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115B1 - 탈염 장치 및 탈염 대상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탈염 장치 및 탈염 대상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115B1
KR102304115B1 KR1020197002283A KR20197002283A KR102304115B1 KR 102304115 B1 KR102304115 B1 KR 102304115B1 KR 1020197002283 A KR1020197002283 A KR 1020197002283A KR 20197002283 A KR20197002283 A KR 20197002283A KR 102304115 B1 KR102304115 B1 KR 102304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alting
unit
water
demineralized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2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1402A (ko
Inventor
히로시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프리즈 푸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즈 푸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프리즈 푸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21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02F1/469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electrodia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asoning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탈염 장치는 수분을 포함하는 대상물을 상기 수분과 상기 수분 이외의 물질로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분리부가 분리하는 상기 수분으로부터 염분이 제거된 탈염수를 생성하는 탈염부, 상기 분리부가 분리하는 상기 물질과 상기 탈염부가 생성하는 상기 탈염수를 혼합함으로써 탈염 대상물을 생성하는 혼합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탈염 장치 및 탈염 대상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탈염 장치 및 탈염 대상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금(염화나트륨)은 음식물의 조미나 가공에 사용된다. 또한, 소금의 구성 성분인 나트륨과 칼륨은 인체의 필수영양소이다.
그러나, 나트륨을 과잉 섭취하는 것은 고혈압 등의 심장질환 및 혈관계 질환의 건강문제의 요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상술한 질환에 특히 이환(罹患)되기 쉬운 고령자는 나트륨 섭취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나트륨의 섭취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음식물을 섭취하는 대상자는 조미나 가공에 소금 사용량을 감소시킨 음식물을 섭취하도록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음식물에 포함된 소금의 양이 감소되는 경우, 해당 음식물의 맛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음식물의 맛이란, 예를 들어, 감칠맛이나 풍미를 말한다.
종래, 음식물의 감칠맛이나 풍미를 손상시키지 않고 나트륨의 섭취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소금과는 다른 물질로서 소금의 맛을 가지는 물질 (이하, 염 대체 물질이라 함)을 사용하는 방법 (예를 들어, 일본공개특허 공보 제2002-345430호), 및 소금과 공존시키면 소금의 맛이 증강하는 물질 (이하, 소금맛 증강 물질이라고 함)을 사용하는 방법 (예를 들어, 일본공개특허 공보 제2011-62172호)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본공개특허 공보 제2002-345430호 및 일본공개특허 공보 제2011-62172호에 기재된 종래의 기술에서, 종래의 기술이 사용된 음식물을 섭취하는 대상자는 소금 대신에 식품 대체 물질 및 소금맛 증강 물질 등의 첨가물을 섭취하는 것이 요구된다. 여기서 당해 대상자는 첨가물을 섭취하는 것을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대상물로부터 염분이 제거된 탈염물(脫鹽物)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수분을 포함하는 대상물을 상기 수분과 상기 수분 이외의 물질로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분리부가 분리하는 상기 수분으로부터 염분이 제거된 탈염수를 생성하는 탈염부, 및 상기 분리부가 분리하는 상기 물질과 상기 탈염부가 생성하는 상기 탈염수를 혼합함으로써 탈염 대상물을 생성하는 혼합부를 구비한 탈염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의 탈염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염부는 상기 수분으로부터 적어도 나트륨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탈염수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수분을 포함하는 대상물을 상기 수분과 상기 수분 이외의 물질로 분리하는 분리 단계, 상기 분리 단계가 분리하는 상기 수분으로부터 염분이 제거된 탈염수를 생성하는 탈염 단계, 및 상기 분리 단계가 분리하는 상기 물질과 상기 탈염 단계가 생성하는 상기 탈염수를 혼합함으로써 탈염 대상물을 생성하는 혼합 단계를 갖는 탈염 대상물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상물로부터 염분이 제거된 탈염물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탈염 장치의 개요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탈염 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탈염 장치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실시형태]
이하, 그림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탈염 장치(1)의 개요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탈염 장치(1)는 대상물(P)의 염분(DS)을 제거하는 탈염 처리를 실시한다. 대상물(P)이란, 탈염 장치(1)에 의해 염분(DS)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제거된 대상 물질로서, 수분(M)을 포함하는 물질이다. 대상물(P)은 예를 들어, 된장, 간장, 콘소메, 중화스프, 다시, 소스, 멘츠유, 각종 타레, 조미료 및 스프류 등의 음식물이다. 또한, 염분(DS)에는 적어도 나트륨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염분(DS)은 나트륨 및 칼륨을 포함하는 소금이다.
