키는 도어의 실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센터필라가 없고, 프런트 도어와 리어 도어가 반대방향으로 스윙하는 대향식 스윙도어가 적용된 차량에서 도어의 개폐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실링부재에 의해 프런트 도어와 리어 도어의 사이가 기밀되도록 한 차량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측면에는 탑승자의 승하차를 위한 도어가 설치된다.
통상적인 차량은 상기 도어의 전단이 차체에 힌지연결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지면과 평행하게 개폐되는 스윙도어(swing door)이다.
상기 도어의 둘레에는 상기 도어의 폐쇄시, 기밀을 위해 고무재질의 웨더스트립이 장착된다. 상기 웨더스트립은 고무재질이어서, 상기 도어의 폐쇄시 단면이 변하면서, 상기 도어의 둘레를 기밀시킨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차량에서는 프런트 도어와 리어 도어가 상기 차량에 힌지연결되어 있기는 하지만, 그 방향이 반대인 대향식 스윙도어, 소위 '코치 도어(coach door)'가 적용된 차량이 있다. 특히, 일부 차량에서는 개방감을 극대화하고, 탑승자가 승하차가 더욱 용이해지도록 센터필라가 적용되지 않은 상태로 제작된다.
상기 대향식 스윙도어는 차량의 측방향으로 개방되는 점에서는 통상의 스윙도어와 동일하지만, 프런트 도어(110)와 달리 리어 도어(120)는 상기 리어 도어(120)의 후단이 차체에 힌지연결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리어 도어(120)가 개방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2에는 상기 프런트 도어(110)의 후단과 상기 리어 도어(120)의 전단이 접하는 부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프런트 도어(110)는 도어 프레임(111)에 도어 글래스(112)를 설치하기 위한 글래스런(113)이 장착되고, 상기 리어 도어(120)와 접하는 부위에 웨더스트립(114)이 장착된다. 상기 리어 도어(120)는 도어 프레임(121)에 도어 글래스(122)를 설치하기 위한 글러스런(123)이 설치되고, 상기 프런트 도어(110)와 접하는 부위에 또 다른 웨더 스트립(124)이 장착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센터필라가 없는 차량에 적용되는 대향식 스윙도어는 프런트 도어(110)와 리어 도어(120)의 개방시 차량의 중간부분을 가리는 구조물이 없어 개방감이 좋은 장점이 있지만, 상기 프런트 도어(110)와 상기 리어 도어(120)가 정해진 순서에 따라 개폐되는 단점이 있다. 즉, 대항식 스윙도어에서도 상기 도어(110)(120)와 차체 사이에 기밀을 위한 웨더스트립(114)(124)이 각 도어(110)(120)에 설치되는데, 상기 프런트 도어(110)의 후단과 상기 리어 도어(120)의 전단이 접하는 곳에서는 도어의 폐쇄시 각 도어(110)(120)에 설치된 웨더스트립(114)(124)이 서로 중첩된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어 도어(120)는 궤적 A를 따라 개폐되지만, 상기 웨더스트립의 선단은 궤적 B를 따라 개폐되므로, A-B 사이에서는 도어와 웨더스트립의 중첩이 발생한다. 이러한 중첩은 상기 웨더스트립의 마모를 유발한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 상기 프런트 도어(110)와 상기 리어 도어(120)는 개폐순서가 정해져 있다. 예컨대, 개방시에는 프런트 도어(110)를 먼저 개방하고, 폐쇄시에는 리어 도어(120)를 먼저 폐쇄하도록 한다. 상기 차량(100)에 센터필라가 있으면, 상기 프런트 도어(110)와 상기 리어 도어(120)는 각각 상기 센터필라와 실링을 하면 되지만, 그렇지 않은 차량, 즉 센터필라가 없는 차량에서는 상기 프런트 도어(110)와 상기 리어 도어(120)가 서로 접촉하여 기밀되어야 하므로, 개폐순서가 정해져 있어야 하고 상기 프런트 도어(110)와 상기 리어 도어(120) 사이의 기밀이 취약하였다.
