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925B1 - 수송 용기 - Google Patents

수송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925B1
KR102271925B1 KR1020180054194A KR20180054194A KR102271925B1 KR 102271925 B1 KR102271925 B1 KR 102271925B1 KR 1020180054194 A KR1020180054194 A KR 1020180054194A KR 20180054194 A KR20180054194 A KR 20180054194A KR 102271925 B1 KR102271925 B1 KR 102271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ntainer
middle container
top plate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5394A (ko
Inventor
미치요 야마네
히사오 고이케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09630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819307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09630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819307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004360A external-priority patent/JP7076212B2/ja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5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5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4External fittings for spacing bases of containers from supporting surfaces, e.g. l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4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 B65D77/045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the inner container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 B65D77/04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the inner container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and being a tray or like shallow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5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 B65D81/0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filled with fluid, e.g. inflata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2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3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e.g.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과제) 물품의 손상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수송 용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수송 용기 (1) 는, 본체 바닥부 (21) 와, 본체 바닥부 (21) 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본체 측벽부 (22) 를 갖고, 그 본체 바닥부 (21) 의 상방에 수용 공간 (20) 을 형성하는 용기 본체 (2) 와, 본체 바닥부 (21) 와 간격을 두고 수용 공간 (20) 에 배치되는 천판 (31) 을 갖는 중용기 (3) 를 구비한다. 용기 본체 (2) 는, 본체 바닥부 (21) 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본체 각부 (211) 를 갖는다. 본체 각부 (211) 는, 평면에서 볼 때에 중용기 (3) 의 중용기 각부 (34) 와 중첩되지 않고, 또한, 중용기 각부 (34) 보다 본체 바닥부 (21) 의 중앙부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수송 용기{TRANSPORT CONTAINER}
본 발명은, 물품의 수송에 사용되는 수송 용기에 관한 것이다.
물품의 품질을 유지하여 시장에 제공하기 위해서는, 수송시의 충격 등으로부터 물품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표피가 비교적 몰랑한 딸기나, 분말상의 원료를 압축하여 고형물로 한 화장품 등은 수송시의 수송 용기와의 마찰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특단의 대책이 필요시되고 있다.
과실을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수송 용기로서, 특허문헌 1 에는, 박막상의 시트에 의해 과실을 포위하는 수용 트레이가 기재되어 있다. 당해 시트는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신축성이나 유연성이 풍부한 것으로 되어 있다. 수용 트레이의 바닥부를 이루는 바닥판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시트가 이 복수의 돌기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됨으로써, 시트가 돌기 사이에서 하방으로 변위되어,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된다.
각 오목부 내에 과실이 1 개씩 수용되면, 과실은 오목부를 형성하는 시트에 의해 포위되어, 서로 독립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결과, 과실은 수송시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되어, 손상의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다고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02152호
그런데, 수송 차량이 노면의 미소한 요철 위를 주행한 경우 등에는, 주파수가 비교적 높은 진동이 그 차체에 발생한다. 수송 차량이 정차 중인 경우나, 선박에 의해 수송하는 경우에도, 엔진의 구동에 의해 동일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진동은 수송 용기에도 전달된다.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수용 트레이의 시트는, 각 오목부 주위의 4 점에 있어서 돌기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이 때문에, 돌기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짧아져, 당해 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부의 고유 진동수는 비교적 높은 것이 된다. 본원 발명자가 실시한 여러 가지 수송 시험에서는, 주파수가 비교적 높은 진동이 돌기를 통하여 오목부에 전달되면, 오목부 내에 수용된 물품이 공진한다는 현상이 발현하였다. 공진하는 물품은, 오목부 내에서 조금씩 진동하거나, 불규칙하게 회전하거나 한다. 이로써, 물품과 시트 사이에서 마찰이 반복 발생하여, 물품이 손상되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물품의 손상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수송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련된 제 1 수송 용기는, 물품의 수송에 사용되는 수송 용기로서, 본체 바닥부와, 그 본체 바닥부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본체 측벽부를 갖고, 그 본체 측벽부에 의해 둘러싸인 수용 공간을 그 본체 바닥부의 상방에 형성하는 용기 본체와,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중용기 (中容器) 를 구비한다. 중용기는, 물품 수용부가 형성된 천판과, 천판 중, 물품 수용부보다 외방의 부위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중용기 각부 (脚部) 를 갖고, 중용기 각부에 의해서만 본체 바닥부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된다. 용기 본체는, 본체 바닥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본체 각부를 갖는다. 본체 각부는, 평면에서 볼 때에 중용기 각부와 중첩되지 않고, 또한, 중용기 각부보다 본체 바닥부의 중앙부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물품의 수송시, 용기 본체는, 중용기의 중용기 각부를 지지함과 함께, 본체 각부에 있어서 골판지 상자의 바닥면 등에 의해 지지된다. 본체 각부는, 평면에서 볼 때에 중용기 각부와 중첩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본체 바닥부 중 본체 각부와 중용기 각부 사이의 부위는, 쌍방으로부터 받는 힘에 의해 휜다. 본체 각부와 중용기 각부의 거리를 크게 함으로써, 당해 부위의 고유 진동수를 낮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결과, 물품의 공진을 초래하는 주파수가 비교적 높은 진동이 본체 각부로부터 중용기 각부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체 각부는, 평면에서 볼 때에 중용기 각부보다 본체 바닥부의 중앙부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 각부가 중용기 각부보다 본체 바닥부의 외방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용기 본체를 컴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상기 구성에 의하면, 컴팩트한 구성이면서, 물품의 손상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물품 수용부에,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물품이 수용되는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오목부는, 오목부 바닥면과, 그 오목부 바닥면의 일단에 접속되어 천판을 향하여 연장되는 기립측면과, 그 오목부 바닥면의 타단에 접속되어 천판을 향하여 연장되는 경사측면을 갖고, 경사측면과 천판이 이루는 각도는 기립측면과 천판이 이루는 각도보다 작아도 된다.
일반적인 딸기, 비파, 무화과 등의 외형은, 꼭지 (「꽃받침」이라고도 칭해진다) 의 근방의 부위가 가장 크고, 꼭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차 작아진다. 따라서, 이들 과실의 무게 중심은 꼭지의 근방에 위치한다. 과실의 무게 중심이 수송시에 이동하면, 당해 과실의 공진을 초래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딸기, 비파, 무화과 등의 과실이 오목부에 수용되면, 당해 과실은, 오목부 바닥면, 기립측면 및 경사측면에 의해 포위된다. 오목부 바닥면은 과실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기립측면은 과실의 꼭지 근방의 부위를 측방으로부터 지지한다. 또, 경사측면은, 과실의 외형이 점차 작아지는 부분을 그 외형을 따라 지지한다. 이로써, 넓은 범위에서 과실의 외측면과 접하여 과실이 오목부로부터 받는 하중을 분산시키면서, 과실의 무게 중심을 오목부의 하방 근처에 배치한 상태에서 과실을 지지할 수 있다. 이 결과, 과실의 무게 중심의 이동을 억제하여, 주파수가 높은 진동이 본체 바닥부로부터 물품 수용부의 오목부에 전달된 경우에도, 과실의 공진과 그것에 수반되는 표피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피지지부에, 천판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중용기 각부가 형성된다. 중용기는, 중용기 각부에 의해서만 지지되고 있어도 된다.
