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163B1 - 필름 롤의 곤포체 - Google Patents

필름 롤의 곤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163B1
KR102315163B1 KR1020217003435A KR20217003435A KR102315163B1 KR 102315163 B1 KR102315163 B1 KR 102315163B1 KR 1020217003435 A KR1020217003435 A KR 1020217003435A KR 20217003435 A KR20217003435 A KR 20217003435A KR 102315163 B1 KR102315163 B1 KR 102315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oll
mount
package
film
pack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3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6087A (ko
Inventor
다케시 이노우에
히로후미 다나카
다카시 난지요
나오유키 모가미
Original Assignee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16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jumbo rolls; for rolls of floor cov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1/00External frames or supports adapted to be assembled around, or applied to,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8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wrappers or flexible containers, e.g. pouches, bags
    • B65D81/389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wrappers or flexible containers, e.g. pouches, bags formed of foam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Abstract

곤포체(1)는 필름 롤(2)과, 가대(3)와, 곤포재(41)를 구비한다. 필름 롤(2)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장척상 광학 필름을 권취 코어(2a)의 둘레에 권회한 권회체이다. 가대(3)는, 필름 롤(2)을 권취 코어(2a)를 통해, 최표층(2b)이 기타 부분과 비접촉이 되도록, 내부에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곤포재(41)는 단열성을 가지고, 필름 롤(2)의 연직 상방 또는 연직 하방을 덮도록 가대(3)를 포장함과 함께, 가대(3)의 연직 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필름 롤(2)을 측방으로부터 덮도록 포장한다.

Description

필름 롤의 곤포체 {PACKAGING BODY FOR FILM ROLL}
본 발명은, 필름 롤을 가대에 수용하여 곤포재로 포장한 필름 롤의 곤포체에 관한 것이다.
근년, 표시 장치의 박형화에 수반하여, 편광판에 탑재되는 광학 필름의 박막화가 요망되고 있다. 박막의 광학 필름은 장척상으로 제막된 후, 롤상으로 권취되어 필름 롤이 되지만, 박막이기 때문에, 블로킹(적층되는 필름끼리의 부착)이나 중량에 의한 감기 형상의 변형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광학 필름의 폭 단부에 형성되는 엠보싱(요철부)의 형상을 연구하거나, 광학 필름의 권취 방법을, 스트레이트 감기(폭 단부를 정렬시켜 광학 필름을 권취하는 방식)에서 오실레이트 감기(폭 단부를 권취 코어 방향으로 요동시키면서 광학 필름을 권취하는 방식)로 바꾸거나 하는 대책이 실시되고 있다.
상기 필름 롤은 곤포재로 곤포되어 수송되거나, 창고에 보관된다. 이 때, 주위 온도 변화에 의한 열팽창에 기인하여, 필름 롤에 주름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는, 광학 필름과 보호 필름을 적층한 적층 필름을 롤상으로 권취한 필름 롤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단열 시트로 덮음으로써, 필름 롤에 있어서, 수송이나 보관 시의 열팽창에 기인하는 주름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21625호 공보(청구항 1, 단락 [0006], [0009], [0015], 도 4 등 참조)
그런데, 필름 롤의 곤포체를, 컨테이너에 저장하여 수송한 후, 컨테이너로부터 창고에 반입하고, 곤포체 내부의 필름 롤의 상태를 확인한 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 롤(100)의 최표층(100a)에 고장(101)이 발생하였음이 확인되었다. 상기 고장(101)은, 평면에서 보아 대략 삼각 형상을 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필름 롤(100)의 둘레 방향으로 체인 형상으로 연결된 체인 형상의 변형이다. 고장(101)의 발생 원리에 대해서는, 본원 발명자는 이하와 같이 추측하고 있다. 즉, 컨테이너로부터 창고로의 곤포체의 반입 작업 시에, 곤포체가 옥외에 폭로되었기 때문에, 곤포체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고, 이에 의해 곤포체 내부의 필름 롤(100)이 급격하게 열팽창한다. 이러한 필름 롤(100)의 급격한 열팽창이, 롤 표면에 좌굴 변형을 발생시키고, 이 좌굴 변형에 의해 발생한 주름이 체인 형상의 고장(101)이 되어 나타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곤포체가 옥외에 폭로되어, 급격한 온도 상승이 발생함으로써 발생하는 상기 체인 형상의 고장(101)을 저감시키기 위한 곤포체의 구성에 대해서는 일절 검토되지 않았다.
또한, 상술한 특허문헌 1은, 필름 롤의 최표면을 단열 시트로 덮음으로써, 필름 롤의 수송 시나 보관 시 등의, 필름 롤이 옥외에 폭로되는 전후에 발생하는 고장, 즉, 경시적으로 보아 완만한 온도 상승을 기초로 발생하는 고장을 저감시키는 것이며, 창고로의 반입 작업 시 등, 곤포체가 옥외에 폭로되어 급격한 온도 상승이 발생함으로써 발생하는 체인 형상의 고장의 저감에 대해서는 일절 검토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곤포체의 옥외로의 폭로에 의한 급격한 온도 상승에 의해, 필름 롤에 체인 형상의 고장(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는 필름 롤의 곤포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이하의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일측면에 관한 필름 롤의 곤포체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장척상 광학 필름을 권취 코어의 둘레에 권회한 권회체인 필름 롤과, 상기 필름 롤을, 상기 권취 코어를 통해, 해당 롤의 최표층이 기타 부분과 비접촉이 되도록, 내부에 유지할 수 있는 가대와, 단열성을 가지고, 상기 필름 롤의 연직 상방 또는 연직 하방을 덮도록 상기 가대를 포장함과 함께, 상기 가대의 연직 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필름 롤을 측방으로부터 덮도록 포장하는 곤포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필름 롤을 내부에 유지하는 가대의 적어도 일부가, 단열성(본 발명에 있어서 단열성이란, 열전도의 저해, 및 열방사, 열복사를 차단하는 효과를 포함함)을 갖는 곤포재로 포장되어 있다. 또한, 필름 롤은, 최표층이 기타 부분과 비접촉이 되도록 가대의 내부에서 유지되어 있으며, 가대를 덮는 곤포재와 필름 롤 사이에는, 공극층이 존재한다. 곤포재가 단열성을 갖고 있는 점과, 상기 공극층이 단열 기능을 발휘하는 점에서, 필름 롤을 포함하는 곤포체가 옥외에 폭로되어도, 곤포체 내부의 필름 롤에 급격한 온도 상승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필름 롤에 있어서, 열팽창에 기인하는 체인 형상의 고장(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필름 롤의 곤포체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곤포체를 구성하는 필름 롤 및 가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필름 롤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광학 필름이 스트레이트 감기에 의해 권취된 필름 롤의 단면도이다.
