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850B1 - 전기 접속 박스 - Google Patents

전기 접속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850B1
KR102307850B1 KR1020197032494A KR20197032494A KR102307850B1 KR 102307850 B1 KR102307850 B1 KR 102307850B1 KR 1020197032494 A KR1020197032494 A KR 1020197032494A KR 20197032494 A KR20197032494 A KR 20197032494A KR 102307850 B1 KR102307850 B1 KR 102307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component
frame
circuit board
coil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2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1570A (ko
Inventor
도시유키 츠치다
시게키 야마네
시아오구앙 젱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토네트웍스 테크놀로지스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토네트웍스 테크놀로지스,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토네트웍스 테크놀로지스
Publication of KR20190131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8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2Resilient or clamping means for holding component to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Mounting Components In General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전자 부품이 접속된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 프레임을 구비한 전기 접속 박스로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전자 부품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서브 프레임을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서브 프레임에, 상기 전자 부품을 그 서브 프레임 내에 유지하는 유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전기 접속 박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은 전기 접속 박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차재 전장품(車載電裝品)의 통전이나 단전을 실행하는 장치로서, 여러가지의 전자 부품이 실장된 회로 기판을 케이스에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전기 접속 박스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전기 접속 박스에 있어서 기판 상에 실장되는 전자 부품 중에는, 예컨대 인덕터 등의 비교적 대형의 것이 있지만, 대형의 전자 부품은 그 단자를 납땜에 의해 기판 상의 도전 회로에 접속하는 것만으로는 주행 중의 진동 등에 의해 땜납에 크랙이 들어갈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별도 고정 수단을 마련하여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자 부품의 저면의 주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기판 상에 고정하거나, 나사 조임이나 판스프링 등으로 기판 상에 기계적으로 고정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11-17318호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4-296818호
그러나 접착제를 이용하는 구성에서는, 다른 부품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다른 부품을 피하여 넓은 도포 영역을 마련해야 하다. 또한, 나사 조임이나 판스프링 등으로 기계적으로 고정할 때에는, 기판 상에 나사나 판스프링을 고정시키는 영역이 새로 필요해지고, 이러한 고정 수단은 회로 기판의 고밀도화, 나아가서는, 전기 접속 박스의 소형화를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커버나 프레임 등의 케이스에 전자 부품의 주위를 둘러싸 유지하는 유지벽을 설치하는 구성이 생각되지만, 전자 부품과 유지벽의 사이에 간극이 있는 경우에는, 차량의 진동에 의해 전자 부품이 유지벽 내에서 덜컹거려, 접속 신뢰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 전자 부품의 덜컹거림을 억제하여, 소형이고 접속 신뢰성이 높은 전기 접속 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은, 전자 부품이 접속된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 프레임을 구비한 전기 접속 박스로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전자 부품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서브 프레임을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서브 프레임에, 상기 전자 부품을 그 서브 프레임 내에 유지하는 유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자 부품은 서브 프레임에 설치된 유지부에 의해 강고하게 유지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에 의한 덜컹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더구나, 유지부는 프레임에 일체로 설치된 서브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로 기판 상에 전자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설치하는 영역을 새로 설정할 필요가 없고, 회로 기판, 나아가서는 전기 접속 박스를 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접속 박스는, 이하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유지부는, 전자 부품에 설치된 돌기부를 감입(嵌入)하는 홈부라도 좋다.
