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989B1 - 가속 중인 물체의 공간적 음향화 - Google Patents

가속 중인 물체의 공간적 음향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989B1
KR102388989B1 KR1020150086587A KR20150086587A KR102388989B1 KR 102388989 B1 KR102388989 B1 KR 102388989B1 KR 1020150086587 A KR1020150086587 A KR 1020150086587A KR 20150086587 A KR20150086587 A KR 20150086587A KR 102388989 B1 KR102388989 B1 KR 102388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ound
distribution
acceleration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8955A (ko
Inventor
디 센소 다비드
마르티 스테판
Original Assignee
하만인터내셔날인더스트리스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만인터내셔날인더스트리스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하만인터내셔날인더스트리스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08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speed outside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50/16Tactile feedback to the driver, e.g. vibration or force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ccelerator pedal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the control being dependent upon ambient noise level or sound lev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13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tereophonic soun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여기에 제공된 실시예는 차량 내 소리의 분포를 디폴트 구성으로부터 개조하여 운전자에게 그의 행동이 위험하거나 미숙함을 나타내는 피드백 시스템을 설명한다. 피드백 시스템은 속도 높임, 속도 낮춤, 차량의 방향 변경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힘 또는 가속을 모니터링한다. 더욱, 피드백 시스템은 이들 가속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임계치를 갖고 있을 수 있다. 측정된 가속이 임계치를 충족하면, 피드백 시스템은 운전자의 운전 결정이 위험하거나 미숙할 수 있음(예를 들어, 차량에 대한 과도한 마모 및 손상을 야기함)을 그에게 알려주도록 소리의 분포를 개조한다. 더욱, 소리 분포에서의 변화는 전혀 다른 오디오 경보를 출력하는 것에 비해 더 교묘하거나 직관적인 음향화를 제공하도록 운전자 또는 차량에 대한 힘 또는 가속의 효과를 모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속 중인 물체의 공간적 음향화{SPACIAL SONIFICATION OF ACCELERATING OBJECTS}
운전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은 전형적으로 구두 또는 오디오 표시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헤드라이트를 여전히 켜 놓은 채로 또는 키를 여전히 시동 걸린 채로 차 문을 열 때, 많은 차들은 운전자에게 그가 행동을 수행할 것을 잊어버렸을 수 있음을 알려주도록 오디오 경보(예를 들어, 일련의 비프(beep))를 제공한다. 다른 시스템은 차량이 이동 중일 때 운전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전자는 급속히 다른 차량에 접근 중일 수도 있고 다른 차량이 그의 사각 지대에 위치하고 있을 때 차선을 변경하려 시도 중일 수도 있다. 또다시, 일부 시스템은 운전자에게 그 위험을 경고하도록 오디오 경보를 제공한다. 시스템은 정보를 전하거나 데이터를 인지시키기 위해 말-아닌 오디오의 사용인 음향화를 사용하여 오디오 경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렇지만,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오디오 경보의 유형은 보통 운전자에게 인지의 부담을 더한다. 즉, 운전자는 오디오 경보를 처리하고 오디오 경보가 뜻하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그처럼, 오디오 경보는 그것이 유용하기보다는 더 산만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경보는 운전자가 과잉 교정하게 야기하여 운전자를 다른 위험한 상황에 둘 수 있다. 일부 운전자 피드백 시스템(feedback system)에 대하여, 더 절묘하거나 직관적인 기술이 소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센서 및 센서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과 연관된 힘 및 가속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힘 검출 컴포넌트(force detection component)를 포함하는 피드백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피드백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힘 및 가속이 임계치를 충족한다고 결정시, 소리의 분포에서의 변화가 차량 또는 차량 내부 사람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힘 또는 가속의 효과를 모방하게 되도록 디폴트 구성에 비해 차량의 청취 환경 내 소리의 분포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audio distribution component)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센서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과 연관된 힘 및 가속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힘 및 가속이 임계치를 충족한다고 결정시, 그 방법은 소리의 분포에서의 변화가 차량 또는 차량 내부 사람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힘 및 가속의 효과를 모방하게 되도록 디폴트 구성에 비해 차량의 청취 환경 내 소리의 분포를 변화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하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구체화해 놓은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는 센서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과 연관된 힘 및 가속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힘 및 가속이 임계치를 충족한다고 결정시, 소리의 분포에서의 변화가 차량 또는 차량 내부 사람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힘 및 가속의 효과를 모방하게 되도록 디폴트 구성에 비해 차량의 청취 환경 내 소리의 분포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1은 검출된 힘 또는 가속에 기반하여 복수의 스피커 간 소리의 분포를 조절하는 차량의 도면;
도 2a 내지 도 2d는 검출된 힘 또는 가속에 기반하여 차량의 실내 소리의 분포를 조절하는 예시적 평면도;
도 3a 내지 도 3d는 검출된 힘에 기반하여 차량의 실내 소리의 분포를 조절하는 예시적 측면도;
도 4는 차량의 속도에 기반하여 차량의 실내 소리의 분포를 조절하는 예시도;
도 5는 검출된 힘 또는 가속에 기반하여 차량의 실내 소리의 분포를 조절하기 위한 순서도; 및
도 6은 차량 내 소리의 분포를 조절하기 위한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면.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똑같은 참조 숫자는, 가능한 경우, 도면에 공통인 똑같은 구성요소를 지정하는데 사용되었다. 하나의 실시예에 개시된 구성요소는 특정 나열 없이도 다른 실시예에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고 생각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참조된 도면은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축척대로 그려져 있다고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도면은 흔히 단순화되고 상세 또는 컴포넌트가 제시 및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생략되어 있다. 도면 및 논의는 아래 논의되는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하며, 거기서 유사한 지명은 유사한 구성요소를 표시한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차량의 실내 내 소리의 분포를 변화시킴으로써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을 개시한다. 불연속형 소리(비프, 차임 또는 다른 오디오 경보)를 출력하는 대신에, 피드백 시스템은 차량 내 소리의 분포를 제어하는 복수의 스피커와 연관된 디폴트 설정(예를 들어, 페이드 및 밸런스)을 변화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피커 간 소리 분포에서의 변화는 차에 대한 힘에 대응한다. 다르게 말하자면, 소리 분포에서의 변화는 힘(또는 가속)이 차량 또는 운전자에 대해 갖는 효과를 모방한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좌회전을 개시하면, 소리 분포는 좌측 상의 스피커가 초기 또는 디폴트 구성에 비해 소리의 더 적은 부분을 출력하면서 차량의 우측 상의 스피커가 소리의 더 큰 부분을 출력하도록 개조될 수 있다. 운전자가 회전을 완료하고 나면(또는 힘이 기정의 임계치 아래로 떨어지고 나면), 소리 구성은 디폴트 구성으로 복귀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피드백 시스템은 운전자의 행동이 위험하거나 미숙할 때를 그에게 나타내기 위해 소리 분포를 개조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피드백 시스템은 운전자가 그의 운전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그에게 훈련 또는 지시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피드백 시스템은 속도 높임, 좌회전 또는 우회전, 제동 등과 같이 차량의 운동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힘 또는 가속을 모니터링한다. 더욱, 피드백 시스템은 이들 힘 또는 가속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임계치를 갖고 있을 수 있다. 측정된 힘 또는 가속이 임계치를 충족하면, 피드백 시스템은 운전자의 운전 결정이 위험하거나 미숙할 수 있음(예를 들어, 차량에 대한 과도한 마모 및 손상을 야기함)을 그에게 알려주도록 소리의 분포를 개조한다. 더욱, 임계치는 여러 다른 숙련도를 갖는 운전자에 대하여 피드백 시스템을 커스터마이징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임계치는 운전하는 방법을 배우고 있는 초보 운전자보다 노련한 운전자에 대해 더 높을 수 있다.
도 1은, 여기서 설명되는 일 실시예에 따라, 검출된 힘 또는 가속에 기반하여 복수의 스피커 간 소리의 분포를 조절하는 차량(100)이다. 여기서는 차량(100)을 설명하는데 사용된 주요 예가 청취 환경으로서 밀폐된 실내를 갖는 차이기는 하지만, 본 발명이 그처럼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에서의 실시예는 차량 상의 또는 그 내부의 사람(예를 들어, 운전자 또는 승객)에 관하여 소리의 분포를 개조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복수의 스피커(105)를 포함하는 어떠한 차량(예를 들어, 비행기, 보트, 모토사이클, 트럭, 놀이기구 등)에라도 적용될 수 있다. 더욱, 청취 환경은 완전히 밀폐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측면이 모토사이클, 보트 또는 놀이기구와 같은 경우에서처럼 외부에 노출될 수도 있다. 더더욱, 청취 환경은 차량에 대한 힘 또는 가속을 측정함으로써 구한 데이터가 그 후 사용자에게 강화된 체감을 제공하도록 극장 또는 가상 환경 내 재생 중인 소리의 분포를 변화시키는데 사용되는 극장 또는 가상 환경일 수 있다.
