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237B1 - 긴 물체의 안내 장치 - Google Patents

긴 물체의 안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237B1
KR102311237B1 KR1020197033776A KR20197033776A KR102311237B1 KR 102311237 B1 KR102311237 B1 KR 102311237B1 KR 1020197033776 A KR1020197033776 A KR 1020197033776A KR 20197033776 A KR20197033776 A KR 20197033776A KR 102311237 B1 KR102311237 B1 KR 102311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inner ring
outer ring
rai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7889A (ko
Inventor
다카유키 데츠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190137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48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etall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는, 긴 형상의 보호 안내부(13)와, 복수의 내륜(15)과, 복수의 외륜(16)과, 내륜(15)이 구름 이동 가능한 제1 레일면(17)과, 외륜(16)이 구름 이동 가능한 제2 레일면(18)과, 적어도 하나의 분단부(19)와, 규제 가이드(20)를 구비한다. 보호 안내부(13)는, 고정 단부(13A)를 구성하는 일단부와, 이동 단부(13B)를 구성하는 타단부를 갖는다. 복수의 외륜(16)은, 보호 안내부(13)의 길이 방향으로 내륜(15)과는 상이한 위치이며 내륜(15)보다 보호 안내부(13)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분단부(19)는 제1 레일면(17) 및 제2 레일면(18)이 분단되어 형성되어 있다. 분단부(19)는, 내륜(15) 및 외륜(16)이 만곡부(WK)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규제 가이드(20)는, 내륜(15) 및 외륜(16) 중 적어도 한쪽의 제1 레일면(17) 및 제2 레일면(18)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를 규제한다.

Description

긴 물체의 안내 장치
본 발명은,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링크에 의해 구성되는 긴 형상의 보호 안내부를 갖고, 보호 안내부 내에 수용되는 긴 물체를 보호하면서 안내하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긴 물체의 안내 장치는, 긴 물체를 보호하면서 안내하는 긴 형상의 보호 안내부를 구비하고 있다. 보호 안내부는, 회동 가능하게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링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긴 물체는 보호 안내부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수용된다.
보호 안내부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가 조립 장착되는 장치 본체 상에, 도중에 만곡부가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보호 안내부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이동 단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이동체가 연결된다. 한편, 보호 안내부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고정 단부)는 장치 본체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에 개시되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 쌍의 롤러를 갖는 보호 안내부를 구비하고 있다. 각 쌍의 롤러는, 보호 안내부의 폭 방향의 양측에 마련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는, 보호 안내부를 가이드하는 긴 형상의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레일은, 보호 안내부의 이동 단부가 보호 안내부의 도중에 형성되는 만곡부의 이동을 수반하여 왕복 이동할 때에 보호 안내부를 가이드한다. 복수 쌍의 롤러가 가이드 레일의 면 위를 구름 이동함으로써, 보호 안내부의 일부가 처져도 그 처진 부분이 보호 안내부의 다른 부분과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되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에서는, 롤러가 설정면 위를 구름 이동함으로써 보호 안내부와 설치면의 접촉이 방지된다. 보호 안내부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자석이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되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에서는, 이동 단부와 만곡부 사이의 부분의 상방에 플레이트가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자석을 플레이트에 자기적으로 부착시킴으로써 보호 안내부의 처짐이 방지되어 있다.
독일 특허 출원 공개 제102012111542호 명세서 독일 실용 신안 제202013012408호 명세서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긴 물체의 안내 장치에서는, 이동체가 이동함에 따라 만곡부가 순차 이동하는 과정에서, 보호 안내부가 만곡부 주변에서 링크의 튀어오름에 의해 외측으로 팽창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보호 안내부가 외측으로 팽창되면, 그 팽창된 부분이 다른 부재와 간섭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그 팽창된 부분이 다른 부재와 간섭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보호 안내부와 다른 부재 사이에 충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보호 안내부가 다른 부재와 간섭하는 경우는 그 간섭에 의한 보호 안내부의 마모나 손상 등에 기인하여 긴 물체의 안내 장치의 수명이 짧아진다. 한편, 보호 안내부가 다른 부재와 간섭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다른 부재와의 사이에 충분한 스페이스를 확보하면, 긴 물체의 안내 장치가 대형화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만곡부 주변에서의 링크의 튀어오름에 의해 보호 안내부가 외측으로 팽창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 및 그 작용 효과에 대해 기재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는, 회동 가능한 상태로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링크를 구비하고, 긴 물체를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을 갖고, 고정 단부를 구성하는 일단부와, 이동 단부를 구성하는 타단부를 갖는 긴 형상의 보호 안내부와, 상기 보호 안내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의 양측에 마련된 복수의 내륜과, 상기 보호 안내부의 상기 폭 방향의 양측에 마련된 복수의 외륜이며, 상기 보호 안내부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내륜과는 상이한 위치이며 상기 내륜보다 상기 보호 안내부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 복수의 외륜과, 상기 내륜이 구름 이동 가능한 제1 레일면과, 상기 외륜이 구름 이동 가능한 제2 레일면과, 상기 제1 레일면 및 상기 제2 레일면이 분단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분단부이며, 상기 이동 단부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 단부와 상기 고정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만곡부를 따라 상기 내륜 및 상기 외륜이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단부와,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 중 적어도 한쪽의 상기 제1 레일면 및 상기 제2 레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규제 가이드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긴 물체는 수용 공간에 배치된다. 그리고 이동 단부의 이동에 수반하여, 보호 안내부는 만곡부를 이동시키면서 긴 물체를 보호하면서 안내한다. 이때, 내륜이 제1 레일면 위를 구름 이동하고 외륜이 제2 레일면 위를 구름 이동함으로써, 보호 안내부의 처짐이 억제된다. 또한, 만곡부의 주변에서 링크의 튀어오름에 의해 보호 안내부가 외측으로 팽창되려고 해도, 내륜과 외륜 중 적어도 한쪽이 규제 가이드에 닿아 레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더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이 결과, 보호 안내부가 만곡부의 주변에서 외측으로 과도하게 팽창되는 것이 억제된다. 예를 들어, 보호 안내부가 외측으로 팽창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보호 안내부를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배치하는 경우, 보호 안내부가 규제 부재와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 마모될 우려가 있다. 또한, 보호 안내부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팽창된 부분이 다른 부재와 간섭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보호 안내부와 다른 부재 사이에 충분한 스페이스를 확보하려고 하면, 긴 물체의 안내 장치가 대형화된다. 그러나 이 구성이라면, 보호 안내부의 마모에 의한 긴 물체의 안내 장치의 수명의 단축 또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의 대형화를 피하면서, 만곡부의 주변에서의 링크의 튀어오름에 기인하는 보호 안내부의 외측으로의 팽창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긴 물체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규제 가이드는, 적어도 상기 만곡부가 이동하는 범위에 걸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만곡부가 이동하는 범위에서 내륜과 외륜 중 적어도 한쪽의 레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 가이드에 의해 소정 범위 내로 규제된다. 따라서, 보호 안내부의 만곡부 주변에서의 링크의 튀어오름에 의한 팽창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규제 가이드는, 상기 이동 단부의 이동 범위의 전역에 걸쳐 마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보호 안내부에서는 만곡부 이외의 부분도 외측으로 팽창되려고 하지만, 이 구성에 의하면, 이러한 종류의 팽창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긴 물체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륜 및 상기 외륜은, 상기 보호 안내부의 내주 부근으로 편의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규제 가이드를 보호 안내부에 대해 그 두께 방향으로 접근시켜 배치할 수 있으므로, 긴 물체의 안내 장치의 두께 방향의 사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긴 물체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단부는,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만곡부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의 적어도 일부에서 안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안내면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만곡부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의 적어도 일부에서 내륜과 외륜 중 적어도 한쪽이 안내면에 의해 안내된다. 따라서, 내륜과 외륜 중 적어도 한쪽을 지지할 수 있는 범위를 길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만곡부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의 적어도 일부에서 내륜과 외륜 중 적어도 한쪽이 지지된다는 점에서, 보호 안내부의 만곡부의 주변에서의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긴 물체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면은, 상기 내륜을 안내하는 제1 안내면과, 상기 외륜을 안내하는 제2 안내면을 갖고, 상기 제2 안내면은,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면보다 상기 만곡부의 돌출측으로 어긋나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이동 단부가 만곡부의 돌출 방향으로 이동할 때, 내륜이 분단부에 도달하여 만곡부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안내면에 의해 일시 지지된다. 그리고 내륜이 제1 안내면에 의해 지지되지 않게 되어도, 외륜이 제2 레일면 또는 제2 안내면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만곡부에서 링크가 한 번에 크게 회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만곡부에서 링크가 상대적으로 천천히 회동하므로, 링크의 튀어오름에 의해 발생하는 보호 안내부가 외측으로 팽창되려고 하는 힘을 상대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륜 및 외륜이 규제 가이드에 닿았을 때의 충격력을 상대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상기 긴 물체의 안내 장치는, 각각이 상기 제1 레일면 및 상기 제2 레일면을 갖는 한 쌍의 레일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 가이드는 상기 한 쌍의 레일 부재에 대응하여 마련된 2개의 규제 가이드 중 하나이고, 각 규제 가이드는, 대응하는 레일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면과 상기 제2 레일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플랜지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레일면, 제2 레일면, 및 규제 가이드가, 하나의 레일 부재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긴 물체의 안내 장치의 부품 개수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긴 물체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면 및 상기 제2 레일면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만곡부의 돌출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단부일수록 중력 방향 하측에 위치하도록 연장되는 경사 형상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내륜 및 외륜 중 분단부를 통과하는 휠이 분단부에 있어서 보호 안내부의 처짐에 의해 중력 방향의 하측으로 변위되어도, 분단부를 다 통과하였을 때에 휠은 경사 형상면으로 안내되어 레일면 위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내륜 또는 외륜이 레일면 위로 올라타지 못하는 것에 기인하는 휠과 레일의 충돌의 빈도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만곡부 주변에서의 링크의 튀어오름에 의해 보호 안내부가 외측으로 팽창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의 긴 물체의 안내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한쪽의 가이드 레일을 떼어낸 상태의 긴 물체의 안내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보호 안내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제1 링크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제1 링크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6은 제2 링크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제2 링크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8은 가이드 레일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를 도시하는 부분 측단면도.