만약, 대향식 스윙도어가 적용된 차량에서, 도어의 개폐순서가 지켜지지 않으면, 상기 도어(110)(120)의 개폐가 불가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도어(110)(120)의 개폐가 가능할지라도, 프런트 도어(110)에 설치된 웨더스트립(114)과 리어 도어(120)에 설치된 웨더스트립(124)이 서로 간섭됨으로써, 상기 웨더스트립이 파손되어 도어(110)(120)와 차체 사이에서 기밀이 되지 않아 빗물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 유입되거나, 외부의 소음이 차량(100)의 실내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는 '자동차용 웨더스트립'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KR 20-0344140 Y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도어의 개폐시 프런트 도어와 리어 도어 사이에 설치된 실링부재가 도어의 개폐와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도어의 개폐순서와 무관하게 개방이 가능하게 하는 차량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은 상기 프런트 도어와 상기 리어 도어 사이에 설치되는 기밀부재가 상기 도어 개폐시 마찰에 의해 마모되는 현상을 감소시킨 차량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용 스윙 타입의 실링 어셈블리는, 차량의 프런트 도어의 후단과 상기 차량의 리어 도어의 전단을 기밀시키는 실링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도어의 후단과 상기 리어 도어의 전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센터바와, 상기 센터바와 상기 프런트 도어의 후단 사이와 상기 센터바와 상기 리어 도어의 전단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와, 상기 센터바가 설치된 도어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면, 상기 센터바를 상기 센터바가 설치되지 않은 도어로부터 이격(도어 개방시)되거나 또는 밀착(도어 폐쇄시)되도록 상기 센터바가 설치된 도어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센터바를 회전시키는 연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터바는 상기 차량의 높이방향으로 회전축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이 상기 프런트 도어의 후단과 상기 리어 도어의 전단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센터바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프런트 도어와 상기 리어 도어가 접하는 부위의 상단과 하단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센터바가 설치된 도어가 개방되기 시작하거나, 폐쇄에 인접해지면 상기 센터바를 상기 도어의 개폐와 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프런트 도어와 상기 리어 도어가 접하는 부위의 상단에 인접하거나 하단에 인접하게 차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의 개폐시 상기 도어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센터바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는 센터바 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터바에서 상기 회전축과 이격된 위치에 상기 센터바의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 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가이드 슬롯에 의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슬롯은, 상기 센터바 가이드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구간과, 상기 제1구간의 단부로부터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구간은 상기 센터바가 설치된 도어로부터 상기 센터바가 설치되지 않은 도어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구간은 상기 제1구간의 단부로부터 상기 차량의 폭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구간은 상기 제1구간의 단부에서 상기 센터바가 설치된 도어로부터 상기 센터바가 설치되지 않은 도어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터바는, 상기 프런트 도어의 후단과 상기 리어 도어의 전단 사이에서 상기 차량의 측면으로 일부가 노출되도록 T자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프런트 도어의 후단과 상기 센터바 사이를 기밀시키는 제1 실링부재와, 상기 리어 도어의 전단과 상기 센터바 사이를 기밀시키는 제2 실링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실링부재와 상기 제2 실링부재는 상기 센터바에서 상기 차량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부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가이드 슬롯으로부터 이탈시, 상기 센터바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센터바가 상기 센터바가 설치되지 않은 도어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터바는 상기 리어 도어의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리어 도어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면, 상기 센터바가 회전하여 상기 프런트 도어의 후단으로 이격(리어 도어 개방시)되거나 상기 프런트 도어의 후단에 밀착(리어 도어 폐쇄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은 센터필라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차량 도어용 스윙 타입의 실링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실링부재가 설치된 도어의 개폐시, 상기 실링부재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도어의 개폐시 인접한 다른 도어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폐쇄시에는 프런트 도어와 리어 도어 사이를 기밀시킨다.
