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710B1 - 두피 케어 장치 - Google Patents

두피 케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710B1
KR102340710B1 KR1020140160773A KR20140160773A KR102340710B1 KR 102340710 B1 KR102340710 B1 KR 102340710B1 KR 1020140160773 A KR1020140160773 A KR 1020140160773A KR 20140160773 A KR20140160773 A KR 20140160773A KR 102340710 B1 KR102340710 B1 KR 102340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gear
gears
rotation
car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8707A (ko
Inventor
준코 타카하시
준코 타카하시
히로에이 사카이
카츠히코 요시다
Original Assignee
트윈버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윈버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트윈버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88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8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7Knea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실하게 기어끼리 맞물려 원활하게 회전 시료자를 회전할 수 있게 하는 두피 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 2와, 이 프레임 2에 수납되는 전동기 3과, 이 전동기 3의 회전 운동을 전달하는 전달기구 4와, 이 전달기구 4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기구부 7과, 회전 기구부 7에 연결된 복수의 회전 시료자 5, 5를 갖는다. 전달기구 4가 회전 기구부 7에 연결된 복수의 베벨 기어 35L, 35R 및 이러한 베벨 기어 35L, 35R과 맞물리는 종동측 베벨 기어 36L, 36R을 갖고, 이 종동측 베벨 기어 36L, 36R의 회전축 136L, 136R을 상기 회전 기구부 7의 상하 방향의 회전축에 대하여 경사 시킴과 동시에 종동측 베벨 기어 36L, 36R과 회전 시료자 5, 5를 연결시켰기 때문에 복수의 회전 시료자 5, 5의 회전축끼리 경사지게 하고도 확실하게 기어끼리 맞물려 원활하게 회전 시료자 5, 5를 회전 수 있다.

Description

두피 케어 장치{Care device for head skin}
본 발명은 여러 시료자를 구비한 두피 케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종류의 두피 케어 장치로는 인체의 두피와 접촉하고 구동원의 구동에 의해 작동되는 시술자의 시술 돌기로 상기 두피에 자극을 부여하는 두피 케어 장치에 있어서, 시술자의 시술 돌기가 전(前) 회전축을 도는 것처럼 회전하는 두피 케어 장치가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고).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13-208231호
이러한 두피 케어 장치는 모터의 회전을 전달하기 위해, 평기어를 조합해야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복수의 시료자의 회전면이 평면적으로 될 수밖에 없고, 볼록한 곡면 형상의 두피를 효과적으로 마사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시료자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의 회전축이 서로 교차하도록 기어끼리 경사시킨 상태에서 맞물리는 것을 생각할 수도 있지만, 시료자의 배치와 회전 방향에 따라 기어끼리 맞물릴 수 없는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확실하게 기어끼리 맞물려 원활하게 회전시료자를 회전할 수 있게 하는 두피 케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두피 케어 장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수납되는 전동기와, 이 전동기의 회전 운동을 전달하는 전달기구와, 이 전달기구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기구부와, 이 회전 기구부에 연결되고 선단이 하방을 향하는 복수의 회전 시료자를 구비하는 두피 케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기구부가, 복수의 기어와, 이들 기어의 하부에 설치된 제일 베벨 기어와, 이들 제일 베벨 기어의 하방에서 상기 제일 베벨 기어와 맞물리는 제이 베벨 기어를 구비하고, 이들 제일 베벨 기어의 회전축과 제이 베벨 기어의 회전축의 교차각도를 180˚-θ로 함으로써, 상기 제이 베벨 기어의 회전축을 상기 제일 베벨 기어의 회전축에 대하여 각도 θ로 경사 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이 베벨 기어와 상기 회전 시료자를 연결시킨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두피 케어 장치는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회전 시료자들이 내측을 향하도록 복수의 상기 제이 베벨 기어의 회전축을 경사시킨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두피 케어 장치는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회전 시료자가 면대칭 상으로 배열되어 짐과 동시에 면대칭 상이 되는 상기 회전 시료자의 제일 부분과 제이 부분이 면대칭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두피 케어 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상기 회전 시료자의 회전축끼리 경사지게 하면서도 확실하게 기어끼리 맞물려 원활하게 회전 시료자를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복수의 상기 회전 시료 자들이 내측을 향하도록 복수의 상기 제이 베벨 기어의 회전축을 경사시키는 것에 의해서, 두피의 곡선 형상을 따라서 회전 시료자의 선단을 두피에 맞출 수 있기 때문에 두피 케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회전 시료자를 면대칭 상으로 배열함과 동시에, 면대칭 상이 되는 상기 회전 시료자의 제일 부분과 제이 부분을 면대칭으로 회전시킴에 의하여 두피에 맞춘 회전 시료자가 회전해도 회전에 따른 프레임을 이동하려는 힘이 상쇄되어 두피에 프레임을 이동시키려는 힘이 발생하지 않고, 프레임을 쉽게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두피 케어 장치의 저면을 위로한 상태에서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내부기구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내부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내부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앞쪽에서 본 내부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뒤쪽에서 본 내부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위 중간 전달 기어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앞쪽 구동 기어 군의 요부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기어의 순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1의 회전 시료자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A)에 대해 (B)는 기어가 180도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은 도 1의 왕복 시료 자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A)에 대해 (B)는 기어가 90도 회전한 상태, (C)는 180도 회전한 상태, (D) 270도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는 도 1의 회전 시료자와 왕복 시료자의 구동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두피 케어 장치의 내부기구의 저면을 위로 한 상태에서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내부기구의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내부기구의 저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내부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내부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3의 내부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3의 회전 시료자와 왕복 시료자의 구동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다음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다음에 설명되는 구성의 전부가 본 발명의 필수 요건인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11은 실시예 1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두피 케어 장치이다. 이 두피 케어 장치 1은 프레임 2와 전동기 3과, 이 전동기 3의 회전 운동을 전달하는 전달기구 4와, 이 전달기구 4에 연결된 시료자인 회전 시료자 5 및 왕복 시료자 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전동기 3과 전달기구 4는 상기 프레임 2에 지지되어 지고 있다. 또한, 상기 전달기구 4는 회전 기구부 7과, 이 회전 기구부 7의 회전을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 기구부 8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 기구부 7에는 복수의 상기 회전 시료자 5가 연결되고, 상기 변환 기구부 8에는 복수의 상기 왕복 시료자 6이 연결되어 진다.
