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3876B1 - 키나제 저해제로서 유용한 우레아 유도체 - Google Patents

키나제 저해제로서 유용한 우레아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3876B1
KR102283876B1 KR1020157031287A KR20157031287A KR102283876B1 KR 102283876 B1 KR102283876 B1 KR 102283876B1 KR 1020157031287 A KR1020157031287 A KR 1020157031287A KR 20157031287 A KR20157031287 A KR 20157031287A KR 102283876 B1 KR102283876 B1 KR 102283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oxy
oxy
ethoxy
tert
but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1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8855A (ko
Inventor
매튜 콜린 토르 파이프
스테펜 말콤 톰
토마스 매튜 베이커
가레스 윌리암 하보틀
베드란 하심베고빅
프렘지 메가니
아론 릭비
콜린 샘브룩-스미스
Original Assignee
옥슬러 액퀴지션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201305945A external-priority patent/GB201305945D0/en
Priority claimed from GBGB1322678.2A external-priority patent/GB201322678D0/en
Priority claimed from GB201402647A external-priority patent/GB201402647D0/en
Application filed by 옥슬러 액퀴지션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옥슬러 액퀴지션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38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8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9/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9/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9/46Two or more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s
    • C07D239/47One nitrogen atom and one oxygen or sulfur atom, e.g. cytos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7/00Sulfones; Sulfoxides
    • C07C317/44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17/48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atom, e.g. amri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771,4-Oxazines, e.g. morpholine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tim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sulfur as the ring hetero atoms, e.g. sulthiame
    • A61K31/541Non-condensed thiazines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 A61K31/5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having two nitrogen atoms, e.g. dilaze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 A61K31/5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having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ring hetero atoms, e.g. loxapine, staurospo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2Nasal agents, e.g. deconges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6Antiglaucoma agents or m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12Ophthalmic agents for cata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1/00Amides of sulfonic acids, i.e. compounds having singly-bound oxygen atoms of sulfo groups replac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11/01Sulfonamides having sulfur atoms of sulfon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11/02Sulfonamides having sulfur atoms of sulfon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 C07C311/08Sulfonamides having sulfur atoms of sulfon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sulfon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7/00Sulfones; Sulfoxides
    • C07C317/26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17/28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with sulfone or sulfox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1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1/8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1/8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1/86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2Nitrogen atoms
    • C07D213/74Amino or imino radicals substituted by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3/6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3/90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Immu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음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하며; 이 화합물은 (예를 들어, p38 미토겐-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효소류; Syk 키나제; 및 티로신 키나제의 Src류의 멤버 하나 이상의 저해를 통한) 항염증 활성을 가지며, 치료제, 예를 들어 약학 조합물로, 특히 염증 질환, 예를 들어 폐, 눈 및 위장관의 염증 질환 치료에서 사용한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426

상기 화학식 I에서, R1A 내지 R1E, R2 내지 R5, L 및 X1 내지 X3는 발명의 설명에 기술된 의미를 갖는다.

