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1378A - 차량도어용 실링부재 - Google Patents

차량도어용 실링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1378A
KR20240061378A KR1020220142990A KR20220142990A KR20240061378A KR 20240061378 A KR20240061378 A KR 20240061378A KR 1020220142990 A KR1020220142990 A KR 1020220142990A KR 20220142990 A KR20220142990 A KR 20220142990A KR 20240061378 A KR20240061378 A KR 20240061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ide wall
door
sealing lip
vehicl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2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2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1378A/ko
Publication of KR20240061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13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8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 B60J10/86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arranged on the opening panel
    • B60J10/87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arranged on the opening panel with additional seals on the panel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2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60J10/24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having tubular parts
    • B60J10/244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having tubular parts inflatable or defl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2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60J10/24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having tubular parts
    • B60J10/248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having tubular parts having two or more tubular cavities, e.g. formed by partition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2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60J10/27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having projections, grooves or channe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용 실링부재는, 차량도어에 부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로부터 차체를 향해 연장된 외측 실링립; 및 상기 외측 실링립으로부터 차량의 실내를 향해 이격된 내측 실링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실링립은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도어용 실링부재{SEALING MEMBER FOR VEHICLE DOOR}
본 발명은 차량도어용 실링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차량도어 및 차체 사이의갭을 안정적으로 밀봉할 수 있는 차량도어용 실링부재에 관한 것이다.
차량도어는 수직축선 둘레로 스윙하는 스윙도어,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도어 등으로 구분된다. 차량은 차량도어가 폐쇄될 때 차량도어 및 차체 사이의 간격을 밀봉하는 실링시스템을 포함한다.
실링시스템은 차량도어에 부착된 도어측 웨더스트립과, 차체에 부착된 차체측 웨더스트립을 포함한다. 도어측 웨더스트립은 차량도어의 전체 가장자리(전둘레)를 따라 부착될 수 있고, 차체측 웨더스트립은 도어개구를 한정하는 차체의 개구프레임을 따라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도어가 폐쇄될 때 도어측 웨더스트립의 실링립이 차체와 기밀하게 접촉하고 차체측 웨더스트립의 실링립이 차량도어와 기밀하게 접촉함으로써 차량도어 및 차체 사이의 간격은 2중으로 밀봉될 수 있다.
하지만, 차체의 개구프레임의 일부분에는 차체측 웨더스트립이 부착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고, 이에 실링시스템은 차량도어 및 차체 사이의 일부 구간에서 그 2중 밀봉을 구현하지 못할 수도 있다.
예컨대, 버스의 중간에 위치한 중간 도어구조는 실내공간을 확보함과 더불어, 다양한 승객의 승하차를 용이하게 하도록 양문형의 스윙아웃도어(double swing-out door)구조를 채택하여 왔다. 버스도어는 전기모터, 유체실린더 등을 통해 회전함으로써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버스에서 도어측 웨더스트립이 버스도어의 전체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있고, 차체측 웨더스트립이 도어개구를 한정하는 차체의 개구프레임에 부착되어 있다. 하지만, 승객의 승하차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버스의 바닥에 대응한 차체의 개구프레임의 하부에는 차체측 웨더스트립이 부착되지 않는다. 즉, 도어측 웨더스트립이 버스도어의 하측가장자리에 부착되어 있지만, 이에 대응한 차체의 개구프레임의 하부에는 차체측 웨더스트립이 부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버스도어의 하부에서는 2중 밀봉이 구현될 수 없으므로, 그 밀봉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될 수 있다. 특히, 버스도어의 조정작업이 미흡하거나 주행 중에 버스도어의 유동 시에 버스도어의 폐쇄상태가 과부족할 경우 버스도어의 하측가장자리 및 차체 사이의 간격이 도어측 웨더스트립만으로 충분히 밀봉되지 못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풍절음이 발생하거나 물 또는 먼지 등이 버스의 실내로 유입되는 품질 저하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버스는 버스도어의 하측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들은 도어측 웨더스트립 및 차체측 웨더스트립에 의해 2중으로 밀봉될 수 있지만 버스도어의 하측가장자리는 도어측 웨더스트립만으로 밀봉됨에 따라 그 밀봉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을 이해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량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차량도어 및 차체 사이의 갭을 기밀하게 밀봉함으로써 차량도어 및 차체 사이의 밀봉성능을 대폭 개선할 수 있는 차량도어용 실링부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용 실링부재는, 차량도어에 부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로부터 