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250B1 -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3250B1
KR102293250B1 KR1020180110813A KR20180110813A KR102293250B1 KR 102293250 B1 KR102293250 B1 KR 102293250B1 KR 1020180110813 A KR1020180110813 A KR 1020180110813A KR 20180110813 A KR20180110813 A KR 20180110813A KR 102293250 B1 KR102293250 B1 KR 102293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eemqrr
hexapeptide
complex
betamethasone vale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2218A (ko
Inventor
강성진
박문영
김다은
정아름
Original Assignee
애니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니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애니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32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218A/ko
Priority to KR1020210013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2Pol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는 유기산 또는 스테로이드와 헥사펩타이드를 결합시킴으로써, 기존의 유기산, 스테로이드 또는 헥사펩타이드보다 우수한 항산화 및 피부 재생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및 피부 노화 방지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ACTIVE MATERIAL-HEXAPEPTIDE COMPLEXES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AME}
본 발명은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노화현상은 내인성 노화와 외인성 노화로 나눌 수 있다. 내인성 노화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교원섬유, 탄력섬유 등 세포외 기질 단백질의 합성량이 줄어들어 탄력이 감소되며, 각질층의 구조가 변화하여 피부세포 내 수분량이 감소하는 자연적 노화를 의미한다. 외인성 노화는 자외선, 공기오염, 담배연기, 스트레스 등과 같은 외부자극이 원인이 되는 노화로, 광노화가 대표적인 외인성 노화에 해당한다. 광노화는 피부에 자외선이 과하게 노출되면 활성산소종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AP-1(activatorprotetin-1)과 NF-kB(nuclearfactor-kB)의 활성화에 의한 염증반응이 유도되어 피부를 구성하는 지질, 단백질, 핵산, 효소 등이 손상되어 노화가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속 활성산소종의 생성은 항산화 방어기전을 손상시켜 피부 단백질과 다른 고분자들의 산화 스트레스와 광손상을 야기한다. 이러한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노화는 피부에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주어 깊은 주름, 잔주름, 피부 거침, 피부 건조와 같은 현상을 발생시켜 피부노화를 가속화 시킨다(Hong Jae Kee, Korean Journal of Aesthetic and Cosmetology, Vol.7 No.2: 51-62, 2009).
최근, 오존층 파괴에 따른 자외선 조사량 증가, 생활공간의 건조화, 개인의 알레르기 체질, 스트레스, 유해 화학물질의 증가로 인한 피부손상이 더욱 많이 야기되면서, 이러한 피부손상의 예방 및 개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피부손상의 예방 및 개선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인해 기능성 화장품 연구에서 기존 미백이나 주름예방과 달리 피부손상의 예방 및 개선과 이를 위한 항산화 활성과 관련된 신소재 개발은 새롭게 각광받는 분야로, 그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특히, 환경오염으로 인해 민감성 피부를 가진 소비자가 증가하면서, 화학소재에 의한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여러 기능성을 가진 천연물을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 피부염이나 아토피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스테로이드 계열의 소재들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피부 내에서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으면서 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천연물 유래 기능성 소재 및 스테로이드 계열의 소재 개발에 관심이 주목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다양한 기능성 화장품의 개발과 효능 성분 개발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Hong Jae Kee, Korean Journal of Aesthetic and Cosmetology, Vol.7 No.2: 51-62, 2009
이에 본 발명자들은 활성물질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자연계에 존재하는 유기산과 기능성 펩타이드인 헥사펩타이드를 결합시킨 유기산-헥사펩타이드 복합체를 개발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피부염이나 아토피 환자에게 효능이 있는 스테로이드와 기능성 펩타이드인 헥사펩타이드를 결합시켜 변이된 헥사펩타이드 복합체를 개발하였다. 상기 유기산-헥사펩타이드 복합체 및 변이된 헥사펩타이드 복합체가 항산화 및 피부재생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EEMQRR(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헥사펩타이드와 활성물질이 결합된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처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는 유기산 또는 스테로이드를 헥사펩타이드와 결합시킴으로써, 기존의 유기산, 스테로이드 또는 헥사펩타이드보다 우수한 항산화 및 피부 재생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및 피부 노화 방지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포름산-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글루쿠론산-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락트산-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메발론산-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프로피온산-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피루브산-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퀸산-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시키미산-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아비에트산-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아시아틱산-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콜산-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우르소데옥시콜산-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우르솔산-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아젤라산-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디피콜린산-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푸마르산-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이타콘산-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말산-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옥살산-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숙신산-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타르타르산-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알파-케토글루타르산-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시트르산-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리포산-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제란산-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소르빈산-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바이오틴-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트레티오닌-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카페산-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계피산-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페룰산-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로즈마린산-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니코틴산-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시링산-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5는 헥사펩타이드의 C-말단에 유기산을 결합시키는 합성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6은 헥사펩타이드의 N-말단에 유기산을 결합시키는 합성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은 헥사펩타이드의 곁사슬에 유기산을 결합시키는 합성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8a는 로즈마린산-EEMQRR-NH2, 카페산-EEMQRR-NH2, 페룰산-EEMQRR-NH2, 타르타르산-EEMQRR-NH2, 말산-EEMQRR-NH2, 아젤라산-EEMQRR-NH2, 아비에트산-EEMQRR-NH2, 피루브산-EEMQRR-NH2 및 숙신산-EEMQRR-NH2 복합체의 피부재생 효과를 상처 회복 실험을 통해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38b는 아시아틱산-EEMQRR-NH2, 바이오틴-EEMQRR-NH2, 콜산-EEMQRR-NH2, 계피산-EEMQRR-NH2, 시트르산-EEMQRR-NH2, 디피콜린산-EEMQRR-NH2, 포름산-EEMQRR-NH2, 푸마르산-EEMQRR-NH2, 제란산-EEMQRR-NH2, 글루쿠론산-EEMQRR-NH2, 이타콘산-EEMQRR-NH2, 리포산-EEMQRR-NH2, 락트산-EEMQRR-NH2, 메발론산-EEMQRR-NH2, 니코틴산-EEMQRR-NH2, 옥살산-EEMQRR-NH2, 프로피온산-EEMQRR-NH2, 퀸산-EEMQRR-NH2, 시키미산-EEMQRR-NH2, 소르빈산-EEMQRR-NH2, 시링산-EEMQRR-NH2, 트레티노인-EEMQRR-NH2, 우르소디옥시콜산-EEMQRR-NH2, 우르솔산-EEMQRR-NH2 및 알파-케토글루타르산-EEMQRR-NH2 복합체의 피부재생 효과를 상처 회복 실험을 통해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38c는 본 발명의 헥사펩타이드인 EEMQRR-NH2, Acetyl-EEMQRR-NH2(Acetyl hexapeptide-8), 로즈마린산, 페룰산, 로즈마린산-EEMQRR-NH2 및 페룰산-EEMQRR-NH2 복합체의 피부재생 효과를 상처 회복 실험을 통해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39는 제란산-EEMQRR-NH2, COOH-EEMQRR-제란산 및 COOH-EE(제란산)MQRR-NH2 복합체의 피부재생 효과를 상처 회복 실험을 통해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40은 제란산-EEMQRR-NH2, COOH-EEMQRR-제란산 및 COOH-EE(제란산)MQRR-NH2 복합체의 세포독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한 WST-1 분석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1은 글루타르산 무수물을 링커로 하는 베타메타손-EEMQRR-NH2 복합체의 합성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2는 말론산을 링커로 하는 베타메타손-EEMQRR-NH2 복합체의 합성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3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베타메타손-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4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덱사메타손-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5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하이드로코르티손-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6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프리드니손-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7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메틸프리드니손-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8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에스트리올-EEMQRR-NH2 복합체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9는 베타메타손-EEMQRR-NH2, 덱사메타손-EEMQRR-NH2, 하이드로코르티손-EEMQRR-NH2, 프리드니손-EEMQRR-NH2, 메틸프리드니손-EEMQRR-NH2 및 에스트리올-EEMQRR-NH2 복합체의 피부재생 효과를 상처 회복 실험을 통해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50은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EEMQRR-NH2, 베타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EEMQRR-NH2, 디플루코르토론 발레레이트-Glutaroyl-EEMQRR-NH2, 하이드로코르티손 17-부틸레이트-EEMQRR-NH2, 모메타손푸로에이트-EEMQRR-NH2 및 메틸프레드니솔론 아세포네이트-EEMQRR-NH2 복합체의 피부재생 효과를 상처 회복 실험을 통해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51은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Glutar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Succin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Male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Malon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Adip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Fumar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Isophthal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Terephthalic-EEMQRR-NH2 및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2,6-Naphthalenedicarboxylic-EEMQRR-NH2 복합체의 피부재생 효과를 상처 회복 실험을 통해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52는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EEMQRR-NH2, 베타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EEMQRR-NH2, 디플루코르토론 발레레이트-Glutaroyl-EEMQRR-NH2, 하이드로코르티손 17-부틸레이트-EEMQRR-NH2, 모메타손푸로에이트-EEMQRR-NH2 및 메틸프레드니솔론 아세포네이트-EEMQRR-NH2 복합체의 세포독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한 WST-1 분석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3은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Glutar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Succin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Male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Malon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Adip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Fumar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Isophthal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Terephthalic-EEMQRR-NH2 및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2,6-Naphthalenedicarboxylic-EEMQRR-NH2 복합체의 세포독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한 WST-1 분석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EEMQRR(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헥사펩타이드와 활성물질이 결합된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를 제공한다.
상기 활성물질은 유기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산은 모노엑시드, 다이엑시드, 트라이엑시드, 지방산, 시나믹엑시드 및 아로마틱엑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적어도 하나의 카르복시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모노엑시드는 포름산(Formic acid),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락트산(Lactic acid), 메발론산(Mevalonic acid),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피루브산(Pyruvic acid), 퀸산(Quinic acid), 시키미산(Shikimic acid), 아비에트산(Abietic acid), 아시아틱산(Asiatic acid), 콜산(Cholic acid), 우르소디옥시콜산(Ursodeoxycholic acid) 및 우르솔산(Ursol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포름산"이란, 개미산 또는 메탄산이라고도 불리며, 개미 외에 쐐기풀 등의 식물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산을 의미한다. 상기 포름산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1과 같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92184052-pat00001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글루쿠론산"이란, 밀짚, 목재 등의 구조다당류의 구성성분으로서 존재하고, 동물계에는 고등동물의 뮤코다당류의 주요 구성요소로, 히알루론산, 헤파린, 콘드로이틴황산 등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산을 의미한다. 상기 글루쿠론산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2와 같다.