중용기 각부는, 천판 중, 물품 수용부보다 외방에 위치하는 피지지부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크게 이간된 중용기 각부의 상단에 의해 천판을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당해 중용기 각부의 사이에서 진동하는 물품 수용부의 고유 진동수를 비교적 낮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결과, 주파수가 높은 진동이 본체 바닥부로부터 중용기 각부를 통하여 물품 수용부의 오목부에 전달된 경우에도, 물품의 공진과 그것에 수반되는 손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제 2 수송 용기는, 본체 바닥부와, 본체 바닥부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본체 측벽부를 갖고, 본체 측벽부에 의해 둘러싸인 수용 공간을 본체 바닥부의 상방에 형성하는 용기 본체와, 본체 바닥부와 간격을 두고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천판을 갖는 중용기를 구비한다. 천판은, 과실 수용부와, 그 과실 수용부보다 외방에 형성되는 피지지부를 갖는다. 과실 수용부에,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과실이 수용되는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된다. 오목부는, 오목부 바닥면과, 오목부 바닥면의 일단에 접속되어 천판을 향하여 연장되는 기립측면과, 오목부 바닥면의 타단에 접속되어 천판을 향하여 연장되는 경사측면을 갖는다. 경사측면과 천판이 이루는 각도는 기립측면과 천판이 이루는 각도보다 작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딸기, 비파, 무화과 등의 과실이 오목부에 수용되면, 당해 과실은, 오목부 바닥면, 기립측면 및 경사측면에 의해 포위된다. 오목부 바닥면은 과실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기립측면은 과실의 꼭지 근방의 부위를 측방으로부터 지지한다. 또, 경사측면은, 과실의 외형이 점차 작아지는 부분을 그 외형을 따라 지지한다. 이로써, 넓은 범위에서 과실의 외측면과 접하여 과실이 오목부로부터 받는 하중을 분산시키면서, 과실의 무게 중심을 오목부의 하방 근처에 배치한 상태에서, 과실을 지지할 수 있다. 이 결과, 과실의 무게 중심의 이동을 억제하여, 주파수가 높은 진동이 본체 바닥부로부터 과실 수용부의 오목부에 전달된 경우에도, 과실의 공진과 그것에 수반되는 표피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피지지부에, 천판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중용기 각부가 형성된다. 중용기는, 중용기 각부에 의해서만 지지되고 있어도 된다.
중용기 각부는, 천판 중 물품 수용부보다 외방에 위치하는 피지지부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크게 이간된 중용기 각부의 상단에 의해 천판을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당해 중용기 각부의 사이에서 진동하는 물품 수용부의 고유 진동수를 비교적 낮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결과, 주파수가 높은 진동이 본체 바닥부로부터 중용기 각부를 통하여 물품 수용부의 오목부에 전달된 경우에도, 물품의 공진과 그것에 수반되는 손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제 3 수송 용기는, 본체 바닥부와, 본체 바닥부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본체 측벽부를 갖고, 본체 측벽부에 의해 둘러싸인 수용 공간을 본체 바닥부의 상방에 형성하는 용기 본체와, 본체 바닥부와 간격을 두고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천판을 갖는 중용기를 구비한다. 천판은, 과실 수용부와, 그 과실 수용부보다 외방에 형성되는 피지지부를 갖는다. 과실 수용부에,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과실이 수용되는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된다. 피지지부에, 천판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중용기 각부가 형성된다. 중용기는, 중용기 각부에 의해서만 지지되고 있다.
중용기는 중용기 각부에 의해서만 지지되고 있다. 중용기 각부는, 천판 중, 과실 수용부보다 외방에 위치하는 피지지부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크게 이간된 중용기 각부의 상단에 의해 천판을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당해 중용기 각부의 사이에서 진동하는 과실 수용부의 고유 진동수를 비교적 낮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결과, 주파수가 높은 진동이 본체 바닥부로부터 중용기 각부를 통하여 과실 수용부의 오목부에 전달된 경우에도, 과실의 공진과 그것에 수반되는 표피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만일 본체 바닥부가 평면이면, 수송 용기를 골판지 상자 등에 수용했을 때에, 본체 바닥부와 골판지 상자의 바닥면의 접촉 범위가 일정하게 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골판지 상자의 바닥면이 일그러져 있으면, 본체 바닥부는 그 부작위의 일부에서만 골판지 상자의 바닥면과 접촉한다. 이와 같이, 본체 바닥부와 골판지 상자의 바닥면의 접촉 범위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골판지 상자로부터 본체 바닥부로의 진동의 전달 경로가 불규칙해져, 과실의 공진 억제를 적절히 실시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용기 본체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본체 각부가 본체 바닥부에 형성되고, 복수의 본체 각부는 서로 이간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골판지 상자의 바닥면이 일그러져 있었던 경우에도, 복수의 본체 각부 사이에 있어서 본체 바닥부를 변형시켜, 용이하게 그 일그러짐에 추종시킬 수 있다. 이 결과, 복수의 본체 각부를 골판지 등의 바닥면과 안정적으로 접촉시켜, 본체 바닥부와 골판지 상자의 바닥면의 접촉 범위를 일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수송 용기는, 용기 본체와 중용기 사이에 시트상의 완충재를 구비하고, 중용기 각부는, 완충재를 통하여 본체 바닥부에 의해 지지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용기 본체로부터 중용기에 전달되는 진동의 주파수를 완충재에 의해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완충재의 공진 주파수를 중용기의 공진 주파수보다 낮은 것으로 설정함으로써, 당해 진동에 의한 과실의 공진과 그것에 수반되는 표피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완충재의 가장자리부가 굴곡되고, 가장자리부가 본체 측벽부와 중용기 각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송 용기의 수송시에 중용기가 수용 공간 내에서 움직여도, 본체 측벽부와 중용기 각부의 충돌을 완충재의 가장자리부에 의해 완화시킬 수 있다. 이 결과, 과실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과실의 표피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수용 공간의 모서리부에서는, 굴곡된 완충재의 가장자리부가 겹치는 경우가 있다. 중용기의 중용기 각부가, 이와 같이 겹친 완충재의 가장자리부를 통하여 본체 측벽부에 대해 고정되면, 용기 본체로부터 중용기에 불필요한 진동이 전달되어, 과실의 공진을 억제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완충재의 가장자리부의 높이는, 본체 측벽부의 1/2 이하여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굴곡된 완충재의 가장자리부가 수용 공간의 모서리부에 있어서 겹쳐도, 중용기의 중용기 각부가 완충재의 가장자리부를 통하여 본체 측벽부에 대해 고정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중용기 각부는, 천판의 둘레 가장자리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천판의 둘레 가장자리의 전체를 중용기 각부에 의해 지지함으로써, 하방으로의 천판의 과잉한 휨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물품을 수용한 오목부가 본체 바닥부와 접촉하거나, 그것에 의해 본체 바닥부로부터 오목부에 진동이 직접적으로 전달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중용기 각부는, 그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걸쳐, 천판으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되도록 경사져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중용기가 외력을 받은 경우에, 중용기 각부를 내방으로 쓰러지도록 