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309B1 - 화장재 - Google Patents

화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309B1
KR102274309B1 KR1020187029741A KR20187029741A KR102274309B1 KR 102274309 B1 KR102274309 B1 KR 102274309B1 KR 1020187029741 A KR1020187029741 A KR 1020187029741A KR 20187029741 A KR20187029741 A KR 20187029741A KR 102274309 B1 KR102274309 B1 KR 102274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smetic material
resin
hardness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9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9823A (ko
Inventor
마사후미 시미즈
고우지 도이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9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the layer being formed of fibres, chips, or particles, e.g. MDF, HDF, OSB, chipboard, particle board, h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4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for securing layers together; for attaching the product to another member, e.g. to a support, or to another product, e.g. groove/tongue, inter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5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44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5Polyolef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3Coloured on the layer surface, e.g. 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6Hard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4Scratch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 B32B2607/02Wall papers, wall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04F2290/04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with a bottom layer f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용 화장재로서 이용하였을 때에 내상성에 더하여 우수한 쾌적성(보행감, 착좌감 등)을 갖는 화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는, 기재층의 상측에, 상기 기재층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층, 제2 층 및 합성 수지제의 제3 층을 구비하는 화장재로서, 상기 제1 층의 경도를 H1, 상기 제2 층의 경도를 H2, 상기 제3 층의 경도를 H3으로 한 경우에, H1<H2<H3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장재
본 발명은 화장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옥의 바닥용 화장재로서 이용되는 목질계 화장판으로서는, 양질의 원목으로부터 얻어지는 목질 기재(예컨대, 활엽수의 나왕 합판)의 상면에 접착제를 통해, 천연목의 의장을 갖는 화장 시트를 점착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시트 첩부 플로어재로서, 내상 성능을 높인 상품, 의장 평가가 높은 상품 등이 많이 판매되고 있고, 주택용 부재로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목질계 화장재는 지나치게 딱딱한 경우가 있어, 피로하기 쉽고, 착좌감이 좋지 않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그래서, 최근, 목질 기재와 화장 시트 사이에 코르크 시트를 적층하여, 코르크 시트가 갖는 완충성(부드러움) 등을 부여한 화장재가 개발되어 있어, 부드러움에 기초하여 보행감이나 착좌감이 개선된다고 되어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직사각 형상의 목질 기재의 표면에 코르크층과 수지 시트층이 이 순서로 접착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질 바닥재.(청구항 1)」가 개시되어 있고, 「시공 후의 플로어링은 코르크 재료가 갖는 완충성(쿠션성)이나 보온성 또는 주거 환경에 대한 안락함을 갖출 수 있다.」라고 기재되어 있다([0020] 단락).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목질 바닥재는, 보행감이나 착좌감이 개선되는 데 대하여, 내상성이 저하하거나, 목질 기재의 불균일(표면이 물결치거나 요철이 있는 평탄하지 않은 상태), 마디 등의 영향이 목질 바닥재의 표면에 나타나거나 하는 등의 새로운 과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기재 시트의 겉면에 1 또는 2 이상의 층이 적층되어 있는 화장 시트 중간체와, 상기 기재 시트의 이면에 합성 수지제 백커층을 갖는 바닥재용 화장 시트로서, 상기 합성 수지층제 백커층은, 경질층과 연질층으로 이루어지는 2층 이상으로 구성되고, 적어도 기재 시트에 접하는 층은 경질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화장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바닥재용 화장 시트는, 경질층과 연질층의 2층 이상으로 구성되는 합성 수지제 백커층을 가짐으로써, 내상성을 유지하면서 완충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소비자의 요구의 높아짐에 따라 화장재에 추가적인 보행감이나 착좌감의 향상이 요구되어 오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2440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06654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화장재에는, 바닥용 화장재로서 이용하였을 때에 내상성에 더하여 우수한 쾌적성(보행감, 착좌감 등)을 갖는 것은 얻어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닥용 화장재로서 이용하였을 때에 내상성에 더하여 우수한 쾌적성(보행감, 착좌감 등)을 갖는 화장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기재층의 상측에, 경도가 커지는 순으로 제1 층, 제2 층 및 합성 수지제의 제3 층을 적층하는 경우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의 화장재에 관한 것이다.
1. 기재층의 상측에, 상기 기재층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층, 제2 층 및 합성 수지제의 제3 층을 구비하는 화장재로서, 상기 제1 층의 경도를 H1, 상기 제2 층의 경도를 H2, 상기 제3 층의 경도를 H3으로 한 경우에, H1<H2<H3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재.
2. 상기 제1 층은 발포 수지층인, 상기 항 1에 기재된 화장재.
3. 상기 제2 층은 코르크재층인, 상기 항 1 또는 2에 기재된 화장재.
4. 상기 기재층의 하측에, 완충층을 더 갖는, 상기 항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재.
5. 압축 시험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화장재의 상측으로부터 직경 10 ㎜의 원기둥형 지그를 일정 속도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화장재를 압축하였을 때의 하중이 100 N에 달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변위량이 300 ㎛ 이상인, 상기 항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재.
6. 바닥용 화장재인, 상기 항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재.