[화학식 2]
Figure 112018092184052-pat00002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락트산"이란, 젖산이라고도 불리며, 락트산균에 의해 당으로부터 생성되는 유기산을 의미한다. 상기 락트산은 자연계에 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대부분 식물에 유리 상태로 존재하는 외에 식물의 열매 발효시에 생성된다. 상기 락트산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3과 같다.
[화학식 3]
Figure 112018092184052-pat00003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메발론산"이란, 히오치산(hiochic acid)이라고도 불리며, 청주 또는 맥주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산을 의미한다. 상기 메발론산은 청주(淸酒)에 번식하여 부패시키는 진성(眞性) 히오치균인 락토바실러스 헤테르히오키이(Lactobacillus heterohiochii)의 생육에 필요하다. 상기 메발론산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4와 같다.
[화학식 4]
Figure 112018092184052-pat00004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프로피온산"이란, 알코올 또는 프로피온산 발효의 산물로서 유미(chyle) 및 땀 속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산을 의미한다. 상기 프로피온산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5와 같다.
[화학식 5]
Figure 112018092184052-pat00005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피루브산"이란, 세균, 효모 발효에서 엠덴-마이어호프 경로(Embden-Meyerhof Pathway) 또는 엔트너-듀도로프 경로(Entner-Doudor off Pathway)에 의해 생성되는 유기산을 의미한다. 상기 피루브산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6과 같다.
[화학식 6]
Figure 112018092184052-pat00006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퀸산"이란, 키나나무 껍질, 커피의 종자, 사과, 복숭아 등의 과실 등에 포함되어 있는 고등식물 특유의 고리구조를 가진 유기산을 의미한다. 상기 퀸산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7과 같다.
[화학식 7]
Figure 112018092184052-pat00007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시키미산"이란, 퀸산의 불포화 유도체로, 붓순나무의 열매에 포함되어 있는 테트라히드로트리히드록시벤조산 일종의 유기산을 의미한다. 상기 시키미산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8과 같다.
[화학식 8]
Figure 112018092184052-pat00008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아비에트산"이란, 송진의 주성분인 다이테르펜 일종의 유기산을 의미한다. 상기 아비에트산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9와 같다.
[화학식 9]
Figure 112018092184052-pat00009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아시아틱산"이란, 센텔라아시아티카에 함유되어 있는 다마롤산 일종의 유기산을 의미한다. 상기 아시아틱산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10과 같다.
[화학식 10]
Figure 112018092184052-pat00010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콜산"이란, 포유류, 조류, 파충류, 양서류 등 담즙을 분비하는 동물의 담즙 속에 존재하는 유기산을 의미한다. 상기 콜산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11과 같다.
[화학식 11]
Figure 112018092184052-pat00011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우르소데옥시콜산"이란, 웅담의 주성분으로 알려진 담즙산을 의미한다. 상기 우르소데옥시콜산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12와 같다.
[화학식 12]
Figure 112018092184052-pat00012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우르솔산"이란, 사과, 체리 등의 열매, 잎의 왁스 상태의 피막 물질로, α-아미린계 트리테르펜 일종의 유기산을 의미한다. 상기 우르솔산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13과 같다.
[화학식 13]
Figure 112018092184052-pat00013
상기 다이엑시드는 아젤라산(Azelaic acid), 디피콜린산(Dipicolin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이타콘산(Itaconic acid), 말산(Malic acid), 옥살산(Oxal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및 알파-케토글루타르산(α-Ketoglutaric aci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아젤라산"이란, 밀, 호밀 및 보리 등의 곡물에 함유되어 있는 포화 디카르복실산 일종의 유기산을 의미한다. 아젤라산은 항균제로서 모낭과 모공 속의 박테리아를 감소시키며,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피부세포 또는 모낭이 여드름으로 이상 증식되거나 변형되었을 경우 정상으로 회복시키며, 낭포성 여드름, 여드름으로 인한 색소침착 및 붉은기를 완화시켜준다. 아젤라산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14와 같다.
[화학식 14]
Figure 112018092184052-pat00014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디피콜린산"이란, 고초균을 비롯한 많은 바실러스속 세균의 포자 내에서 포함되어 있는 피리딘-디카르복실산 일종의 유기산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디피콜린산은 식품 중 아스코르빈산의 항산화제로서 작용한다. 상기 디피콜린산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15와 같다.
[화학식 15]
Figure 112018092184052-pat00015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푸마르산"이란, 아이슬란드산의 이끼나 균류 등에 포함되어 있는 불포화 디카복실산 일종의 유기산을 의미한다. 상기 푸마르산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16과 같다.
[화학식 16]
Figure 112018092184052-pat00016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이타콘산"이란, 메틸렌숙신산이라도 불리며, 매실초곰팡이가 당류를 이용해 생성하는 디카르복실산 일종의 유기산을 의미한다. 또한, 매실초곰팡이 이외에 자문우 병균도 이타콘산을 소량 배지중에 축적한다. 상기 이타콘산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17과 같다.
[화학식 17]
Figure 112018092184052-pat00017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말산"이란, 능금산 또는 사과산이라고도 불리며, 사과나 포도 등의 과실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히드록시숙신산에 해당하는 유기산을 의미한다. 상기 말산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18과 같다.
[화학식 18]
Figure 112018092184052-pat00018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옥살산"이란, 칼륨염 또는 칼슘염의 형태로 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유기산을 의미한다. 상기 옥살산은 2개의 카복시기가 결합된 가장 간단한 다이카복실산이다. 상기 옥살산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19와 같다.
[화학식 19]
Figure 112018092184052-pat00019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숙신산"이란, 호박산이라고도 불리며, 호박(amber), 테레빈유, 부족류, 지의류, 균류 등에 있는 유기산을 의미한다. 상기 숙신산은 이양자 디카르복실산이다. 상기 숙신산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20과 같다.
[화학식 20]
Figure 112018092184052-pat00020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타르타르산"이란, 주석산이라고도 불리며, 포도와 포도주에 존재하는 디옥시숙신산 일종의 유기산을 의미한다. 타르타르산은 주석에 탄산칼슘을 넣어 생성되는 침전물에 황산을 처리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타르타르산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21과 같다.
[화학식 21]
Figure 112018092184052-pat00021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알파-케토글루타르산"이란, 슈도모나스속의 미생물 발효에 의해 글루코스로부터 케토글루콘산을 거쳐 합성되는 유기산을 의미한다. 상기 알파-케토글루타르산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22와 같다.
[화학식 22]
Figure 112018092184052-pat00022
상기 트라이엑시드는 시트르산(Citric acid)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시트르산"이란, 구연산이라고도 불리며, 주로 레몬 및 라임과 같은 감귤류 과일에 존재하는 유기산을 의미한다. 상기 시트르산은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는 다염기 카복실산의 하나로 많은 식물의 씨나 과즙 속에 유리상태의 산으로 함유되어 있다. 상기 시트르산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23과 같다.
[화학식 23]
Figure 112018092184052-pat00023
상기 지방산은 리포산(Lipoic acid), 제란산(Geranic acid), 소르빈산(Sorbic acid), 바이오틴(Biotin) 및 트레티노인(Tretinoin)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리포산"이란, 티옥산이라고도 불리며, 지방산과 이황화결합을 가진 유기산을 의미한다. 상기 리포산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24와 같다.
[화학식 24]
Figure 112018092184052-pat00024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제란산"이란, 장미, 허브 등에 함유된 향기성분인 유기산을 의미한다. 상기 제란산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25와 같다.
[화학식 25]
Figure 112018092184052-pat00025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소르빈산"이란, 2,4-헥사다이엔산이로도 불리며, 마가목(Sorbus commixta Hedlund)의 미숙 과실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산을 의미한다. 상기 소르빈산은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여 가공식품의 보존료로 사용된다. 상기 소르빈산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26과 같다.
[화학식 26]
Figure 112018092184052-pat00026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바이오틴"이란, 비타민 B 복합체의 하나로, 황을 함유하며 발레르산기를 가진 테트라하이드로 티오펜고리와 우레이도 고리가 접합되어 있는 유기산을 의미한다. 상기 바이오틴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27과 같다.
[화학식 27]
Figure 112018092184052-pat00027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트레티노인"이란, 비타민 A의 유도체인 레티노산의 전체-트랜스(all-trans)형 이성질체를 의미한다. 상기 트레티노인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28과 같다.
[화학식 28]
Figure 112018092184052-pat00028
상기 시나믹엑시드는 카페산(Caffeic acid), 계피산(Cinnamic acid), 페룰산(Ferulic acid) 및 로즈마린산(Rosmarin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카페산"이란, 커피콩, 감자, 곡물, 야채 등의 다양한 농작물에 존재하는 페놀산 화합물의 일종으로서, 3-(3,4-디히드록시페닐)-2-프로페노인산(3-(3,4-dihydroxyphenyl)-2-propenoic acid)으로 표시되는 유기산을 의미한다. 상기 카페산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29와 같다.
[화학식 29]
Figure 112018092184052-pat00029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계피산"이란, 계피의 기름이나, 때죽나무와 같은 발삼나무에 함유되어 있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일종의 유기산을 의미한다. 상기 계피산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30과 같다.
[화학식 30]
Figure 112018092184052-pat00030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페룰산"이란, 식물의 세포벽을 형성하는 리그닌의 전구체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페룰산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31과 같다.
[화학식 31]
Figure 112018092184052-pat00031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로즈마린산"이란, 주로 박하, 스피아민트, 로즈마리와 같은 허브식물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산을 의미한다. 상기 로즈마린산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32와 같다.
[화학식 32]
Figure 112018092184052-pat00032
상기 아로마틱엑시드는 니코틴산(Nicotinic acid) 및 시링산(Syring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니코틴산"이란, 비타민 B3 또는 나이아신(niacin)이라고도 불리며, 동물의 간, 효모, 콩류, 곡식 등 생체 내에 널리 존재하는 피리딘-3 카복실산 일종의 유기산을 의미한다. 상기 니코틴산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33과 같다.
[화학식 33]
Figure 112018092184052-pat00033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시링산"이란, 아카시아(Robinia pseudacacia L), 카스카라 사그라다(Cascara sagrada) 등의 식물에 함유되어 있는 트리히드록시 벤조산 일종의 유기산을 의미한다. 상기 시링산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34와 같다.
[화학식 34]
Figure 112018092184052-pat00034
본 발명의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에서 활성물질이 유기산인 경우, 유기산과 결합된 헥사펩타이드를 "유기산-헥사펩타이드 복합체"로 명명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EEMQRR(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헥사펩타이드에 유기산이 결합된 유기산-헥사펩타이드 복합체를 제공한다.