도 10은 도 9의 10-10선을 따른 단면도.
도 11은 긴 물체의 안내 장치를 도시하는 부분 측단면도.
도 12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의 작용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3은 긴 물체의 안내 장치의 작용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4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의 작용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5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의 작용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6은 긴 물체의 안내 장치의 작용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7은 긴 물체의 안내 장치의 작용을 도시하는 측면도.
이하, 긴 물체의 안내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는 긴 형상의 보호 안내부(13)를 구비하고 있다. 보호 안내부(13)는, 소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한 상태로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링크(1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보호 안내부(13)는, 긴 물체(TK)를 수용 가능하게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수용 공간(SK)을 그 내부에 갖고 있다. 보호 안내부(13)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는 이동 단부(13A)를 구성하고 있다. 보호 안내부(13)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는 고정 단부(13B)(도 2를 참조)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는, 보호 안내부(13)를 가이드 가능한 레일 부재로서의 한 쌍의 긴 형상의 가이드 레일(14)을 구비한다. 보호 안내부(13)의 고정 단부(13B)는, 가이드 레일(14)의 길이 방향(X)의 중간 위치의 저부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보호 안내부(13)는, 고정 단부(13B)와 이동 단부(13A) 사이의 도중에 측면에서 보아 U자 형상의 만곡부(WK)를 형성하는 상태에서, 한 쌍의 가이드 레일(14)의 사이에 조립 장착되어 있다. 보호 안내부(13) 중, 이동 단부(13A)와 만곡부(WK) 사이에서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된 부분은 이동측 직선상부(ML)라고 칭해진다. 이동측 직선상부(ML)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14)의 단부 에지부(도 1, 도 2에서는 상부 에지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에서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14)의 폭 방향(Y)의 간격은, 보호 안내부(13)의 폭 방향(Y)의 폭보다 약간 넓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보호 안내부(13)는 가이드 레일(14)과 거의 미끄럼 이동하는 일은 없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 레일(14)에 조립 장착된 보호 안내부(13)는, 상기 이동측 직선상부(ML)와, 만곡부(WK)와, 만곡부(WK)로부터 고정 단부(13B)까지 연장되는 고정측 직선상부(FL)(도 2 및 도 11을 참조)를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측 직선상부(ML)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가이드된다.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는, 예를 들어 설치처의 장치의 본체(도시 생략)에 조립 장착된다. 설치처의 장치는, 예를 들어 직선 경로를 따라 소정의 이동 범위를 왕복 이동 가능한 이동체(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이동 단부(13A)에 연결되는 이동체는, 보호 안내부(13)의 만곡부(WK)를 길이 방향(X)으로 이동시키면서 길이 방향(X)으로 왕복 이동한다. 이때,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는, 수용 공간(SK)에 수용된 긴 물체(TK)를 보호 안내부(13)에 의해 보호하면서 안내한다. 긴 물체(TK)를 통해 설치처의 장치로부터 이동체에 그 동작 등에 필요한 전력 등의 에너지가 공급된다.
긴 물체(TK)로서는, 예를 들어 이동체(도시 생략)에 급전이나 신호 전송을 행하는 전기 케이블이나 광 케이블, 이동체(도시 생략)에 기체(예를 들어, 공기 등)나 액체(예를 들어, 물이나 오일 등) 등을 공급하는 호스, 유연하게 굴곡 가능한 긴 형상의 다관절 부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보호 안내부(13)의 길이 방향(X)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링크(12)에는 설치처의 고정부(도시 생략)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도시 생략)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보호 안내부(13)의 길이 방향(X)의 타단부에 위치하는 링크(12)에는 연결구(도시 생략)가 이동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 한 쌍의 가이드 레일(14)의 길이 방향을 「길이 방향(X)」이라고 칭한다. 길이 방향(X)과 직교하고 한 쌍의 가이드 레일(14)이 대향하는 방향을 「폭 방향(Y)」이라고 칭한다. 또한, 길이 방향(X)과 폭 방향(Y)의 양쪽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두께 방향(Z)」이라고 칭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가, 두께 방향(Z)이 중력 방향과 평행하게 되는 횡배치로 배치된 것으로서 설명한다. 단,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는, 길이 방향(X)이 중력 방향과 평행하게 되는 종배치, 또는 폭 방향(Y)이 중력 방향과 평행이 되는 횡배치 등, 용도 및 설치처의 장치의 사양, 구조 등에 따라서, 임의의 배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호 안내부(13)는, 길이 방향(X)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 쌍의 내륜(15)(내측 롤러) 및 복수 쌍의 외륜(16)(외측 롤러)을 갖고 있다. 각 쌍의 내륜(15) 및 각 쌍의 외륜(16)은, 보호 안내부(13)의 폭 방향(Y)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복수 쌍의 외륜(16)은 복수 쌍의 내륜(15)보다 폭 방향(Y)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복수 쌍의 내륜(15)은 보호 안내부(13)에 대해 폭 방향(Y)의 외측에 위치하고, 복수 쌍의 외륜(16)은 복수 쌍의 내륜(15)보다 폭 방향(Y)의 외측에 위치한다. 또한, 내륜(15)과 외륜(16)은, 보호 안내부(13)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륜(15) 및 외륜(16)은, 보호 안내부(13)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링크(12)는, 한 쌍의 내륜(15)을 각각 갖는 복수의 제1 링크(21)와, 한 쌍의 외륜(16)을 각각 갖는 복수의 제2 링크(22)와, 휠(15, 16)을 갖지 않는 복수의 노멀 링크(23)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보호 안내부(13)를 구성하는 복수의 링크(12)는, 길이 방향(X)을 따라 소정의 순서로 연결된 제1 링크(21), 제2 링크(22), 및 노멀 링크(2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보호 안내부(13)는, 하나의 제1 링크(21), 하나의 제2 링크(22), 및 소정 수의 노멀 링크(23)를 포함하는 링크군을 하나의 단위로 하고, 이 링크군의 단위가 복수 반복 연결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호 안내부(13)의 길이 방향으로 거리 L1의 피치로 배치된 한 쌍의 내륜(15)과 한 쌍의 외륜(16)에 의해, 1단위인 휠군(30)이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거리 L1(피치)은, 하나의 휠군(30)을 구성하는 제1 링크(21)와 제2 링크(22) 사이에 노멀 링크(23)가 2개 연결되었을 때의 내륜(15)과 외륜(16)의 피치에 상당하는 값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휠군(30)끼리의 길이 방향(X)에 있어서의 피치인 거리 L2는, 거리 L1보다 길게 되어 있다(L2>L1).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거리 L2는, 길이 방향(X)으로 인접하는 2개의 휠군(30)에 속하는 2개의 제2 링크(22)의 사이에 노멀 링크(23)가 9개 연결되었을 때의 외륜(16)의 피치에 상당하는 값으로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거리 L2는, 휠군(30)을 구성하는 내륜(15)과 외륜(16)의 피치인 거리 L1의 3배로 되어 있다(L2=3×L1). 또한, 인접하는 2개의 휠군(30)에 있어서의 한쪽의 휠군(30)의 내륜(15)과 다른 쪽의 휠군(30)의 외륜(16)의 피치인 거리 L3은, 거리 L1보다 길게 되어 있다(L3>L1).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거리 L3은 거리 L1의 2배로 되어 있다. 또한, 거리 L1은, 만곡부(WK)의 길이(만곡 길이)와의 관계에서 후술하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해도 된다. 또한, 거리 L2, L3은, 보호 안내부(13)의 처짐을 억제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4∼도 7을 참조하여, 보호 안내부(13)를 구성하는 각 링크(21∼23)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제1 링크(21)의 구성을 도시하고, 도 6 및 도 7은 제2 링크(22)의 구성을 도시한다. 노멀 링크(23)의 구성은, 제1 링크(21) 또는 제2 링크(22)로부터 내륜(15) 또는 외륜(16) 등(도 4∼도 7을 참조)의 일부의 구성을 제거한 것에 상당한다. 그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노멀 링크(23)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제1 링크(21)의 구성과,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제2 링크(22)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각 링크(21∼23)에 있어서 공통의 구성에 대해서는 링크(12)로서 설명하고, 각 링크(21, 22)에 특유의 구성에 대해서는 개별로 설명한다. 또한, 복수의 링크(12)를 회동시키지 않고 직선상으로 연결하는 방향은, 도 1, 도 2 등의 길이 방향(X)과 일치한다. 그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복수의 링크(12)를 회동시키지 않고 직선상으로 연결하는 방향을 「연결 방향(X)」이라고도 칭한다.