Description

키나제 저해제로서 유용한 우레아 유도체{UREA DERIVATIVES USEFUL AS KINASE INHIBITORS}
본 발명은 특히 (예를 들어, p38 미토겐-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효소류(본 원에서는 p38 MAP 키나제 저해제라 칭함), 예를 들어 그의 알파 키나제 서브타입; Syk 키나제; 및 티로신 키나제의 Src류의 멤버 하나 이상의 저해를 통한) 항염증제인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단일요법과 조합요법을 포함하여, 특히 염증 질환, 예를 들어 폐(예컨대, 천식 및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눈(예컨대, 포도막염) 및 위장관(예컨대, 크론병 및 궤양성 대장염)의 염증 질환 치료에 있어서 이 화합물의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에서 분명하게 앞서 공개된 문헌의 목록 또는 언급이 그 문헌이 당 기술수준의 일부이거나, 또는 보편적인 일반 지식이라는 인지로서 필연적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4개의 p38 MAPK 이소폼(isoform)(각각 알파, 베타, 감마 및 델타)이 동정되었으며, 각각은 상이한 조직 발현 패턴을 나타낸다. p38 MAPK 알파와 베타 이소폼은 신체 도처에서 발견되며 수많은 상이한 세포 타입에 존재하고, 이전에 기술된 다양한 작은 분자량의 화합물에 의해 저해된다. 초기의 저해제 종류는 화합물의 표적을 벗어난 작용을 유발하는 이러한 이소폼의 광범위한 조직 분포로 인해 독성이 높았다. 최근에 동정된 저해제들 중 일부는 p38 MAPK 알파와 베타 이소폼에 대해 개선된 선택성을 나타내어 안전역이 더 넓어졌다.
p38 MAP 키나제는 사람의 질환, 예를 들어 중증 천식, COPD 및 염증성 장 질환(IBD)에서 만성적인 지속성 염증을 개시하고 유지하는데 관련된 수많은 시그널링 경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p38 MAP 키나제가 일정 범위의 염증전 사이토킨에 의해 활성화되고 그의 활성화로 인해 추가적인 염증전 사이토킨의 보충 및 방출이 유발되는 것을 증명하는 다양한 문헌들이 있다. 실제로, 일부 임상시험 데이터는 p38 MAP 키나제 저해제로 치료하는 동안 환자에서 질환 활성의 유리한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Smith는 인간 PBMC로부터 (IL-8이 아니라) TNFα 방출에 대한 p38 MAP 키나제 저해제의 저해 효과를 기술하였다(Smith, S. J., Br. J. Pharmacol., 2006, 149:393-404).
COPD와 IBD 치료에서 p38 MAP 키나제 저해제의 사용이 제안되었다. p38 MAPKα/β를 표적으로 하는 소분자 저해제는 다음에서 염증의 다양한 매개변수들을 감소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증명되었다:
- 일반적으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무감성인 COPD 환자에서 얻어진 세포 및 조직(Skmith, S. J., Br. J. Pharmacol., 2006, 149:393-404);
- IBD 환자에서의 생체 검사(Docena, G. et al., J. Trans. Immunol., 2010, 162:108-115); 및
- 생체내 동물모델(Underwood, D. C. et al., Am. J. Physiol., 2000, 279:L895-902; Nath, P. et al., Eur. J. Pharmacol., 2006, 544:160-167).
Irusen과 그의 동료들은 또한 핵에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GR)의 결합 친화성 감소에 의해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불감성에 대한 p38 MAPK α/β의 연관 가능성을 제안하였다(Irusen, E. et al., J. Allergy Clin. Immunol., 2002, 109:649-657). 일정 범위의 p38 MAP 키나제 저해제, 예를 들어 AMG548, BIRB 796, VX702, SCIO469 및 SCIO323을 사용한 염증 질환의 임상 실험이 기술되어 있다 (Lee, M.R. 및 Dominguez, C., Current Med. Chem., 2005, 12:2979-2994). 그러나, 인간의 만성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는데 p38 MAP 키나제 저해제의 사용을 가로막는 주된 장애는 환자에서 관찰되는 독성이다. 이는 상기 특정적으로 언급된 모든 것을 비롯해 진행중인 많은 화합물의 임상 개발을 중단할 정도로 충분히 심각하다.
COPD는 기저 염증이 흡입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항염증 효과에 실질적으로 내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증상이다. 따라서, COPD를 치료하기 위한 고도의 전략은 고유의 항염증 효과와 흡입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에 대한 COPD 환자의 폐 조직의 민감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는 중재안을 개발하는 것일 수 있다. Mercado 등의 최근 간행물((2007; American Thoracic Society Abstract A56)에서는 p38 MAPK 감마의 사일런싱(silencing)이 코르티코스테로이드에 대한 민감성을 회복하는 잠재성이 있음을 입증하였다. 그러므로 COPD 치료를 위해 p38 MAP 키나제 저해제를 사용하는 것은 환자에게 이중적 혜택이 될 수 있다.
천식이나 COPD로 진단된 많은 환자들은 제어되지 않는 증상과 입원을 초래할 수 있는 이들의 의료 상태의 악화로 고통받고 있다. 이것은 흡입 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 장시간 작용하는 β-작용제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가장 최신의 현재 시판중인 치료 요법제 사용에도 불구하고 일어난다. 지난 10년 동안 축적된 데이터는 폐 질환의 기저 염증 성분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지 못하는 것이 악화가 일어나는 가장 그럴듯한 이유임을 나타내고 있다. 천식 치료에서 항염증제로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특히 흡입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확립된 효능을 고려할 때, 이러한 사실은 심도있는 조사를 촉발하였다. 연구에서는 일부 환경적 손상(insults)이 환자의 폐에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무감성 염증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일 예가 바이러스 매개 상기도관 감염(URTI)에서 발생하는 반응으로, 이것은 천식 및 COPD와 연관된 이병률 증가에서 특히 중요하다.
c-Src 및 Syk 키나제 둘다의 활성을 저해하는 화합물이 라이노바이러스 복제에 대한 유효 약물이고(Charron, C.E. et al., WO 2011/158042), p59-HCK를 저해하는 화합물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복제에 대해 유효하다(Charron, C.E. et al., WO 2011/070369)는 것은 이전에 기술되었다. p38 MAPK의 저해를 결합하면 이것은 만성 호흡기 질환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설계된 화합물에 특히 매력적인 특성이다.
특정 p38 MAPK 저해제는 또한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복제의 저해제로서 기술되었다(Cass, L. et al., WO 2011/ 158039).
IBD의 정확한 병인은 분명치 않으나, 상호작용하여 관강내 미생물상의 성분에 대항해 과다 및 잘 제어되지 않는 점막의 염증성 반응을 촉진하는 유전 및 환경적 인자에 의해 통제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반응은 말초 유래 염증성 호중구, 수지상 세포 및 T-세포의 침윤을 통해 매개된다. 염증성 세포내 p38의 도처 발현으로 인해, IBD 모델에서의 연구를 위한 명백한 표적이 되고 있다. IBD의 동물 모델 및 IBD 환자 유래 인간 생검에서 p38 저해제의 효능을 조사한 연구에 따라서, p38이 IBD 치료를 위한 표적일 수 있음이 제시되었다(Hove, T. ten et al., Gut, 2002, 50:507-512, Docena, G. et al., J. of Trans. Immunol,. 2010, 162:108-115). 그러나, 이러한 발견은 p38 저해제로 효과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보고된 다른 그룹과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다(Malamut G. et al., Dig. Dis. Sci, 2006, 51:1443-1453). p38 알파 저해제 BIRB796을 사용한 크론병 환자에서의 임상적 연구는 C-반응성 단백질 수준의 개선으로 임상적 혜택의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개선은 일시적인 것으로 8주차에 기준선으로 돌아왔다(Schreiber, S. et al., Clin. Gastro. Hepatology, 2006, 4:325-334). 중증의 크론병을 가진 환자에서 CNI-1493, p38 및 Jnk 저해제의 효능을 조사한 소규모 임상 연구는 8주 이상 임상 점수에 상당한 개선을 나타내었다(Hommes, D. et al. Gastroenterology. 2002 122:7-14).
T 세포는 위장관의 염증 매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포우리(Powrie) 및 동료들에 의한 선구자적 연구로 미접촉(naive) CD4+ 세포의 중도 장애 면역결핍(SCID) 동물로의 전달이 공생 박테리아의 존재에 따라 대장염으로 발달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Powrie F. et al. Int Immunol. 1993 5:1461-71). 또한, IBD 환자로부터의 점막을 조사하여 환자가 크론병인지 궤양성 대장염을 가졌는지에 따라 바이어스되는 Th1 (IFNγ/IL-2) 또는 Th2 (IL5/TGFβ) CD4+ 세포의 상향조절이 나타났다(Fuss IJ. et al. J Immunol. 1996 157:1261-70.). 유사하게, 베체트 환자의 혈청내 T 세포 관련 사이토카인(IL-17 및 IL-23)의 수준 증가를 보고한 다수의 연구로 T 세포는 염증성 안 장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Chi W. et al.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8 49:3058-64). 이의 지지로, 디레스케넬리(Direskeneli) 및 동료들은 베체트 환자가 그의 말초 혈액내에 Th17 세포가 증가하였고 Treg 세포가 감소하였음을 증명하였다(Direskeneli H. et al. J Allergy Clin Immunol. 2011 128:665-6).
T 세포 활성을 저해하기 위한 한가지 접근은 T 세포 수용체 시그널링 복합체의 활성화에 관여하는 키나제를 표적으로 하는 것이다. Syk 및 Src 패밀리 키나제는 이 경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여기서는 Src 패밀리 키나제, Fyn 및 Lck가 T 세포 수용체의 활성화 하류가 되는 시그널링 분자이다(Barber EK. et al. PNAS 1989 86:3277-81). 이들은 Syk 패밀리 키나제, ZAP-70의 동원으로 이어지는 T 세포 수용체의 티로신 인산화를 개시한다. 동물 연구는 ZAP-70 녹아웃이 SCID 표현형을 유발하는 것을 보여주었다(Chan AC. et al. Science. 1994 10;264(5165):1599-601).
Syk 저해제 포스타마티닙에 의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임상 시험은 환자가 개선된 임상 결과 및 감소된 IL-6 및 MMP-3의 혈청 수준을 나타냄으로써, 항-염증성 표적으로서의 Syk 잠재성을 보여주었다(Weinblatt ME. et al. Arthritis Rheum. 2008 58:3309-18). Syk 키나제는 조혈계 세포, 가장 특히는 B 세포 및 성숙 T 세포에서 광범위하게 발현된다. 이는 면역수용체 티로신계 활성 모티브(ITAM)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염증 세포에서 면역-수용체 시그널링의 매개뿐만 아니라 T 세포 및 B 세포의 증식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Syk 활성화는 IL-6 및 MMP - IBD 및 류마티스 관절염을 포함한 염증성 장애에서 보통 발견되는 상향조절된 염증 매개체의 방출로 이어진다(Wang YD. et al World J Gastroenterol 2007; 13: 5926-5932, Litinsky I et al. Cytokine. 2006 Jan 33:106-10).
염증전 경로의 활성을 조절하는 세포 시그널링 이벤트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것 외에, 키나제 효소는 현재 일정 범위의 세포 기능의 활성, 예를 들어 예를 들어 DNA 통합성의 유지(Shilo, Y. Nature Reviews Cancer, 2003, 3:155-168) 및 세포 분열의 복잡한 과정의 조직화(coordination)를 조절하는 것으로도 알려졌다. 실제로, 특정한 키나제 저해제(이른바 "올라하스키 키나제(Olaharsky kinase)")는 시험관 내에서 소핵 형성의 빈도를 변경하는 것이 확인되었다(Olaharsky, A.J. et al., PLoS Comput. Biol., 2009, 5(7), e1000446; doi: 10.1371/journal.pcbi. 1000446). 소핵 형성은 유사분열 과정의 중단에 연루되거나 연계되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글리코겐 신타제 키나제 3α(GSK3α)의 저해는 소핵 형성을 촉진하는 키나제 저해제의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특히 중요 인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근에, RNAi로의 키나제 GSK3β의 저해가 또한 소핵 형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Tighe, A. et al., BMC Cell Biology, 2007, 8:34).
GSK3α 같은 올라하스키 키나제 저해의 부작용을 용량을 최적화하고/하거나 분자의 투여 경로를 변경하므로써 약화시킬 수 있지만, GSK3α 같은 올라하스키 키나제 저해가 낮거나 무시해도 될 정도이고/이거나 (예를 들어, 유사분열 어세이로 측정했을 때)유사분열 과정 중단이 적거나 거의 없는 치료적으로 유용한 분자를 동정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다양한 화합물, 예를 들어 우레아 유도체가 하나 이상의 키나제를 저해하는 것으로 기술되었다. 이러한 화합물의 예는 다음 문헌에서 찾을 수 있다: WO 99/23091, WO 00/041698, WO 00/043384, WO 00/055139, WO 01/36403, WO 01/4115, WO 02/083628, WO 02/083642, WO 02/092576, WO 02/096876, WO 2003/005999, WO 2003/068223, WO 2003/068228, WO 2003/072569, WO 2004/014870, WO 2004/113352, WO 2005/005396, WO 2005/018624, WO 2005/023761, WO 2005/044825, WO 2006/015775, WO 2006/043090, WO 2007/004749 및 WO 2007/053394. 다른 예는 다음에서 공개된 논문에서 찾을 수 있다:
- Curr. Opin. Drug Devel. (2004, 7(5), 600-616);
- J. Med. Chem. (2007, 50, 4016-4026; 2009, 52, 3881-3891; 및 2010, 53, 5639-5655);
- Bioorg. Med. Chem. Lett. (2007, 17, 354-357; 2008, 18, 3251-3255; 2009, 19, 2386-2391; 및 2010, 20, 4819-4824);
- Curr. Top. Med. Chem. (2008, 8, 1452-1467);
- Bioorg. Med. Chem. (2010, 18, 5738-5748);
- Eur. J. Pharmacol. (2010, 632, 93-102); 및
- J. Chem. Inf. Model. (2011, 51, 115-129).
그럼에도 불구하고, 염증 치료에 적합한 신규한 키나제 저해제, 특히 대안적인 p38 MAP 키나제 저해제를 동정하여 개발하는 것이 여전히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현재 가능한 치료보다 향상된 치료 효능을 갖거나, 특히 뛰어난 치료 지수를 나타내는 저해제(예를 들어, 적어도 기존 약물과 동등하게 효과적이고, 하나 이상의 측면에서 관련 치료 용량에서 독성이 거의 없는 저해제)가 필요하다.
놀라웁게도, 본 발명자들은 특정한 아닐린 치환 디아릴우레아가 하나 이상의 p38 MAP 키나제, Syk 및 Src류 키나제를 저해하고, 그에 따라 우수한 항염증특성을 갖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라,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용매화물 또는 동위원소 유도체(화합물들은 이하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이라 함)를 제공한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01
상기 화학식 I에서,
R1A
H, 할로, 시아노,
C1-6 알킬, C2-6 알케닐, C2-6 알키닐, C1-6 알콕시(여기서 후자의 4 그룹은 임의로 C1-2 알킬, 할로, 하이드록시, 및 C1-2 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된다),
페닐 또는 Het1(여기서 후자의 2 그룹은 임의로 C1-2 알킬 및 C1-2 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된다)을 나타내거나,
R1A R1B는 함께 다음에서 선택된 구조적 단편을 나타내고:
Figure 112015105507671-pct00002
또는
Figure 112015105507671-pct00003
(상기 식에서, 물결선은 페닐 고리와의 결합점을 나타내고,
A는 O, S 또는 N(RA2)를 나타내고,
RA1은 H, C1-4 알킬 또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고,
RA2는 H 또는 C1-4 알킬을 나타낸다);
R1B는 H, 할로, 시아노, -C1-4 알킬렌-CN, -C1-4 알킬렌-OH, -NRXRX1, -C(O)ORX, -C(O)NRXRY, -S(O)2NRXRY, -NRXC(O)RY, -NRXS(O)2RY1, -NRX2S(O)2NRXRY, -NRXP(O)RY1RY2, -NRXC(O)ORY1 또는 할로, 하이드록시, C1-2 알킬 및 C1-2 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 Het1을 나타내고;
RX 및 RX1은 독립적으로 H 또는 C1-6 알킬을 나타내거나, RX 및 RX1은 함께 C3-6 n-알킬렌 또는 C2와 C3 사이에 -O- 또는 -N(RX2)-에 의해 개재된 C4-5 n-알킬렌을 나타내거나, RX1은 할로, 하이드록시, C1-2 알킬 및 C1-2 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 Het1을 나타내고;
RY, RY1 및 RY2는 독립적으로 C1-6 알킬, C3-7 사이클로알킬, 페닐, 벤질, Het1 또는 Het2(여기서 후자의 6그룹은 C1-2 알킬, 할로, 하이드록시, C1-2 알콕시, NH2, N(H)-C1-4 알킬, N(C1-4 알킬)2, C(O)OH 및 C(O)O-(C1-4 알킬)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다)를 나타내거나,
RY는 H를 나타내거나,
RX 및 RY는 함께 C3-6 n-알킬렌 또는 C2 및 C3 사이에 -O- 또는 -N(RX2)-에 의해 개재된 C4-5 n-알킬렌을 나타내고;
각각의 RX2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1-4 알킬을 나타내고;
R1C와 R1E는 독립적으로 H, 할로, 시아노 또는 메틸을 나타내지만, 단 R1A, R1B, R1C 및 R1E 중 적어도 하나는 H가 아니고;
R1D는 트리메틸실릴, C2-7 알킬, C2-7 알케닐, C2-7 알키닐, C3-7 사이클로알킬, 페닐, Het1 또는 Het2를 나타내고(여기서 후자의 7 그룹은 임의로 C1-2 알킬, 할로, 시아노, 하이드록시 및 C1-2 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된다);
R2 및 R3는, 이들이 결합된 C-원자와 함께 융합된 페닐 또는 피리딜 고리를 형성하거나(여기서 후자의 두 고리는 임의로 C1-3 알킬, C1-3 할로알킬, 시아노 및 할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된다),
R2 및 R3 중 하나는 H, 할로, 시아노, C1-3 알킬 또는 C1-3 할로알킬을 나타내고, 다른 하나는 독립적으로 할로, 시아노, C1-3 알킬 또는 C1-3 할로알킬을 나타내거나,
R2 및 R3는 함께 조합하여 C3-5 알킬렌 또는 C3-5 알케닐렌을 나타내고(여기서 후자의 2 그룹은 임의로 C1-3 알킬, C1-3 할로알킬, 시아노 및 할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된다);
X1은 N 또는 CH를 나타내고;
L은 직접 결합이거나 C1-2 알킬렌을 나타내고;
X2 및 X3는 모두 CRZ를 나타내거나 X2 및 X3 중 하나가 N을 나타내고 다른 하나는 CRZ를 나타내고;
RZ는 수소, 할로, 시아노, 하이드록시, C1-3 알킬 또는 C1-3 알콕시를 나타내고(여기서 후자의 2 그룹은 임의로 하나 이상의 할로 원자로 치환된다);
R4
-Q1-[C(R6c)(R6d)-(CH2)0-1CH2-O]1-12-CH2(CH2)0-1CH2-R6a,
-Q2-C(R6c)(R6d)-[C1-5 알킬렌]-R6a(여기서 C1-5 알킬렌 그룹은 임의로 옥소에 의해 치환된다),
-S(O)nR6b,
-COR6b,
-CH2OH를 나타내거나,
R1B가 -C(O)NRXRY,(여기서 RY는 임의로 치환된 Het1 또는 임의로 치환된 Het2를 나타낸다) 또는 -NRX2S(O)2NRXRY이면, R4는 경우에 따라 H, 할로, 시아노, 하이드록시, C1-3 알킬 또는 C1-3 알콕시를 나타낼 수 있고(여기서 후자의 2 그룹은 임의로 하나 이상의 할로 원자로 치환된다);
R5는 C1-3 알콕시 또는 C1-3 알킬(여기서 후자의 2 그룹은 임의로 하나 이상의 할로 원자로 치환된다)을 나타내거나 R5는 H, 시아노, -C(O)NH2, 하이드록시, 할로 또는 C2-3 알키닐을 나타내고;
R6a는 OR7a, N(R7b)R7c 또는 CO2H를 나타내고;
R6b는 C1-8 알킬, C3-8 사이클로알킬, 페닐, Het1 또는 Het2를 나타내고(여기서 후자의 5그룹은 임의로 할로, 하이드록실, C1-3 알킬 및 C1-3 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된다);
R6c 및 R6d는 독립적으로 H 또는 메틸을 나타내고;
R7a 내지 R7c는 독립적으로 H 또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할로 원자로 치환된 C1-4 알킬을 나타내거나, R7b와 R7c가 이들이 결합된 N-원자와 함께, 전체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전체 방향족이고, 하나의 N 원자(R7b 및 R7c가 결합된 원자), 및 O, S 및 N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 헤테로원자를 함유하고, 임의로 할로, 하이드록시, 옥소, C1-4 알킬 및 C1-4 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된 4-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 그룹을 형성하고;
Q1 및 Q2는 독립적으로 C(O)NH, O 또는 S(O)p를 나타내고;
n 및 p는 독립적으로 0, 1 또는 2를 나타내고,
Het1은, 독립적으로 각각 발생 시에, 전체 방향족인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 그룹을 나타내고, 이 그룹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며;
Het2는, 독립적으로 각각 발생 시에, 전체 포화되거나 부분 불포화된 4-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 그룹을 나타내고, 이 그룹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한다.
언급할 수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산부가염과 염기 부가염을 포함한다. 이러한 염은 통상적인 방법, 예를 들어 화학식 I 화합물의 자유산 또는 자유 염기 형태를 적절한 산 또는 염기의 하나 이상의 등가물과, 임의로 용매 또는 염이 녹지않는 매질 중에서 반응시킨 후, 용매 또는 매질을 표준 방법(예를 들어, 진공, 동결건조 또는 여과)으로 제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염은 또한, 예를 들어 적합한 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여 염 형태의 화학식 I 화합물의 짝이온을 다른 짝이온으로 교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예는 무기산과 유기산에서 유도된 산 부가염과, 금속에서 유도된 염을 포함한다.
의심의 여지를 피하기 위해,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이들의 자연적 또는 인위적 동위원소 형태로 특정된 원자를 함유할 수 있다. 이 측면에서, 언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구체예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포함한다:
(a) 화합물의 원자에 대해 동위원소가 첨가되거나 표지되지 않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b) 화합물의 하나 이상의 원자에 대해 동위원소가 첨가되거나 표지된 화학식 I의 화합물.
본 원에서 "동위원소 유도체"란 상기 2개 구체예 중 두 번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안정한 동위원소로 (화합물의 하나 이상의 원자에 대해)동위원소 첨가되거나 표지된다. 따라서, 언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중수소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원자로 동위원소 첨가되거나 표지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토토머화(tautomerism)를 나타낼 수 있다. 모든 토토머 형태와 그의 혼합물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치환체 RA1을 함유하는 구조적 단편은 그룹 RA1이 OH를 나타내면 케토-엔올 토토머화를 나타낼 수 있다(-N=C(OH)-A- 단편을 고려할 때, 이것이 토토머화하여 -NH-C(=O)-A- 단편을 제공할 수 있다).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본 원에서 정의된 알킬 그룹과 알콕시 그룹은 직쇄형이거나, 충분한 수(즉, 최소 3)의 탄소원자가 있으면 분지될 수 있다. 언급할 수 있는 특정한 알킬 그룹은,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프로필, iso-프로필, 부틸, n-부틸 및 tert-부틸을 포함한다. 언급할 수 있는 특정한 알콕시 그룹은, 예를 들어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및 부톡시를 포함한다.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본 원에서 정의된 사이클로알킬 그룹은, 충분한 수(즉, 최소 4)의 탄소원자가 있으면 부분 고리형/비고리형(acyclic)일 수 있다.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본 원에서 정의된 알킬렌 그룹은 직쇄형이거나, 충분한 수(즉, 최소 2)의 탄소원자가 있으면 분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알킬렌은 직쇄형 알킬렌을 지칭한다.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아릴 그룹의 결합점은 고리 시스템의 어떠한 원자를 통해서도 가능하다. 그러나, 아릴 그룹이 바이사이클릭이거나 트리사이클릭이면 방향족 고리에 의해 나머지 분자에 결합된다. C6-14 아릴 그룹은 페닐, 나프틸 등을 포함한다. 언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구체예는 아릴이 페닐인 것들을 포함한다.
의심의 여지를 피하기 위해, N(R7b)R7c로 표시되는 헤테로사이클 그룹에 존재할 수 있는 옥소 치환체는 헤테로사이클 고리 내의 적절한 원자, 예를 들어 원자가가 허용되면 고리 내의 C-, N- 및/또는 S-원자에 결합할 수 있다(결합하여 케토, N-옥사이드, S(O) 및/또는 S(O)2 그룹 형성).
언급할 수 있는 Het1의 예는 옥사디아졸릴(예를 들어, 1,3,4-옥사디아졸-2-일), 피리미디닐(예를 들어, 피리미딘-2-일) 및 트리아졸릴(예를 들어, 1,2,3-트리아졸-4-일)을 포함한다.
언급할 수 있는 Het2의 예는 모폴리닐(예를 들어, 모폴린-4-일), 옥세타닐(예를 들어, 3-옥세타닐) 및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예를 들어, 4-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을 포함한다.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할로"란 용어는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또는 요오도, 구체적으로 플로오로, 클로로 또는 브로모, 특히 플루오로 또는 클로로를 지칭한다.
언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구체예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 화학식 Ix의 화합물인 것들을 포함한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04
상기 화학식 Ix에서,
R1A
H, 할로, 시아노,
C1-6 알킬, C2-6 알케닐, C2-6 알키닐, C1-6 알콕시(여기서 후자의 4 그룹은 임의로 C1-2 알킬, 할로, 하이드록시, 및 C1-2 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된다),
페닐 또는 Het1(여기서 후자의 2 그룹은 임의로 C1-2 알킬 및 C1-2 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된다)을 나타고;
R1B는 H, 할로, 시아노, -C-NRXRX1, -C(O)ORX, -C(O)NRXRY, -S(O)2NRXRY, -NRXC(O)RY, -NRXS(O)2RY1, -NRXP(O)RY1RY2, -NRXC(O)ORY1을 나타내고;
RX 및 RX1은 독립적으로 H 또는 C1-6 알킬을 나타내거나, RX 및 RX1은 함께 C3-6 n-알킬렌 또는 C2와 C3 사이에 -O- 또는 -N(RX2)-에 의해 개재된 C4-5 n-알킬렌을 나타내고;
RY, RY1 및 RY2는 독립적으로 C1-6 알킬, C3-7 사이클로알킬, 페닐, Het1 또는 Het2(여기서 후자의 5그룹은 C1-2 알킬, 할로, 하이드록시, C1-2 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다)를 나타내거나,
RY는 H를 나타내거나,
RX 및 RY는 함께 C3-6 n-알킬렌 또는 C2 및 C3 사이에 -O- 또는 -N(RX2)-에 의해 개재된 C4-5 n-알킬렌을 나타내고;
RX2는 H 또는 C1-4 알킬을 나타내고;
R4
-Q1-[CH2(CH2)0-1CH2-O]1-12-CH2(CH2)0-1CH2-R6a,
-Q2-C(R6c)(R6d)-[C1-5 알킬렌]-R6a 또는
-S(O)nR6b를 나타내고;
R6a는 OR7a 또는 N(R7b)R7c를 나타내거나/내고;
Het1은 전체 방향족인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 그룹을 나타내고, 이 그룹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한다.
언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대안적 구체예는:
R1A R1B가 함께 다음에서 선택된 구조적 단편을 나타내거나:
Figure 112015105507671-pct00005
또는
Figure 112015105507671-pct00006
(상기 식에서, 물결선은 페닐 고리와의 결합점을 나타내고,
A는 O, S 또는 N(RA2)를 나타내고,
RA1은 H, C1-4 알킬 또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고,
RA2는 H 또는 C1-4 알킬을 나타낸다);
R1B는 -C1-4 알킬렌-CN, -C1-4 알킬렌-OH, 또는 할로, 하이드록시, C1-2 알킬 및 C1-2 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 Het1, 또는 -NRX2S(O)2NRXRY를 나타내고;
RX1은 할로, 하이드록시, C1-2 알킬 및 C1-2 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 Het1을 나타내고;
RY, RY1 및/또는 RY2는 C1-2 알킬, 할로, 하이드록시, C1-2 알콕시, NH2, N(H)-C1-4 알킬, N(C1-4 알킬)2, C(O)OH 및 C(O)O-(C1-4 알킬)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 벤질을 나타내거나,
RY, RY1 및/또는 RY2가 C1-6 알킬, C3-7 사이클로알킬, 페닐, Het1 또는 Het2를 나타내며, 여기서 후자의 6 그룹은 NH2, N(H)-C1-4 알킬, N(C1-4 알킬)2, C(O)OH 또는 C(O)O-(C1-4 알킬)로 치환되고, 임의로 C1-2 알킬, 할로, 하이드록시, C1-2 알콕시, NH2, N(H)-C1-4 알킬, N(C1-4 알킬)2, C(O)OH 및 C(O)O-(C1-4 알킬)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추가로 치환되고;
R1D는 C2-7 알킬, C2-7 알케닐, C2-7 알키닐, C3-7 사이클로알킬, 페닐, Het1 또는 Het2를 나타내고(여기서 후자의 7 그룹은 시아노로 치환되고, 임의로 C1-2 알킬, 할로, 시아노, 하이드록시 및 C1-2 알콕시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추가로 치환된다);
RZ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고;
R4는 -Q2-C(R6c)(R6d)-[C1-5 알킬렌]-R6a을 나타내거나(여기서 C1-5 알킬렌 그룹은 옥소로 치환된다), 구체적으로 R4는 -CH2OH, -COR6b 또는 -Q1-[C(R6c)(R6d)-(CH2)0-1CH2-O]1-12-CH2(CH2)0-1CH2-R6a를 나타내거나[여기서 R6c 및/또는 R6d는 메틸을 나타낸다(예를 들어, R4는 -COR6b 또는 -Q1-[C(R6c)(R6d)-(CH2)0-1CH2-O]1-12-CH2(CH2)0-1CH2-R6a를 나타내고, 여기서 R6c 및/또는 R6d는 메틸을 나타낸다)];
R1B가 -C(O)NRXRY(여기서 RY는 임의로 치환된 Het1 또는 임의로 치환된 Het2를 나타낸다) 또는 -NRX2S(O)2NRXRY를 나타내면 R4는 경우에 따라 H, 할로, 시아노, 하이드록시, C1-3 알킬 또는 C1-3 알콕시를 나타낼 수 있고(여기서 후자의 2 그룹은 하나 이상의 할로 원자로 임의로 치환된다);
R5가 -C(O)NH2 또는, 구체적으로, 하이드록시를 나타내거나/내고;
R6a가 CO2H를 나타내는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x의 화합물인 것들을 포함한다:
언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특정한 대안적 구체예는:
R1B가 -C1-4 알킬렌-CN 또는 -C1-4 알킬렌-OH를 나타내고;
L이 C1-2 알킬렌을 나타내고;
R4가 -CH2OH를 나타내거나/내고;
R5가 -C(O)NH2를 나타내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언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대안적 구체예는:
R4가 -Q2-C(R6c)(R6d)-[C1-5 알킬렌]-R6a(여기서 C1-5 알킬렌 그룹은 옥소로 치환된다)를 나타내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언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구체예는 화학식 I(또는 Ix)의 화합물이 다음 화학식 Ia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용매화물 또는 동위원소 유도체인 것들을 포함한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07
상기 화학식 Ia에서, R1A 내지 R1E, R2 내지 R5, L 및 X1 내지 X3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언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구체예는 다음 정의들 중 하나 이상이 화학식 I(또는 Ix) 및 Ia의 화합물에 적용되는 것들을 포함한다:
(a) R1A 및 R1B가 함께 다음에서 선택된 구조 단편을 나타내거나:
Figure 112015105507671-pct00008
또는
Figure 112015105507671-pct00009
R1A가 메틸 및 메톡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을 나타내거나,
구체적으로 R1A가 H, 할로, C1-4 알킬 또는 C1-4 알콕시를 나타낸다(여기서 후자의 2 그룹은 하나 이상의 플루오로 원자로 임의로 치환된다);
(b) RA1이 H, C1-2 알킬 또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낸다;
(c) R1B가 -CH2CN, -CH2OH를 나타내거나, 구체적으로, R1B가 H, 할로, 시아노, -NRXRX1, -C(O)ORX, -C(O)NRXRY, -S(O)2NRXRY, -NRXC(O)RY, -NRXS(O)2RY1, -NRXC(O)ORY1, Het1 또는 -NRX2S(O)2NRXRY를 나타낸다(예를 들어, R1B는 H, 할로, 시아노, -NRXRX1, -C(O)ORX, -C(O)NRXRY, -S(O)2NRXRY, -NRXC(O)RY, -NRXS(O)2RY1 또는 -NRXC(O)ORY1을 나타낸다);
(d) RX1이 Het1을 나타내거나, 구체적으로 RX와 RX1이 독립적으로 H 또는 C1-4 알킬을 나타내거나, RX와 RX1이 함께 C2와 C3 사이에 -O- 또는 -N(RX2)-에 의해 임의로 삽입된 C4-5 n-알킬렌을 나타낸다;
(e) RY가 벤질; 메틸, 할로, 하이드록시 및 메톡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 Het2이거나, 구체적으로,
RY 및 RY1가 독립적으로 C1-4 알킬, C3-6 사이클로알킬 또는 페닐을 나타내거나(여기서 후자의 3 그룹은 메틸, 할로, 하이드록시, 메톡시, NH2, N(H)-C1-2 알킬, N(C1-2 알킬)2, C(O)OH 및 C(O)O-(C1-2 알킬)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예를 들어, 메틸, 할로, 하이드록시 및 메톡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다),
RY는 H를 나타내거나,
RX 및 RY가 함께 C2와 C3 사이에 -O- 또는 -N(RX2)-에 의해 임의로 삽입된 C4-5 n-알킬렌을 나타낸다;
(f) RX2가 H 또는 C1-2 알킬을 나타낸다;
(g) R1C R1E는 독립적으로 H 또는 할로를 나타낸다;
(h) R1D는 트리메틸실릴, C3-7 알킬, C(C1-2 알킬)2-C≡CH, C3-5 사이클로알킬, 페닐 또는 Het2를 나타낸다(여기서 후자의 3 그룹은 C1-2 알킬, 할로 및 C1-2 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다);
(i) R2 R3는, 이들이 결합된 C-원자와 함께, 융합된 페닐 고리를 형성하거나, R2 R3는 독립적으로 할로 또는 C1-2 알킬을 나타낸다;
(j) X1은 N 또는 CH를 나타낸다.;
(k) L은 CH2를 나타내거나, 구체적으로 직접 결합을 나타낸다;
(l) X2 X3는 둘다 CH를 나타내거나, 하나의 X2가 CH를 나타내고 X3는 N 또는 CRZ를 나타낸다;
(m) RZ가 H 또는 할로를 나타낸다;
(n) R4
CH2OH 또는, 구체적으로,
-Q1-[C(R6c)(R6d)CH2-O]1-8-CH2CH2-R6a,
-Q2-C(R6c)(R6d)-[C1-4 알킬렌]-R6a (예를 들어, -Q2-C(R6c)(R6d)-[C1-3 알킬렌]- 또는 -Q2-C(R6c)(R6d)-[C1-2 알킬렌]-R6a)(여기서 C1-4 알킬렌 그룹은 옥소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다),
-S(O)nR6b,
-COR6b를 나타내거나;
R1B가 -C(O)NRXRY(여기서 RY는 임의로 치환된 Het2를 나타낸다) 또는 -NRX2S(O)2NRXRY를 나타내면 R4는 경우에 따라 H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R4
-Q1-[CH2CH2-O]1-8-CH2CH2-R6a),
-Q2-CH2-[C1-2 알킬렌]-R6a 또는
-S(O)nR6b를 나타낸다);
(o) R5는 H 또는, 구체적으로, 시아노, 클로로, 플루오로, C2-3 알키닐, C1-2 알킬 또는 C1-2 알콕시를 나타낸다(여기서 후자의 2 그룹은 하나 이상의 플루오로 원자로 임의로 치환된다);
(p) R6a는 CO2H 또는, 구체적으로, OH, O-C1-2 알킬 또는 N(R7b)R7c를 나타낸다;
(q) R6b는 C1-5 알킬 또는 C3-5 사이클로알킬을 나타낸다;
(r) R7b R7c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1-2 알킬(예를 들어, 메틸)을 나타내거나, R7b 및 R7c가 이들이 결합하고 있는 N-원자와 함께 전체 포화된 4-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 그룹을 형성한다(여기서 헤테로사이클 그룹은 하나의 N 원자(R7b R7c가 결합된 원자) 및, O, S 및 N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추가 헤테로원자를 함유하고, 임의로 하나 이상의 C1-2 알킬 그룹으로 치환된다);
(s) Q1 Q2는 독립적으로 C(O)NH 또는 O를 나타낸다;
(t) n은 0 또는 2를 나타낸다;
(u) Het1은, 독립적으로 각각 발생 시에, 전체 방향족인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 그룹을 나타내고, 여기서 헤테로사이클 그룹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한다;
(v) Het2는 전체 포화 또는 부분 불포화된 4- 내지 6-원(예를 들어,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 그룹을 나타내고, 여기서 헤테로사이클 그룹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한다;
언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화학식 I, Ix 또는 Ia의 화합물이 다음 화학식 Ib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용매화물 또는 동위원소 유도체인 것들을 포함한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10
상기 화학식 Ib에서, R1A 내지 R1E, R2 내지 R5, X1 L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언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구체예는 다음 정의들 중 하나 이상이 화학식 I, Ix, Ia 및 Ib의 화합물에 적용되는 것들을 포함한다:
(a) R1A는 H 또는, 구체적으로, 플루오로, 클로로, 메틸 또는 C1-2 알콕시(예를 들어, 메톡시)를 나타낸다(여기서 후자의 2 그룹은 하나 이상의 플루오로 원자로 임의로 치환된다);
(b) R1B는 H, 시아노, -C(O)ORX 또는, 구체적으로, 플루오로, 클로로, Het1, -C(O)NRXRY, -NRXS(O)2RY1 또는 -N(H)S(O)2NRXRY (예를 들어, H, 시아노, -C(O)ORX 또는, 구체적으로, 플루오로, 클로로, -C(O)NRXRY 또는 -NRXS(O)2RY1)를 나타낸다;
(c) RX는 H 또는 메틸을 나타낸다;
(d) RY는 H, Het2, C1-3 알킬 또는 C3-5 사이클로알킬을 나타내거나(여기서 후자의 2 그룹은 플루오로, 하이드록시, 메톡시, NH2, N(H)CH3, N(CH3)2, 및 C(O)OCH3,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다);
RX RY가 함께 C2 및 C3 사이에 -O- 또는 -N(RX2)-에 의해 임의로 개재된 C4-5 n-알킬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RY는 H 또는 메틸을 나타낸다);
(e) RX2는 H 또는 메틸을 나타낸다;
(f) RY1은 C1-4 알킬, C3-6 사이클로알킬 또는 페닐을 나타낸다(여기서 후자의 3 그룹은 할로, 메틸 및 메톡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다);
(g) R1C 및 R1E는 독립적으로 플루오로 또는, 구체적으로, H를 나타낸다;
(h) R1D는 C4-6 알킬, C(CH3)2-C≡CH, 사이클로프로필 또는 모폴리닐(예를 들어, 모폴린-4-일)을 나타낸다(여기서 후자의 2 그룹은 메틸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다);
(i) R2 및 R3는, 이들이 결합된 C-원자와 함께 융합된 페닐 고리를 형성하거나, R2 및 R3는 모두 메틸 또는 구체적으로, 클로로를 나타낸다;
(j) X1은 N 또는 CH를 나타낸다;
(k) L은 CH2 또는, 구체적으로, 직접 결합을 나타낸다;
(l) RZ는 클로로 또는, 구체적으로, H를 나타낸다;
(m) R4
-Q1-[C(R6c)(R6d)CH2-O]1-6-CH2CH2-R6a,
-C(O)NH-C(R6c)(R6d)-[C1-3 알킬렌]-R6a (예를 들어, -C(O)NH-C(R6c)(R6d)-[C1-2 알킬렌]-R6a)(여기서 C1-3 알킬렌 그룹은 임의로 옥소로 치환된다),
-S(O)2R6b,
-COR6b를 나타내거나;
R1B가 -C(O)NRXRY(여기서 RY는 Het2를 나타낸다), 또는 -N(H)S(O)2NRXRY 를 나타내면 R4는 경우에 따라 H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R4
-Q1-[CH2CH2-O]1-7-CH2CH2-R6a,
-C(O)NH-CH2-[C1-2 알킬렌]-R6a 또는
-S(O)2R6b를 나타낸다);
(n) R5는 H 또는, 구체적으로, C2-3 알키닐, C1-2 알킬 또는 C1-2 알콕시를 나타낸다(여기서 후자의 2 그룹은 임의로 하나 이상의 플루오로 원자로 치환된다) [예를 들어, R5는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구체적으로 -C≡CH 또는 메톡시를 나타낸다(여기서 후자의 그룹은 임의로 하나 이상의 플루오로 원자로 치환된다)];
(o) R6a는 OH 또는, 구체적으로, CO2H, O-CH3 또는 N(R7b)R7c(예를 들어, O-CH3 또는 N(R7b)R7c)를 나타낸다;
(p) R6b는 C3-5 사이클로알킬(예를 들어, 사이클로프로필)을 나타낸다;
(q) R7b 및 R7c는 둘다 메틸을 나타내거나, R7b 및 R7c가 이들이 결합된 N-원자와 함께, 전체 포화된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 그룹을 형성하고, 여기서 헤테로사이클 그룹은 하나의 N 원자(R7b 및 R7c가 결합된 원자) 및, 임의로 O, S 및 N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추가 헤테로원자를 함유하고, 임의로 하나 이상의 메틸 그룹으로 치환된다;
(r) Q1는 C(O)NH 또는 O를 나타낸다;
(s) Het1은 전체 방향족인 5-원 헤테로사이클 그룹을 나타내고, 여기서 헤테로사이클 그룹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한다;
(t) Het2는 전체 포화 또는 부분 불포화된 4-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 그룹을 나타내고, 여기서 헤테로사이클 그룹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한다
언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화학식 I, Ix, Ia 또는 Ib의 화합물이 다음 화학식 Ic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용매화물 또는 동위원소 유도체인 것들을 포함한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11
상기 화학식 Ic에서, R1A, R1B R1D, R2 내지 R5, X1, L 및 RZ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언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구체예는 다음 정의들 중 하나 이상이 화학식 I, Ix, Ia, Ib 및 Ic의 화합물에 적용되는 것들을 포함한다:
(a) R1A는 H 또는,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플루오로 원자로 임의로 치환된 C1-2 알콕시 (예를 들어, 메톡시)를 나타낸다(예를 들어, R1A는 메톡시를 나타낸다);
(b) R1B는 H, 시아노, -C(O)OH, -C(O)N(CH3)2, 플루오로, 클로로, 또는, 구체적으로, -C(O)N(H)RY, -NHS(O)2CH3, -N(H)S(O)2NRXRY 또는 Het1
(예를 들어, H, 시아노, -C(O)OH, -C(O)N(CH3)2, 플루오로, 클로로, 또는, 구체적으로, -C(O)NH2, -C(O)N(H)CH3 또는 -NHS(O)2CH3(예를 들어, R1B는 H, 시아노, -C(O)OH, -C(O)N(CH3)2, 플루오로, -C(O)NH2, -C(O)N(H)CH3 또는, 구체적으로, -NHS(O)2CH3를 나타낸다))을 나타낸다;
(c) RX는 H 또는 메틸을 나타낸다;
(d) RY는 H, Het2, C3-5 사이클로알킬 또는 C1-3 알킬을 나타내거나(후자 그룹은 하이드록시, 메톡시, NH2, N(H)CH3, N(CH3)2 또는 C(O)OCH3로 임의로 치환된다)(예를 들어, RY는 H 또는 메틸이다),
RX RY가 함께 C2 및 C3 사이에 -O-에 의해 개재된 C4-5 n-알킬렌을 나타내고;
(e) R1D는 모폴리닐, 메틸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사이클로프로필 또는, 구체적으로, 분지형 C4-6 알킬(예컨대 tert-부틸)을 나타낸다(예를 들어, R1D는 모폴린-4-일 또는, 구체적으로, tert-부틸을 나타낸다);
(f) R2 및 R3는, 이들이 결합된 C-원자와 함께 융합된 페닐 고리를 형성하거나, R2 및 R3는 모두 클로로를 나타낸다;
(g) X1은 N 또는 CH를 나타낸다;
(h) L은 CH2 또는, 구체적으로, 직접 결합을 나타낸다;
(i) R4
-Q1-[C(H)(R6c)CH2-O]1-6-CH2CH2-R6a,
-C(O)NH-C(H)(R6c)-[C1-3 알킬렌]-R6a (예를 들어, -C(O)NH-C(H)(R6c)-[C1-2 알킬렌]-R6a)(여기서 C1-3 알킬렌 그룹은 임의로 옥소로 치환된다),
-S(O)2-사이클로프로필을 나타내거나,
R1B가 -C(O)N(H)RY(여기서 RY는 Het2를 나타낸다) 또는 -N(H)S(O)2NRXRY를 나타내면, R4는 경우에 따라 H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R4
-Q1-[CH2CH2-O]2-6-CH2CH2-OCH3,
-C(O)NH-CH2-CH2-N(R7b)R7c 또는
-S(O)2-사이클로프로필을 나타낸다);
(j) R5는 H, -C≡CH, 또는 메톡시(후자 그룹은 임의로 하나 이상의 플루오로 원자로 치환된다)를 나타낸다[예를 들어, R5는 -C≡CH 또는, 구체적으로, 메톡시를 나타낸다(후자 그룹은 임의로 하나 이상의 플루오로 원자로 치환된다)](예를 들어, R5는 -C≡CH 또는, 구체적으로, OCH3 또는 OCHF2를 나타낸다);
(k) R6a는 OH 또는, 구체적으로, CO2H, O-CH3 또는 N(R7b)R7c를 나타낸다(예를 들어, O-CH3 또는 N(R7b)R7c);
(l) R7b 및 R7c는 둘다 메틸을 나타내거나, R7b 및 R7c는 이들이 결합된 N-원자와 함께, 임의로 메틸이 치환된 피페라지닐 그룹, 피롤리디닐 그룹 또는 모폴리닐 그룹(예를 들어, 임의로 메틸이 치환된 피페라지닐 그룹 또는, 구체적으로, 모폴리닐 그룹)을 형성하거나/하고;
(m) Q1은 O 또는, 구체적으로, C(O)NH를 나타낸다;
(n) Het1은 전체 방향족인 5-원 헤테로사이클 그룹을 나타낸다(여기서 헤테로사이클 그룹은 N 및 O로부터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한다)(예를 들어, Het1은 옥사디아졸릴, 예컨대 1,2,4-옥사디아졸릴, 또는 트리아졸릴, 예컨대 1,2,3-트리아졸릴을 나타낸다);
(o) Het2는 전체 포화 또는 부분 불포화된 4-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 그룹을 나타내고, 여기서 헤테로사이클 그룹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한다(예를 들어, Het2는 옥세타닐(oxetanyl), 예컨대 3-옥세타닐을 나타낸다).
언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는 다음 정의들 중 하나 이상이 화학식 I, Ix, Ia, Ib 및 Ic의 화합물에 적용되는 것들을 포함한다:
(a) R1A가 메톡시 또는 에톡시를 나타낸다;
(b) R1B가 Het1 또는, 구체적으로, -C(O)N(H)RY, -NHS(O)2CH3를 나타낸다;
(c) RY가 H, Het2, 사이클로프로필, C(O)OCH3로 임의로 치환된 C1 알킬, 또는 C2 알킬을 나타낸다(후자 그룹은 임의로 하이드록시, 메톡시, NH2, N(H)CH3, N(CH3)2 또는 C(O)OCH3로 치환된다);
(d) R1Dtert-부틸을 나타낸다;
(e) R2 및 R3가 이들이 결합된 C-원자와 함께 융합된 페닐 고리를 형성한다;
(f) X1이 N 또는 CH를 나타낸다(예를 들어, X1은 N 또는, 구체적으로, CH를 나타낸다);
(g) L이 직접 결합을 나타낸다;
(h) R4
-Q1-[C(H)(R6c)CH2-O]1-6-CH2CH2-R6a,
-C(O)NH-C(H)(R6c)-[C1-3 알킬렌]-R6a(여기서 C1-3 알킬렌 그룹은 임의로 옥소에 의해 치환된다) (예를 들어, -C(O)NH-C(H)(CH3)CH2-R6a, -C(O)NH-CH2C(CH3)2-R6a, -C(O)NH-CH2CH2CH2-R6a, -C(O)NH-CH2C(O)-R6a 또는, 구체적으로, -C(O)NH-CH2CH2-R6a), 또는
-S(O)2-사이클로프로필을 나타내거나,
구체적으로, R1B가 -C(O)N(H)-Het2(여기서 RY는 Het2를 나타낸다)이면, R4는 경우에 따라 H를 나타낼 수 있다(예를 들어, R1B는 -C(O)N(H)-Het2를 나타내고, R4는 H를 나타낸다);
(i) R5는 -C≡CH 또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플루오로 원자로 치환된 메톡시(예를 들어, OCH3 또는 OCHF2 제공)를 나타내거나,
구체적으로, R1B가 -C(O)N(H)-Het2(여기서 RY는 Het2를 나타낸다)이면, R5는 경우에 따라 H를 나타낼 수 있다.
언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보다 특정한 구체예는:
(i) R4가 -C(O)NH-C(H)(R6c)-[C1-3 알킬렌]-R6a(여기서 C1-3 알킬렌 그룹은 임의로 옥소에 의해 치환된다)(예를 들어, -C(O)NH-C(H)(CH3)CH2-R6a, -C(O)NH-CH2C(CH3)2-R6a, -C(O)NH-CH2CH2CH2-R6a, -C(O)NH-CH2C(O)-R6a 또는 -C(O)NH-CH2CH2-R6a)를 나타내면, R6a는 N(R7b)R7c를 나타내거나;
(ii) R4가 -Q1-[C(H)(R6c)CH2-O]1-6-CH2CH2-R6a를 나타내면, R6a는 OH, CO2H 또는 O-CH3(예를 들어, O-CH3)를 나타내는 것들을 포함한다.
언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R1B가 -NRX2S(O)2NRXRY 또는 -C(O)NRXRY(여기서 후자의 그룹 RY는 임의로 치환된 Het1 또는 임의로 치환된 Het2를 나타낸다)를 나타내고; R4 R5 둘다 H를 나타내는 것들을 포함한다.
언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또다른 구체예는: 화학식 I, Ix, Ia, Ib 및 Ic의 화합물에서
R4
-Q1-[C(R6c)(R6d)-(CH2)0-1CH2-O]1-12-CH2(CH2)0-1CH2-R6a,
-Q2-C(R6c)(R6d)-[C1-5 알킬렌]-R6a(여기서 C1-5 알킬렌 그룹은 임의로 옥소에 의해 치환된다),
-S(O)nR6b,
-COR6b,
-CH2OH를 나타내거나,
R1B가 -C(O)NRXRY(여기서 RY는 임의로 치환된 Het1 또는 임의로 치환된 Het2를 나타낸다) 또는 -NRX2S(O)2NRXRY를 나타내면 R4는 경우에 따라 H, 할로, 시아노 또는 C1-3 알킬(후자 그룹은 하나 이상의 할로 원자로 임의로 치환된다)을 나타낼 수 있고;
Q1 및 Q2는 독립적으로 C(O)NH 또는 S(O)p를 나타내고;
n 및 p는 독립적으로 1 또는 2를 나타내는 것들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언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구체예는: 화학식 I, Ix, Ia, Ib 및 Ic의 화합물에서
R4
-SR6b,
하이드록시,
하나 이상의 할로 원자로 임의로 치환된 C1-3 알콕시,
-Q1-[C(R6c)(R6d)-(CH2)0-1CH2-O]1-12-CH2(CH2)0-1CH2-R6a(여기서 Q1은 O 또는 S를 나타낸다), 또는
-Q2-C(R6c)(R6d)-[C1-5 알킬렌]-R6a(여기서 C1-5 알킬렌 그룹은 임의로 옥소에 의해 치환된다)(여기서 Q2는 O 또는 S를 나타낸다)를 나타내면,
R5가 C1-3 알킬(후자 그룹은 하나 이상의 할로 원자로 임의로 치환된다)을 나타내거나, R5가 H, 시아노, -C(O)NH2, 할로 또는 C2-3 알키닐을 나타내는 것들을 포함한다.
언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화합물은: 화학식 I, Ix, Ia, Ib 및 Ic의 화합물에서
R4
-C(O)NH-[C(R6c)(R6d)-(CH2)0-1CH2-O]1-12-CH2(CH2)0-1CH2-R6a 또는
-C(O)NH-C(R6c)(R6d)-[C1-5 알킬렌]-R6a(여기서 C1-5 알킬렌 그룹은 임의로 옥소에 의해 치환된다)를 나타내는 것들을 포함한다.
언급할 수 있는 화학식 I, Ix, Ia, Ib 또는 Ic의 다른 화합물은 이하에 기술한 실시예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언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구체예는 화학식 I, Ix, Ia, Ib 또는 Ic의 화합물이 다음에서 선택된 화합물인 것들을 포함한다: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에티닐-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3-에티닐-5-((4-((4-(3-(3-플루오로-5-모폴리노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N-(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
N-(5-(tert-부틸)-3-(3-(4-((2-((3-(사이클로프로필설포닐)-5-메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메톡시-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메톡시-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1-(5-(tert-부틸)-2-메톡시페닐)-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아;
5-(tert-부틸)-3-(3-(4-((2-((3-에티닐-5-((2-모폴리노에틸)카바모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N-메틸벤즈아미드;
N-(5-(tert-부틸)-3-(3-(2,3-디클로로-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페닐)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N-(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
1-(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3-(2-메톡시-5-모폴리노페닐)우레아;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N-메틸벤즈아미드;
N-(3-(3-(4-((2-((3-(2,5,8,11,14,17,20-헵타옥사도코산-22-일옥시)-5-메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5-(tert-부틸)-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N-(5-(tert-부틸)-3-(3-(4-((2-((3-(2-(2-(2-(디메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5-메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에티닐-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N-(5-(tert-부틸)-3-(3-(4-((2-((3-(디플루오로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N-(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모폴리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N,N-디메틸벤즈아미드;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조산;
1-(5-(tert-부틸)-3-시아노-2-메톡시페닐)-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아;
3-(tert-부틸)-5-(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N-메틸벤즈아미드;
N-(3-(tert-부틸)-5-(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
1-(3-아미노-5-(tert-부틸)-2-메톡시페닐)-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아;
3-(2-(2-(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메톡시벤즈아미도)에톡시)에톡시)-프로판산;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1-(5-(tert-부틸)-2-메톡시-3-(피리미딘-2-일아미노)페닐)-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아;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N-메틸벤즈아미드;
3-(2-(2-(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메톡시페녹시)에톡시)에톡시)프로판산;
3-(2-(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메톡시페녹시)에톡시)프로판산;
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N-메틸-5-모폴리노벤즈아미드;
5-(tert-부틸)-N-사이클로프로필-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5-(tert-부틸)-N-(2-하이드록시에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N-(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메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
메틸 2-(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도)아세테이트;
N-벤질-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5-(tert-부틸)-3-(3-(4-((2-((3-에티닐-5-((2-모폴리노에틸)카바모일)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N-메틸벤즈아미드;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N-(2,5,8,11,14,17,20-헵타옥사도코산-22-일)-5-메톡시-벤즈아미드;
5-(tert-부틸)-N-에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5-(tert-부틸)-N-이소프로필-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N-(2-메톡시에틸)벤즈아미드;
2-(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도)아세트산;
N-(3-(3-(4-((2-((3-(2,5,8,11,14,17,20-헵타옥사도코산-22-일옥시)-5-메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5-(tert-부틸)-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5-(tert-부틸)-N-(2-(디메틸아미노)에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3-((4-((4-(3-(5-(tert-부틸)-3-카바모일-2-메톡시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3-((4-((4-(3-(5-(tert-부틸)-3-카바모일-2-메톡시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N-(5-(tert-부틸)-3-(3-(4-((2-((3-(사이클로프로판카보닐)-5-메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N-(옥세탄-3-일)-벤즈아미드;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2-(2-메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3-((4-((4-(3-(5-(tert-부틸)-3-카바모일-2-메톡시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젠설폰아미드;
(R)-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에티닐-N-(1-모폴리노프로판-2-일)벤즈아미드;
(S)-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에티닐-N-(1-모폴리노프로판-2-일)벤즈아미드;
N-(5-(tert-부틸)-3-(3-(4-((2-((4-클로로-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1-(5-(tert-부틸)-2-메톡시-3-(1,3,4-옥사디아졸-2-일)페닐)-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아;
(S)-5-(tert-부틸)-3-(3-(4-((2-((3-에티닐-5-((1-모폴리노프로판-2-일)카바모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N-메틸벤즈아미드;
(R)-5-(tert-부틸)-3-(3-(4-((2-((3-에티닐-5-((1-모폴리노프로판-2-일)카바모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N-메틸벤즈아미드;
3-((4-((4-(3-(3-(tert-부틸)-5-카바모일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1-(5-(tert-부틸)-2-옥소-2,3-디하이드로벤조[d]옥사졸-7-일)-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아;
1-(5-(tert-부틸)-2-메틸벤조[d]옥사졸-7-일)-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아;
3-((4-((4-(3-(3-(tert-부틸)-5-(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3-모폴리노프로필)벤즈아미드;
(S)-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1-(2-(2-메톡시에톡시)에톡시)프로판-2-일)벤즈아미드;
(R)-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1-(2-(2-메톡시에톡시)에톡시)프로판-2-일)벤즈아미드;
N-(5-(tert-부틸)-2-에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
1-(5-(tert-부틸)-2-메톡시-3-(1H-1,2,3-트리아졸-5-일)페닐)-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아;
N-(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1,1,1-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아미드;
N-(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사이클로헥산-설폰아미드;
N-(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피페리딘-1-설폰아미드;
N-(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디메틸아미노-설폰아미드;
5-(tert-부틸)-2-메톡시-N-(옥세탄-3-일)-3-(3-(4-((2-(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5-(tert-부틸)-N-(2-(디메틸아미노)에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N-(4-(tert-부틸)-6-(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1,1'-비페닐]-2-일)메탄설폰아미드;
N-(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모폴린-4-설폰아미드;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N-(옥세탄-3-일)벤즈아미드;
N-(5-(tert-부틸)-3-(3-(4-((2-((3-(2-(2-(2-하이드록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5-메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5-(tert-부틸)-2-메톡시-N-(옥세탄-3-일)-3-(3-(4-((2-(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2-(피롤리딘-1-일)에틸)벤즈아미드;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2-(피페리딘-1-일)에틸)벤즈아미드;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2-(4-메틸피페라진-1-일)에틸)벤즈아미드;
N-(5-(tert-부틸)-2-메톡시-3-(3-(4-((2-(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모폴린-4-설폰아미드;
N-(2-아미노에틸)-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5-tert-부틸-2-메톡시-N-(옥세탄-3-일)-3-[[4-[[2-(2-피리딜메틸아미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카바모일아미노]벤즈아미드;
5-tert-부틸-2-메톡시-3-[[4-[[2-(3-메톡시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카바모일아미노]-N-(옥세탄-3-일)벤즈아미드; 3-[[4-[(2-아닐리노-4-피리딜)옥시]-2,3-디플루오로페닐]카바모일아미노]-5-tert-부틸-2-메톡시-N-(옥세탄-3-일)벤즈아미드;
3-[[4-[(2-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카바모일아미노]-5-tert-부틸-2-메톡시-N-테트라하이드로피란-4-일-벤즈아미드;
3-[[4-[(2-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카바모일아미노]-5-tert-부틸-2-메톡시-N-(1-메틸-4-피페리딜)벤즈아미드;
3-[[4-[(2-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카바모일아미노]-5-tert-부틸-2-메톡시-N-[(3R)-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벤즈아미드;
3-[[4-[(2-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카바모일아미노]-5-tert-부틸-2-메톡시-N-[(3S)-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벤즈아미드;
1-[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3-[4-[[2-[3-[2-[2-(2-하이드록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5-메톡시-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우레아;
1-[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3-[4-[[2-[3-(하이드록시메틸)-5-메톡시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우레아;
5-tert-부틸-3-[[4-[[2-[3-(하이드록시메틸)-5-메톡시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카바모일아미노]-2-메톡시벤즈아미드;
5-tert-부틸-3-[[4-[[2-[3-(하이드록시메틸)-5-메톡시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카바모일아미노]-2-메톡시-N-메틸-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메톡시-N-(2-모폴리노-2-옥소-에틸)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하이드록시메틸)-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에티닐-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에티닐-N-[2-(4-메틸피페라진-1-일)에틸]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에티닐-N-(3-모폴리노프로필)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메톡시-N-[2-(4-메틸피페라진-1-일)에틸]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메톡시-N-(3-모폴리노프로필)벤즈아미드;
5-tert-부틸-3-[[4-[2-[3-에티닐-5-(2-모폴리노에틸카바모일)아닐리노]피리미딘-4-일]옥시-1-나프틸]카바모일아미노]-2-메톡시-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메톡시-N-(2-메틸-2-모폴리노-프로필)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메톡시-N-(2-티오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메톡시-N-[2-(1-옥소-1,4-티아지난-4-일)에틸]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N-[2-(1,1-디옥소-1,4-티아지난-4-일)에틸]-5-메톡시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N-[2-(3,3-디메틸모폴린-4-일)에틸]-5-메톡시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N-[2-(2,2-디메틸모폴린-4-일)에틸]-5-메톡시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N-[2-[(2R,6S)-2,6-디메틸모폴린-4-일]에틸]-5-메톡시-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메톡시-N-[2-(1,4-옥사제판-4-일)에틸]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메톡시-N-[2-(4-메틸-1,4-디아제판-1-일)에틸]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메톡시-N-(2-피페라진-1-일에틸)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N-[2-[2-(2-하이드록시에톡시)에톡시]에틸]-5-메톡시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메틸]-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메틸]-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메톡시-N-[2-(2-메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메톡시-N-[2-[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N-[2-(4-하이드록시-1-피페리딜)에틸]-5-메톡시벤즈아미드;
1-[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설피닐]아닐리노]피리딘-4-일]옥시-1-나프틸]우레아;
1-[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설포닐]아닐리노]피리딘-4-일]옥시-1-나프틸]우레아;
5-tert-부틸-3-[[4-[[2-[3-(하이드록시메틸)-5-메톡시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카바모일아미노]-2-메톡시-N-(옥세탄-3-일)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메틸]-5-메톡시-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메틸]-5-메톡시-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1-[5-tert-부틸-3-(시아노메틸)-2-메톡시페닐]-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우레아;
3-[[4-[[4-[[5-tert-부틸-3-(시아노메틸)-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메톡시-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시아노메틸)-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에티닐-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5-tert-부틸-3-[[4-[[2-[3-에티닐-5-(하이드록시메틸)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카바모일아미노]-2-메톡시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메톡시-N-[2-(4-옥소-1-피페리딜)에틸]벤즈아미드; 및
5-tert-부틸-3-[[4-[[2-[3-에티닐-5-(하이드록시메틸)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카바모일아미노]-2-메톡시-N-메틸-벤즈아미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용매화물 또는 동위원소 유도체.
이 측면에서, 언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특정한 구체예는 화학식 I, Ix, Ia, Ib 또는 Ic의 화합물이 다음에서 선택된 화합물인 것들을 포함한다: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에티닐-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N-메틸벤즈아미드;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3-모폴리노프로필)벤즈아미드; 및
5-(tert-부틸)-2-메톡시-N-(옥세탄-3-일)-3-(3-(4-((2-(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용매화물 또는 동위원소 유도체.
언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특정한 구체예는 화학식 I, Ix, Ia, Ib 또는 Ic의 화합물이 다음이 아닌 것들을 포함한다: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N-(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에티닐-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N-메틸벤즈아미드;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3-모폴리노프로필)벤즈아미드; 및/또는
5-(tert-부틸)-2-메톡시-N-(옥세탄-3-일)-3-(3-(4-((2-(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용매화물 또는 동위원소 유도체.
언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특정한 구체예는 화학식 I, Ix, Ia, Ib 또는 Ic의 화합물이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에티닐-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용매화물 또는 동위원소 유도체이거나 아닌 것들을 포함한다.
화학식 I, Ix, Ia, Ib 또는 Ic 화합물의 염의 예는 모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예컨대 비제한적으로 강한 무기산의 산 부가염, 예컨대 HCl 및 HBr염, 및 강한 유기산, 예컨대 메탄설폰산의 부가염을 포함한다.
본 원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화학식 I, Ix, Ia, Ib 또는 Ic의 화합물)이란 내용상 특정하게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화합물과 상기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모든 염, 용매화물 및/또는 토토머를 포함한다. 이 측면에서, 언급할 수 있는 용매화물은 수화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화학식 I, Ix, Ia, Ib 또는 Ic의 화합물)은 p38 MAP 키나제 저해제(특히 알파 서브타입)이고, 따라서 구체적으로 염증 질환의 치료를 위한 의약(medicine)으로 유용하다. 그러므로, 언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보조제, 희석제 또는 담체와 혼합하여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 Ix, Ia, Ib 또는 Ic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용매화물 또는 동위원소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학 제제.
(b) (A)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 Ix, Ia, Ib 또는 Ic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용매화물 또는 동위원소 유도체, 및
(B) 다른 치료제를 포함하고,
여기서 성분 (A)와 (B) 각각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보조제, 희석제 또는 담체와 혼합하여 제제화된 조합 생성물.
이러한 본 발명의 측면에서 조합 생성물은 단일(조합) 약학 제제 또는 키트의 부품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측면은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 Ix, Ia, Ib 또는 Ic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용매화물 또는 동위원소 유도체, 및 다른 치료제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보조제, 희석제 또는 담체와 혼합하여 포함하는 약학 제제를 포함한다(이 제제는 이하에서 "조합 제제"라 칭한다).
또한, 이것은 다음 성분들을 포함하는 부품들의 키트를 포함한다:
(i)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보조제, 희석제 또는 담체와 혼합하여,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 Ix, Ia, Ib 또는 Ic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용매화물 또는 동위원소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학 제제; 및
(ii)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보조제, 희석제 또는 담체와 혼합하여 다른 치료제를 포함하는 약학 제제
(여기서 성분 (i)과 (ii)는 각각 다른 성분들과 함께 투여하는데 적합한 형태로 제공된다).
따라서, 부품들의 키트 중 성분 (i)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보조제, 희석제 또는 담체와의 혼합물 중 상기한 성분 (A)이다. 마찬가지로, 성분 (ii)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보조제, 희석제 또는 담체와의 혼합물 중 상기한 성분 (B)이다.
(c)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 Ix, Ia, Ib 또는 Ic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용매화물 또는 동위원소 유도체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보조제, 희석제 또는 담체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한 측면 (a)의 약학 제제의 제조방법.
언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의 구체예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보조제, 희석제 또는 담체가 국소적으로 허용가능한 보조제, 희석제 또는 담체인 것들을 포함한다(및/또는 여기서 방법은 국소적 약학 제제, 즉 국소 투여에 적합한 약학 제제를 제조하는 것이다).
(d) 의약(또는 약제(medicament) 또는 약품(pharmaceutical))으로 사용하기 위한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 Ix, Ia, Ib 또는 Ic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용매화물 또는 동위원소 유도체.
(e) 염증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 Ix, Ia, Ib 또는 Ic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용매화물 또는 동위원소 유도체, 또는 본 발명의 측면 (a) 또는 (b)와 관련하여 정의된 약학 제제 또는 조합 생성물.
(f)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 Ix, Ia, Ib 또는 Ic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용매화물 또는 동위원소 유도체, 또는
본 발명의 측면 (a) 또는 (b)와 관련하여 정의된 약학 제제 또는 조합 생성물의 염증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용도.
(g)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 Ix, Ia, Ib 또는 Ic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용매화물 또는 동위원소 유도체, 또는
본 발명의 측면 (a) 또는 (b)와 관련하여 정의된 약학 제제 또는 조합 생성물의 유효량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
(h)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 Ix, Ia, Ib 또는 Ic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용매화물 또는 동위원소 유도체, 또는
본 발명의 측면 (a) 또는 (b)와 관련하여 정의된 약학 제제 또는 조합 생성물의 유효량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항염증 효과에 대상을 민감화하는 방법.
언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의 구체예는 대상이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항염증 효과에 불응성이 된 것을 포함한다.
제제
상기한 측면 (a) 및 (b)와 관련하여, 언급할 수 있는 희석제 및 담체는 비경구, 경구, 국소, 점막 및 직장 투여에 적합한 것들을 포함한다.
상기한 측면 (a) 및 (b)의 약학 제제 및 조합 생성물은 비경구, 피하, 근육내, 정맥내, 관절내, 초자체내(intravitreous), 눈주위, 교후부(retrobulbar), 결막하, 서브테논(sub-Tenon), 국소 안내 또는 관절주위 투여를 위한, 특히 액체 용액, 에멀젼 또는 현탁액의 형태; 경구 투여를 위한, 특히 정제 또는 캡슐 형태, 및 특별히 결장 대상 약물 방출의 제공을 목표로 하는 관련 기술(Patel, M. M. Expert Opin. Drug Deliv. 2011, 8 (10), 1247-1258); 국소, 예를 들어 폐 또는 비내 투여를 위한, 특히 분말, 점비액 또는 에어로졸 및 경피 투여의 형태; 국소 안내 투여를 위한, 특히 용액, 에멀젼, 현탁액, 연고, 임플란트/삽입물, 겔, 젤리 또는 리포좀 미립자 제제의 형태(Ghate, D.; Edelhauser, H. F. Expert Opin. Drug Deliv. 2006, 3 (2), 275-287); 안내 투여를 위한, 특히 생분해가능 및 생분해 불가능 임플란트, 리포좀 및 나노입자의 형태(Thrimawithana, T. R. et al. Drug Discov. Today 2011, 16 (5/6), 270-277); 예를 들어, 볼, 설하 또는 질 점막으로의 점막 투여, 및 직장 투여를 위한 좌약제 또는 관장제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측면 (a) 및 (b)의 약학 제제 및 조합 생성물은 단위 복용량 형태로 편리하게 투여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7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85))에 기술된 바와 같이, 약학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는 멸균수 또는 식염수(saline),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알킬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폴리알킬렌 글리콜, 식물성 기원 오일, 수소화된 나프탈렌 등을 부형제로서 함유할 수 있다. 비강내 투여용 제제는 고체일 수 있으며, 부형제, 예를 들어 락토스 또는 덱스트란을 함유할 수 있거나, 점비제 또는 계량 스프레이(metered spray) 형태로 사용하기 위한 수성 또는 유성 용액일 수 있다. 볼 투여의 경우, 전형적인 부형제는 당, 칼슘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전호화분 녹말(pregelatinated starch) 등을 포함한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약학 제제 및 조합 생성물은 하나 이상의 생리적으로 적합한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체 또는 액체 형태일 수 있다. 정제 및 캡슐은, 결합제, 예를 들어 시럽, 아카시아, 젤라틴, 솔비톨, 트라가칸트,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락토스, 슈크로스, 옥수수 전분, 칼슘 포스페이트, 솔비톨, 또는 글리신 같은 충전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실리카 같은 윤활제; 및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같은 계면활성제와 함께 제조될 수 있다. 액체 조성물은 일반적인 첨가제, 예컨대 현탁화제, 예를 들어 솔비톨 시럽, 메틸 셀룰로스, 당 시럽, 젤라틴,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또는 식용 지방; 유화제, 예컨대 레시틴, 또는 아카시아; 식물성 오일, 예컨대 아몬드 오일, 코코넛 오일, 대구 간유, 또는 땅콩유; 보존제, 예컨대 부틸레이트화 하이드록시아니솔(BHA) 및 부틸레이트화 하이드록시톨루엔(BHT)을 함유할 수 있다. 액체 조성물은, 예를 들어 젤라틴으로 캡슐화되어 단위 복용량 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고체 경구 투여 형태는 정제, 투-피스 경질 캡슐(two-piece hard shell capsule) 및 연질 탄성 젤라틴(soft elastic gelatin; SEG) 캡슐을 포함한다. 투-피스 경질 캡슐은, 예를 들어 젤라틴 또는 하이드록실프로필 메틸셀룰로스(HPMC)로 제조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건조 쉘 제제는 약 40% 내지 60% w/w 농도의 젤라틴, 약 20% 내지 30% 농도의 가소제(예컨대 글리세린, 솔비톨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약 30% 내지 40% 농도의 물을 포함한다. 또한, 보존제, 염료, 유백제(opacifier) 및 향미제 같은 기타 물질도 존재할 수 있다. 액체 충전 물질은 (밀납, 수소화된 피마자유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0과 같은 현탁화제와 함께) 용해, 가용화 또는 분산된 고체 약물, 또는 비히클 또는 미네랄 오일, 식물성 오일, 트리글리세리드, 글리콜, 폴리올 같은 비히클 및 표면활성제 조합 중의 액체 약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폐, 눈 또는 장에)국소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언급할 수 있는 상기한 측면 (a) 및 (b)의 구체예는 국소 투여에 적합화된 약학 제제 및 조합 생성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제는 부형제(예를 들어, 보조제, 희석제 및/또는 담체)가 국소적으로 허용가능한 것들을 포함한다.
폐로의 국소 투여는 에어로졸 제제를 사용함으로써 가능해질 수 있다. 전형적으로, 에어로졸 제제는 클로로플루오로카본(CFC) 또는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HFC)과 같은 적합한 에어로졸 분사제(propellant)에 현탁 또는 용해된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적합한 CFC 분사제는 트리클로로모노플루오로메탄(분사제 11),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메탄(분사제 114), 및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분사제 12)을 포함한다. 적합한 HFC 분사제는 테트라플루오로에탄(HFC-134a) 및 헵타플루오로프로판(HFC-227)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분사제는 전체 흡입 조성물의 40 내지 99.5 중량%, 예를 들어 40 내지 90 중량%로 포함된다. 제제는 공용매(예를 들어, 에탄올) 및 계면활성제(예를 들어, 레시틴, 소르비탄 트리올리에이트 등)를 포함하는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제제는 용기에 포장되거나 적정 투여량이 계량 밸브에 의해 전달된다(예를 들어, Bespack, Valois 또는 3M, 또는 경우에 따라 Aptar, Coster 또는 Vari에 의해 공급).