탄성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본체 바닥부가 비교적 높은 주파수로 진동한 경우에도, 중용기 각부의 탄성 변형에 의해 진동의 전달을 경감시켜, 물품의 공진과 그것에 수반되는 물품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중용기 각부는, 그 상단과 하단 사이에, 외측면의 법선 방향이 변화되는 변곡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중용기가 외력을 받은 경우에, 중용기 각부는 변곡부를 기점으로 한 탄성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이 결과, 본체 바닥부가 비교적 높은 주파수로 진동한 경우에도, 중용기 각부의 탄성 변형에 의해 진동의 전달을 경감시켜, 물품의 공진과 그것에 수반되는 물품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물품의 손상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수송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송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수송 용기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수송 용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IV-IV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수송 용기의 변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송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수송 용기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8 은, 도 6 의 수송 용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IX-IX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은, 도 6 의 수송 용기의 변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송 용기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12 는, 도 11 의 수송 용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 은, 도 12 의 XIII-XIII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 는, 도 11 의 수송 용기의 변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각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
먼저,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송 용기 (1) 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수송 용기 (1)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수송 용기 (1) 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3 은, 수송 용기 (1) 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IV-IV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로, 당해 단면의 일부는 생략되어 있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4 는 수송 용기 (1) 의 IV-IV 단면만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2 및 도 3 에서는, 용기 본체 (2) 의 본체 각부 (211) 를 파선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수송 용기 (1) 는, 복수의 딸기를 수용함과 함께, 그 수송에 사용되는 용기이다. 또, 수송 후, 딸기를 수용한 상태에서 수송 용기 (1) 를 점포 앞에 진열할 수도 있다. 딸기는 바람직한 물품의 일례이고, 수송 용기 (1) 는, 딸기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비파, 무화과 등을 수용할 수도 있다.
수송 용기 (1) 는, 용기 본체 (2) 와, 중용기 (3) 와, 도시하지 않은 덮개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 (2) 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2) 는, 본체 바닥부 (21) 와 본체 측벽부 (22) 를 갖고 있다. 본체 바닥부 (21) 는 대략 평판 형상의 부위이고, 그 외형은 평면에서 보아 장방형을 나타내고 있다. 본체 측벽부 (22) 는, 본체 바닥부 (21) 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체 측벽부 (22) 는, 본체 바닥부 (21) 의 둘레 가장자리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고, 닫힌 환상을 나타내고 있다. 본체 바닥부 (21) 와 본체 측벽부 (22) 는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그 두께는 모두 0.20 ㎜ 내지 0.50 ㎜ 정도로 일정하게 되어 있다.
용기 본체 (2) 는 수용 공간 (20) 을 형성하고 있다. 수용 공간 (20) 은, 본체 바닥부 (21) 와 본체 측벽부 (22) 에 의해 구획되고, 상방이 개방된 공간이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2) 에는, 4 개의 본체 각부 (211) 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 각부 (211) 는, 본체 바닥부 (21) 와 일체 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본체 바닥부 (21) 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중용기 (3) 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중용기 (3) 의 두께는 0.1 ㎜ 내지 0.5 ㎜ 정도이며, 가요성을 갖고 있다. 중용기 (3) 는 천판 (31) 을 갖고 있다. 천판 (31) 은 대략 평판 형상의 부위이고, 그 외형은 평면에서 보아 용기 본체 (2) 의 본체 바닥부 (21) 보다 약간 작은 장방형을 나타내고 있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판 (31) 은, 과실 수용부 (311) 와 피지지부 (312) 를 갖고 있다.
과실 수용부 (311) 는 물품 수용부의 일례이고, 천판 (31) 중 내방 근처의 부위이다. 과실 수용부 (311) 에는, 천판 (31) 으로부터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 (32) 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 (32) 는, 천판 (31) 의 단변 방향으로 4 개, 장변 방향으로 5 개, 서로 간격을 두고 직선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예를 들어, 단변 방향의 치수가 150 ㎜, 장변 방향의 치수가 210 ㎜ 인 수송 용기 (1) 의 경우, 오목부 (32) 의 수는 3 개 내지 20 개가 바람직하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 (32) 는 오목부 바닥면 (32a) 과 기립측면 (32b) 과 경사측면 (32c) 을 갖고 있다.
오목부 바닥면 (32a) 은 오목부 (32) 의 하단면이다. 오목부 바닥면 (32a) 은 하방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기립측면 (32b) 은 그 하단이 오목부 바닥면 (32a) 의 일단에 접속되고, 천판 (31) 을 향하여 연장되는 면이다. 기립측면 (32b) 의 상단은 천판 (31) 에 접속되어 있다. 기립측면 (32b) 은, 천판 (31) 과 각도 θ1 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있다.
경사측면 (32c) 은, 그 하단이 오목부 바닥면 (32a) 의 타단에 접속되고, 천판 (31) 을 향하여 연장되는 면이다. 경사측면 (32c) 의 상단은 천판 (31) 에 접속되어 있다. 경사측면 (32c) 은, 수평 방향으로 기립측면 (32b) 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경사측면 (32c) 은, 천판 (31) 과 각도 θ2 를 이루도록 연장되어 있다. 각도 θ2 는, 전술한 각도 θ1 보다 작다.
피지지부 (312) 는, 천판 (31) 중 과실 수용부 (311) 보다 외방의 부위이다. 피지지부 (312) 는 과실 수용부 (311) 를 포위함과 함께, 천판 (31) 의 둘레 가장자리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피지지부 (312) 에는, 천판 (31) 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중용기 각부 (34) 가 형성되어 있다. 중용기 각부 (34) 와 천판 (31) 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용기 각부 (34) 는, 천판 (31) 에 접속되는 상단 (34a) 측으로부터 하단 (34b) 측에 걸쳐, 천판 (31) 으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되도록 경사져 있다.