도 5는 광학 필름이 오실레이트 감기에 의해 권취된 필름 롤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가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곤포체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상기 가대를 포장하는 곤포재의 일례인 기포 완충 시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곤포체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상기 곤포체의 다른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상기 곤포체의 또 다른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상기 곤포체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곤포체의 또 다른 구성을, 가대 및 피복 부재의 도시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최표층에 체인 형상의 고장이 발생한 필름 롤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치 범위를 A 내지 B라 표기한 경우, 그 수치 범위에 하한 A 및 상한 B의 값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필름 롤의 곤포체의 구성]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필름 롤의 곤포체(이하, 간단히 곤포체라고도 칭함)(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곤포체(1)는 필름 롤(2)과, 가대(3)와, 피복 부재(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피복 부재(4)를 명확하게 할 목적으로, 피복 부재(4)에 해칭을 부여하고 있다(다른 도면에서도 필요에 따라서 해칭을 부여하여 나타냄).
도 2는, 피복 부재(4)로 포장하기 전의 필름 롤(2) 및 가대(3)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필름 롤(2)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필름 롤(2)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장척상 광학 필름(10)을 권취 코어(2a)의 둘레에 권회한 권회체이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 시클로올레핀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장척상 광학 필름(10)은 예를 들어 용액 유연 제막법으로 제막된다. 용액 유연 제막법에서는, 수지 및 용매를 포함하는 도프를 유연 다이로부터, 주행하는 지지체 상에 유연하고, 지지체 상에서 건조시켜 유연막을 형성한다. 그리고, 유연막을 박리하여 연신, 건조시켜 필름으로 하고, 필름의 폭 방향의 양단부를 절단(트리밍)한 후에, 남은 필름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 엠보스 가공을 행한다. 엠보스 가공에서는, 둘레면에 요철이 각인된 엠보싱 롤을 필름의 양단부에 가압함으로써, 필름에 요철이 전사되어 엠보싱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막된 필름은, 최종적으로 권취 코어에 권취하여 롤상 광학 필름(필름 롤)이 된다. 또한, 광학 필름(10)의 제막 방법은 상기의 용액 유연 제막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제막 방법(예를 들어 용융 유연 제막법)이어도 된다.
도 4 및 도 5는 필름 롤(2)의 단면도이며, 도 4는 광학 필름(10)이 스트레이트 감기에 의해 권취된 필름 롤(2)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5는 광학 필름(10)이 오실레이트 감기에 의해 권취된 필름 롤(2)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스트레이트 감기란, 광학 필름(10)을 폭 방향으로 요동시키지 않고, 폭 단부를 정렬시켜 권취하는 방법이며, 오실레이트 감기란, 광학 필름(10)을 폭 방향으로 요동시키면서 권취하는 방법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필름(10)의 폭 방향(권취 코어를 따르는 방향)의 양단부에는, 상기한 엠보스 가공에 의해, 요철상 엠보싱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필름 롤(2)에 있어서의 상하의 광학 필름(10)의 부착(블로킹) 및 광학 필름(10)의 권취 코어 방향의 어긋남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엠보싱부(11)의 폭 W는, 광학 필름(10)의 폭 W0의 예를 들어 5%를 생각할 수 있지만, 이 값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폭 W 및 W0은 모두 필름의 폭 방향을 따른 길이(mm)이다. 또한, 엠보싱부(11)는 최저한으로 광학 필름(10)의 폭 방향의 어느 1군데에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그 개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2개 이상이어도 되지만), 통상은 폭 방향의 양단부의 2군데에 형성된다.
도 6은 가대(3)의 분해 사시도이다. 가대(3)는 필름 롤(2)을 권취 코어(2a)를 통해, 해당 필름 롤(2)의 최표층(2b)이 기타 부분과 비접촉이 되도록, 내부에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대(3)는 틀체(31)와 2개의 지지빔(32)을 갖고 있다. 또한, 이하에서의 설명의 편의상, 권취 코어(2a)가 수평이 되도록 필름 롤(2)을 가대(3)에 적재(수용)하였을 때에 그 권취 코어(2a)를 지지하는 측을 「하」, 「하방」 또는 「하측」이라 하고, 그 반대측을 「상」, 「상방」 또는 「상측」이라 한다. 따라서, 상하 방향은 연직 방향과 동일하다. 또한, 연직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측방이라고도 칭한다.
틀체(31)는 전체적으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이며(도 2 참조), 필름 롤(2)을 외부로 비어져 나오지 않고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 틀체(31)는 상틀부(31a)와, 하틀부(31b)와, 4개의 지주(31c)를 갖고 있다. 상틀부(31a) 및 하틀부(31b)는, 직사각형의 긴 변 및 짧은 변을 따른 틀 형상의 프레임이다. 상틀부(31a)는 유지하는 필름 롤(2)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하틀부(31b)는 유지하는 필름 롤(2)보다도 하방에 위치한다. 상틀부(31a)의 모서리부(직사각형의 정점)와 하틀부(31b)의 모서리부(직사각형의 정점)는, 지주(31c)를 통해 각각 연결되어 있다. 즉, 각 지주(31c)는 상틀부(31a) 및 하틀부(31b)를 연직 방향으로 연결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틀체(31))이 구성되어 있다.
2개의 지지빔(32) 중 한쪽은, 상틀부(31a) 및 하틀부(31b)의 짧은 변끼리를 연결하는 2개의 지주(31c) 사이에 수평으로(지주(31c)에 대하여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2개의 지주(31c)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2개의 지지빔(32) 중 다른 쪽도 동일하게, 상틀부(31a) 및 하틀부(31b)의 나머지 짧은 변끼리를 연결하는 2개의 지주(31c) 사이에 수평으로(지주(31c)에 대하여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나머지 2개의 지주(31c)와 연결되어 있다.
2개의 지지빔(32)에는, 상틀부(31a)측이 개구되도록 반원통 형상으로 절입된 오목부(32a)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 롤(2)의 권취 코어(2a)의 양단부가 각 지지빔(32)의 오목부(32a)에 들어감으로써, 권취 코어(2a)가 지지빔(32)에 고정되어, 필름 롤(2)이 안정되게 지지된다. 또한, 회동 가능한 덮개 부재를 지지빔(32)에 설치하고, 권취 코어(2a)가 오목부(32a)에 들어간 후에, 오목부(32a)에 덮개 부재를 씌워, 권취 코어(2a)의 오목부(32a)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가대(3)는 상기 구성이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가대(3)는 틀체(31) 및 지지빔(32)의 일부를 분리하여(떼어내어) 절첩이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가대(3)는 상기 직육면체 형상의 일부를 둥그스름하게 한 형상이어도 된다.