상기 유기산은 헥사펩타이드의 N-말단, C-말단 또는 곁사슬에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산의 카르복시기는 헥사펩타이드의 N-말단과 펩타이드 결합을 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링커를 통해 헥사펩타이드의 C-말단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유기산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6 등의 링커를 통해 헥사펩타이드의 C-말단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링커로 에틸렌 글리콜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유기산은 헥사펩타이드의 C-말단이 카르복시기가 아마이드기로 치환된 헥사펩타이드와 펩타이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헥사펩타이드의 곁사슬에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산은 헥사펩타이드의 곁사슬의 카르복시기 또는 아마이드기 위치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유기산이 카르복시기 위치에 결합하는 경우, 에틸렌 글리콜 등의 링커를 통해 결합할 수 있으며, 유기산이 아마이드기 위치에 결합하는 경우 펩타이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헥사펩타이드 복합체의 일구현예는 하기 화학식 35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35]
Figure 112018092184052-pat00035
상기 식에서, X는 유기산이며, R'및 R"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3 알킬이다.
또한, 상기 유기산이 링커를 통해 헥사펩타이드의 N-말단과 결합한 복합체의 일구현예는 하기 화학식 [35-1]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35-1]
Figure 112018092184052-pat00036
상기 식에서, X는 유기산이며, L은 링커이며, R'및 R"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3 알킬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헥사펩타이드'란, Glu-Glu-Met-Gln-Arg-Arg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헥사펩타이드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헥사펩타이드는 헥사펩타이드의 C-말단에 카르복시기가 아마이드기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헥사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일 수 있다.
상기 아마이드기는 1차, 2차 및 3차 아마이드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아마이드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미이드기는 1차 아마이드기일 수 있다. 상기 헥사펩타이드 구조의 일구현예는 하기 화학식 36과 같다.
[화학식 36]
Figure 112018092184052-pat00037
상기 유기산-헥사펩타이드 복합체의 화학식은 표 1에 나타내었다.
1
Figure 112018092184052-pat00038
2
Figure 112018092184052-pat00039
3
Figure 112018092184052-pat00040
4
Figure 112018092184052-pat00041
5
Figure 112018092184052-pat00042
6
Figure 112018092184052-pat00043
7
Figure 112018092184052-pat00044
8
Figure 112018092184052-pat00045
9
Figure 112018092184052-pat00046
10
Figure 112018092184052-pat00047
11
Figure 112018092184052-pat00048
12
Figure 112018092184052-pat00049
13
Figure 112018092184052-pat00050
14
Figure 112018092184052-pat00051
15
Figure 112018092184052-pat00052
16
Figure 112018092184052-pat00053
17
Figure 112018092184052-pat00054
18
Figure 112018092184052-pat00055
19
Figure 112018092184052-pat00056
20
Figure 112018092184052-pat00057
21
Figure 112018092184052-pat00058
22
Figure 112018092184052-pat00059
23
Figure 112018092184052-pat00060
24
Figure 112018092184052-pat00061
25
Figure 112018092184052-pat00062
26
Figure 112018092184052-pat00063
27
Figure 112018092184052-pat00064
28
Figure 112018092184052-pat00065
29
Figure 112018092184052-pat00066
30
Figure 112018092184052-pat00067
31
Figure 112018092184052-pat00068
32
Figure 112018092184052-pat00069
33
Figure 112018092184052-pat00070
34
Figure 112018092184052-pat00071
35
Figure 112018092184052-pat00072
36
Figure 112018092184052-pat00073
37
Figure 112018092184052-pat00074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질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자연계에 존재하는 유기산과 헥사펩타이드를 결합시킨 유기산-헥사펩타이드 복합체를 제조하였다(도 1 내지 도 34).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유기산-헥사펩타이드 복합체가 비타민 C와 동등한 정도의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표 7).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상기 유기산-헥사펩타이드 복합체가 피부재생 및 상처 회복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8a 내지 도 38c). 따라서, 본 발명의 유기산-헥사펩타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및 상처 치료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성물질은 스테로이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테로이드는 베타메타손(betamethaso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하이드로코르티손(hydrocortisone), 프리드니손(prednisone), 메틸프리드니손(methyl prednisone), 에스트리올(estriol),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Betamethasone valerate), 베타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Betamethasone dipropionate), 모메타손푸로에이트(Mometasone furoate), 하이드로코르티손 17-부틸레이트(Hydrocortisone 17-butyrate), 디플루코르토론 발레레이트(Diflucortolone valerate) 및 메틸프레드니솔론 아세포네이트(Methylprednisolone acepo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베타메타손"이란, 당질코르티코이드 작용을 나타내는 부신피질 호르몬제를 의미한다. 상기 베타메타손은 우수한 항염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베타메타손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37과 같다.
[화학식 37]
Figure 112018092184052-pat00075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덱사메타손"이란, 프레드니솔론의 유도체로서 당질 코르티코이드 작용을 나타내는 부신피질 호르몬제를 의미한다. 상기 덱사메타손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38과 같다.
[화학식 38]
Figure 112018092184052-pat00076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하이드로코르티손"이란, 코르티손이라도고 불리며, 당질 코르티코이드 작용을 나타내는 부신피질 호르몬제를 의미한다. 상기 하이드로코르티손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39와 같다.
[화학식 39]
Figure 112018092184052-pat00077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프레드니손"이란, 코르티손 유도체로, 당질 코르티코이드 작용을 나타내는 부신피질 호르몬제를 의미한다. 상기 프레드니손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40과 같다.
[화학식 40]
Figure 112018092184052-pat00078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메틸프레드니손"이란, 프레드니손의 6번째 탄소위치에 결합된 수소를 알파 메틸기로 치환시킨 부신피질 호르몬제를 의미한다. 상기 메틸프레드니손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41과 같다.
[화학식 41]
Figure 112018092184052-pat00079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에스트리올"이란, 난포 호르몬에 속하는 에스트로겐 일종의 호르몬제를 의미한다. 상기 에스트리올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42와 같다.
[화학식 42]
Figure 112018092184052-pat00080
상기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43과 같다.
[화학식 43]
Figure 112018092184052-pat00081
상기 베타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44와 같다.
[화학식 44]
Figure 112018092184052-pat00082
상기 디플루코르토론 발레레이트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45와 같다.
[화학식 45]
Figure 112018092184052-pat00083
상기 하이드로코르티손 17-부틸레이트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46과 같다.
[화학식 46]
Figure 112018092184052-pat00084
상기 모메타손푸로에이트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47과 같다.
[화학식 47]
Figure 112018092184052-pat00085
상기 메틸프레드니솔론 아세포네이트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48과 같다.
[화학식 48]
Figure 112018092184052-pat00086
본 발명의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에서 활성물질이 스테로이드인 경우, 스테로이드와 결합된 헥사펩타이드를 "변이된 헥사펩타이드 복합체"로 명명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EEMQRR(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헥사펩타이드에 스테로이드가 결합된 변이된 헥사펩타이드 복합체를 제공한다.
상기 스테로이드는 헥사펩타이드의 N-말단, C-말단 또는 곁사슬에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테로이드는 링커를 통해 헥사펩타이드의 N-말단, C-말단 또는 곁사슬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스테로이드는 헥사펩타이드의 N-말단, C-말단 또는 곁사슬에 위치한 카르복시기나 아마이드기에 링커를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곁사슬에 위치한 카르복시기는 글루탐산의 곁사슬에 위치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곁사슬에 위치한 아마이드기는 글루타민의 곁사슬에 위치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변이된 헥사펩타이드 복합체의 일구현예는 하기 화학식 49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49]
Figure 112018092184052-pat00087
상기 식에서, Y는 스테로이드이며, R'및 R"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3 알킬이다.
상기 스테로이드는 링커를 통해 헥사펩타이드의 N-말단과 결합한 복합체의 일구현예는 하기 화학식 49-1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49-1]
Figure 112018092184052-pat00088
Y는 스테로이드이며, L'는 링커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링커는 하기 화학식 50으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50]
Figure 112018092184052-pat00089
이때, 상기 Z는 C1-10 알킬렌, C2-12 알케닐렌 또는 C6-14 아릴렌이다.
당분야에서 사용되는 관례에 따라, 본원의 구조식에서
Figure 112018092184052-pat00090
은 핵 또는 골격 구조에 대한 잔기 또는 치환기의 부착 지점인 결합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알킬렌"이란, 모(parent) 알칸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2개의 탄소원자로부터 2개의 수소 원자가 제거되어 유도되는 2개의 1가 라디칼 중심을 갖는, 분지쇄 또는 직쇄 또는 고리형인 포화 탄화수소 라디칼을 지칭한다. 예를 들면, 알킬렌 기는 1 내지 20개의 탄소원자, 1 내지 10개의 탄소원자, 또는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가질 수 있다. 전형적인 알킬렌 라디칼은, 메틸렌(-CH2-), 1,1-에틸(-CH(CH3)-), 1,2-에틸(-CH2CH2-), 1,1-프로필(-CH(CH2CH3)-), 1,2-프로필(-CH2CH(CH3)-), 1,3-프로필(-CH2CH2CH2-), 1,4-부틸(-CH2CH2CH2CH2-)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알케닐렌"이란, 모 알켄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2개의 탄소원자로부터 2개의 수소 원자가 제거되어 유도되는 2개의 1가 라디칼 중심을 갖는, 분지쇄 또는 직쇄 또는 고리형인 불포화 탄화수소 라디칼을 지칭한다. 예를 들면, 알케닐렌 기는 1 내지 20개의 탄소원자, 1 내지 10개의 탄소원자, 또는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가질 수 있다. 전형적인 알케닐렌 기는 1,2-에틸렌(-CH=CH-)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당업계의 숙련자라면, "알킬", "아릴", "헤테로사이클릴" 등의 잔기가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는 경우, 이들은 선택적으로, "알킬렌", "아릴렌", "헤테로사이클릴렌" 등의 잔기로서 지칭될 수 있음(즉, 모체인 "알킬", "아릴", "헤테로사이클릴" 잔기의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언급한 치환기로 치환됨을 의미한다)을 인식할 것이다. "알킬", "아릴", "헤테로사이클릴" 등와 같은 잔기가 본원에서 "치환된" 것으로 지칭되거나, 도면상 치환된 것(또는 임의로 치환된 것, 예를 들어 치환기의 개수가 0 내지 양수인 경우)으로 도시한 경우, "알킬", "아릴", "헤테로사이클릴" 등의 용어는 "알킬렌", "아릴렌", "헤테로사이클릴렌" 등과 상호교환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아릴"이란, 모 방향족 고리 시스템의 6개의 탄소원자로부터 1개의 수소 원자가 제거되어 유도되는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아릴 기는 6 내지 20개의 탄소원자, 6 내지 14개의 탄소원자, 또는 6 내지 12개의 탄소원자를 가질 수 있다. 전형적인 아릴 기는, 벤젠(예를 들면, 페닐), 치환된 벤젠,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나프탈렌,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안트라센,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바이페닐 등으로부터 유도되는 라디칼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X는
Figure 112018092184052-pat00091
,
Figure 112018092184052-pat00092
,
Figure 112018092184052-pat00093
,
Figure 112018092184052-pat00094
,
Figure 112018092184052-pat00095
,
Figure 112018092184052-pat00096
,
Figure 112018092184052-pat00097
,
Figure 112018092184052-pat00098
Figure 112018092184052-pat00099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링커는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말레산(Maleic acid), 말론산(Malonic acid), 아디프산(Adip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및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2,6-Naphthalenedicarboxylic aci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헥사펩타이드'란, Glu-Glu-Met-Gln-Arg-Arg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헥사펩타이드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헥사펩타이드는 헥사펩타이드의 C-말단에 카르복시기가 아마이드기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헥사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일 수 있다.