또한, 폐로의 국소 투여는 수용액 또는 현탁제와 같이 무압 제제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손에 쥘 수 있고 휴대가능하거나 가정용 또는 병원용(즉, 고정형)의 네뷸라이저(nebuliser)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제제는 부형제, 예컨대 물, 완충제, 장력조절제, pH 조절제, 계면활성제 및 공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현탁액과 에어로졸 제제(가압 또는 무압과 무관)는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예를 들어 0.5-10 μm, 예를 들어 약 1-5 μm의 D50을 갖는 미분 형태로 함유한다. 입자크기분포는 D10, D50 및 D90값을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입자크기분포의 D50 중간값은 분포를 절반으로 나눈 입자크기(마이크론)로 정의된다. 레이저 회절로부터 유도된 측정은 부피 분포로서 보다 정확하게 기술되며, 결론적으로 이 방법을 사용하여 얻어진 D50값은 더욱 의미있게 Dv50값(부피 분포의 중간값)이라 지칭한다. 본 원에서 사용된 Dv값은 레이저 회절을 사용하여 측정된 입자크기분포를 나타낸다. 유사하게, 레이저 회절에 대한 내용에서 사용된 D10 및 D90값들은 Dv10과 Dv90값들을 의미하기 위해 얻어지며, 각각 10%의 분포가 D10값 미만에 있고 90%의 분포가 D90값 미만에 있는 분자크기를 나타낸다.
폐로의 국소 투여는 또한 건조분말 제제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건조분말 제제는 미분화된 형태, 전형적으로 1-10 μm의 질량 평균 공기역학적 직경 (MMAD) 또는 0.5-10 μm, 예를 들어 약 1-5 μm의 D50을 갖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게 된다. 미분된 형태의 본 발명의 화합물 분말은 마이크로화 방법 또는 유사한 분쇄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마이크로화는 제트밀, 예컨대 Hosokawa Alpine이 제조한 제트밀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생성된 입자크기분포는 레이저 회절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예를 들어, Malvern Mastersizer 2000S 장치 사용). 전형적으로, 제제는 통상 거대 입자크기, 예를 들어 MMAD가 50 μm 이상, 예를 들어 100 μm 이상이거나 D50이 40-150 μm인 국소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 예컨대 락토스, 글루코스 또는 만니톨(바람직하게 락토스)를 함유한다. 본 원에서 사용된 "락토스"라는 용어는 락토스를 함유하는 성분, 예를 들어 α-락토스 1수화물, β-락토스 1수화물, α-락토스 무수물, β-락토스 무수물 및 무정형 락토스를 지칭한다. 락토스 성분을 마이크로화, 체거름, 밀링, 압착, 응집 또는 분무건조로 가공할 수 있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락토스도 포함되며, 예를 들어 Lactohale® (흡입 등급 락토스; DFE Pharma), InhaLac®70 (건조 분말 흡입제용 체거름 락토스; Meggle), Pharmatose® (DFE Pharma) 및 Respitose® (체거름된 흡입 등급 락토스; DFE Pharma) 제품이 있다. 일 구체예에서, 락토스 성분은 α-락토스 1수화물, α-락토스 무수물 및 무정형 락토스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하게, 락토스는 α-락토스 1수화물이다.
건조분말 제제는 또한 다른 부형제, 예컨대 소듐 스테아레이트, 칼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함유할 수도 있다.
건조분말 제제는 전형적으로 건조분말 흡입제(DPI) 장치를 사용하여 전달된다. 건조분말 전달 시스템의 예는 SPINHALER, DISKHALER, TURBOHALER, DISKUS 및 CLICKHALER를 포함한다. 건조분말 전달 시스템의 다른 예는 ECLIPSE, NEXT, ROTAHALER, HANDIHALER, AEROLISER, CYCLOHALER, BREEZHALER/NEOHALER, MONODOSE, FLOWCAPS, TWINCAPS, X-CAPS, TURBOSPIN, ELPENHALER, MIATHALER, TWISTHALER, NOVOLIZER, PRESSAIR, ELLIPTA, ORIEL 건조분말 흡입기, MICRODOSE, PULVINAL, EASYHALER, ULTRAHALER, TAIFUN, PULMOJET, OMNIHALER, GYROHALER, TAPER, CONIX, XCELOVAIR 및 PROHALER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AEROLISER 같은 단일 투약 장치 또는 DISKUS 같은 복수 투약 장치에 충전된, 임의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함께 적합한 등급의 락토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미분화 건조분말 제제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예를 들어 수성 또는 유성 용액뿐 아니라 현탁액 및 에멀젼을 포함하는 좌약 또는 관장제의 형태로 직장에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표준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예를 들어, 좌약은 활성 성분을 통상적인 좌약 베이스, 예컨대 코코아 버터 또는 기타 글리세라이드, 예를 들어 Suppocire와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약물은 실온에서 고체이나 직장 온도에서는 액체여서 직장 내에서 녹아 약물을 방출하는 적합한 비자극성 부형제와 혼합된다. 이러한 물질은 코코아 버터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이다.
일반적으로, 점안제 또는 안연고 형태로 눈에 국소 투여되도록 의도된 조성물의 경우, 저해제의 총량은 약 0.0001 내지 4.0% (w/w) 미만일 것이다.
바람직하게, 국소 안내 투여를 위해, 본 발명에 따라 투여된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에멀젼 및 다른 투약 형태로 제형화될 것이다. 제형화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환자가 감염된 눈에 용액 1 내지 2 방울의 용액을 주입함으로써 이러한 조성물을 용이하게 투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성 용액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그러나, 조성물은 또한 현탁액, 점성 또는 반점성 겔, 또는 다른 형태의 고체 또는 반고체 조성물일 수도 있다. 수난용성 화합물에 대해 현탁액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투여된 조성물은 또한 등장화제, 완충제, 계면활성제, 안정화 폴리머, 보존제, 공-용매 및 점도 구축제를 포함하나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기타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약학 조성물은 등장화제 및 완충제와 함께 저해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임의로 계면활성제 및/또는 완화제 및/또는 안정화 폴리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의 장성을, 바람직하게 안과 조성물에 대해 자연 눈물의 것으로 조절하기 위해 다양한 등장화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 단당, 예컨대 덱스트로스, 프럭토스, 갈락토스, 및/또는 단순 폴리올, 예컨대 당 알콜 만니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락티톨, 이소말티톨, 말티톨, 및 수소화 전분 가수분해물이 대략 생리적 장성까지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등장화제의 양은 첨가되는 특정 제제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그러나,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등장화제를 최종 조성물이 안과적으로 허용가능한 오스몰농도(일반적으로 약 150-450 mOsm, 바람직하게 250-350 mOsm 및 가장 바람직하게 약 290 mOsm)를 가지게 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함유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등장화제는 2 내지 4% w/w의 범위로 존재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등장화제는 단당 또는 당 알콜, 예컨대 D-만니톨을 포함한다.
저장 조건하에서 pH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완충제 시스템(예를 들어, 인산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붕산나트륨 또는 붕산)이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특정 농도는 사용되는 제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완충제는 바람직하게는 표적 pH가 pH 5 내지 8,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pH 5 내지 7의 표적 pH 범위내에서 유지되도록 선택될 것이다.
고농도의 저해제를 전달하기 위해 계면활성제가 임의로 사용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저해제를 용해시키고 콜로이드 분산물, 예컨대 미셸 용액, 마이크로에멀젼, 에멀젼 및 현탁액을 안정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임의로 사용될 수 있는 계면활성제의 예로서는 폴리소르베이트, 폴록사머, 폴리옥실 40 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실 피마자유, 티록사폴, 트리톤, 및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바람직한 계면활성제는 친수/친유/균형 "HLB"가 12.4 내지 13.2의 범위이며, 트리톤X114 및 티록사폴과 같이 안과 용도로 허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안과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는 추가 제제는 안정화 폴리머로서 기능하는 완화제이다. 안정화 폴리머는 우선적으로 국소 안과 용도의 이온성/전하성 실시예, 더욱 특히, 수중 분산물(즉, 수용성)을 만들 수 있고 물리적 안정성을 위해 그의 표면에 (-)10-50 mV의 제타-전위를 나타낼 수 있는 음전하를 가지는 폴리머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안정화 폴리머는 0.1-0.5% w/w의 가교화 폴리아크릴레이트, 예컨대 카보머, 폴리카보필(polycarbophil) 및 페뮬렌(R), 특히 카보머 974p (폴리아크릴산) 류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전해질, 또는 복수의 경우 폴리전해질들일 수 있다.
담체의 점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안과 조성물에 또한 다른 화합물이 첨가될 수 있다. 점도 증진제의 예로는 폴리사카라이드, 예컨대 히알루론산 및 그의 염,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및 그의 염, 덱스트란, 셀룰로스계의 다양한 폴리머; 비닐 폴리머; 및 아크릴산 폴리머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국소 안과 생성물은 전형적으로 다회 투여 형태로 포장된다. 따라서 사용중에 미생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보존제가 필요하다. 적합한 보존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클로로부탄올, 벤조도데시늄 브로마이드, 메틸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페닐에틸 알콜, 에덴테이트 디소듐, 소르브산, 폴리쿼터늄-1, 또는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다른 제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보존제는 전형적으로 0.001 내지 1.0% w/v의 수준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단위 용량 조성물은 멸균될 것이지만, 전형적으로 보존처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보존제를 함유하지 않을 것이다.
임상의 또는 다른 숙련자들은 본 발명의 화합물에 적합한 용량, 및 그에 따라 임의의 특정 약학 제형(단위 투여량 형태이거나, 그외의 형태에 상관없이)에 포함되어야 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양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b)에서 기술된 조합 생성물과 관련하여 언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구체예는 다른 치료제가 염증 질환(예를 들어, 하기한 특정 질환들)을 치료하는데 적합한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하나 이상의 치료제인 것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호흡기 장애(예컨대 COPD 또는 천식) 치료를 위한 다른 치료제는 다음을 포함하는 목록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약물이다:
- 스테로이드(예를 들어, 부데소니드, 베클로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모메타손 푸로에이트, 플루티카손 푸로에이트; 추가 예는 시클레소니드(ciclesonide)이다);
- 베타 작용제, 특히 베타2 작용제(예를 들어, 터부탈린, 살부타몰, 살메테롤, 포모테롤; 추가 예는 빌란테롤, 올로다테롤, 레프로테롤 및 페노테롤이다); 및
- 잔틴(예를 들어, 테오필린).
예를 들어, 호흡기 장애(예컨대 COPD 또는 천식) 치료를 위한 다른 치료제는 다음을 포함하는 목록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약물이다:
- 무스카린성 길항제(예를 들어, 티오트로퓸, 우메클리디늄, 글리코피로늄, 아클리디늄 및 다라트로퓸, 예를 들어, 이들 중 어느 하나의 브롬화염); 및
- 포스포디에스터라제 저해제.
추가로, 위장관 장애(예컨대, 크론병 또는 궤양성 대장염)의 치료를 위한 다른 치료제는, 예를 들어 다음을 포함하는 목록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약물이다:
- 5-아미노살리실산, 또는 그의 프로드럭(예컨대 설파살라진, 올살라진 또는 비살라지드);
- 코르티코스테로이드(예를 들어, 프레드니솔론, 메틸프레드니솔론, 또는 부데소니드);
- 면역억제제(예를 들어, 사이클로스포린, 타클로리무스, 메톡트렉세이트, 아자티오프린 또는 6-머캅토퓨린);
- 항-TNFα 항체(예를 들어, 인플릭시맙, 아달리무맵, 세르톨리주맵 페골 또는 골리무맵);
- 항-IL12/IL23 항체(예를 들어, 우스테키누맵) 또는 소분자 IL12/IL23 저해제 (예를 들어, 아필리모드);
- 항-α4β7 항체(예를 들어, 베돌리주맵);
- MAdCAM-1 블로커(예를 들어, PF-00547659);
- 세포 부착 분자 α4-인테그린에 대한 항체(예를 들어, 나탈리주맵);
- IL2 수용체 α 서브유닛에 대한 항체(예를 들어, 다클리주맵 또는 바실릭시맵);
- JAK3 저해제(예를 들어, 토파시티닙 또는 R348);
- Syk 저해제 및 그의 프로드럭(예를 들어, 포스타마티닙 및 R-406);
- 포스포디에스테라제-4 저해제(예를 들어, 테토밀라스트);
- HMPL-004;
- 항생균(probiotics);
- 데르살라진;
- 세마피모드/CPSI-2364; 및
- 단백질 키나제 C 저해제(예를 들어, AEB-071).
눈의 장애(예컨대 포도막염 또는 건성각결막염(안구 건조증)) 치료를 위한 다른 치료제는, 예를 들어 다음을 포함하는 목록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약물이다:
- 코르티코스테로이드(예를 들어, 덱사메타손, 프레드니솔론,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디플루프레드네이트 또는 플루오시놀론 아세토니드);
-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작용제(예를 들어, 마프라코라트);
- 면역억제제(예를 들어, 사이클로스포린, 보클로스포린, 아자티오프린, 메토트렉세이트, 마이코페놀레이트 모페틸 또는 타크롤리무스);
- 항-TNFα항체(예를 들어, 인플릭시맙, 아달리무맵, 세르톨리주맵 페골, ESBA-105 또는 골리무맵);
- 항-IL-17A 항체(예를 들어, 세쿠키누맵);
- mTOR 저해제(예를 들어, 시롤리무스);
- VGX-1027;
- 아데노신 A3 리셉터 작용제(예를 들어, CF-101);
- 리피테그라스트(lifitegrast);
- JAK3 저해제(예를 들어, 토파시티닙 또는 R348); 및
- 단백질 키나제 C 저해제(예를 들어, AEB-071).
특정한 구체예에서, 눈의 장애(예컨대 포도막염 또는 건성각결막염(안구 건조증)) 치료를 위한 다른 치료제는, 예를 들어 다음을 포함하는 목록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약물이다:
- 코르티코스테로이드(예를 들어, 덱사메타손, 프레드니솔론,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디플루프레드네이트 또는 플루오시놀론 아세토니드);
- 면역억제제(예를 들어, 사이클로스포린, 보클로스포린, 아자티오프린, 메토트렉세이트, 마이코페놀레이트 모페틸 또는 타크롤리무스);
- 항-TNFα항체(예를 들어, 인플릭시맙, 아달리무맵, 세르톨리주맵 페골, ESBA-105 또는 골리무맵);
- 항-IL-17A 항체(예를 들어, 세쿠키누맵);
- mTOR 저해제(예를 들어, 시롤리무스);
- VGX-1027;
- JAK3 저해제(예를 들어, 토파시티닙 또는 R348); 및
- 단백질 키나제 C 저해제(예를 들어, AEB-071).
의학적 용도
본 발명의 화합물은 염증 질환의 단일요법, 또는 이러한 질환의 조합 요법에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언급할 수 있는 상기한 측면 (e) 내지 (g)의 구체예는 화학식 I, Ix, Ia, Ib 또는 Ic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용매화물 또는 동위원소 유도체)이 치료에 사용된 단독 약물학적 활성성분인 것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한 측면 (e) 내지 (g)의 다른 구체예에서, 화학식 I, Ix, Ia, Ib 또는 Ic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용매화물 또는 동위원소 유도체)은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도 투여된 대상에게 투여한다(예를 들어, 여기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는 조합물과 관련하여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 원에서 사용된 "염증 질환"이란 용어는 구체적으로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i) 염증 성분이 있는 폐 질환 또는 장애, 예컨대 낭포성 섬유증, 폐 고혈압, 폐 유육종증, 특발성 폐 섬유증 또는, 특히 COPD(만성 기관지염과 폐기종을 포함), 천식 또는 소아 천식;
(ii) 염증 성분이 있는 피부 질환 또는 장애, 예컨대 아토피성 피부염, 알러지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또는 건선;
(iii) 염증 성분이 있는 코 질환 또는 장애, 예컨대 알러지성 비염, 비염 또는 부비동염;
(iv) 염증 성분이 있는 안 질환 또는 장애, 예컨대 결막염, 알러지성 결막염, 녹내장, 당뇨병성 망막증, 황반부종(당뇨병성 황반부종 포함), 망막 중심 정맥 폐쇄(CRVO), 건조 및 / 또는 함습 연령 관련 황반변성(AMD), 수술 후 백내장 염증, 또는, 특히, 건성각결막염(안구 건조증), 포도막염(후방, 전방 및 팬(pan) 포도막염 포함), 각막 이식과 각막 윤부 세포 이식 거부증; 및
(v) 염증 성분이 있는 위장관 질환 또는 장애, 예컨대 글루텐 민감성 장질환 (셀리악병), 호산구성 식도염, 장 이식편 대 숙주질환 또는, 특히 크론병 또는 궤양성 대장염.
본 원에서 염증 성분을 갖는 질환이란 다른 (비염증성) 증상 또는 질환의 결과가 있는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염증과 관련한 질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다음을 포함하는 화학식 I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화학식 II의 화합물과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예를 들어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조건, 예를 들어 주위온도(예를 들어, 15 내지 30℃) 내지 약 110℃에서, 적합한 유기용매(예를 들어, 극성 비양자성 용매, 예컨대 DMF, THF, 1,4-디옥산 또는, 그의 혼합물) 존재 하에 반응시키고;
Figure 112015105507671-pct00012
Figure 112015105507671-pct00013
상기 화학식 II 및 III에서, Z1과 Z2 중 하나는 화학식 IV의 구조 단편이고, Z1과 Z2 중 다른 하나는 화학식 V의 구조 단편이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14
Figure 112015105507671-pct00015
상기 화학식 IV 및 화학식 V에서, R1A 내지 R1E, R2 내지 R5, L 및 X1 내지 X3 는 앞서 정의된 바와 같다;
(b) 화학식 IIa의 화합물과 적합한 아자이드 형성제(즉, 이탈기와 활성화 아자이드 이온의 적합한 공급원, 예컨대 디페닐 포스포아지데이트; 예를 들어, Tetrahedron 1974, 30, 2151-2157 참조)를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조건 하, 예컨대 주위온도 이하 내지 주위 온도(예를 들어, 약 -5 내지 5℃의 초기 온도 내지 반응 후 주위온도)에서 아민 염기(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 또는 입체장애 염기, 예컨대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및 적합한 유기용매(예를 들어, 극성 비양자성 용매, 예컨대 DMF, THF, 1,4-디옥산 또는, 그의 혼합물)의 존재 하에서 반응시킨 다음, 분리하지 않고, 예를 들어 주위온도(예컨대 15 내지 30℃)에서 (화학식 Z1-C(O)-N3의) 중간체 아실 아자이드의 열적 재배열(예를 들어, 가열 하)에 의해 제자리에서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제공하고, 이후 이 화합물을 위에서 정의된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반응시켜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하고:
Figure 112015105507671-pct00016
상기 화학식 IIa에서, Z1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c) 화학식 IIb의 화합물과 위에서 정의된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예를 들어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조건, 예컨대 주위온도(예를 들어, 주위온도 내지 80℃)에서, 임의로 아민 염기(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 또는 입체장애 염기, 예컨대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및 적합한 유기용매(예를 들어, 비양자성 용매, 예컨대 디클로로메탄 또는 에스테르, 예컨대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의 존재 하에서 반응시키고:
Figure 112015105507671-pct00017
상기 화학식 IIb에서, LG1은 적합한 이탈기(예를 들어, 이미다졸릴, 클로로, 또는 아릴옥시, 예컨대 페녹시)를 나타내고, Z1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d) 화학식 VI의 화합물과 화학식 VII의 화합물을, 예를 들어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조건(예를 들어, J. Am. Chem. Soc. 2011, 133, 15686-15696에 기술) 하, 예컨대 고온(예를 들어, 50 내지 110℃)에서, 적합한 유기용매(예를 들어, 극성 비양자성 용매, 예컨대 DMF, THF, 1,4-디옥산 또는, 그의 혼합물) 및 산성 촉매(예를 들어, 설폰산, 예컨대 파라-톨루엔설폰산)의 존재 하에서 반응시키거나:
Figure 112015105507671-pct00018
Figure 112015105507671-pct00019
상기 화학식 VI에서, LG2는 적합한 이탈기(예를 들어, 할로 그룹, 예컨대 클로로 또는 브로모)이고, R1A 내지 R1E, R2, R3 및 X1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상기 화학식 VII에서, R4, R5, L, X2 및 X3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e) R4
-S(O)1-2-[C(R6c)(R6d)-(CH2)0-1CH2-O]1-12-CH2(CH2)0-1CH2-R6a,
-S(O)1-2-C(R6c)(R6d)-[C1-5 알킬렌]-R6a,
-S(O)1-2R6b를 나타내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경우,
R4가 각각
-S-[C(R6c)(R6d)-(CH2)0-1CH2-O]1-12-CH2(CH2)0-1CH2-R6a,
-S-C(R6c)(R6d)-[C1-5 알킬렌]-R6a,
-S-R6b(여기서 R6a 내지 R6d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를 나타내는 상응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예를 들어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조건(예를 들어 0 내지 25℃에서 적합한 용매(예컨대, 디클로로메탄, 메탄올 또는 그의 혼합물)와 과산 (peracid), 예컨대 메타-클로로퍼벤조산의 존재) 하에 산화하고;
(f) R4
-C(O)NH-[C(R6c)(R6d)-(CH2)0-1CH2-O]1-12-CH2(CH2)0-1CH2-R6a 또는
-C(O)NH-C(R6c)(R6d)-[C1-5 알킬렌]-R6a를 나타내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경우(여기서 C1-5 알킬렌 그룹은 임의로 옥소로 치환된다),
화학식 VIIa의 화합물과 화학식 VIIb 또는 VIIc의 화합물을, 예를 들어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조건, 예컨대 (i) R4'이 C1-3 알킬 그룹을 나타내면, 주위온도에서 적합한 루이스 산성 촉매(예를 들어, 트리알킬 알루미늄 시약, 예컨대 트리메틸알루미늄)와 비양자성 유기용매(예를 들어, THF)의 존재 하에 반응시키거나, (ii) R4'이 H를 나타내면, 3차 아민 염기(예를 들어, 트리알킬아민, 예컨대 트리에틸아민 또는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또는 사이클릭 아민, 예컨대 N-메틸피롤리딘 또는 N-메틸모폴린), 아미드(펩티드) 커플링제(예를 들어, T3P, HATU, CDI, BOP, PyBOP, HOAt, HOBt 또는 카보디이미드, 예컨대 DCC 또는 디이소프로필카보디이미드) 및 비양자성 유기용매(예를 들어, 염소화 용매, 예컨대 DCM, 에스테르, 예컨대 에틸 아세테이트, 디메틸아민의 아미드, 예컨대 DMF, 또는 이러한 용매들의 혼합물) 존재 하에 반응시키고, 필요하다면 그 그룹이 C(O)O-C1-4 알킬을 나타낼 경우 R6a1를 탈보호화하고;
Figure 112015105507671-pct00020
H2N-[C(R6c)(R6d)-(CH2)0-1CH2-O]1-12-CH2(CH2)0-1CH2-R6a1 VIIb
H2N-C(R6c)(R6d)-[C1-5 알킬렌]-R6a1 or VIIc
(상기 화학식 VIIa에서, R4'은 H 또는 C1-3 알킬 그룹(예를 들어, 메틸)을 나타내고, R1A 내지 R1E, R2, R3, R5, L 및 X1 내지 X3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상기 화학식 VIIb 및 VIIc에서, C1-5 알킬렌 그룹은 임의로 옥소로 치환되고, R6c와 R6d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R6a1은 CO2H가 단지 보호된 형태(예를 들어, C(O)O-C1-4 알킬)로 존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상기한 R6a와 동일한 정의를 갖는다);
(g) R1이 -C(O)NRXRY를 나타내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경우, 화학식 VIId의 화합물과 화학식 VIIe의 화합물을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조건 하, 예를 들어
RX가 H를 나타내면, 적합한 용매, 염기(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 또는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및 아미드(펩티드) 커플링제, 예컨대 HATU, CDI, N,N'-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 N,N'-디이소프로필카보디이미드 BOP 또는 PyBOP 존재 하에 임의로 활성화된 에스테르 형성제, 예컨대 HOBt 또는 1-하이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과 조합하여 반응시키거나,
RX가 H를 나타내면, 카복실산을 (예를 들어, 염화티오닐 같은 할로겐화제와의 반응에 의해)산 할로겐화물로 전환하고, 적합한 용매와 염기(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 또는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존재 하에 화학식 (XI)의 화합물과 반응시키거나,
RX가 C1-4 알킬(예를 들어, 메틸)을 나타내면, 트리알킬알루미늄(예를 들어, 트리메틸알루미늄)과 비양자성 용매(예를 들어, THF)의 존재 하에 반응시키고;
Figure 112015105507671-pct00021
Figure 112015105507671-pct00022
(상기 화학식 VIId에서, R1A, R1C, R1D, R1E, Ra, Rb, X1 내지 X3, L, R4 및 R5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RX는 H 또는 C1-4 알킬을 나타내고,
상기 화학식 VIIe에서, RX와 RY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h) 화학식 I 화합물의 보호된 유도체를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조건 하에 탈보호한다[여기서 보호된 유도체는 화학식 I 화합물의 O- 또는 N-원자에 보호기를 갖는다(또한, 의심의 여지를 회피하기 위해 하나의 화학식 I 화합물의 보호된 유도체는 화학식 I의 다른 화합물이거나 아닐 수 있다)]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방법에 따라 또는 그와 유사하게, 예를 들어 상기한 화학식 IIa의 화합물과 아자이드 형성제를 반응시킨 후 중간체 아실 아자이드를 재배열((b)에서 기술; 예를 들어 Tetrahedron 1974, 30, 2151-2157 참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IIb의 화합물은 화학식 VIII의 화합물과 화학식 IX의 화합물을, 예를 들어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조건 하에서 반응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23
Figure 112015105507671-pct00024
상기 화학식 VIII에서, LG1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상기 화학식 IX에서, Z1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화학식 IX의 아민은 상기한 (b)의 경로에 의해 화학식 IIa의 카복실산으로부터 제조할 수 있고, 여기서 중간체 이소시아네이트 II는 물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카밤산을 제공하고, 여기서 이산화탄소가 제거되어 IX를 얻는다. 마찬가지로, 중간체 이소시아네이트 II는 알코올, 예컨대 t-부탄올과 반응하여 IX의 보호된 형태를 생성할 수 있다.
Z2가 화학식 V의 구조 단편을 나타내는 화학식 III의 특정 화합물, 또는 Z1이 화학식 V의 구조 단편을 나타내는 화학식 IX의 화합물은 반응식 1(예를 들어, WO 2003/072569; 및 WO 2008/046216 참조)에 요약된 경로를 사용하여 합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R2, R3 및 X1 내지 X3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LG3 및 LG4는 이탈기, 예를 들어 할로겐 또는 메탄설포닐을 나타내고, FG는 실재 또는 잠재 NH2 그룹, 즉 NH2 그룹으로 용이하게 변환되는 그룹, 예컨대 니트로 또는 보호된 변이체 NH-PG2(여기서 PG2는 일반적인 보호기(예를 들어, Greene, T. W.; Wuts, P. G. M.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Wiley, 4th revised edition, 2006; ISBN 10: 0471697540), 예를 들어 카바메이트 에스테르 또는 카복사미드이다)를 나타낸다. 순서는 에스테르 XII를 생성하기 위해 X를 염기로 처리할 때 형성된 아록사이드(aroxide)에 의해 XI 내 LG3의 염기 매개 SNAr 변위로 출발한다. 에테르 XII의 남아있는 할로겐 또는 메탄설포닐 치환체(LG4)는 이후 i) 제2 SNAr 반응 중 화학식 VII의 아민으로 또는 (ii) Buchwald 커플링(예를 들어, WO 2009/017838 참조)에 의해 화학식 VII의 아민으로 대체되어 목적하는 화합물(FG가 NH2일 때), 또는 XIII(FG가 니트로 또는 NH-PG2일 때)가 얻어진다. XIII에서 FG가 니트로이면, NH2 그룹은 전형적으로 적합한 촉매, 예를 들어 팔라듐/탄소, 또는 용해하는 금속 조건, 예컨대 빙초산 중의 철을 사용하는 수소화에 의해 수행된 환원반응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FG가 보호기이면 NH2 그룹은 탈보호 반응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순서의 마지막 단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FG로 표시된 잠재 NH2 그룹의 탈보호는 반응식 1에 나타낸 합성 경로의 어떤 단계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112015105507671-pct00025
유사한 방법으로, Z1이 화학식 IV의 구조 단편을 나타내는 화학식 IX의 아민은 화학식 XIIIa 화합물에서 잠재 NH2 그룹을 실제 NH2 그룹으로 전환하여 합성할 수 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26
상기 화학식 XIIIa에서, FG'은 이것이 NH2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를 제외하고 상기한 FG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고, R1A 내지 R1E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Z2가 화학식 V의 구조 단편을 나타내는 화학식 III의 화합물, 또는 Z1이 화학식 V의 구조 단편을 나타내는 화학식 IX의 화합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상기한 방법 (f) 참조)과 화학식 III의 다른 화합물(예를 들어, 반응식 1 참조)을 제조하는 본 원에 기술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예를 들어 화학식 XIIIa의 화합물을 위에서 정의된 화학식 VIIb 또는 VIIc의 화합물과,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조건(예를 들어, 상기한 방법 (f)와 관련하여 기술된 펩티드 커플링 조건) 하에 반응시킨 후, (필요하면) FG를 NH2로, 예를 들어 반응식 1과 관련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전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V의 구조 단편에서, R4는 다음을 나타내고:
-C(O)NH-[C(R6c)(R6d)-(CH2)0-1CH2-O]1-12-CH2(CH2)0-1CH2-R6a 또는
-C(O)NH-C(R6c)(R6d)-[C1-5 알킬렌]-R6a
(여기에서 C1-5 알킬렌 그룹은 임의로 옥소로 치환된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27
상기 화학식 XIIIa에서, FG, R2, R3, R4', R5, L 및 X1 내지 X3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화학식 VI의 화합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과 유사하게 합성할 수 있다(예를 들어, 상기한 대안적 방법 (a) 내지 (c) 참조). 예를 들어, 화학식 VI의 화합물은 Z1 및 Z2 중 하나가 위에서 정의된 화학식 IV의 구조 단편을 나타내고, Z1 및 Z2 중 다른 하나가 화학식 Va의 구조 단편을 나타내는 경우를 제외하고, 화학식 IIx의 화합물과 화학식 IIIx의 화합물을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여기서, 화학식 IIx 및 IIIx의 화합물은 화학식 II와 III의 화합물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28
L이 직접 결합을 나타내는 화학식 VII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한 바와 같이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방법에 따라 또는 그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i) R4
-O-[C(R6c)(R6d)-(CH2)0-1CH2-O]1-12-CH2(CH2)0-1CH2-R6a 또는
-O-C(R6c)(R6d)-[C1-5 알킬렌]-R6a를 나타내는 화학식 VII의 화합물의 경우,
화학식 XIV의 화합물을 화학식 XVa 또는 XVb의 화합물과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조건(예를 들어, 유기 용매 및 적합한 염기 존재 하)에서 반응시킨 후,
FG1이 NH-PG2를 나타내면 PG2 보호기를 제거하거나,
FG1이 NO2를 나타내면 NO2를 NH2로 환원하거나,
FG1이 C(O)O-(C1-6 알킬)을 나타내면 비누화하여 상응하는 카복실산을 얻고, 이후 적합한 아자이드 형성제와 반응시키고 얻어진 아실 아자이드의 열 재배열(예를 들어, 상기한 방법 (b) 참조) 및/또는 그 그룹이 C(O)O-C1-4 알킬을 나타내는 경우 R6a1을 탈보호화한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29
(상기 화학식 XIV에서, FG1은 또한 FG 또는 C(O)O-(C1-6 알킬)를 나타내고, FG, R5, X2 및 X3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LG5-[C(R6c)(R6d)-(CH2)0-1CH2-O]1-12-CH2(CH2)0-1CH2-R6a1 XVa
LG5-C(R6c)(R6d)-[C1-5 알킬렌]-R6a1 XVb
상기 식에서, LG5는 적합한 이탈기, 예컨대 할로, (퍼플루오로)알칸-설포네이트 또는 아릴설포네이트(예를 들어, 메탄설포네이트 또는 p-톨루엔설포네이트)를 나타내고, R6a1, R6c 및 R6d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ii) R4
-O-[C(R6c)(R6d)-(CH2)0-1CH2-O]1-12-CH2(CH2)0-1CH2-R6a 또는
-O-C(R6c)(R6d)-[C1-5 알킬렌]-R6a를 나타내는 화학식 VII의 화합물의 경우,
위에서 정의된 화학식 XIV의 화합물을 화학식 XVIa 또는 XVIb의 화합물과,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조건(예를 들어, 미츠노부(Mitsunobu) 조건 하, 즉 트리페닐포스핀과 아조디카복실레이트, 예컨대 디에틸 아조디카복실레이트 또는 디이소프로필 아조디카복실레이트의 존재 하)에서 반응시킨 후,
FG1이 NH-PG2를 나타내면 PG2 보호기를 제거하거나,
FG1이 NO2를 나타내면 NO2를 NH2로 환원하거나,
FG1이 C(O)O-(C1-6 알킬)을 나타내면 비누화하여 상응하는 카복실산을 얻고, 이후 적합한 아자이드 형성제와 반응시키고 얻어진 아실 아자이드의 열 재배열(예를 들어, 상기한 방법 (b) 참조) 및/또는 그 그룹이 C(O)O-C1-4 알킬을 나타내는 경우 R6a1을 탈보호화한다:
HO-[C(R6c)(R6d)-(CH2)0-1CH2-O]1-12-CH2(CH2)0-1CH2-R6a XVIa
HO-C(R6c)(R6d)-[C1-5 알킬렌]-NR6a XVIb
상기 식에서, R6a1, R6c 및 R6d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iii) R4
-S-[C(R6c)(R6d)-(CH2)0-1CH2-O]1-12-CH2(CH2)0-1CH2-R6a,
-S-C(R6c)(R6d)-[C1-5 알킬렌]-R6a 또는
-S-R6b를 나타내는 화학식 VII의 화합물의 경우,
화학식 XVII의 화합물을 위에서 정의된 화학식 XVa 또는 XVb, 또는 화학식 XVIII의 화합물과,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조건(예를 들어, 적합한 염기 및 유기용매 존재 하)에서 반응시킨 후,
FG1이 NH-PG2를 나타내면 PG2 보호기를 제거하거나,
FG1이 NO2를 나타내면 NO2를 NH2로 환원하거나,
FG1이 C(O)O-(C1-6 알킬)을 나타내면 비누화하여 상응하는 카복실산을 얻고, 이후 적합한 아자이드 형성제와 반응시키고 얻어진 아실 아자이드를 열 재배열한다(예를 들어, 상기한 방법 (b) 참조):
Figure 112015105507671-pct00030
LG5-R6b XVIII
상기 화학식 XVII에서, FG1, R5, X2 및 X3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상기 화학식 XVIII에서, LG5 및 R6b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iv) X2 및 X3가 모두 CRZ를 나타내고 R4
-S(O)1-2-[C(R6c)(R6d)-(CH2)0-1CH2-O]1-12-CH2(CH2)0-1CH2-R6a,
-S(O)1-2-C(R6c)(R6d)-[C1-5 알킬렌]-R6a 또는
-S(O)1-2-R6b를 나타내는 화학식 VII의 화합물의 경우,
화학식 XIX의 화합물을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조건(예를 들어, 과산, 예컨대 메타-클로로퍼벤조산의 존재 하)에서 산화한 후,
FG1이 NH-PG2를 나타내면 PG2 보호기를 제거하거나,
FG1이 NO2를 나타내면 NO2를 NH2로 환원하거나,
FG1이 C(O)O-(C1-6 알킬)을 나타내면 비누화하여 상응하는 카복실산을 얻고, 이후 적합한 아자이드 형성제와 반응시키고 얻어진 아실 아자이드를 열 재배열한다(예를 들어, 상기한 방법 (b) 참조):
Figure 112015105507671-pct00031
상기 화학식 XIX에서, R은
-[C(R6c)(R6d)-(CH2)0-1CH2-O]1-12-CH2(CH2)0-1CH2-R6a,
-C(R6c)(R6d)-[C1-5 알킬렌]-R6a 또는
-R6b,를 나타내고, FG1과 R5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v) R4가 -S-R6b를 나타내는 화학식 VII의 화합물의 경우,
화학식 XX의 화합물을 화학식 XXI의 화합물과,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조건(예를 들어, Pd(0) 촉매, Cu(I) 요오드화물 및 적합한 염기 존재 하)에서 커플링한 후,
FG1이 NH-PG2를 나타내면 PG2 보호기를 제거하거나,
FG1이 NO2를 나타내면 NO2를 NH2로 환원하거나,
FG1이 C(O)O-(C1-6 알킬)을 나타내면 비누화하여 상응하는 카복실산을 얻고, 이후 적합한 아자이드 형성제와 반응시키고 얻어진 아실 아자이드를 열 재배열한다(예를 들어, 상기한 방법 (b) 참조):
Figure 112015105507671-pct00032
H-S-R6b XXI
상기 화학식 XX에서, LG6는 적합한 이탈기, 예컨대 할로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를 나타내고, FG1, R5, X2 및 X3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상기 화학식 XXI에서, R6b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vi) R4
-Q1-[C(R6c)(R6d)-(CH2)0-1CH2-O]1-12-CH2(CH2)0-1CH2-R6a(Q1 및 R6a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를 나타내는 화학식 VII의 화합물의 경우,
화학식 XXII의 화합물을 화학식 XXIII의 화합물과,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조건(예를 들어, 주위온도에서 염기, 예컨대 소듐 하이드라이드 및 극성 유기용매, 예컨대 DMF의 존재 하)에서 반응시킨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33
LG5-[CH2(CH2)0-1CH2-O]y-CH2(CH2)0-1CH2-R6a XXIII
상기 화학식 XXII에서, R4a는 -Q1-[C(R6c)(R6d)-(CH2)0-1CH2-O]x-CH2(CH2)0-1CH2-OH를 나타내고,
상기 화학식 XXIII에서, x와 y는 0 내지 11의 정수이고, x와 y의 합은 0 내지 11이며, Q1, LG5 및 R6a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vii) X2 및 X3가 모두 CRZ를 나타내고 R4
-S-C(R6c)(R6d)-[C1-5 알킬렌]-N(R7b)R7c를 나타내는 화학식 VII의 화합물의 경우,
화학식 XXIV의 화합물과 화학식 HN(R7b)R7c의 화합물을,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조건(예를 들어, 적합한 유기용매(예를 들어, 아세톤) 및, 임의로 친핵성 치환을 위한 촉매, 예컨대 요오드염(예를 들어, 요오드화나트륨)의 존재 하)에서 반응시킨 후,
FG1이 NH-PG2를 나타내면 PG2 보호기를 제거하거나,
FG1이 NO2를 나타내면 NO2를 NH2로 환원하거나,
FG1이 C(O)O-(C1-6 알킬)을 나타내면 비누화하여 상응하는 카복실산을 얻고, 이후 적합한 아자이드 형성제와 반응시키고 얻어진 아실 아자이드를 열 재배열한다(예를 들어, 상기한 방법 (b) 참조):
Figure 112015105507671-pct00034
상기 화학식 XXIV에서, R'은 -C(R6c)(R6d)-[C1-5 알킬렌]-LG6를 나타내고, 여기에서, FG1, R5, R6b, R6c, R7b, R7c, RZ 및 LG6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viii) R4
-C(O)NH-[CH2(CH2)0-1CH2-O]1-12-CH2(CH2)0-1CH2-R6a 또는
-C(O)NH-C(R6c)(R6d)-[C1-5 알킬렌]-R6a를 나타내는 화학식 VII의 화합물의 경우(여기서, C1-5 알킬렌 그룹은 임의로 옥소로 치환된다),
화학식 XXV의 화합물을 위에서 정의된 화학식 VIIb 또는 VIIc의 화합물과,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조건(예를 들어, 상기한 방법 (f)에 대해 기술된 펩타이드 커플링 조건)에서 에서 반응시킨 후,
FG1이 NH-PG2를 나타내면 PG2 보호기를 제거하거나,
FG1이 NO2를 나타내면 NO2를 NH2로 환원하거나,
FG1이 C(O)O-(C1-6 알킬)을 나타내면 비누화하여 상응하는 카복실산을 얻고, 이후 적합한 아자이드 형성제와 반응시키고 얻어진 아실 아자이드를 열 재배열한다(예를 들어, 상기한 방법 (b) 참조):
Figure 112015105507671-pct00035
상기 화학식 XXV에서, FG1, R4', R5, R6a, R6b 및 R6d, X2와 X3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ix) R4가 -S(O)2-R6b를 나타내는 화학식 VII의 화합물의 경우,
화학식 XXVI의 화합물을 화학식 XXVII의 화합물과,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조건(예를 들어, 고온(예를 들어, 80 내지 100℃)에서 적합한 전이금속 촉매, 예컨대 Cu(I) 요오드화물; 비양자성 유기용매, 예컨대 DMSO; 적합한 염기, 예컨대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예를 들어, NaOH); 및 임의로 Cu(I)의 유기 리간드, 예컨대 L-프롤린의 존재 하)에서 커플링한 후,
FG1이 NH-PG2를 나타내면 PG2 보호기를 제거하거나,
FG1이 NO2를 나타내면 NO2를 NH2로 환원하거나,
FG1이 C(O)O-(C1-6 알킬)을 나타내면 비누화하여 상응하는 카복실산을 얻고, 이후 적합한 아자이드 형성제와 반응시키고 얻어진 아실 아자이드를 열 재배열한다(예를 들어, 상기한 방법 (b) 참조):
Figure 112015105507671-pct00036
상기 화학식 XXVI에서, R5, X2, X3, FG1 및 LG6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Ms+)(-O-S(O)-R6b)s XXVII
상기 화학식 XXVII에서, Ms+는 금속 양이온이고, s는 1 또는 2이고(예를 들어, s는 1이고 M은 알칼리 금속, 예컨대 포타슘, 또는 특히 소듐이다), R6b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L이 C1-2 알킬렌을 나타내는 화학식 VII의 화합물을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작용기의 유사한 상호전환을 화학식 XIIIa의 화합물을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R1B가 -CH2CN를 나타내는 화학식 XIIIa의 화합물은 화학식 XXVIIa의 화합물을 시안화 이온의 공급원(예를 들어, NaCN)과, 예를 들어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조건, 예컨대 극성 비양자성 유기용매(예를 들어, DMSO)의 존재 하에서 반응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37
상기 화학식 XXVIIa에서, FG, LG2, R1A 및 R1C 내지 R1E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LG6이 할로를 나타내는 화학식 XXIV의 화합물은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방법 또는 그와 유사한 방법으로, 예를 들어 화학식 XXVIII의 화합물을 할로겐화제(예를 들어, 2,4,6-트리클로로,1,3,5-트리아진 및 디메틸포름아미드의 혼합물)와 반응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38
상기 화학식 XXVIII에서, R"는 -CH2-[C1-5 알킬렌]-OH를 나타낸다.
화학식 XXVIIa의 화합물은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방법(또는 그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G2가 Cl을 나타내는 화학식 XXVIIa의 화합물은 화학식 XXVIIb의 상응하는 화합물을, 예를 들어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조건, 예컨대 염화티오닐과의 반응으로 염소화하여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39
상기 화학식 XXVIIb에서, FG, R1A 및 R1C 내지 R1E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화학식 XXVIIb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화학식 XXVIIc의 상응하는 화합물을, 예를 들어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조건 하에서, 예컨대 보로하이드라이드 또는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계 환원제(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보로하이드라이드 또는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예컨대 리튬 보로하이드라이드 또는 리튬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와의 반응으로 반응 불활성 유기용매 존재 하에 환원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40
상기 화학식 XXVIIc에서, FG, RX, R1A 및 R1C 내지 R1E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당업자들이라면 화학식 II, IIx 및 IIb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일반적으로 반응성 중간체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중간체는 제자리에서 형성되어 단리하지 않고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직접 반응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들이라면 화학적으로 민감한 작용기, 예를 들어 하이드록실 그룹 또는 아미노 작용기를 포함하는 그룹 Z1 및 Z2에 대해 위에 기술된 과정에서는 적절한 보호기의 사용이 필요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반응식에 예시된 화합물들 대부분은 상업적으로 입수하거나 인용된 방법을 사용하여 입수하거나,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당업자들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egan, J. et al.; J. Med. Chem. 2003, 46, 4676-4686, WO 2000/043384, WO 2007/053346, WO 2007/087448, WO 2007/089512, WO 2009/117080 및 WO 2014/027209 참조.
본 원에 기술된 신규한 중간체가 본 발명의 측면을 형성한다. 이 측면에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위에서 정의된 화학식 IIb의 화합물(예를 들어, LG1이 페녹시를 나타내는 화학식 IIb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언급할 수 있는 화학식 IIb의 특정 화합물은:
Z1이 화학식 IV의 구조 단편을 나타내고[여기서 R1A, R1B, R1C, R1D R1E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예를 들어, R1A, R1B, R1C, R1D R1E는 실시예의 화합물에서 이러한 그룹에 대해 설명된 정의의 조합을 갖는다)];
LG1은 위에서 정의한 바(예를 들어, LG1은 페녹시를 나타낸다)와 같은 것들을 포함한다.
본 원에 기술된 발명의 측면(예를 들어, 상기한 화합물, 조합물, 방법 및 용도)은, 본 원에 기술된 상태의 치료에서 상기한 상태 또는 다른 것들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해 선행기술에서 공지된 유사 화합물, 조합물, 방법(치료) 또는 용도에 비해 임상의 및/또는 환자에게 보다 편리하거나, 보다 효과적이거나, 독성이 덜하거나, 선택성이 더 뛰어나거나, 활성 범위가 더 광범하거나, 더 강력하거나, 부작용의 발생이 더 적거나, 약물동태 및/또는 약력학적 프로파일이 더 우수하거나, 고체 상태 형태학상 더 적합하거나, 장기적 안정성이 더 우수하거나, 기타 유용한 약리학적 특성을 가질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추가적으로(또는 선택적으로):
- (예를 들어, 이전에 기술된 다른 p38 MAP 키나제 저해제, 예컨대, 예를 들어, BIRB796과 비교하여) 장기간의 활성 및/또는 활성의 지속성을 나타내고;
- GSK 3α를 강력하게 저해하지 않으며(예를 들어, GSK 3α에 대한 화합물의 IC50은 1,000 nM 이상; 예컨대 1,5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8,000, 9,000 또는 10,000 nM 이상일 수 있다);
- 키놈(kinome)의 작은 부분을 타겟으로 하고, 즉 저하된 KinomeScan 선택성 스코어로 예시된 바와 같이 선택성이 향상되었으며;
- 투약 간 상대적으로 높은 국소 약물 농도(예를 들어, 이전에 기술된 다른 p38 MAP 키나제 저해제, 예컨대, 예를 들어, BIRB796과 비교하여 높은 국소 농도)를 유지하고;
- 국소/국부 투여에 특히 적합한 특성을 나타내고(예를 들어, 국소/국부 투여후, 화학식 (I) 화합물의 높은 타겟 조직 농도를 발생하지만, 예를 들어 높은 신장 또는 간 배출로 인해 화학식 (I) 화합물의 혈장 농도는 낮고/낮거나 혈장으로부터 신속하게 제거된다);
- 세포 내에서 거의 없거나 없는 β-카테닌 유도 및/또는 유사분열 저해를 나타내고;
- 인간 림프구 시험관내 소핵 시험에서 소핵을 함유하는 이핵 세포 (binucleated cell)의 증가를 나타내지 않고;
- 사이토크롬 P450 상위군의 멤버에 대한 시간의존성 저해가 거의 없거나 없고;
- 물 존재 하에서의 화학적 안정성(예를 들어, 고온에서 수성 혼합물 중 가수분해에 대한 안정성)이 이전에 기술된 p38 MAP 키나제 저해제, 예컨대, 예를 들어, BIRB796보다 향상되었고;
- 환자에게 투여한 후, 안전성(예를 들어, 독성) 문제가 거의 없거나 없는 관련 대사산물을 발생하고;
- 우수한 용해도 및/또는 세포 투과성을 나타내고;
- 결정화도가 높고; 및/또는
- 고체 상태에서 흡습성이 없거나 거의 없다.
실험방법
일반적 방법
모든 출발물질과 용매는 상업적 공급원으로부터 입수되거나 인용문헌에 따라 제조하였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모든 반응물은 교반되었다. 유기 용액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에서 통상적으로 건조하였다. 수소화는 Thales H-큐브 유동 반응기에서 기재된 조건 또는 수소 풍선하에 수행하였다. 마이크로파 반응은 CEM Discover 및 Smithcreator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가변성 파워 마이크로파 조사를 사용하여 일정온도까지 가열하여 수행하였다.
정상상(normal phase)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미리 충전된 실리카(230-400 메쉬, 40-63 μm)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자동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 예컨대 CombiFlash Companion 또는 CombiFlash RF 시스템으로 통상적으로 수행하였다. SCX는 Supelco로부터 구입하여 사용 전에 1M 염산으로 처리하였다.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정제될 반응 혼합물은 먼저 MeOH로 희석하고 약간의 AcOH로 산성화하였다. 이 용액을 직접 SCX에 적재하고 MeOH로 세척하였다. 이후, 원하는 물질을 1% NH3의 MeOH 용액으로 세척하여 용출하였다.
분석 방법
분석 HPLC를 Waters Xselect CSH C18, 2.5 μm, 4.6x30 mm 컬럼을 사용하고 0.1% 포름산/MeCN/0.1% 수성 포름산의 그래디언트로 용출하거나, Waters Xbridge BEH C18, 2.5 μm, 4.6x30 mm 컬럼으로 MeCN/수성 10 mM 중탄산암모늄의 그래디언트로 용출하여 수행하였다. 용출 피크의 UV 스펙트럼은 Agilent 1100 시스템에서 다이오드 어레이 또는 가변파장 검출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분석 LCMS를 Waters Xselect CSH C18, 2.5 μm, 4.6x30 mm 컬럼을 사용하여 0.1% 포름산/MeCN/0.1% 수성 포름산의 그래디언트로 용출하거나, Waters Xbridge BEH C18, 2.5 μm, 4.6x30 mm 컬럼으로 MeCN/수성 10 mM 중탄산암모늄의 그래디언트로 용출하여 수행하였다. 용출 피크의 UV 및 질량 스펙트럼은 포지티브 및 네가티브 이온 전자스프레이를 갖는 6120 단일 사극자 질량 분광계가 구비된 Agilent Infinity 1260 LCMS 또는 Agilent 1200에서 가변파장 검출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제조용 HPLC는 Waters Xselect CSH C18, 5 μm, 19x50 mm 컬럼을 0.1% 포름산/MeCN/0.1% 수성 포름산의 그래디언트 또는 MeCN/수성 10 mM 중탄산암모늄의 그래디언트를 사용하거나, Waters Xbridge BEH C18, 5 μm, 19x50 mm 컬럼을 MeCN/수성 10 mM 중탄산암모늄의 그래디언트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분획들은 Gilson 215 제조용 HPLC 또는 Varian PrepStar 제조용 HPLC에서 가변파장 검출기로 측정된 단일 파장의 UV, 또는 포지티브 및 네가티브 이온 전자스프레이가 구비된 ZQ 단일 사극자 질량 분광계와 Waters FractionLynx LCMS의 듀얼 파장 검출기로 측정된 단일 파장의 UV 및 질량에 의해 검출한 후 수집하였다.
1 H NMR 분광학: Bruker Avance III 분광광도계로 400 MHz에서 1H NMR 스펙트럼을 얻었다. 클로로포름-d, 디메틸설폭시드-d 6 의 중심 피크 또는 테트라메틸실란의 내부 표준을 레퍼런스로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
실시예 1
3-((4-((4-(3-(5-( tert -부틸)-2- 메톡시 -3-( 메틸설폰아미도 )페닐) 우레이도 )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에티닐-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041
(i) 3-아미노-5-브로모-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T3P (50% w/w EtOAc 용액, 56.2 mL, 94 mmol)를 3-아미노-5-브로모벤조산 (13.6 g, 63.0 mmol), 2-모폴리노에탄아민 (16.52 mL, 126 mmol) 및 Et3N (26.3 mL, 189 mmol)의 DCM (200 mL) 용액에 주의깊게 첨가하였다. 빙냉조를 산발적으로 사용하여 온도가 35℃를 초과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h 동안 교반하였다. sat. aq. NaHCO3 용액(250 mL)으로 분배하였다. 수성층을 분리하여 새로운 DCM (250 mL)으로 분배하였다. 유기물을 분리하고 벌크화(bulked)하여 20% w/w NaCl 용액(250 mL)으로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용매를 증발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DCM(100 mL)에 용해하였고 부제 화합물(13 g)이 정치했을 때 연한 갈색 결정질 고체로 결정화되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42
(ii) 3-아미노-N-(2-모폴리노에틸)-5-((트리이소프로필실릴)에티닐)벤즈아미드
Pd(PPh3)4(2.90 g, 2.51 mmol)를 Et3N (30 mL) 및 DMF (150 mL) 중의, 단계 (i)에서 얻어진 화합물(16.5 g, 50.3 mmol), CuI (0.479 g, 2.51 mmol), 및 에티닐트리이소프로필실란 (16.92 mL, 75 mmol)의 탈기된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85℃(블록 온도)에서 5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냉각 및 여과하였다(Whatman 유리섬유 패드 GF/C).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EtOAc (500 mL) 및 20%w/w NaCl 용액(500 mL) 간에 분배하였다. 수성층을 분리하고 새로운 EtOAc (50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벌크화하고, 새로운 20%w/w NaCl 용액 (500 mL)으로 세척하여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시켜서 진한 갈색 오일을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220 g 컬럼, 2% MeOH:DCM 내지 10%)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18.5 g)을 연한 황색 유리질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43
(iii) 3-아미노-5-에티닐-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단계 (ii)에서 얻어진 화합물(18.5 g, 43.1 mmol)을 EtOAc (250 mL)에 용해하여 TBAF (1.0 M / THF, 43.1 mL, 43.1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h 동안 교반한 다음, 물 (500 mL)과 에틸 아세테이트 (200 mL) 간에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여 20%w/w NaCl 용액 (40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용매를 증발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Et2O (100 mL)에 30분 동안 슬러리화한 다음, 여과하고 새로운 Et2O(20 mL)로 세척하였다. 고체를 45℃에서 오븐 건조하여 부제 화합물 (9.2 g)을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44
(iv) tert-부틸 (4-((2-((3-에티닐-5-((2-모폴리노에틸)카바모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tert-부틸 (4-((2-클로로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예를 들어, Ito, K. et al., WO 2010/067130, (2010년 6월 17일) 참조; 6.46 g, 17.37 mmol), 단계 (iii)의 화합물(7.12 g, 26.0 mmol) 및 p-TSA 1수화물 (5.62 g, 29.5 mmol)의 DMF (60 mL) 용액을 7h 동안 55℃(내부온도)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냉각하고 sat. aq NaHCO3(1L)에 적가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물 (50 mL), 이어서 이소헥산(100 mL)으로 세척하였다. 무정형 고체를 MeOH (200 mL) 중에서 교반하여 생성물을 결정화하였다. 밤새 슬러리화하고 여과한 다음, 고체를 MeOH (20 mL)로 세척하고 건조하여 부제 화합물(9 g)을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45
(v) 3-((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에티닐-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TFA (22 mL, 286 mmol)를 교반된 단계 (iv) 화합물(9 g, 14.05 mmol)의 DCM (50 mL)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2h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교반된 물 (100 mL)과 1.0 M K2CO3 용액 (280 mL, 280 mmol)에 적가하고 비등이 중지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DCM (2 x 250 mL)으로 추출한 다음, 모아진 유기상을 건조(MgSO4)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120 g 컬럼, 2% MeOH:DCM 내지 6%)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6.7 g)을 연한 갈색 폼(foam)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46
(vi) 페닐 (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 (0.5 mL, 3.99 mmol)를 N-(3-아미노-5-(tert-부틸)-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예를 들어, Cirillo, P. F. et al., WO 2002/083628 (2002년 10월 24일) 참조; 1 g, 3.67 mmol) 및 NaHCO3 (620 mg, 7.38 mmol)의 교반된 THF (10 mL) 및 DCM (10 mL)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h 동안 교반한 다음, 물 (20 mL)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MgSO4), 여과 및 증발하여 갈색 폼을 얻었으며, 이것을 사이클로헥산(20mL) 중에서 교반하여 부제 화합물(1.4g)을 무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47
(vii)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에티닐-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트리에틸아민(5 μL, 0.036 mmol)을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3 mL) 중의 단계 (vi)의 생성물(75 mg, 0.191 mmol)과 단계 (v)의 생성물 (100 mg, 0.197 mmol)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50℃ (블록 온도)에서 6 h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rt로 냉각하고 7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1 mL)로 세척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MeCN (3 mL)에서 재결정하고 MeCN (1 mL)으로 세척하여 여과 및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100 mg)을 무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48
실시예 2
3-에티닐-5-((4-((4-(3-(3-플루오로-5-모폴리노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049
(i) 페닐 (3-플루오로-5-모폴리노페닐)카바메이트
DCM (10 mL) 및 THF (4 mL) 중의, 3-플루오로-5-모폴리노아닐린 (1.00 g, 5.10 mmol) 및 중탄산나트륨 (0.878 g, 10.45 mmol)의 교반된 현탁액을 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 (0.7 mL, 5.57 mmol)로 적가 처리하였다. ~0.1 mL를 첨가한 후에 혼합물의 점도가 높아져서 교반이 어려워졌고, 추가 DCM (5 mL) 및 THF (2 mL)로 희석하여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추가 중탄산나트륨 (0.086 g, 1.019 mmol)과 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 (0.07 mL, 0.557 mmol)로 처리하여 주말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DCM (30 mL)으로 희석하고 물(30 mL)로 세척하여 상분리 카트리지를 통과시켜서 여과하였다. 여액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용출액으로 이소헥산 중의 0 내지 50% 에틸 아세테이트 그래디언트를 사용하는 40 g redisep 실리카 카트리지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1.565 g)을 핑크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50
(ii) tert-부틸 (4-((2-((3-에티닐-5-((2-모폴리노에틸)카바모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tert-부틸 (4-((2-클로로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예를 들어, Ito, K. et al., WO 2010/067130, (2010년 6월 17일) 참조; 6.46 g, 17.37 mmol), 3-아미노-5-에티닐-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실시예 1(iii) 참조; 7.12 g, 26.0 mmol) 및 p-TSA 1수화물 (5.62 g, 29.5 mmol)의 DMF (60 mL) 용액을60℃(블록 온도, 55℃ 내부온도)에서 7 h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냉각하고 sat. aq NaHCO3 (1 L)에 적가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물 (50 mL), 이어서 이소헥산 (100 mL)으로 세척하였다. 무정형 고체를 MeOH (200 mL) 중에서 교반하고 생성물을 결정화하였다. 밤새 슬러리화하고 여과한 다음, 고체를 MeOH (20 mL)로 세척하고 건조하여 부제 화합물(8 g)을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51
(iii) 3-((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에티닐-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TFA (22 mL, 286 mmol)를 단계 (ii)에서 얻어진 생성물 (9 g, 14.05 mmol)의 교반된 DCM (50 mL)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rt에서 2h 동안 교반한 다음, 교반된 물 (100 mL)과 1M 탄산칼륨 용액 (280 mL, 280 mmol)에 적가하여 비등이 중지될 때까지 계속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2 x 250 mL)으로 추출한 다음, 모아진 유기상을 건조(MgSO4)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120 g 컬럼, 2% MeOH:DCM 내지 6%)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6.7 g)을 연한 갈색 폼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52
(iv) 3-에티닐-5-((4-((4-(3-(3-플루오로-5-모폴리노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단계 (i)의 생성물(100 mg, 0.295 mmol)과 단계 (iii)의 생성물 (150 mg, 0.295 mmol)의 교반된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6 mL) 현탁액을 Et3N (10 μL, 0.072 mmol)으로 처리하여 50℃(항온조)에서 1 h(모두 용해), 이후 60℃에서 4 h 동안 교반하여 점성이 있는 현탁액을 얻었다. 혼합물을 추가의 트리에틸아민 (10 μL, 0.072 mmol)으로 처리하고 교반을 위해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6 mL)로 희석하여6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냉각한 후 여과하였다. 고체를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2 x 2mL)로 세척하고 끓는 아세토니트릴 (20 mL)로 20분 동안 분해하였다. 현탁액을 냉각한 후 여과하였다. 고체를 아세토니트릴(2 x 4 mL), 이어서 에테르(2 x 4 mL)로 세척한 후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97 mg)을 담황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53
실시예 3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054
(i) 3-아미노-5-메톡시-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3-아미노-5-메톡시벤조산(1.0g, 5.98 mmol)을 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탄아민(1.2 g, 7.35 mmol), 50% T3P의 에틸 아세테이트(4.50 mL, 7.56 mmol) 용액 및 TEA (2.5 mL, 17.94 mmol)의 에틸 아세테이트(15 mL) 용액의 빙냉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rt까지 가온하여 밤새 교반하였다. 포화 aq. NaHCO3 용액 (20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 x 10 mL)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상을 포화 브라인(2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노란색 오일을 얻었다. 오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0-100% 아세톤/톨루엔)로 정제하여 연한 노란색 오일을 얻었다. 오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0-100% THF/DCM)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843 mg)을 연한 노란색 오일로 얻었다.
LCMS m/z 313 (M+H) + (ES + )
(ii) tert-부틸 (4-((2-클로로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4-((2-클로로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아민(예를 들어, Ito, K. et al., WO 2010/112936, (2010년 10월 7일) 참조; 1000 mg, 3.69 mmol)과 t-BuOH (10 mL) 중의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 (750 mg, 3.44 mmol)의 혼합물을 환류 하에 18h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 (15 mL)로 희석하여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였다. 고체를 디에틸 에테르로 분쇄하여 부제 화합물(1002 mg)을 연한 회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55
(iii) tert-부틸 (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카바모일)-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Pd2dba3 (22 mg, 0.024 mmol) 및 BINAP (30 mg, 0.048 mmol)를 1,4-디옥산 (1 mL) 중에서 10분 동안 N2 하에 교반하였다. 별도의 용기 중에서, N2로 퍼징하고 탄산세슘(455 mg, 1.396 mmol), 단계 (i)의 생성물(291 mg, 0.930 mmol) 및 단계 (ii)의 생성물(345 mg, 0.930 mmol)을 1,4-디옥산 (5 mL) 중에서 교반하였다. 촉매 용액을 메인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전체를 90℃까지 18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 시에 혼합물을 물 (4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 x 25 mL)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상을 포화 브라인(15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하여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0-50% 아세톤/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320 mg)을 끈끈한 오렌지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56
(iv) 3-((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단계 (iii)의 생성물(320 mg, 0.495 mmol)의 DCM (1 mL) 용액을 TFA (1000μL, 12.98 mmol)로 처리하여 rt에서 3h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 (10 mL) 및 DCM (10 mL)으로 희석하였다. 혼합물을 aq. NaHCO3 용액으로 중화하여 상분리 카트리지에 통과시켰다. 유기상을 건조(MgSO4)하고 농축하여 부제 화합물(270 mg)을 갈색 검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57
(v)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Et3N (5.33 μL, 0.038 mmol)을 교반된, 페닐 (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실시예 1(vi) 참조; 75 mg, 0.191 mmol) 및 단계 (iv)의 생성물 (110 mg, 0.201 mmol)의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5 mL) 용액에 첨가하고 50℃로 8 h 동안 가열하였다. Et3N (5.33 μL, 0.038 mmol)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60℃로 3 h 동안 추가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잔류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40 g 컬럼, 0-50% 아세톤/EtOAc)로 정제하여 유백색 고체를 얻었고, 이를 아세토니트릴 (2 mL)로 재결정하여 흰색 고체를 얻었다. 고체를 제조용 HPLC (Gilson, 산성(0.1% 포름산), Waters X-Select Prep-C18, 5 μm, 19x50 mm 컬럼, 20-50% MeCN / 물)로 정제하여 흰색 고체를 얻었고, 이를 메탄올(2 mL)에 재용해하여 SCX 컬럼에 로딩하였다. 컬럼을 메탄올(3 x 3 mL)로 세척한 후, 1% 암모니아의 메탄올 용액으로 용출하여 표제 화합물(21 mg)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58
실시예 4
N-(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059
(i) 3-메톡시-5-니트로페놀
물 (70 mL) 및 디옥산 (70 mL) 중의, KOH (29.0 g, 517 mmol) 및 1-브로모-3-메톡시-5-니트로벤젠 (30 g, 129 mmol) 혼합물을 5분 동안 탈기한 후, 디-tert-부틸(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2-일)포스핀(1.263 g, 2.97 mmol) 및 Pd2(dba)3 (1.184 g, 1.293 mmol)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추가 2분 동안 탈기한 다음, 질소 분위기 하에서 100℃로 2h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냉각한 후, 5 M HCl을 사용하여 ~pH 1로 산성화하고 EtOAc (2 x 50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브라인(20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30% EtOAc/이소헥산으로 용출하는 실리카 패드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20.76 g)을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60
(ii) 1-메톡시-3-(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5-니트로벤젠
아세톤(150 mL) 중의, 단계 (i)의 생성물(8.14 g, 45.7 mmol) 및 K2CO3 (12.64 g, 91 mmol)의 교반된 현탁액에 1-브로모-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탄(8.85 mL, 48.0 mmol)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밤새 환류하고, 냉각하여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220 g 컬럼, 0-60% EtOAc/이소헥산)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13.41 g)을 노란색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61
(iii) 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아닐린
단계 (ii)의 생성물(13.4 g, 42.5 mmol)을 에탄올 (150 mL)에 용해하고, Fe 분말(13 g, 233 mmol), 이어서 물 (150 mL) 중의 NH4Cl (2.3 g, 43.0 mmol) 용액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현탁액을 80℃에서 3 h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하여 Celite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진공으로 농축한 다음 물 (250 mL)과 EtOAc (400 mL)로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120 g 컬럼, 0-4% MeOH/DCM)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10.95 g)을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62
(iv) tert-부틸 (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tert-부틸 (4-((2-클로로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예를 들어, Ito, K. et al., WO 2010/067130(2010년 6월 17일) 참조; 1 g, 2.69 mmol), 단계 (iii)의 생성물(1.15 g, 4.03 mmol) 및 p-TSA 1수화물 (0.100 g, 0.526 mmol)의 DMF (10 mL) 용액을 55℃(내부온도)에서 14 h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냉각하고 sat. aq. NaHCO3(100 mL)에 적가한 다음, EtOAc (2 x 50 mL)로 분배하였다. 유기물을 벌크화하고 20%w/w NaCl 용액 (50 mL)으로 세척한 다음,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1.14 g)을 투명한 갈색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63
(v) 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N-(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피리미딘-2-아민
TFA(2.8 mL, 36.3 mmol)를 교반된, 단계 (iv) 생성물 (1.1 g, 1.772 mmol)의 DCM (5 mL)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2h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교반된 물 (10 mL)과 1 M K2CO3 용액 (35 mL, 35.0 mmol)에 적가하고 비등을 중지할 때까지 계속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DCM (2 x 25 mL)으로 추출한 다음, 모아진 유기상을 건조(MgSO4)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40 g 컬럼, 2% MeOH:DCM 내지 5%)로 정제하여 갈색 검을 얻었다. iPrOAc (3 mL)로부터 재결정하여 부제 화합물(0.80 g)을 무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64
(vi) N-(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
Et3N (7 μL, 0.050 mmol)을 교반된, 페닐 (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실시예 1(vi) 참조; 114 mg, 0.282 mmol)과 단계 (v)의 생성물(150 mg, 0.282 mmol)의 i-PrOAc (6 mL)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7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rt로 냉각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0-5% MeOH / DCM)로 정제하여 ~90% 순도의 유백색 고체로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제조용 HPLC (Varian, 염기성(0.1% 중탄산암모늄), Waters X-Bridge Prep-C18, 5 μm, 19x50 mm 컬럼, 20-65% MeCN / 물)로 정제하여 무색의 유리질을 얻었고, 이것을 디에틸 에테르로 분쇄하여 표제 화합물(21 mg)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65
실시예 5
N-(5-(tert-부틸)-3-(3-(4-((2-((3-(사이클로프로필설포닐)-5-메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066
(i) 1-(사이클로프로필설포닐)-3-메톡시-5-니트로벤젠
DMSO (50 mL) 중의 1-브로모-3-메톡시-5-니트로벤젠 (9.05 g, 39.0 mmol), 소듐 사이클로프로판설피네이트(6.5 g, 50.7 mmol), 요오드화구리(I)(0.743 g, 3.90 mmol), L-프롤린 (0.908 g, 7.88 mmol) 및 NaOH (0.315 g, 7.88 mmol) 혼합물을 90℃에서 18h 및 100℃에서 12 h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EtOAc (500 mL)와 물 (300 mL) 사이에서 분배하여, 유기층을 분리하고 브라인 (200 mL)으로 세척하여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감압 하에 증발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120 g 컬럼, 0-40% EtOAc/이소헥산)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4.226 g)을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67
(ii) 3-(사이클로프로필설포닐)-5-메톡시아닐린
EtOH (40 mL) 및 물 (20 mL) 중의, 단계 (i)의 생성물(4.22 g, 16.40 mmol), Fe 분말(4.3 g, 77 mmol) 및 NH4Cl (0.439 g, 8.20 mmol) 혼합물을 환류 하에 1h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냉각하고, EtOH (50 mL)로 희석하여 Celite로 여과하였다. 여액을 증발시키고, EtOAc (300 mL)와 브라인(200 mL) 사이에서 분배하여,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에테르로 분쇄하고 여과하여 부제 화합물(3.308 g)을 얻었다.
LCMS m/z 228 (M+H)+ (ES+)
(iii) tert-부틸 (4-((2-((3-(사이클로프로필설포닐)-5-메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tert-부틸 (4-((2-클로로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예를 들어, Ito, K. et al., WO 2010/067130, (2010년 6월 17일) 참조; 2.92 g, 7.86 mmol), 단계 (ii)의 생성물(2.5 g, 11.00 mmol) 및 p-TSA 1수화물 (0.3 g, 1.577 mmol) 혼합물의 THF (40 mL) 용액을 55℃에서 4 h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냉각하고, EtOAc (150 mL) 및 물 (100 mL) 사이에서 분해하여 유기층을 분리하고, 브라인(50 mL)으로 세척하여,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120 g 컬럼, 0-50% EtOAc/이소헥산)로 정제하고, 얻어진 고체를 에테르로 재결정하여 부제 화합물(3.8 g)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LCMS m/z 563 (M+H)+ (ES+)
(iv) 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N-(3-(사이클로프로필설포닐)-5-메톡시페닐)-피리미딘-2-아민
단계 (iii)의 생성물(3.8 g, 6.75 mmol)과 TFA (3 mL, 38.9 mmol) 혼합물의 DCM (50 mL) 용액을 실온에서 18h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로 5mL의 TFA를 첨가하여 다시 2h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DCM (150 mL)과 sat. aq. NaHCO3 용액 (15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브라인으로 세척하여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120 g 컬럼, 0-2% MeOH/DCM)로 정제하여 얻어진 폼을 DCM/에테르로 재결정하여 부제 화합물의 고체(2.332 g)를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68
