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179Y1 - 자동차의 파워시트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파워시트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179Y1
KR970002179Y1 KR2019940025506U KR19940025506U KR970002179Y1 KR 970002179 Y1 KR970002179 Y1 KR 970002179Y1 KR 2019940025506 U KR2019940025506 U KR 2019940025506U KR 19940025506 U KR19940025506 U KR 19940025506U KR 970002179 Y1 KR970002179 Y1 KR 9700021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motor
operation switch
switch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55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0496U (ko
Inventor
민선규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255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179Y1/ko
Publication of KR9600104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4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1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1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eat adjustment
    • B60N2/0228Hand-activated mechanical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65Rear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60N2/0727Stop members for limiting sliding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파워시트 조절장치
제1도는 종래의 파워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파워시트의 구성도.
제3a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파워시트의 회로구성도.
제3b도는 논리곱 게이트의 진리치표에 따른 모터의 작동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등받이 12 : 제1조작스위치
13 : 헤드레스트 14 : 제2조작스위치
15 : 피니언기어 16 : 랙기어
AND : 논리곱 게이트 RL : 릴레이
본 고안은 자동차의 파워시트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리어시트(Rear Seat)가 파워시트로된 것에 있어서, 리어시트를 스위치의 조작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시트 및 헤드레스트에 장착된 스위치를 등으로 밀어 스위치의 온/오프로 모터를 구동시켜 시트를 자동으로 작동시킴으로 신체의 감각으로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장착된 시트는 운전자나 그 외의 탑승자가 보다 안락한 자세로 편안한 운행을 도모하기 위하여 시트의 좌우측 및 하단부 일측에 부착된 조작스위치를 조작함에 따라 전후 및 상하로 조절된다. 또한, 시트의 하단부에 장착된 모터의 회전력으로 시트를 조절하는 파워시트가 장착되어 조작스위치의 작동으로 시트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종래의 경우에 첨부한 제1도와 같이, 리어 파워시트(1)의 하단부에 시트를 조절하는 모터(2)가 구성되고, 모터(2)의 회전력을 피니언기어(3) 및 랙기어(4)의 작동으로 시트(1)가 전후로 왕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시트(1)의 하단부의 일측의 부착된 시트 조작스위치(5)를 온/오프하면 배터리전원이 모터(2)를 구동시키고, 모터(2)의 축에 연결된 피니언기어(3)가 회전을 하며, 피니언기어(3)와 맞물려 있는 랙기어(4)가 회전을 한다. 따라서, 랙기어(4)에 형성된 시트프레임(6)이 전후로 움직이고, 시트프레임(6)상의 시트(1)가 연동된다.