전자 부품은, 권선이 권취된 권취부를 갖는 코일과, 자성 코어와, 코일 및 자성 코어의 사이에 배치되는 보빈을 구비하고, 돌기부는 코일 및 자성 코어로부터 튀어나온 보빈라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유지부의 구체적 형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유지부는, 전자 부품과 회로 기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전자 부품을 회로 기판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라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자 부품이 예컨대 인덕터와 같은 대형의 무거운 부품인 경우라도, 지지부가 전자 부품의 덜컹거림을 억제하여, 접속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부품은 권선이 원고리형상으로 권취된 권취부를 갖는 코일을 구비하며, 권취부의 축이 회로 기판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고, 지지부는 권취부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을 따르는 곡면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지지부가 보다 확실하게 전자 부품(코일)을 덜컹거리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에 의하면, 전자 부품의 덜컹거림을 억제하고, 소형이고 접속 신뢰성이 높은 전기 접속 박스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의 커버를 생략한 전기 접속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커버를 생략한 전기 접속 박스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커버를 생략한 전기 접속 박스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인덕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인덕터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보빈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보빈의 저면도이다.
도 9는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2의 커버를 생략한 전기 접속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커버를 생략한 전기 접속 박스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B-B 단면도이다.
도 15는 인덕터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실시형태 1>
실시형태 1을 도 1 내지 도 11에 의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전기 접속 박스(10)는, 배터리 등의 전원과, 램프, 모터 등의 차재 장착품의 사이에 배치되어, 전원으로부터 차재 장착품에 공급되는 전력의 통전 및 단전을 실행하는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도 4에 있어서의 상측을 표측 또는 상측으로 하고, 하측을 이면측 또는 하측으로 한다.
전기 접속 박스(10)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11)과, 회로 기판(11)의 이면(도 4에 있어서의 하면)에 배치된 히트 싱크(50)와, 회로 기판(11)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 프레임(60)과, 회로 기판(11)을 히트 싱크(50)와는 반대측(도 1 및 도 4에 있어서의 상방)으로부터 덮는 도시하지 않는 커버를 구비한다.
(회로 기판(11))
회로 기판(11)은, 절연 기판에 프린트 배선 기술에 의해 도시하지 않는 도전 회로가 형성되고, 도전 회로의 소정의 위치에 복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이루어진다. 복수의 전자 부품은 회로 기판(11)의 일방측의 면(표면)에 접속되어 있다.
회로 기판(11)은 대략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소정의 위치에는, 복수의 접속용 관통 구멍(12)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접속용 관통 구멍(12)은, 전자 부품을 도전 회로와 접속하기 위한 것이고, 전자 부품은 접속용 관통 구멍(12) 내의 도전 회로에 예컨대 납땜 등 공지의 수법에 의해 접속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전자 부품 중 비교적 대형의 인덕터(20)만을 도시하고, 다른 전자 부품은 생략한다.
(인덕터(20))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인덕터(20)는 결합 인덕터 구조를 갖고 있고, 권선을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한쌍의 코일(21)과, 자성 코어(30)와, 보빈(40)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코일(21))
코일(21)은 평각선을 엣지 와이즈형상 그리고 원고리형상으로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엣지 와이즈형상의 코일(21)이다. 코일(21)은, 예컨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취되어 전체가 원통형상을 이루는 권취부(22)와, 권취부(22)의 축방향(L)에 있어서의 양단부로부터 동일 방향(하방)을 향하여, 그리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도전 회로와 접속되는 한쌍의 리드 단자(23)로 이루어진다.
(자성 코어(30))
자성 코어(30)는,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형 동대(同大)의 한쌍의 제1 코어(30A) 및 제2 코어(30B)를 조합시켜 이루어진다. 제1코어(30A) 및 제2 코어(30B)는, 각각 대략 타원형의 두께판형상의 코어측 저벽부(31)를 갖고 있고, 코어측 저벽부(31)끼리가 대향 상태로 되도록 배치된다.
하나의 코어측 저벽부(31) 중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는, 상대측 코어를 향하여 연장되는 한쌍의 원주형상의 측레그(側脚)(32)가 설치되어 있다(도 4 참조). 또한, 코어측 저벽부(31)의 중앙부에는, 상대측 코어를 향함과 함께 짧은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판형상의 중앙 레그(33)가 설치되어 있다. 중앙 레그(33)는, 측레그(32)의 주위에 코일(21)의 권취부(22)가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권취부(22)의 측면을 따르도록 단부측이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앙 레그(33)의 단부 중 리드 단자(23)가 배치되는 영역은, 리드 단자(23)를 릴리스(release)하도록 잘라 내어진 릴리스부(34)로 되어 있다(도 5 참조).