스피커(105)는 차량(100) 내에서 어떠한 방식으로라도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는 전형적으로는 앞에 적어도 2개의 스피커와 뒤에 2개의 스피커를 포함한다. 여러 다른 각각의 위치에 복수의 스피커를 놓음으로써, 차량(100)은 운전자에게 다-방향 소리 체감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피커는 조향가능한 스피커 어레이에 장착되거나 또는 차량은 스피커로부터 방출된 소리 신호를 반사, 증폭, 아니면 조작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 성형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방향성 및 가청 원근법의 환상을 생성하는 입체 음향 소리(더 흔하게는 스테레오 사운드라고 지칭됨)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 차량(100)에 부착되어 있는 스피커(105) 대신에, 스피커(105)는, 예를 들어, 헤드폰 잭 또는 무선 통신(예를 들어, Bluetooth®)을 통하여 피드백 시스템에 통신 결합되어 있는,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헤드폰일 수 있다. 스피커(105)가 차량(100)에 고정되어 있는지 또는 이동가능한지(예를 들어, 액추에이터에 부착됨 또는 차량(100) 내 사람에 착용됨)에 무관하게, 피드백 시스템은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이들 스피커(105)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의 분포를 개조할 수 있다.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하여, 차량(100)은 피드백 시스템의 일부분인 힘 검출 컴포넌트(110) 및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115)를 포함한다. 힘 검출 컴포넌트(110)는 차량(100)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힘 또는 가속을 측정하도록 사용된다. 이들 측정된 값은 운전자가 가속(예를 들어, 속도 증가), 속도 낮춤(예를 들어, 브레이크 활성화), 또는 차량의 방향을 변경(예를 들어,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는 결과일 수 있다. 힘 검출 컴포넌트(110)는 차량(100) 내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차량 또는 운전자에 대한 힘 또는 가속을 측정하도록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가속"은, 본 개시에서 사용될 때, 운전자가 차량(100)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지칭하도록 흔히 사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가속이 그렇게 한정되지는 않고 운전자가 차량을 제동하거나 회전시킬 때 야기되는 가속을 망라한다.
힘 검출 컴포넌트(110)는 측정된 힘을 특정 운전자 행동과 연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110)가 센서 데이터에 기반하여 차가 급속히 속도를 낮추고 있다고 결정하면, 컴포넌트(110)는 이러한 힘을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가하는 것에 연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센서는 운전자 행동과 연관될 수 있다. 즉, 피드백 시스템은 모니터링되고 있는 운전자 행동의 각각의 유형에 대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속도 높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 제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 차량의 방향 변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 등.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힘 검출 컴포넌트(110)는 운전자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특정 행동을 식별하도록 조향 또는 제동 시스템과 같이 차량(100) 내 다른 시스템과 통신한다. 이러한 식으로, 힘 검출 컴포넌트(110)는 측정된 힘을 운전자 행동과 더 잘 연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측정된 힘 또는 가속 및 연관된 운전자 행동은 측정된 힘을 하나 이상의 임계치에 비교할 수 있는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115)에 포워딩된다. 각각의 운전자 행동은 차량(100) 내 소리의 분포를 변화시킬 때를 결정하도록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115)에 의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임계치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시스템은 측정된 힘 또는 가속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소리 분포를 개조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차량이 지정된 방향으로 기정의 지-포스 값 또는 다른 가속을 체감할 때. 임계치가 충족되고 나면,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115)는 디폴트 구성에 비해 차량(100) 내 소리의 분포를 변화시킨다. 그렇게 하기 위하여,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115)는 스피커(105)에 통신 결합될 수 있고 그들 출력을 제어하기 위함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115)는 오디오 신호를 다수의 증폭기(또는 증폭기 채널)에 분포시킬 수 있고, 차례로 스피커(105)를 구동할 수 있다.
일례에 있어서,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115)는 운전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스피커(105)의 페이드 및/또는 밸런스를 변화시킨다. 여기서 사용될 때, 페이드는 소리 분포의 전방-대-후방 비를 설정하는 한편, 밸런스는 소리 분포의 승객측-대-운전자측 비를 설정한다. 차량(100) 내 운전자(또는 승객)는 그의 특정 취향에 맞도록 디폴트 구성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소리의 디폴트 분포는 운전자에 의해 설정된 특정 페이드 및 밸런스 값에 의해 제어된다.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하여,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115)는 이들 값을 변화시킬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115) 소리의 분포를 변화시키도록 다른 파라미터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시스템의 페이드 및 밸런스 설정을 변화시키는 대신에,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115)는 특정 스피커를 겨냥하여 그 볼륨을 변화시킬 수도 있고, 컴포넌트(115)는 운전자 행동에 기반하여 개개의 스피커(105)의 개개의 오디오 출력을 설정하는 예정된 소리 분포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각각의 운전자 행동에 대하여,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115)는 디폴트 구성으로부터 소리 분포를 변화시키는 대응하는 설정을 선택한다.
더욱, 소리 분포에서의 변화는 차량(100) 또는 운전자에 가해지고 있는 힘을 모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차량을 좌회전시킬 때, 이러한 가속은 운전자가 우측으로 끌어 당겨지게 야기한다(구심력). 운전자에 대한 이러한 물리적 효과를 모방하기 위하여, 오디오 검출 컴포넌트(115)는 소리의 더 많은 양이 디폴트 구성에서보다는 최우측 스피커(105)로부터 출력되고 있도록 소리의 분포를 편이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검출 컴포넌트(115)는 소리의 더 많은 양이 운전자측 스피커보다는 승객측 스피커를 사용하여 출력되도록 오디오 시스템의 밸런스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것은 승객측 스피커의 볼륨을 감소시키는 것, 운전자측 스피커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것, 또는 그 둘의 소정 조합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이러한 음향화 유형은 - 즉, 운전자 또는 차량(100)에 발휘되는 물리적 힘을 모방하도록 소리 분포를 변화시키는 것은 - 아래에 더 상세히 논의될 것이다.
부가적으로, 위에서 제공된 예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소리 분포를 변화시킬 때,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115)는 측정된 힘 또는 가속의 실증적 값을 고려할 수 있다. 다르게 말하자면,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115)는 측정된 힘에 비례하여 디폴트 구성으로부터 소리의 분포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검출 컴포넌트(115)가 임계치가 충족된다고 결정하고 소리의 분포를 개조하기 시작하고 나면, 컴포넌트(115)가 소리 분포를 개조하는 정도는 측정된 힘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전자가 차량(100)의 속도를 매 초마다 시간당 5 마일만큼씩 증가시키면,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115)는 소리의 더 많은 양이 전방 스피커보다는 후방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도록 스피커(105)의 페이드를 변화시키기 시작할 수 있다. 그 후 운전자가 차량의 속도를, 예를 들어, 매 초마다 시간당 8 마일만큼씩 증가시키면, 소리 분포는 비례하여 증가될 수 있다 - 예를 들어, 소리의 훨씬 더 많은 양이 후방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도록 페이드가 더 증가된다. 그렇지만, 운전자가 가속을 감소시키면, 컴포넌트(115)는 소리의 분포를 다시 디폴트 구성으로 되돌리기 시작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운전자가 측정되는 가속을 증가시킬 때,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115)는 소리의 분포를 더 개조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측정된 힘 또는 가속이 충분히 빈번하게 샘플링되면, 그때 소리 분포에서의 변화는 매끄러운 전이로서 운전자에 의해 인지된다. 개조된 소리 분포가 계속 디폴트 구성으로부터 벗어날 때, 운전자는 피드백을 점차로 인식하게 될 수 있다.
더욱, 측정된 힘의 값에 기반하여 소리의 분포에서의 변화를 스케일링하는 것은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115)가 기정의 임계치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행해질 수 있다. 즉, 어떠한 측정된 힘 또는 가속이라도 소리 분포를 개조하도록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115)를 트리거링할 수 있다.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115)가 운전자의 행동이 측정된 힘 또는 가속을 야기하였다고 결정하고 나면, 컴포넌트(115)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힘 또는 가속의 효과를 모방하도록 소리 분포를 개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100)은 단 하나의 스피커(105)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다-방향 소리를 모방하는데 단 하나의 스피커(105)만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스피커가 운전자의 전방에 위치결정될 수 있다. 운전자가 빨리 가속하면, 소리는 감소될 것이지만, 운전자가 감속하면, 출력 소리는 더 크게 될 것이다. 다른 일례에 있어서, 스피커(105)는 스피커(105)의 정향 또는 위치를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에 접속될 수 있다. 스피커가 차량(100) 내 중앙 위치에 장착된다고 가정하면, 그때 액추에이터는 출력 소리가 차량의 어떤 측면으로부터 나오는 것처럼 보이게 하도록 스피커(105)의 정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전자가 급격하게 우회전을 하면, 액추에이터는 출력 소리가 차량(100)의 좌측으로부터 기원하는 것처럼 운전자에게 보이게 되도록 스피커(105)를 패닝(pan)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피커(105)는 레일 상에 장착되고 그 후 다-방향 소리를 제공하도록 레일을 따라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는,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따라, 검출된 힘 또는 가속에 기반하여 차량(100)의 실내 소리의 분포를 조절하는 평면도를 예시하고 있다. 도 2a 내지 도 2d에 있어서, 지붕 구조는 차량(100)의 실내(또는 객실)를 보여주기 위해 제거되었다. 더욱, 좌석, 운전대, 대시보드 등과 같이 차량(100) 내에서 전형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다른 특징들도 제거되었다.
