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6472A - 레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레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6472A
KR20230096472A KR1020210185974A KR20210185974A KR20230096472A KR 20230096472 A KR20230096472 A KR 20230096472A KR 1020210185974 A KR1020210185974 A KR 1020210185974A KR 20210185974 A KR20210185974 A KR 20210185974A KR 20230096472 A KR20230096472 A KR 20230096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craper
rail assembly
screen housing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5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헌
안석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코메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코메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코메론
Priority to KR1020210185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6472A/ko
Publication of KR20230096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64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이동 물체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어셈블리는, 이동 물체의 이동 경로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 슬릿을 포함하는 레일, 이동 물체와 함께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 레일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일 단부에 장착되는 스크린 하우징, 스크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감겨 있다가 이동부의 이동에 대응하여 스크린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출입하는 스크린 테이프, 및 스크린 테이프 상에 장착되어 평행 슬릿 지지부를 따라 이동하는 스크레이퍼를 포함하며, 스크린 하우징은 개구부에 인접하게 형성된 먼지 배출 경로를 제공하며, 이동부가 스크린 하우징에 접근하면서 스크레이퍼와 함께 스크린 하우징의 개구부로 이동한 이물질이 먼지 배출 경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레일 어셈블리 {RAIL ASSEMBLY}
본 발명은 레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고 지속적인 배출이 가능한 레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시트 등의 이동 물체는 일정 경로를 따라 직선 이동을 할 수 있다. 이들 이동 물체의 이동을 위해 바닥에는 레일이 가설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레일에는 위로 개방된 가이드 슬릿이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먼지나 쓰레기 등의 이물질이 가이드 슬릿을 통해 레일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렇게 유입된 이물질들은 원활한 작동을 방해하거나 비위생적인 관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20768호에는 "시트레일의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에는 레일 커버의 가이드 슬릿을 스크린 부재로 차단하고, 그 내부의 롤러 등을 보호하는 내용이 설명되어 있다. 하지만, 스크린 부재가 가이드 슬릿을 따라 이동하면서 그 틈새로 이물질 등이 지속적으로 유입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 어떠한 해결책이 없다.
또한, 스크린 부재가 평판으로 제공되어 이물질을 특정 위치로 유도할 수 있는 기능이 없으며, 하이힐이 가이드 슬릿에 진입하여 빠지지 않는 경우도 발생할 수가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1-001800호(2001.1.9. 공개)에는 차량용 시트의 설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설치 구조도 레일 내부로 쓰레기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일을 따라 슬라이더가 움직이며 슬라이더의 전후단에 코일 스프링이 권취된 상태로 장착되어 상부로 개방된 가이드 슬릿을 차단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코일 스프링 역시 가이드 슬릿을 차단만 하고 있으며, 스크레이퍼로 이물질을 가이드 슬릿 바깥으로 퍼 올리는 기능을 하지만, 역시 스크레이퍼의 측면으로 빠지는 이물질은 제거할 수 없으며, 바깥으로 이물질을 퍼 올린다고 해도 이들은 다시 가이드 슬릿으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근본적인 해결이 될 수 없다.
또한, 하이힐과 같이 좁은 폭의 물체가 가이드 슬릿으로 침입하는 경우, 코일 스프링은 유효한 저항력을 제공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은 시트 등의 이동 물체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이물질을 일정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레일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스크린 테이프의 상면 및 저면 모두에서 이물질을 스크린 하우징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레일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스크린을 이용한 레일 어셈블리로서, 이동하는 부속과 스크린의 장착이 용이한 레일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물체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어셈블리는, 이동 물체의 이동 경로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 슬릿을 포함하는 레일, 이동 물체와 함께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 레일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일 단부에 장착되는 스크린 하우징, 스크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감겨 있다가 이동부의 이동에 대응하여 스크린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출입하는 스크린 테이프, 및 스크린 테이프 상에 장착되어 평행 슬릿 지지부를 따라 이동하는 스크레이퍼를 포함하며, 스크린 하우징은 개구부에 인접하게 형성된 먼지 배출 경로를 제공하며, 이동부가 스크린 하우징에 접근하면서 스크레이퍼와 함께 스크린 하우징의 개구부로 이동한 이물질이 먼지 배출 경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먼지 배출 경로는 스크린 하우징의 하부 또는 측면에 배출구를 형성될 수 있으며, 스크레이퍼가 스크린 테이프의 상면 또는 주변으로 모인 이물질을 양측으로 이동시키면 이물질이 먼지 배출 경로를 통해 레일 어셈블리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스크린 하우징은 먼지 배출 경로로부터 내부 공간을 차단하는 내부 격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크레이퍼에 의해서 스크린 하우징 쪽으로 이동한 이물질이 스크린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기 전에 먼지 배출 경로를 통해 레일 어셈블리 하부로 배출될 수 있다.