상기 아마이드기는 1차, 2차 및 3차 아마이드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아마이드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미이드기는 1차 아마이드기일 수 있다. 상기 헥사펩타이드 구조의 일구현예는 유기산-헥사펩타이드 복합체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6종의 스테로이드가 결합된 헥사펩타이드 복합체의 화학식을 표 2에 나타내었다.
1
Figure 112018092184052-pat00100
2
Figure 112018092184052-pat00101
3
Figure 112018092184052-pat00102
4
Figure 112018092184052-pat00103
5
Figure 112018092184052-pat00104
6
Figure 112018092184052-pat00105
또한, 상기 8종의 링커를 통해 베타메타손이 결합된 헥사펩타이드 복합체의 구조를 표 3에 나타내었다.
1
Figure 112018092184052-pat00106
2
Figure 112018092184052-pat00107
3
Figure 112018092184052-pat00108
4
Figure 112018092184052-pat00109
5
Figure 112018092184052-pat00110
6
Figure 112018092184052-pat00111
7
Figure 112018092184052-pat00112
8
Figure 112018092184052-pat00113
또한, 상기 9종의 링커를 통해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가 결합된 헥사펩타이드 복합체를 표 4에 나타내었다.
1 Betamethasone valerate-glutaroyl-EEMQRR-NH2
2 Betamethasone valerate-malonoyl-EEMQRR-NH2
3 Betamethasone valerate-terephthaloyl-EEMQRR-NH2
4 Betamethasone valerate-succinoyl-EEMQRR-NH2
5 Betamethasone valerate-adipoyl-EEMQRR-NH2
6 Betamethasone valerate-2,6-naphthalenedicarboxyloyl-EEMQRR-NH2
7 Betamethasone valerate-maleoyl-EEMQRR-NH2
8 Betamethasone valerate-isophthaloyl-EEMQRR-NH2
9 Betamethasone valerate-fumaryl-EEMQRR-NH2
본 발명자들은 헥사펩타이드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피부염이나 아토피 피부 질환에 효능이 있는 스테로이드와 화장품에 대한 생리활성 기능의 헥사펩타이드를 결합시켜 변이된 헥사펩타이드 복합체를 제조하였다(도 43 내지 도 48).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스테로이드를 이용한 복합체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표 11).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상기 변이된 헥사펩타이드 복합체가 피부재생 및 상처 회복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50 및 51). 따라서, 본 발명의 변이된 헥사펩타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및 상처 치료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는 유기산-헥사펩타이드 복합체 또는 변이된 헥사펩타이드 복합체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노화 방지, 피부 재생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크림, 로션, 세럼, 에센스, 자외선 차단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의 유기산-펩타이드 복합체 또는 변이된 헥사펩타이드 복합체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또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들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수(수렴 화장수, 유연 화장수 등), 크림, 로션, 세럼, 에센스, 영양젤 또는 마사지 크림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체 성분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처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는 유기산-헥사펩타이드 복합체 또는 변이된 헥사펩타이드 복합체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연고기제(Ointment base)에 희석하여 국소도포제용 연고를 제조하여 하루에 1 내지 5회씩 병변 부위에 도포시킬 수 있으며, 겔제제에 희석한 국소도포제용 팩제를 제조하여 하루에 1 내지 5회씩 병변 부위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피부상태 개선을 위한 본 발명의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피부상태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피부 상처를 치료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피부상처를 치료하기 위한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본 발명의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를 개체의 피부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피부상태를 개선한다는 것은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거나 피부의 재생을 촉진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본 발명의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를 개체의 피부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상처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기산-헥사펩타이드 복합체 제조
Fmoc-Glu(tbu)-OH, Fmoc-Met-OH, Fmoc-Gln(Trt)-OH 및 Fmoc-Arg(Pbf)-OH 원료는 GLS(GL Biochem, Shanghai)로부터 구매하였다. 또한, 유기산들은 TCI(TCI chemicals, India)와 Sigma(Sigma Aldrich, US)에서 구매하였다(표 5). 또한, DMF(dimethylformamide), DIEA(N,N-diisopropylethylamine), DCM(Dichloromethane) 및 피페리딘(piperidine)은 대정화금으로부터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구분 유기산 구입처
1 포름산 TCI(TCI chemicals, India), F0513
2 글루쿠론산 TCI(TCI chemicals, India), G0302
3 락트산 Sigma(Sigma Aldrich, US), L1750
4 메발론산 Santa Cruz Biotechnology, Inc. sc-484339
5 프로피온산 TCI(TCI chemicals, India), P0500
6 피루브산 TCI(TCI chemicals, India), P0579
7 퀸산 Sigma(Sigma Aldrich, US), 138622
8 시키미산 TCI(TCI chemicals, India), S0038
9 아비에트산 TCI(TCI chemicals, India), A0001
10 아시아틱산 Sigma(Sigma Aldrich, US), 546712
11 콜산 TCI(TCI chemicals, India), C0324
12 우르소데옥시콜산 TCI(TCI chemicals, India), U0030
13 우르솔산 TCI(TCI chemicals, India), U0065
14 아젤라산 TCI(TCI chemicals, India)
15 디피콜린산 Sigma(Sigma Aldrich, US)
16 푸마르산 TCI(TCI chemicals, India), F0067
17 이타콘산 TCI(TCI chemicals, India), M0223
18 말산 TCI(TCI chemicals, India)
19 옥살산 Sigma(Sigma Aldrich, US), 194131
20 숙신산 TCI(TCI chemicals, India), S0100
21 타르타르산 Sigma(Sigma Aldrich, US)
22 알파-케토글루타르산 Sigma(Sigma Aldrich, US), 75890
23 시트르산 TCI(TCI chemicals, India), C1949
24 리포산 TCI(TCI chemicals, India), L0058
25 제란산 Alfa Aesar, A18750
26 소르빈산 TCI(TCI chemicals, India), S0856
27 바이오틴산 TCI(TCI chemicals, India), B0463
28 트레티오닌 Sigma(Sigma Aldrich, US), PHR1187
29 카페산 Sigma(Sigma Aldrich, US)
30 계피산 TCI(TCI chemicals, India), C0353
31 페룰산 Sigma(Sigma Aldrich, US),
32 로즈마린산 Sigma(Sigma Aldrich, US),
33 니코틴산 TCI(TCI chemicals, India), N0082
34 시링산 TCI(TCI chemicals, India), G0014
실시예 1.1. 유기산-헥사펩타이드 복합체 합성
유기산-헥사펩타이드 복합체 합성공정은 하기 1) 내지 6)의 공정과정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합성공정 조건은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레진 치환율:
- 링크 아마이드 MBHA 레진 (치환율: 0.65 mmole/g)
- 클로로트리틸 클로라이드 레진(치환율: 1.25 mmol/g)
- 아미노산: 3 내지 5 eq
- 커플링 시약: DIC, HOBt, DMF
- 커플링 시간: 5시간
- 커플링 온도: 25 내지 32℃
- 분리: 70% TFA/29% DCM/1% H2O, 4시간
- 추출: 에틸에테르
1) 레진 팽윤(swelling)
여과막이 장착된 고상(solid-phase) 합성반응기에 합성말단에 카르복시기(-COOH)를 갖는 펩타이드 합성은 클로로트리틸 클로라이드 레진(2-Chlorotritylchloride resin, Bead Tech)을 이용하였다. 또한, 합성 말단에 펩타이드 결합(-CONH2)으로 끝나는 펩타이드 합성은 링크 아마이드 레진(Rink amide resin, GLS)을 이용하였다. DCM 및 DMF를 사용하여 30분 동안 레진을 팽윤시켰다.
2) 아미노산 로딩(loading)
클로로트리틸 클로라이드 레진을 이용한 합성은 첫 아미노산을 레진에 로딩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팽윤시킨 레진을 감압 하에서 여과막을 통해 용매를 제거하였다. 상기 레진에 2 당량의 Fmoc-Arg(Pbf)-OH를 DMF에 완전히 녹인 후 클로로트리틸 클로라이드 레진에 첨가하였고, 밀도를 고려한 DIEA를 클로로트리틸 클로라이드 레진의 4 당량에 해당하는 양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기를 이용하여 5시간 이상, 25℃ 내지 32℃ 온도에서 반응을 실시하였다.
3) 레진 Fmoc 탈보호
상기 클로로트리틸 클로라이드 레진 또는 링크 아마이드 레진을 이용한 합성과정은 Fmoc의 탈보호 반응시키는 과정이 포함되었다. 레진 Fmoc 탈보호 과정은 감압 하에서 여과막을 통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20%(v/v) 피페리딘을 첨가한 DMF을 사용하여 5분간 세척하였다. 그 후, 다시 20%(v/v) 피페리딘을 첨가한 DMF을 사용하여 10분간 세척하였다. 감압 하에서 여과하여 반응액을 제거하고 DCM 또는 DMF를 사용하여 2분씩 6차례 이상 세척하였다.
4) 아미노산 합성 및 유기산 결합
상기 링크 아마이드 레진에 3 내지 5 당량의 Fmoc-Arg(Pbf)-OH(GLS)를 DMF에 완전히 녹인 후, 용매를 제거한 링크 아마이드 레진에 넣어주었다. 커플링 시약(coupling reagent)으로 2 M HOBt/DIC(Hydroxybenzotriazole/ diisopropylcarbodiimide)를 아미노산 당량 및 링크 아마이드 레진 양에 맞게 넣어주었다. 이후, 반응기를 이용하여 5시간 이상, 25℃ 내지 32℃ 온도에서 합성을 실시하였다. 반응이 종료되면 용매를 벤트시킨 후, 깨끗한 DMF로 2분씩 6회에 걸쳐 세척하였다.
세척 후, 상기 아미노산 결합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Fmoc-Arg(pbf)-OH, Fmoc-Gln(Trt)-OH, Fmoc-Met-OH, Fmoc-Glu(tBu)-OH 및 Fmoc-Glu(tBu)-OH의 아미노산을 순서대로 커플링하였다. 그 후, 헥사펩타이드가 합성된 상태의 레진에 페룰산을 4 당량, 2 M HOBt/DIC를 아미노산 당량 및 레진 양에 맞게 넣어주었다. 이후 반응기를 이용하여 5시간 이상, 25℃ 내지 32℃ 온도에서 반응시켰다.