상기 실링부재가 도어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구성에 의해서 대향식 스윙도어가 적용된 차량에서 프런트 도어와 리어 도어의 기밀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도어의 개방시 상기 실링부재가 인접한 다른 도어와 접촉하지 않아 마찰이 실질적으로 작용하지 않으므로, 순서에 상관없이 상기 프런트 도어 또는 상기 리어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순서에 상관없이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므로, 후석에 탑승하는 탑승자의 승하차가 용이해진다.
도 1은 대향식 스윙도어가 적용된 차량에서 프런트 도어와 리어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에서 프런트 도어와 리어 도어가 접하는 부위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가 적용된 차량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가 적용된 차량에서 리어 도어의 개방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요부확대도.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가 적용된 차량에서 리어 도어의 폐쇄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요부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는, 차량의 프런트 도어(10)의 후단과 상기 차량의 리어 도어(20)의 전단을 기밀시키는 실링 어셈블리에서, 상기 프런트 도어(10)의 후단과 상기 리어 도어(20)의 전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센터바(31)와, 상기 센터바(31)와 상기 프런트 도어(10)의 후단 사이와 상기 센터바(31)와 상기 리어 도어(20)의 전단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33)(34)와, 상기 센터바(31)가 설치된 도어(10)(20)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면, 상기 센터바(31)를 상기 센터바(31)가 설치되지 않은 도어(10)(20)로부터 이격(도어 개방시)되거나 또는 밀착(도어 폐쇄시)되도록 상기 센터바(31)가 설치된 도어(10)(2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센터바(31)를 회전시키는 연동부재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대향식 스윙도어가 적용된 차량 중에서, 센터필라가 없는 차량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센터필라가 없고, 대향식 스윙도어가 적용된 차량에서는 상기 프런트 도어(10)의 후단과 상기 리어 도어(20)의 전단이 직접 접촉되어 기밀되도록 해야 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이하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도어(20)의 전단에 센터바(31)가 설치되고, 상기 리어 도어(20)의 개폐에 연동하여 상기 센터바(31)가 회전하는 구성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그 반대로 상기 프런트 도어(10)의 후단에 센터바(31)가 상기 프런트 도어(10)의 개폐에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프런트 도어(10)는 도어패널(11)에 의해 상기 프런트 도어(10)의 기본적인 형태를 갖추고, 글래스런(13)을 통하여 도어 글래스(12)가 설치된다.
리어 도어(20)도 상기 프런트 도어(10)와 마찬가지로 도어패널(21)에 의해 상기 리어 도어(20)의 기본적인 형태를 갖추고 글래스런(23)을 통하여 도어 글래스(22)가 설치된다.
본 발명은 대향식 스윙도어에 관한 것이므로, 상기 프런트 도어(10)는 전단이 상기 차량(1)의 차체에 연결되고, 상기 리어 도어(20)는 후단이 상기 차체에 연결된다. 상기 프런트 도어(10)의 후단과 상기 리어 도어(20)의 전단이 후술되는 실링 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프런트 도어(10)와 상기 리어 도어(20) 사이를 기밀시킨다.
상기 실링 어셈블리는 상기 프런트 도어(10)와 상기 리어 도어(20) 중 어느 하나의 도어(10)(20)의 개폐와 연동하는 센터바(31)와, 상기 센터바(31)와 상기 프런트 도어(10) 사이 또는 상기 센터바(31)와 상기 리어 도어(20) 사이를 기밀시키는 실링부재(33)(34)와, 상기 도어(10)(20)의 개폐와 연동하여 상기 센터바(31)를 회전시키는 연동부재를 포함한다.