차체를 향해 연장된 외측 실링립; 및 상기 외측 실링립으로부터 차량의 실내를 향해 이격된 내측 실링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실링립은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실링립은 상기 외측 실링립을 향해 일정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내측 실링립은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실외측 단부와,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실내측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실외측 단부는 상기 실내측 단부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및 상기 내측 실링립 사이에 배치된 형상 압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형상 압축부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내측 실링립 사이에서 상기 외측 실링립의 길이방향을 따라 압축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형상 압축부는 그 내부에 한정된 캐비티를 가진 다각형 튜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형상 압축부는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상측 실내측벽과, 실내측 박벽을 통해 상기 상측 실내측벽에 연결된 하측 실내측벽과,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상측 실외측벽과, 실외측 박벽을 통해 상측 실외측벽에 연결된 하측 실외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내측 박벽은 상기 상측 실내측벽 및 상기 하측 실내측벽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고, 상기 실외측 박벽은 상기 상측 실외측벽 및 상기 하측 실외측벽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형상 압축부 및 상기 베이스 사이에 배치된 쿠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쿠션부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형상 압축부 사이에서 상기 내측 실링립의 변형 및 상기 형상 압축부의 압축에 의한 반력을 흡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쿠션부는 그 내부에 한정된 캐비티를 가진 튜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쿠션부는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실내측벽과,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실외측벽과, 상기 실내측벽 및 상기 실외측벽을 연결하는 연결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쿠션부는 상기 실내측벽 및 상기 실외측벽 사이에 위치한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상 압축부는 복수의 박벽을 통해 상기 쿠션부에 접힘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차량도어는 차량의 실외를 향해 스윙아웃하도록 구성된 스윙아웃도어일 수 있고, 상기 베이스는 차량도어의 하측가장자리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링부재가 외측 실링립 및 내측 실링립을 가진 2중 실링립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차량도어 및 차체 사이의 갭에 대한 2중 밀봉구조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링부재 및 차체 사이에 단차(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내측 실링립에 의해 차량도어 및 차체 사이의 갭을 안정적으로 밀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 시에 진동, 유동 등이 발생하더라도 내측 실링립이 형상 압축부 및 쿠션부 등을 통해 흡수할 수 있으므로 차량도어의 강성 및 밀봉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링부재가 차량도어의 하측가장자리 및 차체 사이에서 발생하는 틈새를 확실하게 방지함으로써 빛, 먼지, 빗물, 바람 소리 등의 차량 내로 유입됨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형상 압축부 및 쿠션부가 차량도어의 개폐작동 시에 발생하는 유동, 진동 등을 흡수 내지 상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2중 실링립 구조를 구비한 실링부재가 차량도어에 조립됨으로써 차량도어의 상품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가 차량도어의 일측 가장자리에 부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버스의 실외에서 버스의 도어구조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버스의 실내에서 버스의 도어구조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C-C선을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D-D선을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용 실링부재(10)는 베이스(15)와, 베이스(15)로부터 연장된 외측 실링립(11)과, 외측 실링립(11)으로부터 이격된 내측 실링립(12)을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10)는 그 밀봉성 및 탄력적인 변형 등을 구현하기 위하여 러버 등과 같은 탄성체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15)는 차량도어(3)의 일측 가장자리에 부착될 수 있다. 베이스(15)는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실외측 가장자리(15a)와,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실내측 가장자리(15b)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5)는 차량도어(3)에 장착되는 장착돌기(16)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5)는 장착돌기(16)를 통해 차량도어(3)의 일측 가장자리에 기밀하게 부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돌기(16)는 피팅넥(16a, fitting neck)과, 피팅넥(16a)에 일체로 연결된 리텐션헤드(16b)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15c)가 베이스(15) 및 장착돌기(16)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장착돌기(16)가 차량도어(3)의 가장자리에 장착될 때 그 변형 및 복원이 용이해질 수 있다.
외측 실링립(11)은 베이스(15)의 실외측 가장자리(15a)로부터 도어개구를 한정하는 차체(4)의 개구프레임(61)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실링부재(10)가 차량도어(3)에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 차량의 높이방향 또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차량도어(3)가 폐쇄될 때 외측 실링립(11)이 차체(4)의 개구프레임(61)의 실외측면(62)의 일부를 덮음으로써 외측 실링립(11)은 차량도어(3)의 도어프레임(51) 및 차체(4)의 개구프레임(61) 사이의 갭을 밀봉할 수 있다.