본 발명의 화장재는, 기재층의 상측에, 상기 기재층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층, 제2 층 및 합성 수지제의 제3 층을 구비하는 화장재로서, 상기 제1 층의 경도를 H1, 상기 제2 층의 경도를 H2, 상기 제3 층의 경도를 H3으로 한 경우에, H1<H2<H3의 조건을 만족시킴으로써, 바닥용 화장재로서 이용하였을 때에 내상성에 더하여 우수한 쾌적성(보행감, 착좌감 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화장재는 내장재, 외장재 등을 불문하고 바닥용 화장재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장재의 일양태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장재의 일양태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화장재의 일양태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4는 화장재의 압축 시험에 이용하는 압축 시험 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마르텐스 경도의 측정에 이용하는 다이아몬드 압자(a-1, a-2), 압입 조작의 모식도(b) 및 제3 층의 마르텐스 경도의 측정에 있어서의 압입 하중과 변위의 일례(c)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화장재는 기재층의 상측에, 상기 기재층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층, 제2 층 및 합성 수지제의 제3 층을 구비하는 화장재로서, 상기 제1 층의 경도를 H1, 상기 제2 층의 경도를 H2, 상기 제3 층의 경도를 H3으로 한 경우에, H1<H2<H3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화장재는, 바닥용 화장재로서 이용하였을 때에 내상성에 더하여 우수한 쾌적성(보행감, 착좌감 등)을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화장재는, 내장재, 외장재 등을 불문하고 바닥용 화장재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도 1∼도 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화장재를 구성하는 각 층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도 3은 본 발명의 화장재의 일양태이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기재(1)로부터 보아 제1 층 등이 위치하는 방향을 「상」 또는 「표(表)」라고 칭하고, 기재(1)로부터 보아 상기 방향과 반대측을 「하」 또는 「이(裏)」라고 칭한다.
또한, 수치 범위에 대해서는, 「이상」, 「이하」라고 명기하고 있는 부분을 제외하고, 「∼」로 나타내는 수치 범위는 「이상」, 「이하」를 의미한다. 예컨대, 2∼15 ㎜는 2 ㎜ 이상 15 ㎜ 이하를 의미한다.
기재층(1)
기재층(1)으로서는 한정적이지 않지만, 예컨대, 중밀도 목질 섬유판(MDF), 고밀도 목질 섬유판(HDF), 파티클 보드(PB), 침엽수 합판, 활엽수 합판, 조성수(早成樹) 합판, 수지판[폴리염화비닐(PVC),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등] 등의 적어도 1종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침엽수로서는, 예컨대, 분비나무, 낙엽송, 가문비나무, 삼목, 노송나무, 소나무, 세쿼이아, 등피 등을 들 수 있다. 활엽수로서는, 예컨대, 나왕, 시나, 부들, 음나무, 너도밤나무, 졸참나무, 메란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조성수로서는, 포플러, 팔카타(falcata), 아카시아, 카메레레, 유칼리, 테르미날리아 등을 들 수 있다.
침엽수 합판, 활엽수 합판, 조성수 합판 등의 목질 합판을 이용하는 경우의 목질 단판의 적층수(플라이수)는 한정적이지 않지만, 통상 3∼7장이 바람직하고, 5∼7장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목질 합판 제작 시에 이용하는 접착제도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목공용 접착제를 널리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폴리초산비닐,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부타디엔-아크릴니트릴 고무, 네오프렌 고무, 천연 고무 등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접착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열 경화형 접착제로서, 멜라민계, 페놀계, 유리어계(초산비닐-요소계 등) 등의 접착제도 들 수 있다.
기재층(1)의 두께는 한정적이지 않지만, 2∼15 ㎜ 정도가 바람직하고, 2∼12 ㎜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1 층 , 제2 층 제3 층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제1 층의 두께는 0.5∼3.0 ㎜ 정도로서, 경도는 0.1∼5 N/㎟ 정도가 바람직하다. 제2 층의 두께는 0.5∼3.0 ㎜ 정도로서, 경도는 1∼50 N/㎟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제3 층의 두께는 0.1∼1.0 ㎜ 정도로서, 경도는 20∼250 N/㎟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각 층의 경도는, 하기의 마르텐스 경도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한 경도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각 층의 마르텐스 경도는, 표면 피막 물성 시험기(PICODENTOR HM-500, 가부시키사이샤 피셔·인스트루먼트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값이고, 구체적인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 층 및 제2 층에 대해서는, 도 5의 (a-1)에 나타내는 공기 형태의 다이아몬드 압자[직경(d)=0.4 ㎜]를 이용하여,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정 시료에 다이아몬드 압자를 압입하여, 표면에 생긴 공기 형태의 오목부의 직경의 길이로부터 그 표면적[A(㎟)]을 계산하고, 시험 하중[F(N)]을 나눔으로써 경도를 구한다.
압입 조건은, 실온(실험실 환경 온도)에 있어서, 압입 속도를 일정[(√(F[N]))/t[sec.]=0.01〔㎜/sec.〕]하게 하여, 먼저 깊이 0∼120 ㎛까지 압입하고, 깊이 120 ㎛에서 5초간 유지한 후, 압입 시와 동일한 속도로 제하한다. 그리고, 표면적(A), 시험 하중(F)에 기초하여 F/A에 의해 구해지는 경도가 상기 마르텐스 경도이다.