도 3 등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전동기 3은 기어 케이스 14를 통해 앞쪽에 구동축 3A를 가지고 있고, 이 구동축 3A에는 구동 기어 15가 설치되어 진다. 또한, 상기 전동기 3, 기어 케이스 14 및 구동축 3A는 상기 프레임 2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진다. 또한, 상기 구동 기어 15에는 이 구동 기어 15의 회전을 감속하는 감속기구 16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동기 3의 회전은 상기 구동축 3A까지의 사이에 상기 기어 케이스 14 내에서 미리 감속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단순히 기어라고 지칭하는 것은 평기어이다.
상기 감속기구 16은 제일 감속 기어 17과 제이 감속 기어 18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일 감속 기어 17은 기어 이 수가 많은 대형 기어 부 17B와 기어 이 수가 적은 소형 기어 부 17S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대형 기어 부 17B는 이 대형 기어 부 17B보다 기어 이 수가 적은 상기 구동 기어 15와 맞물리고, 상기 소형 기어 부 17S는 이 소형 기어 부 17S보다 기어 이 수가 많은 제이 감속 기어 18과 맞물리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일 및 제이 감속 기어 17, 18의 회전축은 기어 커버 19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축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 기어 15, 제일 감속 기어 17 및 제이 감속 기어 18에 의해 전후 방향을 회전 중심으로 한 상부 감속 기어 군 20이 구성되어 진다.
상기 상부 감속 기어 군 20의 하부에 상기 프레임 2에 대하여 상하 방향을 회전 중심으로 위쪽 중간 전달 기어 21이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이 위쪽 중간 전달 기어 21은 상기 제이 감속 기어와 맞물리는 크라운 기어 22가 상부에 설치되어, 이 크라운 기어 22의 하부에 기어 2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위쪽 중간 전달 기어 21의 하부에는 아래쪽 중간 전달 기어 25가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이 아래쪽 중간 전달 기어 25는 기어 이 수가 적은 소형 기어 부 25S와 기어 이 수가 많은 대형 기어 부 25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소형 기어 부 25S는 상기 기어 23과 맞물려 있다. 또한, 아래쪽 중간 전달 기어 25의 회전축 25K는 상하 방향을 이루고, 이 회전축 25K와 상기 회전 기구부 7의 다른 기어의 회전축은 평행이며, 그 기어는 상기 프레임 2 등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도 2 등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대형 기어 부 25B에는 상기 왕복 시료자 6을 구동하는 후측 구동 기어 26이 맞물려 있다. 또한, 상기 대형 기어 부 25B는 상기 회전 시료자 5를 구동하는 앞쪽 구동 기어 군 31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감속 기어 군 20, 후측 구동 기어 26 및 앞쪽 구동 기어 군 31에 의해 상기 전동기 3의 회전 운동을 전달하는 상기 전달기구 4가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 상기 앞쪽 구동 기어 군 31에 대해 설명한다. 이 앞쪽 구동 기어 군 31은 동일한 구성으로 서로 맞물리는 좌우 한 쌍의 중앙 기어 32L, 32R을 가지고, 하나의 중앙 기어 32R이 상기 대형 기어 부 25B와 맞물려 있다. 또한, 외측 좌우의 상기 회전 시료자 5에 대응하여 좌우로 기어인 외측 기어 33R, 33L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인접하는 상기 중앙 기어 32L과 외측 기어 33L 사이 및 중앙 기어 32R과 외측 기어 33R 사이에 각각 전달 기어 34L, 34R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기어 32L 및 중앙 기어 32R은 동일한 구성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외측 기어 33L과 외측 기어 33R은 동일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중앙 기어 32L, 32R과 외측 기어 33L, 33R의 기어 이 수(즉, 치수)는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중앙 기어 32L, 32R이 일 회전하면 상기 외측 기어 33L, 33R도 일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중앙 기어 32L, 32R에 대해 상기 외측 기어 33L, 33R은 대각선 뒤쪽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상기 중앙 기어 32L, 32R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을 101, 상기 중앙 기어 32L과 외측 기어 33L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을 102, 상기 중앙 기어 32R과 외측 기어 33R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을 103으로 하면, 가상선 101과 가상선 102가 이루는 각도 θ1 및 가상선 101과 가상선 103이 이루는 각도 θ2는 모두 5 ~ 35도, 바람직하게는 20도로 된다. 또한, 상기 중앙 기어 32R과 대형 기어 부 25B와 후측 구동 기어 26은 동일한 기어 이 수이며, 이러한 회전 중심이 일직선상에 나란히 있다. 더욱이, 상기 대형 기어 부 25B, 중앙 기어 32L, 32R 및 외측 기어 33L, 33R은 그 회전축이 모두 상기 프레임 2의 상하 방향으로 향하고 있어 모두 평행으로 된다.
따라서, 도 9에 있어서, 상기 대형 기어 부 25B가 우회전(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와 맞물려 있는 상기 중앙 기어 32R은 좌회전(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이 중앙 기어 32R과 맞물려 있는 상기 중앙 기어 32L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전달 기어 34R을 매개로 하여 상기 중앙 기어 32R에 연결되어 상기 외측 기어 33R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전달 기어 34L을 매개로 하여 상기 중앙 기어 32L에 연결되어 지는 상기 외측 기어 33L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대형 기어 부 25B가 일 회전하면 상기 중앙 기어 32L, 32R 및 외측 기어 33L, 33R은 어느 쪽으로도 일 회전한다.
