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639B1 - 박리 부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박리 부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639B1
KR102409639B1 KR1020177020094A KR20177020094A KR102409639B1 KR 102409639 B1 KR102409639 B1 KR 102409639B1 KR 1020177020094 A KR1020177020094 A KR 1020177020094A KR 20177020094 A KR20177020094 A KR 20177020094A KR 102409639 B1 KR102409639 B1 KR 102409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resin
resin film
metal plate
film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0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5388A (ko
Inventor
가즈오 히로세
히로시 야나가와
유우키 야마조에
Original Assignee
에누티에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누티에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누티에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95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28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with means for handling the copy material in the fixing nip, e.g. introduction guides, strip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23K26/21Bonding by welding
    • B23K26/22Spot wel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 G03G2215/2016Heating bel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금속판에 불소 수지 등의 비점착성 수지 필름을 첩부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의 박리 부재에 있어서, 정착 직후의 용지의 달라붙음을 장기간 방지할 수 있는 박리 부재를, 높은 생산성으로, 또한, 품질의 편차가 없이 제조할 수 있는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금속판(2)과 상기 금속판에 첩부된 비점착성 수지 필름(4)으로 이루어지는 박리 시트(1a)를 가지는 박리 부재의 제조 방법이며, 금속판(2)에의 첩부 전의 비점착성 수지 필름(4)의 용지 통과측 표면(paper passing side surface)의 일부에, 상기 필름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오목홈으로 이루어지는 모양부(5)를 형성하는 홈 형성 공정과, 상기 홈 형성 공정에서 얻어진 비점착성 수지 필름(4)을, 모양부(5)가 금속판(2)의 용지 통과측 표면의 선단부(2a)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위치하도록 첩부하는 필름 첩부 공정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박리 부재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PEELING MEMBER}
본 발명은 복사기나 레이저빔 프린터 등의 전자 사진 장치에 설치되는 정착(定着) 롤러나 정착 벨트 등의 정착 부재로부터 용지를 박리하는 박리 부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나 레이저빔 프린터 등의 전자 사진 장치에는,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靜電潛像)을 토너 등의 현상제를 이용하여 용지 상에 현상하고, 그 후 정착시키기 위해서 가열 정착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가열 정착 장치는, 현상제를 가열 용융함과 함께 가압하는 것으로 용지에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 롤러나 정착 벨트 등의 정착 부재를 가지고 있다.
정착 부재나, 정착 부재에 용지를 가압하는 가압 롤러 등에는, 용지가 롤러 등에 감겨서 원활한 동작의 방해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현상제가 정착된 용지를 롤러 등으로부터 박리하는 시트 형상의 박리 부재가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박리 부재는, 금속판의 선단부에 실리콘계 점착제를 개재하여 불소 수지 필름이 되접혀서 첩부(貼付:adhere)되어 있고, 그 선단을 롤러의 외주면 근방에 설치하고, 용지의 끝단을 건져 올리는 것에 의하여, 롤러에 용지가 감기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불소 수지 필름을 첩부하여 이루어지 박리 부재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제조 방법·장치 등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있다. 이 제조 방법·장치에서는, 주름이나 기포의 존재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정착 부재에 근접하는 금속판의 선단부에 불소 수지 필름을 되접어서 첩부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3595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81999호
그렇지만, 최근의 전자 사진 장치에 채용되는 현상제는, 발색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토너의 구성 요소의 하나인 바인더 수지도, 투명도가 높은 폴리에스테르계로 이행하고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수지를 가지는 토너는, 매우 점착성이 높기 때문에,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와 같이, 불소 수지 필름을 주름없이 첩부하여 이루어지는 박리 부재라도, 용지가 박리 부재에 달라붙을 우려가 있다. 특히, 정착 직후에 접촉하는 박리 부재의 선단부에 있어서 달라붙기 쉽다. 최근에 있어서의 전자 사진 장치의 고해상도화, 인자(印字) 속도의 고속화, 컴팩트화, 양면 복사 기능의 내장에 의한 용지의 흐름의 복잡화 등에 의해, 용지와 박리 부재가 약간이라도 달라붙으면(흡착함), 재밍(jamming)이나 용지가 접힘이 발생하여 원하는 동작 품질을 유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용지 통과측 표면에 요철 형상을 마련하여 용지와의 접촉 면적을 저하시키기 위해서, 기초가 되는 금속판의 선단부에 요철 가공 등을 실시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금속판의 선단부 근방의 가공이 되어, 생산성이 떨어질 우려나, 수평 정밀도 등의 품질의 편차가 커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금속판에 불소 수지 등의 비점착성 수지 필름을 첩부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의 박리 부재에 있어서, 정착 직후의 용지의 달라붙음을 장기간 방지할 수 있는 박리 부재를, 높은 생산성으로, 또한, 품질의 편차가 없이 제조할 수 있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박리 부재의 제조 방법은, 금속판과 상기 금속판에 첩부된 비점착성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박리 시트를 가지고, 전자 사진 장치의 정착 부재에, 상기 박리 시트의 한 장변(長邊)측의 단부(端部)가 되는 선단부를 접촉 또는 근접시켜서, 정착 부재로부터 용지를 박리시키는 박리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금속판에의 첩부 전의 상기 비점착성 수지 필름의 용지 통과측 표면(paper passing side surface)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필름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오목홈을 형성하는 홈 형성 공정과, 상기 홈 형성 공정에서 얻어진 비점착성 수지 필름을, 상기 복수의 오목홈이 상기 금속판의 적어도 용지 통과측 표면의 상기 선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위치하도록 첩부하는 필름 첩부 공정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접촉한다」란, 박리 시트의 1변(선단부)이, 롤러 등의 정착 부재의 축방향에 대해서 선접촉(線接觸)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근접한다」란, 용지가 롤러 등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로, 박리 시트의 1변(선단부)이 롤러에 접근 배치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정착 부재는, 미정착의 용지 상의 현상제를 가열과 동시에 가압하는 것으로 용지 상에 정착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용지와 접촉 가능한 롤러 형상, 필름 형상 또는 벨트 형상 등의 여러 가지 형상을 가지는 부재를 말한다. 예를 들면, 정착 롤러, 가압 롤러, 정착 벨트 등이다.