또, 일 양태로서, 중용기 각부 (34) 는, 상단 (34a) 과 하단 (34b) 사이에 2 개의 변곡부 (34c) 를 갖고 있어도 된다. 변곡부 (34c) 는, 그 외측면의 법선 방향이 외측면의 다른 부위의 법선 방향과 상이하다. 변곡부 (34c) 는, 천판 (31) 의 단변과 장변의 각각을 따라 직선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로써, 중용기 각부 (34) 는 계단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중용기 (3) 는, 용기 본체 (2) 의 수용 공간 (20) 에 배치된다. 중용기 (3) 는, 용기 본체 (2) 에 대해 구속되지 않고, 그 중용기 각부 (34) 의 하단 (34b) 에서만 본체 바닥부 (21) 의 상면과 접촉함으로써 지지된다. 중용기 (3) 를 용기 본체 (2) 에 대해 구속하지 않음으로써, 용기 본체 (2) 로부터 중용기 (3) 로의 진동의 전달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 (2) 의 본체 측벽부 (22) 와 중용기 각부 (34)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당해 간극의 치수는 0.1 ㎜ 내지 5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치수로 함으로써, 수송시의 수용 공간 (20) 내에 있어서의 중용기 (3) 의 이동을 작게 할 수 있고, 이 결과, 중용기 (3) 의 이동에 수반되는 딸기 (S) 에 대한 충격을 억제할 수 있다.
중용기 (3) 가 수용 공간 (20) 에 배치됨으로써, 천판 (31) 은 본체 바닥부 (21) 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또, 오목부 (32) 의 오목부 바닥면 (32a) 과 본체 바닥부 (21) 의 상면 사이에는 3 ㎜ 정도의 간극이 형성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2) 의 본체 각부 (211) 는, 평면에서 볼 때에 중용기 각부 (34) 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 각부 (211) 는, 중용기 각부 (34) 보다 본체 바닥부 (21) 의 중앙부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수송 용기 (1) 가 수용하는 딸기 (S) 는, 중용기 (3) 의 오목부 (32) 내에 수용된다. 딸기 (S) 는, 오목부 (32) 내에 수용되면, 그 하면이 오목부 바닥면 (32a) 과 접하여 하방으로부터 지지된다. 또, 딸기 (S) 의 꼭지 (S1) 측의 측면은 기립측면 (32b) 에 의해 측방으로부터 지지된다. 또한, 딸기 (S) 의 외형이 점차 작아지는 부분 (S2) 은 경사측면 (32c) 과 접하여 지지된다. 요컨대, 오목부 (32) 는, 수용되는 딸기 (S) 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딸기 (S) 의 외형을 따른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오목부 (32) 에 딸기 (S) 가 수용된 경우에도 오목부 바닥면 (32a) 이 본체 바닥부 (21) 의 상면과 접촉하는 경우가 없도록, 중용기 (3) 에는 소정의 강성이 부여되어 있다.
용기 본체 (2) 및 중용기 (3) 는, 오목부 (32) 에 딸기 (S) 가 수용된 상태이고, 도시하지 않은 덮개 부재에 의해 덮인다. 덮개 부재는, 용기 본체 (2) 의 본체 측벽부 (22) 의 상단에 대해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고정된다. 덮개 부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시인성이나 미장성의 관점에서, 덮개 부재는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 부재가 투명하면, 딸기 (S) 가 수송 용기 (1) 에 수용된 채로 점포 앞에 진열된 경우에도, 소비자는 덮개 부재 너머로 딸기 (S) 의 상태를 시인할 수 있다.
덮개 부재는, 용기 본체 (2) 와의 끼워 맞춤이나 밀봉의 관점에서는, 단판상의 시트나 필름을 사용하여 진공 성형이나 압공 성형 등에 의해 얻어지는 성형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성형시, 시트나 필름은 가열됨으로써 연화되어, 형 (型) 에 밀착된다. 또, 덮개 부재는, 수송시의 충격으로부터 딸기 (S) 를 보호하는 관점에서는, 판상의 유연성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 부재는, 수송시의 적재 효율이나 충격으로부터 딸기 (S) 를 보호하는 관점에서는, 단판상의 유연한 시트 필름을 사용한 오버랩 포장, 필로 쉬링크 포장, 탑 시일 포장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시, 용기 전체를 시트나 필름으로 덮어 밀봉하면,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의 혼입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포장시에 필름을 열로 쉬링크시키면, 필름이 용기에 밀착되기 때문에, 미장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덮개 부재의 재질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아세트산 공중첩체,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의 단체 또는 혼합물이 바람직하고, 필름이나 시트의 경우, 단층체여도 되고, 적층체여도 된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면서, 수송 용기 (1) 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는, 수송 용기 (1) 의 변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5 는 수송 용기 (1) 의 IV-IV 단면만을 나타내고 있다.
딸기 (S) 의 수송시, 용기 본체 (2) 는 중용기 (3) 의 중용기 각부 (34) 를 지지한다. 용기 본체 (2) 는, 도 4 에 화살표 F1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용기 각부 (34) 로부터 하향의 힘을 받는다. 또한, 용기 본체 (2) 는, 본체 각부 (211) 에 있어서, 골판지 상자의 바닥면 (CB) 에 의해 지지된다. 용기 본체 (2) 는, 도 4 에 화살표 F2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각부 (211) 에 있어서 골판지 상자의 바닥면 (CB) 으로부터 상향의 힘을 받는다.
비수송시 등, 수송 용기 (1) 가 외력을 받지 않는 경우에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바닥부 (21) 는 실선 (21A) 에 의해 나타내는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수송시 등, 수송 용기 (1) 가 외력을 받으면, 본체 바닥부 (21) 에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본체 바닥부 (21) 는, 파선 (21B) 에 의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각부 (211) 와 중용기 각부 (34) 사이에서 휘도록 변형된다. 또한, 파선 (21B) 은, 이해를 위해서 극단적으로 변위시켜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체 바닥부 (21) 는 크게 이간된 본체 각부 (211) 와 중용기 각부 (34) 사이에서 변형되기 때문에, 그 고유 진동수는 비교적 낮은 것이 된다. 이 결과, 주파수가 비교적 높은 진동이 본체 각부 (211) 로부터 중용기 각부 (34) 를 통하여 과실 수용부 (311) 의 오목부 (32) 에 전달된 경우에도, 딸기 (S) 의 공진과 그것에 수반되는 표피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체 각부 (211) 는, 평면에서 볼 때에 중용기 각부 (34) 보다 본체 바닥부 (21) 의 중앙부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 각부 (211) 가 중용기 각부 (34) 보다 본체 바닥부 (21) 의 외방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용기 본체 (2) 를 컴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딸기 (S) 가 오목부 (32) 에 수용되면, 딸기 (S) 는, 오목부 바닥면 (32a), 기립측면 (32b) 및 경사측면 (32c) 에 의해 포위된다. 오목부 바닥면 (32a) 은 딸기 (S) 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기립측면 (32b) 은 딸기 (S) 의 꼭지 (S1) 근방의 부위를 측방으로부터 지지한다. 또, 경사측면 (32c) 은, 딸기 (S) 의 외형이 점차 작아지는 부분 (S2) 을 그 외형을 따라 지지한다.