더욱이, 상기 앞쪽 구동 기어 군 31은 상기 외측 기어 33L, 33R의 하부에 베벨 기어 35L, 35R을 각각 일체로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베벨 기어 35L, 35R은 좌우 양측의 상기 회전 시료자 5, 5를 구동하는 종동측 베벨 기어 36L, 36R과 각각 맞물려 있다. 또한, 이러한 베벨 기어 35L, 35R, 36L, 36R은 치근이 피치 원추의 모직선과 일치하는 직치 베벨 기어이다. 또한, 상기 베벨 기어 36L, 36R은 각각 중심축선 136L, 136R이 상기 외측 베벨 기어 35L, 35R의 중심축선 135L, 135R에 대해 상기 중앙 기어 32L, 32R을 향해 각도 θ로 경사진다. 또한, 이 각도 θ는 15도 정도로 된다. 즉, 상기 베벨 기어 36L, 36R의 회전 중심 축 136L, 136R은 각각 상기 중앙 기어 32L, 32R 측을 향하여서 좌우 방향 내측에서 뒷쪽으로 경사되어 져 있다. 또한, 상기 베벨 기어 35L, 35R이 제일 베벨 기어로 되며, 상기 종동측 베벨 기어 36L, 36R이 제이 베벨 기어로 된다.
또한, 도 3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종동측 베벨 기어 36L, 36R의 하부에는 각각 차양부 36T가 주의로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 2에 설치한 원형 홈부 (도시생략) 내에, 상기 차양부 36T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상이 상기 앞쪽 구동 기어 군 31의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 감속 기어 군 20 및 앞쪽 구동 기어 군 31에 의해 상기 회전 기구부 7이 구성되어 진다. 또한, 상기 베벨 기어 35L, 36L에 의해 시료자 회전부 9(9L)를 구성함과 동시에, 베벨 기어 35R, 36R에 의해 시료자 회전부 9(9R)를 구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왕복 시료자 6을 연결한 상기 변환 기구부 8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측 구동 기어 26의 하면에는 이 구동 기어 26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한 위치에 캠 돌기 4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캠 돌기 41의 선단부는 구 형상으로 된다. 그리고, 상기 왕복 시료자 6을 설치한 중간 취부체 42는 상기 캠 돌기 41이 계입하는 캠 테두리 부 43과 중간 취부부 44와, 이 중간 취부부 44에서 좌우로 돌출된 축부 45, 45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캠 테두리 부 43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그 좌우 방향의 치수 길이는 상기 캠 돌기 41의 회전 궤적의 외경 D 이상으로 된다. 또한, 상기 축부 45, 45는 취부 케이스 46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캠 돌기 41은 상기 캠 테두리 부 43 내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후측 구동 기어 26이 회전하면 상기 캠 돌기 41이 원운동하고 이 캠 돌기 41의 회전 운동 중 전후 방향의 움직임만을 상기 캠 테두리 부 43가 추출하여 상기 중간 취부체 42가 상기 축부 45, 45를 중심으로 앞뒤로 요동한다.
상기 중간 취부체 42에는 시료체 47이 설치되어 있다. 이 시료체 47은 수평 연결부 48과, 이 연결부 48의 좌우 양단에서 돌출되어 설치된 한 쌍의 취부부 49, 49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 48의 중앙을 상기 중간 취부체 42의 중간 취부부 44에 고정하고 있다. 또한, 상기 취부부 49, 49에는 각각 시료자 본체 51, 51를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시료자 본체 51, 51과 상기 취부부 49, 49에 의하여 상기 왕복 시료자 6이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자 본체 51은 상기 취부부 49에 외장되는 원통상의 통부 55와, 이 통부 55의 선단에 돌출된 복수(3개)의 시료용 돌기 56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시료용 돌기 56은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선단에는 복수(3개)의 작은 돌기 5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료자 본체 51은 엘라스토머 및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 시료자 5의 구동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기어 32L, 32R 및 외측 기어 33L, 33R의 하면에는 이러한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한 위치에 캠 받침부 61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캠 받침부 61은 원통부 내부에 의해 구성되어 진다.
상기 회전 시료자 5는 취부축 65, 상기 시료자 본체 5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취부축 65의 상부에는 상기 캠 받침부 61 안에 삽입되는 캠 부 66이 형성되어 진다. 또한, 이 캠 부 66은 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취부축 65의 하부에는 상기 시료자 본체 51을 설치 부착하는 취부부 6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취부축 65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에는 요동계합부 68이 형성되어있다. 이 요동계합부 68은 상하의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그 외면이 대략 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요동 계합부 68에는 상기 취부축 65의 축 방향과 직교하도록 축 삽입 관통공 69가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이 축 삽입 관통공 69에 지지축 70이 삽입 관통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축 삽입 관통공 69는 그 중앙부가 상기 지지 축 70의 직경보다 약간 넓게 되고, 또한 중앙부에서 바깥쪽으로 향하여 내경이 확대된 확대부 71, 71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축 삽입 관통공 69는 드럼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요동 계합부 68은 취부 케이스 72에 형성된 구면 형상의 받침부 73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시료자 5를 설치하는 상기 취부 케이스 72는 상기 지지축 70의 단부를 삽입하여 설치하는 취부부인 지지 축 취부공 74를 가진다. 또한, 상기 취부 케이스 72는 이 분할된 분할 케이스 72A, 72A로 구성되며, 지지 축 70과 함께 상기 취부축 65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분할 케이스 72A, 72A를 조립한다.