차량(100)은 4개의 스피커(105A, 105B, 105C, 105D)를 포함한다.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들 스피커(105)의 배열 및 수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일 뿐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100)은 차량(100) 내에서 어떠한 방식으로라도 배열될 수 있는 어떠한 수의 스피커(105)라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스피커(105)는 실내의 바닥 가까이에 장착될 수 있는 한편, 다른 일부는 운전자와의 눈 높이에 또는 지붕에 장착된다. 더욱, 스피커의 배열은 대칭적일 필요는 없다 - 즉, 차량(100)의 운전자측에는 승객측과는 다른 수의 스피커(105)가 있을 수 있다. 더욱,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스피커(105)는 운전자에 의해 (예를 들어, 헤드폰으로서) 착용되거나 액추에이팅될 수 있다.
각각의 스피커(105)의 볼륨을 표현하기 위하여, 도 2a 내지 도 2d는 스피커(105)의 출력 가까이에 곡선을 제공하고 있고, 여기서 더 많은 곡선은 더 큰 볼륨을 의미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스피커(105)는 각각의 스피커(105)가 소리를 동일한 볼륨으로, 이것이 요건이 아니기는 하지만, 출력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동일한 수의 곡선과 연관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피커들은 여러 다른 목적을 서비스 제공하고 있을 수 있고 그리하여 동일한 소리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러 다른 스피커(105)는 여러 다른 오디오 출력 채널과 연관될 수 있다 - 예를 들어, 베이스 스피커 또는 서브우퍼는 전형적으로 오디오 표현에 대해 트위터 스피커와는 다른 소리를 출력한다. 차량(100) 내 특정 오디오 구성과 무관하게, 디폴트 구성(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구성)은 운전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개조될 수 있다. 그렇지만, 아래에 논의되는 실시예에 대하여는, 4개의 스피커(105)가 동일한 스피커 유형이고 동일한 소리를 출력한다고 가정된다.
운전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려 시도할 때 불연속형 소리를 출력하는 대신에, 피드백 시스템은 스피커(105)에 의해 이미 출력되고 있는 소리를 사용한다. 즉, 피드백 시스템은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에 의해 이미 재생되고 있는 소리의 분포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적합한 소리의 비-한정적 예는 음악, 말, 주위 소리(예를 들어, 차량(100)의 외부 또는 내부 상에 장착된 음향 트랜스듀서로 캡처링될 수 있는 바람, 비, 도로 소음 등과 같이 차량(100) 밖에서 일어나는 소리), 기-녹음된 소리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소리는 라디오에서 재생되거나 CD 또는 MP3 플레이어에 녹음된 노래일 수 있다. 측정된 힘 또는 가속에 기반하여, 피드백 시스템의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운전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스피커(105)가 소리를 출력하는 방법(예를 들어, 스피커(105) 간 음악의 분포)을 개조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피드백 시스템은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에 의해 이미 재생되고 있는 소리에 어떤 소리를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는 이미 음악을 재생하고 있거나 토크 라디오를 청취하고 있을 수 있다. 이들 소리에 부가하여, 피드백 시스템은 기정의 소리(예를 들어, 비 또는 도로 소음)도 출력하라고 오디오 시스템에 지시할 수 있다. 측정된 힘 또는 가속이 임계치를 충족하는 것에 응답하여, 그 후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원래 소리(예를 들어, 음악 또는 토크 라디오)의 분포가 변하지 않게 두면서 운전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이러한 기정의 소리의 분포를 개조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피드백 시스템은 스피커(105)가 소리를 출력하는 진폭을 변화시키는 것 외에는 소리의 특성을 개조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피드백 시스템은 소리의 템포(예를 들어, 소리의 속도를 높이거나 낮춤), 피치 또는 리듬을 변화시키지 않는다. 대신에,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 상에서 현재 재생되고 있는 어떠한 소리(예를 들어, 음악, 토크 라디오, 광고 등)라도 소리를 발생시키는 스피커(105) 중 하나 이상의 출력 볼륨을 개조함으로써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유익하게는, 템포, 피치 및 리듬과 같은 소리 특성은 변하지 않고 남아있지만 소리가 차량(100) 내 분포되는 방법은 개조된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디폴트 구성에 비해 소리 분포를 변화시키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2b에 도시된 소리 분포에서의 변화는 운전자가 전진 방향으로 차량(100)을 가속할 때에 대응한다. 가속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115)는 후방 스피커(105C, D)의 볼륨이 감소하면서 전방 스피커(105A, B)의 볼륨이 증가하게 되도록 소리의 분포를 변화시킨다. 그리하여, 소리 분포에서의 변화는 가속의 효과가 운전자에 의해 인지되는 방법을 모방한다. 즉, 가속에 의해 좌석으로 뒤로 밀리는 운전자 느낌과 유사하게, 소리가 실내의 후방 부분으로 뒤로 "밀린다". 예시적으로, 소리 분포를 변화시킴으로써, 소리는, 예를 들어, 물이 거동하였을 방법을 모방한다. 차량의 가속은 물이 차의 후방으로 돌진하도록 강제하였을 것이다. 소리 분포가 유사한 방식으로 작용하도록 제어되기 때문에, 운전자는 소리 분포에서의 변화를 그의 행동 - 즉, 차량(100)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에 직관적으로 연관시킨다.
도 2b가 전방 스피커(105A, B)의 볼륨을 감소시키는 것 및 대응하여 후방 스피커(105C, D)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것이 요건은 아니다. 대신에, 전방과 후방 스피커(105) 간 관계를 변화시킴으로써(즉, 소리의 분포가 디폴트 구성에 비해 변화됨), 피드백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한다. 이것은 전방 스피커(105A, B)의 볼륨을 감소시키기만 하는 것 또는 후방 스피커(105C, D)의 볼륨을 증가시키기만 하는 것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소리 분포에서의 변화는 측정된 힘 또는 가속에 비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차량(100)을 가속하도록 가스 페달을 더 힘껏 밟을수록, 디폴트 구성과 개조된 분포 간 격차는 더 크다. 즉, 후방 스피커(105C, D)에 의해 출력되는 소리가 점점 더 지배적으로 된다. 더욱, 측정된 힘이 변화함에 따라, 소리 분포는 또한 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는 처음에 소리의 대다수가 후방 스피커(105C, D)에 의해 출력되도록 가속하지만, 그 후 그가 이러한 소리 편이를 인지하고 나면 그의 가속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응답하여, 피드백 시스템은 소리 분포에서의 변화를 그것이 디폴트 또는 기-조절된 구성에 접근하게 되도록 역으로 할 수 있다.
도 2c는 차량 감속(즉, 후진 방향으로 가속)에 응답하여 도 2a에 도시된 디폴트 구성에 비해 소리 분포를 변화시키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도 2b에 도시된 소리 분포에서의 변화와는 반대로, 여기에서는, 후방 스피커(105C, D)의 볼륨이 감소하면서 전방 스피커(105A, B)의 볼륨이 증가할 수 있다. 도 2b처럼, 도 2c는 소리의 분포를 개조하는 단 하나의 방법만을 예시하지만 한정적 예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대신에 도 2c는 전방과 후방 스피커(105) 간 관계를 변화시키는 것이 운전자에게 그가 차량을 너무 급속히 속도를 낮추도록 브레이크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려줄 수 있다는 일반적 개념을 예시하고 있다. 응답하여, 운전자는 더 일찍 속도를 낮추거나, 그의 주변을 더 인식하거나, 더 느린 속도로 주행함으로써 이러한 습관 또는 거동을 교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피드백 시스템은 소리 분포를 개조하기 전에 차량(100) 내 다른 시스템으로부터의 입력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시스템은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소리 분포 변화를 트리거링하는 전진 및 후진 가속이 지형으로부터인지 운전자의 행동으로부터인지 결정할 수 있다. 차량(100)이 급경사를 갖는 도로를 타고(예를 들어, 언덕 위로) 주행하고 있으면, 후진 가속은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누르는 것보다는 경사의 결과일 수 있다. 그와 같이, 제동 시스템이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누르고 있지 않다고 피드백 시스템에 보고하면, 피드백 시스템은 소리 분포를 개조하지 않을 수 있다. 유사하게, 차량(100)이 가파른 언덕 아래로 주행하고 있으면, 전진 가속은 운전자가 빨리 가속하는 것보다는 중력의 결과일 수 있다. 그와 같이, 측정된 가속은 무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센서(예를 들어, 가속도계 또는 자이로스코프)는 차량의 정향을 설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언덕 위 또는 아래로 주행하고 있으면, 가스 또는 브레이크 페달을 누르는 것과 같은 운전자의 행동에 의해 야기된 가속을 피드백 시스템에 제공하기 위해 중력으로부터의 가속은 무시(또는 보상)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운전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때를 결정할 때 지형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언덕 아래로 주행하면서 제동하고 있으면, 소리 분포를 개조할지 결정할 때 중력의 힘이 고려될 수 있다. 피드백 시스템은 지형이 경사져 있을 때 속도를 낮추는데 부가적 시간이 필요로 됨을 운전자에게 지시하고 싶어할 수 있고, 그리하여, 차량의 정향 또는 중력의 힘은 소리 분포를 변화시킬 때를 결정할 기준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d는 차량이 회전을 할 때 측방향으로 가속되는 것에 응답하여 도 2a에 도시된 디폴트 구성에 비해 소리 분포를 변화시키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 소리 분포는 운전자측 스피커(105B, D)의 볼륨을 증가시키고 승객측 스피커(105A, C)의 볼륨을 감소시킴으로써 개조된다. 도 2b 및 도 2c에서처럼, 소리 분포에서의 변화는 측정된 힘 또는 가속에 비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이 급격할수록(차량의 속도는 상수라고 가정함), 소리 분포의 디폴트 구성과 도 2d에 도시된 개조된 분포 간 격차는 더 크다. 즉, 운전자측 스피커(105B, D)에 의해 출력되는 소리는 점점 더 지배적으로 된다. 더욱, 소리 분포는 또한 측정된 힘 또는 가속과 함께 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소리 분포를 변화시킬지 결정할 때 차량의 속도를 고려한다. 차의 속도와 무관하게, 차량(100)을 회전시킬 때에는 소정 측방 가속이 일어날 것이다. 가속의 양은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속도와 더불어 회전의 급격도에 의존한다. 매우 급격한 회전(예를 들어, 직교하는 측면 도로로 회전 또는 스위치백)에 대하여 측방 가속은 차량의 속도가 합리적이더라도 클 수 있다. 그와 같이,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속도에 기반하여 최소 임계치를 가질 수 있다. 차량이 최소 임계치 아래로 주행하고 있으면, 측정된 측방 가속에 무관하게,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소리 분포를 개조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소리 분포가 개조되어야 하는지 결정하도록 속도와 측정된 측방 가속을 밸런싱하는 관계(예를 들어, 등식)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하여, 측방 가속이 크더라도, 차량의 속도의 맥락에 놓일 때, 피드백 시스템은 운전자의 행동이 위험하지도 않고 차량에 과도한 마모를 야기하지도 않는다고 결정할 수 있고 측정된 측방 가속은 무시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따라, 검출된 힘에 기반하여 차량의 실내에서의 소리의 분포를 조절하는 측면도를 예시하고 있다. 차량(100)의 평면도를 예시하는 도 2a 내지 도 2d와 달리, 도 3a 내지 도 3d는 차량의 실내(305)의 단면도를 예시하고 있다. 소리 분포에서의 변화를 전하기 위해, 실내(305)는 차량(100) 내 소리 분포(310)를 예시하는 해싱으로 부분적으로 채워져 있다.