도 1에 도시한 피복 부재(4)는 가대(3)를 덮음으로써, 가대(3)의 내부의 필름 롤(2)을 최표층(2b)과 비접촉으로 덮는 부재이다. 가대(3)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이기 때문에, 가대(3)를 덮는 피복 부재(4)는 직육면체의 외표면을 따르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피복 부재(4)는, 필름 롤(2)을 통해 서로 대향하는 상면부(4a) 및 하면부(4b)와, 4개의 측면부(4c)를 포함하고 있다. 상면부(4a)는 틀체(31)의 상틀부(31a)(도 6 참조)를 덮는 면이며, 측변이 상틀부(31a)를 따라서 위치함으로써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면부(4b)는 틀체(31)의 하틀부(31b)(도 6 참조)를 덮는 면이며, 측변이 하틀부(31b)를 따라서 위치함으로써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4개의 측면부(4c)는, 대략 직사각형의 상면부(4a) 및 하면부(4b)의 외측 테두리(각 측변)끼리를 연결하고 있으며, 각각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복 부재(4)는, 단열성을 갖는 곤포재(41)와, 투명 시트(42)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복 부재(4)에 있어서, 상면부(4a)와, 측면부(4c)의 높이 방향(상면부(4a)와 하면부(4b)의 대향 방향, 연직 방향)의 일부가, 단열성을 갖는 곤포재(41)로 구성되어 있고, 하면부(4b)와, 측면부(4c)의 높이 방향의 나머지 부분이, 투명 시트(4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피복 부재(4)의 상면부(4a)와, 측면부(4c)의 전체(높이 방향의 전역)가 곤포재(41)로 구성되고, 하면부(4b)만이 투명 시트(42)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4개의 측면부(4c) 전체의 면적에 대하여, 곤포재(41)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을, 피복률 P라 한다. 이 피복률 P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복 부재(4)의 측면부(4c)에 있어서의 상면부(4a) 및 하면부(4b)의 대향 방향의 길이, 즉, 피복 부재(4)로 덮이는 가대(3)의 연직 방향의 길이를 H(mm)라 하고, 측면부(4c) 중 곤포재(41)로 구성되는 부분의 대향 방향의 길이, 즉, 가대(3)의 연직 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포장하는 곤포재(41)의 상기 연직 방향의 길이를 X(mm)라 하여, 이하의 식으로 정의된다. 이 피복률 P는, 0%보다도 크고 100% 이하의 범위에서 적절히 설정되면 된다.
P(%)=(X/H)×100
또한, 상면부(4a) 및 측면부(4c)의 일부를 곤포재(41)로 구성한 경우, 곤포재(41)로서의 상면부(4a) 및 측면부(4c)의 일부는, 연결되어 있어도 되고 분리되어 있어도 된다. 동일하게, 하면부(4b) 및 측면부(4c)의 일부를 곤포재(41)로 구성한 경우, 곤포재(41)로서의 하면부(4b) 및 측면부(4c)의 일부는, 연결되어 있어도 되고 분리되어 있어도 된다.
단열성을 갖는 곤포재(41)로서는, 예를 들어 불투명하며 광이나 열을 흡수 또는 차단하는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박 등의 금속 시트, 골판지와 같은 두꺼운 종이나 얇은 포장지를 포함하는 종이제 시트, 투명 수지에 착색 안료(예를 들어 카본 블랙)를 섞은 수지 시트, 천, 목재 등을 곤포재(41)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곤포재(41)로서, 예를 들어 도 8에 나타내는 기포 완충 시트(41a)를 사용할 수도 있다. 기포 완충 시트(41a)란, 2매의 폴리에틸렌제 시트(41a1·41a2)를, 이들 사이에 무수한 기포(공기층)(41a3)가 형성되도록 접합시켜, 기포(41a3)의 존재에 의해 완충성을 갖게 한 시트이다.
또한, 상술한 재료를 적절히 조합하여 곤포재(41)를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포 완충 시트와 금속 시트를 접합시켜 곤포재(41)를 구성할 수 있고, 수지 시트와 금속 시트를 접합시켜 곤포재(41)를 구성할 수도 있다.
투명 시트(42)는 피복 부재(4)에 있어서 곤포재(41) 이외의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투명 시트(42)는 투명한 수지 시트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리덴(PVDC), 폴리염화비닐(PVC), 저밀도 폴리에틸렌(PE, LDPE)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되는 투명한 수지 시트를, 투명 시트(42)로서 사용할 수 있다.
[곤포체의 제조 방법]
이어서, 곤포체(1)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곤포재(41)로서 금속 시트를 사용하고, 투명 시트(42)로서 폴리에틸렌제의 투명한 수지 시트를 사용한 경우, 이하와 같이 하여 곤포재(41) 및 투명 시트(42)로 가대(3)를 덮음으로써, 곤포체(1)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는, 편의적으로 가대(3)의 지지빔(32a) 및 필름 롤(2)의 도시를 생략하지만, 가대(3)에는, 지지빔(32a)으로 필름 롤(2)이 지지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이후 도면에서도 동일하게 함).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곤포체(1)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먼저, 가대(3)의 하틀부(31b)를 투명 시트(42)로 덮음과 함께, 접착제 또는 테이프로 이들을 고정시킨다. 계속해서, 4개의 지주(31c)의 하반부(높이 방향의 중심보다도 하틀부(31b)측)를 순서대로 둘러싸도록 투명 시트(42)를 감아, 접착제 등으로 고정시킨다.
이어서, 가대(3)의 상틀부(31a)를 곤포재(41)로 덮음과 함께, 이들을 접착제 등으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4개의 지주(31c)의 상반부(높이 방향의 중심보다도 상틀부(31a)측)를 순서대로 둘러싸도록 곤포재(41)를 감아, 접착제 등으로 고정시킨다(P=50%). 이에 의해, 곤포체(1)가 완성된다. 또한, 곤포재(41)의 길이 X 및 투명 시트(42)의 길이(W-X)는, 설정되는 피복률 P가 실현되도록 적절히 조정하면 된다.
또한, 먼저 투명 시트(42)로 가대(3)의 전체를 덮거나, 상틀부(31a)와 4개의 지주(31c) 전체를 덮고, 이어서 곤포재(41)(예를 들어 금속 시트)로 상틀부(31a)와 4개의 지주(31c)의 높이 방향의 일부를 덮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곤포재(41)의 내측에 투명 시트(42)가 위치하지만, 피복 부재(4)에 있어서 곤포재(41) 이외의 부분이 투명 시트(42)인 것에는 변함이 없다.
도 10은 곤포체(1)의 다른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곤포체(1)는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되어도 된다. 즉, 가대(3)의 하틀부(31b)를 덮도록 투명 시트(42)를 접착제 등으로 부착시킴과 함께, 투명 시트(42)의 4모퉁이에 절결(42P)을 형성한다. 그리고, 하틀부(31b)로부터 밀려 나온 투명 시트(42)를 하틀부(31b)를 따라서 절곡하여 지주(31c)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시킨다. 이어서, 가대(3)의 상틀부(31a)를 덮도록 곤포재(41)를 접착제 등으로 부착시킴과 함께, 곤포재(41)의 4모퉁이에 절결(41P)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틀부(31a)로부터 밀려 나온 곤포재(41)를 상틀부(31a)를 따라서 절곡하여 지주(31c)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시킨다. 이에 의해, 곤포체(1)가 완성된다.