5) 분리(Cleavage)
반응이 종료되면 감압하에서 여과막을 통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깨끗한 DMF로 2분씩 2회, DCM으로 2분씩 2회 걸쳐 세척하였다. 그 후, 용매를 거의 벤트시켜 제거하였다. 건조된 페룰산-EEMQRR-NH2 복합체 레진을 70%(v/v) TFA/ 29%(v/v) DCM/ 1%(v/v) H2O 용액을 이용하여 4시간 동안 분리를 실시하였다.
6) 재결정 (Crystallize)
분리가 완료된 용매를 에틸에테르(Ethyl ether)를 이용해 조(Crude) 제품을 재결정화시켜 추출하였다.
또한, 포름산-EEMQRR-NH2, 글루쿠론산-EEMQRR-NH2, 락트산-EEMQRR-NH2, 메발론산-EEMQRR-NH2, 프로피온산-EEMQRR-NH2, 피루브산-EEMQRR-NH2, 퀸산-EEMQRR-NH2, 시키미산-EEMQRR-NH2, 아비에트산-EEMQRR-NH2, 아시아틱산-EEMQRR-NH2, 콜산-EEMQRR-NH2, 우르소디옥시콜산-EEMQRR-NH2, 우르솔산-EEMQRR-NH2, 아젤라산-EEMQRR-NH2, 디피콜린산-EEMQRR-NH2, 푸마르산-EEMQRR-NH2, 이타콘산-EEMQRR-NH2, 말산-EEMQRR-NH2, 옥살산-EEMQRR-NH2, 숙신산-EEMQRR-NH2, 타르타르산-EEMQRR-NH2, 알파-케토글루타르산-EEMQRR-NH2, 시트르산-EEMQRR-NH2, 리포산-EEMQRR-NH2, 제란산-EEMQRR-NH2, 소르빈산-EEMQRR-NH2, 바이오틴-EEMQRR-NH2, 트레티노인-EEMQRR-NH2, 카페산-EEMQRR-NH2, 계피산-EEMQRR-NH2, 로즈마린산-EEMQRR-NH2, 니코틴산-EEMQRR-NH2 및 시링산-EEMQRR-NH2 복합체도 상기 페룰산-EEMQRR-NH2 복합체 합성공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실시예 1.2. 유기산-헥사펩타이드 복합체 정제
실시예 1.1.에서 합성한 페룰산-EEMQRR-NH2 복합체 조제품을 10%(v/v) 아세토니트릴을 첨가한 증류수 용액에 녹였다. 그 후, 하기와 같은 그라디언트(gradient) 조건하에서 HPLC로 정제 후, 동결 건조하여 페룰산-EEMQRR-NH2 복합체를 수득하였다(도 1 내지 도 34). 상기 그라디언트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A. 기기: Shimadzu 8A (5 cm * 25 cm)/8A (prep(dia 5 cm))
B. 용매의 조성: 버퍼 A=0.05% TFA/아세토나이트릴, 버퍼 B=0.05% TFA/H2O
C. 흐름 속도(Flow rate): 14 ㎖/분
D. 컬럼: Silicagel C18 reverse phase
E. 흡광도: 230 nm
E. 그라디언트
Time(min) H2O(%) Acetonitrile(%)
0-12 89→77 11→23
12-13 77→5 23→95
13-18 5→5 95→95
18-19 5→89 95→11
19-27 89→89 11→11
또한, 포름산-EEMQRR-NH2, 글루쿠론산-EEMQRR-NH2, 락트산-EEMQRR-NH2, 메발론산-EEMQRR-NH2, 프로피온산-EEMQRR-NH2, 피루브산-EEMQRR-NH2, 퀸산-EEMQRR-NH2, 시키미산-EEMQRR-NH2, 아비에트산-EEMQRR-NH2, 아시아틱산-EEMQRR-NH2, 콜산-EEMQRR-NH2, 우르소디옥시콜산-EEMQRR-NH2, 우르솔산-EEMQRR-NH2, 아젤라산-EEMQRR-NH2, 디피콜린산-EEMQRR-NH2, 푸마르산-EEMQRR-NH2, 이타콘산-EEMQRR-NH2, 말산-EEMQRR-NH2, 옥살산-EEMQRR-NH2, 숙신산-EEMQRR-NH2, 타르타르산-EEMQRR-NH2, 알파-케토글루타르산-EEMQRR-NH2, 시트르산-EEMQRR-NH2, 리포산-EEMQRR-NH2, 제란산-EEMQRR-NH2, 소르빈산-EEMQRR-NH2, 바이오틴-EEMQRR-NH2, 트레티노인-EEMQRR-NH2, 카페산-EEMQRR-NH2, 계피산-EEMQRR-NH2, 로즈마린산-EEMQRR-NH2, 니코틴산-EEMQRR-NH2 및 시링산-EEMQRR-NH2 복합체도 상기 페룰산-EEMQRR-NH2 정제공정과 같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실험예 1. 헥사펩타이드의 N-말단, C-말단 또는 곁사슬 위치에서의 유기산 결합 확인
헥사펩타이드의 N-말단, C-말단 또는 곁사슬 위치에서의 유기산이 결합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제란산-EEMQRR-NH2, COOH-EEMQRR-제란산 및 COOH-EE(제란산)MQRR-NH2 복합체를 합성하였다.
상기 제란산-EEMQRR-NH2, COOH-EEMQRR-제란산 및 COOH-EE(제란산)MQRR-NH2 복합체의 합성방법은 도 35 내지 37에 나타내었다. 제란산-EEMQRR-NH2 복합체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도 35).
상기 COOH-EEMQRR-제란산 복합체는 하기 과정을 통해 합성하였다. 먼저, 트리틸 레진(trityl resin)을 반응기에 넣고 DCM/DMF를 이용해 2회 세척한 후, DCM을 이용해 30분간 반응기에서 레진을 팽윤시켰다. 그 후, 레진에 아르기닌(Arg, R) 아미노산 2eq 및 DIEA 1eq를 넣고 4시간 동안 로딩시켰다. 로딩 후, DMF을 이용하여 5회 세척하였다. 상기 아르기닌을 로딩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르기닌, 글루타민(Gln, Q), 메티오닌(Met, M), 글루탐산(Glu, E), 글루탐산 순서로 나머지 5개의 아미노산을 로딩하였다. 이 과정을 반복하여 COOH-EEMQRR를 합성한 후, 레진을 5% TFA/DCM을 이용하여 COOH-EEMQRR를 떼어내었다. 그 후, HOBt, DIC를 이용하여 제란산을 COOH-EEMQRR의 N 말단에 결합시켰다(도 36).
반응이 완료된 COOH-EEMQRR-제란산을 DMF로 3 내지 4회, DCM로 3 내지 4회 세척하고, 펌프를 이용하여 건조하였다. 건조 과정이 끝난 후, 70% TFA를 이용하여 실시예 1.1의 (5) 분리 과정과 동일하게 4시간 동안 분리과정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1.1의 (6) 재결정 과정과 동일하게, 반응기에서 분리과정이 끝난 용액(cleavage solution)을 취해 튜브로 옮겨 공기건조 시키고, 이틸에티르를 이용하여 용액 내에 녹아있는 COOH-EEMQRR-제란산을 고체 상태로 회수하였다. 회수한 COOH-EEMQRR-제란산을 HPLC 분석 후 정제를 진행하였다.
상기 COOH-EE(제란산)MQRR-NH2는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EEMQRR-NH2를 펩타이드를 합성한 후, 글루타민의 보호기(Protecting group)을 제거한 후 EDC, HoAt를 첨가하여 에틸렌 글리콜 링커를 결합한 후, DMF로 3회 세척한 후 HOBt, DIC를 이용하여 제란산을 결합시켰다(도 37). 그 후, 실시예 1.1의 (5) 분리 및 (6) 재결정 과정과 동일하게 분리 및 재결정 과정을 진행하였다. 회수한 COOH-EE(제란산)MQRR-NH2를 HPLC 분석 후 정제를 진행하였다.
실험예 2. 유기산-헥사펩타이드 복합체의 항산화 효과 확인
안정한 자유 라디칼인 DPPH(1,1-Diphenyl-2-picryhydrazyl, Sigma D9132-1G)를 이용하여 라디칼이 감소하는 정도를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로 측정하여 간접적으로 시료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에탄올 0.4 ㎖에 0.1 mM의 DPPH 용액 0.5 ㎖ 및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한 다양한 농도의 유기산-헥사펩타이드 복합체(시료)들을 각각 0.1 ㎖씩 첨가하고, 10초간 강하게 볼텍싱한 후 냉암소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분광광도계 ELISA를 이용하여 517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비타민 C(Ascorbic acid)를 사용하였다.
[수학식 1]
DPPH 자유라디칼 소거능(%) = {1-시료의 흡광도/Blank의 흡광도)x100}
DPPH는 에탄올 내에서 고유의 보라색을 띄게 되는데 항산화 물질로 인하여 환원되면 고유의 보라색을 잃고 노란색으로 변하게 된다. DPPH는 517 nm 파장에서 분광분석을 통하여 라디칼을 측정 가능하다.
그 결과, 헥사펩타이드 복합체를 농도별로 처리한 경우 DPPH의 자유라디칼 소거능이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항산화 작용이 우수한 비타민 C와 비교하였을 때 로즈마린산-EEMQRR-NH2 및 카페산-EEMQRR-NH2에서 비타민 C와 비슷한 DPPH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보였다(표 8).