먼지 등의 이물질이 스크린 테이프가 보관된 내부 공간까지 진입하는 것에 대응하여 내부 격벽에는 내부 공간의 하부와 먼지 배출 경로를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하우징의 개구부에 뱃머리(bow) 형상의 스플릿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스크린 테이프의 상면의 이물질은 스크레이퍼에 의해서 스크린 하우징 쪽으로 이동하며, 이동한 이물질은 스플릿 돌기에 의해 좌우로 안내되면서 스크린 테이프의 양측으로 노출된 먼지 배출 경로로 낙하할 수 있다.
스크레이퍼는 스크린 테이프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크레이퍼의 상부는 가이드 슬릿의 폭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스크린 테이프의 상면에 있는 이물질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스크레이퍼는 스크린 테이프의 저면을 지지하는 하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크레이퍼의 하부는 평행 슬릿 지지부의 폭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스크린 테이프의 좌우로 유입된 이물질을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스크레이퍼의 하부에서 평행 슬릿 지지부와 접하는 양단에 V-자 또는 U-자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스크레이퍼의 하부에 의해서 이동하는 이물질이 중도에 레일 어셈블리 내부로 떨어지지 않고 최대한 스크린 하우징까지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스크레이퍼의 하부에는 결속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부는 결속 홈에 대응하는 결속 돌기를 포함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가 스크레이퍼에 밀착하는 과정에서 결속 돌기가 결속 홈에 결속됨으로써 스크레이퍼 및 스크린 테이프의 단부가 이동부에 결속될 수 있다.
스크린 하우징의 개구부에서 스크린 테이프의 저면을 지지하며, 스크레이퍼의 하부를 스크린 하우징에 대해 저지하는 정지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스크린 테이프는 인출된 상태에서 평평한 또는 위로 볼록한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스크린 하우징은 스크린 테이프를 외면에 감기 위한 릴 및 스크린 테이프를 감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내장할 수 있다.
스크린 테이프가 위로 볼록한 단면을 가짐으로써, 가이드 슬릿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1차적으로 차단되는 것은 물론, 가이드 슬릿 상에 정체된 이물질은 자연스럽게 스크린 테이프의 양측으로 이동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그리고 위로 볼록한 단면을 가진 스크린 테이프가 평행 슬릿 지지부에 의해서 지지됨으로써, 스크린 테이프가 위에서 눌려지더라도 하방으로 좌굴되지 않고 수직 힘에 대해서 유효한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다.
스크레이퍼가 스크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먼지 등의 이물질을 같이 이동시키기 때문에, 스크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스크레이퍼의 단부는 스크린 하우징의 외벽 내면(Lo) 및 릴의 중심(O) 사이의 일 지점(Li)까지 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깊이 진입하더라도 단부가 멈추는 일 지점(Li)은 릴의 중심(O)으로부터 수평 거리(g)로 최소 2mm 이격될 수 있다.
먼지 배출 경로는 스크린 하우징의 외측면 하부로 연결된 제1 배출구를 포함하며, 제1 배출구의 주변으로 레일과 스크린 하우징 사이로 제2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출구와 제2 배출구는 서로 인접하게 제공되며, 상하로 제공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배출구 및 제2 배출구를 확보하면서 레일의 소형화하기 위해, 제1 배출구와 제2 배출구는 경사진 격벽에 의해서 구분되게 할 수 있다.
