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2913B1 - 코어 케이스 유닛, 코일 부품 및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코어 케이스 유닛, 코일 부품 및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2913B1
KR102302913B1 KR1020167029720A KR20167029720A KR102302913B1 KR 102302913 B1 KR102302913 B1 KR 102302913B1 KR 1020167029720 A KR1020167029720 A KR 1020167029720A KR 20167029720 A KR20167029720 A KR 20167029720A KR 102302913 B1 KR102302913 B1 KR 102302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ortion
coil
conducting wire
winding
inne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9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7264A (ko
Inventor
히로히코 미키
타카유키 모리카와
마사토시 아키타
마사히로 모리타
Original Assignee
히다찌긴조꾸가부시끼가이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긴조꾸가부시끼가이사 filed Critical 히다찌긴조꾸가부시끼가이사
Publication of KR20170007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6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substantially closed in itself, e.g. toro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01F41/08Winding conductors onto closed formers or cores, e.g. threading conductors through toroidal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10Connecting leads to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Abstract

코어 케이스 유닛(100)은, 자심(4)을 수용하기 위한 환상의 케이스(1)와, 도선을 권회하기 위한 보빈(2)을 구비하고, 보빈(2)은 도선을 권회하기 위한 원통부 (5)와, 원통부의 양단측에 배치된 내측 플랜지부(6)와, 내측 플랜지부의 외측에 각각 도선 끝을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개재해서 배치된 외측 플랜지부(7)와, 외측 플랜지부 중 적어도 한쪽의 외측에 회동력을 받기 위한 기어부(8)를 갖고, 원통부에 있어서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외측 플랜지부(7)의 외경은 기어부의 이끝원에 의해 규정되는 외경보다 크고, 내측 플랜지부(6)와 외측 플랜지부(7)에는 각각 도선 끝을 통과시키기 위한 노치부(15, 16)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코어 케이스 유닛, 코일 부품 및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CORE CASE UNIT, COIL COMPONENT, AND METHOD FOR PRODUCING COIL COMPONENT}
본 발명은 트랜스 등의 코일 부품, 그 코일 부품에 사용되는 코어 케이스 유닛 및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출력이 1kW를 초과하는 스위칭 전원 및 절연식 인버터 등의 전원장치는, 효율의 관점으로부터 대략 10kHz∼80kHz에서 구동된다. 이러한 조건에서 구동되는 스위칭 전원 등에 사용되는 트랜스의 자심 재료로서는 Mn-Zn 페라이트가 대표적이다. 소형화의 관점으로부터, 포화 자속밀도가 높은 비정질 재료, 나노 결정 재료 등의 연자성 합금 재료도 사용된다. 트랜스의 구성으로서는 UU 형상, EE 형상으로 성형한 자심을, 미리 보빈에 도선을 권회해서 형성한 코일 폼 내에서 맞대서 口의 글자 모양, 레이스트랙 형상, 日의 글자 모양의 자로를 형성하는 구성이 일반적이다.
상기 구조에 있어서는, 맞댐면에서 약간이기는 하지만 갭이 생긴다. 특히, 비저항이 낮은 연자성 합금 박대로 형성된 컷 코어를 사용할 경우, 이러한 갭이 생김으로써 누설자속에 의한 손실이 증가한다. 그 때문에 연자성 합금 박대를 컷 코어의 형태로 사용할 경우, 동작 자속밀도를 충분하게 높게 할 수 없어 연자성 합금 재료가 가지는 특성을 충분하게 살린 설계를 할 수 있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한편으로, 토로이달 트랜스와 같이 절단하지 않은 코어를 사용한 트랜스도 존재한다. 여기에서, 절단하지 않은 코어를, 컷 코어와 대비해서 노 컷 코어라고 부를 경우가 있다. 그러나 토로이달 트랜스에 있어서의 도선의 권회는 수작업으로 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생기거나, 도선의 권회 상태를 균일하게 하는 것이 어려워 흐트러진 권선에 의한 기생용량의 영향을 받아서 특성 불균일이 커지기 쉬운 등의 문제가 생기거나 한다. 절단하지 않은 자심에 효율적으로 권선을 실시하는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구동원을 이용하여 보빈을 회전시킴으로써 기계 권선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보빈을 도 18에 나타낸다. 이 보빈에서는 코일을 설치하는 몸통부(312)의 양단측에 배치된 플랜지(플랜지부)(315)의 외주에 구동 기어에 맞물리는 톱니가 설치됨과 아울러, 플랜지부(315)의 내측면에는 도선의 권취 개시 단부를 이어넣어서 고정하기 위한 홈(318)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홈(318)을 형성하는 목적은, 코일로 되는 도선의 권취 개시 단부가 보빈의 회전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다른 구성의 보빈이 개시되어 있다. 도 19에 그 외관도를 나타낸다. 이 보빈은 몸통부(425)의 양단측에 배치된 플랜지부(414)의 내측에 상기 플랜지부(414)보다 소경의 규제벽(415)을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414)와 규제벽(415)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코일단 권취 홈(427)으로서 이용하고 있다. 상기 몸통부(425)에 설치되는 코일(도시하지 않음)의 단부를 코일단 권취 홈(427)에 권취하고, 규제벽(415)에 형성된 관통 홈(도시하지 않음)을 통해서 코일로 되는 도선을 몸통부(425)에 통과시키고, 상기 플랜지부(414)에 회전력을 가해서 몸통부(425)에 코일을 정연하게 형성한다. 플랜지부(414)의 코일단 권취 홈(427)측에 클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어, 코일의 단부가 코일단 권취 홈(427)으로부터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소62-36270호 공보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소58-12426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보빈을 사용할 경우에도, 홈(318) 또는 코일단 권취 홈(427)에 도선의 권취 개시 단부를 확실하게 고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기계 권선에 있어서의 권취 시작에 있어서는, 코일을 구성하는 도선의 단부에 큰 장력이 작용하기 쉬워, 도선의 단부가 홈으로부터 빠지거나 권취가 느슨해질 경우가 있다. 보빈을 회전시켜서 코일을 형성할 때에, 도선의 단부가 일단 홈으로부터 벗어나거나 권취가 느슨해지면, 도선의 단부가 플랜지부와 구동 기어의 사이에 물려들거나, 도선의 권회 부분(코일 부분)에 말려들거나 해서, 정상적인 권선 작업을 저해하여 버린다. 이러한 문제는, 복수의 코일을 다층으로 형성해 각 코일을 구성하는 도선의 단부가 복수 있을 경우일수록, 또한 도체의 권취 개시 단부가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현저해진다. 특허문헌 2의 보빈에서는 플랜지부(414)에 코일 단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클로가 설치되어 있지만, 회전력이 주어지는 플랜지부(414)의 외주면과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플랜지부와 구동 기어의 사이에 물려들어갈 우려는 여전히 남아 있다. 권취 종료측에 있어서도 같은 이유가 있다. 이하 코일을 구성하는 도선의 단부에 대해서 도선 끝이라고 부른다.
또한 보빈에 복수의 코일을 구성해 트랜스로 할 경우, 도선 끝의 보빈으로부터의 인출의 처리에 대해서 1차 코일과 2차 코일간의 절연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1kW를 초과하는 전원 트랜스 등의 코일 부품에서는 도체 손실에 의한 발열이 크므로, 코일이나 코일 보빈의 열손상을 막도록 방열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서는 그것들의 점에 대해서는 무관심하다.
