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791B1 - 자동차의 시트를 위한 시트 조절 장치 및 자동차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트를 위한 시트 조절 장치 및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791B1
KR102312791B1 KR1020207002581A KR20207002581A KR102312791B1 KR 102312791 B1 KR102312791 B1 KR 102312791B1 KR 1020207002581 A KR1020207002581 A KR 1020207002581A KR 20207002581 A KR20207002581 A KR 20207002581A KR 102312791 B1 KR102312791 B1 KR 102312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element
seat
switch
relay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2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4254A (ko
Inventor
프랑크 펩페어
Original Assignee
아우디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디 아게 filed Critical 아우디 아게
Publication of KR20200024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76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reaction to emergency situations, e.g. cr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eat adjustment
    • B60N2/0228Hand-activated mechanical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3Safety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33Safety locks for back-rests, e.g. with locking bars activated by inert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10/00Sensor types, e.g. for passenger detection systems or for controlling seats
    • B60N2210/40Force or pressure sensors
    • B60N2210/46Electric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1)의 시트(2)를 위한 시트 조절 장치(3)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장치는, 조절을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9, 10) 및 적어도 하나의 조절 기능을 위한, 조작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 요소(11)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요소의 작동은, 조절 기능에 할당되는 모터(9, 10)의 라인에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제공되는 스위치(15)를 폐쇄한다. 비-통전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개방되는 릴레이(16)가, 라인에서 스위치(15)의 하류에 그리고 모터(9, 10)의 상류에 제공되며, 그리고 시트 조절 장치(3)는, 자동차(1)의 충돌을 나타내는 충돌 신호의 부존재 시에 조작 요소가 작동되는 경우 릴레이(16)를 폐쇄하도록 그리고 충돌 신호의 존재 시에 조작 요소가 작동되는 경우, 적어도 일시적으로, 릴레이(16)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도록 설계되는, 제어 유닛(17)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시트를 위한 시트 조절 장치 및 자동차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를 위한 시트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조절을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 및 적어도 하나의 조절 기능을 위한, 조작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 요소를 포함하고, 조작 요소의 작동은, 조절 기능에 할당되는 모터의 라인에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제공되는 스위치를 폐쇄하는 것인, 자동차의 시트를 위한 시트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내의 시트는, 운전자 및 다른 탑승자에 대해 안락함 및/또는 안전성이 향상되는 위치를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자동차용 시트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차량의 종방향에 대한 시트의 종방향 위치, 시트의 높이, 시트 등받이의 선회 위치 및 시트 표면의 틸팅(tilting)에 대한 복수의 조절 가능성을 구비한다. 과거에는 그러한 조절이, 전적으로 손에 의해, 즉 시트에 앉아있는 사람에 의해, 기계적으로 이루어졌지만, 오늘날의 자동차는, 시트에 앉아있는 탑승자의 노력 없이도 다양한 조절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모터가 사용되는 더 편안한 해결 방안을 제공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해당 시트의 팔걸이 등의 영역에 제공될 수 있는 조작 요소들이, 이러한 조절 기능에 할당된다.
그러한 시트 조절 장치의 구체적인 구현을 위해 2개의 기초가 되는 상이한 가능성이 존재한다. 하나의 가능성은, 스위치와 대응하는 기계적 커플링에 의해 직접적 부하 스위칭 방식으로 작용하는 조작 요소를 사용함에 의해, 이에 따라 조작 요소의 작동이 전압/전류를 시트 조절 장치의 모터에 직접 연결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또한 탑승자가 소정의 무게를 갖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최대 30 A까지의 더 높은 전류 세기가 필요하므로, 해당 구성요소들은 전력 전자 구성요소들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제어 전류를 공급하는 조작 요소가 또한 제안될 수 있으므로, 조작 요소의 작동은, 예를 들어 저항 인코딩 방식으로 시트 조절 장치의 시트 제어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 요소는, 마이크로 칩의 아날로그-디지털 입력부에 연결되고, 그 다음 mA 범위의 스위칭 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
시트 조절 장치의 조작 요소와 관련해서, 자동차의 차체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의 형태 변화를 초래하는 자동차의 사고 시에, 특히, 즉, 물체와의 충돌(크래시(crash))이 발생하는 경우에, 조작 요소의 의도하지 않은 작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영역들에, 조작 요소들이 부착된다는 문제점이 종종 존재한다. 이는 다시, 예를 들어, 종방향 조절 및/또는 등받이의 틸팅과 같은 특정 조절 기능의 발생 시에,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시트의 탑승자가 사고의 결과 외에도, 에어백 및/또는 자동차의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해 압박되게 될 수도 있다.