동일한 목적으로 제1 배출구를 직각 삼각형 또는 일반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배출구는 제1 배출구의 일측 또는 양측에서 동일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제1 배출구와 제2 배출구를 경사진 격벽으로 구분하거나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하지 않더라도 동일 높이에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레일 어셈블리는 시트 등의 이동 물체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이물질을 상부에서 아래로, 즉 일정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스크레이퍼는 스크린 테이프의 상면 및 저면에 존재하는 상부와 하부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와 하부 구조가 모두 이물질 제거를 위해 가이드 슬릿을 따라 이동하고, 이물질을 스크린 하우징 측으로 이동시켜 먼지 배출 경로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특히 레일 어셈블리가 자동화된 차량에 장착되는 경우, 위치 세팅을 위해서 초기화를 진행하면서 전체 경로를 따라 매번 이동할 수 있는데, 이때 스크레이퍼가 레일 전체의 이물질을 모아서 양측의 먼지 배출 경로로 배출하는 과정을 매번 반복함으로써 레일 어셈블리의 청결을 항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레일 어셈블리는 스크린으로 가이드 슬릿을 차단하는 레일 어셈블리로서, 이동하는 부속과 스크린 간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의 입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분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스크레이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B-B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레일 어셈블리의 D-D 부분 단면을 통해 스크레이퍼의 상부의 이물질 유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스크린 하우징의 입체 구조 및 분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C-C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스크린 테이프와 이동부 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의 다른 스크레이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레일 어셈블리의 스크린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레일 어셈블리의 스크린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레일 어셈블리의 스크린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의 스크린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의 입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분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스크레이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B-B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2의 레일 어셈블리의 D-D 부분 단면을 통해 스크레이퍼의 상부의 이물질 유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스크린 하우징의 입체 구조 및 분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C-C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스크린 테이프와 이동부 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레일 어셈블리(100)는 이동 물체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용 시트(10) 등의 이동 물체에 결속될 수 있으며, 스크린 테이프(140)로 가이드 슬릿(112)을 차단하여 바닥으로 떨어지는 이물질이 레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물체로서 차량용 시트(10)를 예시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정, 공장, 차량 등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크기로 다양한 이동 물체와 결속되어 사용될 수 있다.
레일 어셈블리(100)는 가이드 슬릿(112)이 형성된 레일(110),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120), 스크린 테이프(140)를 공급하는 스크린 하우징(130) 및 스크레이퍼(1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일(110)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슬릿(112)을 포함하며, 이를 위해 전체적으로 상방이 개방된 ㄷ-자 또는 C-자 형상의 몸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일(110)을 따라 이동부(120)가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이동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레일(110) 내부에 이동 물체(10)와 연결될 배선, 배선 가이드 등이 더 추가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슬릿(112)의 양측으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평행 슬릿 지지부(114)가 제공될 수 있다. 평행 슬릿 지지부(114)는 스크린 테이프(140) 또는 스크레이퍼(150)의 양측 모서리를 수용하는 홈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상부가 개방된 지지턱 형상으로도 제공될 수 있고, 외형적으로 별다른 구분 없이 스크린 테이프와 스크레이퍼의 양측 모서리를 지지하는 구조로도 제공될 수 있다.
레일(110) 내부로 이동부(12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부(120)는 큐브 형상으로 제공되지만, 결합되는 이동 물체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 및 연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동부(120)의 전면 및 후면으로 연장부(1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부(122)에는 각각 결속 돌기(124)가 상방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결속 돌기(124)는 각각 전방 및 후방으로 진입이 용이하도록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크린 테이프(140)의 단부 저면에 고정된 스크레이퍼(150)의 결속 홈(156)의 저면으로 진입하여 결속될 수 있다.
레일(110)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스크린 하우징(130)이 제공될 수 있으며, 스크린 하우징(130)은 이동부(120)와 결속될 수 있는 스크린 테이프(140)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린 테이프(140)는 스크린 하우징(130) 내부에서 감긴 상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동부(120)가 레일(110)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노출되는 가이드 슬릿(112)을 차단할 수 있도록 스크린 테이프(140)는 스크린 하우징(130)의 개구부(132)를 출입할 수 있다.
스크린 테이프(140)의 단부에는 스크레이퍼(15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스크레이퍼(150)는 스크린 테이프(140)의 상면과 저면을 수용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과 같이, 스크레이퍼(150)는 스크린 테이프(140)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부(152)와 저면을 지지하는 하부(15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152)와 하부(154) 사이에는 스크린 테이프(1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틈이 형성되어 그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스크레이퍼(150)의 상부(152)는 가이드 슬릿(112)의 폭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스크린 테이프(140)와 이동하면서 그 상면에 있는 이물질을 쓸어 이동시킬 수 있으며, 스크레이퍼(150)의 하부(154)는 평행 슬릿 지지부(114)의 폭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스크린 테이프(140)의 좌우로 유입된 이물질을 쓸어 이동시킬 수 있다.