측레그(32) 및 중앙 레그(33)의 코어측 저벽부(31)로부터의 상승 치수(높이 치수)는, 측레그(32) 쪽이 약간 길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한쌍의 제1 코어(30A) 및 제2 코어(30B)가 조합된 상태에 있어서는, 서로 대향하는 중앙 레그(33)의 단면의 사이는 서로 분리되어 갭이 형성되어 있다.
(보빈(40))
코일(21)과 자성 코어(30)의 사이에는, 보빈(40)이 배치되어 있다. 보빈(40)은 절연 수지제로서,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21)의 권취부(22)의 축방향(L)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동형 동대의 한쌍의 제1 보빈체(40A) 및 제2 보빈체(40B)로 이루어진다.
제1 보빈체(40A) 및 제2 보빈체(40B)는, 판형상의 보빈측 저벽부(41)를 갖고 있다. 보빈측 저벽부(41)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부가 모따기된 약간 가로로 긴 대략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고, 4개의 각부 중 길이 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한쌍의 각부(도 7의 하측의 각부)는, 내측을 향하여 대략 직사각형으로 잘라 내어진 노치부(42)로 되어 있다.
또한, 이들 한쌍의 노치부(42) 중 일방측(도 7의 우측)의 노치부(42)의, 길이 방향(도 7의 좌우 방향)의 측가장자리부측의 각부에는, 보빈측 저벽부(41)의 판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는 규제 돌기편(43)이 설치되어 있다(도 8 참조). 규제 돌기편(43)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21)의 권취부(22)의 높이 치수의 약 절반의 높이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또 규제 돌기편(43)은, 노치부(42)측의 면이 선단측을 향하여 가늘어지도록 비스듬하게 잘라 내어진 사면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보빈측 저벽부(41)의 중앙부에는, 자성 코어(30)의 원주형상의 측레그(32)을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부(44)가 마련되어 있다. 구멍부(44)의 구멍가장자리부로부터는, 규제 돌기편(43)과 동일 방향으로 상승하는 원통형상의 격벽(45)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격벽(45) 및 규제 돌기편(43)의 보빈측 저벽부(41)로부터의 돌출 치수는, 동일 치수로 되어 있다.
격벽(45) 중, 노치부(42)의 나열 방향(도 7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는, 걸어멈춤부(46)가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7의 우측의 단부에는, 가늘고 긴 각봉형상의 걸어멈춤 돌기부(47)가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고(도 8 참조), 도 7의 좌측의 단부에는,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보빈체(40B)의 걸어멈춤 돌기부(47)를 감입하기 위한 걸어멈춤 오목부(48)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걸어멈춤 돌기부(47)와 걸어멈춤 오목부(48)가 감합됨으로써, 한쌍의 보빈체(40A, 40B)가 조립된다.
또한, 보빈측 저벽부(41) 중, 격벽(45)이 상승하고 있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도 5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멍부(44)의 상하 방향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한쌍의 지지 돌기부(49)가 설치되어 있다. 한쌍의 지지 돌기부(49)는, 전술한 자성 코어(30)의 측면에 맞닿아 자성 코어(30)를 위치 결정 및 회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전술한 코일(21)과, 자성 코어(30)와, 보빈(40)을 조립한 상태의 인덕터(20)를 표시하고 있다. 인덕터(20)는, 한쌍의 코일(21)을 권취부(22)의 축선(L)이 평행 그리고 수평이 되도록 가로로 줄지어 나열함과 함께, 각 코일(21)을 각각 보빈(40)(제1 보빈체(40A) 및 제2 보빈체(40B))으로 협지하고, 다시, 외측으로부터 자성 코어(30)(제1 코어(30A) 및 제2 코어(30B))로 일괄로 협지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한쌍의 보빈체(40A, 40B)는, 격벽(45)에 설치된 걸어멈춤부(46)(걸어멈춤 돌기부(47) 및 걸어멈춤 오목부(48))에 의해 서로 조립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한쌍의 보빈측 저벽부(41)의 사이에 코일(21)의 권취부(22)가 협지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코어(30A, 30B)는, 지지 돌기부(49)에 의해 보빈(40)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면서, 측레그(32)가 맞대여져 접착되어 있다.