이에 상응하게, 종래 기술에서는, 여기서 직접 부하 스위칭 방식으로 작용하지 않는 조작 요소의 스위칭 신호 및 자동차의 버스 시스템을 통해 현재의 충돌 상황을 나타내는 충돌 신호를 판독하여, 충돌을 나타내는 충돌 신호의 경우 시트 조절 장치의 모터의 제어를 억제하는 시트 제어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이미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비용이 많이 드는 방식으로만 구현될 수 있는, 지능을 갖는 고가의 시트 제어 장치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자동차의 버스 시스템을 사용할 때, 원하지 않는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제안된 해결 방안은, 충돌 발생 시 스위치를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도록 구성하고 및/또는 전류 공급 장치로부터, 조절을 구동하는 모터로의 라인을 차단하기 위해, 예를 들어 폭발 수단(pyrotechnic measures)을 사용한다. 이러한 조치의 큰 단점으로서, 구조 요원이 경우에 따라 갇힌 탑승자에게 도달하기 위해 시트를 다시 조절할 수 있는 것이, 종종 바람직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시트 조절 장치는, 각각의 충돌 후에 완전히 수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충돌 도중에 의도하지 않은 시트 조절을 회피할 수 있는, 신뢰성 있고, 구현을 위해 노력이 적게 들며, 그리고 가역적인 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서두에 언급된 유형의 시트 조절 장치에서, 비-통전 상태에서 개방되는 릴레이가, 라인에서 스위치의 하류에 그리고 모터의 상류에 제공되며, 그리고 시트 조절 장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이러한 제어 유닛은, 자동차의 충돌을 나타내는 충돌 신호의 부존재 시에 조작 요소가 작동되는 경우 릴레이를 폐쇄하도록 그리고 충돌 신호의 존재 시에 조작 요소가 작동되는 경우 적어도 일시적으로 릴레이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도록 설계된다.
조작 요소가 부하 스위칭 스위치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그리고 폐쇄 회로에 의해 스위치를 폐쇄하는 것은, 제어 유닛에 폐쇄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폐쇄 회로에 의해 제어 유닛을 통해 검출될 수 있는 경우, 특히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맥락에서, 시트 제어 장치를 생략하는 것이, 그리고 수동 작동 조작 요소에 의해 기계적으로 직접 작동되는 부하 스위칭 스위치의 위치 및 충돌 신호를, 입력 데이터로서, 수신하며 그리고 그에 상응하게 릴레이를 폐쇄해야 하는지 또는 아닌지 여부를 결정하는, 용이하게 구성 가능한 마이크로 칩을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하다. 릴레이로서, 비-통전 상태에서 개방되는 릴레이("정상적으로 개방됨")가 사용됨에 따라,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정상적으로 폐쇄되는" 릴레이의 경우에 필요할 수 있는, 라인 차단을 위한 릴레이의 표적화된 제어가, 회피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릴레이는 바람직하게, 모터를 향해 부하 스위칭 스위치의 하류에 배치되며, 이는 스위치의 위치가 여전히 마이크로 칩을 통해 문제없이 모니터링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며, 이는 특히 구조 요원의 잠재적인 재-스위칭과 관련하여 유용할 수 있다. 어쨌든 릴레이가 개방된 후에는, 통전되지 않는 한, 저전압 발생 시 기능 및 안전성이 또한 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릴레이가 전류 공급 장치 측에서 모니터링될 부하 스위칭 스위치의 상류에 연결되는 경우, 스위치 위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릴레이의 주기적 폐쇄가 필요할 것이므로, 전류 흐름 및 이에 따라 모니터링을 일반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릴레이가 스위치의 하류에 연결되기 때문에, 조작 요소에 의해 기계적으로 작동되는 부하 스위칭 스위치의 스위치 위치는, 스위치의 이러한 모니터링 도중에 모터에 필연적으로 통전이 수행될 필요 없이, 문제없이 모니터링될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제어 유닛은, 특히 조작 요소에 의해 직접 기계적으로 작동되는 부하 스위칭 스위치의 경우에, 마이크로 칩일 수 있으며, 따라서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충돌 신호가 PWM 신호로서 획득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직접 전송의 경우, 자동차의 버스 시스템 측에서 발생하는 지연이 회피될 수 있고, 여기서 스위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조작 요소로부터 스위칭 신호를 변환하는 제어 장치가 필요하지 않다는 사실만으로, 지연 없이 작동될 수 있다는 점에 다시 한 번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PWM 