탈염 장치(1)는 대상물(P)에 대해 탈염 처리를 실시하여, 탈염 대상물(DSP)을 생성한다. 탈염 대상물(DSP)이란, 대상물(P)로부터 당해 대상물(P)에 포함된 염분(DS)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제거된 물질이다.
<탈염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탈염 장치(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탈염 장치(1)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탈염 장치(1)는 분리부(110), 탈염부(120), 및 혼합부(130)를 구비한다.
분리부(110)는 대상물(P)을 대상물(P)에 포함된 수분(M)과 당해 수분(M) 이외의 물질(S)로 분리한다. 분리부(110)는 예를 들어, 원심분리기 및 원심탈수기 등이다. 분리부(110)는 대상물(P)을 수분(M)과 물질(S)로 분리하고, 수분(M)을 탈염부(120)에 공급함과 동시에 물질(S)을 혼합부(130)에 공급한다.
탈염부(120)는 분리부(110)로부터 수분(M)이 공급된다. 탈염부(120)는 수분(M)으로부터 당해 수분(M)에 포함된 염분(DS)을 제거한다. 탈염부(120)는 예를 들어, 이온교환막을 구비한 전기투석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탈염부(120)는 수분(M)으로부터 나트륨을 제거한다. 탈염부(120)는 수분(M)으로부터 염분(DS)이 제거된 탈염수(DSW)를 생성한다. 탈염부(120)는 생성한 탈염수(DSW)를 혼합부(130)에 공급한다.
또한, 상술에서는 탈염부(120)가 수분(M)으로부터 나트륨을 제거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탈염부(120)는 수분(M)으로부터 나트륨과 칼륨을 제거할 수 있다.
혼합부(130)에는 분리부(110)로부터 물질(S)이 공급된다. 또한, 혼합부(130)에는 탈염부(120)로부터 탈염수(DSW)가 공급된다. 혼합부(130)는 공급된 물질(S)과 탈염수(DSW)를 혼합한다. 혼합부(130)란, 예를 들어, 교반조이다. 혼합부(130)는 물질(S)과 탈염수(DSW)를 혼합하여 탈염 대상물(DSP)을 생성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탈염 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탈염 장치(1)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분리부(110)는 대상물(P)을 당해 대상물(P)에 포함되는 수분(M)과 수분(M) 이외의 물질(S)로 분리한다 (단계(S110)). 탈염부(120)는 분리부(110)가 분리한 수분(M)으로부터 염분(DS)을 제거하여 탈염수(DSW)를 생성한다 (단계(S120)). 혼합부(130)는 탈염부(120)가 분리한 물질(S)과 혼합부(130)가 생성한 탈염수(DSW)를 혼합하여 탈염 대상물(DSP)을 생성한다 (단계(S130)).
<실시형태의 요약>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탈염 장치(1)는 대상물(P)을 수분(M)과 물질(S)로 분리하고, 당해 수분(M)으로부터 염분(DS)을 제거한 탈염수(DSW)와 물질(S)을 혼합함으로써, 탈염 대상물(DSP)을 생성한다. 이로 인해, 본 실시형태의 탈염 장치(1)는 대상물(P)로부터 염분(DS)이 제거된 탈염 대상물(DSP)을 생성한다.
본 실시형태의 탈염 장치(1)는 대상물(P)에 포함된 수분(M)에서만 염분(DS)을 제거한다. 즉, 본 실시형태의 탈염 장치(1)는 대상물(P)로부터 수분(M)을 제거한 물질(S)에는 탈염 처리 등의 성분 제거 처리를 실시하지 않는다.