이 조립 상태에 있어서, 한쌍의 코일(21)의 각 권취부(22)는, 제1 코어(30A) 및 제2 코어(30B)의 측레그(32)의 주위에 보빈(40)의 격벽(45)을 개재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코일(21)의 2쌍(4개)의 리드 단자(23)는, 자성 코어(30)의 릴리스부(34)에 의해 자성 코어(30)와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동일 방향(도 5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중앙 레그(33)는, 가로로 줄지어 나열한 한쌍의 코일(21)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중앙 레그(33)의 단면은 떨어져 배치되어 있고, 양자 간에 갭이 형성되어 있다.
보빈(40)은, 지지 돌기부(49)에 의해 한쌍의 제1 코어(30A) 및 제2 코어(30B)에 대하여 회전 방지되어 있다. 또한 코일(21)은, 권취부(22)가 규제 돌기편(43)에 의해 하방측으로부터 지지됨과 함께, 리드 단자(23)가 규제 돌기편(43)과 간섭함으로써, 보빈(40) 나아가서는 자성 코어(30)에 대하여 회전 방지되어 있다.
또한, 조립 상태에 있어서 보빈(40)의 일부는, 코일(21) 및 자성 코어(30)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해 있다. 상세하게는, 보빈(40)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덕터(20)의 길이 방향(도 6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보빈측 저벽부(41)의 양단부가, 코일(21) 및 자성 코어(30)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한 돌출부(41A)로 되어 있다.
(히트 싱크(50))
회로 기판(11)의 하면측에는, 히트 싱크(50)가 배치되어 있다. 히트 싱크(50)는, 예컨대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방열 부재이며, 회로 기판(11)에서 발생한 열을 방열하는 기능을 갖는다.
히트 싱크(50)의 상면은 거의 평탄한 판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소정의 위치에, 절연 시트(55)를 개재하여 회로 기판(11)이 배치되어 있다. 절연 시트(55)는, 회로 기판(11) 및 히트 싱크(50)에 대하여 고정 가능한 접착성을 갖고 있다.
히트 싱크(50)의 상면 중 전술한 인덕터(20)가 배치되는 영역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오묵하여 코일(21)의 리드 단자(23)를 수용할 수 있는 릴리스 오목부(51)가 마련되어 있다. 또 절연 시트(55) 중 릴리스 오목부(51)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릴리스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히트 싱크(50)의 상면 중,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가장자리의 양단부 부근에는, 외측을 향하여 튀어나오는 튀어나옴부(52)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튀어나옴부(52)에는, 도시하지 않는 커버와 볼트 체결하기 위한 고정 구멍(52A)이 관통한다.
또한, 히트 싱크(50)의 하면에는,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다수의 판형상의 핀(53)이 설치되어 있다(도 1 참조).
(프레임(60))
프레임(60)은 합성 수지제로서,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의 외부 프레임(61)을 갖고 있다.