도 11은 곤포체(1)의 또 다른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예를 들어, 곤포재(41)로서, 골판지 등의 두꺼운 종이를 미리 덮개 형상으로 절곡한 덮개부(41b)를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 가대(3)의 하반부(하틀부(31b)를 포함함)를 덮도록 투명 시트(42)를 감아 이들을 접착제 등으로 고정시킨 후, 상틀부(31a)측으로부터 덮개부(41b)를 가대(3)에 씌움으로써, 곤포체(1)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대(3)를 덮음으로써 필름 롤(2)을 덮는 피복 부재(4)의 일부가, 단열성을 갖는 곤포재(41)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곤포체(1)의 외부 열의 필름 롤(2)로의 전달이 상기 곤포재(41)에 의해 방해된다. 게다가, 필름 롤(2)의 최표층(2b)과 곤포재(41)는 비접촉이며, 이들 사이에는 공극층이 존재한다. 공기는 열전도율이 매우 낮기 때문에, 외부 열의 필름 롤(2)로의 전달을 방해하는 효과가 더욱 증대한다. 또한, 단열성을 갖는 곤포재(41)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피복 부재(4)의 일부이기 때문에, 피복 부재(4)의 내부에 열이 축적되었다고 해도, 그 열을, 피복 부재(4)의 나머지 부분(곤포재(41) 이외의 투명 시트(42))을 통해 외부로 확산(방열)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이상으로부터 곤포체(1)의 수송 후, 창고로의 반입 작업 시에, 곤포체(1)가 옥외에 폭로되어도, 곤포체(1)의 내부의 필름 롤(2)에 급격한 온도 상승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필름 롤(2)의 열팽창을 억제하고, 이 열팽창에 기인하여 체인 형상의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곤포체(1)에 있어서, 상술한 정의에서 규정되는 곤포재(41)의 피복률 P가 커지면, 측면부(4c)에 있어서 곤포재(41) 이외의 부분(투명 시트(42))의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피복 부재(4)의 내부에 갇힌 열을, 투명 시트(42)를 통해 방출할 때의 방열성이 저하된다. 방열성이 저하되면, 피복 부재(4)의 내부에 열이 가득 차기 쉬워져서, 필름 롤(2)에 열팽창을 억제하는 효과가 작아지고, 체인 형상의 고장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작아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피복률 P는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곤포재(41)의 피복률 P가 10% 미만이면, 측면부(4c)에 있어서, 단열성을 갖는 곤포재(41)에 의해 외부의 열을 차단하는 효과가 작아진다.
이상으로부터, 곤포재(41)에 의한 단열 효과와, 투명 시트(42)에 의한 방열 효과를 양호한 밸런스로 얻는 관점에서, 피복률 P는 10% 이상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 및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 롤(2)은 1종의 광학 필름(10)만을 권회하여 적층한 권회체이다. 이 구성에서는, 광학 필름(10)에 다른 필름(예를 들어 다음 공정에서 박리되는 보호 필름)을 적층하여 권회체로 하는 구성에 비해, 보호 필름을 사용하지 않는 한, 비용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편광판의 가공 공정에 있어서, 필름 롤(2)로부터 광학 필름(10)을 풀어낼 때,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공정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공정수의 삭감 및 제조 공정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복 부재(4)에 있어서 단열성을 갖는 곤포재(41) 이외의 부분은, 투명 시트(42)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피복 부재(4)의 내부에 열이 축적되었다고 해도, 그 열을, 투명 시트(42)를 통해 외부로 확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피복 부재(4)의 내부에 열이 가득 차는 것을 저감시키고, 필름 롤(2)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여, 필름 롤(2)의 열팽창에 기인하는 체인 형상의 고장을 효율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투명 시트(42)에 의해, 외부의 비바람이나 진애로부터 필름 롤(2)을 보호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의 곤포체(1)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동일 도면과 같이, 곤포체(1)에 있어서, 단열성을 갖는 곤포재(41)와, 투명 시트(42)의 위치 관계는, 도 1의 구성과는 반대여도 된다. 즉, 피복 부재(4)의 하면부(4b)와, 측면부(4c)에 있어서의 하면부(4b)측의 일부가, 단열성을 갖는 곤포재(41)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때, 피복 부재(4)의 상면부(4a)와, 측면부(4c)의 나머지 부분(상면부(4a)측)은, 투명 시트(42)로 구성된다.
도 1 및 도 12와 같이, 피복 부재(4)의 상면부(4a) 또는 하면부(4b)와, 측면부(4c)의 높이 방향(상면부(4a) 및 하면부(4b)의 대향 방향)의 적어도 일부가, 단열성을 갖는 곤포재(41)로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상면부(4a)만 또는 하면부(4b)만을 곤포재(41)로 피복하는 구성에 비해, 곤포재(41)로 덮이는 면적이 증대되고, 차열 효과가 더욱 높아진다. 따라서, 필름 롤(2)에 있어서, 열팽창에 기인하는 체인 형상의 고장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12로부터, 피복 부재(4)의 상면부(4a)는 필름 롤(2)의 연직 상방을 덮고, 하면부(4b)는 필름 롤(2)의 연직 하방을 덮고, 측면부(4c)는 필름 롤(2)을 측방으로부터 덮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가대(3)를 포장함으로써, 상면부(4a) 또는 하면부(4b)와, 측면부(4c)의 연직 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곤포재(41)는, 이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즉, 단열성을 갖는 곤포재(41)는, 필름 롤(2)의 연직 상방 또는 연직 하방을 덮도록 가대(3)를 포장함과 함께, 가대(3)의 연직 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필름 롤(2)을 측방으로부터 덮도록 포장한다.
[포장재에 대해서]
도 13은 곤포체(1)의 또 다른 구성을, 가대(3) 및 피복 부재(4)의 도시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곤포체(1)는 포장재(5)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포장재(5)는, 필름 롤(2)의 권취 코어 방향(권취 코어(2a)가 연장되는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필름 롤(2)의 최표층(2b)을 덮는 시트이며, 예를 들어 도 8에서 나타낸 기포 완충 시트(41a)나, 불투명한 금속 시트 또는 수지 시트 등, 곤포재(41)를 구성하는 시트와 동일한 시트로 구성할 수 있다.