신호는, 예를 들어 충돌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평가하는 에어백 제어 장치 및/또는 안전 시스템의 제어 장치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은, 충돌 신호가 존재한 이후에, 제2 스위치 작동으로부터 스위치가 작동될 때, 릴레이를 폐쇄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구조 요원이 충돌 후 조절 기능을 다시 완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여기서 제안된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실시예는, 충돌 신호가 존재하거나 또는 존재한 이후에, 충돌 과정에서 예를 들어 차체 부분의 변형으로 인해 우발적인 시트 조절이 발생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해, 우선 스위치 작동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을 제공한다. 또한, 변형으로 인해 조작 요소의 우발적인 작동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구조 요원이 조작 요소를 연속해서 두 번 작동하는 것은 저지될 수 없으므로, 구조 요원은, 문제없이 용이하게 재-작동시킬 수 있다. 충돌에 의해 조작 요소 자체가 우발적으로 작동된 경우, 충돌 중에 차단된 조절 기능은, 보조 수단으로서 충돌 직후에 다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유리하게, 제어 유닛에 의해 모터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고도, 특히 릴레이가 먼저 활성화될 필요 없이, 릴레이의 종속으로 인해 스위치의 모니터링이 문제없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이용한다. 따라서, 조작 요소의 제2 작동 시에, 충돌 신호에 의해 비-활성화된 후 제어 유닛 내에서 간단히 구현된 카운터를 통해, 조절 기능이 다시 활성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변형으로 인해 조작 요소의 우발적인 작동이 발생하는 상황이 종료되는 때가 예측될 수 없어, 아직 자동차로부터 구조되지 않은 탑승자가 너무 이른 재-활성화로 인해 손상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의 비-활성화보다 상당히 더 유리한 실시예가 주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히 유리한 실시예는, 제어 유닛은, 미리 결정된 기간보다 더 길게, 조작 요소가 작동될 때 및/또는 스위치가 폐쇄될 때, 릴레이를 개방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제공한다. 따라서, 릴레이의 실제 스위칭 상태에 관계없이 가능한 스위치 모니터링은, 이러한 경우 모터에 전류/전압 공급을 방지하기 위해, 버튼과 같은 추가의 "정지된" 조작 요소를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대기 전류가 필요하지 않고, 스위치가 손상되지 않으며, 모터도 또한 블록 전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 경우 미리 결정된 기간은 바람직하게, 각각의 조절 기능의 최대 조절 경로의 최대 지속 시간보다 더 길게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최대 조절이 있을 때 너무 일찍 모터의 비-활성화가 발생되지 않도록 보장한다.
이와 관련하여, 미리 결정된 기간을 초과함으로 인해 릴레이가 개방될 때, 제어 유닛은, 스위치가 개방되었는지 및/또는 조작 요소 작동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그 후 충돌 신호의 부존재 시에 조작 요소가 다시 작동될 때, 릴레이가 다시 폐쇄되는 경우에, 더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위치/조작 요소의 "정지"의 종료가 또한 인식될 수 있으므로, 그 후에 평소와 같이 작동이 다시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조절 기능은, 등받이 틸팅 기능 및 종방향 조절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러한 조절 기능들에 할당되는 모터들에만, 릴레이가 할당된다. 자동차의 종방향으로의 시트의 조절(종방향 조절 기능) 및 자동차의 시트의 등받이의 틸팅(등받이 틸팅 기능)은, 충돌 후 탑승자를 더 손상시킬 수 있는 임계적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예를 들어, 시트의 높이 조절 및/또는 시트의 시트 표면의 틸팅과 같은 다른 조절 기능은 일반적으로 임계적이지 않으므로, 여기서 상응하는 충돌 안전 장치에 대한 비용이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필요한 조절 기능에 대해서만 충돌의 경우에 안전을 위해 추가의 릴레이가 할당됨으로써,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물론, 충돌의 경우에 더 많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다른 하나 또는 3개의 조절 기능이 이러한 방식으로 비-활성화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들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고려될 수 있다.