이로써, 넓은 범위에서 딸기 (S) 의 외측면과 접하여 딸기 (S) 가 오목부 (32) 로부터 받는 하중을 분산시키면서, 딸기 (S) 의 무게 중심 (G) 을 오목부 (32) 의 하방 근처에 배치한 상태에서 딸기 (S) 를 지지할 수 있다. 이 결과, 딸기 (S) 의 무게 중심 (G) 의 이동을 억제하여, 주파수가 높은 진동이 본체 바닥부 (21) 로부터 과실 수용부 (311) 의 오목부 (32) 에 전달된 경우에도, 딸기 (S) 의 공진과 그것에 수반되는 표피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피지지부 (312) 에, 천판 (31) 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중용기 각부 (34) 가 형성되어 있다. 중용기 (3) 는, 중용기 각부 (34) 에 의해서만 하방으로부터 지지되고 있다.
중용기 각부 (34) 는, 천판 (31) 중, 과실 수용부 (311) 보다 외방에 위치하는 피지지부 (312) 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하면, 크게 이간된 중용기 각부 (34) 의 상단 (34a) 에 의해 천판 (31) 을 지지하고 있다.
비수송시 등, 수송 용기 (1) 가 외력을 받지 않는 경우에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판 (31) 은 파선 (31A) 에 의해 나타내는 위치에 배치된다. 요컨대, 천판 (31) 은, 오목부 (32) 에 수용된 딸기 (S) (도 4 참조) 의 중량 때문에 약간 하방으로 휘지만, 대체로 본체 바닥부 (21) 와 대략 수평인 상태가 된다.
한편, 수송시 등, 수송 용기 (1) 가 외력을 받으면, 천판 (31) 에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천판 (31) 은, 파선 (31B) 에 의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용기 각부 (34) 의 상단 (34a) 을 지점 (支點) 으로 한 모드로 변형된다. 또한, 파선 (31B) 은, 이해를 위해서 극단적으로 변위시켜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천판 (31) 은 크게 이간된 중용기 각부 (34) 의 상단 (34a) 을 지점으로 하여 변형되기 때문에, 그 고유 진동수는 비교적 낮은 것이 된다. 이 결과, 주파수가 비교적 높은 진동이 본체 바닥부 (21) 로부터 중용기 각부 (34) 를 통하여 과실 수용부 (311) 의 오목부 (32) 에 전달된 경우에도, 딸기 (S) 의 공진과 그것에 수반되는 표피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중용기 각부 (34) 는, 천판 (31) 의 둘레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천판 (31) 의 둘레 가장자리 전체를 중용기 각부 (34) 에 의해 지지함으로써, 하방으로의 천판 (31) 의 과잉한 휨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딸기 (S) 를 수용한 오목부 (32) 가 본체 바닥부 (21) 와 접촉하거나, 그것에 의해 본체 바닥부 (21) 로부터 오목부 (32) 에 진동이 직접적으로 전달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중용기 각부 (34) 는, 상단 (34a) 측으로부터 하단 (34b) 측에 걸쳐, 천판 (31) 으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되도록 경사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중용기 (3) 가 외력을 받은 경우에, 화살표 M 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용기 각부 (34) 를 내방으로 쓰러지도록 탄성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본체 바닥부 (21) 가 비교적 높은 주파수로 진동한 경우에도, 중용기 각부 (34) 의 탄성 변형에 의해 진동의 전달을 경감시켜, 딸기 (S) 의 공진과 그것에 수반되는 표피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중용기 각부 (34) 는, 그 상단 (34a) 과 하단 (34b) 사이에 외측면의 법선 방향이 변화되는 변곡부 (34c) 를 갖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중용기 (3) 가 외력을 받은 경우에, 중용기 각부 (34) 는 변곡부 (34c) 를 기점으로 한 탄성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이 결과, 본체 바닥부 (21) 가 비교적 높은 주파수로 진동한 경우에도, 중용기 각부 (34) 의 탄성 변형에 의해 진동의 전달을 경감시켜, 딸기 (S) 의 공진과 그것에 수반되는 표피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9 를 참조하면서,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송 용기 (1A) 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송 용기 (1A)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송 용기 (1) 의 용기 본체 (2) 의 구성을 변경한 것이고,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때문에, 상이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은, 수송 용기 (1A)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수송 용기 (1A) 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8 은, 수송 용기 (1A) 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IX-IX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로, 당해 단면의 일부는 생략되어 있다.
수송 용기 (1A) 는, 용기 본체 (2A) 와, 중용기 (3) 와, 도시하지 않은 덮개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중용기 (3) 및 덮개 부재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중용기 (3) 및 덮개 부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기 본체 (2A)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용기 본체 (2) 와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수납 공간 (20) 과, 본체 바닥부 (21) 와, 본체 측벽부 (22) 를 갖고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용기 본체 (2A) 에는, 본체 바닥부 (21) 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본체 각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바닥부 (21) 는 평탄하다.
중용기 (3) 는, 용기 본체 (2A) 의 수용 공간 (20) 에 배치된다. 중용기 (3) 는, 용기 본체 (2A) 에 대해 구속되지 않고, 그 중용기 각부 (34) 의 하단 (34b) 에서만 본체 바닥부 (21) 의 상면과 접촉함으로써 지지된다. 중용기 (3) 를 용기 본체 (2A) 에 대해 구속하지 않음으로써, 용기 본체 (2A) 로부터 중용기 (3) 에 대한 진동의 전달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 (2A) 의 본체 측벽부 (22) 와 중용기 각부 (34)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당해 간극의 치수는 0.1 ㎜ 내지 5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치수로 함으로써, 수송시의 수용 공간 (20) 내에 있어서의 중용기 (3) 의 이동을 작게 할 수 있고, 이 결과, 중용기 (3) 의 이동에 수반되는 딸기 (S) 에 대한 충격을 억제할 수 있다.
중용기 (3) 가 수용 공간 (20) 에 배치됨으로써, 천판 (31) 은 본체 바닥부 (21) 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또, 오목부 (32) 의 오목부 바닥면 (32a) 과 본체 바닥부 (21) 의 상면 사이에는 3 ㎜ 정도의 간극이 형성된다.
수송 용기 (1A) 가 수용하는 딸기 (S) 는, 중용기 (3) 의 오목부 (32) 내에 수용된다. 딸기 (S) 는, 오목부 (32) 내에 수용되면, 그 하면이 오목부 바닥면 (32a) 과 접하여 하방으로부터 지지된다. 또, 딸기 (S) 의 꼭지 (S1) 측의 측면은, 기립측면 (32b) 에 의해 측방으로부터 지지된다. 또한, 딸기 (S) 의 외형이 점차 작아지는 부분 (S2) 은, 경사측면 (32c) 과 접하여 지지된다. 요컨대, 오목부 (32) 는, 수용되는 딸기 (S) 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딸기 (S) 의 외형을 따른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오목부 (32) 에 딸기 (S) 가 수용된 경우에도 오목부 바닥면 (32a) 이 본체 바닥부 (21) 의 상면과 접촉하는 경우가 없도록, 중용기 (3) 에는 소정의 강성이 부여되어 있다. 용기 본체 (2A) 및 중용기 (3) 는, 오목부 (32) 에 딸기 (S) 가 수용된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덮개 부재에 의해 덮인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 을 참조하면서, 수송 용기 (1A) 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 은, 수송 용기 (1A) 의 변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10 은 수송 용기 (1A) 의 IX-IX 단면만을 나타내고 있다.