도 4∼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링크(12(21∼23))는, 폭 방향(Y)에 있어서 대향하는 대략 직사각형 판상의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31)와,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31)끼리를 연결하는 대략 직사각형 판상의 제1 연결부(32)와,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31)끼리를 제1 연결부(32)와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연결하는 대략 직사각형 판상의 제2 연결부(3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연결부(32)는,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3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부(33)는,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31)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연결부(32)는,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31)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도 된다.
도 4∼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31)와, 제1 연결부(32)와, 제2 연결부(33)에 의해 둘러싸여 연결 방향(X)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공간은, 수용 공간(SK)을 구성하고 있다. 수용 공간(SK)은, 복수의 링크(12)가 연결된 상태에 있어서, 보호 안내부(1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수용 공간(SK)에는 복수의 긴 물체(TK)가 수용된다. 각 링크(12)에는, 예를 들어 수용 공간(SK)을 폭 방향(Y)으로 분할하여 긴 물체(TK)끼리를 구획하는 것이 가능한 구획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마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링크 플레이트(31)는, 그 길이 방향(X)의 양단부가 둥그스름한 대략 직사각형 판상을 이루고 있다. 각 링크 플레이트(3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X)의 제1 단부에는, 당해 링크 플레이트(31)를 관통하는 원형의 연결 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각 링크 플레이트(3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X)의 제2 단부에 있어서의 외측면에는, 연결 방향(X)에 인접하는 다른 링크 플레이트(31)의 연결 구멍(34)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는 원기둥상의 연결 볼록부(35)가 형성되어 있다.
각 링크 플레이트(31)의 내측면에 있어서, 그 링크 플레이트(31)의 길이 방향(X)의 제1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대략 부채 형상의 내측 오목부(36)가 형성되어 있다. 각 링크 플레이트(31)의 내측면에는 또한, 길이 방향(X)에 있어서 연결 구멍(34)을 내측 오목부(36) 사이에 위치하도록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내측 볼록부(37)가 형성되어 있다. 각 링크 플레이트(31)의 외측면에 있어서, 그 링크 플레이트(31)의 길이 방향(X)의 제2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대략 부채 형상의 외측 오목부(38)가 형성되어 있다. 각 링크 플레이트(31)의 외측면에는 또한, 길이 방향(X)에 있어서 연결 볼록부(35)를 외측 오목부(38) 사이에 위치하도록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외측 볼록부(3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방향(X)에서 인접하는 2개의 링크(12)를 링크(12a, 12b)라고 칭하면, 링크(12a)의 연결 구멍(34)과 링크(12b)의 연결 볼록부(35)가 끼워 맞추어진다. 이때, 링크(12a)의 내측 오목부(36) 내에 링크(12b)의 외측 볼록부(39)가 수용된다. 또한, 링크(12b)의 외측 오목부(38) 내에 링크(12a)의 내측 볼록부(37)가 수용된다. 내측 볼록부(37) 및 외측 볼록부(39)는 각각 외측 오목부(38) 내 및 내측 오목부(36) 내를 연결 구멍(34)의 주위 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범위분(예를 들어, 45도분)만큼 미끄럼 이동 가능하다. 이 소정 각도 범위가 연결 방향(X)에서 인접하는 링크(12)끼리의 회동 범위(회동 가능한 각도 범위)가 된다.
즉, 내측 볼록부(37)는, 당해 내측 볼록부(37)의 제1 측면이 외측 오목부(38)의 제1 측면에 맞닿는 상태로부터, 당해 내측 볼록부(37)의 제2 측면이 외측 오목부(38)의 제2 측면에 맞닿는 상태까지의 범위 분만큼밖에 미끄럼 이동(회동)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외측 볼록부(39)는, 당해 외측 볼록부(39)의 제1 측면이 내측 오목부(36)의 제1 측면에 맞닿는 상태로부터, 당해 외측 볼록부(39)의 제2 측면이 내측 오목부(36)의 제2 측면에 맞닿는 상태까지의 범위 분만큼밖에 미끄럼 이동(회동)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각 링크(12)의 내측 오목부(36), 내측 볼록부(37), 외측 오목부(38), 및 외측 볼록부(39)는, 인접하는 링크(12)끼리가 직선상으로 배치되는 직선 자세와, 인접하는 링크(12)끼리가 굴곡하도록 배치되는 굴곡 자세 사이에서 인접하는 링크(12)끼리가 회동하도록, 인접하는 링크(12)끼리의 회동 범위를 규제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링크(21)의 폭 방향(Y)의 양 외측면의 하부에는, 한 쌍의 내륜(15)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링크(21)는,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31)의 외면으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수직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축(40)을 갖고 있다. 각 지지축(40)은, 링크 플레이트(31)의 길이 방향(X)의 대략 중앙 위치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지지축(40)에 대해 한 쌍의 내륜(15)이 회전 가능하게 조립 장착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내륜(15)은, 폭 방향(Y)에 있어서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31)의 외면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링크(22)의 폭 방향(Y)의 양 외측면의 하부에는, 한 쌍의 외륜(16)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2 링크(22)는,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31)의 외면으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수직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축(41)을 갖고 있다. 각 지지축(41)은, 링크 플레이트(31)의 길이 방향(X)의 대략 중앙 위치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지지축(41)에 대해 한 쌍의 외륜(16)이 회전 가능하게 조립 장착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외륜(16)은, 폭 방향(Y)에 있어서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31)의 외면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한 쌍의 외륜(16)은, 각 링크(12)를 연결한 상태에 있어서 제1 링크(21)의 한 쌍의 내륜(15)보다 폭 방향(Y)의 외측에 위치한다. 상세하게는, 지지축(41)은, 폭 방향(Y)에 있어서 링크 플레이트(31)의 외면으로부터 지지축(40)보다 길게 돌출되어 있다. 그 때문에, 지지축(41)에 의해 지지된 외륜(16)은, 지지축(40)에 의해 지지된 내륜(15)보다, 지지축(41)이 지지축(40)보다 길게 돌출되는 분만큼 폭 방향(Y)의 외측에 위치한다.