여기서, 대상물(P)로부터 염분(DS) 등의 성분을 제거하면 감칠맛이나 풍미까지 손상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탈염 장치(1)는 대상물(P) 중 물질(S)에 성분 제거 처리를 하지 않고, 수분(M)에 대해서 탈염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대상물(P)이 본래 가지는 감칠맛 등의 풍미를 손상시키지 않고 탈염 대상물(DSP)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탈염 장치(1)에 의하면, 첨가물을 사용하지 않고 대상물(P)로부터 염분(DS)이 제거된 탈염 대상물(DSP)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조미료를 생성할 때에 사용하는 염분을 저감하는 경우, 당해 조미료는 염분이 사용됨에 따라 생성되는 감칠맛이나 풍미가 되는 성분 (아미노산 미네랄 요소)도 저감된다. 이 때문에, 당해 조미료는 염분을 저감하지 않은 조미료와 비교하여 감칠맛이나 풍미가 손상되어 조리 과정에 사용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 당해 조미료는 깊이가 없는 평탄한 맛이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염분을 제한하는 치료를 받아 저염의 요리를 섭취하도록 요구되는 피섭취자는 당해 조미료를 사용하여 조리된 요리로서 감칠맛과 풍미를 느끼기 어려운 요리를 섭취하도록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탈염 장치(1)의 대상물(P)은 당해 대상물(P)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통상과 마찬가지로 염분(DS)이 사용된다. 이 때문에, 대상물(P)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당해 대상물(P)은 감칠맛이나 풍미가 저감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탈염 장치(1)는 통상과 마찬가지로 염분(DS)이 사용되고, 감칠맛이나 풍미가 저감되지 않는 대상물(P)에 포함되는 성분 중, 나트륨과 칼륨만을 제거한다. 이로 인해, 본 실시형태의 탈염 장치(1)는 감칠맛이나 풍미가 되는 성분이 손상되지 않는 탈염 대상물(DSP)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피섭취자는 본 실시형태의 탈염 장치(1)에 의해 염분(DS)이 제거된 탈염 대상물(DSP)이 사용된 요리로서, 염분을 제거하지 않고 생성된 조미료와 동등한 감칠맛이나 풍미를 느낄 수 있는 요리를 섭취할 수 있다.
또한, 탈염 장치(1)는 상술한 각 부를 구비한 구성 대신, 혼합부(130)가 생성하는 탈염 대상물(DSP)에 포함되는 수분의 조정을 실시하는 수분 조정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대상물(P)에 포함되는 수분(M)의 양과, 탈염부(120)에 있어서 당해 수분(M)으로부터 염분(DS)을 제거한 탈염수(DSW)의 양에서는 탈염수(DSW) 쪽의 양이 적은 경우가 있다. 따라서, 당해 탈염수(DSW)와 물질(S)을 혼합한 탈염 대상물(DSP)과 대상물(P)에서는 탈염 대상물(DSW) 쪽이 수분이 적은 경우가 있다. 대상물(P)과 탈염 대상물(DSP)에 포함되는 수분의 양이 다를 경우, 당해 대상물(P)과 당해 탈염 대상물(DSP)에서는 질감이나 촉감이 다른 경우가 있다.
수분 조정부는 대상물(P)에 포함되는 수분(M)에 따라 탈염 대상물(DSP)에 포함되는 수분을 조정한다. 구체적으로, 수분 조정부는 대상물(P)에 포함되는 수분(M)의 양에 따라 탈염 대상물(DSP)에 수분을 보충함으로써 당해 탈염 대상물(DSP)에 포함되는 수분을 조정한다. 또한, 수분 조정부는 대상물(P)에 포함되는 수분(M)의 양에 따라 탈염 대상물(DSP)에 포함되는 수분의 양을 조정하는 구성 대신, 대상물(P)에 포함되는 수분(M)의 비율에 따라 탈염 대상물(DSP)에 포함되는 수분을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형태의 탈염 장치(1)는 대상물(P)과 동일한 정도의 수분을 포함하는 탈염 대상물(DSP)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탈염 장치(1)는 대상물(P)과 동일한 정도의 질감이나 촉감을 가지는 탈염 대상물(DSP)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탈염 장치(1)는 상술한 각 부를 구비한 구성 대신, 탈염 대상물(DSP)에 존재하는 세균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탈염 장치(1)에 의해 탈염 대상물(DSP)을 생산하는 생산자는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따라 탈염 대상물(DSP)을 당해 탈염 대상물(DSP)의 소비자에게 제공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부의 검출 결과가 탈염 대상물(DSP)에 존재하는 세균이 소정의 역치보다 많이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당해 탈염 대상물(DSP)에는 식중독균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본 실시형태의 탈염 장치(1)에 의해 탈염 대상물(DSP)을 생산하는 생산자는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따라 탈염 대상물(DSP)을 소비자에게 제공할지 여부를 판단하여 식중독의 확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에서는 탈염 장치(1)에 의해 탈염 대상물(DSP)을 생산하는 생산자가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따라 탈염 대상물(DSP)을 소비자에게 제공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탈염 장치(1)는, 검출부의 결과에 따라 탈염 대상물(DSP)을 소비자에게 제공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구성일 수 있다.