외측 실링립(11)은 차체(4)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차량의 높이방향 또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외측 실링립(11)과 차체(4) 사이의 갭에서 단차(오차)가 발생할 경우에는 차량도어(3)의 폐쇄 시에 외측 실링립(11)이 차체(4)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므로 외측 실링립(11)이 차량도어(3) 및 차체(4) 사이의 갭을 밀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실링립(11)은 일정 곡률로 커브지게 형성될 수 있고, 차량도어(3)의 폐쇄 시에 외측 실링립(11)의 자유단(11a)이 차체의 개구프레임(61)과 기밀하게 접촉할 수 있으며, 차량도어(3)의 개방 시에 외측 실링립(11)은 그 자체적인 탄성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용이하게 복원될 수 있다. 즉, 외측 실링립(11)은 그의 커브진 형상 및 자체적인 탄성에 의해 차량도어(3)의 개폐 시에 변형이 용이해질 수 있다.
내측 실링립(12)은 외측 실링립(11)으로부터 차량의 실내를 향해 이격될 수 있고, 내측 실링립(12)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베이스(15)에 연결될 수 있다. 내측 실링립(12)은 차량의 폭방향(즉, 차량도어(3)의 도어프레임(51)의 두께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차량도어(3)가 폐쇄될 때, 내측 실링립(12)이 차체(4)의 개구프레임(61)의 상면(63)과 일정면적으로 접촉함으로써 내측 실링립(12)은 차량의 실내에서 차량도어(3)의 도어프레임(51) 및 차체(4)의 개구프레임(61) 사이의 갭을 밀봉할 수 있다.
차량의 폭방향에 따른 외측 실링립(11) 및 차체(4) 사이의 갭에서 단차(오차)가 발생할 경우에는 외측 실링립(11)이 차량도어(3) 및 차체(4) 사이의 갭을 충분히 밀봉할 수 없으므로 외측 실링립(11) 및 차체(4) 사이의 갭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내측 실링립(12)이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내측 실링립(12)이 외측 실링립(11)에 대해 경사질 수 있으므로 차체(4)와 기밀하게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내측 실링립(12)은 차량도어(3) 및 차체(4) 사이의 갭을 충분히 밀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 실링립(12)은 차체(4)의 개구프레임(61)의 상면(63)에 대해 일정각도(a)로 기울어져 있고, 이를 통해 내측 실링립(12)은 외측 실링립(11)에 대해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내측 실링립(12)은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실외측 단부(12a)와,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실내측 단부(12b)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실외측 단부(12a)는 실내측 단부(12b) 보다 차량의 실외에 더 근접할 수 있고, 실외측 단부(12a)가 실내측 단부(12b)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실외측 단부(12a)는 외측 실링립(11)과 인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사진 내측 실링립(12)은 차량도어(3)의 개폐작동을 방해하지 않으므로 차량도어(3)의 개폐작동이 부드럽게 진행될 수 있고, 차량도어(3)의 폐쇄시에 내측 실링립(12)과 차체(4)의 개구프레임(61)의 상면(63) 사이의 실링접촉면이 상대적으로 넓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10)는 베이스(15) 및 내측 실링립(12) 사이에 배치된 형상 압축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형상 압축부(20)는 베이스(15) 및 내측 실링립(12) 사이에서 외측 실링립(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압축(변형)가능하게 연결된 다각형의 튜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형상 압축부(20)가 베이스(15) 및 내측 실링립(12) 사이에서 변형(압축 및 복원)됨에 따라 내측 실링립(12)은 차량도어(3)에 부착된 베이스(15)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차량도어(3)가 폐쇄될 때 내측 실링립(12)이 차체(4)의 개구프레임(61)의 상면(63)에 대해 눌림에 따라 형상 압축부(20)가 압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내측 실링립(12)에 작용하는 반력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도어(3)가 개방될 때 내측 실링립(12)은 차체(4)의 개구프레임(61)의 상면(63)으로부터 벗어남에 따라 내측 실링립(12)은 형상 압축부(20)의 자체적인 탄성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용이하게 복원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형상 압축부(20)는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상측 실내측벽(21)과, 상측 실내측벽(21)에 연결된 하측 실내측벽(22)과,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상측 실외측벽(23)과, 상측 실외측벽(23)에 연결된 하측 실외측벽(24)과, 상측 실내측벽(21) 및 하측 실내측벽(22) 사이에 제공된 실내측 박벽(26)과, 상측 실외측벽(23) 및 하측 실외측벽(24) 사이에 제공된 실외측 박벽(27)을 포함할 수 있다. 형상 압축부(20)는 상측 실내측벽(21), 하측 실내측벽(22), 상측 실외측벽(23), 및 하측 실외측벽(24)에 의해 한정된 내측캐비티(25)를 가질 수 있다.