상기 홈 형성 공정은, 고무 롤러와 상기 오목홈을 전사(轉寫) 가능한 회전 부재로 상기 비점착성 수지 필름을 사이에 끼워 넣어, 연속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복수의 오목홈을 형성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면이, 헬리컬 기어 형상이며, 상기 복수의 오목홈은, 상기 형상에 의해 전사된, 용지 통과 방향에 대해서 일정 방향으로 경사지고, 또한,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된 줄무늬 형상의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홈 형성 공정 후이고 상기 필름 첩부 공정 전에, 상기 복수의 오목홈이 형성된 연속하는 필름 재료로부터, 상기 복수의 오목홈이 상기 선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위치하는 형상의 비점착성 수지 필름을 잘라내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점착성 수지 필름은, 용지 통과측 표면 반대쪽에 점착제층을 가지고, 상기 필름 첩부 공정은, 상기 비점착성 수지 필름의 상기 점착제층측에, 상기 금속판의 선단부를, 상기 선단부로부터 상기 비점착성 수지 필름의 단부가 돌출하도록 배치한 후, 인접하는 2개의 유연체의 간극에 상기 비점착성 수지 필름과 함께 상기 금속판의 선단부를 밀어넣는 것으로, 상기 선단부의 양면을 덮도록 상기 비점착성 수지 필름을 첩부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박리 부재의 제조 방법은, 금속판에의 첩부 전의 비점착성 수지 필름의 용지 통과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필름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오목홈을 형성하는 홈 형성 공정과, 상기 홈 형성 공정에서 얻어진 비점착성 수지 필름을, 상기 복수의 오목홈이 금속판의 적어도 용지 통과측 표면의 상기 선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위치하도록 첩부하는 필름 첩부 공정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므로, 미리 필름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오목홈이 형성되고, 금속판측의 요철 가공 등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우수함과 함께, 박리 시트 선단부의 수평 정밀도(진직도(眞直) 정밀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고, 품질의 편차도 적다. 이 제조 방법으로 얻어진 박리 부재는, 용지 통과측 표면의 복수의 오목홈을 가지므로, 정착 직후에 용지와 접촉하는 박리 시트의 선단부에 있어서, 비점착성 수지 필름 표면과 용지와의 접촉 면적이 작아져 저마찰 특성이 우수하고, 정착 직후의 용지의 달라붙음을 장기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용지의 재밍이나 접힘을 방지할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홈 형성 공정은, 고무 롤러와 상기 오목홈을 전사 가능한 회전 부재로 비점착성 수지 필름을 사이에 끼워넣고, 연속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오목홈을 형성하는 공정이므로, 특히 생산성이 우수하다.
회전 부재의 외주면이, 헬리컬 기어 형상이며, 상기 오목홈은, 상기 형상에 의해 전사된, 용지 통과 방향에 대해서 일정 방향으로 경사지고, 또한,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된 줄무늬 형상의 홈이므로, 특히 저마찰 특성이 우수하고, 정착 직후의 용지의 달라붙음을 보다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용지와의 접촉이 선 형상 접촉이 되고, 화상의 광택 얼룩, 광택 줄무늬 등의 화상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홈 형성 공정 후로서 필름 첩부 공정 전에, 상기 오목홈이 형성된 연속하는 필름 재료로부터, 상기 오목홈이 선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위치하는 형상의 비점착성 수지 필름을 잘라내는 공정을 가지므로, 높은 품질의 박리 부재를 생산할 수 있다.