도 3a는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의 디폴트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 소리 분포(310)는 실내를 쭉 통하여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의 각각은 동일한 양의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서브우퍼 또는 트위터와 같은 어떠한 전문 스피커도 무시할 때). 그렇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디폴트 구성은 운전자에 의해 설정된 커스터마이징된 설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는 뒷좌석에서 자고 있는 아이를 데리고 있을 수 있고 전방 스피커가 후방 스피커보다 소리의 더 많은 양을 출력하는 것으로 태스킹되도록 페이드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승객은 운전자보다 더 크게 음악을 듣기를 선호할 수 있고 그 경우에 디폴트 구성은 운전자측 스피커보다는 승객측 스피커로부터 더 큰 볼륨을 출력하는 것이다. 도 3b 내지 도 3d에 예시된 일반적 개념은 소리가 운전자의 행동의 효과를 모방하게 되도록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가 디폴트 구성을 변화시켜, 그로써 운전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3b는 차량(100)이 전진 방향으로 가속하는 것(즉, 차량(100)의 속도를 높임)에 응답하여 도 3a에 도시된 디폴트 구성에 비해 소리 분포를 변화시키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리 분포(310)는 소리의 더 많은 양이 실내(305)의 전방에서보다 차량의 실내(305)의 후방에 있게 되도록 편이되어 있다(즉, 소리가 차량(100)의 후방에서 더 크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소리의 총량은 전방 스피커에 의해 출력되는 볼륨을 대응하여 감소시킴으로써 후방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어떠한 부가적 볼륨이라도 보상함으로써 유지될 수 있다. 그렇지만, 이것이 요건은 아니다. 후방 스피커의 볼륨만을 증가시키고 전방 스피커의 볼륨을 일정하게 두는 것에 의해, 또는 전방 스피커의 볼륨만을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유사한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그렇지만, 운전자는 전방 및 후방 스피커의 볼륨이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둘 다 변화되면 소리 분포에서의 변화를 더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도 3c는 차량(100)이 후진 방향으로 가속하는 것(즉, 차량(100)의 속도를 낮춤)에 응답하여 도 3a에 도시된 디폴트 구성에 비해 소리 분포(310)를 변화시키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도 3b와는 반대로, 여기서 소리 분포(310)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스피커의 볼륨이 감소되면서 전방 스피커의 볼륨이 증가되도록 차량의 전방으로 편이되어 있다. 또다시, 전방 스피커의 볼륨만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또는 후방 스피커의 볼륨만을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유사한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이들 상황에 있어서, 차량의 실내(305)에서의 소리의 총 볼륨은 변화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소리 분포(310)에서의 변화율에 기반하여 스플래시 효과를 발생시킨다. 스플래시 효과는 안전하지 않거나 해로운 행동에 대하여 운전자에게 부가적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차의 속도를 빨리 높이거나 브레이크를 "콱 밟으면",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물이 동일 가속을 받게 되면 실내(305)에서 하였을 것을 모방하는 스플래시 효과를 개시할 수 있다. 측정된 가속이 가속 없음으로부터 운전자가 그 최대 속력으로 가스 페달을 누르거나 브레이크를 꾹 밟을 때 일어나는 큰 양의 가속으로 급속히 변화되면,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스플래시를 제공하도록 소리 분포(310)에서의 편이를 과장한다. 소리 분포가 도 3a에 도시된 분포(310)로부터 도 3c에 도시된 것으로 변화되는 대신에, 소리 분포(310)는 전방 스피커가 후방 스피커에 비해 소리의 훨씬 더 많은 양을 출력하게 되도록 도 3c에 도시되어 있는 것을 초과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스플래시 효과를 트리거링할 때를 결정하기 위해 힘 또는 가속이 변화되는 변화율을 모니터링한다. 가속의 변화율이 감소되고 나면,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도 3c에 도시된 정상 상태 분포(310)로 소리 분포(310)를 감축할 수 있다. 소리 분포(310)에서의 변화를 과장함으로써, 피드백 시스템은 운전자의 행동이 해롭거나 위험할 수 있다는 더 분명한 경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스플래시 효과를 전하도록 운전자에게 가장 가까운 스피커를 사용한다. 이들 스피커는 단지 2-D 오디오 시스템보다는 3-D 오디오 시스템의 일부분일 수 있다. 차량(100)은 운전자측 문의 상위 부분 또는 차량의 지붕에와 같이 운전자의 머리 가까이에 있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플래시 효과가 트리거링될 때,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가속 변화율이 기정의 임계치를 초과할 때 이들 스피커의 볼륨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렇지만, 변화율이 임계치 아래로 떨어지고 나면, 운전자에 가장 가까운 스피커의 볼륨은 감축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전방 스피커(예를 들어, 대시보드 또는 문의 하위 부분에 통합된 전방 스피커)의 볼륨은 높게 남아있을 수 있다. 즉, 제동시 스플래시 효과가 트리거링될 때, 모든 전방 스피커의 볼륨 출력이 증가될 수 있다. 스플래시 효과는 그 후 스피커 중 일부(예를 들어, 운전자에게 가장 가까운 스피커)의 볼륨을 감축하는 한편 다른 전방 스피커의 볼륨이 도 3c에 도시된 분포(310)에서의 변화를 제공하도록 유지되게 함으로써 제거된다.
도 3d는 후방으로부터 볼 때 차량(100)의 단면을 예시하고 있다. 이 예에 있어서, 차량(100)은 좌회전을 하고 있고 결과로서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소리 분포(310)를 물이 거동하였을 방식과 유사하게 실내(305)의 우측으로 향하여 편이시킨다. 이러한 재분포를 성취하기 위하여,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승객측과 운전자측 스피커 간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승객측 스피커의 볼륨이 증가되고 운전자측 스피커의 볼륨이 감소된다. 물론, 이들 볼륨 변화 중 둘 다보다는 단지 하나만이 수행되면 유사한 효과가 일어난다.
더욱, 도 3b 내지 도 3d에 도시된 분포(310)에서의 변화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차량(100) 내 특정 사람 가까이에 있는 스피커(예를 들어, 운전자에 가까이 있는 스피커)만을 변화시키면서 차량(100) 내 다른 스피커의 출력 볼륨은 변하지 않게 둘 수 있다. 그렇게 하는 것은 운전자에게 여전히 피드백을 제공하지만 차량(100) 내 다른 승객의 청취 체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은 운전자 뒤 머리 받침대에 장착된 스피커 및 운전자의 전방 대시보드에 장착된 스피커를 갖고 있을 수 있다. 운전자가 너무 급속히 제동하였을 때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대시보드 스피커의 볼륨은 증가되면서 머리 받침대에서의 스피커의 볼륨은 감소된다. 그러나 앞좌석 승객 가까이 대시보드에서의 스피커 및 차량(100)의 후방에서의 스피커는 변하지 않게 남아있을 수 있다. 유익하게는, 소리 분포에서의 변화가 운전자 가까이에서 국소화되므로 그들 승객의 청취 체감은 덜 영향을 받는다. 다른 일례에 있어서, 운전자가 피드백 시스템이 너무 급격하다고 여기는 회전을 할 때, 차량(100)의 후방 내 스피커의 밸런스는 변화되지 않으면서 차량(100)의 전방 내 스피커에서의 밸런스만이 변화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량(100)의 뒷좌석 내 승객의 청취 체감은, 예를 들어,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 내 모든 스피커 간 밸런스를 변화시키는 것에 비해 영향을 덜 받는다.