중용기 (3) 는, 그 중용기 각부 (34) 에 의해서만 본체 바닥부 (21) 와 접촉함으로써 지지되고 있다. 중용기 각부 (34) 는, 천판 (31) 중, 과실 수용부 (311) 보다 외방에 위치하는 피지지부 (312) 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하면, 크게 이간된 중용기 각부 (34) 의 상단 (34a) 에 의해 천판 (31) 을 지지하고 있다.
비수송시 등, 수송 용기 (1A) 가 외력을 받지 않는 경우에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판 (31) 은 파선 (31A) 에 의해 나타내는 위치에 배치된다. 요컨대, 천판 (31) 은, 오목부 (32) 에 수용한 딸기 (S) (도 9 참조) 의 중량 때문에 약간 하방으로 휘지만, 대체로 본체 바닥부 (21) 와 대략 수평인 상태가 된다.
한편, 수송시 등, 수송 용기 (1A) 가 외력을 받으면, 천판 (31) 에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천판 (31) 은, 파선 (31B) 에 의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용기 각부 (34) 의 상단 (34a) 을 지점으로 한 모드로 변형된다. 또한, 파선 (31B) 은, 이해를 위해서 극단적으로 변위시켜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천판 (31) 은 크게 이간된 중용기 각부 (34) 의 상단 (34a) 을 지점으로 하여 변형되기 때문에, 그 고유 진동수는 비교적 낮은 것이 된다. 이 결과, 주파수가 비교적 높은 진동이 본체 바닥부 (21) 로부터 중용기 각부 (34) 를 통하여 과실 수용부 (311) 의 오목부 (32) 에 전달된 경우에도, 딸기 (S) 의 공진과 그것에 수반되는 표피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중용기 (3) 가 외력을 받은 경우에, 화살표 M 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용기 각부 (34) 를 내방으로 쓰러지도록 탄성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본체 바닥부 (21) 가 비교적 높은 주파수로 진동한 경우에도, 중용기 각부 (34) 의 탄성 변형에 의해 진동의 전달을 경감시켜, 딸기 (S) 의 공진과 그것에 수반되는 표피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3 을 참조하면서,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송 용기 (1B) 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 은, 수송 용기 (1B) 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12 는, 수송 용기 (1B) 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 은, 도 12 의 XIII-XIII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로, 당해 단면의 일부는 생략되어 있다.
수송 용기 (1B) 는,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딸기를 수용함과 함께, 그 수송에 사용되는 용기이다. 수송 용기 (1B) 의 구성은, 에어 패킹 (4) 을 구비하고, 용기 본체 (2B) 에 본체 각부 (211) 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 2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수송 용기 (1B) 의 구성 중,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에어 패킹 (4) 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시트상을 나타내고 있다. 에어 패킹 (4) 은, 시트 (41) 와 복수의 기포부 (42) 를 갖고 있다. 시트 (41) 는 정면에서 볼 때 사각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그 외형은 용기 본체 (2B) 의 본체 바닥부 (21) 보다 크다. 복수의 기포부 (42) 는, 시트 (41) 의 일측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각 기포부 (42) 는 공기를 내포하고 있다.
도 11 및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2B) 는, 4 개의 본체 각부 (211B) 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 각부 (211B) 는, 본체 바닥부 (21) 와 일체 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본체 바닥부 (21) 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체 각부 (211B) 는, 제 1 실시형태와는 달리, 본체 바닥부 (21) 의 중앙부 근처가 아니라, 본체 바닥부 (21) 의 네 모서리의 근방에 1 개씩 형성되어 있다.
에어 패킹 (4) 은, 기포부 (42) 가 형성되어 있는 면을 본체 바닥부 (21) 를 향하게 한 상태에서 수용 공간 (20) 에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에어 패킹 (4) 의 시트 (41) 의 외형은, 용기 본체 (2B) 의 본체 바닥부 (21) 보다 크지만, 에어 패킹 (4) 은, 도 12 및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가장자리부 (411) 를 굴곡시킨 상태에서 수용 공간 (20) 에 배치된다.
에어 패킹 (4) 의 하면은 본체 바닥부 (21) 와 접촉하고, 에어 패킹 (4) 의 상면에는 중용기 (3) 가 재치 (載置) 된다. 중용기 (3) 는, 용기 본체 (2B) 나 에어 패킹 (4) 에 대해 구속되지 않고, 그 중용기 각부 (34) 의 하단 (34b) 에서만 에어 패킹 (4) 의 상면과 접촉함으로써 지지된다.
또한, 용기 본체 (2B) 의 본체 측벽부 (22) 와 중용기 각부 (34) 사이에는, 에어 패킹 (4) 의 가장자리부 (411) 가 배치된다.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바닥부 (21) 로부터 본체 측벽부 (22) 의 상단까지의 높이를 H2 라고 하고, 본체 바닥부 (21) 로부터 가장자리부 (411) 의 상단까지의 높이를 H4 라고 하면, 높이 H4 는 높이 H2 의 1/2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체 바닥부 (21) 로부터 본체 측벽부 (22) 의 상단까지의 높이 H2 가 37 ㎜ 정도 인 경우에, 본체 바닥부 (21) 로부터 가장자리부 (411) 의 상단까지의 높이 H4 는 15 ㎜ 정도로 설정된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공간 (20) 의 모서리부에서는, 굴곡된 가장자리부 (411) 가 겹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된 에어 패킹 (4) 은, 용기 본체 (2B) 와 중용기 (3) 사이에 있어서의 진동의 전달을, 공기를 내포하는 기포부 (42) 를 변형시킴으로써 완화시킨다. 즉, 에어 패킹 (4) 은 완충재로서 기능한다. 에어 패킹 (4) 의 공진 주파수는, 중용기 (3) 의 공진 주파수보다 낮은 값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4 를 참조하면서, 수송 용기 (1B) 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 는, 수송 용기 (1B) 의 변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14 는 수송 용기 (1B) 의 XIII-XIII 단면만을 나타내고 있다.