필름 롤(2)의 최표층(2b)을 포장재(5)가 덮음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열을 필름 롤(2)의 직전에서 차단 또는 흡수하고, 필름 롤(2)로의 열의 전달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포장재(5)를 곤포재(41)와 병용함으로써, 외부의 열에 의한 필름 롤(2)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어, 필름 롤(2)에 있어서, 열팽창에 기인하는 체인 형상의 고장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여기서, 포장재(5)의 두께는, 피복 부재(4)의 곤포재(41)의 두께보다도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외부의 열이 곤포재(41)를 통해 포장재(5)에 도달하였다고 해도, 포장재(5)의 두께에 의해 상기 열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인 형상의 고장뿐만 아니라, 필름 롤(2)의 열에 의한 탄성 변형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가대의 다른 구성에 대해서]
상술한 가대(3)에 있어서, 하틀부(31b)는 금속판과 일체화되어 하면부를 구성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피복 부재(4)는 가대(3)의 상기 하면부를 덮을 필요가 없고, 상술한 상면부(4a) 및 4개의 측면부(4c)만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로부터, 피복 부재(4)는 가대(3)의 적어도 일부를 덮음으로써, 필름 롤(2)을 최표층(2b)과 비접촉으로 덮은 구성이면 된다고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곤포체 1의 제작>
먼저, 장척상 광학 필름으로서의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필름(TAC 필름, 폭 1300mm, 막 두께 40㎛)을 권취 코어에 권취한 필름 롤을 준비하였다. 즉, 상기 필름 롤은, TAC 필름이라는 1종의 광학 필름만의 권회체이다(권취 길이는 4000m). 이 필름 롤을, 도 2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가대에, 해당 롤의 최표층이 다른 부재(예를 들어 가대)와 비접촉이 되도록 수용하였다(필름 롤의 권취 코어를 가대로 지지하였음). 또한, 여기에서는, 필름 롤의 최표층을 포장재(단열 시트)로 덮지 않고, 필름 롤을 가대에 수용하였다.
이어서, 곤포재로서, 금속 시트(니혼 마타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두께 30㎛)를 사용하여, 가대 내부에 수용한 필름 롤의 연직 상방을 덮도록, 가대를 곤포재로 포장하고, 곤포재를 테이프로 고정시켰다. 또한, 투명 시트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투명 시트(두께 50㎛)를 사용하여, 필름 롤의 연직 하방을 덮으며, 또한 필름 롤을 측방으로부터 둘러싸도록, 상기 투명 시트로 가대를 포장하여 테이프로 고정시키고, 곤포체 1을 제작하였다. 또한, 곤포재 및 투명 시트에 의한 포장의 순서는 반대여도 된다. 곤포체 1에서는, 곤포재가 필름 롤의 측방을 덮고 있지 않기 때문에(필름의 측방은 투명 시트로 덮여 있기 때문에), 상술한 식으로 정의되는 곤포재의 피복률 P는 0%이다.
<곤포체 2의 제작>
필름 롤의 연직 상방에 더하여, 필름 롤을 측방으로부터 덮도록, 곤포재로 가대를 포장한 것 이외에는, 곤포체 1의 제작과 동일하게 하여 곤포체 2를 제작하였다. 이 때, 측면부의 곤포재에 의한 피복률 P가 50%가 되도록, 가대의 상반부를 곤포재로 포장하였다. 또한, 가대에 있어서 상기 곤포재로 포장되지 않은 부분(가대의 하반부)은, 곤포체 1의 제작에서 사용한 투명 시트와 동일한 시트로 포장하였다.
<곤포체 3의 제작>
필름 롤의 연직 상방에 더하여, 필름 롤을 측방으로부터 덮도록, 곤포재로 가대를 포장한 것 이외에는, 곤포체 1의 제작과 동일하게 하여 곤포체 3을 제작하였다. 이 때, 측면부의 곤포재에 의한 피복률 P가 100%가 되도록 가대의 연직 방향 전역을 곤포재로 포장하였다. 또한, 가대에 있어서 상기 곤포재로 포장되지 않은 부분(필름 롤의 연직 하방)은, 곤포체 1의 제작에서 사용한 투명 시트와 동일한 시트로 포장하였다.
<곤포체 4의 제작>
가대 내부에 수용한 필름 롤의 연직 하방을 덮도록, 곤포재로 가대를 포장하고, 필름 롤의 연직 상방 및 측방을 덮도록, 투명 시트로 가대를 포장한 것 이외에는, 곤포체 1의 제작과 동일하게 하여 곤포체 4를 제작하였다. 곤포체 4에서는, 곤포재가 필름 롤의 측방을 덮고 있지 않기 때문에(필름의 측방은 투명 시트로 덮여 있기 때문에), 상술한 식으로 정의되는 곤포재의 피복률 P는 0%이다.
<곤포체 5의 제작>
필름 롤의 연직 하방에 더하여, 필름 롤을 측방으로부터 덮도록, 곤포재로 가대를 포장한 것 이외에는, 곤포체 4의 제작과 동일하게 하여 곤포체 5를 제작하였다. 이 때, 측면부의 곤포재에 의한 피복률 P가 50%가 되도록, 가대의 하반부를 곤포재로 포장하였다. 또한, 가대에 있어서 상기 곤포재로 포장되지 않은 부분(가대의 상반부)은, 곤포체 4의 제작에서 사용한 투명 시트와 동일한 시트로 포장하였다.
<곤포체 6의 제작>
필름 롤의 연직 하방에 더하여, 필름 롤을 측방으로부터 덮도록, 곤포재로 가대를 포장한 것 이외에는, 곤포체 4의 제작과 동일하게 하여 곤포체 6을 제작하였다. 이 때, 측면부의 곤포재에 의한 피복률 P가 100%가 되도록, 가대의 연직 방향 전역을 곤포재로 포장하였다. 또한, 가대에 있어서 상기 곤포재로 포장되지 않은 부분(필름 롤의 연직 상방)은, 곤포체 4의 제작에서 사용한 투명 시트와 동일한 시트로 포장하였다.
<곤포체 7의 제작>
곤포체 1의 제작에서 사용한 필름 롤을 가대에 수용한 후, 상기 가대를 투명 시트만으로 포장하여, 곤포체 7을 제작하였다. 상기 투명 시트로서는, 곤포체 1의 제작에서 사용한 투명 시트와 동일한 시트를 사용하였다.
<곤포체 8의 제작>
곤포체 1의 제작에서 사용한 필름 롤의 최표층에 포장재를 감아, 상기 필름 롤을 가대에 수용하였다. 그리고, 이 가대를 투명 시트만으로 포장하여 곤포체 8을 제작하였다. 또한, 상기 포장재로서는, 도 8에서 나타낸 구조의 기포 완충 시트에 금속 시트를 접합시킨 단열 시트(가와카미 산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두께 3.5mm)를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투명 시트로서는, 곤포체 1의 제작에서 사용한 투명 시트와 동일한 시트를 사용하였다.
<평가>
(롤 온도 변화 1)
제작한 곤포체 1 내지 8을, 25℃의 실내에서 보관한 후, 직사광선이 쏘이는 30℃의 옥외로 반출하고, 60분간 방치하였다. 그리고, 옥외 방치 후의 롤의 최표면 온도를, 온도 센서(가부시키가이샤 테스토제, 형식 번호 05609056)로 측정하였다. 여기서, 롤 온도의 변화량을 T1(℃)이라 하면, T1=(60분 방치 후의 필름 온도)-(실내 시의 필름 온도(25℃))라 정의한다.