비점착성 수지 필름은, 용지 통과측 표면 반대측에 점착제층을 가지고, 필름 첩부 공정은, 상기 필름의 점착제층측에, 금속판의 선단부를, 상기 선단부로부터 상기 필름의 단부가 돌출하도록 배치한 후, 인접하는 2개의 유연체의 간극에 비점착성 수지 필름과 함께 금속판의 선단부를 밀어넣는 것으로, 상기 선단부의 양면을 덮도록 비점착성 수지 필름을 첩부하는 공정이므로,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주름이나 기포의 존재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첩부면측에 돌기부가 있어도 수지 필름을 첩부할 수 있다. 또한, 고가이고 대대적인 자동 첩부 기계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 얻어지는 박리 부재를 이용한 정착 장치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 얻어지는 박리 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박리 부재의 박리 시트의 일부 확대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홈 형성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오목홈으로 이루어지는 모양부를 구비한 연속하는 필름 재료로부터 비점착성 수지 필름을 잘라내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오목홈으로 이루어지는 모양부를 구비한 연속하는 필름 재료의 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필름 첩부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기재를 베이스대에 고정하는 도이다.
도 9는 캐리어 시트로 지지한 수지 필름을 컷 하는 도이다.
도 10은 수지 필름의 컷 지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수지 필름을 기재에 첩부하는 도이다.
도 12는 되접음 지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되접음 지그를 이용하여 수지 필름을 금속판의 선단부에 첩부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되접은 수지 필름을 롤러로 고착시키는 도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는 박리 부재를 이용한 정착 장치를 도 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박리 부재를 이용한 히트 롤러 방식의 정착 장치의 개요도이다. 정착 장치는, 히터(6a)가 내장되고,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하는 정착 롤러(6)와, 정착 롤러(6)에 접촉하여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하는 가압 롤러(7)와, 정착 롤러(6) 및 가압 롤러(7)가 접촉하여 형성되는 닙(nip)부(8)의 부근에 배치되는 박리 부재(1)로 구성된다. 용지(9) 상에 형성된 토너상(像)이 닙부(8)에서 정착되어서 정착된 화상이 된다. 닙부(8)를 통과한 용지(9)를 정착 롤러(6)로부터 박리할 수 있도록, 박리 부재(1)가 정착 롤러(6)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는 박리 부재의 일례를 도 2 및 도 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박리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리 부재(1)는, 박리 시트(1a)와, 이 박리 시트(1a)를 지지 고정하는 지지 부재(1b)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박리 시트(1a)는, 평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인 금속판(2)에 비점착성 수지 필름(4)이 첩부되어서 이루어진다. 도면 중의 검정 화살표가 용지 통과방향이며, 박리 시트(1a)의 길이 방향과 용지 통과방향은 직교하고 있다. 박리 시트(1a) 및 금속판(2)에 있어서, 지지 부재(1b)에 지지 고정되는 면의 반대면이 용지 통과측 표면이 된다. 박리 부재(1)에 있어서의 박리 시트(1a)의 용지 통과방향 상류측의 단부인 선단부(1c)를, 정착 롤러에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정착 롤러로부터 박리된 용지의 단부를 집어올린다(도 1 참조). 이 박리 부재(1)는, 정착 직후의 용지와 접촉하는 선단부(1c)에 있어서, 비점착성 수지 필름(4)의 표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오목홈(5a)으로 이루어지는 모양부(5)를 가진다.
도 3 (a)는 박리 부재의 박리 시트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3 (b)는 상기 박리 시트의 선단부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3 (a) 및 도 3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판(2)의 표면에 점착제(3)를 개재하여 비점착성 수지 필름(4)이 첩부되어 있다. 비점착성 수지 필름(4)은, 금속판(2)의 용지 통과측 표면에 있어서, 복수의 오목홈(5a)이 적어도 선단부(2a)에 위치하도록 첩부되어 있다. 비점착성 수지 필름(4)에 의해, 토너 등의 현상제가 용융 상태로 슬라이딩 접촉해도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a)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비점착성 수지 필름(4)은, 정착 부재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용지 통과방향 상류측의 선단부를 감싸도록(말아넣도록) 되접어서 금속판(2)의 표리면(表裏面)에 첩부되고, 또한 비점착성 수지 필름(4) 표면의 복수의 오목홈(5a)이 금속판(2)의 선단부(2a)에 위치하고 있다.
금속판(2)의 선단부(2a)는, 예를 들면, 최선단(2b)으로부터 용지 통과방향 하류측으로 4mm 폭 내의 부분이다. 이 금속판(2)의 선단부(2a)가, 박리 시트(1a)의 선단부(1c)가 된다. 또한, 박리 시트는, 정착 부재에 선단부를 접촉 또는 근접시켜서 용지를 박리하는 것이기 때문에, 박리 시트의 선단부는 용지 통과방향 상류측의 단부이며, 상기의 「최선단(2b)」은, 이 선단부(2a)에 있어서의 가장 선단(정착 부재측)의 위치이다.