상측 실내측벽(21) 및 하측 실내측벽(22)은 서로 간에 일정각도로 교차할 수 있다. 실내측 박벽(26)이 상측 실내측벽(21) 및 하측 실내측벽(22) 사이에 제공될 수 있으며, 하측 실내측벽(22)의 상단부는 실내측 박벽(26)을 통해 상측 실내측벽(21)의 하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실내측 박벽(26)은 상측 실내측벽(21) 및 하측 실내측벽(22)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진 노치 형상의 박벽일 수 있다. 이에 하측 실내측벽(22)은 실내측 박벽(26)을 통해 상측 실내측벽(21)에 대해 굽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상측 실외측벽(23) 및 하측 실외측벽(24)은 서로 간에 일정각도로 교차할 수 있다. 실외측 박벽(27)이 상측 실외측벽(23) 및 하측 실외측벽(24) 사이에 제공될 수 있으며, 하측 실외측벽(24)의 상단부는 실외측 박벽(27)을 통해 상측 실외측벽(23)의 하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실외측 박벽(27)은 상측 실외측벽(23) 및 하측 실외측벽(24)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진 노치 형상의 박벽일 수 있다. 이에 하측 실외측벽(24)은 실외측 박벽(27)을 통해 상측 실외측벽(23)에 대해 굽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내측 실링립(12)은 형상 압축부(20)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도어(3)가 폐쇄될 때 내측 실링립(12)은 형상 압축부(20)의 압축(변형)에 의해 차체(4)의 개구프레임(61)의 상면(63)과 기밀하게 접촉할 수 있다.
내측 실링립(12), 하측 실내측벽(22)의 하단부, 및 하측 실외측벽(24)의 하단부는 Y자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하측 박벽(28)이 하측 실내측벽(22)의 하단부 및 내측 실링립(12)의 실내측 단부(12b) 사이에 제공될 수 있고, 제1하측 박벽(28)은 하측 실내측벽(22) 및 내측 실링립(12)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진 노치 형상의 박벽일 수 있다. 하측 실내측벽(22)의 하단부는 제1하측 박벽(28)을 통해 내측 실링립(12)의 실내측 단부(12b)에 연결될 수 있다. 제2하측 박벽(29)이 하측 실외측벽(24)의 하단부 및 내측 실링립(12)의 실내측 단부(12b) 사이에 제공될 수 있고, 제2하측 박벽(29)은 하측 실외측벽(24) 및 내측 실링립(12)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진 노치형상의 박벽일 수 있다. 하측 실외측벽(24)의 하단부는 제2하측 박벽(29)을 통해 내측 실링립(12)의 실내측 단부(12b)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측 실링립(12)은 제1하측 박벽(28) 및 제2하측 박벽(29)을 통해 하측 실내측벽(22) 및 하측 실외측벽(24)에 굽힘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도어(3)의 폐쇄 시에 내측 실링립(12)이 차체(4)의 개구프레임(61)의 상면(63)에 대응하여 변형됨에 따라 내측 실링립(12) 및 차체(4)의 개구프레임(61)의 상면(63)과 기밀하게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10)는 형상 압축부(20) 및 베이스(15) 사이에 배치된 쿠션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쿠션부(30)는 베이스(15) 및 형상 압축부(20) 사이에서 내측 실링립(12) 및 형상 압축부(20)의 압축에 의한 반력을 흡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쿠션부(30)는 그 내부에 한정된 내측캐비티를 가진 튜브 형상일 수 있고, 이를 통해 형상 압축부(20)의 압축반력을 완충하고 그 중량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쿠션부(30)는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실내측벽(31)과,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실외측벽(32)과, 실내측벽(31) 및 실외측벽(32)을 연결하는 연결벽(33)을 포함할 수 있다. 쿠션부(30)는 실내측벽(31), 실외측벽(32), 및 연결벽(33)에 의해 한정된 내측캐비티를 가질 수 있다. 쿠션부(30)는 실내측벽(31), 실외측벽(32), 및 연결벽(33)에 의한 폐단면의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내측벽(31)은 베이스(15)의 실내측 가장자리(15b)로부터 형상 압축부(20)의 상측 실내측벽(21)까지 연장될 수 있다. 실내측 박벽(36)이 형상 압축부(20)의 실내측벽(21) 및 쿠션부(30)의 실내측벽(31) 사이에 제공될 수 있고, 형상 압축부(20)의 실내측벽(21)은 실내측 박벽(36)을 통해 쿠션부(30)의 실내측벽(31)에 접힘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실내측 박벽(36)은 형상 압축부(20)의 상측 실내측벽(21) 및 쿠션부(30)의 실내측벽(31) 보다 얇은 노치 형상의 박벽일 수 있다. 이에 형상 압축부(20)의 실내측벽(21)의 상단부는 실내측 박벽(36)을 통해 쿠션부(30)의 실내측벽(31)에 대해 굽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실외측벽(32)은 외측 실링립(11)으로부터 형상 압축부(20)의 상측 실외측벽(23)까지 연장될 수 있다. 