시트 조절 장치 외에도, 본 발명은 또한, 시트 및 이러한 시트에 할당되는 본 발명에 따른 유형의 시트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조절 장치에 관한 모든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에도 유사하게 전달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이미 언급된 장점들이 또한 마찬가지로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형의 시트 조절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이 또한 고려될 수 있고, 여기서 제어 유닛에 의해, 자동차의 충돌을 나타내는 충돌 신호의 부존재 시에 조작 요소가 작동되는 경우 릴레이가 폐쇄되고, 충돌 신호의 존재 시에 조작 요소가 작동되는 경우, 바람직하게 충돌 신호가 사라진 후, 조작 요소의 제2 작동 시까지 적어도 일시적으로, 릴레이는 개방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이 방법에 대해서도 물론, 이전의 설명이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실시예는 또한, 부하 스위칭 스위치를 직접 작동하지 않는 조작 요소로부터 스위칭 신호를 판독하고 이것과 충돌 신호에 기초하여 조절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사용할 때, 스위치는 이중 릴레이로서 설계될 수 있고, 여기서 또한 조작 요소에 할당되는 추가 스위치가 사용되며, 이러한 추가 스위치는 충돌 신호의 존재 시에 개방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또한 유의해야 한다. 이는, 직접 기계식 부하 스위칭 방식이 아닌 조작 요소 및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실시예의 경우, 또한 조작 요소의 조작 입력을 더 이상 수용하지 않음으로써, 충돌 시 모터 사용이 방지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것은 이중 릴레이가 필요하고, 모터 제어 시에 지연이 발생하며, 정지 릴레이를 위한 해제 옵션 및 구조 요원을 위한 재-활성화가 더 이상 구현하기가 간단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장점 및 세부 사항은 아래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들로부터 그리고 도면을 참조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조절 장치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1)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자동차는, 도 2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조절 장치(3)가 그에 할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2)를 포함한다. 시트(2)는, 등받이(4) 및 시트 표면(5)을 포함하고, 여기서, 본 발명 경우에 시트 조절 장치의 조절 기능으로서, 자동차(1)의 종방향(5)으로의 시트의 변위, 시트 표면(5)의 상승/하강, 시트 표면(5)의 틸팅 및 등받이(4)의 선회가 제공된다.
도 2는 시트 조절 장치(3)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형태로 더 상세히 도시한다. 시트 조절 장치는 우선, 조절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모터들(7, 8, 9, 10)을 포함한다. 모터(7)는 여기서 시트 표면의 틸팅의 조절을 위해 사용되고, 모터(8)는 시트 표면의 높이의 조절을 위해 사용되며, 모터(9)는 시트(2)의 종방향 조절을 위해 사용되며, 그리고 모터(10)는 등받이(4)의 틸팅을 위해 사용된다. 모터들(7 내지 10)은 여기서, 각각의 모터를 양 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2개의 작동 위치를 포함하는 조작 요소(11)를 통해 기본적으로 조작자에 의해 제어된다. 대응하는 조작 요소(11)가 작동될 때, 모터들(7 내지 10)을, 여기서는 단자-접속부(12) 및 단자-접속부(13)에 의해 제공되는, 각각의 전류 공급부에 연결하기 위해, 조작 요소(11)에 각각 기계적으로 커플링되는 스위칭 장치(14)는, 조작 요소(11)의 작동 방향에 따라 도시된 모터 라인을 그에 상응하게 접속부들(12, 13) 중의 하나에 연결하는 2개의 스위치(15)를 각각 포함한다.
따라서 여기서 조작 요소(11) 및 스위칭 장치(14)에 의해 형성되는 기계적 조작 장치는, 직접 부하 스위칭 방식이다.