도 5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륜(15) 및 외륜(16)은, 서로 동일한 크기의 외경을 갖고 있다. 그리고 내륜(15) 및 외륜(16)은, 링크(21, 22)에 대해 동일한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링크(12)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내륜(15) 및 외륜(16)은, 보호 안내부(13)에 대해 동일한 높이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내륜(15) 및 외륜(16)은, 각각이 레일면(17, 18) 위를 구름 이동 가능하면, 서로 다른 크기의 외경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내륜(15) 및 외륜(16)은, 각각이 레일면(17, 18) 위를 구름 이동 가능하면, 서로 다른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제1 레일면(17) 및 제2 레일면(18)은 공통면(14B)을 구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 상이한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륜(15)은 그 폭 치수분만큼 링크 플레이트(31)의 외면으로부터 폭 방향(Y)의 외측으로 어긋나 위치한다. 외륜(16)은 그 폭 치수분만큼 내륜(15)보다 폭 방향(Y)의 외측으로 어긋나 위치한다. 또한, 제1 레일면(17)은 내륜(15)의 폭 치수와 거의 동일한 크기의 레일 폭을 갖는다. 제2 레일면(18)은 외륜(16)의 폭 치수와 거의 동일한 크기의 레일 폭을 갖는다. 이 때문에, 제1 레일면(17)과, 제2 레일면(18)은, 폭 방향(Y)으로 인접하고 있다. 따라서, 보호 안내부(13)의 폭 방향(Y)의 외측에 내륜(15)과 외륜(16)을 마련한 것치고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의 폭 치수가 상대적으로 저감되어 있다. 또한, 폭 방향(Y)에 있어서의 링크 플레이트(31), 내륜(15), 및 외륜(16)의 각 위치는, 폭 방향(Y)으로 이 순서로 외측으로 어긋나 있으면 된다. 링크 플레이트(31), 내륜(15), 및 외륜(16)은, 그것들 중 적어도 2개가 폭 방향(Y)으로 일부 중복되는 위치 관계에 있어도 된다. 링크 플레이트(31), 내륜(15), 및 외륜(16)은, 그것들 중 적어도 2개가 폭 방향(Y)으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 관계에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8을 참조하여, 가이드 레일(14)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 레일(14)은, 복수 쌍의 내륜(15) 및 복수 쌍의 외륜(16)이 구름 이동 가능하게 길이 방향(X)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면(14A)을 각각 갖고 있다. 각 가이드 레일면(14A)은, 내륜(15)이 구름 이동 가능한 제1 레일면(17)과, 외륜(16)이 구름 이동 가능한 제2 레일면(18)을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륜(15) 및 외륜(16)은 서로 동일한 크기의 외경을 갖고 있고, 또한 보호 안내부(13)의 측부에 대해 두께 방향(Z)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2개의 레일면(17, 18)은, 가이드 레일(14)의 동일한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2개의 레일면(17, 18)은, 그 길이 방향(X)의 일부에 있어서 각각의 폭을 더한 폭을 갖는 하나의 공통면(14B)(도 8 참조)을 구성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 레일(14)은, 레일면(17, 18)이 길이 방향(X)의 복수 개소에서 분단됨으로써 형성된 복수의 분단부(19)를 갖고 있다. 각 가이드 레일(14)에 있어서의 분단부(19)의 수는, 예를 들어 보호 안내부(13)에 마련된 휠군(30)의 수 N과 동수 또는 휠군(30)의 수 N보다 「1」 적은 수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가이드 레일(14)에 있어서의 분단부(19)의 수는, 휠군(30)의 수 N(예를 들어 3)보다 「1」 적은 수(예를 들어 2)이다. 각 분단부(19)는, 제1 레일면(17)을 길이 방향(X)으로 분단하는 제1 레일면 분단부(19A)와, 제2 레일면(18)을 길이 방향(X)으로 분단하는 제2 레일면 분단부(19B)를 갖고 있다.
제1 레일면 분단부(19A)는, 제1 링크(21)가 만곡부(WK)에 이르렀을 때에 내륜(15)이 만곡부(WK)를 따라 두께 방향(Z)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기능을 갖는다(도 13∼도 17을 참조). 제2 레일면 분단부(19B)는, 제2 링크(22)가 만곡부(WK)에 이르렀을 때에 외륜(16)이 만곡부(WK)를 따라 두께 방향(Z)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기능을 갖는다(도 16 및 도 17을 참조).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제1 레일면 분단부(19A)는, 분단된 제1 레일면(17)과 연속되는 연장 돌출면(17A)을 구비하고 있다. 연장 돌출면(17A)은, 길이 방향(X)에 있어서의 만곡부(WK)(도 2 등을 참조)의 돌출측(도 8에서는 우측)으로 어느 정도 하강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연장 돌출면(17A)은, 분단된 제1 레일면(17)의 단부로부터 완만하게 만곡되는 제1 안내면(171)과, 소정의 경사각으로 경사지는 경사면부(172)와, 경사면부(172)보다 급한 각도로 만곡되는 종단부면부(173)를 갖고 있다. 연장 돌출면(17A)은, 적어도 제1 안내면(171)에 의해 내륜(15)을 안내하여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안내면(171)의 만곡도 및 경사각은, 만곡부(WK)에 있어서의 내륜(15)의 이동 경로에 따른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링크(21)가 만곡부(WK)를 이동할 때, 내륜(15)은 만곡부(WK)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의 일부에서 제1 안내면(171)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제2 레일면 분단부(19B)는, 분단된 제2 레일면(18)과 연속되는 연장 돌출면(18A)을 구비하고 있다. 연장 돌출면(18A)은, 길이 방향(X)에 있어서의 만곡부(WK)(도 2 등을 참조)의 돌출측(도 8에서는 우측)으로 어느 정도 하강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연장 돌출면(18A)은, 분단된 제2 레일면(18)의 단부로부터 완만하게 만곡되는 제2 안내면(181)과, 소정의 경사각으로 경사지는 경사면부(182)와, 경사면부(182)보다 급한 각도로 만곡되는 종단부면부(183)를 갖고 있다. 연장 돌출면(18A)은, 적어도 제2 안내면(181)에 의해 외륜(16)을 안내하여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안내면(181)의 만곡도 및 경사각은, 만곡부(WK)에 있어서의 외륜(16)의 이동 경로에 따른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링크(22)이 만곡부(WK)를 이동할 때, 외륜(16)은 만곡부(WK)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의 일부에서 제2 안내면(181)에 의해 지지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단된 제2 레일면(18)은, 분단된 제1 레일면(17)보다 길이 방향(X)에 있어서의 만곡부(WK)의 돌출측으로 더 길게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레일면 분단부(19A)보다 제2 레일면 분단부(19B) 쪽이, 길이 방향(X)으로 좁다. 또한, 제1 레일면 분단부(19A)보다 제2 레일면 분단부(19B) 쪽이, 길이 방향(X)에 있어서의 만곡부(WK)의 돌출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외륜(16)과 대응하는 연장 돌출면(18A)은, 내륜(15)과 대응하는 연장 돌출면(17A)보다 길이 방향(X)에 있어서의 만곡부(WK)의 돌출측으로 어긋나 위치하고 있다. 또한, 분단된 제2 레일면(18)의 길이와 분단된 제1 레일면(17)의 길이의 차는, 동일한 휠군(30)에 속하는 내륜(15)과 외륜(16)의 피치에 상당하는 거리 L1와 거의 동등하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면(14A)의 길이 방향(X)에 있어서의 만곡부(WK)의 돌출측과는 반대측의 단부(도 8에 있어서의 좌측 단부)에는, 단부일수록 중력 방향 하측에 위치하도록 연장되는 경사 형상면(14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내륜(15) 및 외륜(16) 중 분단부(19)를 통과하는 휠(15, 16)이, 가이드 레일면(14A)에 의해 지지되지 않게 되어 보호 안내부(13)의 대응하는 부분이 처짐으로써 중력 방향의 하측으로 변위되어도, 그 휠(15, 16)은 분단부(19)를 통과한 후, 경사 형상면(141)으로 안내되어 가이드 레일면(14A) 상으로 원활하게 올라타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4)에 있어서의 경사 형상면(141)의 하측에는, 만곡부(WK)의 돌출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만곡 오목면상의 제3 안내면(142)이 형성되어 있다. 즉, 각 분단부(19)는, 경사 형상면(141)의 하측에 위치하고, 또한 만곡부(WK)의 돌출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만곡 오목면상의 제3 안내면(142)을 구비하고 있다. 외륜(16)은 만곡부(WK)에 있어서의 고정측 직선상부(FL)의 근방에 위치할 때에 제3 안내면(142)으로 안내되어 지지된다. 제3 안내면(142)은, 외륜(16)이 만곡부(WK)를 따른 하방으로의 이동을 종료하기 직전의 구간에서 외륜(16)을 안내하여 지지한다. 또는, 제3 안내면(142)은, 외륜(16)이 만곡부(WK)를 따른 상방으로의 이동을 개시한 직후의 구간에서, 외륜(16)을 안내하여 지지한다.