복수의 오목홈(5a)은, 후술하는 홈 형성 공정에 있어서, 회전 부재로부터 전사되는 형상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판의 적어도 용지 통과측 표면의 상기 선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위치하고 있다. 오목홈(모양부)의 형상은, 용지가 첩부되지 않을 정도의 접촉 면적이 얻어지는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용지 통과방향을 따른 직선 줄무늬 형상, 용지 통과방향에 대해서 일정 방향으로 경사진 직선 줄무늬 형상이나, 용지 통과방향을 따라서 굽은 곡선 줄무늬 형상이며, 일정 간격 또는 부정(不定) 간격으로 이간되어 정렬된 임의의 형상(기하학 모양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도 3 (a) 및 도 3 (b)에 나타내는, 용지 통과방향에 대해서 일정 방향으로 경사지고, 또한,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된 줄무늬 형상의 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목홈 형상으로 하는 것으로, 정착 직후의 용지의 달라붙음을 방지하기 쉽고, 또한, 화상의 광택 얼룩, 광택 줄무늬 등의 화상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오목홈의 깊이는, 비점착성 수지 필름의 두께의 20 ~ 80%가 바람직하다. 오목홈의 깊이가 비점착성 수지 필름의 두께의 20% 미만이면 정착 직후의 용지의 달라붙음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부족하고, 80%를 초과하는 경우는 비점착성 수지 필름의 강도가 작아지고 필름이 파손되거나 찢어지거나 혹은 취급성이 극단적으로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오목홈의 간격(피치)은, 0.1 ~ 2.0mm가 바람직하다. 오목홈의 간격이 0.1mm 미만이면 얇은 용지의 첩부를 방지하지 못하고, 2.0mm를 초과하면 용지가 오목홈에 걸리고, 재밍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비점착성 수지 필름(4)에 있어서, 복수의 오목홈(5a)으로 이루어지는 모양부(5)를 형성하는 범위는, 금속판(2)의 선단부(2a)의 위치를 포함하는 범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선단부(2a)의 최선단(2b)으로부터, 박리 시트(1a)와 지지 부재(1b)와의 레이저 스팟 용접부를 덮는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 스팟 용접부를 덮는 범위로 하는 것으로, 레이저 스팟 용접 자국에 의한 비점착성 수지 필름(4)의 부풀음에 의한 선 형상 화상 문제에 대한 대책이 가능해진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비점착성 수지 필름(4)을, 금속판(2)의 선단부(2a)를 포함한 용지 통과측 표면의 대략 전체면에 첩부하고, 그 전체면에 복수의 오목홈(5a)으로 이루어지는 모양부(5)를 형성해도 좋다.
금속판(2)의 재질로서는, 철, 알루미늄, 구리, 스테인리스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스테인리스강이면 녹슬지 않고, 가공이 용이하고 염가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판의 판 두께는 50 ~ 300μ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50μm 미만에서는 박리력이 확보되지 않을 우려나, 재밍시에 변형될 우려가 있다. 300μm를 초과하면 박리해야 할 용지가, 박리 시트의 선단부에 접촉하여, 재밍의 발생 원인이 될 우려가 있다. 또한, 금속판(2)은, 롤러의 축방향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의 접촉폭(L)(도 2 참조)을 가지고 있다. 접촉폭이 큰 것에 의해서 롤러에 대한 단위면적 당의 접촉 압력이 작아지고 롤러 표면의 국부적인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롤러의 축방향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는, 상기 효과가 얻어지는 정도의 길이를 말하고,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롤러의 축방향 길이의 반 정도 이상으로서, 롤러의 축방향 길이와 동일하거나 약간 길면 좋다.
도 3 (a)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판(2)의 용지 통과방향 상류측의 선단부(2a)의 두께 방향을, 엣지(모서리)가 없는 곡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단부의 두께 방향을 곡면으로 하는 것으로, 정착 롤러나 정착 벨트 등의 정착 부재에 대해서 정압(定壓) 이상의 압접(壓接) 상태가 되었을 경우라도 정착 부재의 표면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후술하는 유연체를 이용한 비점착성 수지 필름의 첩부시에, 상기 필름이 손상되는 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곡면은 금속판을 소정 형상으로 가공한 후에 기계 가공해도 좋지만, 커팅과 동시에 가압 성형할 수 있는 프레스 컷에 의해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1b)는 금속 후판(厚板)이며, 지지 부재(1b)의 길이 방향의 좌우에는, 박리 부재를 정착 장치 본체에 고정하는 등에 사용되는 구멍(1d)이 마련되어 있다. 박리 시트(1a)의 금속판(2)과, 지지 부재(1b)는,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접합 방법으로서는, 금속판(2)의 형상 변화에 의한 선단부(2a)의 수평 정밀도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스팟부를 마련한 레이저 스팟 용접에 의해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부재(1b)의 재질로서는, 금속판(2)과 마찬가지로, 철, 알루미늄, 구리, 스테인리스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금속판과 마찬가지의 이유로 스테인리스강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 부재(1b)를 구성하는 금속 후판의 판 두께는, 금속판을 장착하는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 0.8mm 이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박리 부재의 제조 방법은, 상기와 같은 금속판과 상기 금속판에 첩부된 비점착성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박리 시트를 가지는 박리 부재의 제조 방법이며, 특히 상기 박리 시트의 제조 공정에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1) 금속판에의 첩부 전의 상기 비점착성 수지 필름의 용지 통과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필름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오목홈을 형성하는 홈 형성 공정과, (2) 홈 형성 공정에서 얻어진 비점착성 수지 필름을, 상기 복수의 오목홈이 금속판의 적어도 용지 통과측 표면의 상기 선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위치하도록 첩부하는 필름 첩부 공정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1) 홈 형성 공정