그래서,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기어 구동에 의한 기계 권선에 적용 가능한 보빈을 구비한 코어 케이스 유닛, 그것을 사용한 코일 부품 및 그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기어 및 코일 부분으로의 도선 끝의 말려듬 방지에 적합한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코어 케이스 유닛은, 자심을 수용하기 위한 환상의 케이스와, 도선을 권회하기 위한 보빈을 구비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도선을 권회하기 위한 원통부와, 그 원통부의 양단측에 배치된 내측 플랜지부와, 상기 내측 플랜지부의 외측에 각각 도선 끝을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개재해서 배치된 외측 플랜지부와, 상기 외측 플랜지부 중 적어도 한쪽의 외측에 설치되어 회동력을 받기 위한 기어부를 갖고, 상기 원통부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며, 상기 외측 플랜지부의 외경은 상기 기어부의 이끝원에 의해 규정되는 외경보다 크고, 상기 내측 플랜지부와 외측 플랜지부에는 각각 도선 끝을 통과시키는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다.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의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상기 내측 플랜지부의 노치부와 외측 플랜지부의 노치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플랜지부 및 외측 플랜지부에는 한쌍의 노치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원통부의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상기 내측 플랜지부에 형성된 한쌍의 노치부는 180도의 회전 대칭의 위치에 있고, 상기 외측 플랜지부에 형성된 한쌍의 노치부도 또한 180도의 회전 대칭의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도선 끝을 수용 가능한 공간은 상기 원통부의 원주 방향으로 한바퀴 도는 홈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원통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홈부의 저면까지의 거리와, 상기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원통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원통부의 측면까지의 거리가 실질적으로 같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코어 케이스 유닛에 있어서 상기 도선 끝을 지지하여 멈추기 위한 돌기가 상기 내측 플랜지부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원통부의 축 방향 외측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플랜지부의 외경이 상기 외측 플랜지부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돌기의 돌출 위치가 상기 원통부의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상기 외측 플랜지부의 외주의 외측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의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상기 돌기가 180도의 회전 대칭의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내측 플랜지부의 노치부의 저부는 상기 원통부의 측면과 상기 원통부의 중심축으로부터의 거리가 실질적과 같고, 상기 외측 플랜지부의 노치부의 저부는 상기 기어부의 이끝원의 둘레면과 상기 원통부의 중심축으로부터의 거리가 실질적으로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코일 부품은 상기 어느 하나의 코어 케이스 유닛과, 상기 케이스에 수용된 노 컷의 폐자로의 자심과, 도선을 상기 보빈에 권회해서 구성된 코일을 갖고, 상기 코일은 상기 원통부의 양단측에 배치된 내측 플랜지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코일 부품은, 노치부가 형성된 상기 코어 케이스 유닛과, 상기 케이스에 수용된 노 컷의 폐자로의 자심과, 도선을 상기 보빈에 권회해서 구성된 코일을 갖고, 상기 코일은 상기 원통부의 양단측에 배치된 내측 플랜지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코일을 구성하는 상기 도선의 도선 끝이 상기 내측 플랜지부와 외측 플랜지부에 형성된 노치부를 통해서 외측 플랜지부 밖으로 도출되어 있다.
또한,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코일 부품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트랜스를 구성하는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을 갖고, 상기 1차 코일을 구성하는 도선의 권회부와 2차 코일을 구성하는 도선의 권회부가 상기 원통부의 지름 방향으로 다층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코일 부품에서는 상기 내측 플랜지부와 외측 플랜지부에 각각 2개의 노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1차 코일을 구성하는 도선의 도선 끝은 상기 내측 플랜지부와 외측 플랜지부에 각각 형성된 2개의 노치부 중 한쪽으로부터 도출되고, 상기 2차 코일을 구성하는 도선의 도선 끝은 상기 내측 플랜지부와 외측 플랜지부에 각각 형성된 2개의 노치부 중 다른쪽으로부터 도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은, 노 컷의 폐자로의 자심을 케이스에 수용하는 제 1 공정과, 도선을 권회하기 위한 원통부와, 그 원통부의 양단측에 배치된 내측 플랜지부와, 상기 내측 플랜지부의 외측에 각각 배치된 외측 플랜지부를 구비한 보빈을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는 제 2 공정과, 상기 원통부에 도선을 권회해서 코일을 형성하는 제 3 공정을 갖고, 상기 보빈은 회동력을 받기 위한 기어부를 상기 외측 플랜지부 중 적어도 한쪽의 외측에 갖고, 상기 외측 플랜지부의 외경은 상기 기어부의 이끝원에 의해 규정되는 외경보다 크고, 상기 제 3 공정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를 통해서 상기 보빈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원통부에 상기 도선을 권회해서 코일을 형성하고, 도선 끝을 상기 내측 플랜지부와 외측 플랜지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 3 공정을 반복하여 복수의 코일을 상기 원통부의 외측에 형성한다.
또한,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트랜스를 구성하는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을 갖고, 상기 1차 코일을 구성하는 도선의 권회부와 2차 코일을 구성하는 도선의 권회부를 상기 원통부의 지름 방향으로 교대로 다층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도선 끝을 지지하여 멈추기 위한 돌기가 상기 내측 플랜지부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원통부의 축 방향 외측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 3 공정에 있어서 상기 도선 끝을 상기 돌기에 지지하여 멈춰서 상기 외측 플랜지부의 외측을 향한 상기 도선 끝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플랜지부와 외측 플랜지부에는 각각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3 공정의 뒤에 상기 도선 끝을 상기 내측 플랜지부와 외측 플랜지부에 형성된 노치부를 통해서 외측 플랜지부의 밖으로 도출하는 공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플랜지부와 외측 플랜지부에 각각 2개의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3 공정의 뒤에 상기 1차 코일을 구성하는 도선의 복수의 도선 끝과 상기 2차 코일을 구성하는 도선의 복수의 도선 끝을 각각 별개의 노치부로부터 도출시키는 공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기어 구동에 의한 권선에 적용 가능한 보빈을 구비한 코어 케이스 유닛, 그것을 사용한 코일 부품 및 그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기어 및 코일 부분으로의 도선 끝의 말려듬 방지에 적합한 구성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권선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보빈에 복수의 코일을 설치하는 코일 부품에 적용했을 때에 각각 코일의 단부를 분리해서 인출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코어 케이스 유닛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코어 케이스 유닛의 실시형태에 사용하는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코어 케이스 유닛의 실시형태에 사용하는 보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코어 케이스 유닛의 실시형태에 사용하는 보빈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코어 케이스 유닛의 실시형태에 사용하는 보빈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의 (a)∼(c)는 본 발명에 의한 코어 케이스 유닛의 실시형태에 사용하는 보빈을 나타내는 삼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코어 케이스 유닛의 실시형태에 사용하는 보빈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으로 보빈에 도선을 권선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으로 보빈에 도선을 권선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으로 보빈에 도선을 권선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으로 보빈에 도선을 권회하는 공정에 있어서의 도선 끝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으로 보빈에 도선을 권선한 후의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에 적용 가능한 커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의 (a) 및 (b)는 본 발명에 의한 코일 부품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코일 부품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코일 부품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코일 부품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18은 종래의 보빈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종래의 다른 보빈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코어 케이스 유닛의 구성을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코어 케이스 유닛은, 자심을 수용하기 위한 환상의 케이스와, 도선을 권회하기 위한 보빈을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는 전형적으로는 상기 자심의 자로를 따르는 직선부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 보빈은 상기 도선을 권회하기 위한 원통부와, 그 원통부의 양단측에 배치된 내측 플랜지부와, 상기 내측 플랜지부의 외측에 각각 배치된 외측 플랜지부와, 상기 외측 플랜지부 중 적어도 한쪽의 외측에 회동력을 받기 위한 기어부를 갖고, 상기 원통부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기어부를 개재한 회동에 의한 기계 권선(이하, 기어 권취라고도 함)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자심을 수용한 환상의 케이스를 사용했을 경우의 권선의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내측 플랜지부와 외측 플랜지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권선시에 도선 끝의 수용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권선시에 복수의 코일의 도선 끝을 모아 둘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외측 플랜지부의 외경은 상기 기어부의 최외경보다 크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선을 권회할 때의 도선 끝의 날뜀, 요동침, 흐트러짐이 생겨도, 내측 플랜지부와 외측 플랜지부 사이의 공간에 수용하는 도선 끝이 기어부에 물려들어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코어 케이스 유닛, 그것을 사용한 코일 부품 및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하는 구성은 그 실시형태의 취지를 손상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경우, 중복되는 설명은 적당하게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참조하는 도면에 숫자의 뒤에 알파벳을 붙인 부호만을 붙이고 있어도, 특히 알파벳 부호에 의한 한정의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알파벳을 붙이지 않은 대표 숫자를 사용하여 설명할 경우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어 케이스 유닛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사용하는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보빈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코어 케이스 유닛을 적용하는 코일 부품으로서는 트랜스를 상정하고 있지만, 코어 케이스 유닛의 용도는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코어 케이스 유닛(100)은 자심(4)을 수용하기 위한 환상의 케이스(1)와, 도선을 권회하기 위한 보빈(2)을 구비한다. 환상의 케이스(1)에 수용되는 자심(4)의 구성은 이것을 특별하게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자성 합금 박대를 사용한 노 컷 코어를 사용할 수 있다. 노 컷이란 자성 합금 박대의 자로의 도중에 절단 부분을 가지지 않는 것을 말한다. 노 컷의 폐자로의 자심은 자기 갭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누설자속의 영향이 배제되어 높은 동작 자속밀도에서의 트랜스의 구동이 가능해진다. 자심의 구성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케이스)
케이스(보호 부재)(1)는 상하 방향(도면 중의 z 방향)으로 분할된 상부 케이스(1a)와 하부 케이스(1b)의 조립체이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상하의 개념은 조립시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편의적인 것이다. 하부 케이스(1b)에 자심(4)을 수용하는 공간(51)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공간에 상부 케이스(1a)로 덮개를 하도록 상부 케이스(1a)와 하부 케이스(1b)가 끼워맞추어진다. 도 1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케이스(1a)와 하부 케이스(1b)의 접합부(중합 부분)는 환상의 케이스(1)의 측면(도 1에 나타내는 z축에 평행한 면)에 있어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는 자심(4)의 자로를 따르는(도면 중의 x 방향을 따르는) 한쌍의 직선부(3)를 갖는다. 케이스(1)는 자심(4)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구성한 직사각형 환상의 케이스이며, 도면 중의 y 방향을 따르는 직선부도 갖는다. 또한, 케이스(1)의 4개의 코너에는 상부 케이스(1a)와 하부 케이스(1b)를 체결하기 위한 고정부로서 y 방향으로 돌출한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한 부분이나 코너의 R 부분(곡면 부분) 등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도, 케이스의 전체적인 형상으로서는 직사각형으로서 취급한다. 케이스(1)에 의해서 자심(4)과 코일 사이의 절연 거리(공간 거리나 연면 거리)가 확보된다.