한편, 제3 층에 대해서는, 도 5의 (a-2)에 나타내는 사각추 형태의 다이아몬드 압자를 이용하여,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정 시료에 다이아몬드 압자를 압입하고, 표면에 생긴 사각추 형태(피라미드 형태)의 오목부의 대각선의 길이로부터 그 표면적[A(㎟)]을 계산하고, 시험 하중[F(N)]을 나눔으로써 경도를 구한다.
압입 조건은, 실온(실험실 환경 온도)에 있어서, 도 5의 (c)에 나타내는 이미지도와 같이, 먼저 0∼300 mN까지의 부하를 10초간 더하고, 다음에 300 mN의 부하로 5초간 유지하고, 마지막에 300∼0 mN까지의 제하를 10초간 행한다. 그리고, 표면적(A), 시험 하중(F)에 기초하여 F/A에 의해 구해지는 경도가 상기 마르텐스 경도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측정 대상이 되는 층 이외의 경도의 영향을 회피하기 위해 각 층의 단면의 마르텐스 경도를 측정하였다. 이에 있어서, 각 층을 수지(냉간 경화 타입의 에폭시 2액 경화 수지)로 포매하여, 실온에서 24시간 이상 방치하여 경화시킨 후, 경화한 포매 샘플을 기계 연마하여 각 층의 단면을 노출시키고, 그 단면에 다이아몬드 압자를 압입함으로써 단면의 마르텐스 경도를 측정하였다.
제1 층(도 1∼3의 부호 2)
제1 층은 상기 3층(제1 층, 제2 층 및 제3 층) 중에서 가장 경도가 낮은 층이다. 경도는 0.1∼5 N/㎟ 정도이고, 그 중에서도 0.1∼2 N/㎟ 정도가 바람직하다.
제1 층으로서는, 예컨대, 발포 수지층(발포 접착제층인 경우를 포함함)이어도 좋고, 엘라스토머층 등이어도 좋다.
발포 수지층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고무의 경우도 포함함)은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아크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EMMA),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폴리초산비닐,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메틸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ABS, 부타디엔-아크릴니트릴 고무, 네오프렌 고무, 천연 고무, 아이오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 성분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에틸렌(PE),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등이 바람직하다.
발포제로서는, 예컨대,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암모늄, 탄산암모늄, 아질산암모늄 등의 무기 발포제, N,N'-디메틸-N,N'-디니트로소테레프탈아미드, N,N'-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민 등의 니트로소 화합물, 아조디카본아미드, 아조비스포름아미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시클로헥실니트릴, 아조디아미노벤젠, 바륨·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등의 아조 화합물, 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 톨루엔술포닐히드라지드,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 디페닐술폰-3,3'-디술포닐히드라지드 등의 술포닐히드라지드 화합물, 칼슘아지드, 4,4'-디페닐디술포닐아지드, p-톨루엔술포닐아지드 등의 아지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열 분해형 발포제이다.
발포제의 함유량은, 발포제의 종류, 발포 배율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열 분해형 발포제를 사용한 경우는, 가열함으로써 발포시킬 수 있고, 가열 조건은 열 분해형 발포제의 분해에 의해 원하는 발포 수지층를 얻을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발포 수지층의 발포 셀은 연속 기포가 아니라 독립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발포제를 사용하는 양태에 대해서 예시하였지만, 초임계 발포 기술 등, 발포제를 사용하지 않는 양태로 독립된 발포 셀을 갖는 발포 수지층을 얻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발포제를 사용하지 않는 발포 기술에 의해 발포 수지층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수지 성분의 종류에 따라서는 발포 수지층이 발포 접착제층으로서의 역할을 겸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그 경우에는 제1 층을 접착제층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제2 층(도 1∼3의 부호 3)
제2 층은, 상기 3층(제1 층, 제2 층 및 제3 층) 중에서 중간의 경도를 갖는 층이다. 경도는 1∼50 N/㎟ 정도이고, 그 중에서도 1.5∼30 N/㎟ 정도가 바람직하다.
제2 층으로서는, 예컨대, 코르크재층이어도 좋고, 코르크재와 비슷한 물성을 갖는 고무층, 중밀도 목질 섬유판(MDF), 엘라스토머층 등이어도 좋다. 코르크재로서는, 코르크나무의 나무껍질의 코르크 조직을 박리 및 가공한 탄력성이 풍부한 소재인 소위 천연 코르크뿐만 아니라, 코르크와 비슷하게 하여 만들어진 소위 합성 코르크도 들 수 있다. 또한, 엘라스토머층을 구성하는 엘라스토머로서는, 스티렌계, 올레핀계, 염화비닐계, 우레탄계, 아미드계의 TPE(열 가소성 엘라스토머), 우레탄계, 실리콘계의 열 경화성 엘라스토머, 가황 고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제2 층으로서는, 상기 중에서도 코르크재층이 바람직하다.
제3 층(도 1∼3의 부호 4)
제3 층으로서는, 합성 수지제이며 상기 3층(제1 층, 제2 층 및 제3 층) 중에서 가장 경도가 높은 층이다. 경도는 20∼250 N/㎟ 정도이고, 그 중에서도 50∼250 N/㎟ 정도가 바람직하다.
제3 층으로서는, 예컨대, 후술하는 화장층(5)의 이면에 마련할 수 있는 소위 백커층(합성 수지층)이어도 좋다.