스크레이퍼(150)의 하부(154)에는 결합 홈(156)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 홈(156)에는 이동부(120)의 결합 돌기(124)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스크레이퍼(150)의 내측으로 여유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여유 홈은 정지 돌기(139)를 부분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으며, 스크레이퍼(150)의 하부(154)의 단부가 평행 슬릿 지지부(114) 상의 이물질을 평행 슬릿 지지부(114) 너머 먼지 배출 경로(134)까지 깊게 밀어낼 수 있다.
스크린 하우징(130)은 스크린 테이프(140)가 출입하도록 전방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132), 개구부(132)보다 내측에 형성되어 개구부(132)의 하부로 먼지 배출 경로(134)를 형성하고 먼지 배출 경로(134)로부터 내부 공간(138)을 차단하는 내부 격벽(136)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격벽(136)의 상부로 개구부(132)의 저면에 뱃머리(bow) 형상의 스플릿 돌기(13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보면, 스크린 테이프(140)의 상면의 이물질은 스크레이퍼(150)의 상부(152)에 의해서 스크린 하우징(130) 쪽으로 이동하며, 스크린 하우징(130)까지 이동한 이물질은 스플릿 돌기(133)에 의해 좌우로 안내되면서 스크린 테이프(140)의 양측으로 노출된 먼지 배출 경로(134)로 낙하할 수 있다.
스크린 하우징(130)은 좌우 하우징(131-1, 131-2)의 결합에 의해서 조립될 수 있으며, 스플릿 돌기(133) 역시 하우징(131-1, 131-2)의 상부에 형성되어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볼록하게 굴곡진 스크린 테이프(140)에 의해서 양측으로 유도된 이물질은 이동부(120)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스크레이퍼(150)와 함께 스크린 하우징(130) 쪽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일단 스크린 하우징(130)으로 이동한 이물질은 스크레이퍼(150)가 개구부(132)에 진입할 때 스크린 하우징(130)의 내부 공간(138)으로 유입되지 않고, 그전에 내부 격벽(136)에 의해 차단되어 먼지 배출 경로(134)를 따라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내부 격벽(136)은 먼지 배출 경로(134)와 스크린 하우징(130)의 내부 공간(138) 사이에 형성되며, 먼지 배출 경로(134)를 정의하는 것은 물론 하우징의 내부 공간(138)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로 볼록한 스크린 테이프(140)를 지지하기 위해서, 개구부(132)에는 스크린 테이프(14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는 정지 돌기(139)가 형성될 수 있다. 정지 돌기(139)는 스크린 테이프(14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도 8의 (a)와 같이, 스크레이퍼(150)가 스크린 하우징(130)의 내부 공간(138)으로 들어가지 않고 개구부(132)에서 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스크린 테이프(140)는 스크린 하우징(130)의 내부에 감겨진 상태로 보관될 수 있으며, 스크린 하우징(130)은 스크린 테이프(140)를 외면에 감기 위한 릴 및 스크린 테이프(140)를 감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60)을 내장할 수 있다. 물론, 스크린 테이프가 릴 주변에 감겨지지 않고 구겨지거나 절곡되어 보관될 수 있고, 레일 등의 다른 부속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하지만,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테이프를 감아서 보관하는 경우, 작은 부피를 차지하는 것은 물론 스프링에 의해 지속적인 복원력이 제공되어 스크린 테이프의 들뜸이나 느슨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스프링(160)으로는 태엽 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릴은 스크린 하우징(130) 내부에서 별도의 보빈 형태로 제공되거나 스크린 하우징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된 고정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린 테이프(140)는 얇은 금속 테이프로 제공되며, 그 표면에 나일론 등의 코팅이 추가될 수가 있다. 외형적으로 스크린 테이프(140)는 전반적으로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굽어진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9의 (a)와 같이, 가이드 슬릿(112) 사이로 스크린 테이프(140)를 누르는 힘이 발생할 때, 평행 슬릿 지지부(114)에 의해서 양단 모서리가 지지됨으로써 스크린 테이프(140)가 좌굴 없이 누르는 힘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b)와 같이, 스크린 테이프(140) 위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이면 점차적으로 이물질은 스크린 테이프(140)의 양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자연스럽게 양측으로 이동한 이물질은, 도 5에 도시된 스크레이퍼(150)의 양단부에 의해서 어느 일측으로 밀려 이동할 수 있다.