실외측벽(32)은 외측 실링립(11)의 상부로부터 형상 압축부(20)의 상측 실외측벽(23)의 상단부까지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연결벽(33)은 실내측벽(31) 및 실외측벽(32)을 연결하도록 수평 또는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쿠션부(30)는 실내측벽(31) 및 실외측벽(32) 사이에 위치한 격벽(34)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격벽(34)은 쿠션부(30)의 내측 캐비티를 2개의 내측 캐비티(35a, 35b)로 분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쿠션부(30)는 격벽(34)에 의해 분할된 제1내측 캐비티(35a) 및 제2내측 캐비티(35b)를 가질 수 있다. 제1내측 캐비티(35a)는 베이스(15), 실내측벽(31), 연결벽(33), 및 격벽(34)에 의해 한정될 수 있고, 제2내측 캐비티(35b)는 베이스(15), 격벽(34), 및 실외측벽(32)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형상 압축부(20)의 상측 실외측벽(23)은 쿠션부(30)의 실외측벽(32), 연결벽(33), 격벽(34)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실외측 박벽(37a)이 형상 압축부(20)의 상측 실외측벽(23)의 상단부 및 쿠션부(30)의 연결벽(33) 사이에 제공될 수 있고, 제1실외측 박벽(37a)은 상측 실외측벽(23) 및 연결벽(33) 보다 얇은 노치 형상의 박벽일 수 있다. 이에 상측 실외측벽(23)의 상단부는 제1실외측 박벽(37a)을 통해 연결벽(33)에 대해 굽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제2실외측 박벽(37b)이 형상 압축부(20)의 상측 실외측벽(23)의 상단부 및 쿠션부(30)의 실외측벽(32) 사이에 제공될 수 있고, 제2실외측 박벽(37b)은 상측 실외측벽(23) 및 실외측벽(32) 보다 얇은 노치 형상의 박벽일 수 있다. 이에 상측 실외측벽(23)의 상단부는 제2실외측 박벽(37b)을 통해 실외측벽에 대해 굽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상 압축부(20)의 상부가 복수의 박벽(36, 37a, 37b)을 통해 쿠션부(30)에 접힘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쿠션부(30)는 형상 압축부(20)의 압축반력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10)는 외측 실링립(11) 및 내측 실링립(12)을 가진 2중 실링구조로 구성되고, 실링부재(10)가 차량도어(3)의 각 가장자리에 부착됨에 따라 종래기술과 달리 별도의 실링부재(즉, 차체측 웨더스트립)가 차체(4)에 장착될 필요없이 차량도어(3)의 폐쇄 시에 차량도어(3) 및 차체(4) 사이의 2중 밀봉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스는 승객의 승하차에 방해되지 않도록 버스의 바닥에 대응한 차체의 개구프레임의 하부에 별도의 실링부재(차체측 웨더스트립)가 부착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10)가 버스의 차량도어의 하측 가장자리에 장착됨으로써 그에 대응한 차체에 별도의 실링부재가 부착되지 않더라도 차량도어(3)가 폐쇄된 상태에서 차량도어 및 차체 사이의 2중 밀봉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버스의 양문형 스윙아웃도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버스는 도어개구(2)를 개폐하도록 장착된 2개의 차량도어(3)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차량도어(3)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차량(1)의 도어개구(2)는 2개의 차량도어(3)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2개의 차량도어(3)가 차량의 외부로 스윙아웃함에 따라 도어개구(2)가 완전히 개방됨으로써 다양한 승객들이 용이하게 승하차할 수 있다. 각 차량도어(3)는 도어개구(2)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실선) 및 도어개구(2)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점선) 사이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도어(3)가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할 때 차량도어(3)는 차량의 실외를 향해 스윙아웃하도록 구성된 스윙아웃도어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도어(3)는 스윙암(5a, 5b) 및 엑츄에이터(8)에 의해 스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윙암(5a, 5b)은 차량도어(3)에 연결될 수 있고, 엑츄에이터(8)는 스윙암(5a, 5b)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샤프트(9)가 엑츄에이터(8)로부터 차량도어(3)의 높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샤프트(9)는 엑츄에이터(8)에 연결될 수 있다. 샤프트(9)는 엑츄에이터(8)에 의해 그 축선 둘레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엑츄에이터(8)는 공압실린더 등과 같은 유체실린더 또는 전기모터일 수 있다. 복수의 스윙암(5a, 5b)이 샤프트(9) 및 차량도어(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스윙암(5a, 5b)은 연결부재(6)를 통해 차량도어(3)에 연결될 수 있다. 각 스윙암(5a, 5b)의 제1단부는 샤프트(9)에 고정될 수 있고, 각 스윙암(5a, 5b)의 제2단부는 연결부재(6)에 고정될 수 있다. 