백커층(합성 수지층)인 경우의 수지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 폴리에틸렌(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에는, 호모폴리프로필렌, 랜덤폴리프로필렌, 블록폴리프로필렌 등이 포함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이외의 수지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염화비닐 수지,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불소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술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세탈, 폴리페닐렌에테르, 메타크릴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아릴레이트, 비정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소위 A-PET)〔미츠비시카가쿠(주): 노바클리어(상품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PETG)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수지층 중에 있어서의 수지 성분의 함유량은, 90∼100 중량%가 바람직하고, 95∼100 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합성 수지층의 보강을 위해 수지 성분 이외에 목분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합성 수지층은 상기 수지 성분 등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예컨대, 캘린더법, 인플레이션법, T 다이 압출법 등에 의해 제2 층 위에 적층하거나, 후술하는 화장층(5)으로서의 화장 시트를 구성하는 기재 시트의 이면에 적층하면 좋다. 또한, 상기 합성 수지층으로서 기성의 필름을 이용하여도 좋다.
화장층 (5)
본 발명의 화장재는 화장층(5)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화장층(5)으로서는, 본 발명의 화장재에 의장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화장 시트(기재 시트가 수지 필름, 종이, 수지 함침지 등의 여러 가지의 것을 포함함), 베니어, 전사에 의해 형성되는 화장층 등으로부터 폭넓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화장재 중의 화장층(5)의 위치도 한정적이지 않지만, 통상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외측 표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장층(5)의 두께는 한정적이지 않지만, 20∼250 ㎛ 정도가 바람직하고, 50∼200 ㎛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예컨대, 화장 시트로서는, 기재 시트 상에 적어도 무늬 모양층, 접착제층, 투명성 수지층 및 투명성 표면 보호층을 가지고, 투명성 표면 보호층이 최외측 표면층으로서 마련되는 구성을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들 수 있다. 또한, 화장 시트의 최외측 표면층에는, 엠보스 가공에 의해 요철 모양이 부여되어도 좋다.
이하, 화장층(5)의 대표예로서, 상기 화장 시트의 각 층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재 시트≫
기재 시트는 그 표면(겉면)에는 무늬 모양층 등이 순차 적층된다.
기재 시트로서는, 수지제 필름, 종이, 수지 함침지 등의 여러 가지의 것을 예시할 수 있지만, 수지제 필름 중에서도 열 가소성 수지에 의해 형성된 것이 적합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이 바람직하다.
기재 시트는 착색되어 있어도 좋다. 예컨대, 열 가소성 수지에 대하여 착색제(안료 또는 염료)를 첨가하여 착색할 수 있다. 착색제로서는, 예컨대, 이산화티탄, 카본 블랙, 산화철 등의 무기 안료, 프탈로시아닌 블루 등의 유기 안료 외에, 각종 염료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착색제의 첨가량도, 원하는 색조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면 좋다.
기재 시트에는, 필요에 따라, 충전제, 무광택제, 발포제, 난연제, 활제,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자외 선흡수제, 광 안정화제 등의 각종의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기재 시트의 두께는 최종 제품의 용도, 사용 방법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50∼250 ㎛가 바람직하다.
기재 시트는 필요에 따라, 무늬 모양층을 형성하는 잉크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표면(겉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하여도 좋다. 코로나 방전 처리의 방법·조건은, 공지의 방법에 따라 실시하면 좋다. 또한, 필요에 따라, 기재 시트의 이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하거나, 무늬 모양층(소위 백 프린트)을 형성하거나, 이면 프라이머층, 백커층 등을 형성하거나 하여도 좋다.
≪무늬 모양층(무늬층)≫
무늬층은 화장 시트에 원하는 무늬(의장)를 부여하는 것이며, 무늬의 종류 등은 한정적이지 않다. 예컨대, 나뭇결 모양, 돌결 모양, 모랫결 모양, 타일 첩부 모양, 벽돌 적층 모양, 옷감결 모양, 가죽 주름 모양, 기하학 도형, 문자, 기호, 추상 모양 등을 들 수 있다.
무늬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공지의 착색제(염료 또는 안료)를 결착재 수지와 함께 용제(또는 분산매) 중에 용해(또는 분산)하여 얻어지는 잉크를 이용한 인쇄법에 의해, 기재 시트 표면에 형성하면 좋다.
착색제로서는, 예컨대, 카본 블랙, 티탄백, 아연화, 벵갈라, 감청, 카드뮴 레드 등의 무기 안료; 아조 안료, 레이크 안료, 안트라퀴논 안료, 퀴나크리돈 안료, 프탈로시아닌 안료, 이소인돌리논 안료, 디옥사진 안료 등의 유기 안료; 알루미늄분, 브론즈분 등의 금속분 안료; 산화티탄 피복 운모, 산화염화비스무트 등의 진주 광택 안료; 형광 안료; 야광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착색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착색제에는, 실리카 등의 필러, 유기 비드 등의 체질 안료, 중화제, 계면 활성제 등을 더 배합하여도 좋다.