중용기 (3) 의 천판 (31) 은,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크게 이간된 중용기 각부 (34) 의 상단 (34a) 을 지점으로 하여 변형되기 때문에, 그 고유 진동수는 비교적 낮은 것이 된다. 이 결과, 주파수가 비교적 높은 진동이 본체 바닥부 (21) 로부터 중용기 각부 (34) 를 통하여 과실 수용부 (311) 의 오목부 (32) 에 전달된 경우에도, 딸기 (S) 의 공진과 그것에 수반되는 표피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수송 용기 (1B) 에서는, 용기 본체 (2B) 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4 개의 본체 각부 (211B) 가 본체 바닥부 (21) 에 형성되고, 본체 각부 (211B) 는 서로 이간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골판지 상자 등의 바닥면이 일그러져 있었던 경우에도, 파선 (21') (211B') 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각부 (211B) 사이에 있어서 본체 바닥부 (21) 를 변형시켜, 용이하게 그 일그러짐에 추종시킬 수 있다. 이 결과, 본체 각부 (211B) 를 골판지 상자 등의 바닥면과 안정적으로 접촉시켜, 본체 바닥부 (21) 와 골판지 상자의 바닥면의 접촉 범위를 일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수송 용기 (1B) 는, 용기 본체 (2B) 와 중용기 (3) 사이에 시트상의 완충재인 에어 패킹 (4) 을 구비한다. 중용기 각부 (34) 는, 에어 패킹 (4) 을 통하여 본체 바닥부 (21) 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용기 본체 (2B) 로부터 중용기 (3) 에 전달되는 진동의 주파수를 에어 패킹 (4) 에 의해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에어 패킹 (4) 의 공진 주파수를 중용기 (3) 의 공진 주파수보다 낮은 것으로 설정함으로써, 당해 진동에 의한 딸기 (S) 의 공진과 그것에 수반되는 표피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에어 패킹 (4) 의 가장자리부 (411) 가 굴곡되어, 가장자리부 (411) 가 본체 측벽부 (22) 와 중용기 각부 (3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송 용기 (1B) 의 수송시에 중용기 (3) 가 수용 공간 (20) 내에서 움직여도, 본체 측벽부 (22) 와 중용기 각부 (34) 의 충돌을 에어 패킹 (4) 의 가장자리부 (411) 에 의해 완화시킬 수 있다. 이 결과, 딸기 (S) 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딸기 (S) 의 표피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에어 패킹 (4) 의 가장자리부 (411) 의 높이는, 본체 측벽부 (22) 의 1/2 이하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굴곡된 에어 패킹 (4) 의 가장자리부 (411) 가 수용 공간 (20) 의 모서리부에 있어서 겹쳐져도, 중용기 (3) 의 중용기 각부 (34) 가 에어 패킹 (4) 의 가장자리부 (411) 를 통하여 본체 측벽부 (22) 에 대해 고정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 구체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구체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이들 구체예에, 당업자가 적절히 설계 변경을 추가한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전술한 각 구체예가 구비하는 각 요소 및 그 배치, 재료, 조건, 형상, 사이즈 등은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수송 용기 (1·1A·1B) 는, 딸기 (S) 의 수송에 사용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관련된 수송 용기는, 예를 들어, 분말상의 원료를 압축하여 고형물로 한 화장품의 수송에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변곡부 (34c) 는, 천판 (31) 의 단변과 장변의 각각을 따라 직선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변곡부는, 중용기 각부 (34) 의 상단 (34a) 과 하단 (34b) 사이에서 사행되는 곡선상으로 연장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완충재로서 에어 패킹 (4) 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완충재는, 예를 들어,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 스펀지, 쿠션이나, 부직포 등, 여러 가지 것을 채용할 수 있다.
1·1A·1B : 수송 용기
2·2A·2B : 용기 본체
3 : 중용기
4 : 에어 패킹 (완충재)
20 : 수용 공간
21 : 본체 바닥부
211 : 본체 각부
31 : 천판
32 : 오목부
34 : 중용기 각부
34c : 변곡부
311 : 과실 수용부 (물품 수용부)
312 : 피지지부
S : 딸기 (물품, 과실)

Claims (16)

  1. 물품의 수송에 사용되는 수송 용기로서,
    본체 바닥부와, 그 본체 바닥부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본체 측벽부를 갖고, 그 본체 측벽부에 의해 둘러싸인 수용 공간을 그 본체 바닥부의 상방에 형성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중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중용기는, 물품 수용부가 형성된 천판과, 상기 천판 중 상기 물품 수용부보다 외방의 부위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중용기 각부를 갖고, 상기 중용기 각부에 의해서만 상기 본체 바닥부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되고,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본체 바닥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본체 각부를 갖고,
    상기 본체 각부는, 평면에서 볼 때에 상기 중용기 각부와 중첩되지 않고, 또한, 상기 중용기 각부보다 상기 본체 바닥부의 중앙부 근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중용기 각부는, 상기 천판의 둘레 가장자리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단측으로부터 하단측에 걸쳐 상기 천판으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되도록 경사지고, 상기 상단과 상기 하단 사이에, 상기 중용기 각부의 외측면의 법선 방향이 변화하는 변곡부를 갖고 있고,
    상기 변곡부는, 중용기의 외주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수송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수용부에,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물품이 수용되는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오목부 바닥면과, 그 오목부 바닥면의 일단에 접속되어 상기 천판을 향하여 연장되는 기립측면과, 그 오목부 바닥면의 타단에 접속되어 상기 천판을 향하여 연장되는 경사측면을 갖고,
    상기 경사측면과 상기 천판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기립측면과 상기 천판이 이루는 각도보다 작은, 수송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본체 각부가 상기 본체 바닥부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본체 각부는 서로 이간되어 있는, 수송 용기.
  4. 과실의 수송에 사용되는 수송 용기로서,
    본체 바닥부와, 그 본체 바닥부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본체 측벽부를 갖고, 그 본체 측벽부에 의해 둘러싸인 수용 공간을 그 본체 바닥부의 상방에 형성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본체 바닥부와 간격을 두고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천판을 갖는 중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천판은, 과실 수용부와, 그 과실 수용부보다 외방에 형성되는 피지지부를 갖고,
    상기 과실 수용부에,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과실이 수용되는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지지부에, 상기 천판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중용기 각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용기는, 상기 중용기 각부에 의해서만 하방으로부터 지지되고 있고,
    상기 본체 측벽부와 상기 중용기 각부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중용기 사이에 시트상의 완충재를 구비하고,
    상기 중용기 각부는, 상기 완충재를 통하여 상기 본체 바닥부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수송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본체 각부가 상기 본체 바닥부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본체 각부는 서로 이간되어 있는, 수송 용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중용기 사이에 시트상의 완충재를 구비하고,
    상기 중용기 각부는, 상기 완충재를 통하여 상기 본체 바닥부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수송 용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중용기 사이에 시트상의 완충재를 구비하고,
    상기 중용기 각부는, 상기 완충재를 통하여 상기 본체 바닥부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수송 용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의 가장자리부가 굴곡되고, 그 가장자리부가 상기 본체 측벽부와 상기 중용기 각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수송 용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의 가장자리부가 굴곡되고, 그 가장자리부가 상기 본체 측벽부와 상기 중용기 각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수송 용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의 가장자리부의 높이는, 모두, 상기 본체 측벽부의 1/2 이하인, 수송 용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의 가장자리부의 높이는, 모두, 상기 본체 측벽부의 1/2 이하인, 수송 용기.