《평가 기준》
◎: T1≤7℃
○: 7℃<T1≤10℃
△: 10℃<T1≤15℃
×: 15℃<T1
(체인 형상 변형)
제작한 곤포체 1 내지 8을, 옥외에서 60분간 방치한 후에, 필름 롤의 최표층에 체인 형상의 변형이 있는지 여부를 눈으로 보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체인 형상 변형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변형은 확인되지 않았다.
○: 약간의 변형이 확인되었지만, 탄성 변형으로 인한, 실용상 문제는 없다.
△: 1 내지 2개의 체인 형상 변형이 확인되었다.
×: 3개 이상의 체인 형상 변형이 확인되었다.
표 1에, 곤포체 1 내지 8에 관한 평가의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표 1에서는, 곤포체 1 내지 8과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대응 관계에 대해서도 함께 나타낸다. 또한, 표 중의 곤포재의 포장 위치에 있어서, 「상」, 「하」, 「횡」은 각각 필름 롤의 연직 상방, 연직 하방, 측방을 덮는 위치인 것을 나타내고, 이하의 표에서도 동일한 표기를 채용한다.
Figure 112021013921698-pat00001
표 1로부터, 실시예 1 내지 4에서는, 필름 롤의 최표층에 있어서 체인 형상의 변형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것은, 실시예 1 내지 4의 곤포체에서는, 필름 롤의 연직 상방 또는 연직 하방과 필름 롤의 측방을 덮도록, 단열성을 갖는 곤포재로 가대가 덮여 있고, 또한 곤포재와 필름 롤 사이에 열전달을 억제하는 공극층이 존재하고 있는 점에서, 이들의 상승 효과로 단열성이 높아지고, 필름 롤의 급격한 온도 상승이 억제된 결과, 열팽창에 의한 체인 형상의 변형이 억제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에 비해, 비교예 1 및 2에서는 체인 형상의 변형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필름 롤의 연직 상방만 또는 연직 하방만을 덮도록, 단열성을 갖는 곤포재로 가대를 덮는 것만으로는, 단열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기 때문에, 필름 롤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곤란해져, 열팽창에 의해 체인 형상의 변형이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비교예 3에서는, 단열성을 갖는 곤포재로 가대를 덮지 않은 점에서, 필름 롤의 급격한 온도 상승이 발생하여, 열팽창에 의해 체인 형상의 변형이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비교예 4에서는, 필름 롤의 최표층을, 단열성을 갖는 포장재로 덮고 있지만, 결과적으로 열팽창에 의해 체인 형상의 변형이 발생하였다. 이로부터, 상기 포장재로 롤의 최표층을 덮는 것만으로는, 롤 최표층과 상기 포장재 사이에 열전달을 억제하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필름 롤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작다고 할 수 있다.
<곤포체 9의 제작>
곤포체 1의 제작과 동일하게 하여, 곤포체 9를 제작하였다. 즉, 곤포체 9에서는, 피복률 P=0%이다.
<곤포체 10 내지 15의 제작>
필름 롤의 연직 상방에 더하여, 필름 롤을 측방으로부터 덮도록, 곤포재로 가대를 포장한 것 이외에는, 곤포체 1의 제작과 동일하게 하여 곤포체 10 내지 15를 제작하였다. 이 때, 측면부의 곤포재에 의한 피복률 P가 표 2에 나타내는 값이 되도록, 가대의 연직 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곤포재로 포장하여, 곤포체 10 내지 15를 제작하였다. 또한, 가대에 있어서 상기 곤포재로 포장되지 않은 부분은, 곤포체 1의 제작에서 사용한 투명 시트와 동일한 시트로 포장하였다.
<평가>
(롤 온도 변화 1)
제작한 곤포체 9 내지 15를 25℃의 실내에서 보관한 후, 직사광선이 쏘이는 30℃의 옥외로 반출하고, 60분간 방치하였다. 그리고, 옥외 방치 후의 롤의 최표면 온도를 상기 온도 센서로 측정하였다. 여기서, 롤 온도의 변화량을 T1(℃)이라 하면, T1=(60분 방치 후의 필름 온도)-(실내 시의 필름 온도(25℃))라 정의한다.
《평가 기준》
◎: T1≤7℃
○: 7℃<T1≤10℃
△: 10℃<T1≤15℃
(롤 온도 변화 2)
상기한 바와 같이 곤포체 9 내지 15를 옥외에서 60분간 방치한 후, 25℃의 실내로 복귀시켜 30분간 방치하였다. 그리고, 실내 방치 후의 롤의 최표면 온도를 상기 온도 센서로 측정하였다. 여기서, 롤 온도의 변화량 T2(℃)를 T2=(실내로 복귀시켜 30분 후의 필름 온도)-(실내 시의 필름 온도(25℃))라 정의한다.
《평가 기준》
◎: T2≤5℃
○: 5℃<T2≤7℃
△: 7℃<T2
(체인 형상 변형)
곤포체 9 내지 15를 25℃의 실내로 복귀시켜 30분간 방치한 후에, 필름 롤의 최표층에 체인 형상의 변형이 있는지 여부를 눈으로 보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체인 형상 변형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변형은 확인되지 않았다.
○: 약간의 변형이 확인되었지만, 탄성 변형으로 인한, 실용상 문제는 없다.
△: 1 내지 2개의 체인 형상 변형이 확인되었다.
표 2에, 곤포체 9 내지 15에 관한 평가의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표 2에서는, 곤포체 9 내지 15와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대응 관계에 대해서도 함께 나타낸다.
Figure 112021013921698-pat00002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곤포체 10 내지 15에 대해서는, 옥외에 폭로한 직후에 있어서, 롤의 온도 상승이 억제되어 있으며, 그 후 실내로 복귀시켜 일정 시간 방치해도, 체인 형상의 변형은 보이지 않았다. 단, 피복률이 50%보다도 큰 곤포체 13 내지 15에서는, 실내 방치 후에 롤의 탄성 변형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피복률이 큰 곤포체에서는, 단열성을 갖는 곤포재로 포장되는 면적이 크고, 상기 곤포재 이외의 투명 필름으로 포장되는 면적이 작아지는 점에서, 곤포체 내부의 열의 외부로의 확산(방열)의 효율이 저하되고, 실내 방치 후에도 곤포체 내부에 열이 가득 차있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단, 탄성 변형은, 체인 형상의 변형과 같은 소성 변형과는 달리, 롤로부터 필름을 풀어내면 없어지기 때문에(응력이 없어지기 때문에), 필름의 사용 시에 문제가 되는 일은 없다.
이상으로부터, 피복률 P는, 특히 곤포체를 옥외에 폭로한 후, 실내로 복귀시켰을 때의 롤의 탄성 변형에 영향을 미치고, 피복률 P가 10% 이상 50% 이하이면, 곤포재에 의한 단열 효과와, 투명 시트에 의한 방열 효과를 양호한 밸런스로 얻어, 상기 탄성 변형을 억제하는 효과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피복률 P가 0%인 곤포체 9에서는, 곤포체 9를 옥외에 60분간 폭로한 시점에서 롤 최표층에 체인 형상의 변형이 발생하였고, 그 후 곤포체 9를 실내로 복귀시켜도, 그 체인 형상의 변형이 남아있음이 확인되었다.