이 공정은, 금속판에의 첩부 전의 비점착성 수지 필름의 용지 통과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필름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오목홈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복수의 오목홈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생산성이 우수한 것으로부터, 기어나 롤러를 이용하여 전사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도 4에 홈 형성 공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오목홈의 모양부를 형성하는 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4 (a)에서는, 우레탄 고무 롤러(13)와, 회전 부재(12)로, 비점착성 수지 필름(4)을 사이에 끼워넣고, 회전 부재(12)를 우레탄 고무 롤러(13)에 꽉 누르도록 연속적으로 가압하여, 모양부(5)를 구성하는 오목홈(5a)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고무 롤러(13)의 고무 경도는, 예를 들면 쇼어 A(Shore A) 95이며, 가한 하중은, 예를 들면 5kgf ~ 20kgf이다. 또한, 회전 부재(12)는, 예를 들면 외경 φ20mm 폭 5mm의 치수이며, 그 외 둘레면이 헬리컬 기어 형상이다. 오목홈(5a)은 상기 형상에 의해 전사되기 때문에, 모양부(5)는, 용지 통과방향에 대해서 일정 방향으로 경사지고, 또한,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된 줄무늬 형상의 홈으로 구성되는 형상이 된다. 이 때의 비점착성 수지 필름은, 필름 단품이거나, 비점착성 수지 필름에 점착제가 도포되고, 그 위에 이형지를 가지는 필름 복합품이라도 상관없다.
회전 부재의 형상은, 전사 형성하는 오목홈(모양부)의 형상에 맞춘 것을 이용한다. 예를 들면, 모양부의 형상을, 용지 통과방향을 따른 직선 줄무늬 형상으로 일정 간격으로 정렬된 형상으로 하는 경우, 기어 이빨이 경사져 있지 않은 통상의 기어 형상을 채용하면 좋다.
비점착성 수지 필름은, 현상제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로 비점착성을 가지는 수지 필름이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수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 수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수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ETFE) 수지,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수지,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수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수지,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 수지 등의 공지의 불소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PTFE 수지, PFA 수지, FEP 수지, 또는 ETFE 수지로 이루어지는 불소 수지 필름은, 컬러 토너(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수지를 이용한 토너 등)에 대한 비점착성도 우수하고 또한, 내열성도 충분히 가진다. 또한, 토너에 대한 비점착성을 확보 가능한 범위이면, 비점착성 수지 필름을 케첸 블랙이나 아세틸렌 블랙 등의 카본 미분말(微粉末)을 배합한 비점착성 수지로부터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정전기에 의한 용지 박리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도 있다.
불소 수지 등의 비점착성 수지 필름의 두께는 10 ~ 200μ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40 ~ 80μm이다. 10μm 미만의 두께에서는, 오목홈 형성시에 파단될 우려나, 첩부한 후에도 약간의 마모에 의해서 금속판의 선단부가 노출될 우려가 있다. 또한, 후술하는 필름 첩부 공정에서 주름지기 쉬워져 취급이 곤란해진다. 200μm를 초과하는 두께가 되면 용지 박리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비점착성 수지 필름의 두께가, 상기 범위라도, 헬리컬 기어 형상 등의 회전 부재와 끼워 지지하는 상대 롤러(가압 롤러)가, 금속 롤러 등인 경우는, 오목홈 형성시에 파단의 우려가 있다. 이것에 비해서, 상대 롤러(가압 롤러)로서, 상기와 같이 고무 롤러를 채용하는 것으로, 필름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고무 경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쇼어 A(Shore A)로 50 ~ 1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사시의 하중은, 오목홈의 깊이가 비점착성 수지 필름의 두께의 20 ~ 80%가 되는 하중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회전 부재의 치수가 외경 φ20mm 폭 5mm이면, 예를 들면 5kgf ~ 20kgf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목홈 형성 직후의 오목홈 깊이로부터 시간 경과에 따라 오목홈 깊이가 되돌아와 얕아지는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에 관한 박리 부재의 제조로부터 48시간 후의 오목홈 깊이에 있어서 비점착성 수지 필름의 두께의 20 ~ 80%이면 제조상 및 사용상에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도 4 (a)의 방법에서 얻어지는 오목홈 부가 필름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필름 재료로부터 박리 시트 단위로 비점착성 수지 필름을 잘라내서 사용하는 재료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오목홈으로 이루어지는 모양부를 구비한 연속하는 필름 재료로부터 비점착성 수지 필름을 잘라내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에서는, 홈 형성 공정에서 얻어진 연속하는 필름 재료로부터, 오목홈(5a)으로 이루어지는 모양부(5)가 금속판의 선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형상의 비점착성 수지 필름(4)을, 금속판에 첩부할 때의 2개의 기준 구멍(14a)을 가지는 프레스 다이(型)(14)로 펀칭하고 있다.