샤프트(9)가 엑츄에이터(8)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스윙암(5a, 5b)이 샤프트(9)의 축선 둘레로 스윙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각 차량도어(3)는 도어프레임(51)과, 도어프레임(51)에 장착되는 도어글래스(59)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프레임(51)은 사각프레임형상을 가질 수 있고, 도어글래스(59)는 도어프레임(51)의 실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어프레임(51)은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실내벽(52)과,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실외벽(53)과, 차량의 상부를 향하는 상부벽(54)과, 차량의 바닥을 향하는 바닥벽(5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어프레임(51)은 그 내부에 제공된 내측격벽(56)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프레임(51)은 실내벽(52), 실외벽(53), 바닥벽(55), 및 내측격벽(56)에 의해 한정된 제1캐비티(57a)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벽(55)은 장착홀(55a)을 가질 수 있고, 제1캐비티(57a)는 장착홀(55a)과 소통할 수 있다. 또한, 도어프레임(51)은 실내벽(52), 실외벽(53), 상부벽(54), 및 내측격벽(56)에 의해 한정된 제2캐비티(57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15)는 도어프레임(51)의 바닥벽(55)과 평행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베이스(15)는 도어프레임(51)의 바닥벽(55)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장착돌기(16)가 도어프레임(51)에 장착됨으로써 베이스(15)는 차량도어(3)의 도어프레임(51)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돌기(16)의 피팅넥(16a)은 도어프레임(51)의 장착홀(55a)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팅넥(16a)이 도어프레임(51)의 장착홀(55a)에 삽입됨에 따라 리텐션헤드(16b)는 제1캐비티(57a) 내에 수용될 수 있고, 리텐션헤드(16b)는 바닥벽(55)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으며, 베이스(15)는 바닥벽(55)의 저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착돌기(16)가 도어프레임(51)의 장착홀(55a) 및 제1캐비티(57a)에 장착됨에 따라 실링부재(10)는 차량도어(3)의 한 가장자리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15)는 실외측 가장자리(15a)로부터 도어글래스(59)를 향해 돌출한 글래스측 실링립(14)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글래스측 실링립(14)의 자유단은 도어글래스(59)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글래스측 실링립(14)은 도어글래스(59) 및 도어프레임(51)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15)는 그이 실내측 가장자리(15b)로부터 도어프레임(51)을 향해 돌출한 도어측 실링립(13)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도어측 실링립(13)은 도어프레임(51)과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도어측 실링립(13)은 도어프레임(51) 및 베이스(15)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어프레임(51)은 하측가장자리(51a)와, 상측가장자리(51b)와, 한 쌍의 측면가장자리(51c, 51d)로 이루어진 사각형 프레임 형상일 수 있다. 하측가장자리(51a)는 버스의 플로어와 인접할 수 있고, 상측가장자리(51b)는 차량의 루프와 상대적으로 인접할 수 있으며, 제1측면가장자리(51c)는 차체(4)의 개구프레임(61)과 대향할 수 있고, 제2측면가장자리(51d)는 인접한 다른 차량도어(3)의 제2측면가장자리(51d)와 대향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어측 웨더스트립(43)이 각 도어프레임(51)의 제2측면가장자리(51d)에 장착될 수 있고, 이에 2개의 차량도어(3)가 폐쇄될 때 각 도어프레임(51)의 도어측 웨더스트립(43)이 서로 간에 중첩 및 접촉함에 따라 2개의 차량도어(3)의 도어프레임(51)의 제2측면가장자리(51d)들 사이의 간격이 2중으로 실링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차체(4)는 도어개구(2)를 한정하는 개구프레임(61)을 가질 수 있고, 개구프레임(61)은 도어프레임(51)에 대응한 사각프레임형상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개구프레임(61)은 하측가장자리(61a)와, 상측가장자리(61b)와, 한 쌍의 측면가장자리(61c)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도어(3)가 폐쇄될 때, 개구프레임(61)의 하측가장자리(61a)는 도어프레임(51)의 하측가장자리(51a)와 대향할 수 있고, 개구프레임(61)의 상측가장자리(61b)는 도어프레임(51)의 상측가장자리(61b)와 대향할 수 있으며, 개구프레임(61)의 각 측면가장자리(61c)는 그에 상응한 도어프레임(51)의 제1측면가장자리(51c)에 대향할 수 있다. 특히, 개구프레임(61)의 하측가장자리(61a)는 버스의 플로어에 정렬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10)는 도어프레임(51)의 하측가장자리(51a)에 부착될 수 있다. 