외부 프레임(61) 중 짧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외측 제1 측벽(61A)의 일방측에는, 도시하지 않는 외부 단자와 접속하기 위한 판형상의 단자를 위치 결정하면서 수용하는 단자대(62)가 내측으로 튀어나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60) 중 인덕터(20)가 배치되는 위치에는, 서브 프레임(63)이 외부 프레임(61)과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개의 인덕터(20)가 가로로 줄지어 설치되도록 되어 있고, 서브 프레임(63)은, 이러한 인덕터(20)의 주위를 둘러싸고 내측에 거의 꼭 맞게 감입되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통형상을 이루고 있다.
서브 프레임(63) 중, 짧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내측 제1 측벽(63A) 중의 일방측(도 9의 우측)은, 외부 프레임(61)과 일체로 되어 있다. 또한, 타방측(도 9의 좌측)의 내측 제1 측벽(63A)에는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한쌍의 가교부(64)가 설치되어 있고, 단자대(62)와 일체로 되어 있다.
서브 프레임(63)의 내측에는, 내부의 영역을 2분할하는 구획 벽(65)이 설치되어 있고, 구획 벽(65) 및 서브 프레임(63)에 의해 둘러싸인 한쌍의 영역이 2개의 인덕터(20)를 감입하는 제1 수용부(66A) 및 제2 수용부(66B)로 되어 있다.
서브 프레임(63)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 프레임(63)의 하단에 연속하는 저벽(67)을 갖고 있다. 저벽(67) 중,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측가장자리 근처(도 10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가장자리 근처)에는, 인덕터(20)가 각 수용부(66A, 66B) 내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자성 코어(30)의 저면을 따르는 형상의 코어 받침부(73)(지지부의 일례)가, 저벽(67)으로부터 상승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저벽(67) 중 인덕터(20)가 각 수용부(66A, 66B) 내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리드 단자(23)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리드 단자(23)를 관통시키기 위한 단자 관통 구멍(72)이 마련되어 있다. 단자 관통 구멍(72)은, 상단측의 구멍가장자리부가 외측으로 직경 확장하는 테이퍼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수용부(66A) 및 제2 수용부(66B)의 각 저벽(67)의 4개의 각부에는, 내측을 향하여 튀어나옴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튀어나옴부(68)가 설치되어 있다(도 10 참조). 이러한 튀어나옴부(68)는, 인덕터(20)가 각 수용부(66A, 66B) 내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자성 코어(30)의 측면에 맞닿아, 인덕터(20)의 각 수용부(66A, 66B) 내에서의 덜컹거림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도 2참조).
한편, 서브 프레임(63)의 높이 치수는 인덕터(20)의 상면까지 수용 가능한 치수로 되어 있고, 외부 프레임(61)의 높이 치수보다 높아져 외부 프레임(61)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해 있다(도 3 참조).
외부 프레임(61)의 4개의 각부의 하면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측으로 돌출하는 레그부(6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단자대(62)가 설치된 외측 제1 측벽(61A)의 한쌍의 레그부(69)의 이웃에는, 히트 싱크(50)측(하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위치 결정 볼록부(7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 결정 볼록부(70)가 히트 싱크(50)의 상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위치 결정 오목부에 감입됨으로써, 프레임(60)의 히트 싱크(50)에 대한 위치 결정이 행해진다.
서브 프레임(63)에는, 인덕터(20)를 회로 기판(11)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로 유지하는 유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브 프레임(63)의 내측 제1 측벽(63A) 및 구획 벽(65)에는, 보빈(40)의 돌출부(41A)를 감입하기 위한 한쌍의 유지 홈(71)이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다. 유지 홈(71)은, 서브 프레임(63) 및 구획 벽(65)의 상단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됨과 함께, 각 수용부(66A, 66B)의 내측을 향하여 개방하는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9 참조).