또한, 도 4 (b)의 방법은, 도 4 (a)의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이며, 회전 부재(12)의 배치만이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폭의 비점착성 수지 필름(4)의 한쪽 단부에 회전 부재(12)를 배치하고, 이 한쪽 단부에 오목홈(5a)으로 이루어지는 모양부(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 재료를 롤 형상으로 권취한 재료로 할 수 있다. 비점착성 수지 필름(4)은, 매우 얇은 필름이며, 모양부(5)는 형성면의 반대면으로부터도 눈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 롤을,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와 같은 자동 첩부 기계에 장착하여, 후술하는 필름 첩부 공정에 있어서 한쪽 단부의 모양부가 금속판의 선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위치하도록 첩부할 수 있다.
(2) 필름 첩부 공정
이 공정은, 홈 형성 공정에서 얻어진 비점착성 수지 필름을, 상기 복수의 오목홈이 금속판의 적어도 용지 통과측 표면의 상기 선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위치하도록 첩부한다. 도 7에 필름 첩부 공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우선, 도 7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유단부(自由端部)를 남겨서 지지 부재(1b)에 레이저 스팟 용접에 의해 접합한 금속판(2)을 준비한다. 1e는 레이저 스팟 용접 자국이다. 다음에, 도 7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판(2)에의 첩부면인 용지 통과측 표면 반대측에 점착제층을 가지고, 용지 통과측 표면에 모양부(5)가 형성된 비점착성 수지 필름(4)을, 그 길이 방향 양단부를 당기지 않고, 상기 필름의 폭방향 단부에 미첩부 부분을 남기고, 또한 상기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첩부한다. 여기서, 복수의 오목홈으로 이루어지는 모양부(5)가, 금속판(2)의 용지 통과측 표면의 선단부(2a)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위치하도록 위치 결정한다. 다음에, 도 7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점착성 수지 필름(4)의 폭방향 미첩부 부분을 금속판(2)의 최선단(2b)으로부터 이면으로, 상기 필름의 길이 방향 양단부를 당기지 않고, 되접어서 가첩부(假貼付)한다. 마지막으로, 도 7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첩부한 부분을, 비점착성 수지 필름(4)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부를 기점으로 하여 길이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첩부하여, 이면에 고착시킨다.
금속판에의 비점착성 수지 필름의 첩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점착제, 특히, 실리콘계 점착제를 첩부면에 개재시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계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SiO2 단위와 (CH3)3SiO 단위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와 디오르가노폴리실록산 생고무를 축합시켜서 얻은 점착제를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점착제를 개재시키는 것으로, 금속판에 강고하게 접착되고 정착 온도에 있어서도 접착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점착제에 의한 쿠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그 외, 접착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금속판에의 첩부면에, 예를 들면, 코로나 방전 처리, 스퍼터 에칭 처리, 플라즈마 에칭 처리, 금속 나트륨에 의한 TOS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계 점착제의 층의 두께는 5 ~ 50μ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5μm보다 얇으면 접착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50μm보다 두꺼우면 박리 부재 전체적으로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워지는 것으로써 용지 박리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금속판에의 비점착성 수지 필름의 첩부는, 점착제를 개재하지 않고 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첩부면(금속판의 표면)을 플라즈마 에칭 처리 등으로 조면화(粗面化)한 후, 비점착성 수지 필름을 가열 압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과 같이 표면에 오목홈을 가압에 의해 전사 형성한 비점착성 수지 필름을 이용하는 경우, 약간의 물결모양 주름 등이 발생하는 일이 있고, 마찬가지의 오목홈 가공이 없는 종래의 필름을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오목홈의 위치 결정이나 되접어서 첩부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필름 첩부 공정으로서 보다 적합한 공정을 도 8 ~ 도 1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유단부를 남겨서 지지 부재(1b)에 레이저 스팟 용접에 의해 금속판(2)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기재(基材)(1a')를 준비한다. 1e는 레이저 스팟 용접 자국이다. 다음에, 기재(1a')를 유지하는 베이스대(10)의 2개의 기준 핀(10a)을, 기재(1a')의 2개의 구멍(1d)에 삽입한다.
도 9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판에의 첩부면인 용지 통과측 표면 반대면에 실리콘계 점착제(3)를 가지고, 이전 공정에서 용지 통과측 표면에 모양부(5)가 형성된 비점착성 수지 필름(4)에 대해서, 그 용지 통과측 표면에 점착제(11a) 부가의 캐리어 시트(11)를 첩부하고, 이들로 구성되는 복합 필름(4')을 준비한다. 4a는 이형지이다. 또한, 도 9 (a)는 위의 도면이 평면도이며 아래의 도면이 측면도이다. 다음에, 도 10에 나타내는, 컷 지그(19)를 준비한다. 컷 지그(19)는, 나무 틀(19b)에, 금속판에 첩부하는 비점착성 수지 필름의 외주 형상과 베이스대의 기준 핀에 맞춘 위치에 톰슨 칼날(19a)을 고정하고 있다. 도 9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컷 지그를 이용하여, 복합 필름(4')의 비점착성 수지 필름(4)측으로부터, 이형지(4a)와 비점착성 수지 필름(4)에 절단선을 형성하여, 금속판에 첩부하는 비점착성 수지 필름의 외주 형상의 절단선(4b)이 형성된다. 이 때, 캐리어 시트(11)까지는 절단선을 형성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동시에, 캐리어 시트(11)에는, 기준 핀에 맞춘 기준 구멍(11b)이 형성된다. 그 후, 도 9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선이 형성된 복합 필름(4')에 있어서, 비점착성 수지 필름(4)의 중앙부에 또한 2개의 절단선(4c)을 형성한다.