실링부재(10)의 베이스(15)는 장착돌기(16)를 통해 도어프레임(51)의 하측가장자리(51a)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차량도어(3)의 폐쇄 시에 실링부재(10)는 도어프레임(51)의 하측가장자리(51a) 및 개구프레임(61)의 하측가장자리(61a) 사이의 갭을 2중으로 밀봉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도어측 웨더스트립(41)이 도어프레임(51)의 상측가장자리(51b)에 장착될 수 있고, 차체측 웨더스트립(71)이 개구프레임(61)의 상측가장자리(61b)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차량도어(3)의 폐쇄 시에 도어측 웨더스트립(41) 및 차체측 웨더스트립(71)은 도어프레임(51)의 상측가장자리(51b) 및 개구프레임(61)의 상측가장자리(61b) 사이의 갭을 2중으로 밀봉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도어측 웨더스트립(42)이 도어프레임(51)의 제1측면가장자리(51c)에 장착될 수 있고, 차체측 웨더스트립(72)이 개구프레임(61)의 측면가장자리(61c)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차량도어(3)의 폐쇄 시에 도어측 웨더스트립(42) 및 차체측 웨더스트립(72)은 도어프레임(51)의 제1측면가장자리(51c) 및 개구프레임(61)의 측면가장자리(61c) 사이의 갭을 2중으로 밀봉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실링부재(10)는 도어프레임(51)의 하측가장자리(51a)에 장착되고, 도어측 웨더스트립(41, 42)들이 도어프레임(51)의 나머지 가장자리(51b, 51c)들에 개별적으로 장착되며, 차체측 웨더스트립(71, 72)들이 개구프레임(61)의 나머지 가장자리(61b, 61c)들에 개별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실링부재(10)가 도어프레임(51)의 모든 가장자리(51a, 51b, 51c)에 장착될 수 있고, 차체측 웨더스트립이 차체(4)의 개구프레임(61)의 가장자리(61a, 61b, 61c)에 장착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링부재(10)가 외측 실링립(11) 및 내측 실링립(12)을 가진 2중 실링립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차량도어(3)의 전둘레에 대한 2중 밀봉구조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링부재(10) 및 차체(4) 사이에 단차(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내측 실링립(12)에 의해 차량도어(3) 및 차체(4) 사이의 갭을 안정적으로 밀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 시에 진동, 유동 등이 발생하더라도 내측 실링립(12)이 형상 압축부(20) 및 쿠션부(30) 등을 통해 흡수할 수 있으므로 차량도어(3)의 강성 및 밀봉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링부재(10)가 차량도어(3)의 하측가장자리 및 차체(4) 사이에서 발생하는 틈새를 확실하게 방지함으로써 빛, 먼지, 빗물, 바람 소리 등의 차량 내로 유입됨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형상 압축부(20) 및 쿠션부(30)가 차량도어(3)의 개폐작동 시에 발생하는 유동, 진동 등을 흡수 내지 상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링부재(10)가 차량도어(3)에 조립됨으로써 차량도어(3)의 상품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 차량도어 4: 차체
5a, 5b: 스윙암 6: 연결부재
8: 엑츄에이터 9: 샤프트
10: 실링부재 11: 외측 실링립
12: 내측 실링립 13: 도어측 실링립
14: 글래스측 실링립 15: 베이스
15a: 실외측 가장자리 15b: 실내측 가장자리
20: 형상 압축부 21: 상측 실내측벽
22: 하측 실내측벽 23: 상측 실외측벽
24: 하측 실외측벽 25: 내측캐비티
26: 실내측 박벽 27: 실외측 박벽
28: 제1하측 박벽 29: 제2하측 박벽
30: 쿠션부 31: 실내측벽
32: 실외측벽 33: 연결벽
34: 격벽 35a: 제1내측 캐비티
35b: 제2내측 캐비티 36: 실내측 박벽
37a: 제1실외측 박벽 37b: 제2실외측 박벽
51: 도어프레임 59: 도어글래스
61: 개구프레임

Claims (13)

  1. 차량도어에 부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로부터 차체를 향해 연장된 외측 실링립; 및
    상기 외측 실링립으로부터 차량의 실내를 향해 이격된 내측 실링립;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실링립은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차량도어용 실링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 실링립은 상기 외측 실링립을 향해 일정각도로 경사진 차량도어용 실링부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 실링립은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실외측 단부와,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실내측 단부를 가지며,