판정부는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따라 탈염 대상물(DSP)을 소비자에게 제공할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형태의 탈염 장치(1)는, 판정부의 판정 결과가 탈염 대상물(DSP)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당해 탈염 대상물(DSP)을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탈염 장치(1)는 상술한 각 부를 구비하는 구성 대신, 탈염 대상물(DSP)을 가열하여 살균 처리를 실시하는 가열 살균 처리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구성일 수 있다.
가열 살균 처리부는 탈염 대상물(DSP)을 가열하여 당해 탈염 대상물(DSP)에 존재하는 세균을 살균하는 가열 살균 처리를 실시한다.
본 실시형태의 탈염 장치(1)에 의하면, 탈염 대상물(DSP)에 존재하는 세균의 번식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탈염 장치(1)는 상술한 각 부를 구비하는 구성 대신, 탈염 대상물(DSP)을 곤포(梱包)하는 곤포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탈염 장치(1)가 구비한 각 부는 일체형 구성일 수도 있고, 각각 개별 구성일 수도 있고, 일부가 개별 구성일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였으나,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 기재된 구성을 조합하여도 좋다.
1 탈염 장치, 110 분리부, 120 탈염부, 130 혼합부, DS 염분, DSP 탈염 대상물, DSW 탈염수, M 수분, P 대상물, S 물질

Claims (3)

  1. 수분을 포함하는 식품(간장을 제외함)을 상기 수분과 상기 수분 이외의 물질로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분리부가 분리하는 상기 수분으로부터 염분이 제거된 탈염수를 생성하는 탈염부,
    상기 분리부가 분리하는 상기 물질과 상기 탈염부가 생성하는 상기 탈염수를 혼합함으로써 탈염 식품을 생성하는 혼합부, 및
    상기 혼합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탈염 식품에 수분을 가함으로써 상기 탈염식품의 질감 또는 촉감을 조정하는 수분 조정부
    를 구비한 탈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염부가,
    상기 수분으로부터 적어도 나트륨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탈염수를 생성하는 것인, 탈염 장치.
  3. 수분을 포함하는 식품(간장을 제외함)을 상기 수분과 상기 수분 이외의 물질로 분리하는 분리 단계,
    상기 분리 단계가 분리하는 상기 수분으로부터 염분이 제거된 탈염수를 생성하는 탈염 단계,
    상기 분리 단계가 분리하는 상기 물질과 상기 탈염 단계가 생성하는 상기 탈염수를 혼합함으로써 탈염 식품을 생성하는 혼합 단계, 및
    상기 혼합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탈염 식품에 수분을 가함으로써 상기 탈염 식품의 질감 또는 촉감을 조정하는 수분 조정 단계
    를 가지는 탈염 식품의 제조 방법.
KR1020197002283A 2016-08-18 2017-01-30 탈염 장치 및 탈염 대상물의 제조 방법 KR1023041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60585A JP6908361B2 (ja) 2016-08-18 2016-08-18 脱塩装置及び脱塩食品の製造方法
JPJP-P-2016-160585 2016-08-18
PCT/JP2017/003198 WO2018034012A1 (ja) 2016-08-18 2017-01-30 脱塩装置及び脱塩対象物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402A KR20190021402A (ko) 2019-03-05
KR102304115B1 true KR102304115B1 (ko) 2021-09-23

Family

ID=61197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2283A KR102304115B1 (ko) 2016-08-18 2017-01-30 탈염 장치 및 탈염 대상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50765B2 (ko)
JP (1) JP6908361B2 (ko)
KR (1) KR102304115B1 (ko)
CN (1) CN109640697A (ko)
WO (1) WO20180340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205416A (ja) * 2018-05-30 2019-12-05 フリーズ食品開発株式会社 脱塩調理品の製造方法及び喫食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71764A (ja) * 1988-04-25 1989-10-30 Ricoh Co Ltd 静電写真用液体現像剤
JP2748351B2 (ja) * 1991-02-27 1998-05-06 キッコーマン株式会社 減塩醤油の製造方法
JPH06685A (ja) 1992-06-22 1994-01-11 Nec Corp 半田材