(v) N-(5-(tert-부틸)-3-(3-(4-((2-((3-(사이클로프로필설포닐)-5-메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Et3N (6 μL, 0.043 mmol)을 페닐 (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실시예 1(vi) 참조; 85 mg, 0.216 mmol)과 단계 (iv)의 생성물(100 mg, 0.216 mmol) 혼합물의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3 mL)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70℃(블록 온도)에서 7h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DCM과 MeOH로 희석하고 진공으로 실리카겔 상에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12 g 컬럼, 1-5% MeOH DCM)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94 mg)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69
실시예 6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메톡시-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070
(i) 3-((4-((4-((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메톡시벤조산
THF(150 mL) 중의, tert-부틸 (4-((2-클로로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예를 들어, Ito, K. et al., WO 2010/067130, (2010년 6월 17일) 참조; 10 g, 26.9 mmol), 3-아미노-5-메톡시벤조산 (8.99 g, 53.8 mmol) 및 p-TSA 1수화물 (1.02 g, 5.36 mmol)의 교반된 혼합물에 10분 동안 N2를 폭기하였다. 혼합물을 환류 하에 20h 동안 가열하고 냉각하여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증발시키고, MeOH (300 mL)를 첨가하여 고체를 여과하고 MeOH, 이어서 에테르로 세척하여 부제 화합물(10.063 g)을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71
(ii) tert-부틸 (4-((2-((3-메톡시-5-((2-모폴리노에틸)카바모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T3P(50%w/w / EtOAc; 592 μL, 0.995 mmol)를 단계 (i)의 생성물 (500 mg, 0.995 mmol), 2-모폴리노에탄아민 (150 μL, 1.143 mmol) 및 TEA (420 μL, 3.01 mmol)의 DMF (10 mL)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rt에서 1h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물 (50 mL)로 분쇄하여 부제 화합물(540 mg)을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72
(iii) 3-((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메톡시-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단계 (ii)의 생성물 (570 mg, 0.927 mmol)을 DCM (10 mL)에 현탁하고 TFA (1500 μL, 19.47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h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물(20 mL)와 DCM (2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수성층을 분리하고 NaHCO3로 염기화한 다음, DCM (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물을 벌크화하여,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증발시켜서 갈색 고체를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40 g 컬럼, 5% MeOH:DCM 내지 10%)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350 mg)을 무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73
(iv)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메톡시-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Et3N (6 μL, 0.043 mmol)을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3 mL) 중의 페닐 (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실시예 1(vi) 참조; 76 mg, 0.194 mmol)와 단계 (iii)의 생성물 (100 mg, 0.194 mmol)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70℃(블록 온도)에서 7 h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DCM과 MeOH로 희석한 다음,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12 g 컬럼, 1-10% MeOH DCM)로 정제하여 생성물을 투명 오일로 얻었고, 이를 다시 제조용 HPLC(Gilson, 산성(0.1% 포름산), Waters X-Select Prep-C18, 5 μm, 19x50 mm 컬럼, 20-50% MeCN/물)로 정제하여 생성물의 포르메이트 염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물질을 MeOH에 용해하고, SCX 수지의 사전조건화된 카트리지에 적재하였다. 수지를 MeOH로 세척하고 생성물을 1% NH3의 MeOH 용액으로 용해하였다. NH3 용액을 진공으로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54 mg)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74
실시예 7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메톡시-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075
(i) N-(5-(tert-부틸)-3-(3-(4-((2-클로로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20 mL 바이알에서, 페닐 (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실시예 1(vi) 참조; 0.5 g, 1.261 mmol) 및 4-((2-클로로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아민 (예를 들어, Cirillo, P. F. et al., WO 2002/92576, (2000년 11월 21일) 참조; 0.361 g, 1.261 mmol)의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13 mL) 용액을 Et3N (0.035 mL, 0.252 mmol)을 적가하여 처리하였다. 얻어진 갈색 용액을 70℃에서 72h 동안 가열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갈색 점성 오일을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120 g 컬럼, 0-60% EtOAc / 헥산)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0.1584 g)을 투명한 흰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76
(ii)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메톡시-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단계 (i)의 생성물(158 mg, 0.277 mmol), 3-아미노-5-메톡시-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실시예 3(i) 참조; 100 mg, 0.320 mmol) 및 p-TSA 1수화물 (13.18 mg, 0.069 mmol)을 65℃로 DMF (3 mL) 중에서 1.5h 동안 가열하였다. 온도를 85℃로 승온하고 혼합물을 다시 3 h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10 mL)과 aq. NaHCO3 포화용액 (10 mL)으로 희석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3 x 10 mL)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상을 20% 브라인 (2 x 10 mL), 포화 브라인 (1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0-100% THF/EtOAc)로 정제하여 연한 갈색 유리질을 얻었다. 유리질을 디에틸에테르로 분쇄하여 흰색 고체를 얻었고, 이를 제조용 HPLC(Gilson, 산성(0.1% 포름산), Waters X-Select Prep-C18, 5 μm, 19x50 mm 컬럼, 40% 등용매 MeCN/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65 mg)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77
실시예 8
1-(5-(tert-부틸)-2-메톡시페닐)-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아
Figure 112015105507671-pct00078
(i) 페닐 (5-(tert-부틸)-2-메톡시페닐)카바메이트
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1.40 mL, 11.16 mmol)를 교반된, 5-(tert-부틸)-2-메톡시아닐린(2.00 g, 11.16 mmol)과 NaHCO3 (1.90 g, 22.62 mmol)의 THF(20 mL)와 DCM(20 mL)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교반한 다음, 물 (40 mL)과 DCM (20 mL)으로 희석하여 상분리 카트리지에 통과시켰다. 얻어진 여과액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부제 화합물(3.53 g)을 적갈색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79
(ii) 1-(5-(tert-부틸)-2-메톡시페닐)-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아
Et3N (6 μL, 0.043 mmol)을 단계 (i)의 생성물(58 mg, 0.194 mmol)과 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N-(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피리미딘-2-아민 (실시예 4(v) 참조; 100 mg, 0.192 mmol) 혼합물의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3 mL)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70℃(블록 온도)에서 7일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rt로 냉각하고 MeOH로 희석하였다. 용액을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12 g 컬럼, 1-5% MeOH/DCM)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56 mg)을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80
실시예 9
5-(tert-부틸)-3-(3-(4-((2-((3-에티닐-5-((2-모폴리노에틸)카바모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N-메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081
(i) 페닐 (5-(tert-부틸)-2-메톡시-3-(메틸카바모일)페닐)카바메이트
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 (300 μL, 2.391 mmol)를 교반된, 3-아미노-5-(tert-부틸)-2-메톡시-N-메틸벤즈아미드 (예를 들어, Cirillo, P. F. et al., Bioorg. Med. Chem . Lett . 2009, 19, 2386-2391 참조; 550 mg, 2.327 mmol)와 NaHCO3 (300 mg, 3.57 mmol)의 THF (5 mL) 및 DCM (5 mL)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h 동안 교반 및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시켜서 연한 갈색 오일을 얻었다. 이소헥산 (10 mL)으로 분쇄하여 부제 화합물(470 mg)을 무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82
(ii) 5-(tert-부틸)-3-(3-(4-((2-((3-에티닐-5-((2-모폴리노에틸)카바모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N-메틸벤즈아미드
Et3N (5 μL, 0.036 mmol)을 단계 (i)의 생성물 (70 mg, 0.196 mmol)과 3-((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에티닐-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실시예 2(iii) 참조; 100 mg, 0.197 mmol) 혼합물의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3 mL)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50℃ (블록 온도)에서 16 h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로 냉각하고 고체를 여과하였다. 잔류물을 MeCN (3 mL)으로부터 재결정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여 MeCN으로 세정하고 진공에서 건조하여 갈색 고체를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제조용 HPLC (Varian, 염기성(0.1% 중탄산암모늄), Waters X-Bridge Prep-C18, 5 μm, 19x50 mm 컬럼, 35-70% MeCN / 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7 mg)을 무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83
실시예 10
N-(5-(tert-부틸)-3-(3-(2,3-디클로로-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페닐)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084
(i) 2,3-디클로로-4-((2-클로로피리미딘-4-일)옥시)아닐린
DBU (11.85 mL, 79 mmol)를 5분에 걸쳐서 교반된, MeCN (150mL) 중의 4-아미노-2,3-디클로로페놀 (10 g, 56.2 mmol) 혼합물에 0-5℃에서 첨가하였다. 5분 동안 교반한 후, 2,4-디클로로피리미딘(8.95 g, 60.1 mmol)을 일정 분량으로 5분에 걸쳐서 첨가한 다음, 혼합물을 rt로 가온하여 2h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서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에테르(200 mL)와 물 (20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수성층을 에테르(200 mL)로 추출한 다음, 모아진 유기층을 브라인(20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하여, 실리카 패드를 통과시켜서 여과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에테르-이소헥산으로 분쇄하고, 여과 및 건조하여 부제 화합물(14.403 g)을 연한 갈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85
(ii) N-(5-(tert-부틸)-3-(3-(2,3-디클로로-4-((2-클로로피리미딘-4-일)옥시)페닐)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Et3N (11 μL, 0.079 mmol)을 교반된, 페닐 (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실시예 1(vi) 참조; 200 mg, 0.504 mmol)와 단계 (i)의 생성물 (154 mg, 0.504 mmol)의 i-PrOAc 용액(8 mL)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0℃에서 48 h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이 더 이상 용해되지 않았고 반응이 중지되었다. 용매를 진공으로 제거하고, DMF (5 mL)를 얻어진 잔류물에 첨가하였다. 추가량의 Et3N (11 μL, 0.079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70℃에서 3h 동안 가열하였다. 추가량의 페닐 (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396 mg, 1.009 mmol), 이어서 Et3N (35.2 μL, 0.252 mmol)을 첨가한 후, 반응물을 7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rt로 냉각하고, EtOAc (50 mL)와 물 (4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유기상을 물(40 mL), 브라인 (4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진공으로 농축하여 고체 (514 mg)를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40 g 컬럼, 0-100% EtOAc / 이소헥산)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106 mg)을 유백색 반고체로 얻었다(85% 순도).
Figure 112015105507671-pct00086
(iii) N-(5-(tert-부틸)-3-(3-(2,3-디클로로-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페닐)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교반된, 단계 (ii)의 생성물(100 mg, 0.144 mmol)과 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아닐린 (실시예 4(iii) 참조; 64 mg, 0.218 mmol)의 DMF (4 mL) 용액에 p-TSA 1수화물 (14 mg, 0.074 mmol)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60℃에서 48h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rt로 냉각하여 EtOAc (40 mL)와 sat. aq. NaHCO3 (3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수성상을 다시 EtOAc(2 x 40 mL)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 추출물을 물(2 x 50 mL), 브라인 (5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끈적한 오렌지색 오일(150 mg)을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0-100% EtOAc / 이소헥산)로 정제하여 흰색 반-고체 (57 mg)를 얻었고, 이를 디에틸에테르-이소헥산 혼합물로 분쇄하고 여과하여 유백색 고체를 얻었다(30 mg). 미정제 생성물을 제조용 HPLC (Gilson, 산성(0.1% 포름산), Waters X-Select Prep-C18, 5 μm, 19x50 mm 컬럼, 40-70% MeCN/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4 mg)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87
실시예 11
N-(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088
(i) tert-부틸 (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Pd2(dba)3 (22 mg, 0.024 mmol)와 BINAP (30 mg, 0.048 mmol)를 1,4-디옥산 (1 mL) 중에서 10분 동안 N2 하에 교반하였다. 별도 용기에서, N2로 퍼지하고, Cs2CO3 (455 mg, 1.396 mmol), 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아닐린 (실시예 4(iii) 참조; 265 mg, 0.930 mmol) 및 tert-부틸 (4-((2-클로로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실시예 3(ii) 참조; 345 mg, 0.930 mmol)를 1,4-디옥산 (5 mL)에서 교반하였다. 촉매 용액을 메인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전체를 90℃로 48 h 동안 가열하였다. Pd2(dba)3 (22 mg, 0.024 mmol) 및 BINAP(30 mg, 0.048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추가로 18 h 동안 교반하였다. 물(15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EtOAc (3 x 15 mL)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상을 포화 브라인 (15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40 g 컬럼, 50-100% EtOAc/이소헥산)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194 mg)을 끈적한 갈색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89
(ii) 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N-(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피리딘-2-아민
단계 (i)의 생성물(190 mg, 0.307 mmol)의 DCM (0.5 mL) 용액을 TFA(500 μL, 6.49 mmol)로 처리하여 rt에서 3 h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 (10 mL)과 DCM (10 mL)으로 희석하였다. 혼합물을 sat. aq. NaHCO3 중화하고 상분리 카트리지를 통과시켰다. 유기상을 건조(MgSO4) 및 농축하여 부제 화합물(135 mg)을 갈색 검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90
(iii) N-(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
Et3N (6 μL, 0.043 mmol)을 페닐 (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실시예 1(vi) 참조; 68.0 mg, 0.173 mmol)와 단계 (ii)의 생성물 (90 mg, 0.173 mmol) 혼합물의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3 mL)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70℃(블록 온도)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rt로 냉각하고 EtOAc로 희석하였다. 용액을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고,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12 g 컬럼, 1-5% MeOH / DCM)로 정제하여 핑크색 고체의 생성물을 얻었다. 고체를 Et2O로 3회 분쇄하여 표제 화합물(73 mg)을 연한 핑크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91
실시예 12
1-(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3-(2-메톡시-5-모폴리노페닐)우레아
Figure 112015105507671-pct00092
(i) 페닐 (2-메톡시-5-모폴리노페닐)카바메이트
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300 μL, 2.391 mmol)를 교반된, 2-메톡시-5-모폴리노아닐린(500 mg, 2.401 mmol)과 NaHCO3(400 mg, 4.76 mmol)의 THF(5 mL)와 DCM (5 mL) 용액에 첨가하여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 (40 mL)과 DCM (20 mL)으로 희석한 후, 혼합물을 상분리 카트리지에 통과시켰다. 얻어진 여과액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부제 화합물(789 mg)을 노란색 오일로 얻어서 정치하여 고화하였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93
(ii) 1-(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3-(2-메톡시-5-모폴리노페닐)우레아
트리에틸아민 (6 μL, 0.043 mmol)을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3 mL) 중의 단계 (i)의 생성물(58 mg, 0.177 mmol) 및 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N-(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피리미딘-2-아민 (실시예 4(v) 참조; 100 mg, 0.192 mmol)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0℃ (블록 온도)에서 4일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rt로 냉각하고 MeOH로 희석하였다. 용액을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12 g 컬럼, 1-5% MeOH/DCM)로 정제하여 생성물을 유백색 고체로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제조용 HPLC (Gilson, 산성(0.1% 포름산), Waters X-Select Prep-C18, 5 μm, 19x50 mm 컬럼, 25-70% MeCN/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51 mg)을 유백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94
실시예 13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N-메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095
트리에틸아민(15 μL, 0.108 mmol)을 페닐 (5-(tert-부틸)-2-메톡시-3-(메틸카바모일)페닐)카바메이트(실시예 9(i) 참조; 150 mg, 0.421 mmol)와 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N-(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피리미딘-2-아민(실시예 4(v) 참조; 200 mg, 0.384 mmol) 혼합물의 THF (5 mL)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50℃ (블록 온도)에서 24h 동안 가열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2% MeOH:DCM 내지 5%)로 정제하여 연한 갈색 유리질을 얻었고, 이것을 Et2O로 분쇄하여 표제 화합물 (255 mg)을 갈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96
실시예 14
N-(3-(3-(4-((2-((3-(2,5,8,11,14,17,20-헵타옥사도코산-22-일옥시)-5-메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5-(tert-부틸)-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097
(i) 22-(3-메톡시-5-니트로페녹시)-2,5,8,11,14,17,20-헵타옥사도코산
DIAD (2.76 mL, 14.19 mmol)를 교반된, 3-메톡시-5-니트로페놀 (2 g, 11.82 mmol), 2,5,8,11,14,17,20-헵타옥사도코산-22-올(4.03 g, 11.82 mmol) 및 PPh3 (3.72 g, 14.19 mmol)의 THF (15 mL) 용액에 0-5℃에서 적가하였다. 혼합물 rt로 가온하고, 18h 동안 교반한 다음,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220 g) 컬럼, EtOAc 다음 0-10%EtOH/EtOAc)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3.905 g, 70% 순도)을 오일로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98
(ii) 3-(2,5,8,11,14,17,20-헵타옥사도코산-22-일옥시)-5-메톡시아닐린
단계 (i)의 생성물 (3.90 g, 5.55 mmol)을 EtOH (30 mL)에 용해하고 Fe 분말(3.10 g, 55.5 mmol)을 첨가한 다음, 물 (15 mL) 중의 NH4Cl (2.97 g, 55.5 mmol) 용액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현탁액을 80 ℃에서 1h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rt로 냉각하고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진공으로 농축하고, sat. aq. NaHCO3 (80 mL)를 첨가하여 pH 10으로 염기화한 다음, EtOAc (3 x 100 mL)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 추출물을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오렌지색 오일을 얻었다(3.7 g). 미정제 생성물을 최소한의 MeOH에 용해하여 SCX에 적재하였다. 컬럼을 먼저 MeOH(3 컬럼 부피), 이어서 1% NH3의 MeOH 용액(3 컬럼 부피)으로 용출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부제 화합물(2.54 g)을 갈색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099
(iii) tert-부틸 (4-((2-((3-(2,5,8,11,14,17,20-헵타옥사도코산-22-일옥시)-5-메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교반된, tert-부틸 (4-((2-클로로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예를 들어, Ito, K. et al., WO 2010/067130, (2010년 6월 17일) 참조; 289 mg, 0.701 mmol) 및 단계 (ii)의 생성물 (500 mg, 1.051 mmol)의 DMF (20 mL) 용액에 pTSA 1수화물 (67 mg, 0.352 mmol)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60 ℃에서 48 h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rt로 냉각하고 및 EtOAc (80 mL)와 sat. aq. NaHCO3 (5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수성상을 다시 EtOAc(80 mL)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 추출물을 물 (3 x 50 mL), 브라인 (5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진공에서 농축하여 오렌지색 오일을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40 g 컬럼, 0-2% MeOH / EtOAc)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498 mg)을 오렌지색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00
(iv) N-(3-(2,5,8,11,14,17,20-헵타옥사도코산-22-일옥시)-5-메톡시페닐)-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아민
교반된, 단계 (iii)의 생성물 (452 mg, 0.567 mmol)의 DCM (10 mL) 용액에 TFA (2.2 mL, 28.6 mmol)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rt에서 1 h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최소한의 MeOH에 용해한 다음 SCX에 적재하였다. 컬럼을 MeOH (3 컬럼 부피), 이어서 MeOH 중의 1% NH3(3 컬럼 부피)로 용출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부제 화합물(258 mg)을 진한 오렌지색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01
(v) N-(3-(3-(4-((2-((3-(2,5,8,11,14,17,20-헵타옥사도코산-22-일옥시)-5-메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5-(tert-부틸)-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페닐 (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실시예 1(vi) 참조; 74 mg, 0.187 mmol), 단계 (iv)의 생성물 (120 mg, 0.170 mmol) 및 트리에틸아민 (5 μL, 0.036 mmol) 혼합물의 i-PrOAc (2 mL) 용액을 70 ℃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rt로 냉각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40 g 컬럼, 0-10% MeOH / EtOAc)로 정제하여 오일을 얻었다. 오일을 MeCN과 물 (4 mL, 1:1)에 용해하여 밤새 동결건조하여 표제 화합물(118 mg)을 연한 핑크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02
실시예 15
N-(5-(tert-부틸)-3-(3-(4-((2-((3-(2-(2-(2-(디메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5-메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103
(i) 2-(2-(2-(3-메톡시-5-니트로페녹시)에톡시)에톡시)-N,N-디메틸에탄아민
DIAD(480 μL, 2.469 mmol)를 교반된, 3-메톡시-5-니트로페놀 (350 mg, 2.069 mmol), 2-(2-(2-(디메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탄올(440 mg, 2.483 mmol) 및 PPh3 (651 mg, 2.483 mmol)의 THF (15 mL) 용액에 0-5℃에서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rt로 가온하고, 18h 동안 교반한 다음, 용매를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MeOH 중의 SCX 컬럼에 적재하였다. 컬럼을 MeOH로 세척한 후, 생성물을 MeOH 중의 7 M 암모니아로 용출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40 g 컬럼, 0-10% MeOH/DCM)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428 mg)을 노란색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04
(ii) 3-(2-(2-(2-(디메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5-메톡시아닐린
Pd/C, 10%w/w(50 mg)를 단계 (i)의 생성물(420 mg, 1.279 mmol)의 EtOH(10 mL) 용액에 첨가하여 혼합물을 수소(5 bar) 하에서 2h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하여 부제 화합물(380 mg)을 점성이 있는 노란색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05
(iii) N-(5-(tert-부틸)-3-(3-(4-((2-((3-(2-(2-(2-(디메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5-메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N-(5-(tert-부틸)-3-(3-(4-((2-클로로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실시예 7(i) 참조; 73.6 mg, 0.129 mmol), 단계 (ii)의 생성물 (77 mg, 0.258 mmol) 및 pTSA 1수화물 (54.0 mg, 0.284 mmol)의 THF/DMF (6 mL, 1:2) 현탁액을 60℃에서 24h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rt로 냉각하고 EtOAc(40 mL)와 sat. aq. NaHCO3(3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수성층을 EtOAc(2 x 40 mL)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 추출물을 물 (2 x 50 mL) 및 브라인 (2 x 50 mL)으로 세척한 다음,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4-10% MeOH)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51 mg)을 연한 핑크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06
실시예 16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에티닐-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107
방법 1
(i) 3-브로모-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5-니트로벤즈아미드
T3P, 50 wt%(25 mL, 42.0 mmol)의 EtOAc 용액을 3-브로모-5-니트로벤조산 (7.05 g, 28.7 mmol), 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탄아민(4 g, 24.25 mmol) 및 Et3N (12 mL, 86 mmol)의 EtOAc (50 mL) 용액에 빙냉조 중에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첨가를 완료한 다음, 빙냉조를 제거하고 반응물을 rt에서 2h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sat. aq NaHCO3 용액 (100 mL)과 EtOAc (10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aq K2CO3 용액(100 mL 중 10 g)과 브라인(10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부제 화합물(8.23 g)을 갈색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08
(ii) 3-아미노-5-브로모-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철 분말(5.90 g, 106 mmol)을 EtOH (65 mL) 및 물 (15 mL) 중의 단계 (i)의 생성물 (8.24 g, 20.43 mmol)과 진한 HCl (2 mL, 23.40 mmol)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5 ℃(블록 온도)에서 1 h 동안 가열하였다. 이후, 반응물을 rt로 냉각하고, 물(30 mL)로 희석하고, 여과하여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염기화(NaHCO3)한 후, EtOAc (350 mL)와 물 (275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오렌지색 오일로 얻었고, 이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220 g 컬럼, 0-5% MeOH / DCM)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5.25 g)을 오렌지색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09
(iii) 3-아미노-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5-((트리이소프로필실릴)에티닐)-벤즈아미드
단계 (ii)의 생성물(5.06 g, 13.31 mmol), 에티닐트리이소프로필실란 (4.5 mL, 20.06 mmol), Cu(I)I(130 mg, 0.683 mmol) 및 Et3N (8 mL, 57.4 mmol)의 탈기된 DMF (45 mL) 용액에 Pd(PPh3)4 (770 mg, 0.666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85 ℃에서 3h 동안 가열한 다음, rt로 냉각하고 EtOAc (250 mL)와 브라인 (25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수성상을 추가로 EtOAc (250 mL)로 추출한 다음, 모아진 유기 추출물을 물(3 x 200 mL) 및 브라인(20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진한 갈색 오일을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220 g 컬럼, 0-3% MeOH / DCM)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5.4 g)을 오렌지색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10
(iv) 3-아미노-5-에티닐-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교반된, 단계 (iii)의 생성물 (5.33 g, 11.40 mmol)의 EtOAc (75 mL) 용액에 1M TBAF의 THF (11.40 mL, 11.40 mmol)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rt에서 1h 동안 교반하고, 물 (300 mL)과 EtOAc (400 mL) 사이에서 분배하고, 수성상을 추가로EtOAc (300 mL)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 추출물을 브라인(40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농축하여 오렌지색 오일을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최소량의 MeOH에 용해하여 SCX에 적재하였다. 컬럼을 MeOH (3 컬럼 부피), 이어서 MeOH 중의 1% NH3(3 컬럼 부피)로 용출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부제 화합물(3.27 g)을 갈색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11
(v) tert-부틸 (4-((2-((3-에티닐-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카바모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교반된, 단계 (iv)의 생성물 (1 g, 3.13 mmol) 및 tert-부틸 (4-((2-클로로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예를 들어, Ito, K. et al., WO 2010/067130, (2010년 6월 17일) 참조; 777 mg, 2.090 mmol)의 DMF (60 mL) 용액에 pTSA 1수화물 (200 mg, 1.051 mmol)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60 ℃에서 72 h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rt로 냉각하고 EtOAc (150 mL)와 sat. aq. NaHCO3 (10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수성층을 추가로 EtOAc (2 x 150 mL)로 추출한 다음, 모아진 유기 추출물을 물(3 x 200 mL) 및 브라인 (20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농축하여 오렌지색 오일을 얻었다(1.17 g).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80 g 컬럼, 0-5% MeOH / EtOAc)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552 mg)을 연한 갈색 폼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12
(vi) 3-((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에티닐-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교반된 단계 (v)의 생성물(540 mg, 0.825 mmol)의 DCM(8 mL) 용액에 TFA (3.2 mL, 41.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rt에서 1h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얻어진 오일을 최소한의 MeOH에 용해하여 SCX에 적재하였다. 컬럼을 MeOH(3 컬럼 부피), 이어서 MeOH 중의 1% NH3(3 컬럼 부피)로 용출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부분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부제 화합물(405 mg)을 연한 갈색 폼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13
(vii)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에티닐-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ethyl)벤즈아미드
교반된, 페닐 (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실시예 1(vi) 참조; 95 mg, 0.239 mmol), 단계 (vi)의 생성물(120 mg, 0.217 mmol) 및 Et3N (6 μL, 0.043 mmol) 혼합물의 i-PrOAc(3 mL) 용액을 밤새 70℃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rt로 냉각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0-5% MeOH in EtOAc)로 정제하여 오일을 얻고, 이것을 디에틸에테르로 분쇄하여 연한 베이지색 고체를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제조용 HPLC (Varian, 염기성(10 mM 중탄산암모늄), Waters X-Bridge Prep-C18, 5 μm, 19x50 mm 컬럼, 35-70% MeCN / 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69 mg)을 유백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14
방법 2
(I) 3-브로모-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5-니트로벤즈아미드
질소 하의 스크러버가 구비된 10 L 플라스크에, 3-브로모-5-니트로벤조산 (2686 g, 10.91 mol) 및 염화티오닐 (5.37 L, 75.8 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68℃로 가열[가스 증발]한 다음, 60℃에서 밤새 교반한 후에 LC 분석 결과, 반응 완료를 나타내었다. 반응물을 rt로 냉각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3.2 kg의 물질을 얻었으며, 이 양은 염화티오닐 (100% 수율 = 2.88 kg)의 존재를 표시하였다. 혼합물을 톨루엔 (2 x 3 L)으로부터 농축하여 미량의 염화티오닐 모두를 제거하였다. 총 3370 g의 산 염화물을 얻었으며, 톨루엔이 초과 수율을 차지하였다.
질소 하의 20 L 플라스크에, 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탄아민 (890 g, 5.45 mol)과 DCM (3.5 L)을 첨가하였다. 이후, 8% aq NaHCO3 (9 L)를 첨가하였다. 산 염화물(1373 g 활성, 4.89 mol)을 혼합물에 첨가하면서 온도는 25℃ 미만으로 유지하였다[발열 및 가스 증발].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였고, 이후 LC 결과는 반응 완료를 나타냈다. 유기물을 분리하고 1 M HCl (4.5 L)과 8% aq NaHCO3 (4.5 L)로 세척한 다음, 건조 및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총 1956 g의 부제 화합물을 얻었다(95% 수율). 1H NMR 분석 결과는 생성물 순도 >95%를 나타내었다.
(II) 3-아미노-5-브로모-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단계 (I)의 생성물(1 kg, 2.56mol)을 THF (3.5 L)와 AcOH (500 mL)에 용해하여 3 MPa (30 bar) H2로 최대 60℃에서 5% Pt/C (30 g의 JM 타입 18 MA, 55% 물)로 수소화하였다. 5시간 후의 분석에서 1:1 비율의 ArNHOH 와 ArNH2가 나타났다. 밤새 방치한 후에 반응이 완료되었으며, 1H NMR 분석에서는 3% des-bromo 부산물이 나타났다. 촉매를 여과한 다음,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 (3 L)로 희석하고 20% 탄산칼륨 용액 (3.5 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물을 건조하여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잔류물을 얻고, 5부피의 디에틸에테르로 밤새 슬러리화하여 des-bromo류의 농도를 감소하였다(슬러리화 후 <2%). 부제 화합물을 90%의 수율로 얻었으며, LC 결과 순도는 86%였다.
(III) 3-아미노-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5-((트리이소프로필실릴)에티닐)벤즈아미드
질소 하의 10 L 플라스크에 단계 (II)의 생성물 (700 g, 1.93 mol)과 THF (5.59 L)를 첨가하였다. 이후, CuI (19.2 g, 0.1 mol), 트리에틸아민 (1.29 L, 9.27 mol) 및 에티닐트리이소프로필실란 (389 g, 2.13 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탈기하고 질소로 3회 퍼징하였다. Pd(PPh3)4(125.5 g, 0.198 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탈기하여 질소로 3회 퍼징하였다. 반응물을 65 ℃로 밤새 가열한 후의 LC 결과는 91%의 생성물과 <1%의 출발물질을 나타냈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한 다음,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 L)에 취하여 실리카 플러그(2 kg)에 넣고, 추가 에틸 아세테이트 (30 L)로 용출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미정제 생성물을 TBME (5 L)에 용해하여 6 N HCl (5 L)로 추출하였다. 수성 HCl상을 TBME (2 x 5 L)로 세척한 다음, 6 N NaOH를 사용하여 pH 9-10으로 염기화하였다. 이후, 생성물을 TBME (2 x 5 L)로 추출하고, 유기물을 건조하여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635g의 부제 화합물을 1H NMR(용매 배제)에 의한 순도 >95%로 얻었다.
(IV) 3-아미노-5-에티닐-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MeCN (8.8 L) 중의 단계 (III)의 생성물 (1200 g, 2.59 mol)에 CsF(433.6 g, 2.85 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한 후의 HPLC 분석 결과, 1.7%의 생성물과 97.4%의 출발물질을 나타냈다. 추가 CsF (420 g, 2.76 mol)를 투입하고 반응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였고, HPLC 분석 결과 91.0%의 생성물과 4.4%의 출발물질을 나타냈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HPLC 분석 결과 92.5%의 생성물과 0.7%의 출발물질을 얻었다. 잔류물을 DCM (3 L)과 EtOAc (3 L)에 용해하고, 동등한 2개의 분획으로 나누었다. 각 분획을 실리카 패드(1.6 kg)에 통과시키고, EtOAc (50 L)로 용출하였다. 여과액을 모아서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미정제 물질을 헵탄(2 x 4 L)으로 세척하여 실릴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총 719 g의 부제 화합물이 단리되었다(83% 어세이(1H NMR), 75% 활성 수율, 597 g 활성).
(V) tert-부틸 (4-((2-((3-에티닐-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카바모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N2 하에 단계 (IV)의 생성물 (301.2 g, 250.0 g 활성, 0.816 mol), tert-부틸 (4-((2-클로로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예를 들어, Ito, K. et al., WO 2010/067130, (2010년 6월 17일) 참조; 252.8 g, 0.680 mol), pTSA.H2O (24.7 g, 0.130 mol) 및 THF (7600 mL)를 투입하였다. 암적색 용액을 환류로 6 h 동안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한 후, HPLC 분석 결과는 0.25%의 단계 (IV) 생성물, 22.24%의 단계 (VI) 생성물, 8.98% 클로로피리미딘 출발물질 및 64.08%의 단계 (V) 생성물을 나타냈다. 추가로 단계 (IV)의 생성물 (27.1 g, 22.5 g 활성, 73.4 mmol)을 투입하고 반응물을 다시 환류로 가열하여 밤새 교반하였고, 이어서 HPLC 분석 결과는 0.20%의 단계 (IV) 생성물, 30.23%의 단계 (VI) 생성물, 4.50%의 출발 클로로피리미딘 및 58.61%의 단계 (V) 생성물을 나타내었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20% K2CO3 (735 mL)로 퀀칭(quenching)한 다음, 층울 분리하여 유기층을 sat. 브라인 (88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하여 여과하고 농축하여 갈색의 끈적한 고체를 단리하였다. 수율 = 491.2g (93.8%). HPLC 결과는 30.59%의 단계 (VI) 생성물과 59.50%의 단계 (V) 생성물을 나타냈으며, 1H NMR은 구조와 일치하였다.
(VI) 3-((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에티닐-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N2 하에서 단계 (V)의 미정제 생성물 혼합물(491.2 g)과 DCM (3700 mL)을 투입하였다. TFA(695 mL, 12.3 당량)를 적가하면서 온도는 20℃ 아래로 유지하였다. 암갈색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고, 이후 HPLC 분석 결과는 86.90%의 단계 (VI) 생성물과 0.94%의 단계 (V)의 생성물을 나타냈다. 혼합물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EtOAc (3700 mL)에 취하여 pH가 7-8에 이를 때까지 sat. aq. NaHCO3 (2 x 200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하여 여과하고 농축하여 보라색 고체를 단리하였다. 수율 = 360.8g. HPLC 순도 78.58%.
(VII) 5-tert-부틸-2-메톡시-3-니트로아닐린
N2 하에서 4-tert-부틸-2,6-디니트로아니솔 (620 g, 2.439 mol), IMS (4774 mL) 및 10% Pd/C (31.8g)를 투입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환류(78℃)로 가열하고 4-메틸-1-사이클로헥센 (500 mL, 4.159 mol)을 4.5 h에 걸쳐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환류 하에 밤새 교반하였고, HPLC 분석 결과는 72.13%의 생성물과 27.17%의 출발물질을 나타냈다. 추가로 4-메틸-1-사이클로헥센 (160 mL, 1.331 mol)을 3 h 동안 적가하고 반응물을 환류 하에 72 h 동안 교반하였다. HPLC 결과는 92.72%의 생성물과 0%의 출발물질을 나타냈다. 반응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촉매를 진공 여과로 제거하여 IMS (500 mL)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ca. 1200 mL까지 농축하여 1 : 4.45 생성물 : 에탄올 (타겟 1 : 5)의 비율을 얻었다. 온도를 23℃ 아래로 유지하면서 2 M HCl (124 mL)을 잔량에 적가하여 투입하였다. 물 (3100 mL)을 투입하고 얻어진 현탁액을 실온에서 1.5 h 동안 교반하였다. 고체를 진공 여과에 의해 모으고 물 (2 x 1000 mL)로 세척하였다. 얻어진 오렌지색 침상을 진공 하, 40℃에서 밤새 건조하였다. 수율 = 475.2 g (86.9%). 순도 >97% (1H NMR). HPLC 순도 98.8%. KF 0.36%.
(VIII) N-(5-tert-부틸-2-메톡시-3-니트로페닐)메탄설폰아미드
N2 하에서 단계 (VII)의 생성물(471 g, 2.099 mol), 톨루엔 (1880 mL) 및 피리딘 (471 mL)을 투입하고, 온도를 35℃ 아래로 유지하면서 염화메탄설포닐(179 mL)을 1 h 동안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30-35 ℃에서 밤새 교반하였고, 20℃ 아래로 냉각한 다음, 물 (1880 mL) 및 2 M HCl (1880 mL)을 투입하였다(pH 3으로 조절). 층을 분리하고 유기상을 2.5% 브라인 (1880 mL)으로 세척하였다. 헵탄(3760 mL)을 유기층에 0.5 h 동안 투입하여 침전을 단리하였다. 혼합물을 0 ℃로 냉각하여 1h 동안 교반하였다. 고체를 진공 여과에 의해 모으고 헵탄(1880 mL)으로 세척한 다음, 진공 하, 40℃에서 밤새 건조하였다. 수율 = 551 g (87%). HPLC 순도 98.5%. 순도 >97% (1H NMR).
(IX) N-(3-아미노-5-tert-부틸-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5L 수소화장치(hydrogenator)에 단계 (VIII)의 생성물(209.4 g, 0.693 mol), 메탄올(1675 mL, 8 부피) 및 10% Pd/C (10.2 g)를 투입하였다. 용기를 3 x N2 3 x H2 로 퍼지한 후, 더 이상의 발열이 관찰되지 않을 때까지 0.3447 MPa (50 psi) H2 하에서 교반하였고, HPLC 결과 96.35%의 생성물과 1.10%의 출발물질을 나타냈다. 반응물을 THF (314 mL)로 희석하고 촉매를 진공 여과(쿠노(Cuno) 필터)로 제거하고 THF (1000 mL)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농축하여 연한 갈색 고체를 얻었으며, 이것을 진공 하, 40℃에서 밤새 건조하였다. 수율 = 167.0 g (88.5%). HPLC 순도 96.7%. 순도 >95%(1H NMR).
(X) 페닐 N-[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메이트
N2 하에 단계 (IX)의 생성물 (167.0 g, 613 mmol), NaHCO3 (77.3 g, 920 mmol), THF (870 mL) 및 DCM (1440 mL)을 투입하였다. 온도를 20℃ 아래로 유지하면서 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 (82.6 mL, 659 mmol)를 적가하고 실온에서 4 h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HPLC 분석 결과는 98.6%의 생성물과 0.03%의 출발물질을 나타냈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케이크를 THF (~50 mL)로 세척하였다. 여과액을 ~900 mL로 농축하고 사이클로헥산 (2400 mL)을 첨가한 다음,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진공 여과에 의해 모으고 사이클로헥산 (500 mL)으로 세척하였다. 제조된 연한 핑크색 고체를 진공 하에, 40℃에서 4h 동안 건조하였다. 수율 = 232.6g (96.7%). HPLC 순도 94.5%. 1H NMR 순도 >95%.
(XI)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에티닐-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N2 하에 단계 (vi)의 생성물 (175.5g, 0.324mol), 단계 (X)의 생성물 (145.0 g, 0.369 mmol) 및 iPrOAc (8800 mL)를 투입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60℃로 가열하고 NEt3 (9.3 mL)를 한번에 투입한 다음, 혼합물을 60 ℃에서 밤새 교반한 후, HPLC 분석 결과는 25.77%의 단계 (VI) 생성물, 3.60%의 단계 (X) 생성물 및 57.85%의 단계 (XI) 생성물을 나타냈다. 단계 (X)의 생성물(36.0 g, 0.092 mol)을 추가로 투입한 다음, 반응물을 60 ℃에서 밤새 교반하였고, 이때 HPLC 분석 결과는 5.47%의 단계 (VI)의 생성물, 3.72%의 단계 (X) 생성물 및 73.33%의 단계 (XI) 생성물을 나타냈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농축하여 진한 자주색 고체(522.9 g)를 단리하였다. 이 고체를 아세토니트릴(2615 mL, 5 부피)에서 재결정하고, 진공 여과로 모아서 iPrOAc (2 x 500 mL)로 세척하였다. 얻어진 핑크색 고체를 진공 하, 40 ℃에서 밤새 건조하였고, 181.1 g (66.5%)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HPLC 순도 99.27%). 1H NMR은 구조와 일치하였다.
실시예 17
N-(5-(tert-부틸)-3-(3-(4-((2-((3-(di플루오로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115
(i) 1- 브로모 -3-(2-(2-(2- 메톡시에톡시 ) 에톡시 ) 에톡시 )-5-니트로벤젠
MeCN (30 mL) 중의, 3-브로모-5-니트로페놀 (1.5 g, 6.88 mmol), 1-브로모-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탄 (1.72 g, 7.57 mmol), 요오드화 나트륨 (0.103 g, 0.688 mmol) 및 K2CO3 (2.85 g, 20.64 mmol) 혼합물을 60℃에서 18h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냉각하고 EtOAc (150 mL)와 물 (15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감압 하에 증발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40 g 컬럼, 0-50% EtOAc/이소헥산)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2.5 g)을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16
(ii) 3-(2-(2-(2- 메톡시에톡시 ) 에톡시 ) 에톡시 )-5-니트로페놀
물 (10 mL) 및 디옥산 (10 mL) 중의 KOH (1.54 g, 27.4 mmol) 및 단계 (i)의 생성물 (2.5 g, 5.83 mmol) 혼합물을 5분 동안 탈기하고, 디-tert-부틸(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2-일)포스핀 (0.067 g, 0.158 mmol)과 Pd2(dba)3 (0.063 g, 0.069 mmol)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다시 2분 동안 탈기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100℃로 2h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냉각하고 에테르(100 mL)와 물 (10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수성층을 aq. 1 M HCl을 사용하여 ~pH 1로 산성화하고 에틸 아세테이트(2x20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브라인(200 mL)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하여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40 g 컬럼, 0-80% EtOAc/이소헥산)로 정제하여 오일을 얻었고, 이를 에테르/이소헥산으로 분쇄하여 고체를 얻었다. 고체를 여과 및 건조하여 부제 화합물(1.46 g)을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17
(iii) 1-(디플루오로메톡시)-3-(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5-니트로벤젠
DMF (15 mL) 중의, 단계 (ii)의 생성물 (1.4 g, 4.65 mmol), 소듐 2-클로로-2,2-디플루오로아세테이트 (1.771 g, 11.62 mmol) 및 Cs2CO3 (3.03 g, 9.29 mmol)의 혼합물을 100℃에서 1h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EtOAc (100 mL)와 물 (100 mL) 사이에 분배하여, 유기층을 물 (100 mL)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0-80% EtOAc/이소헥산)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900 mg)을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18
(iv) 3-(디플루오로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아닐린
EtOH (12 mL)와 물 (4 mL) 중의 단계 (iii)의 생성물 (890 mg, 2.53 mmol), Fe 분말(890 mg, 15.94 mmol) 및 NH4Cl (50 mg, 0.935 mmol) 혼합물을 환류 하에 1h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냉각하고 여과하여 감압 하에 MeOH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EtOAC(100 mL)와 aq sat NaHCO3 용액(100 mL) 사이에서 분배하여 유기층을 브라인(10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서 부제 화합물(749 mg)을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19
(v) N-(5-(tert-부틸)-3-(3-(4-(-((3-(디플루오로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교반된, N-(5-(tert-부틸)-3-(3-(4-((2-클로로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실시예 7(i) 참조; 150 mg, 0.250 mmol)과 단계 (iv)의 생성물 (104 mg, 0.317 mmol)의 DMF (7 mL) 용액에 pTSA 1수화물 (24 mg, 0.126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60 ℃에서 48 h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rt로 냉각한 후 EtOAc (40 mL)와 sat aq. NaHCO3 (4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수성상을 다시 EtOAc (2 x 40 mL)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 추출물을 물 (3 x 50 mL), 브라인 (5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오일(212 mg)을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40 g 컬럼, 100% EtOAc)로 정제하여 폼을 얻었고, 이를 디에틸에테르로 분쇄하여 표제 화합물(90 mg)을 유백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20
실시예 18
N-(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모폴리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121
(i) 4-(2-(2-(2-(3-메톡시-5-니트로페녹시)에톡시)에톡시)에틸)모폴린
DIAD(530 μL, 2.73 mmol)를 교반된, 3-메톡시-5-니트로페놀 (386 mg, 2.280 mmol), 2-(2-(2-모폴리노에톡시)에톡시)에탄올 (600mg, 2.74 mmol) 및 PPh3 (718 mg, 2.74 mmol)의 THF (15 mL) 용액에 0-5℃에서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rt로 가온하고 18h 동안 교반한 다음,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MeOH 중의 SCX 컬럼에 적재하였다. 컬럼을 MeOH로 세척하고 생성물을 7 M 암모니아의 MeOH 용액으로 용출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40 g 컬럼, 0-5% MeOH/DCM)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728 mg)을 노란색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22
(ii) 3-메톡시-5-(2-(2-(2-모폴리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아닐린
Pd/C, 10%w/w (100 mg)를 단계 (i)의 생성물 (720 mg, 1.944 mmol)의 EtOH (10 mL)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질소(5 bar) 하에서 2h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하여 부제 화합물(650 mg)을 점성이 있는 노란색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23
(iii) N-(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모폴리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
N-(5-(tert-부틸)-3-(3-(4-((2-클로로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실시예 7(i) 참조; 84 mg, 0.147 mmol), 단계 (ii)의 생성물 (100 mg, 0.294 mmol) 및 pTSA 1수화물 (62 mg, 0.326 mmol)의 THF/DMF (6 mL, 1:2) 현탁액을 60 ℃에서 24h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rt로 냉각하고 EtOAc (40 mL)와 sat. aq. NaHCO3 (3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수성층을 EtOAc (2 x 40 mL)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 추출물을 물 (2 x 50 mL), 브라인 (2 x 5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0-5% MeOH)로 정제하고 생성물을 Et2O로 분쇄하여 연한 핑크색 고체를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제조용 HPLC (Varian, Basic (0.1% 중탄산암모늄), Waters X-Bridge Prep-C18, 5 μm, 19x50 mm 컬럼, 35-70% MeCN/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52 mg)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24
실시예 19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N,N-디메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125
(i) 페닐 (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 (125 μL, 0.996 mmol)를 교반된, 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N-(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피리미딘-2-아민(실시예 4(v) 참조; 500 mg, 0.960 mmol) 및 NaHCO3 (125 mg, 1.488 mmol)의 THF (5 mL) 및 DCM (5 mL)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2h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용매를 여액으로부터 증발시켜서 연한 갈색 오일을 얻었고, 이를 이소헥산 (20 mL) 중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건조하여 부제 화합물(600 mg)을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26
(ii)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N,N-디메틸벤즈아미드
TEA(10 μL, 0.072 mmol)를 단계 (i)의 생성물(100 mg, 0.156 mmol)과 3-아미노-5-(tert-부틸)-2-메톡시-N,N-디메틸벤즈아미드(40 mg, 0.160 mmol)의 THF (5 mL)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물을 50℃(블록 온도)에서 16h 동안 가열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2% MeOH:DCM 내지 8%)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24 mg)을 갈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27
실시예 20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128
TEA (10 μL, 0.072 mmol)를 페닐 (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실시예 19(i) 참조; 100 mg, 0.156 mmol) 및 3-아미노-5-(tert-부틸)-2-메톡시벤즈아미드 (35 mg, 0.157 mmol)의 THF (5 mL)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물을 50℃ (블록 온도)에서 16h 동안 가열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40 g 컬럼, 2% MeOH:DCM 내지 8%)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10 mg)을 연한 갈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29
실시예 21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조산
Figure 112015105507671-pct00130
(i) 3-아미노-5-(tert-부틸)-2-메톡시벤조산
5% Pd-C (50 mg)를 5-(tert-부틸)-2-메톡시-3-니트로벤조산 (450 mg, 1.777 mmol)의 EtOH (3 mL)와 아세트산(2 방울)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수소(5 bar) 하에 2h 동안 교반하였다. 촉매를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시켜서 부제 화합물(380 mg)을 암갈색 폼으로 얻었다.
LCMS m/z 224 (M+H)+ (ES+)
(ii)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조산
TEA(30 μL, 0.215 mmol)를 페닐 (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실시예 19(i) 참조; 100 mg, 0.156 mmol) 및 단계 (i)의 생성물 (50 mg, 0.168 mmol)의 THF (5 mL)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물을 50℃ (블록 온도)에서 16h 동안 가열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40 g 컬럼, 5% MeOH:DCM 내지 10%)로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제조용 HPLC (Varian, 염기성(0.1% 중탄산암모늄), Waters X-Bridge Prep-C18, 5 μm, 19x50 mm 컬럼, 25-55% MeCN / 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5 mg)을 연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31
실시예 22
1-(5-(tert-부틸)-3-시아노-2-메톡시페닐)-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아
Figure 112015105507671-pct00132
TEA (10 μL, 0.072 mmol)를 페닐 (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실시예 19(i) 참조; 100 mg, 0.156 mmol) 및 3-아미노-5-(tert-부틸)-2-메톡시벤조니트릴 (35 mg, 0.171 mmol)의 THF (5 mL) 용액에 첨가하여 반응물을 50℃(블록 온도)에서 16h 동안 가열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40 g 컬럼, 2% MeOH:DCM 내지 8%)로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제조용 HPLC (Varian, 염기성(0.1% 중탄산암모늄), Waters X-Bridge Prep-C18, 5 μm, 19x50 mm 컬럼, 35-70% MeCN / 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40 mg)을 연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33
실시예 23
3-(tert-부틸)-5-(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N-메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134
(i) 메틸 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5-(tert-부틸)벤조에이트
교반된, 3-(tert-부틸)-5-(메톡시카보닐)벤조산 (2.3 g, 9.73 mmol) 및 트리에틸아민 (1.628 mL, 11.68 mmol)의 디옥산 (15 mL)과 tBuOH (10 mL, 105 mmol) 용액에 N2 하, 0℃에서 DPPA (2.52 mL, 11.68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rt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 80℃에서 4h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rt로 냉각하고 EtOAc (100 mL)로 희석하였다. 유기상을 1M HCl aq. (50 mL), 물 (50 mL), sat. NaHCO3 aq. (50 mL) 및 브라인 (50 mL)으로 세척한 다음,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진공으로 실리카겔에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80 g 컬럼, 0-25% EtOAc / 헥산)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1.80 g)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35
(ii) 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5-(tert-부틸)벤조산
교반된, 단계 (i)의 생성물 (1.80 g, 5.09 mmol)의 THF (50 mL)와 MeOH (10 mL) 용액에 NaOH (2.0 M aq.) (7.6 mL, 15.20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추가 NaOH (4 mL)를 첨가하고 5h 동안 연속 교반하였다. 진공으로 유기용매를 제거하고 얻어진 수성상을 Et2O로 세척하였다. 수성상을 1M HCl로 산성화하여 EtOAc (2 x 50 mL)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상을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유성의, 연한 노란색 고체를 얻었다. 고체를 헥산으로 분쇄한 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더 많은 헥산으로 세척하여 자유 유동성 흰색 고체인 부제 화합물(1.21 g)을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36
(iii) tert-부틸 (3-(tert-부틸)-5-(메틸카바모일)페닐)카바메이트
교반된, 메탄아민(2.0M / THF) (520 μL, 1.040 mmol), 단계 (ii)의 생성물 (300 mg, 1.023 mmol) 및 HATU (514 mg, 1.352 mmol)의 DMF (5 mL) 용액에 휘니히 염기(725 μL, 4.16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3h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 (100 mL)로 희석하고 수성상을 EtOAc (2 x 50 mL)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상을 물 (100 mL) 및 브라인 (50 mL)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한 후,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40 g 컬럼, 0-50% EtOAc/헥산)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220 mg)을 무색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37
(iv) 3-아미노-5-(tert-부틸)-N-메틸벤즈아미드
교반된, 단계 (iii)의 생성물 (220 mg, 0.718 mmol)의 DCM (15 mL) 용액에 TFA (2 mL, 26.0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3h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MeOH (1 mL)에 재용해하여 사전 조건화된 SCX 수지의 카트리지에 적재하였다. 수지를 MeOH로 세척하였고, 이후 생성물이 1% NH3의 MeOH 용액에 유리되었다. NH3 용액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부제 화합물(110 mg)을 유백색 폼으로 얻었다.
LCMS m/z 207 (M+H)+ (ES+)
(v) 3-(tert-부틸)-5-(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N-메틸벤즈아미드
트리에틸아민 (9.0 μL, 0.065 mmol)을 페닐 (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실시예 19(i) 참조; 64.4 mg, 0.312 mmol)와 단계 (iv)의 생성물 (200 mg, 0.312 mmol) 혼합물의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3 mL)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60℃ (블록 온도)에서 1h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MeOH로 희석하고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물질을 Companion 컬럼크로마토그래피(12 g 컬럼, 1-5% MeOH / DCM)로 정제하여 유백색 고체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97 mg).
Figure 112015105507671-pct00138
실시예 24
N-(3-(tert-부틸)-5-(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139
(i) 디-tert-부틸 (5-(tert-부틸)-1,3-페닐렌)디카바메이트
교반된, 5-(tert-부틸)이소프탈산 (1.0 g, 4.50 mmol) 및 트리에틸아민 (1.380 mL, 9.90 mmol)의 디옥산 (15 mL)과 tBuOH (10 mL, 105 mmol) 용액에 N2 하, 0℃에서 DPPA (2.15 mL, 9.98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rt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 80℃에서 4h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rt로 냉각하고 EtOAc (100 mL)로 희석하였다. 유기상을 1M HCl aq. (50 mL), 물 (50 mL), sat. NaHCO3 aq. (50 mL) 및 브라인(5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0-15% EtOAc / 헥산)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1.01 g)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40
(ii) 5-(tert-부틸)벤젠-1,3-디아민
교반된, 단계 (i)의 생성물 (1.01 g, 2.217 mmol)의 DCM (40 mL)용액에 TFA (5 mL, 64.9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MeOH (5 mL)에 재용해하여 사전 조건화된 SCX 수지의 카트리지에 적재하였다. 수지를 MeOH로 세척하였고, 이후 생성물이 1% NH3의 MeOH 용액에 유리되었다. NH3 용액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부제 화합물(269 mg)을 유백색 폼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41
(iii) N-(3-아미노-5-(tert-부틸)페닐)메탄설폰아미드
염화메탄설포닐(125 μL, 1.604 mmol)을 교반된, 단계 (ii)의 생성물 (269 mg, 1.638 mmol) 및 트리에틸아민 (320 μL, 2.293 mmol)의 DCM (15 mL) 용액에 0-5℃에서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고, rt로 가온하여 다시 20h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 트리에틸아민 (0.1 mL)과 염화메탄설포닐(0.02 mL)을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혼합물을 10% 브라인 (1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12 g 컬럼, 0-50% EtOAc / 헥산)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258 mg)을 연한 갈색 검으로 얻었다.
LCMS m/z 243 (M+H)+ (ES+)
(iv) N-(3-(tert-부틸)-5-(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
트리에틸아민 (24 μL, 0.172 mmol)을 단계 (iii)의 생성물 (258 mg, 0.852 mmol) 및 페닐 (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실시예 19(i) 참조; 545 mg, 0.851 mmol) 혼합물의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6 mL)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60℃(블록 온도)에서 1h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THF로 희석하고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물질을 Companion 컬럼크로마토그래피 (40 g 컬럼, 1-4% MeOH / DCM)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72 mg)을 연한 오렌지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42
실시예 25
1-(3-아미노-5-(tert-부틸)-2-메톡시페닐)-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아
Figure 112015105507671-pct00143
트리에틸아민(25 μL, 0.179 mmol)을 5-(tert-부틸)-2-메톡시벤젠-1,3-디아민(150 mg, 0.772 mmol) 및 페닐 (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실시예 19 (i) 참조; 495 mg, 0.772 mmol) 혼합물의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6 mL)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60℃(블록 온도)에서 1h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Et2O로 희석하고 15분 동안 교반하여 고체를 침전하였고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물질을 Companion 컬럼크로마토그래피 (12 g 컬럼, 1-5% MeOH / DCM)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20 mg)을 핑크색 폼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44
실시예 26
3-(2-(2-(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메톡시벤즈아미도)에톡시)에톡시)-프로판산
Figure 112015105507671-pct00145
(i) tert-부틸 3-(2-(2-(3-아미노-5-메톡시벤즈아미도)에톡시)에톡시)프로파노에이트
교반된, 3-아미노-5-메톡시벤조산 (178 mg, 1.066 mmol), tert-부틸 3-(2-(2-아미노에톡시)에톡시)프로파노에이트 (500 mg, 2.132 mmol) 및 트리에틸아민 (450 μL, 3.23 mmol) 혼합물의 DCM (4 mL) 용액을 빙냉조에서 냉각하였다. 50 wt% T3P의 EtOAc (950 μL, 1.596 mmol) 용액을 첨가하고, 빙냉조를 제거하여 반응 혼합물을 rt로 가온하고 이 온도에서 2h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sat. aq. NaHCO3(20 mL)와 DCM (2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수성상을 다시 새로운 DCM (20 mL)으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 추출물을 물 (40 mL), 브라인 (40 mL)으로 세척하여,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오일을 얻었다(496 mg).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0-100% EtOAc / 이소헥산)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295 mg)을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46
(ii) tert-부틸 3-(2-(2-(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메톡시벤즈아미도)에톡시)에톡시)-프로파노에이트
교반된, N-(5-(tert-부틸)-3-(3-(4-((2-클로로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실시예 7(i) 참조; 200 mg, 0.333 mmol) 및 단계 (i)의 생성물 (191 mg, 0.500 mmol)의 DMF (9 mL) 용액에 pTSA (32 mg, 0.168 mmol)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60 ℃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rt로 냉각하고 및 sat. aq. NaHCO3 (40 mL) 및 EtOAc (5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흰색 고체가 수성층에 분쇄되었다. 물 (50 mL)을 첨가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층을 다시 EtOAc (50 mL)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 추출물을 물 (50 mL), 브라인 (50 mL)으로 세척하여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오일을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0-5% MeOH/EtOAc)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185 mg)을 오일로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47
(iii) 3-(2-(2-(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메톡시벤즈아미도)에톡시)에톡시)-프로판산