도 4는, 여기에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속도에 기반하여 차량의 실내에서의 소리 분포를 조절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소리의 분포가 힘 또는 가속에 기반하여 트리거링되는 도 2a 내지 도 2d 및 도 3a 내지 도 3d에서와는 달리, 여기서 피드백 시스템은 차량의 속도에 기반하여 소리 분포(400)를 변화시킨다. 피드백 시스템은, 예를 들어, 속도 제한을 알고 있는 GPS 시스템, 또는 도로 옆 속도 제한 표지의 이미지를 캡처링함으로써 속도 제한을 식별하는 이미지 캡처링 시스템을 사용하여 특정 도로에 대한 속도 제한을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피드백 시스템은 운전자가 속도를 내고 있는지 결정하도록 속도 제한을 차량의 현재 속도에 비교한다. 그러하다면, 도 4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피드백 시스템은 소리의 분포를 일정하게 변하게 함으로써 소리 일렁임을 만든다. 즉, 차량(100)의 실내(305)에서 고정된 참조점에 대해, 소리의 볼륨은 운전자가 속도를 내고 있음을 나타내도록 주기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할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스피커의 볼륨은 현재 볼륨 설정 주위에서 발진할 수 있다. 더욱, 발진하는 스피커는 그들이 동일한 발진 패턴 또는 위상-편이된 패턴을 갖게 되도록 동기화될 수 있다. 후자의 일례로서, 일 시점에서 승객측 스피커의 볼륨은 현재 볼륨 설정 아래로 감소되면서 운전자측 스피커의 볼륨은 현재 볼륨 설정 위로 증가될 수 있지만 볼륨 관계는 추후 시점에서는 역으로 된다.
부가적으로, 피드백 시스템은 스피커의 출력 볼륨을 개조함으로써 소리의 분포만을 변경하기보다는 소리의 특성 묘사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시스템은 템포의 속도를 높이거나(즉, 소리가 음악인 경우) 또는 소리의 피치가 변화하게 야기하여 운전자가 속도를 내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도 5는 검출된 힘에 기반하여 차량의 실내에서의 소리의 분포를 조절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방법(500)은 힘 검출 컴포넌트가 이동 중인 차량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힘 또는 가속을 측정하는 블록(505)에서 시작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 힘 검출 컴포넌트는 차량과 연관된 힘 또는 가속을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예를 들어, 가속도계 및/또는 자이로스코프)를 포함하거나 그에 결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가속은 차량의 속도가 변화하는 변화율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힘 검출 컴포넌트는 컴포넌트에 차량의 현재 속도를 제공하는 온 보드 컴퓨터에 접속될 수 있다. 속도를 모니터링함으로써, 힘 검출 컴포넌트는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의 차량의 가속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힘 검출 컴포넌트는 속도를 높임, 속도를 낮춤 또는 차량을 회전시킴과 같은 특정 운전자 행동에 힘 또는 가속을 배정한다. 예를 들어, 가속도계는 차의 속도를 내리거나 낮추는 갑작스러운 돌풍 또는 가파른 경사 아래로 주행할 때 차량 가속과 같이 운전자의 행동 이외의 무언가에 의해 야기되는 가속을 검출할 수 있다. 이들 이벤트와 운전자의 행동 간 구별을 위해, 힘 검출 컴포넌트는 측정된 가속을 운전자가 야기하였는지 또는 가속이 환경 조건 - 예를 들어, 도로 경사, 바람 등의 결과인지 결정하도록 조향, 가속 및 제동 시스템과 같은 차량 내 다른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다. 측정된 힘 또는 가속이 운전자 행동의 결과가 아니면, 그것은 무시될 수 있다.
블록(510)에서는, 측정된 힘 또는 가속은 힘 또는 가속이 이벤트 임계치를 충족하는지 결정하는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에 넘겨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이벤트 또는 운전 행동의 각각의 유형에 대한 하나 이상의 임계치를 갖고 있을 수 있다. 측정된 가속 또는 힘에 배정된 운전자 행동의 유형은 이벤트 임계치의 값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오디오 검출 컴포넌트는 운전자가 차량의 속도를 높이는 것으로부터 초래되는 1 지-포스 미만의 가속을 무시하지만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가하는 것으로부터 초래되는 1.5 지-포스 미만의 가속을 무시할 수 있다.
측정된 힘 또는 가속이 임계치를 충족하면, 블록(515)에서,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차량 내 복수의 스피커에 의해 출력되는 소리의 분포를 조절한다. 즉, 임계치가 충족되고 나면,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가 오디오 시스템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현재 소리를 출력하는 방법을 개조하기 시작한다. 소리 분포를 변화시키기 전에, 오디오 차량은 디폴트 또는 현재 오디오 구성을 사용하여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악, 라디오 상의 프로그램, 테이프 녹음 책, 기정의 소음 등을 재생하고 있을 수 있다. 그렇지만, 임계치가 충족된 후에,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차량 내 소리의 분포를 변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의 볼륨을 변화시킨다. 이것은 개개의 스피커의 볼륨을 변화시키는 것, 오디오 시스템의 페이드 및/또는 밸런스 설정을 변화시키는 것 등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그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오디오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새로운 소리를 도입하기보다는 스피커로부터 이미 출력되고 있는 소리를 사용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소리 분포에서의 변화는 운전자 또는 차량에 대한 힘 또는 가속의 효과를 모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회전을 하는 것으로부터의 가속은 운전자가 차의 우측으로 향하여 슬라이딩하게 하면, 소리의 분포는 차량의 우측으로 유사하게 편이된다. 가속의 효과를 모방하도록 소리 분포를 변화시킴으로써, 운전자는 그의 행동 - 즉, 너무 빨리 속도를 높이는 것 또는 너무 급격한 회전을 하는 것에 소리 분포에서의 변화를 직관적으로 연관시킬 수 있다. 운전자의 행동에 의해 야기된 가속 또는 힘에 기반하여 소리의 분포를 변화시키는 다른 예는 도 2b 내지 도 2d 및 도 3b 내지 도 3d에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가 디폴트 또는 현재 구성으로부터 소리 분포를 변화시키는 정도는 힘 또는 가속의 실증적 값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제동하고 2.0 지-포스를 야기하면,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운전자가 1.5 지-포스를 야기한 경우보다 차량의 전방으로 더 향하여 소리 분포를 편이시킨다.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특정 힘, 가속 또는 운전자 행동과 연관된 복수의 임계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임계치는 소리 분포에서의 서로 다른 변화와 연관된다. 측정된 가속이 더 큰 수의 임계치를 충족할 때, 디폴트 구성으로부터 멀리 소리 분포에서의 편이는 더 현저하게 된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디오 검출 컴포넌트는 측정된 힘 또는 가속의 실증적 값에 기반하여 스피커의 출력 볼륨을 식별하도록 사용되는 등식 또는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된 특정 구현에 무관하게,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측정된 힘 또는 가속에 비례하여 소리 분포에서의 변화를 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오디오 시스템에 의해 현재 출력되고 있는 소리를 그것이 방법(500)에 적합한지 결정하도록 모니터링한다. 일부 소리는 다른 것들보다 덜 선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는 토크 라디오보다는 음악이 재생되고 있으면 소리 분포에서의 변화를 더 잘 인지할 수 있을 수 있다. 더욱, 음악의 여러 다른 유형은 다른 것들보다 더 나을 수 있다. 전형적으로 클래식 음악은, 예를 들어, 볼륨 또는 리듬이 더 일정한 현대 음악보다 더 변한다. 오디오 시스템에 의해 현재 출력되고 있는 소리에 의존하여, 운전자는 그의 행동이 소리 분포에서의 변화를 야기하였는지 또는 소리가 단순히 조용한 부분에 도달하였는지 알 수 없을 수 있다. 이러한 모호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스피커로부터 재생되고 있는 소리를 모니터링하고 소리가 방법(500)에 적합함을 보장하도록 교정 행동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오디오 시스템에 의해 출력되고 있는 덜 선호되는 소리가 있을 때를 검출하고 더 선호되는 소리를 부가할 수 있다. 일 시나리오에 있어서,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말(즉, 광고, 오디오 북, 토크 라디오 등 동안)을 검출하고 그 분포에서의 변화가 운전자가 인지하기에 더 용이한 기정의 소리 - 예를 들어, 도로 소음, 백색 소음, 비 등도 출력하라고 오디오 시스템에 지시할 수 있다. 오디오 시스템은 차량 내 승객이 여전히 사람 목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되도록 기정의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블록(510)에서 이벤트 검출시,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차량 내 기정의 소리의 분포를 변화시킨다. 사람 목소리의 분포도 변화거나 변화하지 않게 남아있을 수 있다.
다른 하나의 교정 행동은 소리가 최소 볼륨 아래로 떨어지지 않도록 보장하는 것일 수 있다. 음악이 최소 볼륨 아래로 내려가지 않게 유지함으로써,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블록(510)에서 이벤트가 검출될 때 소리 분포에서의 변화가 운전자에 의해 인지될 것임을 보장할 수 있다. 즉, 컴포넌트가 음악의 분포를 편이시키기 위해 소리의 볼륨을 더 감축하여야 하면, 운전자는 이러한 변화를 인지할 수 있다.