도 12는 상기 회전 시료자 5와 왕복 시료자 6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칭면 81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의 상기 중앙 기어 32L, 32R 끼리, 좌우의 상기 외측 기어 33L, 33R 끼리, 그리고 좌우의 상기 왕복 시료자 6, 6 끼리는 면 대칭 위치에 있다. 또한, 상기 대칭면 81을 나타내는 선상에 있어서, 상기 기어 32L, 32R, 33L, 33R의 중심과 기준점 82를 연결하는 가상선 132L, 132R, 133L, 133R의 길이는 대략 동일하고, 한편, 상기 대칭면 81을 나타내는 선에 대하여 좌우의 중앙 기어 32L, 32R의 가상 선 132L, 132L이 이루는 각도 θ3은 동일하고, 가상 선 132L, 132L과 좌우의 외측 기어 33L, 33R의 가상 선 133L, 133R이 이루는 각도 θ4는 동일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어 32L, 32R, 33L, 33R의 직경 및 치수는 동일하다. 그리고, 각도 θ4는 각 θ3의 2 배 이상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서는 각 θ3을 9도, 각도 θ4를 21도로 한다. 또한, 이 각도 θ4는 상기 각도 θ1 및 θ2보다 약간 크다. 또한, 각 지지축 70은 상기 가상 선 132L, 132R, 133L, 133R의 방향에 따라 배치된다. 또한, 상기 베벨 기어 36L, 36R의 중심축선 136L, 136R은 상기 가상축선 133L, 133R을 중심으로 각도 θ로 기울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시료자 5와 왕복 시료자 6은 상기 대칭 평면 81의 좌우에 위치하는 좌측부분(제1 부분) 83L과 우측부분(제2 부분) 83R이 면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면대칭 상으로 동작한다. 구체적으로는, 모든 상기 회전 시료자 5, 5, 5, 5는 상기 가상선 132L, 132R, 133L, 133R의 연장선상에서, 또한 상기 기준점 82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로 회전 시료자 5의 선단이 위치하는 기준 위치에 동시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왕복 시료자 6, 6의 선단은 왕복 운동하는 외측위치(후측위치)에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전동기 3이 동작하면, 상기 좌측부분 83L의 회전 시료자 5, 5의 선단은 시계 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고, 우측부분 83R의 회전 시료자 5, 5의 선단은 반시계 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 회전 시료자 5, 5가 상기 기준 위치에서 90도 회전한 위치에 「△」를 붙이고, 180도 회전한 위치에 「○」를 붙이고, 270도 회전한 위치에 「×」를 붙여 있으며, 360도 회전하고 다시 기준 위치에 「●」를 붙이고 있다. 또한, 왕복 시료자 6에 대응하는 위치에 「●」 「△」 「○」 「×」를 붙였다. 즉, 상기 회전 시료자 5, 5가 상기 기준 위치에서 90도 회전한 위치의 「△」는 상기 왕복 시료자 6은 중간 위치, 상기 회전 시료자 5, 5가 180도 회전한 위치에서, 상기 왕복 시료자 6은 내측위치(전측위치), 상기 회전 시료자 5, 5가 270도 회전한 위치에서, 상기 왕복 시료자 6은 중간 위치, 상기 회전 시료자 5, 5가 360도 회전한 위치에서 왕복 시료자 6은 외측위치가 된다. 또한, 좌우의 상기 왕복 시료자 6, 6은 동일한 동작을 이룬다. 따라서, 상기 회전 시료자 5와 왕복 시료자 6은 「●」에서 「○」의 사이에 상호간의 선단이 가까워지도록 구동하고, 「○」에서 「●」의 사이에 상호간의 선단이 떨어지도록 구동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좌측부분 83L과 우측부분 83R에서, 상기 시료자 5, 6은 면 대칭형으로 배치되는 것과 동시에, 면 대칭 상으로 동작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에 의해 상기 전동기 3을 구동하고, 두피에 상기 시료자 5, 6을 대면, 상기 회전 시료자 5의 선단이 원운동하고, 상기 왕복 시료자 6의 선단이 앞뒤로 왕복 운동하여 두피를 마사지할 수 있다. 이때, 중앙의 2 개의 회전 시료자 5, 5가 마치 양손의 집게 손가락처럼, 좌우 외측의 회전 시료자 5, 5가 마치 양손의 가운데 손가락처럼 두피를 마사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4개의 회전 시료자 5, 5, 5, 5에서 떨어진 위치의 상기 왕복 시료자 6이 마치 엄지 손가락처럼 두피를 마사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상기 회전 시료자 5와 왕복 시료자 6이, 상기 회전 시료자 5의 회전을 수반하면서 서로 가까이 하거나 또는 멀리하는 동작을 반복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마치 손으로 두피를 잡아 하는 것처럼 부드럽게 마사지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부분 83L과 우측 부분 83R에서 회전 시료자 5의 선단이 동기간에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두피에 상기 회전 시료자 5를 맞댄 상태에서 상기 두피 케어 장치 1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하게 원운동을 실시하게 할 수 있다. 즉, 만일 모든 상기 회전 시료자 5를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두피에 대면 발생하는 토크의 반응에 의해 상기 두피 케어 장치 1을 반회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두피 케어 장치 1이 움직이지 않도록 사용자가 단단히 파지해야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좌측부분 83L과 우측부분 83R에서, 상기 회전 시료자 5가 면 대칭 형태로 구동하여 상기 두피 케어 장치 1을 이동시키는 힘이 상쇄되기 때문에 쉽게 안정하게 파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 2와, 이 프레임 2에 수납되는 전동기 3과, 이 전동기 3의 회전 운동을 전달하는 전달기구 4와, 이 전달기구 4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기구부 7과, 이 회전 기구부 7에 연결되고 선단이 하방을 향하는 복수의 회전 시료자 5, 5를 갖는 두피 케어 장치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기구부 7이, 복수의 기어인 외측 기어 33L, 33R과, 이들 외측 기어 33L, 33R의 하부에 일체로 설치된 제일 베벨 기어인 베벨 기어 35L, 35R과, 이들 베벨 기어 35L, 35R과 맞물리는 제이 베벨 기어인 종동측 베벨 기어 36L, 36R을 갖고, 이들 베벨 기어 35L, 35R의 회전축 135L, 135R과 종동측 베벨 기어 36L, 36R의 회전축 136L, 136R의 교차각도를 180˚-θ로 