센터바(31)는 상기 프런트 도어(10)의 후단 또는 상기 리어 도어(20)의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예컨대, 상기 센터바(31)는 상기 리어 도어(20)의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센터바(31)는 정해진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차량(1)의 높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센터바(31)가 상기 리어 도어(20)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센터바(31)의 후단 또는 후단에 인접한 부위가 상기 리어 도어(20)의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차량(1)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32)을 상기 센터바(31)의 후단 또는 후단에 인접한 부위에 설치하고, 상기 회전축(32)을 상기 리어 도어(20)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센터바(31)는 후단이 상기 리어 도어(20)의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실링부재(33)(34)는 합성고무 등을 재질로 하여, 상기 도어(10)(20)의 폐쇄시 단면이 변하면서, 상기 프런트 도어(10)의 후단과 상기 리어 도어(20)의 전단 사이를 기밀시킨다.
상기 실링부재(33)(34)는 상기 센터바(31)와 상기 프런트 도어(10)의 후단을 기밀시키는 제1 실링부재(33)와 상기 센터바(31)와 상기 리어 도어(20)의 전단을 기밀시키는 제2 실링부재(3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센터바(31)는 상기 프런트 도어(10)의 후단과 상기 리어 도어(20)의 전단 사이에서 상기 차량(1)의 측면으로 일부가 노출되도록 T자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1 실링부재(33)와 상기 제2 실링부재(34)는 상기 센터바(31)에서 상기 차량(1)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부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센터바(31)에서 상기 차량(1)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부위로부터 전방에는 상기 프런트 도어(10)의 후단과 상기 센터바(31) 사이를 기밀시키는 제1 실링부재(33)가 구비되고, 상기 센터바(31)에서 상기 차량(1)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부위로부터 후방에는 상기 리어 도어(20)의 전단과 상기 센터바(31) 사이를 기밀시키는 제2 실링부재(34)가 구비된다.
연동부재는 상기 리어 도어(20)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때, 상기 리어 도어(20)와 연동하여, 상기 센터바(31)를 회전시킨다.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리어 도어(20)의 개폐시 전체구간에서 상기 센터바(31)를 상기 리어 도어(20)의 개폐와 연동되도록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리어 도어(20)의 개방초기 또는 폐쇄완료 직전에 상기 센터바(31)와 연동되도록 한다.
상기 연동부재의 구체적인 예로서, 가이드 슬롯(42)이 형성된 센터바 가이드(41)가 될 수 있다.
센터바 가이드(41)는 외형을 형성한다. 상기 센터바 가이드(41)는 상기 차체, 즉 상기 프런트 도어(10)와 상기 리어 도어(20)가 접하는 부위의 상단에 인접하거나 하단에 인접하게 차체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센터바 가이드(41)는 상기 프런트 도어(10)와 상기 리어 도어(20)시에도 그 위치가 변하지 않는다.
상기 프런트 도어(10)와 상기 리어 도어(20)가 접하는 부분은 대부분 도 4와 같은 단면을 갖지만, 상단과 하단에서는 센터바 가이드(41)가 적용된 구조(도 5 참조)를 갖는다.
가이드 슬롯(42)은 상기 센터바(31)의 전단을 가이드하여, 상기 센터바(31)가 상기 리어 도어(2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즉, 상기 센터바(31)는 후단이 상기 리어 도어(20)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센터바(31)의 전단이 상기 가이드 슬롯(42)에 구속된 상태에서 가이드함으로써, 상기 센터바(31)가 상기 리어 도어(2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우선, 상기 센터바(31)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 슬롯(42)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슬롯(42)의 궤적에 따라 이동한다.
상기 가이드 슬롯(42)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가이드 슬롯(42)은 상기 센터바 가이드(41)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차량(1)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구간(S1)과, 상기 제1구간(S1)의 단부로부터 상기 차량(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구간(S2)의 2개의 구간이 연속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구간(S1)은 상기 가이드 핀(31a)을 상기 가이드 슬롯(42)의 내부로 진입하거나, 상기 가이드 슬롯(42)으로부터 배출되는 구간이고, 상기 제2구간(S2)은 상기 리어 도어(20)의 회전시 상기 센터바(31)의 전단을 구속하여 상기 리어 도어(20)의 개폐시 상기 센터바(31)를 회전시킨다.