복합 필름(4')의 중앙부의 이형지를 제거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대(10)에 유지된 기재(1a')에 대해서, 절단선을 형성한 복합 시트(4')를, 그 기준 구멍(11b)에 베이스대(10)의 기준 핀(10a)이 삽입되도록 탑재한다. 이 때, 복합 필름(4')의 중앙부를 먼저 기재(1a')에 접착하여 고착시킨다. 계속하여, 중앙부 양측의 박리지(4a')를 제거하고, 기재(1a')에 접착하여 고착시킨다. 다음에, 베이스대(10) 상의 복합 필름(4')의 캐리어 시트(11)를 비점착성 수지 필름(4)으로부터 박리하고, 그 후, 베이스대(10)로부터 비점착성 수지 필름(4)을 첩부한 기재(1a')를 탈거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기재의 길이 방향으로 긴 스펀지체(15)를 2매 중첩하여 세우고, 이것을 유지기(16)로 구속한 되접음 지그(17)를 준비한다. 스펀지체(15)는 유연체이며, 발포시킨 부드러운 수지 등으로 구성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되접음 지그(17)를 이용하고, 비점착성 수지 필름(4)을 첩부한 기재(1a')에 있어서의 금속판(2)의 선단부(2a)를, 비점착성 수지 필름(4)과 함께, 스펀지체(15)의 2매간의 간극 노치 부분(15a)(스펀지체끼리의 접촉부의 상측 단면(端面)을 절결한 형상)으로부터 스펀지체 간의 간극에, 기포가 침입하지 않게 밀어넣어서 삽입한다. 이것에 의해, 선단부(2a)의 양면을 덮도록 비점착성 수지 필름(4)이 첩부된다. 마지막으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1a')를 되접어서 지그로부터 꺼내고, 롤러(18)로 중앙부로부터 좌우로 비점착성 수지 필름(4)을 가압하여 고착시켜서, 박리 시트가 완성된다.
이러한 필름 첩부 공정을 채용하는 것으로, 표면에 오목홈을 가압에 의해 전사 형성한 비점착성 수지 필름을 이용하는 경우라도, 고정밀도로 상기 필름의 첩부가 가능하고, 비점착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주름이나 기포의 존재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박리 부재의 제조 방법은, 금속판에 불소 수지 등의 비점착성 수지 필름을 첩부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의 박리 부재에 있어서, 정착 직후의 용지의 달라붙음을 장기간 방지할 수 있는 박리 부재를, 높은 생산성으로, 또한, 품질의 편차가 없이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전자 사진 장치에 설치되는 정착 롤러 등의 각종 롤러로부터 용지를 박리하기 위한 박리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1: 박리 부재
2: 금속판
3: 실리콘계 점착제
4: 비점착성 수지 필름
5: 복수의 오목홈으로 형성되는 모양부
6: 정착 롤러
7: 가압 롤러
8: 닙부
9: 용지
10: 베이스대
11: 캐리어 시트
12: 회전 부재
13: 우레탄 고무 롤러
14: 프레스 다이
15: 스펀지체
16: 유지기
17: 되접음 지그
18: 롤러
19: 컷 지그

Claims (5)

  1. 금속판과 상기 금속판에 첩부(貼付:adhere)된 비점착성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박리 시트를 가지고, 전자 사진 장치의 정착(定着) 부재에, 상기 박리 시트의 한 장변(長邊)측의 단부(端部)가 되는 선단부를 접촉 또는 근접시켜서, 정착 부재로부터 용지를 박리시키는 박리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금속판에의 첩부 전의 상기 비점착성 수지 필름의 용지 통과측 표면(paper passing side surface)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필름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오목홈을 형성하는 홈 형성 공정과,
    상기 홈 형성 공정에서 얻어진 비점착성 수지 필름을, 상기 복수의 오목홈이 상기 금속판의 적어도 용지 통과측 표면의 선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위치하도록 첩부하는 필름 첩부 공정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부재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형성 공정은, 고무 롤러와 상기 복수의 오목홈을 전사(轉寫) 가능한 회전 부재 사이에 상기 비점착성 수지 필름을 끼워 넣고, 연속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복수의 오목홈을 형성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부재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면이, 헬리컬 기어 형상이며,
    상기 복수의 오목홈은, 상기 형상에 의해 전사된, 용지 통과방향에 대해서 일정 방향으로 경사지고, 또한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된 줄무늬 형상의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부재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홈 형성 공정 후이고 상기 필름 첩부 공정 전에, 상기 복수의 오목홈이 형성된 연속하는 필름 재료로부터, 상기 복수의 오목홈이 상기 선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위치하는 형상의 비점착성 수지 필름을 잘라내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부재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점착성 수지 필름은, 용지 통과측 표면 반대측에 점착제층을 가지고,
    상기 필름 첩부 공정은, 상기 비점착성 수지 필름의 상기 점착제층측에, 상기 금속판의 선단부를, 상기 선단부로부터 상기 비점착성 수지 필름의 단부가 돌출하도록 배치한 후, 인접하는 2개의 유연체의 간극에 상기 비점착성 수지 필름과 함께 상기 금속판의 선단부를 밀어넣는 것으로, 상기 선단부의 양면을 덮도록 상기 비점착성 수지 필름을 첩부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부재의 제조 방법.