TFA(600 μL, 7.79 mmol)를 단계 (ii) 생성물 (179 mg, 0.156 mmol)의 교반된 DCM (2 mL)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1 h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얻어진 오일을 최소한의 MeOH에 용해하여 SCX 컬럼에 적재하였다. 컬럼을 MeOH, 이어서 1% NH3의 MeOH 용액으로 용출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한 다음,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0-10% MeOH/DCM)로 정제하여 무색 유리질을 얻었다. 유리질을 디에틸에테르로 분쇄하고 여과 및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31 mg)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48
실시예 27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149
(i) 3-아미노-5-메톡시-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교반된, 3-아미노-5-메톡시벤조산 (5.20 g, 31.1 mmol), Et3N (4.50 mL, 32.3 mmol) 및 2-모폴리노에탄아민 (4.23 mL, 32.3 mmol) 혼합물의 THF (150 mL)와 DMF (4 mL) 용액에 HATU (14.72 g, 38.7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주위온도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후,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00 mL)에 취하여 sat NaHCO3 (aq) (2 x100 mL)로 세척하였다. 수성층을 다시 추가의 에틸 아세테이트 (4 x 50 mL)로 추출하고 유기물을 합하여,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이소헥산(100 mL)으로 분쇄하여 연한 오렌지색 검(15 g)을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220 g 컬럼, 0-60% IPA/DCM)로 정제하였다. 분획들을 2개의 별도 뱃치로 합하여 부제 화합물을 2개의 별도 뱃치(2.48 g 및 2.87 g)로서 오렌지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50
제1 뱃치(2.0 g)를 아세토니트릴 (18 mL)로 재결정하여 부제 화합물(1.70 g)을 흰색 고체로 얻어서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ii) tert-부틸 (4-((2-((3-메톡시-5-((2-모폴리노에틸)카바모일)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Pd2dba3 (123 mg, 0.135 mmol) 및 BINAP (168 mg, 0.270 mmol)를 1,4-디옥산 (5 mL) 중에서 10 분 동안 N2 하에 교반하였다. N2로 퍼지된 별도 용기에서 탄산세슘(1318 mg, 4.04 mmol), 단계 (i)의 생성물 (753 mg, 2.70 mmol) 및 tert-부틸 (4-((2-클로로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실시예 3(ii) 참조; 1000 mg, 2.70 mmol)를 1,4-디옥산 (10 mL) 중에서 교반하였다. 촉매 용액을 메인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전체를 90℃에서 18 h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 시, 혼합물을 물 (8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 x 75 mL)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상을 포화 브라인 (75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80 g 컬럼, 0-10% MeOH(10%NH3)/DCM)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750 mg)을 갈색 유리질로 얻었다.
LCMS m/z 614 (M+H)+ (ES+); 612 (M-H)- (ES-)
(iii) 3-((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단계 (ii)의 생성물 (750 mg, 1.222 mmol)의 이소프로판올 (2 mL) 용액을 4 M HCl 용액 (10 mL)에 rt에서 첨가하여 1 h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포화 Na2CO3 용액 (30 mL)으로 염기화하여 에틸 아세테이트(3 x 50 mL)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상을 포화 브라인 (5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얻어진 갈색 오일을 디에틸에테르 (25 mL)로 분쇄하고 여과에 의해 수집하여 부제 화합물(490 mg)을 크림형 고체로 얻었다.
LCMS m/z 514 (M+H)+ (ES+)
(iv)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트리에틸아민 (5 μL, 0.036 mmol)을 페닐 (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실시예 1(vi) 참조; 75 mg, 0.191 mmol) 및 단계 (iii) 생성물 (82 mg, 0.159 mmol)의 혼합물의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5 mL)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50℃ (블록 온도)에서 48 h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 루즈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실리케이트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80 g 컬럼, EtOAc)로 정제하여 무색 유리질을 얻었다. 유리질을 제조용 HPLC (Gilson, 산성(0.1% 포름산), Acidic, Waters X-Select Prep-C18, 5 μm, 19x50 mm 컬럼, 10-60% MeCN/물)로 정제하여 무색 유리질을 얻었다. 유리질을 EtOAc (40 mL)에 다시 용해하고 NaHCO3 용액 (40 mL), 포화 브라인(40 mL)으로 세척하여, 건조(MgSO4) 및 감압 하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55 mg)을 갈색 유리질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51
실시예 28
1-(5-(tert-부틸)-2-메톡시-3-(피리미딘-2-일아미노)페닐)-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아
Figure 112015105507671-pct00152
1-(3-아미노-5-(tert-부틸)-2-메톡시페닐)-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아(실시예 25 참조; 100 mg, 0.135 mmol), 2-클로로피리미딘 (16 mg, 0.140 mmol) 및 p-TSA 1수화물 (52 mg, 0.273 mmol)의 THF/DMF (3 mL, 1:2) 현탁액을 70℃에서 밤새 가열하고, 이어서 60℃에서 4일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rt로 냉각하고 유사한 50 mg의 반응물을 합하였다. 합쳐진 혼합물을 EtOAc (40 mL)와 sat. aq. NaHCO3 (3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수성층을 EtOAc (2 x 40 mL)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 추출물을 물 (2 x 50 mL), 브라인 (2 x 5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1-5% MeOH/DCM)로 정제하여 핑크색 고체를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 을 추가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100% EtOA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8 mg)을 핑크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53
실시예 29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N-메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154
페닐 (5-(tert-부틸)-2-메톡시-3-(메틸카바모일)페닐)카바메이트 (실시예 9(i) 참조; 107 mg, 0.301 mmol), 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N-(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피리딘-2-아민 (실시예 11(ii) 참조; 125 mg, 0.241 mmol) 및 Et3N (33.5 μL, 0.241 mmol)을 50℃로 THF (5 mL) 중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고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40 g 컬럼, 1-5% MeOH/DCM)로 정제하여 흰색 폼을 얻었다. 폼을 추가로 제조용 HPLC (Gilson, 산성(0.1% 포름산), Acidic, Waters X-Select Prep-C18, 5 μm, 19x50 mm 컬럼, 25-80 MeCN/물)로 정제하였다. 분획들을 합해서 농축하여 아세토니트릴을 제거하고, 포화 NaHCO3 용액 (50 mL)으로 희석하였다.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50 mL)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포화 브라인 (50 mL)으로 세척하여, 건조(MgSO4) 및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100 mg)을 갈색 유리질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55
실시예 30
3-(2-(2-(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메톡시페녹시)에톡시)에톡시)프로판산
Figure 112015105507671-pct00156
(i) tert-부틸 3-(2-(2-(3-메톡시-5-니트로페녹시)에톡시)에톡시)프로파노에이트
DIAD (730 μL, 3.60 mmol)를 교반된, 3-메톡시-5-니트로페놀 (510 mg, 2.99 mmol), tert-부틸 3-(2-(2-하이드록시에톡시)에톡시)프로파노에이트 (700 mg, 2.99 mmol) 및 트리페닐포스핀 (950 mg, 3.59 mmol)의 THF (4 mL) 용액에 0-5 ℃에서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이 되도록 방치하고 이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80 g 컬럼, 0-100% EtOAc/이소헥산)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1.13 g)을 노란색 오일로 얻고 정치하여 고화하였다. 생성물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57
(ii) tert-부틸 3-(2-(2-(3-메톡시-5-니트로페녹시)에톡시)에톡시)프로파노에이트
단계 (i)의 생성물 (1.10 g, 1.598 mmol)을 EtOH (15 mL)에 용해하여 Fe 분말(895 mg, 16.03 mmol)과, 이어서 용액 of NH4Cl (855 mg, 15.98 mmol)의 수용액(7 mL)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현탁액을 80 ℃에서 1h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rt로 냉각하고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진공으로 농축하고, 물 (40 mL)로 희석한 다음, sat. aq. NaHCO3 (40 mL)과 EtOAc (6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수성상을 다시 EtOAc (50 mL)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 추출물을 물 (50 mL), 브라인 (5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진공에서 농축하여 오렌지색 오일을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최소한의 MeOH에 용해하고 SCX에 적재하였다. 컬럼을 MeOH (3 컬럼 부피), 이어서 1% NH3의 MeOH 용액(3 컬럼 부피)으로 용출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액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부제 화합물(422 mg)을 갈색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58
(iii) tert-부틸 3-(2-(2-(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메톡시페녹시)에톡시)에톡시)-프로파노에이트
교반된, N-(5-(tert-부틸)-3-(3-(4-((2-클로로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실시예 7(i) 참조; 204 mg, 0.340 mmol) 및 단계 (ii)의 생성물 (185 mg, 0.510 mmol)의 DMF (9 mL) 용액에 p-TSA 1수화물 (32 mg, 0.168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 ℃에서 48 h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rt로 냉각하고, 물 (40 mL)로 희석한 다음, sat. aq. NaHCO3 (40 mL)와 EtOAc (5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유기상을 물 (2 x 50 mL), 브라인 (5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하여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폼을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40 g 컬럼, 0-100% EtOAc/이소헥산)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180 mg)을 베이지색 폼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59
(iv) 3-(2-(2-(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메톡시페녹시)에톡시)에톡시)프로판산
TFA (698 μL, 9.06 mmol)를 단계 (iii) 생성물 (179 mg, 0.181 mmol)의 교반된 DCM (2 mL)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1 h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얻어진 오일을 최소한의 MeOH에 용해하여 SCX 컬럼에 적재하였다. 컬럼을 MeOH (3 컬럼 부피), 이어서 1% NH3의 MeOH 용액(3 컬럼 부피)으로 용출하였다. 약간의 메틸 에스테르 형성이 발생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THF (5 mL)와 물 (1 mL)에 용해하고, 2M NaOH (0.5mL)를 첨가하여 4h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1M HCl을 사용하여 pH 2로 산성화한 다음 EtOAc (40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 (10 mL)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12 g 컬럼, 0-10% MeOH/DCM)로 정제하여 얻어진 고체를 5% MeOH/DCM (5 mL)으로 분쇄하고, 고체를 여과하여, MeCN (5mL) 및 DCM (5mL)으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47 mg)을 유백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60
실시예 31
3-(2-(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메톡시페녹시)에톡시)프로판산
Figure 112015105507671-pct00161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30의 방법으로 제조하여 생성물(53mg)을 유백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62
실시예 32
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N-메틸-5-모폴리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163
(i) 메틸 2-메톡시-5-모폴리노-3-니트로벤조에이트
Pd2(dba)3 (170 mg, 0.186 mmol) 및 BINAP (240 mg, 0.385 mmol)의 탈기된 용액을 메틸 5-브로모-2-메톡시-3-니트로벤조에이트(1680 mg, 3.82 mmol), 모폴린(500 μL, 5.73 mmol) 및 Cs2CO3 (1900 mg, 5.83 mmol)의 탈기된 현탁액에 첨가하여 90℃에서 48 h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물 (10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 x 100 mL)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상을 포화 브라인 (10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80 g 컬럼, 0-50% EtOAc/이소헥산)로 정제하여 왁스성 노란색 고체를 얻었다. 디에틸에테르 (50 mL)를 첨가하고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부제 화합물(389 mg)을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LCMS m/z 297 (M+H)+ (ES+)
(ii) 2-메톡시-N-메틸-5-모폴리노-3-니트로벤즈아미드
단계 (i)의 생성물 (340 mg, 1.148 mmol)과 40% 수성 메탄아민 용액 (5 mL, 64.4 mmol)을 50℃로 밀봉된 튜브 내의 에탄올 중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톨루엔 (150 mL)과 동시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겔에 흡수시켰다. 실리케이트를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4 g 컬럼, 0-50% EtOAc/이소헥산)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 210 mg)을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64
(iii) 3-아미노-2-메톡시-N-메틸-5-모폴리노벤즈아미드
에탄올 (2 mL) 중의, 단계 (ii)의 생성물 (100 mg, 0.339 mmol)과 Pd/C (36.0 mg) 현탁액을 rt에서 수소 풍선 하에 18 h 동안 교반하였다. 2회 반복하였다. 모아진 반응물 현탁액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12 g 컬럼, 0-5% MeOH/DCM)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159 mg)을 갈색 오일로 얻었다.
LCMS m/z 266 (M+H)+ (ES+)
(iv) 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N-메틸-5-모폴리노벤즈아미드
트리에틸아민 (10 μL, 0.072 mmol)을 단계 (iii)의 생성물 (70 mg, 0.264 mmol)과 페닐 (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실시예 19(i) 참조; 125 mg, 0.195 mmol) 혼합물의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3 mL)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60℃ (블록 온도)에서 18h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0 mL)로 희석하고 물 (10 mL), 포화 NaHCO3 용액 (10 mL), 포화 브라인 (10 mL)으로 세척하여, 건조(MgSO4)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제조용 HPLC (Gilson, 산성(0.1% 포름산), Acidic, Waters X-Select Prep-C18, 5 μm, 19x50 mm 컬럼, 30-70 MeCN/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61 mg)을 갈색 유리질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65
실시예 33
5-(tert-부틸)-N-사이클로프로필-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166
(i) 메틸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조에이트
트리에틸아민 (45 μL, 0.323 mmol)을 메틸 3-아미노-5-(tert-부틸)-2-메톡시벤조에이트 (370 mg, 1.561 mmol)와 페닐 (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상기 실시예 19(i) 참조; 1000 mg, 1.561 mmol) 혼합물의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12 mL)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60℃ (블록 온도)에서 1h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고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40 g 컬럼, 1-3% MeOH/DCM)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 (1.02 g)을 흰색 폼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67
(ii)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조산
THF(40 mL)와 물 (10 mL) 중의 교반된 단계 (i)의 생성물(1.02 g, 1.301 mmol) 용액에 NaOH (2M aq.) (3.90 mL, 7.81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3h 동안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MeOH (10 mL)를 첨가하여 주말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연한 자주색 고체를 얻었다. 물질을 물에 현탁하고 1M HCl로 산성화하여 고체를 침전시켰다. 고체를 여과에 의해 모으고, 물로 세척한 다음, 고체를 40℃에서 진공 하에 건조하여 부제 화합물 (877 mg)을 베이지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68
(iii) 5-(tert-부틸)-N-사이클로프로필-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교반된, 단계 (ii)의 생성물(70 mg, 0.091 mmol), 사이클로프로판아민 (13.0 μL, 0.188 mmol) 및 트리에틸아민 (38.0 μL, 0.273 mmol) 혼합물의 DCM (4 mL) 용액을 빙냉조에서 냉각하였다. 50 wt% T3P의 EtOAc (80 μL, 0.134 mmol)을 첨가하고, 빙냉조를 옮긴 후, 반응 혼합물을 rt로 가온하고 이 온도에서 2h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sat. aq. NaHCO3 (10 mL)와 DCM (1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수성상을 다시 새로운 DCM (10 mL)으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 추출물을 물(20 mL), 브라인 (2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12 g 컬럼, 1-4% MeOH/DCM)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51 mg)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69
실시예 34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 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170
(i) 페닐 (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 (37 μL, 0.295 mmol)를 교반된, 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N-(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피리딘-2-아민(상기 실시예 19(i) 참조; 150 mg, 0.289 mmol)과 NaHCO3 (50 mg, 0.595 mmol)의 THF (1.5 mL) 및 DCM (5 mL)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주말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 (5 mL)과 DCM (5 mL)으로 희석하여 혼합물을 상분리 카트리지에 통과시켰다. 얻어진 여과액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생성물을 핑크색 검으로 얻었다. 물질을 헥산 중에서 1h 동안 격렬하게 교반한 다음, 진공에서 농축하여 부제 화합물 (183 mg)을 핑크색 고체로 얻었다.
LCMS m/z 640 (M+H)+ (ES+)
(ii)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트리에틸아민 (7 μL, 0.050 mmol)을 3-아미노-5-(tert-부틸)-2-메톡시벤즈아미드 (51 mg, 0.229 mmol) 및 단계 (i)의 생성물(183 mg, 0.229 mmol) 혼합물의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3 mL)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60℃ (블록 온도)에서 1h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고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40 g 컬럼, 1-5% MeOH/DCM)로 정제하여 생성물을 핑크색 폼으로 얻었다. 물질을 MeOH에 용해하여 SCX 수지의 사전 조건화된 카트리지에 적재하였다. 수지를 MeOH로 세척한 다음, 생성물을 1% NH3의 MeOH 용액으로 유리하였다. 암모니아 용액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추가로 prep-HPLC (Varian, XS Basic, 40-80% MeCN, 10 min)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4 mg)을 베이지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71
실시예 35
5-(tert-부틸)-N-(2-하이드록시에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172
교반된,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조산(상기 실시예 21 참조; 70 mg, 0.091 mmol), 2-아미노에탄올 (11 μL, 0.182 mmol) 및 트리에틸아민 (38.0 μL, 0.273 mmol) 혼합물의 DCM (4 mL) 용액을 빙냉조에서 냉각하고. 50 wt% T3P의 EtOAc (80 μL, 0.134 mmol) 용액을 첨가하고, 빙냉조를 제거하고 반응 혼합물을 rt로 가온하여 이 온도에서 2 h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 당량의 2-아미노에탄올을 첨가하고 밤새 교반을 계속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sat. aq. NaHCO3 (10 mL)와 DCM (1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수성상을 다시 새로운 DCM (10 mL)으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 추출물을 물(20 mL), 브라인 (2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12 g 컬럼, 1-5% MeOH/DCM)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6 mg)을 연한 핑크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73
실시예 36
N-(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메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174
(i) 1-메톡시-3-(2-(2-메톡시에톡시)에톡시)-5-니트로벤젠
3-메톡시-5-니트로페놀 (2g, 11.82 mmol), 1-브로모-2-(2-메톡시에톡시)-에탄 (2.4 g, 13.11 mmol) 및 K2CO3 (4.90 g, 35.5 mmol) 혼합물의 아세톤 (40mL) 용액을 환류로 30h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EtOAc (200mL)과 물 (100mL) 사이에서 분배하고, 유기층을 분리하여 브라인 (100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120 g 컬럼, 0-40%EtOAc/이소헥산)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 (2.762 g)을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75
(ii) 3-메톡시-5-(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아닐린
EtOH (30mL) 중의 단계 (i)의 생성물(2.75 g, 10.14 mmol), 5% Pd-C (500 mg) 혼합물을 4 Bar에서 18h 동안 수소화하였다. 혼합물을 Celite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서 부제 화합물 (2.294 g)을 갈색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76
(iii) N-(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메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
N-(5-(tert-부틸)-3-(3-(4-((2-클로로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상기 실시예 7(i) 참조; 150 mg, 0.263 mmol), 단계 (ii)의 생성물(127 mg, 0.526 mmol) 및 p-TSA 1수화물(15 mg, 0.079 mmol) 혼합물의 THF (6 mL) 용액을 60℃에서 18h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EtOAc (50mL)와 sat aq NaHCO3(50mL) 사이에서 분배하고, 유기층을 분리하고, 브라인 (50mL)으로 세척하여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감압 하에 증발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0-50%EtOAc/이소헥산)로 정제하여 얻어진 고체를 에테르/EtOAc로 분쇄한 다음, 여과 및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83 mg)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77
실시예 37
메틸 2-(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도)-아세테이트
Figure 112015105507671-pct00178
교반된,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조산 (상기 실시예 21 참조; 60 mg, 0.078 mmol), 메틸 2-아미노아세테이트, HCl (20 mg, 0.159 mmol) 및 트리에틸아민 (35 μL, 0.251 mmol) 혼합물의 DCM (4 mL) 용액을 빙냉조에서 냉각하였다. 50 wt% T3P의 EtOAc (70 μL, 0.118 mmol) 용액을 첨가하고, 빙냉조를 제거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rt로 가온하여 이 온도에서 2 h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sat. aq. NaHCO3 (10 mL) 및 DCM (1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수성상을 다시 새로운 DCM (10 mL)으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 추출물을 물(20 mL), 브라인 (2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12 g 컬럼, 1-5% MeOH/DCM)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5 mg)을 유백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79
실시예 38
N-벤질-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180
교반된,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조산 (상기 실시예 21 참조; 60 mg, 0.078 mmol), 페닐메탄아민 (17 μL, 0.156 mmol) 및 트리에틸아민 (35 μL, 0.251 mmol) 혼합물의 DCM (4 mL) 용액을 빙냉조에서 냉각하였다. 50 wt% T3P의 EtOAc (70 μL, 0.118 mmol) 용액을 첨가하고, 빙냉조를 제거하고 반응 혼합물을 rt로 가온하여 이 온도에서 2 h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sat. aq. NaHCO3 (10 mL)와 DCM (10 mL)에서 분배하였다. 수성상을 다시 새로운 DCM(10 mL)으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 추출물을 물(20 mL), 브라인 (2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12 g 컬럼, 1-5% MeOH/DCM)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8 mg)을 유백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81
실시예 39
5-(tert-부틸)-3-(3-(4-((2-((3-에티닐-5-((2-모폴리노에틸)카바모일)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N-메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182
(i) tert-부틸 (4-((2-((3-((2-모폴리노에틸)카바모일)-5-((트리이소프로필실릴)에티닐)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Pd2(dba)3 (0.125 g, 0.137 mmol)를 탈기된, tert-부틸 (4-((2-클로로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상기 실시예 3(ii) 참조; 1 g, 2.70 mmol), 3-아미노-N-(2-모폴리노에틸)-5-((트리이소프로필실릴)에티닐)벤즈아미드 (상기 실시예 1(ii) 참조; 1.26 g, 2.93 mmol), BINAP (0.17 g, 0.273 mmol), 및 Cs2CO3 (2.7 g, 8.29 mmol)의 1,4-디옥산 (12mL) 현탁액에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질소 하에 90℃ (블록 온도)에서 18h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물 (20mL)과 EtOAc (20mL)에서 분배하였다. 수성층을 분리하고 다시 EtOAc (20mL)로 세척하였다. 유기물을 벌크화하여,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증발시켜서 갈색 검을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80 g 컬럼, 2% MeOH:DCM 내지 8%)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1.8 g)을 갈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83
(ii) 3-((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N-(2-모폴리노에틸)-5-((트리이소프로필실릴)에티닐)벤즈아미드
단계 (i)의 생성물(1.8 g, 2.356 mmol)을 DCM (20 mL)에 용해하고 TFA (2 mL, 26.0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rt에서 16h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DCM (20 mL)과 sat. NaHCO3 soln (2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수성층을 분리하고 새로운 DCM (2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물을 분리하여 벌크화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증발시켜서 부제 화합물(1.3 g)을 갈색 폼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84
(iii) 5-(tert-부틸)-2-메톡시-N-메틸-3-(3-(4-((2-((3-((2-모폴리노에틸)카바모일)-5-((트리이소프로필실릴)에티닐)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트리에틸아민 (10 μL, 0.072 mmol)을 페닐 (5-(tert-부틸)-2-메톡시-3-(메틸카바모일)페닐)카바메이트 (상기 실시예 9(i) 참조; 64 mg, 0.180 mmol) 및 단계 (ii)의 생성물(120 mg, 0.181 mmol)의 THF (2 mL)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물을 50℃에서 24h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4% MeOH:DCM to 10%)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 (120 mg)을 연한 핑크색 고체로 얻었다.
LCMS m/z 927 (M+H)+ (ES+)
(iv) 5-(tert-부틸)-3-(3-(4-((2-((3-에티닐-5-((2-모폴리노에틸)카바모일)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N-메틸벤즈아미드
단계 (iii)의 생성물(120 mg, 0.130 mmol)을 THF (3 mL)에 용해하고 TBAF, 1M / THF (150 μL, 0.150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h 동안 교반한 다음, 물 (10 mL)과 DCM (10 mL)에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20%w/w NaCl soln. (1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물을 분리하여,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시켜서 갈색 고체를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4% MeOH:DCM 내지 10%)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60 mg)을 무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85
실시예 40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N-(2,5,8,11,14,17,20-헵타옥사도코산-22-일)-5-메톡시-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186
(i) tert-부틸 (4-((2-((3-(2,5,8,11,14,17,20-헵타옥사도코산-22-일카바모일)-5-메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교반된, 3-((4-((4-((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메톡시벤조산 (상기 실시예 6(i) 참조; 800 mg, 1.592 mmol), 2,5,8,11,14,17,20-헵타옥사도코산-22-아민 (513 mg, 1.512 mmol) 및 트리에틸아민 (666 μL, 4.78 mmol)혼합물의 DCM (60 mL) 용액을 빙냉조에서 냉각하였다. 50 wt% T3P의 EtOAc (1422 μL, 2.388 mmol) 용액을 첨가하고, 빙냉조를 제거하고 반응 혼합물을 rt로 가온하여 이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sat. aq. NaHCO3 (100 mL)와 DCM (10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수성상을 다시 새로운 DCM (50 mL)으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 추출물을 물(50 mL), 브라인 (5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80 g 컬럼, 2-5% MeOH/DCM)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 (1.01 g)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87
(ii) 3-((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N-(2,5,8, 11,14,17,20-헵타옥사도코산-22-일)-5-메톡시벤즈아미드
TFA (1.0 mL, 12.98 mmol)를 교반된, 단계 (i)의 생성물(1.01 g, 1.226 mmol)의 DCM (50 mL) 용액에 rt에서 첨가한 다음, 밤새 교반하였다. 추가 TFA (5 mL)를 첨가하고 4h 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한 다음, 잔류물을 DCM과 NaHCO3 수용액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유기상을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부제 화합물 (816 mg)을 연한 노란색 검으로 얻었다.
LCMS m/z 363 (M+2H)2+ (ES+)
(iii)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N-(2,5,8,11,14,17,20-헵타옥사도코산-22-일)-5-메톡시벤즈아미드
트리에틸아민 (7.0 μL, 0.050 mmol)을 페닐 (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상기 실시예 1(vi) 참조; 100 mg, 0.255 mmol) 및 단계 (ii)의 생성물(172 mg, 0.238 mmol)의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5 mL)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50℃ (블록 온도)에서 65 h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rt로 냉각하고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12 g 컬럼, 1-5% MeOH/DCM)로 정제하여 무색 유리질을 얻었다. 물질을 DCM에 용해하고 1M HCl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131 mg)을 연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88
실시예 41
5-(tert-부틸)-N-에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189
교반된,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조산 (상기 실시예 21 참조; 60 mg, 0.078 mmol), 에탄아민(13 μL, 0.161 mmol) 및 트리에틸아민 (35 μL, 0.251 mmol) 혼합물의 DCM (4 mL) 용액을 빙냉조에서 냉각하였다. 50 wt% T3P의 EtOAc (70 μL, 0.118 mmol) 용액을 첨가하고 빙냉조를 제거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rt로 가온하여 이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sat. aq. NaHCO3 (10 mL)와 DCM (1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수성상을 다시 새로운 DCM (10 mL)으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 추출물을 물(20 mL), 브라인 (2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12 g 컬럼, 1-5% MeOH/DCM)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2 mg)을 유백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90
실시예 42
5-(tert-부틸)-N-이소프로필-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191
교반된,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 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조산 (상기 실시예 21 참조; 60 mg, 0.078 mmol), 프로판-2-아민 (14 μL, 0.163 mmol) 및 트리에틸아민 (35 μL, 0.251 mmol) 혼합물의 DCM (4 mL) 용액을 빙냉조에서 냉각하였다. 50 wt% T3P의 EtOAc (70 μL, 0.118 mmol) 용액을 첨가하고 빙냉조를 제거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rt로 가온하여 이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sat. aq. NaHCO3 (10 mL)와 DCM (1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수성상을 다시 새로운 DCM (10 mL)으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 추출물을 물(20 mL), 브라인 (2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12 g 컬럼, 1-5% MeOH/DCM)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1 mg)을 유백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92
실시예 43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N-(2-메톡시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193
교반된,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조산(상기 실시예 21 참조; 60 mg, 0.078 mmol), 2-메톡시에탄아민(14 μL, 0.161 mmol) 및 트리에틸아민(33 μL, 0.237 mmol) 혼합물의 DCM (4 mL) 용액을 빙냉조에서 냉각하였다. 50 wt% T3P의 EtOAc(70 μL, 0.118 mmol) 용액을 첨가하고 빙냉조를 제거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rt로 가온하여 이 온도에서 2h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sat. aq. NaHCO3 (10 mL) 및 DCM (1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수성상을 다시 새로운 DCM (10 mL)으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 추출물을 물(20 mL), 브라인 (2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12 g 컬럼, 1-5% MeOH/DCM)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3 mg)을 유백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94
실시예 44
2-(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도)아세트산
Figure 112015105507671-pct00195
THF (3 mL)와 물(0.5 mL) 중의 메틸 2-(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도)아세테이트 (상기 실시예 37 참조; 29 mg, 0.034 mmol)의 교반된 용액에 NaOH(2M aq.)(100 μL, 0.200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4h 동안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THF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연한 자주색 용액을 얻었다. 용액을 1M HCl로 산성화하여 고체를 침전하였다. 이 고체를 DCM/EtOAc의 3:1 믹스에 용해하고 유기상을 상분리 카트리지에 통과시켜서 건조하였다. 유기상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23 mg)을 연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96
실시예 45
N-(3-(3-(4-((2-((3-(2,5,8,11,14,17,20-헵타옥사도코산-22-일옥시)-5-메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5-(tert-부틸)-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197
(i) 22-클로로-2,5,8,11,14,17,20-헵타옥사도코산
SOCl2 (900 μL, 12.33 mmol)를 5분에 걸쳐서 2,5,8,11,14,17,20-헵타옥사도코산-22-올(3.2 g, 9.40 mmol) 및 피리딘(760 μL, 9.40 mmol)의 CHCl3 (20 mL) 용액에 rt에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환류 하에 3h 동안 가열하고, 냉각하여 감압 하에 증발하였다. 잔류물을 EtOAc (200 mL)와 물 (100 mL) 사이에서 분배하고, 유기층을 sat. aq NaHCO3 (100 mL)로 세척하여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서 부제 화합물 (1.616 g)을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98
(ii) 22-(3-메톡시-5-니트로페녹시)-2,5,8,11,14,17,20-헵타옥사도코산
3-메톡시-5-니트로페놀 (0.830 g, 4.90 mmol), 단계 (i)의 생성물(1.6 g, 4.46 mmol), KI (0.370 g, 2.229 mmol) 및 K2CO3 (1.3 g, 9.41 mmol) 혼합물의 MeCN (20 mL) 용액을 60℃에서 30h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EtOAc (150 mL)와 물 (100 mL) 사이에서 분배하여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MgSO4)하여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80 g 컬럼, 0-5% MeOH/DCM)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1.958 g)을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199
(iii) 3-(2,5,8,11,14,17,20-헵타옥사도코산-22-일옥시)-5-메톡시아닐린
단계 (ii)의 생성물(1.95 g, 3.97 mmol) 및 10% Pd/C (300mg) 혼합물의 EtOH (30 mL) 용액을 수소 풍선 하에서 5h 동안 수소화한 다음, Celite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서 부제 화합물(1.51 g)을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00
(iv) tert-부틸 (4-((2-((3-(2,5,8,11,14,17,20-헵타옥사도코산-22-일옥시)-5-메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N2를 단계 (iii)의 생성물(1.5 g, 3.25 mmol), tert-부틸 (4-((2-클로로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상기 실시예 3(ii) 참조; 900 mg, 2.427 mmol), BINAP (0.079 g, 0.126 mmol), Pd2(dba)3 (0.058 g, 0.063 mmol) 및 Cs2CO3 (1.2 g, 3.68 mmol) 혼합물의 디옥산 (20 mL) 용액에 5min 동안 폭기시킨 다음, 혼합물을 100℃에서 20h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냉각하고, EtOAc (150mL)와 물 (100 mL) 사이에서 분배한 다음, 유기층을 브라인 (10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120 g 컬럼, 0-5%MeOH/DCM)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 (785 mg, 50% 순도)을 오일로 얻었다.
LCMS m/z 796 (M+H)+ (ES+); 794 (M-H)- (ES-)
(v) N-(3-(2,5,8,11,14,17,20-헵타옥사도코산-22-일옥시)-5-메톡시페닐)-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아민
TFA (1 mL, 12.98 mmol)를 단계 (iv)의 생성물(780 mg, 0.490 mmol)의 DCM (10mL)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rt에서 6h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DCM (80mL)과 aq NaHCO3 (50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브라인 (50mL)으로 세척하여, 건조(MgSO4) 및 여과한 후,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80g 컬럼, 0-5% MeOH/DCM)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 (252 mg)을 갈색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01
(vi) N-(3-(3-(4-((2-((3-(2,5,8,11,14,17,20-헵타옥사도코산-22-일옥시)-5-메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5-(tert-부틸)-2-메톡시페닐) 메탄설폰아미드
페닐 (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상기 실시예 1(vi) 참조; 176 mg, 0.448 mmol), 단계 (v)의 생성물(240 mg, 0.345 mmol) 및 Et3N (20 μL, 0.143 mmol) 혼합물의 iPrOAc(3mL) 용액을 60℃에서 4h 동안 가열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및 잔류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0-5% MeOH/DCM)로 정제한 다음, 제조용 HPLC (Gilson, 산성(0.1% 포름산), 20-80% MeCN/물)로 정제하여 얻어진 검을 MeOH 중의 SCX 컬럼에 적재하였다. 컬럼을 MeOH로 세척한 다음, 생성물을 0.7 M 암모니아의 MeOH 용액으로 용출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적색 검을 얻고, 이것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12 g 컬럼, 0-20% MeCN/EtOA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53 mg)을 핑크색 폼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02
실시예 46
5-(tert-부틸)-N-(2-(디메틸아미노)에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203
교반된,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조산 (상기 실시예 21 참조; 60 mg, 0.078 mmol), N1,N1-디메틸에탄-1,2-디아민 (17.03 μL, 0.156 mmol) 및 트리에틸아민 (32.6 μL, 0.234 mmol) 혼합물의 DCM (4 mL) 용액을 빙냉조에서 냉각하였다. 50 wt% T3P의 EtOAc(69.6 μL, 0.117 mmol)를 첨가하고, 빙냉조를 제거하고 반응 혼합물을 rt로 가온하여 이 온도에서 2 h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sat. aq. NaHCO3 (10 mL)와 DCM (10 mL)에서 분배하였다. 수성상을 다시 새로운 DCM (10 mL)으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 추출물을 물(20 mL), 브라인 (2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12 g 컬럼, 5-10% MeOH/DCM)로 정제하여 생성물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제조용 HPLC(Gilson, 염기성(0.1% 중탄산암모늄), Basic, Waters X-Bridge Prep-C18, 5 μm, 19x50 mm 컬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2 mg)을 연한 갈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04
실시예 47
3-((4-((4-(3-(5-(tert-부틸)-3-카바모일-2-메톡시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205
(i) 페닐 (4-((2-((3-메톡시-5-((2-모폴리노에틸)카바모일)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교반된, 3-((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상기 실시예 27(iii) 참조; 372 mg, 0.703 mmol)와 NaHCO3 (117 mg, 1.398 mmol) 혼합물의 DCM (1.4 mL)과 THF (0.6 mL) 용액에 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 (93 μL, 0.734 mmol)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과 DCM (10 mL) 사이에서 분배한 다음, 상분리 카트리지를 통과시켰다. 여과액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연한 베이지 폼을 디에틸에테르와 이소헥산의 혼합물로 분쇄하고 여과 및 건조하여 부제 화합물 (272 mg, 77% 순도)을 모래 색깔의 고체로 얻었다.
LCMS m/z 634 (M+H)+ (ES+)
(ii) 3-((4-((4-(3-(5-(tert-부틸)-3-카바모일-2-메톡시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트리에틸아민 (23 μL, 0.165 mmol)을 3-아미노-5-(tert-부틸)-2-메톡시벤즈아미드 (75 mg, 0.334 mmol) 및 단계 (i)의 생성물(275 mg, 0.334 mmol) 혼합물의 i-PrOAc (4.5 mL) 용액에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60 ℃에서 1 h 동안 가열하였다. DMF (2 mL)를 첨가하고 60 ℃에서 밤새 교반을 계속하였다. 반응물을 냉각한 다음, 물 (20 mL)과 EtOAc (2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유기상을 물(2 x 20 mL), 브라인 (2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갈색 잔류물을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0-10% (1% NH3/MeOH) / DCM)로 정제하여 유리질을 얻었고, 이를 디에틸에테르로 분쇄하고 여과 및 건조하여 유백색 고체를 얻었다.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12 g 컬럼, 0-10% MeOH/DCM)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9 mg)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06
실시예 48
3-((4-((4-(3-(5-(tert-부틸)-3-카바모일-2-메톡시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207
(i) 페닐 (5-(tert-부틸)-3-카바모일-2-메톡시페닐)카바메이트
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300 μL, 2.391 mmol)를 교반된, 3-아미노-5-(tert-부틸)-2-메톡시벤즈아미드 (390 mg, 1.755 mmol)와 NaHCO3 (450 mg, 5.36 mmol)의 THF (10 mL) 및 DCM (10 mL)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h 동안 교반한 다음, 여과하고 용매를 여과액으로부터 증발시켜서 연한 갈색 오일을 얻고, 이 오일을 사이클로헥산(20 mL) 중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건조하여 부제 화합물 (500 mg)을 갈색 결정질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08
(ii) 3-((4-((4-(3-(5-(tert-부틸)-3-카바모일-2-메톡시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N-(2-모폴리노에틸)-5-((트리이소프로필실릴)에티닐)벤즈아미드
TEA (10 μL, 0.072 mmol)를 3-((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N-(2-모폴리노에틸)-5-((트리이소프로필실릴)에티닐)벤즈아미드 (상기 실시예 39(ii) 참조; 260 mg, 0.392 mmol) 및 단계 (i)의 생성물(150 mg, 0.438 mmol)의 THF (2 mL)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16h 동안 교반하였다. 65℃까지 승온하여 추가로 24h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5% MeOH:DCM 내지 8%)로 정제하여 갈색 유리질을 얻었다. 이 물질을 MeCN (8 mL) 중에서 65℃로 1h 동안 교반하고 냉각하여 여과하고 MeCN (2 mL)으로 세척하여 무색 고체인 부제 화합물 (168 mg)을 얻었다.
LCMS m/z 913 (M+H)+ (ES+)
(iii) 3-((4-((4-(3-(5-(tert-부틸)-3-카바모일-2-메톡시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단계 (ii)의 생성물(168 mg, 0.184 mmol)을 THF (2 mL)에 용해하고 TBAF, 1M / THF (250 μL, 0.250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2h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디에틸에테르(8 mL)에서 72h 동안 교반하였다.얻어진 침전을 여과하고 디에틸에테르 (3 mL)로 세척하여 무색의 고체를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제조용 HPLC (Varian, 염기성(0.1% 중탄산암모늄), Basic, Waters X-Bridge Prep-C18, 5 μm, 19x50 mm 컬럼, 40% - 80% MeCN/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75 mg)을 무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09
실시예 49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210
TEA (10 μL, 0.072 mmol)를 3-((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N-(2-모폴리노에틸)-5-((트리이소프로필실릴)에티닐)벤즈아미드 (상기 실시예 39(ii) 참조; 120 mg, 0.181 mmol) 및 페닐 (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상기 실시예 1(vi) 참조; 75 mg, 0.191 mmol)의 iPrOAc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16h 동안 교반한 다음, 65℃까지 승온하여 추가로 24h 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2% MeOH:DCM 내지 8%)로 정제하여 얻어진 베이지색 유리질(143 mg)을 THF (2mL)에 용해하고 TBAF, 1M / THF (200 μL, 0.200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2h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디에틸에테르(8mL) 중에서 72h 동안 교반하였다. 얻어진 침전을 여과하고 디에틸에테르(3mL)로 세척하여 무색 고체를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제조용 HPLC (Varian, 염기성(l.1% 중탄산암모늄), Basic, Waters X-Bridge Prep-C18, 5 μm, 19x50 mm 컬럼, 40%-80% MeCN / 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5 mg)을 무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11
실시예 50
N-(5-(tert-부틸)-3-(3-(4-((2-((3-(사이클로프로판카보닐)-5-메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212
(i) (3-아미노-5-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메타논
사이클로프로필마그네슘 브로마이드(1M / 2-Me THF, 20 mL, 20.00 mmol)를 3-아미노-5-메톡시벤조니트릴(1g, 6.75 mmol)과 구리(I) 브로마이드(20 mg, 0.139 mmol) 혼합물의 THF (10mL) 용액에 rt에서 N2 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h 동안 rt에서 교반한 다음, 환류 하에 2h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냉각하고 aq. 1M HCl(20mL)을 첨가하여 1h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OAc (100mL)와 aq NaHCO3 (50mL) 사이에서 분배하고, 유기층을 분리하여, 건조(MgSO4) 및 여과한 후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0-40%EtOAc/이소헥산)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 (71 mg)을 오렌지색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13
(ii) N-(5-(tert-부틸)-3-(3-(4-((2-((3-(사이클로프로판카보닐)-5-메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N-(5-(tert-부틸)-3-(3-(4-((2-클로로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상기 실시예 7(i) 참조; 194 mg, 0.340 mmol), 단계 (i)의 생성물(65 mg, 0.340 mmol) 및 p-TSA 1수화물(20 mg, 0.105 mmol) 혼합물의 THF(3mL) 용액을 60℃에서 20h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EtOAc (50mL)와 sat aq NaHCO3 (50mL) 사이에서 분배하고, 유기층을 분리하여 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0-5%MeOH/DCM)로 정제하고 생성물을 MeCN으로 분쇄하여 고체(110mg)를 얻었다. 고체를 제조용 HPLC (Varian, 염기성(0.1% 중탄산암모늄), Basic, Waters X-Bridge Prep-C18, 5 μm, 19x50 mm 컬럼, 50-95% MeCN / 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5 mg) 고체를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14
실시예 51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N-(옥세탄-3-일)-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215
교반된,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조산 (상기 실시예 21 참조; 60 mg, 0.078 mmol), 옥세탄-3-아민 (10.85 μL, 0.156 mmol) 및 트리에틸아민 (35 μL, 0.251 mmol) 혼합물의 DCM (4 mL) 용액을 빙냉조에서 냉각하였다. 50 wt% T3P의 EtOAc (70 μL, 0.118 mmol) 용액을 첨가하고, 빙냉조를 제거한 후, 반응 혼합물을 rt로 가온하여 및 2h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sat. aq. NaHCO3 (10 mL)와 DCM (1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수성상을 다시 새로운 DCM (10 mL)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 추출물을 물(20 mL), 브라인 (2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12 g 컬럼, 1-5% MeOH/DCM)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8 mg)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16
실시예 52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2-(2-메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217
(i) 3-아미노-5-((트리이소프로필실릴)에티닐)벤조산
Pd(PPh3)4 (9.36 g, 8.10 mmol)를 탈기된, 3-아미노-5-브로모벤조산 (50 g, 231 mmol), CuI (1.499 g, 7.87 mmol), 및 에티닐트리이소프로필실란 (80 mL, 356 mmol)의 Et3N (300 mL) 및 DMF (300 mL)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90℃에서 2h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냉각하여 빙냉한 HCl(2.0M aq.) (1100 mL, 2200 mmol)에 주의 깊게 따르고 디에틸에테르 (500 mL)로 희석하였다. 2상(biphasic) 혼합물을 여과하여 팔라듐 잔류물을 제거하였다. 여과액의 층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추가 분량의 디에틸에테르 (30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하고 20% 브라인 (2 x 300 mL), 40% 브라인 (300 mL)으로 세척한 다음,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연한 오렌지색 고체를 얻었다. 고체를 아세토니트릴(250 mL)에서 재결정하여 여과에 의해 모으고, 새로운 아세토니트릴(2 x 30 mL)로 세척하여 생성물을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고체를 헥산(250 mL)에서 5h 동안 슬러리화한 다음 여과하고 추가 헥산으로 세척하여 부제 화합물 (45.5 g)을 연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18
(ii) 3-((4-((4-((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트리이소프로필실릴)에티닐)벤조산
tert-부틸 (4-((2-클로로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상기 실시예 3(ii) 참조; 0.5 g, 1.348 mmol), 단계 (i)의 생성물(0.490 g, 1.544 mmol), Cs2CO3 (0.966 g, 2.97 mmol), BINAP (0.078 g, 0.125 mmol) 및 Pd2dba3 (0.056 g, 0.061 mmol) 혼합물의 디옥산 (15mL) 용액을 N2로 10min 동안 폭기한 다음, 90℃에서 4h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에테르(100mL)와 1M HCl (50mL) 사이에서 분배하고, 유기층을 분리하고, 물로 세척한 다음,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감압 하에 증발하였다. 잔류물을 에테르/이소헥산으로 분쇄하고, 여과 및 건조하여 미정제 부제 화합물(760mg)을 얻었다.
(iii) 3-((4-((4-((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벤조산
1.0 M TBAF의 THF (2.5 mL, 2.500 mmol) 용액을 교반된, 단계 (ii)의 미정제 생성물(760 mg)의 THF (15mL)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h 동안 교반한 다음, 물(10mL)을 첨가하고 1M HCl을 사용하여 pH ~4로 산성화하였다. 혼합물을 EtOAc (70mL)와 물 (40mL) 사이에서 분배하고, 유기상을 sat 브라인 (50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0-100% EtOAc/이소헥산)로 정제하여 폼으로 부제 화합물(344 mg)을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19
(iv) tert-부틸 (4-((2-((3-에티닐-5-((2-(2-메톡시에톡시)에틸)카바모일)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HATU (422 mg, 1.110 mmol)를 교반된, 단계 (iii)의 생성물(500 mg, 1.009 mmol), 2-(2-메톡시에톡시)에탄아민 (180 mg, 1.514 mmol) 및 휘니히 염기(529 μL, 3.03 mmol)의 DMF (10mL) 용액에 rt에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h 동안 교반한 다음, EtOAc (100mL)와 aq sat NaHCO3 soln (50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50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20-100% EtOAc/이소헥산)로 정제하여 폼으로 부제 화합물 (530 mg)을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20
(v) 3-((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2-(2-메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TFA (1 mL, 12.98 mmol)를 첨가하고 교반된, 단계 (iv)의 생성물(520 mg, 0.871 mmol)의 DCM (10 mL)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rt에서 16 h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DCM (20mL)과 sat. NaHCO3 soln (20mL) 사이에서 분배하였고, 수층을 분리하여 DCM (20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물을 벌크화하고, 건조 및 여과하고 증발시켜서 표제 화합물(430 mg)을 갈색 유리질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21
(vi)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2-(2-메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Et3N(10 μL, 0.072 mmol)을 페닐 (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상기 실시예 1(vi) 참조; 100 mg, 0.252 mmol) 및 단계 (v)의 생성물(100 mg, 0.201 mmol)의 iPrOAc (3mL) 용액에 60℃ (블록 온도)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16h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1% MeOH:DCM 내지 6%)로 정제하여 120mg의 갈색 유리질을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제조용 HPLC (Varian, 염기성(0.1% 중탄산암모늄), Basic, Waters X-Bridge Prep-C18, 5 μm, 19x50 mm 컬럼, 35-70% MeCN/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65 mg)을 무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22
실시예 53
3-((4-((4-(3-(5-(tert-부틸)-3-카바모일-2-메톡시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223
(i) tert-부틸 (4-((2-((3-에티닐-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카바모일)-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HATU (500 mg, 1.315 mmol)를 교반된, 3-((4-((4-((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벤조산 (상기 실시예 52(iii) 참조; 500 mg, 1.009 mmol), 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탄아민 (277 mg, 1.695 mmol) 및 트리에틸아민 (250 μL, 1.796 mmo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rt에서 18 h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OAc (50 mL)로 희석하고 물(50 mL), 20% 브라인(3 x 50 mL) 및 포화 브라인 (5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EtOAc)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580 mg)을 갈색 폼으로 얻었다.
LCMS m/z 641 (M+H)+ (ES+); 639 (M-H)- (ES-)
(ii) 3-((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TFA (1 mL, 12.98 mmol)를 단계 (i) 생성물(580 mg, 0.905 mmol)의 DCM (5 mL) 용액에 rt에서 첨가하여 밤새 교반하였다.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DCM (20 mL)에 재용해하였다. 유기상을 포화 NaHCO3 용액 (2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하여 감압 하에 농축하여 부제 화합물(475 mg)을 얻었다.
LCMS m/z 541 (M+H)+ (ES+); 539 (M-H)- (ES-)
(iii) 3-((4-((4-(3-(5-(tert-부틸)-3-카바모일-2-메톡시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교반된, 페닐 (5-(tert-부틸)-3-카바모일-2-메톡시페닐)카바메이트 (상기 실시예 48(i) 참조; 127 mg, 0.366 mmol) 및 단계 (ii)의 생성물(200 mg, 0.366 mmol) 혼합물의 i-PrOAc (6 mL) 용액에 Et3N (11 μL, 0.07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 ℃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0-5% MeOH/DCM)로 정제하여 얻어진 폼을 디에틸에테르로 분쇄하고, 여과 및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187 mg)을 연한 베이지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24
실시예 54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225
교반된, 페닐 (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상기 실시예 1(vi) 참조; 144 mg, 0.363 mmol) 및 3-((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상기 실시예 53(ii) 참조; 198 mg, 0.363 mmol)의 i-PrOAc (6 mL) 용액에 Et3N (11 μL, 0.07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 ℃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0-5% MeOH/DCM)로 정제하여 오렌지색 폼을 ~85% 순도로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제조용 HPLC (Varian, 염기성(0.1% 중탄산암모늄), Basic, Waters X-Bridge Prep-C18, 5 μm, 19x50 mm 컬럼, 35-70% MeCN/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89 mg)을 유백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26
실시예 55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젠설폰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227
(i) 5-(tert-부틸)-2-메톡시-3-니트로벤젠설폰아미드
빙냉한, 5-(tert-부틸)-2-메톡시-3-니트로벤젠-1-설포닐 클로라이드 (1.5 g, 4.87 mmol)의 아세톤 (8 mL) 용액에 NH4OH (20 mL, 502 mmol)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rt에서 1 h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 (50 mL)로 희석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과량의 암모니아와 아세톤을 제거하였다. 수성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모아서 부제 화합물 (990 mg)을 유백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28
(ii) 3-아미노-5-(tert-부틸)-2-메톡시벤젠설폰아미드
5%의 탄소상 백금을 단계 (i) 생성물(440 mg, 1.526 mmol)의 에탄올(8 mL)과 에틸 아세테이트(2 mL) 용액에 첨가하여 수소 풍선 하에 rt에서 2 h 동안 교반하였다. 2회 반복하였다. 모아진 반응물을 여과하여 촉매를 회수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12 g 컬럼, Et2O)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 (870 mg)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29
(iii)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젠설폰아미드
단계 (ii)의 생성물(65.0 mg, 0.251 mmol), 페닐 (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 카바메이트 (상기 실시예 19(i) 참조; 100 mg, 0.156 mmol) 및 Et3N (5.00 μL, 0.036 mmol)의 iPrOAc 용액을 50℃(블록 온도)로 밤새 가열하였다. 63℃로 승온하고 혼합물을 다시 18 h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잔류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40 g 컬럼, 50-100% EtOAc/이소헥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55 mg)을 백색 분말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30
실시예 56
(R)-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에티닐-N-(1-모폴리노프로판-2-일)-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231
(i) 3-((4-((4-((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트리이소프로필실릴)에티닐)벤조산
1,4-디옥산 (500 mL) 중의, tert-부틸 (4-((2-클로로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예를 들어, Ito, K. et al., WO 2010/067130, (2010년 6월 17일) 참조; 42.6 g, 115 mmol), 3-아미노-5-((트리이소프로필실릴)에티닐)벤조산 (상기 실시예 52(i) 참조; 40.00 g, 126 mmol), BINAP (6.42 g, 10.31 mmol) 및 세슘카보네이트 (74.6 g, 229 mmol)의 현탁액을 질소로 10분 동안 탈기하였다. Pd2(dba)3 (4.20 g, 4.58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90℃로 2.5h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디에틸에테르 (600 mL)로 희석한 다음 물(600 mL), 이어서 0.5 M HCl 용액(500 mL) 및 포화 브라인 (50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부제 화합물(96 g)을 적색 폼으로 얻어서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ii) 3-((4-((4-((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에티닐벤조산
단계 (i)의 화합물(96 g)을 THF (60 mL)에 용해하고 MeCN (400 mL)으로 희석하였다. 1.0 M TBAF의 THF (235 mL, 235 mmol)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MeCN (300 mL)과 물 (600 mL)로 희석한 다음, 1M HCl 용액(100 mL, 1eq.)을 첨가하고 계속 교반하여 핑크색 고체 침전을 얻고, 이것을 여과에 의해 모았다. 핑크색 고체를 MeCN에 80℃에서 분쇄하여, 여과에 의해 모으고 40℃에서 진공 하에 2h 동안 건조하였다. 고체를 (9:1) EtOAc/THF (400 mL)에 재현탁하여 60℃로 90분 동안 가열한 다음, rt로 냉각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현탁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모으고, EtOAc로 세척하여 부제 화합물 (47 g)을 연한 노란색/베이지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32
(iii) (R)-tert-부틸 (4-((2-((3-에티닐-5-((1-모폴리노프로판-2-일)카바모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교반된, (R)-1-모폴리노프로판-2-아민, HCl (0.364 g, 2.014 mmol), 단계 (ii)의 생성물(1.0 g, 2.014 mmol) 및 HATU (0.996 g, 2.62 mmol)의 DMF (15 mL) 용액에 휘니히 염기 (1.403 mL, 8.06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로 희석하여 베이지색 고체의 침전을 얻었다. 현탁액을 추가 20분 동안 교반한 다음, 고체를 여과에 의해 모으고 물로 세척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80 g 컬럼, 1-5% MeOH/DCM)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 (752 mg)을 연한 갈색 고체로 얻었다.
LCMS m/z 623 (M+H)+ (ES+); 312 (M+2H)2+ (ES+)
(iv) (R)-3-((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에티닐-N-(1-모폴리노프로판-2-일)벤즈아미드
교반된, 단계 (iii) 생성물(752 mg, 1.208 mmol)의 DCM (80 mL) 용액에 TFA (2000 μL, 26.0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DCM (100mL)에 다시 용해하였다. 용액을 sat. NaHCO3 용액(100mL)으로 세척하고 유기상을 건조(MgSO4) 및 여과한 후, 진공에서 농축하여 부제 화합물(667 mg)을 연한 갈색 유리질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33
(v) (R)-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에티닐-N-(1-모폴리노프로판-2-일)-벤즈아미드
교반된, 페닐 (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상기 실시예 1(vi) 참조; 90 mg, 0.227 mmol) 및 단계 (iv) 생성물(100 mg, 0.191 mmol)의 iPrOAc (3mL)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10 μL, 0.07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60℃(블록 온도)에서 18h 동안 가열하였고, 이 시간 동안 겔이 형성되었다. 반응물을 THF로 희석하여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12 g 컬럼, 3% MeOH:DCM 내지 5%)로 정제하여 오렌지색 고체를 얻었다. 고체를 iPrOAc로 분쇄하고 여과하여 모으고, 추가 iPrOAc로 세척하여 크림색 고체를 얻었다. 고체를 MeOH에 용해하고 2회 재농축하여 표제 화합물(72 mg)을 크림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34
실시예 57
(S)-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에티닐-N-(1-모폴리노프로판-2-일)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235
(i) (S)-tert-부틸 (4-((2-((3-에티닐-5-((1-모폴리노프로판-2-일)카바모일)페닐)아미노) 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교반된, (S)-1-모폴리노프로판-2-아민, HCl (0.364 g, 2.014 mmol), 3-((4-((4-((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에티닐-벤조산(실시예 56(ii) 참조; 1.0 g, 2.014 mmol) 및 HATU (0.996 g, 2.62 mmol)의 DMF (15 mL) 용액에 휘니히 염기(1.403 mL, 8.06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로 희석하여 베이지색 고체의 침전을 유발하였다. 현탁액을 추가 20분 동안 교반한 다음, 고체를 여과에 의해 모으고 물로 세척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80 g 컬럼, 1-5% MeOH/DCM)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920 mg)을 연한 갈색 고체로 얻었다.
LCMS m/z 623 (M+H)+ (ES+); 312 (M+2H)2+ (ES+)
(ii) (S)-3-((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에티닐-N-(1-모폴리노프로판-2-일)벤즈아미드
교반된, 단계 (i) 생성물 (920 mg, 1.477 mmol)의 DCM (80 mL) 용액에 TFA (2000 μL, 26.0 mmol)를 첨가하여 반응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DCM (100mL)에 재용해하였다. 용액을 sat. NaHCO3 용액 (100mL)으로 세척하여 유기상을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부제 화합물(728 mg)을 연한 갈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36
(iii) (S)-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에티닐-N-(1-모폴리노프로판-2-일)-벤즈아미드
교반된, 페닐 (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실시예 1(vi) 참조; 91 mg, 0.230 mmol)와 단계 (ii)의 생성물 (100 mg, 0.191 mmol)의 iPrOAc (3mL)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10 μL, 0.07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60℃(블록 온도)로 18h 동안 가열하였고, 이 시간 동안 겔이 형성되었다. 반응물을 THF로 희석하고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12 g 컬럼, 3% MeOH:DCM 내지 5%)로 정제하여 오렌지색 고체를 얻었다. 고체를 iPrOAc로 분쇄하여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추가량의 iPrOAc로 세척하여 크림색을 띠는 고체를 얻었다. 물질을 MeOH에 용해하고 2회 재농축하여 표제 화합물(64 mg)을 크림색 고체를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37
실시예 58
N-(5-(tert-부틸)-3-(3-(4-((2-((4-클로로-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238
(i) 5-아미노-2-클로로-3-메톡시페놀