자성 합금 박대를 사용한 자심의 경우, 권자심, 적층자심의 어느 형태이여도 자로에 수직인 단면은 통상 직사각형으로 된다. 따라서, 그것을 수용하는 케이스의 단면의 내형도 통상 직사각형이다. 케이스 단면의 외형은 직사각형 이외로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케이스 구조의 간략화의 관점으로부터는 직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빈(2)의 원통부를 지지하는 케이스(1)의 직선부의 단면의 외형을 원형이나 n각형(n은 5 이상의 자연수)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단면의 외형이 직사각형인 케이스를 사용하는 것에는 이하의 이점도 있다. 예를 들면, 코어 케이스 유닛을 이용하여 트랜스를 구성할 경우, 트랜스 구동시에는 자심이 발열하지만, 코일에 덮여 있는 부분은 방열이 코일에 의해 저해되기 때문에 트랜스의 온도가 높아진다. 이것에 대하여 단면의 외형이 직사각형인 케이스를 사용하면, 케이스 외면과 보빈 내면의 사이에 보빈 외측으로 통하는 큰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방열이 촉진되고, 트랜스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자심(4)의 자로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형상이 장방형이며, 상부 케이스(1a)와 하부 케이스(1b)의 접합부측, 즉 환상의 케이스의 내주측 및 외주측에 자심(4)의 장방형 단면의 긴 변측이 배치되도록, 자심(4)이 케이스(1) 내에 수용된다. 보빈에 권회하는 권선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하기 위해서는, 보빈의 원통 부분의 내측에 배치되는 케이스의 단면 형상은 되도록이면 정방형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케이스를 얇게 해서 소형화를 꾀할 경우, 상부 케이스(1a)와 하부 케이스(1b)의 접합부는 다른 부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케이스의 두께는 커진다. 이것에 대하여, 단면이 장방형인 자심을 준비하고, 그 긴 변이 접합부측(측면측)으로 되도록 배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가 두꺼워지는 만큼을 자심의 긴 변과 짧은 변의 치수차로 상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하면서, 케이스(1)의 외형에 있어서의 자심(4)의 자로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형상이, 자심(4)의 단면의 형상보다 정방형에 가깝거나(짧은 변과 긴 변의 비가 1에 가까움), 정방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 정방형이 가장 바람직하고, 도 1의 구성에서는 케이스(1)의 단면 형상은 정방형이다. 단, 자심(4)의 자로 방향에 수직인 단면은 대략 정방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좋고, 이 경우에도 케이스(1)가 충분하게 얇게 형성되어 있을 때에는 케이스(1)의 단면의 외형도 자심(4)과 마찬가지로 대략 정방형으로 된다.
케이스(1)는 자심(4)의 보호, 절연성의 확보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목적에 들어맞는 것이면, 케이스의 재질은 이것을 특별하게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등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는 보호 부재로서의 케이스(1)를 복수의 부재(상부 케이스(1a) 및 하부 케이스(1b))를 조합시켜서 구성하는 형태를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자심에 적합한 수용 공간을 갖는 개구형의 단일 부재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를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 케이스 내에 자심을 수용하고나서 절연성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자심이 케이스로부터 탈리되지 않도록 고정함과 아울러 자심(4)과 코일 사이의 절연을 확보하면 된다. 또한, 상기에 설명한 형태에서는 자심(4)의 전체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케이스(1)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보호 부재는 자심의 일부만을 덮는 형태라도 된다. 단, 보호 부재는 적어도 보빈(2)이 부착되는 부분에 있어서 자심(4)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빈(2)을 자심(4)의 주위에서 회전시킬 때에, 자심이 손상될 가능성을 보호 부재에 의해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보호 부재만으로는 강도가 부족할 때에는, 자심(4)에 대하여 수지 함침을 행함으로써 자심 자체의 강도를 향상시켜도 좋다.
(보빈)
보빈(2)은 도선을 권회해 코일을 구성하기 위한 원통부(5)와, 원통부(5)의 양단측에 배치된 내측 플랜지부(6)와, 내측 플랜지부(6)의 외측에 각각 배치된 외측 플랜지부(7)와, 외측 플랜지부(7)의 외측에 설치된 기어부(8)를 갖는다. 기어부(8)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장치에 구비된 기어와 맞물릴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동장치의 기어를 회전시킴으로써 기어부(8)를 통해서 보빈(2)을 케이스(1)의 직선부의 주위에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보빈(2)도 2개의 분할부(2a, 2b)의 조립체로서 구성되어 있고, 2개의 분할부(2a, 2b)에 의해 케이스(1)를 끼워넣도록 해서 보빈(2)이 조립된다. 내측 플랜지부(6(6a, 6b))는 그 외경이 원통부(5(5a, 5b))의 외경보다 큰 원판 형상이며, 도선의 권회 부분을 획정한다. 즉,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한쌍의 내측 플랜지부(6)로 끼워진 원통부(5)의 둘레면 상에 있어서 코일을 형성하기 위한 도선이 권회된다. 또한, 내측 플랜지부(6(6a, 6b))의 외측(도 1에 나타내는 x 방향에서, 도선의 권회 부분과는 반대측)에, 내측 플랜지부(6)와 간극을 두고서 배치된 외측 플랜지부(7)및 회동력을 받기 위한 기어부(8)를 갖는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나타낸 2분할 구조의 보빈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 분할 가능한 보빈은 2개의 부재를 조합시켜서 구성되고, 축중심을 지나는 가상 분할 선(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2개로 나뉜다. 분할면에는 조합이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도록, 또한 축 방향의 어긋남이 생기지 않도록 돌기부(60, 70)와 오목부(61, 71)가 형성되어 있다.
보빈(2)의 원통부(5)의 내주측과 케이스(1)의 코너는 완만하게 접하거나, 양자간에 약간의 클리어런스를 개재해서 배치되고, 보빈(2)은 원통부(5)에 있어서 케이스(1)의 직선부(3)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기어부(8)는 원통부(5)와 축을 공통으로 하고 있고, 원통부(5)가 기어부(8)와 일체적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모터 등의 구동력을 기어부(8)에 부여함으로써 도선의 권회가 가능해지고, 권선의 작업성이 확보된다.