만곡부(WK)에 있어서의 내륜(15)과 외륜(16) 중 적어도 한쪽이, 레일면(17, 18) 또는 안내면(171, 181, 142)에 의해 지지되도록, 거리 L1, 연장 돌출면(17A, 18A) 및 제3 안내면(142)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거리 L1은, 만곡부(WK)의 내주면을 따르는 둘레 길이보다 짧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8∼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가이드 레일(14)에 있어서 레일면(17, 18)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길이 방향(X)을 따라 연장되는 규제 가이드(20)가 형성되어 있다. 규제 가이드(20)는, 가이드 레일(14)의 레일면(17, 18)과 대향하는 위치에 길이 방향(X)을 따라 연장되는 플랜지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규제 가이드(20)는, 가이드 레일(14)의 길이 방향(X)의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동 단부(13A)의 이동 경로의 전역에 걸쳐 규제 가이드(20)는 마련되어 있다. 즉, 규제 가이드(20)는, 가이드 레일(14)에 있어서 이동측 직선상부(ML)가 위치할 수 있는 전역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도 8∼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일면(17, 18)을 갖는 레일 부재인 가이드 레일(14)에 규제 가이드(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레일면(17, 18)과 규제면(20A)의 간격은, 휠(15, 16)의 직경(외경)보다 크다. 이 때문에, 휠(15, 16)은, 레일면(17, 18)과 규제면(20A)의 간격의 범위 내에서 두께 방향(Z)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휠(15, 16)이 두께 방향(Z)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는, 예를 들어 링크(12)의 피치의 절반 이하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휠(15, 16)의 두께 방향(Z)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거리는, 휠(15, 16)의 직경의 1.5배 이상 또한 2배 이하의 범위 내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거리는, 만곡부(WK)를 측면에서 보아 U자 형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링크(12)의 튀어오름에 의한 보호 안내부(13)의 팽창을 허용하면서 그 팽창을 가능한 한 작게 억제할 수 있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보호 안내부(13)가 만곡부(WK)의 주변에서 링크(12)의 튀어오름에 의해 팽창되려고 하여, 휠(15, 16)이 레일면(17, 18)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변위하려고 해도, 그 휠(15, 16)이 규제면(20A)에 닿는다. 이에 의해, 규제 가이드(20)는, 휠(15, 16)의 레일면(17, 18)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를 규제한다. 이때, 규제 가이드(20)는, 링크(12)의 필요한 튀어오름은 허용하므로, 만곡부(WK)가 측면에서 보아 U자 형상을 형성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도 2, 도 9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륜(15) 및 외륜(16)은, 보호 안내부(13)에 대해 내주측으로 편의하여 위치한다. 여기서, 보호 안내부의 내주는, 만곡부(WK)를 기준으로 볼 때 만곡부(WK)의 돌출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보호 안내부(13)의 둘레 부분을 의미한다. 즉, 보호 안내부(13)는, 두께 방향(Z)에 있어서의 가이드 레일(14)로부터의 돌출량이 상대적으로 저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는, 보호 안내부는, 두께 방향(Z)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14)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의 두께 방향(Z)의 사이즈의 소형화가 도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휠(15, 16)이 가이드 레일면(14A)에 맞닿는 상태에 있어서, 보호 안내부(13)의 외주면(상면)과 가이드 레일(14)의 상면이 거의 같은 평면 상에 있게 되어 있다. 휠(15, 16)이 규제면(20A)에 닿은 규제 상태에 있어서, 보호 안내부(13)의 가이드 레일(14)로부터의 돌출량이, 보호 안내부(13)의 두께 방향(Z)의 치수(두께)의 절반 이하의 값으로 억제되도록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는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의 작용에 대해, 도 12∼도 17 등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가 장치 본체에 설치될 때에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14) 및 보호 안내부(13)의 고정 단부(13B)가 대상의 장치 본체 또는 설치면에 고정된다. 또한, 보호 안내부(13)의 이동 단부(13A)에 이동체가 연결된다. 이동체가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의 이동 범위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이동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그 작용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체가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해 이동할 때, 보호 안내부(13)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된 복수 쌍의 내륜(15) 및 복수 쌍의 외륜(16)이 제1 레일면(17) 및 제2 레일면(18)에 의해 각각 지지된다. 그 때문에, 보호 안내부(13)의 이동 단부(13A)와 만곡부(WK) 사이에 위치하는 이동측 직선상부(ML)의 처짐이 억제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 단부(13A)(도 2를 참조)가 만곡부(WK)의 돌출 방향(이하, 「제1 방향」이라고도 함)으로 이동하면, 보호 안내부(13)의 이동과 함께 내륜(15) 및 외륜(16)은 제1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만곡부(WK)의 돌출 방향(제1 방향)은 도 2에서는 우측 방향에 대응한다. 먼저, 보호 안내부(13)에 있어서의 이동 방향의 선두에 위치하는 제1 링크(21)가 만곡부(WK)에 이르면, 당해 제1 링크(21)는 굴곡 자세가 되도록 전후에 인접하는 링크(12)에 대해 회동하기 시작한다. 그러면,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제1 링크(21)의 내륜(15)은 제1 레일면 분단부(19A)에 도달하여 제1 레일면(17)으로부터 벗어나지만, 당해 내륜(15)은 한동안은 연장 돌출면(17A)의 제1 안내면(171)에 의해 안내되면서 이동한다. 이 때문에, 내륜(15)은 제1 레일면 분단부(19A)라도 한동안은 제1 안내면(171)에 의해 지지된다. 이 결과, 내륜(15)이 마련된 제1 링크(21)와, 그 제1 링크(21)에 전후에 인접하는 링크(12)가 만곡부(WK)에 도달하여 회동할 때의 튀어오름이 억제된다.
다음으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륜(15)이 제1 레일면 분단부(19A)에서 제1 안내면(171)에 의해 지지되지 않게 되어 연장 돌출면(17A)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때, 동일한 휠군(30)에 속하는 외륜(16)은 제2 레일면(18) 위를 구름 이동한다(도 14 및 도 15 참조). 즉, 내륜(15)이 제1 레일면 분단부(19A)에 있어서 공중에 있어도, 그 내륜(15)과 동일한 휠군(30)에 속하는 외륜(16)이 제2 레일면(18)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링크(22)가 만곡부(WK)에 도달하면, 당해 제2 링크(22)는, 굴곡 자세가 되도록 전후에 인접하는 링크(12)에 대해 회동하기 시작한다. 그러면, 그 제2 링크(22)의 외륜(16)은 제2 레일면 분단부(19B)에 있어서 제2 레일면(18)으로부터 벗어나지만, 당해 외륜(16)은 한동안은 제2 안내면(181)에 의해 지지된다. 이 때문에, 만곡부(WK)는, 만곡부(WK)에 속하는 제1 링크(21) 및 제2 링크(22)의 모든 휠(15, 16)이 어디에도 지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측면에서 보아 U자 형상의 만곡 형상으로 유지되기 쉽다.
그 후, 외륜(16)은 연장 돌출면(18A)으로부터 이격되어 공중을 하강한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륜(16)은 만곡 경로를 따라 하방으로의 이동을 종료하기 직전에 만곡 오목면상의 제3 안내면(142)으로 안내되면서 지지된다. 그 때문에, 만곡부(WK)가 측면에서 보아 U자 형상으로 유지되기 쉽다. 이와 같이 하여 외륜(16)이 만곡부(WK)를 따른 하방으로의 이동을 종료한 타이밍에, 후속의 휠군(30)을 구성하는 다음 내륜(15)이 제1 레일면(17) 위로부터 제1 레일면 분단부(19A)에 도달한다. 이후, 마찬가지로, 휠군(30)이 만곡부(WK)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내륜(15) 및 외륜(16) 중 적어도 한쪽이, 레일면(17, 18) 및 안내면(171, 181, 142) 중 어느 것에 의해 지지된다. 그 때문에, 휠(15, 16)이 어디에도 지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만곡부(WK)가 측면에서 보아 U자 형상의 만곡 형상으로 유지되기 쉽다. 또한,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측 직선상부(FL)에서는, 내륜(15)은 제1 레일면 분단부(19A)의 저부에 배치되고, 외륜(16)은 제2 레일면 분단부(19B)의 저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륜(15) 및 외륜(16)이 만곡부(WK)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내륜(15)과 외륜(16) 중 적어도 한쪽이 레일면(17, 18) 및 안내면(171, 181, 142) 중 어느 것에 의해 지지된다. 그 때문에, 만곡부(WK)가 측면에서 보아 U자 형상의 만곡 형상으로 유지되기 쉽다. 예를 들어 레일면이 분단되었을 뿐, 안내면이 없는 구성의 경우, 만곡부에서의 링크의 튀어오름에 기인하여 보호 안내부의 만곡부 및 그 주변에서 덜걱거림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것은, 보호 안내부의 외측으로의 팽창을 크게 하는 원인이 된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휠(15, 16)이 레일면(17, 18) 및 안내면(171, 181, 142)에 의해 지지되므로, 만곡부(WK)에 있어서 링크(12)가 서서히 회동하여 링크(12)의 튀어오름이 억제된다. 게다가, 보호 안내부(13)의 만곡부(WK) 및 그 주변에서 덜걱거림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 결과, 만곡부(WK)의 주변에서의 링크(12)의 튀어오름 등에 기인하여, 보호 안내부(13)가 이동측 직선상부(ML)에서 외측으로 팽창되려고 하는 힘이 상대적으로 저감된다.