상기 제1구간(S1)은 상기 차량의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 핀(31a)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 약간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구간(S2)은 상기 제1구간(S1)의 단부에서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리어 도어(20)로부터 상기 프런트 도어(10)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구간(S2)도 센터바(31)의 원할한 이동을 위하여 상기 차량(1)의 폭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약간 경사지게 형성된다.
스프링(44)은 상기 회전축(32)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핀(31a)이 상기 가이드 슬롯(42)으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센터바(31)가 프런트 도어(10)와 이격되도록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상기 스프링(44)는 상기 회전축(32)의 상단 또는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센터바(31)를 항상 상기 프런트 도어(1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지지한다. 상기 가이드 핀(31a)이 상기 가이드 슬롯(42)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 핀(31a)이 상기 가이드 슬롯(42)에 구속되지만, 상기 가이드 핀(31a)이 상기 가이드 슬롯(42)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는 탄성부재, 즉 상기 스프링(44)이 상기 리어 도어(20)와 수직한 상태가 되도록 탄성지지한다. 이는 상기 가이드 핀(31a)이 가이드 슬롯(42)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센터바(31)의 위치가 일정하지 않으면, 상기 가이드 핀(31a)이 상기 가이드 슬롯(42)으로 재진입시(리어 도어 폐쇄시), 재진입이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프링(44)은 스프링 하우징(43)의 내부에 설치되어, 일단은 상기 스프링 하우징(43)에 고정되고, 타단을 상기 회전축(32)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센터바(31)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 내지 도 6e에는 상기 프런트 도어(10)와 상기 리어 도어(20)가 모두 폐쇄된 상태로부터 상기 리어 도어(20)가 개방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리어 도어(20)가 폐쇄된 상태(도 6a 참조)에서는 상기 센터바(31)가 상기 프런트 도어(10)의 후단과 상기 리어 도어(20)의 전단에 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터바(31)와 상기 프런트 도어(10) 사이는 상기 제1 실링부재(33)에 의해 기밀되고, 상기 센터바(31)와 상기 리어 도어(20) 사이는 상기 제2 실링부재(34)에 의해 기밀된 상태이다.
상기 리어 도어(20)가 폐쇄된 상태에서 탑승자가 상기 리어 도어(20)를 개방시키면, 상기 리어 도어(20)는 상기 리어 도어(20)의 후단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어 도어(20)가 개방을 위해 회전하기 시작하면, 상기 센터바(31)는 상기 회전축(32)이 설치된 부위는 상기 리어 도어(20)의 전단과 함께 이동하기 시작하고, 상기 가이드 핀(31a)은 상기 가이드 슬롯(42)에서 제2구간(S2)의 내측단부로부터 제1구간(S1)을 향하여 상기 가이드 슬롯(42)을 따라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센터바(31)는 상기 리어 도어(2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도 6b 내지 도 6d에서 상기 리어 도어(2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상기 센터바(3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6c 및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어 도어(20)의 개방이 더 진행하면, 상기 리어 도어(20)의 회전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센터바(31)의 회전량도 증가하게 된다.
상기 리어 도어(20)의 개방이 계속되어, 상기 가이드 핀(31a)이 상기 제1구간(S1)으로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 슬롯(42)으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센터바(31)는 상기 스프링(44)에 의해 최대로 회전하여, 상기 센터바(31)는 최대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리어 도어(20)는 상기 탑승자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리어 도어(20)가 개방된다.