결착재 수지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 수지, 친수성 처리된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 수지 외에,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부타디엔, 폴리염화비닐, 염소화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스티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로진 유도체, 스티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의 알코올 부가물, 셀룰로오스계 수지 등도 병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폴리우레탄-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수지, 폴리(메타)아크릴산계 수지,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 수지, 폴리N-비닐피롤리돈계 수지, 수용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수용성 폴리아미드계 수지, 수용성 아미노계 수지, 수용성 페놀계 수지, 그 외의 수용성 합성 수지; 폴리뉴클레오티드, 폴리펩티드, 다당류 등의 수용성 천연 고분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천연 고무, 합성 고무, 폴리초산비닐계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우레탄-폴리아크릴계 수지 변성 또는 혼합 수지, 그 외의 수지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결착재 수지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무늬층의 형성에 이용하는 인쇄법으로서는, 예컨대, 그라비어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플렉소 인쇄법, 정전 인쇄법, 잉크젯 인쇄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전체면 베타형의 무늬 모양층(이것을 착색 은폐층이라고도 말함)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그라비어 코트법, 그라비어 리버스 코트법, 롤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에어 나이프 코트법, 다이 코트법, 립 코트법, 콤마 코트법, 키스 코트법, 플로우 코트법, 딥 코트법 등의 각종 코팅법도 들 수 있다.
상기 이외에도, 예컨대, 수서법(hand-drawing method), 마블링법, 사진법, 전사법, 레이저 빔 묘화법, 전자 빔 묘화법, 금속 등의 부분 증착법, 에칭법 등을 이용하거나, 다른 형성 방법과 조합하여 이용하거나 하여도 좋다.
무늬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품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도공 시의 층 두께는 1∼15 ㎛ 정도, 건조 후의 층 두께는 0.1∼10 ㎛ 정도이다.
≪접착제층≫
접착제층은 무늬층과 투명성 수지층 사이에 존재한다. 접착제층에서 사용하는 접착제는, 무늬층 또는 투명성 수지층을 구성하는 성분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을 포함하는 각종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반응 경화 타입 외에, 핫 멜트 타입, 전리 방사선 경화 타입, 자외선 경화 타입 등의 접착제여도 좋다.
접착제층은 무늬층을 인식할 수 있는 한, 투명이어도 반투명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탈지 처리, 표면 조면화 처리 등의 공지의 이접착 처리를 접착면에 실시할 수도 있다.
접착제층은, 예컨대, 접착제를 무늬 모양층 위에 도포 후, 한번 건조하고, 그 다음에, 투명성 수지를 적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접착제의 도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롤 코트, 커튼 플로우 코트, 와이어 바 코트, 리버스 코트, 그라비어 코트, 그라비어 리버스 코트, 에어 나이프 코트, 키스 코트, 블레이드 코트, 스무스 코트, 콤마 코트 등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투명성 보호층, 사용하는 접착제의 종류 등에 따라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는 0.1∼30 ㎛ 정도이다.
≪투명성 수지층≫
투명성 수지층은 투명인 한 착색되어 있어도 좋고, 무늬층을 시인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반투명이어도 좋다.
상기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폴리메틸펜텐, 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입체 규칙성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이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는, 용융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압출법에 따라 투명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성 수지층에는, 필요에 따라, 충전제, 무광택제, 발포제, 난연제, 활제,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화제, 라디칼 포착제, 연질 성분(예컨대 고무) 등의 각종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투명성 수지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10∼400 ㎛ 정도이다.
≪투명성 표면 보호층≫
투명성 수지층 위에는 투명성 표면 보호층이 형성되어 있다. 투명성 표면 보호층은 한정적이지 않지만, 수지 성분으로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또는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는, 이들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또는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수지에 의해 투명성 표면 보호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화장 시트의 내마모성, 내충격성, 내오염성, 내찰상성, 내후성 등을 높이기 쉽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중에서도 최표층이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자외선, 전자선 등의 전리 방사선의 조사에 의해 중합 가교 반응 가능한 라디칼 중합성 이중 결합을 분자 중에 포함하는 프리폴리머(올리고머를 포함함) 및/또는 모노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투명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프리폴리머 또는 모노머는, 단체 또는 복수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경화 반응은, 통상, 가교 경화 반응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프리폴리머 또는 모노머로서는, 분자 중에 (메타)아크릴로일기,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 등의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 에폭시기 등의 카치온 중합성 작용기 등을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엔과 폴리티올의 조합에 의한 폴리엔/티올계의 프리폴리머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메타)아크릴로일기란, 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타크릴로일기의 의미이다.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프리폴리머로서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멜라민(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아진(메타)아크릴레이트, 실리콘(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분자량으로서는, 통상 250∼100000 정도가 바람직하다.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단작용 모노머로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다작용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에틸렌옥사이드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카치온 중합성 작용기를 갖는 프리폴리머로서는, 예컨대,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노볼락형 에폭시 화합물 등의 에폭시계 수지, 지방산계 비닐에테르, 방향족계 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계 수지의 프리폴리머를 들 수 있다. 또한, 티올로서는, 예컨대,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티오글리콜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티오 글리콜레이트 등의 폴리티올을 들 수 있다. 폴리엔으로서는, 예컨대, 디올 및 디이소시아네이트에 의한 폴리우레탄의 양단에 알릴알코올을 부가한 것을 들 수 있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해 이용하는 전리 방사선으로서는,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조성물) 중의 분자를 경화 반응시킬 수 있는 에너지를 갖는 전자파 또는 하전 입자가 이용된다. 통상은 자외선 또는 전자선을 이용하면 좋지만, 가시광선, X선, 이온선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자외선원으로서는, 예컨대, 초고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 카본 아크등, 블랙 라이트,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의 광원을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의 파장으로서는, 통상 190∼380 ㎚가 바람직하다.