그런데, 만곡부(WK)의 주변에서의 링크(12)의 튀어오름 등이 억제되기는 하지만, 그 튀어오름 등에 기인하여 보호 안내부(13)가 외측에 팽창되려고 하는 힘은 작아지면서도 여전히 발생한다. 그 때문에, 보호 안내부(13)는 외측(도 9∼도 17에서는 상측)으로 여전히 팽창되려고 한다.
그러나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호 안내부(13)가 외측(도 9의 상측)으로 팽창되려고 해도, 내륜(15) 및 외륜(16)이 규제 가이드(20)의 규제면(20A)에 닿는다. 그 때문에, 내륜(15) 및 외륜(16)이 레일면(17, 18)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도 9에서는 상측)으로 더욱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즉, 내륜(15) 및 외륜(16)의 레일면(17, 18)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가 규제 가이드(20)에 의해 규제된다. 그 결과, 보호 안내부(13)의 외측으로의 팽창이 규정 범위로 억제된다.
또한,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륜(15) 및 외륜(16) 중 레일면 분단부(19A, 19B)를 통과하는 도중의 휠(15, 16)은, 보호 안내부(13)가 분단부(19)에 있어서 약간 처지는 것에 수반하여 조금 하강 변위된다. 그러나 레일면 분단부(19A, 19B)에서 조금 하강 변위된 내륜(15) 및 외륜(16)은, 레일면 분단부(19A, 19B)를 다 통과하면 경사 형상면(141)으로 올라타고, 다음 레일면(17, 18) 상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부(13A)가 만곡부(WK)의 돌출 방향과는 반대인 방향(이하, 「제2 방향」이라고도 함)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제1 방향으로의 이동 시와 반대의 순서를 따라간다. 또한, 제2 방향은 도 13에서는 좌측 방향에 대응한다. 즉, 고정측 직선상부(FL)로부터 외륜(16)이 만곡부(WK)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을 개시한 후(도 17), 이것에 지연되어 내륜(15)이 고정측 직선상부(FL)로부터 만곡부(WK)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을 개시한다(도 16). 외륜(16)은 만곡부(WK)를 따라 상방으로의 이동을 개시하면, 먼저 제3 안내면(142)으로 잠시 안내된다. 또한, 내륜(15)이 만곡부(WK)를 따라 상방으로의 이동을 개시하였을 때, 외륜(16)은 만곡 경로를 따른 상방으로의 이동을 종료하기 직전에 제2 안내면(181)에 의해 지지된다(도 16). 그리고 내륜(15)이 제1 레일면 분단부(19A)에 있어서 상방으로의 이동을 개시한 지 얼마 안 되어, 외륜(16)은 제2 레일면(18) 상으로 이동한다. 그 이후, 내륜(15)은, 동일한 휠군(30)에 속하는 외륜(16)이 제2 레일면(18)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제1 레일면 분단부(19A)에 있어서 공중을 상방으로 이동한다(도 14 및 도 15). 그 후, 내륜(15)은 제1 안내면(171)에 의해 지지된 후(도 13), 제1 레일면(17) 상에 올라탄다(도 12). 이 때문에, 만곡부(WK)에서 링크(12)가 서서히 회동하여, 만곡부(WK)는 측면에서 보아 U자 형상으로 유지되기 쉽다.
또한, 이동 단부(13A)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도, 휠(15, 16)이 레일면(17, 18)에 의해 지지되므로, 보호 안내부(13)의 이동측 직선상부(ML)의 처짐이 억제된다. 또한 만곡부(WK)의 주변에서의 링크(12)의 튀어오름 등에 기인하여, 보호 안내부(13)의 이동측 직선상부(ML)가 외측으로 팽창되려고 해도, 휠(15, 16)이 규제 가이드(20)의 규제면(20A)에 닿는다. 따라서, 휠(15, 16)이 더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이 때문에, 이동측 직선상부(ML)의 외측으로의 팽창이 규정 범위 내로 억제된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1)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는, 긴 형상의 보호 안내부(13)의 폭 방향(Y)의 양측에 마련된 복수의 내륜(15) 및 복수의 외륜(16)을 구비한다.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는, 내륜(15)이 구름 이동 가능한 제1 레일면(17)과, 외륜(16)이 구름 이동 가능한 제2 레일면(18)과, 복수의 분단부(19)를 더 구비한다. 각 분단부(19)는, 제1 레일면(17) 및 제2 레일면(18)이 분단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 분단부(19)는, 보호 안내부(13)의 도중의 만곡부(WK)를 따라 내륜(15) 및 외륜(16)이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는, 내륜(15)과 외륜(16) 중 적어도 한쪽의 제1 레일면(17) 및 제2 레일면(18)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규제 가이드(20)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이동 단부(13A)가 이동할 때, 보호 안내부(13)는 그 도중의 만곡부(WK)를 이동시키면서 수용 공간(SK) 내의 긴 물체(TK)를 보호하면서 안내한다. 이때, 내륜(15)이 제1 레일면(17) 위를 구름 이동하고, 외륜(16)이 제2 레일면(18) 위를 구름 이동함으로써, 보호 안내부(13)의 처짐이 억제된다. 또한, 만곡부(WK)의 주변에서 링크의 튀어오름에 의해 보호 안내부(13)가 외측으로 팽창되려고 해도, 내륜(15) 및 외륜(16) 중 적어도 한쪽이 규제 가이드(20)에 닿아 레일면(17, 18)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더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이 결과, 보호 안내부(13)가 만곡부(WK)의 주변에서 외측으로 과도하게 팽창되는 것이 억제된다. 예를 들어 보호 안내부가 외측으로 팽창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보호 안내부를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배치하면, 보호 안내부가 규제 부재와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 마모될 우려가 있다. 또한, 보호 안내부가 외측으로 팽창되었을 때에 그 팽창된 부분이 다른 부재와 간섭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보호 안내부와 다른 부재 사이에 충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의 대형화가 우려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호 안내부(13)의 외측으로의 팽창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보호 안내부의 마모 또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2) 규제 가이드(20)는, 적어도 만곡부(WK)가 이동하는 범위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만곡부(WK)가 이동하는 범위에 있어서, 내륜(15)과 외륜(16)의 적어도 한쪽의 레일면(17, 18)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 가이드(20)에 의해 규정 범위 내로 규제된다. 따라서, 보호 안내부(13)의 만곡부(WK) 주변에서의 링크(12)의 튀어오름에 의한 팽창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 단부(13A)의 이동 범위의 전역에 걸쳐 규제 가이드(20)가 마련되어 있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보호 안내부(13)에서는 만곡부(WK) 이외의 부분도 외측으로 팽창되려고 하지만, 이동 단부(13A)의 이동 범위의 전역에 걸쳐 규제 가이드(20)가 마련됨으로써, 이러한 종류의 팽창도 억제할 수 있다.
(3) 내륜(15) 및 외륜(16)은, 보호 안내부(13)의 내주 부근으로 편의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규제 가이드(20)를 보호 안내부(13)에 대해 그 두께 방향(Z)으로 접근하여 배치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 레일(14)의 상단부면이 보호 안내부(13)의 상면과 거의 같은 평면 상에 또는 약간 돌출되도록, 내륜(15) 및 외륜(16)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의 두께 방향(Z)의 사이즈(높이 사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4) 각 분단부(19)는, 내륜(15) 및 외륜(16)이 만곡부(WK)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의 적어도 일부에서 그 내륜(15) 및 외륜(16)을 각각 안내 가능한 안내면(171, 181)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분단부(19)에 있어서 내륜(15) 및 외륜(16)이 만곡부(WK)를 따라 이동할 때, 내륜(15) 및 외륜(16)을 안내면(171, 181)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내륜(15) 및 외륜(16)을 가이드 레일(14)에 의해 지지할 수 있는 범위를 길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만곡부(WK)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의 일부에서 내륜(15) 및 외륜(16)이 지지된다는 점에서, 보호 안내부(13)의 만곡부(WK) 주변에서의 덜걱거림 발생, 및 덜걱거림음을 억제할 수 있다.