함으로써, 이들 종동측 베벨 기어 36L, 36R의 회전축 136L, 136R을 상기 베벨 기어 35L, 36R의 회전축 135L, 135R에 대하여 각도 θ로 경사 시킴과 동시에, 상기 종동측 베벨 기어 36L, 36R 및 상기 회전 시료자 5, 5를 연결시켰기 때문에 복수의 상기 회전 시료자 5, 5의 회전축끼리도 경사지게 하고, 확실하게 기어끼리 맞물려 원활하게 상기 회전 시료자 5, 5를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상기 회전 시료자 5, 5끼리기 내측을 향하도록 복수의 제이 베벨 기어인 상기 종동측 베벨 기어 36L, 36R의 회전축 136L, 136R을 경사되도록 하기 때문에, 두피의 곡선 모양에 따라 상기 회전 시료자 5, 5의 선단을 두피에 맞출 수 있기 때문에 두피 케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상기 회전 시료자 5, 5가 면대칭 모양으로 배열되는 동시에 또한, 면 대칭 상이 되는 상기 회전 시료자 5, 5의 좌측부분 83L과 우측부분 83R이 면대칭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두피에 맞추어진 회전 시료자가 회전해도 회전에 따라 상기 프레임 2를 이동시키려는 힘이 상쇄되어 두피에 상기 프레임 2를 이동 시키려고 하는 힘이 발생하지 않고, 이 프레임 2를 쉽게 안정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서의 효과로서 프레임 2와, 이 프레임 2에 수납되어 진 전동기 3과, 이 전동기 3의 회전 운동을 전달하는 전달기구 4와, 이 전달기구 4에 연결된 시료자를 가진 두피 케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달기구 4가 회전 기구부 7과, 이 회전 기구부 7의 회전을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 기구부 8을 구비하고, 상기 시료자가 상기 회전 기구부 7에 연결되어 회전 운동을 행하는 회전 시료자 5와, 상기 변환 기구부 8에 연결되어 왕복 운동을 행하는 왕복 시료자 6을 구비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사람의 손에 가까운 움직임으로 마사지할 수 있기 때문에 두피 케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시료자 5 및 왕복 시료자 6을 면 대칭 모양으로 배열함과 동시에, 면 대칭 모양이 되는 상기 회전 시료자 5의 제일 부분인 좌측부분 83L과 제이 부분인 우측부분 83R과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사람이 양손으로 마사지를 하는 것에 가까운 움직임으로 마사지를 할 수 있으므로 두피 케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부분 83L과 우측부분 83R이 각각 복수의 회전 시료자 5, 5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좌측부분 83L의 회전 시료자 5, 5 끼리 및 상기 우측부분 83R의 회전 시료자 5, 5 끼리 서로 각각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사람이 손으로 하는 마사지보다 더욱 밀접하게 마사지할 수 있기 때문에 두피 케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전달기구 4 중 외측에 설치된 회전 시료자 5, 5를 회전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된 종동측 베벨 기어 36L, 36R을 내측에 설치된 회전 시료자 5, 5를 회전시키는 부분인 중앙기어 32L, 32R에 대해 내측으로 기울여 설치함으로써 두피의 곡선 모양을 따라서 상기 회전 시료자 5, 5의 선단을 두피에 맞출 수 있기 때문에 두피 케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의 효과로, 회전 중심이 전후 방향의 상단 감속 기어 군 20과 회전 중심이 상하 방향의 전측 구동 기어 군 31 및 후측 구동 기어 26을 상측 중간 전달 기어 21 및 하측 중간 전달 기어 25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프레임 2, 그리고 나아가서는 상기 두피 케어 장치 1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중앙의 상기 회전 시료자 5, 5에 대해 외측의 상기 회전 시료자 5, 5를 대각선 뒤쪽에 배치하고, 또한 종동측 베벨 기어 36의 회전 중심을 상기 중앙 기어 32L, 32R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내측 뒷쪽으로 경사시키는 것으로, 사람의 손가락에 가까운 마사지 감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환 기구부 8을 상기 후측 구동 기어 26에 설치 한 캠 돌기 41과, 이 캠 돌기 41이 계입하는 캠 테두리 부 43과, 이 캠 테두리 부 43을 축 지지하는 취부 케이스 46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회전 운동을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구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부축 65의 요동 계합부 68의 축삽통공 69에 지지 축 70을 삽입 관통함으로써 상기 취부축 65, 그리고 나아가서 이에 장착되는 상기 시료자 본체 51이 그 축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는 것이 상기 지지 축 70에 의해 방해되기 때문에 마사지 시에 상기 시료자 본체 51에 의해 두피를 꽉 잡고 효과적으로 마사지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 요동 계합부 68과 축삽통공 69와의 계합에 의하여 상기 캠 부 66이 상기 중앙 기어 32L, 32R 및 베벨 기어 36L, 36R의 하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때문에 캠 기구를 구성하는 상기 캠 부 66과 캠 받침 부 61의 작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13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내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전동기 3을 수직으로 배치하고, 기어 케이스 14를 그 하부에 배치함과 동시에 이 기어 케이스 14의 하부로부터 구동축 3A를 아래쪽으로 돌출하게 하였다. 또한,이 구동축 3A는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의 상부에서 더욱더 전후 방향 일측(전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축 3A에는 구동 기어 1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중간 전달 기어 91은 기어 이 수가 많은 대 기어부 91B와 기어 이 수가 적은 소 기어부 91S를 갖고 있다. 그리고 기어 이 수가 많은 상기 대 기어부 91B는 상기 구동 기어 15와 맞물려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전달 기어 91의 회전축 91K는 상하 방향을 이룬다. 