<곤포체 16의 제작>
곤포체 1의 제작에서 사용한 필름 롤의 최표층을 포장재(단열 시트)로 덮고, 이 상태에서 필름 롤을 도 2의 가대에 수용하였다. 상기 포장재로서는, 곤포체 1의 제작에서 사용한 곤포재와 동일한 재료의 금속 시트(니혼 마타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두께 30㎛)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기 가대를, 곤포체 11의 제작과 동일하게 하여(피복률 P=30%가 되도록), 곤포재로 포장하여 곤포체 16을 제작하였다. 따라서, 곤포체 16에서는, 곤포재의 두께=포장재의 두께=30㎛이다.
<곤포체 17 내지 19의 제작>
곤포재의 두께 및 포장재의 두께를 표 3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곤포체 16의 제작과 동일하게 하여, 곤포체 17·19를 제작하였다. 또한, 상술한 곤포체 11의 제작과 동일하게 하여, 필름 롤의 최표층을 포장재로 덮지 않은 곤포체 18을 제작하였다.
<평가>
(롤 온도 변화 1)
제작한 곤포체 16 내지 19를 25℃의 실내에서 보관한 후, 직사광선이 쏘이는 30℃의 옥외로 반출하고, 60분간 방치하였다. 그리고, 옥외 방치 후의 롤의 최표면 온도를 상기 온도 센서로 측정하였다. 여기서, 롤 온도의 변화량을 T1(℃)이라 하면, T1=(60분 방치 후의 필름 온도)-(실내 시의 필름 온도(25℃))라 정의한다.
《평가 기준》
◎: T1≤7℃
○: 7℃<T1≤10℃
△: 10℃<T1≤15℃
(롤 온도 변화 3)
상기 곤포체 16 내지 19를 30℃의 옥외에 추가로 30분간 방치하고(합계 90분간 방치), 그 후의 롤의 최표면 온도를 상기 온도 센서로 측정하였다. 여기서, 롤 온도의 변화량을 T3(℃)이라 하면, T3=(90분 방치 후의 필름 온도)-(실내 시의 필름 온도(25℃))라 정의한다.
《평가 기준》
◎: T3≤10℃
○: 10℃<T3
(롤 온도 변화 4)
상기 곤포체 16 내지 19를 30℃의 옥외에 추가로 30분간 방치하고(합계 120분간 방치), 그 후의 롤의 최표면 온도를 상기 온도 센서로 측정하였다. 여기서, 롤 온도의 변화량을 T4(℃)라 하면, T4=(120분 방치 후의 필름 온도)-(실내 시의 필름 온도(25℃))라 정의한다.
《평가 기준》
◎: T4≤10℃
○: 10℃<T4≤15℃
△: 15℃<T4
(체인 형상 변형)
제작한 곤포체 16 내지 19를 옥외에서 합계 120분간 방치한 후에, 필름 롤의 최표층에 체인 형상의 변형이 있는지 여부를 눈으로 보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체인 형상 변형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변형은 확인되지 않았다.
○○: 일부의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이 확인되었지만, 탄성 변형으로 인한, 실용상 문제는 없다.
○: 넓은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이 확인되었지만, 탄성 변형으로 인한, 실용상 문제는 없다.
표 3에, 곤포체 16 내지 19에 관한 평가의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표 3에서는, 곤포체 16 내지 19와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대응 관계에 대해서도 함께 나타낸다.
Figure 112021013921698-pat00003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곤포체 16 내지 19의 어느 것에 대해서도, 옥외에 폭로하고 나서 60분 후, 90분 후, 120분 후에 있어서, 롤의 온도 상승이 억제되었으며, 체인 형상의 변형은 보이지 않았다. 단, 포장재의 두께가 곤포재의 두께 이하이면, 옥외에 폭로하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롤의 온도 상승이 일어나고, 탄성 변형이 발생하기 쉬워짐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포장재의 두께가 얇으면, 포장재에 의한 단열 효과가 저하되어, 롤의 온도 상승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롤의 탄성 변형을 억제하는 점에서는, 포장재의 두께는 곤포재의 두께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곤포재 및 포장재로서, 곤포체 8의 제작에서 사용한 단열 시트(금속막 부착 기포 완충 시트)를 사용하고, 곤포재 및 포장재의 두께를 곤포체 16 내지 19와 동일하게 변화시켜, 상기와 동일하게 옥외 폭로 후의 롤의 온도 및 변형의 유무를 확인한 바, 표 3과 동일한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필름 롤을 구성하는 광학 필름으로서 TAC 필름을 사용하고 있지만, TAC 이외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 시클로올레핀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등을 사용하여 광학 필름을 제막하고, 그 광학 필름을 권회하여 필름 롤을 구성하고, 가대 및 곤포재와 조합하여 곤포체를 구성한 경우에도,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경향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보충]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 형태의 필름 롤의 곤포체는, 이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1.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장척상 광학 필름을 권취 코어의 둘레에 권회한 권회체인 필름 롤과,
상기 필름 롤을, 상기 권취 코어를 통해, 해당 롤의 최표층이 기타 부분과 비접촉이 되도록, 내부에 유지할 수 있는 가대와,
단열성을 가지고, 상기 필름 롤의 연직 상방 또는 연직 하방을 덮도록 상기 가대를 포장함과 함께, 상기 가대의 연직 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필름 롤을 측방으로부터 덮도록 포장하는 곤포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롤의 곤포체.
2. 상기 가대의 연직 방향의 길이를 H(mm)라 하고, 상기 가대의 연직 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포장하는 상기 곤포재의 연직 방향의 길이를 X(mm)라 하였을 때,
이하의 식으로 규정되는 피복률 P가 10% 이상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필름 롤의 곤포체;
P=(X/H)×100
이다.
3. 단열성을 가지고, 상기 필름 롤의 최표층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포장재를 구비하고,
상기 포장재의 두께는 상기 곤포재의 두께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필름 롤의 곤포체.
본 발명은 필름 롤을 가대의 내부에 수용하고, 곤포재에 의해 가대를 포장하는 필름 롤의 곤포체에 이용 가능하다.