전자선원으로서는, 예컨대, 콕크로프트 월턴형, 밴더 그래프형, 공진 변압기형, 절연 코어 변압기형, 또는 직선형, 다이나미트론형, 고주파형 등의 각종 전자선 가속기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100∼1000 keV, 바람직하게는 100∼300 keV의 에너지를 갖는 전자를 조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 중에서도 주요제로서 OH기를 갖는 폴리올 성분(아크릴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에폭시폴리올 등)과, 경화제 성분인 이소시아네이트 성분(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메타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투명성 표면 보호층은, 필요에 따라, 가소제, 안정제, 충전제, 분산제, 염료, 안료 등의 착색제, 용제 등을 포함하여도 좋다.
투명성 표면 보호층은, 예컨대, 투명성 수지층 위에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또는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수지를 그라비어 코트, 롤 코트 등의 공지의 도공법에 의해 도공 후, 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의 경우에는, 전자선 조사에 의해 수지 경화한다.
투명성 표면 보호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최종 제품의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통상 0.1∼50 ㎛, 바람직하게는 1∼20 ㎛ 정도이다.
≪엠보스 가공≫
화장 시트는 투명성 표면 보호층측으로부터 엠보스 가공이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엠보스 가공은 화장 시트에 나뭇결 모양 등의 원하는 텍스처를 부여하기 위해 행한다. 예컨대, 투명성 보호층을 가열 연화시킨 후, 원하는 형태의 요철 모양을 갖는 엠보스판으로 가압 및 부형(賦型)하여, 냉각 고정함으로써 텍스처를 부여한다. 엠보스 가공은 공지의 매엽 또는 윤전식 엠보스기로 행할 수 있다.
엠보스 가공의 요철 모양으로서는, 예컨대, 나뭇결 도관홈, 부조 모양[부출(浮出)한 연륜의 요철 모양), 헤어 라인, 모랫결, 새틴 등을 들 수 있다.
엠보스 가공을 실시한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엠보스 오목부에 와이핑 가공에 의해 잉크를 충전하여도 좋다. 예컨대, 엠보스 오목부에 닥터 블레이드로 표면을 긁으면서 잉크를 충전한다. 충전하는 잉크(와이핑 잉크)로서는, 통상은 2액 경화형의 우레탄 수지를 바인더로 하는 잉크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나뭇결 도관홈 요철에 대하여 와이핑 가공을 행하는 것에 의해, 보다 실제의 나뭇결에 가까운 의장을 표현함으로써 상품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투명성 표면 보호층 중에 다른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예컨대, 용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분산제, 광 안정제, 광택 조정제, 블로킹 방지제, 활제 등의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재의 제조 방법 및 물성
본 발명의 화장재는 기재층(1), 제1 층, 제2 층 및 합성 수지제의 제3 층을, 상기 순서로 각각 접착제를 통해 적층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이 때, 기재층(1)의 이면에 더욱 완충층을 마련하여도 좋다. 기재층(1)의 이면에 완충층을 마련하는 경우에는 화장재의 시공면의 요철의 영향을 완화하거나, 발생음 억제(예컨대, 구두를 신고 보행 시에 구두 솔 또는 힐과 바닥이 부딪칠 때의 뚜벅뚜벅하고 울리는 소리를 억제)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기재층(1), 제1 층, 제2 층 및 합성 수지제의 제3 층은 본 발명의 화장재를 구성하는 최소의 층 구성(도 1에 예시)이며,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층을 개재시키는 것은 허용된다.
화장재의 두께는 한정적이지 않지만, 6∼15 ㎜ 정도가 바람직하고, 7∼13 ㎜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제로서는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폴리초산비닐,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등 외에, 부타디엔-아크릴니트릴 고무, 네오프렌 고무, 천연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접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한다. 또한, 저경도층(2)이 발포 접착제층인 경우에는 발포 접착제층이 이미 접착제의 역할을 달성하고 있기 때문에 그와 같은 경우에는, 더욱 접착제를 이용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화장재는 그 측면에 은촉이라고 불리는 감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홈형 오목부[도 1∼3의 오목부(7)] 및 돌출부[도 1∼3의 볼록부(8)]를 마련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화장재는 바닥용 화장재로서 이용하였을 때의 내상성 및 우수한 쾌적성(보행감, 착좌감 등)에 더하여, 더욱 발생음 억제의 효과를 효율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압축 시험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화장재의 상측으로부터 직경 10 ㎜의 원기둥형 지그를 일정 속도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화장재를 압축하였을 때의 하중이 100 N에 달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변위량이 30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변위량(부드러움)이면 쾌적성 등에 더하여 발생음 억제의 효과를 얻기 쉽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내는 압축 시험 장치를 준비하여, 금속 기판(11) 상에 측정 샘플의 화장재를 놓고, 직경 10 ㎜의 원기둥형 지그(10)[원기둥형 지그의 저면과 금속 기판(11)은 평행]를 일정 속도로 압박함으로써 화장재를 압축하였을 때의 하중이 100 N에 달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변위량을 측정한다. 또한, 측정 샘플은 원통형 지그와 화장 시트측이 접촉하도록 금속 기판(11) 상에 놓는다.
측정 장치 및 측정 조건의 상세는 하기와 같다.