이 회전축 91K와 회전 기구부 92의 다른 기어의 회전축은 평행이며, 그 기어는 프레임 등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도 1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 전달 기어 91은 프레임의 전후 방향 중앙에서 더욱 좌우 방향 오른쪽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 전달 기어 91의 소 기어 부 91S의 전후에는 상기 회전 시료자 5를 구동하는 전측 구동 기어 군 31F 및 후측 구동 기어 군 31B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측 구동 기어 군 31F와 후측 구동 기어 군 31B는 상기 회전 시료자 5의 방향이 다르게 구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이다. 상술하면, 상기 중간 전달 기어 91의 소 기어 부 91S는 상기 전측 구동 기어 군 31F와 후측 구동 기어 군 31B를 구성하는 중앙 기어 32L과 맞물려 있다. 그리고, 상기 전측 구동 기어 군 31F와 후측 구동 기어 군 31B는 인접한 상기 중앙 기어 32L 및 중앙 기어 32R과 맞물려 있다. 또한, 상기 전측 구동 기어 군 31F와 후측 구동 기어 군 31B는 인접한 상기 중앙 기어 32L과 외측 기어 33L과 맞물려 있는 동시에, 인접하는 상기 중앙 기어 32R과 외측 기어 33R과 맞물려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기어 32L, 외측 기어 33L, 중앙 기어 32R 및 외측 기어 33R의 회전 중심이 일직선상에 늘어선 것으로, 전후 좌우의 4개소에 시료자 회전부 9, 9, 9, 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측 기어 33L, 33R의 중심 축선 135L, 135R은 상기 중간 전달 기어 91의 회전축 91K와 평행이다.
상기 외측 기어 33L, 33R에는 각각 제일 베벨 기어인 베벨 기어 35L, 35R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베벨 기어 35L, 35R에는 각각 제이 베벨 기어인 종동측 베벨 기어 36L, 36R이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종동측 베벨 기어 36L, 36R은 각각의 중심 축 136L, 136R이 상기 베벨 기어 35L, 35R(즉, 상기 외측 기어 33L, 33R)의 중심 축선 135L, 135R에 대해 중심점 93을 향해 기울어져 있다. 또한, 상기 베벨 기어 35L, 35R의 중심축선 135L, 135R에 대한 종동측 베벨 기어 36L, 36R의 중심축선 136L, 136R의 경사 각도는 15도 정도이다. 즉, 상기 전측 구동 기어 군 31F 및 후측 구동 기어 군 31B의 상기 종동측 베벨 기어 36L, 36R, 36L, 36R의 중심 축선 136L, 136R, 136L, 136R은 아래쪽에서 1점에서 교차한다. 그리고, 상기 중간 전달 기어 91, 전측 및 후측 구동 기어 군 31F, 31B에 의하여 상기 전동기 3의 회전 운동을 전달하는 전달기구 94가 구성되어, 전측 및 후측 구동 기어 군 31F, 31B에 의해 상기 회전 기구부 92가 구성되어 있다.
도 19는 상기 회전 시료자 5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칭면 95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전측 구동 기어 군 31F와 후측 구동 기어 군 31B는 전후 방향으로 면대칭이 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대칭면 96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전측 구동 기어 군 31F와 후측 구동 기어 군 31B는 각각 좌우 방향으로 면대칭이 되고 있다. 또한, 상기 대칭면 95와 대칭면 96은 상기 중심점 93에서 직교한다. 또한, 상기 전측 구동 기어 군 31F의 오른쪽 외측 기어 33R과 상기 후측 구동 기어 군 31B의 왼쪽 외측 기어 33L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 선 97과, 상기 후측 구동 기어 군 31B의 오른쪽 외측 기어 33R과 상기 전측 구동 기어 군 31F의 왼쪽 외측 기어 33L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 98이 상기 중심점 93에서 교차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 시료자 5는 상기 대칭면 95의 전후에 위치하는 전측부분 (제1 부분) 83F와 후측 부분(제2 부분) 83B가 면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짐과 함께 면대칭 상에서 작동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회전 시료자 5는 상기 대칭면 96의 좌우에 위치하는 촤측 부분(제1 부분) 83L과 우측 부분(제2 부분) 83R이 면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짐과 함께, 면대칭 상에 작동한다. 구체적으로는, 모든 상기 회전 시료자 5, 5, 5, 5의 선단은 상기 가상 선 97, 98의 연장선상에서, 더욱이 상기 중심점 93에서 가장 먼 위치인 기준 위치에 동시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전동기 3이 동작하면, 상기 전측 부분 83F의 회전 시료자 5, 5, 5, 5의 선단은 바닥에서 볼 때에, 우측이 오른쪽 방향으로, 좌측이 왼쪽 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함과 동시에, 후측 부분 83B의 회전 시료자 5, 5의 선단은 우측이 왼쪽 방향으로, 좌측이 오른쪽 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 또한, 도 19에 있어서, 상기 회전 시료자 5, 5가 상기 기준 위치에서 90도 회전한 위치에 「△」를 붙이고, 180도 회전한 위치에 「○」를 붙이고, 270도 회전한 위치에 「×」를 부여하고 있으며, 360도 회전하고 다시 기준 위치에서는 「●」를 붙이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전측 부분 83F와 후측 부분 83B에서, 상기 회전 시료자 5, 5, 5, 5는 면대칭형으로 배치되는 것과 동시에, 면대칭 형태로 동작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좌측 부분 83L과 우측 부분 83R에서, 상기 회전 시료자 5, 5, 5, 5는 측면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과 동시에, 면 대칭 형태로 동작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에 의해 상기 전동기 3을 구동하고, 두피에 상기 시료자 5를 맞대게 되면, 상기 회전 시료자 5의 선단이 원 운동하여 두피를 마사지할 수 있다. 