  12.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용기 각부는, 상기 천판의 둘레 가장자리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수송 용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용기 각부는, 그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걸쳐, 상기 천판으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되도록 경사져 있는, 수송 용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용기 각부는, 그 상단과 하단 사이에, 외측면의 법선 방향이 다른 부위와 상이한 변곡부를 갖고 있는, 수송 용기.
  15.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의 가장자리부가 굴곡되고, 그 가장자리부가 상기 본체 측벽부와 상기 중용기 각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수송 용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의 가장자리부의 높이는, 모두, 상기 본체 측벽부의 1/2 이하인, 수송 용기.
KR1020180054194A 2017-05-15 2018-05-11 수송 용기 KR1022719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96304A JP2018193073A (ja) 2017-05-15 2017-05-15 輸送容器
JP2017096308A JP2018193074A (ja) 2017-05-15 2017-05-15 輸送容器
JPJP-P-2017-096308 2017-05-15
JPJP-P-2017-096304 2017-05-15
JPJP-P-2018-004360 2018-01-15
JP2018004360A JP7076212B2 (ja) 2018-01-15 2018-01-15 輸送容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479A Division KR102182763B1 (ko) 2017-05-15 2020-03-13 수송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394A KR20180125394A (ko) 2018-11-23
KR102271925B1 true KR102271925B1 (ko) 2021-07-01

Family

ID=643332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194A KR102271925B1 (ko) 2017-05-15 2018-05-11 수송 용기
KR1020200031479A KR102182763B1 (ko) 2017-05-15 2020-03-13 수송 용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479A KR102182763B1 (ko) 2017-05-15 2020-03-13 수송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271925B1 (ko)
CN (1) CN1088609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8656B (zh) * 2019-08-12 2019-11-15 山东商务职业学院 无花果保鲜运输盒
KR102385953B1 (ko) * 2021-01-19 2022-04-11 김지태 수용공간의 효율적인 분배와 유동 억제 기능이 보장되는 상하 적재형 딸기 포장용기
KR102586233B1 (ko) * 2021-06-09 2023-10-10 대한민국 라텍스를 이용한 딸기 난좌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595Y1 (ko) * 1999-12-28 2000-05-15 주식회사담양수지 받침부가 구비된 스치로폴박스
JP2003292046A (ja) * 2002-03-29 2003-10-15 Kawakami Sangyo Co Ltd 緩衝パッド
JP2006076578A (ja) * 2004-09-07 2006-03-23 Tokyo Shunkosha:Kk 青果物載置部材
US20080135445A1 (en) * 2006-12-11 2008-06-12 Don Juliano Insert trays for packages, packages including such trays, and methods for packaging articles of manufacture
JP2012148809A (ja) * 2011-01-20 2012-08-09 Bridgestone Corp 緩衝材
JP2014084135A (ja) * 2012-10-23 2014-05-12 Kotaro Saito いちご収納トレー
JP2014205502A (ja) * 2013-04-12 2014-10-30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包装トレイ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2902A (en) * 1965-10-22 1968-07-16 Monsanto Co Carton with cushioning insert of foam plastic material
JPS61125967U (ko) * 1985-01-24 1986-08-07
JPS6252177U (ko) * 1985-09-19 1987-04-01
JPH0353479U (ko) * 1989-09-26 1991-05-23
JP2000168868A (ja) * 1998-11-30 2000-06-20 Ikeguchi Kogyo:Kk 物品保持具
JP2003104477A (ja) * 2001-09-28 2003-04-09 Seiwa:Kk 果実包装体及び果実包装方法
JP2004345713A (ja) * 2003-05-26 2004-12-09 Kojima Danbooru Kk 包装容器
JP2006069620A (ja) * 2004-09-02 2006-03-16 Olympus Corp ボールレンズ輸送包装容器
JP4689688B2 (ja) * 2007-06-29 2011-05-25 大石産業株式会社 果実収容トレー
KR20090000631U (ko) * 2007-07-18 2009-01-22 최현호 과일상자.
JP4368402B2 (ja) * 2007-11-15 2009-11-18 日本モウルド工業株式会社 果実用トレイ、連接果実用トレイ
KR20120082597A (ko) * 2011-01-14 2012-07-24 주식회사 해밀디앤피 과일 포장용 상자
JP2014231363A (ja) * 2013-05-28 2014-12-11 株式会社イケックス 包装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595Y1 (ko) * 1999-12-28 2000-05-15 주식회사담양수지 받침부가 구비된 스치로폴박스
JP2003292046A (ja) * 2002-03-29 2003-10-15 Kawakami Sangyo Co Ltd 緩衝パッド
JP2006076578A (ja) * 2004-09-07 2006-03-23 Tokyo Shunkosha:Kk 青果物載置部材
US20080135445A1 (en) * 2006-12-11 2008-06-12 Don Juliano Insert trays for packages, packages including such trays, and methods for packaging articles of manufacture
JP2012148809A (ja) * 2011-01-20 2012-08-09 Bridgestone Corp 緩衝材
JP2014084135A (ja) * 2012-10-23 2014-05-12 Kotaro Saito いちご収納トレー
JP2014205502A (ja) * 2013-04-12 2014-10-30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包装トレ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394A (ko) 2018-11-23
KR102182763B1 (ko) 2020-11-25
CN108860967A (zh) 2018-11-23
KR20200032063A (ko) 2020-03-25
CN108860967B (zh) 2021-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2763B1 (ko) 수송 용기
US7789239B2 (en) Insert trays for packages, packages including such trays, and methods for packaging articles of manufacture
JP5162341B2 (ja) ガラス基板搬送用トレイとガラス基板梱包体
JP2003063569A (ja) 梱包用緩衝材および梱包物
JP2006273333A (ja) 梱包用トレー
JP5165623B2 (ja) 緩衝包装材
JP4852020B2 (ja) 緩衝体及び梱包体
CN1978285A (zh) 缓冲装置以及端帽缓冲装置
KR20160039576A (ko) 기판수납용기를 포장하기 위한 포장구조
JP2018193073A (ja) 輸送容器
JP2009040459A (ja) 梱包用緩衝部材
JP7076212B2 (ja) 輸送容器
JP6119675B2 (ja) 梱包材
JP4916350B2 (ja) 緩衝体及び梱包体
JP2022089201A (ja) 輸送容器
JP2018193074A (ja) 輸送容器
JP6068096B2 (ja) ウェーハカセットの梱包体
JP2020093805A (ja) 梱包装置
TWI646027B (zh) 異質複合緩衝包裝箱及其使用之異質複合緩衝結構
JP7381496B2 (ja) 異なったサイズの物品のための緩衝梱包体
JP4952270B2 (ja) コーナー用緩衝材
JP3198954U (ja) 包装容器
JP2005104520A (ja) 成形容器
JP2013116771A (ja) ケース
JP2008094473A (ja) 梱包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076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313

Effective date: 20210113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