BBr3 (1.1 mL, 11.64 mmol)를 4-클로로-3,5-디메톡시아닐린 (2.19 g, 11.67 mmol)의 DCM 용액에 rt에서 적가하였다(ppte 형성). 혼합물을 18h 동안 교반한 다음, 환류 하에 6h 동안 가열하였다. 추가 1ml의 BBr3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24h 동안 교반한 후, MeOH(10mL)로 주의 깊게 퀀칭하였다. 물 (100mL)을 첨가하고 수성층을 분리한 다음, sat aq Na2CO3를 사용하여 pH 6으로 염기화하였다. 혼합물을 DCM (2x100mL)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모아서,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에테르/이소헥산으로 분쇄하여 부제 화합물(640 mg)을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39
(ii) 4-클로로-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아닐린
5-아미노-2-클로로-3-메톡시페놀 (630 mg, 3.23 mmol), 1-브로모-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탄(907 mg, 3.99 mmol), 요오드화 나트륨(54 mg, 0.360 mmol) 및 K2CO3 (1.5 g, 10.85 mmol) 혼합물의 MeCN (20mL) 용액을 60℃에서 18h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냉각하고 및 EtOAc (150mL)와 물 (150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0-100% EtOAc/이소헥산)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860 mg)을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40
(iii) N-(5-(tert-부틸)-3-(3-(4-((2-((4-클로로-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페닐) 메탄설폰아미드
N-(5-(tert-부틸)-3-(3-(4-((2-클로로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상기 실시예 7(i) 참조; 100 mg, 0.175 mmol), 단계 (ii)의 생성물(112 mg, 0.351 mmol) 및 p-TSA 1수화물(10 mg, 0.053 mmol)의 THF/DMF(6 mL, 1:2) 현탁액을 60℃에서 24h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rt로 냉각하고 EtOAc (40 mL)와 sat. aq. NaHCO3 (3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수성층을 EtOAc (2 x 40 mL)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 추출물을 물(2 x 50 mL), 브라인 (2 x 5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한 후,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1-3% MeOH)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53 mg)을 유백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41
실시예 59
1-(5-( tert -부틸)-2- 메톡시 -3-(1,3,4- 옥사디아졸 -2-일)페닐)-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아
Figure 112015105507671-pct00242
(i) tert -부틸 2-(5-( tert -부틸)-2- 메톡시 -3- 니트로벤조일 ) 하이드라진카복실레이트
5-(tert-부틸)-2-메톡시-3-니트로벤조산 (500 mg, 1.974 mmol), tert-부틸 하이드라진카복실레이트 (313 mg, 2.369 mmol) 및 휘니히 염기 (1034 μL, 5.92 mmol)의 건조 DMF (5mL) 용액에 HATU (901 mg, 2.369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2시간 동안 rt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50 mL)에 따르고 에틸 아세테이트 (2x20 mL)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상을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40 g 컬럼, 0-50% 에틸 아세테이트:이소헥산)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 (607 mg)을 무색 오일로 얻었으며, 이것은 정치시 노란색으로 변색되고, 서서히 결정화하기 시작하였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43
(ii) 5-( tert -부틸)-2- 메톡시 -3- 니트로벤조하이드라지드
단계 (i) 생성물(607 mg, 1.487 mmol)의 DCM (15 mL) 용액에 TFA (5728 μL, 74.3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1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사전조건화된 SCX 수지의 카트리지에 적재하였다. 수지를 MeOH로 세척하고 생성물을 1% NH3의 MeOH 용액으로 유리하여 부제 화합물 (302 mg)을 노란색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44
(iii) 2-(5-( tert -부틸)-2- 메톡시 -3- 니트로페닐 )-1,3,4- 옥사디아졸
단계 (ii)의 생성물(302 mg, 1.130 mmol)을 트리에틸 오르토포르메이트 (8.0 mL, 48.1 mmol)에 용해하여 p-TSA 1수화물(21.49 mg, 0.113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면서 130℃로 가열한 다음, rt로 냉각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12 g 컬럼, 1-3% MeOH/DCM)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 (350 mg, 90% 순도)을 노란색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45
(iv) 5-( tert -부틸)-2- 메톡시 -3-(1,3,4- 옥사디아졸 -2- )아닐린
단계 (iii)의 생성물(350 mg, 1.136 mmol)을 에탄올(7 mL)에 용해하여 Fe 분말 (630 mg, 11.28 mmol), 이어서 물 (3.5 mL) 중의 NH4Cl (600 mg, 11.22 mmol) 용액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80℃에서 2 h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rt로 냉각하고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진공에서 농축한 다음, 물 (50 mL)과 EtOAc (5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수성상을 EtOAc (25 mL)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 추출물을 브라인 (3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한 후,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1-5% MeOH/DCM)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 (160 mg)을 무색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46
(v) 1-(5-(tert-부틸)-2-메톡시-3-(1,3,4-옥사디아졸-2-일)페닐)-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아
트리에틸아민 (8 μL, 0.057 mmol)을 단계 (iv)의 생성물(80 mg, 0.259 mmol)과 페닐 (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상기 실시예 19(i) 참조; 166 mg, 0.259 mmol) 혼합물의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3 mL)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60℃(블록 온도)에서 5h 동안 가열하였고, 이 시간 동안 반응물이 혼탁해졌다. 혼합물을 THF로 희석하고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40 g 컬럼, 1-5% MeOH/DCM)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64 mg)을 연한 핑크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47
실시예 60
(S)-5-( tert -부틸)-3-(3-(4-((2-((3- 에티닐 -5-((1- 모폴리노프로판 -2-일) 카바모일 )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N-메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248
교반된, 페닐 (5-(tert-부틸)-2-메톡시-3-(메틸카바모일)페닐)-카바메이트 (상기 실시예 9(i) 참조; 123 mg, 0.344 mmol)와 (S)-3-((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에티닐-N-(1-모폴리노프로판-2-일)벤즈아미드 (상기 실시예 57(ii) 참조; 150 mg, 0.287 mmol)의 iPrOAc (3mL) 용액에 트리에틸아민(15 μL, 0.108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60℃(블록 온도)로 24h 동안 가열한 다음,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0-10%EtOH/EtOAc)로 정제하고 EtOAc/에테르로 분쇄하여 얻어진 고체를 제조용 HPLC (Gilson, 산성 (0.1% 포름산), Waters X-Select Prep-C18, 5 μm, 19x50 mm 컬럼, 20-95% MeCN/물)로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증발시키고, EtOAc (50mL)와 sat aq NaHCO3 용액(20mL) 사이에서 분배하여 유기층을 물(20mL)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한 후, 감압 하에 증발하였다. 고체를 에테르로 분쇄하고 여과하여 고체를 얻었고, 이를 MeCN/DCM에 용해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켜서 표제 화합물(41 mg)을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49
실시예 61
(R)-5-( tert -부틸)-3-(3-(4-((2-((3- 에티닐 -5-((1- 모폴리노프로판 -2-일) 카바 모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N-메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250
교반된, 페닐 (5-(tert-부틸)-2-메톡시-3-(메틸카바모일)페닐)-카바메이트 (상기 실시예 9(i) 참조; 123 mg, 0.344 mmol)와 (R)-3-((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에티닐-N-(1-모폴리노프로판-2-일)벤즈아미드 (상기 실시예 56(iv) 참조; 150 mg, 0.287 mmol)의 iPrOAc(3mL)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15 μL, 0.108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60℃(블록 온도)로 24h 동안 가열한 다음,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0-10%EtOH/EtOAc)로 정제하고 EtOAc/에테르로 분쇄하여 얻어진 고체를 제조용 HPLC (Gilson, 산성 (0.1% 포름산), Waters X-Select Prep-C18, 5 μm, 19x50 mm 컬럼, 20-95% MeCN/물)로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증발시키고, EtOAc (50mL)와 sat aq NaHCO3 soln (20mL) 사이에서 분배하여 유기층을 물(20mL)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한 후, 감압 하에 증발하였다. 고체를 에테르로 분쇄하고 여과하여 고체를 얻었고, 이를 MeCN/DCM에 용해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켜서 표제 화합물(47 mg)을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51
실시예 62
3-((4-((4-(3-(3-( tert -부틸)-5- 카바모일페닐 ) 우레이도 )나프탈렌-1-일) 옥시 )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252
(i) 페닐 (3-( tert -부틸)-5- 카바모일페닐 ) 카바메이트
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99 μL, 0.779 mmol)를 교반된, 3-아미노-5-(tert-부틸)벤즈아미드 (128 mg, 0.599 mmol)와 NaHCO3 (151 mg, 1.798 mmol)의 THF (3 mL) 및 DCM (3 mL)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 (15 mL)과 DCM(15 mL)으로 희석하고 상분리 카트리지에 통과시켰다. 유기층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부제 화합물 (209 mg)을 끈적한 오일로 얻었다.
LCMS m/z 313 (M+H)+ (ES+), 75% 순도
(ii) 3-((4-((4-(3-(3-(tert-부틸)-5-카바모일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교반된, 단계 (i)의 생성물(204 mg, 0.490 mmol) 및 3-((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상기 실시예 53(ii) 참조; 188 mg, 0.344 mmol)의 i-PrOAc(5 mL) 용액에 Et3N (25 μL, 0.179 mmol)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6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갈색 오일을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0-6% MeOH/EtOAc)로 정제하여 유리질을 얻고, 이를 디에틸에테르/이소헥산 믹스로 분쇄하여 고체(137 mg)를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제조용 HPLC (Gilson, 염기성(0.1% 중탄산암모늄), Basic, Waters X-Bridge Prep-C18, 5 μm, 19x50 mm 컬럼, 35-70% MeCN/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98 mg)을 무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53
실시예 63
1-(5-( tert -부틸)-2-옥소-2,3- 디하이드로벤조[d]옥사졸 -7-일)-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아
Figure 112015105507671-pct00254
(i) 2-아미노-4-( tert -부틸)-6-니트로페놀
10% Pd-C (J&M 타입 39 50%w/w H2O, 1 g)를 4-(tert-부틸)-2,6-디니트로페놀 (1 g, 4.16 mmol)과 암모늄 포르메이트 (1.5 g, 23.79 mmol)의 MeCN (10mL)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환류 하에 90분 동안 가열한 다음,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유리섬유 필터 패드로 여과하고 고체를 EtOAc (10mL)로 세척하였다. 여과액을 증발시키고 생성된 고체를 실리카 (10g)에 의해 여과하고 DCM으로 용출하여 부제 화합물 (300 mg)을 진한 적색 결정질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55
(ii) 5-( tert -부틸)-7- 니트로벤조[d]옥사졸 -2(3H)-온
피리딘(200 μL, 2.473 mmol)을 4-니트로페닐 카보노클로리데이트 (200 mg, 0.992 mmol)와 단계 (i) 생성물(210 mg, 0.999 mmol)의 DCM (10mL)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2h 동안 교반한 다음, DCM (10mL)과 sat. NaHCO3 soln (20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유기물을 분리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한 다음, 용매를 증발하여 갈색 고체를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10% EtOAc:이소헥산 내지 60%)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 (150 mg)을 무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56
(iii) 7-아미노-5- (tert-부틸)벤조[d]옥사졸 -2(3H)-온
10% Pd-C (J&M 타입 39 50%w/w H2O, 50 mg)를 단계 (ii)의 생성물(150 mg, 0.635 mmol)과 사이클로헥센(4 mL, 39.5 mmol)의 EtOH (10mL)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환류로 3h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로 냉각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Whatmans 유리섬유 GF/A)하고 용매를 증발시켜서 갈색 검을 얻고 다음 단계에서 미정제로 사용하였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57
(iv) 1-(5-(tert-부틸)-2-옥소-2,3-디하이드로벤조[d]옥사졸-7-일)-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아
TEA (20 μL, 0.143 mmol)를 페닐 (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상기 실시예 19(i) 참조; 250 mg, 0.390 mmol)와 단계 (iii) 생성물(90 mg, 0.436 mmol)의 THF (3mL)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물을 60℃(블록 온도)에서 16h 동안 가열한 다음, rt에서 48h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및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50% EtOAc:이소헥산 내지 100%)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00 mg)을 무색 유리질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58
실시예 64
1-(5-( tert -부틸)-2- 메틸벤조[d]옥사졸 -7-일)-3-(4-((2-((3- 메톡시 -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아
Figure 112015105507671-pct00259
(i) 5-( tert -부틸)-2- 메틸 -7- 니트로벤조[d]옥사졸
2-아미노-4-(tert-부틸)-6-니트로페놀 (200 mg, 0.951 mmol)을 트리에틸 오르토아세테이트(5 mL, 27.3 mmol)에 용해하고, 반응 혼합물을 100℃(블록 온도)에서 16h 동안 가열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및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12 g 컬럼, 10% EtOAc:이소헥산 내지 40%)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 (150 mg)을 왁스성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60
(ii) 5-( tert -부틸)-2- 메틸벤조[d]옥사졸 -7- 아민
5% Pd-C (J&M 타입 87L 50% 페이스트 / H2O, 30 mg)를 단계 (i) 생성물(150 mg, 0.640 mmol)의 에탄올 (3mL)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물을 수소 하에 16h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Celite에 의해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시켜서 부제 화합물 (125 mg)을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61
(iii) 1-(5-(tert-부틸)-2-메틸벤조[d]옥사졸-7-일)-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아
TEA (20 μL, 0.143 mmol)를 페닐 (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상기 실시예 19(i) 참조; 350 mg, 0.546 mmol)와 단계 (ii) 생성물(125 mg, 0.612 mmol)의 THF (3mL)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물을 60℃(블록 온도)에서 16h 동안 가열한 다음, rt에서 48h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50% EtOAc:이소헥산 내지 100%)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00 mg)을 연한 노란색 유리질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62
실시예 65
3-((4-((4-(3-(3-( tert -부틸)-5-( 메틸설폰아미도 )페닐) 우레이도 )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263
(i) 페닐 (3-( tert -부틸)-5-( 메틸설폰아미도 )페닐) 카바메이트
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45 μL, 0.359 mmol)를 교반된, N-(3-아미노-5-(tert-부틸)페닐)메탄설폰아미드(80 mg, 0.330 mmol)와 NaHCO3 (70 mg, 0.833 mmol)의 THF (1mL) 및 DCM (1mL)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h 동안 교반한 다음 여과하고, 여과액을 증발하여 갈색 검을 얻고, 이것을 사이클로헥산 중에서 16h 동안 교반하였다. 액체를 따라내고 부제 화합물(63 mg)을 얻었다.
LCMS m/z 363(M+H)+ (ES+); 361 (M-H)- (ES-)
(ii) 3-((4-((4-(3-(3-(tert-부틸)-5-(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N-(2-모폴리노에틸)-5-((트리이소프로필실릴)에티닐)벤즈아미드
Et3N(10 μL, 0.072 mmol)을 단계 (i)의 생성물(63 mg, 0.174 mmol) 및 3-((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N-(2-모폴리노-에틸)-5-((트리이소프로필실릴)에티닐)벤즈아미드(상기 실시예 39(ii) 참조; 100 mg, 0.151 mmol)의 iPrOAc (1mL) 용액에 60℃(블록 온도)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16h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12 g 컬럼, 2% MeOH:DCM 내지 8%)로 정제하여 갈색 검을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제조용 HPLC (Gilson, 염기성(0.1% 중탄산암모늄), Basic, Waters X-Bridge Prep-C18, 5 μm, 19x50 mm 컬럼, 50-95% MeCN/물)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80 mg)을 무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64
(iii) 3-((4-((4-(3-(3-( tert -부틸)-5-( 메틸설폰아미도 )페닐) 우레이도 )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단계 (ii)의 생성물(80 mg, 0.086 mmol)을 THF (2mL)에 용해하고, TBAF, 1M /THF (100 μL, 0.100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16h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하고 미정제 생성물을 제조용 HPLC (Gilson, 염기성(0.1% 중탄산암모늄), Basic, Waters X-Bridge Prep-C18, 5 μm, 19x50 mm 컬럼, 35-75% MeCN / 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2 mg)을 무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65
실시예 66
3-((4-((4-(3-(5-( tert -부틸)-2- 메톡시 -3-( 메틸설폰아미도 )페닐) 우레이도 )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3-모폴리노프로필)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266
(i) 3-((4-((4-(( tert - 부톡시카보닐 )아미노)나프탈렌-1-일) 옥시 )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벤조산
100 mL 플라스크에, 디옥산(45 mL) 중의 tert-부틸 (4-((2-클로로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상기 실시예 3(ii) 참조; 2.2673g, 6.11 mmol), 3-아미노-5-메톡시벤조산(1.226 g, 7.34 mmol), Cs2CO3(5.98 g, 18.34 mmol), 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탈렌(0.358 g, 0.575 mmol) 및 Pd2(dba)3 (0.258 g, 0.281 mmol) 현탁액을 N2 폭기에 의해 10분 동안 탈기하였다. 생성된 갈색 현탁액을 90 ℃에서 15h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EtOAc (400mL)와 aq 1M HCl (200mL) 사이에서 분배하고, 유기층을 10% 브라인 용액 (2x240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220 g 컬럼, 0.5-5% MeOH/DCM)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 (1.19 g)을 유백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67
(ii) tert -부틸 (4-((2-((3- 메톡시 -5-((3- 모폴리노프로필 ) 카바모일 )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20 mL 바이알에서 단계 (i)의 생성물(84 mg, 0.151 mmol), 3-모폴리노프로판-1-아민 (32.6 mg, 0.226 mmol) 및 휘니히 염기(79 μL, 0.452 mmol)의 DMF (2.9 mL) 용액을 HATU (63.0 mg, 0.166 mmol)로 처리하였다. 생성된 노란색 용액을 rt에서 3 h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용액을 10% aq 브라인 (50mL)과 EtOAc (50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sat aq NaHCO3 용액(20 mL), 0.5M HCl (20 mL)로 세척하였다. 산성 수성상을 NaHCO3 용액(100 mL)으로 염기화하고, EtOAc (3x 100 mL)로 추출하여, 유기상을 10% aq. 브라인 (50mL)으로 세척하고, 건조(Na2SO4) 및 여과하고, 감압 하에 증발하여 부제 화합물 (69 mg, 80% 순도)을 핑크색 고체로 얻었다.
LCMS m/z 314 (M+2H)2+ (ES+)
(iii) 3-((4-((4-아미노나프탈렌-1-일) 옥시 )피리딘-2-일)아미노)-5- 메톡시 -N-(3-모폴리노프로필)벤즈아미드
20 mL 바이알에서, 단계 (ii) 생성물(68 mg, 0.108 mmol)의 DCM (1 mL) 용액을 TFA (334 μL, 4.33 mmol)를 적가하여 처리하였다. 생성된 갈색 용액을 rt에서 3 h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톨루엔 (200 mL)으로 희석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갈색 고체를 얻고, 이것을 EtOAc (100 mL)에 용해하였다. EtOAc상을 포화 NaHCO3 용액(3 x 20 mL), 물 (3 x 20 mL) 및 브라인 (1 x 20 mL)으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키고 부제 화합물 (47 mg)을 갈색 폼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68
(iv)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3-모폴리노프로필)벤즈아미드
20 mL 바이알에서, 페닐 (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상기 실시예 1(vi) 참조; 35.9 mg, 0.091 mmol), 단계 (iii) 생성물(42 mg, 0.080 mmol)의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1.5 mL) 용액을 트리에틸아민 (4.6 μL, 0.033 mmol)으로 처리하였다. 생성된 갈색 용액을 50℃에서 17 h 동안 가열한 다음, 증발시켜서 진공으로 건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12 g 컬럼, 1-10% MeOH / 1% MeOH / DCM)로 정제하여 미정제 물질을 얻고, 이것을 제조용 HPLC (Gilson, 산성(0.1% 포름산), Acidic, Waters X-Select Prep-C18, 5 μm, 19x50 mm 컬럼, 25-70% MeCN / 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9 mg)을 투명 흰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69
실시예 67
(S)-3-((4-((4-(3-(5-( tert -부틸)-2- 메톡시 -3-( 메틸설폰아미도 )페닐) 우레이도 )-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1-(2-(2-메톡시에톡시)에톡시)-프로판-2-일)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270
(i) (S)- N,N - 디벤질 -1-(2-(2- 메톡시에톡시 ) 에톡시 )프로판-2- 아민
NaH (0.188 g, 4.70 mmol)를 교반된, (S)-2-(디벤질아미노)프로판-1-올(1 g, 3.92 mmol)의 DMF (10mL) 용액에 0-5℃에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min 동안 교반한 다음, 1-브로모-2-(2-메톡시에톡시)에탄(0.860 g, 4.70 mmol)의 DMF (2mL)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rt로 가온하였다. 테트라부틸암모늄 아이오다이드(0.579 g, 1.566 mmol)를 첨가하여 4h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량의 NaH (0.188 g, 4.70 mmol), 이어서 1-브로모-2-(2-메톡시에톡시)에탄(0.5 g)을 첨가하고 18h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20mL)로 퀀칭하여 EtOAc(80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20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 증발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0-20%EtOAc/이소헥산)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 (695 mg)을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71
(ii) (S)-1-(2-(2- 메톡시에톡시 ) 에톡시 ) 프로판 -2- 아민
단계 (i)의 생성물(685 mg, 1.916 mmol)과 10% Pd/C (120 mg, JM 타입 39) 혼합물의 EtOH (15mL) 용액을 수소 풍선 하에 20h 동안 수소화하였다. 혼합물을 Celite로 여과하고, EtOH(50mL)로 세척하였다. 여과액을 증발시키고 미정제 생성물을 MeOH 중의 SCX 컬럼에 적재하였다. 컬럼을 MeOH로 세척한 다음, 생성물을 0.7 M 암모니아의 MeOH 용액으로 용출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부제 화합물 (305 mg)을 무색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72
(iii) (S)- tert -부틸 (4-((2-((3- 에티닐 -5-((1-(2-(2- 메톡시에톡시 ) 에톡시 )프로판-2-일)카바모일)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HATU (422 mg, 1.110 mmol)를 교반된, 3-((4-((4-((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벤조산 (상기 실시예 52(iii) 참조; 500 mg, 1.009 mmol), 단계 (ii)의 생성물(268 mg, 1.514 mmol) 및 휘니히 염기 (530 μL, 3.03 mmol)의 DMF (10mL) 용액에 rt에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h 동안 교반한 다음, EtOAc (150mL)와 물 (100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sat aq NaHCO3 용액(100mL), 물 (100mL)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감압 하에 증발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0-100% EtOAc/이소헥산)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536 mg)을 폼으로 얻었다.
LCMS m/z 655 (M+H)+ (ES+)
(iv) (S)-3-((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1-(2-(2-메톡시에톡시)에톡시)프로판-2-일)벤즈아미드
TFA (625 μL, 8.11 mmol)를 교반된, 단계 (iii) 생성물(531 mg, 0.811 mmol)의 DCM(5 mL) 용액에 첨가하고 rt에서 18 h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에 재용해하여 포화 NaHCO3 용액(5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감압 하에 갈색 폼인 부제 화합물(455 mg)로 농축하였다.
LCMS m/z 555 (M+H)+ (ES+); 599 (M+HCO2)- (ES-)
(v) (S)-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 -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1-(2-(2-메톡시에톡시)에톡시)-프로판-2-일) 벤즈아미드
교반된, 단계 (iv)의 생성물(160 mg, 0.288 mmol), 페닐 (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상기 실시예 1(vi) 참조; 130 mg, 0.331 mmol) 및 Et3N (20 μL, 0.143 mmol)의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5 mL) 용액을 50℃(블록 온도)로 주말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잔류물을 제조용 HPLC (Gilson, 산성(0.1% 포름산), Acidic, Waters X-Select Prep-C18, 5 μm, 19x50 mm 컬럼, 20-95% MeCN/물)로 정제하였다. 분획들을 농축하여 아세토니트릴을 제거하고 NaHCO3(150 mL)로 염기화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포화 브라인(10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핑크색 폼을 얻었다. 폼을 디에틸에테르(20 mL)로 분쇄하여 표제 화합물(107 mg)을 핑크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73
실시예 68
(R)-3-((4-((4-(3-(5-( tert -부틸)-2- 메톡시 -3-( 메틸설폰아미도 )페닐) 우레이도 )-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1-(2-(2-메톡시에톡시)에톡시)-프로판-2-일)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274
표제 화합물을 상기한 실시예 67의 방법으로 제조하여 생성물(112 mg)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75
실시예 69
N-(5-( tert -부틸)-2- 에톡시 -3-(3-(4-((2-((3- 메톡시 -5-(2-(2-(2- 메톡시에톡시 )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276
TEA (10 μL, 0.072 mmol)를 페닐 (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상기 실시예 19(i) 참조; 170 mg, 0.265 mmol) 및 N-(3-아미노-5-(tert-부틸)-2-에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예를 들어, Wagner, H. et al., WO 2010/026095, (2010년 3월 11일) 참조; 80 mg, 0.279 mmol)의 THF (3mL)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물을 60℃ (블록 온도)에서 16h 동안 가열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및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50% EtOAc:이소헥산 내지 100%)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83 mg)을 무색 유리질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77
실시예 70
1-(5-(tert-부틸)-2-메톡시-3-(1H-1,2,3-트리아졸-5-일)페닐)-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아
Figure 112015105507671-pct00278
(i) ((5-( tert -부틸)-2- 메톡시 -3- 니트로페닐 ) 에티닐 ) 트리메틸실란
교반된, 1-브로모-5-(tert-부틸)-2-메톡시-3-니트로벤젠 (500 mg, 1.735 mmol)과 트리에틸아민 (1200 μL, 8.61 mmol)의 디옥산 (7 mL) 용액에 에티닐트리메틸실란(720 μL, 5.21 mmol), PdCl2(PPh3)2 (180 mg, 0.256 mmol) 및 요오드화구리(I)(100 mg, 0.52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60℃ (블록 온도)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rt로 냉각하고 Et2O (20mL)로 희석하였다. 혼합물을 Celite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0.1M HCl (20 mL), 이어서 NaHCO3 용액(2 x 20 mL) 및 브라인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갈색 반-고체를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20% DCM / 헥산)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 (466 mg)을 노란색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79
(ii) 5-(tert-부틸)-1-에티닐-2-메톡시-3-니트로벤젠
단계 (i)의 생성물(400 mg, 1.310 mmol)과 탄산칼륨 (800 mg, 5.79 mmol) 혼합물의 MeOH (15mL)와 물 (6mL) 용액을 rt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OAc (100mL)와 물 (100mL)로 희석하였다. 수성상을 추가 EtOAc (2 x 50mL)로 추출하였다. 브라인 (20mL)을 수성상에 첨가하고 한번 더 EtOAc (50 mL)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상을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진한 노란색/오렌지색 오일을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12 g 컬럼, 0-10% EtOAc / 헥산)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290 mg)을 연한 노란색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80
(iii) 5-(5-( tert -부틸)-2- 메톡시 -3- 니트로페닐 )-1H-1,2,3- 트리아졸
교반된, 단계 (ii) 생성물(290 mg, 1.243 mmol)의 9:1 DMF/MeOH (3 mL) 용액에 요오드화구리(I) (12 mg, 0.063 mmol) 및 아지도트리메틸실란 (250 μL, 1.884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00℃로 가열하고 7h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rt로 냉각하고 EtOAc (50 mL)로 희석하였다. 유기상을 물(50 mL) 및 브라인 (2 x 30 mL)으로 세척한 다음,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12 g 컬럼, 10-30% EtOAc/헥산)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 (156 mg)을 연한 노란색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81
(iv) 5-(tert-부틸)-2-메톡시-3-(1H-1,2,3-트리아졸-5-일)아닐린
단계 (iii)의 생성물(156 mg, 0.565 mmol)을 에탄올 (5 mL)에 용해하고, Fe 분말 (315 mg, 5.65 mmol)을 첨가한 다음, NH4Cl (300 mg, 5.61 mmol)과 물 (2 m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80℃에서 2 h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rt로 냉각하여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진공에서 농축한 다음, 물(50 mL)과 EtOAc (5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수성상을 EtOAc (25 mL)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 추출물을 브라인 (3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12 g 컬럼, 1-10% MeOH/DCM)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 (8 mg)을 무색 오일로 얻었다.
LCMS m/z 247 (M+H)+ (ES+)
(v) 1-(5-(tert-부틸)-2-메톡시-3-(1H-1,2,3-트리아졸-5-일)페닐)-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아
트리에틸아민(1μL, 7.17 μmol)을 단계 (iv)의 생성물(8 mg, 0.032 mmol)과 페닐 (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상기 실시예 19(i) 참조; 21 mg, 0.033 mmol) 혼합물의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1.5 mL)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60℃ (블록 온도)에서 5h 동안 가열하였고, 이 시간 동안 반응물이 혼탁화되었다. 반응물을 6일 동안 정치하였고, 이 시간 동안 현탁액이 형성되었다. 고체를 여과에 의해 모으고, 추가 iPrOAc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21 mg)을 연한 핑크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82
실시예 71
N-(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1,1,1-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283
(i) N-(5-( tert -부틸)-2- 메톡시 -3- 니트로페닐 )-1,1,1-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아미드
교반된, 5-(tert-부틸)-2-메톡시-3-니트로아닐린 (100 mg, 0.441 mmol)의 클로로포름(2.5 mL) 용액에 0-5 ℃에서, 트리에틸아민 (80 μL, 0.574 mmol), 이어서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무수물(75 μL, 0.444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환류로 2h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sat. aq. NaHCO3 용액(10 mL)으로 퀀칭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층을 다시 DCM (2 x 10 mL)으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 추출물을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갈색 오일을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12 g 컬럼, 1-10% MeOH/DCM)로 정제하여 진한 노란색 오일(70mg)을 얻었다.
LCMS m/z 355 (M-H)- (ES-)
(ii) N-(3-아미노-5-( tert -부틸)-2- 메톡시페닐 )-1,1,1-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아미드
단계 (i)의 생성물(70 mg, 0.196 mmol)을 에탄올 (3 mL)에 용해하고, Fe 분말 (110 mg, 1.965 mmol)을 첨가한 다음, NH4Cl(105 mg, 1.965 mmol)과 물(1 m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80℃에서 2 h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rt로 냉각하여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진공에서 농축한 다음, 물(10 mL)과 EtOAc (1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수성상을 EtOAc (10 mL)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 추출물을 브라인(15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12 g 컬럼, 1-5% MeOH/DCM)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55 mg)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LCMS m/z 327 (M+H)+ (ES+); 325 (M-H)- (ES-)
(iii) N-(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1,1,1-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아미드
트리에틸아민(5 μL, 0.036 mmol)을 단계 (ii)의 생성물(55 mg, 0.169 mmol)과 페닐 (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상기 실시예 19(i) 참조; 108 mg, 0.169 mmol) 혼합물의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3 mL)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60℃ (블록 온도)에서 5h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rt로 냉각하였고,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12 g 컬럼, 1-5% MeOH/DCM)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12 mg)을 연한 핑크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84
실시예 72
N-(5-( tert -부틸)-2- 메톡시 -3-(3-(4-((2-((3- 메톡시 -5-(2-(2-(2- 메톡시에톡 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사이클로헥산-설폰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285
(i) N-(3-아미노-5-( tert -부틸)-2- 메톡시페닐 ) 사이클로헥산설폰아미드
교반된, 5-(tert-부틸)-2-메톡시벤젠-1,3-디아민 (100 mg, 0.515 mmol)의 DCM (3 mL) 용액에 0-5 ℃에서 피리딘(290 μL, 3.59 mmol), 이어서 사이클로헥산설포닐 클로라이드(90 μL, 0.618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rt로 가온하고 7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톨루엔 (2 x 10 mL)과 공비혼합하였다. 잔류물을 DCM과 MeOH 혼합물에 용해하여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12 g 컬럼, 5-40% EtOAc/헥산)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 (69 mg, 90% 순도)을 끈적한 핑크색 검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86
(ii) N-(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사이클로헥산설폰아미드
트리에틸아민(5 μL, 0.036 mmol)을 단계 (i)의 생성물(69 mg, 0.182 mmol)과 페닐 (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상기 실시예 19(i) 참조; 120 mg, 0.187 mmol) 혼합물의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3 mL)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60℃ (블록 온도)에서 4h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rt로 냉각하였고,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12 g 컬럼, 1-4% MeOH/DCM)로 정제하여 생성물을 연한 핑크색 고체로 얻었다. 물질을 DCM(10 mL)에 용해하여 1M HCl 용액(1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소수성 프리트(frit)로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88 mg)을 연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87
실시예 73
N-(5-( tert -부틸)-2- 메톡시 -3-(3-(4-((2-((3- 메톡시 -5-(2-(2-(2- 메톡시에톡 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피페리딘-1-설폰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288
(i) N-(3-아미노-5-( tert -부틸)-2- 메톡시페닐 )피페리딘-1- 설폰아미드
교반된, 5-(tert-부틸)-2-메톡시벤젠-1,3-디아민 (150 mg, 0.772 mmol)의 DCM (4 mL) 용액에 0-5 ℃에서 피리딘(440 μL, 5.44 mmol), 이어서 피페리딘-1-설포닐 클로라이드(108 μL, 0.772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rt로 가온하고 6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톨루엔 (2 x 10 mL)과 공비혼합하였다. 잔류물을 DCM과 MeOH 혼합물에 용해하여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1-2% MeOH/DCM, 225 nm에서 검출)로 정제하여 노란색 고체를 얻었다. 물질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12 g 컬럼, 1-5% THF/DCM, 225 nm에서 검출)로 다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 (135 mg)을 연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LCMS m/z 342 (M+H)+ (ES+); 340 (M-H)- (ES-)
(ii) N-(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피페리딘-1-설폰아미드
트리에틸아민(5 μL, 0.036 mmol)을 단계 (i)의 생성물(60 mg, 0.176 mmol)과 페닐 (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상기 실시예 19(i) 참조; 115 mg, 0.179 mmol) 혼합물의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3 mL)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60℃ (블록 온도)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rt로 냉각하였고,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12 g 컬럼, 1-4% MeOH/DCM)로 정제하여 고체를 얻었다. 물질을 DCM(10 mL)에 용해하여 1M HCl 용액(1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소수성 프리트(frit)로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121 mg)을 연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89
실시예 74
N-(5-( tert -부틸)-2- 메톡시 -3-(3-(4-((2-((3- 메톡시 -5-(2-(2-(2- 메톡시에톡 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디메틸아미노-설폰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290
(i) N-(3-아미노-5-( tert -부틸)-2- 메톡시페닐 )디메틸아미노- 설폰아미드
교반된, 5-(tert-부틸)-2-메톡시벤젠-1,3-디아민 (200 mg, 1.029 mmol)의 DCM (4 mL) 용액에 0-5 ℃에서 피리딘(580 μL, 7.17 mmol), 이어서 디메틸설파모일 클로라이드(110 μL, 1.024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rt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톨루엔 (2 x 10 mL)과 공비혼합하였다. 잔류물을 DCM과 MeOH 혼합물에 용해하여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1-2% MeOH/DCM, 225 nm에서 검출)로 정제하여 노란색 고체를 얻었다. 물질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12 g 컬럼, 1-5% THF/DCM, 225 nm에서 검출)로 다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164 mg)을 연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LCMS m/z 302 (M+H)+ (ES+); 300 (M-H)- (ES-)
(ii) N-(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디메틸아미노-설폰아미드
트리에틸아민(5 μL, 0.036 mmol)을 단계 (i)의 생성물(55 mg, 0.182 mmol)과 페닐 (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상기 실시예 19(i) 참조; 117 mg, 0.182 mmol) 혼합물의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3 mL)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60℃ (블록 온도)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rt로 냉각하였고,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12 g 컬럼, 1-4% MeOH/DCM)로 정제하여 무색 고체를 얻었다. 물질을 DCM(10 mL)에 용해하여 1M HCl 용액(1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소수성 프리트로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104 mg)을 연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91
실시예 75
5-( tert -부틸)-2- 메톡시 -N-( 옥세탄 -3-일)-3-(3-(4-((2-( 페닐아미노 )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292
( i) tert -부틸 (4-((2-( 페닐아미노 )피리딘-4-일) 옥시 )나프탈렌-1-일) 카바메이트
아닐린 (1.1 g, 11.81 mmol), tert-부틸 (4-((2-클로로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상기 실시예 3(ii) 참조; 4 g, 10.79 mmol), 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탈렌 (0.441 g, 0.709 mmol), Pd2dba3 (0.324 g, 0.354 mmol) 및 세슘카보네이트 (6.16 g, 18.90 mmol) 혼합물의 디옥산 (50 mL) 용액을 5분 동안 질소로 폭기한 다음, 혼합물을 100℃에서 3h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EtOAc(200 mL)로 희석하여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하였다. 에테르 (20 mL)를 첨가하고 흰색 고체를 여과한 후, 에테르(5 mL)로 세척하고 건조하여 생성물 (3.33 g)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여과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피(220g 컬럼, 0-50% EtOAc/이소헥산)로 정제하여 고체를 얻고, 이를 에테르로 분쇄하여 여과하고 건조하여 추가 생성물(608 mg)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물질을 합하여 부제 화합물 (3.938 g)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93
( ii) 4 -((4-아미노나프탈렌-1-일) 옥시 )-N- 페닐피리딘 -2- 아민
TFA (10 mL, 130 mmol)를 단계 (i)의 생성물(3.9 g, 9.12 mmol)의 DCM (50 mL) 용액에 첨가하고 rt에서 1h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물질을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DCM (75 mL)에 다시 용해하였다. 용액을 포화 NaHCO3 용액 (50 mL), 이어서 포화 브라인 (5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하였다. 여과에 의해 건조제를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연한 핑크색 고체를 얻었다. 고체를 iPrOAc (60 mL)에서 재결정하여 부제 화합물 (1.1 g)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환류 iPrOAc (60 mL)에 다시 용해하였다. 이소헥산 (60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냉각하였다. 제2 수확물을 여과에 의해 모아서 부제 화합물 (1.2 g)을 연한 핑크색 고체로 얻었다. 합해진 수율 2.3g.
Figure 112015105507671-pct00294
( iii) 메틸 5-( tert -부틸)-2- 메톡시 -3-(( 페녹시카보닐 )아미노) 벤조에이트
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 (264 μL, 2.107 mmol)를 교반된, 메틸 3-아미노-5-(tert-부틸)-2-메톡시벤조에이트 (500 mg, 2.107 mmol) 및 NaHCO3 (354 mg, 4.21 mmol) 혼합물의 DCM (20 mL) 및 THF (5 mL) 용액에 rt에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교반한 다음, DCM (20 mL)과 물(2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소수성 프리트에 의해 건조하여, 부제 화합물 (812 mg)을 연한 노란색 오일로 얻었고, 이를 정치하여 고화하였다.
LCMS m/z 358 (M+H)+ (ES+)
( iv) 메틸 5-( tert -부틸)-2- 메톡시 -3-(3-(4-((2-( 페닐아미노 )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조에이트
트리에틸아민 (48 μL, 0.344 mmol)을 단계 (iii)의 생성물(610 mg, 1.707 mmol)과 단계 (ii)의 생성물(560 mg, 1.711 mmol)의 iPrOAc (20 mL)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70℃ (블록 온도)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THF로 희석하여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40 g 컬럼, 0.5-3% MeOH/DCM)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 (688 mg)을 연한 갈색 폼으로 얻었다.
LCMS m/z 591 (M+H)+ (ES+); 589 (M-H)- (ES-)
( v) 5 -( tert -부틸)-2- 메톡시 -3-(3-(4-((2-( 페닐아미노 )피리딘-4-일) 옥시 )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조산, HCl
THF (25 mL)와 물 (5 mL) 중의, 단계 (iv) 생성물(688 mg, 1.165 mmol)의 교반된 용액에 NaOH (2M aq.) (3500 μL, 7.00 mmol)를 첨가하였다. MeOH (2 mL)를 첨가하고 48h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추가 NaOH(1 mL)를 첨가하고 주말 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갈색 검을 얻었다. 물질을 물에 현탁하고 1M HCl로 산성화하여 고체를 침전하였다. 고체를 여과에 의해 모으고, 물로 세척한 후, 고체를 40 ℃, 진공 하에 건조하여 부제 화합물 (590 mg)을 핑크색 고체로 얻었다.
LCMS m/z 577 (M+H)+ (ES+); 575 (M-H)- (ES-)
( vi) 5 -( tert -부틸)-2- 메톡시 -N-( 옥세탄 -3-일)-3-(3-(4-((2-( 페닐아미노 )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교반된, 단계 (v)의 생성물(80 mg, 0.130 mmol), 옥세탄-3-아민 (13.63 μL, 0.196 mmol) 및 Et3N (54.6 μL, 0.391 mmol) 혼합물의 DCM (4 mL) 용액을 빙냉조에서 냉각하였다. T3P (50 wt% / EtOAc) (78 μL, 0.130 mmol)를 첨가하고 빙냉조를 제거한 후, 반응 혼합물을 rt로 가온하여 밤새 교반하였다. 추가량의 아민 (10 μL), Et3N (25 μL) 및 T3P (20 μL)를 첨가하여 밤새 교반을 계속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sat. aq. NaHCO3 (10 mL)과 DCM (1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수성상을 다시 새로운 DCM (10 mL)으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 추출물을 물(20 mL), 브라인 (2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한 다음,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12 g 컬럼, 1-4% MeOH/DCM)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63 mg)을 핑크색/갈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95
실시예 76
5-( tert -부틸)-N-(2-(디메틸아미노)에틸)-2- 메톡시 -3-(3-(4-((2-((3- 메톡시 -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296
( i) 메틸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조에이트
트리에틸아민 (16.10 μL, 0.115 mmol)을 메틸 5-(tert-부틸)-2-메톡시-3-((페녹시카보닐)아미노)벤조에이트 (상기 실시예 75(iii) 참조; 206 mg, 0.577 mmol)과 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N-(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피리딘-2-아민 (상기 실시예 11(ii) 참조; 300 mg, 0.577 mmol) 혼합물의 iPrOAc (8 mL)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70℃ (블록 온도)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rt로 냉각하고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40 g 컬럼, 1-5% MeOH/DCM)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 (363 mg)을 유백색 폼으로 얻었다.
LCMS m/z 783 (M+H)+ (ES+)
(ii)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조산, HCl
THF(10 mL)와 물(2 mL) 중의, 단계 (i) 생성물(363 mg, 0.417 mmol)의 교반된 용액에 NaOH (2M aq.) (1252 μL, 2.504 mmol)를 첨가하였다. MeOH (1 mL)를 첨가하고 48h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노란색/갈색 검을 얻었다. 물질을 물에 현탁하고 1M HCl로 산성화하여 고체를 침전하였다. 고체를 여과에 의해 모으고, 물로 세척한 후, 고체를 40 ℃, 진공 하에 건조하여 부제 화합물(315 mg)을 연한 핑크색 고체로 얻었다.
LCMS m/z 769 (M+H)+ (ES+); 767 (M-H)- (ES-)
(iii) 5-(tert-부틸)-N-(2-(디메틸아미노)에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교반된, 단계 (ii)의 생성물(100 mg, 0.124 mmol), N1,N1-디메틸에탄-1,2-디아민(27 μL, 0.247 mmol) 및 Et3N (69 μL, 0.495 mmol) 혼합물의 DCM (4 mL) 용액을 빙냉조에서 냉각하였다. T3P (50 wt% / EtOAc) (89 μL, 0.149 mmol)를 첨가하고 빙냉조를 제거한 후, 반응 혼합물을 rt로 가온하여 주말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sat. aq. NaHCO3 (10 mL)와 DCM (1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수성상을 다시 새로운 DCM (10 mL)으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 추출물을 물(20 mL), 브라인 (2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한 다음,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12 g 컬럼, 1-5% MeOH/DCM)로 정제하여 연한 핑크색 폼을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제조용 HPLC (Varian, 염기성(0.1% 중탄산암모늄), Basic, Waters X-Bridge Prep-C18, 5 μm, 19x50 mm 컬럼, 25-70% MeCN/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44 mg)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97
실시예 77
5-( tert -부틸)-2- 메톡시 -3-(3-(4-((2-((3- 메톡시 -5-(2-(2-(2- 메톡시에톡시 )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N-(옥세탄-3-일)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298
교반된,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조산, HCl (상기 실시예 76(ii) 참조; 137 mg, 0.170 mmol), 옥세탄-3-아민 (24 μL, 0.345 mmol) 및 트리에틸아민 (100 μL, 0.717 mmol) 혼합물의 DCM (5 mL) 용액을 빙냉조에서 냉각하였다. 50 wt% T3P의 EtOAc (150 μL, 0.252 mmol) 용액을 첨가하고 빙냉조를 제거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rt로 가온하여 및 2h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sat. aq. NaHCO3 (10 mL)와 DCM (1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수성상을 다시 새로운 DCM(10 mL)으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 추출물을 물(20 mL), 브라인 (2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12 g 컬럼, 1-5% MeOH/ DCM)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17 mg)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299
실시예 78
5-( tert -부틸)-2- 메톡시 -N-( 옥세탄 -3-일)-3-(3-(4-((2-( 페닐아미노 )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00
( i) 메틸 5-( tert -부틸)-2- 메톡시 -3-(3-(4-((2-( 페닐아미노 )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조에이트
트리에틸아민 (25 μL, 0.179 mmol)을 메틸 5-(tert-부틸)-2-메톡시-3-((페녹시카보닐)아미노)벤조에이트 (상기 실시예 75(iii) 참조; 320 mg, 0.895 mmol) 및 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N-페닐피리미딘-2-아민 (예를 들어, Ito, K. et al., WO 2013/050756 참조, 294 mg, 0.895 mmol) 혼합물의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10 mL)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60℃ (블록 온도)에서 밤새 가열하였고, 이 시간 동안 용액으로부터 고체가 침전되었다. 고체를 여과에 의해 모으고, 추가량의 iPrOAc로 세척하여 부제 화합물 (275 mg)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LCMS m/z 592 (M+H)+ (ES+)
(ii) 5-( tert -부틸)-2- 메톡시 -3-(3-(4-((2-( 페닐아미노 )피리미딘-4-일) 옥시 )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조산
THF(10 mL)와 물(2 mL) 중의, 단계 (i) 생성물(275 mg, 0.465 mmol)의 교반된 용액에 NaOH (2M aq.) (1000 μL, 2.000 mmol)를 첨가하였다. MeOH (1 mL)를 첨가하고 밤새 교반을 계속하였다. 추가량의 NaOH (0.5 mL), 물 (0.5 mL) 및 MeOH (0.5 mL)를 첨가하고 밤새 교반을 계속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연한 핑크색 고체를 얻었다. 물질을 물에 현탁하고 1M HCl로 산성화하여 고체를 침전시켰다. 혼합물을 2분 동안 초음파처리한 다음, 고체를 여과에 의해 모으고, 물로 세척하였다. 고체를 40 ℃, 진공 하에 건조하여 부제 화합물(233 mg)을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LCMS m/z 578 (M+H)+ (ES+); 576 (M-H)- (ES-)
( iii) 5 -( tert -부틸)-2- 메톡시 -N-( 옥세탄 -3-일)-3-(3-(4-((2-( 페닐아미노 )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교반된, 단계 (ii)의 생성물(60 mg, 0.104 mmol), 옥세탄-3-아민 (11 μL, 0.158 mmol) 및 트리에틸아민 (45 μL, 0.323 mmol) 혼합물의 DCM (4 mL) 용액을 빙냉조에서 냉각하였다. 50 wt% T3P의 EtOAc (62 μL, 0.104 mmol) 용액을 첨가하고 빙냉조를 제거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rt로 가온하고 주말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sat. aq. NaHCO3 (10 mL)와 DCM (1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수성상을 다시 새로운 DCM (10 mL)으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 추출물을 물(20 mL), 브라인 (2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하여 진공에서 실리카겔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12 g 컬럼, 1-5% MeOH/DCM)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41 mg)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301
실시예 79
3-((4-((4-(3-(5-( tert -부틸)-2- 메톡시 -3-( 메틸설폰아미도 )페닐) 우레이도 )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2-(4-메틸피페라진-1-일)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02
( i) tert -부틸 (4-((2-((3- 메톡시 -5-((2-(4- 메틸피페라진 -1-일)에틸) 카바모일 )페닐)아미노) 피리딘-4-일) 옥시 )나프탈렌-1-일) 카바메이트
20 mL 바이알에서, 3-((4-((4-((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벤조산 (상기 실시예 66(i) 참조; 250 mg, 0.476 mmol), 2-(4-메틸피페라진-1-일)에탄아민 (102 mg, 0.713 mmol) 및 휘니히 염기 (249 μL, 1.427 mmol)의 DMF (9 mL) 용액을 HATU (199 mg, 0.523 mmol)로 처리하였다. 이후, 용액을 10% aq 브라인 (150 mL)과 EtOAc (15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sat aq NaHCO3 용액(60 mL), 10% aq. 브라인 (5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Na2SO4) 및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 증발하여 부제 화합물 (300 mg)을 베이지색 고체로 얻었다.
LCMS m/z 627 (M+H)+ (ES+); 625 (M-H)- (ES-)
( ii) 3 -((4-((4-아미노나프탈렌-1-일) 옥시 )피리딘-2-일)아미노)-5- 메톡시 -N-(2-(4-메틸피페라진-1-일)에틸)벤즈아미드
20 mL 바이알에서, 단계 (i) 생성물(300 mg, 0.479 mmol)의 DCM (5 mL) 용액을 적가하여 TFA (1475 μL, 19.15 mmol)로 처리하였다. 생성된 갈색 용액을 rt에서 3 h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톨루엔 (400 mL)으로 희석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갈색 고체를 얻어서 EtOAc (300 mL)에 용해하였다. EtOAc상을 포화 NaHCO3 용액 (3 x 100 mL), 물 (3 x 100 mL) 및 브라인 (1 x 100 mL)으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켜서 부제 화합물 (200 mg)을 갈색 폼으로 얻었다.
LCMS m/z 527 (M+H)+ (ES+)
(iii)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2-(4-메틸피페라진-1-일)에틸)-벤즈아미드
20 mL 바이알에서, 페닐 (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상기 실시예 1(vi) 참조; 74.5 mg, 0.190 mmol), 단계 (ii) 생성물(100 mg, 0.190 mmol)의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용액을 TEA (5.29 μL, 0.038 mmol)로 처리하였다. 생성된 갈색 현탁액을 60℃에서 18 h 동안 가열한 다음, 진공으로 증발 건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제조용 HPLC (Gilson, 산성(0.1% 포름산), Acidic, Waters X-Select Prep-C18, 5 μm, 19x50 mm 컬럼, 25-70% MeCN/물)로 정제하였다. 잔류물을 20 mL sat. NaHCO3 EtOAc (20 mL) 사이에서 분배하고, 유기상을 브라인(20 mL)으로 세척하여,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48 mg)을 유백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303
실시예 80
5-(tert-부틸)-2-메톡시-N-(옥세탄-3-일)-3-(3-(4-((2-((피리딘-2-일메틸)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04
(i) tert -부틸 (4-((2-((피리딘-2- 일메틸 )아미노)피리딘-4-일) 옥시 )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tert-부틸 (4-((2-클로로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상기 실시예 3(ii) 참조; 1.0 g, 2.70 mmol), 피리딘-2-일메탄아민 (0.350 g, 3.24 mmol), Pd2(dba)3 (0.150 g, 0.164 mmol), Cs2CO3 (1.5 g, 4.60 mmol) 및 BINAP (0.200 g, 0.321 mmol) 혼합물의 1,4-디옥산 (15 mL) 용액을 질소로 10분 동안 퍼지하였다. 이후, 혼합물을 90℃로 18 h 동안 가열한 후, DCM(50 mL)으로 희석하고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80 g 컬럼, 50-100% EtOAc/이소헥산)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 (390 mg)을 오렌지색 유리질로 얻었다.
LCMS m/z 443 (M+H)+ (ES+); 441 (M-H)- (ES-)
( ii) 4 -((4-아미노나프탈렌-1-일) 옥시 )-N-(피리딘-2- 일메틸 )피리딘-2- 아민
단계 (i)의 생성물(390 mg, 0.749 mmol)과 TFA (1.0 mL, 12.98 mmol)를 DCM (5 mL) 중에서 rt에서 1 h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톨루엔(40 mL)과 동시 증발시킨 다음, DCM (15 mL)에 재용해하였다. 용액을 포화 NaHCO3 용액 (15 mL)으로 세척한 다음, Companion (40 g 컬럼, 50-100% EtOAc/이소헥산)에 직접 적재하여 부제 화합물 (235 mg)을 갈색 폼으로 얻었다.
LCMS m/z 343 (M+H)+ (ES+); 341 (M-H)- (ES-). 90% 순도
(iii) 메틸 5-( tert -부틸)-2- 메톡시 -3-(3-(4-((2-((피리딘-2- 일메틸 )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조에이트
메틸 5-(tert-부틸)-2-메톡시-3-((페녹시카보닐)아미노)벤조에이트 (상기 실시예 75(iii) 참조; 175 mg, 0.447 mmol), 단계 (ii)의 생성물(200 mg, 0.432 mmol) 및 Et3N (20 μL, 0.143 mmol)을 70℃로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5 mL) 중에서 18h 동안 가열하였다. 휘발물질을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40 g 컬럼, 0-5% MeOH/EtOAc)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 (200 mg)을 갈색 고체로 얻었다.
LCMS m/z 606 (M+H)+ (ES+)
(iv) 5-( tert -부틸)-2- 메톡시 -3-(3-(4-((2-((피리딘-2- 일메틸 )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조산
단계 (iii)의 생성물(200mg, 0.330 mmol) 및 LiOH 1수화물(20 mg, 0.477 mmol)을 물 (1 mL), 메탄올 (0.5 mL) 및 THF (1 mL) 중에서 rt로 18 h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하고 디에틸에테르 (10 mL)로 세척하였다. 수성층을 1 M 시트르산 용액 (1 mL)으로 산성화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추출하였다. 분별 깔대기 내에 고체가 형성되었으며, 생성물로 확인되었다. 이것을 에틸 아세테이트층과 합하여 메탄올 (10 mL)을 첨가하여 충분히 용해하였다. 합해진 용액을 느슨한(loose) 실리카로 농축하여 실리케이트를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12 g 컬럼, 0-20% MeOH(1% NH3)/DCM)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130 mg)을 갈색 유리질로 얻었다.
LCMS m/z 592 (M+H)+ (ES+); 590 (M-H)- (ES-)
(v) 5-( tert -부틸)-2- 메톡시 -N-( 옥세탄 -3-일)-3-(3-(4-((2-((피리딘-2- 일메틸 )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HATU (104 mg, 0.275 mmol)를 교반된, 단계 (iv)의 생성물(130 mg, 0.220 mmol), Et3N (50 μL, 0.359 mmol) 및 옥세탄-3-아민 (50 mg, 0.684 mmol)의 DMF (3 mL)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rt에서 주말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 mL)로 희석한 다음, 물(10 mL), 20% 브라인(2 x 10 mL) 및 포화 브라인 (1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건조(MgS04) 및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갈색 폼을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12 g 컬럼, 0-5% MeOH/DCM)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14 mg)을 베이지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305
실시예 81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N-(옥세탄-3-일)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06
(i) tert -부틸 (4-((2-((3- 메톡시페닐 )아미노)피리딘-4-일) 옥시 )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Pd2(dba)3 (120 mg, 0.131 mmol)를 탈기된, tert-부틸 (4-((2-클로로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카바메이트 (상기 실시예 3(ii) 참조; 1 g, 2.70 mmol), 3-메톡시아닐린 (0.32 mL, 2.85 mmol), 잔트포스(xantphos)(150 mg, 0.259 mmol) 및 Cs2CO3 (1.4 g, 4.30 mmol)의 1,4-디옥산 (10 mL) 현탁액에 첨가하고 반응물을 질소 하, 85℃에서 4 h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CM (100 mL)으로 희석하여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1M 시트르산 용액 (10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하여 용매를 증발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20-40% EtOAc/이소헥산)로 정제하여 핑크색 폼을 얻었다. 폼을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20 mL) 중에서 밤새 교반하고, 고체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부제 화합물 (560 mg)을 핑크색 검으로 얻었다.
LCMS m/z 458 (M+H)+ (ES+)
( ii) 4 -((4-아미노나프탈렌-1-일) 옥시 )-N-(3- 메톡시페닐 )피리딘-2- 아민
TFA (1.0 mL, 12.98 mmol)를 단계 (i) 생성물(560 mg, 1.224 mmol)의 DCM (3 mL) 용액에 첨가하여 반응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sat NaHCO3 용액(10 mL)과 DCM (1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유기물을 분리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한 다음, 용매를 증발시켜서 핑크색 폼을 얻었다. 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50-100% EtOAc/이소헥산)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 (375 mg)을 자주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307
( iii) 메틸 5-( tert -부틸)-2- 메톡시 -3-(3-(4-((2-((3- 메톡시페닐 )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조에이트
메틸 5-(tert-부틸)-2-메톡시-3-((페녹시카보닐)아미노)벤조에이트 (상기 실시예 75(iii) 참조; 175 mg, 0.447 mmol), 단계 (ii)의 생성물(150 mg, 0.420 mmol) 및 Et3N (20 μL, 0.143 mmol)을 70℃로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5 mL) 중에서 18 h 동안 가열하였다. 휘발물질을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40 g 컬럼, 20-80% EtOAc/이소헥산)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 (130 mg)을 자주색 고체로 얻었다.
LCMS m/z 621 (M+H)+ (ES+), 85% 순도
(iv) 5-( tert -부틸)-2- 메톡시 -3-(3-(4-((2-((3- 메톡시페닐 )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조산
단계 (iii)의 생성물(130 mg, 0.209 mmol)과 LiOH 1수화물(12 mg, 0.286 mmol)을 물 (1 mL), 메탄올 (0.5 mL) 및 THF (1 mL) 중에서 rt로 18 h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하고 디에틸에테르 (10 mL)로 세척하였다. 수성층을 1M 시트르산 용액 (1 mL)으로 산성화하여 에틸 아세테이트(1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12 g 컬럼, 0-20%MeOH(1%NH3)/DCM)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 (90 mg)을 갈색 유리질로 얻었다.
LCMS m/z 607 (M+H)+ (ES+); 605 (M-H)- (ES-)
(v) 5-( tert -부틸)-2- 메톡시 -3-(3-(4-((2-((3- 메톡시페닐 )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N-(옥세탄-3-일)벤즈아미드
HATU (70 mg, 0.184 mmol)를 교반된, 단계 (iv)의 생성물(90 mg, 0.148 mmol), Et3N (40 μL, 0.287 mmol) 및 옥세탄-3-아민 (30 mg, 0.410 mmol)의 DMF (3 mL)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rt에서 주말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 mL)로 희석한 다음, 물(10 mL), 20% 브라인 (2 x 10 mL) 및 포화 브라인 (1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갈색 폼을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12 g 컬럼, 0-5% MeOH/DCM)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74 mg)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308
실시예 82
5-( tert -부틸)-3-(3-(2,3- 디플루오로 -4-((2-( 페닐아미노 )피리딘-4-일) 옥시 )페닐)우레이도)-2-메톡시-N-(옥세탄-3-일)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09
( i) tert -부틸 (4-((2- 클로로피리딘 -4-일) 옥시 )-2,3- 디플루오로페닐 ) 카바메이트
4-((2-클로로피리딘-4-일)옥시)-2,3-디플루오로아닐린(예를 들어, Flynn, D. L., et al., WO 2013/036232 참조, 4.33 g, 14.51 mmol) 및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3.5 g, 16.04 mmol)를 환류로 tert-부탄올(60 mL) 중에서 18 h 동안 가열하였다.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3.5 g, 16.04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추가 3일 동안 환류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00 mL)로 희석하고 물(3 x 200 mL), 이어서 포화 브라인 (20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건조(MgSO4) 및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120 g 컬럼, 10-50% EtOAc/이소헥산)로 정제한 다음, 다시 Companion (80 g 컬럼, DCM)으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 (3.11 g)을 노란색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310
(ii) tert -부틸 (2,3- 디플루오로 -4-((2-( 페닐아미노 )피리딘-4-일) 옥시 )페닐)카바메이트
BINAP (300 mg, 0.482 mmol), Pd2(dba)3 (210 mg, 0.229 mmol), 단계 (i)의 생성물(1.5 g, 4.20 mmol) 및 Cs2CO3 (2.1 g, 6.45 mmol) 혼합물의 디옥산 (25 mL) 용액을 5분 동안 탈기하였다. 아닐린(400 μL, 4.39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70℃에서 3 h, 이어서 85℃에서 8 h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DCM (150 mL)으로 희석하여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한 다음,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80 g 컬럼, 20-40% EtOAc/이소헥산)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1.2 g)을 오렌지색 폼으로 얻었다.
LCMS m/z 414 (M+H)+ (ES+); 412 (M-H)- (ES-)
(iii) 4-(4-아미노-2,3- 디플루오로페녹시 )-N- 페닐피리딘 -2- 아민 , 1.0TFA
TFA(4.0 ml, 51.9 mmol)를 단계 (ii) 생성물(1.35 g, 3.27 mmol)의 DCM (10 mL) 용액에 첨가하여 rt에서 1h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한 다음, 톨루엔 (50 mL)과 동시 증발시켰다. TFA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40 g 컬럼, 30-70% EtOAc/이소헥산)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 (1.36 g)을 갈색 고체로 얻었다.
LCMS m/z 314 (M+H)+ (ES+)
(iv) 메틸 5-( tert -부틸)-3-(3-(2,3- 디플루오로 -4-((2-( 페닐아미노 )피리딘-4-일)옥시)페닐)우레이도)-2-메톡시벤조에이트