이와 같이 리어 파워시트(1)에 앉은 탑승자가 시트를 조절하기 위하여 조작스위치(5)를 손으로 조작할 때 탑승자가 원하는 최적의 시트위치를 조절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여러번 조작스위치(5)를 조작하여야만 했다. 따라서 시트의 조절을 위하여 조작스위치(5)를 반복해서 누르면, 배터리전원의 조기방전을 유도하게 되고 시트 조절에 불편을 초래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시트의 등받이내의 일측과 헤드레스트내의 일측에 조작스위치를 장착하여 시트에 앉는 탑승자가 등과 머리를 뒷쪽으로 밀면 시트내의 조작스위치가 작동하여 시트의 하단부에 장착된 모터가 구동하여 신체조건에 적합한 시트위치가 되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시트의 등받이내에 제1조작스위치를 장착하고, 헤드레스트내에 제2조작스위치를 구성하며, 상기 제1조작스위치 및 제2조작스위치가 온되면 신호를 출력하는 논리곱 게이트를 접속하고, 논리곱 게이트의 출력에 따라 정·역회전하는 모터를 연결하며, 모터의 정·역회전은 제한하는 전한하는 전, 후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파워시트 조절장치에 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2도 및 제3a도에서 본 고안은, 시트(10)의 등받이(11)내에 장착된 제1조작스위치(12)와, 시트(10)의 헤드레스트(13)내에 장착된 제2조작스위치(14)와, 상기 제1조작스위치(12) 및 제2조작스위치(14)가 온(ON)시 신호를 출력하는 논리곱 게이크(AND)와, 상기 논리곱 게이트(AND)의 출력에 의해 릴레이스위치(SW3)를 전환하는 릴레이(RL)와, 상기 릴레이(RL)의 릴레이스위치(SW3)에 접속되어 정, 역회전하는 모터(M)와, 상기 모터(M)의 회전을 제한하는 전, 후 리미트스위치(SW4)(SW5)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파워시트 조절장치에 관하여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가 차량의 리어 파워시트(10)에 앉아 탑승자의 신체조건이나 탑승자가 가장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자세로 파워시트(10)의 위치를 바꾸고자 할 경우에는, 파워시트(10)의 등받이(11)와 헤드레스트(13)내의 조작스위치(12)(14)를 작동시키면 된다. 예를 들어, 탑승자가 파워시트(10)에 앉아 등받이(11)를 뒷쪽으로 밀면 등받이(11)내에 장착된 제1조작스위치(12)가 작동되어 배터리전원(B+)이 논리곱 게이트(AND)의 일입력단으로 인가되고, 헤드레스트(13)를 머리나 목으로 밀면 헤드레스트(13)내에 장착된 제2조작스위치(14)가 작동되어 배터리전원(B+)이 논리곱 게이트(AND)의 다른 입력단으로 인가된다. 따라서, 그 논리급 게이트(AND)는 양 입력단에 인가된 신호를 논리곱한 결과의 진리치를 출력하게 되고, 그 진리치에 따라 모터(M)의 정, 역회전이 행해진다. 즉, 제3b도에 도시된 작동표를 참조하여 모터(M)의 동작을 설명하면, 제1조작스위치(12)와 제2조작스위치(14)중 어느 하나가 작동되거나 둘다 작동되지 않으면 논리곱 게이트(AND)의 출력은 로우상태가 되므로 모터(M)가 정회전하여 시트(10)가 전방으로 움직이는데, 탑승자가 시트(10)에 앉은 상태에서 신체조건에 가장 편안한 자세로 움직이면 조작스위치(12)(14)의 작동으로 모터(M)의 회전을 제어하여 시트(10)의 위치를 바꿀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탑승자가 파워시트(10)를 떠나거나 원위치로 하기 위하여 등받이(11)내의 제1조작스위치(12)와 헤드레스트(13)내의제2조작스위치(14)를 모두 작동시켜 온시키면, 논리곱 게이트(AND)의 출력이 하이상태가 되어 릴레이(RL)의 코일(L1)부에 입력되어 코일(L1)의 자장에 의해 릴레이스위치(SW3)를 절환시킨다. 따라서 베터리전원(B+)은 모터(M)를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모터(M) 축에 연결된 피니언기어(15)와 랙기어(16)를 작동시켜 시트(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모터(M)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하여 랙기어(16)의 전후방일측에 리미트 스위치(SW4)(SW5)를 부착하여 과도한 시트(10)의 움직임이나 모터(M)의 과부하를 방지한다. 