금속 테이프로 형성된 스크린 테이프(140)는 스크린 하우징(130) 내에서 권취될 때에는 평평하게 펴진 상태로 권취될 수 있으며, 개구부(132)에서 나오면서 원래의 볼록하게 굽어진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도 11을 보면, 이동부(120)에 스크린 테이프(140)를 결착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이동부(120)는 결속 돌기(124)가 형성된 연장부(122)를 전후에 포함하며, 레일(1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스크린 테이프(140)가 결속되지 않는 초기 상태 또는 분리된 상태에서 스크레이퍼(150)는 스크린 테이프(140)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스크린 테이프(140)의 안쪽 단부는 스프링(160)에 의해 결속되어 안쪽으로 감기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레이퍼(150)가 스크린 테이프(140)의 단부에 연결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스크레이퍼는 스크린 테이프의 상면 및 저면을 수용하면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가 있다.
기본적으로 스프링(160)은 스크린 테이프(140)가 안쪽으로 감기도록 회전시킬 수 있으며, 스크린 하우징(130)의 내부에 형성된 릴 돌기의 외면에 스크린 테이프(140)가 감긴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1의 (a)를 보면, 스크레이퍼(150)가 스크린 하우징(130)의 개구부(132)에 의해서 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정지 돌기(139)가 외벽에 형성되어 스크레이퍼(150) 및 스크린 테이프(140)의 단부가 스크린 하우징(130) 내부로 들어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부(120)는 반대쪽 스크린 테이프(140)와 결속된 상태에서 아직 결합되지 않은 스크린 하우징(130)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부(120)의 결속 돌기(124)가 스크레이퍼(150)의 저면을 타고 진입하여 결속 홈(156)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120)가 반대로 이동하면, 이동부(120)의 연장부(122)과 스크레이퍼(150)는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면 같이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부(120)를 스크린 하우징(130)에 밀착하고 분리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이동부(120)와 스크린 테이프(140)를 용이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32)의 저면으로 먼지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솔 또는 헤어(132-1)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홀 또는 헤어(132-1)는 스크린 테이프(140)의 상면에 묻은 먼지 등의 이물질을 물리적으로 차단하거나 정전기를 이용하여 흡착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의 다른 스크레이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레이퍼(150')의 하부(154)에서 평행 슬릿 지지부(114)와 접하는 양단에 V-자 또는 U-자 형상의 홈(158)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레이퍼(150')의 하부(154)에 의해서 평행 슬릿 지지부(114) 상의 이물질이 이동되는 동안, V-자 홈(158)은 이물질이 평행 슬릿 지지부(114)의 내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고, 최대한 스크린 하우징까지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평행 슬릿 지지부(114)를 너머 스크레이퍼(150')에 의해서 먼지 배출 경로(134)까지 밀어낼 수 있다.