·압축 시험 장치(가부시키가이샤 에이·앤드·디 제조 압축·인장 시험기, 형식 번호: RTC-1250A, LOAD CELL: UR-1KN-D)
·측정 샘플 형상: 세로 4 ㎝×가로 4 ㎝
·압축 속도: 10 ㎜/분
·원통형 지그: 직경 10 ㎜의 원통형 선단 형상 지그.
이러한 본 발명의 화장재는, 예컨대, 바닥 등의 건축물의 내장재; 발코니, 베란다 등의 외장재;에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화장재는 내장재, 외장재 등을 불문하고 바닥용 화장재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17 및 비교예 1∼6
기재 시트인 두께 60 ㎛의 착색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무늬 모양층을 그라비어 인쇄에 의해 형성하였다.
이어서, 무늬 모양층 위에 투명성 수지층인 두께 80 ㎛의 투명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우레탄계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였다.
이어서, 투명성 수지층의 위에 두께 15 ㎛의 전자선 경화형 투명성 표면 보호층을 형성하고, 0.16 ㎜ 두께의 시트를 제작하여, 화장층을 얻었다.
한편, 기재층으로서 9 ㎜ 두께의 파티클 보드를 준비하였다.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층과 화장층 사이에 제1 층, 제2 층 및 합성 수지제의 제3 층을 적층하였다. 화장층의 접착에는 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고, 그 이외의 층의 접착에는 초산비닐계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여기서, 초산비닐계 접착제는, 초산비닐계 에멀전 접착제(재팬코팅레진 제조, 7 g/900 ㎠)를 이용하였다. 접착제는 질량비로 BA-10L(주요제):BA-11B(경화제)=100:2.5이다.
[표 1-1]
Figure 112018101181319-pct00001
[표 1-2]
Figure 112018101181319-pct00002
[표 1-3]
Figure 112018101181319-pct00003
[표 1-4]
Figure 112018101181319-pct00004
[표 1-5]
Figure 112018101181319-pct00005
시험예 1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은 화장재에 대해서, 연필 경도 시험, 쾌적성 평가 시험 및 압축 하중 시험을 행하였다.
≪연필 경도 시험≫
각 화장재의 내상 성능 평가를, 연필 경도 시험기를 이용하여 행하였다. 시험기가 수평 위치일 때에 연필의 끝에 대하여 750 g의 하중을 부여하도록 시험기를 설정한 것 이외에는, JIS K5600-5-4(1999)에 준거하여 시험을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코어 경도가 무른 것부터 순서대로 6B, 5B, 4B, 3B, 2B, B, HB, F, H, 2H, 3H, 4H, 5H, 6H의 코어를 갖는 연필을 사용하여 시험을 행하였다.
내상 성능의 평가 기준은 상처 또는 함몰이 눈에 띄지 않는 한계 경도를 조사하였다.
표 1의 연필 경도 시험의 난에는, 각 화장재의 해당 한계 경도를 나타낸다.
2B 이상이면 내상성은 양호하다고 평가한다.
≪쾌적성 평가 시험≫
10명의 피험자에게 쾌적성에 대해서 관능 평가에 의한 앙케이트를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수평면에 설치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재에 피험자가 걸터앉고, 그 때에 피험자가 느낀 쾌적함에 대해서 관능 평가에 의한 앙케이트를 행하였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이 하였다.
쾌적…2점
약간 쾌적…1점
보통…0점
약간 불쾌…-1점
불쾌…-2점
최종적으로는 피험자 10명의 득점의 합(총 득점)에 의해 각 화장재의 우열을 판단하였다.
[표 2-1]
Figure 112018101181319-pct00006
[표 2-2]
Figure 112018101181319-pct00007
≪압축 하중 시험≫
압축 시험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화장재의 상측으로부터 직경 10 ㎜의 원기둥형 지그를 일정 속도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화장재를 압축하였을 때의 하중이 100 N에 달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변위량을 측정하였다. 측정값은 30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변위량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A. 화장재
1. 기재층
2. 제1 층
3. 제2 층
4. 제3 층
5. 화장층
6. 완충층
7. 오목부
8. 볼록부
9. 응력 계측부
10. 원기둥형 지그
11. 금속 기판

Claims (6)

  1. 기재층의 상측에, 상기 기재층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층, 코르크재층인 제2 층 및 합성 수지제의 제3 층을 구비하는 화장재로서,
    상기 기재층은 중밀도 목질 섬유판(MDF), 고밀도 목질 섬유판(HDF), 파티클 보드(PB), 침엽수 합판, 활엽수 합판, 및 조성수(早成樹) 합판 중 적어도 1종이고,
    상기 제1 층의 경도를 H1, 상기 제2 층의 경도를 H2, 상기 제3 층의 경도를 H3으로 한 경우에, H1은 0.1∼5 N/㎟ 이고, H2는 1∼50 N/㎟ 이고, H3은 20∼250 N/㎟ 이며, H1<H2<H3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은 발포 수지층인 화장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하측에, 완충층을 더 갖는 화장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압축 시험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화장재의 상측으로부터 직경 10 ㎜의 원기둥형 지그를 일정 속도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화장재를 압축하였을 때의 하중이 100 N에 달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변위량이 300 ㎛ 이상인 화장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바닥용 화장재인 화장재.