(5) 안내면은, 내륜(15)을 안내하는 제1 안내면(171)과, 외륜(16)을 안내하는 제2 안내면(181)을 갖는다. 제2 안내면(181)은, 길이 방향(X)에 있어서 제1 안내면(171)보다 만곡부(WK)의 돌출측으로 어긋나 위치한다. 이 때문에, 이동 단부(13A)가 만곡부(WK)의 돌출 방향으로 이동할 때, 내륜(15)이 제1 레일면 분단부(19A)에 도달하고 만곡부(WK)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안내면(171)에 의해 일시 지지된다. 또한, 내륜(15)이 제1 안내면(171)에 의해 지지되지 않게 되어도, 외륜(16)이 제2 레일면(18) 또는 제2 안내면(181)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만곡부(WK)에서 링크(12)가 한 번에 크게 회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만곡부(WK)에서 링크(12)가 상대적으로 천천히 회동하므로, 링크(12)의 튀어오름에 의해 발생하는 보호 안내부(13)가 외측으로 팽창하려고 하는 힘을 상대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이 결과, 내륜(15) 및 외륜(16)이 규제 가이드(20)에 닿는 빈도를 상대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내륜(15) 및 외륜(16)이 규제 가이드(20)에 닿았을 때의 충격력을 상대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내륜(15) 및 외륜(16)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 및 휠(15, 16)이 규제 가이드(20)에 닿았을 때의 충돌음의 억제 효과가 얻어진다.
(6) 각각이 제1 레일면(17) 및 제2 레일면(18)을 갖는 한 쌍의 레일 부재(가이드 레일(14))를 구비한다. 각 규제 가이드(20)는, 가이드 레일(14)에 있어서의 제1 레일면(17) 및 제2 레일면(18)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플랜지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플랜지부는 제1 레일면(17) 및 제2 레일면(18)에 대향하는 규제면(20A)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레일면(17) 및 제2 레일면(18)을 갖는 레일 부재와, 규제 가이드(20)를 갖는 레일 부재가 제각기 마련된 구성에 비해,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의 부품 개수를 저감할 수 있다.
(7) 제1 레일면(17) 및 제2 레일면(18)은, 길이 방향(X)에 있어서의 만곡부(WK)의 돌출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단부일수록 중력 방향 하측에 위치하도록 연장되는 경사 형상면(141)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내륜(15) 및 외륜(16) 중 분단부(19)를 통과하는 휠(15, 16)이 보호 안내부(13)의 처짐에 의해 중력 방향의 하측으로 변위되어도, 분단부(19)를 다 통과하면 휠(15, 16)은 경사 형상면(141)으로 안내되어 가이드 레일면(14A) 상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내륜(15) 또는 외륜(16)이 가이드 레일면(14A) 상으로 이동하지 못한 것에 기인하는 휠(15, 16)과 레일의 충돌의 빈도의 저감 및 충돌음의 억제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를 이하와 같이 변경해도 된다.
내륜(15)을 갖는 제1 링크(21)와 외륜(16)을 갖는 제2 링크(22)가 길이 방향(X)으로 교대로 연결되어도 된다. 단, 복수의 휠군(30) 및 각 휠군(30)을 구성하는 내륜(15) 및 외륜(16)을 비교적 짧은 피치로 마련하면, 휠군(30)의 수에 비례하여 많은 분단부(19)를 마련해야 해, 가이드 레일(14)에 있어서 보호 안내부(13)를 지지할 수 있는 영역의 비율이 저하된다. 그 때문에, 휠군(30)의 피치는 적절한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휠(15, 16)마다 두께 방향(Z)으로 상이한 높이 위치에 규제 가이드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규제 가이드는, 레일면이 형성된 부재와는 상이한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규제 가이드는, 레일면의 길이 방향(X)으로 단속적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즉, 규제 가이드는, 길이 방향(X)의 도중에 1개소 또는 복수 개소로 분단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이동 단부의 이동 위치에 구애되지 않고 복수의 내륜 및 복수의 외륜 중 적어도 하나(더 바람직하게는 반수 이상)의 휠의 이동 범위를 규제할 수 있으면, 보호 안내부의 팽창을 억제하는 데 있어서 일정한 효과는 얻어진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각 레일 부재에 제1 레일면(17)과 제2 레일면(18)을 형성하였지만, 내륜(15)이 구름 이동하는 제1 레일면과 외륜(16)이 구름 이동하는 제2 레일면을 각각의 레일 부재에 형성해도 된다.
레일면(17, 18)과 규제 가이드(20)를 공통의 부재에 마련하는 구성 대신에, 레일면(17, 18)과 규제 가이드(20)를 각각의 부재에 마련해도 된다.
보호 안내부(13)에 있어서의 이동 단부(13A)와 만곡부(WK) 사이의 부분을 레일면과 규제면에 의해 가이드하는 것 외에도, 만곡부(WK)와 고정 단부(13B) 사이의 부분을 레일면과 규제면에 의해 가이드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쌍을 이루는 2개의 내륜(15)을 보호 안내부의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하였지만, 쌍을 이루는 2개의 내륜(15)을 보호 안내부(13)의 길이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쌍을 이루는 2개의 외륜(16)을 보호 안내부의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하였지만, 쌍을 이루는 2개의 외륜을 보호 안내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해도 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링크에 그 폭 방향 양측 중 편측에만 내륜(15) 및 외륜(16) 중 어느 한쪽을 마련해도 된다. 보호 안내부(13)의 길이 방향(X)에 비교적 가까이에 위치하는 2개의 링크에 한 쌍의 내륜(15) 중 한쪽과 다른 쪽을 각각 마련해도 된다. 예를 들어, 보호 안내부(13)의 길이 방향(X)으로 인접하는 2개의 링크에 한 쌍의 내륜(15) 중 한쪽과 다른 쪽을 각각 마련해도 된다. 이 경우, 한 쌍의 가이드 레일(14) 사이에서, 길이 방향(X)에 있어서의 분단부(19)(레일면 분단부(19A, 19B))의 위치를 상이하게 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만곡부(WK)가 이동하는 범위보다 긴 범위에 걸쳐 규제 가이드가 마련되어 있지만, 만곡부(WK)가 이동하는 범위에만 규제 가이드를 마련해도 된다.
안내면(171, 181) 중 한쪽만 마련하고, 내륜(15) 및 외륜(16) 중 한쪽만을 만곡부(WK)를 따라 안내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내륜(15) 및 외륜(16)의 배치 위치는 폭 방향(Y)으로 일부 중복된 위치여도 된다. 요컨대, 외륜(16)이 내륜(15)보다 보호 안내부(13)로부터 폭 방향(Y)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면 된다.
내륜(15) 및 외륜(16)은, 보호 안내부(13)의 두께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내륜(15)의 외경과 외륜(16)의 외경이 상이해도 된다. 이들의 경우, 제1 레일면과 제2 레일면이 두께 방향(Z)으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
분단부(19)의 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분단부(19)의 수는, 보호 안내부(13)의 길이 방향의 길이(예를 들어 1∼100m), 또는 보호 안내부(13)의 단위 길이당의 내륜(15) 및 외륜(16)의 배치 수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단부(19)의 수는 하나여도 되고, 3개 이상(예를 들어 10∼100)이어도 된다.
제1 및 제2 안내면 중 적어도 한쪽을, 보호 안내부의 만곡부에 있어서의 내륜 및 외륜의 이동 경로를 따른 만곡면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만곡부에 있어서 내륜과 외륜 중 적어도 한쪽을 만곡 면을 따라 구름 이동시켜 지지할 수 있으므로, 보호 안내부의 만곡부의 주변에서의 덜걱거림 및 덜걱거림음을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보호 안내부(13)는, 합성 수지제여도 되고 금속제여도 된다. 또한, 보호 안내부(13)는, 합성 수지제의 부재(부품)와 금속제의 부재가 혼재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보호 안내부(13)의 구성 부재 중 일부의 부재가 세라믹제여도 된다.