또한, 스크레이퍼(150')의 상부(152)는 스크린 테이프의 상면에서 이물질을 쓸어 내어 스플릿 돌기(133)에 의해서 좌우로 안내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레일 어셈블리의 스크린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레일 어셈블리의 스크린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레일 어셈블리(200)는 차량용 시트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크린 테이프(240)로 가이드 슬릿을 차단하여 바닥으로 떨어진 이물질이 레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체 차량용 시트에 대응하여 이동부(220)는 복수의 장착공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레일(210), 이동부(220), 스크린 하우징(230), 스크린 테이프(240), 스크레이퍼(250) 등에 대한 설명은 위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3에서 스크린 테이프(240)와 스크레이퍼(250)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아직 이동부(220)와 결속되지 않은 상태이고, 도 11과 같이, 이동부(220)를 레일(210)의 양끝으로 한 번씩 이동시킴으로써 이동부(220)의 결속 돌기와 스크레이퍼(250)의 결속 홈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레일(210)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슬릿(212)을 포함하며, 이를 위해 전체적으로 상방이 개방된 ㄷ-자 또는 C-자 형상의 몸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일(210)을 따라 이동부(220)가 수용되어 이동하며, 레일(210)의 내부로는 이동부(220)가 베어링이나 롤러 등을 이용하여 구름 이동할 수 있으며, 차량용 시트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나 팬 등과 연결될 수 있는 배선, 배선 가이드 등이 같이 내장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린 테이프(240)는 얇은 금속 테이프로 제공되며, 스크린 테이프(240)는 스크린 하우징(230) 내부에서 감겨지거나(wound) 풀어짐으로써(unwound) 스크린 하우징(230) 밖으로 인출될 수 있다. 여기서도 스크린 테이프(240)는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굽어진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스크린 하우징(230)은 스크린 테이프(240)가 출입하도록 전방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232), 개구부(232)보다 내측에 형성되어 개구부(232)의 하부로 먼지 배출 경로(234)를 형성하고 먼지 배출 경로(234)로부터 내부를 차단하는 내부 격벽(236)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 하우징(230)으로 이동한 이물질은 스크레이퍼(250)가 개구부(232)에 진입할 때 스크린 하우징(23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그전에 내부 격벽(236)에 의해 차단되어 먼지 배출 경로(234)를 따라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내부 격벽(236)은 먼지 배출 경로(234)와 스크린 하우징(230)의 내부(238) 사이에 형성되며, 먼지 배출 경로(234)를 정의하는 것은 물론 하우징의 내부(238)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크린 하우징(230)의 내부로는 태엽 스프링 등이 내장될 수 있으며, 릴은 스크린 하우징(230) 내부에서 별도의 보빈 형태로 제공되어 스프링에 의해 테이프를 감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레일 어셈블리의 스크린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사시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의 스크린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레일 어셈블리(300)는 차량용 시트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크린 테이프(340)로 가이드 슬릿을 차단하여 바닥으로 떨어진 이물질이 레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량용 시트에 대응하여 이동부(320)는 복수의 장착공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레일(310), 이동부(320), 스크린 하우징(330), 스크린 테이프(340), 스크레이퍼(350) 등에 대한 설명은 위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6에서 스크린 테이프(340)와 스크레이퍼(350)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동부(320)의 양단에 결속되어 있으며, 이동부(320)를 레일(310)의 양끝으로 한번씩 이동시킴으로써 이동부(320)의 결속 돌기와 스크레이퍼(350)의 결속 홈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레일(310)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슬릿을 포함하며, 이를 위해 전체적으로 상방이 개방된 ㄷ-자 또는 C-자 형상의 몸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일(310)을 따라 이동부(320)가 수용되어 이동하며, 레일(310)의 내부로는 이동부(320)가 베어링이나 롤러 등을 이용하여 구름 이동할 수 있으며, 차량용 시트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나 팬 등과 연결될 수 있는 배선, 배선 가이드 등이 같이 내장될 수가 있다.
스크린 테이프(340)는 얇은 금속 테이프로 제공되며, 스크린 테이프(340)는 스크린 하우징(330) 내부에서 감겨지거나(wound) 풀어짐으로써(unwound) 스크린 하우징(330) 밖으로 인출될 수 있다. 