  6. 삭제
KR1020187029741A 2016-03-29 2017-03-29 화장재 KR1022743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65569 2016-03-29
JPJP-P-2016-065569 2016-03-29
PCT/JP2017/013083 WO2017170778A1 (ja) 2016-03-29 2017-03-29 化粧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823A KR20180129823A (ko) 2018-12-05
KR102274309B1 true KR102274309B1 (ko) 2021-07-09

Family

ID=59965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9741A KR102274309B1 (ko) 2016-03-29 2017-03-29 화장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438374B1 (ko)
JP (1) JP6863369B2 (ko)
KR (1) KR102274309B1 (ko)
CN (1) CN108884680B (ko)
PT (1) PT3438374T (ko)
WO (1) WO20171707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7847A (zh) * 2019-01-15 2019-03-29 圣象地板(句容)有限公司 一种eb固化的聚丙烯膜饰面多层复合地板及其生产工艺
CN110685421B (zh) * 2019-10-16 2021-12-28 广东和丰创美新型材料有限公司 纳米柔性实木复合环保地板
LU501429B1 (en) 2022-02-09 2023-08-09 Tarkett Gdl Sa Hybrid acoustic floor pane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4401A (ja) * 2003-04-09 2004-11-18 Eidai Co Ltd 木質床材
WO2014129081A1 (ja) * 2013-02-20 2014-08-28 株式会社九州ハイテック 積層型無機系保護コーティング塩化ビニル系タイル及びそのコーティン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1652A (ja) * 1982-09-30 1984-04-07 松下電工株式会社 コルクフロア材
JPS60166717U (ja) * 1984-04-16 1985-11-06 山陽国策パルプ株式会社 建物床用シ−ト材
JPH0828015A (ja) * 1994-07-14 1996-01-30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防音用床材
JPH10317655A (ja) * 1997-05-16 1998-12-02 Hiroshima Kasei Ltd 床材用発泡基材及び床材
JP3180065B2 (ja) * 1997-09-29 2001-06-25 株式会社江田組 床材及びこの床材を用いた床張り施工方法
JP4372854B2 (ja) * 1997-11-14 2009-11-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
TW442602B (en) * 1998-08-26 2001-06-2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Floor material
JP2004019133A (ja) * 2002-06-12 2004-01-22 Meiwa Ind Co Ltd 長尺ロール状の住宅床材
JP3096657U (ja) * 2003-03-25 2003-09-26 株式会社藤本 床仕上材
DE202004014160U1 (de) * 2004-09-09 2004-11-18 Mohr, Wolfgang Bodenbelagelement
JP4658749B2 (ja) * 2004-09-28 2011-03-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耐衝撃性及び耐スクラッチ性に優れた床材用化粧シート
JP4679296B2 (ja) * 2005-08-09 2011-04-27 アキレス株式会社 合成樹脂製床タイル
JP2008180077A (ja) * 2006-12-28 2008-08-07 S Well Japan:Kk 床用保護シート、床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85548A (ja) * 2008-02-07 2009-08-20 Nippon Kayaku Co Ltd 床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又はシート及びそれを有する建築部材
JP5568932B2 (ja) 2008-09-30 2014-08-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床材用化粧シート及び床用化粧材
JP2011111817A (ja) * 2009-11-27 2011-06-09 Eidai Co Ltd 防音床材
JP6069868B2 (ja) * 2011-03-31 2017-02-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床用化粧シート及び床用化粧材
JP5853816B2 (ja) * 2011-03-31 2016-02-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床用化粧シート及び床用化粧材
JP5978668B2 (ja) * 2011-09-29 2016-08-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床用化粧シート及び床用化粧材
JP6430095B2 (ja) * 2012-10-10 2018-11-28 凸版印刷株式会社 水廻り用遮音床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4401A (ja) * 2003-04-09 2004-11-18 Eidai Co Ltd 木質床材
WO2014129081A1 (ja) * 2013-02-20 2014-08-28 株式会社九州ハイテック 積層型無機系保護コーティング塩化ビニル系タイル及びそのコーティング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70778A1 (ja) 2017-10-05
EP3438374A4 (en) 2019-12-04
CN108884680B (zh) 2021-10-15
EP3438374B1 (en) 2022-07-13
PT3438374T (pt) 2022-09-02
CN108884680A (zh) 2018-11-23
EP3438374A1 (en) 2019-02-06
KR20180129823A (ko) 2018-12-05
JP6863369B2 (ja) 2021-04-21
JPWO2017170778A1 (ja) 2019-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8932B2 (ja) 床材用化粧シート及び床用化粧材
EP3521018B1 (en)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plate
JP6520128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JP6819102B2 (ja) 化粧シート、化粧板及び化粧板の製造方法
JP6968537B2 (ja) コルクシートを用いた化粧材
KR20180091112A (ko) 화장 시트 및 화장판, 그리고 그것들의 제조 방법
KR102274309B1 (ko) 화장재
KR102638148B1 (ko) 화장 시트 및 화장판, 그리고 표면보호층 형성용 코팅제
KR102270978B1 (ko) 화장재
JP6639766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JP7109876B2 (ja) コルク材を用いた化粧材
JP2016064629A (ja) 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化粧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7459581B2 (ja) 化粧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化粧板
KR20190070315A (ko) 화장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화장재
US11440299B2 (en) Decorative sheet, decorative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decorative sheet
JP6983488B2 (ja) コルクシートを用いた化粧材
JP2020050724A (ja) 化粧シート用の透明性樹脂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当該透明性樹脂層を備えた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