JPH0690685A (ja) * 1992-09-11 1994-04-05 Tetsudo Kizai Kogyo Kk 脱塩装置
JP3960492B2 (ja) * 1997-09-08 2007-08-15 ヤマモリ株式会社 黒大豆醤油の製造方法
JP3742921B2 (ja) * 2001-04-13 2006-02-08 日立造船株式会社 被覆型最終処分場における浸出水の処理方法
JP2002345430A (ja) 2001-05-28 2002-12-03 Kyowa Hakko Kogyo Co Ltd 食塩味増強方法、食塩味増強剤、食塩味調味料および食塩味増強飲食品
KR100561103B1 (ko) * 2004-06-24 2006-03-15 학교법인 영남학원 전기투석법에 의한 간장의 저염화 방법
JP4825652B2 (ja) * 2006-12-04 2011-11-30 仙台味噌醤油株式会社 味噌加工品の製造方法、味噌加工品、味噌抽出液、味噌抽出脱臭剤および味噌抽出食肉軟化剤
JP2011062172A (ja) 2009-09-18 2011-03-31 Nippon Suisan Kaisha Ltd 食塩及び塩味増強剤を含有する食塩代替調味料
JP5628499B2 (ja) * 2009-09-18 2014-11-19 日本水産株式会社 塩味増強剤を含有する低食塩醤油又は低食塩醤油調味料
KR101102259B1 (ko) * 2009-10-30 2012-01-05 대한민국 주정을 이용한 염장발효식품의 탈염방법
CN101700109B (zh) * 2009-12-07 2012-05-30 浙江大学 一种腌酱菜盐坯自动脱盐装置与方法
CN101756159B (zh) * 2009-12-15 2012-07-04 佛山市海天调味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酱油脱盐方法
KR101594645B1 (ko) * 2013-07-17 2016-02-16 주식회사 포스코 담수화 장치
IL238644A (en) * 2015-05-05 2016-03-31 Technion Res & Dev Foundation Removing water nitrates through nanofiltration and reverse osmosis filt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40697A (zh) 2019-04-16
JP6908361B2 (ja) 2021-07-28
JP2018027049A (ja) 2018-02-22
KR20190021402A (ko) 2019-03-05
US20190183154A1 (en) 2019-06-20
WO2018034012A1 (ja) 2018-02-22
US10750765B2 (en) 202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1914A (en) Flavor enhancing seasoning containing deodorized garlic extract and process
JP6186191B2 (ja) 液体調味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液体調味料の風味改善方法
KR102304115B1 (ko) 탈염 장치 및 탈염 대상물의 제조 방법
Zhao et al. Effect of different cooking water on flavor characteristics of mutton soup
JP6414051B2 (ja) 風味付与組成物、煮込み料理様風味が付与された飲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7150482A1 (ja) 呈味増強剤
Zhao et al. Comparison of the acidic and alkaline treatment on emulsion composite gel properties of the proteins recovered from chicken breast by isoelectric solubilization/precipitation process
JPWO2017199897A1 (ja) 塩味増強効果のある組成物
CN109640701A (zh) 增强浓郁感和奶油感的酵母提取物
JPWO2008007667A1 (ja) チキンエキスおよびチキンエキスの製造方法
JP2006333764A (ja) レトルト食品
JP2008193968A (ja) 畜肉エキス
JP3952821B2 (ja) 減塩食品の製造方法
JP6490341B2 (ja) 酸性調味料
KR101921699B1 (ko) 즉석섭취용 죽순전복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
JP2019205416A (ja) 脱塩調理品の製造方法及び喫食方法
JP7264871B2 (ja) ひき肉含有ソースの製造方法
JP2009232802A (ja) 豆乳様の鍋物調味液
JP2008136435A (ja) 味噌加工品の製造方法、味噌加工品、味噌抽出液、味噌抽出脱臭剤および味噌抽出食肉軟化剤
JPH09173007A (ja) 呈味性を改良したエキス系調味料及びその製造方法
EP0180672B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flavor enhancing seasonings
JP6713724B2 (ja) エキスの抽出方法
Ismail et al. Effect of lime and tamarind pre-treatment on the enzymatically produced protein hydrolysate from silver catfish (Pangasius Sutchi) flesh
JP2008193967A (ja) 畜肉エキスの製造方法
JP2006304744A (ja) 魚介類の加工食品の臭いなど除去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