시트(2)의 종방향 조절 및 등받이(4)의 등받이 선회를 위한 조절 기능들, 모터들(9 및 10)이, 충돌 시에 자동차(1)의 변형에 의해 활성화되지 않는 점에, 특별한 특징이 존재한다. 모터들(9, 10)에 대한 라인 중 하나에 각각 릴레이(16)가 접속되고, 이러한 릴레이는 정상 상태에서 개방 위치에 놓이며, 따라서 스위칭 장치(14)와 모터(9) 사이의 연결을 확립할 수 있기 위해 통전되어야 한다. 릴레이(16)는, 전류 흐름 및 이에 따라 모터들(9, 10)의 작동을 허용하기 위해, 여기에서 마이크로 칩(18)으로 설계되는 제어 유닛(17)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유닛(17)은, 모터들(9, 10)을 위한 조작 요소(11)가 작동되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위해 예를 들어 폐쇄 회로에서 이 경우 스위치가 작동된 후에도 저항이 높은 분기 신호 라인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릴레이(16)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이에 따라 모터들(9, 10)이 전혀 작동하지 않을 때에도, 릴레이(16)가 하류에 연결되기 때문에 스위치(15)의 작동이 또한 확인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조작 요소(11) 및 이에 따라 스위치(15)의 작동을 나타내는 폐쇄 신호는, 제어 라인(19)을 통해 제어 유닛(17)에 공급된다. 이것은 또한, 자동차(1)의 충돌 시 화살표(20)에 따라 펄스 폭 변조된 충돌 신호를 추가의 입력을 통해 수신한다. 충돌 신호가 없다면, 제어 유닛(17)은, 대응하는 조작 요소(11)가 작동될 때 통전을 통해 대응하는 릴레이(16)를 폐쇄하여, 대응하는 모터(9, 10)를 작동시킴으로써 대응하는 조절 기능이 수행된다.
그러나, 충돌 신호가 존재하거나 또는 존재했다면, 대응하는 릴레이(16)는, 각각의 조작 요소(11)의 다음 작동을 위해 현재 통전되지 않으므로, 예를 들어 충돌 시에 변형에 의해 조작 요소가 작동되는 경우, 조절 기능이 수행되지 않고, 시트(2) 상의 탑승자가 보호된다.
그러나, 제어 유닛(17)은 또한, 충돌을 나타내는 충돌 신호의 존재가 종료된 이후의 조작 요소(11)의 제2 작동 시, 기능을 다시 정상으로 작동시키도록 설계되어, 이에 따라 대응하는 릴레이(16)를 통전시키고, 이에 따라 조절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모터들(9, 10)을 통한 조절 기능들이 조절 프로세스를 위해 정확하게 차단되므로, 충돌 후 구조 요원(또는 또한 충돌 후 탑승자 자신)이 조절 기능을 다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자동차(1)로부터 자신을 자유롭게 하고,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며 및/또는, 충돌이 너무 심하지 않은 경우, 간단하게 원하는 대로 조절 기능을 다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제어 유닛(17)은, 추가의 기능을, 즉 정지된 또는 움직이지 않는(jammed) 스위치(15) 또는 조작 요소(11)의 검출 기능을 갖는다. 스위치(15)가 미리 결정된 기간을 초과하여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원치 않는 결함이 추론되고, 모터(9) 및 스위치(15)를 보호하기 위해 각각의 릴레이(16)에 대한 통전이 차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어 라인(19) 및 대응하는 스위칭 신호에 의해, 작동이 계속되는지 여부가 계속 모니터링된다. 작동이 종료되는 즉시, 정지/움직이지 않는 상태가 제거되며 그리고 조절 기능의 가용성이 복원된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작동이 재개된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여기서 미리 결정된 기간은, 각각의 조절 기능의 최대 조절 거리를 초과하도록 선택된다.