단계 (iii)의 생성물(200 mg, 0.468 mmol)을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5 mL)에 용해하여 NaHCO3 용액 (2 x 5 mL), 이어서 포화 브라인 (5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건조(MgSO4)한 다음, 70℃로 메틸 5-(tert-부틸)-2-메톡시-3-((페녹시카보닐)아미노)벤조에이트 (상기 실시예 75(iii) 참조; 175 mg, 0.447 mmol) 및 Et3N (20 μL, 0.143 mmol)과 48 h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 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한 다음,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40 g 컬럼, 1-2% MeOH/DCM)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 (219 mg)을 연한 갈색 검으로 얻었다.
LCMS m/z 577 (M+H)+ (ES+)
(v) 5-( tert -부틸)-3-(3-(2,3- 디플루오로 -4-((2-( 페닐아미노 )피리딘-4-일) 옥시 )페닐)우레이도)-2-메톡시벤조산
단계 (iv)의 생성물(220 mg, 0.382 mmol) 및 LiOH 1수화물(10 mg, 0.238 mmol)을 물 (1 mL), 메탄올 (0.5 mL) 및 THF (1 mL) 중에서 rt로 18 h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 (15 mL)로 희석하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1M 시트르산 용액(1 mL)으로 산성화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건조(MgSO4) 및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12 g 컬럼, 0-20%MeOH(1%NH3)/DCM)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 (50 mg)을 갈색 유리질로 얻었다.
LCMS m/z 563 (M+H)+ (ES+); 561 (M-H)- (ES-)
(vi) 5-( tert -부틸)-3-(3-(2,3- 디플루오로 -4-((2-( 페닐아미노 )피리딘-4-일)옥시)페닐)우레이도)-2-메톡시-N-(옥세탄-3-일)벤즈아미드
HATU(50 mg, 0.131 mmol)를 교반된, 단계 (v)의 생성물(50 mg, 0.089 mmol), Et3N (30 μl, 0.215 mmol) 및 옥세탄-3-아민 (20 mg, 0.274 mmol)의 DMF (3 mL)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rt에서 주말 동안 교반하였다. 물 (10 mL)을 적가하고생성된 침전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였다. 고체를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 (12 g 컬럼, 0-5% MeOH/DCM)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5 mg)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311
실시예 83
다음 화합물들을 상기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1H NMR 스펙트럼에서의 화학적 이동을 기재하였으며,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400 MHz, 주위온도에서 얻어졌다.
(a) N-(4-(tert-부틸)-6-(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1,1'-비페닐]-2-일)메탄-설폰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12
Figure 112015105507671-pct00313
(b) N-(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모폴린-4-설폰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14
(c) N-(5-(tert-부틸)-3-(3-(4-((2-((3-(2-(2-(2-하이드록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5-메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15
(d)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2-(피롤리딘-1-일)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16
(e)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2-(피페리딘-1-일)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17
(f) N-(5-(tert-부틸)-2-메톡시-3-(3-(4-((2-(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모폴린-4-설폰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18
(g) N-(2-아미노에틸)-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19
실시예 84
다음 화합물들을 상기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1H NMR 스펙트럼에서의 화학적 이동을 기재하였으며,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400 MHz, 주위온도에서 얻어졌다.
(a) 3-[[4-[(2-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카바모일아미노]-5-tert-부틸-2-메톡시-N-테트라하이드로피란-4-일-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20
(b) 3-[[4-[(2-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카바모일아미노]-5-tert-부틸-2-메톡시-N-(1-메틸-4-피페리딜)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21
(c) 3-[[4-[(2-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카바모일아미노]-5-tert-부틸-2-메톡시-N-[(3R)-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22
(d) 3-[[4-[(2-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카바모일아미노]-5-tert-부틸-2-메톡시-N-[(3S)-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23
(e) 1-[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3-[4-[[2-[3-[2-[2-(2-하이드록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5-메톡시-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우레아
Figure 112015105507671-pct00324
(f) 1-[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3-[4-[[2-[3-(하이드록시메틸)-5-메톡시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우레아
Figure 112015105507671-pct00325
(g) 5-tert-부틸-3-[[4-[[2-[3-(하이드록시메틸)-5-메톡시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카바모일아미노]-2-메톡시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26
(h) 5-tert-부틸-3-[[4-[[2-[3-(하이드록시메틸)-5-메톡시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카바모일아미노]-2-메톡시-N-메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27
실시예 85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다음 화합물들은 상기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1H NMR 스펙트럼에서의 화학적 이동을 기재하였으며,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400 MHz, 주위온도에서 얻어졌다.
실시예 85(a):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메톡시-N-(2-모폴리노-2-옥소-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28
실시예 85(b): 3-[[4-[[4-[[5-tert-부틸-3-(하이드록시메틸)-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에티닐-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29
이 화합물은 이하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 i) 페닐 (5-( tert -부틸)-3-(하이드록시 메틸 )-2-메톡시페닐)카바메이트
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0.278 ml, 2.222 mmol)를 교반된, (3-아미노-5-(tert-부틸)-2-메톡시페닐)메탄올 (Kaneko, H,, et al., WO 2011/040509, 0.5 g, 2.222 mmol) 및 NaHCO3 (0.373 g, 4.44 mmol) 혼합물의 DCM (20 ml) 및 THF (2 mL) 용액에 rt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7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DCM (2 mL) 및 물 (1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수성층을 DCM (5 mL)으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층을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여 진공에서 농축하여 부제 화합물(895 mg, 74% 순도)을 얻었다.
LCMS m/z 312 (M+H-H2O)+ (ES+)
(ii) 3-((4-((4-(3-(5-(tert-부틸)-3-(하이드록시메틸)-2-메톡시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트리에틸아민(2.60 μL, 0.019 mmol)을 단계 (i)의 생성물(30.5 mg, 0.092 mmol)과 3-((4-((4-아미노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상기 실시예 53(ii) 참조; 50 mg, 0.092 mmol) 혼합물의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4 mL)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70℃ (블록 온도)에서 밤새(17 시간) 가열하였다. 단계 (i) 생성물(70 mg)의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1 mL) 용액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7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THF로 희석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연한 핑크색 검을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제조용 HPLC (Gilson, 산성(0.1% 포름산), Acidic, Waters X-Select Prep-C18, 5 μm, 19x50 mm 컬럼, 25-70% MeCN / 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0 mg)을 무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330
실시예 85(c):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에티닐-N-[2-(4-메틸피페라진-1-일)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31
실시예 85(d):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에티닐-N-(3-모폴리노프로필)-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32
실시예 85(e):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메톡시-N-[2-(4-메틸피페라진-1-일)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33
실시예 85(f):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메톡시-N-(3-모폴리노프로필)-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34
실시예 85(g): 5 - tert -부틸-3-[[4-[2-[3- 에티닐 -5-(2- 모폴리노에틸카바모일 )아닐리노]-피리미딘-4-일]옥시-1-나프틸]카바모일아미노]-2-메톡시-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35
실시예 85(h):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메톡시-N-(2-메틸-2-모폴리노프로필)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36
실시예 85(i):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메톡시-N-(2-티오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37
실시예 85(j):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메톡시-N-[2-(1-옥소-1,4-티아지난-4-일)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38
실시예 85(k):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N-[2-(1,1-디옥소-1,4-티아지난-4-일)에틸]-5-메톡시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39
실시예 85(l):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N-[2-(3,3-디메틸모폴린-4-일)에틸]-5-메톡시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40
실시예 85(m):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N-[2-(2,2-디메틸모폴린-4-일)에틸]-5-메톡시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41
실시예 85(n):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N-[2-[(2R,6S)-2,6-디메틸모폴린-4-일]에틸]-5-메톡시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42
실시예 85(o): 5 - tert -부틸-3-[[4-[[2-[3- 에티닐 -5-( 하이드록시메틸 ) 아닐리노 ]-4-피리딜]옥시]-1-나프틸]카바모일아미노]-2-메톡시-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43
실시예 85(p):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메톡시-N-[2-(4-메틸-1,4-디아제판-1-일)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44
실시예 85(q):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메톡시-N-(2-피페라진-1-일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45
실시예 85(r):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N-[2-[2-(2-하이드록시에톡시)에톡시]-에틸]-5-메톡시-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46
실시예 85(s):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메틸]-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47
실시예 85(t):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메틸]-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48
생성물을 LCMS (Agilent, X-Select, Waters X-Select UPLC C18, 1.7μm, 2.1 x 30 mm, 염기성(0.1 % 중탄산암모늄) 4분 방법, 5-95% MeCN/물)로 분석하였다:
m/z 797 (M+H)+(ES+); 795 (M-H)-(ES-), 2.23분, 99% 순도 @ 254 nm.
실시예 85(u):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메톡시-N-[2-(2-메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49
실시예 85(v):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메톡시-N-[2-[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50
실시예 85(w):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N-[2-(4-하이드록시-1-피페리딜)에틸]-5-메톡시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51
실시예 85(x): 1-[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설피닐]아닐리노]피리딘-4-일]옥시-1-나프틸]우레아
Figure 112015105507671-pct00352
이 화합물은 다음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i) N-(5-(tert-부틸)-3-(3-(4-((2-클로로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4-((2-클로로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아민(예를 들어, Ito, K. et al., WO 2010/112936, (2010년 10월 7일) 참조; 1.75 g, 6.46 mmol)을 페닐 (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상기 실시예 1(vi) 참조; 2.3 g, 5.86 mmol)와 TEA (0.2 mL, 1.435 mmol)의 2-Me-THF (25 mL) 용액에 첨가하고 65℃(블록 온도)에서 20 h 동안 가열하였다. 페닐 (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0.5 g, 1.274 mmol) 및 TEA (0.1 mL, 0.717 mmol)를 첨가하고 추가로 5 h 동안 계속 가열하였다. 추가량의 페닐 (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0.5 g, 1.274 mmol)와 TEA (0.1 mL, 0.717 mmol)를 첨가하고 추가로 16h 동안 계속 가열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2-Me-THF (5 mL)로 세척하여 부제 화합물 (2.5 g)을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353
(ii) 2-((3- 메톡시 -5- 니트로페닐 ) 티오 )에탄올
1-브로모-3-메톡시-5-니트로벤젠 (2.36 g, 10.17 mmol), Pd2(dba)3 (0.4 g, 0.437 mmol) 및 잔트포스 (0.5 g, 0.864 mmol)를 탈기된, DIPEA (5.5 mL, 31.5 mmol)와 2-머캡토에탄올 (0.75 mL, 10.70 mmol)의 1,4-디옥산 (20 mL)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질소 하에 100℃ (블록 온도)에서 16 h 동안 가열한 다음, Celite로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DCM(~10 mL)에 용해하고 이소헥산을 첨가하였다(~10 mL).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1.5 g의 목적 생성물을 얻었다. 여과액을 Companion 크로마토그래피(80 g 컬럼, 10% EtOAc:이소헥산 내지 30%)로 정제하여 750 mg의 부제 화합물을 연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합쳐진 부제 화합물의 수율은 2.25 g이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354
(iii) (3- 메톡시 -5- 니트로페닐 )(2-(2-(2- 메톡시에톡시 ) 에톡시 )에틸)설판
단계 (ii)의 생성물(1g, 4.36 mmol)을 질소 하에 건조 DMF (10 mL)에 용해하고 NaH (0.2 g, 5.00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 1-브로모-2-(2-메톡시에톡시)에탄(0.75 ml, 5.57 mmol)과 NaI (0.065 g, 0.436 mmol)를 첨가하고 rt에서 2.5h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NaH (0.2 g, 5.00 mmol) 및 1-브로모-2-(2-메톡시에톡시)에탄(0.75 ml, 5.57 mmol)과 다시 투입하고, 추가 1 h 동안 교반한 다음, NH4Cl 용액 (200 mL)과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여 20% NaCl 용액(20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여 건조(MgSO4) 및 여과한 다음, 용매를 증발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80 g 컬럼, 30% EtOAc:이소헥산 내지 50%)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 (1 g)을 투명한 노란색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355
(iv) 1- 메톡시 -3-((2-(2-(2- 메톡시에톡시 ) 에톡시 )에틸) 설피닐 )-5-니트로벤젠
mCPBA (350 mg, 1.562 mmol)를 빙냉한 단계 (iii) 생성물(600 mg, 1.811 mmol)의 빙냉한 DCM (5 mL)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1 h 동안 교반한 다음, mCPBA (35 mg, 0.156 mmol)를 첨가하여 0℃에서 추가 10분 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차갑게 여과하고 여과액을 아황산수소나트륨 20% w/w (20 mL)으로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sat. NaHCO3 용액(20 mL)으로 세척하여 건조(MgSO4) 및 여과한 다음, 용매를 증발하여 노란색 오일을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12 g 컬럼, 0% MeOH:EtOAc 내지 5%)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 (570 mg)을 노란색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356
(v) 3- 메톡시 -5-((2-(2-(2- 메톡시에톡시 ) 에톡시 )에틸) 설피닐 )아닐린
단계 (iv) 생성물(570 mg, 1.641 mmol)과 5% 팔라듐/탄소(50% 물을 함유한 페이스트)(100 mg, 0.023 mmol)의 에탄올(5 mL) 현탁액을 수소 하(5 bar)에서 2 h 동안 교반하였다. 여과하여 촉매를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연한 노란색 오일을 얻었다. 물질을 EtOH (5ml)에 재용해하여 5% 팔라듐/탄소(50% 물을 함유한 페이스트)(100 mg, 0.023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수소 하(5 bar)에서 72h 동안 교반하였다. 여과하여 촉매를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노란색 오일을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12 g 컬럼, 2% MeOH:DCM 내지 8%)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250 mg)을 연한 노란색 오일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357
(vi) 1-[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설피닐]아닐리노]피리딘-4-일]옥시-1-나프틸]우레아
단계 (i)의 생성물(100 mg, 0.176 mmol), 단계 (v)의 생성물(75 mg, 0.236 mmol), K2CO3 (50 mg, 0.362 mmol), BrettPhos G1 프리(pre)촉매(5 mg, 6.26 μmol) 및 tBuBrettPhos (3 mg, 6.19 μmol)의 혼합물을 진공 하에 탈기하여, 다시 질소로 3회 충전하였다. NMP(1 mL)를 첨가하고 현탁액을 진공 하에 탈기하여, 다시 질소로 3회 충전하였다. 이후, 반응물을 질소 하의 75℃ (블록 온도)에서 1h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20% w/w NaCl 용액(20 mL)과 DCM (10 mL) 사이에서 분배한 다음, 유기물을 분리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한 후, 용매를 증발하여 갈색 오일을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 (4 g)에 사전 흡착하고,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12 g 컬럼, 2% MeOH:DCM 내지 8%)로 정제하여 갈색 검을 얻고, 추가로 제조용 HPLC (Varian, 염기성(0.1% 중탄산암모늄), Basic, Waters X-Bridge Prep-C18, 5 μm, 19x50 mm 컬럼, 25-80% MeCN/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70 mg)을 무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358
실시예 85(y): 1-[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설포닐]아닐리노]피리딘-4-일]옥시-1-나프틸]우레아
Figure 112015105507671-pct00359
이 화합물은 다음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i) 1- 메톡시 -3-((2-(2-(2- 메톡시에톡시 ) 에톡시 )에틸) 설포닐 )-5-니트로벤젠
mCPBA (750 mg, 3.35 mmol)를 빙냉한 (3-메톡시-5-니트로페닐)(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설판(상기 실시예 85(y)(iii) 참조; 450 mg, 1.358 mmol)의 빙냉 DCM (5 mL)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rt로 가온하고 1 h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아황산수소나트륨 20% w/w (20 mL)으로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sat. NaHCO3 용액(20 mL)으로 세척하여 건조(MgSO4) 및 여과한 다음, 용매를 증발하여 노란색 오일을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12 g 컬럼, 50% EtOAc:이소헥산 내지 100%)로 정제하여 부제 화합물 (470 mg)을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360
( ii) 3 - 메톡시 -5-((2-(2-(2- 메톡시에톡시 ) 에톡시 )에틸) 설포닐 )아닐린
단계 (i)의 생성물(470 mg, 1.293 mmol)과 5% 팔라듐/탄소(50% 물을 함유한 페이스트)(100 mg, 0.023 mmol)의 에탄올(5 mL) 현탁액을 수소 하(5 bar)에서 2 h 동안 교반하였다. 여과에 의해 촉매를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부제 화합물(400 mg)을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361
(iii) 1-[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설포닐]아닐리노]피리딘-4-일]옥시-1-나프틸]우레아
N-(5-(tert-부틸)-3-(3-(4-((2-클로로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상기 실시예 85(y)(i) 참조; 100 mg, 0.176 mmol), 단계 (ii)의 생성물(75 mg, 0.225 mmol), K2CO3 (50 mg, 0.362 mmol), BrettPhos G1 프리(pre)촉매 (5 mg, 6.26 μmol) 및 tBuBrettPhos (3 mg, 6.19 μmol)의 혼합물을 진공 하에 탈기하여, 다시 질소로 3회 충전하였다. NMP(1 mL)를 첨가하고 현탁액을 진공 하에 탈기하여, 다시 질소로 3회 충전하였다. 이후, 반응물을 질소 하의 75℃ (블록 온도)에서 1h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20% w/w NaCl 용액(20 mL)과 DCM (10 mL) 사이에서 분배한 다음, 유기물을 분리하고, 건조(MgSO4) 및 여과한 후, 용매를 증발하여 갈색 오일을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4 g)에 사전 흡착하고,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12 g 컬럼, 2% MeOH:DCM 내지 10%)로 정제하여 갈색 검을 얻고, 추가로 제조용 HPLC (Varian, 염기성(0.1% 중탄산암모늄), Basic, Waters X-Bridge Prep-C18, 5 μm, 19x50 mm 컬럼, 25-80% MeCN/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85 mg)을 얻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362
실시예 86
다음 화합물을 상기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a) 5-tert-부틸-3-[[4-[[2-[3-(하이드록시메틸)-5-메톡시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카바모일아미노]-2-메톡시-N-(옥세탄-3-일)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63
(b)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메틸]-5-메톡시-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64
(c)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메틸]-5-메톡시-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65
(d) 1-[5-tert-부틸-3-(시아노메틸)-2-메톡시-페닐]-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우레아
Figure 112015105507671-pct00366
(e) 3-[[4-[[4-[[5-tert-부틸-3-(시아노메틸)-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메톡시-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67
(f) 3-[[4-[[4-[[5-tert-부틸-3-(시아노메틸)-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에티닐-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68
(g)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메톡시-N-[2-(1,4-옥사제판-4-일)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69
(h)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메톡시-N-[2-(4-옥소-1-피페리딜)에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70
(i) 5-tert-부틸-3-[[4-[[2-[3-에티닐-5-(하이드록시메틸)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카바모일아미노]-2-메톡시-N-메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105507671-pct00371
생물학적 시험: 실험 방법
효소 결합 분석 (키노메스칸)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의 키나제 효소 결합 활성을 고정화 리간드에 대한 활성 부위-특이적 경쟁 결합을 측정하는 독점 어세이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Fabian, M.A. et al., Nature Biotechnol., 2005, 23:329-336). 이 어세이는 DiscoverX(이전 명칭 Ambit; San Diego, CA)로 수행되었다. 시험 화합물과의 인큐베이션으로 생성된 저해 백분율이 비-저해 대조군에 대해 계산되었다.
효소 저해 어세이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의 효소 저해 활성을 공여체와 수용체 형광단(플루오로phore)(Z-LYTE, Invitrogen Ltd., Paisley, UK) 둘다로 표지된 합성 펩티드를 사용하여 FRET에 의해 측정하였다.
p38 MAPKα 효소 저해
하기 두 어세이 변법을 사용하여 p38 MAPKα 저해를 측정하였다.
방법 1
p38 MAPKα 이소폼(MAPK14: Invitrogen)에 대한 시험 화합물의 저해 활성을 하류 분자, MAPKAP-K2의 활성화/인산화 수준을 측정하여 간접적으로 평가하였다. p38 MAPKα 단백질(80 ng/mL, 2.5 μL)을 시험 화합물(4 μg/mL, 0.4 μg/mL, 0.04 μg/mL 또는 0.004 μg/mL 농도, 2.5 μL)과 2 시간 동안 RT에서 혼합하였다. p38α 불활성 표적 MAPKAP-K2(Invitrogen, 600 ng/mL)와 FRET 펩티드(8 μM; MAPKAP-K2의 인산화 표적)의 혼합 용액(2.5 μL)을 첨가하고, ATP(40 μM, 2.5μL)를 첨가하여 키나제 반응을 개시하였다.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RT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형광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Varioskan® Flash, ThermoFisher Scientific)에서 검출하기 전에 전개 시약(프로테아제, 5μL)을 1 시간 동안 첨가하였다.
방법 2
이 방법은 시험 화합물(1μg/mL, 0.1μg/mL, 0.01μg/mL 또는 0.001μg/mL로 시험)과의 혼합을 위해 더 높은 농도의 p38 MAPKα 단백질(80 ng/mL 단백질 2.5 μL 대신 200 ng/mL 단백질 2.5 μL)을 사용하는 것만을 제외하고 상기 방법 1과 동일한 단계를 따랐다.
p38 MAPKγ 효소 저해
p38MAPKγ(MAPK12: Invitrogen)에 대한 본 발명 화합물의 저해 활성을 상기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효소(800 ng/mL, 2.5 μL)를 시험 화합물(4 μg/mL, 0.4 μg/mL, 0.04 μg/mL 또는 0.004 μg/mL 농도, 2.5 μL)과 2 시간 동안 RT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FRET 펩티드(8 μM, 2.5 μL), 및 적절한 ATP 용액(2.5 μL, 400 μM)을 효소/화합물 혼합물에 첨가하고 1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형광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Varioskan® Flash, Thermo Scientific)에서 검출하기 전에 전개 시약(프로테아제, 5 μL)을 1 시간 동안 첨가하였다.
c-Src 및 Syk 효소 저해
c-Src 및 Syk 효소(Invitrogen)에 대한 본 발명 화합물의 저해 활성을 상기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관련 효소(각각 3000 ng/mL 또는 2000 ng/mL 농도, 2.5 μL)를 시험 화합물(1 μg/mL, 0.1 μg/mL, 0.01 μg/mL, 또는 0.001 μg/mL, 각각 2.5 μL)과 2시간 동안 RT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FRET 펩티드(8 μM, 2.5 μL), 및 적절한 ATP 용액(2.5μL, c-Src에 대해 800 μM, 및 Syk에 대해 60 μM ATP)을 효소/화합물 혼합물에 첨가하고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형광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Varioskan® Flash, ThermoFisher Scientific)에서 검출하기 전에 전개 시약(프로테아제, 5μL)을 1 시간 동안 첨가하였다.
GSK 3α 효소 저해
하기 두 어세이 변법을 사용하여 GSK 3α 저해를 결정하였다.
방법 1
GSK 3α 효소 이소폼(Invitrogen)에 대한 시험 화합물의 저해 활성을, 표적 펩티드의 활성화/인산화 수준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GSK3-α 단백질(500 ng/mL, 2.5 μL)을 시험 화합물(4 μg/mL, 0.4 μg/mL, 0.04 μg/mL, 또는 0.004 μg/mL 농도, 2.5 μL)과 2 시간 동안 RT에서 혼합하였다. GSK3α의 인산화 표적인 FRET 펩티드(8 μM, 2.5 μL)와 ATP(40 μM, 2.5 μL)를 효소/화합물 혼합물에 첨가하고 얻은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형광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Varioskan® Flash, ThermoFisher Scientific)에서 검출하기 전에 전개 시약(프로테아제, 5 μL)을 1 시간 동안 첨가하였다.
모든 경우에, 부위-특이적 프로테아제가 인산화되지 않은 펩티드만을 절단하여 FRET 시그널을 제거하였다. 각 반응의 인산화 수준을 플루오레신 방출(수용체)에 대한 쿠마린 방출(공여체)의 비율로 계산하였으며, 여기서 높은 비율은 높은 인산화 수준을 나타내고, 낮은 비율은 낮은 인산화 수준을 나타낸다. 각 반응의 저해 백분율을 비저해 대조군에 대해 계산하고, 이어서 50% 저해 농도(IC50 값)를 농도-반응 곡선으로부터 계산하였다.
방법 2
이 방법은 시험 화합물과 GSK3-α 단백질의 혼합 시간을 단축(2 시간 대신 105 분)시킨 것을 제외하고 상기 방법 1과 동일한 단계를 따랐다. 또한, 사용된 시험 화합물의 농도는 10 μg/mL, 1 μg/mL, 0.1 μg/mL 또는 0.01 μg/mL였다.
세포 어세이
본 발명의 화합물을 다음 어세이들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a) Jurkat 세포에서 p38 MAPKα와 Lck의 저해
Jurkat T 세포를 스타브(starve) 배지(RPMI 1640 + 5% FBS)에서 실험 전에 24 h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를 수확하여 10x106 세포/mL 스타브 배지로 재현탁한 다음, 둥근바닥 96 웰 플레이트에 웰 당 1x106 세포로 도포하였다. 시험 화합물의 연속 희석물을 자극 전에 2 h 동안 첨가하였다(1% 최종 DMSO 농도). 화합물과 사전 인큐베이션한 후, 세포를 H2O2(최종 0.05%)로 5분 동안 자극하였다. 반응을 2000 rpm (3 min, 4℃)으로 원심분리하여 중지한 다음, 상청액을 제거하고 100 μL의 냉 fix/perm 용액(BD Fix/Perm kit #554714)을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20분 동안 4℃에서 인큐베이션한 후, 원심분리하고 공급된 1x 세척 배지(BD Fix/Perm 키트 #554714)로 세척하였다. 세포를 Cell Signalling Technology (9211s)에 의해 제공된 포스포-p38α (T180/182), 또는 R&D (MAB7500)에 의해 제공된 포스포-Lck (Y394)로 염색하였다. 항체를 세척 배지로 5 μg/mL (R&D) 또는 1:200 (Cell Signalling Technology)으로 희석하여 4℃에서 1h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빙냉한 세척 완충액으로 3회 반복 세척한 후, 2차 항체(항-래빗-FITC #F1362 또는 항-마우스-FITC #F2883, 둘다 시그마 제품)를 1:1000의 희석비로 첨가하고 1h 동안 4℃, 암실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세포를 차가운 세척 완충액으로 3회 세척하고, 냉 PBS로 최종 세척한 후, 150 μL 냉 PBS에 재현탁하였다. 세포를 BD Accuri C6를 사용한 유세포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aa) d-U937 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TNFα / IL-8의 분비
인간 단핵구 세포주인 U937 세포를 포볼 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PMA;100 ng/mL)와 48 내지 72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여 대식세포 종류 세포로 분화시켰다. 세포를 최종 농도의 시험 화합물과 2 시간 동안 사전 인큐베이션한 다음, LPS(0.1 μg/mL; E. Coli에서 유래: O111:B4, Sigma)로 4 시간 동안 자극하였다. 상청액을 샌드위치 ELISA(Duo-set, R&D systems)로 TNFα 및 IL-8 농도 측정을 위해 수집하였다. TNFα 생산의 저해를 각 농도의 시험 화합물에서 10 μg/mL의 BIRB796에 의해 비히클 대조군에 대한 비교로 얻어진 것의 백분율로서 계산하였다. 상대적 50% 유효 농도(REC50)를 얻어진 농도-반응 곡선으로부터 결정하였다. IL-8 생산의 저해를 각 농도의 시험 화합물에서 비히클 대조군과 비교하여 계산하였다. 50% 저해 농도(IC50)를 얻어진 농도-반응 곡선으로부터 결정하였다.
(b) PBMC 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TNFα/ IL-8의 분비
건강한 대상체로부터의 말초 혈액 단핵 세포 (PBMC)를 밀도 구배(Lymphoprep, Axis-Shield Healthcare)를 사용하여 전혈에서 분리하였다. PBMC를 96 웰 플레이트에 시딩하고 목적 농도의 화합물로 2 시간 처리한 후, 1 ng/ml LPS (Escherichi Coli 0111:B4, Sigma Aldrich 제품)를 정상 조직 배양 조건 (37℃, 5% CO2) 하에서 24시간 동안 첨가하였다. 상청액을 샌드위치 ELISA(Duo-set, R&D systems)로 IL-8과 TNFα 농도 측정을 위해 수집하고, 형광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Varioskan® Flash, ThermoFisher Scientific)에서 판독하였다. IL-8 및 TNFα 생산의 50% 저해 농도(IC50)를 용량 반응 곡선으로부터 계산하였다.
(c) CD3/CD28 자극 PBMC 세포에서 IL-2 및 IFN 감마 분비
건강한 대상체로부터의 PBMC를 밀도 구배(Lymphoprep, Axis-Shield Healthcare)를 사용하여 전혈에서 분리하였다. 세포를 CD3/CD38 단클론 항체(각각 0.3ug/ml eBioscience 및 3ug/ml BD Pharmingen)의 혼합물로 사전 코팅한 96 웰 플레이트에 첨가하였다. 이어 목적 농도의 화합물을 웰에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3 일동안 정상 조직 배양 조건하에 두었다. 상청액을 수집하고, IL-2 및 IFN 감마 방출을 샌드위치 ELISA(Duo-set, R&D System)로 측정하였다. IC50을 용량 반응 곡선으로부터 결정하였다.
(d) HT29 세포에서 IL-1β로 유도된 IL-8의 분비
HT29 세포, 인간 결장 선암 세포주를 96 웰 플레이트에 플레이팅하고(24 시간), 목적 농도의 화합물로 2 시간 동안 사전 처리한 뒤, 5ng/ml의 IL-1β(Abcam)를 24 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상청액을 수집하고, IL-8을 샌드위치 ELISA(Duo-set, R&D System)로 정량하였다. IC50을 용량 반응 곡선으로부터 결정하였다.
(e) 초기 대식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IL-8 및 TNFα의 분비
건강한 대상체로부터의 PBMC를 밀도 그래디언트 (Lymphoprep, Axis-Shield Healthcare)를 사용하여 전혈에서 분리하였다. 세포를 2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세척에 의해 비부착 세포를 제거하였다. 세포를 대식세포와 구별하기 위해, 세포를 5ng/ml의 GM-CSF(Peprotech)와 7 일동안 정상 조직 배양 조건하에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후, 10 ng/ml LPS로 24 시간 동안 자극하기 이전에, 2 시간의 전처리 동안 화합물을 목적 농도로 세포에 첨가하였다. 상청액을 모으고, IL-8 및 TNFα의 분비를 샌드위치(Sandwich) ELISA(Duo-set, R&D System)로 결정하였다. IC50을 용량 반응 곡선으로부터 결정하였다.
(f) BEAS2B 세포에서 폴리 I:C로 유도된 ICAM-1의 발현
폴리 I:C가 본 연구에서 간단한, RNA 바이러스 모사체(mimic)로 사용되었다. 폴리 I:C-올리고펙타민 혼합물 (각각, 1 ㎍/mL 폴리 I:C, ±2% 올리고펙타민, 25 μL; Invivogen Ltd., San Diego, CA, 및 Invitrogen, Carlsbad, CA)을 BEAS2B 세포 (인간 기관지 상피세포, ATCC)로 감염시켰다. 세포를 최종 농도의 시험 화합물로 2 시간 동안 사전 인큐베이션(pre-incubate)하고, 세포 표면에서의 ICAM1의 발현 수준을 세포-기반 ELISA를 통해 측정하였다. 폴리 I:C 형질감염 후 18 시간이 된 시점에서, 세포를 PBS(100 μL) 내의 4% 포름알데히드로 고정한 후, 0.1% 아지드화 나트륨 및 1%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세척 완충제(100 μL, PBS 내 0.05% Tween: PBS-Tween)을 첨가하여 내인성 퍼옥시다제(endogenous peroxidase)를 퀀칭하였다. 세포를 세척 완충제(3 x 200μL)로 세척하고, PBS-Tween(100 μL) 내의 5% 우유로 1 시간 동안 웰(well)을 블록킹한 후, 세포를 1% BSA PBS 내의 항-인간 ICAM-1 항체(50μL; Cell Signalling Technology, Danvers, MA)와 밤새 4 ℃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세포를 PBS-Tween(3 x 200 μL)으로 세척한 후, 제2차 항체(100μL; HRP가 콘쥬게이션된 항-토끼 IgG, Dako Ltd., Glostrup, Denmark)와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후, 세포를 기질(50 μL)과 2-20 분동안 인큐베이션하고, 뒤이어 정지액(50 μL, 1N H2SO4)을 첨가하였다.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기준 파장 655 nm에 대한 450 nm의 흡광도를 확인하여 ICAM-1 시그널을 측정하였다. 세포를 PBS-Tween(3 x 200 μL)으로 세척하고, 크리스탈 바이올렛 염색(PBS 내의 2% 용액 50 μL) 및 증류수 내의 1% SDS 용액(100 μL)으로 용리(elution)시킨 후 595 nm에서의 흡광도를 확인하여 각각의 웰 내의 총 세포 수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OD 450-655 값을 각각의 웰 내의 OD595 값으로 나누어 세포 수에 대해 보정하였다. 비히클 대조군(vehicle control)과 비교하여 시험 화합물의 각각의 농도에서의 ICAM-1 발현 저해를 계산하였다. 50% 저해 농도(IC50)를 생성된 농도-반응 곡선으로부터 결정하였다.
(g) 세포 유사분열 어세이
건강한 대상로부터의 말초혈액 단핵세포(PBMC)를 밀도 그래디언트(Histopaque®-1077, Sigma-Aldrich, Poole, UK)를 사용하여 전혈(Quintiles, London, UK)로부터 분리하였다. 이어서, PBMC(샘플당 3백만개의 세포)를 2% PHA(Sigma-Aldrich, Poole, UK)로 48 시간 동안 처리한 후, 뒤이어 시험 화합물의 농도를 변화시켜 20 시간 동안 노출시켰다. 수집하기 2시간 전에, PBMC를 데메콜친(0.1 ㎍/mL; Invitrogen, Paisley, UK)으로 처리하여 중기(metaphase)의 세포를 억제하였다. 유사분열 세포를 관찰하기 위해, 이전에 기술된 바와 같이(Muehlbauer P.A. and Schuler M.J., Mutation Research, 2003, 537:117-130), 인트라프렙(Intraprep)(50 μL; Beckman Coulter, France)을 첨가하여 PBMC를 투과 및 고정시키고, 항-포스포-히스톤 3(0.26 ng/L; #9701; Cell Signalling, Danvers, MA) 및 프로피듐 요오드화물(1 mg/mL; Sigma-Aldrich, Poole, UK)로 염색하였다. 림프구에 대한 통로인, ATTUNE 유세포 분석기(Invitrogen, Paisley, UK)를 사용하여 형광을 관찰하였다. 각 처리에 대한 유사분열의 저해 백분율을 비히클(0.5% DMSO) 처리에 대해 계산하였다.
(h) 라이노바이러스로 유도된 IL-8 분비 및 ICAM-1 발현
인간 라이노바이러스 RV16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s, VA)로부터 입수하였다. 바이러스 스탁은 80%의 세포가 세포병변될 때까지 HeLa 세포를 HRV로 감염하여 생성하였다.
BEAS2B 세포를 HRV에 의해 MOI 5로 감염시키고 2 hr 동안 33℃에서 흡수를 촉진하기 위해 서서히 진탕하면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이후,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새로운 배지를 첨가하여 세포를 다시 72hr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상청액을 Duoset ELISA 전개 키트(R&D systems, Minneapolis, MN)를 사용하는 IL-8 농도 어세이를 위해 수집하였다.
ICAM-1 발현 세포 표면의 농도를 세포 기반 ELISA에 의해 측정하였다. 72hr의 감염 후, 세포를 PBS 중의 4% 포름알데히드로 고정하였다. 0.1% 소듐 아자이드와 1% 과산화수소를 첨가하여 내인성 퍼옥시다제를 퀀칭한 후, 웰을 세척 완충액(0.05% Tween/PBS: PBS-Tween)으로 세척하였다. 웰을 PBS-Tween 중의 5% 밀크로 1hr 동안 블로킹한 후에, 세포를 항-인간 ICAM-1 항체의 5% BSA PBS-Tween (1:500)과 밤새 인큐베이션하였다. 웰을 PBS-Tween으로 세척한 후, 제2차 항체(HRP가 콘쥬게이션된 항-래빗 IgG, Dako Ltd.)와 인큐베이션하였다. ICAM-1 시그널을 기질을 첨가하고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655 nm의 기준파장으로 450 nm에서 판독하여 검정하였다. 웰을 PBS-Tween으로 세척하고, 크리스탈 바이올렛 염색 및 1% SDS 용액으로 용출한 후 595 nm에서의 흡광도를 판독하여 각각의 웰 내의 총 세포 수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OD450-655 판독값을 각 웰 내의 OD595 판독값으로 나누어 세포 수에 대해 보정하였다. 화합물을 HRV 감염 2hr 전과 비감염 HRV가 세척된 감염 2hr 후에 첨가하였다.
(i) MRC5 세포에서 HRV16으로 유도된 세포병변 효과(CPE)의 평가
MRC5 세포를 HRV16에 의해 MOI 1으로 5% FCS와 1.5 mM MgCl2를 함유하는 DMEM에서 감염시킨 후, 흡수를 촉진하기 위해 1 hr 동안 33℃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상청액을 흡입한 다음, 새로운 배지를 첨가하고 4일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필요에 따라, 세포를 화합물 또는 DMSO와 2 hr 동안 사전 인큐베이션하고, 첨가된 화합물과 DMSO를 바이러스를 세척한 후에 다시 첨가하였다.
상청액을 흡입시키고, 메틸렌블루 용액(100 μL, 2% 포름알데히드, 10% 메탄올 및 0.175 % 메틸렌블루)과 실온에서 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세척 후, 증류수(100 μL) 내의 1% SDS를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660 nm에서의 흡광도를 확인하기에 앞서 플레이트를 1-2 시간 동안 가볍게 흔들었다. 각각의 웰에 대한 저해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시험 화합물의 연속 희석(serial dilution)에 의해 생성된 농도-반응 곡선으로부터 IC50 값을 계산하였다.
(j) 초기 기관지 상피세포에서 시험관내 RSV 바이러스 부하
96 웰 플레이트에서 증식된 정상 인간 기관지 상피세포(NHBEC)를 15 mM 염화마그네슘을 포함하는 LHC8 배지:RPMI-1640 (50:50) 중에 0.001 MOI로 RSV A2(Strain A2, HPA, Salisbury, UK)에 감염시키고, 흡착을 위해 37 ℃에서 1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세포를 PBS(3 x 200 μL)로 세척하고, 새로운 배지(200 μL)를 첨가한 후, 4 일동안 계속 인큐베이션하였다. 필요에 따라, 세포를 화합물 또는 DMSO와 2 시간 동안 사전 인큐베이션하고, 바이러스를 세척한 후 다시 첨가하였다.
세포를 PBS 용액(50 μL) 내 4% 포름알데히드로 20 분동안 고정시키고, WB(3 x 200 μL) (세척 완충액, 0.5% BSA 및 0.05% Tween-20을 포함하는 PBS)로 세척한 후, 블로킹 용액(PBS 내의 5% 연유)과 1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세포를 WB(3 x 200 μL)로 세척하고, PBS-tween 중의 5% BSA 내 항-RSV(2F7) F-융합 단백질 항체(40 μL; 마우스 모노클로날, lot 798760, Cat. No.ab43812, Abcam)와 1 시간 동안 실온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세척 후에, PBS-Tween(lot 00053170, Cat.No. P0447, Dako) 내의 5% BSA에서 HRP가 콘쥬게이션된 제2 항체 용액(50 μL)과 세포를 인큐베이션하고, 그 후 TMB 기질을 첨가하였다(50 μL; 기질 시약 팩, lot 269472, Cat. No. DY999, R&D Systems, Inc.). 2N H2SO4 (50 μL)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키고, 생성된 신호를 비색법을 사용하여(OD: 655 nm의 기준 파장에서 450 nm)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Varioskan® Flash, ThermoFisher Scientific)에서 측정하였다.
세포를 세척하고, 2.5% 크리스탈 바이올렛 용액(50 μL; lot 8656, Cat. No. PL7000, Pro-Lab Diagnostics)을 30 분동안 적용하였다. WB로 세척한 후, 증류수(100 μL) 내의 1% SDS를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595 nm에서의 흡광도를 확인하기에 앞서 플레이트를 1 시간 동안 진탕기에서 가볍게 흔들었다. OD450-655 판독값을 OD595 판독값으로 나누어 측정된 OD450-655 판독값을 세포 수에 대해 보정하였다. 각각의 웰에 대한 저해 백분율을 계산하고, 화합물의 연속 희석으로부터 생성된 농도-반응 곡선으로부터 IC50 값을 계산하였다.
(k) 세포 생존력 어세이: MTT 어세이
분화된 U937 세포를 각각의 시험 화합물(아래에 표시된 200 μL 배지 내의 최종 농도 1 ㎍/mL 또는 10 ㎍/mL)과 2개의 프로토콜 하에서 사전 인큐베이션하였다: 첫번째는 5% FCS RPMI1640 배지에서 4 시간 동안이고, 두번째는 10% FCS RPMI1640 배지에서 24 시간 동안이다. 상청액을 새로운 배지(200 μL)로 교체하고, MTT 저장용액(10 μL, 5 mg/mL)을 각각의 웰에 첨가하였다. 1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DMSO(200 μL)을 각각의 웰에 첨가한 후, 550 nm에서의 흡광도를 확인하기에 앞서 플레이트를 1 시간 동안 가볍게 흔들었다. 비히클(0.5% DMSO) 처리와 비교하여 각각의 웰에 대한 세포 생존도의 손실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비히클에 대하여 약물 처리를 한 세포 생존도의 명백한 증가가 음수의 백분율로서 도표화되었다.
(l) 인간 생검 어세이
장점막 생검을 IBD 환자 결장의 염증이 생긴 부위로부터 획득하였다. 생검 물질을 작은 조각(2-3 mm)으로 절단하고, 5% CO2/95% O2 분위기의 무혈청 배지에서 37 ℃의 기관 배양 챔버의 강철 격자 상에 두었다. DMSO 대조군 또는 목적 농도에서의 시험 화합물을 조직에 첨가하고, 기관 배양 챔버에서 24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R&D ELISA에 의한 IL-6, IL-8, IL-1β 및 TNFα의 수준 측정을 위해 상청액을 수확하였다. 시험 화합물에 의한 사이토카인 분비의 저해 백분율을 DMSO 대조군(100%)에 대해 측정한 사이토카인 분비에 대해 계산하였다.
(m) d-U937 세포내 β 카테닌의 축적
U937 세포, 인간 단핵구성 세포주를 PMA; (100 ng/mL)와 48 내지 72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여 대식세포-타입 세포로 분화시켰다. 그 후 세포를 최종 농도의 시험 화합물 또는 비히클 중 어느 하나와 18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배지를 4% 포름알데히드 용액으로 교체함으로써 시험 화합물에 의한 β-카테닌의 유도를 중단시켰다. 퀀칭 완충제 (100 μL, 0.1% 소듐 아자이드, 0.05% Tween-20를 포함하는 PBS 내의 1% H2O2)와 20 분동안 인큐베이션하여 내인성 과산화물의 활성을 상쇄시켰다. 세포를 세척 완충제(200 μL; 0.05% Tween-20을 포함하는 PBS)로 세척하고, 블록킹 용액(200 μL; PBS 내의 5% 우유)과 1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세척 완충제(200 μL)로 재세척하고, 그 후 1% BSA/PBS(BD, Oxford, UK) 내의 항-β-카테닌 항체 용액(50 μL)과 밤새 인큐베이션하였다.
세척 완충제(3 x 200 μL; 0.05% Tween-20을 포함하는 PBS)로 세척한 후, 세포를 1% BSA/PBS(Dako, Cambridge, UK) 내의 HRP가 콘쥬게이션된 제2 항체 용액(100 μL)과 인큐베이션하고, 생성된 신호를 비색법으로 (OD: 655 nm의 기준 파장에서 450 nm) TMB 기질(50 μL; R&D Systems, Abingdon, UK)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N H2SO4 용액 (50 μL)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단시켰다. 그 후 세포를 세척 완충제로 세척하고, 2% 크리스탈 바이올렛 용액(50 μL)을 30 분동안 적용하였다. 세척 완충제(3 x 200 μL)로 세척한 후, 1% SDS(100 μL)을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595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기 전에(Varioskan® Flash, ThermoFisher Scientific) 플레이트를 1 시간 동안 가볍게 흔들었다.
OD450-655 판독값을 OD595 판독값으로 나누어 측정된 OD450-655 판독값을 세포 수에 대해 보정하였다. 각 웰에 대한 백분율 유도를 비히클에 대하여 계산하였고, 유도 비율을 단일체(unity)로 정의되는 참조 화합물 (N-(4-(4-(3-(3-tert-부틸-1-p-톨릴-1H-피라졸-5-일)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2-메톡시아세트아미드)(1 ㎍/mL)을 포함하는 표준 대조군에 의해 생성된 유도와 비교하여 정상화하였다.
(n) T 세포 증식
건강한 대상체로부터의 PBMC를 밀도 그래디언트(Lymphoprep, Axis-Shield Healthcare)를 이용하여 전혈에서 분리하였다. 제조자의 지시(Miltenyi Biotec 130-091-155)에 따라 음성 자기 세포 분류(negative magnetic cell sorting)에 의하여 림프구 분율을 먼저 CD4+ T 세포에 대해 농축하였다. 그 후, 제조자의 지시 (130-045-901)에 따라 마이크로비드를 이용한 CD45RA+ 세포의 양성 자기 선택(positive magnetic selection)을 이용하여 미접촉(Naive) CD4+ T 세포를 분리하였다. 96 웰 평평한 바닥 플레이트(Corning Costar) 상의 100 μL RPMI/10%FBS에 각 웰 당 2x105 개의 세포를 플레이팅하였다. 25 μL의 시험 화합물을 정상 배지에서 적절한 농도(8x 최종 농도)로 희석하고, 플레이트 상의 듀플리케이트 웰(duplicate well)에 첨가하여 0.03 ng/mL-250 ng/mL 범위의 용량 반응을 달성하였다. DMSO를 음성 대조군으로서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1 ㎍/mL의 항-CD3(OKT3; eBioscience)로 자극하기 전에 2 시간 동안 사전 인큐베이션 하였다. 72 시간 후, 각각의 웰 내의 배지를 10 μM BrdU (Roche)를 포함하는 새로운 배지 150 μL로 교체하였다. 16시간 후, 상청액을 제거하고, 플레이트를 건조시킨 후, 제조자의 지시(Roche)에 따라 각각의 웰에 100 μL의 고정/변성 용액을 20분 동안 첨가하여 세포를 고정시켰다. 항-BrdU 검출 항체의 첨가 및 실온에서 90 분동안 인큐베이션하기 전에 플레이트를 PBS로 한번 세척하였다. 그 후, 100 μL 기질 용액의 첨가에 의해 공급 및 전개된 세척 완충제로 플레이트를 부드럽게 3번 세척하였다. 50 μL의 1M H2SO4를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키고, 플레이트 판독기(Varioskan® Flash, ThermoFisher Scientific) 상의 450 nm에서의 흡광도를 확인하였다. IC50을 용량 반응 곡선으로부터 결정하였다.
(o) IBD 환자로부터 유래된 CD3/CD28 자극 LPMC 세포에서 IL-2 및 IFNγ의 분비
다음과 같이 수술 적출물의 염증이 생긴 IBD 점막 또는 수술 적출물의 정상 점막으로부터 프로프리아층 단핵 세포(LPMC)를 분리한 후 정제하였다:
수술용 메스를 이용하여 수술 적출물의 심층으로부터 점막을 제거하고, 그 점막을 3-4 mm 크기의 단편으로 절단하였다. 자석 교반기를 사용한 교반으로 조직의 단편을 HBSS(Sigma-Aldrich) 내의 1 mM EDTA(Sigma-Aldrich, Poole, UK)로 3번 세척하고, 각각의 세척 후 상청액을 버려서 상피를 제거하였다. 뒤이어 샘플을 타입 1A 콜라게나아제(1 mg/mL; Sigma-Aldrich)로 37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처리하였다. 이후 얻어진 세포 현탁액을 100 ㎛ 세포 스트레이너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2번 세척하고, 10% 소태아 혈청, 100 U/mL 페니실린 및 100 ㎍/mL 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하는 RPMI-1640 배지(Sigma-Aldrich)에 재현탁시킨 후, 이를 세포 배양을 위해 사용하였다.
DMSO 대조군 또는 적절한 농도의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의 존재하에, 새롭게 분리된 LPMC(2x105 세포/웰)를 1 ㎍/mL α-CD3/α-CD28로 48 시간동안 자극하였다. 48 시간 후, 상청액을 제거하고, R&D ELISA로 TNFα 및 IFNγ의 존재를 분석하였다. DMSO 대조군(100%)에 대해 측정된 사이토카인 분비와 비교하여 시험 화합물에 의한 사이토카인 분비의 저해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p) IBD 환자에서 분리된 근섬유모세포로부터 사이토카인 분비의 저해
염증이 생긴 IBD 점막에서 유래된 근섬유모세포를 다음과 같이 분리하였다:
점막을 절개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폐기하고, 37 ℃의 가습 CO2 인큐베이터에서 1 mm 사이즈의 점막 샘플을 20% FBS, 1% 비필수 아미노산 (Invitrogen, Paisley, UK), 100 U/mL 페니실린, 100 ㎍/mL 스트렙토마이신, 50 ㎍/mL 겐타마이신 및 1 ㎍/mL 암포테리신(Sigma-Aldrich)이 보충된 듈베코(Dulbecco) 변성 이글Eagle) 배지(DMEM, Sigma-Aldrich)에서 배양하였다. 생성된 근섬유모세포의 콜로니들을 25-cm2 배양 플라스크에 넣고, 자극 실험에 사용되기에 충분한 양을 제공하기 위해 20% FBS 및 적어도 4계대에 대한 항생제로 보충된 DMEM에서 배양하였다.
근섬유모세포의 부융합성(Subconfluent) 단일막을 12-웰 플레이트에 웰 당 3x105 세포씩 넣고, DMSO 대조군 또는 적절한 농도의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의 존재하에서 24 시간동안 배양되기 전에, 무혈청 배지에서 37℃로 24시간 동안 5% CO2 분위기에서 영양분을 공급하지 않았다. 24시간 경과 후 상청액을 제거하고 R&D ELISA로 IL-8 및 IL-6의 존재를 분석하였다. DMSO 대조군(100%)에 대해 측정된 사이토카인의 분비와 비교하여 시험 화합물에 의한 사이토카인 분비의 저해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q) 인간 호중구 탈과립
인간 말초 혈액으로부터 호중구를 다음과 같이 분리하였다:
정맥 천자(venepuncture)로 혈액을 수집하고, 1:1 EDTA: 살균한 인산염 완충식염수(PBS, 무 Ca+/Mg+)를 첨가하여 항응고 처리하였다. 덱스트란(3% w/v)을 첨가하고(혈액 4에 대해 덱스트란 용액 1), 혈액을 실온에서 약 20 분간 방치하였다. 상청액을 밀도 경사(Lymphoprep, Axis-Shield Healthcare) 상에 조심스럽게 놓고 원심분리(15 분, 2000 rpm, 브레이크 없음)하였다. 상청액을 흡인하고, (오염시키고 있는 적혈구를 용해시키기 위해) 세포 펠렛을 식염수(0.2%)에 60 초 이내로 재현탁시켰다. 그 후, 10배 부피의 PBS를 첨가하고 세포를 원심분리하였다(5 분, 1200 rpm). 세포를 HBSS+(시토칼라신 B (5 ㎍/mL) 및 1 mM CaCl2를 포함하는 Hanks 완충 염 용액(페놀 레드 없음)에 재현탁시켜 5 x 106 세포/mL를 얻었다.
5 x 104 세포를 V-바닥 96 웰 플레이트의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적절한 농도의 시험 화합물(0.3-1000 ng/mL) 또는 비히클(DMSO, 0.5% 최종 농도)과 인큐베이션하였다(30 분, 37 ℃). fMLP (최종 농도 1 μM)을 첨가하여 탈과립을 자극하였다. 추가적인 인큐베이션(30 분, 37 ℃) 후에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제거하고(5 분, 1500 rpm), 상청액을 평평한 바닥 96 웰 플레이트로 옮겼다. 동일한 부피의 테트라메틸벤지딘(TMB)을 첨가하고, 10 분후 동일 부피의 황산(0.5 M)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단시키고, 450 nm에서 흡광도를 확인하였다(655 nm에서의 백그라운드를 제함). 생성된 농도-반응 곡선으로부터 50% 저해 농도(IC50)를 측정하였다.
(r) 세포독성 분석
5 x 104 TK6 세포 (림프구성 T 세포주)를 195 μL의 배지(10% 소태아 혈청으로 보충된 RPMI)가 있는 96 웰 플레이트의 적절한 수의 웰에 첨가하였다. 5 μL의 DMSO 대조군(최종 농도 0.5% v/v) 또는 시험 화합물(최종 농도 5 또는 1 ㎍/mL 중 어느 하나)을 웰에 첨가하고, 37 ℃, 5% CO2 하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24 시간 경과 후, 플레이트를 1300 rpm으로 3 분동안 원심분리하고, 상청액을 버렸다. 세포를 PBS 내의 7.5 ㎍/mL 프로피듐 요오드화물(PI)에 재현탁시켰다. 15 분후, 유세포 분석기(BD accuri)로 세포를 분석하였다. DMSO 대조군에 대해 정상화된 시험 웰에서 PI 음성인 세포의 %에 따라 % 생존율을 계산하였다.
생체내 스크리닝(In Vivo Screening): 약력학 및 항-염증 활성
(i) 마우스에서 LPS로 유도된 호중구의 축적
LPS 챌린지 적용에 의한 염증성 반응의 자극 이전에, 단식시키지 않은 Balb/c 마우스에 기관내 경로를 통해 비히클 또는 시험 물질을 지시된 시간에(2-8 시간 범위 내에서) 투여하였다. T=0일 때, 마우스를 노출 챔버에 두고 30 분동안 LPS(7.0 mL, PBS 내 0.5 mg/mL 용액)에 노출시켰다. 추가적인 8 시간 이후 동물들을 마취시키고, 기도에 캐뉼러를 꽂고, 주입에 의해 폐포세척액(BALF)을 추출하고, 그 후 기관 카테터를 경유하여 폐로부터 1.0 mL의 PBS를 빼내었다. Neubaur 혈구계를 이용하여 BALF 샘플내의 총 백혈구 수 및 분화된 백혈구 수를 측정하였다. 200 rpm으로 5 분간 실온에서 원심분리하여 BALF 샘플의 사이토스핀 스미어(Cytospin smear)를 제조하고, DiffQuik 스테인 시스템(stain system)(Dade Behring)을 이용하여 염색하였다. 유침 현미경(oil immersion microscopy)을 이용하여 세포의 수를 세었다. BAL 내의 호중구 수에 대한 데이터는 평균±S.E.M. (평균 표준오차)로 나타내었다. 비히클 처리와 비교하여 각각의 처리에 대해 호중구 축적의 저해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ii) 흡연 모델
작은 동물에 대한 Tobacco Smoke Inhalation Experiment System(Model SIS-CS; Sibata Scientific Technology, Tokyo, Japan)을 이용하여 11일간 30분/일 동안 A/J 마이스(수컷, 생후 5주)를 담배 연기(4% 담배 연기, 공기로 희석)에 노출시켰다. 담배 연기에 마지막으로 노출한 후, 하루 1번 3일간 테스트 물질(50% DMSO/PBS 중 35μL의 용액)을 콧속으로 투여하였다. 최종 투여 12시간 후, 동물들을 마취시키고, 기관에 케뉼러를 삽입하여 기관지 폐포성 유출액(BALF)을 수집하였다. 항-마우스 MOMA2 항체 (대식세포) 또는 항-마우스 7/4 항체 (호중구)를 사용하여 허파꽈리 대식세포 및 호중구의 수를 FACS 분석(EPICS® ALTRAⅡ, Beckman Coulter, Inc., Fullerton, CA, USA)에 의해 판정하였다.
(iii) 마우스에서 DSS로 유도된 대장염
덱스트란 소듐 설페이트(DSS)로 처리함에 따른 염증성 반응의 자극 하루 전에(Day -1), 단식하지 않은, 10-12주령의 수컷 BDF1 마우스에 하루에 두번씩 경구 위관 영양을 통해 비히클, 참조 물질 (5-ASA) 또는 시험 화합물을 투여하였다. 연구 0일째(Day 0)에 DSS(5% w/v)를 음용수와 함께 투여하고, 이어서 비히클(5 mL/kg), 참조 화합물 (100 mg/kg) 또는 시험 화합물 (5 mg/kg)의 1일 2회 투여를 7 일동안 수행하였다. DSS와 함께 음용수를 3일마다 보충하였다. 연구 동안에 매일 동물의 체중을 재었고 대변 관찰이 이루어졌고, 대변의 일관성에 기반을 두어 점수로 기록되었다. 6 일째(Day +6)에 수술로 대장을 적출하고 길이와 무게를 기록하였다. 결장의 부위들은 호중구 침윤을 측정하기 위한 MPO 분석을 위해 또는 질환 중증도 측정을 위한 조직병리학 기록을 위해 취하였다.
(iv) 마우스에서 TNBS로 유도된 대장염
2,4,6-트리니트로벤젠설폰산(TNBS)(50% 에탄올중 15 mg/mL/ 50% 식염수)으로 처리함에 따른 염증성 반응의 자극 하루 전에(Day -1), 단식하지 않고, 10-12주령의 수컷 BDF1 마우스에 하루에 두 번씩 경구 위관 영양을 통해 비히클(5 mL/kg), 참조 물질(부데소니드 2.5 mg/kg) 또는 시험 화합물(1, 5 또는 50 mg/kg)을 투여하였다. 연구의 0일째 (Day 0)에 TNBS (200 μL)를 플라스틱 카테터를 경유하여 결장 내부로 투여하고, 뒤이어 비히클, 참조 또는 시험 화합물의 1일 2회 투여를 2일 또는 4 일동안 수행하였다. 연구 동안에 매일 동물의 체중을 재었고 대변 관찰이 이루어졌고, 대변의 일관성에 기반을 두어 점수로 기록되었다. 2 일째(또는 4 일째)에 수술로 대장을 적출하고 길이와 무게를 기록하였다. 결장 부위들을 질환 중증도 측정을 위한 조직병리학 기록을 위해 취하였다.
(v) 마우스에서 입양 전달(Adoptive transfer )
연구 0일째에, 암컷 Balb/C 마우스를 사멸시키고, CD45RBhigh 세포 분리(SCID IBD 세포 분리 프로토콜을 이용)를 위한 비장을 얻었다. 대략 4x105 세포/mL의 CD45RBhigh 세포를 암컷 SCID 동물에 복강내(100 μL/마우스)로 주입하였다. 연구 14일째에, 마우스의 무게를 재고, 몸무게에 따라 처리 그룹으로 무작위로 분류하였다. 14일째에, 화합물을, 경구 위관 영양을 통해, 하기 표 6a와 6b에 요약한 투여 수준 및 5 mL/kg의 투여 부피의 땅콩유 비히클로 1일 2회씩 투여하였다. 연구 42일째까지 처리를 계속하였고, 그 시점에서 오전 투여 후 4시간에 동물을 부검하였다. 결장의 길이 및 무게를 기록하고, 이를 결장 부종의 척도로서 연구에서의 제2 종말점(endpoint)으로 사용하였다. 그 후 결장을 6 등분으로 나누고, 그 중 넷을 조직병리학 기록(제1 종점)으로 사용하고, 둘을 사이토카인 분석을 위해 균질화하였다. 제시된 데이터는 미접촉 동물과 비히클 동물(vehicle animal) 간 유도 창(window)의 저해율(%)이며, 더 높은 저해는 질병에 걸리지 않고, 미접촉 표현형에 대해 더 근접한 것을 암시한다.
(vi) 래트에서 내독소로 유도된 포도막염
수컷 Lewis 래트(6-8주령, Charles River UK Limited)를 3개 케이지에서 19-21℃로 12 h 명/암 주기(07:00/19:00)로 사육하고 설치류 사료의 표준 식이와 임의량의 물을 공급하였다. 단식하지 않은 래트의 무게를 재고, 개별적으로 꼬리에 영구 마커로 표시하여 32 게이지의 니들로 동물 당 100 ng의 LPS (PBS로 제조된 Escherichia coli 0111:B4, Sigma Aldrich, UK)를 우측 유리액 내로 단일 유리체강내 투여하였다(5 μL 투여 부피). 미처리 래트에게는 PBS를 주사하였다. 시험 화합물, 덱사메타손(Dex) 또는 비히클(20%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0.1% HPMC, 0.01%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0.05% EDTA, 탈이온화된 물 중의 0.7% NaCl)을 동물의 오른쪽 눈에 국소 경로에 의해 LPS 투여 30분 전, LPS 투여 시, 그리고 LPS 투여 1, 2 및 4시간 후에 투여하였다(10 μL). 투여 전에, 투여될 용액 또는 현탁액을 5분 동안 진탕하여 균일한 현탁액을 만들었다. LPS를 투여한 6시간 후에 동물을 과량의 펜토바비톤(i.v.)으로 안락사시켰다. 안락사 후에 각 동물의 오른쪽 눈을 적출하여 렌즈 주위에서 전측부(전방)와 후측부(후방)로 해부하였다. 각 부위의 무게를 측정하고 500 μL의 멸균 인산염 완충 식염수에 균질화한 다음, 20분 동안 12000 rpm으로 4℃에서 원심분리하였다. 얻어진 상청액을 3개의 분액으로 나누어 -80℃에서 R&D DuoSet ELISA에 의한 후속 사이토카인 분석까지 저장하였다.
시험관내 생체내 스크리닝 결과의 요약
Figure 112015105507671-pct00372
KINOMEscanTM 기술을 사용하는 LeadHunter Discover Services (DiscoveRx Corporation, Fremont, CA)에 의해 수행된 본 연구에서는 실시예 3, 4, 16, 27 및 75의 화합물이 키나제 B-Raf 및 B-Raf(V600E)와 그들의 표준 리간드의 결합에 대해 어떤 심각한 영향도 미치지 않았음을 측정하였다. 또한, 이 화합물들은 낮은 선택성 점수(표 1b)로 입증된 참조 화합물 N-(4-(4-(3-(3-tert-부틸-1-p-톨릴-1H-피라졸-5-일)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2-메톡시아세트아미드(WO 2010/ 112936)와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향상된 선택성을 나타내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373
Figure 112015105507671-pct00374
Figure 112015105507671-pct00375
Figure 112015105507671-pct00376
Figure 112015105507671-pct00377
Figure 112015105507671-pct00378
Figure 112015105507671-pct00379
Figure 112015105507671-pct00380
Figure 112015105507671-pct00381
Figure 112015105507671-pct00382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4, 16 및 27의 화합물은 또한 세포 어세이 (1),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생체외 인간 생검 모델에서 선별되었고, 여기서 이 화합물들은 궤양성 대장염(UC) 환자의 생검에서 상당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었다. 건강한 지원자들과 달리, UC 환자들의 장 점막 생검은 시험관 내에서 염증전 사이토카인의 자발적인 분비를 나타냈다(Onken,J.E. et al., J Clin Immunol, 2008, 126(3): 345-352). 따라서, 실시예 4, 16 및 27의 화합물은 궤양성 대장염 환자의 생검과 24시간 동안 1 μg/mL으로 인큐베이션하는 경우, DMSO 대조군과 비교하여 사이토카인(IL-1β, IL-6 및 IL-8) 분비를 상당히 저해하였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383
하기 표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의 화합물은 대부분 PBMC에서 세포분열(유사분열)에 대한 영향을 측정하는 상기한 어세이 (g)에서 참조 화합물(N-(4-(4-(3-(3-tert-부틸-1-p-톨릴-1H-피라졸-5-일)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2-메톡시아세트아미드; WO 2010/112936)보다 현저하게 덜 활성적이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384
Figure 112015105507671-pct00385
Figure 112015105507671-pct00386
Figure 112015105507671-pct00387
하기 표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의 화합물은 상기한 어세이 (m)에서 시험했을 때 실질적 β-카테닌 유도를 유발하지 않았다. 따라서, β-카테닌의 세포내 농도를 증가하기 위해 시험된 이 화합물들의 능력은 다양한 시험 농도에서 그의 유도효과가 1 μg/mL의 참조 화합물이 나타내는 효과보다 실질적으로 더 낮다는 점에서 음성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388
Figure 112015105507671-pct00389
Figure 112015105507671-pct00390
Figure 112015105507671-pct00391
하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3, 4, 16, 27, 34, 75 및 79의 화합물은 또한, 2일에 걸쳐 수행되고 옥수수 오일(32.5%), 트랜스쿠톨(transcutol) (20%), 메이진(maisine)(12.5%) 및 크레모포르(cremophor) ELP(35%)의 규정된 혼합물을 포함하는 비히클을 사용한 상기한 생체내 어세이 (iv)에서 선별되었다. 조직병리학 분석에서는 실시예 3, 4, 16, 27, 34, 75 및 79의 화합물이 결장 염증의 생체내 모델에서 실질적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화합물들을 5 mg/kg으로 경구 투여했을 때 비히클 대조군과 비교하여 궤양 등급과 상피 복구에서 현저한 개선을 나타냈다. 또한, 이 화합물들은 렉티큘라와 프로프리아층 영역에서 염증 세포 침투의 현저한 감소를 나타냈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392
하기 표 6a 및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3, 4, 16 및 27의 화합물을 또한 상기한 생체내(입양 전달) 어세이 (v)에서 선별하였다. 시험의 종료 시에 미접촉, 대조 및 처리된 동물에서 결장 무게:길이의 상대적 비율의 분석 결과, 실시예 3, 4, 16 및 27의 화합물이 결장 염증의 T 세포 유도성 생체내 모델에서 상당한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393
Figure 112015105507671-pct00394
하기 표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4, 16 및 27의 화합물은 또한 입양 전달 모델에서 마우스의 결장 조직 샘플 내에서 염증전 사이토카인의 농도를 상당히 저하하였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395
하기 표 7a, 7b 및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4, 27, 29, 66 및 75의 화합물은 유리체강내 내독소 LPS(상기한 어세이 (vi) 참조)로 처리된 래트 눈의 전방 및 후방 부위 모두에서 사이토카인 농도를 상당히 저감하였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396
Figure 112015105507671-pct00397
Figure 112015105507671-pct00398
추가 시험의 요약
약동학적 파라미터의 측정
본 발명 화합물의 혈장 약동학 및 총 결장 조직 분포를 조사하기 위해 Sai Life Sciences (Hinjewadi, Pune, India)에 의해 시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약동학 시험은 다음으로 수행하였다:
- 단일 경구 투여한 후, 수컷 C57BL/6 마우스; 및
- 단일 정맥내 또는 경구 투여한 후, 수컷 Wistar 래트.
데이터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실질적 결장 농도를 얻는 반면, 혈장 노출은 매우 낮거나 무시할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399
Figure 112015105507671-pct00400
Figure 112015105507671-pct00401
Figure 112015105507671-pct00402
Figure 112015105507671-pct00403
ADME 파라미터의 측정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에 대한 특정 시험관내 ADME(흡수, 분포, 대사 및 배출) 파라미터의 평가를 BioFocus (Saffron Walden, UK)에 의해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이 인간 간세포에 의해 신속하게 소거되고 시간 의존적 사이토크롬 P450 저해에 대한 장애(liability)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404
Figure 112015105507671-pct00405
Figure 112015105507671-pct00406
hERG 저해 시험
본 발명의 화합물을 인간 에테르 a go-go (hERG) 채널의 저해에 대해 Essen Bioscience (Welwyn Garden City, England)의 IonWorksTM 패치 클램프 전기생리학을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407
대사물질의 분석
실시예 16의 화합물의 대사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래트, 사이노몰거스 마카쿠(Cynomolgus macaque) 또는 인간 간세포와 인큐베이션한 후 BioFocus (Saffron Walden, UK)에 의해 시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6의 화합물(10 μM 초기 농도) 또는 DMSO 대조군의 별도 인큐베이션 (n=3)을 각 종의 냉동보존된 간세포(50만 세포/mL)로 37℃에서 반응 종료 전 0, 60 및 90분 동안 수행하고 아세토니트릴로 화합물을 추출하였다. 샘플 복제물을 분석 전에 모았다.
잠재적 대사물질을 비행시간형(TOF) 및 트리플 쿼드러플(TQ) 질량 분광기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6의 화합물은 간세포에서 9개의 대사물질을 형성하였고, 그 중 8개는 아미드 잔기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의 산화로부터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사이노몰거스 마카쿠 간세포에서 보이는 다른 대사물질은 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 단편에서 산화에 의해 발생하였다. 따라서, 어떤 생성물도 p38α 저해제 BIRB796와 관련된 간독성을 유발하는 현상(Iwano, S., et al., J. Appl. Toxicol. 2011, 31, 671-677)인 나프탈렌 잔기에서의 대사와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인간 간세포 인큐베이션에서 확인된 모든 대사물질은 또한 래트 또는 사이노몰거스 마카쿠 간세포 인큐베이션에서 검출되었다.
변이원성(Mutagenicity) 평가 (박테리아 역돌연변이 선별)
시험관 내에서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 균주 TA98 및 TA100의 두 히스티딘 의존 영양요구성 돌연변이체의 돌연변이를 유도하는 능력에 대해 본 발명 화합물을 평가하기 위해 Sequani (Ledbury, Herefordshire, UK)로 시험을 수행하였다.
돌연변이 선별은 플레이트 결합(incorporation)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하였고 S-9 믹스(Aroclor 1254 처리 래트의 간에서 유래된 간 포스트-미토콘드리아 분획)의 존재 및 부재 하에 수행하였다. 박테리아를 디메틸설폭사이드에 용해된 시험 화합물에 노출하였고, 이 용매는 또한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사용된 투여 농도는 플레이트 당 0.32, 1.6, 8, 40, 200, 1000 또는 5000 μg이었다.
시험 화합물의 분석가능한 처리 농도는 불용성에 의해 플레이트 당 1000 μg으로 제한되었으며, 왜냐하면 플레이트 당 5000 μg에서 관찰된 심각한 침전이 콜로니 스코어링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침전은 또한 S-9 믹스의 존재 및 부재 하에서 플레이트 당 1000 μg에서 두 균주 모두에서 나타났다.
실시예 4, 16, 27 및 75의 화합물은 S-9 믹스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서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 균주의 복귀 콜로니에서 용량 관련 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생성하지 않았다.
가수분해 안정성 시험
본 발명 화합물의 화학적 안정성을 1 mg/mL의 시험 화합물 농도에서 DMSO와 물(3:1)의 혼합물로 평가하였다.
일반적인 HPLC 방법
Agilent, Waters X-Select C18, 2.5 μm, 4.6x30 mm 컬럼, 4 min 방법, 5-95% MeCN/물 (0.1% 포름산).
유속 2.5 ml/min.
컬럼 오븐 온도 40℃.
검출파장 254 nm.
샘플 제조
시험 화합물의 1.0 mg 샘플을 750 μL의 DMSO에 용해하였다. 침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물(250 μL)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안정성 기록
시험 용액의 50 μL 분액을 5 μL HPLC 주입에 의해 듀플리케이트로 분석하였다. 시험 화합물에 대한 피크 면적을 상응하는 UV 트레이스의 메뉴얼 적분 후에 기록하였다.
시험 용액을 교반하면서 60℃로 가열하였고, 50 μL의 분액을 HPLC 분석을 위해 5 및 24 h 시점에 덜어냈다. 모든 경우에서, 5 μL 주입을 사용하였고 샘플은 듀플리케이트로 분석하였다.
시험 화합물의 피크 면적을 2개의 그 다음 시점에 기록하였고 분해율(%)을 시간에 따른 피크 면적의 변화율(%)로부터 계산하였다.
참조 화합물 B (3-에티닐-5-((4-((4-(3-(3-이소프로필-1-(p-톨릴)-1H-피라졸-5-일)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를 시험을 인증하기 위한 대조용으로 각 안정성 시험에 포함시켰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 달리, 참조 화합물은 실험조건하에서 실질적 분해를 일으켰다.
시험 결과를 이하의 표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15105507671-pct00408
약어
AcOH 빙초산
aq 수성
5-ASA 5-아미노살리실산
ATP 아데노신-5'-트리포스페이트
BALF 기관지 폐포성 유출액(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ID 1일 2회(bis in die)
BINAP 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BOP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br 광폭(broad)
BrdU 5-브로모-2'-데옥시우리딘
BSA 소 혈청 알부민
CatCart® 촉매성 카트리지
CDI 1,1-카보닐-디이미다졸
COPD 만성 폐쇄성 폐 질환
d 이중선
dba 디벤질리덴아세톤
DBU 1,8-디아자비사이클로[5.4.0]운데크-7-엔
DCC 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
DCM 디클로로메탄
DIAD 디이소프로필 아조디카복실레이트
DIPEA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DMAP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DMEM 둘베코 변성 이글 배지
DMF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SO 디메틸 설폭사이드
DPPA 디페닐포스포릴 아자이드
d-U937 세포 PMA 분화 U-937 세포
EDTA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ELISA 효소 결합 면역흡착 어세이
(ES-) 전기분무 이온화, 음성 모드
(ES+) 전기분무 이온화, 양성 모드
Et 에틸
Et3N 트리에틸아민
EtOAc 에틸 아세테이트
EtOH 에탄올
FACS 형광 활성화 세포 분류
FBS 소태아혈청
FCS 송아지태아혈청
fMLP 포밀-메티오닐-루실-페닐알라닌
FRET 형광 공명 에너지 전달
GSK3α 글리코겐 신타제 키나제 3α
HBEC 일차 인간 기관지 상피 세포
HBSS 행크(Hank) 밸런스화 염 용액
HPLC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MC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h 또는 hr 시간
HATU 2-(1H-7-아자벤조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
유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OAt 1-하이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
HOBt 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HRP 호스래디쉬 퍼옥시다제
HRV 인간 라이노바이러스
ICAM-1 세포간 부착 분자 1
IFNγ 인터페론-γ
IL 인터루킨
iPrOAc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JNK c-Jun N-말단 키나제
LC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Lck 림프구 특이성 단백질 티로신 키나제
LPS 리포폴리사카라이드
m 다중선
(M+H)+ 프로톤화된 분자 이온
MAPK 미토겐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MAPKAP-K2 미토겐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활성화 단백질 키나제-2
mCPBA 메타-클로로퍼벤조산
Me 메틸
MeCN 아세토니트릴
MeOH 메탄올
MHz 메가헤르츠
min 또는 mins 분
MMAD 질량 중간 공기 역학적 직경
MOI 감염다중도
MPO 미엘로퍼옥시다제
MTT 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
MS 질량 분광학
m/z 질량 대 전하 비
NMP N-메틸 피롤로디논
NMR 핵자기공명(분광학)
OD 광학밀도
PBMC 말초혈액 단핵세포
PBS 인산염 완충 식염수
Ph 페닐
PHA 파이토헤마글루티닌(phytohaemagglutinin)
PMA 포볼(phorbol) 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
pTSA 4-메틸벤젠설폰산(파라-톨루엔설폰산)
PyBOP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q 사중선(quartet)
rt 또는 RT 실온
RP HPLC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rpm 분 당 회전
RPMI Rosewell Park Memorial Institute
RSV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s 단일선
sat 또는 satd 포화
SCID 중증 합병성 면역결핍
SCX 고체 지지 양이온 교환(수지)
SDS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
SNAr 친핵성 방향족 치환
Syk 비장 티로신 키나제
t 삼중선
T3P 1-프로판포스폰산 사이클릭 무수물
TBAF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TBDMS tert-부틸디메틸실릴
TCID50 50% 조직 배양 감염 용량
TEA 트리에틸아민
THF 테트라하이드로퓨란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GFβ 변형성 성장인자 베타
TIPS 트리이소프로필실릴
TMB 3,3',5,5'-테트라메틸벤지딘
TMS-Cl 트리메틸실릴 클로라이드
TNFα 종양괴사인자 알파
접두사 n-, s-, i-, t- 및 tert-는 그의 일반적 의미: 노멀, 2차, 이소 및 3차를 지칭한다.