번호 유기산 펩타이드 복합체 M.W. (g/mol) SC50 (mM)
1 비타민 C (Ascorbic acid) 176.12 0.0313
2 로즈마린산-EEMQRR-NH2 1189.28 0.0342
3 카페산-EEMQRR-NH2 1009.12 0.0398
4 아시아틱산-EEMQRR-NH2 1317.67 0.0654
5 시트르산-EEMQRR-NH2 1021.08 0.0884
6 퀸산-EEMQRR-NH2 1021.13 0.0914
7 시키미산-EEMQRR-NH2 1003.11 0.1001
8 페룰산-EEMQRR-NH2 1023.14 0.1543
9 디피콜린산-EEMQRR-NH2 996.08 0.1895
10 메발론산-EEMQRR-NH2 977.12 0.9846
11 콜산-EEMQRR-NH2 1237.53 0.9985
12 타르타르산-EEMQRR-NH2 979.05 1.1649
13 푸마르산-EEMQRR-NH2 945.03 1.1849
14 말산-EEMQRR-NH2 963.05 1.444
15 숙신산-EEMQRR-NH2 947.05 1.5621
16 아젤라산-EEMQRR-NH2 1017.18 1.8708
17 아비에트산-EEMQRR-NH2 1131.42 1.8971
18 피루브산-EEMQRR-NH2 917.02 1.9984
19 글루쿠론산-EEMQRR-NH2 1023.1 2.086
20 옥살산-EEMQRR-NH2 918.99 2.0862
21 우르솔산-EEMQRR-NH2 1285.67 3.1578
22 시링산-EEMQRR-NH2 1027.13 4.6845
23 우루소데옥시콜산-EEMQRR-NH2 1221.52 4.7586
24 케토글루타르산-EEMQRR-NH2 975.07 5.7794
25 제란산-EEMQRR-NH2 997.2 7.0971
26 니코틴산-EEMQRR-NH2 951.08 7.0971
27 트레티노인-EEMQRR-NH2 1129.4 7.4456
28 비오틴-EEMQRR-NH2 1073.27 10.2553
29 락트산-EEMQRR-NH2 919.04 12.3246
30 소르빈산-EEMQRR-NH2 941.09 12.6458
31 프로피온산-EEMQRR-NH2 903.04 14.5532
32 폼산-EEMQRR-NH2 874.99 16.0856
33 계피산-EEMQRR-NH2 977.12 18.5468
34 리포산-EEMQRR-NH2 1035.28 19.8465
35 이타콘산-EEMQRR-NH2 959.06 20.5423
상기 표 8의 SC50은 자유라디칼을 50% 소거할 때의 시료 농도로 의미한다.그 외 유기산-헥사펩타이드 복합체에서도 DPPH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보임으로 위의 34종의 유기산-헥사펩타이드 복합체들은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유기산-헥사펩타이드 복합체의 피부재생 효과 확인
상처 회복 실험(Wound healing assay)를 통해 유기산-헥사펩타이드 복합체에 의한 세포 증식 및 이동 촉진 유무를 통해 피부재생 효과를 평가하였다. 인간 각질형성 세포주 HaCaT(human keratinocyte, AddexBio, US, Catalog No: T0020001)를 사용하였으며, 세포배양을 위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Antibiotic-Antimycotic은 GIBCO에서 구입하였으며, FBS(fatal bovine serum)는 Capricorn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HaCaT 세포는 DMEM에 10% FBS, 1% Antibiotic-Antimycotic과 함께, 100 mm/60.1 cm2 배양접시에서 37℃, 5% CO2,100% 습윤 조건의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HaCaT 세포의 세포포화도가 90% 정도 될 때, 100 mm/60.1 cm2 배양접시에서 1.5x105 cells/12-웰-플레이트에 분주하여 48시간 동안 37℃, 5% CO2,100% 습윤 조건의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FBS를 첨가하지 않는 DMEM으로 교체한 후, 각 웰에 200 ㎕ 팁을 이용해 스크레치를 냈다. 실험군으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유기산-헥사펩타이드 복합체를 사용하였으며, 100 ng/㎖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hEGF(Sigma-Aldrich, USA)를 사용하였으며, 0.5 ng/㎖ 농도로 처리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 1xPBS를 사용하였다.
실험군 또는 대조군 처리한 후, 바로 세포 사진을 현미경으로 찍고 37℃, 5% CO2의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20시간 동안 추가배양 후, 현미경으로 세포 사진을 찍어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세포 재생 정도를 계산하였다. SPSS 통계 분석 프로그램을 통하여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시그마플롯 프로그램을 통하여 그래프를 제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은 P 값(value)이 0.05 이하일 때 유의성 있게 평가하였다.
[수학식 2]
상처회복 면적(Wound healing area) (%) = {(A-B)/A}x100
A = 실험군 또는 대조군 처리 직후 0시간대, 상처 면적
B = 실험군 또는 대조군 처리 후 20시간대, 상처 면적
그 결과, 유기산-헥사펩타이드 복합체 34종 모두에서 음성대조군(PBS)보다 회복 면적이 증가하였다. 그 중에서도 페룰산-EEMQRR-NH2이 음성대조군에 비해 각각 약 2배 이상 회복 면적(healing area)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효능이 좋은 페룰산-EEMQRR-NH2와 로즈마린산-EEMQRR-NH2와 각각의 Acetyl-EEMQRR-NH2(Acetyl hexapeptide-8), EEMQRR-NH2(헥사펩타이드)및 유기산의 상처회복 면적 비교를 통해 유기산-헥사펩타이드 복합체가 각각(유기산, 헥사펩타이드)을 처리했을 때보다 회복 면적(healing area)이 증가하였다(도 38a 내지 도 38c).
또한, 실험예 1.에서 제조한 제란산-EEMQRR-NH2, COOH-EEMQRR-제란산 및 COOH-EE(제란산)MQRR-NH2 복합체에 의한 세포 증식 및 이동 촉진 유무를 통해 피부재생 효과를 평가하였다. 실험방법은 상기와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그 결과, 제란산-EEMQRR-NH2, COOH-EEMQRR-제란산 및 COOH-EE(제란산)MQRR-NH2 복합체 모두 음성대조군에 비해 각각 약 2배 이상 회복 면적(healing area)이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유기산-헥사펩타이드 복합체들이 세포의 증식 및 이동을 촉진하여 회복 면적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며, 따라서 피부재생에도 효능을 가짐으로 화장료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39).
실험예 4. 유기산-헥사펩타이드 복합체의 세포독성 확인
제란산-EEMQRR-NH2, COOH-EEMQRR-제란산 및 COOH-EE(제란산)MQRR-NH2 복합체의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WST-1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충분히 성장한 세포를 2x104 cells/well 농도로 96-웰-플레이트에 옮겨 배양하였다. 세포가 플레이트 바닥에 모두 부착할 수 있도록 24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몇 개의 웰은 세포없이 배지만 채워주었다. 샘플은 DMEM을 이용하여 최종 부피가 100 ㎕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WST-1 시약은 각 웰당 10 ㎕ 분주하였으며, 분주 후 4시간 동안 37℃ 온도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450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란산-EEMQRR-NH2, COOH-EEMQRR-제란산 및 COOH-EE(제란산)MQRR-NH2 복합체 모두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변이된 헥사펩타이드 복합체 제조
Fmoc-Glu(tbu)-OH, Fmoc-Met-OH, Fmoc-Gln(Trt)-OH 및 Fmoc-Arg(Pbf)-OH 원료는 GLS(GL Biochem, Shanghai)로부터 구매하였다. 또한, 베타메타손,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Betamethasone valerate), 베타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Betamethasone dipropionate), 모메타손푸로에이트(Mometasone furoate), 덱사메타손, 하이드로코르티손, 하이드로코르티손 17-부틸레이트(Hydrocortisone 17-butyrate), 프리드니손, 메틸프리드니손 및 에스트리올은 Sigma(Sigma Aldrich, US)에서 구매하였다. 또한, 글루타르산 무수물(glutaric anhydride)은 TCI (TCI chemicals)에서 구매하였다. 또한, 디플루코르토론 발레레이트(Diflucortolone valerate) 및 메틸프레드니솔론 아세포네이트(Methylprednisolone aceponate)은 Henan Tianfu Chemical에서 구매하였다. 또한, DMF(dimethylformamide), DIEA(N,N-diisopropylethylamine), DCM(Dichloromethane) 및 피페리딘(piperidine)은 대정화금으로부터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1. 변이된 헥사펩타이드 복합체 합성
변이된 헥사펩타이드 복합체 합성공정은 하기 1) 내지 8)의 공정과정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합성공정 조건은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레진 치환율:
- 링크 아마이드 MBHA 레진 (치환율: 0.65 mmole/g)
- 클로로트리틸 클로라이드 레진(치환율: 1.25 mmol/g)
- 아미노산: 3 내지 5 eq
- 커플링 시약: DIC, HOBt, DMF
- 링커 커플링 시약: DIEA 또는 HOBT/DIC
- 커플링 시간: 5시간
- 커플링 온도: 25 내지 32℃
- 분리: 70% TFA/29% DCM/1% H2O, 4시간
- 추출: 에틸에테르
1) 레진 팽윤(swelling)
여과막이 장착된 고상(solid-phase) 합성반응기에 합성 말단에 카르복시기(-COOH)를 갖는 펩타이드 합성은 클로로트리틸 클로라이드 레진(2-Chlorotritylchloride resin, Bead Tech)을 이용하였다. 또한, 합성 말단에 펩타이드 결합(-CONH2)으로 끝나는 펩타이드 합성은 링크 아마이드 레진(Rink amide resin, GLS)을 이용하였다. DCM 및 DMF를 사용하여 30분 동안 레진을 팽윤시켰다.
2) 아미노산 로딩(loading)
클로로트리틸 클로라이드 레진을 이용한 합성은 첫 아미노산을 레진에 로딩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팽윤시킨 레진을 감압 하에서 여과막을 통해 용매를 제거하였다. 상기 레진에 2 당량의 Fmoc-Arg(Pbf)-OH를 DMF에 완전히 녹인 후 클로로트리틸 클로라이드 레진에 첨가하였고, 밀도를 고려한 DIEA를 클로로트리틸 클로라이드 레진의 4 당량에 해당하는 양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기를 이용하여 5시간 이상, 25℃ 내지 32℃ 온도에서 반응을 실시하였다.
3) 레진 Fmoc 탈보호
상기 클로로트리틸 클로라이드 레진 또는 링크 아마이드 레진을 이용한 합성과정은 Fmoc의 탈보호 반응시키는 과정이 포함되었다. 레진 Fmoc 탈보호 과정은 감압 하에서 여과막을 통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20%(v/v) 피페리딘을 첨가한 DMF을 사용하여 5분간 세척하였다. 그 후, 다시 20%(v/v) 피페리딘을 첨가한 DMF을 사용하여 10분간 세척하였다. 감압 하에서 여과하여 반응액을 제거하고 DCM 또는 DMF를 사용하여 2분씩 6차례 이상 세척하였다.
4) 아미노산 합성
상기 링크 아마이드 레진에 3 내지 5 당량의 Fmoc-Arg(Pbf)-OH(GLS)를 DMF에 완전히 녹인 후, 용매를 제거한 링크 아마이드 레진에 넣어주었다. 커플링 시약(coupling reagent)으로 2 M HOBt/DIC(Hydroxybenzotriazole/ diisopropylcarbodiimide)를 아미노산 당량 및 링크 아마이드 레진 양에 맞게 넣어주었다. 이후, 반응기를 이용하여 5시간 이상, 25℃ 내지 32℃ 온도에서 합성을 실시하였다. 반응이 종료되면 용매를 벤트시킨 후, 깨끗한 DMF로 2분씩 6회에 걸쳐 세척하였다.