(작용 효과)
본 실시형태의 전기 접속 박스(10)는 이상의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다음으로, 작용 효과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전기 접속 박스(10)는, 프레임(60)에 인덕터(20)의 주위를 둘러싸는 서브 프레임(63)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서브 프레임(63)에 설치된 유지 홈(71) 내에, 인덕터(20)의 보빈(40) 중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41A)가 감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인덕터(20)를 수용부(66A, 66B) 내에 수용할 때에, 돌출부(41A)가 유지 홈(71) 내에 진입함으로써 인덕터(20)가 정규 자세가 되도록 가이드된다. 또한, 인덕터(20)는, 세로 설치로 된 각 코일(21)의 한쌍의 리드 단자(23)가 저벽(67)에 설치된 단자 관통 구멍(72) 내에 관통됨과 함께, 자성 코어(30)가 코어 받침부(73)에 지지된 상태로 되고, 다시, 돌출부(41A)가 유지 홈(71)에 끼워 넣어져 서브 프레임(63) 내에 강고하게 유지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진동에 의해서 인덕터(20)가 회로 기판(11)에 대하여 덜컹거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더구나, 유지부, 즉, 돌출부(41A)를 감입하는 유지 홈(71)은 프레임(60)에 일체로 설치된 서브 프레임(63)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로 기판(11) 상에 인덕터(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설치하는 영역을 새로 설정할 필요가 없다.
즉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소형이고 접속 신뢰성이 높은 전기 접속 박스(10)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실시형태 2를 도 12 내지 도 17에 의해서 설명한다. 또, 이하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1과 상이한 구성에 관해서만 설명하며,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인덕터(200)는, 보빈(40)을 갖고 있지 않은 것이 상기 실시형태 1의 인덕터(20)와는 상이하다(도 15 참조). 기타, 코일(21) 및 자성 코어(30)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 1의 인덕터(20)와 마찬가지이다. 보빈(40)을 갖지 않음으로써, 코일(21)과 자성 코어(30)는 상대적으로 위치 결정되어 있지 않고, 코일(21)은 자성 코어(30)의 측레그(32)의 주위에 유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프레임(600)의 서브 프레임(63)에는, 유지홈(71)이 마련되지 않은 것이 상기 실시형태 1의 프레임(60)과 상이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프레임(600)은, 서브 프레임(63)의 하단에 연속하는 저벽(67)의 상면에, 코일 받침부(74)(유지부, 지지부의 일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상기 실시형태 1과 상이하고 있다. 코일 받침부(74)는, 코일(21)의 권취부(22)의 축방향(L)으로 연장되는 측면을 따르도록 만곡된 곡면형상으로 되어 있다(도 14 참조). 또한, 코일 받침부(74)의 도 17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폭은, 권취부(22)를 꼭 맞게 감입하는 치수(권취부(22)의 높이 치수와 거의 동등)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코일 받침부(74)의 소정의 위치에는, 리드 단자(23)를 관통시키기 위한 단자 관통 구멍(72)이 마련되어 있다. 단자 관통 구멍(72)에 의해, 코일(21)의 방향이 정규 방향으로 설정된다.
인덕터(200)는, 각 수용부(66A, 66B) 내에 감입된 상태에 있어서는, 자성 코어(30)가 코어 받침부(73)에 의해 회로 기판(11)측으로부터 지지됨과 함께, 코일(21)의 권취부(22)가 회로 기판(11)측으로부터 코일 받침부(74)에 의해 지지된다. 이것에 의해, 코일(21)의 자성 코어(30)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결정이 이루어짐과 함께, 인덕터(200)의 수용부(66A, 66B) 내에서의 덜컹거림이 억제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회로 기판(11)에 인덕터(200)와 같은 대형의 무거운 전자 부품이 접속되는 경우라도, 코일 받침부(74) 및 코어 받침부(73)가 코일(21)및 코어의 덜컹거림을 억제하기 때문에, 접속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코일 받침부(74)는, 권취부(22)의 축방향(L)으로 연장되는 측면을 따르는 곡면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확실히 코일(21)을 덜컹거리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보빈을 생략하더라도 설치 상태에 있어서 코일(21)과 자성 코어(30)는 위치 결정되므로, 부품 개수가 감소함과 함께 작업성이 향상된다.