도선의 권회 부분을 획정하는 내측 플랜지부(6)와 회동력을 받는 기어부(8)의 사이에 외측 플랜지부(7)가 배치되어 있는 점이, 도 1 및 2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특징적인 구성의 하나이다. 이러한 구성을 도 6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a)∼(c)은 각각, 보빈의 측면도,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외측 플랜지부(7)도 내측 플랜지부(6)와 마찬가지로, 그 외경이 원통부(5)의 외경보다 큰 원판 형상이다. 내측 플랜지부(6)와 외측 플랜지부(7)는 서로 원통부(5)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이간되어 있고, 내측 플랜지부(6)와 외측 플랜지부(7)의 사이에는 도선 끝을 수용하기 위한 링 형상의 공간(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간(11)은 상기 원통부(5)의 원주 방향으로 한바퀴 도는 홈부로서 구성되어 있고, 도선 끝은, 예를 들면 공간(11) 중에서 홈부의 저부의 주위로 권회하도록 수용할 수 있다. 외측 플랜지부(7)의 외경은 기어부(8)의 이끝원에 의해 규정되는 외경(이끝원 직경)보다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기어 권취시에 도선 끝의 기어부측으로의 끌어들임을 방지할 수 있다. 도선 끝은 공간(11) 내에서 권회하도록 수납되면 되고, 기어부(8)는 외측 플랜지부(7)의 외주보다 지름 방향 내측으로 멀리 위치하므로, 도선 끝의 부분이 길어져도 확실하게 도선 끝의 기어부측으로의 끌어들임을 구속해 둘 수 있어 기어부(8)로의 말려듬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통부(5)의 축 중심으로부터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공간(홈부)(11)의 저면까지의 거리와, 마찬가지로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원통부(5)의 측면까지의 거리를 실질적과 같게 해서 단차 없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상기 공간(홈부)(11)으로부터 상기 원통부(5)로 도입된 도선을, 후술하는 노치부를 통해서 단차를 거치지 않고 홈부 저면 및 원통부 외주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감기 시작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서, 다층으로 코일을 형성할 경우에 내측 플랜지부(6)의 근방에서 코일의 권취 흐트러짐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기어부(8(8a, 8b))는 외측 플랜지부(7(7a, 7b))의 외면에 있어서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외측 플랜지부(7)와 기어부(8)는 일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 플랜지부(7)와 기어부(8)의 사이에 간극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외측 플랜지부(7)와 기어부(8)가 원통부의 축 방향(x 방향)으로 이간한 구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보빈(2)이 대형화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외측 플랜지부(7)와 기어부(8)가 일체인 구성이 바람직하다.
도 1∼6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원통부(5)의 양단측의 내측 플랜지부(6)와 외측 플랜지부(7)에는 각각의 외주로부터 원통부(5(5a, 5b))의 중심 방향을 향해서 노치부[15(15a, 15b), 16(16a, 16b)]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플랜지부(6)에 구멍을 형성하고, 그 구멍으로부터 각 코일의 도선 끝을 내측 플랜지부의 외측으로 도출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노치부를 형성하여 거기에서부터 도선 끝을 인출하는 구성의 쪽이 코일의 작업성이 높아 바람직하다. 노치부를 형성함으로써 원통부(5)에 코일을 형성한 후, 각 코일의 도선 끝을 원통부(5)의 지름 방향으로 불필요하게 끌고다니지 않고, 축 방향으로 그대로 직선적으로 인출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도 1∼6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같이, 노치부(15, 16)는 원통부(5)의 외주면까지 도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의 보빈의 부분 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플랜지부(7)의 노치부(16)를 상기 기어부(8)의 강도가 향상하도록, 그 저부의 위치가 외측 플랜지부(7)의 지름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의 이끝원의 둘레면보다 외측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치부(15, 16)의 형상은 이것을 특별하게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도선을 인출하는데에 충분한 폭을 가지는 슬릿 형상으로 형성하면 좋다. 당연히 노치부(15, 16)의 폭(특히 외측 플랜지부(7)에 형성된 노치부(16)의 폭)은 외측 플랜지부(7)가 갖는 도선 끝의 기어부측으로의 끌어들임을 구속하는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정도로 지나치게 넓지 않는 폭으로 되어 있다.
한편으로, 외측 플랜지부(7)에 형성된 노치부(16)의 폭은 기어부(8)를 구성하는 기어의 톱니 홈의 폭(기어의 피치원 상에 있어서의 톱니간의 간극의 길이)보다 크게 설계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노치부(16)의 폭은 기어의 피치보다 커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어부(8)의 내측에 형성된, 보다 대경의 외측 플랜지부(7)에 있어서 노치부(16)를 형성하는 구성을 갖고 있으므로, 노치부(16)의 형상이나 사이즈를 비교적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코일의 도선 끝을, 코일을 권회한 후 텐션을 걸지 않고 축 방향을 따라서 바로 인출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도선 손상의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외측 플랜지부(7)에도 노치부(16)가 형성되어 있고, 권선 종료 후에 도선 끝을 외측 플랜지부(7)의 외측까지 도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특히, 원통부(5)의 축 방향(x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내측 플랜지부(6)의 노치부(15)와 외측 플랜지부(7)의 노치부(16)가 겹쳐 있음으로써 도선 끝을 외측 플랜지부(7)의 외측까지 최단으로 도출하여, 도선 끝의 인출 구조 및 도선 끝의 처리 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다. 내측 플랜지부(6)의 노치부(15)와 외측 플랜지부(7)의 노치부(16)의 겹침은 부분적이라도 되지만, 도 1∼3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같이, 내측 플랜지부(6)의 노치부(15)와 외측 플랜지부(7)의 노치부(16)는 폭 방향 단부가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원통부(5)의 축 방향(x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분할부(2a, 2b)의 접속부를 사이에 둔 양측에 노치부(15, 16)가 형성되고, 코일의 도선 끝(리드)을 각 노치부로부터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각 플랜지부(6, 7)의 편측에 2개씩, 각각 합계 4개의 노치부(15, 1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코어 케이스 유닛을 이용하여 트랜스를 구성하면, 코일의 도선 끝의 인출 위치를 원통부(5)의 축을 중심으로 해서 180도 이간시켜서, 도선 끝 처리에 있어서의 코일과의 절연성, 각 코일의 도선 끝 사이의 절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6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노치부(15, 16)는 한쪽의 플랜지부에 대해서 한쌍 형성되어 있지만, 코일의 구성에 따라서 2쌍 이상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인출된 다른 코일의 도선 끝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는 관점에서는 하나의 플랜지부에 대해서 노치부는 한쌍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인출된 각 코일의 도선 끝이 기어 권취 작업 중에 흩어지지 않도록 지지하여 멈추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 도 1∼6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보빈에서는, 도선 끝의 내측 플랜지부(6)의 지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돌기(10)가 내측 플랜지부(6)의 표면으로부터 원통부(5)의 축 방향(x 방향) 외측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내측 플랜지부(6)의 노치부(15)로부터 인출된 도선 끝은 내측 플랜지부(6)와 외측 플랜지부(7)의 사이의 공간(11)을 끌고다닌다. 도선 끝을 돌기(10)에까지 미치게 해 두면 돌기(10)에 의해 지지하여 멈추어져서, 보빈을 회동시킴으로써 생기는 원심력에 의해서 도선 끝이 흩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선 끝을 돌기(10)에 얽히게 하여 고정해도 좋다.
내측 플랜지부(6)의 표면으로부터의 돌기(10)의 높이는, 적합하게는 도선 끝을 얽히게 할 수 있게 설정된다. 또한, 돌기(10)가 권선 작업시의 기어 구동의 장해가 되지 않도록, 적어도 기어부(8)에 걸리지 않는 범위로 설정된다.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같이, 내측 플랜지부(6)의 외경이 외측 플랜지부(7)의 외경보다 크고, 돌기(10)의 돌출 위치가 원통부(5)의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외측 플랜지부(7)의 외주의 외측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선 끝을 공간(11)에 수용하는 작업이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도선 끝을 돌기(10)에 얽어 맬 경우에, 그 작업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작업성 확보를 위해서 내측 플랜지부(6)와 외측 플랜지부(7)의 간격을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할 필요도 없어진다.