세척 후, 상기 아미노산 결합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Fmoc-Arg(pbf)-OH, Fmoc-Gln(Trt)-OH, Fmoc-Met-OH, Fmoc-Glu(tBu)-OH 및 Fmoc-Glu(tBu)-OH의 아미노산을 순서대로 커플링하였다.
5) 링커 결합
5-1) DIEA를 이용한 링커 결합
상기 헥사펩타이드가 합성된 상태의 레진에 Fmoc 탈보호를 진행하고 세척된 레진에 링커인 글루타르산 무수물(glutaric anhydride)을 3당량, 2 M 농도의 DIEA를 글루타르산 무수물 당량 및 링크 아마이드 레진 양에 맞게 넣어주었다. 이후, 반응기를 이용하여 5시간 이상, 25℃ 내지 32℃ 온도에서 합성을 실시하였다. 반응이 종료되면 용매를 벤트시킨 후, 깨끗한 DMF로 2분씩 6회에 걸쳐 세척하였다.
상기 글루타르산 무수물 대신에 숙신산(Succinic acid) 또는 말레산 무수물(Maleic anhydride)을 이용하여 숙신산 링커 또는 말레산 링커를 결합시켰다.
5-2) HOBT/DIC를 이용한 링커 결합
또한, 상기 헥사펩타이드가 합성된 상태의 레진에 Fmoc 탈보호를 진행하고 세척된 레진에 링커인 말론산(Malonic acid)을 3당량, 2 M 농도의 HOBT/DIC를 말론산 당량 및 링크 아마이드 레진 양에 맞게 넣어주었다. 이후, 반응기를 이용하여 5시간 이상, 25℃ 내지 32℃ 온도에서 합성을 실시하였다. 반응이 종료되면 용매를 벤트시킨 후, 깨끗한 DMF로 2분씩 6회에 걸쳐 세척하였다.
상기 말론산 대신에 아디프산(Adip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또는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2,6-Naphthalenedicarboxylic acid)을 이용하여 아디프산 링커, 푸마르산 링커, 이소프탈산 링커, 테레프탈산 링커 또는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링커를 결합시켰다.
6) 스테로이드 결합
그 후, 링커 결합된 상태의 헥사펩타이드 레진에 베타메타손을 3 당량, DMAP/2M DIC를 아미노산 당량 및 레진 양에 맞게 넣어주었다. 이후 반응기를 이용하여 5시간 이상, 25 내지 32℃ 온도에서 반응시켰다.
7) 분리(Cleavage)
반응이 종료되면 감압하에서 여과막을 통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깨끗한 DMF로 2분씩 2회, DCM으로 2분씩 2회 걸쳐 세척하였다. 그 후, 용매를 거의 벤트시켜 제거하였다. 건조된 변이된 헥사펩타이드 복합체 레진을 70%(v/v) TFA/ 29%(v/v) DCM/ 1%(v/v) H2O 용액을 이용하여 4시간 동안 분리를 실시하였다(도 41 및 도 42).
8) 재결정 (Crystallize)
분리가 완료된 용매를 에틸에테르(Ethyl ether)를 이용해 조(Crude) 제품을 재결정화 시켜 베타메타손-EEMQRR-NH2 추출하였다.
상기 베타메타손-EEMQRR-NH2 합성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덱사메타손-EEMQRR-NH2, 하이드로코르티손-EEMQRR-NH2, 프리드니손-EEMQRR-NH2, 메틸프리드니손-EEMQRR-NH2 및 에스트리올-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EEMQRR-NH2, 베타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EEMQRR-NH2, 디플루코르토론 발레레이트-Glutaroyl-EEMQRR-NH2, 하이드로코르티손 17-부틸레이트-EEMQRR-NH2, 모메타손푸로에이트-EEMQRR-NH2, 메틸프레드니솔론 아세포네이트-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Glutar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Succin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Male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Malon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Adip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Fumar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Isophthal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Terephthalic-EEMQRR-NH2 및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2,6-Naphthalenedicarboxylic-EEMQRR-NH2를 합성하였다.
실시예 2.2. 변이된 헥사펩타이드 복합체 정제
실시예 2.1.에서 합성한 베타메타손-EEMQRR-NH2 복합체 조제품을 10%(v/v) 아세토니트릴을 첨가한 증류수 용액에 녹였다. 그 후, 하기 그라디언트(gradient) 조건하에서 HPLC로 정제 후, 동결 건조하여 베타메타손-EEMQRR-NH2 복합체를 수득하였다(도 43 내지 도 48). 상기 그라디언트는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A. 기기: Shimadzu 8A (5 cm * 25 cm)/8A (prep(dia 5 cm))
B. 용매의 조성: 버퍼 A=0.05% TFA/아세토나이트릴, 버퍼 B=0.05% TFA/H2O
C. 흐름 속도(Flow rate): 14 ㎖/분
D. 컬럼: Silicagel C18 reverse phase
E. 흡광도: 230 nm
E. 그라디언트
Time(min) H2O(%) Acetonitrile(%)
0-12 80→65 20→35
12-13 65→5 35→95
13-18 5→5 95→95
18-19 5→80 95→20
19-27 80→80 20→20
또한, 덱사메타손-EEMQRR-NH2, 하이드로코르티손-EEMQRR-NH2, 프리드니손-EEMQRR-NH2, 메틸프리드니손-EEMQRR-NH2 및 에스트리올-EEMQRR-NH2 복합체,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EEMQRR-NH2, 베타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EEMQRR-NH2, 디플루코르토론 발레레이트-Glutaroyl-EEMQRR-NH2, 하이드로코르티손 17-부틸레이트-EEMQRR-NH2, 모메타손푸로에이트-EEMQRR-NH2, 메틸프레드니솔론 아세포네이트-EEMQRR-NH2 복합체,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Glutar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Succin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Male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Malon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Adip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Fumar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Isophthal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Terephthalic-EEMQRR-NH2 및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2,6-Naphthalenedicarboxylic-EEMQRR-NH2 복합체도 상기 베타메타손-EEMQRR-NH2 복합체 정제공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제하였다.
실험예 4. 변이된 헥사펩타이드 복합체의 항산화 효과 확인
안정한 자유 라디칼인 DPPH(1,1-Diphenyl-2-picryhydrazyl, Sigma D9132-1G)를 이용하여 라디칼이 감소하는 정도를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로 측정하여 간접적으로 시료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에탄올 0.4 ㎖에 0.1 mM의 DPPH 용액 0.5 ㎖ 및 상기 실시예 2.에서 합성한 다양한 농도의 변이된 헥사펩타이드 복합체(시료)들을 각각 0.1 ㎖씩 첨가하고, 10초간 강하게 볼텍싱한 후 냉암소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분광광도계 ELISA를 이용하여 517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비타민 C(Ascorbic acid)를 사용하였다.
[수학식 1]
DPPH 자유라디칼 소거능(%) = {1-시료의 흡광도/Blank의 흡광도)x100}
DPPH는 에탄올 내에서 고유의 보라색을 띄게 되는데 항산화 물질로 인하여 환원되면 고유의 보라색을 잃고 노란색으로 변하게 된다. DPPH는 517 nm 파장에서 분광분석을 통하여 라디칼을 측정 가능하다.
그 결과, 변이된 헥사펩타이드 복합체를 농도별로 처리한 경우 DPPH의 자유라디칼 소거능이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11).
번호 변이된 헥사펩타이드 복합체 M.W. (g/mol) SC50 (mM)
1 비타민 C (Ascorbic acid) 176.12 0.0313
2 히드로코르티손-글루타로일-EEMQRR-NH2 1305.5 10.5796
3 메틸프레드니솔론-글루타로일-EEMQRR-NH2 1317.51 11.5849
4 프리드니손-글루타로일-EEMQRR-NH2 1301.47 14.5689
5 에스트리올-글루타로일-EEMQRR-NH2 1233.44 16.2465
6 덱사메타손-글루타로일-EEMQRR-NH2 1335.5 18.9578
7 베타메타손-글루타로일-EEMQRR-NH2 1335.5 20.2368
상기 표 11은 변이된 헥사펩타이드 복합체의 DPPH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표이다. SC50은 자유라디칼을 50% 소거할 때의 시료 농도로 의미한다.그 외 변이된 헥사펩타이드 복합체에서도 DPPH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보임으로 위의 6종의 변이된 헥사펩타이드 복합체들은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에 5. 변이된 헥사펩타이드 복합체의 피부재생 효과 확인
상처 회복 실험(Wound healing assay)를 통해 변이된 헥사펩타이드 복합체에 의한 세포 증식 및 이동 촉진 유무를 통해 피부재생 효과를 평가하였다. 인간 각질형성 세포주 HaCaT(human keratinocyte, AddexBio, US, Catalog No: T0020001)를 사용하였으며, 세포배양을 위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Antibiotic-Antimycotic은 GIBCO에서 구입하였으며, FBS(fatal bovine serum)는 Capricorn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HaCaT 세포는 DMEM에 10% FBS, 1% Antibiotic-Antimycotic과 함께, 100 mm/60.1 cm2 배양접시에서 37℃, 5% CO2,100% 습윤 조건의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HaCaT 세포의 세포포화도가 90% 정도 될 때, 100 mm/60.1 cm2 배양접시에서 1.5x105 cells/12-웰-플레이트에 분주하여 48시간 동안 37℃, 5% CO2,100% 습윤 조건의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FBS를 첨가하지 않는 DMEM으로 교체한 후, 각 웰에 200 ㎕ 팁을 이용해 스크레치를 냈다. 실험군으로 실시예 2.에서 합성한 변이된 헥사펩타이드 복합체를 사용하였으며, 100 ng/㎖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hEGF(Sigma-Aldrich, USA)를 사용하였으며, 0.5 ng/㎖ 농도로 처리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 1xPBS를 사용하였다.
실험군 또는 대조군 처리한 후, 바로 세포 사진을 현미경으로 찍고 37℃, 5% CO2의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20시간 동안 추가배양 후, 현미경으로 세포 사진을 찍어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세포 재생 정도를 계산하였다. SPSS 통계 분석 프로그램을 통하여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시그마플롯 프로그램을 통하여 그래프를 제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은 P value가 0.05 이하일 때 유의성 있게 평가하였다.
[수학식 2]
상처회복 면적(Wound healing area) (%) = {(A-B)/A}x100
A = 실험군 또는 대조군 처리 직후 0시간대, 상처 면적
B = 실험군 또는 대조군 처리 후 20시간대, 상처 면적
그 결과, 변이된 헥사펩타이드 복합체 6종 모두에서 음성대조군(PBS)보다 회복 면적이 증가하였다(도 49).