여기서도 스크린 테이프(340)는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굽어진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스크린 하우징(330)은 스크린 테이프(340)가 출입하도록 전방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 개구부보다 내측에 형성되어 개구부의 하부로 먼지 배출 경로(334)를 형성하고 먼지 배출 경로(334)로부터 내부를 차단하는 내부 격벽(336)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 하우징(330)으로 이동한 이물질은 스크레이퍼(350)가 개구부에 진입할 때 스크린 하우징(33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그 전에 내부 격벽(336)에 의해 차단되어 먼지 배출 경로(334)를 따라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내부 격벽(336)은 먼지 배출 경로(334)와 스크린 하우징(330)의 내부 공간(338) 사이에 형성되며, 먼지 배출 경로(334)를 정의하는 것은 물론 하우징의 내부 공간(338)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338)으로 이물질이 유입될 수도 있기 때문에 하우징의 내부 공간(338)의 하부에는 먼지 배출 경로(334)와 연결되는 통로(338-1)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전 실시예와 다르게, 본 실시예에서 먼지 배출 경로(334)는 스크린 하우징(330)의 하부가 아닌 외측면 하부에 형성된 제1 배출구(334-1)를 포함하며, 먼지 배출 경로(334)는 하우징(330)의 내부를 L-자 형상으로 통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330)으로 유입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먼지 배출 경로(334)의 제1 배출구(334-1)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제공되며, 제1 배출구(334-1)의 하부로도 레일(310)로부터의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제2 배출구(334-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배출구(334-1, 334-2)를 통해서 하우징(330)으로 유입된 이물질과 레일(310)로 유입된 이물질을 모두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17의 (a)를 보면, 스크레이퍼(350)의 단부가 스크린 하우징(330)의 개구부를 넘어 내부까지 진입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먼지를 스크린 하우징(330)의 내부로 밀어 넣을 수 있다. 스크린 하우징(330) 내부로 밀린 이물질이나 먼지는 대부분 내부 격벽(336)에 의해 차단되어 먼지 배출 경로(334)를 따라 스크린 하우징(33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스크레이퍼(350)가 이물질이나 먼지를 내부로 밀어 넣으면서 그 단부가 스크린 하우징(330) 내부로 진입을 해야 하지만, 너무 깊게 진입하면 하우징(330)의 내부에서 권취되는 스크린 테이프의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스크린 테이프의 손상을 최소로 하기 위해서 스크레이퍼(350)의 단부는 링의 회전 중심(O)보다 안쪽(Li)에서 멈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크레이퍼(350)의 단부는 스크린 하우징(330)의 외벽 내면(Lo) 및 릴의 회전 중심(O) 사이의 어느 일 지점(Li)에서 멈추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 때 스크레이퍼(350)의 단부가 멈추는 일 지점(Li)은 릴의 회전 중심(O)에서부터 수평 거리(g)로 최소 2mm 정도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그 범위는 스크린 하우징(330)의 외벽 내면(Lo)를 넘어서지 않는 것이 좋다.
도 18의 (a)를 보면, 먼지 배출 경로(334)의 제1 배출구(334-1)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제공되며, 그 제1 배출구(334-1)의 하부로도 레일로부터의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제2 배출구(334-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8의 (b)를 보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하우징(430)에 따르면, 먼지 배출 경로(434)의 제1 배출구(434-1)는 경사진 격벽에 의해서 대략 삼각형 형태로 제공되며, 삼각형 형태의 제1 배출구(434-1)의 양측으로 레일로부터의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제2 배출구(434-2)가 형성될 수 있다.
삼각형 형태의 제1 배출구(434-1)의 형태를 형성한 경우, 사각형으로 제1 배출구(334-1)를 형성한 경우보다 레일 바닥으로부터의 높이를 더 짧게 형성할 수 있다(h2 < h1). 이는 똑 같은 배출 경사도를 유지하면서도 레일을 포함한 레일 어셈블리의 전체 높이를 작게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레일 어셈블리의 소형화에 유리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는 레일 어셈블리의 높이가 같은 경우에도, 먼지 배출 경로(434)의 경사도를 더 급하게 형성할 수 있어 먼지의 배출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배출구(434-1)와 제2 배출구(434-2)를 경사진 격벽으로 구분하여 삼각형 형태로 형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면 그 격벽을 계단 형태나 지그재그 형태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제1 배출구와 제2 배출구가 상하 적층 관계가 아닌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 관계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레일 어셈블리 110 : 레일
120 : 이동부 130 : 스크린 하우징
140 : 스크린 테이프 150 : 스크레이퍼
160 : 스프링

Claims (18)

  1. 이동 물체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이동 물체의 이동 경로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 슬릿을 포함하는 레일;
    상기 이동 물체와 함께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레일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일 단부에 장착되는 스크린 하우징;
    상기 스크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감겨 있다가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스크린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출입하는 스크린 테이프; 및