기어 권취 작업 후의 단자 접속 등의 도선 끝 처리를 위한 충분한 도선 끝의 길이를 확보하기 위해서, 돌기(10)를 형성하는 위치는 그것에 얽어 매는 도선 끝이 도출되는 한쪽의 노치부보다 다른쪽의 노치부에 가까운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노치부(15, 16) 및 돌기(10)는 내측 플랜지부(6) 및 외측 플랜지부(7)의 절반부의 둘레 방향으로 각각 중심각 θ로 해서 130도 이상 떨어진 양단측(절반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통부의 축 방향으로 보아서 상기 노치부와 돌기가 각각 180도의 회전 대칭의 위치이다. 상기 노치부와 돌기의 배치는 절반부를 조합시킨 상태에서 실현되어 있으면 좋으므로, 노치부(15, 16)와 돌기(10)는 각 절반부의 중앙 부근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도 1∼6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같이 돌기(10)의 위치를 절반부의 말단으로 하면, 돌기가 부착된 보빈의 형성도 용이해진다.
도 1∼6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기어부(8)는 원통부(5)의 양단측의 외측 플랜지부(7)의 외측 각각에 설치되어 있지만, 기어부(8)는 외측 플랜지부(7) 중 적어도 한쪽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으면 회동은 가능하다. 따라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외측 플랜지부(7)의 외측에 기어부를 설치하지 않도록 해서 보빈을 소형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양단측에서 구동해서 보빈을 안정적으로 회전시키는 관점으로부터는, 원통부 양단측의 외측 플랜지부(7)의 외측 각각에 기어부(8)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빈(2)의 재질은 이것을 특별하게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케이스(1)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PET, PBT, PPS 등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코일 부품)
상술의 코어 케이스 유닛을 사용한 코일 부품과 그 제조 방법에 대해서 또한 도 8∼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4(a)는 코일 부품의 정면도이며, 도 14(b)는 그 측면도이다. 상술의 코어 케이스 유닛은, 기어 권취를 트랜스에 적용할 경우에 적합한 구성이기 때문에, 이하 코일 부품으로서 트랜스를 상정해서 설명하지만, 코일 부품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초크 코일 등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4의 (a), (b)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코일 부품(200)은 케이스(1) 및 보빈(2)으로 이루어지는 코어 케이스 유닛과, 케이스(1)에 수용된 노 컷의 폐자로의 자심을 갖는다. 코어 케이스 유닛 및 자심은, 도 1∼3을 사용하여 설명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코어 케이스 유닛(100) 및 자심(4)과 같은 구성을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코일 부품(200)은 도선을 보빈(2)에 권회해서 구성된 코일(40)과 코일(41)을 갖는다. 코일(40, 41)은 원통부(5)의 양단측에 배치된 내측 플랜지부(6)의 사이에 다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4의 (a), (b)에 나타내는 코일 부품(200)은 2개의 보빈의 각각애 설치된 코일(40, 41)을 갖는다. 도 15에 단면 모식도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보빈에 있어서 복수의 코일(40)을 병렬 접속해서 1차 부코일로 하고, 복수의 코일(41)을 병렬 접속해서 2차 부코일로 하며, 1차 부코일끼리, 2차 부코일끼리를 각각 직렬 접속해서 1차 코일(Np), 2차 코일(Ns)을 구성하고 있다.
1차 코일(Np)을 구성하는 도선, 및 2차 코일(Ns)을 구성하는 도선으로서, 예를 들면 선지름이 φ1㎜ 이상인 3층 절연전선 등의 절연 피복이 부착된 전선을 사용하고, 이러한 절연 피복에 의해 1차 코일(Np)과 2차 코일(Ns) 사이의 절연을 확보할 수 있다. 단, 도선마다의 절연 피복에 의해서 1차 코일(Np)과 2차 코일(Ns)의 사이의 절연을 확보하려고 하면, 절연 피복 자체의 두께에 의해 권회부 전체의 체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통상의 마그넷 와이어(에나멜선)를 사용하여 1차 코일을 구성하는 코일과 2차 코일을 구성하는 코일의 사이에 절연 시트를 배치하는 것이 행하여진다. 보빈(2)에 권회 가능한 유연성, 강도, 절연 내력을 갖는 절연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상술의 기어부(8)의 회동을 이용해서 절연 시트의 권회도 가능하게 된다. 절연 시트의 재질은,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부직 절연지: 노멕스(듀퐁사의 등록상표) 등이 바람직하다. 두께는 절연성이나 유연성을 고려하여, 예를 들면 25㎛∼50㎛의 폴리에스테르 시트, 50㎛∼200㎛의 노멕스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예에서는 코일(40, 41)의 최표면에 절연 시트가 감긴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1차 코일(Np)의 단부(40a) 및 2차 코일(Ns)의 단부(41a)는 절연을 위해서 통 형상의 수지 부재에 통과시켜진다. 1차 코일(Np)의 단부(40a)의 한쪽단끼리를 압착 접속자(90)로 접속하고, 타단측을 환형 단자(96)에 압착 접속해서 1차 코일(Np)로 했다. 마찬가지로, 2차 코일의 단부(41a)의 한쪽단끼리를 압착 접속자(90)로 접속하고, 타단측을 환형 단자(96)에 압착 접속하여 2차 코일(Ns)로 했다. 또한, 케이스(1)의 상기 압착 접속자(90)측에, 실장을 위한 중계 부재(72)를 접속하여 코일 부품(200)을 형성했다. 중계 부재(72)는 케이스(1)의 직선부(3)를 연결하는 다리부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통과시켜진 볼트(9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중계 부재(72)에는 실장을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코일 부품(200)이 고정되는 실장면에 대하여 세로 배치 가능하게 하고 있다. 코일 부품(200)을 세로 배치함으로써 코일의 발열에 의해 케이스(1)의 외면과 보빈(2)의 내면 사이의 공간의 공기가 따뜻해져서, 굴뚝효과에 의해 상기 공간에 공기의 흐름이 생겨서 방열을 촉진할 수 있다.
노 컷의 자심(4)으로서는, 자성 합금 박대를 환상으로 권회해서 구성한 권자심이어도 좋고, 소정 형상으로 펀칭된 복수의 자성 합금 박대를 적층한 적층자심이어도 좋다. 도 2에 나타내는 자심(4)은 장방형의 자로를 구성하고 있는 직사각형 환상의 자심이지만, 자심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직선부(3)를 갖는 케이스(1)에 수용하기 위해서 그 일부에 직선부를 갖는 형상의 것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직사각형 환상(口의 글자 모양), 레이스트랙 형상, 중족이 있는 직사각형 환상(日의 글자 모양) 등의 자심을 사용할 수 있다. 직사각형 환상(口의 글자 모양), 레이스트랙 형상 등의 단순한 환상의 자심에 대하여는, 생산성의 관점으로부터 권자심의 구성이 특히 적합하다. 중족이 있는 직사각형 환상(日의 글자 모양)의 자심은 이러한 형상에 펀칭한 자성 합금 박대를 적층하는 방법이나, 병치한 2개의 권자심을 또 다른 권자심으로 둘러싸는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자심의 형상을 나타내는 직사각형의 문언은 완전한 직사각형에 한하지 않고, 자성 합금 박대를 권회할 때에 필연적으로 생기는 코너의 R 부분 등을 갖는 형상도 포함하는 취지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심(4)은 자성 합금 박대를 권회 또는 적층해서 구성할 수 있다. 자성 합금 박대는, 예를 들면 용탕을 급냉해서 얻어지는 Fe기 비정질 합금 박대, Co기 비정질 합금 박대, Fe기 나노 결정 합금 박대이다. 비교적 포화 자속밀도가 낮은 Co기 비정질 합금 박대에서도 대략 0.55T 이상의 포화 자속밀도를 갖고 있고, 이들 자성 합금 박대는 페라이트에 비해서 포화 자속밀도가 높아 트랜스의 소형화에 유리하다. 이러한 우위성을 최대한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자심(4)은 노 컷 코어로서 구성된다.