즉, 모터(M)의 정, 역회전에 의해 시트(10)가 전후방으로 움직일 때에 전, 후 리미트스위치(SW4)(SW5)가 작동하여 모터(M)로의 배터리전원(B+)을 차단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파워시트(10)를 작동을 필요로 하지 않을 경우 예를 들어, 탑승한 후 파워시트(10)에 대한 조절이 필요없다거나 어린이들의 장난으로 인한 불필요한 파워시트(10)의 작동을 방지할 경우 등에 대비하여 배터리전원(B+)을 온/오프시키는 전원스위치를 구성함으로써 파워시트(10)의 조절에 대한 작동을 배제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파워시트 조절장치는 탑승자의 신체조건이나 탑승자가 원하는 파워시트(10)의 위치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 등받이(11) 또는 헤드레스트(13)를 등이나 머리로 작동시킴으로써 파워시트(10)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차량의 편의를 증대시킨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시트를 조절하기 위하여 시트의 좌우 일측에 구성된 조작스위치와, 조작스위치의 작동으로 회전하는 모터로, 모터의 회전을 받아 시트를 전후로 조절하는 랙 및 피니언기어로 구성된 자동차의 파워시트 조절장치에 있어서,상기 시트의 등받이(11)내에 장착된 제1조작스위치(12)와, 상기 시트의 헤드레스트(13)내에 장착된 제2조작스위치(14)와, 상기 제1조작스위치(12) 및 제2조작스위치(14)가 온(ON)시 신호를 출력하는 논리곱 게이트(AND)와, 상기 논리곱 게이트(AND)의 출력에 의해 스위치(SW3)를 전환하는 릴레이(RL)와, 상기 릴레이(RL)의 릴레이스위치(SW3)에 접속되어 정, 역회전하는 모터(M)와 상기 모터(M)의 회전을 제한하는 전, 후 리미트스위치(SW4)(SW5)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워시트 조절장치.
KR2019940025506U 1994-09-30 1994-09-30 자동차의 파워시트 조절장치 KR9700021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5506U KR970002179Y1 (ko) 1994-09-30 1994-09-30 자동차의 파워시트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5506U KR970002179Y1 (ko) 1994-09-30 1994-09-30 자동차의 파워시트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496U KR960010496U (ko) 1996-04-12
KR970002179Y1 true KR970002179Y1 (ko) 1997-03-20

Family

ID=19394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5506U KR970002179Y1 (ko) 1994-09-30 1994-09-30 자동차의 파워시트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17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006241A1 (de) * 2017-07-01 2019-01-03 Audi Ag Sitzverstellungseinrichtung für einen Sitz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496U (ko) 199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5624A (en) Powered vehicle seat
JP2646379B2 (ja) シフトチェンジ連動のヘッドレスト制御方法およびヘッドレスト制御装置
US5285139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motor in a powered seat
JPH05139221A (ja) 車両の座席、ステアリング車輪及びバツクミラーの位置を制御及び記憶するための中央制御ユニツト
KR970002179Y1 (ko) 자동차의 파워시트 조절장치
JPH1170880A (ja) ステアリング位置調整制御装置
CN113619454A (zh) 座椅结构及汽车
KR100384018B1 (ko) 자동차용 시트백의 볼스터 조절 장치
JPH03189244A (ja) パワーシートのモータ制御方法およびモータ制御装置
KR20050006821A (ko) 리어시트 암레스트 각도조절장치
JPH02283534A (ja) 車両用パワーシートのモータ制御装置
KR0183085B1 (ko) 팔걸이의 자동 높이 조절장치
KR200144113Y1 (ko) 자동차의 내측 도어 손잡이 각도조절장치
JP2819138B2 (ja) ヘッドレスト制御方法、ヘッドレスト制御装置およびヘッドレスト駆動機構
JPH04237644A (ja) パワーシートのモータ制御方法およびモータ制御装置
JPH04237645A (ja) パワーシートのモータ制御方法およびモータ制御装置
JPH0327867Y2 (ko)
KR0153655B1 (ko) 챠량용 시이트의 보울스터 조절장치
KR200154689Y1 (ko) 차량용헤드레스트위치조절장치
JP2560465Y2 (ja) 自動車用パワーシート
JPH0416744Y2 (ko)
KR19980028332U (ko) 차량의 시트 보호대 조절장치
JPH07164932A (ja) 車両用パワーシート装置
KR0140166Y1 (ko) 자동차시트의 요추받침대
KR980007357U (ko) 자동차의 조수석 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