충돌 신호는, 에어백 제어 장치 및/또는 안전 시스템의 제어 장치에 의해 직접적으로, 예를 들어 특수 라인을 통해, PWM 신호로서 공급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Claims (9)

  1. 자동차(1)의 시트(2)를 위한 시트 조절 장치(3)로서,
    상기 시트 조절 장치(3)는, 상기 조절을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9, 10) 및 적어도 하나의 조절 기능을 위한, 조작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 요소(11)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요소의 작동은, 상기 조절 기능에 할당되는 상기 모터(9, 10)의 라인에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제공되는 스위치(15)를 폐쇄하며,
    비-통전 상태에서 개방되는 릴레이(16)가 상기 라인에서 상기 모터(9, 10)에 대한 스위치(15)의 하류에 제공되며, 상기 시트 조절 장치(3)는 제어 유닛(17)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자동차(1)의 충돌을 나타내는 충돌 신호의 부존재 시에 조작 요소가 작동되는 경우 상기 릴레이(16)를 폐쇄하도록, 그리고 상기 충돌 신호의 존재 시에 조작 요소가 작동되는 경우 적어도 일시적으로 상기 릴레이(16)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조절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요소(11)는, 부하를 전환하는 상기 스위치(15)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되며, 그리고 폐쇄 회로에 의해 상기 스위치(15)를 폐쇄하는 것은, 상기 제어 유닛(17)에 폐쇄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상기 폐쇄 회로에 의해 상기 제어 유닛(17)을 통해 검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조절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17)은 마이크로 칩(18)이거나, 상기 충돌 신호는 PWM 신호로서 획득되거나, 또는 상기 제어 유닛(17)은 마이크로 칩(18)이며 그리고 상기 충돌 신호는 PWM 신호로서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조절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17)은, 상기 충돌 신호가 존재한 이후에, 스위치가 제2 스위치 작동으로부터 작동될 때, 상기 릴레이(16)를 폐쇄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조절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17)은, 미리 결정된 기간보다 더 길게, 상기 조작 요소(11)가 작동될 때, 상기 스위치(15)가 폐쇄될 때, 또는 상기 조작 요소(11)가 작동될 때 및 상기 스위치(15)가 폐쇄될 때, 상기 릴레이(16)를 개방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조절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기간은, 개별적인 조절 기능의 최대 조절 경로의 최대 지속 시간보다 더 길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조절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기간을 초과함으로 인해 상기 릴레이(16)가 개방될 때, 상기 제어 유닛(17)은, 상기 스위치(15)가 개방되었는지, 상기 조작 요소 작동이 종료되었는지, 또는 상기 스위치(15)가 개방되었는지 그리고 상기 조작 요소 작동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그 후 상기 충돌 신호의 부존재 시에 상기 조작 요소(11)가 다시 작동될 때, 상기 릴레이(16)는 다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조절 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기능은, 등받이 틸팅(tilting) 기능 및 종방향 조절 기능을 포함하고, 이러한 조절 기능들에 할당되는 상기 모터들(9, 10)에만, 릴레이(16)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조절 장치.
  9. 자동차(1)로서,
    시트(2) 및 상기 시트에 할당되는 제 1항 또는 제 2항에 따른 시트 조절 장치(3)를 포함하는 것인, 자동차.
KR1020207002581A 2017-07-01 2018-06-14 자동차의 시트를 위한 시트 조절 장치 및 자동차 KR1023127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006241.2 2017-07-01
DE102017006241.2A DE102017006241A1 (de) 2017-07-01 2017-07-01 Sitzverstellungseinrichtung für einen Sitz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PCT/EP2018/065815 WO2019007658A1 (de) 2017-07-01 2018-06-14 Sitzverstellungseinrichtung für einen sitz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254A KR20200024254A (ko) 2020-03-06
KR102312791B1 true KR102312791B1 (ko) 2021-10-15

Family

ID=62620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2581A KR102312791B1 (ko) 2017-07-01 2018-06-14 자동차의 시트를 위한 시트 조절 장치 및 자동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33784B2 (ko)
EP (1) EP3649010B1 (ko)
JP (1) JP6956208B2 (ko)
KR (1) KR102312791B1 (ko)
CN (1) CN110831807B (ko)
DE (1) DE102017006241A1 (ko)
WO (1) WO20190076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006241A1 (de) * 2017-07-01 2019-01-03 Audi Ag Sitzverstellungseinrichtung für einen Sitz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CN111038342A (zh) * 2019-12-19 2020-04-21 吴盼婷 电动汽车座椅应急控制装置及汽车
CN111152692B (zh) * 2019-12-30 2021-06-04 东风汽车有限公司 一种座椅侧面碰撞断电机构及汽车电动座椅
DE102021202765A1 (de) * 2021-03-22 2022-09-2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Fahrzeugsitz und Verfahren zur Anpassung eines Fahrzeugsitzes an einen Fahrzeuginsass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15313B2 (ja) * 2012-09-28 2016-10-26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ストローク測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9529A (ja) * 1982-09-10 1983-03-23 Nissan Motor Co Ltd パワ−シ−ト制御装置