자심(4)을 구성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자성 합금 박대의 조성 및 특성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절연식 스위칭 전원 등에 사용하는 트랜스 용도이면, 사용하는 자성 합금 박대는 포화 자속밀도(Bs)가 1.0T 이상이며, 또한 포화 자속밀도(Bs)에 대한 잔류 자속밀도(Br)의 비(Br/Bs)가 0.3 이하인 자기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자계중 열처리에 있어서 자로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이방성을 부여함으로써 Br을 저하시킨 재료가 적합하다. 자계중 열처리에 의해 자로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이방성을 부여함으로써 포화 자속밀도(Bs)에 대한 잔류 자속밀도(Br)의 비(Br/Bs)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어서, 코일 부품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해서 도 8∼도 13을 참조해 제조 방법을 섞으면서 설명한다. 상술의 코일 부품의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의 구체적인 설명이나 도시를 적당하게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은, 노 컷의 폐자로의 자심을 상기 자심의 자로를 따르는 직선부를 갖는 케이스에 수용하는 제 1 공정과, 도선을 권회하기 위한 원통부와, 그 원통부의 양단측에 배치된 내측 플랜지부와, 상기 내측 플랜지부의 외측에 각각 배치된 외측 플랜지부를 구비한 보빈을 상기 케이스의 직선부에 부착하는 제 2 공정과, 상기 원통부에 도선을 권회해서 코일을 형성하는 제 3 공정을 갖는다. 상기 보빈은 상기 원통부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직선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회동력을 받기 위한 기어부를 상기 외측 플랜지부 중 적어도 한쪽의 외측에 갖는다. 외측 플랜지부의 외경은 상기 기어부의 최외경보다 크다. 제 3 공정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를 통해서 상기 보빈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원통부에 상기 도선을 권회해서 코일을 형성하고, 도선의 권취단을 상기 내측 플랜지부와 외측 플랜지부의 사이에 배치한 상태에서 다음의 도선의 권회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도선의 일단(권취단)을 일방측의 내측 플랜지부와 외측 플랜지부의 사이에 배치한 후, 원통부에 도선을 권회해서 코일을 형성한다. 코일의 권취 종료(권취단)는 타방측의 내측 플랜지부와 외측 플랜지부의 사이에 배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음 도선의 권회를 같은 방법으로 행한다. 모든 도선의 권회가 종료한 후, 권취단의 결선 처리를 행해 코일의 형성이 완료된다.
제 3 공정에 대해서 더욱 설명한다. 도 8(a)는 코일 부품의 권선 작업시의 보빈의 권취 종료측 단부 주변의 A-A 단면도이며, 도 8(b)는 코일의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b)에서 x 방향의 권취 개시측의 내측 플랜지부(6)에 형성된 노치부(15a)를 통해서 도선의 단부(도선 끝)가 공간(11)에 수용된다. 상기 공간(11)에 있어서, 도선 끝은 보빈의 회전과는 역방향으로 약 1바퀴 권취되어서 내측 플랜지부(6)에 형성된 돌기(10b)에 얽혀진다. 기어부(8)를 회동해서 원통부(5)의 권취 종료측에서 소정의 권취수가 되도록 권선을 행하고, 도선의 단부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다. 도 9(b)는 권선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9(a)는 보빈의 권취 종료측 단부 주변의 A-A 단면도이다. 코일(40)의 권취 종료측의 도선 끝도 또한, 보빈의 회전과는 역방향으로 약 1바퀴 권취되어서 내측 플랜지부(6)에 형성된 돌기(10b)에 얽혀진다.
이어서 코일(40)에 겹쳐서 코일(41)을 형성한다. 도 10(b)는 2층으로 권선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a)는 보빈의 권취 종료측 단부 주변의 A-A 단면도이다. 코일(41)의 권취 개시의 도선 끝은 x 방향의 권취 개시측의 내측 플랜지부(6)에 형성된 노치부(15b)(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공간(11)에 수용된다. 상기 공간(11)에 있어서 도선 끝은 보빈의 회전과는 역방향으로 약 1바퀴 권취되어서 내측 플랜지부(6)에 형성된 돌기(10a)(도시하지 않음)에 얽혀진다. 코일(41)의 권취 종료측의 도선 끝도 또한 보빈의 회전과는 역방향으로 약 1바퀴 권취되어서 내측 플랜지부(6)에 형성된 돌기(10a)에 얽혀진다. 제 3 공정에서는 코일(40)의 형성, 코일(41)의 형성을 순차적으로 복수회 행하여 다층으로 겹친다. 코일 층간 및 측면으로서 드러나는 최외층의 코일(41)에는 절연 시트(55)가 배치되지만, 그 형성 방법 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기어부를 회동해서 권선을 행함으로써 노 컷의 자심을 사용한 경우에도 권선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내측 플랜지부와 기어부의 사이에 기어부의 최외경보다 외경이 큰 외측 플랜지부를 갖기 때문에, 내측 플랜지부와 외측 플랜지부 사이의 공간에 권취단을 수용하여 도선 끝이 기어부측 등에 끌려들어가지 않도록 해서 권선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트랜스를 구성하는 1차 코일(Np) 및 2차 코일(Ns)을 권회할 경우에 적합하다. 1차 코일(Np)을 구성하는 도선의 권회부와 2차 코일(Ns)를 구성하는 도선의 권회부를 원통부의 지름 방향으로 정밀도 좋게 교대로 형성할 수 있다.
1차 코일(Np) 및 2차 코일(Ns)이, 각각 병렬 접속 또는 직렬 접속된 복수의 권회부로 분할된 구성, 플랜지부의 노치부에 의한 구성, 플랜지부의 표면에 돌출된 돌기에 의한 구성 등, 바람직한 형태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이 중, 돌기에 의한 구성에 대해서 이하에 보충한다.
도선 끝은 내측 플랜지부와 외측 플랜지부의 사이의 공간에서 권회하는 것 만으로도 공간 내에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1턴 이상 권회하거나,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선 끝의 말단을 돌기(10a, 10b)의 내경측에 배치시켜서 돌기(10a, 10b)의 내측을 빠져나가도록 권회함으로써 공간 내에 유지 가능하다. 도시한 예에서는 내측 플랜지부(6)의 노치부(15a, 15b)로부터 인출된 코일(40, 41)의 각각의 도선 끝은, 공간(11)에서 약 반바퀴 감겨서 코일(40)의 도선 끝은 돌기(10b)에, 코일(41)의 도선 끝은 돌기(10a)에 지지하여 멈춰져 있다.
보다 확실하게는, 도 10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공정에 있어서 내측 플랜지부의 표면에 돌출된 돌기를 이용하여 각 권회부마다 권취단을 돌기에 얽어 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권회부마다 그 권취단을 일시적으로 돌기에 얽어 매어 두고, 모든 권회부의 형성이 끝난 후에 권취단의 접속 등의 처리를 행하면, 권취단이 흩어지는 일이 없어 코일 작업도 용이해진다.
또한, 내측 플랜지부(6)와 외측 플랜지부(7)에 노치부(15, 16)를 형성해 둠으로써,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공정의 뒤에, 도선의 권취단을 내측 플랜지부(6)와 외측 플랜지부(7)에 형성된 노치부(15, 16)를 통해서 외측 플랜지부(7)의 밖으로 도출할 수 있다.
내측 플랜지부(6)와 외측 플랜지부(7)의 사이에 공간(11)에 수용된 코일의 권취 개시측, 권취 종료측의 도선 끝은, 그 단부(40a ,41a)의 절연 피막이 제거되어 있다. 보빈의 원통부로부터 코일(40)은 노치부(15a, 16a)를 통해서 인출되고, 코일(41)은 노치부(15b, 16b)(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인출된다. 원통부(5)의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내측 플랜지부(6)의 노치부(15)와 외측 플랜지부(7)의 노치부(16)가 겹치는 구성으로, 도선 끝이 내측 플랜지부(6)로부터 외측 플랜지부(7)로 직선 모양으로 도출되어 있다. 복수의 코일(40)의 도선 끝을 꼬고, 복수의 코일(40)을 병렬 접속해서 1차 부코일로 하고, 마찬가지로 복수의 코일(41)의 도선 끝을 꼬고, 복수의 코일(41)을 병렬 접속해서 2차 부코일로 한다. 각 부코일은 다른 한쪽의 보빈에 설치한 부코일과 직렬로 접속하여, 도 14에 나타낸 코일 부품으로 한다.