한편, 상기 프런트 도어(10)와 상기 리어 도어(20)가 모두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프런트 도어(10)가 개방되는 경우(미도시)에는 상기 프런트 도어(10)가 개방되면서, 상기 프런트 도어(10)가 상기 제1 실링부재(33) 및 상기 센터바(31)와 이격되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실링부재(33)와 상기 센터바(31)는 상기 프런트 도어(10)의 후단에서 차량의 폭방향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프런트 도어(10)는 상기 제1 실링부재(33)와 상기 센터바(31)에 제약을 받지 않고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프런트 도어(10)와 상기 리어 도어(20)는 각각 그 단부가 도 4의 궤적 F, R를 통하여 개방되므로,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도 7a 내지 도 7e에는 상기 리어 도어(20)가 개방된 상태로부터 상기 리어 도어(20)가 폐쇄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리어 도어(20)가 개방된 상태에서 탑승자에 의해 상기 리어 도어(20)가 폐쇄되면, 상기 리어 도어(20)는 후단을 중심으로 회전한다(도 7a 참조). 상기 리어 도어(2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센터바(31)가 상기 스프링(44)에 의해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 리어 도어(20)의 폐쇄가 진행되어, 상기 리어 도어(20)가 상기 차체에 인접하면, 상기 센터바(31)의 가이드 핀(31a)이 상기 가이드 슬롯(42)으로 진입하여 상기 제1구간(S1)을 이동한다(도 7b).
이후, 상기 리어 도어(20)의 폐쇄가 계속 진행되면, 상기 센터바(31)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 핀(31a)은 상기 가이드 슬롯(42)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제2구간(S2)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회전축(32)이 형성된 부위는 상기 리어 도어(20)의 전단과 함께 회전한다. 상기 센터바(31)는 양단이 반대로 이동 또는 회전하는 상태이므로, 상기 리어 도어(20)의 개방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예컨대, 도 7a 내지 도 7d에서 상기 리어 도어(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면, 상기 센터바(31)는 상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리어 도어(20)의 폐쇄가 더 진행되어 상기 리어 도어(20)가 폐쇄에 가까워지도록 회전하면, 상기 가이드 핀(31a)이 상기 가이드 슬롯(42)의 제2구간(S2)의 내측단부를 향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센터바(31)의 회전량이 증가하면서, 상기 센터바(31)는 상기 리어 도어(2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리어 도어(20)는 폐쇄된다.
상기 리어 도어(20)의 폐쇄가 완료되면, 상기 가이드 핀(31a)은 상기 가이드 슬롯(42)의 가장 안쪽, 즉 제2구간(S2)의 내측단부에 위치한 상태가 되고, 상기 센터바(31)와 상기 리어 도어(20)가 나란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센터바(31)와 상기 프런트 도어의 후단 사이는 상기 제1 실링부재(33)의 의해 기밀되고, 상기 센터바(31)와 상기 리어 도어(20)의 전단 사이는 상기 제2 실링부재(34)의 의해 기밀된다.
한편, 상기 프런트 도어(10)가 폐쇄되는 경우(미도시)에는 상기 프런트 도어(10)가 개방된 상태에서, 탑승자가 상기 프런트 도어(10)가 폐쇄되면, 상기 프런트 도어(10)의 후단은 상기 센터바(31)에서 외측에서 상기 센터바(31)를 덮는 형태로 폐쇄된다. 따라서, 상기 프런트 도어(10)가 폐쇄되는 상태에서도 상기 프런트 도어(10)는 상기 제1 실링부재(33)와 상기 센터바(31)에 제약을 받지 않고 폐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프런트 도어(10)와 상기 리어 도어(20)는 각각 그 단부가 도 4의 궤적 F, R를 통하여 폐쇄되므로,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대향식 스윙도어가 적용되고, 센터필라가 없는 차량에서, 상기 리어 도어(20)의 개폐시, 상기 리어 도어(20)의 전단이 상기 프런트 도어(10)의 후단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기 프런트 도어(10)와 상기 리어 도어(20)를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후석에 탑승하는 탑승자의 승하차시 프런트 도어(10)를 개방하지 않고도 상기 리어 도어(20)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승하차가 편리해진다.