블록(520)에서,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측정된 힘 또는 가속이 여전히 임계치를 충족하는지 결정한다. 예이면, 방법(500)은 적합한 소리 분포를 결정하도록 블록(515)으로 복귀한다. 즉,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측정된 힘 또는 가속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주기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소리 분포를 변화시킬 수 있다. 그렇지만, 임계치가 더 이상 충족되지 않으면, 블록(525)에서,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소리의 분포를 그 기-조절된 상태 또는 디폴트 구성으로 복귀시킨다. 오디오 컴포넌트가 측정된 힘 또는 가속에서의 변화에 기반하여 소리 분포를 동적으로 업데이트하면, 기-조절된 상태로부터 개조된 소리 분포로 그리고 다시 역으로 간 전이는 연속형(매끄러운) 전이로서 인지될 수 있다.
도 6은 차량(100) 내 소리의 분포를 조절하기 위한 컴퓨팅 디바이스(610)를 포함하는 차량(100)이다.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처럼, 차량(100)은 복수의 스피커(105), 힘 검출 컴포넌트(110), 및 오디오 검출 컴포넌트(115)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차량은 센서(605), 컴퓨팅 디바이스(610), 디스플레이(635), I/O 컴포넌트(640) 및 오디오 시스템(645)을 포함한다. 센서(605)는 속도 높임, 속도 낮춤, 회전 등과 같이 운전자의 행동에 의해 야기되는 차량(100)과 연관된 힘 또는 가속을 측정하도록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센서라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605)는 어느 쪽의 방향으로라도 차량의 정향 및 가속을 결정하도록 가속도계 또는 자이로스코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센서(605)는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차 가속을 결정하도록 시간에 걸쳐 모니터링될 수 있는 속도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605)는 차량의 온-보드 컴퓨터의 일부분 또는 별개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605)는 컴퓨터 디바이스(610)에 통신 결합되는 운전자 또는 승객의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어, 폰 또는 태블릿) 내 가속도계일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610)는 컨트롤러(615) 및 메모리(620)를 포함한다. 컨트롤러(615)는 여기에 설명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ASIC 또는 복수의 ASIC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615)는 하나 이상의 코어를 갖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팅 디바이스(610)는 여기에 설명된 기술을 수행하기 위해 가외 처리력을 부가하도록 차량 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과 같은, 개인 컴퓨팅 디바이스 상의 프로세서를 차용할 수 있다.
메모리(620)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둘 다의 소정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힘 검출 컴포넌트(110) 및 오디오 검출 컴포넌트(115)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그렇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이들 컴포넌트(110, 115)는 (예를 들어, 별개의 컴포넌트 또는 컨트롤러(615)에 통합되는)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그 어떤 조합일 수 있다.
오디오 검출 컴포넌트(115)는 차량(100)의 여러 다른 운전자에 대한 여러 다른 설정을 저장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운전자 설정(625)을 포함한다. 설정(625)은 오디오 검출 컴포넌트(115)로 하여금 어느 설정이 활성인지 - 예를 들어, 어느 운전자가 현재 차량을 운전하고 있는지에 따라 다르게 거동하게 할 수 있다. 운전자 설정(625)은 여러 다른 운전자에 대해 여러 다른 임계치 값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을 막 배우고 있는 십대는 초보라고 라벨을 붙이고 숙련자라고 라벨이 붙여진 운전자보다 충족하기 더 용이한 임계치를 가질 수 있다. 그와 같이,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115)는 운전자의 거동을 개선하고 위험한 상황을 방지하도록 돕는데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운전자 설정(625)은 (실제 운전자가 누구인지에 무관하게) 여러 다른 운전 모드에 대해 여러 다른 설정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전자 설정(625)은 오디오 피드백을 트리거링하기 위한 임계치가 "절약 모드"에서보다 더 높은 "성능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성능 모드는 소리 분포가 개조되기 전에 운전자가 더 많은 힘 또는 가속을 야기시킬 수 있게 하는 한편, 절약 모드는 운전자가 연료 절약을 증가시키거나 과도한 마모 및 손상을 회피하게 도와주기 위해 더 낮은 임계치를 갖는다. 운전자는 운전자 설정(625)을 다른 모드 또는 레벨로 변경하도록 I/O 컴포넌트(640)(예를 들어, 다이얼, 터치 스크린, 트랙볼 등)를 사용할 수 있다.
메모리(610)는 또한 운전자의 이력을 추적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운전자 이력(630)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운전자 이력(630)은 운전자의 행동이 소리 분포에서의 변화를 트리거링하는 빈도를 기록할 수 있다. 운전자 이력(630)은 소리 분포가 개조되는 때마다의 타임 스탬프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이력(630)은 소리의 분포에서의 변화를 트리거링한 운전자 행동 - 예를 들어, 운전자가 너무 빨리 가속 또는 감속하였는지, 급격하게 회전하였는지 등을 특정할 수 있다. 운전자 이력(630)은 또한 차량(100)의 각각의 운전자에 대해 별개의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팅 디바이스(610)는 운전자 이력(630)을 관련 있는 당사자에게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차량(100)을 소유하고 있지 않으면, 디바이스(610)는 운전자 이력(630)을 차량의 소유자(예를 들어, 운전자의 부모 또는 보호자)에게 보낼 수 있다. 대안으로, 운전자 이력(630)은 보험률을 설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횟수는 운전자의 할증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른 일례에 있어서, 운전자 이력(630)은 타이어 또는 브레이크를 교체하는 것과 같은 예방적 보수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타이어 세트에 대해 권고되는 마일리지에 도달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운전자의 습관에 따라, 타이어는 이미 마모되어 버렸을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팅 디바이스(610)는 운전자에게 적응하도록 운전자 이력(630)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그의 습관 또는 거동을 개선하고 임계치를 점점 더 적게 초과함에 따라,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115)는 운전자 설정(625)을 초보로부터 경험 있는 운전자로 변경할 수 있다. 즉, 피드백 시스템은 소리 분포에서의 변화를 트리거링하는 위험하거나 미숙한 행동을 회피하는 방법을 운전자가 배웠음을 인식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피드백 시스템은 운전자 설정(625)을 승격시킬 때를 알도록 타이밍 파라미터를 사용할 수 있다. 피드백 시스템은 운전자가 적어도 6개월의 경험을 가진 후에 설정(625)을 초보로부터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피드백 시스템은 오디오 피드백을 제공할 때를 결정하도록 사용되는 임계치를 적응시키고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635)가 차량(100)에 통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이 요건은 아니다. 디스플레이(635)는 운전자가 컴퓨팅 디바이스(610)에 액세스하고, 운전자 설정(625)을 변경하고, 운전자 이력(630)을 검색하는 등을 가능하게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인 운전자의 스마트 폰, 태블릿, 랩톱 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630)는 또한 소리 분포에서의 변화를 도해하거나 부가적 경고를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630)는 음향화를 보충하기 위해 운전자에게 시각적 화상을 제공하도록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소리 분포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635)처럼, I/O 컴포넌트(640)는 사용자가 피드백 시스템에 액세스하고 구성할 수 있게 하는 별개의 컴퓨팅 디바이스의 일부분이거나 차량(100)에 통합될 수 있다.