또한, 도 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권취단을 수용한 공간을 커버(30)로 덮음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권취단을 구속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커버는 내측 플랜지부(6)와 외측 플랜지부(7)의 간격 이하의 폭을 갖고, 측면 형상은 대략 C자 모양이다. 플라스틱이나 판 스프링 등의 탄성체를 이용하여 커버를 구성함으로써 그 착탈도 용이해진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커버(30)는 대략 C자 모양이지만, 커버의 형태는 이것이 한정되지 않는다. 권취단을 수용한 공간의 외주를 덮는 측면 형상이 대략 원형상인 커버이면 된다. 예를 들면, 커버의 선단측이 겹치도록 닫힌 형태도 적용 가능하다.
이어서, 코일 부품의 실시형태에 적용되는 코일의 다른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코일로서 트랜스를 구성하는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을 갖는 코일 부품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편의상, 자심(4)을 수용하는 케이스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1차 코일(Np)을 구성하는 도선의 권회부와 2차 코일(Ns)를 구성하는 도선의 권회부가 보빈(2)의 원통부(5)의 지름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1차 코일(Np)의 권회부와 2차 코일(Ns)의 권회부를 자심(4)의 같은 부위에 권회하고, 1차 코일의 도선과 2차 코일의 도선끼리를 밀접시켜서 코일이 구성되므로, 코일간의 결합을 높일 수 있다. 고결합계수의 트랜스를 실현함으로써 실효 저항(교류 저항)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즉, 1차 코일의 권회부와 2차 코일의 권회부를 원통부의 지름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하는 구성에 의하면, 구리 손실의 증대 억제의 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상술의 노 컷의 자심을 사용하는 것에 의한 갭 손실 저감의 효과와 더불어 트랜스의 손실 저감 및 소형화에 기여한다.
권회부에 있어서, 도선은 원통부(5)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x 방향)으로 권회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권회부에서는 도선을 지름 방향으로 겹쳐서 권회해서 코일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기 코일간의 결합을 높이는 취지에서는 각 권회부는 코일마다 도선을 겹치지 않고 한층 권취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권회부를 원통부(5)의 지름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서 각 코일의 권회부를 각각 하나씩 배치해서 겹쳐 1차 코일(Np) 및 2차 코일(Ns)을 구성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도 15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같이, 1차 코일(Np) 및 2차 코일(Ns)이, 각각 병렬 접속된 복수의 권회부로 분할되고, 그 복수의 권회부가 상기 1차 코일 및 2차 코일마다 상기 원통부의 지름 방향으로 교대로 겹쳐져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코일의 저항이 저감됨과 아울러 1차 코일(Np)과 2차 코일(Ns)의 결합이 높아진다. 분할된 코일의 접속 형태는 병렬 접속에만 한하지 않고, 직렬 접속도 적용할 수 있다. 도선을 겹쳐서 권회하는 것 보다, 분할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교대로 배치하는 쪽이, 코일간의 결합에 유리하다.
상술의 코일의 구성은 중족이 있는 직사각형 환상(日의 글자 모양)의 자심을 사용한 트랜스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7은 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는 1차 코일(Np)과 2차 코일(Ns)을 설치한 보빈(2)을 자심(4)의 중족에 배치한 점에서 다른 실시형태와 다르지만, 코일이나 보빈의 구성은 다른 실시형태와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을, 각각 병렬 접속 또는 직렬 접속된 복수의 권회부로 분할하는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이 병렬 접속 또는 직렬 접속으로 분할된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면 된다. 접속 형태로서, 이러한 병렬 접속 또는 직렬 접속을 단독으로 적용할 수도 있고, 병렬 접속과 직렬 접속을 조합시켜서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코일 부품은 권선의 작업성을 확보하면서 고자속밀도를 갖는 자성 합금 박대의 특성을 유효하게 살릴 수 있기 때문에, 각종 전원장치, 특히 출력이 1kW를 초과하는 스위칭 전원, 절연식 인버터 등의 전원장치용의 트랜스에 적합하다.
1 : 케이스 2 : 보빈
3 : 직선부 4 : 자심
5 : 원통부 6 : 내측 플랜지부
7 : 외측 플랜지부 8 : 기어부
10 : 돌기 15, 16 : 노치부
30 : 커버 100 : 코어 케이스 유닛
200 : 코일 부품

Claims (18)

  1. 노 컷의 폐자로의 자심을 수용하기 위한 환상의 케이스와,
    도선을 권회하기 위한 보빈을 구비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도선을 권회하기 위한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양단측에 배치된 내측 플랜지부와, 상기 내측 플랜지부의 외측에 각각 도선 끝을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개재해서 배치된 외측 플랜지부와, 상기 외측 플랜지부 중 적어도 한쪽의 외측에 설치되어 회동력을 받기 위한 기어부를 갖고, 상기 원통부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 플랜지부의 외경은 상기 기어부의 이끝원에 의해 규정되는 외경보다 크고,
    상기 내측 플랜지부와 외측 플랜지부에는 각각 도선 끝을 통과시키는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코어 케이스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의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상기 내측 플랜지부의 노치부와 외측 플랜지부의 노치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져 있는 코어 케이스 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플랜지부 및 외측 플랜지부에는 한쌍의 노치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원통부의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상기 내측 플랜지부에 형성된 한쌍의 노치부는 180도의 회전 대칭의 위치에 있고, 상기 외측 플랜지부에 형성된 한쌍의 노치부도 또한 180도의 회전 대칭의 위치에 있는 코어 케이스 유닛.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상기 원통부의 원주 방향으로 한바퀴 도는 홈부인 코어 케이스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원통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홈부의 저면까지의 거리와, 상기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원통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원통부의 측면까지의 거리가 같은 코어 케이스 유닛.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 끝을 지지하여 멈추기 위한 돌기는 상기 내측 플랜지부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원통부의 축 방향 외측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는 코어 케이스 유닛.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플랜지부의 외경이 상기 외측 플랜지부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돌기의 돌출 위치는 상기 원통부의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상기 외측 플랜지부의 외주의 외측인 코어 케이스 유닛.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의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상기 돌기가 180도의 회전 대칭의 위치에 있는 코어 케이스 유닛.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플랜지부의 노치부의 저부는 상기 원통부의 측면과 상기 원통부의 중심축으로부터의 거리가 같고, 상기 외측 플랜지부의 노치부의 저부는 상기 기어부의 이끝원의 둘레면과 상기 원통부의 중심축으로부터의 거리가 같은 코어 케이스 유닛.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코어 케이스 유닛과,
    상기 케이스에 수용된 노 컷의 폐자로의 자심과,
    도선을 상기 보빈에 권회해서 구성된 코일을 갖고,
    상기 코일은 상기 원통부의 양단측에 배치된 내측 플랜지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코일 부품.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코어 케이스 유닛과,
    상기 케이스에 수용된 노 컷의 폐자로의 자심과,
    도선을 상기 보빈에 권회해서 구성된 코일을 갖고,
    상기 코일은 상기 원통부의 양단측에 배치된 내측 플랜지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을 구성하는 상기 도선의 도선 끝이 상기 내측 플랜지부와 외측 플랜지부에 형성된 노치부를 통해서 외측 플랜지부의 밖으로 도출되어 있는 코일 부품.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트랜스를 구성하는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을 갖고,
    상기 1차 코일을 구성하는 도선의 권회부와 2차 코일을 구성하는 도선의 권회부가 상기 원통부의 지름 방향으로 교대로 다층으로 배치되어 있는 코일 부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플랜지부와 외측 플랜지부에 각각 2개의 노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1차 코일을 구성하는 도선의 도선 끝은 상기 내측 플랜지부와 외측 플랜지부에 각각 형성된 2개의 노치부 중 한쪽으로부터 도출되고, 상기 2차 코일을 구성하는 도선의 도선 끝은 상기 내측 플랜지부와 외측 플랜지부에 각각 형성된 2개의 노치부 중 다른쪽으로부터 도출되는 코일 부품.