    상기 스크린 테이프 상에 장착되어 상기 평행 슬릿 지지부를 따라 이동하는 스크레이퍼;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하우징은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게 형성된 먼지 배출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이동부가 상기 스크린 하우징에 접근하면서 상기 스크레이퍼와 함께 상기 스크린 하우징의 상기 개구부로 이동한 이물질이 상기 먼지 배출 경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배출 경로는 상기 스크린 하우징의 하부 또는 측면에 배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하우징은 상기 먼지 배출 경로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을 차단하는 내부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레이퍼에 의해서 상기 스크린 하우징 쪽으로 이동한 이물질이 상기 스크린 하우징의 상기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기 전에 상기 먼지 배출 경로를 통해 상기 레일 어셈블리 하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격벽에는 상기 내부 공간의 하부와 상기 먼지 배출 경로를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주변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솔 또는 헤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하우징의 상기 개구부에 뱃머리(bow) 형상의 스플릿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 테이프의 상면의 이물질이 상기 스플릿 돌기에 의해 좌우로 안내되어 상기 먼지 배출 경로로 낙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는 상기 스크린 테이프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페이퍼의 상기 상부는 상기 가이드 슬릿의 폭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 테이프의 상기 상면에 있는 이물질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는 상기 스크린 테이프의 저면을 지지하는 하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레이퍼의 상기 하부는 상기 평행 슬릿 지지부의 폭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 테이프의 좌우로 유입된 이물질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의 상기 하부에서 상기 평행 슬릿 지지부과 접하는 양단에 V-자 또는 U-자 형상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의 상기 하부에는 결속 홈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결속 홈에 대응하는 결속 돌기를 포함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가 상기 스크레이퍼에 밀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결속 돌기가 상기 결속 홈에 결속됨으로써 상기 스크레이퍼 및 상기 스크린 테이프의 단부가 상기 이동부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하우징의 상기 개구부에서 상기 스크린 테이프의 저면을 지지하며, 상기 스크레이퍼의 상기 하부를 상기 스크린 하우징에 대해 저지하는 정지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테이프는 인출된 상태에서 평평한 또는 위로 볼록한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하우징은 상기 스크린 테이프를 외면에 감기 위한 릴 및 상기 스크린 테이프를 감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스크레이퍼의 단부는 상기 스크린 하우징의 외벽 내면(Lo) 및 상기 릴의 중심(O) 사이의 일 지점(Li)까지 진입하며, 상기 일 지점(Li)은 상기 릴의 중심(O)으로부터 수평 거리로 최소 2mm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배출 경로는 상기 스크린 하우징의 외측면 하부로 연결된 제1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배출구의 주변으로 상기 레일과 상기 스크린 하우징 사이로 제2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구와 상기 제2 배출구는 경사진 격벽에 의해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구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배출구는 상기 제1 배출구의 일측 또는 양측에서 동일 높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구와 상기 제2 배출구는 동일 높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KR1020210185974A 2021-12-23 2021-12-23 레일 어셈블리 KR202300964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974A KR20230096472A (ko) 2021-12-23 2021-12-23 레일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974A KR20230096472A (ko) 2021-12-23 2021-12-23 레일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6472A true KR20230096472A (ko) 2023-06-30

Family

ID=86959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5974A KR20230096472A (ko) 2021-12-23 2021-12-23 레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64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7438B1 (ko) 레일 어셈블리
EP2400615B1 (en) Electrical wire routing device
US3403220A (en) Cable guiding channel
EP3770022B1 (en) Cable winding device, and flat cable routing structure for sliding seat
US9308833B2 (en) Harness wiring apparatus
JP6793545B2 (ja) 巻取装置及び配索構造
JP4120751B2 (ja) ライン案内装置
US8937250B2 (en) Wiring harness guiding apparatus
JP2005059745A (ja) スライドシート用給電装置
JP6633412B2 (ja) スライド給電装置の異物除去構造
CN110574250B (zh) 线束布线装置
DE102005034653A1 (de) Gleitverdrahtungsvorrichtung
KR20230096472A (ko) 레일 어셈블리
KR102495110B1 (ko) 레일 어셈블리
US20160260520A1 (en) Wire holding basket
KR20230096471A (ko) 레일 어셈블리
KR102637061B1 (ko) 레일 어셈블리
DE112018005474T5 (de) Kabelstrangführungsvorrichtung
JP6156457B2 (ja) スライドシート用のワイヤハーネス配索装置
JP7351663B2 (ja) ケーブルダクト
JP4230405B2 (ja) キャリアプレ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CN113423611B (zh) 线缆布置构造
JP4391463B2 (ja) 配索装置及び当該配索装置の取付構造
KR102621893B1 (ko) 매체이격부재 및 이를 포함한 매체저장장치
JP7407797B2 (ja) ケーブル配索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