차량(100)은 또한 스피커(105)에 결합되는 오디오 시스템(645)을 포함한다. 오디오 시스템은 라디오, CD 플레이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일 수 있다. 오디오 시스템은 또한 이퀄라이저, 스피커(105)를 구동하는 증폭기, 압축기, 및 다른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소리 처리 장비와 같은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디오 검출 컴포넌트(115)는 소리 분포를 변화시키기 위해 오디오 시스템(645)에 지시를 보낸다. 예를 들어, 오디오 검출 컴포넌트(115)는 페이드 및/또는 밸런스를 변화시키거나 스피커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출력 볼륨을 변화시키라고 오디오 시스템(645)에 지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의 설명이 예시의 목적으로 제시되었지만, 개시된 실시예로 한정하거나 총망라한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많은 수정 및 변형이 설명된 실시예의 취지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본 실시예의 태양은 시스템, 방법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태양은 전적으로 하드웨어 실시예, 전적으로 소프트웨어 실시예(펌웨어, 상주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코드 등을 포함함) 또는 여기서 일반적으로는 전부 "회로", "모듈" 또는 "시스템"이라고 지칭될 수 있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태양을 조합하는 실시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더욱, 본 발명의 태양은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구체화해 놓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에 구체화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어떠한 조합이라도 이용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신호 매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전자, 자기, 광학, 전자기, 적외선, 또는 반도체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 또는 상기의 어느 적합한 조합이라도 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의 더 구체적 예(총망라한 것은 아닌 리스트)는 이하의 것을 포함할 것이다: 하나 이상의 유선을 갖는 전기 커넥션, 휴대용 컴퓨터 디스켓, 하드 디스크, 램(RAM), 롬(ROM), 이피롬(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광섬유, 휴대용 콤팩트 디스크 롬(CD-ROM), 광학 저장 디바이스,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상기의 어느 적합한 조합. 본 문서의 맥락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관되는 또는 그에 의한 사용을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 또는 저장할 수 있는 어느 유형적 매체라도 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신호 매체는, 예를 들어 기저대역으로 또는 반송파의 일부분으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내부에 구체화되어 있는 전파되는 데이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전파되는 신호는,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전기-자기, 광학 또는 그 어느 적합한 조합을 포함하는 각종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신호 매체는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관되는 또는 그에 의한 사용을 위한 프로그램을 통신, 전파 또는 송출할 수 있는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아닌 어느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라도 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구체화된 프로그램 코드는,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무선, 유선, 광섬유 케이블, RF 등 또는 상기의 어느 적합한 조합이라도 포함하는 어느 적합한 매체를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의 연산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Java, Smalltalk, C++ 등과 같은 객체 지향형 프로그래밍 언어 및 "C" 프로그래밍 언어 또는 유사한 프로그래밍 언어와 같은 관용적 프로시저 프로그래밍 언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느 조합으로라도 작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는 전적으로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일부는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독립형 소프트웨어 패키지로서, 일부는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그리고 일부는 원격 컴퓨터 상에서 또는 전적으로 원격 컴퓨터 또는 서버 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후자의 시나리오에 있어서, 원격 컴퓨터는 근거리 통신망(LAN) 또는 광역 통신망(WAN)을 포함하는 어느 유형의 네트워크라도 통하여 사용자의 컴퓨터에 접속될 수 있거나, 또는 커넥션이 (예를 들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를 사용하는 인터넷을 통해) 외부 컴퓨터에 이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장치(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예시적 순서도 및/또는 블록 선도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되어 있다. 예시적 순서도 및/또는 블록 선도의 각각의 블록, 및 예시적 순서도 및/또는 블록 선도 내 블록의 조합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가 순서도 및/또는 블록 선도 블록 또는 블록들에 명시된 기능/작용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을 생성하게 되도록,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머신을 산출하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에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또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가 순서도 및/또는 블록 선도 블록 또는 블록들에 명시된 기능/작용을 구현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조 물품을 산출하게 되도록, 컴퓨터,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 또는 특정 방식으로 기능하는 다른 디바이스에 지시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또한,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명령어가 순서도 및/또는 블록 선도 블록 또는 블록들에 명시된 기능/작용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제공하게 되도록, 일련의 연산 단계가 컴퓨터,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장치 또는 다른 디바이스 상에 수행되게 하기 위해 컴퓨터,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 또는 다른 디바이스 상에 로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구조를 통해 최종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클라우드 컴퓨팅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로서 스케일링가능한 컴퓨팅 자원의 제공을 지칭한다. 더 형식적으로, 클라우드 컴퓨팅은 컴퓨팅 자원과 그 기저 기술 아키텍처(예를 들어, 서버, 저장소, 네트워크) 간 추상화를 제공하여, 최소 관리 수고 또는 서비스 제공자 상호작용으로 신속히 프로비전잉 및 릴리싱될 수 있는 구성가능한 컴퓨팅 자원의 공유된 풀로의 편리한, 온-디맨드 네트워크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컴퓨팅 능력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그리하여, 클라우드 컴퓨팅은, 컴퓨팅 자원을 제공하도록 사용된 기저 물리적 시스템(또는 그들 시스템의 소재지)에 무관하게, 사용자가 "클라우드"에서 가상 컴퓨팅 자원(예를 들어, 저장소,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및 또한 완전 가상화형 컴퓨팅 시스템)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한다.
전형적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자원은 사용당 과금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이 경우 사용자는 실제로 사용된 컴퓨팅 자원(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실체화된 가상화형 시스템의 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소비된 저장 공간의 양)에 대해서만 과금된다. 사용자는 어느 때라도 그리고 인터넷에 걸친 어느 곳으로부터라도 클라우드에 상주하는 자원 중 어느 것에라도 액세스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맥락에서, 사용자는 클라우드에서 이용가능한 관련 데이터 또는 새로운 관련 있는 이벤트 또는 연속형 소리(예를 들어, 다른 오디오 프로세스 모듈에 의해 부가된 소리 또는 이벤트) 또는 다른 처리 모듈에 액세스할 수 있다.
도면에서의 순서도 및 블록 선도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가능한 구현의 아키텍처, 기능성 및 연산을 예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순서도 또는 블록 선도에서의 각각의 블록은 명시된 논리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 일부를 표현할 수 있다. 일부 대안의 구현에서는, 블록에 언급된 기능이 도면에 언급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음을 또한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연속으로 도시된 2개의 블록은 실제로는 실질적으로 동시다발적으로 실행될 수도 있고, 블록들은 때로는, 관련 기능성에 의존하여, 역순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예시적 순서도 및/또는 블록 선도의 각각의 블록, 및 예시적 순서도 및/또는 블록 선도 내 블록의 조합은 명시된 기능 또는 작용을 수행하는 특수 목적 하드웨어-기반 시스템, 또는 특수 목적 하드웨어 및 컴퓨터 명령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다른 그리고 추가적 실시예가 그 기본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고안될 수 있고, 그 범위는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Claims (20)

  1. 센서;
    상기 센서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과 연관된 힘 및 가속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힘 검출 컴포넌트(force detection component); 및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audio distribution component)를 구비한 피드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힘 및 가속의 변화하는 속도가 임계치를 충족한다고 결정되면, 상기 차량의 상부 전방 부분에 있는 제1 세트의 스피커들의 음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차량의 하부 전방 부분에 있는 제2 세트의 스피커들의 음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복수의 스피커와 관련된 페이드를 변경시킴으로써 소리의 분포의 변화가 상기 차량 또는 상기 차량 내부 사람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힘 또는 가속의 효과를 나타내도록 디폴트 구성에 비해 상기 차량의 청취 환경 내 상기 소리의 상기 분포를 변화시키고,
    상기 힘 또는 상기 가속의 변화하는 속도가 상기 임계치 아래로 떨어지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차량의 하부 전방 부분에 있는 상기 제2 세트의 스피커들의 음량이 상기 디폴트 구성보다 높게 유지된 채로 상기 차량의 상부 전방 부분에 있는 상기 제1 세트의 스피커들의 음량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피드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복수의 스피커 중 적어도 2개 간 출력 볼륨 비를 개조함으로써 상기 소리의 상기 분포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되는 피드백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힘 검출 컴포넌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힘 및 가속을 동적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힘 및 가속의 측정된 값에 비례하여 상기 소리의 상기 분포를 동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되는 피드백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는 상기 차량 내 위치한 오디오 시스템의 출력이되, 상기 디폴트 구성은 상기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가 상기 소리의 상기 분포를 변화시키기 전에 복수의 스피커가 상기 소리를 출력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피드백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힘 및 가속이 상기 임계치를 더 이상 충족하지 않는다고 결정시, 상기 소리의 상기 분포를 다시 상기 디폴트 구성으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되는 피드백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숙련도를 각각 표현하는 복수의 선택가능한 모드 중 하나에 각각 대응하는 여러 다른 임계치를 포함하는 운전자 설정을 더 포함하는 피드백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분포 컴포넌트는 복수의 스피커와 연관된 페이드 및 밸런스 중 적어도 하나를 개조함으로써 상기 소리의 상기 분포를 변화시키는 피드백 시스템.