  14. 노 컷의 폐자로의 자심을 케이스에 수용하는 제 1 공정과,
    도선을 권회하기 위한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양단측에 배치된 내측 플랜지부와, 상기 내측 플랜지부의 외측에 각각 배치된 외측 플랜지부를 구비한 보빈을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는 제 2 공정과,
    상기 원통부에 도선을 권회해서 코일을 형성하는 제 3 공정을 갖고,
    상기 보빈은 회동력을 받기 위한 기어부를 상기 외측 플랜지부 중 적어도 한쪽의 외측에 갖고, 상기 외측 플랜지부의 외경은 상기 기어부의 이끝원에 의해 규정되는 외경보다 크며,
    상기 제 3 공정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를 통해서 상기 보빈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원통부에 상기 도선을 권회해서 코일을 형성하고,
    도선 끝을 상기 내측 플랜지부와 외측 플랜지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 3 공정을 반복해서 복수의 코일을 상기 원통부의 외측에 형성하는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트랜스를 구성하는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을 갖고,
    상기 1차 코일을 구성하는 도선의 권회부와 2차 코일을 구성하는 도선의 권회부를 상기 원통부의 지름 방향으로 교대로 다층으로 형성하는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플랜지부의 외측을 향한 상기 도선 끝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돌기는 상기 내측 플랜지부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원통부의 축 방향 외측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 3 공정에 있어서 상기 도선 끝을 상기 돌기에 지지하여 멈추는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플랜지부와 외측 플랜지부에는 각각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3 공정의 뒤에 상기 도선 끝을 상기 내측 플랜지부와 외측 플랜지부에 형성된 노치부를 통해서 외측 플랜지부의 밖으로 도출하는 공정을 갖는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플랜지부와 외측 플랜지부에 각각 2개의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3 공정의 뒤에 상기 1차 코일을 구성하는 도선의 복수의 도선 끝과 상기 2차 코일을 구성하는 도선의 복수의 도선 끝을, 각각 별개의 노치부로부터 도출시키는 공정을 갖는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
KR1020167029720A 2014-05-09 2015-05-08 코어 케이스 유닛, 코일 부품 및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 KR1023029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97798 2014-05-09
JP2014097798 2014-05-09
PCT/JP2015/063358 WO2015170756A1 (ja) 2014-05-09 2015-05-08 コアケースユニット、コイル部品および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264A KR20170007264A (ko) 2017-01-18
KR102302913B1 true KR102302913B1 (ko) 2021-09-16

Family

ID=54392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9720A KR102302913B1 (ko) 2014-05-09 2015-05-08 코어 케이스 유닛, 코일 부품 및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256034B2 (ko)
EP (2) EP3796341A1 (ko)
JP (1) JP5874875B1 (ko)
KR (1) KR102302913B1 (ko)
CN (1) CN106463243B (ko)
ES (1) ES2886517T3 (ko)
WO (1) WO20151707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63076B (zh) * 2016-11-08 2019-09-17 百容电子股份有限公司 继电器
US11239026B2 (en) * 2017-09-29 2022-02-01 Illinois Tool Works Inc. High-frequency transformers using solid wire for welding-type power supplies
WO2019171652A1 (ja) * 2018-03-05 2019-09-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8269674A (zh) * 2018-03-30 2018-07-10 江西欧美亚电子有限公司 口字型滤波器外套
CN109273247B (zh) * 2018-11-20 2021-05-18 上海置信智能电气有限公司 闭口立体卷铁心变压器低压线绕出线设计方法
CN109659109B (zh) * 2018-12-27 2020-08-04 安徽创新电磁离合器有限公司 一种电磁制动器线圈骨架结构
CN109509635A (zh) * 2019-01-07 2019-03-22 青岛美磁新能源电子有限公司 一种接线板及双芯电感绕线机
KR102219671B1 (ko) * 2019-05-17 2021-02-24 (주) 트랜스온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 및 이의 제작 방법
CN117198742B (zh) * 2023-11-06 2024-01-19 常州市轩朗机电有限公司 一种电子元器件自动化加工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3146A (ja) * 2001-10-29 2003-05-09 Cosel Co Ltd トランスボビン
US20040212476A1 (en) * 2003-04-22 2004-10-28 Darfon Electronics Corp. Transformer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426B2 (ja) 1975-10-01 1983-03-08 ピ−エスコンクリ−ト カブシキガイシヤ Pc鋼棒を用いた柱と梁の結合方法
JPS55122329U (ko) * 1979-02-20 1980-08-30
JPS5812426A (ja) 1981-07-15 1983-01-24 Nec Corp アナログ・デイジタル変換器の試験装置
JPS5941084Y2 (ja) 1981-07-17 1984-11-26 松下電工株式会社 押出成形機
JPS5887314U (ja) 1981-12-10 1983-06-14 株式会社ダイヘン 電気機器巻線用巻枠
JPS60187522U (ja) * 1984-05-21 1985-12-12 松下電工株式会社 電磁装置
GB8516882D0 (en) 1985-07-03 1985-08-07 Portals Eng Ltd Gathering machine
JPS6236270U (ko) 1985-08-22 1987-03-03
US4701735A (en) * 1986-12-11 1987-10-20 Standex Electronics (U.K.) Limited Bobbins for electrical coil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ical coils therefrom
JPH01127227U (ko) * 1988-02-24 1989-08-31
JPH0470726U (ko) * 1990-10-30 1992-06-23
JPH0533512U (ja) * 1991-10-04 1993-04-30 ダイヤモンド電機株式会社 電器用コイル
JP2595318Y2 (ja) * 1992-07-20 1999-05-31 株式会社光輪技研 巻線機
JPH06325958A (ja) * 1993-05-13 1994-11-25 Tokin Corp 歯車チョークコイル
JP3063619B2 (ja) * 1996-05-20 2000-07-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チョークコイル
JPH10233327A (ja) * 1997-02-19 1998-09-02 Tokin Corp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US20050280481A1 (en) * 2004-06-18 2005-12-22 Hsueh-Ming Shih Wave filter assembly
CN201112050Y (zh) * 2007-10-06 2008-09-10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电感器的基座
JP5384907B2 (ja) * 2008-10-30 2014-01-08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ラインフィルタ
JP4888843B2 (ja) * 2009-08-24 2012-02-29 Tdk株式会社 トランス
TWI440054B (zh) * 2011-05-11 2014-06-01 Delta Electronics Inc 變壓器
KR101422898B1 (ko) * 2011-12-20 2014-07-24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및 이의 제조 방법
JP6454064B2 (ja) * 2013-06-18 2019-01-16 株式会社トーキン チョークコイ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3146A (ja) * 2001-10-29 2003-05-09 Cosel Co Ltd トランスボビン
US20040212476A1 (en) * 2003-04-22 2004-10-28 Darfon Electronics Corp. Transfor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54723A1 (en) 2017-06-01
JP5874875B1 (ja) 2016-03-02
ES2886517T3 (es) 2021-12-20
JPWO2015170756A1 (ja) 2017-04-20
EP3796341A1 (en) 2021-03-24
EP3142130B1 (en) 2021-07-28
EP3142130A4 (en) 2018-01-24
EP3142130A1 (en) 2017-03-15
KR20170007264A (ko) 2017-01-18
CN106463243B (zh) 2018-03-23
CN106463243A (zh) 2017-02-22
US10256034B2 (en) 2019-04-09
WO2015170756A1 (ja) 2015-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2913B1 (ko) 코어 케이스 유닛, 코일 부품 및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
JP5087880B2 (ja) リアクトル
EP2648317A1 (en) Stator for rotating electric machine
JP6471489B2 (ja) コイル部品用ボビンおよび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JP5861805B2 (ja) トランス、電源装置およびトランスの製造方法
US9716414B2 (en) Stator of rotating electric machine
CN108141082B (zh) 旋转电机
CN109103000B (zh) 扁绕线圈、电抗器以及电抗器的制造方法
JP2017059813A (ja) コイル部品
US20140347156A1 (en) Coil, reactor, and coil formation method
JP5691722B2 (ja) 電圧変換装置
JP2013172043A (ja) 変流器、変流器に用いられるコイルユニット、及びコイルユニットの巻線方法
JP5680327B2 (ja) 分割巻トランス
JP2008205212A (ja) トランス
EP2996122A1 (en) Transformer
JP2014057462A (ja) 回転電機の固定子
JP2009272438A (ja) スイッチングトランス
JP6300075B2 (ja) コイル部品
JP2011151170A (ja) 巻線部品ならびにスイッチング電源用トランスおよびチョークコイル
JP2015233050A (ja) リアクトル
JP2014229807A (ja) トランスおよびトランス用ボビン
JP2016101028A (ja) 回転電機のステータ
JP2015115520A (ja) リアクト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