    상기 실외측 단부는 상기 실내측 단부의 아래에 위치한 차량도어용 실링부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및 상기 내측 실링립 사이에 배치된 형상 압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형상 압축부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내측 실링립 사이에서 상기 외측 실링립의 길이방향을 따라 압축가능하게 연결된 차량도어용 실링부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형상 압축부는 그 내부에 한정된 내측캐비티를 가진 다각형의 튜브 형상을 가진 차량도어용 실링부재.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형상 압축부는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상측 실내측벽과, 실내측 박벽을 통해 상기 상측 실내측벽에 연결된 하측 실내측벽과,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상측 실외측벽과, 실외측 박벽을 통해 상측 실외측벽에 연결된 하측 실외측벽을 포함하는 차량도어용 실링부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박벽은 상기 상측 실내측벽 및 상기 하측 실내측벽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고, 상기 실외측 박벽은 상기 상측 실외측벽 및 상기 하측 실외측벽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진 차량도어용 실링부재.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형상 압축부 및 상기 베이스 사이에 배치된 쿠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형상 압축부 사이에서 상기 내측 실링립의 변형 및 상기 형상 압축부의 압축에 의한 반력을 흡수하도록 구성된 차량도어용 실링부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그 내부에 한정된 내측캐비티를 가진 튜브 형상을 가진 차량도어용 실링부재.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실내측벽과,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실외측벽과, 상기 실내측벽 및 상기 실외측벽을 연결하는 연결벽을 포함하는 차량도어용 실링부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상기 실내측벽 및 상기 실외측벽 사이에 위치한 격벽을 더 포함하는 차량도어용 실링부재.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형상 압축부는 복수의 박벽을 통해 상기 쿠션부에 접힘가능하게 연결된 차량도어용 실링부재.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도어는 차량의 실외를 향해 스윙아웃하도록 구성된 스윙아웃도어이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차량도어의 하측가장자리에 부착되는 차량도어용 실링부재.
KR1020220142990A 2022-10-31 2022-10-31 차량도어용 실링부재 KR202400613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990A KR20240061378A (ko) 2022-10-31 2022-10-31 차량도어용 실링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990A KR20240061378A (ko) 2022-10-31 2022-10-31 차량도어용 실링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1378A true KR20240061378A (ko) 2024-05-08

Family

ID=91074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2990A KR20240061378A (ko) 2022-10-31 2022-10-31 차량도어용 실링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13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7609B2 (en) Automotive glazing system with deployable wind excitation suppressor
CN101138960B (zh) 用于篷式汽车的车篷
CN102343792B (zh) 用于车辆的密封组件
KR102654760B1 (ko) 차량 도어용 실링 실링 어셈블리
JP2002200922A (ja) ガラスランチャンネル及びガラスランチャンネル組立体
CN107539078B (zh) 挡雨条
KR102621911B1 (ko) 대향식 스윙도어에 적용되는 웨더스트립 어셈블리
US7972204B2 (en) Vehicle door seal venting system and method
JP2002067702A (ja) ドアウエザーストリップ
KR20200089514A (ko) 차량용 웨더스트립
KR20240061378A (ko) 차량도어용 실링부재
US7871120B2 (en) Four-door motor vehicle having a door sealing system for frameless doors
US7887126B2 (en) Seal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JP2020147143A (ja) 自動車ドア用シール構造
US8297683B2 (en) Mounting frame member for motor vehicle tailgate having frameless window pane
US20210101459A1 (en) Cover for closing an opening in a vehicle body
KR102042030B1 (ko) 차량용 도어 웨더스트립
CN219344395U (zh) 车门止动装置
JP3600410B2 (ja) ウェザストリップ
JPH023527A (ja) 自動車用ウェザーストリップ
RU2800155C1 (ru) Внутренняя распашная дверь с уплотнительным профилем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внутренней распашной дверью
KR200206916Y1 (ko) 승용차량용 트렁크 리드 웨더 스트립
KR100901919B1 (ko) 차량의 플랩도어 수밀구조
JP5629557B2 (ja) トラックのリヤ構造
JP5240147B2 (ja) 固定窓用ウエザストリッ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