<다른 실시형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은 상기 기술 및 도면에 의해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다음과 같은 실시형태도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리드형의 단자를 갖는 인덕터(20, 200)를 나타냈지만, 표면 실장형의 단자를 갖는 것을 사용해도 좋다. 그 경우에는, 서브 프레임(63)의 저벽(67)을 생략할 수 있다.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서브 프레임(63)을 인덕터(20, 200)의 주위 전체를 둘러싸는 둘레벽형상으로 했지만, 일부가 빠져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3)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지부를 홈부(유지 홈(71))나 지지부(코어 받침부(73) 및 코일 받침부(74))로 한 예를 나타냈지만, 유지부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유지하는 전자 부품의 형태에 맞추어, 예컨대 서브 프레임(63)의 측벽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여 전자 부품의 일부를 유지하는 형태 등,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4)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자 부품으로서 인덕터(20, 200)를 유지하는 형태를 나타냈지만, 전자 부품은 인덕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0, 100 : 전기 접속 박스, 11 : 회로 기판
20,200 : 인덕터(전자 부품), 21 : 코일
22 : 권취부(본체부), 23 : 리드 단자
30 : 자성 코어, 40 : 보빈
41 : 보빈측 저벽부, 41A : 돌출부(돌기부)
50 : 히트 싱크, 60, 600 : 프레임
61 : 외부 프레임, 63 : 서브 프레임
65 : 구획 벽, 66A : 제1 수용부
66B : 제2 수용부, 67 : 저벽(유지부, 지지부)
71 : 유지구(유지부, 홈부), 73 : 코어 받침부(유지부, 지지부)
74 : 코일 받침부(유지부, 지지부), L : 축방향

Claims (5)

  1. 전자 부품이 접속된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전자 부품의 리드 단자가 상기 회로 기판의 도전 회로에 납땜에 의해 접속된 전기 접속 박스에 있어서,
    상기 전자 부품은, 권선이 권취된 권취부를 갖는 코일과, 자성 코어와, 상기 코일 및 상기 자성 코어의 사이에 배치되는 보빈을 구비하고,
    상기 보빈의 단부는, 상기 코일 및 상기 자성 코어로부터 상기 코일의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로 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전자 부품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서브 프레임을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서브 프레임에, 상기 돌기부를 감입(嵌入)하여 상기 전자 부품을 그 서브 프레임 내에 유지하는 홈부가 설치되어 있는, 전기 접속 박스.
  2. 전자 부품이 접속된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전자 부품의 리드 단자가 상기 회로 기판의 도전 회로에 납땜에 의해 접속된 전기 접속 박스에 있어서,
    상기 전자 부품은 코일 및 자성 코어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전자 부품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서브 프레임을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서브 프레임에, 상기 전자 부품을 그 서브 프레임 내에 유지하는 유지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서브 프레임의 저벽의 4개의 각부(角部)에, 내측을 향하여 튀어나옴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자 부품이 상기 서브 프레임 내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자성 코어의 측면에 맞닿는 튀어나옴부가 설치되어 있는, 전기 접속 박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전자 부품과 상기 회로 기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 부품을 상기 회로 기판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인, 전기 접속 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권선이 원형상으로 권취된 권취부를 가지고, 상기 권취부의 축은 상기 회로 기판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권취부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을 따르는 곡면형상으로 되어 있는, 전기 접속 박스.