1 : 차량 10 : 프런트 도어
11 : 도어 패널 12 : 도어 글래스
13 : 글래스런 20 : 리어 도어
21 : 도어 패널 22 : 도어 글래스
23 : 글래스런 31 : 센터바
31a : 가이드핀 32 : 회전축
33 : 제1 실링부재 34 : 제2 실링부재
41 : 센터바 가이드 42 : 가이드 슬롯
43 : 스프링하우징 44 : 스프링
S1 : 제1구간 S2 : 제2구간
110 : 프런트 도어 111 : 도어 프레임
112 : 도어 글래스 113 : 글래스런
114 : 웨더스트립 120 : 리어 도어
121 : 도어 프레임 122 : 도어 글래스
123 : 글래스런 124 : 웨더스트립

Claims (16)

  1. 차량의 프런트 도어의 후단과 상기 차량의 리어 도어의 전단을 기밀시키는 차량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도어의 후단과 상기 리어 도어의 전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센터바와,
    상기 센터바와 상기 프런트 도어의 후단 사이와 상기 센터바와 상기 리어 도어의 전단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와,
    상기 센터바가 설치된 도어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면, 상기 센터바를 상기 센터바가 설치되지 않은 도어로부터 이격(도어 개방시)되거나 또는 밀착(도어 폐쇄시)되도록 상기 센터바가 설치된 도어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센터바를 회전시키는 연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바는 상기 차량의 높이방향으로 회전축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이 상기 프런트 도어의 후단과 상기 리어 도어의 전단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센터바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프런트 도어와 상기 리어 도어가 접하는 부위의 상단과 하단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센터바가 설치된 도어가 개방되기 시작하거나, 폐쇄에 인접해지면 상기 센터바를 상기 도어의 개폐와 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프런트 도어와 상기 리어 도어가 접하는 부위의 상단에 인접하거나 하단에 인접하게 차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의 개폐시 상기 도어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센터바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는 센터바 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바에서 상기 회전축과 이격된 위치에 상기 센터바의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 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가이드 슬롯에 의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롯은,
    상기 센터바 가이드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구간과,
    상기 제1구간의 단부로부터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간은 상기 센터바가 설치된 도어로부터 상기 센터바가 설치되지 않은 도어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간은 상기 제1구간의 단부로부터 상기 차량의 폭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간은 상기 제1구간의 단부에서 상기 센터바가 설치된 도어로부터 상기 센터바가 설치되지 않은 도어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바는,
    상기 프런트 도어의 후단과 상기 리어 도어의 전단 사이에서 상기 차량의 측면으로 일부가 노출되도록 T자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프런트 도어의 후단과 상기 센터바 사이를 기밀시키는 제1 실링부재와,
    상기 리어 도어의 전단과 상기 센터바 사이를 기밀시키는 제2 실링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부재와 상기 제2 실링부재는 상기 센터바에서 상기 차량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부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가이드 슬롯으로부터 이탈시, 상기 센터바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센터바가 상기 센터바가 설치되지 않은 도어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바는 상기 리어 도어의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리어 도어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면, 상기 센터바가 회전하여 상기 프런트 도어의 후단으로 이격(리어 도어 개방시)되거나 상기 프런트 도어의 후단에 밀착(리어 도어 폐쇄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센터필라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
KR1020190048590A 2019-04-25 2019-04-25 차량 도어용 실링 실링 어셈블리 KR102654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590A KR102654760B1 (ko) 2019-04-25 2019-04-25 차량 도어용 실링 실링 어셈블리
US16/696,344 US11192433B2 (en) 2019-04-25 2019-11-26 Sealing assembly for vehicle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590A KR102654760B1 (ko) 2019-04-25 2019-04-25 차량 도어용 실링 실링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003A KR20200125003A (ko) 2020-11-04
KR102654760B1 true KR102654760B1 (ko) 2024-04-04

Family

ID=72921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590A KR102654760B1 (ko) 2019-04-25 2019-04-25 차량 도어용 실링 실링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192433B2 (ko)
KR (1) KR1026547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89459B1 (fr) * 2018-12-10 2020-11-13 Hutchinson Kit et procédé d’habillage d’un rail de porte d’un véhicule
JP7279651B2 (ja) * 2020-01-22 2023-05-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ドアのシール構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140Y1 (ko) 2003-12-10 2004-03-10 대경화성주식회사 자동차용 웨더스트립
JP2007261377A (ja) 2006-03-28 2007-10-11 Honda Motor Co Ltd 車両用開閉体のシール構造
US20140217877A1 (en) 2013-02-07 2014-08-07 Whirlpool Corporation Spring loaded mullion for french door refrigertor
KR101966527B1 (ko) 2017-06-28 2019-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단면이 변형되는 차량의 도어 웨더스트립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653A (en) * 1897-11-19 1900-11-13 William Youlten Casement.