DE3341472C2 (de) * 1983-11-17 1986-11-20 SWF Auto-Electric GmbH, 7120 Bietigheim-Bissingen Schaltungsanordnung mit einem Mikrorechner
JPH0615313B2 (ja) * 1986-06-03 1994-03-02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パワ−シ−ト制御装置
DE3933562C2 (de) * 1989-10-07 1994-02-17 Daimler Benz Ag Steuereinrichtung zur Verstellung von Kraftfahrzeugsitzen
JPH03193536A (ja) * 1989-12-25 1991-08-23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シート構造
JPH04356238A (ja) * 1991-05-31 1992-12-09 Tachi S Co Ltd パワーシートのモータ制御方法およびモータ制御装置
US6326704B1 (en) * 1995-06-07 2001-12-04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Vehicle electrical system
KR970002179Y1 (ko) * 1994-09-30 1997-03-20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파워시트 조절장치
FR2744959B1 (fr) * 1996-02-21 1998-04-17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Dispositif de commande electrique pour siege de vehicule
JP2006007833A (ja) * 2004-06-22 2006-01-12 Aisin Seiki Co Ltd 車両の乗員保護装置
DE102006030729A1 (de) * 2006-06-30 2008-01-03 Faurecia Autositze Gmbh Fahrzeugsitz
KR101047564B1 (ko) * 2007-12-14 2011-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DE102009040921B4 (de) * 2009-09-11 2022-04-14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Kraftfahrzeug-Rücksitz
DE102011050151A1 (de) 2011-05-06 2012-11-0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für einen Verstellmechanismus im Kfz-Bereich sowie ein Verfahren zur Verstellung eines derartigen Verstellmechanismus
CN102343874B (zh) * 2011-07-11 2013-08-14 上海延锋江森座椅有限公司 一种机动车座椅的电动调节开关控制模块
US10399463B2 (en) * 2015-03-18 2019-09-03 Ts Tech Co., Ltd. Vehicle seat
US10518674B1 (en) * 2015-09-28 2019-12-31 Apple Inc. Passive safety system for occupant deceleration
DE102017006241A1 (de) * 2017-07-01 2019-01-03 Audi Ag Sitzverstellungseinrichtung für einen Sitz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JP2019093894A (ja) * 2017-11-22 2019-06-2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サポート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15313B2 (ja) * 2012-09-28 2016-10-26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ストローク測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831807A (zh) 2020-02-21
EP3649010B1 (de) 2021-05-19
CN110831807B (zh) 2022-05-03
WO2019007658A1 (de) 2019-01-10
US20200122608A1 (en) 2020-04-23
KR20200024254A (ko) 2020-03-06
JP6956208B2 (ja) 2021-11-02
JP2020525339A (ja) 2020-08-27
US11433784B2 (en) 2022-09-06
EP3649010A1 (de) 2020-05-13
DE102017006241A1 (de)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2791B1 (ko) 자동차의 시트를 위한 시트 조절 장치 및 자동차
EP2263119B1 (en) Control device for at least one electrochromic window, control system for one or more electrochromic windows, means of transport with at least one electrochromic window and with at least one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activating at least one electrochromic window
KR101315536B1 (ko) 차량에서 폐쇄 요소의 모터 작동식 조절을 위한 구동 장치
EP2763925B1 (en) Elevator brake control
JP2003037929A (ja) ヒューズトリガ回路、および、ヒューズを含む電気油圧システムの保護方法
JP2014510686A (ja) エレベータ駆動装置への電力供給制御
CA2724443A1 (en) Control device for a rail vehicle
US7154386B2 (en) Safety device for use with vehicles for forcing wearing of seatbelts by a driver and passengers
US6224095B1 (en) Process for controlling a passenger protection system
US3455410A (en) Passenger safety system for automobiles
WO2012161093A1 (ja) 車両シート装置
EP3371013B1 (en) Vehicle safety braking system
JP6251305B2 (ja) シフトバイワイヤ制御装置
EP3325320A1 (en) Pneumatic braking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with a solenoid brake release valve
EP1054128B1 (en) Safety arrangement for vehicle doors
CN101321924A (zh) 用于双翼公交车门的气动装置
DE102005039030A1 (de)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KR20220113156A (ko) 안티핀치 기능 시트의 탑승자 상해 방지 시스템 및 방법
JP3863305B2 (ja) パワーウィンドウ制御装置及びパワーウィンドウ制御方法
US201703491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occupants of a vehicle
KR102571416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30154045A (ko) 벨트 리트랙터 유닛 및 이러한 벨트 리트랙터 유닛을 갖춘 차량
DE102004022896A1 (de) Steuerung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s Airbags eines Kraftfahrzeuges
JPS62157846A (ja) パツシブシ−トベルト装置
KR200140928Y1 (ko) 차량 리어도어에 설치된 파워윈도우 및 도어잠금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