이때 두피 케어 장치의 전후 좌우에서 회전 시료자 5, 5가 두피를 마사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측 부분 83F와 후측 부분 83B에서 회전 시료자 5의 선단이 동기에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좌측 부분 83L과 우측 부분 83R에서 회전 시료자 5의 선단이 동기에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두피에 상기 회전 시료자 5를 맞춘 상태에서 상기 두피 케어 장치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마사지를 실시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수납되는 전동기 3과, 이 전동기 3의 회전 운동을 전달하는 전달기구 94와, 이 전달기구 94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기구부 92와, 이 회전기구 92에 연결되고 선단이 하방을 향하는 복수의 회전 시료자 5, 5, 5, 5를 갖는 두피 케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구 92가 복수의 기어인 외측 기어 33L, 33R과, 이들 외측 기어 33L, 33R의 하부에 일체로 설치된 제일 베벨 기어인 베벨 기어 35L, 35R 및 이들 베벨 기어 35L, 35R과 맞물리는 제이 베벨 기어인 종동측 베벨 기어 36L, 36R을 갖고, 이들 베벨 기어 35L, 35R의 회전축 135L, 135R과 종동측 베벨 기어 36L, 36R의 회전축 136L, 136R의 교차각도를 180˚-θ로 함으로써, 이들 종동측 베벨 기어 36L, 36R의 회전축 136L, 136R을 상기 베벨 기어 35L, 36R의 회전축 135L, 135R에 대하여 각도 θ로 경사 시킴과 동시에, 상기 종동측 베벨 기어 36L, 36R 및 상기 회전 시료자 5, 5를 연결시켰기 때문에, 복수의 상기 회전 시료자 5, 5, 5, 5의 회전축끼리가 경사되도록 하여 확실하게 기어끼리 맞물려 원활하게 상기 회전 시료자 5, 5, 5, 5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회전 시료자 5, 5, 5, 5가 면 대칭 모양으로 배열되는 것과 동시에, 면 대칭 모양이 되는 회전 시료자 5, 5, 5, 5의 전측 부분(제1 부분) 83F와 후측 부분(제2 부분) 83B가 면대칭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면대칭 모양이 되는 회전 시료자 5, 5, 5, 5의 좌측 부분(제1 부분) 83L과 우측 부분(제2 부분) 83R이 면대칭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두피에 맞대어진 회전 시료자 5, 5, 5, 5가 회전해도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두피 케어 장치를 이동시키려는 힘이 상쇄되어 두피에 대하여 두피 케어 장치를 이동시키려는 힘이 발생하지 않고, 두피 케어 장치를 쉽게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에서의 효과로서, 상기 전측 부분 83F와 후측 부분 83B에서, 또한 상기 좌측 부분 83L과 우측 부분 83R에서, 상기 회전 시료자 5, 5, 5, 5가 면 대칭형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균일한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동기 3을 수직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축 3A를 하향으로 하였기 때문에, 실시예 1의 왕관 기어 22가 불필요하게 되며, 상기 전달기구 94를 단순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실시예 1에서는 왕복 시료자를 좌우 한 쌍 설치했지만, 왕복 시료자를 하나만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왕복 시료자는 대칭 평면에 위치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전달기구 및 회전 기구부를 기어로 구성했지만, 청구항에 관한 기어 이외의 전부 또는 일부를 스프로킷과 체인 또는 풀리와 무단상 벨트 등으로 구성되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시료자를 면대칭 형상으로 배치했지만, 면대칭 형상으로 배치하지 않아도 좋고, 좌측 부분(제1 부분)과 우측 부분(제2 부분)에 각각 복수, 바람직하기로는 동수의 회전 시료자를 배치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회전 시료자는 그 단부에 형성된 캠 부가 중앙 기어 또는 베벨 기어에 형성된 캠 받침부와 계합하도록 구성되지만, 회전 시료자를 중앙 기어 또는 베벨 기어와 일체적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1 --- 두피 케어 장치
2 --- 프레임
3 --- 전동기
4 --- 전달기구
5 --- 회전 시료자
7 --- 회전 기구부
9 --- 시료자 회전부
25K --- 회전축(회전 구동부의 회전축)
33R, 33L --- 외측 기어(기어)
35L, 35R --- 베벨 기어(제일 베벨 기어)
36L, 36R --- 종동측 베벨 기어(제이 베벨 기어)
49 --- 취부부
51 --- 시료자 본체
65 --- 취부축
81 --- 대칭면
82 --- 기준점
83L --- 좌측부분(제1 부분)
83R --- 우측부분(제2 부분)
83F --- 전측 부분(제1 부분)
83B --- 후측 부분(제2 부분)
91K --- 회전축(회전 구동부의 회전축)
135L, 135R --- 회전축의 중심축선
136L, 136R --- 회전축의 중심축선
θ --- 경사 각도

Claims (3)

  1.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수납되는 전동기와, 이 전동기의 회전 운동을 전달하는 전달기구와, 이 전달기구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기구부와, 이 회전 기구부에 연결되고 선단이 하방을 향하는 복수의 회전 시료자를 갖는 두피 케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기구부가, 복수의 기어와, 이들 기어의 하부에 설치된 제일 베벨 기어와, 이들 제일 베벨 기어의 하방에서 상기 제일 베벨 기어와 맞물리는 제이 베벨 기어를 구비하고, 이들 제일 베벨 기어의 회전축과 제이 베벨 기어의 회전축의 교차각도를 180˚-θ로 함으로써, 상기 제이 베벨 기어의 회전축을 상기 제일 베벨 기어의 회전축에 대하여 각도 θ로 경사 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이 베벨 기어와 상기 회전 시료자를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케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전 시료자들 끼리 내측을 향하도록 복수의 상기 제이 베벨 기어의 회전축을 경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케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전 시료자가 면대칭 상으로 배열되는 동시에, 면대칭 상이 되는 상기 회전 시료자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면대칭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케어 장치.