  5. 삭제
KR1020197032494A 2017-05-18 2018-05-09 전기 접속 박스 KR1023078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98980A JP2018196261A (ja) 2017-05-18 2017-05-18 電気接続箱
JPJP-P-2017-098980 2017-05-18
PCT/JP2018/017884 WO2018212032A1 (ja) 2017-05-18 2018-05-09 電気接続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570A KR20190131570A (ko) 2019-11-26
KR102307850B1 true KR102307850B1 (ko) 2021-10-01

Family

ID=64274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2494A KR102307850B1 (ko) 2017-05-18 2018-05-09 전기 접속 박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81869B2 (ko)
JP (1) JP2018196261A (ko)
KR (1) KR102307850B1 (ko)
CN (1) CN110637402A (ko)
DE (1) DE112018002513T5 (ko)
WO (1) WO20182120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04212B2 (ja) * 2018-02-13 2022-01-21 住友電装株式会社 回路構成体及び電気接続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0524A (ja) * 2001-04-27 2002-11-15 Yazaki Corp 電気接続箱
KR100631125B1 (ko) * 2005-06-21 2006-10-02 삼성전기주식회사 인버터 트랜스포머
JP2007173632A (ja) * 2005-12-22 2007-07-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パルストランス及び放電灯点灯装置
JP2014207821A (ja) * 2013-04-15 2014-10-30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子部品及び電子部品の組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378A (ja) * 1994-06-30 1996-01-19 Tokin Corp ノイズフィルタ
JPH1117318A (ja) 1997-06-25 1999-01-22 Isuzu Ceramics Kenkyusho:Kk 電子部品の固定方法及び電子部品の固定構造
JP2004296818A (ja) 2003-03-27 2004-10-21 Tdk Corp インダクタンス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有するスイッチング電源
CN201311809Y (zh) * 2008-11-26 2009-09-16 张祖军 一种工字型电感器
JP5825490B2 (ja) * 2012-10-04 2015-12-02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
JP5881015B2 (ja) * 2012-12-28 2016-03-0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リアクトル、コンバータ、および電力変換装置
CN104242179B (zh) 2013-06-17 2018-01-02 健和兴端子股份有限公司 电缆定位元件及使用此电缆定位元件的充电枪
JP5762508B2 (ja) 2013-10-29 2015-08-12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0524A (ja) * 2001-04-27 2002-11-15 Yazaki Corp 電気接続箱
KR100631125B1 (ko) * 2005-06-21 2006-10-02 삼성전기주식회사 인버터 트랜스포머
JP2007173632A (ja) * 2005-12-22 2007-07-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パルストランス及び放電灯点灯装置
JP2014207821A (ja) * 2013-04-15 2014-10-30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子部品及び電子部品の組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94984A1 (en) 2020-06-18
CN110637402A (zh) 2019-12-31
DE112018002513T5 (de) 2020-01-30
KR20190131570A (ko) 2019-11-26
JP2018196261A (ja) 2018-12-06
WO2018212032A1 (ja) 2018-11-22
US11081869B2 (en) 202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05420B (zh) 电连接箱
US10411547B2 (en) Electric mo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212891B2 (ja) リアクトル
JP6760497B2 (ja) 回路構成体
KR20190140023A (ko) 코일 장치, 기판을 갖는 코일 장치 및 전기 접속 상자
JP7133311B2 (ja) リアクトル
KR102307850B1 (ko) 전기 접속 박스
JP5833497B2 (ja) アルミ電線接続端子ユニット
CN111656468B (zh) 电感器、带基板的电感器及电连接箱
JP6509318B1 (ja) トランスの保持構造
CN109727758B (zh) 电抗器
JP7022577B2 (ja) リアクトル
JP2017139356A (ja) 回路構成体および電気接続箱
WO2020153143A1 (ja) 回路構成体及び電気接続箱
JP7004212B2 (ja) 回路構成体及び電気接続箱
JP4070212B2 (ja) 電子機器
JP7107738B2 (ja) 回路基板実装用バスバーのガイド支持構造、実装基板、および、電気接続箱
JP5986676B2 (ja) アルミ電線接続端子ユニット
JP6262100B2 (ja) 電気接続箱
JP2021192459A (ja) リアクトル
JP2019129625A (ja) 電源装置
JP2014027089A (ja) リアクト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