US2933784A (en) * 1956-10-12 1960-04-26 Gen Motors Corp Weather seal structure
US3959927A (en) * 1974-12-04 1976-06-01 Zephyr Aluminum, Incorporated Sealing assembly
US4194776A (en) * 1977-12-16 1980-03-25 Howmet Corporation Security astragal for double door assembly
US4428153A (en) * 1982-03-08 1984-01-31 Atlanta Richfield Company Recessed astragal for double door
GB2302122B (en) * 1995-06-13 1999-02-17 Lin Chen Yi Door sealing mechanisms
FR3014824B1 (fr) * 2013-12-16 2016-01-22 Renault Sas Structure de vehicule automobile a chargement lateral
US10099769B2 (en) * 2015-06-03 2018-10-16 The Boeing Company Door alignment system
KR102621911B1 (ko) * 2018-12-14 2024-0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향식 스윙도어에 적용되는 웨더스트립 어셈블리
US11525291B2 (en) * 2019-03-27 2022-12-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oor sealing and timing mechanism for use in coach door configuration for a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140Y1 (ko) 2003-12-10 2004-03-10 대경화성주식회사 자동차용 웨더스트립
JP2007261377A (ja) 2006-03-28 2007-10-11 Honda Motor Co Ltd 車両用開閉体のシール構造
US20140217877A1 (en) 2013-02-07 2014-08-07 Whirlpool Corporation Spring loaded mullion for french door refrigertor
KR101966527B1 (ko) 2017-06-28 2019-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단면이 변형되는 차량의 도어 웨더스트립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92433B2 (en) 2021-12-07
KR20200125003A (ko) 2020-11-04
US20200338974A1 (en)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2168B2 (en) Sliding window assembly having improved sealing
US6018913A (en) Sliding window with improved closure
KR101209499B1 (ko) 차량 도어용 유닛 서포트
KR102654760B1 (ko) 차량 도어용 실링 실링 어셈블리
CN1990308B (zh) 用于车辆的封闭件以及包括该封闭件的间隙封闭结构
US5106149A (en) Weatherstrip for hardtop-type or framed door windows
US4771575A (en) Vehicle flush glass door assembly having a bi-pivot living hinge guide means
KR20230089086A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장치
US8807642B2 (en) Mechanism components integrated into structural sunroof framework
KR102621911B1 (ko) 대향식 스윙도어에 적용되는 웨더스트립 어셈블리
CN101516659B (zh) 车辆的动力后车门
KR20210152622A (ko) 슬라이딩 도어 차량의 사이드실 가림 구조
KR102043814B1 (ko) 플랫 윈도우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폴딩 도어
CN106696850A (zh) 一种翻转式尾门锁扣装饰盖安装结构
KR102673162B1 (ko) 슬라이딩 타입의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
KR101241245B1 (ko) 파노라마 선루프의 리어 레일 먼지유입 방지장치
KR20200125004A (ko) 슬라이딩 타입의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
JP4281628B2 (ja) サンルーフ装置
KR102644373B1 (ko) 차량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
RU2800155C1 (ru) Внутренняя распашная дверь с уплотнительным профилем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внутренней распашной дверью
KR20240079614A (ko) 차량의 도어 개폐 장치
KR101189987B1 (ko) 차량의 테일 게이트 공동소음 방지장치
JPH0248241Y2 (ko)
KR20240061378A (ko) 차량도어용 실링부재
KR100921192B1 (ko) 전동차 운전실의 사이드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