  8. 방법으로서,
    센서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과 연관된 힘 및 가속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힘 및 가속의 변화하는 속도가 임계치를 충족한다고 결정되면, 상기 차량의 상부 전방 부분에 있는 제1 세트의 스피커들의 음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차량의 하부 전방 부분에 있는 제2 세트의 스피커들의 음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복수의 스피커와 관련된 페이드를 변경시킴으로써 소리의 분포의 변화가 상기 차량 또는 상기 차량 내부 사람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힘 또는 가속의 효과를 나타내도록 디폴트 구성에 비해 상기 차량의 청취 환경 내 상기 소리의 상기 분포를 변화시키고, 상기 힘 또는 상기 가속이 변화하는 속도가 상기 임계치 아래로 떨어지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차량의 하부 전방 부분에 있는 상기 제2 세트의 스피커들의 음량이 상기 디폴트 구성보다 높게 유지된 채로 상기 차량의 상부 전방 부분에 있는 상기 제1 세트의 스피커들의 음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의 상기 분포를 변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소리의 템포 또는 리듬을 변화시키지 않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힘 및 가속이 상기 임계치를 더 이상 충족하지 않는다고 결정시, 상기 소리의 상기 분포를 다시 상기 디폴트 구성으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의 상기 분포를 변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힘 및 가속에 대한 측정된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소리의 상기 분포를 동적으로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힘 및 가속을 야기한 운전자 행동을 식별하는 단계; 및
    식별된 상기 운전자 행동에 기반하여 상기 임계치의 값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여러 다른 운전자 행동은 상기 임계치의 여러 다른 값에 대응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식별된 상기 운전자 행동은 상기 차량의 속도를 높이는 것, 상기 차량을 제동하는 것 및 상기 차량을 회전시키는 것 중 하나인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의 상기 분포를 변화시키는 단계는 복수의 스피커 중 적어도 2개 간 출력 볼륨 비를 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저장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어,
    센서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과 연관된 힘 및 가속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힘 및 가속의 변화하는 속도가 임계치를 충족한다고 결정되면, 상기 차량의 상부 전방 부분에 있는 제1 세트의 스피커들의 음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차량의 하부 전방 부분에 있는 제2 세트의 스피커들의 음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복수의 스피커와 관련된 페이드를 변경시킴으로써 소리의 분포의 변화가 상기 차량 또는 상기 차량 내부 사람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힘 또는 가속의 효과를 나타내도록 디폴트 구성에 비해 상기 차량의 청취 환경 내 상기 소리의 상기 분포를 변화시키고, 상기 힘 또는 상기 가속이 변화하는 속도가 상기 임계치 아래로 떨어지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차량의 하부 전방 부분에 있는 상기 제2 세트의 스피커들의 음량이 상기 디폴트 구성보다 높게 유지된 채로 상기 차량의 상부 전방 부분에 있는 상기 제1 세트의 스피커들의 음량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임계치를 충족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힘 및 가속의 결과를 초래하는 행동을 수행하는 빈도를 나타내는 운전자 이력을 모니터링하고; 그리고
    상기 빈도에 기반하여 상기 임계치의 값을 개조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의 상기 분포를 변화시키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힘 및 가속에 대한 어느 측정된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소리의 상기 분포를 동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차량이 속도 제한을 초과하고 있다고 결정시, 복수의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 볼륨을 발진시킴으로써 상기 소리의 상기 분포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의 상기 분포를 변화시키는 것은 상기 소리의 템포 또는 리듬을 변화시키지 않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0. 제15항에 있어서,
    기정의 소리를 출력하라고 상기 차량 내 오디오 시스템에 지시하는 것;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힘 및 가속이 상기 임계치를 충족한다고 결정시, 상기 소리의 상기 분포를 변화시키는 것에 부가하여 상기 기정의 소리의 상기 분포를 변화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150086587A 2014-07-15 2015-06-18 가속 중인 물체의 공간적 음향화 KR1023889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31,984 US9573523B2 (en) 2014-07-15 2014-07-15 Spatial sonification of accelerating objects
US14/331,984 2014-07-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955A KR20160008955A (ko) 2016-01-25
KR102388989B1 true KR102388989B1 (ko) 2022-04-21

Family

ID=53541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587A KR102388989B1 (ko) 2014-07-15 2015-06-18 가속 중인 물체의 공간적 음향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73523B2 (ko)
EP (1) EP2975862B1 (ko)
JP (1) JP6595814B2 (ko)
KR (1) KR1023889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4839A1 (ja) * 2013-04-24 2014-10-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音響制御装置、車両用音響制御方法
US9423318B2 (en) * 2014-07-29 2016-08-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otion detection devices and systems
EP3251379B1 (en) * 2015-01-28 2020-04-15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 Vehicle speaker arrangement
WO2016179238A1 (en) 2015-05-04 2016-11-10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 Venting system for vehicle speaker assembly
US10099636B2 (en) 2015-11-27 2018-10-16 Bragi GmbH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user role and user settings associated with a vehicle
US10104460B2 (en) 2015-11-27 2018-10-16 Bragi GmbH Vehicle with interaction between entertainment systems and wearable devices
US20170156000A1 (en) * 2015-11-27 2017-06-01 Bragi GmbH Vehicle with ear piece to provide audio safety
US9944295B2 (en) 2015-11-27 2018-04-17 Bragi GmbH Vehicle with wearable for identifying role of one or more users and adjustment of user settings
JP6704168B2 (ja) * 2016-04-26 2020-06-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疑似エンジン音制御装置及び疑似エンジン音制御方法
EP3456065B1 (en) 2016-05-10 2022-12-07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 Vehicle speaker arrangement
WO2018151627A1 (ru) * 2017-02-20 2018-08-23 Руслан Вячеславович ГОЛУБ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е упра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эквалайзером
DE102017106618B4 (de) * 2017-03-28 2020-02-20 Ask Industries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usgabe von Audiosignalen in einen Innenraum eines Kraftfahrzeugs
US10068620B1 (en) * 2017-06-20 2018-09-04 Lp-Research Inc. Affective sound augmentation for automotive applications
WO2019175273A1 (en) 2018-03-14 2019-09-19 Sony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10970899B2 (en) * 2018-10-23 2021-04-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gmented reality display for a vehicle
DE102020106978A1 (de) 2020-03-13 2021-09-16 Audi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mittlung von musik-information in einem fahrzeug
JP7013514B2 (ja) * 2020-03-31 2022-01-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
JP7013515B2 (ja) * 2020-03-31 2022-01-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
DE102020110974B3 (de) * 2020-04-22 2021-05-20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Simulation eines Geräuschs in einem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JP2022155833A (ja) * 2021-03-31 2022-10-1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音生成装置
EP4286860A1 (en) * 2022-05-30 2023-12-0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 system,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an acceleration of a vehicle for road use and such a vehicle for road use
EP4286861A1 (en) * 2022-06-01 2023-12-0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 system,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an acceleration or a change of orientation of a vehicle and such a vehicle
CN117985035A (zh) * 2022-10-28 2024-05-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装置和运载工具
CN117944704A (zh) * 2022-10-31 2024-04-30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方法、装置和运载工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5643A (ja) * 2008-10-31 2010-05-13 Pioneer Electronic Corp 音声処理装置及び音声処理方法等
US20120257767A1 (en) 2009-12-19 2012-10-1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Outputting Music Information in a Vehicle
JP2014021783A (ja) * 2012-07-19 2014-02-03 Meijo University 運転状態判定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運転支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64377A5 (de) 1986-01-16 1988-02-29 Balzers Hochvakuum Dekorative schwarze verschleissschutzschicht.
US5677960A (en) * 1995-05-11 1997-10-14 Victor Company Of Japan, Ltd. On-vehicle sound control apparatus
US20030076968A1 (en) * 2001-10-23 2003-04-24 Rast Rodger H. Method and system of controlling automotive equipment remotely
JP2004228937A (ja) * 2003-01-23 2004-08-12 Pioneer Electronic Corp 音響補正システムおよび音響補正プログラムおよび音響補正方法および音響補正装置
JP4116896B2 (ja) * 2003-02-07 2008-07-09 株式会社堀場製作所 車両の運行管理システム
KR100510708B1 (ko) * 2003-04-09 2005-08-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속 연동형 자동음량조절장치 및 그 동작방법
DE10339647A1 (de) 2003-08-28 2005-03-24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r Fahrerwarnung
JP4547985B2 (ja) * 2004-05-18 2010-09-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運転者知覚制御装置
US20070188308A1 (en) * 2006-02-14 2007-08-16 Lavoie Bruce S Vehicular indicator audio controlling
US8041025B2 (en) * 2006-08-07 2011-10-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s and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modes of audio devices based on user selectable parameters
US20100014691A1 (en) * 2008-07-15 2010-01-21 Braon Moseley Autonomous volume control
KR101369723B1 (ko) * 2010-11-02 2014-03-03 김병희 차량용 오디오와 연동되는 장애물 감지 경보음 발생 시스템 및 방법
KR101724727B1 (ko) * 2011-06-21 2017-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vn 시스템의 볼륨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20130018537A1 (en) 2011-07-15 2013-01-17 Arad Eliahu Central Vehicle data and control system or artificial intelligence driver assistance device
JP5062375B2 (ja) * 2012-03-29 2012-10-31 株式会社デンソー 速度超過警告装置
US8930040B2 (en) * 2012-06-07 2015-01-06 Zoll Medica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video capture, user feedback, reporting, adaptive parameters, and remote data access in vehicle safety monitor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5643A (ja) * 2008-10-31 2010-05-13 Pioneer Electronic Corp 音声処理装置及び音声処理方法等
US20120257767A1 (en) 2009-12-19 2012-10-1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Outputting Music Information in a Vehicle
JP2014021783A (ja) * 2012-07-19 2014-02-03 Meijo University 運転状態判定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運転支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75862B1 (en) 2019-12-25
US9573523B2 (en) 2017-02-21
JP2016020203A (ja) 2016-02-04
JP6595814B2 (ja) 2019-10-23
KR20160008955A (ko) 2016-01-25
EP2975862A1 (en) 2016-01-20
US20160016513A1 (en) 2016-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8989B1 (ko) 가속 중인 물체의 공간적 음향화
JP5958646B2 (ja) 車両用音響制御装置、車両用音響制御方法
JP6564128B2 (ja) 報知制御装置および報知制御方法
EP3280162A1 (en) A system for and a method of generating sound
JPWO2006006553A1 (ja) 報知装置
US20210380055A1 (en) Vehicular independent sound field forming device and vehicular independent sound field forming method
JP2023076468A (ja) 音出力装置
JP6470041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0003819A1 (ja) 音声信号処理装置、移動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958647B2 (ja) 車両用音響制御装置、車両用音響制御方法
TW201617247A (zh) 車載多媒體系統與控制方法
JP5958648B2 (ja) 車両用音響制御装置、車両用音響制御方法
JP7489391B2 (ja) 車内ヘッドフォンの音響拡張現実システム
US11273846B2 (en)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JP2012206655A (ja) 車載用音響再生装置
JP2021509470A (ja) 車両向けの空間インフォテインメントレンダリングシステム
US12005921B2 (en) Assistance system with relevance-dependent stimulus modulation
US20230116198A1 (en) Assistance system with relevance-dependent stimulus modulation
TWI818554B (zh) 音場調節方法、系統及移動載具
CN117177137A (zh) 音场调节方法、系统及移动载具
JP2005306231A (ja) 運転者知覚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