Claims (31)

  1.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용매화물 또는 동위원소 유도체:
    Figure 112019032834453-pct00427

    상기 화학식 I에서,
    R1A
    C1-6 알콕시, C1-6 알킬, C2-6 알케닐, C2-6 알키닐(여기서 후자의 4 그룹은 임의로 C1-2 알킬, 할로, 하이드록시, 및 C1-2 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된다),
    H, 할로, 시아노,
    페닐 또는 Het1(여기서 후자의 2 그룹은 임의로 C1-2 알킬 및 C1-2 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된다)을 나타내거나,
    R1A R1B는 함께 다음에서 선택된 구조적 단편을 나타내고:
    Figure 112019032834453-pct00428
    또는
    Figure 112019032834453-pct00429

    (상기 식에서, 물결선은 페닐 고리와의 결합점을 나타내고,
    A는 O, S 또는 N(RA2)를 나타내고,
    RA1은 H, C1-4 알킬 또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고,
    RA2는 H 또는 C1-4 알킬을 나타낸다);
    R1B는 -NRXS(O)2RY1, H, 할로, 시아노, -C1-4 알킬렌-CN, -C1-4 알킬렌-OH, -NRXRX1, -C(O)ORX, -C(O)NRXRY, -S(O)2NRXRY, -NRXC(O)RY, -NRX2S(O)2NRXRY, -NRXP(O)RY1RY2, -NRXC(O)ORY1 또는 할로, 하이드록시, C1-2 알킬 및 C1-2 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 Het1을 나타내고;
    RX 및 RX1은 독립적으로 H 또는 C1-6 알킬을 나타내거나, RX 및 RX1은 함께 C3-6 n-알킬렌 또는 C2와 C3 사이에 -O- 또는 -N(RX2)-에 의해 개재된 C4-5 n-알킬렌을 나타내거나, RX1은 할로, 하이드록시, C1-2 알킬 및 C1-2 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 Het1을 나타내고;
    RY, RY1 및 RY2는 독립적으로 C1-6 알킬, C3-7 사이클로알킬, 페닐, 벤질, Het1 또는 Het2(여기서 후자의 6그룹은 C1-2 알킬, 할로, 하이드록시, C1-2 알콕시, NH2, N(H)-C1-4 알킬, N(C1-4 알킬)2, C(O)OH 및 C(O)O-(C1-4 알킬)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다)를 나타내거나,
    RY는 H를 나타내거나,
    RX 및 RY는 함께 C3-6 n-알킬렌 또는 C2 및 C3 사이에 -O- 또는 -N(RX2)-에 의해 개재된 C4-5 n-알킬렌을 나타내고;
    각각의 RX2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1-4 알킬을 나타내고;
    R1C와 R1E는 독립적으로 H, 할로, 시아노 또는 메틸을 나타내지만, 단 R1A, R1B, R1C 및 R1E 중 적어도 하나는 H가 아니고;
    R1D는 트리메틸실릴, C2-7 알킬, C2-7 알케닐, C2-7 알키닐, C3-7 사이클로알킬, 페닐, Het1 또는 Het2를 나타내고(여기서 후자의 7 그룹은 임의로 C1-2 알킬, 할로, 시아노, 하이드록시 및 C1-2 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된다);
    R2 및 R3는, 이들이 결합된 C-원자와 함께 융합된 페닐 또는 피리딜 고리를 형성하거나(여기서 후자의 두 고리는 임의로 C1-3 알킬, C1-3 할로알킬, 시아노 및 할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된다),
    R2 및 R3 중 하나는 H, 할로, 시아노, C1-3 알킬 또는 C1-3 할로알킬을 나타내고, 다른 하나는 독립적으로 할로, 시아노, C1-3 알킬 또는 C1-3 할로알킬을 나타내거나,
    R2 및 R3는 함께 조합하여 C3-5 알킬렌 또는 C3-5 알케닐렌을 나타내고(여기서 후자의 2 그룹은 임의로 C1-3 알킬, C1-3 할로알킬, 시아노 및 할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된다);
    X1은 N 또는 CH를 나타내고;
    L은 직접 결합이거나 C1-2 알킬렌을 나타내고;
    X2 및 X3는 모두 CRZ를 나타내거나 X2 및 X3 중 하나가 N을 나타내고 다른 하나는 CRZ를 나타내고(여기서, RZ는 수소, 할로, 시아노, 하이드록시, C1-3 알킬 또는 C1-3 알콕시를 나타낸다(여기서 후자의 2 그룹은 임의로 하나 이상의 할로 원자로 치환된다));
    R4
    -Q1-[C(R6c)(R6d)-(CH2)0-1CH2-O]1-12-CH2(CH2)0-1CH2-R6a,
    -Q2-C(R6c)(R6d)-[C1-5 알킬렌]-R6a(여기서 C1-5 알킬렌 그룹은 임의로 옥소에 의해 치환된다),
    -S(O)nR6b,
    -COR6b,
    -CH2OH를 나타내거나,
    R1B가 -C(O)NRXRY (여기서 RY는 임의로 치환된 Het1 또는 임의로 치환된 Het2를 나타낸다), 또는 -NRX2S(O)2NRXRY이면, R4는 경우에 따라 H, 할로, 시아노, 하이드록시, C1-3 알킬 또는 C1-3 알콕시를 나타낼 수 있고(여기서 후자의 2 그룹은 임의로 하나 이상의 할로 원자로 치환된다);
    R5는 C2-3 알키닐, H, 시아노, -C(O)NH2, 하이드록시, 또는 할로를 나타내거나 R5는 C1-3 알콕시 또는 C1-3 알킬(여기서 후자의 2 그룹은 임의로 하나 이상의 할로 원자로 치환된다)을 나타내고;
    R6a는 OR7a, N(R7b)R7c 또는 CO2H를 나타내고;
    R6b는 C1-8 알킬, C3-8 사이클로알킬, 페닐, Het1 또는 Het2를 나타내고(여기서 후자의 5그룹은 임의로 할로, 하이드록실, C1-3 알킬 및 C1-3 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된다);
    R6c 및 R6d는 독립적으로 H 또는 메틸을 나타내고;
    R7a 내지 R7c는 독립적으로 H 또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할로 원자로 치환된 C1-4 알킬을 나타내거나, R7b와 R7c가 이들이 결합된 N-원자와 함께, 전체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전체 방향족이고, 하나의 N 원자(R7b 및 R7c가 결합된 원자), 및 임의로 O, S 및 N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 헤테로원자를 함유하고, 임의로 할로, 하이드록시, 옥소, C1-4 알킬 및 C1-4 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된 4-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 그룹을 형성하고;
    Q1 및 Q2는 독립적으로 C(O)NH, O 또는 S(O)p를 나타내고;
    n 및 p는 독립적으로 0, 1 또는 2를 나타내고;
    Het1은, 독립적으로 각각 발생 시에, 전체 방향족인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 그룹을 나타내고, 이 그룹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며;
    Het2는, 독립적으로 각각 발생 시에, 전체 포화되거나 부분 불포화된 4-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 그룹을 나타내고, 이 그룹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Ia, Ib 또는 Ic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용매화물 또는 동위원소 유도체인 화합물:
    Figure 112019032834453-pct00430

    Figure 112019032834453-pct00431

    Figure 112019032834453-pct00432

    상기 식에서, R1A 내지 R1E, R2 내지 R5, X1 내지 X3, L 및 RZ는 제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3. 제1항에 있어서,
    (a) R1A가 H, 할로, C1-4 알킬 또는 C1-4 알콕시를 나타내고, 여기서 후자의 2 그룹은 임의로 하나 이상의 플루오로 원자로 치환되고;
    (b) R1B가 H, 할로, 시아노, -NRXRX1, -C(O)ORX, -C(O)NRXRY, -S(O)2NRXRY, -NRXC(O)RY, -NRXS(O)2RY1, -NRXC(O)ORY1, Het1, -NRX2S(O)2NRXRY, -CH2OH 또는 -CH2CN을 나타내고;
    (c) RX1이 Het1 또는 RX를 나타내고 RX1이 독립적으로 H 또는 C1-4 알킬을 나타내거나, RX와 RX1이 함께 -O- 또는 -N(RX2)-에 의해 C2와 C3 사이에 임의로 개재된 C4-5 n-알킬렌을 나타내며, 여기서 RX2는 H 또는 C1-2 알킬을 나타내고,
    (d) RY가 H, 벤질 또는, 메틸, 할로, 하이드록시 및 메톡시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 Het2를 나타내거나,
    RY와 RY1이 독립적으로 C1-4 알킬, C3-6 사이클로알킬 또는 페닐을 나타내거나(여기서 후자의 3 그룹은 메틸, 할로, 하이드록시, 메톡시, NH2, N(H)-C1-2 알킬, N(C1-2 알킬)2, C(O)OH 및 C(O)O-(C1-2 알킬)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다),
    RX와 RY가 함께 -O- 또는 -N(RX2)-에 의해 C2와 C3 사이에 임의로 개재된 C4-5 n-알킬렌을 나타내며, 여기서 RX2는 H 또는 C1-2 알킬을 나타내고,
    (e) R1C와 R1E가 독립적으로 H 또는 할로를 나타내고,
    (f) R1D가 트리메틸실릴, C3-7 알킬, C(C1-2 알킬)2-C≡CH, C3-5 사이클로알킬, 페닐 또는 Het2를 나타내고(여기서 후자의 3 그룹은 C1-2 알킬, 할로 및 C1-2 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다);
    Het2가 전체 포화 또는 부분 불포화된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 그룹을 나타내고, 여기서 헤테로사이클 그룹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고,
    (g) R2 R3가, 이들이 결합된 C-원자와 함께, 융합된 페닐 고리를 형성하거나, R2 R3가 독립적으로 할로 또는 C1-2 알킬을 나타내거나/내고;
    L이 직접 결합 또는 CH2를 나타내고,
    (h) X2와 X3가 둘다 CH를 나타내거나 하나의 X2가 CH를 나타내고 X3가 N 또는 CRZ (여기서 RZ는 H 또는 할로를 나타낸다)를 나타내고,
    (i) R4
    -Q1-[C(R6c)(R6d)CH2-O]1-8-CH2CH2-R6a,
    -Q2-C(R6c)(R6d)-[C1-4 알킬렌]-R6a (여기서 C1-3 알킬렌 그룹은 임의로 옥소로 치환된다),
    -S(O)nR6b(n은 0 또는 2를 나타낸다),
    -COR6b,
    CH2OH를 나타내거나;
    R1B가 -C(O)NRXRY(여기서 RY는 임의로 치환된 Het2를 나타낸다), 또는 -NRX2S(O)2NRXRY를 나타내면 R4가 경우에 따라 H를 나타낼 수 있고,
    (j) R5가 H, 시아노, 클로로, 플루오로, C2-3 알키닐, C1-2 알킬 또는 C1-2 알콕시를 나타내고, 여기서 후자의 2 그룹은 하나 이상의 플루오로 원자로 임의로 치환되고,
    (k) R6a가 CO2H, OH, O-C1-2 알킬 또는 N(R7b)R7c를 나타내거나;
    R6b가 C1-5 알킬 또는 C3-5 사이클로알킬을 나타내고,
    (l) R7b와 R7c가 독립적으로 H 또는 메틸을 나타내거나, R7b와 R7c가, 이들이 결합하고 있는 N-원자와 함께 전체 포화된 4-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 그룹을 형성하고(여기서 헤테로사이클 그룹은 하나의 N 원자(R7b R7c가 결합된 원자) 및, 임의로 O, S 및 N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추가 헤테로원자를 함유하고, 임의로 하나 이상의 C1-2 알킬 그룹으로 치환된다), 및/또는
    (m) Q1과 Q2가 독립적으로 C(O)NH 또는 O를 나타내는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R1A가 H 또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플루오로 원자로 치환된 C1-2 알콕시를 나타내고;
    R1B가 H, 시아노, -C(O)OH, -C(O)N(CH3)2, 플루오로, 클로로, -C(O)N(H)RY, -NHS(O)2CH3, -N(H)S(O)2NRXRY 또는 Het1을 나타내고;
    RY가 H, Het2, C3-5 사이클로알킬 또는 C1-3 알킬을 나타내거나(여기서 후자의 그룹은 하이드록시, 메톡시, NH2, N(H)CH3, N(CH3)2 또는 C(O)OCH3로 임의로 치환된다);
    RX와 RY가 함께 -O-에 의해 C2와 C3 사이에 임의로 개재된 C4-5 n-알킬렌을 나타내고;
    R1D는 분지된 C4-6 알킬, 모폴리닐 또는 임의로 메틸로 치환된 사이클로프로필을 나타내고;
    R2와 R3가 이들이 결합된 C-원자와 함께 융합된 페닐 고리를 형성하거나 R2와 R3가 모두 클로로를 나타내고;
    R4
    -Q1-[C(H)(R6c)CH2-O]1-6-CH2CH2-R6a,
    -C(O)NH-CH2-[C1-2 알킬렌]-R6a,
    -S(O)2-사이클로프로필을 나타내거나
    R1B가 -C(O)N(H)RY(여기서 RY는 Het2를 나타낸다) 또는 -N(H)S(O)2NRXRY를 나타내면, R4는 경우에 따라 H를 나타낼 수 있고;
    R5가 H, -C≡CH 또는 메톡시를 나타내고(여기서 후자의 그룹은 하나 이상의 플루오로 원자로 임의로 치환된다);
    R6a가 O-CH3 또는 N(R7b)R7c를 나타내고;
    R7b 및 R7c는 둘다 메틸을 나타내거나, R7b 및 R7c는 이들이 결합된 N-원자와 함께, 임의로 메틸이 치환된 피페라지닐 그룹, 피롤리디닐 그룹 또는 모폴리닐 그룹을 형성하고;
    Q1이 C(O)NH 또는 O를 나타내고;
    Het1이 전체 방향족인 5-원 헤테로사이클 그룹을 나타내거나/내고(여기서 헤테로사이클 그룹은 N과 O에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한다);
    Het2가 전체 포화 또는 부분 불포화된 4-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 그룹을 나타내는(여기서 헤테로사이클 그룹은 N, O 및 S에서 선택된 1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한다), 화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다음에서 선택된 화합물: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에티닐-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에티닐-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3-에티닐-5-((4-((4-(3-(3-플루오로-5-모폴리노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N-(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
    N-(5-(tert-부틸)-3-(3-(4-((2-((3-(사이클로프로필설포닐)-5-메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메톡시-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메톡시-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1-(5-(tert-부틸)-2-메톡시페닐)-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아;
    5-(tert-부틸)-3-(3-(4-((2-((3-에티닐-5-((2-모폴리노에틸)카바모일)페닐)아미노) 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N-메틸벤즈아미드;
    N-(5-(tert-부틸)-3-(3-(2,3-디클로로-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페닐)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N-(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
    1-(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3-(2-메톡시-5-모폴리노페닐)우레아;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N-메틸벤즈아미드;
    N-(3-(3-(4-((2-((3-(2,5,8,11,14,17,20-헵타옥사도코산-22-일옥시)-5-메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5-(tert-부틸)-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N-(5-(tert-부틸)-3-(3-(4-((2-((3-(2-(2-(2-(디메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5-메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N-(5-(tert-부틸)-3-(3-(4-((2-((3-(디플루오로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N-(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모폴리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N,N-디메틸벤즈아미드;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조산;
    1-(5-(tert-부틸)-3-시아노-2-메톡시페닐)-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아;
    3-(tert-부틸)-5-(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N-메틸벤즈아미드;
    N-(3-(tert-부틸)-5-(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
    1-(3-아미노-5-(tert-부틸)-2-메톡시페닐)-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아;
    3-(2-(2-(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메톡시벤즈아미도)에톡시)에톡시)-프로판산;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1-(5-(tert-부틸)-2-메톡시-3-(피리미딘-2-일아미노)페닐)-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아;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N-메틸벤즈아미드;
    3-(2-(2-(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메톡시페녹시)에톡시)에톡시)프로판산;
    3-(2-(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메톡시페녹시)에톡시)프로판산;
    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N-메틸-5-모폴리노벤즈아미드;
    5-(tert-부틸)-N-사이클로프로필-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5-(tert-부틸)-N-(2-하이드록시에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N-(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메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
    메틸 2-(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도)아세테이트;
    N-벤질-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5-(tert-부틸)-3-(3-(4-((2-((3-에티닐-5-((2-모폴리노에틸)카바모일)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N-메틸벤즈아미드;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N-(2,5,8,11,14,17,20-헵타옥사도코산-22-일)-5-메톡시-벤즈아미드;
    5-(tert-부틸)-N-에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5-(tert-부틸)-N-이소프로필-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N-(2-메톡시에틸)벤즈아미드;
    2-(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도)아세트산;
    N-(3-(3-(4-((2-((3-(2,5,8,11,14,17,20-헵타옥사도코산-22-일옥시)-5-메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5-(tert-부틸)-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5-(tert-부틸)-N-(2-(디메틸아미노)에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3-((4-((4-(3-(5-(tert-부틸)-3-카바모일-2-메톡시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3-((4-((4-(3-(5-(tert-부틸)-3-카바모일-2-메톡시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N-(5-(tert-부틸)-3-(3-(4-((2-((3-(사이클로프로판카보닐)-5-메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N-(옥세탄-3-일)-벤즈아미드;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2-(2-메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3-((4-((4-(3-(5-(tert-부틸)-3-카바모일-2-메톡시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젠설폰아미드;
    (R)-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에티닐-N-(1-모폴리노프로판-2-일)벤즈아미드;
    (S)-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에티닐-N-(1-모폴리노프로판-2-일)벤즈아미드;
    N-(5-(tert-부틸)-3-(3-(4-((2-((4-클로로-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1-(5-(tert-부틸)-2-메톡시-3-(1,3,4-옥사디아졸-2-일)페닐)-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아;
    (S)-5-(tert-부틸)-3-(3-(4-((2-((3-에티닐-5-((1-모폴리노프로판-2-일)카바모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N-메틸벤즈아미드;
    (R)-5-(tert-부틸)-3-(3-(4-((2-((3-에티닐-5-((1-모폴리노프로판-2-일)카바모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N-메틸벤즈아미드;
    3-((4-((4-(3-(3-(tert-부틸)-5-카바모일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1-(5-(tert-부틸)-2-옥소-2,3-디하이드로벤조[d]옥사졸-7-일)-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아;
    1-(5-(tert-부틸)-2-메틸벤조[d]옥사졸-7-일)-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아;
    3-((4-((4-(3-(3-(tert-부틸)-5-(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3-모폴리노프로필)벤즈아미드;
    (S)-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1-(2-(2-메톡시에톡시)에톡시)프로판-2-일)벤즈아미드;
    (R)-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에티닐-N-(1-(2-(2-메톡시에톡시)에톡시)프로판-2-일)벤즈아미드;
    N-(5-(tert-부틸)-2-에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
    1-(5-(tert-부틸)-2-메톡시-3-(1H-1,2,3-트리아졸-5-일)페닐)-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아;
    N-(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1,1,1-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아미드;
    N-(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사이클로헥산-설폰아미드;
    N-(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피페리딘-1-설폰아미드;
    N-(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디메틸아미노-설폰아미드;
    5-(tert-부틸)-2-메톡시-N-(옥세탄-3-일)-3-(3-(4-((2-(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5-(tert-부틸)-N-(2-(디메틸아미노)에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N-(4-(tert-부틸)-6-(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1,1'-비페닐]-2-일)메탄설폰아미드;
    N-(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모폴린-4-설폰아미드;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N-(옥세탄-3-일)벤즈아미드;
    N-(5-(tert-부틸)-3-(3-(4-((2-((3-(2-(2-(2-하이드록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5-메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2-메톡시페닐)메탄설폰아미드;
    5-(tert-부틸)-2-메톡시-N-(옥세탄-3-일)-3-(3-(4-((2-(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2-(피롤리딘-1-일)에틸)벤즈아미드;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2-(피페리딘-1-일)에틸)벤즈아미드;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2-(4-메틸피페라진-1-일)에틸)벤즈아미드;
    N-(5-(tert-부틸)-2-메톡시-3-(3-(4-((2-(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페닐)모폴린-4-설폰아미드;
    N-(2-아미노에틸)-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5-tert-부틸-2-메톡시-N-(옥세탄-3-일)-3-[[4-[[2-(2-피리딜메틸아미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카바모일아미노]벤즈아미드;
    5-tert-부틸-2-메톡시-3-[[4-[[2-(3-메톡시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카바모일아미노]-N-(옥세탄-3-일)벤즈아미드; 3-[[4-[(2-아닐리노-4-피리딜)옥시]-2,3-디플루오로페닐]카바모일아미노]-5-tert-부틸-2-메톡시-N-(옥세탄-3-일)벤즈아미드;
    3-[[4-[(2-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카바모일아미노]-5-tert-부틸-2-메톡시-N-테트라하이드로피란-4-일-벤즈아미드;
    3-[[4-[(2-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카바모일아미노]-5-tert-부틸-2-메톡시-N-(1-메틸-4-피페리딜)벤즈아미드;
    3-[[4-[(2-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카바모일아미노]-5-tert-부틸-2-메톡시-N-[(3R)-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벤즈아미드;
    3-[[4-[(2-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카바모일아미노]-5-tert-부틸-2-메톡시-N-[(3S)-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벤즈아미드;
    1-[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3-[4-[[2-[3-[2-[2-(2-하이드록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5-메톡시-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우레아;
    1-[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3-[4-[[2-[3-(하이드록시메틸)-5-메톡시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우레아;
    5-tert-부틸-3-[[4-[[2-[3-(하이드록시메틸)-5-메톡시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카바모일아미노]-2-메톡시벤즈아미드;
    5-tert-부틸-3-[[4-[[2-[3-(하이드록시메틸)-5-메톡시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카바모일아미노]-2-메톡시-N-메틸-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메톡시-N-(2-모폴리노-2-옥소-에틸)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하이드록시메틸)-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에티닐-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에티닐-N-[2-(4-메틸피페라진-1-일)에틸]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에티닐-N-(3-모폴리노프로필)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메톡시-N-[2-(4-메틸피페라진-1-일)에틸]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메톡시-N-(3-모폴리노프로필)벤즈아미드;
    5-tert-부틸-3-[[4-[2-[3-에티닐-5-(2-모폴리노에틸카바모일)아닐리노]피리미딘-4-일]옥시-1-나프틸]카바모일아미노]-2-메톡시-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메톡시-N-(2-메틸-2-모폴리노-프로필)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메톡시-N-(2-티오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메톡시-N-[2-(1-옥소-1,4-티아지난-4-일)에틸]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N-[2-(1,1-디옥소-1,4-티아지난-4-일)에틸]-5-메톡시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N-[2-(3,3-디메틸모폴린-4-일)에틸]-5-메톡시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N-[2-(2,2-디메틸모폴린-4-일)에틸]-5-메톡시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N-[2-[(2R,6S)-2,6-디메틸모폴린-4-일]에틸]-5-메톡시-벤즈아미드;
    5-tert-부틸-3-[[4-[[2-[3-에티닐-5-(하이드록시메틸)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카바모일아미노]-2-메톡시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메톡시-N-[2-(4-메틸-1,4-디아제판-1-일)에틸]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메톡시-N-(2-피페라진-1-일에틸)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N-[2-[2-(2-하이드록시에톡시)에톡시]에틸]-5-메톡시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메틸]-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메틸]-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메톡시-N-[2-(2-메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메톡시-N-[2-[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N-[2-(4-하이드록시-1-피페리딜)에틸]-5-메톡시벤즈아미드;
    1-[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설피닐]아닐리노]피리딘-4-일]옥시-1-나프틸]우레아;
    1-[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설포닐]아닐리노]피리딘-4-일]옥시-1-나프틸]우레아;
    5-tert-부틸-3-[[4-[[2-[3-(하이드록시메틸)-5-메톡시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카바모일아미노]-2-메톡시-N-(옥세탄-3-일)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메틸]-5-메톡시-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메틸]-5-메톡시-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1-[5-tert-부틸-3-(시아노메틸)-2-메톡시페닐]-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우레아;
    3-[[4-[[4-[[5-tert-부틸-3-(시아노메틸)-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메톡시-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시아노메틸)-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에티닐-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메톡시-N-[2-(1,4-옥사제판-4-일)에틸]벤즈아미드;
    3-[[4-[[4-[[5-tert-부틸-3-(메탄설폰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모일아미노]-1-나프틸]옥시]-2-피리딜]아미노]-5-메톡시-N-[2-(4-옥소-1-피페리딜)에틸]벤즈아미드; 및
    5-tert-부틸-3-[[4-[[2-[3-에티닐-5-(하이드록시메틸)아닐리노]-4-피리딜]옥시]-1-나프틸]카바모일아미노]-2-메톡시-N-메틸-벤즈아미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용매화물 또는 동위원소 유도체.
  6. 제1항에 있어서, 다음에서 선택된 화합물: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에티닐-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2-모폴리노에틸)벤즈아미드;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N-메틸벤즈아미드;
    5-(tert-부틸)-2-메톡시-3-(3-(4-((2-((3-메톡시-5-(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딘-2-일)아미노)-5-메톡시-N-(3-모폴리노프로필)벤즈아미드; 및
    5-(tert-부틸)-2-메톡시-N-(옥세탄-3-일)-3-(3-(4-((2-(페닐아미노)피리딘-4-일)옥시)-나프탈렌-1-일)우레이도)벤즈아미드,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동위원소 유도체.
  7. 제1항에 있어서, 3-((4-((4-(3-(5-(tert-부틸)-2-메톡시-3-(메틸설폰아미도)페닐)우레이도)-나프탈렌-1-일)옥시)피리미딘-2-일)아미노)-5-에티닐-N-(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벤즈아미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용매화물 또는 동위원소 유도체가 아닌 화합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용매화물 또는 동위원소 유도체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보조제, 희석제 또는 담체와 혼합하여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학 제제.
  9. (A)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용매화물 또는 동위원소 유도체, 및
    (B) 다른 치료제를 포함하고,
    성분 (A)와 (B) 각각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보조제, 희석제 또는 담체와 혼합하여 제제화된, 염증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서 사용하기 위한 조합 제품.
  10. 염증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서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용매화물 또는 동위원소 유도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염증 질환이 낭포성 섬유증, 폐 고혈압, 폐 유육종증, 특발성 폐 섬유증, COPD(만성 기관지염과 폐기종을 포함), 천식, 소아 천식, 아토피성 피부염, 알러지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또는 건선, 알러지성 비염, 비염, 부비동염, 결막염, 알러지성 결막염, 건성각결막염(안구 건조증), 녹내장, 당뇨병성 망막증, 황반부종(당뇨병성 황반부종 포함), 망막 중심 정맥 폐쇄(CRVO), 건조 및 / 또는 함습 연령 관련 황반변성(AMD), 수술 후 백내장 염증, 포도막염(후방, 전방 및 팬(pan) 포도막염 포함), 각막 이식과 각막 윤부 세포 이식 거부증; 글루텐 민감성 장질환 (셀리악병), 호산구성 식도염, 장 이식편 대 숙주질환, 크론병 및 궤양성 대장염을 포함하는 목록에서 선택된 화합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염증 질환이 포도막염, 황반부종 또는 당뇨병성 망막증인, 화합물.
  13. 제12항에 있어서,
    포도막염이 후방 포도막염 또는 팬 포도막염이고/이거나;
    황반부종이 당뇨병성 황반부종인, 화합물.
  14.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용매화물 또는 동위원소 유도체를, 염증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의 제조를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
  15.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1항에 정의된 화학식 I 화합물의 제조방법:
    (a) 화학식 II의 화합물과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반응시키고;
    Figure 112021009237312-pct00433

    Figure 112021009237312-pct00434

    (상기 화학식 II 및 III에서, Z1과 Z2 중 하나는 화학식 IV의 구조 단편이고, Z1과 Z2 중 다른 하나는 화학식 V의 구조 단편이고:
    Figure 112021009237312-pct00435

    Figure 112021009237312-pct00436

    상기 화학식 IV 및 화학식 V에서, R1A 내지 R1E, R2 내지 R5, L 및 X1 내지 X3 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b) 화학식 IIa의 화합물과 적합한 아자이드 형성제를 반응시킨 다음, 분리하지 않고, (화학식 Z1-C(O)-N3의) 중간체 아실 아자이드의 열적 재배열에 의해 제자리에서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제공하고, 이후 이 화합물을 위에서 정의된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반응시키고:
    Figure 112021009237312-pct00437

    (상기 화학식 IIa에서, Z1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c) 화학식 IIb의 화합물과 위에서 정의된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반응시키고:
    Figure 112021009237312-pct00438

    (상기 화학식 IIb에서, LG1은 이탈기를 나타내고, Z1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d) 화학식 VI의 화합물과 화학식 VII의 화합물을 반응시키고:
    Figure 112021009237312-pct00439

    Figure 112021009237312-pct00440

    (상기 화학식 VI에서, LG2는 이탈기를 나타내고, R1A 내지 R1E, R2, R3 및 X1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상기 화학식 VII에서, R4, R5, L, X2 및 X3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e) R4
    -S(O)1-2-[C(R6c)(R6d)-(CH2)0-1CH2-O]1-12-CH2(CH2)0-1CH2-R6a,
    -S(O)1-2-C(R6c)(R6d)-[C1-5 알킬렌]-R6a,
    -S(O)1-2R6b를 나타내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경우,
    R4가 각각
    -S-[C(R6c)(R6d)-(CH2)0-1CH2-O]1-12-CH2(CH2)0-1CH2-R6a,
    -S-C(R6c)(R6d)-[C1-5 알킬렌]-R6a,
    -S-R6b(여기서 R6a 내지 R6d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를 나타내는 상응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산화하고;
    (f) R4
    -C(O)NH-[C(R6c)(R6d)-(CH2)0-1CH2-O]1-12-CH2(CH2)0-1CH2-R6a 또는
    -C(O)NH-C(R6c)(R6d)-[C1-5 알킬렌]-R6a를 나타내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경우,
    화학식 VIIa의 화합물과 화학식 VIIb 또는 VIIc의 화합물을 반응시키고;
    Figure 112021009237312-pct00441

    H2N-[C(R6c)(R6d)-(CH2)0-1CH2-O]1-12-CH2(CH2)0-1CH2-R6a1 VIIb
    H2N-C(R6c)(R6d)-[C1-5 알킬렌]-R6a1 VIIc
    (상기 화학식 VIIa에서, R4'은 H 또는 C1-3 알킬 그룹을 나타내고, R1A 내지 R1E, R2, R3, R5, L 및 X1 내지 X3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상기 화학식 VIIb 및 VIIc에서, R6a, R6c 및 R6d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g) R1B가 -C(O)NRXRY를 나타내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경우, 화학식 VIId의 화합물과 화학식 VIIe의 화합물을 반응시키거나:
    Figure 112021009237312-pct00442

    Figure 112021009237312-pct00443

    (상기 화학식 VIId에서, R1A, R1C, R1D, R1E, R2, R3, X1 내지 X3, L, R4 및 R5는 제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RX는 H 또는 C1-4 알킬을 나타내고,
    상기 화학식 VIIe에서, RX와 RY는 제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h) 화학식 I 화합물의 보호된 유도체를 탈보호한다(여기서 보호된 유도체는 화학식 I 화합물의 O- 또는 N-원자에 보호기를 갖는다).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KR1020157031287A 2013-04-02 2014-04-01 키나제 저해제로서 유용한 우레아 유도체 KR1022838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305945.6 2013-04-02
GB201305945A GB201305945D0 (en) 2013-04-02 2013-04-02 New compounds
GBGB1322678.2A GB201322678D0 (en) 2013-12-20 2013-12-20 New compounds
GB1322678.2 2013-12-20
GB1402647.0 2014-02-14
GB201402647A GB201402647D0 (en) 2014-02-14 2014-02-14 New compounds
PCT/GB2014/051022 WO2014162126A1 (en) 2013-04-02 2014-04-01 Urea derivatives useful as kinase inhibit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855A KR20150138855A (ko) 2015-12-10
KR102283876B1 true KR102283876B1 (ko) 2021-07-29

Family

ID=5043422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1292A KR102283883B1 (ko) 2013-04-02 2014-04-01 키나제 저해제
KR1020217023664A KR102340654B1 (ko) 2013-04-02 2014-04-01 키나제 저해제
KR1020157031287A KR102283876B1 (ko) 2013-04-02 2014-04-01 키나제 저해제로서 유용한 우레아 유도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1292A KR102283883B1 (ko) 2013-04-02 2014-04-01 키나제 저해제
KR1020217023664A KR102340654B1 (ko) 2013-04-02 2014-04-01 키나제 저해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5) US8927563B2 (ko)
EP (2) EP2981535B8 (ko)
JP (2) JP6464384B2 (ko)
KR (3) KR102283883B1 (ko)
CN (2) CN105408315B (ko)
AU (2) AU2014246866B2 (ko)
BR (2) BR112015024678B1 (ko)
CA (1) CA2907663A1 (ko)
DK (2) DK2981535T3 (ko)
EA (2) EA030483B1 (ko)
ES (2) ES2856902T3 (ko)
MX (2) MX363950B (ko)
TW (1) TWI641592B (ko)
WO (2) WO20141621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09257C (en) 2007-12-19 2016-12-13 Cancer Research Technology Limited Pyrido[2,3-b]pyrazine-8-substituted compounds and their use
DK2531502T3 (da) 2010-02-01 2014-05-19 Cancer Rec Tech Ltd 1-(5-tert-butyl-2-phenyl-2h-pyrazol-3-yl)-3-[2-fluoro-4-(1-methyl-2-oxo-2,3-dihydro-1h-imidazo[4,5-b]pyridin-7-yloxy)-phenyl]-urea og associerede forbindelser og ders anvendelse i terapi
PT2763984T (pt) 2011-10-03 2016-07-25 Respivert Ltd 1-pirazolil-3-(4-((2-anilinopirimidin-4-il)oxi)naftalen-1-il) ureias como inibidores da map cinase p38
EP2578582A1 (en) 2011-10-03 2013-04-10 Respivert Limited 1-Pyrazolyl-3-(4-((2-anilinopyrimidin-4-yl)oxy)napththalen-1-yl)ureas as p38 MAP kinase inhibitors
GB201214750D0 (en) 2012-08-17 2012-10-03 Respivert Ltd Compounds
EP2890460B1 (en) 2012-08-29 2017-02-22 Respivert Limited Kinase inhibitors
EP2890701B1 (en) 2012-08-29 2017-03-29 Respivert Limited Kinase inhibitors
EP2890695A2 (en) 2012-08-29 2015-07-08 Respivert Limited Kinase inhibitors
EP2925742B1 (en) 2012-11-16 2016-10-26 Respivert Limited Kinase inhibitors
US20160016934A1 (en) 2013-03-14 2016-01-21 Respivert Limited Kinase inhibitors
MX363950B (es) 2013-04-02 2019-04-08 Topivert Pharma Ltd Derivados de urea utiles como inhibidores de quinasa.
EP2981534B1 (en) 2013-04-02 2017-07-19 Topivert Pharma Limited Kinase inhibitors based upon n-alkyl pyrazoles
GB201320729D0 (en) 2013-11-25 2014-01-08 Cancer Rec Tech Ltd Therapeutic compounds and their use
GB201320732D0 (en) 2013-11-25 2014-01-08 Cancer Rec Tech Ltd Methods of chemical synthesis
US9890185B2 (en) 2013-12-20 2018-02-13 Respivert Limited Urea derivatives useful as kinase inhibitors
JP6630280B2 (ja) 2014-02-14 2020-01-15 レスピバート・リミテツド 抗炎症化合物としての芳香族複素環化合物
MA40774A (fr) * 2014-10-01 2017-08-08 Respivert Ltd Dérivés de diaryle-urée en tant qu'inhibiteurs de kinase p38
EP3394059B1 (en) 2015-12-23 2020-11-25 Chiesi Farmaceutici S.p.A. 1-(3-tert-butyl-phenyl)-3-(4-([1,2,4]triazolo[4,3-a]pyridin-6-yloxy)-1,2,3,4-tetrahydro- naphthalen-1-yl)-urea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p38 mapk inhibitors
KR102387073B1 (ko) 2016-04-06 2022-04-15 옥슬러 액퀴지션즈 리미티드 키나제 저해제
US10342786B2 (en) 2017-10-05 2019-07-09 Fulcrum Therapeutics, Inc. P38 kinase inhibitors reduce DUX4 and downstream gene expression for the treatment of FSHD
HRP20221196T1 (hr) 2017-10-05 2022-12-09 Fulcrum Therapeutics, Inc. Inhibitori p38 kinaze smanjuju ekspresiju dux4 i nizvodnih gena u cilju liječenja fshd
CN110878055B (zh) * 2018-09-06 2021-02-05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一种制备羰基杂环类化合物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14870A1 (en) 2002-08-08 2004-02-19 Boehringer Ingelheim Pharmaceuticals, Inc. Fluorinated phenyl-naphthalenyl-urea compounds as inhibitors of cytokines involved in inflammatory processes
WO2014027209A1 (en) 2012-08-17 2014-02-20 Respivert Limited Pyrazolyl-ureas as kinase inhibitors

Family Cites Families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1019040E (pt) 1997-05-23 2005-01-31 Bayer Pharmaceuticals Corp Inibicao da actividade de p38-quinase por meio de arilureias
JP2001521934A (ja) 1997-11-03 2001-11-13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抗炎症薬としての芳香族ヘテロ環式化合物
EP1158985B1 (en) 1999-01-13 2011-12-28 Bayer HealthCare LLC OMEGA-CARBOXY ARYL SUBSTITUTED DIPHENYL UREAS AS p38 KINASE INHIBITORS
EP1140840B1 (en) 1999-01-13 2006-03-22 Bayer Pharmaceuticals Corp. -g(v)-carboxyaryl substituted diphenyl ureas as raf kinase inhibitors
UA73492C2 (en) 1999-01-19 2005-08-15 Aromatic heterocyclic compounds as antiinflammatory agents
NZ514711A (en) 1999-03-12 2004-02-27 Boehringer Ingelheim Pharma Compounds useful as anti-inflammatory agents
ES2253233T3 (es) 1999-07-09 2006-06-01 Boehringer Ingelheim Pharmaceuticals Inc. Procedimiento para sintesis de compuestos de urea heteroaril sustituidos.
ES2292488T3 (es) 1999-11-16 2008-03-16 Boehringer Ingelheim Pharmaceuticals Inc. Derivados de la urea, como agentes antiinflamatorios.
US6525046B1 (en) 2000-01-18 2003-02-25 Boehringer Ingelheim Pharmaceuticals, Inc. Aromatic heterocyclic compounds as antiinflammatory agents
US6492529B1 (en) 2000-01-18 2002-12-10 Boehringer Ingelheim Pharmaceuticals, Inc. Bis pyrazole-1H-pyrazole intermediates and their synthesis
EP1381594A1 (en) 2001-04-13 2004-01-21 Boehringer Ingelheim Pharmaceuticals Inc. Urea compounds useful as anti-inflammatory agents
EP1381592A1 (en) * 2001-04-13 2004-01-21 Boehringer Ingelheim Pharmaceuticals Inc. 1,4-disubstituted benzo-fused compounds
EP1392661A1 (en) 2001-05-16 2004-03-03 Boehringer Ingelheim Pharmaceuticals Inc. Diarylurea derivatives useful as anti-inflammatory agents
EP1395561A1 (en) 2001-05-25 2004-03-10 Boehringer Ingelheim Pharmaceuticals Inc. Carbamate and oxamide compounds as inhibitors of cytokine production
ES2284887T3 (es) 2001-07-11 2007-11-16 Boehringer Ingelheim Pharmaceuticals Inc. Metodos para tratar enfermedades transmitidas por citocinas.
WO2003068223A1 (en) 2002-02-11 2003-08-21 Bayer Corporation Aryl ureas with raf kinase and angiogenesis inhibiting activity
SI1478358T1 (sl) 2002-02-11 2013-09-30 Bayer Healthcare Llc Sorafenib tozilat za zdravljenje bolezni, značilnih po abnormalni angiogenezi
ES2299689T3 (es) 2002-02-25 2008-06-01 Boehringer Ingelheim Pharmaceuticals Inc. Compuestos de cicloalquil-uera fusionada con benzo 1,4-disustituido, utiles para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por citoquinas.
PE20040522A1 (es) * 2002-05-29 2004-09-28 Novartis Ag Derivados de diarilurea dependientes de la cinasa de proteina
US20050014753A1 (en) 2003-04-04 2005-01-20 Irm Llc Novel compounds and compositions as protein kinase inhibitors
WO2004113352A1 (en) 2003-06-19 2004-12-29 Amedis Pharmaceuticals Ltd. Silylated heterocyclylurea derivatives as cytokine-inhibitors
CA2530776A1 (en) 2003-06-30 2005-01-20 Boehringer Ingelheim Pharmaceuticals, Inc. Process of making di-aryl urea compounds
RU2006108864A (ru) 2003-08-22 2007-09-27 Берингер Ингельхайм Фармасьютиклз, Инк. (Us) Способы лечения хронического обструктивного заболевания легких (хозл) и легочной гипертензии
US7749999B2 (en) 2003-09-11 2010-07-06 Itherx Pharmaceuticals, Inc. Alpha-ketoamides and derivatives thereof
WO2005044825A1 (en) 2003-10-21 2005-05-19 Amedis Pharmaceuticals Ltd. Silicon compounds and their use
RU2006122853A (ru) 2003-11-28 2008-01-10 Новартис АГ (CH) Производные диарилмочевины для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й, зависимых от протеинкиназы
US20060035893A1 (en) 2004-08-07 2006-02-16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respiratory and gastrointestinal disorders
GB0423554D0 (en) 2004-10-22 2004-11-24 Cancer Rec Tech Ltd Therapeutic compounds
TW200740820A (en) 2005-07-05 2007-11-01 Takeda Pharmaceuticals Co Fused heterocyclic derivatives and use thereof
TWI325423B (en) 2005-10-28 2010-06-01 Lilly Co Eli Kinase inhibitors
US7790756B2 (en) 2006-10-11 2010-09-07 Deciphera Pharmaceuticals, Llc Kinase inhibitors useful for the treatment of myleoproliferative diseases and other proliferative diseases
CN102256964A (zh) 2008-10-02 2011-11-23 瑞斯比维特有限公司 p38MAP激酶抑制剂
GB0818033D0 (en) 2008-10-02 2008-11-05 Respivert Ltd Novel compound
US8299074B2 (en) 2008-12-11 2012-10-30 Respivert Ltd. P38 MAP kinase inhibitors
GB0905955D0 (en) 2009-04-06 2009-05-20 Respivert Ltd Novel compounds
MA33418B1 (fr) 2009-06-10 2012-07-03 Chugai Pharmaceutical Co Ltd Composé tétracyclique
GB0921731D0 (en) 2009-12-11 2010-01-27 Respivert Ltd Theraputic uses
GB0921730D0 (en) 2009-12-11 2010-01-27 Respivert Ltd Method of treatment
CN102892752B (zh) 2010-03-15 2015-03-25 宇部兴产株式会社 制备酰胺化合物的方法
GB201005589D0 (en) 2010-04-01 2010-05-19 Respivert Ltd Novel compounds
US9024041B2 (en) 2010-04-08 2015-05-05 Respivert Ltd. P38 MAP kinase inhibitors
JP5787976B2 (ja) 2010-04-08 2015-09-30 レスピバート・リミテツド P38mapキナーゼ阻害剤としてのピラゾリルウレア
GB201009731D0 (en) * 2010-06-10 2010-07-21 Pulmagen Therapeutics Inflamma Kinase inhibitors
GB201010193D0 (en) 2010-06-17 2010-07-21 Respivert Ltd Medicinal use
US8933228B2 (en) 2010-06-17 2015-01-13 Respivert, Ltd. Respiratory formulations and compounds for use therein
GB201010196D0 (en) 2010-06-17 2010-07-21 Respivert Ltd Methods
KR20130141500A (ko) * 2010-09-29 2013-12-26 크리스탈지노믹스(주) 단백질 키나제 억제 활성을 갖는 신규한 아미노퀴나졸린 화합물
PT2763984T (pt) * 2011-10-03 2016-07-25 Respivert Ltd 1-pirazolil-3-(4-((2-anilinopirimidin-4-il)oxi)naftalen-1-il) ureias como inibidores da map cinase p38
EP2578582A1 (en) 2011-10-03 2013-04-10 Respivert Limited 1-Pyrazolyl-3-(4-((2-anilinopyrimidin-4-yl)oxy)napththalen-1-yl)ureas as p38 MAP kinase inhibitors
ES2612259T3 (es) 2011-12-09 2017-05-16 Chiesi Farmaceutici S.P.A. Inhibidores de cinasa
GB201215357D0 (en) 2012-08-29 2012-10-10 Respivert Ltd Compounds
EP2890701B1 (en) 2012-08-29 2017-03-29 Respivert Limited Kinase inhibitors
EP2890460B1 (en) 2012-08-29 2017-02-22 Respivert Limited Kinase inhibitors
EP2890695A2 (en) 2012-08-29 2015-07-08 Respivert Limited Kinase inhibitors
EP2925742B1 (en) 2012-11-16 2016-10-26 Respivert Limited Kinase inhibitors
US20160016934A1 (en) 2013-03-14 2016-01-21 Respivert Limited Kinase inhibitors
MX363950B (es) * 2013-04-02 2019-04-08 Topivert Pharma Ltd Derivados de urea utiles como inhibidores de quinasa.
EP2981534B1 (en) 2013-04-02 2017-07-19 Topivert Pharma Limited Kinase inhibitors based upon n-alkyl pyrazoles
US9890185B2 (en) 2013-12-20 2018-02-13 Respivert Limited Urea derivatives useful as kinase inhibitors
JP6630280B2 (ja) 2014-02-14 2020-01-15 レスピバート・リミテツド 抗炎症化合物としての芳香族複素環化合物
MA40774A (fr) 2014-10-01 2017-08-08 Respivert Ltd Dérivés de diaryle-urée en tant qu'inhibiteurs de kinase p38
KR102387073B1 (ko) * 2016-04-06 2022-04-15 옥슬러 액퀴지션즈 리미티드 키나제 저해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14870A1 (en) 2002-08-08 2004-02-19 Boehringer Ingelheim Pharmaceuticals, Inc. Fluorinated phenyl-naphthalenyl-urea compounds as inhibitors of cytokines involved in inflammatory processes
WO2014027209A1 (en) 2012-08-17 2014-02-20 Respivert Limited Pyrazolyl-ureas as kinase inhibi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4246866A1 (en) 2015-10-01
ES2856902T3 (es) 2021-09-28
US20180044288A1 (en) 2018-02-15
KR102340654B1 (ko) 2021-12-16
EP2981526B1 (en) 2021-11-03
KR102283883B1 (ko) 2021-07-29
JP6495238B2 (ja) 2019-04-03
EA030483B1 (ru) 2018-08-31
AU2014246870B2 (en) 2018-05-24
MX2015013945A (es) 2015-12-11
EA201591907A1 (ru) 2016-02-29
AU2014246870A1 (en) 2015-10-01
KR20150136536A (ko) 2015-12-07
EP2981535B8 (en) 2021-03-10
BR112015024678A2 (pt) 2017-07-18
DK2981535T3 (da) 2021-03-01
AU2014246866B2 (en) 2018-05-10
JP6464384B2 (ja) 2019-02-06
CA2907663A1 (en) 2014-10-09
JP2016519680A (ja) 2016-07-07
EP2981535B1 (en) 2020-12-16
MX363950B (es) 2019-04-08
WO2014162126A1 (en) 2014-10-09
AU2014246870C1 (en) 2018-09-13
US20140296208A1 (en) 2014-10-02
CN105408315A (zh) 2016-03-16
MX2015013944A (es) 2015-12-11
DK2981526T3 (da) 2022-02-07
EA201591906A1 (ru) 2016-03-31
US20150166483A1 (en) 2015-06-18
US20160376232A1 (en) 2016-12-29
US9481648B2 (en) 2016-11-01
KR20210096313A (ko) 2021-08-04
JP2016515606A (ja) 2016-05-30
BR112015024678B1 (pt) 2023-02-23
TW201529556A (zh) 2015-08-01
CN105408315B (zh) 2018-09-14
EP2981535A1 (en) 2016-02-10
CN105246884A (zh) 2016-01-13
EP2981526A1 (en) 2016-02-10
US20140296271A1 (en) 2014-10-02
TWI641592B (zh) 2018-11-21
US8927563B2 (en) 2015-01-06
CN105246884B (zh) 2018-05-22
ES2904277T3 (es) 2022-04-04
MX363949B (es) 2019-04-08
US9790174B2 (en) 2017-10-17
KR20150138855A (ko) 2015-12-10
EA027782B1 (ru) 2017-08-31
WO2014162122A1 (en) 2014-10-09
US10435361B2 (en) 2019-10-08
BR112015024671A2 (pt) 201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3876B1 (ko) 키나제 저해제로서 유용한 우레아 유도체
US10941115B2 (en) Kinase inhibitors
JP6514703B2 (ja) キナーゼインヒビターとして有用な尿素誘導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