또한, 실시예 2.에서 합성한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EEMQRR-NH2, 베타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EEMQRR-NH2, 디플루코르토론 발레레이트-Glutaroyl-EEMQRR-NH2, 하이드로코르티손 17-부틸레이트-EEMQRR-NH2, 모메타손푸로에이트-EEMQRR-NH2 및 메틸프레드니솔론 아세포네이트-EEMQRR-NH2 복합체에 의한 세포 증식 및 이동 촉진 유무를 통해 피부재생 효과를 평가하였다. 실험방법은 상기와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그 결과,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EEMQRR-NH2, 베타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EEMQRR-NH2, 디플루코르토론 발레레이트-Glutaroyl-EEMQRR-NH2, 하이드로코르티손 17-부틸레이트-EEMQRR-NH2, 모메타손푸로에이트-EEMQRR-NH2 및 메틸프레드니솔론 아세포네이트-EEMQRR-NH2복합체 모두 음성대조군에 비해 각각 약 2배 이상 회복 면적(healing area)이 증가하였다(도 50).
나아가, 실시예 2.에서 제조한 9종의 링커를 이용하여 스테로이드를 결합시킨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Glutar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Succin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Male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Malon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Adip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Fumar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Isophthal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Terephthalic-EEMQRR-NH2 및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2,6-Naphthalenedicarboxylic-EEMQRR-NH2 복합체에 의한 세포 증식 및 이동 촉진 유무를 통해 피부재생 효과를 평가하였다. 실험방법은 상기와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그 결과,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Glutar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Succin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Male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Malon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Adip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Fumar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Isophthal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Terephthalic-EEMQRR-NH2 및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2,6-Naphthalenedicarboxylic-EEMQRR-NH2 복합체 모두 음성대조군에 비해 각각 약 2배 이상 회복 면적(healing area)이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변이된 헥사펩타이드 복합체들이 세포의 증식 및 이동을 촉진하여 회복 면적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며, 따라서 피부재생에도 효능을 가짐으로 화장료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51).
실험예 6. 변이된 헥사펩타이드 복합체의 세포독성 확인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EEMQRR-NH2, 베타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EEMQRR-NH2, 디플루코르토론 발레레이트-Glutaroyl-EEMQRR-NH2, 하이드로코르티손 17-부틸레이트-EEMQRR-NH2, 모메타손푸로에이트-EEMQRR-NH2, 메틸프레드니솔론 아세포네이트-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Glutar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Succin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Male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Malon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Adip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Fumar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Isophthal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Terephthalic-EEMQRR-NH2 및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2,6-Naphthalenedicarboxylic-EEMQRR-NH2 복합체의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WST-1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충분히 성장한 세포를 2x104 cells/well 농도로 96-웰-플레이트에 옮겨 배양하였다. 세포가 플레이트 바닥에 모두 부착할 수 있도록 24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몇 개의 웰은 세포없이 배지만 채워주었다. 샘플은 DMEM을 이용하여 최종 부피가 100 ㎕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WST-1 시약은 각 웰당 10 ㎕ 분주하였으며, 분주 후 4시간 동안 37℃ 온도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450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2 및 5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EEMQRR-NH2, 베타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EEMQRR-NH2, 디플루코르토론 발레레이트-Glutaroyl-EEMQRR-NH2, 하이드로코르티손 17-부틸레이트-EEMQRR-NH2, 모메타손푸로에이트-EEMQRR-NH2, 메틸프레드니솔론 아세포네이트-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Glutar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Succin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Male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Malon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Adip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Fumar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Isophthalic-EEMQRR-NH2,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Terephthalic-EEMQRR-NH2 및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2,6-Naphthalenedicarboxylic-EEMQRR-NH2 복합체 모두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110> ANYGEN CO., LTD. <120> ACTIVE MATERIAL-HEXAPEPTIDE COMPLEXES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AME <130> FPD/201806-0020 <150> KR 2017/0119516 <151> 2017-09-18 <150> KR 2017/0119529 <151> 2017-09-18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eunce for hexapeptide <400> 1 Glu Glu Met Gln Arg Arg 1 5

Claims (21)

  1. EEMQRR(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헥사펩타이드와 활성물질이 결합된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로서,
    상기 활성물질이 유기산이고,
    상기 유기산은 제란산(Geranic acid) 또는 로즈마린산(Rosmarinic acid)인,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물질이 헥사펩타이드의 N-말단과 펩타이드 결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헥사펩타이드의 C-말단에 카르복시기가 아마이드기로 치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이드기는 1차, 2차 및 3차 아마이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아마이드기인 것인,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이드기는 1차 아마이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
  19. 제1항 및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크림, 로션, 세럼, 에센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1. 제1항,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처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180110813A 2017-09-18 2018-09-17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93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209A KR102359224B1 (ko) 2017-09-18 2021-01-29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529 2017-09-18
KR1020170119516 2017-09-18
KR20170119516 2017-09-18
KR20170119529 2017-09-1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209A Division KR102359224B1 (ko) 2017-09-18 2021-01-29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218A KR20190032218A (ko) 2019-03-27
KR102293250B1 true KR102293250B1 (ko) 2021-08-26

Family

ID=657239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813A KR102293250B1 (ko) 2017-09-18 2018-09-17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13209A KR102359224B1 (ko) 2017-09-18 2021-01-29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209A KR102359224B1 (ko) 2017-09-18 2021-01-29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00390B2 (ko)
KR (2) KR102293250B1 (ko)
CN (1) CN111278420B (ko)
WO (1) WO20190548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551B1 (ko) * 2019-08-29 2020-07-20 주식회사 씨앤피코스메틱스 포름오노네틴을 지표성분으로 포함하는 레드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티에이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CZ309857B6 (cs) * 2022-03-31 2023-12-20 Contipro A.S. Hexapeptid, kompozice zahrnující tento hexapeptid a jejich topické použití
CN117017874B (zh) * 2023-10-08 2023-12-05 铂臻(广州)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抗皱紧致面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285B1 (ko) * 2011-11-18 2012-07-23 에이앤펩주식회사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나이아신-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KR101553637B1 (ko) 2014-01-27 2015-09-16 (주)셀인바이오 펩타이드 지방산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7389B1 (en) * 1998-11-19 2004-08-17 Connective Tissue Imagineering Llc Cosmetic or dermatological use of 7-hydroxylated steroids in combination with elastin derived peptides
WO2008063441A2 (en) * 2006-11-16 2008-05-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composition
EP2091516A2 (en) * 2006-12-01 2009-08-26 Anterios, Inc. Peptide nanoparticles and uses therefor
KR100844515B1 (ko) * 2007-03-02 2008-07-08 주식회사 펩트론 발모 증진용 펩타이드 유도체
ES2356883B1 (es) 2008-07-24 2012-02-22 Bcn Peptides, S.A. Composición para el tratamiento del dolor y/o la inflamación.
KR101093252B1 (ko) * 2008-08-27 2011-12-14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4-히드록시 치환기를 가지는 신규의 신나모일 펩타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38312B1 (ko) * 2009-04-13 2012-04-27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펩타이드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5837659A (zh) * 2011-01-20 2016-08-10 万德-生物技术及制药有限公司 抗氧化、抗炎、抗辐射、金属螯合的化合物及其用途
EP2802337B2 (en) * 2011-11-07 2021-01-20 Feng Tian Peptide-based compounds as inhibitors of neurotransmitter secretion
CN103012554B (zh) 2012-12-13 2014-05-21 山东百因制药技术有限公司 氢化可的松-rgd多肽缀合物,其制备方法及应用
CN103044523B (zh) 2012-12-13 2014-05-21 济南向惠医药技术有限公司 地塞米松-rgd多肽缀合物,其制备方法及应用
KR101582306B1 (ko) * 2013-04-22 2016-01-05 애니젠 주식회사 커큐민에 비하여 용해도가 향상된 커큐민―펩타이드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505377B (zh) * 2013-09-11 2015-06-03 深圳市维琪医药研发有限公司 一种具皮肤活性的多肽组合物
SG11201704699YA (en) * 2014-12-08 2017-07-28 JJSK R&D Pte Ltd Carrier molecule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KR101710486B1 (ko) * 2015-01-05 2017-02-28 주식회사 앤코스메슈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870898B1 (ko) * 2015-04-30 2018-06-26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갈릭산이 결합된 펩타이드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11357783B2 (en) * 2016-03-18 2022-06-14 Caregen Co., Ltd. Conjugate of finasteride with peptide
CN106699847B (zh) * 2017-01-04 2020-08-14 陕西慧康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低成本纯化六胜肽的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285B1 (ko) * 2011-11-18 2012-07-23 에이앤펩주식회사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나이아신-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KR101553637B1 (ko) 2014-01-27 2015-09-16 (주)셀인바이오 펩타이드 지방산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723A (ko) 2021-02-09
CN111278420A (zh) 2020-06-12
CN111278420B (zh) 2023-09-19
WO2019054822A1 (ko) 2019-03-21
JP7100390B2 (ja) 2022-07-13
KR102359224B1 (ko) 2022-02-08
JP2020534356A (ja) 2020-11-26
KR20190032218A (ko) 2019-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9224B1 (ko)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WO2007148737A1 (ja) 植物抽出物の調製方法、並びに植物抽出物及びその用途
KR20090056521A (ko)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5041569B2 (ja) チロシナーゼ活性阻害剤、美白剤及び皮膚化粧料
KR101742029B1 (ko)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발아현미를 함유하는 피부노화 및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033921B1 (ko) 피부 염증 및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20220036790A (ko) 신규한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 및 이의 용도
JP2023171950A (ja) 抗老化剤、抗酸化剤、抗炎症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
KR20120097385A (ko) 3,5-디히드록시-2-멘텐일스틸벤, 그것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 및 그 채취 방법과 그 응용
US20220072077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kin diseases comprising bridalwreath spirea
EP3579929B1 (fr) Extraits de la lianemarsdenia cundurango
KR102460456B1 (ko) 구실잣밤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또는 탄력 개선용 조성물
KR101050484B1 (ko) 락톤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3828996B2 (ja) ベルトレティア抽出物を含有してなる化粧用組成物、薬用組成物、及び、細胞培養液用組成物
KR102329000B1 (ko) 금목서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695372B1 (ko) 까치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예방용 조성물
EP3381441B1 (en) External use skin composition for antiaging containing germinated glycine gracilis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JP2004043393A (ja) 血管内皮細胞増殖因子産生促進剤
KR20140125937A (ko) 트리터페노이드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KR102162843B1 (ko) 개암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28125B1 (ko) 메타세콰이어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JP4886878B2 (ja) チロシナーゼ活性阻害剤および美白化粧料
KR102103771B1 (ko)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염증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141343B1 (ko) 마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조성물
TWI754618B (zh) 含有發芽寬葉蔓豆萃取物作為有效成分的抗老化皮膚外用劑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