1 곤포체
2 필름 롤
2a 권취 코어
2b 최표층
3 가대
5 포장재
10 광학 필름
41 곤포재

Claims (4)

  1.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장척상 광학 필름을 권취 코어의 둘레에 권회한 권회체인 필름 롤과,
    상기 필름 롤을, 상기 권취 코어를 통해, 해당 롤의 최표층이 기타 부분과 비접촉이 되도록, 내부에 유지할 수 있는 가대와,
    단열성을 가지고, 상기 필름 롤의 연직 상방 또는 연직 하방을 덮도록 상기 가대를 포장함과 함께, 상기 가대의 연직 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필름 롤을 측방으로부터 덮도록 포장하는 곤포재와,
    상기 곤포재가 포장하지 않는 상기 가대의 연직 방향의 부분을 포장하는 투명 시트와,
    단열성을 가지고, 상기 필름 롤의 최표층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포장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 시클로올레핀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또는 폴리아릴레이트 수지이며,
    상기 곤포재는 금속 시트, 기포 완충 시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상기 포장재의 두께는 상기 곤포재의 두께보다도 크며,
    상기 가대의 연직 방향의 길이를 H(mm)라 하고, 상기 가대의 연직 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포장하는 상기 곤포재의 연직 방향의 길이를 X(mm)라 하였을 때,
    이하의 식으로 규정되는 피복률 P가 10% 이상 50% 이하인, 필름 롤의 곤포체;
    P=(X/H)×100
    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시트는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염화비닐,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는, 필름 롤의 곤포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대는 상기 필름 롤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상틀부 및 상기 필름 롤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하틀부를 구비하는, 필름 롤의 곤포체.
KR1020217003435A 2016-12-01 2017-10-12 필름 롤의 곤포체 KR1023151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33975 2016-12-01
JP2016233975 2016-12-01
PCT/JP2017/036930 WO2018100895A1 (ja) 2016-12-01 2017-10-12 フィルムロールの梱包体
KR1020197015205A KR20190073499A (ko) 2016-12-01 2017-10-12 필름 롤의 곤포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205A Division KR20190073499A (ko) 2016-12-01 2017-10-12 필름 롤의 곤포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087A KR20210016087A (ko) 2021-02-10
KR102315163B1 true KR102315163B1 (ko) 2021-10-19

Family

ID=6224244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3435A KR102315163B1 (ko) 2016-12-01 2017-10-12 필름 롤의 곤포체
KR1020197015205A KR20190073499A (ko) 2016-12-01 2017-10-12 필름 롤의 곤포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205A KR20190073499A (ko) 2016-12-01 2017-10-12 필름 롤의 곤포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62333B2 (ko)
KR (2) KR102315163B1 (ko)
CN (2) CN110023206A (ko)
WO (1) WO201810089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4461A (ja) * 2006-10-13 2008-04-24 Fujifilm Corp ロール状光学フィルムの包装方法及びその包装体
JP2015212165A (ja) * 2014-05-03 2015-11-26 三菱樹脂株式会社 フィルムロール包装体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169Y2 (ko) * 1989-01-23 1993-03-18
GB9818723D0 (en) * 1998-08-28 1998-10-21 Eastman Kodak Co Light tight packag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JP2001042478A (ja) * 1999-07-30 2001-02-16 Fuji Photo Film Co Ltd ロール状感光材料用遮光リーダ及びロール状感光材料包装体
JP2001199640A (ja) * 2000-01-20 2001-07-24 Mitsubishi Materials Corp ガラス繊維巻取ロール
JP2002104416A (ja) * 2000-09-29 2002-04-10 Konica Corp ロール状材料用の梱包材
JP2001305697A (ja) * 2000-04-21 2001-11-02 Konica Corp 感光材料包装体
JP4519298B2 (ja) * 2000-09-29 2010-08-04 日本マタイ株式会社 ロール状材料用の梱包材
JP4891496B2 (ja) * 2001-07-12 2012-03-07 雪印メグミルク株式会社 遮光性を有する容器
JP2005022766A (ja) * 2003-06-30 2005-01-27 Konica Minolta Opto Inc 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原反およびその保管方法、輸送方法
DE102004041057A1 (de) * 2004-08-25 2006-03-02 Eberhardt Handels Gmbh Planschutzvorrichtung
JP2007015740A (ja) * 2005-07-08 2007-01-25 Kaneka Corp ポリイミドフィルムロールの梱包方法
DE202007008702U1 (de) * 2007-06-19 2007-12-06 G + K Profil Gmbh Lagerverpackung einer papierbasierten Falzkantenrolle
JP2010221625A (ja) 2009-03-25 2010-10-07 Nippon Zeon Co Ltd ロール状巻回体
JP2012106747A (ja) * 2010-11-15 2012-06-07 Asahi Glass Co Ltd ロール状物品の梱包容器
CN202272358U (zh) * 2011-09-21 2012-06-13 株式会社有泽制作所 Fpc用材料卷状物包装体
WO2014091921A1 (ja) * 2012-12-13 2014-06-1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のロール体、そ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表示装置
BR202014002433U2 (pt) * 2014-01-31 2015-10-20 Ingo José Müller aprimoramento introduzido em embalagem para recipientes de vidro/plástico
CN104852063B (zh) * 2014-02-13 2018-01-12 旭化成株式会社 卷状高分子电解质膜包装体及其制造方法、以及捆包物
JP6545540B2 (ja) * 2014-06-19 2019-07-17 旭化成株式会社 ロール体及びその製造方法、梱包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梱包体の輸送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4461A (ja) * 2006-10-13 2008-04-24 Fujifilm Corp ロール状光学フィルムの包装方法及びその包装体
JP2015212165A (ja) * 2014-05-03 2015-11-26 三菱樹脂株式会社 フィルムロール包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087A (ko) 2021-02-10
WO2018100895A1 (ja) 2018-06-07
JP6962333B2 (ja) 2021-11-05
CN113772276B (zh) 2023-05-09
CN113772276A (zh) 2021-12-10
JPWO2018100895A1 (ja) 2019-10-17
CN110023206A (zh) 2019-07-16
KR20190073499A (ko) 2019-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12147665A1 (ja)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重合体フィルムの包装体
JP5159795B2 (ja) カバーテープのレコード巻体の包装方法および包装体
KR102315163B1 (ko) 필름 롤의 곤포체
JP7159869B2 (ja) 被覆フィルムロール体
JP2016078940A (ja) ガラス板梱包体
JP4366782B2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ロール及びその梱包体
WO2022044872A1 (ja) ガラス板梱包体
JP3177009U (ja) 梱包体
JP2015009885A (ja) 樹脂フィルムロールの梱包材
JP4359321B2 (ja) ロールフィルム端部保護具
JP6072915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梱包体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梱包方法
JP2013006627A (ja) パターン付きフィルム梱包体およびパターン付きフィルム梱包方法
JP2006256639A (ja) 平版印刷版の梱包構造
KR102637761B1 (ko) 포장체,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의 보관 또는 수송 방법,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 및 편광막
TWI480211B (zh) 包裝組合及其包裝方法
JP2008162702A (ja) 包装体及び包装方法
KR20230055395A (ko) 필름 롤 곤포체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롤체의 보관 방법
JP2011116454A (ja) フィルムロール用梱包箱
JP2002347713A (ja) 吸湿性フィルムの包装方法
JP2008222284A (ja) 平版印刷版の搬送構造体
JP2000292860A (ja) 透過型スクリーン梱包物
JP3155490U (ja) 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ーの梱包体
JP2002145371A (ja) シート状レンズ製品の梱包構造
JP2017171336A (ja) 緩衝性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153313A (ja) リール状製品の梱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