11: 긴 물체의 안내 장치
12: 링크
13: 보호 안내부
13A: 이동 단부
13B: 고정 단부
14: 레일 부재로서의 가이드 레일
14A: 가이드 레일면
14B: 공통면
15: 내륜
16: 외륜
17: 제1 레일면
18: 제2 레일면
17A, 18A: 연장 돌출면
19: 분단부
19A: 제1 레일면 분단부
19B: 제2 레일면 분단부
20: 규제 가이드
20A: 규제면
21: 제1 링크
22: 제2 링크
23: 노멀 링크
141: 경사 형상면
142: 제3 안내면
171: 제1 안내면
181: 제2 안내면
X: 길이 방향
Y: 폭 방향
Z: 두께 방향
TK: 긴 물체
SK: 수용 공간
WK: 만곡부
ML: 이동측 직선상부
FL: 고정측 직선상부

Claims (6)

  1. 회동 가능한 상태로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링크를 구비하고, 긴 물체를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을 갖고, 고정 단부를 구성하는 일단부와, 이동 단부를 구성하는 타단부를 갖는 긴 형상의 보호 안내부와,
    상기 보호 안내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의 양측에 마련된 복수의 내륜과,
    상기 보호 안내부의 상기 폭 방향의 양측에 마련된 복수의 외륜이며, 상기 보호 안내부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내륜과는 상이한 위치이며 상기 내륜보다 상기 보호 안내부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 복수의 외륜과,
    상기 내륜이 구름 이동 가능한 제1 레일면과,
    상기 외륜이 구름 이동 가능한 제2 레일면과,
    상기 제1 레일면 및 상기 제2 레일면이 분단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분단부이며, 상기 이동 단부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 단부와 상기 고정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만곡부를 따라 상기 내륜 및 상기 외륜이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단부와,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 중 적어도 한쪽의 상기 제1 레일면 및 상기 제2 레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규제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링크의 튀어오름에 의한 팽창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기 규제 가이드는, 적어도 상기 만곡부가 이동하는 범위에 걸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륜 및 상기 외륜은, 상기 보호 안내부의 내주측으로 편의(偏倚)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단부는,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만곡부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의 적어도 일부에서 안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안내면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면은, 상기 내륜을 안내하는 제1 안내면과, 상기 외륜을 안내하는 제2 안내면을 갖고,
    상기 제2 안내면은,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면보다 상기 만곡부의 돌출측으로 어긋나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이 상기 제1 레일면 및 상기 제2 레일면을 갖는 한 쌍의 레일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 가이드는 상기 한 쌍의 레일 부재에 대응하여 마련된 2개의 규제 가이드 중 하나이고,
    각 규제 가이드는, 대응하는 레일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면과 상기 제2 레일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플랜지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면 및 상기 제2 레일면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만곡부의 돌출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단부일수록 중력 방향 하측에 위치하도록 연장되는 경사 형상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
KR1020197033776A 2017-04-24 2018-04-20 긴 물체의 안내 장치 KR1023112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85462 2017-04-24
JP2017085462A JP6386619B1 (ja) 2017-04-24 2017-04-24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PCT/JP2018/016292 WO2018198966A1 (ja) 2017-04-24 2018-04-20 長尺物の案内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889A KR20190137889A (ko) 2019-12-11
KR102311237B1 true KR102311237B1 (ko) 2021-10-13

Family

ID=63444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776A KR102311237B1 (ko) 2017-04-24 2018-04-20 긴 물체의 안내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130942A1 (ko)
JP (1) JP6386619B1 (ko)
KR (1) KR102311237B1 (ko)
CN (1) CN110537036B (ko)
DE (1) DE112018002141T5 (ko)
TW (1) TWI702353B (ko)
WO (1) WO20181989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9100878U1 (de) * 2019-02-15 2020-03-17 Igus Gmbh Mehrteiliges Kettenglied einer Energieführungskette sowie Seitenlasche und Quersteg hierfür
DE202019107116U1 (de) * 2019-12-19 2021-03-22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und Speichereinheit für eine Energieführungskette
DE202019107117U1 (de) * 2019-12-19 2021-04-19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und Speichereinheit für eine Energieführungskette
DE202019107118U1 (de) * 2019-12-19 2021-03-22 Igus Gmbh Leitungsführung und Speichereinheit für eine Leitungsführung
JP6897817B1 (ja) * 2020-02-28 2021-07-0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CN115836170A (zh) * 2020-05-27 2023-03-21 易格斯有限公司 具有柔性铰接连接器的能量引导链以及侧板和用于其的铰接连接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90388A (ja) * 2011-10-14 2013-05-13 Sumitomo Wiring Syst Ltd ハーネスガイド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57376A (en) * 1960-10-29 1964-11-17 Kabelschlepp Gmbh Arrangement for feeding consumer means through conveying means to parts movable on tracks
NL297164A (ko) * 1962-09-04
US3590854A (en) * 1968-10-09 1971-07-06 Gemco Electric Co Rolling conductor support
US4462565A (en) * 1983-01-17 1984-07-31 Lockheed Corporation Erectable and retractable support for rolling conductor track
DE9403731U1 (de) * 1994-03-05 1994-06-01 Braun Ernst Führungsschiene für Gewinnungsmaschine, insbesondere für auf Kettenkratzförderern angeordnete Schrämmaschinen
JP3157491B2 (ja) * 1997-11-28 2001-04-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可撓体の案内支持チェーン
US6107565A (en) * 1998-11-17 2000-08-22 A&A Manufacturing Co., Inc. Covered energy transmission line carrier
DE10033856C2 (de) * 2000-04-18 2003-10-16 Flexatec Gmbh Energieführungskette
DE10333834A1 (de) * 2003-07-24 2005-08-11 Igus Spritzgussteile für die Industrie GmbH Schiebetürensystem
CN2672370Y (zh) * 2003-12-25 2005-01-19 柳州五菱汽车有限责任公司柳州机械厂 内燃机正时链传动限位板
JP4927367B2 (ja) * 2005-09-21 2012-05-0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の踏段ローラ
JP4420934B2 (ja) * 2007-03-29 2010-02-2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DE102007038679B4 (de) * 2007-08-15 2010-07-29 Flexatec Gmbh Energieführungskettenanordnung
JP4757288B2 (ja) * 2008-08-28 2011-08-2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保護案内装置用ガイドレール
DE202010006220U1 (de) * 2010-04-29 2011-09-07 Igus Gmbh Endlos umlaufendes Gliederband mit Energieversorgung
KR101264670B1 (ko) 2011-04-01 2013-05-15 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풍선을 이용한 삼킴 훈련용 비위관 및 이를 이용한 삼킴훈련방법
DE102012111542A1 (de) * 2012-11-28 2014-05-28 Tsubaki Kabelschlepp GmbH Energieführungssystem für lange Verfahrwege mit Führungskanal
CN203143044U (zh) * 2013-01-25 2013-08-21 宁波乐伟机械有限公司 台阶导轨理瓶机构
DE102013102483B4 (de) 2013-03-12 2022-08-04 Tsubaki Kabelschlepp GmbH Energieführungsvorrichtung mit einer Magnetkupplung
CN103953687B (zh) * 2014-05-15 2015-09-16 中国工程物理研究院总体工程研究所 超重力场拖链支撑装置
JP2016132060A (ja) * 2015-01-19 2016-07-25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ケーブル保護部材の支持装置
CN205500066U (zh) * 2016-02-03 2016-08-24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防止大型板式链条出轨的导向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90388A (ja) * 2011-10-14 2013-05-13 Sumitomo Wiring Syst Ltd ハーネスガイ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84974A (ja) 2018-11-22
CN110537036B (zh) 2021-09-07
JP6386619B1 (ja) 2018-09-05
TW201843402A (zh) 2018-12-16
CN110537036A (zh) 2019-12-03
KR20190137889A (ko) 2019-12-11
WO2018198966A1 (ja) 2018-11-01
US20200130942A1 (en) 2020-04-30
TWI702353B (zh) 2020-08-21
DE112018002141T5 (de) 2020-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1237B1 (ko) 긴 물체의 안내 장치
WO2017086134A1 (ja) 長尺物の案内装置及びガイドレール
US8348048B2 (en) Deflection apparatus for a conveying system
JP6171193B2 (ja) エネルギーガイドチェーン
KR20140057266A (ko) 라인 안내 시스템
CN101082361A (zh) 线缆类保护及引导装置用滑动转向架
KR100939434B1 (ko) 소음 감소 홈 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 벨트 조립체
RU2011103718A (ru) Роликовый транспортер с направляющим профилем
CN105658561A (zh) 升降机装置
KR102086982B1 (ko) 복열 구름 이동체 수용 밴드 및 운동 안내 장치
US20180195588A1 (en) Roller Chain Outer Plate Links: Arrangements, Systems of Use, and Methods
TWI709696B (zh) 運動引導裝置及搬送裝置
KR102497064B1 (ko) 긴 물체의 안내 장치 및 롤러 어태치먼트
TWI733050B (zh) 垂直向隔振系統
CN103282301B (zh) 电梯的门装置
EP3475140B1 (en) Gangway provided with a movable cable holder
US9428339B2 (en) Conveyor belt system
EP2878227A1 (en) Sliding device for drawer
JP6779583B2 (ja) 弾性クローラ
US20170232870A1 (en) Rail pair for a vehicle seat
EP1728588A1 (en) Covering and protective device for machines and systems
JP2017022823A (ja) 可動部用ケーブル
KR101824772B1 (ko) 사일런트 체인
US20150377291A1 (en) Cage part for a rolling bearing cage
KR20190127981A (ko) 볼 수용 밴드 및 운동 안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