KR1020140160773A 2014-01-24 2014-11-18 두피 케어 장치 KR1023407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11706A JP6158719B2 (ja) 2014-01-24 2014-01-24 頭皮ケア器
JPJP-P-2014-011706 2014-0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707A KR20150088707A (ko) 2015-08-03
KR102340710B1 true KR102340710B1 (ko) 2021-12-16

Family

ID=53685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773A KR102340710B1 (ko) 2014-01-24 2014-11-18 두피 케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58719B2 (ko)
KR (1) KR102340710B1 (ko)
CN (1) CN104800063B (ko)
TW (1) TWI6377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26631B (zh) * 2015-11-25 2017-07-21 深圳市倍轻松科技股份有限公司 抓挠式按摩梳
CN106618992B (zh) * 2016-10-09 2021-04-06 深圳市倍轻松科技股份有限公司 头部按摩器
CN108210287A (zh) * 2017-10-13 2018-06-29 常熟简尚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医疗保健用按摩仪
CN209422402U (zh) 2017-11-16 2019-09-24 深圳市倍轻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头皮按摩器
CN209422403U (zh) * 2017-11-16 2019-09-24 深圳市倍轻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头部按摩器
WO2019116535A1 (ja) * 2017-12-15 2019-06-20 株式会社アデランス 洗浄ブラシ
JP7033712B2 (ja) 2018-06-13 2022-03-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頭皮ケア装置
JP7033711B2 (ja) * 2018-06-13 2022-03-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頭皮ケア装置
CN108771613B (zh) * 2018-07-04 2020-06-05 青岛大学附属医院 一种骨科的机器人按摩机器手
CN109893411B (zh) * 2019-04-16 2021-03-16 孟宪月 一种腹部按摩装置
CN110236900B (zh) * 2019-06-07 2021-07-20 奥佳华智能健康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抓头按摩器
CN110755243A (zh) * 2019-09-10 2020-02-07 赛夫 一种头部按摩装置
CN113262151B (zh) * 2021-05-24 2022-08-02 唐现莉 一种中医科治疗用推拿按摩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4631A (ja) * 2008-10-17 2010-04-30 Nj Techno:Kk 混練装置
JP2011010979A (ja) 2009-07-06 2011-01-20 Ya Man Ltd 頭皮ケア装置
JP2011115378A (ja) * 2009-12-03 2011-06-1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頭皮ケ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79961U (zh) * 1990-07-06 1991-07-03 上海无线电三十二厂 电动推拿按摩器
JP3299953B2 (ja) * 2000-07-11 2002-07-08 須三子 伊藤 頭皮マッサ−ジ器具
JP2008206902A (ja) * 2007-02-28 2008-09-11 Twinbird Corp マッサージ装置
JP2010269124A (ja) * 2009-04-24 2010-12-0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頭皮ケア装置
JP2012045088A (ja) * 2010-08-25 2012-03-08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頭皮ケア装置
JP5466130B2 (ja) * 2010-10-18 2014-04-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頭皮ケア装置
JP2013208231A (ja) 2012-03-30 2013-10-10 Panasonic Corp 頭皮ケア装置
CN203169548U (zh) * 2012-10-26 2013-09-04 厦门蒙发利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足弓按摩机构及足浴盆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4631A (ja) * 2008-10-17 2010-04-30 Nj Techno:Kk 混練装置
JP2011010979A (ja) 2009-07-06 2011-01-20 Ya Man Ltd 頭皮ケア装置
JP2011115378A (ja) * 2009-12-03 2011-06-1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頭皮ケ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29065A (zh) 2015-08-01
KR20150088707A (ko) 2015-08-03
CN104800063B (zh) 2019-11-12
JP2015136594A (ja) 2015-07-30
TWI637739B (zh) 2018-10-11
CN104800063A (zh) 2015-07-29
JP6158719B2 (ja) 2017-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0710B1 (ko) 두피 케어 장치
JP5373763B2 (ja) 歯ブラシ
JP6158716B2 (ja) 頭皮ケア器
WO2019095545A1 (zh) 一种头皮按摩器
CN105579015B (zh) 手部运动锻炼装置
ES2625814T3 (es) Aparato de masaje con cabeza de masaje equipada con puntas que se desplazan hacia el centro de la cabeza
JPWO2017078016A1 (ja) 羽ばたき装置
JP5527299B2 (ja) ギヤユニットおよびロボット
ITMI20131723A1 (it) Apparecchio scuotitore portatile per la raccolta di frutti dagli alberi, in particolare per la raccolta delle olive
JP6205314B2 (ja) 頭皮ケア器
CN208864762U (zh) 模拟真人揉捏的按摩器
JP2007252669A (ja) マッサージ装置
JP2014171856A (ja) マッサージ器
JP7051413B2 (ja) マッサージ装置
CN107961148B (zh) 一种眼部按摩器
JP2012196423A (ja) マッサージ装置
JP3996093B2 (ja) ロボットハンド
JP3242609U (ja) マッサージ器
CN216021987U (zh) 按摩器
JP4813083B2 (ja) トリートメント装置
JP2023007540A (ja) ヘッドマッサージャー
CN219921513U (zh) 一种按摩机芯
JP7213490B2 (ja) マッサージ装置のスプロケット伝達機構
JP2015084777A (ja) 美容機器
JP3196652U (ja) マッサー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