KR1020177020094A 2014-12-19 2015-12-18 박리 부재의 제조 방법 KR1024096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57866 2014-12-19
JPJP-P-2014-257866 2014-12-19
PCT/JP2015/085467 WO2016098879A1 (ja) 2014-12-19 2015-12-18 剥離部材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388A KR20170095388A (ko) 2017-08-22
KR102409639B1 true KR102409639B1 (ko) 2022-06-16

Family

ID=56126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0094A KR102409639B1 (ko) 2014-12-19 2015-12-18 박리 부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36984B2 (ko)
JP (1) JP6588327B2 (ko)
KR (1) KR102409639B1 (ko)
CN (1) CN107003636B (ko)
WO (1) WO20160988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89740B2 (ja) * 2015-09-15 2020-11-25 Ntn株式会社 剥離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593458B2 (ja) * 2016-01-15 2019-10-23 株式会社リコー 分離部材、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295938B2 (en) 2016-09-01 2019-05-21 Ricoh Company, Ltd. Separator,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1999A (ja) * 2003-11-27 2005-07-07 Shiizu Kk 板状剥離部材、そ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07047379A (ja) * 2005-08-09 2007-02-22 Ricoh Co Ltd 分離板、該分離板を備えた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043763A (ja) * 2009-08-24 2011-03-03 Ntn Corp 電子写真装置のシート状剥離部材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2013134290A (ja) * 2011-12-26 2013-07-08 Ricoh Co Ltd 用紙分離装置、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3179A (en) 1987-07-07 1989-01-18 Ricoh Kk Transfer paper separating device for fixing device
DE69214614T2 (de) * 1991-12-16 1997-03-20 Xerox Corp Wegnehmbares Haltesystem für Sets von Kopierbogen
JP3622526B2 (ja) 1997-10-16 2005-02-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4093697B2 (ja) * 2000-02-25 2008-06-04 Ntn株式会社 剥離シート
US6584299B2 (en) * 2001-09-28 2003-06-24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JP4055387B2 (ja) * 2001-10-12 2008-03-0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剥離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3122173A (ja) 2001-10-12 2003-04-25 Ntn Corp 剥離部材
JP2003263059A (ja) * 2002-03-08 2003-09-19 Ntn Corp ベルト用剥離シート
US7415233B2 (en) 2003-11-27 2008-08-19 Ntn Corporation Plate-shaped peeling member and method and apparatus of manufacturing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1999A (ja) * 2003-11-27 2005-07-07 Shiizu Kk 板状剥離部材、そ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07047379A (ja) * 2005-08-09 2007-02-22 Ricoh Co Ltd 分離板、該分離板を備えた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043763A (ja) * 2009-08-24 2011-03-03 Ntn Corp 電子写真装置のシート状剥離部材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2013134290A (ja) * 2011-12-26 2013-07-08 Ricoh Co Ltd 用紙分離装置、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88327B2 (ja) 2019-10-09
WO2016098879A1 (ja) 2016-06-23
CN107003636A (zh) 2017-08-01
US20170357195A1 (en) 2017-12-14
US10036984B2 (en) 2018-07-31
KR20170095388A (ko) 2017-08-22
CN107003636B (zh) 2020-08-11
JP2016118785A (ja) 201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911889T3 (en) Hot Embossing device
KR102409639B1 (ko) 박리 부재의 제조 방법
JP6017230B2 (ja) 剥離部材
CN108732897A (zh) 定影装置
CN108369397B (zh) 剥离构件和剥离装置
CN108027581B (zh) 剥离部件的制造方法和制造装置
JP2003263059A (ja) ベルト用剥離シート
JP4681859B2 (ja) 板状剥離部材、そ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07034019A (ja) シート状剥離部材
WO2016043296A1 (ja) 剥離部材
JP2013164551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WO2017099223A1 (ja) 剥離部材および剥離装置
JP2008058371A (ja) 剥離シート
JP6517650B2 (ja) 剥離部材の製造装置
JP6517645B2 (ja) 剥離部材の製造方法
JP6297875B2 (ja) 剥離部材
JP2003122173A (ja) 剥離部材
JP2005049644A (ja) 定着装置
JP2018097027A (ja) 剥離部材
JP2018146947A (ja) 剥離部材
JP4041514B2 (ja) 剥離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6050073A (ja) 弾性体ローラー
JP2008032817A (ja) 定着装置
JP2006154152A (ja) 定着装置及び電子写真装置
JPH0876630A (ja) 定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